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법무부]정성호 법무부 장관, 서울보호관찰소·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 방문
요약보기
한국어 정성호 법무부장관은 서울보호관찰소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를 방문하여 범죄예방정책 집행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이상동기·스토킹범죄 등에 대한 대응 실태를 확인하면서 직원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총평 이번 방문은 범죄 예방 정책의 개선과 집행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국민 안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English Minister Jeong Seong-ho of the Ministry of Justice visited the Seoul Probation Office and the Central Tracking Center to review the implementation of crime prevention policies.
He assessed the response to safety-threatening offenses such as delusional motives and stalking crimes, while encouraging the efforts of employees.
Summary This vis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policies, contributing to improved public safety.
日本語 チョン・ソンホ法務部長官はソウル保護観察所と位置追跡中央監視センターを訪問し、犯罪予防政策の実行状況を点検しました。
異常動機・ストーカー犯罪など国民の安全を脅かす事件への対応状況を確認し、職員を励ます時間を持ちました。
総評 今回の訪問は犯罪予防政策の強化と国民の安全向上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法务部长郑成浩访问了首尔保护观察所和定位追踪中央监控中心,以检查犯罪预防政策的实施情况。
其间他了解了应对威胁公众安全的异常动机与跟踪犯罪的状况,并向工作人员表达了慰问与支持。
总评 此次活动有望加强犯罪预防政策执行效果,提高公众整体安全水平。
Italiano Il ministro della giustizia Jeong Seong-ho ha visitato l’Ufficio di sorveglianza di Seoul e il Centro di monitoraggio centrale per esaminare l’attuazione delle politiche di prevenzione della criminalità.
Durante la visita ha valutato le risposte ai reati che minacciano la sicurezza pubblica, come crimini motivati da disturbi deliranti e stalking, incoraggiando il personale.
Valutazione Questa visita potrebbe contribuire a migliorare l’efficacia delle politiche di prevenzione della criminalità e a garantire una maggiore sicurezza pubblica.
[국토교통부]제1차「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개최, 9.7대책 후속조치 가속화에 총력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제1차「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며 9.7대책의 후속조치를 가속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 조성을 목표로 진행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일반 시민들의 주거 부담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convened the 1st Housing Supply Promotion Ministers’ Meeting to accelerate follow-up measures for the September 7 plan.
The initiative focuses on expanding housing supply and creating a stable living environment.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reduce housing pressure for citizens and increase residential stability by expanding supply.
日本語 政府は第1回「住宅供給促進関係閣僚会議」を開き、9月7日政策の後続措置の加速化を図る予定です。
今回の措置は住宅供給の拡大と安定した住環境の整備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により住宅不足を緩和し、一般市民の住居環境がより安定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召开了第一次“促进住房供应相关部长会议”,以加速落实9月7日政策的后续措施。
本次措施以扩大住房供应和营造稳定的居住环境为目标。
总评 此政策有望减轻住房压力,为居民提供更稳定的居住条件。
Italiano Il governo ha tenuto la 1ª Riunione dei Ministri per la Promozione della Fornitura Abitativa, accelerando le misure successive al piano del 7 settembre.
L’obiettivo è ampliare l’offerta di case e creare un ambiente abitativo più stabi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alleggerire la pressione sugli alloggi e offrire maggiore stabilità ai cittadini.
[농림축산식품부]경기 평택 산란계 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확인
요약보기
한국어 경기도 평택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확인되었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선제적으로 방역조치를 실행하고, 고병원성 확산을 막기 위해 축산 시설의 이동을 36시간 동안 중단하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총평 철저한 방역과 관리로 가금산업의 피해를 예방하고, 소비자들은 유의사항을 확인하며 식품 위생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English H5 avian influenza antigen was detected at a layer farm in Pyeongtaek, Gyeonggi Province.
The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has implemented immediate quarantine measures and ordered a 36-hour standstill for livestock faciliti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Summary Effective quarantine management is essential to protect the poultry industry, and consumers should focus on food safety precautions.
日本語 韓国京畿道平沢の産卵鶏農場でH5型鳥インフルエンザ抗原が確認されました。
中央事故収拾本部は迅速な防疫措置を実施し、感染拡大を防ぐために畜産施設の移動を36時間停止する命令を発令しました。
総評 防疫の徹底が養鶏業界の被害を軽減する鍵となり、消費者は食品衛生面に注意を払うことが必要です。
中文 韩国京畿道平泽的一家蛋鸡养殖场发现了H5型禽流感抗原。
中央事故应急处理本部迅速采取防疫措施,并对相关畜牧设施执行了36小时的移动禁止命令以防止病毒扩散。
总评 严格的防疫措施对于保护家禽产业至关重要,消费者需关注食品安全注意事项。
Italiano È stato rilevato l’antigene dell’influenza aviaria H5 in un allevamento di galline ovaiole a Pyeongtaek, nella provincia di Gyeonggi, Corea del Sud.
Il Quartiere Generale per la Gestione dei Disastri ha implementato misure preventive con un ordine di blocco dei movimenti per 36 ore nei siti di allevamento per evitare la diffusione del virus.
Valutazione Misure di prevenzione efficaci sono cruciali per ridurre i danni all’industria avicola, mentre i consumatori dovrebbero essere attenti alla sicurezza alimentare.
[중소벤처기업부]벤처투자 생태계 리더들, 모태펀드 20년 성과와 성공 전략을 말하다.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 출범 20주년을 맞아 정책 토론회를 열고, 투자 구조 고도화와 존속기간 연장 필요성 등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민간자본 유입과 국가 전략산업 투자 확대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모태펀드의 역할 강화 방안이 강조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벤처 생태계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존 정책의 성과를 살피고, 민간 투자 활성화로 벤처 환경을 더욱 확장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Korea Venture Investment hosted a policy forum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 Fund of Funds.
The forum discussed the need for extending the fund’s existence and enhancing private capital investment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venture ecosystem.
Summary This discussion emphasized the fund’s critical role in boosting venture investment and creating opportunities for private sector involvement.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と韓国ベンチャー投資は、モテファンド設立20周年を記念した政策フォーラムを開催しました。
フォーラムでは、ファンドの存続期間延長や民間資金の流入拡大に向けた必要性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議論は、ベンチャー生態系の持続可能な成長を促すために、官民連携をさらに強化する重要性を示しました。
中文 中小企业部与韩国创业投资公司举办了以纪念母基金成立20周年为主题的政策论坛。
论坛讨论了延长基金存续期以及扩大民间资本流入的重要性,以加强创业生态系统的可持续发展。
总评 此次讨论突显母基金作为自然连接平台在吸引民间资本以及促进风险投资方面的重要作用。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Investimenti Venture coreano ha organizzato un forum politico per celebrare i 20 anni del Fondo Madre.
Durante il forum si è discusso dell’estensione della durata del fondo e dell’importanza di incentivare gli investimenti privati nel sistema delle startup.
Valutazione Questo evento ha evidenziato il ruolo essenziale del Fondo Madre nel sostegno alla crescita sostenibile e nell’attrazione di finanziamenti privati nella scena imprenditoriale.
[중소벤처기업부]실패 경험의 자산화 문화를 확산하는 ‘2025 재도전의 날’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가 서울에서 ‘2025 재도전의 날’을 개최하며 재도전 기업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재도전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재창업 자금, 교육, 전문상담, 제도개선 등을 통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시작에 도전하려는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과 희망을 제공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osted ‘2025 Restart Day’ in Seoul, aiming to spread positive awareness about restart companies through a variety of events.
The government supports restart companies with funds, training, mentoring, and system improvements to rejuvenate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practical support and inspiration for entrepreneurs who are not afraid to start anew after facing failure.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ソウルで「2025再挑戦の日」を開催し、再挑戦企業に対する積極的な認識を広めるため様々なイベントを実施しました。
政府は資金供給、教育、専門相談や制度改善を通じて、再挑戦企業を支援し起業のエコシステムを活性化させ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失敗を恐れずに新たな挑戦を試みる起業家に実質的な支援と希望を与える内容です。
中文 韩国中小企业部在首尔举办了“2025再挑战日”活动,通过多场活动提升社会对再挑战企业的理解和正面认知。
政府通过提供资本支持、教育培训、专业咨询及制度改进来助力再创业者,推动创业生态系统发展。
总评 此举向不畏失败重启创业的人们提供了切实帮助和新的希望。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iccole e Medie Imprese ha organizzato a Seoul il “Giornata della Ripartenza 2025”, promuovendo una maggiore consapevolezza positiva sulle aziende che si rimettono in gioco attraverso eventi vari.
Il governo sostiene queste aziende con fondi, formazione, mentoring e migliorie ai meccanismi per rafforzare l’ecosistema imprenditoria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e supporto concreto e motivazione per coloro che hanno il coraggio di ricominciare dopo un insuccesso.
[중소벤처기업부]「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에너지 경비를 납품대금 연동제에 포함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상생금융지수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은 상생협력법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탈법행위 금지, 분쟁조정협의회 확대, 기술자료 유용 행위 관련 손해배상 청구 근거 마련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개정안은 에너지 부담을 줄이고 중소기업과 금융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as announced amendments to the Win-Win Partnership Act to include energy costs in the supply price linkage system and introduce a cooperation index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and SMEs.
The amendments also address the prohibition of evasion practices, expansion of dispute resolution committees, and creation of grounds for compensation claims for technical data misuse.
Summary These amendments aim to reduce energy-related burdens and foster cooperation between SM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promoting sustainable growth for small businesse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エネルギー経費を納品代金連動制に含めることや、中小企業と金融機関間の協力指数を導入する内容の共生協力法改正案を発表しました。
改正案には違法行為の禁止や紛争調整委員会の規模拡大、技術資料悪用に関する損害賠償請求の根拠整備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本改正案はエネルギー負担を軽減し、中小企業の持続的な成長を支える金融協力を強化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中小企业部公布了《促进大小企业合作共存法律》修订案,涵盖将能源费用纳入供应价格联动机制及引入金融机构与中小企业间的协作指数。
修订案还包括禁止规避行为、扩大纠纷调解委员会、针对技术资料滥用行为的赔偿诉讼依据的建立等内容。
总评 此修订案旨在减轻能源成本负担,强化中小企业与金融机构间的合作,支持中小企业的可持续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ha presentato un emendamento alla legge sulla cooperazione tra grandi e piccole imprese che include i costi energetici nel sistema di indicizzazione dei prezzi e introduce un indice di cooperazione tra istituzioni finanziarie e piccole imprese.
L’emendamento prevede il divieto di pratiche elusive, l’ampliamento dei comitati di risoluzione delle controversie e la predisposizione di basi per richieste di risarcimento per utilizzo improprio di dati tecnici.
Valutazione Questo emendamento mira a ridurre i costi energetici e a promuovere una maggiore cooperazione tra aziende, favorendo la crescita sostenibile delle piccole imprese.
[산업통상부]미래 무역수호자들의 역량대결, 제26회 무역구제 논문발표대회 개최·결과 시상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부 무역위원회는 제26회 무역구제제도 대학(원)생 논문발표대회를 개최하고, 우수 논문 8편을 선정해 시상했습니다.
대상은 초국경보조금 적법성 평가 및 미국 반덤핑 규제와 관련된 논문이 선정되며, 대회는 19팀이 참여하여 치열한 경쟁이 있었습니다.
총평 해당 대회는 학생들의 무역과 관련된 전문성을 높이고, 글로벌 통상 환경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기회로 이어질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the 26th Trade Remedy Thesis Presentation Competition for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awarding eight outstanding papers.
The grand prizes were awarded to theses evaluating cross-border subsidies and U.S. anti-dumping regulations, with 19 teams participating in the event.
Summary This competition provides a valuable opportunity to enhance students’ expertise in trade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global trade issues.
日本語 産業通商部貿易委員会は第26回貿易救済制度大学(院)生論文発表大会を開催し、優秀論文8編を選定して授賞しました。
最優秀賞には超国境補助金の適法性評価及び米国反ダンピング規制に関する論文が選ばれ、大会には19チームが参加しました。
総評 この大会は学生の貿易関連専門性を高め、国際貿易環境への理解を深める良い機会です。
中文 产业通商部贸易委员会举办了第26届“贸易救济制度大学(研究生)论文发表大赛”,并评选出8篇优秀论文予以表彰。
大赛大奖授予了关于跨国补贴评估及美国反倾销规制相关的论文,总计有19支团队参与竞赛。
总评 此项赛事为学生提供了深度研究国际贸易问题与提高专业技能的难得机会。
Italiano Il Comitato del Commercio del Ministero dell’Industria e del Commercio ha organizzato il 26° Concorso per tesi sul sistema di rimedi commerciali per studenti universitari e laureati, premiando otto tesi eccezionali.
I premi principali sono stati assegnati a tesi sull’analisi della legalità dei sussidi transfrontalieri e sulle normative antidumping negli Stati Uniti, con 19 squadre partecipanti.
Valutazione Questa competizione offre opportunità preziose per sviluppare le competenze degli studenti e approfondire la comprensione delle sfide globali del commercio.
[보건복지부]국민연금, 하이트진로를 공개중점관리기업으로 선정
요약보기
한국어 국민연금이 하이트진로를 공개중점관리기업으로 선정했습니다.
법령 위반 우려로 기업 가치 훼손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약 5년간 비공개 대화를 통해 개선을 유도했지만 충분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공개서한 등을 통해 충실한 조치를 요구할 계획입니다.
총평 국민연금의 이번 결정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투명성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has designated Hite Jinro as a publicly-focused management company.
This decision was made due to concerns over legal violations that could harm corporate value, following five years of undisclosed efforts for improvement without sufficient action from the company.
The NPS plans to demand corrective measures through public letters and other actions.
Summary The decision emphasiz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potentially shaping business conduct under public scrutiny.
日本語 国民年金はハイト眞露を公開中重点管理企業に指定しました。
法令違反の懸念があるため企業価値の毀損が懸念され、約5年間の非公開対話でも十分な改善が見られなかったための措置です。
今後は公開書簡を通じて充実した対応を求めていく予定です。
総評 この決定は企業に公正と責任を求め、透明性を推進する重要な手段となり得ます。
中文 韩国国民养老金将海特真露指定为公开重点管理企业。
由于担忧法律违规可能损害企业价值,经过约五年的非公开对话未取得有效改善而作出此决定。
未来计划通过公开信等方式要求企业采取有效措施。
总评 此举强调了企业社会责任与透明性的必要性,可能对企业行为产生监督效应。
Italiano Il Servizio Pensionistico Nazionale ha designato Hite Jinro come azienda sotto gestione pubblicamente focalizzata.
La decisione è stata presa per la presunta violazione di leggi che potrebbe danneggiare il valore aziendale, dopo cinque anni di conversazioni private senza azioni sufficienti dall’azienda.
Si prevede di richiedere azioni correttive attraverso lettere pubbliche e altri mezzi.
Valutazione La misura sottolinea la responsabilità sociale aziendale e la necessità di trasparenza, con possibili implicazioni per il comportamento delle aziende.
[외교부]제3회 국민 공공외교 우수사례 시상식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가 「제3회 국민 공공외교 우수사례 시상식」을 외교부 청사에서 개최하며, 시리아 자타리 난민촌 봉사활동 사례를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국민들의 공공외교 활동을 장려하고 관심을 높이고자 개최되었으며, 총 316건의 작품 중 대상 1개, 우수상 4개, 장려상 10개가 선정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시상식은 일반 국민들이 공공외교에 직접 참여하며 국제 사회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the 3rd Citizen Public Diplomacy Excellence Awards at the ministry headquarters, awarding a case of volunteering in the Zaatari refugee camp as the grand prize.
The event aimed to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in diplomacy, receiving 316 entries and selecting 15 winning works in total, including one grand prize.
Summary This initiative allows citizens to directly engage in public diplomacy, fostering meaningful contributions on a global stage.
日本語 外務省は第3回国民公共外交優秀事例表彰式を外務省庁舎で開催し、シリアのザアタリ難民キャンプでのボランティア活動事例を大賞として選出しました。
このコンテストは一般市民の公共外交参加を奨励し、総316件の応募作品から計15件の受賞作品が選ばれました。
総評 公共外交に市民が直接参加し、国際社会へプラス影響を与える促進役を果たす場となっています。
中文 外交部在总部举办了第三届国民公共外交优秀案例颁奖典礼,难民营志愿活动成为本次活动的大奖得主。
此次比赛旨在鼓励国民参与公共外交,共收到316件作品并最终选出15个获奖案例,包括1个大奖。
总评 这一活动为国民参与公共外交提供了平台,有助于提升国际社会的关注和积极影响力。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organizzato il 3° Premio per l’Eccellenza nella Diplomazia Pubblica, premiando il volontariato nel campo profughi di Zaatari come vincitore assoluto.
L’evento mira a stimolare la partecipazione dei cittadini alla diplomazia, con un totale di 316 opere presentate e 15 vincitori seleziona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e ai cittadini l’opportunità di contribuire attivamente alla diplomazia e influenzare positivamente la società globale.
[외교부]국민과 함께 ‘외교’를 이야기하다…’외교톡톡’ 통해 현장 경험 생생히 전달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11월 1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24회 외교톡톡’을 개최했습니다.
외교톡톡은 외교 현장의 이야기를 국민과 공유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번 행사에는 모파랑 27기가 기획과 운영에 참여하고 약 300명이 참석하여 국제 정상회의와 외교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총평 국민은 이번 행사를 통해 외교 분야에 더욱 밀접하게 다가가고 외교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the 24th Talk Talk Diplomacy event at the Seoul Government Complex Annex on November 14.
This event, designed to share real stories from the field of diplomacy, involved active participation by the 27th Friends of MOFA and was attended by about 300 citizens, focusing on leadership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insights into the apec 2025 summit.
Summary Through this program, the public could feel closer to diplomacy and understand its impact on daily life.
日本語 外務部は11月14日に政府ソウル庁舎別館で「第24回外交トークトーク」を開催しました。
外交トークトークは外交活動の現場からの話を国民と共有するイベントで、約300人が参加し、2025 APEC首脳会議と外交現場の実体験について語られました。
総評 国民が外交分野に親しむきっかけとなり、生活に密接に繋がる外交の重要性を実感する機会を提供しました。
中文 外交部于11月14日在首尔政府办公大楼别馆举办了“第24届外交对话”活动。
此次活动旨在分享外交领域的真实故事,由第27期MOFA支持团队策划运营,并有约300名民众参与,重点讨论2025年APEC峰会以及外交经验。
总评 此活动让公众更加了解外交领域,并切实感受到其与日常生活的联系及重要性。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organizzato il 24° evento “Talk Talk Diplomazia” il 14 novembre presso l’annesso del complesso governativo di Seoul.
L’evento ha visto la partecipazione di circa 300 cittadini e del gruppo 27 dei Friends of MOFA, raccontando storie vere della diplomazia e del vertice APEC 2025.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ha offerto al pubblico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avvicinarsi al mondo della diplomazia e comprenderne il suo valore nelle vite quotidiane.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2025 대한민국 공익광고제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인공지능 영상을 활용한 해양오염 경각심 고취 공익광고가 ‘2025 대한민국 공익광고제’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번 광고제는 국민이 공감할 공익광고 제작을 장려하기 위해 7~8월 간 작품을 접수했고 심사 결과 총 29편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서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는 대상 외에도 금상, 은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작품들이 선정되었습니다.
총평 수상작들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발상과 메시지를 담고 있어, 공익광고의 긍정적 역할 확대를 기대하게 합니다.
English 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utilizing AI technology to raise awareness about marine pollution won the grand prize at the ‘2025 Korea Public Service Advertising Awards’.
This event aimed to encourage the production of impactful advertisements, receiving entries during July and August, and ultimately selecting 29 winners through a rigorous evaluation process.
The award ceremony held in Seoul featured various prizes for outstanding advertisements in multiple categories.
Summary The highlighted works demonstrate creative approaches to addressing societal issues, showcasing the growing importance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日本語 AI映像を活用して海洋汚染の深刻さを伝えた公共広告が「2025韓国公共広告祭」で大賞を受賞しました。
本大会では、7~8月に渡り応募された作品を審査し、最終的に29件の受賞作が選ばれました。
ソウルで開催された式典では、大賞をはじめ金賞、銀賞などが発表されました。
総評 受賞作品は社会問題への創造的な取り組みを反映しており、公共広告の重要性が増していることを示しています。
中文 利用人工智能技术传递海洋污染问题的公益广告在“2025韩国公益广告节”中荣获大奖。
此次活动旨在激励制作引人共鸣的公益广告,以7至8月的开放投稿为基础,通过审核最终选出了29件优秀作品。
在首尔举办的颁奖典礼上,共有多种类别的广告作品荣获奖项。
总评 获奖作品通过创意展现社会问题,进一步凸显了公益广告的重要社会作用。
Italiano Un messaggio di pubblicità sociale, che utilizza la tecnologia AI per sensibilizzare sull’inquinamento marino, ha vinto il premio massimo ai ‘Premi di Pubblicità Sociale della Corea 2025’.
Questo evento ha incentivato la creazione di pubblicità d’impatto, ricevendo candidature a luglio e agosto e selezionando 29 opere attraverso un processo rigoroso di valutazione.
La cerimonia a Seoul ha annunciato premi per diverse categorie pubblicitarie.
Valutazione I lavori premiati riflettono soluzioni creative ai problemi sociali, evidenziando il contributo crescente delle pubblicità sociali.
[국무조정실][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뚝섬 수상활동 안전점검 보도자료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국무총리는 11월 14일 서울 뚝섬 일대에서 한강 내 수상활동 안전 점검을 실시했습니다.
생존수영교육, 수상레저업체, 한강버스 선착장을 방문하여 시민 안전을 강조하고 관련 기관에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총평 이번 점검은 수상활동 안전성을 높여 시민들이 더욱 안전하게 강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Kim Min-seok conducted a safety inspection on November 14 in the Ttukseom area of the Han River.
He visite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acilities, water leisure companies, and bus docks, emphasizing citizen safety and urging cooperation among related agencies.
Summary The inspection aims to enhance water activity safety and ensure safer usage of the river for citizens.
日本語 キム・ミンソク首相は11月14日、漢江のトゥクソム地域で水上活動の安全管理を点検しました。
生存水泳教育施設、水上レジャー業者、漢江バスの桟橋を訪れ、市民安全を重視し、関係機関の協力を要請しました。
総評 今回の点検は、水上活動における安全性を向上させ、市民が安心して川を利用できるよう支援する契機になるでしょう。
中文 金敏锡总理于11月14日在汉江的뚝섬区域开展了水上活动安全检查。
他拜访了生存游泳教育场所、水上休闲公司及汉江公交码头,强调市民安全并敦促相关机构合作。
总评 此次检查旨在提升水上活动的安全性,使市民能够更安心地使用汉江资源。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effettuato il 14 novembre un’ispezione di sicurezza nell’area di Ttukseom sul fiume Han.
Ha visitato strutture di educazione al nuoto di sopravvivenza, aziende di sport acquatici e molo per bus fluviali, sottolineando la sicurezza dei cittadini e sollecitando la cooperazione tra le agenzie coinvolte.
Valutazione Questa ispezione mira ad aumentare la sicurezza delle attività acquatiche permettendo ai cittadini di vivere il fiume in maggiore tranquillità.
[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춘천시,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협약 체결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가 춘천시와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협약을 11월 14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협약은 지역 경제와 인구 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질적인 노력이며, 지역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복지 서비스와 사회적 발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igned a “Regional Revival Cooperation Sisterhood Agreement” with Chuncheon City on November 14.
This agreement aims to address population decline and the risk of regional extinction by promoting various initiatives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Summary This initiative represents a practical effort to tackle population and regional issues, providing better welfare services and social progress opportunities for residents.
日本語 保健福祉部は11月14日、春川市と「地方活性化共生姉妹提携協約」を締結しました。
この協約は人口減少や地域消滅の危機への対応として、地域社会を活性化させるさまざまな方法を推進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地域の人口問題や消滅リスクへの具体的な取り組みであり、住民にとってより良い福祉サービスや社会的成長を提供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韩国保健福利部与春川市于11月14日签署了“地方共生合作姐妹结缘协议”。
协议旨在应对人口减少和地区消亡危机,通过多项计划促进地方社会的活力提升。
总评 这项协议体现了应对区域问题的务实努力,将为居民提供更好的福利服务和社会发展机遇。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firmato il 14 novembre un “Accordo di Gemellaggio per la Collaborazione Regionale” con la città di Chuncheon.
L’accordo mira a contrastare il calo demografico e il rischio di estinzione regionale tramite diverse iniziative per rivitalizzare le comunità loc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ppresenta un impegno concreto per risolvere problemi demografici e regionali, offrendo migliori servizi sociali e opportunità di progresso per i residenti.
[보건복지부]관리급여 대상 항목 선정 기준 구체화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11월 14일 ‘비급여관리정책협의체’ 제3차 회의를 열고 관리급여 대상 항목 선정 기준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논의는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를 목표로 비급여 항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령 개정과 함께 추진되었습니다.
12월 초 열릴 제4차 회의에서 추가적인 의견수렴 및 항목 선정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의료비 부담 경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관리급여 항목 선정과 운영의 투명성이 특히 중요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vened the third meeting of the “Non-Benefit Policy Council” on November 14 to discuss criteria for selecting managed benefit items.
This initiative aims to establish a systematic approach to managing non-covered medical expenses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n citizens, in line with the recent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The fourth meeting scheduled for early December will collect further opinions and finalize item selection.
Summary This policy aims to alleviate healthcare costs for the public, and transparency in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managed benefit items is crucial.
日本語 保健福祉部は11月14日に「非給付管理政策協議体」の第3回会議を開催し、管理給付対象項目の選定基準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この取り組みは国民の医療費負担軽減を目的に、非給付項目を体系的に管理するための方針を整備するものです。
12月初旬に予定されている第4回会議ではさらに意見聴取を行い、項目選定に向けて進める予定です。
総評 国民の負担を軽減するためには、管理給付項目の選定基準と運営の透明性が重要です。
中文 韩国保健福祉部于11月14日召开了第三次“非支付管理政策协商会”,讨论管理支付项目的选择标准。
此政策旨在通过修订行政令,系统管理非支付项目以减轻国民医疗费用负担。
第四次会议将于12月初举行,进一步收集意见并最终确定项目选择。
总评 此政策可缓解医疗开支压力,但项目选择过程和管理透明性需重点关注。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tenuto il terzo incontro del “Consiglio per la Gestione delle Prestazioni Non Garantite” il 14 novembre per discutere i criteri di selezione degli elementi di gestione delle prestazioni.
L’iniziativa mira a sistematizzare la gestione delle spese mediche non garantite, alleggerendo il peso economico sui cittadini, armonizzata con la revisione del decreto attuativo.
Il quarto incontro, previsto per inizio dicembre, raccoglierà ulteriori pareri e finalizzerà la selezione degli elementi.
Valutazione Questa misura cerca di ridurre i costi sanitari, ma è essenziale garantire trasparenza nella scelta e gestione degli elementi identificati.
[외교부]정부, 필리핀 태풍 피해에 대한 인도적 지원 제공
요약보기
한국어 우리 정부는 필리핀 태풍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IFRC를 통해 100만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지원은 피해 지역의 조기 복구와 주민들의 일상 복귀를 돕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인도적 지원을 통해 자연재해로 어려움에 처한 국가와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decided to provide $1 million in aid through the IFRC to assist in recovery from the typhoon damage in the Philippines.
This support is aimed at facilitating the speedy recovery of the affected area and helping residents return to their daily lives.
Summary This initiative highlights humanitarian relief efforts designed to support communities affected by natural disasters.
日本語 韓国政府はフィリピンでの台風被害の復旧支援のため、IFRCを通じて100万ドルを提供することを決定しました。
この支援は被災地の早期復旧と住民の日常生活復帰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支援は自然災害を受けた地域への迅速な人道的対応の良い例と言えます。
中文 韩国政府决定通过IFRC向菲律宾台风灾区提供100万美元援助。
努力支持受灾地区快速复苏,并帮助居民早日回归正常生活。
总评 此举体现了韩国在自然灾害面前提供人道援助的决心和责任。
Italiano Il governo della Corea del Sud ha deciso di fornire 1 milione di dollari attraverso l’IFRC per sostenere la ripresa dai danni causati dal tifone nelle Filippine.
L’obiettivo è aiutare le aree colpite a recuperare rapidamente e supportare i residenti nel ritorno alla vita quotidiana.
Valutazione Questo supporto rappresenta un gesto concreto di solidarietà verso le comunità colpite da disastri naturali.
[산림청]산림청, ‘2025년 산림재난 분야 유공자 포상 전수식’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이 대전청사에서 ‘2025년 산림재난 분야 유공자 포상 전수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포상은 산불 예방, 산림병해충 방제 등에 헌신한 민간인과 공무원을 발굴하여 사기를 진작하고 노고를 격려하는 취지로 진행되었습니다.
총평 산림재난 예방 활동에 공로를 인정받은 이들의 이야기가 국민의 안전을 위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Korea Forest Service held the ‘2025 Forest Disaster Award Ceremony’ at the Daejeon Government Complex.
The awards recognize individuals and public officials who contributed to wildfire prevention, pest control, and tree care services.
Summary This even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forest disaster prevention and encourages further commitment for public safety.
日本語 韓国森林庁は大田庁舎で「2025年森林災害分野功労者授与式」を開催しました。
この授与式では、山火事予防や森林害虫防除に尽力した民間人や公務員を称える目的で行われました。
総評 森林災害防止への努力が国民の安全意識を高めるきっかけに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森林厅在大田政府大楼举行了“2025年森林灾害领域贡献者表彰仪式”。
此次表彰旨在奖励为山火防控及森林病虫害治理做出贡献的民间人士与公务人员,并鼓励其努力。
总评 此次表彰有望提升森林灾害防控的重要性,并进一步保障公众安全。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ha tenuto la “Cerimonia di Premiazione 2025 per i Meriti nei Disastri Forestali” presso il Complesso Governativo di Daejeon.
L’evento ha riconosciuto l’impegno di cittadini e funzionari pubblici nella prevenzione degli incendi boschivi e nel controllo dei parassiti forest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sottolinea l’importanza della cura ambientale per la sicurezza collettiva e ispira maggiori sforzi comunitari.
[외교부]일본 정부의 "영토주권전시관" 추가 개관에 대한 외교부 대변인 성명
요약보기
한국어 일본 정부가 독도 관련 부당한 주장을 담은 “영토주권전시관” 확장 공간을 개관한 데 대해 우리 정부가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2018년부터 폐쇄를 지속 촉구해왔으며 이번 추가 개관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총평 독도에 대한 잘못된 주장은 한일 관계에 불필요한 갈등을 야기하며, 보다 건설적인 대화를 위한 장애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trongly protested Japan’s expansion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Exhibition Hall” that makes false claims about Dokdo.
Since 2018,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urged its closure and expressed strong regret over the recent expansion.
Summary False claims over Dokdo could provoke unnecessary conflicts and hinder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日本語 韓国政府は、日本政府による竹島を巡る「領土主権展示館」の拡張開館に強い抗議を示しました。
韓国側は2018年以降閉鎖を求め続けており、今回の拡張開館に対して深い遺憾を表明しました。
総評 竹島に関する誤った主張は日韓関係の緊張を招くだけであり、実りある対話を妨げる要因となり得ます。
中文 韩国政府强烈抗议日本政府扩建展览关于独岛错误主张的“领土主权展览馆”。
自2018年以来,韩国一直敦促其关闭,并对最近的扩建表示强烈遗憾。
总评 独岛相关的错误主张可能引发不必要的冲突,阻碍韩日之间的建设性对话。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ha fortemente protestato contro l’espansione del “Territorial Sovereignty Exhibition Hall” da parte del Giappone, che avanza rivendicazioni inappropriate su Dokdo.
Dal 2018, il governo sudcoreano ha continuato a sollecitarne la chiusura, esprimendo forte rammarico per la recente espansione.
Valutazione Le affermazioni errate su Dokdo possono innescare conflitti inutili e ostacolare il dialogo costruttivo tra Corea del Sud e Giappone.
[보건복지부]정은경 장관, 국립대학병원 종합적 육성방안 마련을 위한 현장 의견청취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 정은경 장관이 강원대학병원에서 열린 회의에서 국립대학병원의 임상·교육·연구를 육성하려는 종합적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정부는 국립대학병원의 소관 부처를 보건복지부로 이관하고, 의료·교육·연구 기능 강화를 위한 인력과 시설 지원, 특화 연구 개발 및 제도적 지원을 포함한 정책을 마련 중입니다.
총평 이번 방안은 지역 의료 및 연구 역량 강화와 함께 국립대학병원이 더욱 안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English Minister Jeong Eun-kyeong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scussed comprehensive plans to foster clinical, educational, and research function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 a meeting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government is preparing policies, including transferring the jurisdiction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supporting infrastructure, unique R&D, and institutional advancements for enhanced medical, educational, and research capabilitie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regional healthcare capabilities while ensuri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maintain their critical educational and research functions.
日本語 保健福祉部のチョン・ウンギョン長官が江原大学病院で開かれた会議で国立大学病院の臨床・教育・研究への総合的育成案を議論しました。
政府は国立大学病院の主管を保健福祉部に移管し、医療・教育・研究機能の強化に必要な人材や施設支援、特化した研究開発および制度的支援を含む政策を準備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により、地域の医療能力が強化されると同時に、国立大学病院が教育研究機関としての重要な役割を果たし続ける環境整備が進む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保健福祉部长官郑银敬在江原大学医院举行的会议上讨论了国立大学医院的临床、教育和研究综合培养方案。
政府计划将国立大学医院的主管部门移交至保健福祉部,并制定政策,包括加强医疗、教育和研究功能所需的人员和基础设施支持,扩大专项研发和制度保障。
总评 此政策将为区域医疗能力的提升及国立大学医院作为教育研究机构的关键作用提供有力支持。
Italiano La ministra Jeong Eun-kyeong de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discusso piani completi per lo sviluppo delle funzioni cliniche, educative e di ricerca degli ospedali universitari nazionali in una riunione presso l’Ospedale dell’Università Nazionale di Kangwon.
Il governo sta preparando politiche che includono il trasferimento degli ospedali universitari nazionali a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con supporto per infrastrutture, ricerca e sviluppo unico e avanzamenti istituzionali per migliorare le capacità educative e medich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afforzare le capacità sanitarie regionali, garantendo che gli ospedali universitari nazionali mantengano le loro funzioni educative e di ricerca essenziali.
[기획재정부][보도참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대외협력본부장에 김헌 투자솔루션국장 선임
요약보기
한국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은 11월 14일 김헌 투자솔루션국장을 부총재급 직책인 대외협력본부장으로 선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AIIB의 국제 협력 강화와 투자 솔루션 전문성 확대를 목표로 하는 결정입니다.
총평 이번 선임은 한국의 금융 전문성을 국제 무대에서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announced that Kim Hun, the current Director of Investment Solutions, will be appointed as the Head of External Relations (Vice-President level) on November 14.
This decision aims to strengthen AIIB’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nhance investment solutions expertise.
Summary This appointment highlights Korea’s growing role in global financial leadership, potentially elevating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日本語 アジアインフラ投資銀行(AIIB)は、11月14日に現投資ソリューション局長のキム・ホン氏を副総裁級の大外協力本部長に任命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れはAIIBの国際協力の強化と投資ソリューション分野の専門性の拡充を目的とした決定です。
総評 この人事は韓国の金融専門性が国際的に次の段階に進む契機となるでしょう。
中文 亚洲基础设施投资银行(AIIB)宣布,11月14日任命现任投资解决方案局局长金宪为副总裁级外联部负责人。
此举旨在加强AIIB的国际合作并提升投资方案方面的专业能力。
总评 此次任命可能进一步促进韩国金融专业在全球舞台上的影响力。
Italiano La Banca Asiatica per gli Investimenti Infrastrutturali (AIIB) ha annunciato che il 14 novembre Kim Hun, attuale Direttore delle Soluzioni di Investimento, sarà nominato Capo delle Relazioni Esterne (livello di Vicepresidente).
Questa decisione mira a rafforzare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dell’AIIB e a migliorare l’expertise nelle soluzioni di investimento.
Valutazione Questa nomina potrebbe contribuire ad accrescere ulteriormente il ruolo della Corea nelle sfide finanziarie globali.
[국세청]세계시장에 우뚝 설 K-SUUL을 찾아라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가 ‘K-SUUL’을 세계시장에 알리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K-SUUL’은 대한민국의 기술과 문화를 대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정책은 한국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통해 국가 이미지를 높이고 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 정책은 한국 기업의 이름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더 많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잠재력이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plans to promote ‘K-SUUL’ on the global market.
‘K-SUUL’ represents Korea’s technology and culture, aiming to enhance competitiveness globall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trengthen Korea’s international image and contribute to industry growth.
Summary This policy can boost Korea’s global presence, potentially creating jobs and fostering economic development.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K-SUUL」を世界市場に広めるための施策を発表しました。
「K-SUUL」は韓国の技術と文化を代表し、グローバル競争力を強化するプロジェクトです。
この政策により、韓国ブランドの海外進出が促進され、国のイメージ向上と産業の成長が期待されます。
総評 韓国企業が世界での認知度を高め、経済成長と雇用機会の拡大に大きく寄与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文化体育观光部宣布了推广“K-SUUL”至全球市场的计划。
“K-SUUL”代表韩国的技术与文化,旨在提高国际市场竞争力。
该政策预计将有助于提升韩国的国际形象并促进产业发展。
总评 此政策可能为韩国企业带来更多全球机会,同时促进经济增长和创造就业。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Sport e Turismo ha presentato i piani per promuovere “K-SUUL” nel mercato globale.
“K-SUUL” rappresenta la tecnologia e la cultura coreana, mirando a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internazionale.
Questa iniziativa dovrebbe contribuire a migliorare l’immagine della Corea nel mondo e a favorire la crescita industriale.
Valutazione Questa strategia può migliorare la posizione della Corea a livello globale, creando nuove opportunità di lavoro e crescita economica.
[국가보훈부]보훈부, 보훈법령지도 제작해 누리집에 공개
요약보기
한국어 보훈부가 보훈법령지도를 제작하여 누리집에서 공개했습니다.
이는 보훈 관련 법령과 제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총평 보훈법령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관련 혜택과 제도를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as created a guide to veterans’ legislation, now available online.
This aims to help the public better understand laws and systems related to veteran affair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make veteran-related benefits and policies more accessible and easier to utilize.
日本語 国家報勲部が報勲法令ガイドを制作し、公式ウェブサイトで公開しました。
これは報勲関連の法令や制度を分かりやすく理解できるように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報勲制度へのアクセスが向上し、関連の恩恵を受ける機会が広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国家报勋部制作了报勋法律指南并在官网公开。
该指南旨在帮助公众更容易理解与报勋相关的法律和制度。
总评 此举将提高报勋制度的透明度,使相关福利更加便捷地被利用。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dei Veterani ha creato una guida alle leggi sui veterani, ora disponibile online.
L’obiettivo è facilitare la comprensione delle leggi e dei sistemi relativi ai veterani.
Valutazione Questo progetto renderà i benefici e le normative sui veterani più accessibili e facili da utilizzare.
[국가보훈부]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 계기 독립유공자 95명 포상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독립유공자 95명을 포상했습니다.
이번 포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이들의 공적을 기리고 그들을 기억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독립유공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적 존중과 예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포상은 우리 역사와 가치를 다시금 되새기며 미래 세대에게 독립운동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warded 95 individuals on the occasion of the 86th Memorial Day for Fallen Patriots.
This award honors the contributions of those who dedicated themselves to Korea’s independence and aims to preserve their legacy.
It is expected to enhance social recognition and respect for the independence patriots and their families.
Summary This initiative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contributions while promoting respect for independence values among future generations.
日本語 政府は第86回殉国先烈の日に際し、独立有功者95名を表彰しました。
この表彰は韓国の独立に尽力した彼らの功績を称え、記憶を繋ぐためのものです。
それにより独立有功者やその家族への社会的尊重と礼遇が深化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表彰は歴史的な貢献を再認識し、独立運動の価値を次世代に伝える意義深い機会です。
中文 政府在第86届烈士纪念日之际表彰了95位独立有功人士。
该表彰旨在纪念为韩国独立事业付出努力的先烈们,认可他们的贡献。
预计此举将进一步提升社会对独立有功者及其家庭的尊重与礼遇。
总评 此次表彰不仅弘扬了历史价值,也为年轻一代传递了独立精神的重要性。
Italiano Il governo ha premiato 95 persone in occasione dell’86esimo anniversario della Giornata dei Patrioti Caduti.
Questo riconoscimento celebra i contributi degli individui che hanno dedicato la loro vita all’indipendenza della Corea, mantenendo viva la memoria storica.
Si prevede che questa iniziativa rafforzi il rispetto e il riconoscimento sociale verso i patrioti dell’indipendenza e le loro famiglie.
Valutazione Il premi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riaffermare i valori della lotta per l’indipendenza e trasmetterli alle generazioni future.
[원자력안전위원회]"안전은 현장에서 완성된다" 원안위, 전국 방사선안전관리자 포럼 열어
요약보기
한국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방사선안전관리자들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문화 확산을 목표로 전국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우수사례 공유 및 관련 분야 공로자와 기관에 대한 시상이 이루어졌으며,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했습니다.
총평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와 실천 강화를 통해 방사선 이용 과정의 사고 예방과 안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held a nationwide forum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radiation safety managers and promote safety culture.
The event included sharing best practices and honoring outstanding contributors and institutions i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oosting interest in radiation safety.
Summary Strengthening field-based safety management and practical initiatives is expected to help prevent accidents and ensure safety in radiation utilization.
日本語 原子力安全委員会は、放射線安全管理者の実務能力を強化し、安全文化の普及を目指して全国フォーラム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優秀事例の共有と放射線安全管理に関する功労者や機関への表彰が行われ、関心の向上が図られました。
総評 現場中心の安全管理と実践強化を通じて、放射線利用中の事故防止と安全確保につな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核安全委员会举办了全国辐射安全管理论坛,以增强辐射安全管理者的实务能力并推广安全文化。
活动期间分享了优秀案例,并对在辐射安全管理方面表现突出的个人与机构进行了表彰,从而提升了社会对于辐射安全的关注。
总评 通过加强基于现场的安全管理和实践,辐射领域的事故预防和安全措施预计能得到进一步强化。
Italiano La Commissione per la Sicurezza Nucleare ha organizzato un forum nazionale per rafforzare le competenze pratiche dei gestori della sicurezza radiologica e promuovere la cultura della sicurezza.
Durante l’evento, sono stati condivisi i migliori esempi e premiati i contributori e le istituzioni distinti nella sicurezza radiologica, aumentando l’interesse per il settore.
Valutazione Con una gestione incentrata sul lavoro pratico e sul campo, si prevede un miglioramento nella prevenzione degli incidenti e nella sicurezza nell’utilizzo delle radiazioni.
[산업통상부](참고자료)한미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 서명
요약보기
한국어 한미는 오늘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 투자에는 조선, 에너지, 반도체 등 여러 산업 분야와 관세 인하 조치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번 협약은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진출과 경제 불확실성 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총평 이 협약은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며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Englis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igned a Strategic Investment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today, amounting to $350 billion.
The investment encompasses various sectors such as shipbuilding, energy, semiconductors, and includes tariff reductions.
This agreement is expected to enhance South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U.S. market and alleviate economic uncertainties.
Summary This deal creates opportunities for businesses to strengthen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while mitigating financial risks.
日本語 韓国と米国は本日、総額3,500億ドル規模の戦略的投資覚書(MOU)を締結しました。
この投資は、造船、エネルギー、半導体などの産業分野や関税引き下げを含んでいます。
今回の協定は、韓国企業の米国市場進出と経済不確実性の緩和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協定は、企業の国際的競争力を高めるだけでなく、市場の多様化にもつながる重要な一歩です。
中文 韩国和美国今天签署了总额为3500亿美元的战略投资谅解备忘录(MOU)。
此次投资涵盖造船、能源、半导体等多个行业,同时包括关税削减措施。
协议预计有助于韩国企业扩大美国市场并缓解经济不确定性。
总评 此协议为企业提供了拓展国际市场和提高竞争力的良好契机。
Italiano Corea del Sud e Stati Uniti hanno firmato oggi un Memorandum d’Intesa (MOU) per investimenti strategici dal valore di 350 miliardi di dollari.
L’investimento comprende settori come cantieristica navale, energia, semiconduttori oltre a misure di riduzione delle tariffe doganali.
Questo accordo dovrebbe favorire l’ingresso delle imprese sudcoreane nel mercato statunitense e ridurre le incertezze economiche.
Valutazione L’intesa offre una piattaforma importante per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internazionale e aprire nuove opportunità di mercato.
[외교부]국민주권정부 외교정책 관련 정책 세미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지난 11월 14일 한국국제정치학회와 함께 ‘국익 중심 실용외교와 글로벌 책임강국 간 정책적 조화’를 주제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정부, 학계, 언론,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일반 청중이 참여해 국민주권정부 출범 후 외교성과와 향후 방향성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총평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한반도 안정, 경제 외교, 재외국민 안전 등 국민의 일상과 밀접한 외교 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a policy seminar on November 14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under the theme “Balancing Practical Diplomacy of National Interests with Global Responsibility.”
This event featured discussions among government officials, academics, media, and industry leaders to evaluate diplomatic achievements and future strategies since the Citizen Sovereignty Government’s inception.
Summary The seminar addressed issues such as regional stability, economic diplomacy, and citizen safety abroad, directly impacting everyday life and national security.
日本語 外交部は11月14日に韓国国際政治学会と共同で「国益中心の実用外交とグローバル責任強国との政策的調整」をテーマに政策セミナー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学界・メディア・企業など多方面の専門家や参加者が、主権政府発足後の外交成果および今後の方向性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総評 外交政策が緊張緩和・経済外交・国民の安全を強化し、日常生活や地域安定に直接的効果をもたらす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外交部于11月14日与韩国国际政治学会联合举办了主题为“以国家利益为中心的实用外交与全球责任强国间的政策协调”的政策研讨会。
此次活动汇聚了学界、媒体、企业等领域的专家与公众,共同探讨主权政府成立以来的外交成果及未来方向。
总评 此次政策讨论涉及区域稳定、经济外交及海外公民保护,这些均有可能对日常生活与国家安全产生深远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organizzato il 14 novembre, in collaborazione con l’Associazione Politica Internazionale Coreana, un seminario politico sul tema “Conciliando diplomazia pratica basata sugli interessi nazionali e responsabilità globale.”
L’evento ha visto la partecipazione di esperti provenienti da vari settori per discutere i risultati politici e le strategie future del governo della sovranità cittadina.
Valutazione Politiche che mirano a stabilità regionale, diplomazia economica e sicurezza dei cittadini all’estero potrebbero influenzare positivamente sia la vita quotidiana che la sicurezza nazionale.
[보건복지부]지역 중심 공공보건의료를 위한 책임의료기관 역할 강화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11월 14일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혁신’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지방분권과 책임의료기관의 역할을 논의하고 필수의료 협력 성과를 공유하며 전문가 의견을 모았습니다.
책임의료기관은 지역·필수·공공의료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지역 내 공공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필수 의료 서비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Medical Center held a symposium on November 14 focusing on ‘Governance Innovation in Public Health: Decentralization and the Role of Responsible Medical Institutions.’
The event discussed the roles of responsible medical institutions, sharing outcomes of essential healthcare collaboration, and gathering expert opinions.
Responsible medical institutions are pivotal in addressing regional and critical healthcare needs through collaborative effort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access to public healthcare and improve the delivery of essential medical services in local communities.
日本語 保健福祉部と国立中央医療院は11月14日に「公衆衛生医療ガバナンス革新:地方分権と責任医療機関の役割」をテーマにしたシンポジウム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責任医療機関の役割について議論し、必須医療協力の成果を共有し、専門家の意見を収集しました。
責任医療機関は地域や必要医療の問題解決に向けた協力事業を遂行する重要な機関です。
総評 地域内での公衆・必須医療の提供を向上させる政策が、住民の生活の質に具体的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保健福祉部与国立中央医疗院于11月14日举办关于“公共医疗治理创新:地方分权与责任医疗机构角色”的专题研讨会。
会议探讨了责任医疗机构的作用,分享了必要医疗协作成果,并征求了专家意见。
责任医疗机构主要通过合作项目解决地区及必要公共医疗问题,发挥关键作用。
总评 此举将促进地方公共医疗的便捷性,并有效提高必要医疗服务的覆盖率及质量。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il Centro Medico Nazionale hanno organizzato un simposio il 14 novembre sul tema ‘Innovazione nella governance della sanità pubblica: Decentramento e ruolo degli istituti medici responsabili.’
L’evento ha discusso i ruoli degli istituti medici responsabili, condividendo i risultati della collaborazione sanitaria essenziale e raccogliendo opinioni di esperti.
Gli istituti medici responsabili si concentrano sulla risoluzione dei problemi legati alla sanità pubblica e ai bisogni medici essenziali nelle region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migliorare l’accesso ai servizi sanitari pubblici locali e rafforzare la rete di assistenza medica essenziale.
[보건복지부]’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 시동, 이스란 제1차관, 현장 방문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AI와 IoT, 로봇 기술을 돌봄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혁신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1차관은 11월 14일 군포 남부노인요양원을 방문해 기술 도입 사례 확인과 현장 의견 청취를 통해 실질적 개선 과제를 발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종사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이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 기술이 돌봄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각각의 일상적 부담을 줄여 생활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preparing an innovation roadmap to utilize AI, IoT, and robotics technology in the care sector.
The 1st Vice Minister visited Namboo Elderly Care Center in Gunpo on November 14 to review technology implementation cases and gather field opinions to identify practical improvement tasks.
The initiative aims to reduce caregiver workload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ervice users.
Summary This effort is expected to enhance care service efficiency while alleviating daily burdens for caregivers and users alike.
日本語 保健福祉部はAI、IoT、ロボット技術を介護分野に活用するための革新ロードマップを準備しています。
第1次官は11月14日に軍浦市の南部老人専門養護施設を訪問し、技術活用事例の確認と現場の意見を収集して、具体的な改善課題を素早く発掘すると明言しました。
これにより介護者の業務負担軽減と利用者の生活の質向上を目指します。
総評 AI技術が介護効率を上げ、現場の双方に実際的な負担軽減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保健福利部正在准备利用AI、物联网和机器人技术推动福利和护理领域的创新路线图。
11月14日,第一次官访问了军浦市南部老年养护院,审核技术使用案例并听取基层意见,以迅速发掘可以实质改善的任务。
此计划旨在减轻护理人员工作负担并提升服务使用者的生活质量。
总评 这些技术有望从效率和便利性方面改善护理服务,减轻日常负担实现质量提升。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sta preparando una roadmap innovativa per integrare AI, IoT e tecnologia robotica nel settore dell’assistenza.
Il Vice Ministro ha visitato il Centro di Assistenza per Anziani Namboo di Gunpo il 14 novembre per verificare i casi di utilizzo tecnologico e raccogliere opinioni sul campo, con l’obiettivo di identificare compiti di miglioramento concreti.
L’iniziativa mira a ridurre il carico di lavoro dei caregiver e a migliorare la qualità di vita degli utenti del servizio.
Valutazione Questi interventi tecnologici potrebbero migliorare significativamente l’efficienza dell’assistenza riducendo il peso lavorativo quotidiano e aumentando la qualità della vita.
[외교부]외교부,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신속대응팀 모의훈련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위난 상황 발생 시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 주우간다대사관과 주탄자니아대사관에서 신속대응팀 모의훈련을 실시했습니다.
훈련은 정정불안 및 사고를 가정한 상황에서 외교부, 재외공관, 유관기관 간의 효율적 대응 체계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총평 이번 훈련은 재외국민의 안전을 위해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긴급 상황에서도 체계적 보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onducted mock drills with rapid response teams at the Korean embassies in Uganda and Tanzania to protect overseas nationals in crisis situations.
These drills simulated unrest and accidents, aiming to strengthen cooperation and effective response systems among various agencies.
Summary This training enhances readiness to safeguard overseas nationals in emergencies, ensuring structured crisis management.
日本語 外交部はアフリカ地域での緊急時に海外在住韓国人を保護するため、ウガンダ大使館とタンザニア大使館で迅速対応チームの模擬訓練を実施しました。
訓練では、政情不安や事故を想定し、効率的な対応体制を検証しました。
総評 この訓練は、海外在住者を守るために危機対応能力の向上を目指す重要な取り組みです。
中文 外交部在乌干达和坦桑尼亚的韩国大使馆进行了快速反应队模拟训练,旨在保护海外韩国公民应对紧急情况。
此次训练模拟了政局不稳及事故场景,重点测试多机构间协作的应对机制。
总评 这种训练提高了海外公民保护能力,保障突发事件中的安全管理。
Italiano Il Ministero degli Esteri ha condotto esercitazioni simulate con squadre di pronto intervento presso le ambasciate coreane in Uganda e Tanzania per proteggere i cittadini all’estero in situazioni di emergenza.
Le esercitazioni hanno simulato situazioni di instabilità politica e incidenti, mirando a migliorare la cooperazione e i sistemi di risposta efficaci tra agenzie coinvolte.
Valutazione Queste esercitazioni rafforzano la capacità di risposta alle emergenze per proteggere i cittadini coreani all’estero in modo tempestivo e coordinato.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인공지능·가치 안정화 디지털 자산 (스테이블코인) 시대, 민관 협력 강화 통해 K-블록체인 세계 확장 총력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2025년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ABLE) 2차 정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인공지능과 스테이블코인 시대를 맞아 블록체인 산업의 활용과 미래 전망, 해외 확장 전략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를 통해 K-블록체인의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총평 블록체인을 활용한 해외 사업 확장은 디지털 기술 발전과 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eld the second regular meeting of the Blockchain Consumer-Provider Council (ABLE) 2025.
This meeting discussed applications and future prospects for the blockchain industry in the era of AI and stablecoins, as well as strategies for global expansion.
The initiative aims to bolster the overseas presence of K-Blockchain technology.
Summary Expanding blockchain utilization globally could offer a major opportunity for digital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日本語 政府は2025年ブロックチェーン需要と供給協議体(ABLE)の第2回定例会議を開催しました。
この会議ではAIとステーブルコインの時代におけるブロックチェーン産業の活用と未来展望、さらには海外展開戦略が議論されました。
K-ブロックチェーンの世界的な進出を加速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ブロックチェーンの世界展開はデジタル産業発展の一端を担い、経済に好影響を与え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政府举行了2025年区块链供需方协商机制(ABLE)第二次例会。
会议讨论了在人工智能和稳定币时代区块链产业的应用与未来前景,以及促进全球扩展的策略。
旨在推动K-区块链技术向全球市场发展。
总评 扩展区块链的全球化利用有望成为数字创新和经济增长的重要推动力。
Italiano Il governo ha tenuto la seconda riunione regolare del Consiglio dei consumatori e fornitori di blockchain (ABLE) 2025.
Durante l’incontro si sono discussi l’applicazione e le prospettive future dell’industria blockchain nell’era di AI e stablecoin, oltre alle strategie di espansione globale.
Si intende rafforzare la presenza globale della tecnologia K-Blockchain.
Valutazione L’espansione globale del blockchain potrebbe rappresentare un’opportunità significativa per innovazione digitale e crescita economica.
[산림청]동부지방산림청, 고산 침엽수림 보전 숲가꾸기 체험행사 성료
요약보기
한국어 동부지방산림청은 11월 14일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서 ‘숲가꾸기 1일 체험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로 생존 위기에 처한 고산지대 분비나무림 보전에 초점을 맞추어 약 75명이 참여해 가지치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현장에서 과학적 숲 관리를 강조하며 분비나무 보전을 위한 연구를 실연했습니다.
총평 이 행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산림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동시에 미래 생태계를 지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Dongbu Regional Forest Service held a “Forest Care One-Day Experience Event” on November 14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This event focused on conserving the endangered subalpine fir forests, with about 75 participants conducting pruning activities to improve forest health.
Summary This event raises awareness of forest conservation amidst climate change and contributes to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for future generations.
日本語 東部地方山林庁は11月14日、江原特別自治道三陟市にて「森林育成1日体験イベント」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気候変動による生存危機に瀕している山岳地帯モミ林の保全を目的に、約75名が参加し枝打ち作業を行いました。
国立山林科学院は科学的森林管理を紹介し、モミ林保全の研究を実演しました。
総評 この活動は山岳地域の森林を守り、気候変動下での生物多様性保全に寄与する重要な一歩です。
中文 东部地方林业厅于11月14日在江原特别自治道三陟市举办了“森林养护一日体验活动”。
活动旨在保护因气候变化濒临生存危机的高山冷杉林,并有约75人参与完成了修枝工作。
国家林业科学院现场展示了冷杉林保护的科学管理方法及相关研究成果。
总评 此次活动提升了公众对森林保护的意识,并为未来生态系统的可持续发展奠定了基础。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Regionale Dongbu ha organizzato il 14 novembre un “Evento di un giorno per la cura del bosco” a Samcheok, nella provincia di Gangwon.
L’evento ha avuto l’obiettivo di conservare le foreste di abeti del subalpino, a rischio a causa dei cambiamenti climatici, con circa 75 partecipanti impegnati in attività di potatura.
L’Istituto Nazionale di Scienze Forestali ha dimostrato la gestione scientifica delle foreste e illustrato le ricerche per la conservazione degli abeti.
Valutazione Questo evento sottolinea l’importanza della conservazione forestale e rafforza gli sforzi per ridurre gli effetti del cambiamento climatico sulla biodiversità.
[질병관리청]질병관리청장, 경남·울산권 희귀질환 전문기관 방문(11.13.금)
요약보기
한국어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11월 14일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방문해 희귀질환 전문 진료 지원 현황을 점검하고 환우 가족과 소통했습니다.
2024년부터 경남·울산권 희귀질환 전문기관으로 지정된 병원은 조기 진단 및 치료를 강화하며 환우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전문기관 지정을 확대해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들에게 더 나은 의료 접근성을 제공하며 조기 치료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Im Seung-gwan, Director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gency, visited Yangsan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n November 14, examining rare disease care support and interacting with patient families.
The hospital, designated as a rare disease hub for Gyeongnam-Ulsan starting 2024, aims to enhanc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fering tangible support to patients.
Summary Expanding specialized rare disease centers will improve medical access and help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through timely diagnosis and care.
日本語 任昇寬疾病管理庁長官は11月14日、揚山釜山大学病院を訪問し、希少疾患に関する専門医療支援体制を視察し、患者家族と交流しました。
2024年から慶南・蔚山エリアの希少疾患専門機関に指定される同病院は早期診断と治療強化に取り組み、患者支援に寄与する予定です。
総評 希少疾患専門機関の拡大により、患者への医療アクセスが向上し、早期治療で生活の質が向上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任升宽疾病管理署长于11月14日访问了杨山釜山大学医院,检查罕见病治疗支持情况并与患者家庭互动交流。
该医院从2024年起被指定为庆南-蔚山地区罕见病专业机构,将加强早期诊断与治疗,为患者提供实际帮助。
总评 扩大罕见病专业机构的设立将提高患者的医疗可及性,通过及时诊断治疗提升生活质量。
Italiano Im Seung-gwan, direttore del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delle Malattie, ha visitato l’ospedale Yangsan Busan National University il 14 novembre, esaminando il supporto alla cura delle malattie rare e interagendo con le famiglie dei pazienti.
L’ospedale, designato come centro per malattie rare nella zona di Gyeongnam-Ulsan dal 2024, mira a migliorare diagnosi precoce e trattamenti per offrire supporto tangibile ai pazienti.
Valutazione L’ampliamento dei centri specializzati per le malattie rare aumenterà l’accesso medico, contribuendo a migliorare la qualità di vita dei pazienti tramite cure tempestive.
[과학기술정보통신부]「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및 「디지털 혁신상(Digital Innovation Award)」 시상식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및 디지털 혁신상 시상식이 개최되었습니다.
행사는 인터넷 기술 및 디지털 혁신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시상식은 기술과 혁신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시상식은 디지털 기술 발전과 혁신을 장려하고 관련 분야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 Internet Award and Digital Innovation Award ceremony was held.
The event recognize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contributing to internet technology and digital innovation.
This ceremony is expec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nnovation.
Summary This event plays a crucial role in encouraging digital development and creating more opportunities in related fields.
日本語 「韓国インターネット賞」と「デジタル革新賞」の授賞式が開催されました。
式典では、インターネット技術とデジタル革新に貢献した個人や団体が顕彰されました。
この授賞式は技術革新の重要性を知らせる機会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授賞式はデジタル分野の発展を促進し、関連分野に新たなチャンスを提供する半透明な役割を果たすでしょう。
中文 韩国互联网大奖与数字创新奖颁奖典礼已经举行。
预计此颁奖活动将推动技术发展并提升创新意识。
Italiano Si è tenuta la cerimonia di premiazione per il Premio Internet della Corea e il Premio per l’Innovazione Digitale.
L’evento ha reso omaggio a individui e organizzazioni che hanno contribuito allo sviluppo tecnologico e all’innovazione digitale.
Si prevede che questa cerimonia aumenti la consapevolezza sull’importanza dei progressi tecnologic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favorisce la crescita delle competenze digitali e il riconoscimento dell’innovazione tecnologica.
[재외동포청]뿌리·정체성·연대 확인한 『2025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 부산서 폐막
요약보기
한국어 『2025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가 부산에서 5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10개국에서 선발된 90여 명의 입양동포가 참여해 모국 방문 및 다양한 문화와 역사 체험을 통해 뿌리와 정체성을 확인하고, 입양동포 간 네트워크를 형성했습니다.
재외동포청은 입양동포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과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지속적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총평 이번 대회는 입양동포들이 모국과의 연대를 통해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지역사회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English The 2025 World Korean Adoptee Conference concluded in Busan after a five-day program.
Ninety adoptees from ten countries participated in cultural and historical activities during their visit to Korea, reconnecting with their roots and forming networks among adoptees.
The Overseas Koreans Office promised continued support for policy development and strengthened networks for adoptees.
Summary This conference has offered adoptees a vital opportunity to reconnect with their heritage and foster greater global collaboration in their communities.
日本語 『2025世界韓国人養子大会』が釜山で5日間のスケジュールを終え閉幕しました。
10カ国から選ばれた90名の養子が母国を訪問し、文化や歴史を体験して韓民族としてのルーツと絆を確認し、養子同士のネットワークを形成しました。
在外同胞庁は養子の声を反映した政策とネットワーク強化に向けた支援の継続を約束しました。
総評 この大会は養子が母国との絆を確認し、自身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再認識する貴重な契機となりました。
中文 “2025世界韩人养子大会”在釜山完成了五天的活动后闭幕。
来自十个国家的九十名养子首次访问韩国,体验历史和文化活动,加深了对自身根源的认同,并建立了养子之间的网络。
海外侨胞厅承诺将继续支持政策发展与养子网络的加强。
总评 此大会为养子提供了重温母国文化和加强全球协作的重要契机。
Italiano La Conferenza Mondiale degli Adottati Coreani 2025 si è conclusa a Busan dopo cinque giorni di eventi.
Novanta adottati provenienti da dieci paesi hanno visitato la Corea per la prima volta, partecipando a attività culturali e storiche e rafforzando il proprio legame con le radici e creando reti tra adottati.
L’Ufficio per i Coreani all’Estero ha promesso un continuo supporto a favore dello sviluppo di politiche e del rafforzamento delle reti per gli adottati.
Valutazione Questa conferenza ha permesso agli adottati di riscoprire la loro eredità culturale e di rafforzare la collaborazione globale nei loro ambiti locali.
[산림청]강릉산림항공관리소, 찾아가는 규제혁신 현장지원센터 운영
요약보기
한국어 강릉산림항공관리소는 11월 14일 대관령휴게소 방문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규제혁신 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산림 관련 규제 개선 사항을 안내했습니다.
2025년 산림분야의 주요 사례로는 산지전용허가기준 완화, 임업정책자금 신청지역 확대 등이 포함되어 국민과 관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돋보입니다.
총평 이번 산림 규제의 개선은 임업 종사자가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Kangneung Forest Aviation Management Office operated a ‘Field Support Center for Regulatory Reform’ on November 14 at the Daegwallyeong Rest Area to inform visitors about forestry regulation improvements.
Key examples for 2025 include easing criteria for mountain area use permits and expanding regions for forestry policy funding applications, aiming to reduce inconvenience for citizens and professionals.
Summary These reforms are expected to alleviate burdens for forestry workers and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revival.
日本語 江陵森林航空管理所は11月14日、大関嶺休憩所にて訪問者を対象に「訪問型規制改革現場支援センター」を運営し、森林関連規制改善事項を案内しました。
2025年の主要事例には、山岳地域使用許可基準の緩和や森林政策資金申請地域の拡大などが含まれ、市民や関係者の不便を減らす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改革は林業従事者の負担軽減と地域経済の活性化を促進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江陵森林航空管理所于11月14日在大关岭休息区设立“走访式规制改革现场支持中心”,并向游客介绍森林相关规制改善事项。
2025年的重要改革案例包括放宽山区专用许可标准、扩大林业政策资金申请区域等,以减少公众及相关人士的不便。
总评 此项改革预计将减轻林业工作者的负担,并促进地方经济发展。
Italiano L’Ufficio Forestale di Aviazione di Gangneung ha gestito un “Centro di Supporto al Campo per la Riforma Regolatoria” il 14 novembre presso l’area di sosta Daegwallyeong, informando i visitatori sui miglioramenti delle normative forestali.
Tra esemplificazioni chiave per il 2025 vi sono l’allentamento dei criteri per l’uso esclusivo delle aree forestali e l’espansione delle zone per la richiesta di fondi politici per la silvicoltura, mirati a ridurre i disagi a cittadini e operatori.
Valutazione Questi interventi potrebbero ridurre le difficoltà per gli operatori forestali e stimolare la crescita economica regionale.
[산림청]산림청 항공연구회, 공무원 연구모임 평가 최고등급 달성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는 2025년 공무원 연구모임 평가에서 산림청 항공연구회가 최고등급인 ‘매우 탁월’을 3년 연속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회는 통합 산불 대응 체계 구축, 헬기 긴급 상황 대응 앱 개발 등 실질적인 성과로 정책 개선과 업무 효율화를 인정받았습니다.
총평 연구 성과는 국민 안전과 산불 대응 역량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s Forest Aviation Headquarters announced that the Forest Pilot Research Group achieved the top “Excellent” rating for three consecutive years in the 2025 Civil Servant Research Group Evaluation.
The group was recognized for critical achievements such as developing an integrated wildfire response system and an emergency helicopter operations app.
Summary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enhance public safety and wildfire response capabilities.
日本語 韓国の森林庁森林航空本部は2025年の公務員研究会評価において、森林航空研究会が3年連続「非常に優れた」評価を獲得したと発表しました。
山火事対応の統合体制構築やヘリコプター緊急対応アプリの開発など具体的な成果が評価されました。
総評 この研究成果は住民の安全と山火事対応能力の強化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森林厅航空总部宣布,森林厅航空研究会在2025年公务员研究团体评价中连续三年获得最高“非常卓越”等级。
研究会因整合山火应对体系及直升机紧急操作应用开发等实际成果而备受认可。
总评 这些成就预计将显著提升公众安全及山火应对能力。
Italiano La Forestale coreana ha annunciato che il Gruppo di Ricerca Aeronautico ha ricevuto il massimo voto “Eccellente” per tre anni consecutivi nella valutazione del 2025 delle associazioni di ricerca tra gli impiegati statali.
Il gruppo è stato premiato per risultati concreti come la creazione di un sistema unificato di risposta agli incendi e lo sviluppo di un’app per operazioni di emergenza con elicotteri.
Valutazione Questi risultati contribuiranno a rafforzare la sicurezza dei cittadini e la capacità di risposta agli incendi boschivi.
[외교부]제20차 한-베트남 경제공동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11월 14일 베트남 재무부와 제20차 한-베트남 경제공동위를 열어 교역, 투자, 에너지 및 인프라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양국은 경제안보, 과학기술, 대규모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협력 확대를 약속하며 실질적인 혜택 제공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총평 이번 협의는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과 양국의 경제적 협력을 보다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the 20th Korea-Vietnam Economic Joint Committee with the Vietnamese Ministry of Finance on November 14.
The two nations discussed expanding collaboration in areas such as trade, investment, energy, and infrastructure, aiming to provide tangible benefits for both sides.
Summary This discussion is expected to strengthen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and support Korean businesses entering the Vietnamese market.
日本語 外務省は11月14日、ベトナム財務省と第20回韓越経済共同委員会を開催しました。
両国は貿易、投資、エネルギー、インフラなどの分野で協力拡大を議論し、具体的な利益提供を目指すことで合意しました。
総評 韓国企業のベトナム進出や経済協力の推進に役立つ実りある会議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外交部于11月14日与越南财政部共同举行了第20次韩越经济联合委员会会议。
双方探讨了在贸易、投资、能源和基础设施等多个领域的合作扩展,并致力于为两国提供实际利益。
总评 此次会议有望进一步推动韩国企业在越南发展,增强两国的经济合作关系。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tenuto il 14 novembre il 20° Comitato Economico Congiunto Corea-Vietnam con il Ministero delle Finanze vietnamita.
I due paesi hanno discusso l’espansione della collaborazione in settori come commercio, investimenti, energia e infrastrutture, puntando a benefici tangibili per entrambi.
Valutazione L’incontro potrebbe favorire l’espansione delle aziende coreane in Vietnam e rafforzare la cooperazione economica bilaterale.
[관세청]킁킁히어로! 탐지견 축제의 장으로 어서오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관세청은 11월 14일~15일 인천 영종도 하늘체육공원에서 제10회 관세청장배 탐지견 경진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마약·폭발물 탐지 분야의 최고 탐지견 시상을 비롯해 반려견과 은퇴견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활동, VR 마약 적발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습니다.
총평 탐지견의 역할을 알리고 국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는 반려견 문화 확산과 사회 안전에 대한 공감을 이끄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 Customs Service hosted the 10th Detector Dog Competition on November 14-15 at the Sky Sports Park in Yeongjong Island, Incheon.
The event included awards for top detector dogs in drug and explosive detection, as well as activities such as interactive training, VR drug detection experiences, and programs engaging retired and companion dogs.
Summary This festival raises public awareness of detector dogs’ importance and provides a platform for citizens to connect with safety and pet culture meaningfully.
日本語 韓国関税庁は11月14日~15日にインチョンの永宗島ハヌル体育公園で第10回探知犬競技大会を開催しました。
イベントでは薬物や爆発物探知部門での優秀探知犬への表彰や、一般市民も体験できる探知訓練、VR薬物摘発などの多彩なプログラムが実施されました。
総評 探知犬の重要性を伝えるとともに、市民が防災意識やペット文化の理解を深める絶好の機会となるイベントです。
中文 韩国关税厅于11月14日至15日在仁川永宗岛天体育公园举办了第10届探测犬大赛。
活动包括对药物和爆炸物探测领域的优秀探测犬颁奖,同时提供互动训练和VR药物侦查体验等丰富多样的参与项目。
总评 此次活动不仅宣传探测犬的社会角色,还增强了公众对安全和宠物文化的认知。
Italiano Il Servizio Doganale della Corea ha organizzato la 10ª Competizione per cani da rilevamento il 14-15 novembre presso lo Sky Sports Park sull’isola di Yeongjong, Incheon.
L’evento ha incluso premi ai migliori cani da rilevamento nel settore antidroga ed esplosivi, attività interattive con VR e programmi aperti a cani da compagnia e cani in pensio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elebra il ruolo dei cani da rilevamento, favorendo la condivisione culturale tra sicurezza e il mondo degli animali da compagnia.
[국세청]내년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사전열람, 12월 4일까지 의견 제출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내년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의 기준시가 사전열람이 가능합니다.
의견 제출은 12월 4일까지 진행되며 관련 자세한 사항은 보도자료 및 첨부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평 기준시가 조정을 통해 세금 부담 변화가 있을 수 있으니, 관심 있는 시민들은 의견을 제출하여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반영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English The pre-review of next year’s standard prices for officetels and commercial buildings is open.
Opinions can be submitted by December 4, and additional details are available in the press release and attached files.
Summary Changes in standard prices may affect tax burdens, so citizens should consider submitting opinions to minimize personal impact.
日本語 来年度のオフィステルおよび商業用建物の基準価格の事前閲覧が可能です。
意見提出は12月4日まで受け付けており、詳細は報道資料や添付ファイルで確認できます。
総評 基準価格の変更により税金負担が影響を受ける可能性があるため、市民は提出意見を検討するべきです。
中文 明年的办公公寓及商业建筑基准价格现已开放预览。
公众可于12月4日前提交意见,详情可通过新闻资料及附件文件了解。
总评 基准价格的调整可能影响税费负担,建议市民积极提交意见以减少个人影响。
Italiano È aperta la revisione preliminare dei prezzi standard per i monolocali e gli edifici commerciali del prossimo anno.
Le opinioni possono essere presentate fino al 4 dicembre e 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l comunicato stampa e nei file allegati.
Valutazione La modifica dei prezzi standard potrebbe influenzare il carico fiscale; è consigliabile che i cittadini presentino le loro opinioni per ridurre eventuali impatti.
[농림축산식품부]중국산 열처리 가금육 조류인플루엔자 유전자 검출에 따른 검역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중국에서 수입된 열처리 가금육에서 조류인플루엔자 유전자를 검출하여 폐기·반송 조치를 했으며, 검역 강화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제품은 국내에 유통되지 않았으며 감염 위험은 없지만, 추가 오염 가능성을 고려해 중국 내 일부 작업장의 수입을 중단하고 검사를 강화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감염병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예방적 대응으로 생활 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입니다.
English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detected avian influenza genes in heat-treated poultry imported from China and decided to dispose of and return the products, while announcing strengthened inspections.
The affected products were not distributed in Korea, posing no infection risks, but import was suspended from specific facilities in China, and further inspections will be conducted.
Summary This preventive action aims to safeguard public health by blocking potential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日本語 農林畜産検疫本部は、中国から輸入された加熱処理家禽肉から鳥インフルエンザの遺伝子を検出し、廃棄・返送措置を取るとともに検疫強化を発表しました。
該当製品は国内流通せず感染リスクはありませんが、中国内の作業場からの輸入を停止し、さらに精密検査を実施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措置は感染症の侵入を予防するための取り組みとして、国民の安全を守る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农林畜产检疫本部在从中国进口的热处理禽肉产品中检测到禽流感基因,并决定进行销毁和退回,同时宣布加强检疫措施。
相关产品未在国内流通,没有感染风险,但已暂停从中国部分生产设施的进口,并加强后续检查。
总评 此举旨在预防疾病传播,保障公众安全,具有重要意义。
Italiano L’Agenzia di quarantena agricola e zootecnica ha rilevato geni dell’influenza aviaria in carni di pollame trattate termicamente importate dalla Cina, decidendo di smaltirle e rimandarle indietro, annunciando nel contempo controlli più severi.
I prodotti interessati non sono stati distribuiti in Corea e non presentano rischi di contagio, ma l’importazione da alcune strutture in Cina è stata sospesa e verranno effettuati ulteriori control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serve a prevenire la diffusione di malattie infettive e a garantire la salute pubblica.
[과학기술정보통신부]민간 첨단기술, 국방과 만나다. 제3회 미래 국방 기술교류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국방 분야와 민간 첨단기술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제3회 미래 국방 기술교류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최신 기술을 국방에 접목해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총평 민간 첨단기술이 국방에 적용되면 안보가 강화됨과 동시에 국내 기술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3rd Future Defense Technology Exchange was held to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the defense sector and private advanced technologies.
The event discussed ways to integrate the latest technologies into defense to enhance security and efficiency.
Summary Applying private advanced technologies to defense can strengthen national security while fostering domestic technological advancement.
日本語 国防分野と民間の先端技術の協力を促進するため、第3回未来国防技術交流会が開催されました。
本イベントでは最新技術を国防に適用し、安全性と効率性を向上させる方法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民間技術が国防に活用されれば、安全が強化されるだけでなく国内技術進歩にも役立つと期待されます。
中文 举办了第三届未来国防技术交流会,旨在促进国防领域与民间先进技术的合作。
此次活动讨论了将先进技术应用于国防以提高安全性和效率的方案。
总评 民间先进技术若被应用于国防,可增强安全性并促进国内技术的发展。
Italiano Si è tenuto il terzo incontro per lo scambio delle tecnologie avanzate tra settore della difesa e ambito privato.
L’evento ha trattato modi per integrare le ultime tecnologie nella difesa, migliorando sicurezza ed efficienza.
Valutazione La collaborazione tra alta tecnologia privata e difesa potrebbe aumentare la sicurezza e favorire lo sviluppo tecnologico interno.
[고용노동부]급변하는 노동시장, 지속 가능한 사회보험 대응 전략을 논하다
요약보기
한국어 근로복지공단은 14일 사회보험의 미래와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세미나에서는 노동시장의 변화로 증가하는 비전형 근로자의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을 개선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세미나는 사회보험 정책의 공백을 줄이고, 변화하는 노동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개선책 마련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held a seminar on the 14th addressing future strategies of social insurance in response to changing labor markets.
The discussions focused on addressing coverage gaps for atypical workers and ensuring fairness in insurance premium burdens.
Summary This seminar serves as a key step toward adapting social insurance policies to better address evolving labor market challenges.
日本語 14日に勤労福祉公団が労働市場の変化に対応するため、社会保険の未来戦略についてのセミナーを開催しました。
セミナーでは非正規労働者の社会保険の空白解消や保険料負担の公平性を向上させる方法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セミナーは急速に変化する労働環境に合わせた社会保険制度を整えるための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劳动福利公团于14日举办了研讨会,讨论如何应对劳动市场变化及社会保险的未来策略。
内容集中在解决非典型劳动者的社会保险覆盖盲区及改善保险费用负担公平性方面。
总评 此次研讨会标志着社会保险政策在适应劳动市场变化方面迈出的重要一步。
Italiano Il 14 ottobre l’Ente per il Welfare dei Lavoratori ha organizzato un seminario sul futuro delle assicurazioni sociali in risposta ai cambiamenti del mercato del lavoro.
Il dibattito si è concentrato sulla riduzione delle lacune assicurative per i lavoratori atipici e sul miglioramento dell’equità dei costi assicurativi.
Valutazione Questo seminario rappresenta un passo fondamentale per adattare le politiche assicurative sociali alle sfide del mercato del lavoro in evoluzione.
[고용노동부]인재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의 비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11월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NCS 기업활용 우수사례 경진대회의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는 채용, 교육·훈련, 성과관리 등에서 NCS를 활용한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확산하여 직무 중심의 인사제도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번 대회는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NCS 활용 방법을 공유함으로써 재직자의 역량을 높이고 공정한 인사 운영을 도울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held the NCS Corporate Best Practices Contest awards ceremony on November 14 at the Shilla Hotel, Seoul.
This event aims to identify and expand exemplary cases of utilizing NCS in areas like recruitment, training, and performance management to enhance job-focused HR systems.
Summary The contest provides a platform for sharing ways to use NCS effectively, supporting workforce development and fair HR practices while contributing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日本語 雇用労働部と韓国産業人力公団は11月14日にソウル新羅ホテルでNCS企業活用優秀事例コンテストの表彰式を開催しました。
この行事は、採用、教育訓練、成果管理などでNCSを活用した優秀事例を見つけ広めることで、職務を中心とした人事制度の改善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コンテストを通じて、NCSの効果的な利用方法が企業競争力や公平な人事運営向上に役立つ場が提供されます。
中文 韩国雇佣劳动部与韩国产业人力公团于11月14日在首尔新罗酒店举办了NCS企业应用优秀案例竞赛颁奖典礼。
活动旨在发掘并推广招聘、培训和绩效管理中使用NCS的优秀案例,以改进以职能为核心的人事制度。
总评 此次竞赛有助于分享职业能力标准应用经验,提升企业竞争力并优化员工管理流程。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e Politiche Sociali e l’Istituto Coreano per lo Sviluppo delle Risorse Umane hanno organizzato il 14 novembre al Shilla Hotel di Seoul la cerimonia di premiazione del concorso sulle migliori pratiche aziendali NCS.
L’obiettivo è individuare e diffondere esempi positivi di utilizzo degli NCS in ambiti come reclutamento, formazione e gestione delle prestazioni per migliorare i sistemi HR centrati sulle competenze lavorative.
Valutazione L’evento fornisce un’importante opportunità di condividere approcci efficaci agli NCS, favorendo la competitività aziendale e lo sviluppo della forza lavoro.
[국토교통부][장관동정] 김윤덕 장관, "교통산업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교통산업 혁신을 뒷받침해 나갈 것"
요약보기
한국어 김윤덕 장관은 교통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이 보도자료는 교통산업 발전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 방향을 발표한 내용입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교통산업의 효율성과 서비스를 개선하여 국민들에게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Minister Kim Yun-deok emphasized continuous effort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nd support its innovation.
This press release outlines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for advancing the transportation sector.
Summary This announcement aims to improve transportation efficiency and services, providing citizens with a more convenient transportation environment.
日本語 キム・ユンドク大臣は、交通産業の競争力強化と革新支援への継続的な取り組みを強調しました。
このプレスリリースは、交通産業の発展に関する政府の政策方針を示しています。
総評 この発表は交通産業の効率とサービス改善に焦点を当て、国民に便利な交通環境を提供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中文 金润德部长强调了持续努力加强交通产业竞争力并支持创新的重要性。
这份新闻稿阐述了政府推进交通产业发展的政策方向。
总评 此次通告主要目标是改善交通效率和服务,为公众提供更便利的交通环境。
Italiano Il ministro Kim Yun-deok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sostenere l’innovazione 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del settore dei trasporti.
Questo comunicato stampa delinea la direzione politica del governo per lo sviluppo del settore dei trasporti.
Valutazione Questo annuncio mira a migliorare l’efficienza e i servizi di trasporto, offrendo ai cittadini un ambiente di mobilità più comodo.
[국가데이터처]2024년 주택소유통계 결과
요약보기
한국어 2023년 기준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총 1,705.8만 호로, 전체 주택의 85.8%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9% 증가했습니다.
주택 소유 가구 비율은 56.9%로 전년보다 0.5%p 증가했으며,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약 3억 3천 3백만 원입니다.
총평 이번 데이터는 주택 소유가 증가하고 있으나, 무주택 가구가 여전히 상당수 존재함을 보여줘 주거 정책 강화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English As of 2023, privately owned homes account for 85.8% of all housing, totaling 17.058 million units, which is a 1.9%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owning homes rose to 56.9%, with the average housing asset value estimated at approximately 333 million KRW.
Summary The data indicates a moderate increase in home ownership while highlighting the persistent challenge of supporting non-homeowning households.
日本語 2023年の時点で、個人所有の住宅は総住宅数の85.8%にあたる1,705.8万戸で、前年から1.9%増加しました。
住宅所有世帯率は56.9%に上昇し、平均住宅資産価額は約3億3千3百万円とされています。
総評 住宅所有率が緩やかに増加している一方で、無住宅世帯支援の強化が課題となっています。
中文 截至2023年,个人拥有住宅占比达整体住房的85.8%,共计1705.8万套,比去年增长1.9%。
住房拥有率提升至56.9%,每户平均房产价值约为3亿3千万韩元。
总评 数据表明住房拥有率略有增长,但仍需关注无房家庭支持的改进空间。
Italiano Nel 2023, le abitazioni di proprietà privata rappresentano l’85.8% del totale con 17.058 milioni di unità, con un aumento dell’1.9% rispetto all’anno precedente.
La percentuale delle famiglie che possiedono una casa è salita al 56.9%, con un valore medio degli immobili stimato a circa 333 milioni di KRW.
Valutazione Sebbene la proprietà immobiliare sia in lieve crescita, emergono necessità di interventi per sostenere le famiglie senza abitazione di proprietà.
[국토교통부]<새정부 주택공급 확대방안(9.7) 후속조치> ’26년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물량 적기 착공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2026년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 물량을 적기에 착공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공주택 정책은 수도권 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주거 안정화에 기여하려는 방안으로 보입니다.
총평 수도권 주택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적시 공급은 주거 비용 부담 완화와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데 실질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ensure timely construction of public hous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2026.
This initiative aims to boost housing supply in the region and contribute to residential stability.
Summary Timely supply of housing in the metro area could reduce burdens on housing costs and provide a stable living environment.
日本語 政府は2026年までに首都圏の公共住宅供給を適時着工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の政策は首都圏の住宅供給を増加させることで、住居安定化を促進しようとするものです。
総評 首都圏の住居需要を満たすための迅速な供給は、生活費負担軽減に役立つと考えられます。
中文 政府宣布计划到2026年及时启动首都圈公共住房供应建设。
该政策旨在增加住宅供应以促进首都圈的居住稳定。
总评 及时供应住房将有助于缓解住房压力并提供更稳定的居住环境。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avviare tempestivamente le costruzioni di alloggi pubblici nell’area metropolitana di Seul entro il 2026.
L’iniziativa mira ad aumentare l’offerta abitativa e a favorire la stabilità residenziale nella regione.
Valutazione La fornitura tempestiva di alloggi può contribuire a ridurre i costi abitativi e a fornire un ambiente più stabile.
[재외동포청]재외동포 네트워크 활용해 ‘국내 스타트업 시애틀 진출’ 돕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재외동포청은 국내 우수 스타트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K-Startup Demoday in Seattle’을 13일 시애틀에서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에는 AI 및 친환경 분야 8개 스타트업과 현지 인사들이 참석하여 60건 이상의 투자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스타트업이 해외 시장으로 더 쉽게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Overseas Koreans Agency hosted ‘K-Startup Demoday in Seattle’ on the 13th, supporting Korean startups entering the U.S. market.
The event featured 8 startups in AI and eco-friendly sectors, with over 60 investment consultations conducted between attendees and local stakeholders.
Summary This initiative leverages overseas Korean networks, creating opportunities for Korean startups to expand into global markets.
日本語 在外同胞庁は13日、韓国の優秀なスタートアップ企業がアメリカ市場に進出するための「K-Startup Demoday in Seattle」をシアトルで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にはAIや環境分野のスタートアップ8社と現地の関係者が参加し、60件以上の投資相談が行われました。
総評 在外同胞ネットワークを活用することで、韓国のスタートアップ企業が海外市場への進出を実現できる大きな契機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海外同胞厅于13日在美国西雅图举办了“K-Startup Demoday in Seattle”活动,助力韩国优质初创企业进入美国市场。
活动吸引了AI和环保领域的8家韩国初创公司及50多名当地相关人士,并进行了超过60次投资咨询会谈。
总评 此项活动通过海外同胞网络,为韩国初创企业提供拓展国际市场的便捷通道。
Italiano L’Agenzia per i Coreani all’Estero ha organizzato il ‘K-Startup Demoday in Seattle’ il 13, per sostenere le startup coreane nella loro espansione sul mercato americano.
L’evento ha coinvolto 8 startup nei settori AI e eco-friendly, oltre a circa 50 partecipanti locali, con oltre 60 incontri di consulenza sugli investimen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sfrutta i network dei coreani all’estero per favorire l’accesso delle startup coreane ai mercati globali.
[지식재산처]부분디자인 명칭 기재 요건 완화 등 디자인 제도 간소화
요약보기
한국어 지식재산처는 디자인 등록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디자인보호법 관련 규정을 개정해 11월 28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부분디자인 보호 명칭 기재 요건을 완화하고, 출원서 기재 항목을 간소화하여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선했습니다.
총평 이 개정은 일반 국민과 디자이너 모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디자인 권리를 획득할 수 있게 돕는 실질적 개선책입니다.
Englis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nounced revisions to design protection regulations to improve convenience for users, effective from November 28.
The changes include allowing flexibility in naming partial designs and simplifying application requirements to alig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Summary These improvements are practical measures to help individuals and designers secure design rights more easily and efficiently.
日本語 韓国知識財産庁は、デザイン登録をより便利にするためにデザイン保護法の関連規定を改正し、11月28日から施行すると発表しました。
部分デザインの名称記載要件を緩和し、出願書類の記載項目を簡略化し、国際基準に合わせる改善を進めました。
総評 この改正は一般国民やデザイナーが迅速にデザイン権を取得できるよう支援する実質的な施策です。
中文 韩国知识产权局宣布,将于11月28日起实施设计保护法规的相关修订,以提高设计注册便利性。
此次修订放宽了部分设计的命名要求,并简化了申请内容,使其与国际标准接轨。
总评 此举将帮助公众与设计师更简便快速地获取设计权,提升实际操作效率。
Italiano L’Ufficio della Proprietà Intellettuale della Corea ha annunciato modifiche al regolamento di protezione del design, in vigore dal 28 novembre, per semplificare il processo di registrazione.
Le modifiche includono una maggiore flessibilità nella denominazione delle parti del design e la semplificazione delle richieste per conformarsi agli standard internazionali.
Valutazione Questi interventi agevolano cittadini e designer nel garantire diritti sui propri design in modo rapido ed efficace.
[법무부]국내외 체류 동포의 정착 실태와 사회통합 방안 세미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는 2025년 11월 13일 서울남부출입국외국인사무소에서 국내외 동포의 정주와 사회통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선문대학교와 한국연구재단이 함께 참여하여 체류 동포의 사회적 정착과 통합 정책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동포들의 안정적 정착과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 개발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On November 13, 2025, the Ministry of Justice held a seminar at Seoul Nambu Immigration Office discussing settlement an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Koreans abroad.
Co-organized with Sun Moon University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seminar focused on improving policies for more effective integration of overseas Koreans.
Summary This semina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policies that support stable settlement and integration for Koreans abroad.
日本語 法務部は2025年11月13日、ソウル南部出入国外国人事務所で海外在住韓国人の定住と社会統合政策について議論するセミナー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セミナーは鮮文大学と韓国研究財団と共同で主催され、滞在韓国人の社会的定着および統合政策の改善策に焦点を当てました。
総評 このセミナーにより、海外韓国人が安定した定住と社会統合を実現するための政策が進展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2025年11月13日,法务部在首尔南部出入境外国人事务所举办了关于国内外侨民定居和社会融合政策的研讨会。
此次研讨会由鲜文大学和韩国研究基金会共同组织,重点讨论如何优化政策以促进侨民的社会整合和定居。
总评 此研讨会有助于推动相关政策进步,以支持侨民的稳定生活与社会融合。
Italiano Il 13 novembre 2025,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ha organizzato un seminario presso l’Ufficio Immigrazione di Seoul Sud, concentrato sulle politiche di integrazione sociale e insediamento per i coreani all’estero.
Con la partecipazione dell’Università Sun Moon e della Fondazione Coreana per la Ricerca, il seminario si è focalizzato sul miglioramento delle politiche per favorire la stabilità e l’integrazione degli emigrati coreani.
Valutazione Questo seminario potrebbe contribuire a sviluppare politiche più efficaci per il supporto dei coreani all’estero, favorendo la loro integrazione sociale.
[산업통상부]K-모빌리티 혁신의 미래를 열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미래차 산업의 혁신을 위해 ‘K-모빌리티 글로벌 선도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전기·수소차 보조금 확대, 자율주행 기술 개발, 미래차 전문인력 육성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중심의 산업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러한 정책은 차량 제조업과 첨단기술 융합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며, 일상에서 더 빠르고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을 기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K-Mobility Global Leadership Strategy’ to revolutionize the future automotive industry.
Policies include expanding electric and hydrogen vehicle subsidies, developing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fostering skilled professionals specialized in future vehicles.
Summary These initiatives aim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drive innovation in transportation, providing a foundation for greener and more advanced mobility solutions.
日本語 政府は未来車産業改革のため「Kモビリティグローバルリーダー戦略」を発表しました。
電動・水素車の補助金拡大、自動運転技術開発、未来車専門人材育成などの政策を通じて、業界転換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れらの推進により、環境配慮型で高度な移動手段の発展が進み、生活に便利さと持続可能性が加わるでしょう。
中文 政府为未来汽车产业改革推出了“K汽车全球领导战略”。
政策内容包括扩展电动及氢燃料车补贴、发展自动驾驶技术和培养未来汽车专业人才,以推动产业转型。
总评 这些措施将为更环保及更智能的交通方式奠定基础,同时提高行业国际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ha presentato la strategia “Leadership Globale K-Mobility” per innovare l’industria delle auto del futuro.
Il piano include incentivi per i veicoli elettrici e a idrogeno, lo sviluppo di tecnologie di guida autonoma e la formazione di professionisti esperti nel settore delle auto innovative.
Valutazione Questi interventi sosterranno la transizione verso mezzi di trasporto più ecologici e avanzati, migliorando la competitività globale del settore automobilistico.
[법무부]국내외 체류 동포의 정착 실태와 사회통합 방안 세미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와 관련 기관들이 국내외 체류 동포들을 대상으로 사회통합 방안 개선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2025년 11월 13일 서울에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동포들의 정착과 통합을 위한 정책 방향이 다뤄졌습니다.
총평 이번 세미나는 동포들의 사회적 안정과 국내 정착을 지원하는 정책 개발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Justice and other organizations held a seminar to discuss improving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overseas Koreans.
The seminar, held in Seoul on November 13, 2025, focused on the settlement and integration of Koreans living abroad.
Summary This seminar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policies supporting the social stability and settlement of overseas Koreans.
日本語 法務部と関連機関は海外滞在韓国人の社会統合政策改善を議論するセミナーを開催しました。
2025年11月13日にソウルで行われたこのセミナーでは、韓国人の定住と統合を目的とした政策案が論じられました。
総評 このセミナーは海外滞在韓国人の安定した社会生活と国内定着を支援する政策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法务部与其他组织举办了讨论海外韩国人社会融合政策改善的研讨会。
此次研讨会于2025年11月13日在首尔举行,重点讨论了海外韩国人的定居和融入问题。
总评 此次研讨会有望推动政策制定,支持海外韩国人适应社会并稳定定居。
Italiano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e altre organizzazioni hanno organizzato un seminario per discutere il miglioramento delle politiche di integrazione sociale per i coreani all’estero.
Il seminario, tenutosi a Seul il 13 novembre 2025, si è concentrato sulla stabilizzazione e integrazione dei coreani residenti all’estero.
Valutazione Questo seminario potrebbe favorire lo sviluppo di politiche utili per supportare l’integrazione sociale e la stabilità dei coreani all’estero.
요약
원문보기
**정성호 법무부장관, 서울보호관찰소·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 방문**
정성호 법무부장관은 2025년 11월 14일(금) 오후 4시, 서울보호관찰소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를 방문해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직원들을 격려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이상동기 범죄 및 스토킹 등으로 인해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범들에 대한 대응 실태를 점검하고, 범죄 예방과 관련된 정책 집행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장관은 보호관찰, 전자감독 등 주요 시스템의 운영 상황을 확인하며, 범죄 예방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직원들의 노력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www.korea.kr)*
원문보기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월 13일 제1차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며, 9.7 대책의 후속 조치들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고 가속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관계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주요 논의 내용은 ▲주택공급 신속화 방안, ▲민간 참여를 촉진하는 규제 완화, ▲공공 및 민간 협력을 통한 공급물량 확대,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 방안 등이었습니다. 또한 정비사업 등 주요 공급사업에 대한 속도감 있는 추진과 이에 따른 정책적 지원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습니다.
특히, 9.7 대책의 핵심인 도심 주택공급 활성화와 주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포함되었으며, 앞으로도 공급 확대를 위한 세부적 실행 계획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발표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각종 규제개선과 절차 간소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주택공급 촉진과 관련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국민 주거 안정과 신속한 정책 추진을 이루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요약 뉴스] 경기 평택 산란계 농장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확인, 전국 일시이동중지 명령 발령**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는 11월 14일 경기 평택 소재 산란계 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확인됐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농장은 지난 11월 9일 발생한 화성 육용종계 농장의 방역 지역 내에 위치하며 주기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고병원성 여부를 조사 중입니다(1~3일 소요 예상).
현재까지 가금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사례는 총 3건(경기도 2건, 광주광역시 1건)입니다. 중수본은 항원이 고병원성으로 판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즉각 초동대응팀을 투입해 농장 통제, 살처분,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등 방역 조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산란계 농장 및 관련 축산시설, 차량에 대해 11월 14일 오후 9시부터 11월 16일 오전 9시까지 36시간 동안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철새도래지 방문 자제, 농장 차량 소독, 전용 장화 사용, 축사 내 기계·장비 세척 및 소독 등 방역수칙 준수를 강조했습니다.
축산농가에는 사육 중인 가금에서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사료 섭취량 감소, 녹변(녹색 설사) 등 의심 증상이 확인되면 즉시 방역 당국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중수본은 지속적인 예찰과 방역 관리를 통해 추가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부, 모태펀드 출범 20주년 기념 정책 토론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한국벤처투자는 11월 14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 호텔에서 ‘모태펀드 정책 토론회(포럼)’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모태펀드 출범 20주년을 맞아 그간 이룬 운용 성과를 점검하고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모태펀드는 지난 20년간 벤처투자 시장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 벤처생태계 성장의 핵심 기반으로 자리한 바 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성숙 중기부 장관을 비롯해 정진욱 국회의원, 벤처투자사 대표자, 창업기업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 벤처생태계 주요 리더들이 대거 참석했다.
### **행사의 주요 논의 내용**
#### **첫 번째 세션: 모태펀드의 성과와 선순환 구조**
토론회 첫 세션에서는 모태펀드가 투자 시장에서 20년간 쌓아온 성과와 전문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참석자들은 모태펀드가 안정적인 조직 및 예산구조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벤처 생태계의 성장에 기여해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투자→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더욱 고도화해 모태펀드의 역할을 확대시켜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특정 국가 전략산업(인공지능·심층기술 등)의 육성, 민간자본 유입 확대, 비수도권 벤처투자 활성화 등 모태펀드가 앞으로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필요성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 **두 번째 세션: 민간자금 유입과 벤처투자 확대**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시장 유입 확대를 주요 주제로 다뤘다. 특히, 올해 연기금투자풀(무역보험기금)이 벤처투자에 최초로 참여하고, ‘엘피(LP) 첫걸음 펀드’ 및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조성한 사례가 소개됐다. 대기업, 은행권, 공기업 등의 출자가 이뤄진 이 사례는 모태펀드가 민간 자본을 유입시키는 플랫폼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참석자들은 모태펀드가 앞으로 연기금, 퇴직연금 등 신규 출자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인하며 민간자본 참여를 더욱 두텁게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성숙 장관의 발언 및 계획**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토론회에서 “모태펀드는 지난 20년간 국내 벤처투자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성장 기반이었다”며, “앞으로 다양한 자금이 벤처투자 시장에 유입될 수 있도록 모태펀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벤처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번 정책 토론회를 기반으로 모태펀드의 지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방향성을 설정하여 연내 발표 예정인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에 이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모태펀드 출범 20주년 기념 행사는 벤처투자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뉴스 요약: 중기부, ‘2025 재도전의 날’ 개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는 11월 14일 서울 라움아트센터에서 “2025 재도전의 날”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실패 경험을 사회적 자산으로 전환하고, 재도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핵심 내용**:
– **슬로건**: “실패를 자산으로, RESTART THE SPARK”.
– **재도전 기업 지원**: 정부는 재창업 자금, 교육, 전문상담,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재창업 환경을 지원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정책을 추가적으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 **행사 프로그램**:
– 재도전 활성화 유공자 포상 수여 (총 22명).
– 재도전 성공 사례 발표 (야놀자 이수진 대표 등).
– 투자 유치대회(Reignite IR) 결선.
– 네트워킹 행사(재도전 알럼나이).
– 혁신 제품 홍보부스와 전문상담 부스 운영.
기조연설을 맡은 야놀자 이수진 대표는 자신의 실패 경험을 회고하며, 재도전으로 성공한 이야기를 전해 많은 공감을 받았습니다. 또한 다양한 재창업 성공 사례와 투자유치 결선 등이 진행돼 참석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중기부 한성숙 장관은 “실패는 성장의 과정이며, 정부는 창업 생태계의 든든한 지원자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실패를 넘어 재도전의 가치를 강조하고, 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를 알리는 장이 됐습니다.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주요 내용과 기대 효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과 대기업과의 공정거래를 강화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앞으로 시행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개정 내용
1.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
– 현행 주요 원재료 중심의 납품대금 연동제 적용 대상을 전기, 가스 등 에너지 비용으로 확대.
– 납품 계약에서 쪼개기 등 탈법행위를 명확히 금지하며, 수탁기업의 연동 요청에 따른 불이익을 방지.
2. **상생금융지수 신설**:
– 금융회사가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수준을 산정 및 공표하는 ‘상생금융지수’ 도입. 이를 통해 금융업계와 중소기업 간 협력 강화 추진.
3. **수‧위탁 분쟁 해결 개선**:
– 분쟁조정위원 증원(20명→30명) 및 건설업 관련 전문가 추가 포함으로 분쟁 해결 효율화.
4. **손해배상 소송 지원**:
– 기술자료 유용 행위 소송 시 손해액 산정을 위한 전문기관 감정 촉탁 근거 마련.
5. **제척기간 도입**:
– 중기부의 수‧위탁 거래 조사대상에 대한 제척기간을 거래 종료 후 3년으로 설정. 기술유용 행위는 7년으로 규정.
### 시행 일정
– 법 공포일로부터 6개월 후 개정안 시행.
– 에너지 경비 추가 및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는 1년 후 시행.
### 기대 효과
김우순 중기부 상생협력정책국장은 이번 개정안을 통해 중소기업이 에너지 가격 변동에도 안정적으로 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금융회사의 책임을 강화하여 중소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문화가 정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고 대기업과의 협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원문보기
**제26회 무역구제 논문발표대회 개최 및 결과 발표**
산업통상부 무역위원회가 2025년 11월 14일, 서울 무역센터에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열린 「제26회 무역구제제도 논문발표대회」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무역구제제도 전반에 관해 참가 학생들의 관심을 고취하고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입니다.
총 19개 팀이 참여한 대회에서 서면평가와 발표 심사 과정을 거쳐 최종 8팀이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주요 수상 결과**
– **대상(산업통상부 장관상, 상금 300만 원)**
– 대학원생 부문: 서울대학교 김다은·오지민, 숙명여대 조유진 팀(“초국경보조금과 무역구제조치의 적법성 평가”).
– 대학생 부문: 연세대학교 천세령(“특별시장상황(PMS)에 근거한 미국 반덤핑 규제 판정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
– **최우수상(무역위원회 위원장상, 상금 200만 원)**
– 대학원생 부문: 서울대학교 김건(“미국 상계관세 조사 방법론의 진화에 관한 연구”).
– 대학생 부문: 건국대학교 김수현(“한국형 ‘특별한 시장 상황(PMS)’ 제도의 도입과 WTO 합치성에 관한 연구”).
– **우수상(한국무역협회장·중소기업중앙회장상, 상금 100만 원)**
– 단국대학교 박현진 외 2명, 단국대학교 이은빈, 성균관대학교 최서연, 단국대학교 Keith Tagabucba 외 2명.
### **대회 주요 내용 및 의의**
이번 대회는 초국경 보조금, 우회덤핑, 특별시장상황(PMS) 등 급변하는 국제 통상환경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며 높은 학문적 기여도를 보였습니다. 특히, 대상 수상작들은 시의성이 높은 주제를 선정해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평가단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무역위원회의 정석진 무역조사실장은 격려사에서 “참가자들이 글로벌 통상 환경 속 무역구제 이슈를 선제적으로 분석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이들이 미래의 무역 수호자로 성장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무역구제제도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차세대 무역 전문가를 육성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처:**
– 산업통상부 무역위원회 과장 이민영 (044-203-5850)
– 무역구제정책과 사무관 박만희 (044-203-5851)
원문보기
**국민연금, 하이트진로를 공개중점관리기업으로 선정**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위원장 원종현)는 2023년 11월 14일, 제11차 위원회를 열고 하이트진로를 공개중점관리기업으로 선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하이트진로는 과거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서영이앤티 부당지원 행위로 인해 약 79.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으며, 이후 행정소송 및 재산정 과정을 거쳐 70.6억 원으로 조정된 바 있다. 이 사건은 기업가치 훼손 가능성을 우려하게 만들었고, 이에 따라 국민연금은 2020년부터 하이트진로를 비공개대화 대상으로 선정해 자발적 개선을 유도해왔으나, 약 5년간 충분한 개선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민연금은 공개중점관리기업 지정 사실을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하이트진로에 개선 요구를 담은 공개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다. 이는 하이트진로의 개선 조치를 촉구하고 기업가치 증진을 위한 책임을 다하기 위함이다.
앞으로 국민연금은 기업 관리 활동을 더욱 강화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밝혔다.
원문보기
외교부가 주관하는 「제3회 국민 공공외교 우수사례 시상식」이 11월 14일 외교부 청사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국민들의 창의적이고 우수한 공공외교 활동을 선정하여 시상하며, 공공외교에 대한 참여와 관심을 높이는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올해의 대상은 시리아 자타리 난민촌에서 태권도 및 K-팝 댄스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현지 학생들과 함께 요르단 K-팝 월드 페스티벌에 참가한 사례가 선정되었습니다. 공모전에는 총 316건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대상 1작품, 우수상 4작품, 장려상 10작품으로 총 15개의 수상작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들 우수사례는 향후 외교부의 공공외교 영문 SNS 채널 「KOREAZ」 등을 통해 소개될 예정입니다.
외교부는 국민들의 공공외교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2023년부터 「국민 공공외교 우수사례 공모전」을 개최해왔으며, 올해 세 번째를 맞은 공모전은 유튜브 홍보 동영상 조회수가 10만 회를 넘기며 높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또한, 이재명 정부는 국민들의 직접적인 공공외교 참여를 확대하는 정책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외교부는 앞으로도 국민 공공외교 활동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추후 이번 공모전과 시상식의 주요 결과와 수상작 사진 등은 별첨 자료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원문보기
**제24회 외교톡톡: 국민과 함께 외교를 이야기하다**
11월 14일(금)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외교부 대변인실 주최로 「제24회 외교톡톡: 외교관과의 대화」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외교 현장의 소식을 국민과 공유하기 위한 대표적인 소통 프로그램으로, 이번에는 외교부 공식 서포터스 ‘모파랑(Friends of MOFA)’ 27기의 활발한 참여 속에 300여 명의 국민이 참석하며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국민 중심 외교의 중요성 강조**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개회사에서 이재명 정부의 국가비전인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실현을 위해 외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외교는 국민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분야이며, 외교부는 국민의 안전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부: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 과정과 성과 공유**
행사 1부에서는 윤성미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위관리회의(SOM) 의장이 지난달 경주에서 열린 「2025 APEC 정상회의」 관련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윤 의장은 대규모 다자외교 행사로서 대한민국 외교의 리더십을 입증한 준비 과정과 성과를 공유하며 청중의 깊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국민들이 정상외교의 뒷이야기와 성공 요인에 대해 자유롭게 질문하며 논의의 폭을 넓혔습니다.
**2부: 외교관과의 생생한 소통 시간**
이어진 2부 ‘라이브모파: 외교관과의 브런치’에서는 현직 외교관들이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참여하여 외교 현장의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를 나누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다양한 경력과 경험을 지닌 외교관들이 국익 증진을 위한 협력 활동을 소개하며 외교 분야에 관심 있는 국민들에게 현실적인 조언과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배우 이진혁과 가수 선율이 MC로 참여해 밝고 친근한 분위기를 더하며, 국민들과의 소통을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모파랑 서포터스의 역할**
이번 행사에서 모파랑 27기는 행사 기획, 진행, 및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국민의 시선에서 외교를 전달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행사 주요 내용과 분위기는 외교부 SNS 채널을 통해 공개될 예정으로, 국민과의 외교 소통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입니다.
제24회 외교톡톡은 국민과 외교를 연결하는 창구로서 외교 현장의 다양한 이야기를 공유하며 국민과의 거리를 좁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하는 외교를 실현하는 데 힘쓸 것을 약속했습니다.
원문보기
**2025 대한민국 공익광고제, ‘이토록 비현실적인 일’ 대상 수상**
지난 14일, 서울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공익광고제**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해양오염의 심각성을 반전 요소로 효과적으로 전달한 공익광고 ‘이토록 비현실적인 일’이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광고제는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공동 주최하며, 국민 공감대 형성과 실천 의식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공모전 개요 및 심사 과정
올해로 17회를 맞이한 공익광고제는 7~8월 동안 자유 주제로 작품 공모를 받았으며, **TV, 인쇄, 영상, 옥외광고** 4개 부문에서 **일반부, 대학생부, 청소년부**로 나뉘어 총 **1,678편**이 출품됐다.
최종 수상작은 예심과 대국민 온라인 검증을 포함한 5단계 심사를 거쳐 총 **29편**이 선정되었으며, **대상(1편), 금상(6편), 은상(6편), 동상(6편), 장려상(6편), 특별상(4편)**의 성과가 발표되었다.
### 대상 및 주요 수상작 간략 소개
**대상(대통령상)**으로는 일반부 TV 부문에서 출품된 이현진 씨의 ‘이토록 비현실적인 일’이 선정되었다. 이 작품은 AI 기술을 반전 요소로 활용해 해양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했으며,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금상(방송미디어통신위원장상)**에는 다음 6편이 선정되었다:
– 일반부 TV 부문: ‘이길 수 없는 게임’
– 대학생부 TV 부문: ‘전화 한 통’
– 청소년부 TV 부문: ‘인공지능도 막을 수 없는 기후 위기’
– 일반부 인쇄 부문: ‘얇아지는 것은 졸업앨범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 대학생부 인쇄 부문: ‘특별히 이 자리는 2인 1석입니다’
– 청소년부 인쇄 부문: ‘하늘에 코끼리가 살고 있어요’
대상 수상작에는 상장과 **상금 1천만 원**, 금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400만 원**이 각각 수여되었다.
### 시상식과 특별 전시
행사에는 주요 방송사인 KBS, MBC, EBS를 비롯해 광고 관련 학회 및 관계자 약 130명이 참석했으며, 축사, 수상자 발표 및 시상, 축하공연(난타)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올해 공모전의 수상작들은 **서울 한국광고문화회관 광고박물관**에서 열리는 특별상설전시 ‘2025년 공익광고 한마당전’을 통해 무료로 공개된다. 또한, **온라인 공익광고 전시관**에서도 수상작과 다양한 공익광고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 기대와 미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는 앞으로도 국민의 공감을 얻는 공익광고 제작 및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며, 공익광고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긍정적 촉매제로 자리 잡도록 관심을 당부했다.
공익광고에 대한 관심과 지속적인 창작 활동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원문보기
**김민석 총리, 뚝섬 일대 수상활동 안전 점검…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강조**
11월 14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한강에서 수상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뚝섬 일대를 직접 방문해 수상안전교육 및 레저활동, 한강버스 운항 등 시민들이 참여하는 수상활동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습니다.
김 총리는 우선 한강수상안전교육장을 찾아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생존수영교육과 수상스포츠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확인했습니다. 그는 관계기관들에게 한강버스 운항이 교육 일정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마련하고, 학생들의 안전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한, 수상레저업체를 방문해 레저활동 현황에 대한 현장 보고를 받고 잠재적 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자의 협력과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김 총리는 한강버스 선착장을 찾아 접안 절차와 항행 질서, 이용객 안전관리 실태를 직접 점검하며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이라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강조했습니다. 그는 운항 횟수 증가에 따라 서울시 및 관계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수상레저와 교육 등 전반적인 안전 관리를 강화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김 총리는 시민들이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는 한강 수상활동 환경을 만들기 위해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원문보기
**보건복지부, 춘천시와 지방살리기 상생 협약 체결**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11월 14일 강원도 춘천시청에서 춘천시와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며,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협력을 본격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약은 7월 29일 국무회의와 8월 7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지방살리기 상생 소비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보건복지부가 매칭된 4개 지자체 중 세 번째로 체결된 사례다. 앞서 광주 동구(9월 26일), 경기 동두천시(10월 21일)와 협약을 완료했으며, 경북 울진군과도 향후 협약을 맺을 계획이다.
### 협약의 주요 내용
보건복지부와 춘천시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청년층의 유출 문제와 같은 지역 소멸 위기 상황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역사회 활성화 및 지원책 마련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장기적인 협력 모델은 아래와 같이 제시되었다.
– **보건복지 서비스 접근성 향상**: 관련 시범사업 안내 및 실행.
– **지역 경제 촉진**: 춘천시 특산품 구매 활성화.
– **워크숍 및 연수 개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협력 강화를 위한 공동 워크숍 진행.
– **휴가지 원격 근무 시도**: 새롭고 유연한 근무환경 제공 확대.
– **고향사랑기부제 참여 독려**: 지자체의 재정적 자립 지원.
정은경 장관은 기념사에서 “지역 간 격차 해소 및 위기 대응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협력 모델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춘천시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은 물론, 경북 울진군과도 유사한 방식으로 지방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추진할 계획이다.
**참고자료**
1.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협약식 개요
2. 춘천시 협업 계획(안)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보건복지부는 11월 14일 제3차 ‘비급여관리정책협의체’ 회의를 열어 관리급여 항목 선정 기준을 논의했습니다. 이는 과잉 의료 우려가 있는 항목에 대해 적정 관리와 국민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른 조치입니다.
관리급여 대상 항목은 비급여 보고제도, 상세내역 조사 결과, 전문가 및 학회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정될 예정입니다. 이는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공정한 보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12월 초에 열릴 예정인 제4차 협의체 회의에서는 항목별 논의를 본격화하며, 관련 학회 및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실무회의를 통해 추가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권병기 필수의료지원관은 “충분한 논의 과정을 통해 신속하면서도 적합한 관리급여 항목을 선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원문보기
우리 정부가 필리핀에서 발생한 태풍 피해에 대해 신속한 대응과 복구 지원을 목적으로 100만 달러를 IFRC(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를 통해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지원은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복귀와 복구 작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www.korea.kr]
원문보기
**산림청, ‘2025년 산림재난 분야 유공자 포상 전수식’ 개최**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정부대전청사에서 ‘2025년 산림재난 분야 유공자 포상 전수식’을 열고 산림재난 예방 및 대응에 헌신한 유공자들에게 표창을 수여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산불 예방·진화, 산림병해충 방제, 그리고 생활권 수목진료 분야에서 두드러진 공을 세운 민간인 및 공무원 총 24명이 박수갈채를 받았습니다.
특히 대통령 표창은 산불 예방·진화에 공헌한 송기환 육군 제2작전사령부 대령 등 7명, 산림병해충 방제에 이바지한 송영주 영호나무병원 대표 등 2명이 수상했으며, 국무총리 표창에는 해당 분야에서도 각각 12명과 3명이 선정됐습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헌신적인 유공자들의 노고를 인정하며 “숲을 살리는 국민이라는 정신을 바탕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산림재난 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출처:** [자료제공 : (www.korea.kr)]
원문보기
**한국 정부, 일본 ‘영토주권전시관’ 확장에 강력 항의… 폐쇄 촉구**
한국 정부는 일본이 도쿄에 위치한 “영토주권전시관” 확장 공간을 추가 개관한 것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즉각적인 폐쇄를 다시 한 번 촉구했다.
전시관은 2018년 처음 개관됐으며, 한국 정부는 그동안 반복적으로 폐쇄를 요구해왔다. 이번 확장 개관과 관련해, 정부는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독도가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임을 강조했다. 또한, 일본의 이러한 부당한 주장이 한일 간 미래지향적인 관계 구축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점을 분명히 지적했다.
이는 한일 관계에서 민감한 사안인 독도 문제를 둘러싼 새로운 긴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원문보기
**정은경 장관, 국립대학병원 육성방안 마련을 위한 확장 논의 진행**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11월 14일 강원대학병원에서 열린 제5차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회의에 참석하여 국립대학병원의 임상, 교육,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종합적 육성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기존 국립대학병원 대표 참여 구조에서 확대되어 9개 지역 국립대학병원장이 모두 참석한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최근 정부는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총 33차례의 협의체, 간담회를 운영하며 국립대학병원의 역할 증대 방안에 관한 폭넓은 논의를 이어왔습니다. 특히 권역별 국립대학병원 병원장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보건복지부 이관과 관련된 구체적 지원 로드맵 마련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력 및 시설 지원, 교육 및 연구 강화 방안, 국립대학병원 특화 R&D 지원 확대 등에 대한 내용을 현장으로부터 직접 청취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추진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국립대학병원의 다면적 역할 강화뿐만 아니라 교육 및 연구 기능 위축 방지를 위한 체계적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정은경 장관은 “지역의료를 묵묵히 지켜주는 국립대학병원의 헌신에 감사드리며, 보건복지부는 의료와 연구의 두 축이 균형을 이룬 발전 방안을 세심히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최은옥 차관은 “국립대학병원이 보건복지부로 이관되더라도 대학과 병원의 연계는 지속될 것이며, 교육부는 병원의 교육적 역할을 강력히 지원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이번 회의를 기점으로 의견수렴 및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국립대학병원 육성방안의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원문보기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11월 14일(금) 신설된 대외협력본부장(부총재급) 자리에 김헌 현 AIIB 투자솔루션국장을 선임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는 김헌 국장이 국제적인 금융 전문성과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로 보입니다. 이번 발표는 AIIB의 대외협력 강화 및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 국제기구과로 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김재홍, 전화번호 044-215-8725)
원문보기
보도자료 “세계시장에 우뚝 설 K-SUUL을 찾아라”는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자료로, 한국 전통주 및 음료(K-SUUL)의 세계시장 진출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주요 내용을 담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보도자료는 한국 전통문화와 산업 활성화를 알리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SUUL 관련 정책, 사업, 지원 계획 등을 중심으로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도자료의 구체적인 내용은 제공된 파일(251114 세계시장에 우뚝 설 K-SUUL을 찾아라.hwpx)을 확인해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파일에 포함된 세부적인 내용이나 지원 정책 등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확인해주세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파일 내용에 대해 더 자세히 물어주시면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보훈부, 보훈법령지도 제작해 누리집에 공개**
국가보훈부(보훈부)는 보훈 관련 법령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보훈법령지도’를 제작해 공식 누리집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법령지도는 복잡한 보훈 규정과 혜택 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훈법령지도는 법령에 대한 국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통해 보훈 대상자와 가족들이 자신에게 해당하는 제도와 혜택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정보는 보훈부 공식 누리집 또는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유공자 95명이 정부로부터 포상을 받습니다. 이번 포상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희생과 헌신을 아끼지 않은 선열들의 공훈을 재조명하고 그 뜻을 기리기 위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원자력안전위원회, ‘2025년 방사선안전관리자 전국 포럼’ 개최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 이하 원안위)가 방사선 안전문화 확산과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14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2025년 하반기 방사선안전관리자 전국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2021년 시작된 이후 11회째를 맞이한 행사로, 방사선안전관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안전관리 사례를 공유하고 실천 의지를 다지는 장으로 마련되었다.
—
### 주요 내용 및 시상
1. **참석자 및 주최 목적**
이날 행사에는 최원호 원안위 위원장, 김제남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 전국의 방사선안전관리자 등 약 200명이 참석했다. 최근 방사선 피폭 사례를 계기로, 현장 중심의 안전문화와 실천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안전은 현장에서 완성된다’**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2. **시상식**
– **우수기관(5곳):**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한양대학교
– 서울대학교
– LG디스플레이㈜ 구미공장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안전문화 확산 유공자:**
– 정교성(한국원자력연구원)
이들 기관과 인물은 피폭 저감 활동, 스마트 시스템 도입, 캠페인 추진, 소통 강화 등의 성과로 높이 평가받았다. 특히,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경영진의 적극적 지원을 통해 우수사례로 꼽혔다.
3. **우수사례 및 발표**
우수기관 담당자들은 각자의 노하우와 관리 경험을 공유하며, 보다 안전한 방사선 이용 환경을 위한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정기 검사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발표하며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
### 주요 메시지 및 향후 계획
최원호 위원장은 축사에서 “오늘의 포럼이 경험과 지혜를 나누는 변화와 실천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며, “원안위는 규제를 합리화하고 방사선 안전문화 확산 및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체계적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포럼은 방사선안전관리 체계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안전 노하우를 공유해 방사선의 안전한 활용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평가된다.
원문보기
### 요약: 한미 전략적 투자 양해각서(MOU) 서명
2025년 11월 14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총 3,500억불 규모의 한미 전략적 투자 양해각서(MOU)**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양국의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됩니다.
#### 주요 내용 및 구조:
1. **투자 세부 관점**:
– **투자 규모**: 총 3,500억불
– 2,000억불: 전략적 투자(조선,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등).
– 1,500억불: 조선협력투자(보증 및 선박금융 포함).
– 투자 사업은 양국 협의위원회의 합의를 통해 상업적 합리성(commercially reasonable)을 준수하며 추진됩니다.
– **자금 납입**: 연간 최대 200억불 한도로 진행.
– **리스크 관리**: Umbrella(우산형) SPV 구조를 통해 프로젝트별 수익 위험을 통합 관리.
2. **조선협력투자**:
– 모든 수익은 한국 기업에 귀속.
– 미국은 토지, 전력, 규제 완화 등 협력 촉진.
3. **관세 인하**:
– 주요 품목 관세가 15%로 조정.
– 반도체 관세는 대만과 동등한 조건 확보.
– 자동차, 목재제품, 의약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 불확실성 완화.
4. **자금 조달 방안**:
– 정부, 외화채권 발행 등으로 기금 조성.
– 특별법 제정 준비 중.
5. **성과 및 기대 효과**:
– **수출 불확실성 완화**: 자동차·의약품 관세 15% 확정.
– **외환시장 부담 경감**: 연간 납입 한도로 투자를 점진적으로 추진하며 안전장치 마련.
– **우리 기업의 대미 진출 확대**: 국가 차원의 유·무형적 지원을 확보.
김정관 장관은 이번 협약으로 양국 간 신뢰 관계가 더욱 강화되었으며, 한국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담당 부서는 산업통상부를 비롯한 유관부처들이 포함되며, 이후 법안 제정 및 후속 이행 과정에 중점을 두고 진행될 예정입니다.
원문보기
**국익 중심 실용외교와 글로벌 책임강국 간 정책적 조화 세미나 개최**
외교부는 11월 14일(금)에 한국국제정치학회와 협력하여 ‘국익 중심 실용외교와 글로벌 책임강국 간 정책적 조화’를 주제로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정부, 학계, 언론, 기업, 전직 외교관 등 다양한 오피니언 리더들과 일반 청중이 참여한 가운데 국민주권정부의 외교정책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되었다.
### **세미나 개요**
– **일시/장소**: 11월 14일(금) 오전 10시~오후 4시, 한국프레스센터
– **주제 세션**:
1. *글로벌 격변 속 한국 외교*
2. *주요 분야별 전략과 과제*
3. *라운드테이블: 종합토론*
### **주요 내용**
#### **1. 국민주권정부 출범 이후 외교정책 방향**
정기홍 공공외교대사는 환영사를 통해 국민주권정부가 실용적 외교와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하기 위해 노력해왔음을 강조하였다. 그는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주요국과의 관계를 증진하며, 경제 외교를 통해 국익과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을 밝혔다.
#### **2. 국제 협력과 다극화 대응**
정 대사는 국제질서의 다극화 속에서 협력 대상을 다변화하고 전략적 공간을 확대하는 한편, 국제사회의 주요 도전과제 해결에도 적극 기여하며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재외국민의 안전과 편익 증대를 위한 노력에 한치의 소홀함도 없을 것을 강조했다.
### **참석자들의 논의**
국제정세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참석자들은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중요성에 대해 한 목소리를 냈다. 아울러,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통한 책임강국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 **앞으로의 계획**
외교부는 앞으로도 정부의 외교정책 방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 추진 과정에서 각계각층 전문가들과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익을 지키면서 국제사회와 조화를 이루는 외교를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이날 세미나를 통해 국민주권정부 외교정책과 미래 과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정부와 다양한 전문가 간 협력의 기반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원문보기
### 지역 중심 공공보건의료 역할 논의 심포지엄 개최
11월 14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혁신: 지방분권과 책임의료기관의 역할’**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약 700명의 전문가와 지역사회 관계자들이 모여 지역 중심 공공보건의료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 책임의료기관 제도와 역할
책임의료기관 제도는 2019년에 도입되어 현재 **권역책임의료기관 17개소와 지역책임의료기관 55개소**가 운영 중이다. 이 기관들은 정부가 지정한 다양한 보건 의료 센터 및 수행 기관과 협업하며 지역 필수 의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퇴원환자의 지역사회 연계 및 중증응급 이송 협력을 통해 지역 내 필수 의료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되도록 기여하고 있다.
#### 심포지엄 주요 내용
행사는 두 가지 세션으로 진행됐다:
1. **발제·토론**: 국립중앙의료원이 **중앙-지방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혁신** 방안을 발표했고,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견해를 나누었다.
2. **성과 공유**: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 맞춤형 필수의료 협력체계 강화 방안과 2040년 목표를 발표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의료원 간 협력 사례를 공유하며, 지역 의료 서비스의 완결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했다.
#### 정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의 입장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책임의료기관이 **지역·공공의료의 핵심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중앙의료원 서길준 원장은 향후 책임의료기관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6년간의 책임의료기관 성과를 공유하며 지역 필수 의료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로 평가받고 있다.
원문보기
###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 현장 소통으로 본격화
보건복지부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로봇 기술을 활용한 복지·돌봄 혁신을 위해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스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11월 14일, 경기도 군포에 위치한 노인복지시설 ‘남부노인전문요양원’을 방문하여 AI 기술 도입 사례를 직접 확인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돌봄현장에서 AI 기술 역할 확대
이번 현장 방문은 장기요양시설과 같은 돌봄현장에서 AI, IoT, 로보틱스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이스란 제1차관은 돌봄 종사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이용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는 기술 활용 사례를 점검하며, 현장에서 나온 애로사항을 바탕으로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AI 복지·돌봄 추진단 구성 그 후
보건복지부는 이미 지난 8월 ‘AI 복지·돌봄 추진단’을 발족하여 기업, 현장,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폭넓게 의견을 수렴해왔습니다. 이스란 제1차관은 돌봄 현장의 종사자와 서비스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AI 혁신을 위해 지속적인 소통을 약속했으며, 내년 상반기 중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향후 기대되는 변화
이번 로드맵 구성은 사회복지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장 중심의 실질적 과제 발굴과 기술 활용확대가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 향상, 종사자의 업무부담 감소, 그리고 복지 이용자의 만족도 개선이라는 종합적인 성과가 이루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현장 방문과 논의는 AI 기술을 통해 사회복지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외교부, 아프리카 지역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신속대응팀 모의훈련 실시**
외교부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다양한 위난 상황에 대비해 재외국민 보호 역량 강화를 위해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 **주우간다대사관**과 **주탄자니아대사관**에서 신속대응팀 모의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외교부, 경찰청, 소방청, 민간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했다.
### **훈련 개요 및 목적**
외교부는 2005년부터 해외 위난 발생 시 국민 보호를 위해 신속대응팀을 파견해왔으며, 매년 4~6회의 모의훈련을 통해 대응 체계를 점검해 왔다. 이번 훈련에서는 △남수단의 정정불안으로 인한 우리 국민 대피, △탄자니아의 관광지 경비행기 추락 사고를 가정해 외교부 본부, 재외공관, 유관부처 간의 유기적인 협력 및 대응 체계를 도상훈련 방식으로 점검했다.
### **전문가 참여와 주요 활동**
훈련에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장 맞춤형 자문 및 안전교육을 진행했다:
– **테러·치안 전문가** 이병석 순천향대 교수는 우간다와 남수단의 치안 환경을 평가하고, 재외공관 위기대응 체계를 점검하며 안전 자문을 제공했다.
– **소방청 관계자**는 탄자니아대사관에서 재외국민 및 공관원을 대상으로 재난 상황 대처 요령에 대한 심층 안전교육을 실시했다.
### **현지 협력 및 국민 간담회**
외교부 출장단은 현지 유관 기관 고위 관계자들과 면담을 통해 위난 발생 시 신속한 국민 보호와 지원 협조를 요청했다. 또한, 현지 체류 국민들과 안전간담회를 열어 최근 정세 및 비상 시 안전 요령을 공유했다. 이를 통해 재외국민 단체와 공관 간 상시 연락체계를 점검했다.
### **향후 계획**
외교부는 신속대응팀 훈련뿐만 아니라 민관합동 해외안전자문단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해외 위난 상황에 대비한 재외국민 보호 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긴급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국제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 준비를 이어갈 것**이다.
원문보기
**2025년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 2차 정례회의 개최**
2025년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ABLE)**의 2차 정례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서는 인공지능(AI) 및 스테이블코인(가치 안정화 디지털 자산) 시대를 맞아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활용 방안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가 이루어졌다.
협의체는 블록체인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수요와 공급 간 연결을 강화하고, 해외 사업 상담을 통해 K-블록체인의 글로벌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여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해당 회의는 한국 정부 공식 플랫폼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자료를 제공했다.
원문보기
동부지방산림청은 숲가꾸기 기간을 맞아 11월 14일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신기면 고무릉리 국유림에서 ‘숲가꾸기 1일 체험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로 생존 위기에 처한 고산지대 분비나무림의 보전을 목적으로 진행됐으며, 동부지방산림청, 삼척국유림관리소, 국립산림과학원 및 지역 단체 등 약 75명이 참여해 3헥타르 규모의 분비나무림에서 가지치기 작업을 실시했습니다.
현장에서 국립산림과학원은 ‘분비나무 생육환경 개선 관리’ 실연 연구를 소개하며 과학적인 숲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지역은 2030년까지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를 보전하고 복원하기 위한 연구 시험지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최수천 동부지방산림청장은 고산 침엽수림 보전이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핵심이라며, “과학적 관리로 건강한 숲을 미래 세대에 물려줄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원문보기
### **질병관리청장,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방문… 희귀질환 환우 지원 강화 의지**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11월 14일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찾아 희귀질환 환우와 가족들을 지원하고 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현장 점검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병원은 경남·울산권 희귀질환 전문기관으로 2024년부터 지정될 예정이며, 현재 희귀질환 거점센터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 **희귀질환 전문기관 사업 확대로 진료접근성 및 지원강화**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 환자의 진료접근성을 높이고 권역별 진료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2024년부터 전국 17개소의 희귀질환 전문기관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이는 기존의 희귀질환 거점센터에서 사업을 확대하여 등록사업, 실태조사, 시설 및 인력 기준 강화 등을 포함합니다.
#### **진단지원사업으로 조기진단 및 적기 치료 지원**
특히 2023년부터 시작된 희귀질환 진단지원사업은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WGS)을 지원하여 조기진단과 적기 치료를 가능케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유전자 분석으로 희귀질환 진단률을 높이고 치료를 앞당기며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 **환우 가족과 소통의 시간**
임승관 청장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내 ‘로날드 맥도날드 하우스’를 방문해 가부키 증후군 환우회 가족들과 대화를 나누며 이들의 어려움을 직접 청취했습니다. 가부키 증후군은 2018년 국가관리대상으로 지정된 희귀질환으로, 성장 지연과 골격계 기형 등을 동반합니다. 환우회는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다양한 지원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진료환경 개선 및 정책 확대로 희귀질환 대응 강화**
임승관 청장은 “희귀질환의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겪는 어려움을 충분히 검토하고, 의료진의 의견과 환우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또한 희귀질환 전문기관 지정을 확대하고, 진단지원 사업 대상을 넓혀서 환우들에게 보다 향상된 진료 체계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희귀질환 전문기관의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환자와 보호자들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체감하는 자리로, 희귀질환 환우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및 「디지털 혁신상」 시상식 개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인터넷 및 디지털 혁신 분야의 성과를 알리고 업적을 기리는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및 「디지털 혁신상」 시상식**이 성대히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는 인터넷 및 디지털 기술로 사회와 경제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기업, 단체를 널리 알리고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됩니다.
### 주요 내용 요약
– **행사명:**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및 디지털 혁신상 시상식
– **취지:** 인터넷 기반 기술 발전 및 디지털 혁신 우수 사례 발굴 및 홍보
– **주최:** 대한민국 정부 및 관련 기관
– **대상:** 디지털 전환과 혁신, 인터넷 산업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개인, 기업 및 단체
### 주요 시상 부문
1. 인터넷 산업 진흥 및 기술 혁신 부문
2. 사회 발전 및 공공 서비스 효율화 부문
3. 디지털 전환과 지속 가능한 미래 기여 부문
본 시상식은 디지털 혁신과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위상을 강화하고, 업계의 성장을 독려하는 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제공된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출처: 대한민국정부포털(www.korea.kr)]
원문보기
**2025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 부산서 성황리에 폐막**
‘뿌리’, ‘한민족 정체성’, ‘모국과의 연대’를 주제로 열린 **‘2025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가 5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4일 부산 농심호텔에서 폐막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재외동포청**(청장: 김경협)이 주최했으며, 전 세계 10개국에서 선발된 약 90명의 입양동포가 참여했습니다.
### **입양동포들의 뿌리 찾기와 유대 강화**
이번 행사는 입양동포 대다수에게 **모국 최초 방문의 기회**였으며, 이들은 인천, 파주, 울산, 부산을 순회하며 다양한 교류와 체험활동에 참여했습니다. 특히 **파주의 ‘엄마품동산’ 방문**은 참가자들에게 위로와 치유의 시간을 제공했습니다.
입양동포들은 한국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고, 봉사 활동 및 농촌 체험을 통해 **한인 정체성과 모국과의 유대를 재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논의**
대회에서 **전 세계 입양동포 단체장 16명**이 모여 분임 토의와 포럼을 통해 단체 및 리더십 강화 방안, 입양동포 정책 참여 모델 등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오는 2026년 예정된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와 IKAA 개더링**의 병행 개최 방안도 심도 있게 협의했습니다. IKAA(세계한인입양인협회)는 2004년 설립된 입양동포 단체 간 연합체로, 매년 국제적인 네트워크 행사를 주최하고 있습니다.
### **입양동포들을 위한 재외동포청의 약속**
폐회식에서 변철환 재외동포청 차장은 입양동포들을 **”대한민국과 세계를 잇는 자랑스러운 연결고리”**로 언급하며, 이들이 거주국에서 성공적인 정착을 이루도록 재외동포청이 든든한 지원자가 될 것을 약속했습니다.
### **지속가능한 지원 계획**
재외동포청은 이번 대회를 통해 얻은 입양동포들의 목소리를 정책과 사업 계획에 적극 반영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입양동포 전담창구**를 중심으로 한인 정체성 확립, 네트워크 강화, 실질적인 행정 지원 등을 통해 입양동포들의 성장과 연대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입니다.
이번 대회는 **‘함께 잇는 뿌리, 함께 만드는 미래’**라는 슬로건 아래 전 세계 한인 입양동포 간 교류와 유대감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원문보기
강릉산림항공관리소(소장 김정길)는 11월 14일 대관령휴게소에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규제혁신 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산림 관련 정책과 규제 개선 사항을 알렸다. 센터는 홍보 배너와 플래카드 등을 설치해 변화된 산림 정책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으며, 국민과 지역 주민들에게 현장 소통의 기회를 제공했다.
2025년 산림 분야 규제혁신 사례로는 ▲인구감소지역의 산지전용허가기준 완화 ▲임업인 지원 강화 ▲임업정책자금 신청 접수지역 확대 ▲국립수목원 완충지역 내 농림수산물 판매시설 허용 등이 포함됐다. 이는 기존의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국민과 관련 종사자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홍보를 넘어 산림청이 국민과 직접 소통하며 제도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앞으로 강릉산림항공관리소는 국민과의 소통을 확대하고 산림·임업 현장의 활력을 높이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
원문보기
**산림청 항공연구회, 공무원 연구모임 평가서 3년 연속 최고등급 달성**
산림청 산림항공본부가 운영하는 ‘산림청 항공연구회(Forest Pilot)’가 인사혁신처 주관 중앙부처 공무원 연구모임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매우 탁월’을 3년 연속 받으며 혁신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특히, 이는 전 부처에서 유일한 사례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 **우수한 연구 성과와 평가 요인**
16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항공연구회는 산림 항공 분야에서 전문성을 높이고 실무역량 강화를 목표로 활동한다. 주요 성과로는 민·관·군 협업을 기반으로 산불 대응 체계 구축, 비상 상황 대응 앱 개발 등 정책 개선과 업무 효율화에 기여한 점이 있다. 이러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4년에는 산불 공중진화를 위한 통합 체계 연구와 미래형 산불 대응 방안(MUM-T)을 심도 있게 탐구했으며, 2025년에는 조종사 긴급 대응 앱 개발 및 헬기 운용 혁신을 위한 연구를 통해 40개 우수 모임 중 최고 평가를 받았다.
### **향후 계획과 기대**
산림청은 항공연구회의 우수 연구 성과를 정책 및 현장 업무에 적극 반영함으로써 산불 대응 역량과 항공 안전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 모임 사례를 공유하여 전 조직의 연구 역량을 높이고 혁신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힘쓸 예정이다.
김만주 산림항공본부장은 “회원들의 헌신적 노력과 실용적 연구 결과가 3년 연속 최고등급을 이루게 된 원동력”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계속 연구와 정책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성과는 산림청의 연구 중심 정책 강화와 산림 항공 분야 전문성 확대의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원문보기
### 뉴스 요약: 제20차 한-베트남 경제공동위원회 개최
김희상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11월 14일 베트남의 쩐 꾸옥 프엉 재무부 차관과 함께 **제20차 한-베트남 경제공동위원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교역·투자, 개발협력, 에너지·인프라·금융, 경제안보,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주요 내용:
1. **교역 및 투자 확대**
– 양국의 교역 증가세와 투자 협력을 평가하며, 한국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 및 베트남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 특히 규제 소급 적용 및 인허가 지연 문제에 대한 해결을 강조했습니다.
2. **인프라 협력**
– 우리 기업들의 **북남 고속철도 사업**, **원전 건설**, **신공항 개발** 및 **산업단지**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하며 한국의 기술력과 경험을 언급했습니다.
– 베트남 측은 한국의 우수한 기술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3. **금융 분야 협력**
– 한국 금융기관(기업은행, 산업은행, 농협은행 등)의 베트남 진출을 위한 인허가 지원을 요청하며, 베트남의 가상자산 시장 발전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4. **개발협력**
– 베트남 내 한국의 개발협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협력을 요청하며, **제11차 한-베트남 ODA 정책협의회** 개최를 제안했습니다.
5. **경제안보**
– 핵심광물 공급망 관련 협력을 강화하며, 베트남의 전략물자 무역통제 시행령이 한국 기업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6. **과학기술 및 기후변화**
– 과학기술 및 기후변화 대응 등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APEC 트로이카(한국, 중국, 베트남) 체제를 기반으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
#### 평가와 기대:
한국과 베트남은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로 간주하며, 양국 국민과 기업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협력을 계속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협력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경제 협력의 모멘텀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사진 첨부:
행사 관련 사진은 문서 말미에 제공되었습니다.
원문보기
### 탐지견과 함께하는 특별한 축제, 영종도에서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이한 ‘관세청장배 탐지견 경진대회’가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인천 영종도 하늘체육공원에서 개최되며,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탐지견 축제의 장이 펼쳐집니다.
—
#### **주요 행사 하이라이트**
1. **기관부 및 학생부 경진대회**:
– 기관부에서는 마약·폭발물 탐지 분야의 우수 탐지견들이 실력을 겨뤄 최고의 탐지견(TOP DOG)을 선정했으며, 인천공항세관 소속 팬텀이 마약 분야 최우수 탐지견으로 영예를 차지했습니다.
– 학생부 경진대회에는 전국 고등·대학 30개교, 312팀이 참여해 탐지, 어질리티, 점핑릴레이 등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하며 청춘의 열기를 더했습니다.
2. **국민 참여형 축제 프로그램 (11월 15일)**:
– **’나도 킁킁히어로’**: 반려견 또는 은퇴견과 함께 탐지 훈련을 체험하며 탐지견 역할을 직접 경험.
– **어질리티 장애물 체험 및 공 찾기 챌린지**: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놀이와 손꼽히는 볼거리 제공.
– **탐지견 민간분양존**: 은퇴 마약탐지견의 입양 절차를 안내, 탐지견과 새로운 가족을 연결.
– **마약 근절 홍보존**: VR 체험과 디지털 콘텐츠로 관세청의 국경수호 역할을 알리는 교육적 프로그램.
3. **풍성한 즐길거리**:
– 반려견 성향테스트, 개리커쳐, 견생네컷 촬영, 페이스페인팅, 배지 만들기 등 다채로운 체험부스 운영.
4. **특별 공연과 토크콘서트**:
– 탐지견의 탄생부터 은퇴까지의 여정을 샌드아트 공연으로 선보이며, 민간분양 입양자와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토크콘서트 개최.
—
#### **이명구 관세청장의 축제 취지**
관세청장은 “탐지견은 국민의 건강과 사회적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국가 동반자”라며, 이번 행사가 국민이 탐지견의 헌신을 직접 체험하고 가치에 공감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이번 축제는 단순히 탐지견의 능력을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국민과 탐지견이 소통하며 사회적 책임과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공감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려견을 키우는 시민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전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특별한 체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원문보기
국세청은 2024년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의 기준시가를 결정하기 위해 사전열람을 시작하며, 이에 대한 의견을 12월 4일까지 접수받는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준시가는 상속세와 증여세 등의 세금 산정에 활용되는 금액으로, 이를 위해 국세청은 실거래가, 매매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산출된 금액을 공개합니다.
해당 자료는 국세청(www.korea.kr) 사이트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민원인은 자기 소유 건물의 기준시가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의견 제출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서면으로도 관할 세무서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공된 보도자료의 첨부파일(hwp 형태)을 참고하면 됩니다. 이번 과정은 세금 납부와 관련된 주요 기준임으로, 관심 있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합니다.
원문보기
**농림축산검역본부, 중국산 열처리 가금육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유전자 검출…수입 중단 조치 강화**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25년 11월 13일, 중국에서 수입된 열처리 가금육(오리햄 21.8톤)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유전자가 검출됨에 따라 해당 물량을 폐기·반송하고, 관련 검역을 대폭 강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검출된 유전자는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아닌 단순 유전자이며, 이를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이 물량은 국내에 유통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가금육은 2025년 8월 조류인플루엔자 유전자 검출로 이미 수입이 중단된 중국 내몽골의 한 작업장 인근에서 생산되었습니다. 검역본부는 해당 작업장뿐만 아니라, 같은 산업단지 내 다른 작업장(총 3개소)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수입 중단 조치를 내렸습니다.
아울러, 해당 작업장이 위치한 내몽골 산업단지 주변 허베이성과 랴오닝성의 18개 작업장에서도 생산된 열처리 가금육에 대해 앞으로 1개월 동안 정밀검사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최정록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가축전염병 유입을 막기 위해 수입 축산물에 대해 철저한 검역과 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조류인플루엔자 유입 방지와 국내 축산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강화된 검역 노력을 보여줍니다.
원문보기
**민간 첨단기술, 국방과 만나다 – 제3회 미래 국방 기술교류회 개최**
국방부가 주최하는 **미래 국방 기술교류회**가 올해로 3회째를 맞으며, 민간 첨단 기술과 국방 산업 간 협력을 촉진하는 장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국방력 강화와 군사적 혁신을 목표로, 국내 주요 기술 기업 및 연구기관, 군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자리입니다.
### 주요 행사 내용
– **최신 민간 기술 및 국방기술 발표**: AI, 로봇, 빅데이터, 양자기술, 드론 등 미래 지향적 기술 동향 및 응용 가능성 논의.
– **산학연 협력 사례 공유**: 기술 융합 프로젝트와 협업 사례 발표.
– **추진 전략 및 방향성 논의**: 민군 협력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포럼 개최.
– **시연 및 전시**: 참여 기업 및 연구기관들의 첨단 기술 시연과 전시로 실질적인 기술 접목 사례를 확인.
이번 행사를 통해 민간 부문과 국방산업이 함께 협력하여 **국방 기술의 발전**, 효율성 향상은 물론 **국가 안보 강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개최 일정 및 장소에 대한 세부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관련 문의: 국방부 또는 관련 담당 부처.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7대 사회보험 연구 협의체 공동세미나 개최: 사회보험 대응전략 논의**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은 11월 14일 서울 용산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노동시장의 변화와 사회보험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7대 사회보험 연구 협의체 공동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는 2020년 5월 발족된 ‘7대 사회보험 연구 협의체’의 네 번째 세미나로, 사회보험의 발전 방향과 주요 과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사회보험의 역할 강화와 사각지대 해소에 대한 논의**
기조 강연을 맡은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 선임연구위원은 복합 위기 속에서 사회보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가운데, 비전형 근로형태가 확산됨에 따라 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했다.
### **기관별 발표와 토론 진행**
세미나에서는 근로복지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공무원연금공단,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등 각 기관의 연구자들이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사회보험 분야별 주요 현안과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발표 후에는 각 기관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이 이어졌다.
박종길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비전형 근로자의 증가와 인구 고령화 등 급격한 노동환경 변화는 복합적인 사회적 과제를 초래한다”며 “사회보험 제도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해야 할 때”라고 말하며 이번 세미나가 정책 조율과 협력 강화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근로복지연구원 조사연구부 곽진옥 (02-2670-0443)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2025년 NCS 기업활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시상식 개최**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11월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2025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업활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경진대회는 NCS를 활용한 기업들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확산시켜 직무 중심 인재 양성과 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열렸습니다.
NCS는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국가 표준입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채용 △교육·훈련 △성과관리 △이동 배치 △임금체계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NCS를 활용한 사례들이 평가를 거쳐 최종 10개 기업이 선정되었습니다. 이 중 3개 기업의 사례가 발표되며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이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시상식은 ‘2025년 하반기 NCS 리더스 클럽’ 행사와 연계되어 진행되어, 더 많은 기업이 NCS 활용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할 수 있는 장이 되었습니다. NCS 리더스 클럽은 NCS 기반의 직무 중심 인사제도 구축으로 성과를 창출한 기업들의 모임으로, 지난 2022년 7월에 발족하여 현재 63개 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편도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NCS 활용은 적합한 인재 채용, 공정한 성과평가와 보상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요소”라며, “NCS 확산을 통해 기업 성장과 재직자 역량 강화에 더욱 기여하겠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직업능력평가과로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장관동정] 김윤덕 장관 발언 요약: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교통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교통산업 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그는 미래 교통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기술 도입 등 핵심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민간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교통서비스의 질 향상과 국민 편의를 높이기 위한 정책 마련에도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www.korea.kr)에 게재된 첨부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 2023년 개인 소유 주택 및 가구 현황
#### 1. **개인 소유 주택 현황**
– 전체 주택 1,987.3만 호 중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705.8만 호(85.8%)로, 전년 대비 31.6만 호(1.9%) 증가하였으며, 비율은 전년(85.7%) 대비 0.1%p 상승.
– 주택 소재지와 동일한 시·도 내에서 거주하며 주택을 소유한 비중(관내 소유)은 86.3%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 유지.
#### 2. **주택 소유자 현황**
– **주택 소유자 수**: 1,597.6만 명으로 전년 대비 35.7만 명(2.3%) 증가.
– **성별 비율**: 남성 856.7만 명(53.6%), 여성 740.9만 명(46.4%).
– **소유 형태**:
– 주택을 1건만 소유한 사람: 전체 소유자의 85.1%(1,359.9만 명).
– 2건 이상 소유한 사람: 14.9%(237.7만 명)로 전년 대비 0.1%p 감소.
#### 3. **주택 소유 가구 현황**
– 전체 일반 가구(2,229.4만 가구) 중 주택 소유 가구는 1,268.4만 가구(56.9%)로 전년 대비 1.8% 증가. 무주택 가구는 961만 가구(43.1%).
– 1건만 소유한 가구: 938만 가구(74%).
– 2건 이상 소유한 가구: 330.4만 가구(26%).
– **주택 소유 가구 평균 프로필**:
– 평균 소유 주택 수: 1.34호.
– 평균 주택 자산가액: 약 3억 3,300만 원.
– 1호당 평균 주택 면적: 86.4㎡.
– 가구주 평균 연령: 57.8세.
– 평균 가구원 수: 2.52명.
– **일반가구 주택 소유율**: 56.9%로 전년(56.4%) 대비 0.5%p 증가.
– **지역별 주택 소유율**:
– 높은 지역: 울산(64.0%), 전남(63.4%), 경남(63.3%).
– 낮은 지역: 서울(48.1%), 대전(53.1%), 제주(56.6%).
– **가구 특성별 주택 소유율**:
– 가구주 연령대 70대 이상: 71.0%.
– 가구원 5인 이상: 76.5%.
– 친족 가구: 72.2%.
위 자료는 [대한민국 정부](www.korea.kr)에서 제공되었습니다.
원문보기
2026년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을 위한 정부의 계획이 본격화되었습니다. 해당 보도자료에 따르면, 공공주택 공급물량이 적기(適期)에 착공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와 관리를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강조되었습니다.
핵심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공주택 공급 속도 제고**: 공급 지연을 방지하고, 계획된 일정에 맞춰 적시에 착공이 이루어지도록 사전 행정 절차를 간소화 및 체계화.
– **입지별 세부 계획 마련**: 수도권의 각 지역별 특성을 반영해, 수요 기반의 공급 전략 수립.
– **민관 협력 강화**: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지역 주민의 불편 최소화.
– **주택 품질 관리**: 무분별한 주택 공급이 아닌,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한 주택 건설.
이 계획은 주택난 해소와 더불어 국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정부의 중요한 이니셔티브 중 하나로, 특히 수도권 주택 수요를 체계적으로 충족시키는 데 방점을 두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세부 내용과 진행 상황은 지속적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해당 보도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자료제공처의 공식 웹사이트(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재외동포 네트워크 활용, 국내 스타트업의 시애틀 진출 지원**
13일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된 ‘한국 스타트업 시애틀 시연회(K-Startup Demoday in Seattle)’는 국내 인공지능과 친환경 분야의 뛰어난 스타트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 **주요 내용**
– **행사 개요**:
재외동포청이 주관한 이 프로그램은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스타트업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추진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캐나다 토론토에서도 같은 목적의 행사가 열린 바 있습니다.
– **참여 현황**:
이번 행사에는 국내 스타트업 8개사(닥터테일, 에이머슬리, 일만백만 등)가 참여했으며, 재외동포와 현지 투자자 및 지역 인사 등 약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기업 투자 설명과 60건 이상의 1:1 투자 상담이 진행되었습니다.
– **협력 기관**:
재외동포청은 주시애틀대한민국총영사관, 워싱턴주한인상공회의소, 시애틀 지역 한인 IT 네트워크 창발, K-스타트업센터 시애틀과 협력하여 행사를 성공적으로 열었습니다.
### **의미와 전망**
재외동포청은 이번 행사를 통해 스타트업의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대하고 국제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특히, 첨단 기술과 친환경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는 발판의 역할을 하며,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우수한 스타트업 발굴 및 해외 진출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 혁신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디자인 보호 제도의 간소화, 국민 편의 증대**
지식재산처는 국민과 기업이 더욱 편리하게 디자인을 등록하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디자인보호법 시행령·시행규칙」과 「심사기준」을 개정**하여 2023년 11월 28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국제 기준에 맞추고, 불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
### 주요 개정 사항
1. **부분디자인 명칭 기재 요건 완화**
– 기존에는 제품 일부를 보호받더라도 물품명칭을 제품 전체로만 기재해야 했습니다.
예: ‘컵의 손잡이’를 보호받더라도 ‘컵’으로만 기재 가능.
– 개정 후에는 ‘컵’ 또는 ‘컵의 손잡이’ 중 자유롭게 선택하여 명칭 기재 가능.
– 이 방식은 미국, 유럽 등 주요 지식재산권 기관의 국제기준과 부합합니다.
2. **디자인출원서 기재항목 간소화**
– 기존에는 불필요하게 ‘부분디자인 여부’를 출원서에 별도로 작성해야 했으나, 이번 개정으로 도면 및 설명만으로 판단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 이에 따라 출원인이 잘못 기재해 보정을 요청받는 상황이 줄고, 심사도 신속히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
### 기대 효과
– 국민과 기업이 디자인권을 보다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제도 마련.
– 국제 법제와 조화를 이루어 한국의 디자인등록 제도를 경쟁력 있게 정비.
– 출원 절차 간소화로 국민 불편 해소 및 심사 효율성 강화.
이춘무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이번 개정을 통해 국민의 편의성을 높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보호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제도 개선에 힘쓸 것을 강조했습니다.
원문보기
**법무부, ‘국내외 체류 동포의 정착 실태와 사회통합 방안’ 세미나 개최**
법무부는 선문대학교, 한국연구재단과 공동으로 2025년 11월 13일(목) 오후 1시 30분부터 서울남부·출입국외국인사무소 대강당에서 **’국내외 체류 동포의 정착 실태와 사회통합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체류 중인 동포들의 사회적·문화적 정착 지원 및 통합을 위한 정책 개선 방안 논의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동포들의 체류 및 정착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세미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체류 동포들의 정착 실태와 문제점 분석
– 사회적 통합을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 방향 논의
– 국내외 사례를 통해 동포 지원 방안 모색
관련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자료를 통해 제공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
원문보기
### K-모빌리티 혁신: 미래를 선도하는 전략 발표
김민석 국무총리가 주재한 **제1차 ‘미래차 산업전략 대화’**에서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 미래를 이끌 **’K-모빌리티 글로벌 선도전략’**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AI 자율주행 기술 경쟁 강화, 탄소중립 요구 등 다양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비전입니다.
—
#### ① 美 관세 극복 및 전기차 지원 확대
– **미국 자동차·부품 관세 인하(15%) 합의**로 수출 여건이 다소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기업 부담이 존재.
– 정부는 **정책금융 15조 원 이상 공급(2026년 기준)**, 전기차 승용 보조금 대폭 확대(7,150억 원 → 9,360억 원)를 통해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추진.
– 전기·수소버스 구매 희망 운수사를 위한 새로운 **구매융자 사업 신설**.
– 한-멕시코 및 한-말레이시아 FTA 발효를 통한 수출 시장 다양화 모색.
—
#### ② K-모빌리티 마더팩토리 구축: 제조 혁신 및 친환경차 확대
– **국내 자동차 생산량 400만 대+유지**와 생산의 고도화를 목표로 한 정책 지원 강화.
– 노후차 폐차 후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 최대 100만 원 추가 지원.
– **2030년까지 전기차 주행거리 1,500km, 충전 5분 목표** 실현.
– AI를 활용한 제조 전 공정 혁신 및 **미래차 부품 전문기업 200개 지정**.
– ‘HTC-Bootcamp’를 통한 **근로자-첨단 로봇 협력형 일터 구축**.
—
#### ③ AI 자율주행 시대 준비
– **2027년 E2E-AI 자율주행 모델 개발**, 2028년 자율주행차 양산 목표.
– AI 단일 신경망 기반의 **E2E 자율주행 기술**로 연구 패러다임 전환.
– 자율주행 관련 **법·제도 정비(2026년 완료)**, 본격적 실증 확대.
– 한국형 **SDV 표준 플랫폼** 출시를 통해 글로벌 표준 경쟁 선도.
– **자율주행차 반도체 자립화율 10% 목표(현재 5%)**로 국내 공급망 강화.
—
#### ④ 글로벌 확장: 세계로 뻗어나가는 K-미래차
– 성장 가능성이 큰 7개 대상국을 중심으로 전략적 수출 시장 창출 지원.
– **미래차 산업기술혁신펀드 500억 원 조성**, 총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 활용.
– 전국적으로 산·학·연 연계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 중심의 경쟁력 강화.
—
### 결론: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
**’K-모빌리티 글로벌 선도전략’**은 자동차 산업을 미래 글로벌 산업의 중심으로 육성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계획입니다.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면서 친환경차 보급, 자율주행차 기술 경쟁력 확보, 해외 시장 다변화 등을 통해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갈 비전이 제시되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K-모빌리티 위상을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원문보기
**국내외 동포 정착 및 사회통합 방안 논의 세미나 개최**
법무부는 2025년 11월 13일 오후 1시 30분부터 4시 30분까지 서울남부출입국외국인사무소 대강당에서 ‘국내외 동포의 체류와 정주, 그리고 통합’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선문대학교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주최했으며, 국내외 거주 동포의 정착 실태를 점검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구체적인 세미나 내용과 결론은 별도 첨부 파일을 통해 제공된다며, 관심 있는 이들의 참여와 후속 논의에 기대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