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국방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국방부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성명은 한국 국방비를 GDP 대비 3.5%로 증액하고 주한미군 전력 유지 및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2026년에 검증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북한 위협 억제와 협력 강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 구축을 강조하며 지속적인 한미동맹 현대화를 위한 협의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
총평 이 성명은 북한과 역내 안보 환경 변화에 대처하면서 장기적으로 지역 안정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초석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leased the joint statement from the 57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The statement includes plans to increase South Korea’s defense budget to 3.5% of GDP, maintain U.S. troops’ readiness, and verify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fer by 2026.
It emphasized deterring North Korea’s threats while reinforcing peace-building efforts and modernizing the U.S.-South Korea alliance.
Summary This statement is a significant step towards addressing regional security challenges and ensuring long-term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日本語 国防部が第57回米韓安保協議(SCM)の共同声明を発表しました。
声明には韓国の国防予算をGDP比3.5%に増額し、在韓米軍の態勢維持と2026年における戦時作戦統制権転換の検証計画が含まれています。
また、北朝鮮の脅威を抑制しながら地域の平和構築や米韓同盟の近代化強化の重要性を再確認しました。
総評 この声明は地域安定を確保し、安全保障課題に取り組むための重要なステップとして位置づけられます。
中文 国防部公布了第57次韩美安保协商会议(SCM)的联合声明。
声明包括将韩国国防预算增加至占GDP的3.5%,维持驻韩美军战力,以及计划于2026年验证战时作战指挥权移交工作。
声明强调通过抑制朝鲜威胁,加强和平建设与现代化韩美同盟的重要性。
总评 此声明为应对区域安全挑战并确保朝鲜半岛长期稳定提供了重要框架。
Italiano Il Ministero della Difesa ha rilasciato la dichiarazione congiunta del 57° incontro di consultazione sulla sicurezza (SCM).
La dichiarazione prevede l’aumento del bilancio della difesa sudcoreano al 3,5% del PIL, il mantenimento delle forze USA in Corea e la verifica del trasferimento del controllo operativo in tempo di guerra entro il 2026.
Si è enfatizzata l’importanza di rafforzare la pace e modernizzare l’alleanza tra Corea del Sud e USA per fronteggiare le minacce nordcoreane.
Valutazione Questa dichiarazione rappresenta un passo cruciale per affrontare le sfide di sicurezza regionale e garantire stabilità a lungo termine nella regione.
이 대통령, 17∼26일 G20 정상회의 참석 및 중동 3개국 순방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이 17일부터 26일까지 UAE, 이집트, 남아공, 튀르키예를 순방하며 G20 정상회의에 참석합니다.
이번 순방은 경제 및 외교 협력 강화와 글로벌 연대 및 지속가능한 성장 방안을 논의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총평 이번 순방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주요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를 통해 경제와 외교적 이점을 가져올 가능성이 큽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will visit UAE, Egypt, South Africa, and Turkey from the 17th to the 26th, attending the G20 summit.
This trip focuses on strengthening economic and diplomatic ties while discussing global solidarity and sustainable growth models.
Summary The visit signifies Korea’s commitment to enhanc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potentially boosting its global standing and economic benefit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17日から26日までUAE、エジプト、南アフリカ、トルコを訪問し、G20首脳会議に出席します。
本訪問では経済・外交協力の強化、グローバルな連帯と持続可能な成長の方法を議論することが中心となっています。
総評 この訪問は韓国の国際的な地位強化と主要国との協力拡大を通じて、経済的にも外交的にも有益な成果をもたらす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将于17日至26日访问阿联酋、埃及、南非和土耳其,并出席G20峰会。
此次访问将重点加强经济与外交合作,同时讨论全球团结与可持续发展模式。
总评 此次出访预计将提升韩国国际地位,并强化与关键国家的合作,为经济和外交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visiterà Emirati Arabi Uniti, Egitto, Sudafrica e Turchia dal 17 al 26, partecipando al vertice G20.
Il viaggio si concentra sul rafforzamento delle relazioni economiche e diplomatiche mentre discute modelli di solidarietà globale e crescita sostenibile.
Valutazione Questa visita potrebbe rafforzare la posizione internazionale della Corea e favorire vantaggi economici e diplomatici significativi.
정부, 9·7 부동산 대책 후속조치 총력…’범부처 회의체 출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발표에 따라 실수요자를 위한 공급 계획을 신속히 구체화하고, 관계부처 간 협력을 통해 주택공급을 가속할 예정입니다.
총평 수도권에 주택을 마련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향후 확대될 주택 공급 계획으로 선택지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launched the ‘Housing Supply Promotion Ministers’ Meeting’ and held its first session to stabilize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housing market.
This initiative will focus on expediting supply plans for actual demanders while ensuring cross-ministerial cooperation to accelerate housing supply.
Summary People looking to secure housing in the capital region may benefit from increased options under future supply expansion plans.
日本語 政府は「住宅供給促進関係長官会議」を開催し、首都圏の住宅市場を安定化するための取り組みを本格化させました。
実需者向けの供給計画を迅速に構築し、省庁間連携を強化して住宅供給を加速させる予定です。
総評 首都圏で住宅を探している人々にとって、供給拡大策により選択肢が広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成立了“住房供应促进关系部长会议”,并举行了首次会议,以稳定首尔和首都圈的住房市场。
该计划将加快针对实际需求者的供应方案,并通过部门间合作推动住房供应速度。
总评 对于需要在首都圈购房的居民而言,未来的住房供应扩展计划将增加可选择空间。
Italiano Il governo ha avviato il ‘Consiglio dei Ministri per la Promozione della Fornitura di Abitazioni’ tenendo la sua prima seduta per stabilizzare il mercato immobiliare di Seoul e della regione capitale.
L’iniziativa mira ad accelerare i piani di fornitura per i veri acquirenti e a rafforzare la cooperazione interministeriale per incrementare l’offerta di abitazioni.
Valutazione Chi cerca una casa nella regione della capitale potrebbe beneficiare di un maggior numero di opzioni grazie ai piani di espansione della fornitura futura.
한미, 3500억 달러 규모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 서명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부와 미국 상무부는 35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운용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투자는 한국 기업의 대미 진출을 지원하고 관세 인하로 수출 불확실성을 완화하며 산업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양해각서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 진출 확대와 경제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n Ministry of Trade and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signed an MOU for strategic investment of $350 billion.
This includes supporting Korean companies’ entry into US markets, reducing tariff uncertainties, and strengthening industrial supply chain cooperation.
Summary This agreement is expected to boost global business opportunities for Korean companies and stabilize the economy.
日本語 韓国産業通商部と米国商務省は3500億ドル規模の戦略投資運用に関するMOUを締結しました。
この投資は韓国企業の米国進出支援、関税引き下げによる輸出の不確実性緩和、および産業供給網協力の強化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協定により韓国企業のグローバルな進出拡大と経済の安定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韩国产业通商部与美国商务部签署了3500亿美元战略性投资运营的谅解备忘录。
该项目涵盖支持韩国企业进入美国市场、降低关税不确定性,以及加强产业供应链合作内容。
总评 该协议预计将促进韩国企业的全球化发展,并为经济稳定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Sudcoreano e il Dipartimento del Commercio degli Stati Uniti hanno firmato un MOU per la gestione di un investimento strategico di 350 miliardi di dollari.
Questo investimento mira a supportare l’espansione delle aziende coreane sul mercato americano, ridurre le incertezze sui dazi e rafforzare la cooperazione nella filiera industriale.
Valutazione Questo accordo dovrebbe favorire l’internazionalizzazione delle imprese coreane e contribuire alla stabilità economica.
이 대통령 “경기북부 상황 안타까워…합리적인 일들 최대한 빨리 처리”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경기 북부 지역 주민들과 간담회를 열어 미군 반환 공여지 처리 문제와 군사 규제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논의했습니다.
경기 북부의 희생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각 부처가 협력해 합리적이고 신속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접경지역 주민들의 오랜 불편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지역발전과 주민 권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held a town hall meeting on November 14 to discuss challenges faced by the northern Gyeonggi region, including issues such as military land regulations and USFK land return delays.
He emphasized the need for government agencies to cooperate and promptly address the region’s problems to promote its development.
Summary Efforts to resolve longstanding issues coul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support regional improvement.
日本語 李在明大統領は14日、京畿北部地域住民とのタウンホールミーティングを開催し、在韓米軍返還地域の扱い問題や軍事規制による課題について話し合いました。
政府部門の迅速な協力と合理的な解決策の模索を通じて、地域発展を目指す姿勢を強調しました。
総評 長い間続いた困難を解決することで、住民の生活環境改善と地域発展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于11月14日举行与京畿北部地区居民的一场会议,讨论了包括美军归还用地问题以及军事法规带来的难题。
他强调需要各部门迅速协作,找到合理且有效的解决途径,以推动该地区的发展。
总评 解决长期存在的区域问题,无疑将改善居民生活质量并促进地区繁荣。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tenuto, il 14 novembre, un incontro con i residenti della regione settentrionale del Gyeonggi per discutere delle difficoltà derivanti dai regolamenti militari e dai ritardi sulla restituzione dei terreni delle forze USA.
Ha sottolineato la necessità di una cooperazione rapida tra i dipartimenti governativi per favorire lo sviluppo della regione.
Valutazione Affrontare i problemi di lunga data potrebbe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e sostenere il progresso regionale.
7년 이상 연체자도 성실상환 중이면 3%대 저리 대출…’새도약론’ 출범
요약보기
한국어 금융위원회와 신용회복위원회가 채무조정 이행자를 위한 특례 대출 ‘새도약론’을 본격 시행합니다.
대출 금리는 연 3~4%로, 7년 전 연체 뒤 빚을 6개월 이상 상환 중인 사람에게 최대 15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또한 5년 이상 연체자는 새도약기금과 동일 수준으로 채무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총평 재정을 재건하려는 채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경제적 회복의 중요한 기회를 확대합니다.
English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Credit Recovery Committee officially launched the ‘SaedoYak loan’ program to support debtors undergoing repayment adjustments.
This loan offers a 3–4% interest rate with up to 15 million KRW for individuals repaying debts for at least six months after defaulting seven years ago.
日本語 金融委員会と信用回復委員会は、債務調整を実行中の債務者を支援する特例貸付『セドヤクローン』を正式に開始しました。
この貸付は、7年前に延滞が発生し、6ヶ月以上債務を返済している人に対して、年3〜4%の金利で最大1500万ウォンを提供します。
さらに、5年以上の延滞者には、セドヤク基金と同様のレベルの債務調整を受けられる措置が実施されます。
総評 財政の再建を目指す債務者に現実的な支援を提供し、経済的安定に向けた道を広げます。
中文 金融委员会和信用恢复委员会正式推出专项贷款项目“再起贷款”,以支持正在进行债务调整的债务人。
该贷款年利率为3~4%,针对7年前发生逾期并至少已偿还债务六个月的个人,最高可支持1500万韩元。
总评 此项目为有意愿恢复经济状况的债务人提供了实质支持,有助于实现稳定与再发展。
Italiano La Commissione per i Servizi Finanziari e il Comitato per il Recupero del Credito hanno lanciato ufficialmente il programma speciale di prestiti ‘SaedoYak loan’ per i debitori in fase di ristrutturazione del debito.
Il prestito offre un tasso d’interesse del 3–4% e fino a 15 milioni di KRW per chi ha ripagato il debito per almeno sei mesi dopo un default avvenuto sette anni fa.
오픈뱅킹에도 안심차단서비스 도입…보이스피싱 막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오픈뱅킹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를 도입하며, 금융거래 전 과정에서 보이스피싱을 차단하는 3단계 안전체계를 완성했습니다.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금융회사를 선택해 안심차단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으며, 본인 계좌의 오픈뱅킹 거래를 직접 차단할 수 있습니다.
총평 이 서비스는 보이스피싱 방지를 통해 금융 안전을 높이는 동시에 소비자의 편리한 금융 생활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Open Banking Safety Blocking Service’ to prevent voice phishing through open banking, completing a three-step security system in financial transactions.
Consumers can choose financial institutions to enroll in the service and directly block open banking transactions for their account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hance financial safety by preventing voice phishing while maintaining consumer convenience in banking services.
日本語 政府はオープンバンキングを経由したボイスフィッシング被害を防ぐために「オープンバンキング安心遮断サービス」を導入し、金融取引全体でボイスフィッシングを遮断する3段階安全体制を完成させました。
利用者は希望する金融機関を選び、安心遮断サービスに登録することで自身の口座でのオープンバンキング取引を直接遮断できます。
総評 この対策はボイスフィッシング被害を減少させ、消費者の安全な金融生活を支え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推出“开放银行安心拦截服务”以预防通过开放银行进行的网络诈骗,并完成金融交易全过程的三维安全体系。
消费者可以选择特定的金融机构加入该服务,直接拦截其账户上的开放银行交易。
总评 此服务不仅能提升金融安全性,还在一定程度上兼顾了消费者的使用便利性。
Italiano Il governo ha introdotto il “Servizio di Blocca Sicura dell’Open Banking” per prevenire le frodi tramite open banking, completando un sistema di sicurezza in tre fasi per le transazioni finanziarie.
I consumatori possono selezionare le istituzioni finanziarie per iscriversi al servizio e bloccare direttamente le transazioni di open banking sui loro conti.
Valutazione Questo servizio può rafforzare la sicurezza finanziaria dei consumatori, garantendo al tempo stesso una gestione pratica delle operazioni bancarie.
인도양·남극해 해저 지명 6곳, 김정호·세종 해산 등 우리말로 등재
요약보기
한국어 인도양과 남극해에 위치한 세계 해저 지형 6곳에 우리말 지명이 새롭게 지정되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김정호 해산, 세종 해산 등 한국에서 제안한 명칭이 승인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총평 이번 등재는 한국의 해양조사 기술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로, 향후 관련 연구와 국제적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English Six underwater geographic features in the Indian Ocean and the Antarctic have been named in Korean.
The Ministry of Oceans announced that names like Kimjungho Seamount and Sejong Seamount proposed by Korea were officially approved during the 38th SCUFN meeting.
Summary This achievement showcases Korea’s oceanographic expertise internationally and may strengthen future research and global contributions in marine studies.
日本語 インド洋と南極海にある6つの海底地形が新たに韓国語で名付けられました。
海洋水産部は、38次国際海底地名委員会で韓国が提案した名称が承認されたことを発表しました。
総評 この成果は韓国の海洋調査技術を世界に広く知らせる機会となり、今後の研究や国際的な活動にも貢献するでしょう。
中文 在印度洋和南极海的六处海底地形已被赋予韩文名称。
海洋水产部宣布,韩国提议的金正浩海山和世宗海山等名称在第38次国际海底地名委员会会议上获得批准。
总评 此次命名彰显了韩国的海洋调查实力,并将推动未来的研究以及国际合作。
Italiano Sei formazioni geografiche subacquee nell’Oceano Indiano e nell’Oceano Antartico hanno ricevuto nomi coreani.
Il Ministero degli Oceani ha annunciato che nomi come Kimjungho Seamount e Sejong Seamount, proposti dalla Corea, sono stati approvati durante la 38ª riunione SCUFN.
Valutazione Questo risultato dimostra l’eccellenza tecnologica della Corea nelle indagini marine, rafforzando così studi e contributi internazionali futuri.
“겨울철 활동반경 커지는 야생멧돼지”…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대책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막기 위해 관련 표준행동지침을 개정하고, 포획 및 방역 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폐사체 수색을 강화하고 위성항법장치와 열화상 무인기를 활용한 과학적 모니터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야생멧돼지로 인한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축산 농가와 지역사회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ergy and Environment has announced measures against the spread of African swine fever, including revising SOPs and enhancing trapping and monitoring systems.
Efforts focus on border areas, with strengthened carcass searches and scientific monitoring using GPS-equipped traps and thermal drone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effectively control disease spread from wild boars, minimizing damage to livestock farms and local communities.
日本語 気候エネルギー環境部はアフリカ豚熱拡散防止のため、関連した標準行動指針を改定し、捕獲・防疫管理体制を強化する対策を発表しました。
接境地域を中心に死体捜索を強化し、GPSや熱画像ドローンを活用した科学的モニタリングを拡大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対策は野生のイノシシによる感染拡散を効果的に抑制し、畜産農家や地域社会の被害を最小限に抑える期待がされます。
中文 气候能源环境部宣布了一项防止非洲猪瘟扩散的措施,包括修订标准行动指引并加强捕猎和监控系统。
措施主要集中在边境地区,通过强化尸体搜索以及利用安装GPS的捕捉陷阱和热成像无人机进行科学监测。
总评 该措施旨在有效控制野生猪传播疾病,最大限度地减少养殖场及社区的潜在损失。
Italiano Il Ministero dell’Energia e Ambiente ha annunciato misure contro la diffusione della febbre suina africana, rivedendo le SOP e rafforzando i sistemi di monitoraggio e tracciamento.
Gli sforzi si concentrano nelle aree di confine, con ricerche di carcasse rafforzate e il monitoraggio scientifico tramite trappole con GPS e droni termici.
Valutazione Queste misure mirano a controllare efficacemente la diffusione della malattia tramite cinghiali selvatici, minimizzando i danni alle fattorie e alle comunità locali.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으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선정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유산청은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유산은 한국전쟁 중 피란수도로서의 역사적, 사회적 가치를 지니며, 9개의 주요 구성요소와 함께 국제 평화를 상징합니다.
총평 부산의 유산은 한국전쟁의 흔적을 보존하며, 이를 통해 역사를 기억하고 세계에 알릴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selection of “Heritage of Busan as a Wartime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for UNESCO’s priority inclusion list.
This heritage highlight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Busan as a wartime capital and includes nine key elements symbolizing international peace.
Summary This recogn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preserve traces of the Korean War and showcase them globally.
日本語 国家遺産庁は「韓国戦争期避難首都釜山の遺産」をユネスコ世界遺産の優先登録リストに選定したと発表しました。
この遺産は韓国戦争中に避難首都としての歴史的価値を示し、国際平和の象徴となる9つの主要な要素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韓国戦争の記憶を保存し、それを世界に伝える意義深い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国家遗产厅宣布将“韩国战争时期疏散首都釜山遗产”列入联合国教科文组织优先列入名录。
这一遗产展示了韩国战争期间作为疏散首都的历史价值,共包含九个象征国际和平的重要组成部分。
总评 这项认可不仅保护战争遗迹,还为全球推广提供了宝贵的机会。
Italiano L’Amministrazione del Patrimonio Culturale ha annunciato che il “Patrimonio di Busan come capitale temporanea durante la Guerra di Corea” è stato selezionato per la lista prioritaria UNESCO.
Questo patrimonio evidenzia il ruolo storico di Busan come capitale temporanea e comprende nove elementi chiave che simboleggiano la pace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riconoscimento offre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preservare i segni storici della guerra e condividere il patrimonio con il mondo.
정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완료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대전센터 내 복구 예정 시스템 693개가 목표보다 일주일 앞당겨 완료되었으며, 전체 복구 시스템은 696개로 복구율 98.2%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등급별 복구율은 1등급 100%, 2등급과 3등급은 각각 98.5%, 4등급은 97.6%입니다.
총평 이번 복구 작업은 정보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해 국민과 기업에게 더욱 안전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at 693 planned systems at the Daejeon center were restored a week ahead of schedule, achieving a total recovery of 696 systems with a success rate of 98.2%.
Recovery rates by grade were 100% for Grade 1, 98.5% for Grades 2 and 3, and 97.6% for Grade 4.
Summary This restoration effort is expected to strengthen system stability, ensuring safer services for citizens and businesse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大田センター内の予定されていたシステム693個が目標より1週間早く復旧され、合計復旧システムは696個で復旧率98.2%を達成したと発表しました。
復旧率は1等級100%、2等級と3等級は98.5%、4等級は97.6%でした。
総評 この復旧作業は、情報システムの安全性を向上させ、国民と企業により安全なサービス環境を提供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行政安全部宣布大田中心内计划恢复的693个系统提前一周完成,总计恢复系统达到696个,恢复率为98.2%。
各等级系统恢复率分别为一级100%、二级和三级均为98.5%,四级为97.6%。
总评 此次恢复工作有望增强信息系统的稳定性,为大众和企业提供更安全的服务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che i 693 sistemi previsti nel centro di Daejeon sono stati ripristinati con una settimana di anticipo, raggiungendo un totale di 696 sistemi con un tasso di recupero del 98,2%.
I tassi di recupero per grado sono stati del 100% per il grado 1, 98,5% per i gradi 2 e 3, e 97,6% per il grado 4.
Valutazione Questo sforzo di ripristino migliorerà la stabilità dei sistemi informatici, garantendo servizi più sicuri per i cittadini e le imprese.
납품대금 연동제에 에너지 경비 추가…상생협력법 개정안 국회 통과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납품대금 연동제를 에너지 경비까지 확대하는 ‘상생협력법’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법 개정은 기업 간 공정한 거래를 촉진하고 중소기업의 부담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상생금융지수 등 새로운 정책도 포함합니다.
총평 중소기업들은 에너지 비용 부담 경감뿐만 아니라 보다 공정한 거래 환경 및 금융 지원 확대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amendments to the “Win-Win Cooperation Act,” extending delivery price linkage systems to include energy costs.
The revision aims to alleviate burdens on SMEs and support fair transaction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indices like the win-win finance index.
Summary SME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reduced energy cost burdens and enhanced access to fairer trading and financial support environments.
日本語 中小企業ベンチャー省は、納品代金連動制をエネルギー経費まで拡大する「共生協力法」の改正案を発表しました。
この改正は、中小企業の負担軽減や公正な取引環境の促進を目的としており、共生金融指数の導入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中小企業にとって、エネルギー経費負担の軽減に加え、公正な取引環境や金融支援の拡充というメリット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宣布修订《大中小企业协力促进法》,将交付价格联动机制扩展到包括能源费用。
修订旨在减轻中小企业的负担,促进公平交易环境,同时引入了共生金融指数等新政策。
总评 中小企业有望减轻能源成本负担,并得到更公平交易环境和更多金融支持的机会。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Startups ha annunciato un emendamento alla legge “Cooperazione tra grandi e piccole imprese,” estendendo il sistema di collegamento dei prezzi di consegna ai costi energetici.
L’emendamento mira a ridurre i costi per le piccole imprese, promuovere transazioni eque e introdurre nuovi strumenti, come l’indice di finanziamento cooperativo.
Valutazione Le PMI potranno beneficiare della riduzione dei costi energetici oltre a un ambiente commerciale più equo e ad accesso ampliato al sostegno finanziario.
UAE 두바이에 K-스타일 총출동…’케이-박람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글로벌 빌리지에서 ‘2025 케이-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콘텐츠, 푸드, 뷰티 등 한류 연관 산업을 망라한 행사로 226개 기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현지 소비자와 글로벌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전시회, 공연, 수출 상담 등을 통해 한류 이미지와 산업 확장을 도모합니다.
총평 이번 박람회는 한류와 중동 시장을 연결하며 한국 기업의 새로운 해외 진출 기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2025 K-Expo’ will be held at the Global Village in Dubai, UAE.
This large-scale event brings together 226 companies featuring industries like K-beauty, food, content, and more, showcasing Korean culture and business opportunities.
Various programs will target local consumers and international tourists, promoting Korea’s image and facilitating exports.
Summary This expo offers a unique chance for Korean companies to strengthen their foothold in the Middle Eastern market through the growing global interest in Korean culture.
日本語 アラブ首長国連邦(UAE)のドバイにあるグローバル・ビレッジで「2025 K-博覧会」が開催されます。
コンテンツ、食品、美容など韓流に関連する産業が一堂に会し、226の企業が参加する大規模なイベントが繰り広げられます。
地元の消費者と国際観光客を対象にイベントや相談会を通じて韓流文化および産業の拡張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博覧会は韓流が中東市場でさらなる広がりを見せ、韓国企業に新たな進出の機会をもたらすものです。
中文 “2025 K博览会”将在阿联酋迪拜的全球村举行。
此次活动规模空前,涵盖内容、食品、美容及其他韩流相关产业,有226家企业参与其中。
通过展览、表演和出口咨询等活动,为当地消费者和全球游客展示韩国风格与产业扩展潜力。
总评 此次博览会将促进韩流产业与中东市场连接,为韩国企业带来新的国际发展机会。
Italiano Il ‘K-Expo 2025’ si terrà al Global Village di Dubai, negli Emirati Arabi Uniti.
L’evento vede la partecipazione di ben 226 aziende, con settori che spaziano dal K-beauty al cibo e ai contenuti culturali, mostrando il meglio della cultura coreana.
Programmi mirati coinvolgeranno sia il pubblico locale che i turisti internazionali, favorendo l’espansione dell’immagine e dell’industria coreana.
Valutazione Questo expo rappresenta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le aziende coreane di rafforzare la propria presenza nel mercato mediorientale tramite il crescente interesse globale verso la cultura coreana.
비만치료제 부작용, 청소년이 성인보다 높아…”안전하게 사용해야”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GLP-1 계열 청소년 비만치료제 사용과 관련된 부작용 발생률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안내와 교육·홍보를 강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식약처는 안전사용 리플릿을 의료기관과 가정에 배포하고 관련 기관과 협력해 청소년이 약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청소년과 부모가 약물 사용 시 유의사항을 숙지하고 부작용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measures to address the safety concerns and higher adverse effect rates associated with GLP-1-based obesity treatments for adolescent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lans to distribute safety-use guides to medical institutions and families, while collaborating with relevant organizations to promote proper usage.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help adolescents and families better understand medication guidelines, minimizing risks and improving safety during usage.
日本語 政府はGLP-1系の若者向け肥満治療薬の使用に関する安全問題を解決するため、情報提供、教育、広報の強化策を発表しました。
食品医薬品安全処は医療機関や家庭に安全使用リーフレットを配布し、関係機関と協力して適切な薬物使用を支援する予定です。
総評 本政策は若者と保護者が薬剤使用時の注意事項を理解し、副作用を予防する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宣布将加强GLP-1类青少年肥胖药物的安全信息宣传,并采取相关教育和推广措施。
食品药品安全处计划向医疗机构和家庭分发安全使用手册,并与相关部门合作促进正确用药支持。
总评 此措施有助于青少年和家庭了解药物使用规范,从而降低风险并保障用药安全。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misure per affrontare le problematiche di sicurezza legate ai trattamenti anti-obesità basati su GLP-1 per gli adolescenti, che mostrano un tasso più elevato di effetti collaterali.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distribuirà guide pratiche presso strutture mediche e famiglie, collaborando con enti per garantire un uso corretto del farmaco.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iuta gli adolescenti e le famiglie a comprendere meglio l’uso del trattamento, riducendo i rischi e migliorando la sicurezza.
국토부, ‘수도권 공공주택 내년 적기 착공’…”9·7 부동산 대책 차질없이 이행”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9·7 부동산 대책에 따라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을 위한 후속조치에 나섰습니다.
올해 발표된 공급 확대 방안의 적기 이행을 위해 제반 절차를 점검하고, 내년 착공 물량 확보를 위한 사업 추진과 법·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수도권 주거 수요에 대응하고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주택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initiated follow-up measures under the September 7 real estate policy to boost housing supp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fforts are underway to ensure timely implementation of supply plans, with discussions on next year’s construction schedules, procedural acceleration, and legal reforms.
Summary This policy aims to address the high housing demand in the metropolitan area, stabilizing the housing market through increased supply.
日本語 政府が9月7日不動産対策に基づき、首都圏公共住宅供給の後続措置を開始しました。
来年の供給目標達成に向けて該当事業の現状を点検し、関連する法制度の改善に対する議論を進め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首都圏住宅需要に応え、市場を安定化させ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政府根据9月7日房地产政策推进首都圈公租房供给的后续措施。
现正通过检查供给计划和加速程序以确保按时施工,并讨论法律及制度改革事项。
总评 此政策预计将缓解首都圈的住房需求压力,并稳定房屋市场。
Italiano Il governo ha adottato misure successive al piano immobiliare del 7 settembre per aumentare l’offerta di alloggi pubblici nella zona metropolitana di Seoul.
Si stanno verificando i piani di fornitura e accelerando i processi per garantire le costruzioni previste per l’anno prossimo, discutendo anche miglioramenti legislativ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ra a soddisfare la domanda di alloggi nell’area metropolitana e stabilizzare il mercato immobiliare tramite maggiore offerta.
K-모빌리티 혁신 이끈다…내년 정책금융 15조 원 이상 투입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2024년 K-모빌리티 혁신을 위해 정책금융 15조 원 이상과 500억 원 규모의 미래차 산업기술혁신펀드를 조성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자율주행차를 2028년까지 양산하며, 자동차 부품기업을 친환경 미래차 중심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차 구매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며,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for 2024 to supply over KRW 15 trillion in policy financing and establish a KRW 500-billion fund for future mobility technology innovation.
The aim includes mass production of self-driving cars by 2028 and transforming auto parts companies towards eco-friendly future vehicl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hance the automotive industry’s competitiveness while providing greater benefits for green car buyers and preparing for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日本語 政府は2024年に向け、政策金融15兆ウォン以上の供給と500億ウォン規模の未来型車産業技術革新ファンドの創設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また、2028年までに自動運転車の量産を目指し、自動車部品企業を環境に優しい未来型車中心に転換する支援を行う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自動車産業の競争力を高め、環境車購入者にさらなる恩恵を与え、自動運転時代を加速させ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2024年将提供超15万亿韩元政策性金融,并设立500亿韩元规模的未来汽车技术创新基金。
目标包括到2028年实现自动驾驶汽车量产,并支持汽车零部件企业向环保型未来汽车转型。
总评 此举将提升汽车产业竞争力,同时为环保汽车消费者提供更多福利,加速自动驾驶时代的到来。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che nel 2024 fornirà oltre 15 trilioni di won in finanziamenti politici e istituirà un fondo di innovazione tecnologica da 500 miliardi di won per l’industria automobilistica del futuro.
L’obiettivo include la produzione su larga scala di auto a guida autonoma entro il 2028 e la trasformazione delle aziende di parti automobilistiche verso veicoli ecologici d’avanguardi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umenterà la competitività dell’industria automobilistica e offrirà maggiori benefici agli acquirenti di veicoli ecologici, accelerando l’arrivo dell’era della guida autonoma.
김용범 정책실장 “반도체 관세 대만보다 불리하지 않게…농산물 추가 개방 없어”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과 미국이 경제·통상 분야에서 공동 팩트시트를 발표하며 주요 산업 협력과 관세 인하를 공식화했습니다.
이번 합의에는 자동차·농업·디지털 분야의 비관세 장벽 해소와 양국 민간 협력 확대를 통해 경제적 유대 강화를 포함합니다.
총평 관세 인하와 비관세 분야 개선은 수출과 투자 활력을 높여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leased a joint fact sheet on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formalizing key industrial collaboration and tariff reductions.
The agreement includes addressing non-tariff barriers in areas such as automobiles, agriculture, and digital, aiming to strengthen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ummary Tariff reductions and improved non-tariff measures are expected to bolster exports and investment, positively impacting businesses and consumers alike.
日本語 韓国とアメリカは、経済・通商分野で共同ファクトシートを発表し、主要産業協力や関税引き下げを正式化しました。
自動車、農業、デジタル分野の非関税障壁解消や民間協力の拡大で両国の経済的結びつきを強化する内容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関税引き下げと非関税障壁改善は輸出と投資を促進し、企業や消費者に好影響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与美国发布经济和贸易合作联合事实清单,正式化主要产业合作和降低关税措施。
协议涵盖汽车、农业和数字领域的非关税壁垒问题,同时扩大民间合作以加强两国经济联系。
总评 降低关税与优化非关税壁垒有望促进出口与投资,对企业与消费者都会带来积极影响。
Italiano La Corea del Sud e gli Stati Uniti hanno pubblicato un documento congiunto sulle relazioni economiche e commerciali, ufficializzando la cooperazione industriale chiave e la riduzione delle tariffe.
L’accordo mira anche ad affrontare le barriere non tariffarie nei settori automobilistico, agricolo e digitale, rafforzando i legami economici tra i due Paesi.
Valutazione Riduzioni tariffarie e miglioramenti nelle misure non tariffarie potrebbero stimolare le esportazioni e gli investimenti, generando benefici sia per le imprese che per i consumatori.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 공동 설명자료 전문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간 관세와 안보 분야 협상 결과를 담은 공동 설명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은 조선, 반도체, 의약품 등 핵심 산업 분야에서 미국과 협력을 확대하며, 관세 조정과 전략적 투자를 통한 상호무역 증진을 추진합니다.
총평 이번 합의는 관세 부담 완화와 더불어 주요 산업에서 시장 기회를 확대하여 한국 경제와 대외 교역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officially announced the joint fact sheet regarding the results of recent Korea-U.S. negotiations on tariffs and security.
The agreement focuses on strengthening cooperation across key industries such as shipbuilding, semiconductors, and pharmaceuticals, while enhancing trade through tariff adjustments and strategic investments.
Summary This deal is expected to ease trade barriers and boost market opportunities, potentially contributing to economic growth and broader international cooperation.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韓米間の関税および安全分野に関する協議結果を盛り込んだ共同説明資料を発表しました。
韓国は造船、半導体、医薬品などの主要産業分野において米国との協力を強化し、関税調整や戦略的投資を通じて貿易促進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合意は市場拡大と経済活性化につながり、韓国の国際貿易競争力を強化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李在明总统正式宣布了韩国与美国间的关税及安全领域协商结果的共同说明文件。
协议内容包括加强在造船、半导体和医药等关键领域的合作,并通过调整关税和战略投资促进双边贸易。
总评 该协议有望降低贸易壁垒,同时扩大市场机会,对经济增长和国际合作产生积极影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annunciato ufficialmente i risultati delle negoziazioni tra Corea e Stati Uniti riguardanti tariffe e sicurezza, presentando un documento congiunto esplicativo.
L’accordo mira a rafforzare la collaborazione in settori strategici come cantieristica navale, semiconduttori e farmaceutica, attraverso investimenti strategici e adeguamenti tariffari per favorire il commercio.
Valutazione Questa intesa potrebbe semplificare le barriere commerciali, creando nuove opportunità di mercato e favorendo la crescita economica e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이 대통령, 한미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타결”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한미 무역 통상 협상 및 안보 협의가 최종 타결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협약은 핵 추진 잠수함 건조와 인공지능 및 반도체 등 첨단산업 협력, 주한미군 주둔 강화 등을 포함하며, 한미 동맹을 미래형 전략적 포괄동맹으로 심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합의는 한미 간 경제 및 안보 협력 강화는 물론, 첨단산업 발전과 한반도 평화에 중요하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announced on November 14 the final agreement on U.S.-South Korea trade and security negotiations.
The agreement includes advancing nuclear-powered submarine construction, collaboration in AI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and strengthening U.S. troop presence in Korea, enhancing the alliance into a future-oriented strategic partnership.
Summary This agreement is expected to boost economic and security ties between the nations while paving the way for innovation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日本語 李在明大統領は11月14日、米韓貿易通商協議と安全保障協議の最終合意を発表しました。
合意内容には、原子力潜水艦建造、AI及び半導体などの先端産業協力、在韓米軍の駐留強化が含まれ、未来型戦略的包括同盟への深化を目指したものです。
総評 米韓間の経済・安全保障協力が強化されることで、イノベーションと半島平和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于11月14日宣布韩美贸易和安全协议最终达成。
协议内容包括推动核动力潜艇建造、AI及半导体等尖端产业合作,以及加强驻韩美军的存在,将同盟深化为未来型战略性全面合作关系。
总评 此协议有望加强韩美两国的经济与安全合作,同时促进尖端科技发展和半岛稳定。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annunciato il 14 novembre il raggiungimento dell’accordo finale sulle negoziazioni commerciali e di sicurezza tra Stati Uniti e Corea.
L’accordo prevede lo sviluppo di sottomarini nucleari, la collaborazione in settori avanzati come IA e semiconduttori, e il rafforzamento della presenza militare americana in Corea, trasformando l’alleanza in una partnership strategica del futuro.
Valutazione L’accordo potrebbe rafforzare i legami economici e di sicurezza tra i due paesi, stimolando l’innovazione e la stabilità nella penisola coreana.
직장인에 ‘든든한 한끼’…”내년 예산, 국민 위해 이렇게 씁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내년부터 직장인 식비 지원, 지역관광 활성화, 어르신 스포츠 강좌 제공 등의 국민체감 사업을 추진합니다.
또한 어린이 과일 간식 지원, HPV 및 독감 무료접종 대상 확대, 아동 야간 돌봄 서비스 확충 등 생활 밀착형 정책을 포함시켰습니다.
총평 다양한 정책은 직장인, 어린이, 노인 등 여러 계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s set to introduce people-focused policies next year, such as meal support for workers, boosting regional tourism, and offering sports programs for the elderly.
Other measures include free distribution of fruit snacks for children, expanded HPV and flu vaccination programs, and increased night childcare services.
Summary These initiatives are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cross different demographics, from employees to children and seniors.
日本語 政府は来年から職場向け食事補助、地域観光活性化、シニア向けスポーツクラス提供など、国民に寄り添った政策を実施します。
さらに、子供への果物支援およびHPVとインフルエンザ接種対象拡大、夜間の児童ケアサービス充実も含めています。
総評 これらの新政策は職場労働者や子供、高齢者に具体的な助けを与え、生活の質向上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计划从明年起推行一系列贴近民众的政策,包括为职工提供餐费补贴、促进区域旅游、以及为老年人开设体育课程。
此外,还涉及儿童水果零食支持计划、扩大HPV和流感疫苗接种范围,以及加强夜间儿童照护服务。
总评 这些政策针对职工、儿童和老年群体,旨在显著改善生活质量和健康水平,提升整体社会福祉。
Italiano Il governo intende lanciare nuove iniziative dal prossimo anno, tra cui il sostegno per i pasti agli impiegati, la promozione del turismo regionale e programmi sportivi per anziani.
Altre misure comprendono merende di frutta per bambini, estensione della vaccinazione HPV e antinfluenzale, e ampliamento dei servizi di assistenza notturna ai bambini.
Valutazione Queste politiche mirano a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per diversi gruppi sociali, di lavoratori, bambini e anziani.
요약
원문보기
### 국방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 공동성명문 발표
국방부는 11월 14일,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채택된 공동성명문을 공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안규백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전쟁부 장관이 공동 주재했으며, 양국의 방위 협력 및 동맹 강화 방안을 다루는 주요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 공동성명의 주요 내용
1. **한국 국방비 증액**
– 한국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3.5%로 증액한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이는 한미 동맹 강화와 방위 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평가받았습니다.
2. **전시작전통제권(OPCON) 전환 논의**
– 양측은 2026년까지 미래연합군사령부의 완전운용능력(FOC) 검증을 완료하고, 안정적이고 계획적인 전작권 전환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3. **확장억제 제공**
– 미국은 핵을 포함한 모든 군사적 역량을 통해 확장억제를 제공하겠다는 확실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또한, 한미 핵협의그룹(NCG)의 성과를 평가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미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4. **역내 안보 협력 강화**
– 양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북러 군사협력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한반도와 역내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도전으로 지목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미 간 긴밀한 공조는 물론, 한미일 3국 간 안보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5. **군사 훈련 및 연합방위태세**
– 한미는 ‘자유의 방패(FS)’ 및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합훈련을 통해 대비태세를 강화했으며, 양국 군사 훈련 여건 및 실사격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6. **방위산업 및 기술협력**
– 첨단 국방과학기술 협력을 확대하고, 방위산업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미국 전투함정의 정비와 유지(MRO) 사업에 한국 업체가 참여하는 성과가 주목받았습니다.
7. **주한미군 관련 논의**
– 양측은 주한미군기지 반환, 용산기지 및 경기북부 미반환기지 반환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기로 했고, 방위비분담금 특별협정(SMA)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
### 결론 및 향후 계획
안규백 장관과 헤그세스 장관은 SCM 및 MCM 회의 결과가 한미동맹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으며, 차기 회의는 2026년 워싱턴 D.C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양국은 급변하는 안보 환경에 대비해 동맹 관계를 효과적으로 현대화하고 강화해 나갈 것을 다짐했습니다.
> 자료 제공: 대한민국 국방부
> 원문 출처: [www.korea.kr](https://www.korea.kr)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남아공 G20 및 중동·아프리카 3국 순방 예정**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17일부터 26일까지 7박 10일 일정으로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되는 G20 정상회의 참석과 함께 UAE, 이집트, 튀르키예를 방문할 예정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4일 브리핑을 통해 이번 순방 일정과 주요 참여 활동을 발표했다.
### 주요 일정 및 방문 국가:
1. **UAE (17~19일)**
대통령은 UAE 아부다비에 도착 후 현충원 및 자이르 초대 대통령 영묘 방문을 시작으로, 동포 만찬 간담회를 진행한다. 18일에는 공식 환영식과 UAE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MOU 서명식, 국빈 오찬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19일에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양국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현지 부대 장병을 격려하는 일정도 포함된다.
2. **이집트 (20~21일)**
카이로에서 공식 환영식을 시작으로 정상회담과 공식 오찬을 진행하며, 카이로대학교에서 연설을, 이후 재외동포 간담회를 개최한다.
3. **남아공 — G20 정상회의 (21~23일)**
이번 남아공 회의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최초로 열리는 G20 정상회의로,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진행된다. 이 대통령은 세 세션에 참석해 경제 성장, 기후 변화,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글로벌 의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4. **튀르키예 (24~25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묘소 방문, 정상회담 및 국빈 만찬 등의 외교 일정이 진행되며, 25일에는 한국전 참전기념탑 헌화 및 현지 동포와의 간담회를 통해 순방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 순방 의의 및 기대 성과:
위 국가안보실장은 이번 순방이 중동 핵심국가들과의 외교를 강화하여 한반도 및 중동 평화의 협력적 기반을 다지고, 방산 수출 확대, 첨단 기술 및 보건의료 분야 협력 증진 등 실질적 경제적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K-컬처를 해당 지역으로 확산시키고 문화 교류를 활성화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민국은 2028년 G20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으로, 이번 회의를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한국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발판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 결론: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일정은 실용외교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협력, 지역 평화, 그리고 문화 교류 확대를 목표로 하는 다각적인 접근을 보여준다. 남아공에서의 첫 G20 회의 참여와 중동·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는 국제무대에서의 한국의 참여와 연대를 확대할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원문보기
정부는 10월 14일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여 주택시장 안정과 주택공급 촉진 방안을 논의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번 회의가 서울·수도권의 주택공급을 가속화하기 위한 장·차관급 논의 틀로 출범했으며, 앞으로 이 회의를 통해 부처 간 이견을 신속히 조율하고 구체적인 공급 이행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매 격주 장·차관급 회의와 분과회의를 수시로 열어 주택 공급 상황을 점검하고 보완할 계획이다. 구 부총리는 협력 강화를 통해 공급 실행력을 높이고 실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빠르게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5년간 135만 호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는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이 신속히 추진되고 있음을 언급했다. 또한 시장 과열을 억제하기 위한 ‘10·15 대책’ 후속 조치와 함께, 정부 각 부처의 협력을 통해 양질의 주택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수요를 안정시키고 공급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공급계획을 수립해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길 계획이다.
원문보기
### 한미 전략적 투자 양해각서(MOU) 서명 및 주요 내용 정리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14일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미 전략적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7월 관세 협상 합의 이후 약 3개월 반 만에 이뤄진 추가 협력 성과로, 양국 간 경제 및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
### 주요 내용 요약
1. **투자 규모 및 구조**
–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 구분: 2000억 달러 직접 투자와 1500억 달러 조선 협력 투자.
– 한국 기업 직접투자(FDI), 보증 및 선박 금융 등이 포함.
2. **투자 영역 및 추진 방식**
– 분야: 조선,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핵심광물, AI 등 전략산업 중심.
– 사업 선정: 미 투자위원회에서 결정, 한국 협의위원회와 사전 협의 필요.
– 투자 방식: 투자 SPV(특수목적법인) 설립 및 개별 프로젝트 관리.
3. **자금 납입 및 수익 구조**
– 최종 투자금 납입 시한: 미국 대통령 승인일로부터 최소 45영업일 안 납입.
– 이자율: 미국 국채 20년물 기준금리 + 스프레드.
– 수익 배분: 원리금 상환 전 5:5, 이후 1:9(한국:미국) 배분. 단, 원리금 상환 지연 시 비율 조정 가능.
4. **관세 협상 내용**
– 관세 인하: 자동차 및 부품, 의약품 등은 15% 관세 유지. 반도체 경우 대만과 비슷한 대우.
– 관세 면제 품목: 항공기·부품, 철강·알루미늄·구리, 제네릭 의약품 등.
– 목재, 전략 품목 등 일부 품목 소급 적용.
5. **조선협력 강화**
– 미국은 연방토지 임대, 용수 및 전력공급, 구매계약 주선 등 지원 약속.
– 전액 한국 기업이 수익을 귀속할 수 있는 투자 구조.
—
### 주요 성과와 기대 효과
1. **수출 및 경제 불확실성 완화**
– 232조 관세 15% 확보 및 추가 관세 인하.
– 주요 품목(반도체, 의약품 등) 수출 경쟁력 유지.
2. **상업적 합리성 반영**
– 충분한 자금 회수가 가능한 프로젝트 우선 추진.
– 하나의 프로젝트 손실 발생 시 다른 성공 프로젝트 수익 보전 가능한 리스크 관리 구조.
3. **우리 기업 대미 진출 확대**
– 한국 프로젝트 매니저 및 벤더 우선 선정.
– 미국의 유·무형적 지원 확보.
4. **외환시장 부담 경감**
– 투입 자금 규모를 축소(2000억 달러)하고 연간 200억 달러 한도로 단계적 납입.
—
### 한미 협력의 의미와 정부 입장
이번 MOU 체결은 한미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 강화를 의미하며, 양국이 상호호혜적 관계에서 전략적인 산업·공급망 협력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습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국민과 기업인들의 지지와 협조에 감사를 표하며, 이번 협약이 국익에 부합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
### 문의처:
– **산업통상부 미주통상과:** 044-203-5653
– **기획재정부 외화자금과:** 044-215-4860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경기 북부지역 문제 해결 의지 강조하며 주민 의견 청취**
14일, 이재명 대통령은 경기 파주시에서 열린 ‘경기 북부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 미팅 간담회에 참석하여 경기 북부지역 주민들의 고충과 의견을 청취하며 해당 지역 문제가 오랜 기간 해결되지 못한 점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 대통령은 “경기 북부지역이 특별한 희생을 치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특별히 배제되는 상황이 안타깝다”고 말하며 정부 차원의 노력이 부족했던 점을 지적했다. 특히, 미군 반환 공여지 문제와 관련해 “조금만 신경 쓰면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있었지만,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아 안타까웠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과거 경기도지사로 재임할 당시 권한 부족으로 인해 아쉬움을 느꼈던 여러 문제를 언급했다. 동두천 지역에서는 매년 발생하는 수재 문제를 줄이기 위해 반환 공여지 땅을 활용하려 했으나 십수 년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더불어, 접경지역의 군사 규제, 남양주와 가평 등에서의 상수원 규제로 인한 불편과 피해를 겪는 주민들의 상황에 공감하며 해당 지역의 억울함을 호소했다.
또한, 군용 시설로 인해 주민들이 주거 및 토지 이용 권리를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각 부처가 신속히 협의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의 제안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경기 북부의 발전 방안을 고민하고, 정부와 관련 부처가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강조했다.
원문보기
**채무조정 이행자를 위한 특례 대출 ‘새도약론’ 본격 시행, 취약계층 지원 강화**
금융위원회와 신용회복위원회는 14일 채무조정 이행자를 지원하기 위해 연 3~4%의 금리로 최대 1,500만 원을 제공하는 특례 대출 상품인 *새도약론*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새도약론은 지난 7년 전 연체 발생 이후 채무조정을 거쳐 잔여 채무를 6개월 이상 상환 중인 사람을 위한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으로, 총 5,500억 원 규모로 마련됐다.
### **새도약론 세부 내용**
– **대상**: 7년 전 연체 후 채무조정을 거쳐 잔여 채무를 6개월 이상 갚고 있는 사람
– **대출 금리**: 연 3~4%
– **대출 한도**: 최대 1,500만 원(채무조정 이행 기간에 따라 한도 변동)
– **신청 가능 장소**: 전국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 **상담 및 안내**: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http://www.ccrs.or.kr) 또는 콜센터(1600-5500)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새도약기금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는 채무조정 이행자들에게 재기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본 특례 대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5년 이상 연체자를 위한 특별 채무조정 프로그램 운영**
신복위는 별도로 5년 이상 연체자를 대상으로 채무조정을 지원하는 특별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 원금 감면 규모: 30~80%
– 상환 방식: 최장 10년 분할 상환
– 신청 방법: 전국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접수
이재연 신복위 위원장은 “소외되는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특별 채무조정을 적극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프로그램은 모두 14일부터 시작되며, 대출 상담 과정에서 일자리 연계, 복지 지원 등 자활 지원 프로그램을 함께 안내받을 수 있다.
### **문의처**
– **금융위원회 서민금융과**: 02-2100-2611
– **신용회복위원회 전략기획부**: 02-750-1075
이번 새도약론과 특별 채무조정 프로그램은 취약계층의 금융 부담 완화와 재기를 돕기 위해 마련된 조치로, 실질적 지원 효과가 기대된다.
원문보기
### 정부,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 도입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강화
정부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오픈뱅킹 차단 서비스를 새롭게 시행하고 금융거래 안전체계를 완성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도입된 ‘여신거래 안심차단’과 올해의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에 이어 11월 14일부터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 보이스피싱 사례와 정부의 대응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는 해외 조직의 지능화된 방식으로 국민 재산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기범들이 피해자 명의 계좌를 오픈뱅킹에 등록해 잔액을 불법 송금하는 피해가 늘어나자, 금융당국은 소비자가 직접 오픈뱅킹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 주요 내용
1. **서비스 특징**
– 소비자가 본인의 계좌를 선택하여 오픈뱅킹 등록을 차단할 수 있음.
– 차단된 계좌는 새로운 오픈뱅킹 등록이 불가능하며 기존 등록된 경우에도 조회 및 출금 기능이 중단됨.
2. **가입 절차**
–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는 은행, 상호금융, 우체국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금융결제원의 ‘어카운트인포 앱’을 통해 신청 가능.
– 서비스 해제는 범죄 악용 방지를 위해 반드시 영업점에서 대면 본인 확인 후 가능.
3. **참여 금융사와 안내**
– 금융결제원 오픈뱅킹 서비스에 연결된 3608개 금융사가 참여하며, 연 1회 소비자에게 문자·이메일로 가입 사실을 안내함.
– 서비스 가입 상태는 어카운트인포 앱, 모바일뱅킹, 영업점을 통해 확인 가능.
#### 소비자 주의사항
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시 오픈뱅킹 기반 간편결제나 지역상품권 구매 등의 이용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 서비스 활용 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 금융당국의 계획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현장 간담회에서 보이스피싱을 민생범죄로 규정하며 국민 보호를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이행과 적극적인 홍보를 강조했습니다.
문제 발생 시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에 문의 가능합니다.
– 금융위원회 금융안전과: 02-2100-2974
– 금융감독원 금융사기대응단: 02-3145-8130
– 금융결제원 금융정보업무부: 02-531-1720
원문보기
인도양과 남극해 등 세계 해저 지형 6곳에 우리말 지명이 등재됐습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SCUFN) 제38차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해저 지명 6건이 승인됐습니다. 이는 한국이 처음으로 인도양 해역에서 해저 지명을 제안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등재된 해저 지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도양**: 김정호 해산(Kimjungho Seamount), 이중환 해저융기부(Yijunghwan Ridge)
– **남극해**: 세종 해산(Sejong Seamount), 국립해양조사원 해산(KHOA Seamount), 아라온 해저구릉(Aron Hill), 소쿠리 해저놀(Sokuri Knoll)
한국은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총 67개의 해저 지명을 등재했으며, 이번 등재는 한국의 해양조사 기술력과 위상을 세계에 알리는 성과로 평가됩니다. 해저 지명은 발견된 지형의 형상 및 관련 위인, 탐사선 명칭 등을 고려해 제안되며, 이번 지명은 국내 전문가의 의견 수렴 후 지정되었습니다.
정규삼 해수부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이번 성과는 한국의 해양조사 분야의 우수성을 증명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해양조사를 통해 국제적 표준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문의는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수로과(051-400-4340)로 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기후에너지환경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대비 종합관리 대책 시행**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야생멧돼지로 인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중점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표준행동지침(SOP)을 개정하여 1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 **현황 및 문제 인식**
올해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이 신규지역으로는 없었으나, 기존 발생지역에서 간헐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춘천과 화천 등 접경지역에서 연이어 양성 개체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접경지역 중심으로 강도 높은 방역조치가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 **주요 대책 및 추진 내용**
1. **첨단 장비 활용한 대응 강화**
– 위성항법장치(GPS)가 장착된 포획트랩을 기존 120개에서 300개로 확대 배치.
– 열화상 무인기(드론)를 통해 야생 멧돼지 위치를 실시간 확인, 신속히 포획할 수 있는 시스템 개선.
2. **폐사체 수색 강화**
– 폐사체 수색 반원의 활동지역을 조정하고 인원을 18명에서 24명으로 늘림.
– 사람의 출입이 어려운 험지에서는 탐지견을 10마리에서 16마리로 추가 투입.
– 군부대와 협조해 군 훈련 중 발견된 폐사체는 즉시 신고하도록 안내하며, 신고자에게는 20만 원의 포상금 지급.
3. **환경 및 방역 관리**
– 수렵인 차량과 총기 등 방역관리 실태를 연말까지 집중 점검.
– 주요 구간 하천, 토양 등 환경 시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전파 경로 확인을 위해 DNA 분석 확대.
4. **관리지역 체계 간소화**
– 기존 5개 지역으로 나뉘어진 ASF 관리지역을 3개 지역으로 통합, 현장에서의 혼선 감소를 목표로 체계 개선.
###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입장**
김태오 자연보전국장은 “겨울철은 ASF 확산의 위험이 높은 시기로, 첨단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역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하며, 사전 위험요인을 철저히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와 같은 방역 조치를 통해 ASF 확산 저지와 돼지 사육농가의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입니다.
*문의: 기후에너지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 (044-201-7492)*
원문보기
**202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에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선정**
국가유산청은 2023년 10월 13일 개최한 제6차 문화유산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에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우선등재목록의 의미**
우선등재목록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중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와 체계적인 보호·관리 계획을 충족하는 유산이 포함된다. 이 목록에 오르면 향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세계유산 등재 신청에 필요한 예비평가 대상으로 신청할 수 있다.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의 역사적 가치**
이 유산은 20세기 중반 한국전쟁 시기 국가 기능과 사회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피란수도 부산의 역사적 사례를 보여주는 한편, 인류 평화라는 국제적 가치를 담고 있다.
‘피란수도 부산’ 유산은 ▲경무대(임시수도대통령관저) ▲임시중앙청(부산임시수도정부청사) ▲아미동 비석 피란주거지 ▲국립중앙관상대(구 부산측후소) ▲미국대사관 겸 미국공보원(부산근대역사관) ▲부산항 제1부두 ▲하야리아기지(부산시민공원) ▲유엔묘지 ▲우암동 소막 피란주거지 등 9개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이다. 이번 심의에서 영도다리와 복병산배수지까지 추가되며 완성도를 높였다.
**향후 계획**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절차를 위한 예비평가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이 지닌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국가유산청 유산정책국 세계유산정책과 (042-481-4849)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대전센터 시스템 복구 완료…복구율 98.2% 기록**
행정안전부는 14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내 모든 복구 예정 시스템의 복구를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복구 작업으로 대전센터에서 복구 예정이던 시스템 693개를 포함해 총 696개 시스템(대구센터 복구 시스템 3개 포함)의 복구율이 98.2%에 달했습니다.
특히, 대전센터의 시스템 복구는 당초 목표했던 20일보다 일주일 앞당겨 완료되었습니다. 등급별 복구율은 1등급 100%, 2등급 98.5%, 3등급 98.5%, 4등급 97.6%로 집계됐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충남 공주시 소속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공주센터를 방문해 백업센터 주요 시설 및 재해복구 체계를 점검하며 복구 진행 상황을 확인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대전센터 복구를 마친 만큼, 대구센터로 이전 후 복구를 진행 중인 잔여 13개 시스템 또한 올해 연말까지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추가 문의는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디지털기반안전과(044-205-2825)로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 대·중소기업 상생협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에너지 경비도 납품대금 연동제 적용
중소벤처기업부는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의결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납품대금 연동제를 확대 적용하는 등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도 추진되고 있는 중점 법안입니다.
—
### 주요 내용:
#### 1.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
– 기존에는 납품대금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원재료에만 적용됐던 연동제를 **전기·가스 등 에너지 경비**까지 확대합니다.
– 이는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른 중소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시행은 법 공포 후 **1년 뒤** 예정입니다.
#### 2. **불공정 거래 관행 금지**
– 쪼개기 계약 및 거래상 지위를 남용하여 미연동 합의를 강요하거나 유도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 수탁기업이 연동제를 요청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행위 역시 금지 대상입니다.
#### 3. **상생금융지수 신설**
– 금융회사의 중소기업 지원 수준을 평가·공표하는 ‘상생금융지수’를 도입하여 **금융권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장려**합니다.
#### 4. **수·위탁분쟁조정협의회 강화**
– 분쟁 처리를 신속히 하기 위해 협의회 위원이 기존 20명에서 **30명으로 확대**됩니다.
– 건설업 분쟁 증가를 고려해 **건축사와 기술사** 자격을 가진 인원을 추가로 포함합니다.
#### 5. **기술자료 유용 행위에 대한 대책 강화**
– 법원이 관련 손해배상 소송에서 전문기관에 감정을 의뢰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 6. **조사대상 제척기간 도입**
– 중기부의 수·위탁거래 조사는 거래 종료 후 **3년 이내** 건만 가능하도록 제척기간을 설정했습니다.
– 기술유용 행위와 관련해서는 **7년의 제척기간**이 도입되었습니다.
—
### 기대효과
김우순 중소벤처기업부 상생협력정책국장은 이번 개정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에너지 비용 부담이 완화**되는 한편, 금융권의 중소기업 상생 노력이 평가를 통해 객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상생 금융 문화 조성**과 더불어 중소기업의 법적 안정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시행 일정
– 법 공포 후 **6개월 뒤** 전반적인 내용이 시행되며, 납품대금 연동제의 에너지 경비 적용은 별도로 **공포 후 1년 뒤** 시행됩니다.
📞 문의:
– **상생협력정책과**: 044-204-7924
– **불공정거래개선과**: 044-204-7942
– **기술보호과**: 044-204-7785
(출처: [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2025 UAE K-박람회, 두바이에서 한류 산업 총출동**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글로벌 빌리지’에서 한국의 다양한 산업군을 소개하는 ‘2025 아랍에미리트 케이-박람회: 케이-스타일의 모든 것(K-EXPO UAE 2025: All About K-Style)’이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박람회는 6개 정부 부처와 12개 기관의 협력 아래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며, 226개 기업이 참여한다.
**◇ 한류 산업 융합 중심의 전시**
‘케이-박람회’는 콘텐츠, 푸드, 뷰티, 소비재는 물론 스포츠와 출판 등 한류 연관 산업을 망라한 종합 박람회로, 소비자 대상 행사와 기업 간 수출 상담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빌리지를 무대로 전 세계 관광객과 현지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를 알릴 계획이다.
특히, 게임과 일상생활을 융합한 체험형 전시관, 한식과 방송이 결합된 융합 행사, 엘지전자의 오디오 기술로 구현된 디제잉 공연 등이 눈길을 끈다. 더불어 한국 전통 민화를 활용한 대형 포토존 등도 마련되어 관람객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 케이팝과 문화 콘텐츠로 물든 두바이**
이번 박람회에는 케이팝 스타 첸, 걸그룹 빌리, 가수 펀치 등이 출연해 현지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특별한 공연을 선사한다. 또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퍼스널 컬러 진단 ▲한국음식 요리 체험 ▲우수 디자인 제품 전시 등 다채로운 부대 행사가 준비된다.
**◇ 북중미 이어 중동으로 확장하는 한류**
올해 UAE 박람회는 지난 8월 캐나다, 9월 스페인 박람회에 이어 개최되는 글로벌 한류 산업 확장의 중심에 있으며, 2024년 북중미 월드컵과 연계해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확장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 대해 문체부 정책담당자는 “이 박람회가 한국 기업들이 한류의 힘을 기반으로 중동시장에 진출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람회 문의사항은 관련 부처와 협력 기관을 통해 가능하다. 한국 문화와 산업의 융합을 선보일 이번 케이-박람회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류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청소년의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사용 시 부작용 주의 필요
정부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투여 가능 연령이 12세 이상으로 확대된 것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부작용 위험과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 관련 안전사용 정보를 안내하고 교육·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서울 종로구의 한 약국에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인 ‘위고비’ 입고 안내문이 부착되며 이 약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해당 약물은 체질량지수(BMI) 성인 기준 30kg/㎡ 이상 및 체중 60kg 초과의 12세 이상 청소년 비만환자들에게 의사가 처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으로, 칼로리 저감 식이요법과 신체활동 증대의 보조제로 작용합니다.
#### 청소년의 부작용 발생률 더욱 높아
임상시험에 따르면 청소년의 경우 성인보다 담석증, 담낭염, 저혈압 등 주요 부작용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허가 범위 내 사용 시에도 구토, 설사, 복통 등 위장관계 이상사례가 자주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성장 단계에 있는 청소년은 약물 사용에 따른 영양섭취 저하, 체중 감소로 인한 성장 저해, 탈수, 급성 췌장염 등 위험이 더 크므로, 면밀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정부의 안전사용 대책
청소년의 부작용 위험을 줄이고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식약처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안전사용 리플릿 배포**: 사용대상, 투여방법, 주의사항, 보관·폐기법, 부작용 보고방법을 포함한 리플릿을 전국 병원과 의료기관에 배포.
– **교육 및 홍보 확대**: 교육부는 학교를 통해 가정에 리플릿을 전달하고, 관련 내용을 누리집(함께학교, 학부모On누리)과 카드뉴스 형태로 게재.
– **청소년 시설과 협업**: 성평등가족부와 협력해 ‘청소년1388’, ‘e청소년’ 등의 온라인 플랫폼 및 시설에서 비만치료제의 목적 외 용도 사용 방지를 위한 정보를 확산.
#### 부작용 집중 관리와 피해 보상
사용량 증가로 부작용 보고가 늘어나자 정부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이상사례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했으며, 의약품 부작용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를 통해 보상 신청이 가능하도록 지원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상담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1644-6223)을 통해 가능합니다.
#### 향후 계획
정부는 청소년의 올바른 비만치료제 사용 이해 증진과 더불어 안전한 사용 환경을 조성할 것을 약속하며, 식약처, 교육부, 성평등가족부 등 정부 기관이 협력해 체계적 관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정부, 9·7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 대책 후속조치 본격 추진**
정부가 지난 9월 7일 발표한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 확대 대책의 이행을 위한 후속조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대책의 세부 실행을 점검하기 위해 9·7 대책 이행 점검 TF 3차 회의를 열고 수도권 내 주택 공급 물량의 적기 착공과 신속한 진행 방안을 논의했다고 25일 밝혔다.
### **내년 수도권 공급 예정 물량 확보 및 추진**
회의에서는 수도권 주요 지역의 공공택지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2024년 착공 예정 물량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기관별 과제 이행 상황을 공유했다. 국토부는 LH의 직접 시행과 민간참여 확대를 통해 공공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고, 비주택용지를 주거용지로 전환하는 작업도 신속히 마무리해 내년 착공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 도심을 포함한 주요 입지에 양질의 주택 공급을 목표로 공공 도심복합사업,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사업 등의 내년 착공 물량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단기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신축 매입임대주택은 목표 물량 7만 호 중 절반 이상을 내년 중 착공하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 **법·제도 개선 통한 공급 기반 강화**
공급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법·제도 개선 작업도 가속화되고 있다. 국토부는 관련 입법과제를 지속 추진 중으로, 현재까지 20개 과제 중 12건을 발의했으며, 하위법령 개정 과제 역시 입법예고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의 절차 병행 및 간소화를 골자로 한 개정안이 발의되었고, 교란 사례를 차단하기 위한 투기과열지구 관련 조치도 시행령 개정을 통해 개선될 예정이다.
### **정부의 포부와 요청**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9·7 공급대책의 후속조치를 성공적으로 이행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주택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각 기관의 책임감 있는 사업 관리를 당부했다.
—
이번 정부의 후속조치는 수도권 주택시장의 안정화 및 실질적인 공급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앞으로의 이행 성과가 주목되고 있다.
원문보기
**정부, K-모빌리티 혁신 가속화…15조+α 정책금융 투입 및 미래차 산업 육성 본격화**
정부가 한국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차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대대적인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1. **정책금융 및 지원 확대**
– **정책금융 15조 원 이상 공급**: 자동차 제조・부품업계 지원 및 생산 역량 강화.
– **미래차 산업기술혁신펀드 조성**: 500억 원 규모로 미래차 기술 혁신 투자.
– **전기차 보조금 대폭 확대**: 9360억 원으로 증액, 전기·수소버스 구매융자 사업 신설.
– **FTA 협상 적극 추진**: 한-멕시코 및 한-말레이시아 FTA 협상・발효로 수출시장 확대.
– **수출 지원**: 자동차 부품기업 무역보험 및 보증료 할인, 수출 바우처 공급 확대.
—
### 2. **친환경차 및 제조 혁신**
– **2030년 전기차 기술 목표**:
– 주행거리 1500km, 충전속도 5분, 내연차와 동등한 가격.
– **전기차 전환 촉진**: 노후차 폐차 후 전기차 구매 시 최대 100만 원 추가 보조.
– **AI 기반 제조 혁신**:
– 공정 데이터 AI 활용 확대, 미래차 AI 팩토리 구축.
– 근로자와 첨단로봇 협업을 위한 HTC-부트캠프 운영 및 일터 혁신.
—
### 3. **자율주행 기술 강화**
– **2030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 E2E-AI 소버린 기술 확보, LG전자 및 현대모비스 중심으로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플랫폼 개발.
– **제도 개선**:
– 2028년 자율주행차 양산 목표.
– 원본 영상 데이터 활용 허용, 임시운행 제한 완화, 실증범위 확대.
—
### 4. **글로벌 전략 및 지역 균형 성장**
– **전략적 진출 지원**:
– 구매력 높은 국가 중심으로 시장 창출.
– 핵심 기술 및 전략물자 보호제도 개선.
– **지역 특화 산업 육성**:
– 산・학・연 연계 클러스터 및 지역별 성장전략 강화.
– 5극3특 성장엔진 육성.
—
### 5. **미래차 전문기업 성장**
– **2030년까지 목표**:
– 미래차 전문기업 200개 지정.
– 내연차 부품 기업의 70%를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
—
이번 정부의 K-모빌리티 정책은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도약을 기반으로, 친환경·스마트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한미 경제 협력 강화, 전략적 투자 MOU 및 관세 인하 포함**
한국과 미국이 경제·통상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공동 팩트시트를 확정했다. 이번 합의에는 **핵심 산업 협력 확대, 비관세 장벽 해소, 관세 인하**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양국 간 경제적 유대가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
### **주요 합의 내용**
1. **핵심 산업 협력 및 관세 인하**
–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투자와 20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MOU 체결.
– 미국은 상호 관세율을 15%로 인하하며, 한국산 자동차·부품 및 목재 제품의 관세를 15%로 조정.
– 주요 품목(항공기 부품, 제네릭 의약품, 일부 천연 자원)의 관세 완전 철폐.
2. **외환시장 안정**
– 연간 200억 달러로 자금 조달 상한 설정.
– 시장 불안 시, 한국이 자금 조달 규모와 납입 시기 조정을 요청할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
3. **민간 협력 강화**
– 한국 기업의 1500억 달러 대미 투자 및 대한항공의 보잉 항공기 103대 구매 재확인.
– 한국 내 미국 상품 홍보 전시회 개최로 교역 확대 지원.
4. **비관세 장벽 해소**
– 미국산 자동차 국내 인정 상한(5만 대) 철폐, 시장 영향은 제한적 예상(2022년 미국산 자동차 수입: 약 4만 7000대).
– 농업 분야에서 쌀·쇠고기 등 민감 품목 추가 개방 제외.
– 디지털 분야에서 미국 기업 대상 차별 없는 규제 적용 합의(망 사용료 등).
5. **경제적 번영 공동 수호**
– 관세 회피 방지, 불공정 무역 관행 대응, 투자 안보 심사 강화 등 공조 체계 구축.
—
### **성과와 전망**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략적 투자 MOU와 관세 인하 합의가 이번 협정의 핵심 성과”라며, “농업시장 개방 같은 한국의 부담 요소는 배제하고 기업 친화적인 제도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비관세 분야 이행과 관련된 협의를 연내 개최 예정인 **한미 FTA 장관급 공동위원회**에서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정은 한미 경제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양국 기업 간 상호 호혜적인 조건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원문보기
이 글에서 제시된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허위 정보입니다. 현재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협의 내용이나 관련 합의에 관한 공식 발표는 없습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의 대통령이라는 설정도 사실과 다릅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이며, 이재명은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입니다.
만약 한미 간 관세, 안보 또는 기타 협력 사항과 관련한 실질적인 내용에 관심이 있으실 경우, 공식적인 출처(예: 청와대, 백악관 또는 각국 정부의 공식 자료)를 확인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한미 간 협상 과정에서 이뤄진 주요 합의를 발표하며 한미 동맹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미래형 전략적 포괄동맹’으로의 발전을 천명했습니다.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이후 작성된 ‘공동 설명자료'(조인트 팩트시트)의 최종 합의를 알리며 경제, 안보, 첨단기술 분야를 아우르는 협력 방안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협상 과정에서 국민, 기업인,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에 대해 감사하며 성공적 결과를 가능케 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합리적 결정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 주요 합의 내용:
1. **경제 및 첨단산업 협력 강화**:
– 양국 간 기존 전략산업인 조선과 원전 외에도 인공지능, 반도체 등 미래 첨단산업에서의 협업을 약속.
– 대한민국과 미국의 산업적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미국 핵심 산업 재건을 지원할 계획.
2. **핵 추진 잠수함 및 원자력 협력**:
– 대한민국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며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대에 대해 미국의 지지 확보.
– 미국 군함 건조 프로젝트를 대한민국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을 모색.
3. **안보 협력 심화**:
– 주한미군 지속 주둔과 확장 억제 공약을 재확인하며 전작권 환수 및 한반도 방위 역량 강화를 강조.
4. **미래 첨단산업 투자**:
– 인공지능 분야에 대해 국책 차원의 과감한 투자 약속.
– 엔비디아 등 세계적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대한민국을 아시아 인공지능 수도로 자리매김.
5. **한중 관계 개선**:
– 경주 APEC 정상회의 계기 이뤄진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경제 협력과 관계 개선에 대한 방안을 논의.
– 실사구시 외교를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협력 가능성을 모색.
이재명 대통령은 이러한 협약들이 한미 양국의 “윈-윈” 관계를 강화하며 동맹 르네상스를 열었다고 평가했고, 글로벌 선도국가로 나아가는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지를 표현했습니다. 이를 통해 신속히 변화하는 국제사회에서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펼쳐 나갈 계획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원문보기
정부는 내년도 예산에 생활 밀착형 지원 정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신규 사업들을 포함하며,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전망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내용입니다.
### 1. **직장인 식생활 지원**
– **든든한 한끼 지원**: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직장인 5만 4000명을 대상으로 월 4만 원 상당의 식비를 지원.
– **천원의 아침밥**과 **든든한 점심밥** 지원을 통해 직장인 밥값 부담을 완화하고 지역 외식산업 활성화 기대.
– 예산: 79억 원.
### 2. **지역사랑 휴가지원제**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여행 경비의 절반(20만 원 한도)을 지역사랑상품권으로 환급.
– 20개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 10만 팀 대상.
### 3. **어르신 스포츠 강좌**
– 공공체육시설, 경로당 등에서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무료 스포츠 강좌 제공.
– 약 100만 명 참여 목표로 신체적·정신적 활력 증대 및 의료비 절감 기대.
– 예산: 신규 169억 원.
### 4. **어린이 과일간식 지원**
– 초등 저학년(1~2학년) 대상 주 1회 국산 과일 간식 제공.
– 건강한 식습관 형성과 동시에 국산 과일 소비 촉진 및 재배농가 소득 안정 도모.
– 예산: 169억 원.
### 5. **독감·HPV 예방접종 확대**
– 독감 무료접종 대상을 **중2(14세 이하)**까지 확대.
– **HPV(인유두종바이러스) 무료접종**을 남자 청소년(12세 남아)까지 포함.
– 자궁경부암, 구인두암 등 주요 질병 예방 효과 기대.
### 6. **아이돌봄 서비스 강화**
– 밤 10시까지 운영하는 지역아동센터를 현재 160개소에서 300개소로 확대.
– 밤 12시까지 연장 운영 센터 50개 신설.
– 야간 긴급돌봄 서비스 신설(22시~익일 6시).
–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에 야간 할증요금 전액 지원.
– 돌보미에게 야간 긴급수당(5000원) 지급.
– 예산: 26억 원.
### 7.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
– 복지 사각지대 지원을 위해 2~3만 원 상당의 생필품 제공 및 복지서비스 연계로 최소한의 생활 보장.
### 8. **휴식쿠폰 확대**
– 발달장애인·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힐링 프로그램 지원 대상 확대.
– 기존 1만 5000명에서 1만 9000명으로.
– 예산: 39억 원.
### 9. **1인 중증장애인기업 지원**
– 고객응대 및 행정보조, 법률 상담 등 업무 지원으로 경영 부담 완화 및 매출 증대 기대.
– 예산: 17억 8000만 원.
### 10. **안전한 공중화장실 조성**
– 불법촬영 탐지 시스템 및 비상벨 설치로 24시간 안전한 공중화장실 구축.
– 관광지·상업시설 등 2500곳에 탐지 시스템, 3500곳에 비상벨.
– 예산: 62억 7500만 원.
### 11. **기타**
– 민생 밀착형 환경 조성, 국민 안전 강화, 복지 증진을 위해 다양한 신규 사업과 예산 편성.
– 2026년도 예산안은 성과 중심의 구조 조정을 통해 국민 체감 효과를 증대하는 데 중점.
이번 예산안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균형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정책들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취약 계층을 위한 촘촘한 지원책이 돋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