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농림축산식품부]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10월에도 하락세 지속…유지류 제외 전 품목 내림세
요약보기
한국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126.4포인트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하락했으나, 유지류 가격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평 식량가격지수 하락은 국제식량수급 안정에 긍정적이나, 국내 주요 품목인 쌀과 축산물 가격 유지로 생활비 부담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English According to FAO, the World Food Price Index recorded 126.4 points in October 2025, marking two consecutive months of decline.
Prices for cereals, meat, dairy products, and sugar fell, while those for oils rose.
Summary The drop in the index suggests improving global food price stability, but continued high prices for key domestic products like rice and meat may still impact household budgets.
日本語 FAOによると、2025年10月の世界食糧価格指数は126.4ポイントを記録し、2か月連続で下降しました。
穀物、肉類、乳製品、砂糖の価格は下落した一方で、食用油の価格は上昇したことがわかりました。
総評 世界的な価格安定が期待される一方で、国内の主要食品の価格が高止まりしているため、家計の負担は今後も続く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根据FAO的数据,2025年10月全球粮食价格指数降至126.4点,连续两个月下滑。
谷物、肉类、乳制品和糖价格下降,而食用油价格上涨。
总评 全球粮食价格下降利好市场稳定,但国内稻米和肉类价格居高可能持续给家庭造成经济压力。
Italiano Secondo l’FAO, a ottobre 2025, l’indice dei prezzi alimentari globali ha registrato 126.4 punti, segnando il secondo mese consecutivo di calo.
I prezzi dei cereali, della carne, dei prodotti lattiero-caseari e dello zucchero sono diminuiti, mentre quelli degli oli sono aumentati.
Valutazione La riduzione dell’indice favorisce la stabilità globale dei prezzi alimentari, anche se il mantenimento dei prezzi di riso e carne in ambito nazionale potrebbe continuare a gravare sul budget familiare.
[국토교통부][해명] 규제지역을 확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통계를 제외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요약보기
죄송하지만 입력 기사 내용이 부족하여 요청하신 요약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추가적인 기사 내용을 제공해 주시면 도움드릴 수 있습니다.
요약
원문보기
### 2025년 10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하락, 품목별 혼조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6.4포인트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1.6% 감소했다. 이는 두 달 연속 하락세로, 9월(128.5포인트)에 비해 하락했으며, 전년 동월(126.9포인트)과 비교하면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품목별 가격 동향
5개 품목군 별로는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이 떨어진 반면, 유지류는 소폭 상승해 혼조세를 보였다.
– **곡물**: 103.6포인트로 전월 대비 1.3% 하락, 전년 동월 대비 9.4% 감소.
– **유지류**: 169.4포인트로 전월 대비 0.9% 상승,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
– **육류**: 125.0포인트로 전월 대비 2% 하락, 전년 동월 대비 4.8% 상승.
– **유제품**: 142.2포인트로 전월 대비 3.4% 하락,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
– **설탕**: 94.1포인트로 전월 대비 5.3% 하락, 전년 동월 대비 27.4% 감소.
전체적으로, 곡물과 설탕은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유지류는 비교적 강세를 보였다.
### 국내 농축산물 물가 동향 및 대책
국내 농축산물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으나, **쌀과 축산물은 강세**를 보여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자조금을 활용하여 할인 행사를 지속하는 한편, 김장철을 대비해 해양수산부와 협력하여 정부 비축 물량 방출, 김장 재료 공급 확대, 500억 원 규모의 할인 지원 대책을 추진해 국민 부담을 덜고자 노력 중이다.
### 전망
FAO는 곡물의 세계 수급 전망과 유엔 식량가격지수 그래프 등을 함께 제공하며 장기적 식량 가격 동향과 수급 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FAO의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자료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정부는 규제지역 선정 과정에서 통계를 의도적으로 제외했다는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관련 보도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규제지역 확대를 위한 통계 사용 과정에서 투명성을 유지했으며, 모든 수집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사전에 공개하고 절차를 준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보도자료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