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 정책정보 – 전체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김장철 배추·무 공급 ‘원활’…농식품부, 수급상황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올해 김장 재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다양한 수급안정대책을 추진 중입니다.
배추와 무의 공급은 대체로 안정적이지만, 쪽파와 마늘 가격 상승 가능성을 고려하여 비축 물량 확대와 생육 관리 강화 계획을 밝혔습니다.
또한 멸치액젓 가격 상승에 대비해 다른 품목으로 대체 소비를 유도할 방침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김장철 물가 안정과 소비자 부담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김치 재료 확보가 한층 수월해질 전망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to stabilize the supply of ingredients for kimchi this year.
Cabbage and radish are expected to have stable supplies, while measures like stocking up garlic and improving scallion cultivation are planned due to potential price hikes.
Summary These steps are expected to ease consumer burdens and ensure easier access to kimchi ingredients during the season.

日本語 政府は今年のキムチ材料の供給安定に向けた対策を進めています。
白菜や大根の供給は安定していると予想される一方、価格上昇が懸念されるニンニクやネギについては、備蓄量の拡大や生育管理の強化を計画しています。
さらに、魚醤の価格高騰には代替消費を促す方針です。
総評 この対策は、キムチ材料の入手がより円滑に行えるようになり、秋の家庭負担軽減に取組むものです。

中文 政府正在采取措施以确保今年泡菜原材料的供应稳定。
预计大白菜与萝卜的供应较为充足,但针对大蒜和葱价格可能上涨的问题,将扩大储备量并加强栽培管理。
此外,政府计划通过推广替代消费应对鱼露价格的涨幅。
总评 这些措施有望缓解消费者负担,并保证泡菜季节原材料的充足供应。

Italiano Il governo sta adottando diverse misure per garantire una fornitura stabile degli ingredienti per il kimchi quest’anno.
Si prevede una fornitura stabile di cavoli e ravanelli, mentre si punta ad aumentare le riserve di aglio e migliorare la coltivazione dei cipollotti a causa di possibili aumenti di prezzo.
Valutazione Queste misure potrebbero ridurre i costi dei consumatori e facilitare l’acquisto degli ingredienti per il kimchi durante la stagione.

소재·부품·장비 역량 강화한다…새 정부 ‘소부장’ 기본계획 수립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소부장 특화단지 10개 추가 지정과 AI 기반 신소재 개발 프로젝트를 포함한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공급망 안정화와 첨단산업 기술 혁신을 목표로 하며, 관련 기업의 재정 지원과 협력모델 등을 통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는 조치를 담고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첨단기술과 신소재 개발 활성화를 통해 국내 산업 경쟁력을 증가시키고 해외 의존도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boost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including the designation of 10 specialized manufacturing clusters by 2030 and AI-driven new material development projects.
The initiative aims to stabilize supply chains and foster innovation in advanced industries while providing financial and cooperative support to related businesses.
Summary This policy has the potential to strengthen the nation’s industry by reducing reliance on imports and advancing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technology and materials.

日本語 政府は、素材・部品・装置産業の競争力を強化するための基本計画を発表しました。2030年までに特化団地を10ヵ所追加で指定し、AIを活用した新素材開発プロジェクトも推進します。
この計画は供給網の安定化や先端技術革新を目指し、関連企業への財政支援と協力モデルを通じて産業のエコシステムを強化します。
総評 この政策は、新技術開発により国内産業を強化し、輸入依存度の軽減に寄与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政府宣布推动材料、零部件和设备行业竞争力的整体计划,包括到2030年增设10个特化园区,以及开展AI驱动的新材料研发项目。总评 此政策有望通过尖端技术研发提高国内竞争力,并减少对进口的依赖。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dell’industria dei materiali, dei componenti e degli equipaggiamenti, includendo la designazione di dieci cluster specializzati entro il 2030 e progetti per lo sviluppo di nuovi materiali guidati dall’AI.
Il piano mira a stabilizzare le catene di approvvigionamento e stimolare l’innovazione tecnologica avanzata, fornendo anche supporto finanziario e modelli cooperativi alle imprese del settor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favorire lo sviluppo di tecnologie di punta e ridurre la dipendenza dalle importazioni, rafforzando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nazionale.

1등급 ‘공공데이터포털’ 운영 재개…일부 파일데이터 추가 복구 중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공공데이터포털’ 서비스를 23일 오전 10시부터 재개했다고 밝혔습니다.
포털은 API 서비스, 파일 다운로드, 데이터 제공신청 등 핵심 기능을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일부 파일 데이터와 관리자 기능은 10월 말까지 추가 복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복구는 공공데이터의 접근성을 회복시켜 국민과 기업이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e recovery of the ‘Public Data Portal’ service on October 23 at 10 a.m., which was previously disrupted due to a fire at the Daejeon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 Center.
The portal’s core features, such as API service, file downloads, and data application requests, are now available again, while some administrator functions will be fully restored by the end of October.
Summary This recovery ensures greater accessibility to public data, enabling citizens and businesses to use essential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日本語 行政安全部は、大田国情報資源管理院での火災で停止していた「公共データポータル」サービスを23日午前10時から再開したと発表しました。
ポータルはAPIサービス、ファイルダウンロード、データ提供申請などの重要機能が再び利用可能となり、一部ファイルデータと管理者機能は10月末までに完全復旧予定です。
総評 この復旧で国民と企業は必要な情報をより効率的に利用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中文 根据行政安全部的通报,因大田国家信息资源管理院火灾而中断的“公共数据门户”服务于23日上午10时正式恢复。
门户的主要功能如 API 服务、文件下载及数据申请均已恢复,而部分文件数据与管理员功能预计将在十月底完成修复。
总评 这一恢复为公众和企业提供了更便捷的公共数据获取途径,有助有效利用关键信息。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la riattivazione del servizio ‘Portale dei Dati Pubblici’ il 23 ottobre alle 10 del mattino, precedentemente interrotto a causa di un incendio presso il Centro Nazionale delle Risorse Informative di Daejeon.
Le principali funzioni del portale, come il servizio API, il download dei file e le richieste di dati, sono ora disponibili, mentre alcune funzioni amministrative saranno completamente ripristinate entro la fine di ottobre.
Valutazione Questa ripresa migliora l’accesso ai dati pubblici, offrendo benefici concreti sia ai cittadini che alle imprese per sfruttare informazioni essenziali in modo più agevole.

한국 경찰 주도 ‘국제공조협의체’ 발족…스캠단지 공동 대응 본격화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 경찰이 주도해 초국경 스캠단지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협의체’가 출범했습니다.
캄보디아, 미국 등 주요 8개국이 참여하며, 이번 협의체는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합동 작전을 전개해 국제 범죄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총평 스캠 피해 예방과 더불어 국제 사회의 효율적인 공조와 치안 강화로 일상적인 사기 근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South Korean police established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Council” to combat transnational scam networks.
Eight major countries, including Cambodia and the United States, are participating, focusing on information sharing and joint operations to address cross-border crim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trengthen global cooperation for fighting scams and improve everyday security by reducing fraud cases.

日本語 韓国警察が主導して、超国境スキャム団体対応のための「国際協力協議体」を設立しました。
カンボジアやアメリカを含む主要8カ国が参加し、情報共有や合同作戦を強化して国際犯罪に実質的に対応する予定です。
総評 グローバルな協力によって詐欺被害の防止が進み、日常生活の安全が向上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警方启动了为打击跨境诈骗组织的“国际合作协议组织”。
包括柬埔寨、美国在内的8个主要国家参与,计划通过信息共享和联合行动全面应对国际犯罪问题。
总评 此举有望通过国际合作加强诈骗防范,让民众的日常生活更安全。

Italiano La polizia sudcoreana ha istituito il “Consiglio di cooperazione internazionale” per contrastare le reti di frode transnazionali.
Otto paesi principali, tra cui Cambogia e Stati Uniti, partecipano condividendo informazioni e conducendo operazioni congiunte contro il crimine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migliorare la collaborazione globale e a ridurre le frodi, aumentando la sicurezza nella vita quotidiana.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시동…산·학·연·관 ‘한팀’ 본격화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청정수소 기술 국산화와 사업화 가속을 위해 산·학·연·관 협력을 본격화했습니다.
이번 ‘청정수소 R&D 혁신 연합’은 2030년까지 국산화율 100% 달성을 목표로 5대 핵심 분야 기술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청정수소 기술 개발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며, 관련 산업의 성장을 도울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s accelerating cooperation among industry, academia, research, and government for the loc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clean hydrogen technology.
The ‘Clean Hydrogen R&D Innovation Alliance’ aims to achieve 100% localization by 2030 by advancing technology in five key areas and conducting joint demonstrations.
Summary This initiative promotes clean energy innovation,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the expansion of the hydrogen industry.

日本語 韓国科学技術情報通信部は、クリーン水素技術の国産化と商業化を加速させるため、産学官連携を本格化しました。
「クリーン水素R&Dイノベーション連合」は、2030年までに国産化率100%を目指し、5つの重要分野の技術開発と実証を進めます。
総評 この政策は持続可能なエネルギーを促進すると共に、水素産業の成長を後押しす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科学技术信息通信部正在推动产学研协作,加速清洁氢技术国产化和商业化进程。
“清洁氢研发创新联盟”目标在2030年前实现技术国产化率100%,并推进五大核心领域的技术开发与验证。
总评 该政策有望推动清洁能源技术进步,同时促进氢能相关产业的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ICT ha avviato una collaborazione tra industria, accademia, ricerca e governo per accelerare la localizzazione e la commercializzazione della tecnologia dell’idrogeno pulito.
L’‘Alleanza per l’Innovazione R&S sull’Idrogeno Pulito’ mira a realizzare il 100% di localizzazione entro il 2030, sviluppando e dimostrando la tecnologia in cinque aree chiav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romuoverà l’energia sostenibile e favorirà lo sviluppo dell’industria dell’idrogeno pulito.

APEC 안전 위해 소방인력 4000명·장비 1100여 대 투입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은 APEC 정상회의를 맞아 경북 지역에서 23일부터 특별경계근무를 시작하고, 이를 전국 단위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28일부터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여 구급차와 화생방 대응 인력 및 장비를 추가로 투입하며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총력 대응체계를 운영합니다.
총평 소방청의 대규모 대응은 국민 안전을 보장하며, 국제회의에서 대한민국의 재난관리 역량을 선보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Korea’s National Fire Agency has initiated special fire security operations in Gyeongbuk for the APEC Summit starting on the 23rd and plans to expand them nationwide.
From the 28th, the agency will issue a national fire mobilization order, deploying ambulances, CBR response teams, and additional equipment to ensure comprehensive disaster readiness.
Summary This large-scale operation highlights Korea’s commitment to public safety while showcasing its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n a global stage.

日本語 韓国の消防庁はAPEC首脳会談の開催に伴い、23日から慶尚北道地域で特別警戒勤務を開始し、全国的に拡大する予定です。
さらに28日からは国家消防動員令を発令し、救急車や化学兵器対応専門の人員や装備を追加投入して、全力対応体制を準備します。
総評 この大規模な準備は国民の安全を守るだけでなく、国際社会で韓国の災害管理能力を示す良い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消防厅从23日起在庆尚北道地区启动针对APEC峰会的特别警戒工作,并计划将范围扩大至全国。
此外,从28日开始将实施全国消防动员令,增派救护车、化学防护专用人员及设备以加强紧急应对能力。
总评 此次行动不仅保障了公众安全,也向国际社会展示了韩国的灾害应对实力。

Italiano L’Agenzia Nazionale dei Vigili del Fuoco della Corea ha avviato il 23 le operazioni di sicurezza straordinarie a Gyeongbuk per il vertice APEC e intende espandere tali operazioni su scala nazionale.
Dal 28, l’agenzia emetterà un ordine di mobilitazione nazionale per i vigili del fuoco, aumentando l’impiego di ambulanze, squadre di risposta chimico-biologica e attrezzature per garantire una prontezza completa alle emergenze.
Valutazione Questa operazione non solo protegge la sicurezza pubblica, ma è anche un’opportunità per mostrare le capacità della Corea nella gestione delle emergenze a livello internazionale.

이 대통령 “자주적 방산 역량 확고히 해야 한반도 평화 지켜”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방산 기업의 수주 잔고 증가와 관련해 자주적 방산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2030년까지 방산 수출 목표가 200억 달러로 설정되었으며, 정부는 글로벌 방산 강국 도약을 위해 범정부적 협업과 기술 혁신을 추구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국내 방산 산업 성장과 경제 활성화, 한반도 평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defense industry capabilities on October 23.
The government aims to achieve $20 billion in defense exports by 2030, with plans to pursu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to become a global defense powerhouse.
Summary This announcement highlights Korea’s ambition to boost its defense industry, fostering economic growth and ensuring national security.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10月23日に国防産業の自主的能力の重要性を強調しました。
政府は2030年までに防衛産業輸出額を200億ドルに達成する目標を掲げ、グローバルな強国を目指して革新と協力を進める計画です。
総評 この発表は、防衛産業の発展により経済成長と国の安全保障を両立させる狙いを反映しています。

中文 李在明总统于10月23日强调自主国防工业能力的重要性。
政府设定目标,计划到2030年国防出口额达到200亿美元,并通过技术创新和国际合作迈向全球防御强国。
总评 此举反映出韩国希望通过国防产业推动经济发展,同时确保国家安全的战略目标。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sviluppare capacità autonome nel settore della difesa il 23 ottobre.
L’obiettivo del governo è raggiungere 20 miliardi di dollari di esportazioni di difesa entro il 2030, promuovendo l’innovazione e la collaborazione per diventare una potenza globale.
Valutazione Questo piano rappresenta un passo strategico per sostenere lo sviluppo economico e garantire la sicurezza nazionale della Corea.

문체부, 스포츠계 폭력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 첫 적용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스포츠계 폭력의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을 처음 적용하여 씨름부 지도자의 체육지도자 자격을 취소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스포츠윤리센터 조사와 체육지도자 자격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바탕으로 결정되었으며, 체육계의 폭력 근절을 위한 강력한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체육계에서 폭력 행위를 뿌리 뽑고, 선수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one-strike-out’ rule to address violence in sports and revoked the qualification of a wrestling coach.
This decision was based on investigations by the Sports Ethics Center and deliberations by the coaching credential management committee, marking a significant step in combating sports violence.
Summary This policy aims to eradicate violence in sports and create a safer environment for athletes to train and compete.

日本語 政府はスポーツ界の暴力に対する「ワンストライクアウト」方針を初めて適用し、中学校の相撲部コーチの資格を取り消しました。
この措置は、スポーツ倫理センターによる調査や資格運営委員会の審議と決定を背景に行われ、スポーツ界の暴力を根絶する強い意思を示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選手たちが安全で尊重される環境下で競技できる新しい体制を築く一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首次实施针对体育界暴力的“一次性淘汰”原则,取消了一名相扑指导员的资格。
此决定基于体育伦理中心的调查以及资格管理委员会的审议和决议,也是打击体育暴力的重要举措之一。
总评 该政策有望为运动员提供更加安全、被尊重的训练和比赛环境。

Italiano Il governo ha applicato per la prima volta il principio “one-strike-out” contro la violenza nello sport, revocando la qualifica di un allenatore di sumo scolastico.
Questa decisione si basa sulle indagini del Centro Etico dello Sport e sulle delibere del comitato di gestione delle qualifiche degli allenatori, inviando un forte messaggio contro la violenza nello sport.
Valutazione Questa misura contribuirà a creare un ambiente sicuro e rispettoso per gli atleti in ambito sportivo.

경주서 ‘K-에듀 엑스포’ 개막…한국 교육의 혁신, 세계와 공유

요약보기
한국어 교육부는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 경북 경주에서 ‘K-에듀 엑스포 2025’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APEC 2025 정상회의 부대행사로 기획된 이번 엑스포는 교육·기술·문화가 융합된 글로벌 교육 축제로, 국민이 직접 참여해 미래 교육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국민들이 첨단 기술을 활용한 혁신 교육과 미래 비전을 체감하며, 한국 교육의 글로벌 위상 제고 및 정책 방향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the ‘K-Edu Expo 2025’ will be held in Gyeongju from October 26 to 28.
This event, organized as an APEC 2025 summit side event, serves as a global education festival integrating education, technology, and culture, allowing citizens to directly experience future education.
Summary The expo offers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engage in future-oriented learning experiences, enhancing the perception of Korea’s innovative education and its global positioning.

日本語 教育部は、10月26日から28日にかけて慶州で「K-エデュ博覧会2025」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博覧会はAPEC 2025の公式サイドイベントとして、教育・技術・文化が融合したグローバル教育祭典の場を提供し、国民が直接未来教育を体験でき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韓国の革新的な教育モデルを国民が体験する機会となり、未来の教育ビジョンを示す場として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教育部宣布将于10月26日至28日在庆州举办“K教育博览会2025”。
该活动是亚太经合组织2025峰会的官方配套活动,旨在通过教育、技术和文化的结合,为公众提供直接体验未来教育的机会。
总评 此次博览会将展示韩国教育的创新与愿景,助力公众了解未来教育发展的切实方向。

Italiano Il Ministero dell’Istruzione ha annunciato che dal 26 al 28 ottobre si terrà a Gyeongju l’Expo K-Edu 2025.
L’evento, pensato come evento collaterale del vertice APEC 2025, offrirà una piattaforma educativa globale integrando istruzione, tecnologia e cultura, permettendo ai cittadini di vivere esperienze educative future.
Valutazione L’Expo rappresenta un’occasione preziosa per il pubblico per comprendere e sperimentare il potenziale educativo innovativo della Corea per il futuro.

2029년부터 신차에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장착 의무화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는 2029년부터 승용차와 소형 화물차 등에 페달 조작 시 출력을 제한하는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의무화를 추진합니다.
또한 전기차의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 장치를 설치하고, 친환경 대형 트랙터의 길이 기준을 완화해 전기·수소 트랙터 보급을 지원합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안전사고 예방과 친환경 차량 확대, 소비자 편의 증진을 동시에 겨냥한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lans to mandate the installation of ‘pedal misoperation prevention devices’ on passenger and small trucks from 2029.
Additionally, electric vehicles will be required to have battery life display devices, and regulations will be eased to support longer electric and hydrogen-powered large tractor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improve road safety, expand eco-friendly vehicles, and enhance consumer convenience.

日本語 国土交通部は2029年から乗用車や小型トラックにおいて、「ペダル誤操作防止装置」の設置を義務化する予定です。
また、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ー残存寿命表示装置の設置を義務化し、環境に優しい大型トラクターの規格緩和を進め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安全性向上と環境保護、消費者利便性を同時に満たす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国土交通部计划自2029年起强制规定乘用车和小型货车安装“踏板误操作防护装置”。
此外,电动车需配备电池剩余寿命显示装置,同时放宽环保型电氢大型拖拉机的长度标准以支持其推广。
总评 该政策同时促进安全、防止事故,并有助于环保车辆的普及与消费者权益的保障。

Italiano Il Ministero dei Trasporti prevede di obbligare l’installazione del dispositivo di prevenzione degli errori di utilizzo del pedale su auto e piccoli camion a partire dal 2029.
Inoltre, i veicoli elettrici saranno dotati di dispositivi di visualizzazione della durata residua della batteria, e saranno introdotti criteri più flessibili per il supporto dei grandi trattori elettrici e a idrogeno.
Valutazione La misura combina sicurezza, sviluppo sostenibile e miglioramenti per il consumatore, offrendo vantaggi pratici nella vita quotidiana.

올해 ‘3대 기축통화’ 외평채 34억 달러 성공 발행…사상 최초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최저 수준의 금리 조건으로 달러화 및 엔화 표시 외평채를 발행하며 중요한 성과를 이뤘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달러, 유로, 엔화 등 세계 3대 기축통화로 외평채를 발행하며 외환보유액을 대폭 확충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제 시장에서 한국 경제의 신뢰도와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총평 외평채 발행은 대외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외환보유액을 강화함으로써 국가 경제 안정에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ssued forex stabilization bonds (FSB) in dollars and yen at record-low interest rates, achieving significant milestones.
This marks the first time all three major currencies—USD, Euro, and Yen—were used in issuing FSBs in the same year, greatly strengthening foreign exchange reserves.
The move demonstrates South Korea’s economic credi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global markets.
Summary Issuing FSBs helps improve economic stability by securing foreign reserves amidst global uncertainties.

日本語 政府は史上最低金利条件でドル建てと円建て外平債を発行し、重要な成果を達成しました。
今年初めてドル、ユーロ、円という世界3大基軸通貨で外平債を発行し、外貨準備を大幅に拡充しました。
これにより韓国経済の国際市場での信頼性と競争力が証明されました。
総評 外平債発行は外貨準備を強化し、外部の不確実性に対処することで経済の安定性に寄与します。

中文 政府以创历史最低利率条件发行美元和日元外汇平衡基金债券,取得重大成果。
今年首次以美元、欧元和日元这三种全球主要货币形式发行外汇平衡债券,大幅增强外汇储备。
此举证明了韩国经济在国际市场的信誉及竞争力。
总评 外汇债券发行能够增强外汇储备,为应对全球经济不确定性提供更多保障。

Italiano Il governo ha emesso obbligazioni di stabilizzazione dei cambi denominate in dollari e yen con tassi di interesse ai minimi storici, raggiungendo traguardi significativi.
Per la prima volta sono state utilizzate le tre principali valute—USD, Euro e Yen—per l’emissione di obbligazioni nella stessa annata, rafforzando notevolmente le riserve valutarie.
Questa mossa dimostra la credibilità e la competitività economica della Corea del Sud nei mercati globali.
Valutazione L’emissione di obbligazioni contribuisce alla stabilità economica, consolidando le riserve di valuta estera contro le incertezze globali.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주요 전략은 연구개발(R&D) 강화, 글로벌 협력 확대, 공공 CRDMO 인프라 구축, 법·제도 개선 등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과 질 높은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우리 삶에 필수적인 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가속화하고, 의료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e 5th Comprehensive Plan for Advanced Medical Complexes aimed at establishing a national bio-health cluster.
Key strategies include strengthening R&D, expanding global collaborations, building public CRDMO infrastructure, and improving legislative frameworks.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advance the bio-health industry and provide improved medical services.
Summary The advanced medical complex will play a crucial role i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drugs and medical devices,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healthcare.

日本語 厚生労働省は、国の代表的なバイオヘルスクラスターの創設を目指すため、5次先端医療複合団地総合計画を発表しました。
主要な戦略には、研究開発(R&D)の強化、グローバル連携の拡大、公共CRDMOインフラの構築、法整備の改善が含まれます。
これにより、バイオヘルス産業の発展と高品質な医療サービスの提供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先端医療複合団地は、新薬や医療機器開発の加速化、医療産業の国際競争力向上に重要な役割を果たすでしょう。

中文 卫生福利部宣布了第5次尖端医疗复合园区综合规划,旨在建立国家级生物健康产业集群。
重点战略包括加强研发、扩大全球合作、建设公立CRDMO基础设施以及完善法律制度。
该计划预计将促进生物健康产业发展,并提供更高质量的医疗服务。
总评 尖端医疗复合园区将在加速新药和医疗器械开发以及提升医疗产业国际竞争力方面扮演重要角色。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annunciato il 5° Piano Globale per i Complessi Medici Avanzati, mirato a istituire un cluster nazionale bio-salutistico.
Le strategie chiave includono il rafforzamento dell’R&S, l’espansione delle collaborazioni globali, la costruzione di una infrastruttura pubblica CRDMO e il miglioramento del quadro legislativo.
Questo piano è previsto per promuovere lo sviluppo dell’industria bio-salutistica e fornire servizi medici di alta qualità.
Valutazione I complessi medici avanzati svolgeranno un ruolo cruciale nell’accelerare lo sviluppo di farmaci e dispositivi medici essenziali, migliorando la competitività internazionale del settore sanitario.

“이태원 참사 당일 경찰 경비인력 미배치”…합동감사 결과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이태원 참사 대응 과정에서 경찰과 용산구청의 사전 준비 및 대응 체계가 총체적으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은 대통령실 근처에 경비를 집중하면서 참사 장소에는 인력을 배치하지 않았고, 용산구청은 초기 대응과 재난관리 리더십에 실패했습니다.
정부는 관련 책임자 62명에 대해 징계를 포함한 조치를 요구하며, 이번 감사가 참사 유족과 국민의 의혹 해소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총평 이번 사건의 조사 결과는 재난 상황에서 사전 대비와 대응 체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English The investigation into the Itaewon tragedy revealed that both the police and Yongsan District Office failed severely in their preparation and response.
Police neglected to deploy personnel at the disaster site, prioritizing security near the Presidential Office, while Yongsan District also failed in its initial response and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The government demanded disciplinary measures for 62 officials involved, hoping the investigation helps address doubts from the bereaved families and the public.
Summary This report highlights the critical need for improved disaster preparedness and management to prevent future tragedies.

日本語 イテウォン惨事の調査で、警察とヨンサン区庁の事前準備と対応が全般的に不備であった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警察は大統領執務室付近の警備を優先し、現場に人員を配備せず、ヨンサン区庁も初動対応と災害管理のリーダーシップに失敗しました。
政府は責任者62名に対する懲戒を含めた対応を要請し、この調査が遺族や国民の疑問解消に寄与することを期待しています。
総評 今回の調査結果は災害を防ぐための準備と対応体制の重要性を再認識させるものです。

中文 调查显示,梨泰院事故中警方和龙山区政府在事前准备和应对措施上严重失职。
警方将人力集中在总统办公室附近,而未在事故地点部署警力;龙山区政府在事发初期及灾害管理领导方面表现失当。
政府对包括警察和公务员在内的62名相关责任人提出了纪律处分,并希望借助调查回应遗属及公众的质疑。
总评 此次调查凸显了应对灾害时提高准备和管理能力的重要性。

Italiano L’indagine sulla tragedia di Itaewon ha rivelato carenze generali nella preparazione e nella gestione da parte della polizia e dell’Ufficio distrettuale di Yongsan.
La polizia ha concentrato le risorse nei pressi dell’Ufficio Presidenziale, trascurando il luogo del disastro, mentre l’Ufficio distrettuale ha fallito nel fornire una risposta iniziale efficace e nella gestione del disastro.
Il governo ha richiesto misure disciplinari per 62 funzionari coinvolti e auspica che l’indagine contribuisca a chiarire i dubbi delle famiglie colpite e dell’opinione pubblica.
Valutazione I risultati sottolineano l’importanza di una maggiore pianificazione e di un coordinamento efficace per ridurre al minimo le tragedie future.

‘체불임금’ 최대 3배 손해배상 청구 가능…개정 ‘근로기준법’ 시행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오늘부터 상습적인 임금체불 근절을 위해 개정 ‘근로기준법’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3개월 이상 임금이 체불된 피해 노동자는 최대 3배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가 도입됩니다.
상습 체불 사업주는 금융 거래 시 불이익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정부 보조사업 참여도 제한됩니다.
총평 이번 법 개정은 임금체불로 어려움을 겪는 노동자들에게 실질적인 보호장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oda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amended Labor Standards Act to eradicate habitual wage arrears.
Under this amendment, workers who suffer from wage arrears for more than three months can claim punitive damages up to three times the amount owed.
Habitual offenders will face financial disadvantages and restrictions on participating in government-funded projects.
Summary This amendment provides stronger protection for workers by holding habitual offenders accountable and enhancing wage recovery options.

日本語 本日、雇用労働部は改正『労働基準法』を施行し、長期未払い賃金を根絶する活動を強化しました。
これにより、3ヶ月以上の賃金未払いを受けた労働者は、最大で未払い金額の3倍の損害賠償を請求できる制度が導入されます。
また、常習的未払い企業は金融取引で不利益を受け、政府支援事業への参加も制限されます。
総評 この法律改正は、労働者の保障を強化し悪質な企業を抑制する具体的な一歩と言えます。

中文 今天,韩国雇佣劳动部宣布正式实施修订后的《劳动基准法》,以杜绝长期拖欠工资行为。
根据新规,遭遇拖欠工资超过三个月的劳动者可申请最高三倍的惩罚性赔偿。
惯性拖欠企业将面临金融交易限制,并不得参与政府补助项目。
总评 新法为受害劳动者提供更强的保护,并强化对恶意拖欠行为的惩罚力度。

Italiano Oggi,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Occupazione ha annunciato l’applicazione della Legge sul lavoro modificata per contrastare gli arretrati salariali abituali.
La nuova normativa consente ai lavoratori che subiscono arretrati superiori a tre mesi di richiedere un risarcimento punitivo fino a tre volte l’importo dovuto.
Le aziende recidive subiranno svantaggi finanziari e saranno escluse dai progetti di sovvenzione statali.
Valutazione Questa legge offre maggiori garanzie ai lavoratori e mira a eliminare le pratiche di arretrato salariale ripetuto.

요약

김장철 배추·무 공급 ‘원활’…농식품부, 수급상황 점검
발행일: 2025-10-23 09:18

원문보기
**김장철 대비, 배추·무 등 주요 재료 공급 안정으로 소비자 부담 완화**

정부는 김장철을 맞아 배추와 무를 포함한 주요 김장 재료의 안정적인 공급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철저한 준비를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월 23일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이 주재하는 김장 재료 수급 점검회의를 열고 주요 농수산물의 공급 전망과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김치업계, 유통업체, 연구기관 등이 참석해 협력 대책을 모색했다.

### 주요 재료 공급 상황
– **배추와 무**: 가을철 잦은 비로 무름병 등 병충해가 일부 발생했지만, 재배면적 확대와 대량 수요처의 충분한 재고로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 **양념 채소**: 고춧가루, 마늘, 양파 등 대부분 원활한 공급이 예상되지만, 산지 가격 상승으로 마늘과 작황 부진으로 쪽파의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마늘 비축 물량 확대와 쪽파 생육관리를 통해 대응할 계획이다.
– **과일류 배**: 생산량 증가(전년 대비 13.4%)로 가격 안정이 예상되며, 정부는 계약재배 물량을 늘려 유통 안정화를 추진 중이다.
– **수산물**: 천일염, 새우젓 등은 공급이 충분하지만 멸치 생산 감소로 멸치액젓 가격 강세가 우려된다. 정부는 할인 행사를 통해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고 일부 대체 품목 소비를 장려할 방침이다.

### 정부 대책
농식품부는 기후 및 수급 변동에 대비해 정부 비축 물량을 확보하고, 가격 안정화 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할인 지원 계획을 포함한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을 11월 초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병해충 방지 등 생육관리와 비상 대응체계를 철저히 준비하여 김장철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고 공급 안정화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협력 기관과 함께 농축산물 및 수산물의 가격과 공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소비자들에게 안정적인 김장재료 마련 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소재·부품·장비 역량 강화한다…새 정부 ‘소부장’ 기본계획 수립
발행일: 2025-10-23 09:17

원문보기
**정부, 2030년까지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한다. 이는 첨단산업에서의 초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경제안보를 위한 핵심 분야로 소부장을 지정하여, 연구개발(R&D), 생산기지 확대, 공급망 안정화를 지원하며 산업 대전환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 **핵심 내용**

1. **소부장 특화단지 확대**
– 기존 특화단지 10개에 추가로 10개를 설립(2030년까지).
– 특화단지 내 R&D, 테스트베드, 인력양성 및 규제 개선 등을 통해 기업 투자 유치 및 지역 균형발전 도모.
– AI 기반의 ‘트윈랩’ 테스트베드를 도입하여 실증 비용 절감.

2. **기술혁신 및 AI 기반 신소재 개발**
– **15대 슈퍼 을(乙) 프로젝트**: 세계 최초·최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프로젝트당 200억 원 이상 지원.
– **5대 AI 신소재 개발 프로젝트**: 극한 환경 소재 및 신소재를 AI 기술로 개발하여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
– 소재 데이터베이스를 현재 430만 건에서 1500만 건 이상으로 확대.

3. **수출시장 및 내수 신시장 확장**
– 핵심 산업과 연계하여 맞춤형 수출 전략(한미 협력, 인도 프로젝트 등) 마련.
– AI, 양자 기술, 방산 등 5대 핵심 소부장 분야에 공공 부문 선도 투자로 내수 활성화.

4. **수요-공급 기업 간 협력 강화**
– 차세대 전략 품목을 대상으로 수요-공급 기업이 참여하는 10대 생태계 협력모델 추진.
– 특화단지 내 생산 협력 플랫폼 조성 및 소부장 정책 보험, 구매자금 저리 융자 등 지원 확대.

5. **공급망 안정화**
–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경제안보품목 관련 소부장 기업에 약 3조 5000억 원 지원(2025년 기준).
– 소부장 특별회계와 기금을 연계하여 경제안보 품목에 대한 초저리 대출 등 우대 제공.

6. **신규 협력모델 승인**
– ‘LFP 전구체’, ‘대면적 OLED용 정전척’, ‘수처리용 차세대 필터 모듈’ 등 이차전지 및 첨단소재 관련 3건의 협력모델 선정.
– 향후 5년간 약 350억 원의 공동 R&D, 실증 지원, 세제 혜택 제공.

### **성과 및 기대효과**
– 특화단지 조성을 통해 민간 투자 11조 원 유치, 약 8000명 고용 창출, 수출 증가(기존 단지 기준 약 40% 상승).
– 글로벌 선도 기술 확보와 첨단산업 전략적 대응을 통해 국가 경제안보와 기술 주권 강화.

이번 계획은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기반으로 첨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요-공급 생태계를 활성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1등급 ‘공공데이터포털’ 운영 재개…일부 파일데이터 추가 복구 중
발행일: 2025-10-23 08:50

원문보기
**공공데이터포털 서비스 복구: 주요 기능 재개**

행정안전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화재로 인해 중단됐던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서비스를 23일 오전 10시부터 재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공공데이터포털은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국민이 무료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복구된 이후 현재 API 서비스, 파일 다운로드, 데이터 제공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업 공공데이터 문제 해결 신청 등 주요 기능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파일 데이터는 추가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며, 공공기관의 데이터 신규 등록 등 관리자 전용 기능은 10월 말까지 복구될 예정입니다.

행정안전부는 불편 사항을 줄이기 위해 콜센터(☎1566-0025)를 활용한 신고 처리와 지속적인 서비스를 모니터링할 방침입니다.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디지털정부혁신실 공공지능데이터정책과(044-205-2473)로 연락하면 됩니다.

출처: [www.korea.kr]

한국 경찰 주도 ‘국제공조협의체’ 발족…스캠단지 공동 대응 본격화
발행일: 2025-10-23 08:47

원문보기
**한국 경찰 주도로 초국경 스캠단지를 겨냥한 ‘국제공조협의체’ 발족**

최근 급증하고 있는 초국경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경찰이 주도하는 ‘국제공조협의체’가 공식적으로 발족했습니다. 이 협의체는 인터폴, 아세아나폴(ASEANAPOL),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등 국제 경찰기구와 캄보디아, 미국, 필리핀, 태국, 라오스,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등 8개국이 참여해 스캠단지를 타겟으로 한 공동 대응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주요 내용
1. **발족 목적**
한국 경찰은 이번 협의체를 통해 사이버사기, 보이스피싱, 로맨스 스캠, 가상자산 범죄 등 국경 없는 신종 범죄에 대응하는 공조 체계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또한, 초국경 합동 작전인 ‘Breaking Chains’를 통해 범죄 네트워크를 근절한다는 방침입니다.

2. **참여국 및 국제기구**
캄보디아를 포함한 8개국이 참여하며, 인터폴과 아세아나폴 등 국제기구도 협력해 스캠단지에 대한 정보 공유 및 수사를 지원합니다.

3. **초국경 범죄의 심각성**
최근 동남아 지역에서 운영되는 스캠단지는 단순 금융사기를 넘어 조직폭력, 인신매매 등 심각한 국제 인권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4. **향후 계획**
오는 11월, 서울에서 국제 경찰기구 및 주요 공조국과의 작전회의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공동 전략을 구체화하고 더 많은 국가와의 협력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 국제적 지지
인터폴은 한국 경찰의 주도적 역할에 대해 강력히 환영하며, 협의체 참여 기관과 함께 스캠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세아나폴과 미국 국토안보국도 초국경 범죄 근절을 위해 한국 경찰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 한국 경찰의 비전
이준형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스캠단지는 단순 사기를 넘어서는 복합적인 국제 범죄로, 한국 경찰이 새롭고 실질적인 국제 치안 모델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협의체의 발족은 초국경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의 첫 단추가 될 뿐 아니라, 한국 경찰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본 뉴스 내용은 경찰청의 보도자료를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시동…산·학·연·관 ‘한팀’ 본격화
발행일: 2025-10-23 08:37

원문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정수소 생산기술 사업화 위한 전 주기 R&D 협력 본격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산·학·연·관 협력으로 청정수소 생산기술 개발 국산화와 사업화를 가속화하는 ‘청정수소 R&D 혁신 연합’의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지난 23일 개최된 제1차 총괄위원회에서는 출범 이후 처음으로 관계자들이 모여 청정수소 기술 개발 전 주기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혁신 연합은 과기정통부와 93개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오는 2030년까지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율 100%를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알칼라인(ALK)·고분자전해질(PEM)·고체산화물(SOEC)·음이온교환막(AEM) 수전해,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 등 5대 핵심 기술을 집중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회의에는 김준범 울산대학교 교수(위원장)를 비롯한 주요 수요기업 관계자,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단장, 학계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연구개발 체계와 실험실 기술이 산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강화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특히, 수요기업 관계자들은 기술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만큼 정부 차원의 실증 기반 확충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혁신 연합은 또한 기술 개발이 사업화 및 산업 현장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수요 맞춤형 협력을 강화하고 신뢰 기반의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따라 5대 핵심 분야 전담 중점연구실에 2029년까지 총 1190억 원을 투입해 국산 기술의 대규모 상용화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수전해 소재·부품의 성능 검증 및 평가 체계를 마련하여 수요기업과 연구소 간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낼 방침입니다. 내년부터는 수요기업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과제를 실시하고, 혁신 연합 내 분야별 협의체를 운영하여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혁신 연합이 청정수소 기술 자립을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협력 플랫폼은 한국의 청정수소 기술 산업화 목표 달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 (044-202-4675)

APEC 안전 위해 소방인력 4000명·장비 1100여 대 투입
발행일: 2025-10-23 08:36

원문보기
**소방청, 2025 APEC 정상회의 대비 총력 대응 체계 가동**

소방청은 2025년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소방 특별경계근무와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23일부터 APEC 본회의가 열리는 경북 지역에 소방 특별경계근무를 시작하며, 소방 인력 4000명과 장비 1100여 대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국 단위 대응체계 확대와 동원령 발령**
특별경계근무는 26일부터 전국으로 확대되며, 28일부터는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해 구급차, 화생방 전문 대응 인력 및 장비를 추가로 배치한다. 이와 함께 APEC 행사 기간 동안 경북 지역에는 270여 대의 장비와 770여 명의 인력을 추가 지원하며, 총력 대응체계를 운영한다.

**소방안전대책 최종 점검**
22일 소방청 통합지휘센터에서는 ‘2025 APEC 소방안전대책 추진상황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는 경북 경주에 설치된 APEC 소방작전본부를 비롯해 서울, 부산, 인천 등 주요 개최지 소방 지휘관들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재난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하며, 지역별 소방력 배치와 장비 운용계획을 점검했다.

**주요 정상 입국 일정 대비 신속 보고 체계 구축**
소방청은 APEC 정상들의 입국 일정과 회의 장소의 동선이 유동적임을 고려해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유연한 대응체계를 마련했다. 중앙-지방 간 통합 지휘체계 운영 및 실시간 보고·전파 시스템 준비를 완료해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준비했다.

**소방청장의 APEC 준비 의지 표명**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소방청은 재난관리의 중추기관으로서 국민과 이번 APEC 행사 참가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한민국의 재난관리 역량을 국제사회에 성공적으로 알리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번 APEC 정상회의 주제인 ‘연결, 혁신, 번영’이 대한민국의 철저한 준비와 성공적인 재난관리로 실현되기를 기대하며, 소방청은 국가적 역할 수행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문의: 소방청 구조과 (044-205-7622)**

이 대통령 “자주적 방산 역량 확고히 해야 한반도 평화 지켜”
발행일: 2025-10-23 08:25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자주적 방산 역량 강조 및 글로벌 역할 당부**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국내 주요 방산 기업의 수주 잔고가 상반기 기준 100조 원을 돌파한 것과 관련해 대한민국의 방위산업이 자주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반도 평화와 국민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14차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세계가 주목하는 K-이니셔티브의 지평이 K-방산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은 방산 수출 규모가 2030년까지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첨단 기술과 제조 혁신이 결합된 방위산업이 미래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하며, 대대적인 예산 투자와 글로벌 협력을 통해 세계 방위산업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글로벌 방산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APEC 정상회의 및 대외 협력의 중요성**

이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언급하며, 이번 회의가 상생과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945년 유엔 창설 이후 변화해 온 세계 질서 속에서 현재가 탈냉전 시대의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분석하며, 국제사회가 신뢰와 협력을 통해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루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인공지능 전환과 인구 변화와 같은 글로벌 도전 과제를 다자 협력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이 이러한 몫을 이끌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통령은 관계 부처에 APEC 정상회담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했다.

**사정기관 문제와 공직 기강 강조**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일부 사정기관들의 문제를 언급하며,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기강 문란 행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사정기관 일부 공직자들이 공적 권한을 부당하게 사용해 불법 행위를 은폐하거나 사건을 조작하는 행태를 지적하며, 이를 엄중히 조사하여 법적 절차에 따라 단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모든 공직자들이 공적 권한을 남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억울한 사람을 만들거나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동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요약**
이재명 대통령은 방위산업의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기 위한 자주적 역량 강화, 다자협력을 통한 국제 도전 과제 해결, 공직 기강 유지 등 주요 국정 방향을 제시하며, 범정부적 협력과 책임 있는 행동을 당부했다.

문체부, 스포츠계 폭력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 첫 적용
발행일: 2025-10-23 07:51

원문보기
정부가 체육계에서 폭력 행위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을 처음으로 적용하며 체육지도자 자격을 취소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중학교 씨름부 지도자가 훈련 태도를 문제 삼아 선수를 폭행한 사실을 확인하고, 스포츠윤리센터의 조사와 체육지도자 자격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자격 취소를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8월 발표된 ‘체육계 (성)폭력 근절 방향’에서 천명된 원칙을 실제 사례로 적용한 첫번째 케이스가 됐습니다.

문체부는 이번 사례를 기점으로 스포츠계 폭력 근절 정책을 더욱 강화할 방침입니다. 지난 9월 실시된 ‘스포츠 폭력 특별신고기간’을 통해 접수된 198건 중 인권침해 신고가 105건으로 월평균 대비 2.7배 증가했으며, 이를 토대로 신속한 조사와 처벌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폭력 가해 지도자 및 관련 체육단체에 대해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재의를 요구하거나 재정지원을 제한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조치를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는 인권보호관을 확대 배치하여 학교 운동부와 대회 현장을 상시 점검하고, 모든 경기인 대상의 폭력·성폭력 예방 교육을 의무화하며 체육계 인권침해 실태 전수조사를 통해 예방 기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최휘영 장관은 스포츠윤리센터를 직접 방문해 피해자 보호 및 재발 방지 시스템을 점검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모든 선수가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대책을 추진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주서 ‘K-에듀 엑스포’ 개막…한국 교육의 혁신, 세계와 공유
발행일: 2025-10-23 07:49

원문보기
**K-에듀 엑스포 2025, 한국 교육 혁신을 세계와 공유하는 글로벌 교육 축제**

교육부는 경상북도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과 공동으로 2025년 10월 26일부터 28일까지 경북 경주에서 **’K-에듀 엑스포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APEC 정상회의의 공식 부대행사**로, ‘함께 배우며, 미래를 열다(Learn Together, Lead Tomorrow)’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행사는 한국 교육의 혁신을 세계에 알리고 국민이 직접 참여해 미래 교육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국민 참여형 글로벌 교육 축제**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시를 통해 교육과 기술, 문화를 결합한 새로운 교육 모델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개막식 및 주요 행사
K-에듀 엑스포의 개막식은 학생 공연으로 시작되며, **최교진 교육부 장관**의 환영사와 **임종식 경북교육감**의 ‘K-에듀 비전 선포’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이후 **이세돌 국수**와 **살만 칸(칸아카데미 설립자)**이 ‘인공지능과 교육의 미래 – 인간의 역할과 가능성’을 주제로 한 특별 대담을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다채로운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는데, 인공지능 영상제, 시울림 콘서트, K-에듀 특별공연, ‘도전! 꿈 성취 인증제 한마당’ 등 **10여 개의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 혁신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교육 체험 및 전시
엑스포 기간 동안 운영되는 **80여 개의 전시·체험관**에서는 첨단 교육 정보 기술(에듀테크), 미래교실, 기반 학습 등 다양한 교육혁신 사례를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 유보통합 등 **한국의 주요 교육정책**과 전국 시·도교육청의 우수사례를 소개하며 한국 교육의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경주시의 황남동 고분군 잔디광장에서는 **진로·직업 체험관**이 마련되어 학생들이 직업 및 생활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하며, 한류 콘텐츠를 접목한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됩니다.

### 국제교육포럼
행사 기간 중에는 세계 유명 교육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교육포럼도 열립니다. 이 포럼에서는 **’인공지능 시대, 삶과 교육을 성찰하다’**를 주제로,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요구되는 인간의 역할, 교육의 정의 변화, 지속 가능한 교육 협력 방향에 대한 깊은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특별 체험 및 행사 참여
또한, 행사 기간 내에는 국내외 참가자들이 경북과학고등학교를 방문하여 **인공지능 융합 교육**이 진행되는 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K-급식을 체험**하며 한국 학생들의 일상과 학습 환경을 체감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 기대와 의의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이번 행사가 **한국 교육의 혁신과 비전을 세계와 나누는 중요한 자리**라며, 학습자의 성장을 돕고 국가와 지역 간의 균형 발전을 이루는 교육 혁신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국민이 교육의 변화를 직접 체감하고, 새로운 도약을 함께 만들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행사 정보
– **일정**: 2025년 10월 26일(일) ~ 10월 28일(화)
– **장소**: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 및 국제미디어센터
– **문의**: 교육부 글로벌교육정책담당관 APEC 교육협력팀 (044-203-6799)

K-에듀 엑스포 2025는 한국 교육의 미래를 다각도로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축제이며, 국민과 전 세계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소통과 협력의 장으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2029년부터 신차에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장착 의무화
발행일: 2025-10-23 07:17

원문보기
2029년부터 승용차와 소형 화물차를 포함한 신차에는 급가속 페달 조작 시 출력을 제한하는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가 의무적으로 장착됩니다. 또한 전기차에는 배터리 잔존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친환경차 보급을 위해 대형 경유 트랙터의 길이 기준이 완화됩니다. 이는 국토교통부의 규칙 개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조치로, 해당 개정령안은 12월 23일까지 입법예고 절차를 거칩니다.

### 주요 개정사항:
1.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의무화**
– 2029년 1월 1일부터 모든 승용차 신차에,
– 2030년 1월 1일부터 3.5톤 이하 승합·화물·특수차 신차에 장착이 의무화됩니다.
– 이 장치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주변 장애물을 감지한 후 급가속 페달 조작 시 출력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추게 됩니다.

2.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 의무화**
– 전기차 보급 확대로 소비자들이 배터리 성능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수화됩니다.
– 이를 통해 전기차 관련 소비자 신뢰 향상과 배터리 재활용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전기·수소 트랙터 길이 기준 완화**
– 기존 대형 경유 트랙터 대신 친환경 전기·수소 트랙터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길이 허용 기준을 현재의 16.7m에서 19m로 확대.

4. **제작사 상표와 등화장치 결합 허용**
– 자동차 전·후면 등화장치와 제작사 브랜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허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디자인 향상 및 기술 혁신을 지원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국민 안전 및 소비자 권익을 강화하고, 국내 자동차 산업의 친환경·기술 발전을 도모할 방침입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국토교통부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 제출도 가능합니다.

문의: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 (044-201-3853)

올해 ‘3대 기축통화’ 외평채 34억 달러 성공 발행…사상 최초
발행일: 2025-10-23 07:13

원문보기
### 한국 정부, 사상 최저 금리 외평채 발행 성공… 세계 3대 기축통화 활용해 국제 금융시장 입지 강화

한국 정부는 사상 최저 수준의 금리로 달러화 및 엔화 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을 발행하며, 올해 세계 3대 기축통화인 달러·유로·엔으로 각각 외평채를 발행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이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한국 경제의 신뢰도가 강화되고 투자 매력이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됩니다.

#### **역대 최저 금리 조건으로 발행된 외평채**
기획재정부는 23일 17억 달러 규모의 외평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외평채는 5년 만기 달러화 표시 채권 10억 달러와 2년·3년·5.25년·10년 만기 엔화 표시 채권 1100억 엔 규모로 나누어 발행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달러화 외평채는 역대 최저 조건으로 미 국채 대비 가산금리를 17bp로 경신했으며, 엔화 외평채도 1%대 저금리로 발행, 직전 발행보다 더 낮은 가산금리를 기록했습니다.

#### **국제 금융시장 속 한국 경제의 신뢰도 제고**
이와 같은 낮은 가산금리 수준은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한국 정부와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 국채와 비교해 가산금리가 10bp대에 머무른 점은 한국 경제의 안정성과 신뢰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는 일본 및 뉴질랜드 정책금융기관의 금리와 비교했을 때도 더욱 경쟁력이 높은 수준입니다.

#### **외환보유액 확충 및 대외불확실성 대응**
이번 달러화와 엔화 외평채 발행은 외환보유액을 대폭 확대해 최근 대외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올해 총 외평채 발행 규모는 상반기 유로화 발행(14억 유로)을 포함해 34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1998년 이후 최대치 기록입니다. 추가로 이번 발행을 통해 다음 달 만기 예정인 기존 외평채의 상환 재원도 선제적으로 확보했습니다.

#### **사상 최초의 G3 통화 외평채 발행 성공**
올해는 한국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세계 3대 기축통화(G3 통화)인 달러, 유로, 엔으로 외평채를 발행하는 데 성공한 해로 기록됩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서 외평채 수요가 견조함을 확인했으며, 외환보유액 내 통화 구성의 다변화도 실현되었습니다.

#### **투자자 유치를 위한 적극적 노력**
한국 정부는 글로벌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했습니다. 뉴욕에서 열린 ‘대한민국 투자 서밋’, 일본과 온라인에서 실시된 투자 설명회 등을 통해 한국 경제의 회복 흐름과 정책 방향을 직접 발표하며, 글로벌 투자자들과 소통을 강화했습니다. 특히,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자본시장 매력도를 강조하며 투자 유치를 이끌어냈습니다.

이번 외평채 발행은 한국 경제의 안정적 기반을 보여주며, 국제 금융시장에서 더욱 높은 위상을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
발행일: 2025-10-23 06:58

원문보기
### [2038년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5차 종합계획 발표]

보건복지부가 오는 2038년 목표로 추진 중인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시키기 위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첨복단지의 공공성과 혁신성을 강화하기 위한 총체적 전략을 포함하고 있으며, 5대 전략과 13개 핵심 과제를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주요 계획 내용**

#### **1. 산업생태계 강화**
– **수요 맞춤형 기술서비스 확대**: 첨복단지 내 기술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신규 인프라(제약스마트팩토리 등)를 활용하여 사업 성장 단계별 지원 강화.
– **글로벌 컨설팅 확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력하여 글로벌 인허가 컨설팅 및 교육 프로그램 제공.

#### **2. 공공 중심 기반 R&D 강화**
– 핵심 인프라 최적화 및 **특화 R&D 프로그램 도입**: 신약 개발, 의료기기, 의약품 생산 지원 기능을 활성화.
– 보건안보 및 공백기술 영역 강화로 **공공성 추구**를 확대.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인증·평가 기술 확보 및 의료기기 제품화 지원.

#### **3. 연계와 협력 활성화**
– **법률·투자·인허가·임상서비스 기관 유치**로 첨복단지 내 협력 기반 강화.
– 대구와 오송 첨복단지 간 기술 교류 및 국내외 클러스터 협력 확대.
– **버추얼 플랫폼 구축 및 해외 클러스터와 인재교류**를 통해 글로벌 협력 생태계 조성.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국제규격에 부합하는 장비 유지·보수 체계** 수립.
– 공공 CRDMO 기능 강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및 현장 중심 전문인력 육성.
– WHO와 협력하여 개발도상국 대상 **의약품 공정·규제 지침교육** 실시.

#### **5. 법·제도 정비**
– 첨단의료단지법을 **육성과 활성화** 중심 법 체계로 개편.
–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통합 추진으로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 강화.

### **목표와 기대효과**

보건복지부는 이번 5차 종합계획을 통해 첨복단지의 공공성과 혁신성을 강화함으로써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의료 AI·제약·바이오헬스 강국 실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적으로 핵심 기술 개발 체계를 확립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문의**
–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보건산업정책과**: 044-202-2911

출처: [정책브리핑-보건복지부](www.korea.kr)

“이태원 참사 당일 경찰 경비인력 미배치”…합동감사 결과 발표
발행일: 2025-10-23 06:03

원문보기
### 이태원 참사 감사 결과: 경찰과 용산구청의 총체적 부실 대응 확인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해 정부가 합동감사 TF를 통해 경찰청, 서울시청, 용산경찰서 및 용산구청의 대응 전반을 조사한 결과, 사건에 대한 사전 대비 및 참사 초기 대응 과정에서 심각한 부실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경찰청 감사 결과**
1. **경비인력 배치 부족**
– 대통령실 용산 이전으로 인해 주변 집회 및 시위 관리를 위해 경비인력을 집중 배치했으며, 이로 인해 참사 당일 이태원 지역에는 경비인력이 전무했습니다.
– 용산경찰서는 2020~2021년 핼러윈데이 대비 인파관리 경비계획을 수립했지만, 2022년에는 이를 수립하지 않았습니다.

2. **112 신고 처리 부실**
– 참사 당일 다수의 압사 위험 관련 신고가 접수되었으나 이를 간과하거나 처리 과정에서 허위 조작이 있었다고 확인되었습니다.
– 이태원파출소는 참사 현장에 출동 명령을 받았음에도 11건의 신고 중 한 건만 출동하고 나머지는 허위 입력 처리했습니다.

3. **중요 책임자의 대응 실패**
– 용산경찰서장은 사고 직후 현장으로의 출동이 지연되고, 참사 현장 확인 및 신속한 지휘를 하지 않았습니다.
– 서울경찰청장은 참사 상황을 늦게 인지하고 경찰청장에게 적시 보고하지 않는 등 대응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4. **특별감찰 과정 문제점**
– 경찰청 특별감찰팀은 일부 책임자를 수사 의뢰했으나, 공식적인 감찰활동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등 부적절한 후속 처리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 **용산구청 및 서울시청 감사 결과**
1. **초기 대응 부실**
– 재난 발생 초동 보고체계가 작동하지 않아 참사 초기 대응이 늦었습니다.
– 당시 구청 상황실 근무자들은 참사 발생 시간에 전단지 제거 작업 등 다른 업무를 하고 있었으며, 초기 보고 및 대응이 소홀했습니다.
– 재난안전대책본부와 현장 통합지원본부를 신속히 설치하지 못해 체계적 대응이 실패했습니다.

2. **재난 대응 리더십 부재**
– 용산구청장의 부적절한 판단과 주요 재난관리 책임자들의 역할 부족으로 통합 대응체계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습니다.
– 정확한 재난 현황 파악 및 긴급 구조본부와의 실시간 소통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3. **부실 점검 및 관리**
– 참사 발생 당시 인근 춤 허용 음식점에서 발생한 소음이 의사소통을 방해하며 참사로 발전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 용산구청은 음식점 점검을 형식적으로 진행하며 실질적인 관리에 미흡했습니다.

4. **징계 절차 문제**
– 서울시청은 용산구로부터 징계 요구받은 재난대응 책임자에 대해 내부 보고만으로 징계를 보류했고, 이로 인해 해당 책임자가 징계 없이 정년퇴직했습니다.

#### **결론 및 후속 조치**
합동감사 결과 이태원 참사는 사전에 고지된 대규모 인파 운집에 대해 경찰 및 용산구청이 명백히 대비하지 못했으며, 초기 사고 대응 체계는 총체적 부실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이번 감사를 통해 총 62명의 공직자(경찰청 51명, 서울시청 및 용산구청 11명)에 대해 징계 등 책임 조치를 요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감사는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및 유가족과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이후 재난 대응 시스템 개선과 책임자 처벌 강화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처:
– 국무조정실 공직복무관리관실: 044-200-2743
– 행정안전부 감사관실 복무감찰담당관실: 044-205-1132
– 경찰청 감사관실: 02-3150-0914

‘체불임금’ 최대 3배 손해배상 청구 가능…개정 ‘근로기준법’ 시행
발행일: 2025-10-23 05:54

원문보기
**근로기준법 개정, 상습 체불 사업주 제재 강화 및 노동자 보호 확대**

고용노동부는 9월 23일부터 개정된 ‘근로기준법’이 시행되며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강화된 정책을 선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하거나 장기적으로 체불 피해를 입은 노동자들이 체불임금의 최대 3배까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한 것이 핵심입니다.

**상습 체불 사업주 대상 주요 제재 내용**
개정안에 따르면 체불 누적 금액이 3000만 원 이상이거나 3개월 이상의 장기 체불이 발생한 상습 체불 사업주는 신용정보기관에 체불 정보를 공유하여 금융거래에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또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보조, 지원사업 참여가 제한됩니다. 더불어 임금체불로 두 차례 이상 유죄 판결을 받은 사업주 명단은 공개되며, 체불임금을 청산하기 전까지 외국 출국이 금지됩니다.

특히 명단 공개 기간(3년) 중 임금을 추가 체불하는 경우 피해 노동자의 처벌 의사와 관계없이 형사처벌이 가능해집니다. 이로써 반의사불벌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보다 엄격한 법적 조치가 이뤄질 전망입니다.

**노동자 보호 및 임금체불 예방책**
노동자 보호도 한층 확대됩니다. 기존에는 퇴직 노동자에만 적용되던 체불임금 지연이자(연 20%)가 재직자로도 확대 적용됩니다. 또한 대금 지급구조 개선을 위해 정부는 ‘임금구분지급제’와 ‘발주자 직접지급제’의 확산을 논의하고 있으며, 체불청산에 필요한 융자사업 확대도 준비 중입니다.

고용노동부는 범정부 합동 TF 회의를 통해 임금체불 근절 대책의 이행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산업현장 중심의 정책 실행을 강조했습니다.

**정부의 의지와 당부**
이현옥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담아 발표된 임금체불 근절 대책이 실질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각 부처들이 적극 협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이번 개정된 법은 상습체불 근절 및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산업현장이 법의 주요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임금을 제때 지급하는 문화가 정착되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도 요구될 전망입니다.

문의: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044-202-7548)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