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위성락 “E.N.D 비전, 한반도 문제 해결과 세계 평화·번영에 기여”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비전인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며 교류, 관계 정상화, 비핵화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습니다.
특히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와 경제 협력을 강조하며 AI 인프라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국제적 투자 유치와 교통 인프라 개발 협력 등을 추진했습니다.
총평 이번 외교적 노력은 한반도 평화와 글로벌 경제 협력을 촉진하며 일상적 경제 기회를 확대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proposed the ‘E.N.D Initiative’ at the UN General Assembly, focusing on exchange, normalization, and denuclearization to pursue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He highlighted global partnerships and economic cooperation, emphasizing investments in AI infrastructure and renewable energy as well as collaborations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Summary This diplomatic initiative aims to foster Korean Peninsula peace while expanding global economic opportunities with potential daily-life impacts.
日本語 李在明大統領は国連総会で韓半島のビジョン「E.N.Dイニシアチブ」を提案し、交流、関係正常化、非核化を通じて平和と繁栄を目指す意思を表明しました。
また、グローバルパートナーシップ強化と経済協力を強調し、AIインフラや再生可能エネルギー分野への国際的な投資誘致と交通インフラ開発の協力などを推進しました。
総評 この外交的な取り組みは韓半島の平和を促進し、経済的なチャンスの拡大に寄与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联合国大会上提出了“E.N.D倡议”,强调通过交流、关系正常化和无核化实现朝鲜半岛的和平与繁荣。
同时,他还强调了全球合作与经济协作,包括人工智能基础设施和可再生能源领域的国际投资吸引以及交通基础设施开发合作。
总评 此次外交努力可能促进朝鲜半岛和平,并扩大全球经济机遇,对日常生活产生积极影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presentato l’iniziativa ‘E.N.D.’ all’Assemblea Generale delle Nazioni Unite, puntando su scambio, normalizzazione e denuclearizzazione per promuovere pace e prosperità nella penisola coreana.
Ha inoltre sottolineato il rafforzamento delle collaborazioni globali e dello sviluppo economico attraverso investimenti internazionali in infrastrutture AI ed energie rinnovabili, nonché cooperazioni nello sviluppo infrastrutturale dei trasporti.
Valutazione Questo sforzo diplomatico potrebbe favorire la pace nella penisola coreana e ampliare le opportunità economiche con ricadute positive sulla vita quotidiana.
‘가명정보 활용도 높인다’…법적 부담 줄이고 절차는 단축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가명정보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혁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조치는 원스톱 서비스 도입,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 개정, 데이터 제공 기간 단축 등으로, 이를 통해 데이터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법적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입니다.
앞으로 가명정보 활용이 더 원활해지면 AI와 데이터 기반 산업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데이터 제공 속도를 줄이고 절차 복잡성을 완화하여 공공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innovative measures to enhance the use of pseudonymized data.
Key initiatives include the introduction of a one-stop service, revision of the pseudonymized data processing guidelines, and reduction of data provision timelines to improve efficiency and mitigate legal burdens.
These measures are expected to boost AI and data-driven industries by enabling smoother utilization of public data.
Summary This plan simplifies procedures and accelerates data handling, which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better data utilization.
日本語 政府は、仮名情報の活用を促進するための革新的な対策を発表しました。
主な施策は、ワンストップサービスの導入、仮名情報処理ガイドラインの改訂、データ提供期間の短縮などで、データ利用を効率化し、法的負担を軽減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これにより、AIやデータ駆動型産業の発展に好影響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新たな対策は、データ提供を迅速かつ効率的にし、公共データの利活用を通じて産業競争力を高め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政府发布了促进匿名信息利用的创新计划。
主要措施包括引入一站式服务、修订匿名信息处理指南以及缩短数据提供时间,从而提高数据的利用效率并缓解法律负担。
这些措施有望推动人工智能和数据驱动产业的发展。
总评 此次计划简化了流程并加快了数据处理,有助于通过改进数据利用提升相关产业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innovativo per promuovere l’utilizzo dei dati pseudonimizzati.
Le misure chiave includono l’introduzione di un servizio unico, la revisione delle linee guida per il trattamento dei dati pseudonimizzati e la riduzione dei tempi di fornitura dei dati per aumentare l’efficienza e ridurre gli oneri legali.
Questi interventi mirano a facilitare l’uso dei dati pubblici e rafforzare le industrie basate sull’AI e sui dati.
Valutazione Le nuove misure snelliscono le procedure e favoriscono il trattamento dei dati per migliorare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attraverso un uso più efficace dei dati.
정부, 국정과제 이행 ‘온라인 소통광장’ 개설…국민과 실시간 소통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123대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국민과 소통하는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개설하고, 현장을 방문해 의견 수렴 결과를 정책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추석 연휴 안전사고 예방과 겨울철 가축전염병 방역을 강화하며, 가명정보 활용을 촉진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국민의 안전과 생활 편의를 증대시키고, 가축전염병 방지 및 데이터 활용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launched the “Policy Communication Plaza” to engage with citizens directly and reflect their opinions into its 123 major policy initiatives.
Safety measures for the Chuseok holiday, enhanced prevention against livestock diseases this winter, and improved systems for pseudonymized data usage have also been established.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improve public safety, convenience, and economic efficiency by addressing key seasonal risks and fostering innovation in data utilization.
日本語 政府は123の主要政策課題を推進するために「政策課題コミュニケーション広場」を立ち上げ、国民の意見を政策に反映する方針です。
また、秋夕休暇の安全対策や冬季の家畜伝染病防疫を強化し、仮名情報の活用を促進するためのシステムを構築しました。
総評 多面的な対策が国民の安全向上、生活利便性の向上、及びデータ活用を通じた経済効率性の向上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设立“国政课题沟通广场”,直接与民众沟通,并将意见反映到123项主要政策之中。
此外,政府加强中秋假期安全管理、冬季牲畜传染病防疫措施,同时推动建立支持安全利用匿名信息的机制。
总评 这些举措不仅提高民众安全和便利性,还通过促进数据利用提升社会经济效益。
Italiano Il governo ha inaugurato la “Piazza di Comunicazione sulle Politiche” per raccogliere le opinioni dei cittadini e integrarle nei suoi 123 obiettivi principali.
Inoltre, sono stati rafforzati i sistemi di sicurezza per le vacanze del Chuseok e le misure contro le malattie degli animali da allevamento, insieme a nuovi metodi per l’uso sicuro dei dati pseudonimizzati.
Valutazione Questi provvedimenti ottimizzano la sicurezza pubblica e il benessere, favorendo allo stesso tempo un uso più efficace dei dati e una migliore efficienza economica.
손상사망률 2030년까지 30% 낮춘다…10만 명당 54.4명→38명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2030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손상 사망률을 54.4명에서 38명으로 30% 줄이는 것을 목표로 손상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계획에는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 응급 이송체계 개선, 재활 지원 및 정책 협력을 통한 전 주기 손상 예방 관리 방안이 포함됩니다.
총평 이 정책은 일상 속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한 예방과 대응 체계를 강화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다 면밀히 보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n government unveiled a comprehensive injury management plan aiming to reduce injury-related death rates from 54.4 to 38 per 100,000 people by 2030, marking a 30% decrease.
The plan includes establishing an integrated inju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fe cycle-specific prevention strategies, improved emergency response, and rehabilitation support, while promoting inter-agency cooperation.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bolster health and safety by enhancing prevention and response mechanisms for unexpected everyday accidents.
日本語 韓国政府は2030年までに人口10万人あたりの手傷死亡率を54.4人から38人に30%減少させることを目標とした包括的な手傷管理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の計画には、手傷統合情報管理システムの構築、生涯を通じた予防策、緊急対応の改善、リハビリ支援、自治体間の連携強化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施策は予期せぬ事故への予防・対応能力を向上させ、国民の健康と安全をより広範に守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政府宣布一项综合伤害管理计划,目标到2030年将每10万人中的伤害死亡率从54.4人降至38人,实现30%的减少。
该计划包括建设伤害信息管理系统、根据生命周期制定预防策略、改进紧急响应与康复支持,并加强部门间的合作。
总评 该政策有望通过完善预防与应对机制,更全面地保护国民的健康与日常安全。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ha presentato un piano di gestione delle lesioni, con l’obiettivo di ridurre il tasso di mortalità per lesioni da 54,4 a 38 ogni 100.000 abitanti entro il 2030, una riduzione del 30%.
Il piano prevede la creazione di un sistema integrato di gestione delle informazioni sulle lesioni, strategie preventive personalizzate per età, miglioramento delle risposte di emergenza e supporto alla riabilitazione, insieme alla cooperazione tra le agenzi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migliorare la salute pubblica e la sicurezza affrontando in modo più efficace gli incidenti imprevisti della vita quotidiana.
조현 장관 “‘두 국가’ 해법이 이-팔 분쟁 해결 유일한 길…적극 동참”
요약보기
한국어 조현 외교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유엔 본부에서 개최된 중동 안보리 브리핑에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지상 작전과 서안지구 정착촌 건설 재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두 국가 해법이 분쟁 해결의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 장관은 또한 우크라이나 관련 안보리 브리핑에서도 민간인 공격 중단과 추가 지원 방안을 검토할 것을 언급하며,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에 강한 경고를 보냈습니다.
총평 이번 회의는 한국이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책임과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글로벌 평화를 위한 한국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English Minister Park highlighted the two-state solution as the only path to resolving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during the UN Security Council briefing on the Middle East on the 23rd (local time).
In the subsequent Ukraine briefing, he emphasized stopping civilian attacks and reiterated South Korea’s support, while condemning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Summary These events underscore South Korea’s leadership as the Security Council chair, showcasing its commitment to addressing global security issues and fostering peace.
日本語 チョ・ヒョン外務部長官は23日(現地時間)、国連本部で行われた中東安保理ブリーフィングで、イスラエルのガザ地上作戦とヨルダン川西岸定住地の建設再開について懸念を表明し、2国家解決が唯一の解決策だと強調しました。
また、ウクライナ関連の安保理ブリーフィングでは、民間人への攻撃停止を訴え、北朝鮮とロシアの軍事協力を非難しました。
総評 韓国が安保理議長国として国際社会で責任ある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し、平和構築に貢献している姿を示した重要な会議でした。
中文 外交部长赵显于当地时间23日在联合国总部举行的中东安理会简报会上,强调以“两国方案”解决巴以冲突是唯一途径,并对以色列的加沙地面行动重启和约旦河西岸定居点建设表达了担忧。
在随后关于乌克兰的安理会简报中,他呼吁停止对平民的攻击,并谴责朝俄之间的军事合作对国际安全的威胁。
总评 这表明韩国作为安理会主席国展现了负责任的领导力,并强化了其在全球和平与安全事务中的角色。
Italiano Il Ministro Park, il 23 settembre (ora locale), ha sottolineato che la soluzione a due Stati è l’unica via per risolvere il conflitto israelo-palestinese, esprimendo preoccupazione per le operazioni di terra a Gaza e la ripresa degli insediamenti in Cisgiordania.
Durante il briefing sull’Ucraina, ha chiesto la fine degli attacchi contro i civili e ha condannato la cooperazione militare tra Corea del Nord e Russia.
Valutazione Questo evento dimostra il ruolo attivo della Corea del Sud come presidente del Consiglio di Sicurezza, rafforzando la sua posizione nella promozione della pace globale.
“추석 연휴 때도 생활폐기물 수거”…환경부, 폐기물 관리 총력
요약보기
한국어 올해 추석 연휴는 최장 10일로 생활폐기물 배출량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환경부는 ‘추석 연휴 생활폐기물 관리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지자체와 연계해 폐기물 수거일 운영, 폐기물 처리시설 가동, 과대포장 점검 등으로 깨끗한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긴 연휴 기간 중 쓰레기 배출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국민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방안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 special management plan for holiday waste during the 10-day Chuseok holiday, addressing concerns about increased waste generation.
Measures include waste collection schedules, operational waste facilities, and monitoring for excessive packaging violations in collabo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Summary This initiative ensures effective waste management during the long holiday, promoting a cleaner environment for everyone to enjoy the festive season.
日本語 10日間に及ぶ今年の秋夕(チュソク)休暇を控え、環境部は生活ごみの増加を懸念し「秋夕休暇生活ごみ管理対策」を発表しました。
地方自治体と協力し、ごみ収集日や処理施設稼働、過剰包装点検を進め、清潔な環境づくりを目指します。
総評 長期休暇中に急増するごみ問題を体系的に管理し、快適な名節環境を提供する実用的な対策となりそうです。
中文 面对最长10天的中秋假期可能带来的垃圾排放量增加,韩国环境部已出台“中秋节假期生活垃圾管理措施”。
通过与地方政府合作,安排垃圾收集时间表、运行废物处理设施,并加强针对过度包装的检查,旨在营造整洁的环境。
总评 此举能够有效控制假期垃圾问题,助力民众在清洁环境中度过美好的节日。
Italiano Per il lungo ponte di Chuseok, quest’anno di 10 giorni, il Ministero dell’Ambiente sudcoreano ha annunciato un piano speciale per gestire i rifiuti domestici.
Le misure includono orari dedicati alla raccolta, attivazione degli impianti di trattamento e controlli sui prodotti con imballaggi eccessivi in collaborazione con enti loc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garantirà una gestione efficace dei rifiuti durante il periodo di vacanza, creando un ambiente più pulito per il soggiorno festivo.
이용 후기 올리면 위약금?…산후조리원 불공정 약관 시정
요약보기
한국어 공정거래위원회는 52개 산후조리원의 불공정 약관을 시정했습니다.
수정된 약관에는 과도한 위약금, 감염 손해배상 책임 회피, 후기 작성 제한 등의 조항이 포함되어 소비자 권익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방안이 마련되었습니다.
또한 합리적 환불 기준과 소비자 표현의 자유를 강화하여 이용자 친화적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총평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산모와 신생아의 권리가 개선되어, 소비자로서 더 안전하고 투명한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has revised unfair contract terms in 52 postpartum care centers.
The updated terms eliminate excessive penalties, clarify liability for infection-related damages, and ensure consumer freedom to write reviews, thereby enhancing consumer rights.
Additionally, rational refund policies and greater transparency improve consumer protections.
Summary These changes allow postpartum mothers to access safer and more consumer-friendly services, supporting trust and informed decision-making.
日本語 韓国公正取引委員会は、52か所の産後ケア施設の不公正な契約条件を是正しました。
変更には、過剰な違約金、感染による損害賠償責任の回避、レビュー作成の制限に関する条項が含まれ、消費者権益の強化が図られました。
合理的な返金基準や透明性の向上により、利用者に優しい環境が整備されました。
総評 母親と新生児がより安全で透明性のある選択ができるようになり、信頼性の高い産後ケア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公平交易委员会修订了52家产后护理机构的不公平条款。
更新内容包括取消过高的违约金,明确感染相关责任,并保障消费者撰写评价的自由,从而加强了消费者权益保护。
此外,合理的退款标准和服务透明度提高了用户信任度。
总评 此次措施将有助于产后消费者获得更安全、更透明的服务选择,从而更好保护母婴权益。
Italiano La Commissione Coreana per il Commercio Equo ha modificato le clausole ingiuste in 52 centri di assistenza postpartum.
Le modifiche includono l’eliminazione di penali eccessive, la chiarificazione delle responsabilità per danni da infezioni e la tutela della libertà di espressione dei consumatori attraverso recensioni.
Sono stati introdotti standard di rimborso più equi e maggiore trasparenza nei servizi.
Valutazione Questi cambiamenti offrono maggiore sicurezza e libertà di scelta alle madri post-parto, rafforzando la fiducia nei centri di assistenza.
사우디가 선택한 한국 중소벤처기업 29곳…중동 진출 본격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중소벤처기업의 중동 진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 중동 진출 지원사업’을 시작합니다.
이번 사업은 한국과 사우디 정부가 공동 추진하며, 29개 한국 중소기업이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해 투자 설명회 및 네트워킹 행사에 참여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 중소기업의 신시장 개척과 국제적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 사업은 중소기업에게 중동 시장 진출의 실질적 기회를 제공하여 새로운 성장을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supporting the overseas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o the Middle East through its recently launched initiative.
This program is a joint project between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Saudi Arabia, featuring 29 selected Korean SMEs engaging in investment presentations and networking events in Saudi Arabia and the UAE.
It is expected to enhance market acces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se businesses.
Summary This initiative offers SMEs a tangible opportunity to enter the Middle Eastern market, fostering growth and innovation.
日本語 韓国政府は中小企業の中東進出を積極的に支援するため、「中小企業中東進出支援事業」を開始しました。
この事業は韓国とサウジアラビア政府が共同で推進しており、29社の韓国中小企業がサウジアラビアとUAEを訪れ、投資説明会やネットワーキングイベントに参加します。
これにより韓国中小企業の市場拡大と国際的な協力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事業は、中東市場への進出に向けた実際の機会を提供し、企業の成長を支援する重要な手段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政府开始积极支持中小企业进入中东市场的计划。
该计划是韩国与沙特共同推进的项目,29家韩国中小企业将访问沙特和阿联酋,参与投资说明会和商业网络活动。
预计将推动韩国企业开拓中东市场并促进国际合作。
总评 此举为中小企业提供了进入中东市场的实际机会,为企业发展注入新动力。
Italiano Il governo coreano ha avviato un programma per sostenere attivamente l’espansione delle PMI nel mercato del Medio Oriente.
Il progetto, in collaborazione con il governo saudita, coinvolge 29 aziende coreane che visiteranno Arabia Saudita e Emirati Arabi Uniti per partecipare a presentazioni e eventi di networking.
Si prevede che questa iniziativa favorisca l’accesso ai mercati e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offre alle PMI un’opportunità concreta per entrare nel mercato del Medio Oriente, stimolando crescita e innovazione.
전동킥보드·전기자전거 최고속도 상향 조작 전면 금지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의 최고속도 불법 조작 방지를 위한 안전기준을 마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기준에는 제품의 속도 조작 불가 확인과 표시사항 의무화 등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사용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여 교통사고 예방에 실질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s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tandards announced new safety standards to prevent illegal speed manipulation of e-scooters and electric bicycles.
The measures include ensuring products cannot be altered for speed and mandating clear labeling to inform consumer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the safety of users and pedestrians, potentially reducing traffic accidents significantly.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の国家技術標準院は、電動キックボードと電動自転車の最高速度の違法操作を防ぐための安全基準を発表しました。
新しい基準には、速度操作ができない製品であることの確認と表示義務化が含まれており、利用者と歩行者の安全を強化する計画で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電動キックボードと電動自転車の利用安全性を向上させ、事故防止に大きく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工业通商资源部国家技术标准院发布了防止电动滑板车和电动自行车非法修改最高速度的新安全标准。
新标准包括产品无法更改速度的确认以及强制性标签要求,以加强用户和行人的安全性。
总评 此举措将显著提高电动滑板车和电动自行车的安全使用,减少交通事故风险。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annunciato nuovi standard di sicurezza per prevenire la manipolazione illegale della velocità di monopattini elettrici e biciclette elettriche.
Le misure includono la verifica dell’impossibilità di modificare la velocità e l’obbligo di etichettatura chiara per informare i consumator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migliorare significativamente la sicurezza degli utenti e dei pedoni, prevenendo incidenti stradali.
버스·택시 ‘밤샘주차’, 일반주차장도 허용…규제 개선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사업용 자동차의 밤샘 주차가 기존 차고지 외 일반 주차장에서도 가능하도록 규제가 완화됩니다.
또한, 터미널 사용명령 기준 마련, 개인택시 면허 신청 간소화, 신규 운전자 양성교육 확대 등 운수산업 개선책이 포함되었습니다.
총평 이 개정안은 운수업계의 부담을 덜고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을 높여 일상 생활에 긍정적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Regulations have been relaxed to allow commercial vehicles to park overnight in regular parking lots rather than just in designated garages.
Additional measures include terminal usage rules, simplified individual taxi license applications, and expanded driver training programs.
Summary These changes aim to reduce industry burdens and improve public transportation convenience, positively impacting daily life.
日本語 商業用車両が登録された車庫だけでなく、一般駐車場でも夜間駐車可能となる規制緩和が行われます。
また、ターミナル使用基準の策定や個人タクシー免許申請の簡素化、新規運転者研修の拡充などが盛り込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改正案は運輸業界の負担を軽減し、公共交通機関の利便性向上が期待され、日常生活に良い影響を与えるでしょう。
中文 商业车辆的夜间停车规定已放宽,可在普通停车场而非仅限登记停车场过夜停车。
此外,还包括制定终点站使用标准、简化个人出租车许可证申请以及扩大司机培训计划等措施。
总评 这些改进将减轻运输行业负担,提高公共交通的便利性,对日常生活产生积极影响。
Italiano Le norme per il parcheggio notturno dei veicoli commerciali sono state allentate, permettendone l’uso anche nei parcheggi comuni oltre che nei garage designati.
Ulteriori misure includono regole per l’uso dei terminal, semplificazione delle domande per licenze di taxi privati e ampliamento dei programmi di formazione dei conducenti.
Valutazione Questi cambiamenti mirano a ridurre i costi per il settore dei trasporti e migliorare la comodità dei trasporti pubblici, con effetti positivi sulla vita quotidiana.
정부, 추석 연휴 24시간 상황관리 체계 가동…”국민 안전 최우선”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다가오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운영하며, 재난관리, 교통안전, 화재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 대책을 강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화재 취약 지역과 노후 시설을 집중 점검하고, 범죄 예방 및 감염병 확산 방지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연휴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난과 사고를 예방해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안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a 24-hou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upcoming Chuseok holiday, strengthening disaster management, traffic safety, and fire prevention measures.
Special attention will be given to high-risk areas, such as aging facilities, fire-prone zones, and potential public safety issue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prevent accidents and ensure a safe and comfortable holiday for citizens.
日本語 政府は、今後の秋夕(チュソク)連休に備え、24時間体制で総合安全管理を運営し、災害対応、交通安全、火災予防など各種安全対策を強化すると発表しました。
特に、老朽化した施設や火災の危険が高い地域、治安対策に重点を置くとのことです。
総評 この対策により、連休中に発生し得る様々な事故や事件を予防し、安心して連休を過ごせる環境が整う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将在即将到来的中秋节假期期间实施24小时安全管理体系,加强灾害管理、交通安全、火灾预防等多领域安全措施。
特别针对老旧设施、火灾高风险区域和公共安全问题开展重点检查和强化管理。
总评 该措施有望在假期内预防各种事故,为民众提供一个更加舒适、安全的节日环境。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sistema di gestione della sicurezza 24 ore su 24 per il periodo delle festività di Chuseok, rafforzando le misure di gestione dei disastri, sicurezza stradale e prevenzione degli incendi.
Particolare attenzione sarà rivolta alle zone a rischio come strutture obsolete, aree soggette a incendi e problematiche di sicurezza pubblica.
Valutazione Queste misure mirano a prevenire incidenti durante le festività e a garantire un ambiente sicuro e tranquillo per i cittadini.
내년 스마트폰으로 ‘여권 정보 기반 신분 확인’ 가능해 진다
요약보기
한국어 앞으로 여권 없이도 스마트폰을 통해 여권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여권정보 증명서비스’가 도입됩니다.
외교부는 2024년 상반기 이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관련 부처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여권 정보 활용이 한층 편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총평 이번 서비스는 여권을 직접 소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으로 신분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여행 및 일상에서의 편리함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A new “Mobile Passport Information Verification Service” will soon allow users to check and utilize their passport information via smartphones without carrying a physical passpor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s preparing to launch the service in the first half of 2024, having secured the legal basis and collaborating with related agencies.
This is expected to greatly simplify the use of passport information in daily life.
Summary This service will significantly enhance convenience for travelers and daily users by enabling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smartphones without requiring physical passports.
日本語 近い将来、パスポートを携帯しなくてもスマートフォンを通じてパスポート情報を確認・活用できる「モバイルパスポート情報証明サービス」が導入されます。
外務省は法律基盤を整備し、関連省庁と連携して2024年上半期のサービス開始を目指しています。
このサービスにより、日常生活におけるパスポート情報の利用が格段に便利にな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サービスにより、旅行や日常生活でパスポート携帯の手間が省け、利便性が大幅に向上すると考えられます。
中文 未来无需携带护照,通过智能手机即可轻松查看和使用护照信息的“移动护照信息验证服务”将被引入。
外交部已为此铺设法律基础,并与相关部门合作,计划于2024年上半年推出该服务。
此举有望显著提高护照信息在日常生活中的便利性。
总评 该服务将使用户在旅行或日常生活中无需实体护照即可方便地完成身份验证,大大提升了便利性。
Italiano In futuro sarà possibile consultare e utilizzare le informazioni del proprio passaporto tramite smartphone grazie al nuovo “Servizio di Verifica delle Informazioni del Passaporto Mobile”.
Il Ministero degli Esteri ha istituito una base legale e sta collaborando con varie agenzie per lanciare il servizio nella prima metà del 2024.
Questa innovazione mira a semplificare notevolmente l’uso delle informazioni del passaporto nella vita quotidiana.
Valutazione Questo servizio renderà più pratico viaggiare e svolgere attività quotidiane eliminando la necessità di portare con sé il passaporto fisico.
2030년까지 공공분야 AI 전문가 2만 명 양성…”AI 민주정부 구현”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공공 분야의 AI 역량 강화를 위해 2030년까지 실무형 AI 전문가 ‘AI 챔피언’ 2만 명을 양성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전 직원에게 AI 리터러시 교육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AI 활용 역량을 높이고, 공직 업무에 AI를 적극 도입할 계획입니다.
총평 해당 정책은 공무원들이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공공서비스의 효율성과 질을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a plan to train 20,000 practical AI experts, called “AI Champions,” in the public sector by 2030.
The government will also provide AI literacy training to all public employees, aiming to enhance AI utilization in administrative task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public services by equipping civil servants with practical AI skill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2030年までに公務部門で実務型AI専門家「AIチャンピオン」2万人を育成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また、全ての公務員にAIリテラシー教育を提供し、業務改善に向けてAIの導入を推進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公務員がAIを活用し、公共サービスの効率と質を向上させる大きな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宣布计划到2030年在公共领域培养2万名实用型AI专家“AI冠军”。
此外,还将为全体公务员提供AI素养培训,以提高AI在行政工作中的应用能力。
总评 这一举措有望通过提高公务员的AI技能,提升公共服务的效率与质量。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un piano per formare 20.000 esperti pratici di AI, chiamati “AI Champions”, nel settore pubblico entro il 2030.
Inoltre, offrirà formazione sull’alfabetizzazione AI a tutti i dipendenti pubblici per migliorare l’uso dell’AI nei compiti amministrativ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migliorare l’efficienza e la qualità dei servizi pubblici grazie all’integrazione efficace delle competenze AI tra i funzionari pubblici.
노동부, 상반기 유죄 확정 중대산업재해 사업장 7개소 공표
요약보기
한국어 올해 상반기 동안 중대산업재해로 형이 확정된 7개 사업장이 공표되었습니다.
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재해 발생 일시, 원인, 기업 이력 등을 공개하며, 경영책임자 6명에게는 징역형 집행유예, 1명에게는 벌금형이 선고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기업들에게 노동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경각심을 심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seven workplaces were disclosed for confirmed sentences due to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vealed details such as accident date, cause, and company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entencing six managers to probation and one to a fine.
Summary This measure aims to emphasize the priority of worker safety and raise public awareness of corporate responsibilities.
日本語 今年上半期に中大産業災害で刑が確定した7つの事業場が公表されました。
労働部は中大災害処罰法に基づき、災害発生日時、原因、企業の履歴などを公開し、経営責任者6名に執行猶予の懲役刑、1名に罰金刑が科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措置は、企業に労働者の安全を最優先にすべきという意識を高める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今年上半年因重大工业事故被判刑的七个企业被公布。
根据《重大事故处罚法》,劳动部公开了事故的时间、原因和企业历史等信息,其中六名管理责任人被判缓刑,一人被处以罚款。
总评 此举有望凸显工人安全的重要性,并强化企业责任意识。
Italiano Durante il primo semestre di quest’anno, sono state divulgate sette aziende per sentenze confermate legate a gravi incidenti industriali.
Il Ministero del Lavoro ha reso pubblici dettagli come data, causa dell’incidente e storia dell’azienda, infliggendo pene sospese a sei responsabili e una multa a un altro.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afforzare la consapevolezza pubblica sull’importanza della sicurezza sul lavoro e sulle responsabilità aziendali.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3년형 저축공제 출시…이자 최고 4.5%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3년형 우대 저축공제가 오는 25일부터 출시됩니다.
이 상품은 매달 5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기업 지원금을 포함해 총 2298만 원을 수령할 수 있으며, 기존 5년형 상품 대비 가입 기간이 단축된 점이 특징입니다.
또한, 4곳의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어 편리성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총평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단기 저축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며, 재직자들의 자산 형성과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실질적인 혜택이 기대됩니다.
English A new 3-year preferential savings plan for SME employees will be available starting on the 25th.
This plan allows employees to save 500,000 KRW per month for 3 years and receive 22.98 million KRW, including company contributions, upon maturity.
It also improves convenience by enabling participation through four banks.
Summary This initiative offers shorter-term savings options with high returns, encouraging employees of SMEs to build assets and stay in their positions longer.
日本語 中小企業の従業員向け3年型優遇貯蓄控除が25日から開始されます。
月々50万ウォンを3年間積み立てると、企業支援金を含め満期時に2298万ウォンを受け取ることができる商品で、以前の5年型より加入期間が短縮されました。
さらに加入可能な銀行が4つに拡大され、利便性が向上しています。
総評 中小企業の従業員にとって短期的に資産形成が可能で、長期的な勤続を促す現実的な支援策と言えます。
中文 面向中小企业职工的三年期优惠储蓄计划将于25日启动。
该计划支持参与者每月存款50万韩元,为期3年,满期时连同企业补助一共可领取2298万韩元,同时增加了可参与的银行数量至4家。
总评 该计划为中小企业员工提供了短期储蓄与高收益的选择,有助于员工的财富积累和长久就业稳定。
Italiano Un nuovo piano di risparmio agevolato di 3 anni per i dipendenti delle PMI sarà disponibile dal 25 di questo mese.
Il piano prevede il risparmio di 500.000 KRW al mese per 3 anni, consentendo di ricevere 22,98 milioni di KRW, inclusi i contributi aziendali, alla scadenza.
Inoltre, la possibilità di iscriversi attraverso 4 banche aumenta la comodità per gli utenti.
Valutazione Questo piano permette ai dipendenti delle PMI di risparmiare nel breve periodo con alti rendimenti, favorendo la formazione patrimoniale e la fedeltà aziendale.
‘국제사회 귀환 선언’ 이 대통령, 각국 정상들과 회담…외교 폭 넓혀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제80차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한 각국 정상들과 외교 활동을 펼쳤습니다.
한반도 평화와 국제적 협력 강화를 강조하며, 우즈베키스탄과는 인프라 및 자원 협력을, 체코와는 반도체 및 방위산업 협력을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회의는 한반도 평화 메시지를 전하는 동시에 한국의 외교 지평을 확대하고 실질적 경제 협력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attended the 80th UN General Assembly, meeting with UN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and other world leaders to strengthen diplomatic ties.
He emphasize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iscussed infrastructure and resource cooperation with Uzbekistan and the expansion of semiconductor and defense industry collaboration with the Czech Republic.
Summary The meetings showcased Korea’s commitment to global collaboration while setting the stage for practical economic partnership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第80回国連総会に出席し、アントニオ・グテーレス国連事務総長や各国首脳と会談を行い、外交活動を展開しました。
朝鮮半島の平和と国際協力の強化に力を入れ、ウズベキスタンとはインフラや資源協力、チェコとは半導体や防衛産業の協力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総評 この会議は韓国の平和と外交の姿勢を示すとともに、実質的な経済パートナーシップを広げる契機となりました。
中文
李在明总统出席第80届联合国大会,与联合国秘书长古特雷斯及多国领导人会面,拓宽外交领域。
他强调朝鲜半岛和平,与乌兹别克斯坦讨论基础设施及资源合作,并与捷克就半导体及国防工业合作进行了交流。
总评 此次会议传递了韩国的和平倡议,同时为深化国际经济合作创造了机会。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partecipato all’80ª Assemblea Generale delle Nazioni Unite, incontrando il segretario generale António Guterres e altri leader mondiali per ampliare i legami diplomatici.
Ha sottolineato la pace nella Penisola Coreana e discusso di cooperazione infrastrutturale e delle risorse con l’Uzbekistan e di ampliamento delle collaborazioni nei settori dei semiconduttori e della difesa con la Repubblica Ceca.
Valutazione Questi incontri hanno rappresentato un passo importante nell’espansione della diplomazia coreana e nella promozione di partenariati economici concreti.
요약
원문보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월 23일(현지시간) 유엔총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E.N.D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한반도 비전을 발표하며 국제사회에 대한 목표를 강조했다. END 이니셔티브란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라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바탕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방안이다.
### **E.N.D 이니셔티브의 핵심 내용**
위 실장은 과거 남북 합의와 2018년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도 언급됐던 이러한 원칙들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또한 교류, 관계 정상화, 비핵화가 상호 추동하는 구조를 통해 남북 대화 및 미북 대화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며, 특정한 우선순위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
### **순방 2일차 주요 성과**
위 실장은 순방 기간 동안 거둔 성과를 세 가지로 요약했다.
1. **대한민국의 국제 위상 제고**
–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민주적인 대한민국의 국제사회 복귀를 선언하고, 다자주의 협력과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한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 특히 한반도의 평화, 공존, 공동 성장을 위한 END 이니셔티브를 세계 정상들에게 알렸다.
2. **민생·경제 외교 강화**
–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과 만나 AI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개발 관련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투자 유치의 물꼬를 텄다.
–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는 교통 인프라 및 핵심 광물 분야 협력을 논의하고, 체코 대통령과는 신규 원전 건설 계약 이행 방안을 협의했다.
3. **국익 중심 실용외교 가속화**
– 미국 상하원 의원단 및 외교·안보 오피니언 리더들과의 만찬을 통해 비자 제도 개선, 관세 협상,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와 같은 현안을 논의했다.
– 미국 의회를 대상으로 초당적 지지를 이끌어내며 한미 관계 발전을 위한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
### **향후 계획**
위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유엔총회 참석이 성과 중심의 정상 외교가 안정적인 궤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APEC 정상회의 등 올해 남은 주요 외교 일정에서도 이러한 모멘텀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은 글로벌 리더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한반도 평화와 국제 협력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미래 비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END 이니셔티브는 그 중심에 있으며, 국제사회에서도 주목받는 이슈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원문보기
### 가명정보 활용도 혁신, 정부의 종합대책 발표
정부는 가명정보 활용도를 크게 높이기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이를 통해 AI 시대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준비된 이번 대책은 데이터 산업 활성화와 개인정보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
### 주요 내용 요약
#### 1. **가명처리 지원 및 공공기관 평가 가점 부여**
– **원스톱 서비스 도입**: 공공기관이 별도의 전문인력 없이도 가명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원스톱 서비스가 2024년부터 제공됩니다.
– 가명처리 적정성은 공신력 있는 전문기관에서 확인하여 데이터 제공자의 부담 경감.
– **공무원 면책 가이드라인**: 가명처리 과정에서의 재식별 우려를 덜기 위해 공무원의 면책 범위를 구체화.
– **평가 가점 부여**: 행정‧공공기관 평가에서 가명정보 제공 실적을 가점 항목으로 반영.
#### 2. **가명처리 절차 간소화**
– **절차의 유연화**: 기존의 경직된 가명처리 절차 대신, 데이터의 리스크 수준에 따라 간소화된 심의 절차를 도입.
– 서면심의나 담당자 검토로 절차 대체 가능.
– 기존 최대 24종의 제출 서류를 13종으로 대폭 축소.
– **데이터 제공 시간 단축**: 현재 평균 310일 걸리던 데이터 제공 소요기간을 2027년까지 100일 이내로 단축.
#### 3. **데이터 손실 최소화 및 활용성 강화**
– **일관된 가명처리 기준 마련**: 심의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을 법제화하여 기관 간 가명처리 기준의 차이를 해결.
– **개인정보 이노베이션존 확대**: 데이터 활용의 안전성을 보장받으며, 2024년부터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노베이션존 간 데이터 연계를 실시.
– **법적 근거 강화**: 전문기관 운영과 심의위원회 관련 사항도 연내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을 통해 명확히 규율.
#### 4. **데이터 제공 소요시간 단축**
– 총리훈령으로 공공기관의 가명정보 제공‧관리 절차를 제정해 연구자가 더욱 편리하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을 수 있도록 개선.
—
### 기대 효과
이번 대책은 가명정보 제도의 실질적 활용도를 높이고, 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혁신적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데이터 제공 절차 간소화는 연구 및 민간 활용에서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 큰 기여를 할 전망입니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AI 시대에서 고품질 데이터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가명정보의 부담은 줄이고 활용성을 강화하여 데이터 중심의 혁신을 촉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 문의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데이터안전정책과: 02-2100-3075
– 기획재정부 서비스경제과: 044-215-4612
– 행정안전부 공공지능데이터정책과: 044-205-2466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데이터진흥과: 044-200-2941
이번 종합대책은 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라는 두 가지 목표를 조화롭게 추진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적 틀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보기
### 정부의 국정 운영 방안과 추석 연휴 안전관리 대책 요약
정부는 123대 국정과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개설, 국민과의 실시간 소통과 의견 수렴을 확대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정책 결정에 국민 목소리를 반영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또한 첫 명절인 추석을 안전하고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연휴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
#### 1. **추석 연휴 안전관리 대책**
– **24시간 대응체계 유지 및 사전 점검 강화**
– 추석 연휴 기간(7일)을 대비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중심으로 24시간 상황 관리체계를 가동.
– 화재 위험이 높은 교통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예: 전통시장)의 사전 안전 점검 실시.
– 택배·선물을 빙자한 **스미싱·보이스피싱** 등 민생범죄를 집중 단속하고 엄정 대응.
– **산업재해 예방 강화**
– 명절 전후 작업량 증가로 인한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 관련 대응 체계를 강화.
—
#### 2. **겨울철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
– **특별방역기간 운영**
–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해 10월 1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전국 철새도래지, 대형 산란계 농장에서 소독 및 검사 강화.
– 야생 멧돼지 차단 및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경로 조기 차단 대책 마련.
– **과학 기반 방역 모델 활용**
– 위험도 평가를 통한 예방적 살처분 및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축산농가 생계와 국민 식품 안전 보호.
—
#### 3. **AI 시대를 대비한 가명정보 제도 혁신**
– **데이터 활용성 제고**
– 공공기관 데이터 제공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명처리 전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체계 구축.
– 데이터 제공부터 결합까지의 소요 기간을 평균 310일에서 100일 이내로 단축.
– **법적 불확실성 해소**
– 가명정보 활용 관련 절차를 효율화하여 기업과 기관이 안전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 4.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대민 소통 강화**
– **온라인 소통 공간 개설**
– 국민 의견을 실시간으로 수렴하기 위해 ‘국정과제 소통광장’ 운영.
– 국정과제 관련 현장 방문을 통해 국민 의견을 직접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
—
#### 김민석 국무총리 발언 요지
김 총리는 “국민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한발 앞서 위험에 대비하고, 현장과 소통하며 체감 가능한 변화를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이와 같은 노력은 국민 안전과 편의 증진 및 효율적 정책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처**: 국무조정실 및 관련 부처 담당부서 [문의 전화번호 포함].
원문보기
### 정부, 손상사망률 30% 감축 목표…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정부가 2030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54.4명 수준인 손상사망률을 38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손상예방·관리 정책을 본격 추진합니다. 질병관리청은 24일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하며, 이를 위해 14개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5대 추진전략과 16개 과제를 담았습니다.
—
### **손상이란?**
손상은 사고, 재해, 중독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 문제 및 후유증을 의미합니다. 손상은 현재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국내 사망 원인 4위로, 사회경제적 비용 중 21조 원을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국가적 문제입니다.
—
### **주요 과제와 정책 방향**
#### **1. 손상예방·관리 조사·연구 활성화**
–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손상 발생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감시체계 강화.
– **유관기관 협력 확대**: 손상 관련 데이터 품질과 통계 생산 협력을 위해 기관 간 협의체 운영.
#### **2. 손상기전별 위험요인 관리**
– 자살, 폭력, 약물 중독 등 의도적 손상과 교통사고, 추락·낙상 같은 비의도적 손상 예방 강화.
– **개인형 이동수단(PM) 손상 관리**: 관련 관리 체계 마련.
#### **3.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
– **어린이·청소년 안전사고와 노인 손상 예방**: 낙상·추락 방지 프로그램 확대.
– **산업재해 예방 강화**: 근로자 안전 제고.
#### **4. 손상 대응 및 회복 지원**
– **응급상황 대응 강화**: 응급처치 역량 및 의료 이송체계 개선.
– **재활 및 심리지원 강화**: 재활병원 확대와 심리지원 프로그램 도입.
#### **5. 손상 관리 기반 조성**
– **중앙 및 지역 손상관리센터 운영**: 정책 실무자 현장 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
– **국제협력 활성화**: 정책 거버넌스와 전문가 포럼 운영을 통한 글로벌 협력.
—
### **향후 기대 및 입장**
질병관리청 임승관 청장은 이번 계획을 통해 “손상이 단순히 우연히 발생하는 문제가 아닌,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임을 강조하며, 손상 발생부터 회복까지 전 주기적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정책은 범정부적 협력과 데이터 기반 관리를 통해 손상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국민 안전 수준을 높이는 데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문의**
– 질병관리청 손상예방정책과: 043-719-7418
원문보기
### 조현 외교부 장관, 유엔 안보리 공식회의 주재: 중동과 우크라이나 현안 논의
조현 외교부 장관이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으로서, 범지구적 안보현안 논의를 주도하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외교적 리더십을 확인했다. 이틀간 이뤄진 중동 및 우크라이나 관련 안보리 공식회의에서 조 장관은 각각의 안보 도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했다.
—
### 중동 현안: ‘두 국가 해법’과 인도적 접근 강조
현지시간 23일 열린 중동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에서 조 장관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관련해 ‘두 국가 해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스라엘의 가자 지상 작전 및 서안지구 정착촌 건설 재개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특히 가자지구에서의 기근과 인도적 위기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며, 안전한 인도주의적 접근 보장을 촉구했다. 이는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국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을 약속하기도 한 자리였다.
—
### 우크라이나 문제: 주권 존중 및 민간인 보호 촉구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를 다룬 공식회의에서 조 장관은 러시아의 침공이 단순히 우크라이나 국경 안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폴란드 영공 침공 사례를 거론하며 충돌 확산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민간인과 시설에 대한 무차별 공격 중단을 강력히 요구했다.
조 장관은 더불어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지속적 지원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주권, 독립, 영토 보전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
### 북한-러시아 군사 협력 경고: 국제법 위반 비판
조 장관은 한반도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에도 관심을 표명했다. 무기 이전과 병력 파견 등은 유엔 헌장 및 안보리 결의에 위배된다면서, 이는 국제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키고 지역 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국제사회가 이를 좌시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그는 북한과 러시아에 모든 위반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
### 한국의 유엔 리더십 강조
이번 회의는 조현 장관이 보여준 외교적 리더십과 국제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려는 한국의 의지를 명확히 드러냈다. 특히 유엔 안보리 9월 의장국으로서 세계 주요 국가들과의 협력을 도모하며 글로벌 현안 대응에 책임감을 발휘한 계기로 평가받는다.
한국은 2024~25년 유엔 안보리 이사국으로 활동하는 동안, 한반도 문제와 함께 글로벌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사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
문의처: 외교부 국제기구·원자력국 유엔과 (02-2100-8422)
출처: [정부 공식사이트](http://www.korea.kr)
원문보기
### 긴 추석 연휴, 늘어나는 폐기물 관리를 위한 환경부 대책
최장 10일에 달하는 올 추석 연휴를 맞아 생활폐기물 배출 증가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는 **’추석 연휴 생활폐기물 관리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연휴 동안 국민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전국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생활폐기물 관리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
### 📦 **과대포장 집중 점검**
추석 연휴에 수요가 급증하는 선물세트의 과대포장 문제가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부와 지자체는 **9월 15일부터 10월 10일까지** 대규모 점포 등을 대상으로 과대포장 제품을 집중적으로 점검합니다.
– **점검 내용**: 포장공간비율 및 포장횟수 준수 여부
– **위반 시 처벌**: 포장 기준 위반 시 30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이를 통해 불필요한 포장재 사용을 줄이고,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
### 🛠 **연휴 기간 생활폐기물 특별관리**
환경부는 생활폐기물이 원활히 수거되고 적절히 처리되도록 지자체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시행합니다.
1. **생활폐기물 처리상황반 운영**
– 전국 500여 개 상황반 설치
– **기동청소반** 운영(시군구당 1~3개 팀)
– 거리에 쌓인 폐기물, 무단 투기지역 등 민원 발생 시 즉각 처리
2. **시설 가동**
– 연휴 기간에도 선별장·소각장 등 주요 폐기물 처리 시설 지정일 가동
– 아파트 및 주거지역별 수거일은 지자체 누리집, 방송 등을 통해 개별 안내
—
### 🛍 **재활용시장 관리 강화**
연휴 전후로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품의 처리에 문제가 없도록 환경부는 긴밀히 모니터링을 이어갑니다.
– **반입·반출 실태 및 시장 동향 조사**
– **간담회 개최**: 9월 26일, 폐플라스틱 재활용업체·전문가들과 수출 지원 및 신규 수요처 발굴 논의
또한, 재활용 시장의 안정성을 위한 비축 필요성 점검 및 정책 논의도 병행됩니다.
—
### ✔ **분리배출법 홍보 및 안내**
추석 명절 동안 재활용 폐기물의 올바른 처리를 위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아래 매체를 통해 분리배출 요령을 집중 홍보합니다.
– 도로·휴게소 전광판
– 지자체 누리집 및 SNS 홍보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wasteguide.or.kr) 제공
이를 통해 국민들이 보다 쉽게 분리배출 방법을 숙지하고 폐기물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국민 참여 독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 “연휴 중 증가하는 폐기물의 처리와 국민들의 분리배출 실천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 “지자체와 협력해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 모두가 올바른 분리배출과 쓰레기 투기 방지에 동참함으로써, 환경부가 목표로 하는 **’쓰레기 없는 추석’**을 함께 실현할 수 있습니다.
—
### 🌍 **함께 만들어가는 쾌적한 명절**
긴 연휴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더욱 보호하고 나눌 기회입니다. 이번 추석, 불필요한 폐기물 배출을 줄이고, 올바른 분리배출을 실천하며 모두가 행복한 명절을 보내길 바랍니다.
원문보기
### 산후조리원 불공정 약관 시정,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산후조리원 이용약관에 포함된 여러 불공정 조항을 시정하며 소비자 권익 보호를 한층 강화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산모와 신생아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계약 해지·위약금, 감염 사고 손해배상 책임, 후기 작성 제한 조항 등 주요 약관을 개선했습니다.
#### 주요 불공정 약관 시정 사항
1. **위약금 과다 부과 및 사업자 책임 경감 조항**
– 기존 약관은 계약금 환불 기준, 입실 전후 환불 금액 등을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규정.
– 공정위는 합리적인 수준의 위약금을 산정하고,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에 맞게 수정하도록 지도.
2. **감염 관련 손해배상 책임 강화**
– 과거 약관은 산모와 신생아의 감염 발생 시 사업자의 손해배상 책임을 면책하거나 제한.
– 시정된 약관은 소비자의 입증 부담을 완화하고 사업자가 배상을 책임지도록 개선.
3. **후기 작성 제한 및 과도한 위약금 부과 조항 삭제**
– 후기 작성 제한, 위약금 부과 조항은 소비자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
– 산후조리원은 이러한 조항을 삭제해 소비자가 조리원 관련 의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개선.
4. **휴대품 분실·훼손 책임 전가 조항 수정**
– 산모의 휴대품이 분실되거나 훼손된 경우, 고객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조항 폐지.
5. **대체병실 사용 정산 기준 명확화**
– 대체병실을 사용한 경우에도 산후조리원 이용으로 간주하는 불명확한 기준을 수정해 소비자 불이익 해소.
#### 소비자 보호와 기대 효과
공정위의 이번 조치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산모와 신생아에게 보다 안전하고 공정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개선된 약관은 다음과 같은 변화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 합리적인 환불 기준을 통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 경감.
– 전염병 감염 등 사고 발생 시 실질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권리 보장.
– 후기 작성과 정보 공유를 통해 산후조리원 선택 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지속적인 점검과 업계 확산
공정위는 이번에 시정된 약관의 실질적인 이행 여부를 점검해 업계 전반으로 개선을 확산할 계획입니다. 또한, 소규모 산후조리원에 대해서도 교육과 자율적 약관 개선을 유도할 방침입니다.
소비자의 생애주기별 생활 환경에서 공정성을 높이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이와 같은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돼야 할 것입니다.
—
### 참고 자료 및 추가 문의
– **공정거래위원회 약관특수거래과**: 044-200-4489
(자료 출처: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 **한국 중소벤처기업 중동 진출 지원…29개 기업 선발, 사우디·UAE 현지 방문**
정부가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의 중동 시장 진출 지원을 본격화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주사우디아라비아왕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오는 25일부터 6박 7일 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해 현지 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논의하고 투자유치 활동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
#### **중소벤처기업 중동 진출 지원사업, 양국 공동 추진**
이번 사업은 한국의 중소벤처기업이 중동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사우디의 산업 다각화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과 사우디 정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프로그램이다.
2023년 7월부터 지원 기업을 모집한 중기부는 서면평가 및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인공지능(AI), 바이오·헬스, 여행·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시티 등 4개 분야에서 29개 사를 선발했다. 이 중 AI 분야에서 12개 사로 가장 많은 기업이 선정되었으며, 바이오·헬스(7개 사), 여행·엔터(5개 사), 스마트 시티(5개 사)가 뒤를 이었다.
—
#### **중동에서의 주요 일정**
선발된 29개 기업은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사우디와 UAE에서 다양한 투자 및 네트워크 활동을 펼친다.
1.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일정 (8월 26일):**
기업들은 현지 기관 및 주요 기업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에 참석한다.
2.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일정 (8월 28일-30일):**
사우디의 주요 투자자 및 바이어, 정부 기관과의 투자유치설명회(IR)가 진행된다. 또, 현지 유력 기업 및 정부 기관과 면담을 통해 중동 진출 전략과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3. **네트워킹 행사 (8월 30일):**
리야드에 위치한 주사우디대사관에서 현지 투자자 및 바이어와의 네트워킹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
#### **정부의 전폭적 지원: K-원팀 협업**
중소벤처기업부는 주사우디대사관을 비롯한 9개 기관과 함께 ‘K-원팀’을 구성해 기업들의 중동 진출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또, 사우디 투자부와 해당 주사우디대사관이 현지의 투자자 및 바이어와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주선할 계획이다.
—
#### **정부 관계자 및 대사관의 기대감**
이순배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이번 지원사업이 한국 기업의 사우디 및 중동 신흥시장 개척에 있어 매우 관건적이라고 설명하며, 추후로도 해외 신시장 진출을 더욱 확대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문병준 주사우디대사관 대사대리는 “그동안 우수한 제품이나 기술력을 갖고도 사우디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었던 기업들이 많았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현지 적응과 네트워크 구축을 적극적으로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
####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044-204-7504
– 주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966-11-488-2211
– 벤처기업협회 기업지원1본부: ☎02-6331-7089
이번 중동 진출이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원문보기
### 전동킥보드·전기자전거 속도 조작 방지 위한 안전기준 마련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의 최고속도 불법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표시사항을 의무화한다고 24일 발표했습니다.
현재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는 최고속도 시속 25㎞ 미만으로 운행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가 이를 불법으로 해제해, 최고속도를 시속 100㎞ 이상으로 높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법 조작은 운전자 및 일반 보행자에게 사고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또한, 일부 판매업체가 소비자들에게 최고속도 제한을 해제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불법 행위를 통해 규정 위반 사례를 조장하고 있는 문제도 드러났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기술표준원은 다음과 같은 조치를 포함한 안전기준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1. **속도 조작 방지 기술 도입**
제품이 최고속도를 조작할 수 없도록 기술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의무화합니다.
2. **소비자 정보 제공**
제품이 속도 조작이 불가능한 사양임을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표시를 제품 및 제품 포장에 반드시 포함합니다.
3. **판매업자 책임 강화**
판매업자가 어떠한 조작 방법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명확히 표시하게 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제재를 받도록 할 방침입니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의 사용자들이 관련 속도 규정을 준수하며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앞으로도 제품 안전성을 증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문의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제품안전정책국 생활어린이제품안전과(043-870-5459)로 연락하면 됩니다.
원문보기
### 여객운수사업 규제 완화, 밤샘주차 및 운전자격 요건 개선
국토교통부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여객운수업계의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고 국민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개정안은 오는 10월 25일부터 입법예고를 시작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1. **사업용 자동차 밤샘주차 규제 완화**
– 기존 규정: 사업용 차량은 영업 종료 후 등록된 차고지에만 주차 가능했다.
– 개정 내용: 앞으로는 주차장법상 노외주차장, 부설주차장에서도 밤샘주차가 허용된다.
_⇒ 공항버스 등 영업 종료 후 먼 거리를 이동해야 했던 불편 해소._
—
#### 2. **터미널 사용명령 기준 마련**
– 시·도지사가 공익적 필요에 의해 터미널 사용을 명령할 수 있도록 기준을 구체화했다.
_⇒ 버스사업자가 터미널을 지나치고 기존 승객 편의를 저해하는 문제 해결._
—
#### 3. **플랫폼 운송·가맹사업 행정 절차 간소화**
– 기존: 일부 사업구역 변경 시 변경인가가 필요했다.
– 개정 내용: 앞으로는 변경 신고만으로 처리 가능하게 되어 사업자의 부담 경감.
—
#### 4. **개인택시 면허 신청 절차 간소화**
– 개정 내용: 개인택시 면허 신청 시 운전자 건강진단서 제출 의무 폐지.
_⇒ 운전면허 관리 체계로 충분히 운전자 건강 상태 점검이 가능하다는 판단._
—
#### 5.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격 요건 완화**
– 기존: 버스 운전 자격 취득을 위해 대형면허 후 1년 이상의 운전경력이 필요.
– 개정 내용:
– 교통안전공단 80시간 교육 또는 지자체 지정 교육을 수료하면 1년 운전경력을 대체 인정.
– 버스·택시 운전자격시험 응시연령을 20세에서 18세로 하향.
—
#### 6. **광역 수요응답형교통(DRT) 및 광역버스 운행지역 확대**
– 전주권이 대도시권으로 추가됨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도 광역 DRT 및 광역버스 운행 가능.
_⇒ 2024년부터 전주권 주민들의 교통 편의 증대._
—
#### 7. **개정안 열람 및 의견 제출**
– 개정안 전문: 국토교통부 누리집 _(http://www.molit.go.kr)_ > ‘정책자료-법령정보-입법예고’에서 확인 가능.
– 의견 제출 기한: 입법예고 기간 동안.
—
#### 국토부의 입장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이번 개정안은 운수업계의 부담을 덜어주고, 국민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높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이번 개정안으로 여객운수업계의 효율성과 국민 교통 서비스 수준이 양질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정부, 추석 연휴 안전관리 대책 발표…24시간 상황관리 체계 가동
다가오는 추석 연휴 동안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가동**하며, 각종 재난·사고에 대비한 안전대책을 추진합니다.
행정안전부는 연휴 기간(10월 3일~10월 9일)을 **‘추석 연휴 안전관리 특별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산업재해, 교통, 화재, 치안** 등 분야별로 위험요인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 주요 안전관리 대책
#### 1. **교통안전**
– **국토교통부**는 10월 2일부터 10월 12일까지 ‘특별 교통대책’ 기간을 운영합니다.
– **고속도로·국도, 철도, 항공** 등 주요 교통시설 점검.
– **도로 터널 방재시설** 점검 및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긴급대피콜 운영.
– 기상악화에 대비한 철도 운행 안전 및 공항 체류객 편의 대책 준비.
#### 2. **산업재해 예방**
– **고용노동부**는 연휴 전후의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12대 안전수칙 이행 여부를 점검**합니다.
– 화재·폭발, 질식, 추락 등 고위험 작업 환경 집중 관리.
–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일터 신고센터’ 및 ‘사고감시 대응센터’** 운영.
#### 3. **화재 예방**
– **소방청 및 중소벤처기업부**는 전통시장과 노후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집중 점검.
– **10월 2일부터 10일까지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하며, 성묘·벌초로 인한 산불 긴급조치도 강화.
– **소방헬기 및 구급대**를 포함한 기관 간 협력체제를 유지.
#### 4. **치안**
– **경찰청**은 명절에 급증하는 가족 간 갈등, 주취 폭력, 강·절도 등 관계성 범죄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 강화.
– 축제·행사장과 주요 공항, 철도역에 경찰 특공대 배치.
– 범죄 취약지 순찰을 확대해 국민 안전을 확보.
#### 5. **해외여행 및 감염병 관리**
– **질병관리청**은 해외여행 이용 증가에 따라 **감염병 확산 방지 대책** 마련.
– **해양경찰청**은 해상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연안여행자의 안전을 지원.
—
### 안전 대책의 핵심
이번 대책은 **”산업재해 우려시설 집중관리”**, **”맞춤형 안전 점검 및 집중 홍보”**, 그리고 **”긴급사태 신속 대응 체계 강화”**에 중점을 둡니다.
정부는 전통시장, 지역 축제 현장 등 방문객이 몰리는 곳을 사전 점검하고 전 국민에게 안전수칙과 긴급상황 대응 정보를 알릴 예정입니다.
—
### 윤호중 행안부 장관, “안전한 명절 당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는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추석 연휴 동안 촘촘한 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하겠다”며 “국민 여러분도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가족, 이웃과 함께 편안한 명절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
추석 연휴를 앞두고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이번 안전대책으로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명절을 보내기를 기대하며, 각 기관도 빈틈없는 관리로 재난 없는 연휴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스마트폰으로 여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여권정보 증명서비스’ 출시 예정
앞으로 여권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여권 정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외교부는 7월 24일, 여권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여권정보 증명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서비스 주요 내용**
– 사용자 스마트폰 상의 민간 앱에서 여권 정보와 주민등록번호를 안전하게 확인 가능.
– 여권을 신분 증명 용도로 활용할 때 불필요한 물리적 여권 휴대를 줄이는 방식으로 간편화.
– 주요 적용 상황: 예약 확인, 본인 인증 등 여권 정보가 필요한 다양한 일상생활 영역.
#### **법적 근거 및 준비 과정**
– 외교부는 지난 3월 **여권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의 법적 기반을 확립했다.
– 이 서비스는 2023년 하반기 **디지털서비스 개방 대상**으로 선정되며, 도입에 필요한 기술적 논의와 협의를 끝마쳤다.
– 현재 외교부는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그리고 관련 기업들과 협력체를 구축하여 서비스 실행 단계를 준비 중이다.
#### **출시 일정**
– 2024년 상반기 중 서비스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차후 공개될 예정이다.
#### **서비스 기대 효과**
– 여권 분실 걱정을 줄이고, 신분증 확인을 위한 물리적 불편을 해소.
– 디지털화된 여권 활용으로 행정 편의성 증대 및 사용자 경험 개선.
이번 서비스 도입은 정부 디지털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개인 편의성과 신뢰성을 함께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문의는 외교부 여권과(02-2002-0184)로 할 수 있다.
원문보기
### 행정안전부, 공공분야 AI 인재 양성 본격 추진
행정안전부는 인공지능(AI) 시대 전환에 대응하여 2030년까지 공공 분야에서 2만 명의 ‘AI 챔피언'(전체 공공기관 인원의 약 2%)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24일 발표했다. AI 챔피언은 공공행정 현장에서 AI를 활용하여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가를 의미한다.
—
### **핵심 목표와 추진 배경**
1. **공공분야 AI 전문인력 수요 증가**
– AI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공공부문에서도 AI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
– 외부 채용 한계를 극복하고 내부 인재를 강화하기 위해 이번 정책 수립.
2. **2030년까지 AI 전문가 2만 명 양성**
– 전 직원의 AI 리터러시 능력을 강화.
– 공직 내부 전문인재 육성을 통한 공공행정의 디지털 전환 가속.
—
### **두 축의 정책 추진방향**
#### 1. **전 직원 대상 AI 리터러시 강화**
– **AI 교육 커리큘럼 마련**
단순 이론을 넘어 실습 위주의 커리큘럼 제공.
– **실무 능력 배양**: 생성형 AI를 활용한 문서작성, AI 도구 활용법, 행정 서비스 개선 아이디어 구체화 등 포함.
– **교육 자료 제공**: 지난 8월부터 이러닝 강좌(7종), 교재(12종) 등 전면 개방.
– **참여 독려**: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대상 평가에서도 교육 참여를 반영.
#### 2. **공직 내부 AI 전문인재 양성 (‘AI 챔피언’)**
– 3단계 정책 접근:
– **교육과 인증 연계**: ‘AI 챔피언’ 종합 교육과정 운영 및 실습 기반 인증 부여.
– **특화형 AI 교육과정 개발**: 국세·노동·조달 등 업무 분야에 맞춘 맞춤형 커리큘럼 추진.
– **민관 협력 프로젝트**: 네이버와 협력으로 ‘LLM(AI 모델)’ 관련 프로젝트를 시범 운영.
올해 11월부터 민관 협력 교육을 정례화하여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
—
### **2030년 목표와 비전**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뢰성 있는 민주정부 구현이 목표”라며,
“2만 명의 AI 챔피언 양성과 전 직원 AI 활용 지원을 통해 공공부문에서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유능한 AI 민주정부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 문의처
–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공공지능데이터분석과:** 044-205-2291
—
### **결론**
2025년까지 시범 운영 및 민관 협력 기반 AI 교육이 공고화되며, 2030년이면 AI를 활용한 공공 행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정책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린다면,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은 물론 AI 기술의 범국가적 활용이 더욱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7개소 공표…근로자 안전 경각심 고취**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 동안 중대산업재해로 형이 확정된 7개 사업장을 9월 24일 관보와 홈페이지를 통해 공표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국민에게 알리고, 사업장들이 노동자 생명과 안전에 대한 책임을 더욱 엄중히 여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
### **중대산업재해처벌법에 따른 공표 내용**
중대산업재해처벌법은 재해 발생 사업장의 명칭, 사고 발생 일시 및 장소, 재해 내용과 원인, 지난 5년간 중대재해 이력을 공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 판결이 확정된 사업장 7개소를 이번에 발표했으며, 앞서 2023년 9월에는 15개 중대산업재해 사업장을 공개한 바 있다.
—
### **주요 재해 사례**
이번에 공표된 사례들에는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부재가 원인이 된 치명적인 사고가 포함됐다. 대표적인 예는 섬유벨트 단선으로 인양물이 떨어져 근로자가 사망한 사고, 굴착기 작업 중 기계가 쓰러지며 사고가 난 사례 등이 있다.
—
### **징계 결과 및 기업의 책임**
공표된 7개 사업장의 경영 책임자 중 6명은 **징역형 집행유예**를, 1명은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는 기업 경영진이 안전 의무를 다하지 못해 근로자 사망이라는 중대한 결과를 초래했다는 법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
### **노동부의 입장**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에 따라 기업 정보가 국민에게 공개되는 이번 사례를 통해 기업들이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 경영계가 더욱 적극적으로 안전 대책을 강화하도록 경고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공표된 사업장 목록 확인**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의 명단과 상세 내용은 고용노동부 누리집 및 관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향후 재해 공표를 정례화하고, 기업들의 안전 관리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보다 엄격한 감독을 이어갈 계획이다.
—
이번 발표는 기업 경영진이 산업 현장 안전 확보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고,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3년형 우대 저축공제 상품**이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 기존의 **5년형 상품**에 비해 가입 기간이 짧아져 중소기업과 재직자들의 부담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상품은 **오는 25일부터**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을 통해 가입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시중은행 2곳에서도 가입 가능해져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 **상품 주요 내용**:
– **3년형 기간**: 매달 50만 원씩 **총 1800만 원을 납입**.
– **수익률**: 만기 시 최고 **4.5% 금리**와 **기업지원금**을 포함해 **2298만 원 수령 가능**.
– 개인납입금 대비 **28%의 수익**을 제공하는 효과.
– 기존 5년형 상품의 **우대금리 및 부가 혜택 유지**.
### **출시 배경**:
작년 10월 22일 출시된 5년형 상품은 높은 호응을 얻으며 **3만 6000여 명**이 가입했지만, **가입 기간의 부담**이 지적되는 의견이 많아 이를 반영한 상품이 새로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 **가입 편의성과 혜택 확대**:
– 취급은행 확대: 기존의 기업은행, 하나은행 외에 **추가로 시중은행 2곳**을 선정해 총 **4곳**에서 가입 가능.
– **각종 이벤트 진행**: 3년형 출시를 기념하여 다양한 혜택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음.
### **중소벤처기업부 측 입장 및 기대 효과**:
권순재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은 이번 출시가 **재직자의 자산 형성과 장기 재직**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선택의 폭과 가입 편의성**을 대폭 높였다고 평가했습니다.
### **문의처 정보**:
– **중소벤처기업부**(044-204-7796), **중소벤처기기업진흥공단**(055-751-2971, 2980)
– **IBK기업은행**(02-3485-0230), **하나은행**(02-2002-2811)
이번 상품은 **중소기업 재직자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고, 금융 혜택을 극대화하면서도 가입 편리성을 높인 점에서 관심과 인기를 모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5일부터 시작되는 가입 기간 동안 많은 중소기업 재직자가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문보기
### 이재명 대통령, 유엔총회 계기로 활발한 다자외교 전개
이재명 대통령이 **제80차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구상과 국제사회 협력 강화에 주력하며 외교적 입지를 넓히고 있다. 현지 시간으로 9월 23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 각각 만남을 가지며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
#### 1.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 면담**
이재명 대통령은 구테레쉬 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 **한반도 평화와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구테레쉬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 및 국제사회 기여를 높이 평가하며 유엔 차원의 적극적 협력을 약속했다. 특히,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와 인권 문제에서 한국이 신뢰받는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유엔의 다자주의 체계가 중요성을 갖는 시점이라고 평가하며, 한국이 원조 수여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경험을 바탕으로 더 큰 역할을 해나갈 뜻을 밝혔다. 또한, 유엔 개혁 지지 의사를 표명하며 국제기구에서의 한국 인재 진출 확대를 제안했다.
—
#### 2.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취임 후 첫 정상회담**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는 **경제 협력 및 공급망 강화**가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의 풍부한 광물자원과 한국의 기술력이 결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강조하며, 철도, 공항, 도로 등 **인프라 프로젝트**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언급했다. 17만여 명의 고려인들이 양국 관계에 기여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감사를 표하며 이들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양 정상은 2024년에 대한민국에서 개최 예정인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의 성공적 진행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
#### 3. **체코 대통령과 협력 확대 논의**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에서는 **원전 협력을 넘어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 확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대통령은 올해가 한-체코 수교 35주년이자 전략적 동반자 관계 10주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양국 간 관계가 앞으로도 발전하길 희망했다.
파벨 대통령은 최근 체코의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계약에서 한국 기업을 선택한 배경을 설명하며, 한국 기술력에 대한 신뢰를 표했다. 또한, 민주주의 수호 가치와 양국의 연대를 바탕으로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양측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파벨 대통령은 기회가 된다면 한국을 방문하길 희망하며 양국 간 협력 심화를 기대했다.
—
### 마무리
이번 유엔총회를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은 유엔 사무총장, 우즈베키스탄 및 체코와 협력 분야를 확대하며 다양한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한반도 평화, 경제협력 강화, 그리고 민주주의 기반 국가 간 연대를 강조하며 **정상 외교의 폭을 확장**하는 한편, 한국의 국제사회 내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