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 정책정보 – 전체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정부, ‘보편적 청년정책’ 추진…안정적 기본생활 보장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기존의 저소득 및 취약계층 중심의 청년 지원에서 벗어나, 내년부터 대학생, 구직자, 직장인 등 모든 청년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청년정책을 추진합니다.
정책 방향은 일자리 및 자산 형성 기회 확대, 기본생활 전반의 보장, 청년 정책 참여 확대 등을 통해 청년들의 자립과 도전을 지원하는 데 집중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 정책은 청년들에게 생애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경제적 안정성과 자립을 돕는 데 실질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a shift from focusing on low-income youth to introducing a universal youth policy that will support all young people, including students, job seekers, and workers, starting next year.
The initiative aims to expand job and asset-building opportunities, ensure basic living stability, and enhance youth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to support their independence and growth.
Summary This comprehensive approach is likely to provide significant, structured support for young people, helping to stabilize their financial status and foster independence.

日本語
政府はこれまでの低所得層や脆弱階層に焦点を当てた若者支援から脱却し、来年から大学生、求職者、職場に従事する若者を含むすべての若者を対象とした普遍的な若者政策を推進すると発表しました。
政策の主軸は、雇用や資産形成の機会拡大、生涯にわたる基本的生活の保障、若者政策への参加拡大を通じて、自立と挑戦を後押しすることです。
総評 この政策は、若者に全面的で体系的な支援を提供し、経済的安定性を高め、自立を促進す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将从明年起摆脱集中于低收入和弱势青年群体的政策方向,为包括大学生、求职者和职场青年在内的所有青年提供普遍性支持。
该政策的重点是扩大就业与资产积累机会、保障基本生活全面稳定,以及增强青年参与政策制定的力度,以支持其独立性和挑战精神。
总评 此项政策有望为青年提供系统性支持,帮助他们实现经济稳定并促进独立发展。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cambio di paradigma, passando dall’aiutare i giovani a basso reddito e le fasce vulnerabili a una politica giovanile universale che, dal prossimo anno, sosterrà tutti i giovani, inclusi studenti, disoccupati e lavoratori.
Il piano mira ad ampliare le opportunità di lavoro e formazione di capitale, garantire la stabilità della vita quotidiana e aumentare la partecipazione attiva dei giovani alle politiche pubbliche per favorire la loro autonomia e la capacità di affrontare nuove sfid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avrà un impatto positivo aiutando i giovani a stabilizzarsi economicamente e a sviluppare maggiore indipendenza grazie a un sostegno organico e mirato.

‘개인정보보호’ 국정과제 착수…”피해규모 비례해 과징금 부과”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정부가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확립하는 국정과제를 채택해 이를 본격 추진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 대응, 권리 확대, AI 혁신 지원 등 5대 세부 과제를 통해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디지털 잊힐 권리, 법적 제도 개선, 예방 중심 체계 전환 등의 정책을 포함합니다.
총평 이번 과제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예방과 피해 보상을 강화해 국민의 안전과 권리 보호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Lee Jae-myung government has adopted a national agenda to establish a robust personal data protection system.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Commission plans to reinforce data security through initiatives like responding to large-scale data leaks, expanding user rights, and supporting AI innovation.
It also includes policies such as promoting digital rights to be forgotten, legal frameworks enhancement, and a transition to prevention-focused systems.
Summary This effort is expected to strengthen public safety and rights by preventing data breaches and ensuring adequate compensation for victim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政権が個人情報保護体制の確立を重要課題として採択し、本格的に推進します。
個人情報保護委員会は大規模な個人情報流出への対応、権利拡大、AI革新の支援を含めた5つの詳細計画を通じて国民の個人情報保護を強化する方針です。
また、デジタル忘れられる権利や法的制度改善、予防中心の体制再構築などを政策に含めてい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個人情報流出事故を防ぐだけでなく、被害者への補償で国民の安全と権利を実質的に支え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政府已将建立个人信息保护体系纳入重要国策议程,并开始正式推进。
个人信息保护委员会将通过应对大规模信息泄露、扩展用户权利及支持AI创新等五大具体实施方案来强化信息保护。
政策内容还包括推广数字遗忘权、法律改进及以预防为中心的体系重塑。
总评 这一措施将对预防数据泄露和确保受害者获得赔偿有所帮助,更好地保护公众权利与信息安全。

Italiano Il governo di Lee Jae-myung ha adottato un piano di azione nazionale per stabilire un sistema robusto di protezione dei dati personali.
La Commissione per la Protezione dei Dati Personali mira a rafforzare la sicurezza informatica affrontando grandi violazioni di dati, ampliando i diritti degli utenti e sostenendo l’innovazione tramite AI.
Il piano include anche diritti digitali al dimenticatoio, miglioramenti normativi e una crescente prevenzione incentrata sulla protezio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è prevista per prevenire fughe di dati e garantire un risarcimento, aumentando la sicurezza e i diritti per il pubblico.

김민석 총리 “금융·통신 해킹, 기업의 신고 없어도 직권 조사”

요약보기
한국어 최근 통신사와 금융사의 연이은 해킹 사건으로 정부는 조사 권한을 직권으로 확대하고 보안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긴급회의에서 해킹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 재정비할 것을 지시하고 피해자 구제를 위한 대책 마련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개인정보 보호와 신뢰 회복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책임을 다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Recent hacking incidents in telecom and financial sectors have prompted the government to expand its authority to initiate investigations and strengthen penalties for security breaches.
Prime Minister Kim Min-seok directed officials at an emergency meeting to revamp cybersecurity measures and ensure thorough support for victim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safeguard personal data and restore public trust by holding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ccountable.

日本語 最近、通信会社と金融機関での相次ぐハッキング事件を受けて、政府は調査権限を拡大し、セキュリティ違反に対する制裁を強化する方針を明らかにしました。
金民ソク国務総理は緊急会議で、情報保護体制を全面的に整備し、被害者救済のための対策の重要性を強調しました。
総評 この対策は、個人情報保護および信頼回復のために企業と政府が責任を果たす契機となるでしょう。

中文 连续不断的通信和金融领域黑客事件促使政府决定扩大调查权限并加大对安全违规的处罚力度。
韩国总理金民锡在紧急会议上指示重新整顿信息保护框架,同时强调制定方案救助受害者的重要性。
总评 该措施旨在加强个人信息保护,同时恢复公众对企业和政府的信任。

Italiano Recenti incidenti di hacking nei settori delle telecomunicazioni e finanziari hanno spinto il governo ad ampliare l’autorità investigativa e a rafforzare le sanzioni per le violazioni delle norme di sicurezza.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sottolineato, durante una riunione d’emergenza, la necessità di riorganizzare le misure di protezione delle informazioni e di supportare le vittim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tutelare i dati personali e a rafforzare la fiducia dei cittadini verso imprese e governo.

8월 호우 피해 복구에 869억 원 투입…침수주택 복구비 두 배로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8월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총 869억 원의 복구비를 투입하고 재난지원금을 확대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침수 주택 지원금은 기존 35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두 배 상향되었고, 소상공인 및 농작물 피해 지원액도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피해 주민에게 전기·통신 요금 감면 등 다양한 간접 지원도 제공됩니다.
총평 이번 지원은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신속히 일상으로 복귀하도록 돕고, 재정적 부담을 줄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llocated a total of 86.9 billion won for restoration efforts following the heavy rains in August, with expanded disaster relief funds.
Flooded homes will receive double the previous support amount, increasing from 3.5 million won to 7 million won, while comprehensive aid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agricultural damage has also been enhanced.
Additionally, residents will benefit from indirect support measures like utility fee reduction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ease the financial burden on affected residents and facilitate their swift recovery to normalcy.

日本語 政府は8月の集中豪雨による被害復旧のため、総額869億ウォンの復旧費を投入し、災害支援金を拡大することを決定しました。
浸水住宅の支援金は従来の350万ウォンから700万ウォンに倍増し、小規模事業主や農作物被害への支援も大幅に強化されました。
また、被災者には電気・通信料金の減免など多種類の間接支援が提供されます。
総評 この支援は、被災した住民が早期に日常生活を取り戻し、経済的負担を軽減するのに大きく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为8月的暴雨灾害恢复拨款共计869亿韩元,并扩大了灾害救助资金支持。
针对受淹住房的补助从之前的350万韩元提升到700万韩元,规模小商户和农作物损失的支持金额也大幅增加。
此外,还为受害居民提供如电费和通讯费减免等间接支持。
总评 这一政策有望为受灾居民提供切实的财政支持,帮助他们尽快恢复正常生活。

Italiano Il governo ha stanziato un totale di 869 miliardi di won per il ripristino dei danni causati dalle piogge torrenziali di agosto, ampliando i fondi per i soccorsi in caso di calamità.
I sussidi per le abitazioni allagate sono stati raddoppiati, passando da 3,5 milioni a 7 milioni di won, mentre è stato aumentato anche il supporto per le piccole imprese e i danni agricoli.
Inoltre, i residenti beneficeranno di misure di supporto indiretto come la riduzione delle tariffe per l’elettricità e le comunicazion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iuterà concretamente i residenti colpiti a riprendersi economicamente e a tornare rapidamente alla quotidianità.

정부, 공급망 안정 주도할 ‘선도사업자’ 늘리고 지원도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민간 주도 선도사업자 선정을 확대하고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에 추가 금리우대와 수수료 감면 혜택을 제공하며, 공급망 안정화 기금과 정책적 우대 조치를 우선 적용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 정책은 국내 공급망 안정성을 높이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도와 경제적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expand the selection of private leading companies for supply chain stabilization and strengthen its support.
It includes additional benefits for SMEs such as reduced interest rates and fees, alongside priority support through the stabilization fund and related policies.
Summary This move is expected to enhance domestic supply chain stability and boost SME competitiveness, contributing to overall economic security.

日本語 政府は供給網安定化を目的とした民間主導の先導企業の選定を拡大し、支援を強化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特に中小企業には金利優遇や手数料の減免を提供し、安定化基金および政策的優遇措置を優先的に適用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国内供給網の安定性を向上させ、中小企業の競争力強化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将扩大选定主导供应链稳定的民间企业,并加强对其支持。
特别是中小企业将可享受额外的利率优惠和手续费减免,同时优先获得稳定基金和政策支持。
总评 该政策有望提升国内供应链稳定性,同时促进中小企业竞争力并推动经济发展。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il piano di ampliare la selezione di aziende leader private per la stabilizzazione della catena di approvvigionamento e rafforzare il supporto.
Sono previste agevolazioni aggiuntive per le PMI, come tassi di interesse ridotti e sconti sulle commissioni, con priorità al fondo di stabilizzazione e alle misure politiche correlat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migliorare la stabilità della catena di approvvigionamento e sostenere la competitività delle PMI, favorendo la sicurezza economica complessiva.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 첫 시행…연 500만 원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청년 이공계 석사과정생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도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 장학사업’을 올해 처음 시행합니다.
올해는 1000명 내외의 장학생에게 학기당 250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하며, 대학원이 자체 기준을 충족한 학생을 추천하면 한국장학재단이 최종 선발을 진행합니다.
총평 이 장학사업은 경제적 부담을 덜고 연구에 집중할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s launching the “2025 Excellence Scholarship Program for STEM Master’s Students”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to support young STEM graduates.
This program will provide around 1,000 students with 2.5 million KRW per semester, and final candidates will be selec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fter universities recommend eligible students.
Summary This scholarship program aims to reduce financial burdens and foster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

日本語 政府は今年、若い理工系修士課程生を支援するため「2025年理工系修士優秀奨学金事業」を初めて実施します。
約1000名の学生に学期ごとに250万ウォンが支給され、大学の推薦基準を満たした学生を韓国奨学財団が最終選考します。
総評 この奨学金は若手科学者が経済的負担を軽減し、研究に専念できる環境を提供し、次世代の科学技術人材育成に貢献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首次推出“2025年理工科硕士优秀奖学金计划”,旨在支持年轻的理工科研究生。
计划将为约1000名学生每学期提供250万韩元的奖学金,经过大学推荐后,由韩国奖学财团最终审定入选名单。
总评 该奖学金将有助于减轻学生的经济负担,专注于科研发展,从而推动科学技术领域优秀人才的培养。

Italiano Il governo ha introdotto per la prima volta quest’anno il “Programma di Borse di Studio di Eccellenza per i Master STEM 2025” per sostenere gli studenti laureati nelle discipline STEM.
Circa 1.000 studenti riceveranno 2,5 milioni di KRW a semestre, con selezione finale effettuata dalla Fondazione Coreana dopo la raccomandazione delle università.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idurre gli oneri finanziari degli studenti e a favorire lo sviluppo di talenti eccezionali nel campo della scienza e tecnologia.

‘대한민국 새 단장’…정부, 추석·APEC 앞 국민 캠페인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추석 명절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전국 단위 환경정비 캠페인 ‘대한민국 새단장’을 10일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쓰레기 정비와 환경정화 활동을 통해 국민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계부처, 지자체, 자원봉사자가 대거 참여합니다.
이번 활동은 해양, 도로, 하천, 농촌 전반을 대상으로 쓰레기 수거, 재활용 촉진 및 환경관리 방안을 포함합니다.
총평 이 캠페인은 국민 생활공간을 쾌적하게 만들고, 지역사회의 환경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 10-day nationwide cleanup campaign, “Korea Upgraded,” in preparation for the Chuseok holiday and APEC summit.
This initiative aims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s and enhance the national image through waste cleanup and environmental repairs, with extensive participation from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volunteers.
The campaign targets areas such as coastlines, roads, rivers, and rural regions for waste removal and recycling awareness.
Summary This campaign is a crucial step in creating cleaner public spaces while fostering greater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citizens.

日本語 政府は秋夕(チュソク)とAPECサミットを控え、全国規模の環境整備キャンペーン「大韓民国刷新」を10日間にわたり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キャンペーンは、ゴミ清掃や環境美化活動を通じて国民の生活環境を改善し、国家イメージを向上させることを目的としており、多数の省庁、自治体、ボランティアが参加します。
海岸や道路、河川、農村地域を対象にゴミ回収、リサイクル促進、環境管理が進められます。
総評 このキャンペーンは生活空間の改善だけでなく、環境意識向上のための重要な取り組みとして期待されます。

中文 为迎接中秋佳节和亚太经合组织(APEC)峰会,政府宣布启动为期10天的全国性环境整治活动“焕然一新韩国”。
此活动旨在通过垃圾清理和环境美化,提高民众生活质量并塑造国家形象,涉及多部门、地方政府及志愿者参与。
整治区域包括海岸、公路、河流和农村,重点推进垃圾清理、回收利用及环境管理工作。
总评 此次活动不仅有助于改善公共空间,也将提升社会整体的环保意识。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a campagna ambientale nazionale di 10 giorni chiamata “Korea Upgraded,” in preparazione per la festività del Chuseok e il vertice APEC.
L’iniziativa mira a migliorare l’ambiente di vita e a promuovere l’immagine nazionale, coinvolgendo ministeri, governi locali e volontari in operazioni di pulizia e manutenzione ambientale.
Le attività si concentrano su coste, strade, fiumi e zone rurali per raccogliere rifiuti, promuovere il riciclo e rafforzare la gestione ambientale.
Valutazione Questa campagna è un’opportunità significativa per migliorare gli spazi pubblici e sensibilizzare i cittadini sull’importanza della sostenibilità ambientale.

정부, 추석 계기 먹거리 안전 총력…농축산물 검역 강화 등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추석을 맞아 공항·항만의 농축산물 검역 강화와 수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 단속에 나섰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해외여행객 증가와 함께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등의 전염병 유입을 막기 위한 검역 활동을 확대하며, 해양수산부는 주요 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위반과 불법 유통을 단속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명절 기간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보장하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명절 기간 식품 안전을 강화하여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불법 행위를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quarantine measures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t airports and seaports and initiated special inspections for seafood origin labeling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plans to prevent the inflow of animal and plant diseases like African swine fever and bird flu, whil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ill address violations of seafood origin labeling and illegal distribution.
These efforts aim to ensure food safety for citizens during the holiday season.
Summary These measures will enhance food safety during the holidays, protecting public health and deterring illegal activities.

日本語 政府は秋夕(チュソク)に向け、空港や港での農畜産物の検疫を強化し、海産物の原産地表示に関する特別取り締まりを実施します。
農林畜産検疫本部はアフリカ豚熱や口蹄疫といった疫病の流入を阻止するため検疫活動を拡大し、海洋水産部は海産物の原産地表示違反や違法流通を取り締まる計画です。
この計画により、国民の食の安全がより一層確保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祝祭期間中における食品安全を強化し、国民の健康を守るために役立つ施策です。

中文 政府在中秋节前加强了机场和港口的农畜产品检疫,同时对水产品原产地标识进行专项执法检查。
农林畜产检疫本部计划通过加大检疫力度,防止非洲猪瘟、口蹄疫等传染病传播,海洋水产部则重点查处水产品原产地标识违规和非法流通行为。
这些措施旨在保障节日期间民众的食品安全。
总评 此举将增强节假日期间的食品安全,为公众健康提供更有力的保障。

Italiano Il governo ha rafforzato i controlli di quarantena per i prodotti agricoli e zootecnici nei porti e aeroporti e ha lanciato operazioni speciali per verificare l’etichettatura dell’origine dei prodotti ittici in vista delle festività di Chuseok.
L’Agenzia per la Quarantena Vegetale e Animale mira a prevenire la diffusione di malattie come la peste suina africana, mentre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controllerà le violazioni relative alla provenienza e distribuzione illegale dei prodotti ittici.
Questi interventi garantiranno una maggiore sicurezza alimentare per i cittadini durante le festività.
Valutazione Queste misure rafforzano la sicurezza alimentare durante le feste, tutelando la salute dei cittadini e contrastando le attività illegali.

“추석엔 한복”…문체부, 한복 입기 캠페인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추석을 맞아 한복 입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진행합니다.
한복 교환 장터, 지자체 마스코트 한복 입히기, 한복 사진 공모전 등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추석빔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려는 취지입니다.
추석 연휴 기간에는 전통 한복 체험 행사와 해외 주요 도시에서의 한복 홍보 영상도 선보입니다.
총평 이번 캠페인은 한복을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기회를 제공해 전통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며, 다양한 세대가 함께 한복에 대한 관심을 높일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promoting hanbok culture during the Chuseok holiday.
Main events include hanbok exchange markets, municipal mascots dressed in hanbok, and a hanbok photo contest, aimed at modernizing the Chuseok attire tradition.
During the holiday, there will also be traditional hanbok experiences and promotional hanbok videos displayed in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Summary This campaign provides an opportunity to naturally engage with traditional culture in daily life and encourages interest in hanbok across generations.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秋夕を迎え、韓服文化の普及のため多様なイベントを実施します。
韓服交換市場、自治体マスコットの韓服着用、韓服写真コンテストなどが主なプログラムで、秋夕装いの伝統を現代的に継承する目的です。
秋夕連休期間には韓服体験イベントや、主要都市での韓服プロモーション映像も公開されます。
総評 このキャンペーンは、韓服を日常的に体験する機会を提供し、幅広い世代で韓服や伝統文化への関心を高めるきっか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文化体育观光部在中秋节期间推广韩服文化。
主要活动包括韩服交换市场、让地方吉祥物穿韩服、韩服照片征集大赛等,旨在现代化传承中秋装文化。
节日期间,还将举办韩服体验活动,并在全球主要城市展示韩服宣传视频。
总评 此次活动为人们提供了将韩服融入日常生活的机会,同时促进不同年龄层对韩服和传统文化的关注。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promuove la cultura dell’hanbok durante le festività di Chuseok.
Tra gli eventi principali ci sono mercati di scambio di hanbok, mascotte comunali vestite con hanbok e un concorso fotografico, con l’obiettivo di modernizzare la tradizione dell’abbigliamento di Chuseok.
Durante le festività saranno anche organizzate esperienze con hanbok tradizionali e video promozionali trasmessi in città chiave del mondo.
Valutazione Questa campagna offre l’opportunità di avvicinarsi alla cultura tradizionale nella vita quotidiana, promuovendo l’interesse per l’hanbok tra le generazioni.

‘가정 밖 청소년’ 주거지원 강화…절차 간소화·자격 완화

요약보기
한국어 여성가족부는 국토교통부 등과 협력하여 가정 밖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의 주거 지원을 위한 ‘유스타트 3.0’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신청 절차와 요건을 간소화해 청년들이 간단한 서류만으로 원하는 지역의 임대주택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으며, 23일부터 관련 플랫폼을 통해 접수가 시작됩니다.
총평 이번 변화는 복잡한 절차로 지원 받기 어려웠던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주거 안정과 자립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nveiled the ‘Youth+Start 3.0’ plan to support housing for out-of-home youth and young individuals preparing for independence.
By simplifying application procedures and requirements, eligible youth can now apply for rental housing in their desired locations with minimal paperwork starting from the 23rd through an online platform.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provide tangible housing stability and independence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who previously struggled with complex procedures.

日本語 女性家族部は国土交通部などと連携し、家族を離れた若者や自立準備中の青年を対象とした住宅支援策『ユーススタート3.0』を発表しました。
従来の厄介な手続きを簡略化し、必要書類だけで希望する地域の賃貸住宅を申請できるようになり、23日から専用プラットフォームで申し込みが開始さ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住宅支援が必要な若者の住居安定と自立を具体的に後押しするものとして期待されます。

中文 女性家庭部联合国土交通部等部门发布了“青年起步3.0”计划,以支持家庭外青年及准备独立青年的住房需求。
通过简化申请流程和条件,符合条件的青年只需准备简单文件,即可从23日起通过线上平台申请理想地区的租赁住房。
总评 这一政策将为因复杂流程而难以获得支持的青年提供更实际的居住稳定和独立机会。

Italiano Il Ministero dell’Uguaglianza di Genere e della Famiglia, in collaborazione con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 presentato il piano ‘Youth+Start 3.0’ per il supporto abitativo ai giovani fuori casa e a quelli in preparazione all’indipendenza.
Con procedure e requisiti semplificati, i giovani idonei potranno richiedere case in affitto nelle aree desiderate con documentazione minima a partire dal 23, utilizzando una piattaforma online dedicat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irà opportunità concrete di stabilità abitativa e indipendenza, specialmente a giovani che in passato hanno affrontato procedure complesse.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시작…어린이·임신부·어르신 무료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은 오는 2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2회 접종 대상 어린이를 시작으로 29일부터는 1회 접종 대상 어린이와 임신부, 10월 중에는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접종이 진행됩니다.
고위험군인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의 인플루엔자 감염 및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접종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의 건강을 보호하고 집단감염을 줄이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nounced it will initiate the ‘2025-2026 Influenza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from September 22 to April 30 next year.
The program begins with the two-dose vaccination for children and expands to one-dose vaccinations for children and pregnant women from September 29, and for seniors above 65 in October.
The initiative prioritizes high-risk groups like children, pregnant women, and older adults to prevent influenza infections and complications.
Summary This program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public health by protecting high-risk groups and reducing the spread of influenza.

日本語 韓国の疾病管理庁は、9月22日から来年4月30日まで「2025-2026シーズンインフルエンザ国家予防接種」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接種は2回接種が必要な子供を皮切りに、9月29日からは1回接種の子供や妊婦、10月には65歳以上の高齢者へと拡大されます。
小児、妊婦、高齢者などの高リスク群の感染と合併症を防ぐため、適切な時期の接種が強調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予防接種は、高リスク群の健康を守り、インフルエンザの拡大を抑制する大きな助け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疾病管理厅宣布,将于9月22日至明年4月30日启动“2025-2026年度流感国家免疫接种计划”。
接种工作将从需要两剂接种的儿童开始,9月29日起覆盖单剂接种的儿童及孕妇,10月起为65岁以上老人提供接种服务。
该计划重点保护儿童、孕妇及老年等高风险群体,预防流感感染及相关并发症的发生。
总评 此次接种计划将帮助减少流感传播并保护高危人群的健康,对公共卫生具有重要意义。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ha annunciato che avvierà il “Programma nazionale di vaccinazione contro l’influenza 2025-2026” dal 22 settembre al 30 aprile dell’anno prossimo.
Il programma inizia con la vaccinazione a due dosi per i bambini e dal 29 settembre include la vaccinazione a dose unica per bambini e donne in gravidanza, estendendosi agli anziani sopra i 65 anni ad ottobre.
L’iniziativa mira a proteggere i gruppi ad alto rischio come bambini, donne in gravidanza e anziani da infezioni influenzali e complicanze.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contribuirà in modo significativo alla salute pubblica proteggendo i gruppi vulnerabili e riducendo la diffusione dell’influenza.

민간 앱에서도 ‘면허 벌점 조회’, ‘어린이박물관’ 예약 가능

요약보기
한국어 앞으로 민간 앱에서도 운전면허 벌점 조회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예약이 가능해집니다.
이에 따라 KB스타뱅킹, 티맵을 통해 면허 벌점을 확인하고 IBK기업은행의 i-ONE뱅크로 어린이박물관 예약이 가능해져 사용자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입니다.
총평 이 같은 서비스 개방으로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일상 생활 속 공공서비스 접근성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Drivers will now be able to check their license demerit points and make children’s museum reservations through private apps.
Services like KB Star Banking, Tmap, and IBK’s i-ONE Bank will offer these features, improving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or users.
Summary This initiative simplifies public service processes, making everyday tasks like checking penalties or reserving museum visits more user-friendly.

日本語 今後、民間のアプリでも運転免許の違反点数照会や国立中央博物館の子ども博物館の予約が可能になります。
具体的には、KBスター銀行やTmapで点数確認、IBK企業銀行のi-ONEバンクアプリで予約が可能になり、利便性が大幅に向上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サービス開放により、日常の行政サービス利用がより手軽になり、一般市民にとって大きな利便性をもたらすでしょう。

中文 今后,通过民间应用也可以查询驾驶证扣分和预约国立中央博物馆的儿童博物馆。
比如可以使用KB明星银行、Tmap查询扣分,使用IBK企业银行的i-ONE Bank应用预约儿童博物馆,极大方便了用户的操作。
总评 此次服务开放减少了繁琐步骤,并显著提升了公共服务的便利性,为人们的日常生活带来实质便利。

Italiano Da ora sarà possibile verificare i punti di penalità sulla patente e prenotare la visita al Museo per bambini del Museo Nazionale Centrale tramite app private.
Con KB Star Banking, Tmap e i-ONE Bank di IBK, gli utenti godranno di maggiore accessibilità e comodità nei servizi.
Valutazione Questa apertura dei servizi renderà più semplici le attività quotidiane, migliorando l’accesso ai servizi pubblici digitali.

‘숨어있는 체불’ 선제적 청산…재직자 익명제보 근로감독 착수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재직자의 익명 제보를 통해 임금 체불 문제를 해결하는 ‘익명제보 사업장 근로감독’을 22일부터 2달간 진행합니다.
지난해 도입된 이 감독을 통해 임금 체불 사례 신고를 유도하려는 것으로, 올해 감독 대상은 작년보다 크게 늘어난 250곳입니다.
또한 앞으로 익명 제보센터를 상시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신고를 망설이던 재직자들에게 임금 체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를 제공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launched an anonymous reporting system to address wage arrears for current employees, starting from the 22nd for two months.
Introduced last year, this initiative seeks to encourage whistleblowing on labor law violations, with the number of monitored workplaces increasing to 250 this year.
The ministry is also considering making the anonymous reporting center a permanent service.
Summary This policy offers a vital platform for employees hesitant to report wage issues, aiming for improved workplace fairnes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22日から2か月間、在職者による匿名の労働違反通報を基に賃金未払い問題を解決する監督を実施します。
昨年に導入されたこの監督は、特に賃金未払い事例の通報を促すもので、今年は監督対象事業所が昨年の151件から250件に拡大されました。
さらに、匿名通報センターの常時運営も検討中です。
総評 この政策により、通報しづらかった在職者が賃金未払い問題を解決するきっかけを得やすくなります。

中文 雇佣劳动部自22日起为期两个月,推进基于现职匿名举报解决工资拖欠问题的监督工作。
这一措施去年首次实施,今年监督对象从151家增至250家,并计划将匿名举报中心常态化运营。
预计可有效解决当前职员的工资拖欠问题。
总评 此政策为不敢发声的员工提供了一个举报渠道,有助于维护劳动权益。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avviato dal 22 un progetto di supervisione basato su segnalazioni anonime dei dipendenti in servizio per affrontare i problemi di mancato pagamento dei salari, per una durata di due mesi.
Questa misura, introdotta l’anno scorso, vede un aumento delle aziende ispezionate, da 151 a 250, e si prevede di rendere permanente il centro per denunce anonime.
Valutazione Questo piano facilita ai dipendenti l’espressione di problemi di mancato salario, promuovendo condizioni lavorative più eque.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온·오프 신청 개시…26일까지 요일제 운영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가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신청을 받습니다.
대상자는 소득 하위 90% 국민으로, 1인당 10만 원을 지원하며 신용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선택 가능합니다.
특히 주민센터 방문 시 간소화된 절차로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처를 소상공인 매장과 지역 가맹점으로 제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총평 생활 부담을 줄이고 지역경제를 돕는 데 실질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지원책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is accepting applications for the second round of recovery coupons from September 22 to October 31.
Eligible individuals, comprising the bottom 90% income group, will receive KRW 100,000 each, payable through credit cards, prepaid cards, or local gift certificates.
The simplified application process and restrictions on usage within local small businesses aim to improve convenience and support regional economies.
Summary The initiative is expected to alleviate living expenses and boost local economic activity effectively.

日本語 行政安全部は9月22日から10月31日まで第2次民生回復消費クーポンの申請を受け付けます。
対象者は所得下位90%の国民で、1人当たり10万ウォンが支給され、クレジットカード、プリペイドカード、地域商品券から選べます。
申請手続きの簡略化と、使用先を地元小規模店や加盟店に限定することで地域経済活性化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支援策は生活負担を軽減し、地域経済に寄与す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于9月22日至10月31日接受第二轮民生恢复消费券申请。
收入底部90%的居民每人可获10万韩元,支付方式包括信用卡、预付卡或地方爱心商品券。
简化申请流程同时限制消费范围于本地小商户,旨在提高便利性并促进地区经济发展。
总评 此政策有望减轻居民生活压力并推动地方经济增长。

Italiano Il Ministero degli Interni e della Sicurezza accetterà domande per la seconda tornata di buoni di recupero dal 22 settembre al 31 ottobre.
I beneficiari, pari al 90% di reddito più basso, riceveranno 100.000 KRW ciascuno, con la possibilità di scegliere tra carte di credito, carte prepagate o buoni locali.
Il processo semplificato e la limitazione dei luoghi d’uso a piccoli negozi locali mirano a facilitare l’accesso e sostenere le economie regionali.
Valutazione Questa misura potrebbe alleviare i costi quotidiani e fornire un sostegno concreto all’economia locale.

요약

정부, ‘보편적 청년정책’ 추진…안정적 기본생활 보장
발행일: 2025-09-22 10:36

원문보기
### 정부의 청년 정책 전환: 새로운 보편적 지원 방안을 발표

정부가 기존의 ‘저소득·취약계층 중심’ 청년지원 정책에서 벗어나, 내년부터 대학생, 구직자, 청년 직장인 등 모든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정책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청년들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었다.

### 주요 추진 방향

정부가 발표한 ‘청년정책 추진방향’은 세 가지 주요 기조로 진행된다:
1. **일자리·자산형성 기회 확대**
2. **생애주기 전반의 기본생활 보장**
3. **청년의 정책 참여 확대**

### 주요 내용 요약

#### 1. **괜찮은 일터 확산 및 쉬는 청년 재진입 지원**
– **일자리 질 향상**: 임금 체불 없는 기업정보 제공과 24시간 AI 노동법 상담 서비스 운영으로 청년의 일터 권익 보장.
– **청년 노동자 보호법 제정**: 프리랜서와 플랫폼 노동자의 권익 보호.
– **쉬는 청년 지원**: 장기 미취업 위험군 청년을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으로 사회 재진입을 유도.

#### 2. **역량 개발 및 직업훈련**
– AI·SW 중심 교육 강화를 위한 대학 및 훈련 과정 확대.
– **K-디지털트레이닝 사업** 확대 및 산업현장 맞춤형 훈련 제공.
– **군 복무 기간을 활용한 교육**: AI 온라인 교육과 대학 강의 지원 확대.

#### 3. **창업 생태계 조성**
– **혁신 창업 지원**: AI·딥테크 등 창업 특화 지원 및 세제혜택 확대.
– **재도전 지원**: 창업 실패 후 재도전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과 안전망 구축.

#### 4. **청년 주거 및 자산 형성**
– **청년미래적금** 신설: 더 짧은 납입 기간과 높은 정부 기여금 지원.
– **공공 임대주택**: 청년 선호지역 중심으로 확대 및 특화된 청년 주택 공급.
– **월세지원 사업 지속**: 무주택·저소득 청년 대상의 지원 규모 확대.

#### 5. **교육, 문화, 교통 지원**
– **국가장학금 확대**와 학자금 대출 대상 확대.
– **문화지원**: 예술 활동 지원금과 청년 문화예술 패스 확대.
– **대중교통 패스** 신설: 경제적으로 부담 없는 교통비 마련.

### 청년 참여 확대
정부는 청년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청년정책조정위원회와 같은 참여 기구를 활성화해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정책을 발굴·제안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계획이다.

### 결론
이번 정책은 모든 청년에게 ‘기회와 안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생애주기 전반의 지원을 통해 청년들이 생존 걱정을 넘어 각자의 삶과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앞으로 정부는 지속적인 의견 수렴과 세부 계획 보완을 통해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을 구현해 나갈 예정이다.

‘개인정보보호’ 국정과제 착수…”피해규모 비례해 과징금 부과”
발행일: 2025-09-22 09:06

원문보기
### 이재명 정부, ‘국민 개인정보 보호체계 확립’ 국정과제 본격 추진

이재명 정부가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새로운 국정과제를 채택하고 이를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개 국정과제 중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체계 확립”이 포함됐음을 22일 발표했습니다.

### 주요 과제 및 목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과제는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 강화와 국민의 권리 확대를 목표로 합니다. 동시에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산업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체계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 세부 실천과제 5대 방향

1. **중대 사고에 대한 엄정 제재 및 피해자 보상 실질화**
– 사고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자율 개선을 지원.
– 디지털 포렌식랩 구축을 통해 유출 원인을 신속히 파악.
– 중대 피해 발생 시 즉각적인 유출 공지와 과징금 가중 등 엄격한 처벌 강화.

2.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확대**
– 아동·청소년 보호 대상 연령을 18세로 확대하고 디지털 잊힐 권리를 활성화.
– 사망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딥페이크 콘텐츠 삭제 요구 법적 권리 신설 등 새로운 기술 위협 대응.

3. **예방 중심의 보호체계로 전환**
–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 예산과 전담 인력 확보를 유도.
– 인증 시스템 강화, 모의해킹 도입 등 관리체계 개선.

4. **AI·데이터 시대에 맞는 개인정보 법체계 정비**
– 마이데이터 제도를 의료·통신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로 확대.
– 국제협력을 통해 글로벌 개인정보 보호 규범 확립 주도.

5.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체계 마련**
– AI 개발을 위한 원본 데이터 활용을 허용하는 법적 근거 제정(AI 특례).
– 개인정보 처리 기준을 신산업 현장에 맞춰 구체화.

### 국제적 협력 강화
이번 달 서울에서 개최될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를 통해 국제적 개인정보 보호 규범 형성을 선도하고, 공공개발원조(ODA)와 같은 영역에서 국제 협력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 기대 효과와 향후 방침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번 정책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성과를 창출하며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강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번 과제는 개인정보 보호뿐만 아니라 안전한 AI 및 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기술 혁신과 국민 신뢰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혁신기획담당관(02-2100-2444)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김민석 총리 “금융·통신 해킹, 기업의 신고 없어도 직권 조사”
발행일: 2025-09-22 09:02

원문보기
### 최근 통신 및 금융사 해킹 사고, 정부의 강화된 대응책 발표

김민석 국무총리는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현안점검 회의에서 최근 통신사와 금융사의 잇단 해킹 사고와 관련된 정부의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그는 기업의 신고에 의존하던 기존 조사 방식에서 벗어나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을 도입하고, **보안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 주요 해킹 사례 및 피해

김 총리는 최근 발생한 주요 해킹 사례를 언급하며 국민의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 **SK텔레콤 유심정보 유출 사건**(4월): 개인정보의 민감한 부분이 유출된 사고.
–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362명이 피해를 입고, 피해액이 총 2억 4,000만원에 달하며, KT 서버 역시 해킹된 것으로 드러남.
– **롯데카드 서버 해킹 사건**(지난달): 30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그중 28만 명의 카드번호, 비밀번호, 보안코드 등이 노출되는 심각한 상황.

### 정부의 대응 및 약속

김민석 총리는 **사과의 뜻**을 표하며, 해킹 사고로 발생한 국민 피해에 대한 정부의 책임감을 강조했다. 주요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철저한 조사 및 사고 원인 규명**:
– 사고 은폐 혹은 축소 의혹을 철저히 조사하고 이를 명확히 규명.
– 사업자의 보안 관리 체계상의 문제점은 없는지 점검.

2. **피해 구제 조치 강화**:
– 모든 피해 경로를 확인하고, 숨겨진 피해자를 찾는 데 만전을 기할 계획.

3. **전면적인 정보보호 체계 재정비**:
– 통신·금융권의 정보보호 체계를 개선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시스템 강화.

4. **직권 조사권 확대**:
– 기업 신고에 의존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정부가 주체적으로 사건을 조사할 수 있도록 권한 확대.

5. **특단의 보안 대책 마련**:
– 관계 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위 등)를 중심으로 정보보호 대책을 개선.
– 이번 정기국회에서 정보보호 대책의 통과를 목표로 총력 추진.

### 김 총리의 발언 요약

김 총리는 통신과 금융은 국민의 일상과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분야**라는 점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결의를 다졌다:

– “보안 없이는 디지털 전환도, AI 강국도 없다.”
– “통신사와 금융사의 보안은 소비자 신뢰의 첫걸음이며 가장 기본적인 책무다.”
– “이번 사태와 같은 비극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단호한 결의를 갖고 대처하겠다.”

### 정책 방향과 과제

정부는 이번 해킹 사고를 계기로 **디지털 보안 정책의 전면적 강화**를 추진한다. 또한,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각 부처가 협력하며 정보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을 계획이다.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는 강력한 대책을 통해 보안 사고 해결뿐 아니라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의:
국무조정실 산업과학중기정책관실(044-200-2249)
재정금융정책관실(044-200-2192)

8월 호우 피해 복구에 869억 원 투입…침수주택 복구비 두 배로
발행일: 2025-09-22 08:31

원문보기
### 8월 호우 피해 복구 계획: 총 869억 원 투입 결정

행정안전부 소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8월 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총 869억 원** 규모의 복구비 투입 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중대본은 피해 복구와 지원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논의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복구비 및 피해 지원 현황**
– **호우 피해액:** 351억 원 확정
– **복구비 투입:** 총 869억 원
– **공공시설 복구비:** 373억 원(피해 전 기능 회복을 최우선으로)
– **피해 주민 재난지원금:** 496억 원(7월 기준과 유사, 기존 지원 + 추가 지원)

### 2. **주요 지원사항 및 확대안**

#### (1) **침수 주택 지원 확대**
– 기존 **350만 원** → **700만 원**(2배 상향)
– 지원 범위: 도배·장판 비용, 가전제품, 가재도구 피해 포함

#### (2) **전파 주택 주민 지원 증가**
– 기존 **2200만~3950만 원**에 **6000만 원 추가 지원**
– **풍수해보험 가입자**: 보험금 외 추가 지원(3200만 원)

#### (3) **소상공인 지원 확대**
– 기존 **500만 원** → **1000만 원**(2배 상향)

#### (4) **농업·임업·수산업 피해자 지원 강화**
– **농·산림작물, 가축, 수산물 피해 지원율:** 50% → **100% 상향**
– **농기계 피해 지원:** 전 기종 지원, 35% → **50% 상향**
– **농·축·임·수산시설 지원율:** 35% → **45% 상향**

### 3. **호우 피해 규모 및 지역현황**

#### (1) **사유시설 피해**
– **주택:** 3536동(전파 2동, 반파 6동, 침수 3528동)
– **농·산림작물:** 881ha 피해
– **농경지 침수:** 30ha
– **소상공인 2429개 업체 피해**

#### (2) **공공시설 피해**
– 하천·소하천 204개소, 도로 27곳, 상수도 25곳, 산사태 19곳 등

### 4. **피해 지역 간접 지원 혜택**

#### (1) **일반 재난지역**
– 국세 납부 유예, 지방세 기한 연장, 국민연금 납부 예외
– 재해복구자금 및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 **총 24가지 혜택 제공**

#### (2) **특별재난지역**
– 국민건강보험료 경감, 전기·통신요금 감면, 도시가스 요금 감면
– 기본 지원 외 **추가적 13가지 혜택 부여**

#### (3) **간접지원 신청 안내**
– **일괄지원 항목:** 전기·통신·도시가스 요금 감면 등은 별도 절차 없이 원스톱 제공
– **신청 필요 항목:** 자금 융자, 농지보전부담금 면제 등은 해당 기관에 신청

### 5. **정부 입장 및 향후 계획**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추석 전까지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할 것이며, 피해 주민과 지역사회가 조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국고보조금을 신속히 집행할 계획입니다.

### [문의사항]
– 행정안전부 복구지원과(044-205-5314)

정부는 이번 조치가 피해 주민의 실질적인 복구와 생활 안정에 기여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 공급망 안정 주도할 ‘선도사업자’ 늘리고 지원도 확대
발행일: 2025-09-22 08:26

원문보기
### 정부, 핵심품목 공급망 안정화 위해 선도사업자 선정 확대

정부가 핵심 품목의 **공급망 안정화**를 목적으로 민간 주도의 선도사업자 선정을 확대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2차 선도사업자 선정 진행**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번 2차 선도사업자 선정은 지난해 시행된 **공급망안정화 기본법**에 따라 진행되며, 이를 위해 기재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한 달간 사업자 선정 계획을 공고합니다. 선도사업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공급망 안정화 계획서를 10월 21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최종 선정은 11월에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 **선정 기업에 제공될 우대 혜택**
정부는 이미 138개의 기업을 선도사업자로 선정하고 **공급망안정화기금** 및 대출 등의 지원을 제공해 왔으며, 이번 추가 선정된 기업들에도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공급망안정화기금** 주요 지원 대상 지정
– **정책적 우대조치** 우선 적용
– **중소기업 추가 혜택**: 금리 우대, 수수료 경감 등

#### **향후 계획**
정부는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기업 지원 강화를 위해 내년에 **10조 원 규모의 공급망기금채권** 발행을 목표로 관련 국가보증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입니다.

기획재정부의 손웅기 경제공급망기획관은, “공급망 안정화는 기업 활동을 통해 실현되는 만큼, 정부는 민간과 긴밀히 협력하고 소통하며 이를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기업들은 경제안보품목의 수입국 다변화, 국내 제조시설 확충, 또는 수입 대체 기술 개발 등 안정화 노력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이번 기회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의 및 참여 안내**
기획재정부 공급망대응담당관
E-mail: [email protected]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 첫 시행…연 500만 원 지원
발행일: 2025-09-22 07:36

원문보기
정부는 미래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년 이공계 학생들을 위한 전주기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올해 처음 시행되는 **’2025년도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 장학사업’**은 그 일환으로, 이공계 석사 과정생들의 전반적인 성장을 돕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사업 개요 및 주요 내용
1. **장학금 규모**:
– 전국 이공계 대학원생 1,000명 선발 예정.
– 학기당 250만 원, 연간 500만 원 지급.

2. **지원 대상**:
– 2025년 2학기 입학 또는 재학 중인 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석사 과정생.
– 전일제(full-time) 학생으로 일정 성적 요건을 충족해야 함.

3. **선발 절차**:
– 각 대학원이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사업 참여 신청 → 대학별 선발 인원 배정.
– 대학원 자체 기준에 따라 추천된 학생을 기반으로, 한국장학재단에서 최종 선정.

4. **평가 기준**:
– 학업·연구계획, 연구 실적, 사회기여도, 경제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신청 방법 및 일정
– **대학의 사업 참여 신청 기간**:
– **2023년 11월 2일까지**.
– 신청 경로: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지원 시스템 (http://eduman.kosaf.go.kr).

### 정부의 지원 확대 계획
과기정통부는 2022년 첫 선을 보인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에 이어 이번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을 도입했으며, 내년에는 **’이공계 박사우수장학금’**을 신설할 계획입니다. 이는 과학기술 인재들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기 위한 포괄적인 정책입니다.

### 관계자 발언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이 청년 과학기술인의 성장에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청년 과학기술 인재를 돕기 위한 전주기 지원 체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문의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양성과**: 044-202-4839
–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 1599-2290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 강국 실현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경제적 지원을 통해 이공계 석사 과정생들이 연구에 전념하고, 나아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새 단장’…정부, 추석·APEC 앞 국민 캠페인 개최
발행일: 2025-09-22 07:35

원문보기
### [뉴스 요약]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 본격 추진

정부는 추석 명절과 11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민 생활공간 개선 및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국 단위 환경정비 캠페인 **’대한민국 새단장’**을 9월 22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합니다.

#### 주요 내용:
1. **캠페인 개막식**
– 9월 22일 경기도 화성시 궁평항에서 개막식이 열렸으며, 관계부처와 자원봉사자, 시민단체 등 800여 명이 해안가 정화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 전국적인 동시 청소 활동이 이뤄졌으며, 141개소에서 2만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2. **관계부처 활동**
각 부처는 소관 분야 중심으로 집중 정비를 실시합니다.
– **해양수산부**: 전국 해안가 정비 및 해양쓰레기 수거, 도서 지역 수중 정화 활동.
– **국토교통부**: ‘추계 도로정비’와 연계해 전국 도로 및 시설 점검, 청소.
– **환경부**: 하천, 국립공원 정화 및 생활폐기물 집중 관리.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마을 청소, 영농폐기물 처리 독려 및 관련 교육.

3. **주요 행사**
– 해양수산부는 울산, 부산, 제주 등을 포함한 주요 해안가 정화 활동을 시행.
– 환경부는 국민 참여형 캠페인을 통해 폐기물 재활용 및 인식 개선 활동 전개.

4.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 협력**
– 전통시장, 관광지, 주거 밀집지 등을 중심으로 민관 합동 청소 캠페인 확대.
– 수도권 자원봉사자가 농어촌 지역을 방문해 청소 봉사를 진행하는 ‘수도권-농어촌 상생 청소’ 프로그램도 포함.

#### 기타:
캠페인은 여름 집중호우로 발생한 해양 쓰레기 약 1만 톤 등 증가하는 방치 폐기물을 해결하고, 국민과 함께 청소 문화를 정착시키는 범국민적 캠페인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문의**:
– 행안부 자치행정과 (044-205-3105)
–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 (044-200-5301)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과 (044-201-1522)
– 환경부 생활폐기물과 (044-201-7427)
– 국토교통부 도로관리과 (044-201-3912)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 블로그 콘텐츠 제안:

#### **제목:**
“국민 손으로 만드는 깨끗한 대한민국,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 시작!”

#### **본문 요약:**
정부는 추석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을 9월 22일부터 10월 1일까지 10일간 진행합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해안 쓰레기 수거, 도로 및 하천 정화, 농촌 마을 개선 등이며, 전국 곳곳에서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집니다. 모두가 동참할 수 있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우리 주변 환경을 새롭게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요?

**참여 방법 및 혜택**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지역 자원봉사센터를 통해 가까운 청소 활동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깨끗한 환경 조성의 첫걸음에 함께하세요!

정부, 추석 계기 먹거리 안전 총력…농축산물 검역 강화 등 추진
발행일: 2025-09-22 07:24

원문보기
### 정부, 추석 맞아 먹거리 안전 관리 강화: 농축산물 검역 및 수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 단속

정부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 확보를 위해 농축산물 검역 강화와 수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 단속에 나선다.

#### 농·축산물 검역 대책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추석 연휴 기간 출입국 인구 증가에 대비해 9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농축산물 검역을 대폭 강화한다. 해외에서 반입되는 농축산물에 의한 주요 가축 전염병(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과 식물병해충(붉은불개미, 과수화상병)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

1. **해외여행객 및 외국인 대상 검역 강화**
– 금지된 품목 반입률이 높은 중국, 베트남 등에서 반입되는 수하물에 대해 검역 전용 엑스레이(X-ray)를 활용.
– 검역탐지견 투입으로 과일과 축산물 탐지 강화.
– 검역 회피자 차단을 위해 순회 점검 실시.

2. **유관기관 협력 및 정보 공유**
– 관세청 등과의 협력을 통해 반입 금지 품목 정보를 공유하며 적발 강화.

3. **홍보 활동**
– 공항·항만 전광판, 출·입국장 방송, 인터넷 및 SNS 등으로 검역 홍보 강화.
– 축산 관계자를 대상으로 농축산물 반입 및 소독 요령 등의 안내문자 발송.

4. **유통 관리**
– 온라인 모니터링 및 외국 식료품점, 전통시장, 소량화물 밀집 지역 점검.
– 불법 반입 농축산물 유통 감시와 특별사법경찰관 수사 활동 강화.

#### 수산물 원산지 표시 단속
**해양수산부**는 국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도록 9월 22일부터 10월 2일까지 수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 단속 활동을 전개한다.

1. **단속 품목 및 대상**
– 주요 성수품(명태, 참조기, 고등어 등)과 원산지 위반 우려 품목(참돔, 낙지, 가리비 등) 집중 단속.
– 수산물 제조·유통업체, 음식점, 배달앱 판매처 등 대상.

2. **사법 처리 방침**
– 수산물 원산지 거짓 표시는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
– 원산지 미표시는 최대 1000만 원 이하 과태료.

3. **특별 단속반 운영**
– 9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특별 단속반이 집중 적발.
– 소비 증가 시기를 노린 밀수 행위, 유통 기한 경과 식품의 불법 유통, 원산지 증명서 거짓 발급 등을 대상으로 강력한 사법 처리 진행.

#### 문의 안내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검역과(054-912-0422), 식물검역과(054-912-0612)
–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 수산물안전기획과(044-200-5414),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품질관리과(051-400-5795)
– **해양경찰청**: 외사과(032-835-2168)

이번 조치는 추석 시기에 국민 먹거리 안전을 보장하고 불법 행위를 엄격히 단속함으로써 식품 유통 질서를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추석엔 한복”…문체부, 한복 입기 캠페인 추진
발행일: 2025-09-22 07:09

원문보기
### 한복 문화 확산을 위한 추석 캠페인 ‘추석에는 한복을 입어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오는 추석을 맞아 한복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행사를 통해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확산하는 ‘추석에는 한복을 입어요’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 **한복 교환 장터와 전통 축제**
9월 26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리는 **’오늘전통축제’**와 연계하여, ‘21% 한복잔치’라는 이름의 한복 교환 장터를 마련합니다. 이곳에서는 안 입는 옷을 한복으로 교환하거나, 자기 한복을 기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복 개량 워크숍, 저고리 만들기 프로그램, 실크스크린 체험 등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도 제공됩니다.

#### **한복 입은 지자체 마스코트**
각 지역을 대표하는 마스코트들이 한복을 입은 모습으로 꾸며져 귀성객을 맞이합니다. 서울에서는 ‘해치’, 대전은 ‘꿈돌이와 꿈순이’, 강원도는 ‘강원이와 특별이’, 부산은 ‘부기’ 등이 한복을 입고 등장합니다. 특히, 서울도서관 광장과 서울공예박물관 앞마당에서는 왕실 한복을 입은 풍선 모형 ‘해치’와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됩니다.

#### **한복 사진 공모전 및 외국인 대상 캠페인**
온라인에서는 **한복 입기 캠페인**이 진행됩니다. 10월 12일까지 한복진흥센터를 통해 **’올해의 추석빔 사진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한복을 입고 명절을 즐기는 사진과 사연을 제출하면 아이패드 프로, 상품권 등의 경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마이 한복 데이(My Hanbok Day)’** 행사도 실시하여,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이 한복을 입은 사진과 사연을 올리면 기프트카드 등 경품을 제공합니다.

#### **전통한복 체험 및 글로벌 홍보**
추석 연휴 동안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전통한복 곱게 입기 체험행사’**를 통해 한복 고름 매는 법과 입는 순서를 배우고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추석 당일인 10월 6일에는 배우 박보검이 참여한 **’한복 웨이브’** 사업 화보 영상이 국내외 주요 전광판에서 송출되며, 글로벌 관객들에게 한복의 매력을 알릴 예정입니다.

#### **캠페인 의의**
이정미 문화정책관은 “이번 캠페인은 추석을 계기로 한복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누릴 수 있도록 기획된 행사”라며, 세대 간 전통문화를 접목해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문화과: 044-203-2549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고, 한복의 아름다움을 국내외에서 알리는 이번 캠페인으로, 다가오는 추석이 더욱 풍성하고 의미 있는 명절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가정 밖 청소년’ 주거지원 강화…절차 간소화·자격 완화
발행일: 2025-09-22 06:25

원문보기
### “유스타트 3.0” 도입으로 가정 밖 청년의 주거 지원 확대

여성가족부는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협력해 ‘유스타트(Youth+Start) 3.0 종합지원 방안’을 발표하며 가정 밖 청년과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 아동)의 주거 지원 절차를 대폭 간소화합니다. 이 계획은 청년들이 임대주택 선택과 신청을 간단하고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주요 추진 내용

1.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및 신청 절차 간소화**
–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유스타트 주거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10월 23일부터 온라인 신청 접수를 개시합니다.
– 기존 복잡했던 서류 절차와 자격요건을 간소화해 이용 편리성을 높였습니다.

2. **임대주택 신청 자격 요건 완화**
– 기존에는 청소년복지시설 이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에만 임대주택 신청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시설 이용 기간과 관계없이 청소년들이 공공임대주택(건설, 전세, 매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소득과 자산 요건을 배제하고 ‘무주택 요건’만 충족되면 임대주택 신청이 가능하도록 자격을 완화했습니다.

3. **지방자치단체 승인 절차 해소**
– 소년소녀가정 전세임대 신청을 지방자치단체장이 아닌 LH가 직접 처리하도록 관련 과정을 개선했습니다.

### 유스타트 프로그램의 배경과 방향성
‘유스타트’는 사회 초년생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립하고 주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2019년부터 시작된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 8월까지 9131명의 청년에게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그간 복잡한 신청 절차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지원에서 소외돼왔습니다.

이번 개편은 단순히 주거를 공급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가정 밖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을 동일한 자립지원 대상으로 보고, 동일한 조건의 혜택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정부의 의지와 향후 계획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은 “가정 밖 청소년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 시스템을 더욱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협력해 청소년들의 건강한 자립을 돕는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정부는 관련 법령 정비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가정 밖 청소년을 포함한 소외계층 청년들에게 보다 나은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 문의 및 상담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02-2100-6281

**출처:** 대한민국 정책뉴스 (www.korea.kr)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시작…어린이·임신부·어르신 무료
발행일: 2025-09-22 06:20

원문보기
질병관리청이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을 2024년 9월 22일부터 2025년 4월 30일까지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예방접종 프로그램은 접종 대상군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작됩니다.

### 접종 일정
– **9월 22일**: 2회 접종 대상 어린이부터 시작
– 생후 6개월~9세 중 인플루엔자 접종이 처음인 경우 또는 이전에 1회만 맞은 경우 해당
– **9월 29일**: 1회 접종 대상 어린이 및 임신부 접종
– **10월부터 순차적 시행**:
– 75세 이상: 10월 15일
– 70~74세: 10월 20일
– 65~69세: 10월 22일

### 접종의 중요성
영유아 및 초등학생 등 단체생활을 주로 하는 어린이는 인플루엔자에 더 취약하여,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접종이 특히 강조됩니다. 임신부도 예방접종을 통해 본인뿐만 아니라 출생 후 태아에게 면역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 접종 방법 및 유의사항
– **위치**: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
– **사전 확인**: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nip.kdca.go.kr)에서 가까운 의료기관 확인
– **지참 서류**:
– 어린이: 주민등록등본 또는 국민건강보험증
– 임신부: 산모 수첩 등 신분 확인이 가능한 문서
– **이상 반응 관찰**: 접종 후 20~30분 동안 병원에 머물러 반응을 확인한 뒤 귀가

###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의 당부
임승관 청장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효과는 접종 후 2주 뒤에 나타나므로, 고위험군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이 유행 이전에 접종받을 수 있도록 보호자와 가족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 문의처
–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관리과: 043-719-8365

올겨울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예방접종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민간 앱에서도 ‘면허 벌점 조회’, ‘어린이박물관’ 예약 가능
발행일: 2025-09-22 05:32

원문보기
### 공공서비스 민간 앱 개방: 운전면허 벌점 조회 및 어린이박물관 예약

행정안전부는 운전면허 벌점 조회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예약 서비스를 민간 앱으로 확대해 국민 편의성을 높인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이제 관련 공공서비스를 보다 간편하게 다양한 민간 앱에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운전면허 벌점 조회**

기존에는 경찰청 교통민원24 누리집·앱에서만 제공되던 ‘운전면허 벌점 조회’ 서비스가 **KB스타뱅킹**과 **티맵 앱**으로도 확장됩니다.

1. **KB스타뱅킹**
– [이용 방법] ‘국민지갑’ → ‘내차등록증’ → ‘운전면허 벌점 조회’ 선택
– 벌점 조회 후 **벌점감경교육 예약** 서비스도 사용 가능

2. **티맵**
– [이용 방법] 전체 서비스 화면 또는 카라이프 화면 상단에서 ‘벌점 조회’ 선택

이번 개방으로 운전자들이 교통법규를 준수할 경각심을 가질 뿐 아니라 면허 정지나 취소 처분 건수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로, 지난해 운전면허 벌점으로 인해 면허 정지 및 취소된 건수는 35만 건에 달했습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관람 예약**

어린이박물관은 연간 최대 50만 명이 이용하는 인기 있는 공간으로, 관람 예약이 필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서만 예약 가능한 불편이 지적되었습니다.

오는 **29일부터 IBK기업은행 앱 ‘i-ONE뱅크’**를 통해서도 예약이 가능하며, 특히 **회원가입 없이 비회원으로도 예약이 가능**한 점이 편리함을 더합니다.

1. **i-ONE뱅크**
– [이용 방법] ‘공공+’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선택 후 간편 예약
– 회원가입 없이 간단하게 이용 가능

이처럼 예약 경로가 다양화됨에 따라 이용객들이 더 편리하게 어린이박물관을 방문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 **디지털 서비스 개방 확대와 기대 효과**

정부와 민간 간 협력으로 국민들이 민간 앱에서 공공서비스를 더 간소화된 절차로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임정규 공공서비스국장은 “국민들이 더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디지털서비스 개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서비스 이용 문의**
– 총괄 문의처: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혁신과 (044-205-2724)

이번 조치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국민 누구나 공공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로 평가됩니다.

‘숨어있는 체불’ 선제적 청산…재직자 익명제보 근로감독 착수
발행일: 2025-09-22 04:52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재직자 임금체불 해결을 위한 익명제보 근로감독 확대

고용노동부는 재직자들이 신고하기 어려운 ‘숨어있는 체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직자 익명제보 사업장 근로감독**을 11월 22일부터 두 달간 실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감독은 지난해 처음 도입된 방식으로, 노동관계법 위반 사항 중 특히 익명성이 요구되는 임금체불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 익명제보 감독의 배경과 운영 현황

기존 취약한 신고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익명제보 감독은 실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시행된 감독에서는 **500여 개 사업장에서 익명 제보**가 접수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임금 정기일 미지급**: 62.9%
– **포괄임금 오·남용, 연장근로·휴가·휴일수당 미지급**: 25.7%
– **총 임금체불 관련 사항**: 88.6%

고용노동부는 합리적 검토를 통해 폐업한 사업장이나 제보 내용이 불명확한 경우를 제외, 임금체불이 확인된 사업장을 중심으로 감독에 나설 방침입니다. 올해 감독 대상은 전년의 151곳에서 **250곳으로 확대**됩니다.

### 추가 대책 및 지속 가능성 검토

추가적으로 고용노동부는 10월 1일부터 4주간 한시적으로 **익명 제보센터**를 다시 운영하며, 내년부터는 **상시 운영 방안**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이로써 재직자들이 언제라도 체불 문제를 신고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노동부의 의지와 목표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임금체불은 단순한 위법을 넘어 가족 전체의 생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범죄”라며, 재직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임금체불 노동자를 줄이기 위해 철저한 감독과 제도 개선을 약속했습니다.

### 노동자의 목소리에 대응하는 정부의 노력

정부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 현장의 목소리 기반으로 체불 문제를 해결하고, 익명성을 보장받는 신고 창구를 상시화하여 노동자 권익 보호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이번 감독이 보다 많은 노동자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

**문의:**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기획과 044-202-7531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온·오프 신청 개시…26일까지 요일제 운영
발행일: 2025-09-22 04:51

원문보기
## 행정안전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신청 개시

행정안전부는 9월 22일 오전 9시부터 10월 31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소비쿠폰은 소득 하위 90% 국민을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 신청 방식 및 절차
#### **요일제 운영**
신청 첫 주인 9월 22일부터 26일까지는 시스템 과부하와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출생연도 끝자리에 기반한 요일제를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출생연도 끝자리가 ‘2’인 경우 화요일에 신청 가능합니다.

#### **지급 방식**
신청자는 아래 방식 중 원하는 지급 수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신용·체크카드**: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또는 연계 은행 영업점에서 신청 시 다음 날 지급.
– **선불카드**: 주민센터 방문 시 신분증만 제시하면 즉시 발급.
– **지역사랑상품권**: 모바일 또는 카드형은 관할 지자체 누리집·앱을 통해 신청, 다음 날 지급.

#### **군 장병의 경우**
군 복무 중인 장병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아닌 복무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복무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선불카드를 지급받게 됩니다.

### 사용 기한 및 사용처 제한
소비쿠폰의 사용 기한은 **2023년 11월 30일까지**며, 사용 가능한 장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용·체크카드/선불카드**: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업종.
– **지역사랑상품권**: 해당 지자체 내 가맹점.

특히 일부 읍·면 지역의 하나로마트, 로컬푸드 직매장 등 소비 접근성이 제한된 곳은 매출액 기준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이의신청 및 문의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 대한 이의가 있다면 **국민신문고 누리집(www.epeople.go.kr)**이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 역시 첫 주에는 요일제를 적용하며, 심사 결과는 개별 통보됩니다.

#### **추가 문의처**
– **정부민원안내콜센터**: 110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담 콜센터**: 1670-2525
– **건강보험 관련 문의**: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
– **재산세 및 금융소득 문의**: 관할 지방자치단체 세무부서 및 세무서

행안부 윤호중 장관은 “소비쿠폰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사용처를 확대해 국민 편의를 도모했다”며 “10월 31일까지 신청하고, 11월 30일까지 사용해 민생 회복에 기여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관련 참고 자료 및 문의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 재정정책과:** 044-205-6060
**디지털정부혁신실 디지털정부기획과:** 044-205-2710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