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내년 ‘농어촌 기본소득 보장’ 시범사업 첫 시행…월 15만 원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농어촌 소멸위기와 지역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부터 2027년까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시행됩니다.
대상 지역 주민에게 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이 지급되며, 이는 주민의 공익적 기여를 보상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총평 농어촌 시범사업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고 지역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책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o address the risk of rural depopulation and regional disparities, a pilot project for basic income in rural areas will be implemented from next year until 2027.
Residents of target areas will receive 150,000 KRW per month in local vouchers, rewarding their community contributions and aiming to rejuvenate the regional economy.
Summary This project ensures fundamental support for rural residents and sets the stage for sustainable regional and economic revitalization.
日本語 地域格差の解消と農村の人口減少問題を解決するため、来年から2027年までの農村基本所得の試験事業が実施されます。
対象地域の住民には月額15万ウォン相当の地域商品券が支給され、地域経済活性化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試験事業は厳しい条件の中でも地域社会を支えてきた住民の生活を保障し、地域発展を促進する重要な政策となるでしょう。
中文 为解决农村人口减少和地区差距加剧的问题,从明年到2027年将实施农村基本收入试点项目。
目标地区居民每月将获得15万韩元的地区爱心商品券,旨在表彰社区贡献并促进地区经济活力。
总评 此政策旨在确保农村居民的基本生活,与地区经济复苏相辅相成,具有长远积极影响。
Italiano Per affrontare il rischio di spopolamento rurale e le disparità regionali, verrà implementato un progetto pilota di reddito di base nelle aree rurali dal prossimo anno fino al 2027.
Ai residenti delle aree designate saranno concessi 150.000 KRW al mese in buoni locali, ricompensando il loro contributo alla comunità e stimolando l’economia regionale.
Valutazione Questo progetto fornisce un supporto essenziale ai residenti rurali e rappresenta una misura concreta per rivitalizzare l’economia locale.
금융이력 부족해도 신용평가 가능…혁신금융서비스 57건 지정
요약보기
한국어 금융위원회는 오늘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신용평가 서비스를 포함하는 57건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새로 지정했습니다.
이를 통해 금융이력이 부족한 청년 및 주부 등이 통신정보 등을 활용해 신용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외국인을 위한 국내주식 거래 서비스, 증권 담보대환 서비스 등도 지정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금융의 문턱을 낮추고 다양한 계층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금융 포용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전망입니다.
English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nounced the designation of 57 new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including credit evaluation services using non-financial information, toda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xpand credit assessment opportunities for groups like young people and homemakers who lack financial history by utilizing telecommunication data.
Additionally, services for foreign investors and collateral loan switching were also introduced.
Summary This initiative broadens access to financial services, fostering inclusivity and enabling more individuals to participate in the financial system effectively.
日本語 金融委員会は本日、非金融情報を活用した信用評価サービスを含む57件の革新的な金融サービスを新規指定しました。
これによって、若者や主婦など金融履歴が不足している人々が通信情報を利用して信用評価を受ける機会が広が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さらに、外国人を対象とした国内株式取引サービスや証券担保貸付の借り換えサービスも指定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措置は金融の敷居を低くし、多様な層に新たなチャンスを提供することで、金融包摂性と効率性を高め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金融委员会今日宣布指定包括基于非金融信息的信用评估服务在内的57项创新金融服务。
通过此举,预计可扩大金融履历不足的青年及主妇等群体通过通信信息获得信用评估的机会。
此外,还新增了为外国投资者提供国内股票交易服务及证券质押贷款转换等服务。
总评 此政策降低了金融门槛,预计将同时提升金融服务的包容性和效率,为更多人群带来实际便利。
Italiano Oggi la Commissione dei Servizi Finanziari ha annunciato la designazione di 57 nuovi servizi finanziari innovativi, tra cui il servizio di valutazione del credito basato su informazioni non finanziarie.
Questa iniziativa mira ad ampliare le opportunità di valutazione del credito per gruppi come giovani e casalinghe con una storia finanziaria limitata utilizzando dati delle telecomunicazioni.
Sono stati introdotti anche servizi per investitori stranieri e per il trasferimento di prestiti garantiti da titoli.
Valutazione Questa misura abbassa le barriere al credito, promuovendo l’inclusione finanziaria e migliorando l’accesso a servizi più equi ed efficienti.
청년 스타트업 만난 이 대통령 “실패하더라도 차별받지 않도록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이 청년 스타트업과의 토크 콘서트에서 재도전 펀드 1조 원 조성과 창업자 지원 정책을 약속하며 혁신 국가로의 도약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창업자들이 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와 40조 원 규모의 벤처 투자 실현을 약속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스타트업 창업자들에게 재도약의 기회를 제공하고, 기술 혁신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promised to create a ₩1 trillion Restart Fund and emphasized the nation’s progress toward becoming an innovation-driven startup country during a talk concert with young entrepreneurs.
He also pledged to establish one-stop services and realize a ₩40 trillion venture investment market to enable entrepreneurs to focus solely on technology development.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offer a fresh start for struggling entrepreneurs and foster an environment conduciv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若手スタートアップとのトークコンサートで、1兆ウォン規模の再挑戦基金を設立し、革新国家への飛躍を約束しました。
さらに、創業者が技術開発に専念できるようワンストップサービスと40兆ウォン規模のベンチャー投資市場の実現を誓い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起業家たちに新しい挑戦の機会を提供し、技術革新を促す環境の整備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与青年创业者的座谈会上承诺设立1万亿韩元的再挑战基金,并强调将推动韩国成为创新驱动的创业国家。
他还表示将提供一站式服务,并实现4万亿韩元的风险投资市场,以便创业者专注于技术开发。
总评 该政策有望为创业者提供新的机会,同时构建有利于技术创新的环境。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promesso di istituire un Fondo Restart da 1 trilione di won e ha sottolineato il progresso del paese verso un’economia basata sull’innovazione durante un incontro con giovani startup.
Ha inoltre garantito servizi one-stop e la realizzazione di un mercato di investimento venture da 40 trilioni di won per permettere agli imprenditori di concentrarsi sullo sviluppo tecnologico.
Valutazione Questa politica dovrebbe offrire nuove opportunità agli imprenditori e promuovere un ambiente favorevole all’innovazione tecnologica.
취업사기·감금 증가…외교부, 캄보디아 프놈펜 ‘여행자제’ 경보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의 취업사기 및 감금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 지역에 여행경보 2단계와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해당 지역으로는 수도 프놈펜, 시하누크빌주, 캄폿주 보코산, 바벳시 등이 포함되며, 국민들에게 방문 취소 또는 일정 연기를 당부했습니다.
총평 이번 경보는 증가하는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해당 지역 방문이나 체류는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issued a Level 2 Travel Warning and Special Travel Advisory for certain areas in Cambodia due to increasing cases of job scams and detentions involving Korean citizens.
Affected areas include Phnom Penh, Sihanoukville Province, Bokor Mountain in Kampot Province, and Bavet City near the Cambodia-Vietnam border, with citizens advised to cancel or postpone travel plans.
Summary This travel advisor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afety precautions for citizens, urging careful consideration before visiting these areas.
日本語 外交部は、カンボジアで韓国国民の就業詐欺や監禁被害が増加していることから、一部地域に旅行警報2段階および特別旅行注意報を発令しました。
対象地域にはプノンペン市、シアヌークビル州、カンポット州ボコ山、バベット市などが含まれ、旅行の中止や日程の調整を要請しました。
総評 この警報は被害増加を防ぎ国民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措置で、該当地域への訪問や滞在は慎重に検討すべきです。
中文 外交部因韩国国民在柬埔寨陷入就业诈骗及拘禁案件增多,已对部分地区发布二级旅行警报和特别旅行警示。
相关地区包括金边、西哈努克省、贡布省波哥山以及柬越边境的巴威市,建议国民取消或推迟旅行计划。
总评 此旅行警告旨在预防事故并保障国民安全,计划前往有关地区时需格外慎重。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emesso un Avviso di Viaggio di Livello 2 e un Avviso di Viaggio Speciale per alcune aree della Cambogia a causa dell’aumento di truffe lavorative e detenzioni che coinvolgono cittadini coreani.
Le aree interessate includono Phnom Penh, la provincia di Sihanoukville, la montagna Bokor nella provincia di Kampot e la città di Bavet vicino al confine con il Vietnam, invitando i cittadini a cancellare o posticipare i viaggi.
Valutazione Questo avviso sottolinea l’importanza di prestare attenzione alla sicurezza e di evitare le aree a rischio.
국민주권정부 ‘국방개혁 기본계획’ 수립 착수…스마트강군 육성
요약보기
한국어 국방부가 국민주권정부의 국방개혁 기본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으며, 올해 말까지 심층 토의와 자문을 거쳐 내년 중순까지 계획을 완성할 예정입니다.
이번 개혁은 인공지능과 첨단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군 구조 개편, 국방운영체제 발전, 병영문화 개선 등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총평 스마트 강군 육성 및 병영문화 개선은 더 효율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국방환경을 구축하며 시민 체감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officially initiated the creation of a basic plan for defense reform under the People’s Sovereignty Government, aiming for completion by mid-next year.
The reform includes restructuring military frameworks, advancing defense operating systems, and improving military culture with AI and cutting-edge technology as its core.
Summary The focus on smart military development and cultural improvements is expected to enhance efficiency and align defense strategies with future needs while ensuring citizen satisfaction.
日本語 国防部は国民主権政府の国防改革基本計画の策定に本格的に着手し、今年末までに深層討議や諮問を経て来年中旬までの完成を目指しています。
改革はAIと先端科学技術を基盤とし、軍構造の改革、国防運営システムの発展、兵営文化の改善を含んでいます。
総評 スマート軍育成と文化改善により、効率的で未来志向の国防環境が構築され、国民の共感が高まるでしょう。
中文 国防部正式启动国民主权政府的国防改革基本规划制定工作,计划于明年中完成。
改革内容包括以人工智能和尖端科学技术为基础,推进军事结构调整、国防运营体系发展以及改善兵营文化等领域。
总评 智能强军的目标以及兵营文化的改善有望带来更高效、更贴近民众满意度的国防战略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la Difesa ha avviato ufficialmente la formulazione del piano di riforma della difesa per il governo della sovranità popolare, con obiettivo di completamento entro metà del prossimo anno.
La riforma include la riorganizzazione delle strutture militari, l’avanzamento dei sistemi di gestione della difesa e il miglioramento della cultura della caserma, basandosi su tecnologie avanzate e AI.
Valutazione L’adozione di una forza intelligente e il miglioramento della cultura militare possono creare un ambiente di difesa più efficiente e in linea con le esigenze future, aumentando il consenso dei cittadini.
입양정책위원회 공식 출범…공적 입양체계 본격 가동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국내입양 활성화를 위한 입양정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아동권리보장원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위원회는 입양정책 수립, 예비 양부모 교육과정 기준 선정 등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며, 입양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총평 이번 위원회는 입양 절차를 체계적으로 개선하고, 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established the Adoption Policy Committee to promote domestic adoption and held its first meeting at the Korea Child Protection Agency.
The committee will deliberate on major adoption-related policies, including setting standards for prospective adoptive parents’ training, and aims to enhance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adoption procedures.
Summary This committee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in improving adoption processes and ensuring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日本語 保健福祉部は国内養子縁組を促進するための養子縁組政策委員会を設立し、児童権利保障院で第1回会議を開催しました。
委員会は養子縁組政策の策定や養親教育課程の基準選定などを審議し、養子縁組手続きの公正性・透明性を強化する役割を担います。
総評 この委員会は養子縁組手続きの改善と子供の最善の利益を保障する重要な役割を果たす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保健福利部为促进国内收养设立了收养政策委员会,并在儿童权益保障院召开了第一次会议。
委员会负责审议包括制定准收养父母培训标准等在内的主要政策,同时致力于加强收养手续的公平性和透明度。
总评 这一委员会将在规范收养流程和维护儿童最佳利益方面发挥重要作用。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istituito il Comitato per le politiche di adozione per promuovere l’adozione nazionale e ha tenuto la sua prima riunione presso l’Agenzia per la protezione dei bambini in Corea.
Il comitato delibererà su politiche principali relative all’adozione, come la definizione di standard per la formazione dei futuri genitori adottivi, e mira a rafforzare l’equità e la trasparenza nel processo di adozione.
Valutazione Questo comitato giocherà un ruolo cruciale nel migliorare i processi di adozione e garantire il massimo beneficio per i bambini.
광복 80년 ‘평화통일마라톤’ 열린다…민통선 달려볼 기회
요약보기
한국어 통일부는 11월 16일 경기도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2025 평화통일마라톤’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마라톤은 광복 80년을 기념하며 하프코스, 8.15㎞ 코스, 5㎞ 코스를 포함한 다양한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염원을 강조합니다.
대회 당일에는 마라톤 외에도 다양한 체험 및 문화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총평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한 마라톤은 참가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고, 개인의 평화와 통일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ill host the “2025 Peace Unification Marathon” on November 16 at Imjingak Peace Nuri in Paju, Gyeonggi Province.
The marathon commemorates the 8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and offers various routes, including a half-course, 8.15km course, and 5km course, emphasizing hopes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ultural programs and exhibitions will accompany the marathon event.
Summary This marathon themed around Korean Peninsula peace could provide participants with a memorable experience while raising awareness of peace and reunification.
日本語 統一部は11月16日、京畿道坡州市臨津閣平和ヌリで「2025平和統一マラソン」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マラソンは光復80周年を記念し、ハーフコース、8.15kmコース、5kmコースなど多様な区間の中で韓半島の平和と統一への願いを表します。
当日はマラソンのほかに多様な体験および文化プログラムが運営されます。
総評 平和をテーマとしたこのマラソンは、参加者に忘れられない体験を提供し、韓半島統一や平和に対する関心を深めるきっかけになるでしょう。
中文 统一部宣布将在11月16日于京畿道坡州市临津阁和平广场举办“2025和平统一马拉松”。
该马拉松纪念光复80周年,设有半程马拉松、8.15公里和5公里线路,以弘扬韩半岛和平与统一的愿望。
活动当天将有马拉松比赛和丰富的文化体验活动。
总评 此马拉松活动通过和平主题为参与者带来难忘体验,同时提升对韩半岛和平与统一的关注度。
Italiano Il Ministero dell’Unificazione ospiterà la “Maratona per la Pace 2025” il 16 novembre presso Imjingak Peace Nuri a Paju, nella provincia di Gyeonggi.
La maratona celebra l’80° anniversario della liberazione della Corea e offre diversi percorsi, tra cui il percorso di mezza maratona, un percorso di 8,15 km e uno di 5 km, con l’obiettivo di promuovere speranze per la pace e l’unificazione della penisola coreana.
La giornata includerà anche programmi culturali ed esperienze interattive.
Valutazione Questa maratona, con il tema della pace, potrebbe fornire un’esperienza unica ai partecipanti, sensibilizzando al contempo l’importanza di pace e unificazione.
AI 기반 재난·안전정보 통합 맞춤 제공…’국민안전24′ 개통 예정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재난·안전정보 제공 창구를 통합하여 ‘국민안전24’ 서비스를 올해 안에 개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재난 관련 정보 제공 플랫폼 5종을 하나의 포털과 앱으로 통합하고, 위치 기반 맞춤형 정보와 행동 요령까지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특히 AI와 멀티모달 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기능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총평 재난 정보를 보다 개인화된 방식으로 제공해 급변하는 재난 상황에서도 국민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e launch of “Kookmin Safety 24,” an AI-based unifi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service, by the end of the year.
This service will merge five existing platforms into a single website and app, offering location-based customized information on disasters, shelters, and safety guidelines.
Additionally, new features such as AI-driven chatbots and multimodal data applications will enhance user convenience.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provide personalized disaster information, giving citizens practical tools to respond swiftly in emergencie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今年中に、AIを活用した災害・安全情報統合サービス「国民安全24」を発表しました。
従来の5種類の災害関連プラットフォームを統合し、位置情報を基にした安全情報や避難所情報、行動指針を提供します。
さらに、AIとマルチモーダルデータ技術を利用したチャットボット機能がユーザーの利便性を向上させます。
総評 個別化された災害情報の提供により、急激に変化する災害状況への的確な対応が可能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宣布将在今年年底推出“国民安全24”,这是一项基于人工智能的统一灾害和安全信息服务。
此服务将整合五个平台为一个网站和应用程序,提供基于位置的定制化灾害和避难信息,并提供行动指南。
此外,AI驱动的聊天机器人和多模态数据技术功能将提升用户便利性。
总评 此政策有望通过个性化灾害信息提供,提高公民在应对紧急情况时的及时性和准确性。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il lancio di “Sicurezza Nazionale 24,” un servizio unificato basato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entro la fine dell’anno.
Questo servizio unirà cinque piattaforme esistenti in un unico sito web e app, offrendo informazioni personalizzate basate sulla posizione su disastri, rifugi e linee guida di sicurezza.
Inoltre, funzioni come chatbot basati su AI e tecnologie di dati multimodali miglioreranno ulteriormente la praticità per gli uten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irà un supporto pratico per affrontare le emergenze grazie a informazioni personalizzate e accessibili in tempo reale.
중앙부처·지자체 재난안전 역량 강화한다…인력 확충·보상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재난·안전 담당 공무원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수당 인상, 승진 기회 확대, 징계 면제 특례 등을 포함한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재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24시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일선 공무원 인력도 추가 배치할 계획입니다.
총평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인센티브를 확대함으로써 재난·안전 업무의 전문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정책으로 평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disaster and safety officials, including increased allowances, enhanced promotion opportunities, and disciplinary exemption clauses.
Plans also include establishing a 24-hour management system and deploying additional personnel to local disaster response team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sustainability of disaster and safety operations by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offering incentives to dedicated officials.
日本語 政府は災害・安全担当職員の業務環境改善を目的に、手当引き上げ、昇進機会拡大、懲戒免責特例などを盛り込んだ方策を発表しました。
また、災害対応能力を強化するために24時間管理体制を構築し、地域の人員も追加配置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劣悪な業務環境を改善し、インセンティブを拡充することで災害・安全業務の専門性向上と持続可能性を高めると期待できます。
中文 政府宣布将提高灾害和安全工作人员的工作条件,包括增加津贴、拓宽晋升机会以及设立免受行政处分的例外规则。
计划还包括建立24小时管理体系并为地方灾害应对团队增加人员编制。
总评 通过改善工作条件和提供激励机制,该政策有望提升灾害和安全工作的专业性与可持续性。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misure per migliorare le condizioni di lavoro dei funzionari di gestione delle emergenze e sicurezza, tra cui l’aumento delle indennità, maggiori opportunità di promozione e clausole di esenzione disciplinare.
I piani includono anche la creazione di un sistema di gestione 24 ore su 24 e l’assegnazione di personale aggiuntivo alle squadre di risposta locale alle emergenz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romette di migliorare la professionalità e la sostenibilità delle operazioni di emergenza e sicurezza attraverso condizioni di lavoro migliori e incentivi mirati.
‘세계로 향하는 실용외교’…국익 중심 5대 국정과제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중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주변 4국과의 관계 증진, 경제외교 강화,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진전 등입니다.
또한 재외국민 보호망과 동포 지원을 강화하며 국제적 외교 역량 확대를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한국의 외교적 위상을 높이고, 국민의 안전과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plans to promote pragmatic diplomacy centered on national interests under the Yoon government.
Main initiatives include enhancing relations with four neighboring countries, strengthening economic diplomacy,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pursu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dditionally, the government aims to enhance overseas citizen protection and diaspora support while expanding its global diplomatic presence.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levate South Korea’s diplomatic stature and secure both national safety and economic advantages.
日本語 外務省は李在明(イ・ジェミョン)政府の国政課題の一環として、国益を中心にした実用外交を推進する方針です。
主な内容には、周辺4カ国との関係強化、経済外交の強化、北核問題の解決と平和体制の進展が含まれます。
また、在外国民の保護や海外同胞支援を強化し、国際的な外交力を拡大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により韓国の外交的地位の向上や国民の安全、経済的利益の増進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外交部计划在李在明政府框架下,推动以国家利益为中心的实用外交。
主要内容包括深化与四大周边国家关系、强化经济外交、解决朝核问题并推进半岛和平建设。
此外,政府计划加强海外公民的保护工作及侨胞支持,同时提升全球外交影响力。
总评 这一政策有望提升韩国的外交地位,同时保障国家安全并促进经济利益。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prevede di promuovere una diplomazia pragmatica incentrata sugli interessi nazionali sotto il governo Lee Jae-myung.
I punti principali includono il rafforzamento delle relazioni con i quattro paesi vicini, il potenziamento della diplomazia economica, la soluzione della questione nucleare nordcoreana e il raggiungimento della pace nella penisola coreana.
Inoltre, il governo intende migliorare la protezione dei cittadini all’estero e il supporto alla diaspora, espandendo la sua influenza diplomatica global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rafforzare il ruolo della Corea del Sud sulla scena internazionale e favorire sia la sicurezza che i benefici economici nazionali.
‘서울대 10개 만들기 실현’…거점국립대 집중 육성 등 지역교육 혁신
요약보기
한국어 교육부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목표로 지역 거점국립대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을 추진합니다.
또한, 초·중·고 AI 교육 확대, 3~5세 유아 무상보육 실시,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 등 다양한 교육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총평 이 정책들은 지역 불균형 해소와 미래 인재 양성에 기여하며,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plans to strategically invest in regional national universities under its “10 Seoul National Universities” initiative.
It also announced policies to expand AI education in schools, implement free childcare for children aged 3–5, and enhance school safety measures.
Summary These initiatives aim to reduce regional disparities and nurture future talent, providing significant benefits for students and families.
日本語 教育部は「ソウル大10校育成」目標の下、地域拠点国立大に戦略的に投資し、体系的に育成する計画です。
さらに、小中高校でのAI教育拡大や、3~5歳児の無償保育実施、安全な学校環境の整備など、様々な教育政策を発表しました。
総評 これらの施策は地域間の不均衡是正と未来人材の育成に役立ち、保護者や学生に実質的な負担軽減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教育部计划通过“打造10所首尔大学”的目标,对地方国立大学进行战略投资和系统化培养。
此外,还发布了扩大中小学AI教育、为3至5岁儿童提供免费保育、加强学校安全环境等多项教育政策。
总评 这些政策有望缓解地区发展不均,培养未来人才,同时减轻家庭和学生的教育负担。
Italiano Il Ministero dell’Istruzione intende investire strategicamente nelle università nazionali regionali attraverso l’obiettivo “Costruire 10 Università di Seoul”.
Ha inoltre annunciato politiche per ampliare l’educazione all’AI nelle scuole, implementare l’asilo gratuito per i bambini dai 3 ai 5 anni e migliorare la sicurezza nelle scuole.
Valutazione Queste misure mirano a ridurre le disparità regionali e favorire la formazione di nuovi talenti, portando benefici concreti a studenti e famiglie.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 79만 명 몰려…수도권 비중 55%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5일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 79만 명이 신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카드 소비액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용처는 읍·면 지역과 로컬푸드직매장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은행 안내망도 강화됐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지역 경제 지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환급 혜택을 통해 지출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that 790,000 people applied for the Sangsaeng Payback program on its first day of registration (September 15).
This initiative provides a reimbursement of up to 20% of increased credit card spending, in the form of digital gift vouchers, to support traditional markets and small businesses.
Usage locations have been expanded to rural areas and local food direct outlets, along with enhanced application support for digitally underserved groups.
Summary This program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and easing the financial burden on consumers while boosting local economie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15日に上生ペイバック受付初日で79万人が申し込んだと発表しました。
上生ペイバックは、カード消費額の増加分の20%をデジタル商品券で還元し、伝統市場と小規模事業者を支援する事業です。
使用場所は田舎地域やローカルフード直売所などに拡大され、デジタルに不慣れな層にも申請サポートが強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伝統市場の活性化と地域経済の支援に貢献し、消費者には還元制度で生活負担を軽減する助けになります。
中文 中小企业与初创公司部宣布,在9月15日“共生回馈”计划开放申请首日,有79万人报名。
该计划通过返还信用卡消费增加额20%的数字商品券,支持传统市场和小商户。
使用场所扩大到农村地区和当地食品直销点,同时加强了对数字弱势群体的申请支持。
总评 此计划不仅促进了传统市场的活力,也为消费者减轻了经济负担,并推动了地方经济的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Start-up ha annunciato che 790.000 persone hanno fatto domanda per il programma Sangsaeng Payback il primo giorno di registrazione (15 settembre).
Questo programma offre un rimborso fino al 20% dell’incremento della spesa con carta di credito sotto forma di buoni digitali per sostenere i mercati tradizionali e le piccole imprese.
Le località di utilizzo sono state ampliate alle aree rurali e ai negozi di alimenti locali e l’assistenza sulle domande è stata rinforzata per chi ha meno accesso digitale.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potrebbe dare un importante contributo alla rivitalizzazione dei mercati tradizionali, alleggerendo i costi per i consumatori e favorendo l’economia locale.
“20년 만의 K-APEC 전 세계에 글로벌 리더십 확인시킬 기회”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이는 한국이 APEC 의장국을 맡는 20년 만의 중요한 행사입니다.
정부는 지속가능한 내일을 주제로 경제협력을 활성화하고 AI와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핵심 의제로 삼고자 합니다.
총평 이번 정상회의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글로벌 리더십 증진을 통해 국민들에게도 긍정적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2025 APEC Summit will be held in Gyeongju, marking South Korea’s role as APEC Chair after 20 years.
The government plans to focus on fostering economic cooperation under the theme of sustainable future, highlighting AI and demographic shifts as key agenda items.
Summary This summit is expected to boost regional economies and elevate South Korea’s global leadership, bringing tangible benefits to its citizens.
日本語 2025年のAPEC首脳会議が慶州で開催され、韓国が20年ぶりにAPECの議長国を務めます。
政府は「持続可能な未来」をテーマに経済協力を促進し、AIと人口構造の変化への対応を主要議題に掲げています。
総評 この首脳会議は地域経済の活性化だけでなく、韓国の国際的なリーダーシップを向上させ、市民にも経済的利点をもたらすでしょう。
中文 2025年APEC峰会将在庆州举行,这是韩国时隔20年再次担任APEC主席国。
政府计划以“可持续的未来”为主题,推动经济合作,将人工智能和人口结构变化作为核心议题。
总评 此次峰会有望带动地区经济发展,同时提升韩国在全球的领导地位,为民众带来切实经济成效。
Italiano Il vertice APEC 2025 si terrà a Gyeongju, segnando il ruolo della Corea del Sud come presidente APEC dopo 20 anni.
Il governo intende promuovere la cooperazione economica con il tema di un futuro sostenibile e sviluppare strategie su AI e cambiamenti demografici.
Valutazione Questo summit potrebbe dare un impulso positivo all’economia regionale e rafforzare la leadership globale della Corea, con benefici tangibili per i cittadini.
요약
원문보기
**요약: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시행**
내년부터 2027년까지 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주민에게 지급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소멸 위험이 큰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균형발전 및 지역 활력 회복을 목표로 이 사업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
– **지원 대상:** 지방분권균형발전법에 따라 지정된 인구감소지역 69개 군 중 선정된 6개 군 내외.
– **혜택:** 선정된 지역 주민들에게 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 지급.
– **목적:** 농어촌 소멸 위기 극복, 지역 간 격차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 **정책 효과:** 주민 만족도, 지역경제 활성화, 인구 구조 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본사업 방향 검토.
– **사업 신청 기간:** 8월 29일부터 9월 13일까지 접수 후, 9월 중순 최종 군 선정 예정.
– **문의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국 농촌정책과(044-201-1516).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 사업이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을 뒷받침하고, 농산어촌에 희망을 실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습니다.
공모와 세부 내용은 농식품부 누리집(www.maf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금융 당국이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혁신금융서비스를 새롭게 지정하며, 청년과 주부 등 금융이력이 부족한 계층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망입니다. 이를 통해 금융소외 계층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도 보다 편리하고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정리:
1. **비금융정보 기반 신용평가 서비스**:
– 통신정보 등 비금융정보를 활용하여 청년, 주부 등 금융이력이 부족한 계층도 신용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이는 금융 이용에 제약을 해소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확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외국인 통합계좌 활용 서비스**:
– 외국 금융투자업자가 통합계좌를 개설하고 비거주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을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3. **증권 담보대출 대환대출 서비스**:
– NH투자증권의 대환대출 서비스는 증권 담보대출 이용자들이 다른 증권사로 갈아탈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며, 금리 조건 등 더 유리한 금융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4. **그룹사 간 보이스피싱 공동대응 서비스**:
– 신한금융그룹 내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해 보이스피싱 의심 거래를 탐지하고 금융지주사 내 자회사 간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5.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 서비스 규제 개선**:
– 기존에 규제 특례로 진행되던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 서비스가 앞으로는 별도 규제 없이도 일반 시장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예정되었습니다.
### 시사점:
금융위원회의 이번 발표는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한 금융 혁신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금융 분야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신용평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국내 거래 서비스 확대는 금융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융 시장의 디지털화와 서비스 다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이러한 혁신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9월 17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서 열린 ‘청년 창업 상상콘서트’에 참석해 청년 스타트업 대표들과 소통하며, 대한민국이 창업과 혁신의 선도 국가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그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업 환경 조성을 위해 1조 원 규모의 재도전 펀드 조성과 같은 지원책을 약속했습니다.
청년의 날 맞이 특별 행사로 진행된 콘서트는 청년 창업자, 투자자, 유관 단체 대표 등 약 100명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나누는 자리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위대한 위기 극복의 DNA를 가진 대한민국이 위기를 기회로 바꿔 도약할 수 있다”며, 창업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규제와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뜻을 전했습니다.
현장의 청년 창업자들은 실무에서 겪는 어려움을 공유했습니다. 황현지 스모어톡 대표는 법률, 세무 등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고, 이세영 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글로벌 빅테크로 도약할 성장 지원책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창업자들이 기술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원스톱 지원 체계를 확립하겠다고 화답하며, 정부가 추진 중인 ’40조 원 벤처투자 시장’ 실현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행사 중 이 대통령은 스타트업 전시 부스를 방문해 최신 기술을 체험하며 창업자들과 직접 소통했습니다. 또한 투자설명대회(IR 피칭)에서는 일일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다양한 사업 아이디어에 대해 개선안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강훈식 비서실장, 김용범 정책실장,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주요 정부 관계자들이 함께해 청년 창업에 대한 높아진 관심과 지원 의지를 보여줬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청년들의 도전이 대한민국 미래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 믿으며,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원문보기
###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증가… 외교부 여행경보 상향 조치
최근 캄보디아 내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취업사기와 감금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외교부는 해당 지역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여행경보를 상향 조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경보는 2023년 10월 16일 오후 5시부로 발령되었습니다.
#### **여행경보 상향 대상 지역**
외교부는 피해가 주로 발생한 다음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를 발령했습니다:
1. **프놈펜시**: 여행경보 2단계(여행 자제) 적용.
2. **시하누크빌주**: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3. **캄폿주 보코산 지역**: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4. **바벳시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지역)**: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 **외교부의 권고 사항**
외교부는 우리 국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조치를 권고했습니다:
– **여행 취소 또는 연기**: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으로 방문 계획이 있는 경우, 여행을 취소하거나 연기할 것을 권장.
– **안전한 지역 이동**: 이미 해당 지역에 체류 중인 경우,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당부.
외교부는 이어 캄보디아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적인 여행경보 조정 필요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피해 사례와 대응**
이번 여행경보 상향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불법 스캠 센터 취업사기 및 강제 감금 문제의 지속적인 증가를 근거로 합니다. 외교부는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적극 대응하고 있으며, 사건 발생 시 즉각적인 구조와 보호 조치를 취할 방침입니다.
#### **문의**
관련 문의는 외교부 **재외국민보호과(02-2100-8206)**로 연락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캄보디아를 방문하거나 체류하는 국민들에게 안전 문제를 환기시키고, 피해 예방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조치로 평가됩니다.
원문보기
### 국방부, 첨단기술 중심의 스마트 강군 육성 위한 국방개혁 돌입
국방부는 2024년 6월 완성을 목표로 한 **국방개혁 기본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번 개혁은 **인공지능(AI)**과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스마트 강군 육성**에 중점을 두며, 미래형 군 구조 개편과 병영문화 개선 등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 주요 내용:
1. **국방개혁추진단 공식 출범**
–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착수보고 회의에서 이두희 국방부 차관이 주관.
– 회의에는 국방부 주요 실·국장,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 각 군 및 해병대 관계자, 국방연구기관(KIDA·국방대학교) 관계자 등이 참석.
– 국방개혁 기본 계획 수립에 필요한 방향성과 과제(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됨.
2. **국방 개혁의 필요성과 목표**
– 인구 감소, 변화하는 안보 환경, 기술 발전 등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
– **첨단과학기술 기반 군 구조 개편**, 국방운영체제 발전, 병영문화 개선 등을 통해 현재와 미래 군사 환경에 대비.
– 국방부는 개혁의 성과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도록 강조.
3. **향후 계획**
– 2024년 중순까지 국방개혁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
– 연말까지 심층 토의, 관계부처 협의 및 학계와 연구기관의 자문 절차를 진행할 예정.
– **월 단위 평가회의** 및 **주 단위 과제 토의**를 통해 구체적 실행 방안 수립.
– 국방의 전반적인 역량을 활용해 **국민이 공감하는 국방 성과** 창출 목표.
이두희 차관은 “이번 출범은 단순한 조직의 시작이 아니라, 미래 국방의 방향을 설계하는 첫 걸음”이라고 하며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국방개혁 성과 창출을 당부했다.
#### 참고 자료:
– 국방부 국방혁신기획관실 군구조혁신담당관 (02-748-6420)
___
위 내용은 국방부의 발표와 착수 과정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I와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 지향적 국방 환경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구체적 실행 방안 수립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보기
### 국내 입양 활성화를 위한 발걸음, ‘입양정책위원회’ 출범
보건복지부는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신설된 **입양정책위원회**의 제1차 회의를 17일 서울 중구 아동권리보장원에서 개최하며 새로운 입양정책 추진의 첫발을 내디뎠다. 이 위원회는 국내입양 활성화와 아동의 권익 보장을 위한 주요 정책 심의 및 의결을 담당한다.
#### **위원회의 구성 및 역할**
입양정책위원회는 보건복지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며, 아동복지 학계, 의료·법률 전문가, 실무 경험자 등 15명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위원 선정에는 법원행정처, 지방자치단체, 관련 기관·단체의 추천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중점적으로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1. **국내입양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시행**
2. **예비 양부모 교육과정 기준 및 내용 선정**
3. **입양 절차의 공정성 확보와 투명한 운영**
또한, 위원회는 개별 입양 절차를 심의하기 위해 학계, 법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2개의 분과위원회(국내입양분과, 국제입양분과)**를 별도로 운영한다. 각 분과는 예비 양부모 자격 심의, 아동과 양부모 간 결연 적합성 검토 등을 통해 결정 과정에서 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할 예정이다.
#### **첫 회의 및 주요 안건**
제1차 회의에서는 위원회의 운영 방안, 공적 입양체계 개편과 관련된 현황 및 계획이 논의되었다. 이는 입양 제도의 체계적인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논의로, 복지부는 앞으로도 위원회를 통해 정책 방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 **입양정책위원회 출범의 의의**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입양정책위원회는 공적 입양체계를 주도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이를 중심으로 입양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아동 최선의 이익에 중점을 둔 입양체계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출범으로 기대되는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 국내입양 활성화와 국제입양의 체계적인 관리 강화
– 입양 과정의 공정성·투명성 보장
– 사회적 신뢰 회복 및 아동 권익 증진
#### **향후 계획**
보건복지부는 입양정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국내 입양체계의 공적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입양제도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아동이 안전하고 따뜻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문의처:**
– 보건복지부 아동정책과 입양제도개편팀: ☎ 044-202-3412
–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사업본부 입양실무지원부: ☎ 02-6454-8604
원문보기
**[블로그 작성 시안]**
# 2025 평화통일마라톤: 광복 80년, 우리가 만드는 평화
안녕하세요,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분들께 반가운 소식을 전합니다!
오는 **2025년 11월 16일**, 경기도 파주시의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특별한 마라톤 대회, **’2025 평화통일마라톤’**이 개최됩니다.
### 광복 80년, 한반도의 희망을 달린다
이번 대회는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와 **통일부**가 뜻을 모아 준비한 자리로, 과거의 역사를 돌아보고 모두가 함께 평화로운 미래를 만들어가자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슬로건 또한 깊은 울림을 주는데요, **’광복 80년, 우리가 만드는 평화’**를 주제로, 역사적 의미를 새기고 통일의 소망을 나누는 마라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대회 구간 및 주요 특징**
이번 마라톤은 수준과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총 **3가지 코스**로 운영됩니다:
1. **하프 코스 (21.0975㎞)**
– 민간인통제구역 내 **남북출입사무소**까지 이어지는 특별 코스입니다. 민감한 분단의 현장을 직접 달리며 평화에 대한 염원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2. **8.15㎞ 코스**
–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기리는 상징적 거리로, 한반도 독립과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으로 달려봅시다.
3. **5㎞ 코스**
–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코스입니다. 가족, 친구들과 함께 한반도 평화의 미래를 응원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좋습니다.
—
### **다양한 부대행사**
마라톤만 즐기는 자리가 아닌, 축제처럼 다채로운 프로그램도 준비됩니다.
– **통일체험부스**: 통일의 의미를 학습하고 체험할 기회
– **광복 80년 기념부스**: 광복의 과거와 현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
– **문화 프로그램**: 한반도 평화를 기념하는 다채로운 공연 및 행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 **참가 신청 안내**
– **신청 방법**: 대회 공식 홈페이지 **[tongilrun.kr](https://tongilrun.kr)**에서 선착순 접수
– **참가 인원**: 선착순 **3000명**
– **참가자 혜택**: 기념 티셔츠, 완주 메달, 그리고 특별한 추억!
—
###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2025 평화통일마라톤’은 단순히 달리는 행사가 아닙니다. 분단의 아픔을 뛰어넘어 모두가 통일과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하나로 이어지는 행사입니다.
이제 여러분의 한 걸음 한 걸음이 한국의 미래를 향한 큰 걸음이 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통일부 통일협력국 통일협력기획과(02-2100-5812)**로 문의하시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함께 달리고, 광복 80년의 의미를 재확인하며 평화를 위한 길을 만들어갑시다!
**함께 달리는 그날을 기대합니다!**
—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AI 기반 ‘국민안전24’ 서비스 본격 추진**
행정안전부(행안부)가 올해 중 대국민 재난·안전정보 제공 창구를 하나로 통합한 맞춤형 서비스 ‘국민안전24’를 개통합니다. 이는 기존 운영되던 국민재난안전포털, 안전신문고 등 5개의 플랫폼을 하나의 누리집(웹사이트)과 모바일 앱으로 통합한 것이 핵심입니다.
### **’국민안전24’의 주요 기능**
‘국민안전24’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국민이 재난·안전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서비스입니다.
–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과거 피해 이력 ▲기상특보 ▲대피소 위치 등 주변 위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 **기상특보 행동요령 안내:** 기상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대응 방법도 제공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돕습니다.
###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 추가**
행안부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재난·안전 분야 업무를 전반적으로 AI 기반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챗봇 도입:** 문자,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화 가능한 AI 기반 ‘대화형 챗봇’ 기능을 개발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합니다.
– **멀티모달 데이터 활용:** 안전신문고 플랫폼에는 사진과 함께 이미지를 분석해 신고 문구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이 도입될 예정입니다. 위험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신고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AI 기반 국민 안전 강화 방안 발표**
이 같은 내용은 9월 17일 김용균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이 ‘AI 기반 국민 안전 강화 방안’ 발표 자리에서 공개한 것입니다. 최근 국지성 호우, 대형 산불 등 재난이 잦아지면서 맞춤형 재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는 배경도 강조됐습니다.
김 실장은 “AI를 기반으로 재난·안전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안전한 일상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문의처**
– **재난안전데이터과:** 044-205-4464
– **재난정보통신과:** 044-205-5289
‘국민안전24’는 국민의 안전을 위한 정보통합 노력의 일환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신뢰도 높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 기술이 안전관리 분야에 어떻게 기여할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정부, 재난·안전 담당 공무원 처우 개선 정책 발표**
정부가 재난·안전 담당 공무원의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17일 ‘재난·안전분야 조직·인력 강화방안’을 발표하면서, 수당 인상과 승진 요건 완화, 긴급 대응 체계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세부 대책을 공개했습니다.
—
### **1. 재난·안전 담당 공무원 처우 개선**
#### **수당 인상**
– **정근가산금 및 격무가산금**: 2년 이상 재난·안전 업무 종사자에게 정근가산금 5만 원 추가 지급. 격무직위 근무자 역시 5만 원 추가 지급.
– **비상근무 수당**: 하루 기준 8,000원에서 16,000원으로 2배 인상. 월 상한액은 기존 12만 원에서 18만 원까지 확대.
– **특정업무경비 신설**: 일선 공무원들에게 월 8만 원 수준의 특정업무경비 추가 지급. 이에 따라 기존 월 8만~20만 원 수준인 수당이 월 16만~44만 원으로 증가.
#### **근속승진 소요기간 단축 및 포상 확대**
– 2년 이상 근속자에 대해 승진 소요기간을 단축하고, 정부포상 수상자는 특별 승진 가능.
– 재난관리 분야 정부포상 규모를 기존 99개에서 150개 이상으로 확대.
—
### **2. 재난 대응 역량 강화**
#### **24시간 재난상황 관리체계 구축**
– 재난 대응이 취약했던 57개 기초지자체를 포함해 전담 근무자를 확충, 모든 지자체가 24시간 대응 체계를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재난관리 전담 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방재안전직렬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
#### **재난·안전 부서 위상 강화**
– 지자체의 재난·안전 조직을 보강. 자치행정, 건설·도로부서와의 결합모델 등 3가지 조직모델을 제시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조직 개편 추진.
—
### **3. 공직자 책임 면책과 교육 강화**
– ‘적극행정위원회 면책 특례’ 신설을 통해 긴급 재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한 공무원이 징계에서 면제되는 제도 도입.
– 부단체장과 부서장의 재난·안전관리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경험자 배치와 7시간의 집합교육 의무화를 시행.
—
### **정부의 입장과 기대효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국가의 책무를 위해 재난·안전 담당 공무원의 안정적인 근무 여건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번 정책 개선이 유능한 인력 확보와 재난 대응 역량 강화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문의처**
자세한 정보는 아래 부서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총괄과**: 044-205-4117
– **행정안전부 지방인사제도과**: 044-205-3353
– **인사혁신처 인사혁신기획과**: 044-201-8294
—
이번 제도개선은 치열한 현장에서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공무원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재난 대응 시스템을 더욱 체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평가됩니다. ✅
원문보기
### 이재명 정부 ‘국익 중심 실용외교’ 추진 방안 발표
이재명 정부가 국정과제 중 하나로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적극 추진하며 주변국과의 관계 증진, 북핵 문제 해결, 그리고 경제·외교 역량 강화를 목표로 내세웠습니다. 외교부는 16일 발표된 ‘123대 국정과제’ 중 5개의 과제를 주관하며, 실질적인 외교안보 성과를 이루고자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 외교부 주요 추진 전략
#### 1. **주변국과의 관계 강화**
– **한미동맹**: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
– **한일관계**: 견고하고 성숙한 양국 관계 구축.
– **한중관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강화.
– **한러관계**: 안정적 관리와 발전 모색.
#### 2. **국제사회에서의 공헌 확대**
– **G7+ 외교 강국 실현**: 외교 다변화와 글로벌 과제 대응 능력 강화.
– **국가공적개발원조(ODA)**: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추진.
– **재외공관 역할 강화**: K-이니셔티브의 해외 진출 교두보 역할 증대.
#### 3. **경제외교 강화**
– **경제안보 역량 집중**: 글로벌 경제·통상 이슈에 신속 대응.
– **다자경제 협력 선도**: 국제 협의체 의장국 역할 수임.
– **첨단기술 중심 외교**: 신흥 기술 및 과학기술 외교 활성화.
– **기업 수출·수주 지원**: 재외공관 전진기지화.
#### 4.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 **북핵 문제 해결**: 단계적·실용적 접근으로 비핵화 진전 모색.
– **긴장 완화를 위한 협의**: 한미협의 중심으로 대화 여건 조성.
– **평화구조 구축**: 비핵화와 함께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체제 추구.
#### 5. **재외국민 안전과 동포 지원**
– **보호망 강화**: 촘촘한 재외국민 보호 체계 구축.
– **동포 역량 극대화**: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확대.
– **국민편익 증진**: 해외출국자 3000만 명 시대에 맞춘 편의성 개선.
—
### 결론 및 향후 계획
이재명 정부는 국익 중심 외교안보를 국정목표로 설정하며, 이를 세계로 향하는 실용적 전략으로 체계화할 계획입니다. 외교부는 다른 부처와 협력하여 국정과제의 성공적인 실행을 지원하며 다양한 글로벌 도전에 대비할 방침입니다.
자세한 내용 및 구체적인 계획은 외교부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02-2100-7131)을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이재명 정부는 교육부 주관으로 123대 국정과제를 확정하고, 이를 통해 교육부문에서 총 6대 국정과제와 25개 실천과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1. **지역교육 혁신 및 거점국립대 육성**
– **’서울대 10개 만들기’:** 수도권 중심의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고, 국가균형발전 도모를 위해 거점국립대를 교육ㆍ연구 허브로 육성.
– 학부, 대학원, 연구소를 통합 지원해 연구경쟁력 강화.
– 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체계(RISE)를 통해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인재양성 및 R&D 특성화.
—
## 2. **미래 인재 육성과 AI 교육**
– **AI 교육 확대:** 초·중·고등학교에서 AI 교육 강화 및 융합(STEAM) 교육 내실화.
– 대학 대상 AI 융복합(AI+X) 교육과정 확산 및 성인 대상 온·오프라인 AI 재교육 확대.
–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국제 교류 프로그램 확대.
—
## 3. **유보통합 및 공교육 강화**
– **0~5세 무상교육:** 0세부터 교사 대 아동 비율을 개선하고, 3~5세 무상교육·보육을 단계적으로 실현.
– **기초학력 지원:** 맞춤형 학습지원 전담교원을 확충하고,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자기주도학습센터 운영.
– 특수교육 여건 개선 및 심리·정서 지원 확대.
—
## 4. **청년 지원 정책**
– **일자리 및 주거 안정:** 채용 연계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확대, 신축 및 노후 기숙사 개선.
– **경제 지원:** 다양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확대 (예: 희망사다리장학금), 학자금 부담 완화.
—
## 5. **전인적 역량 강화 및 시민교육**
– **민주시민 의식 함양:** 학교시민교육, 역사교육, 경제·금융·노동교육을 활성화.
– **예체능 교육:** 학교 내 문화예술 및 체육 활동을 증대.
—
## 6.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
– 외부인 출입 통제 가이드라인 강화 및 CCTV 추가 설치.
– 학교급식 위생 및 조리 환경 개선.
– 디지털 성범죄 예방교육 확대.
—
교육부는 이러한 과제를 통해, 모두가 안전하고 균형 잡힌 교육 환경을 제공하며, 미래 국가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최교진 부총리는 정책 수요자인 교육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각 관계 기관과 협력해 구체적인 정책들을 이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 상세한 정보는 교육부 홈페이지 또는 관련 문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 ‘상생페이백’ 첫날 79만 명 접수…소비 진작 및 소상공인 지원 기대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 중인 **’상생페이백’** 사업이 접수 시작부터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접수 첫날에만 약 **79만 명**이 신청하며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책에 대한 국민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 **상생페이백이란?**
상생페이백은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 취약 상권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으로,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합니다. 신청자가 **2023년 9월~11월 카드소비액이 2022년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증가**했다면, 증가한 금액의 최대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환급 한도:**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총 30만 원
– **사용처:** 전통시장, 상점가 등
—
#### **첫날 접수 통계**
– **접수자 수:** 79만 1798명
– **지역별 접수:**
– 수도권: 약 44만 명(전체의 55.5%)
– 수도권 외 지역: 부산(5만 2000명), 경남(4만 5000명) 등 높은 참여율
– **접수 웹사이트:** 상생페이백 누리집(https://상생페이백.kr)
**지원대상 여부**와 **지난해 월평균 카드 실적 확인**은 17일부터 신청자에게 알림톡으로 안내될 예정입니다. 이달 18일부터는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카드 실적 확인이 가능합니다.
—
#### **사용처 및 접근성 확대**
상생페이백 소비액이 인정되는 사용처도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 기존: 유사업종이 부족한 면지역 123개
– **확대 후:** 읍·면지역 기준 657곳 추가 (총 780곳)
– **추가 사용처:**
1. **로컬푸드직매장:** 지역 농산물을 판매하는 251개 매장
2.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이용 가능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으로, **국민·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 외에 신한은행** 영업점도 추가됐습니다. 이에 따라 상담과 지원이 가능한 은행 점포는 **8100여 곳**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 **추가 이벤트**
상생페이백 론칭을 기념해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상품권을 누적 5만 원 이상 충전하면 추첨을 통해 **1만 원의 상품권을 1만 명**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입니다.
– **이벤트 기간:** 9월 30일까지
– **참여 방법:** 디지털 온누리 앱 내 충전
—
#### **중기부의 계획**
중소벤처기업부의 소상공인정책관 이대건은 “상생페이백을 몰라 신청하지 못하는 국민이 없도록 적극 홍보하고,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민생지원TF:
– 전화: 044-204-7881, 7896, 7905
– 관련 누리집: [상생페이백.kr](https://상생페이백.kr)
원문보기
### 뉴스 요약: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 및 의의
**1. 주요 내용:**
2025년 한국 경주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준비하며, 윤성미 APEC 고위관리회의 의장은 성공적 개최를 위해 만반의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년 만에 한국이 APEC 의장국을 수임하는 것으로, 국제적 위상과 경제적 혜택을 동시에 끌어올릴 중요한 기회로 간주된다.
**2. 의제 및 성과:**
이번 정상회의의 주제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으로, 푸트라자야 비전 2040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주요 의제로는 인공지능(AI) 협력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이 선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경제 활성화와 성장의 기회를 창출하는 장기적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3. 준수성과 및 기대 효과:**
– APEC 정상회의를 통해 경제협력, 디지털화, 무역 투자 등의 분야에서 성과물이 도출될 예정이다.
– 지방분산 개최를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한다.
– 문화콘텐츠를 활용해 세계적 한류 열풍을 K-APEC으로 연결, 글로벌 경제 리더로서 한국의 위상을 강화한다.
**4. 경주의 의미와 준비 상황:**
경주는 신라 천년 역사와 문화를 보유하며 첨단산업과 현대적 국제 교류를 이어가는 도시로, APEC 정상회의 개최지를 통해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연계한 국가 이미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회의장, 숙소, 미디어센터 등의 인프라 준비는 9월 중순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5. APEC 정상회의의 가치:**
이번 회의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시대의 도전 속에서 한국의 국제적 리더십을 제시하며,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중요한 장으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
### 블로그 게시글: **2025 APEC 정상회의, 한국이 그리는 미래를 중심으로**
2025년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신라 천년 도시 경주에서 막을 올린다. 이는 한국이 20년 만에 APEC 의장국을 맡아 글로벌 리더십을 선보일 중요한 기회로, 국가적 의미 이상의 지리적, 경제적, 문화적 결실을 담을 예정이다.
#### **APEC 정상회의의 중심, 한국의 비전**
이번 회의는 푸트라자야 비전 2040 실현을 위한 주제와 중점 과제를 담아 놓으며,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특히 미래 정책은 인공지능(AI) 협력과 인구구조 변화에 방점을 두고, 글로벌 경제 속에서 성장의 기회를 창출하려 한다.
– **인공지능(AI):** 경제성장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해 각 계층의 AI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인프라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 **인구구조 변화:**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사회 시스템과 보건 서비스 개선, 여성 경제적 역량 등 포괄적 전략이 논의된다.
#### **경주에서 시작되는 세계적 협력**
지속가능한 성장의 여정을 제시할 이번 회의가 경주에서 열린다는 점은 다각적 의미를 지닌다. 경주는 한국의 전통적 문화와 현대적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전 세계 정상들에게 한국의 정체성을 보여줄 창구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경주에서 최초로 대규모 국제 행사가 열리면서 지역 균형 발전을 실질적으로 실현하게 된다.
#### **K-컬처를 활용한 국제적 외교**
시사점을 두고 있는 점은 글로벌 한류 열풍의 경제적 동력을 APEC으로 연결하는 전략이다. 경주에서 열린 문화산업고위급대화를 통한 성과는 한국의 문화 리더십을 확인하는 기회였으며, K-APEC이라는 새로운 외교 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 **대한민국의 다자외교와 세계적 리더십**
2025 APEC 정상회의는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는 세계 경제 질서 속에서 한국이 국제적 입지를 더욱 강화하며, 모범 사례로 자리잡을 또 하나의 도약점으로 작용할 것이다. 성공적인 개최와 의제 실현을 통해 세계적인 환영과 지지를 얻게 된다면, 이는 아·태 지역 경제협력의 성장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
이번 APEC 정상회의가 단순히 국제회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경제와 문화, 그리고 정치적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이끌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