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산재보상 국가책임 실현…”2030년까지 사고사망 1만명당 0.29명”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가 2030년까지 산재 사고사망률을 줄이고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확대 적용, 법정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노년 소득 보장, 노동자의 권리 강화, 근로시간 단축 등을 통해 안전하고 행복한 일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산재 예방과 노동환경 개선뿐 아니라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plans to reduce workplace fatalities by 2030 and ensure workers’ safety and health.
The plans include expanding occupational safety laws, gradually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and introducing a 4.5-day workweek.
These measures aim to create safer workplaces, improve workers’ rights, and balance work and life.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hance workplace safety and provide real benefits through reduced working hours and stronger retirement income security.
日本語 雇用労働部は2030年までに労働災害死亡率を削減し、労働者の安全と健康を確保するための方針を発表しました。
産業安全保健法の適用拡大、法定定年の延長、週4.5日制の導入などが含まれています。
これにより、安全な職場作りだけでなく、労働時間短縮で仕事と生活の調和が目指されます。
総評 労災防止や労働環境の改善に加え、生活と仕事のバランスを向上させる実効性の高い政策です。
中文 劳动部宣布计划到2030年减少工伤死亡率,并确保工人安全与健康。
计划包括扩大职业安全法律适用范围、逐步延长法定退休年龄以及推行4.5天工作制等政策。
目标是在保障安全工作的同时,改善劳工权利并实现工作与生活的平衡。
总评 此政策预计将有效提升工作场所的安全性,同时通过缩短工时及加强退休收入保障为劳动者提供实质性帮助。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annunciato un piano per ridurre i decessi sul lavoro entro il 2030 e garantire la sicurezza e la salute dei lavoratori.
Il piano prevede l’estensione delle leggi sulla sicurezza, l’allungamento graduale dell’età pensionabile e l’introduzione della settimana lavorativa di 4,5 giorni.
Queste misure puntano a creare luoghi di lavoro più sicuri e un miglior equilibrio tra lavoro e vit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sembra destinata a migliorare la sicurezza sul lavoro e a favorire un equilibrio tra vita professionale e personale attraverso riforme concrete.
청년 삶의 질 높이는 ‘청년친화도시’ 공모…2년 간 5억 원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국무조정실은 올해 청년친화도시 지정계획을 발표하고,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오는 12월 최종 선정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선정된 청년친화도시는 청년 역량 강화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국비 지원과 행정적 도움을 제공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청년이 살기 좋은 지역으로 발전하고 정책 우수사례가 확산될 전망입니다.
총평 이번 계획은 청년들이 직접 지역 발전에 참여하고 혜택을 누릴 기회를 제공하며, 지자체 간 경쟁적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nounced a plan to designate Youth-Friendly Cities and will finalize the selection process by December.
Selected cities will receiv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 people and enhancing their capacities.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create regions where young people can thrive and innovative models can be shared nationwide.
Summary This plan offers young people a chance to contribute to local development and could encourage competitive innovation among municipalities.
日本語 国務調整室は今年の「青年親和都市」の指定計画を発表し、12月までに最終的な選定が行われる予定です。
選定された都市は、青年の能力向上や生活の質を向上させるために、国費支援と行政的な支援を受け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これにより、若者が住みやすい地域が形成され、政策の優良事例が全国に普及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計画は、青年に地域発展に貢献する機会を与え、地方自治体間の競争的な革新を促進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国务协调室公布了今年青年友好型城市的指定计划,并将在12月完成最终遴选程序。
获选城市将获得财政和行政支持,以提升青年生活质量和增强其能力。
这一举措有望促进适合青年发展的地区形成,并推广创新政策样本。
总评 此计划为青年提供了参与地方发展的机会,并可能激发地方政府之间的创新竞争。
Italiano L’Ufficio di Coordinamento delle Politiche Governative ha annunciato un piano per designare le “Città Amiche dei Giovani” e completerà il processo di selezione entro dicembre.
Le città selezionate riceveranno supporto finanziario e amministrativo per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dei giovani e potenziarne le capacità.
Questo progetto mira a creare regioni in cui i giovani possano prosperare e condividere modelli innovativi su tutto il territorio nazionale.
Valutazione Questo piano offre ai giovani l’opportunità di partecipare allo sviluppo locale e potrebbe incoraggiare l’innovazione competitiva tra i comuni.
환경부, 탄소중립산업법 제정…’내연차→전기차’ 전환 가속화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전략을 국정과제로 발표하면서, 2035년과 2050년 목표를 위한 장기 계획도 수립한다.
탄소중립산업법 제정, 전기차 전환 가속 등 산업 전반의 전환 지원,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해 탈플라스틱 순환경제와 생물다양성 복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총평 이러한 정책은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환경과 기후위기 대응력을 강화하여 국민들이 더 쾌적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 strategy to achieve the 2030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as part of key state tasks, while also planning for 2035 and 2050 goals.
The plans include legislation on a Carbon Neutral Industry Act,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electric vehicles, and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to establish a circular economy and restore biodiversity.
Summary These initiatives aim to ensure a sustainable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while enhancing societal resilience to climate challenges, offering tangible benefits to citizens’ quality of life.
日本語 環境部は2030年の国家温室効果ガス削減目標達成のための戦略を発表し、2035年および2050年目標に向けた長期計画も策定します。
脱炭素産業法の制定、電気自動車への移行促進、国民参加の拡大を通じて循環型経済と生物多様性の回復を推進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未来世代の持続可能な環境を保証し、気候危機への対応力を高めるため、生活の質の向上に直接つな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环境部宣布了实现2030年国家温室气体减排目标的战略,同时规划了2035年和2050年的长远目标。
计划包括制定《碳中和产业法》、加速向电动车转型以及通过推动公众参与,建立循环经济并恢复生物多样性。
总评 这些政策将为下一代确保可持续的环境,增强社会应对气候危机的能力,同时提升民众的生活品质。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annunciato una strategia per raggiungere l’obiettivo nazionale di riduzione dei gas serra entro il 2030 e ha pianificato obiettivi a lungo termine per il 2035 e il 2050.
Le iniziative includono la legislazione sulla legge dell’industria a emissioni zero, la transizione accelerata verso veicoli elettrici e il coinvolgimento pubblico per promuovere l’economia circolare e il ripristino della biodiversità.
Valutazione Queste politiche mirano a garantire un ambiente sostenibile per le generazioni future e a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degli individui attraverso una maggiore resistenza ai cambiamenti climatici.
송·변전 설비 설치 조기 합의시 보상금 최대 75% 가산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국가기간 전력망 구축을 위해 토지주와 주민 등 이해관계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조기 합의하는 토지주에 최대 75% 보상금을 가산하고, 송전망 주변 지역에는 추가적인 재정 지원과 발전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전력망 구축이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재생에너지 및 첨단산업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 정책은 친환경 전력 인프라 확장을 가속화하고, 주민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재생에너지 시대를 준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strengthen support for stakeholders, including landowners and residents, to expedite national power grid construction.
Key measures include offering additional compensation of up to 75% for landowners who agree early and providing financial aid 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for transmission facility areas.
This policy is expected to accelerate power grid projects and ensure sufficient power supply for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advanced industries.
Summary This initiative lays a crucial foundation for a sustainable energy transition by fostering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boost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efficiently.
日本語 政府は、国家的な電力網構築を迅速化するために、土地所有者や住民などの関係者への支援を強化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早期に合意する土地所有者には最大75%の補償を追加支給し、送電線周辺地域には財政支援や再生可能エネルギー事業への参加機会を提供する方針です。
これにより、電力網構築が迅速に進み、再生可能エネルギーや先端産業への電力供給が円滑に行われると期待されます。
総評 本政策は、電力網の拡張を通じて持続可能なエネルギー社会を目指し、地域との協力を深める重要な一歩です。
中文 政府宣布强化对包括土地所有者和居民在内相关方的支持计划,以加快国家电网建设步伐。
主要措施包括对早期达成协议的土地所有者追加最多75%的补偿,并为输电设施区域提供资金支持及参与可再生能源项目的机会。
此政策有望加速电网建设,并为可再生能源发展和先进产业提供稳定电力供应。
总评 这一政策通过与社区加强合作,为未来可持续能源发展奠定了基础,同时提升了基础设施建设效率。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rafforzare il supporto ai soggetti coinvolti, tra cui proprietari terrieri e residenti, al fine di accelerare la costruzione della rete elettrica nazionale.
Le misure principali includono un’indennità aggiuntiva fino al 75% per i proprietari che raggiungono accordi anticipati e il sostegno finanziario per le aree limitrofe agli impianti di trasmissione, con possibilità di partecipare a progetti di energia rinnovabile.
Questo piano mira ad accelerare i progetti di rete elettrica e garantire un adeguato approvvigionamento energetico per le energie rinnovabili e le industrie avanzat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ppresenta un passo significativo verso una transizione energetica sostenibile, promuovendo la collaborazione con le comunità locali e ottimizzando lo sviluppo infrastrutturale.
‘희망의 농업농촌 만드는 농정 혁신’…농식품부 4개 국정과제 확정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농촌 분야의 4개 국정과제를 발표하고 실행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주요 과제로는 농업을 식량안보 중심의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 농민 소득 안정 및 국가책임 강화, 농산어촌 균형 발전, 동물복지 사회 구현 등이 포함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농업인뿐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며,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announced four key national tasks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The priorities include fostering agriculture as a strategic industry for food security, ensuring stable income for farmers, promoting balanced growth in rural areas, and creating a society of happiness for both humans and animal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benefit both farmers and consumers by strengthening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and contributing to regional development.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農業・農村分野での4つの国政課題を発表しました。
主な課題には、農業を食料安全保障の中心となる国家戦略産業として育成すること、農業人の所得安定と国家責任強化、農村・漁村の均衡ある発展、人と動物が共に幸せになる社会の実現が含まれます。
総評 農業の持続可能性を強化し、地域社会の発展に寄与することを目指した総合的な政策で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宣布农业和农村领域的四项国家任务。
主要内容包括将农业培育为粮食安全的国家战略产业、保障农民收入稳定、促进农村平衡发展以及营造人与动物和谐幸福的社会。
总评 此政策旨在增强农业可持续性,同时改善城乡生态系统,对生产者和消费者带来积极的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ha annunciato quattro compiti nazionali principali per l’agricoltura e lo sviluppo rurale.
Tra le priorità vi sono la trasformazione dell’agricoltura in un’industria strategica per la sicurezza alimentare, la garanzia di redditi stabili per i contadini, la promozione della crescita equilibrata nelle aree rurali e la creazione di una società inclusiva tra uomini e animali.
Valutazione Le misure proposte non solo mirano a rafforzare l’agricoltura sostenibile, ma anche a migliorare il benessere delle comunità rurali e degli animali.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예산 35% 소진…가전업계 매출 쑥!
요약보기
한국어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시행 후 한 달 동안 882억 원, 66만 2000건이 접수되어 예산의 35%가 소진되었습니다.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이번 사업은 가전업계 매출 증가와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고 있으며, 관련 절차를 간소화하고 홍보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총평 고효율 가전 구매로 비용 절감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기회로, 소비자가 환급 절차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nglish Since the launch of the High-Efficiency Appliance Rebate Program, 882 billion KRW and 662,000 applications have been received in a month, utilizing 35% of the budget.
The program, offering up to 300,000 KRW rebates for high-efficiency appliances, has boosted sales in the appliance industry and contributed to energy savings, with efforts to streamline procedures and enhance publicity underway.
Summary This program offers a practical way for consumers to save costs while promoting eco-friendly practices, making it essential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rebate process.
日本語 ウットゥム効率家電製品還元事業が開始されて1か月で882億ウォン、66万2000件が申請され、予算の35%が消化されました。
高効率家電を購入すると最大30万ウォンの還元を受けられるこの事業は、家電業界の売上増加とエネルギー節約に寄与しており、手続きを簡素化し宣伝を強化する計画です。
総評 高効率家電の購入は、経費削減と環境保護を両立できるチャンスであり、消費者が還元手続きを有効に活用することが重要です。
中文 高效家电产品返现项目启动一个月以来,已收到882亿韩元的申请,共66.2万件,占预算的35%。
该项目为购买高效家电提供最高30万韩元返现,促进了家电行业销售增长和节能效果,相关程序将进一步简化,同时加强宣传工作。
总评 通过购置高效家电,消费者可实现节省成本和环保的双赢,充分利用返现机会尤为重要。
Italiano Dopo un mese dall’avvio del programma di rimborso per elettrodomestici ad alta efficienza, sono stati registrati 882 miliardi di KRW e 662.000 richieste, utilizzando il 35% del budget.
Il programma, che offre rimborsi fino a 300.000 KRW per l’acquisto di elettrodomestici ad alta efficienza energetica, ha aumentato le vendite e favorito il risparmio energetico, e sono previsti ulteriori sforzi per semplificare le procedure e migliorare la promozione.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risparmiare sui costi e adottare pratiche eco-sostenibili, fondamentale approfittare del supporto disponibile.
발달장애인 재산 관리, 국민연금공단이 맡는다…내달 본격 시행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제공과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 업무 위탁을 포함한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재산관리 지원서비스와 센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총평 이 개정으로 발달장애인과 가족들이 재산관리와 지역 내 지원서비스를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approved a revised enforcement decree, delegating tasks such as financial management support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perations of regional support centers.
The amendment provides a legal basis for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o carry out these services and scales up their implementation.
Summary This revision is expected to create a safer and more accessible environme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utilize financial and regional support services.
日本語 保健福祉部は、発達障害者向けの財産管理支援サービス提供と地域発達障害者支援センター運営業務を委託する内容を含む施行令改正案を議決しました。
今回の改正は、国民年金公団と韓国障害者開発院がこれらの業務を担う法的根拠を整備し、サービスを本格的に拡大するものです。
総評 この改正により、発達障害者やその家族が安心して財産管理や地域サービスを利用できる環境が整う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保健福祉部批准了一项修订的施行令,内容包括为发育障碍人士提供财产管理支持服务以及委托地方中心的运营相关事务。
该修订为国民年金公团和韩国残疾人开发院提供法律依据以执行这些服务,并扩大其实施范围。
总评 此修订预计将为发育障碍人士及其家庭提供更安全、便捷的财产管理和区域支持服务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approvato un decreto esecutivo rivisto, che delega la gestione dei servizi di supporto finanziario per le persone con disabilità dello sviluppo e le operazioni dei centri di supporto regionali.
La revisione fornisce una base legale al Servizio Pensionistico Nazionale e all’Istituto per lo Sviluppo delle Persone Disabili per svolgere questi servizi ed espande la loro attuazione.
Valutazione Questa revisione contribuirà a creare un ambiente più sicuro e accessibile per le persone con disabilità dello sviluppo e le loro famiglie nell’accedere ai servizi.
11월까지 ‘여행가는 가을’…교통·숙박·여행상품 등 전국 곳곳 할인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올해 가을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을 통해 지역경제 및 국내 관광 활성화를 추진합니다.
교통, 숙박, 여행상품 등 다양한 할인 혜택과 숨은 관광지 발굴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습니다.
지자체와 민관 협업을 통해 특산품 홍보, 지역 체험 행사 등이 동시 진행되며 공식 누리집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평 이번 캠페인은 여행객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새로운 장소와 경험을 즐길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launched the “Autumn Travel Campaign” to boost regional economies and domestic tourism.
Discounts in transportation, accommodation, and travel packages are offered, along with programs to discover hidden tourist spots.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collaborate on promotional activities like specialty products and regional tours, with details available on the official website.
Summary This campaign provides travelers affordable options to explore new places and also serves as a stimulus for local economies.
日本語 政府は地域経済と国内観光の活性化を目指して、今年の秋「旅行行く秋」キャンペーンを開始しました。
交通、宿泊、旅行商品など幅広い割引特典と隠れ観光地を紹介するプログラムが含まれています。
自治体と民間が協力し、特産品の宣伝や地域イベントを進めます。詳細は公式ウェブサイトにて確認できます。
総評 このキャンペーンは観光者に低価格で新しい場所と体験を提供すると同時に、地域経済にも好影響を与え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推出“秋季旅游活动”,旨在促进地区经济和国内旅游发展。
涵盖交通、住宿、旅游商品多项折扣优惠,并推出隐秘观光地探索等特色项目。
地方政府与民间合作,共同推行特产宣传及区域体验活动,详细信息可在官网查询。
总评 此活动不仅让游客以实惠价格获得新体验,也有助于振兴地方经济。
Italiano Il governo ha avviato la campagna “Viaggiando in autunno” per stimolare l’economia locale e il turismo interno.
Sono previste agevolazioni nei trasporti, alloggi e pacchetti turistici, insieme a programmi per scoprire luoghi nascosti.
Le autorità locali e i privati collaborano per promuovere prodotti tipici e attività regionali, con maggiori dettagli disponibili sul sito ufficia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e viaggiatori opzioni convenienti per esplorare nuove località e contribuisce positivamente all’economia di zona.
유효기간 지난 모바일상품권, 최대 100%까지 환불받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공정거래위원회는 신유형 상품권 사용 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부당 약관을 시정하고 표준약관을 개정했습니다.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환불 비율을 최대 100%까지 상향하고, 환불 및 양도 제한 조항을 완화하여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한 점이 포함됩니다.
총평 소비자는 이제 상품권의 사용 및 환불에 대한 권리가 보다 명확히 보호받을 수 있어 일상에서 더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has revised the unfair clauses in new type gift certificates and updated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to strengthen consumer protection.
Main changes include increasing refund rates to up to 100% and easing restrictions on refunds and transfers, improving consumer rights.
Summary These updates provide clearer and stronger protection of consumer rights, making it easier and safer for people to use gift certificates in their daily lives.
日本語 公正取引委員会は新型商品券の利用における不当約款を是正し、標準約款を改定することで消費者保護を強化しました。
主な変更点として、返金率を最大100%に引き上げ、返金および譲渡制限条項を緩和したことが挙げられます。
総評 これにより、商品券の利用や返金に関する消費者の権利が明確に保護され、日常生活の中でより安全で便利な利用が可能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公平交易委员会修订了新型商品券的相关不公平条款,并更新了标准条款以加强消费者保护。
主要变更包括将退款比例提高到最高100%并放宽退款及转让限制条款,从而改善消费者权益。
总评 此举能让消费者在日常使用商品券时能够享受到更安全、更便利的权益保护。
Italiano La Commissione per il Commercio Equo della Corea ha rivisto le clausole ingiuste dei nuovi tipi di buoni regalo e aggiornato i termini e condizioni standard per rafforzare la protezione dei consumatori.
Le modifiche principali includono l’aumento dei tassi di rimborso fino al 100% e l’allentamento delle restrizioni sui rimborsi e sui trasferimenti, migliorando i diritti dei consumatori.
Valutazione Questi aggiornamenti renderanno l’utilizzo dei buoni regalo più sicuro e conveniente nella vita quotidiana, garantendo una maggiore tutela dei diritti dei consumatori.
여가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성평등 기회·권리 보장”
요약보기
한국어 여성가족부가 성평등정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강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며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을 추진합니다.
또한, 아동·청소년의 건강권 보호와 다양한 가족 지원 방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성평등한 사회 조성과 여성의 안전 및 건강권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 정책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특히 여성과 청소년의 권리 보호 및 사회적 통합을 강화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ims to strengthen gender equality policies, promote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and reduce gender wage gaps.
It also includes measures to protect the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ile supporting diverse family structures.
This initiative seeks to foster a gender-equal society and enhance women’s safety and health rights.
Summary These policies are expected to improve individual well-being an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the protection of women’s and youth’s rights.
日本語 女性家族部は、性別平等政策を強化し、女性の経済活動参加を拡大し、性別賃金格差の解消を目指します。
加えて、子どもや青少年の健康権保護および多様な家族への支援策も含めています。
これにより、性別平等社会の実現と女性の安全・健康権の促進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個人の生活の質を高め、特に女性や青少年の権利保護や社会統合に貢献する可能性が高いです。
中文 女性家庭部计划强化性别平等政策,增加女性经济活动的参与,并缩小性别薪酬差距。
同时,还包括保护儿童和青少年的健康权以及支持多类型家庭的措施。
此举旨在实现性别平等社会,加强女性的安全和健康权益。
总评 这些政策预计将改善个人生活质量,并对保护女性与青少年的权利及推动社会整合产生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la Famiglia e dell’Uguaglianza di Genere mira a rafforzare le politiche di parità, favorire la partecipazione economica delle donne e ridurre le disparità salariali di genere.
Include anche misure per proteggere la salute di bambini e adolescenti e sostenere le famiglie diversificate.
Questo approccio mira a creare una società equa e rafforzare i diritti delle donne e la loro sicurezza.
Valutazione Queste politiche possono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individuale e contribuire positivamente alla protezione dei diritti delle donne e alla coesione sociale.
디지털 성범죄·스토킹 공무원 강력 처벌…파면·해임까지
요약보기
한국어 공무원의 디지털 성범죄와 스토킹 행위에 대한 징계 기준이 강화됩니다.
또한 음주운전을 유발하거나 은닉, 방조한 경우에 대한 징계 기준도 신설될 예정입니다.
이번 규칙 개정안은 공직사회 내 윤리 의식 강화를 목표로 12월부터 시행됩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공직사회에서 윤리 기준을 강화해 신뢰를 높이고, 공무원들의 책임 의식을 더욱 강조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disciplinary standards for public officials committing digital sexual crimes or stalking will be strengthened.
Additionally, new standards for penalties related to encouraging, concealing, or abetting drunk driving will be introduced.
The revision aims to reinforce ethical awareness in the civil service and will take effect from December.
Summary This move highlights efforts to ensure ethical integrity among public officials while promoting accountability and trust.
日本語 公務員によるデジタル性犯罪やストーカー行為に対する懲戒基準が強化されます。
さらに飲酒運転を促したり隠蔽または幇助した場合の懲戒基準も新たに設けられます。
この変更は、公務員の倫理意識を高めるために12月から施行される予定です。
総評 公務員の責任感と倫理的行動の重要性を強調する取り組みとして注目されます。
中文 公务员的数字性犯罪和跟踪行为的处分标准将被加强。
同时也将新增鼓励、隐瞒或协助酒驾的处分标准。
该修改旨在强化公务员队伍的伦理意识,将于12月开始施行。
总评 此举展现了通过更严格标准提升公务员行为准则的努力,以增强公众信任。
Italiano Gli standard disciplinari per i reati digitali a sfondo sessuale e gli atti di stalking commessi dai funzionari pubblici saranno rafforzati.
Saranno inoltre introdotti nuovi criteri di penalizzazione per la promozione, l’occultamento o l’assistenza alla guida in stato di ebbrezza.
L’obiettivo è aumentare la consapevolezza etica tra i funzionari pubblici con l’entrata in vigore a dicembre.
Valutazione Queste misure mirano a promuovere maggiore responsabilità e integrità etica nella pubblica amministrazione, incrementando la fiducia dei cittadini.
‘비상장주식·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생긴다…자금조달 원활화 기대
요약보기
한국어 금융위원회가 16일 국무회의에서 비상장주식과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제도 도입을 위한 관련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개정안은 투자중개업 인가단위 신설, 증권사 간 거래 결제 허용, 유동성 증대를 통한 시장효율성 강화, 다양한 조각투자 증권 거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이 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제도 개선은 투자자 편의와 중소기업의 사업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는 긍정적 변화로 보입니다.
English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nounced on the 16th that amendments to regulations enabling non-listed stock and fractional investment OTC exchanges were finalized.
The amendments include establishing new licensing units, enabling inter-bank transactions, improving market liquidity, and allowing easier comparison for various fractional investment securities.
This change is expected to facilitate funding for small and venture companies.
Summary This policy provides better convenience for investors and creates more opportunities for smaller businesses to secure funding.
日本語 金融委員会は16日、非上場株式と部分投資の店頭取引所制度導入のための関連規制改正案を確定したと発表しました。
改正案には新しい認可単位の設立や証券会社間の取引許容、市場流動性の向上、様々な部分投資証券の比較が簡単になることが含まれています。
これにより、中小・ベンチャー企業の資金調達がより円滑にな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制度変更は投資家の利便性を向上させるとともに、中小企業が資金を得やすくなるポジティブな変化です。
中文 金融委员会于16日宣布,通过了支持非上市股票和共享投资场外交易所的相关法规修订案。
修订内容包括设立新的许可单位,允许证券公司间交易,提高市场流动性,以及更方便地比较各种共享投资证券。
预计此举将帮助中小型和风险企业更加顺畅地筹集资金。
总评 此政策不仅给投资者提供便利,也为中小企业筹资提供新的机遇。
Italiano La Commissione Finanziaria ha annunciato il 16 che sono stati approvati gli emendamenti al regolamento per le borse OTC di azioni non quotate e investimenti frazionari.
Le modifiche includono l’introduzione di nuove licenze, la possibilità di transazioni tra istituti, una maggiore liquidità di mercato e una comparazione più semplice tra diversi titoli frazionati.
Si prevede che questo cambiamento favorirà il finanziamento per le piccole e medie impres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gliora la facilità degli investimenti e crea opportunità per le piccole imprese di ottenere capitale in modo più efficiente.
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확정…”세계 선도 대한민국 만들 것”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통해 새로운 123대 국정과제를 확정했습니다.
이는 국민 주권 실현, 혁신경제 도약, 균형성장, 사회안전 강화, 외교 및 보훈 강화 등의 목표 아래 추진됩니다.
정부는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소통 강화와 국민 참여 확대를 약속했습니다.
총평 국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적 도약을 동시에 이룰 가능성이 높습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officially confirmed 123 new national agenda items during a cabinet meeting.
The agenda focuses on realizing national sovereignty, fostering an innovative economy, achieving balanced growth, strengthening social safety, and enhancing diplomacy and national security.
The government is committed to improving communication and increasing public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Summary If successfully executed, these initiatives could significantly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while boosting the nation’s global standing.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国務会議で新たに123項目の国政課題を確定しました。
これらは国民主権の実現、革新経済の飛躍、均衡発展、社会安全の強化、外交と安全保障の強化を目指しています。
政府は円滑な遂行のために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強化と国民の参加拡大を約束しました。
総評 これらの課題が達成されれば、国民の生活の質の向上と国家の発展を期待できるでしょう。
中文 李在明总统在国务会议上确认了123项新的国家任务。
这些任务聚焦于实现国民主权、推动创新经济、实现平衡发展、强化社会安全以及提升外交与国防实力。
政府承诺在执行过程中加强沟通并扩大公众参与。
总评 如果这些任务能够顺利完成,将有助于提高人民生活质量并提升国家全球地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confermato ufficialmente 123 nuovi progetti nazionali durante una riunione di gabinetto.
Gli obiettivi includono il rafforzamento della sovranità nazionale, la promozione dell’economia innovativa, la crescita equilibrata, il rafforzamento della sicurezza sociale e il miglioramento della diplomazia e della sicurezza nazionale.
Il governo si impegna a migliorare la comunicazione e ad aumentare la partecipazione dei cittadini nel processo di attuazione.
Valutazione Se portati a termine con successo, questi progetti potrebbero migliorare significativamente la qualità della vita dei cittadini e aumentare il prestigio internazionale del paese.
내년부터 생수·음료 무색페트병에 재생원료 10% 사용 의무화
요약보기
한국어 내년 1월부터 먹는샘물 및 비알코올 음료 제조업체는 연간 5000톤 이상 페트병을 사용 시 재생원료를 10%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2030년까지 이 기준은 연간 1000톤 이상 사용업체로 확대되고, 의무 비율도 30%로 높아질 예정입니다.
총평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이 정책은 페트병 재활용 확대와 순환 경제 구축에 기여하며, 기업과 소비자에게 책임 있는 자원 사용을 요구합니다.
English Starting January 2024, manufacturers of bottled water and non-alcoholic beverages using over 5000 tons of PET bottles annually must use at least 10% recycled material.
By 2030, this requirement will expand to companies using over 1000 tons annually, increasing the mandatory ratio to 30%.
Summary This policy support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by promoting PET bottle recycling and a circular economy, urging manufacturers and consumers toward responsible resource usage.
日本語 来年1月から、年間5000トン以上のペットボトルを使用する飲料水およびノンアルコール飲料製造業者に対して、再生原料を10%義務的に使用する必要があります。
2030年までに、この基準は年間1000トン以上の使用業者に拡大され、義務使用率は30%に引き上げら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環境保護と循環経済の促進に寄与し、企業と消費者に責任ある資源利用を求めています。
中文 从明年1月起,每年使用超过5000吨PET瓶的瓶装水及非酒精饮料制造商需强制使用10%的再生原料。
到2030年,该规定将扩大至每年使用超过1000吨PET瓶的企业,同时强制使用比例将提高至30%。
总评 这一政策有助于推进PET瓶的循环利用和可持续经济发展,鼓励企业和消费者采用负责任的资源使用方式。
Italiano Dal gennaio 2024, i produttori di acqua minerale e bevande analcoliche che utilizzano oltre 5000 tonnellate di bottiglie PET all’anno dovranno obbligatoriamente impiegare il 10% di materiali riciclati.
Entro il 2030, questo requisito si estenderà alle aziende che usano più di 1000 tonnellate all’anno, con un aumento della percentuale obbligatoria al 30%.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romuove la sostenibilità ambientale incentivando il riciclo delle bottiglie PET e la responsabilità economica per un’economia circolare.
해수부, 연내 청사 부산 이전 완료…북극항로 시대 주도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가 새 정부 국정과제로 ‘K-해양강국’ 건설, 어촌·연안경제 활성화, 해양주권 강화 등을 선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북극항로 개척, 해양산업 혁신, 친환경 선박 도입, 수산물 유통망 확충, 해양쓰레기 관리 강화 등을 주요 과제로 발표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해양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고 어촌 지역 경제에 활력을 주며, 청정한 바다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new government tasks focusing on building a “K-Maritime Power,” revitalizing coastal economies, and strengthening maritime sovereignty.
Key initiatives include developing Arctic sea routes, innovative maritime industries, introducing eco-friendly ships, expanding seafood distribution networks, and enhancing marine waste management.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national marine competitiveness, invigorate coastal economies, and contribute to creating a cleaner ocean environment.
日本語 海洋水産部は新政府の国政課題として、「K-海洋強国」建設、漁村・沿岸経済の活性化、海洋主権の強化を掲げました。
主な施策として、北極航路の開拓、海洋産業の革新、環境に優しい船舶の導入、水産物流通網の拡充、海洋ごみ管理の強化などが発表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海洋分野の競争力を高め、漁村地域経済に活力を与え、清潔な海洋環境づくりに貢献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海洋水产部公布了新政府的国政课题,重点包括构建“韩国-海洋强国”、振兴沿海经济及强化海洋主权。
主要计划包括开辟北极航线、发展创新海洋产业、引进环保船舶、拓展海产品流通网络及加强海洋垃圾管理。
总评 该政策有望提高国家海洋竞争力,促进沿海经济复苏,并有助于创造更清洁的海洋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annunciato i nuovi obiettivi governativi per costruire una “Potenza Marittima-K,” rivitalizzare l’economia costiera e rafforzare la sovranità marittima.
Le principali iniziative includono lo sviluppo di rotte artiche, industrie marittime innovative, l’introduzione di navi ecologiche, l’espansione delle reti di distribuzione dei prodotti ittici e il rafforzamento della gestione dei rifiuti marin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romette di aumentare la competitività del settore marittimo, dare nuova linfa alle economie costiere e contribuire a un ambiente marino più pulito.
‘지반침하’도 사회재난으로 규정…피해 발생 시 신속대응·복구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지반침하’를 사회재난 유형에 포함시키고, 다중운집 이벤트에 대한 재난 예방조치를 구체화하는 법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10월 2일부터 시행될 이 개정안은 지반침하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장에게 행사 중단 및 해산 권고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재난발생 시 피해를 줄이고, 다중 행사에서의 안전을 강화하려는 실질적인 대책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included “ground subsidence” as a type of social disaster and specified preventive measures for crowded events.
The revised law, effective October 2, aims to strengthen the response system for ground subsidence and gives local governments the authority to suspend or disperse events if necessary.
Summary This measure is a practical step towards reducing damage from disasters and ensuring safety at crowded events.
日本語 政府は「地盤沈下」を社会災害の一種に追加し、多人数の集まりに対する災害予防措置を具体化しました。
10月2日から施行される改正案では、地盤沈下への対応体制を強化し、地方自治体長にイベント中止や群衆解散の権限を付与する内容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措置は、災害による被害の軽減と、イベントの安全性確保を目的とした現実的な対策です。
中文 政府将“地面塌陷”列为社会灾难类别,并明确了针对人群聚集事件的防灾措施。
该修订案将于10月2日生效,旨在加强地面塌陷的应对体系,并赋予地方政府在必要时中止活动或解散人群的权力。
总评 此项措施在减少灾害损失和保障人群聚集安全方面具有实际意义。
Italiano Il governo ha incluso il “cedimento del suolo” come tipo di disastro sociale e ha specificato misure preventive per gli eventi affollati.
La modifica normativa, che entrerà in vigore il 2 ottobre, punta a rafforzare il sistema di risposta ai cedimenti del suolo e dà alle autorità locali il potere di sospendere o disperdere eventi se necessario.
Valutazione Questa misura rappresenta un passo concreto per ridurre i danni da disastri e garantire la sicurezza negli eventi affollati.
추석 ‘바가지요금’ 근절…지자체별 신고센터 상시 운영·현장 조사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와 지자체가 이번 추석을 앞두고 물가 안정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해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현장 점검을 강화하며, 전통시장 주차 편의를 위한 일시적인 조치도 시행됩니다.
특별대책기간 동안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원활한 명절 소비를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추석 맞춤 정책으로, 시민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성수품을 구매하고 전통시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long with local governments, has announced measures to stabilize prices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Efforts include operating price-gouging report centers, enhancing on-site inspections, and providing temporary parking conveniences near traditional markets.
The focus is on preventing consumer harm and facilitating smooth holiday shopping during the designated special period.
Summary These measures are practical for ensuring fair pricing and easier access to traditional markets, making holiday preparations more convenient for citizens.
日本語 行政安全部と自治体は、今年の秋夕を迎え、物価安定対策を発表しました。
バカ高い料金を防止するための通報センターの運営や現場検査の強化、伝統市場周辺の駐車便宜提供などが実施されます。
特別対策期間中、消費者被害の防止と円滑な名節消費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対策は秋夕に向けた現実的な政策で、消費者が合理的な価格で買い物ができ、伝統市場をより便利に利用できる見込みで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和地方政府推出了中秋节物价稳定措施。
将运行价格欺诈举报中心,加强现场检查,并为传统市场附近提供临时停车便利。
本次特别措施期间,重点是防止消费者受害并促进假期消费的顺利进行。
总评 通过这些措施,民众可以在合理价格下购买节日商品,同时更方便地使用传统市场。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e gli enti locali hanno annunciato misure per stabilizzare i prezzi in vista della festa di Chuseok.
Tra le iniziative figurano centri di segnalazione per prezzi eccessivi, intensificazione dei controlli sul campo e facilitazioni temporanee per il parcheggio vicino ai mercati tradizionali.
L’obiettivo è prevenire danni ai consumatori e agevolare gli acquisti festivi durante il periodo speciale.
Valutazione Queste misure favoriranno una preparazione più comoda alle festività, con prezzi equi e accesso facilitato ai mercati tradizionali.
산업부, 첨단산업·에너지 대전환 등 7대 국정과제 역량 집중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123대 국정과제 중 7개 주요 과제를 추진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첨단산업 육성, 주력산업 혁신,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균형성장 등이 포함됩니다.
국정과제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며 성과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공개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방안은 첨단 기술 개발과 에너지 전환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생활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lans to focus on achieving the 7 key tasks among the 123 national tasks to deliver tangible results for citizens.
The initiatives include fostering advanced industries, innovating core industries,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ransitioning to renewable energy, and promoting balanced regional growth.
The ministry aim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these tasks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other governmental bodies and local governments, ensuring consistent monitoring and public disclosure of progress.
Summary This plan is expected to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nergy transformation.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123件の国政課題のうち、7つの主要課題に取り組み、国民が実感できる成果を創出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内容としては先端産業の育成、主力産業の革新、炭素中立、エネルギー転換、地域間の均衡発展が含まれます。
国政課題の実行力を高めるために、他の政府機関や地方自治体と連携し、成果を定期的に評価・公開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計画は先端技術やエネルギー転換を通じて産業競争力を高め、国民の生活にも良い変化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计划专注于推进123项国政任务中的7个重点任务,致力于创造国民可切实感受的成果。
主要任务包括培育高端产业、革新主力产业、实现碳中和、推动能源转型以及促进区域均衡发展。
同时,通过与相关部门及地方政府合作,加强执行力,并定期检查和公开成果。
总评 此计划有望通过技术开发与能源转型,既提升工业竞争力,也改善民众生活品质。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Industria e Energia intende concentrare i suoi sforzi su 7 dei 123 obiettivi nazionali, puntando a creare risultati tangibili per i cittadini.
Le aree principali includono lo sviluppo di industrie avanzate, l’innovazione dei settori principali, la neutralità carbonica, la transizione energetica e la crescita equilibrata delle regioni.
Per garantire l’attuazione delle politiche, il ministero collaborerà con altre istituzioni governative e amministrazioni locali, monitorando e pubblicando regolarmente i risultati.
Valutazione Questo piano mira a migliorare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e a portare benefici concreti nella vita quotidiana dei cittadini attraverso l’innovazione tecnologica e la transizione energetica.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보훈부, 새 정부 국정과제 확정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보훈부는 새 정부 국정과제로 국가유공자 보훈 체계 전반을 재정립하고, 국민통합을 위한 보훈정책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참전유공자와 그 가족을 위한 생계지원금 신설, 보훈의료서비스 확대, AI 고독사 예방서비스 도입 등을 포함하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보훈문화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해외 독립유공자 유해 봉환과 국제보훈사업 확대를 통해 국격도 제고할 방침입니다.
총평 이 정책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을 늘려 국민적 존중을 강화하는 동시에, 보훈문화를 통해 세대 간 소통과 애국심을 고양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nounced the new government’s agenda to revamp the veterans’ compensation system and strengthen policies for national unity.
Measures include new financial support for low-income spouses of patriotic veterans, expanded medical services with AI-based prevention measures for elderly veterans, and fostering a comprehensive remembrance culture for all generations.
The initiative also plans to repatriate the remains of independence activists abroad and advance international partnerships to honor global veterans’ contributions.
Summary This policy aims to enhance respect for veterans through concrete support and foster intergenerational unity by promoting national pride and remembrance.
日本語 国家報勲部は、新政府の国政課題として国家有功者の報勲体系を全般的に再編し、国民統合を目的とした報勲政策を確定したと発表しました。
具体的には、低所得高齢者の配偶者向けの生活支援金の新設、報勲医療サービスの拡充、AIを活用した孤独死予防サービスの導入を含み、世代を超えた報勲文化の構築を目指しています。
さらに、海外独立有功者の遺骨返還や国際報勲事業の拡大を通じて国家の品格を向上させる計画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国家有功者に対する具体的な支援を拡充することで国民的な敬意を高め、報勲文化を通じて世代間の交流と愛国心を強化する役割を果た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国家报勋部宣布,新政府确立了重新调整国家有功者褒奖体系,并以国民统一为目标的报勋政策。
具体措施包括设立低收入年长配偶生活补助金、扩展报勋医疗服务、引入基于人工智能的孤独死预防服务,并通过构建跨代报勋文化增强全民参与感。
此外,还计划通过海外独立有功者遗骸返还及国际报勋事业扩展,提升国家形象和尊严。
总评 此政策通过具体支持措施增强对有功者的尊敬,同时以报勋文化促进代际间的沟通与爱国情怀,可望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per i Patrioti e i Veterani ha annunciato l’agenda del nuovo governo per ristrutturare il sistema di compensazione ai veterani e rafforzare le politiche di unità nazionale.
Le misure includono nuovi sussidi per i coniugi anziani a basso reddito dei veterani, l’ampliamento dei servizi medici, l’introduzione di un sistema di prevenzione delle morti solitarie basato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e la promozione di una cultura commemorativa intergenerazionale.
Inoltre, è prevista la restituzione dei resti dei patrioti deceduti all’estero e l’espansione dei programmi di cooperazione internazionale per onorare i contributi globali dei veteran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ra a rafforzare il rispetto per i veterani attraverso misure di supporto concreto, promuovendo al contempo l’orgoglio nazionale e l’unità intergenerazionale.
이 대통령, 세종 첫 국무회의…”집무실·의사당 건립 차질 없이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세종시의 균형 발전을 강조하며 세종집무실과 세종의사당 건립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지역균형발전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5극3특’ 전략을 통해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국가 성장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아울러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총평 이번 발언은 세종시 중심의 균형 발전과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이 국가 성장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음을 보여줍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balanced development on the 16th, stating his commitment to the construction of Sejong’s Presidential Office and Assembly Hall.
He highlighted the ‘5+3’ strategy as a solution to regional imbalance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national growth.
Lee also urged businesses to work with the government to create more job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Summary This address underscores the central role of Sejong’s development and youth employment in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for the country.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16日、均衡発展の重要性を強調し、セジョン執務室とセジョン議事堂の建設を着実に進める意向を明らかにしました。
また、「5極3特」戦略を活用して首都圏への集中問題を解消し、持続可能な国家成長に努めると述べました。
さらに、若者の雇用拡大のために政府と企業の協力を呼びかけました。
総評 セジョン市を中心とした均衡発展と若者の雇用創出が、国家の持続的な発展にとって重要な課題であることが示されています。
中文 李在明总统于16日强调均衡发展,承诺推进世宗办事处和世宗议事堂的建设。
他指出,通过“5极3特”战略,有望缓解首都圈过度集中的问题,实现国家的可持续发展。
同时呼吁企业与政府合作,共同扩大青年就业机会。
总评 本次讲话凸显了以世宗市发展为核心,同时解决青年就业问题对于国家可持续发展的重要性。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il 16 settembre l’importanza dello sviluppo equilibrato, impegnandosi nella costruzione dell’Ufficio Presidenziale e del Parlamento a Sejong.
Ha evidenziato la strategia “5 poli e 3 speciali” come soluzione allo squilibrio regionale e ha insistito sull’importanza della crescita sostenibile del paese.
Inoltre, ha chiesto la collaborazione delle imprese per ampliare le opportunità di lavoro per i giovani.
Valutazione Questo discorso evidenzia il ruolo cruciale dello sviluppo di Sejong e dell’occupazione giovanile per garantire la crescita sostenibile della nazione.
AI·로봇·자율주행 등 ‘신산업’ 발목 잡는 ‘거미줄 규제’ 걷어낸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AI, 자율주행, 로봇 등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규제 합리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데이터 활용 규제 개선, 자율주행 실증지역 확대, 로봇 안전 기준 재정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신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기업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신산업 발전을 가로막던 규제를 완화해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일자리 창출과 경제 경쟁력을 높이는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reform regulations to boost competitiveness in emerging industries such as AI, autonomous driving, and robotics.
Key measures include easing data usage regulations, expanding pilot areas for autonomous vehicles, and revising safety standards for robotics to foster innovation and support business growth.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remove barriers to innovation, potentially accelerating technological breakthroughs, fostering industrial growth, and enhancing job creation and economic competitiveness.
日本語 政府はAI、自動運転、ロボットなど新産業分野の競争力向上を目指す規制合理化の方針を発表しました。
データ利用規制の緩和、自動運転試験地域の拡大、ロボットの安全基準再整備が主な内容であり、新産業エコシステムの活性化と企業成長を支援すると述べ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イノベーションを妨げる規制を緩和し、新技術の成長と産業発展をサポートして、経済の競争力向上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了提高人工智能、自动驾驶和机器人等新兴行业竞争力的监管改进方案。
主要措施包括优化数据使用监管、扩大自动驾驶试点区域及重新制定机器人安全标准,以激发创新并支持企业发展。
总评 这一政策放宽了创新的限制,有望推动技术突破,促进产业发展,并提升就业机会与经济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razionalizzare le regolamentazioni 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nei settori emergenti come AI, guida autonoma e robotica.
I provvedimenti includono la semplificazione delle normative sull’uso dei dati, l’espansione delle aree pilota per i veicoli autonomi e la revisione degli standard di sicurezza per la robotic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ra a eliminare le barriere all’innovazione, accelerando lo sviluppo tecnologico e industriale, oltre a favorire la creazione di posti di lavoro e la competitività economica.
요약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안전하고 공정한 일터를 위한 6개 국정과제 발표
고용노동부가 16일 국무회의에서 **산재 예방 및 보상을 포함한 노동자 권리 증진을 위한 6개 국정과제**를 발표하며, 일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안전하고 공정한 일터 구축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과제는 안전보건체계 강화, 연간 실노동시간 단축, 노후소득 보장, 취약 노동자 권리 강화 등 다방면에서 노동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 주요 발표 내용 요약
#### 1. **건강하고 안전한 일터**
– 산재 사고사망률을 2030년까지 OECD 평균(1만 명당 0.29명)으로 낮추기 위한 대책 마련.
– 취약 사업장 재해 예방 강화를 위해 안전보건공시제를 도입하고,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범위를 확대.
–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와 신속한 산재 처리로 산재보상 국가책임을 실현.
– 과로사 방지 및 감정노동 보호 대책을 강화하며, 야간 노동 규율 신설.
#### 2. **디지털·기후변화 대응 노동 대전환**
– 법정 정년 단계적 연장 및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AI·빅데이터 활용으로 고용서비스 혁신.
– 정의로운 산업 전환을 위한 재취업 지원 정책 및 전환업종 발굴.
– 이주노동자 고용허가제 개선으로 외국인 노동자 인권과 안전 강화.
#### 3. **차별 없는 일터**
– ‘일터 기본법’ 제정 및 초단시간 노동자 등 소외계층에 대한 법적 보호 확대.
– 노동조합법 개정(일명 ‘노란봉투법’)을 통해 비정규직 권리보장 강화.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명문화 및 임금체불 근절 조치.
#### 4. **노동존중과 기본권 보장**
– 초기업 단위 노사 교섭체계 확산 및 사회적 대화 활성화.
– 법무부에 노동법원 설립과 노동위원회를 통한 플랫폼 노동자 분쟁 조정 기능 강화.
– 노동절로 명칭 변경 및 교사·공무원 노동기본권 확대.
#### 5. **일·가정·삶의 균형**
– **주 4.5일제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및 실노동시간 감축법 제정.
– 배우자 육아휴직 신설, 난임 유급휴가 확대, 자동육아휴직 제도 도입.
– ILO 괴롭힘 방지협약 비준 및 ‘행복한 일터’ 인증제 도입으로 조화로운 노동 환경 조성.
#### 6. **지역 중심 일자리 창출**
– 고용안전망 확충을 위한 구직촉진수당 단계적 인상 및 ‘지역고용활성화법’ 제정.
– 청년을 위한 생애 1회 자발적 이직 구직급여 및 ‘청년미래적금’ 도입.
– 사회적 기업 지원 예산 복원과 취약계층 고용복지카드 사업 진행.
—
### 기대 효과
고용노동부는 이번 국정과제가 **산업 및 지역 맞춤형 노동 정책을 통해 안전한 근로 환경을 제공하고, 권리 보장으로 노동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것**이라며,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문의: 고용노동부 혁신행정담당관실(044-202-7052)
원문보기
**청년친화도시 지정 계획 공고… 기초자치단체 신청 접수 시작**
국무조정실은 16일, 2024년 청년친화도시 지정계획을 공식 발표하고, 다음 달 27일까지 기초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청년친화도시는 청년기본법에 따라 청년의 정책참여를 활성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지역 내 청년 역량 강화와 함께 지역발전의 모델로 삼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 **지난해 시범사업과 올해 계획**
청년친화도시 제도는 2023년 첫 공모를 통해 서울 관악구, 부산 부산진구, 경남 거창군이 1차 청년친화도시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올해는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및 세종·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다음 달 27일까지 신청을 받을 예정으로, 지정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5년 간입니다.
### **평가 및 최종 선정 과정**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희망하는 기초자치단체는 다음 달 15일까지 해당 광역자치단체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광역자치단체는 최대 3개 자치단체를 국무조정실에 추천할 수 있습니다. 이후 국무조정실은 청년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1차 서면평가에서 3배수를 선정하고, 발표평가와 현장실사를 추가로 진행합니다. 최종 선정된 3곳은 12월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통해 발표될 예정입니다.
### **선정 시 지원 내용**
지정된 청년친화도시는 첫 2년 동안 매년 2억 5000만 원, 총 5억 원의 국비 지원을 받게 됩니다. 이외에도 정부 정책자문, 전문가 컨설팅, 교육 등 다양한 행정적 지원이 제공됩니다. 또한, 지역별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청년사업을 추진하게 되며, 5년 동안 발굴된 우수사례는 정부의 다른 정책사업과 연계될 기회가 주어집니다.
### **지자체와의 협력**
청년친화도시 지정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무조정실은 지난 2일 지방자치단체 대상 설명회를 개최하고, 사업방향을 공유하면서 의견을 수렴했습니다. 이와 함께 71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을 진행하며 성공적인 사업 기획을 지원했습니다.
김달원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청년친화도시는 청년들의 삶터이자 지역 발전의 핵심 거점으로, 청년정책이 효과적으로 실현되는 공간”이라며, “우수사례의 확산을 통해 지역과 청년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자세한 문의는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 청년정책기획관실(044-200-6347)로 연락하면 됩니다.
**출처:** [자료제공:(www.korea.kr)]
원문보기
### 환경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2050 탄소중립 실현 전략 발표
환경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이행전략을 수립하고, 2035년 더욱 진전된 감축목표를 연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장기적 감축 이행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 주요 이행 전략 및 사업
1. **4대강 자연성 회복 및 생물다양성 복원**
– 4대강 보 개방 및 취·양수장 개선사업 신속 추진.
– 2030년까지 국토의 보호지역 30% 확대, 훼손된 생태계 복원 및 생태관광 활성화를 통한 생태계 서비스 질 향상.
2. **기후·환경 국정과제 추진**
– **탄소중립 실현**:
– 탄소중립산업법 제정.
– 녹색 공공조달 확대 및 내연차에서 전기차로의 전환 가속화 지원.
– 탄소중립포인트제 인센티브 강화로 국민 참여 유도.
–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
– 국가 탈플라스틱 순환경제 로드맵 수립.
– 폐배터리 등 품목별 순환이용 체계 구축 및 한국형 에코디자인 도입.
– 순환경제 선도기업 및 산단 지원, 폐기물 소각열을 산업단지로 공급하는 히트링크(Hit-Link) 사업 확산.
3. **기후적응 역량 강화**
– 기후적응 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 및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 기후변화 감시·예측과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로 기후대응 역량 강화.
– 취약계층 보호 및 산업계 지원을 위한 국가 인프라 기후위험 대응력 혁신.
4. **쾌적한 환경 구축**
– 분야별 미세먼지 배출원 관리 강화.
– 조류피해 예방을 위한 녹조 독소 기준 신설 및 대응 체계 개선.
– 화학물질 및 위해제품 안전관리 강화, 환경피해 예방 및 피해 구제 대책 강화.
#### 국민을 중심으로 한 참여와 성과
금한승 환경부 차관은 이번 국정과제 이행을 통해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며, 국민주권정부에 걸맞는 참여와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환경부의 이러한 노력이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대한민국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정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가속화…송·변전 설비 보상·지원을 대폭 강화
정부가 에너지 고속도로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해 송·변전 설비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보상과 지원 방안을 크게 강화합니다. 이에 따라 토지주와 주민, 지자체에 대한 다양한 혜택이 마련될 전망입니다.
—
#### **1. 보상금 최대 75% 가산 및 선하지 보상 개선**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국무회의에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토지주가 송·변전 설비 설치에 3개월 이내 합의할 경우 최대 75%의 보상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 송전망 아래 부지(선하지)에 대해 매수 방식 보상이 가능해졌습니다.
—
#### **2. 주민과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 확대**
– **마을 지원금 증액**: 송전설비 주변 지역에는 기존 보상액 외에 추가로 50%의 금액이 마을 지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편성.
– **송변전설비 밀집지역 추가 보상**: 345kV 기준 300m 이내 위치하거나 다수의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지역의 세대는 기존 대비 최대 4.5배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
– **재생에너지 사업 지원**: 주민과 토지주가 참여하는 10MW 미만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대해 계통접속 비용 최대 10억 원 지원 및 선하지 장기 저리 임대 보장.
—
#### **3. 지자체 지원 강화**
– **가공선로 지중화**: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지자체에 ㎞당 20억 원을 지급해 기존 가공선로를 지중화.
– **변전소 밀집지역 지원**: 변전소와 같은 송·변전설비가 밀집된 지자체 내 산업단지에 대해서는 전력공급설비 사전 설치 의무화.
– **중앙-지방 협의체**: 총리가 주재하는 전력망위원회를 통해 중앙정부와 지자체, 전문가 간 협력을 강화해 갈등 해소에 집중.
—
#### **4. 행정 절차 간소화로 기간 단축**
– **의견수렴 강화 및 시간 단축**: 실시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 기간을 기존 30일에서 60일로 연장.
– **입지 선정 및 허가 기간 축소**: 입지 선정 소요 기간을 기존 2년에서 1년 6개월로 단축하고, 관련 인허가 의제를 18개에서 35개로 확대.
– **부대공사 신속 처리**: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해 사업 지연 요인을 최소화.
—
### **정부의 의도와 기대**
정부는 이번 특별법을 통해 전력망 구축과 재생에너지 보급을 조화롭게 추진하고, AI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한 초기 갈등 관리를 강화해 사업의 장기 지연을 방지하고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확대하며, 적기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 **문의처**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 전력계통혁신과**: 044-6226-8943
**출처:** www.korea.kr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농촌·농업인·동물복지 4대 국정과제 발표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가 4대 국정과제 실행을 위한 본격적인 추진에 나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국민 먹거리 안정, 농가 소득 보장, 농촌 활성화, 동물복지 향상 등을 핵심으로 한 정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1.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
– **식량안보 강화**: 식량 자급률 목표 상향, 예산·농지 투입 법제화, 농림위성을 활용한 수급 예측 고도화.
– **스마트농업 및 K-푸드 수출 활성화**:
– AI·로봇 첨단 기술 도입 확대.
– 2030년까지 K-푸드 수출 규모를 150억 달러로 목표 설정.
– **농축산물 유통구조 혁신**: 온라인 도매 비율을 50% 이상으로 확대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의 상생 도모.
– **친환경 농업 확대**: 친환경유기농업 증진, 탄소중립직불제 도입.
—
### 2. **농정 대전환으로 국가 책임 강화**
– **농가 소득 안정화**:
– 가격 안정을 위한 가격안정제 도입.
– 재해 발생 시 국가 책임제 도입, 재해보험 지원 강화.
– **청년 농업인 육성**:
– 예비농업인 제도 도입 및 농지 우선 임대.
–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퇴직연금형 저축과 농지이양 은퇴직불금 단가 인상.
—
### 3. **균형성장과 에너지 전환 선도**
– **농촌 정주 여건 개선**:
– 기본소득 제공, 햇빛소득마을 500개소 조성, 빈집 정비 및 재생 거점 마을 육성.
– **재생에너지 확산**: 농업 RE100을 실현하기 위해 태양광, 바이오가스, 지열 등 활용.
– **농촌 서비스 확충**:
– 이동 서비스 확대, AI 기반 맞춤형 교통 모델 전국 배포.
—
### 4.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사회 조성**
– **동물복지 강화**:
– ‘동물복지기본법’ 제정 및 동물복지진흥원 설립 추진.
– 동물 학대 방지를 위한 사육금지제 및 생산업 허가 갱신제 도입.
– **반려동물 정책 확장**:
– 공익형 표준수가제 도입으로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 완화.
– 반려동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전용법 제정 및 지원 체계 마련.
—
### 국민과의 소통 강화
농식품부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K-농정협의체’와 ‘모두의 농정 온(ON)’ 등의 소통 채널을 활용, 정책의 세부 내용을 국민과 함께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새로운 농정을 통해 국민과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습니다.
—
이번 국정과제는 농업을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시키는 동시에 농촌과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정책 실현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농업·농촌의 비전을 만들어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첫 달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
**환급사업 첫 달 성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이 시작된 지 한 달 만에 882억 원 규모, 66만 2000건이 접수되며 관련 예산의 약 35%가 소진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환급금액은 구매가의 10%로, 개인당 최대 30만 원 한도로 지원되며, 에너지소비효율 최고등급에 해당하는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11가지 품목이 대상입니다.
지난달 20일부터 신청분에 대한 환급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고, 현재까지 407억 원, 약 30만 4000건이 환급되었습니다. 신속한 처리와 환급을 위해 심사 인력을 대폭 확충하면서 평균 2주 안에 환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긍정적인 반응**
환급사업이 소비 활성화에 기여했으며, 여러 업체에서도 매출 증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가전 대기업 A사의 매출이 전년 대비 29% 증가.
– 김치냉장고 협력업체 B사는 23%, 공기청정기 협력업체 C사는 584% 매출 증가.
– 렌탈업체 D사의 매출은 전년 대비 92% 상승하며, 판매량도 137% 증가.
특히 제습기의 판매량은 16배 증가라는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소비자 지원 및 홍보 활동**
사업진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 고령층 및 정보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으뜸효율 전용 데스크’를 마련하고 대리 신청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정부와 업계는 공동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홍보모델(배우 류수영)이 출연하는 영상이 이달 말부터 송출될 계획입니다.또한, 우체국과 농협 지점 내 디지털 사이니지와 지역 케이블 TV 등을 활용해 홍보를 진행 중입니다.
향후에는 카카오톡 챗봇, 휴대폰 원격지원, OCR 기능을 탑재한 전용 앱 등을 통해 신청 절차를 더욱 간소화할 예정입니다.
**내수 회복과 에너지 절약 효과 기대**
조익노 산업부 에너지정책관은 이 사업이 내수 회복, 에너지 절약, 가전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를 표하며, 결혼 시즌 등 가전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호재를 활용해 사업을 더 확대 조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 자세한 신청 방법 및 환급 대상 품목은 [으뜸효율.kr](http://www.으뜸효율.kr) 또는 고객센터(1566-4984)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요약 포인트:**
– 환급사업 첫 달, 예산 소진 35% 및 매출 상승 효과.
– 소비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과 신청 간소화.
– 정부와 업계 협력을 통한 홍보 강화 및 소비 촉진 노력.
원문보기
###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재산관리 지원 서비스 및 지역 센터 운영 위탁 근거 마련
보건복지부는 16일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발달장애인 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제공**과 **시·군·구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 업무를 포함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
### **시행령 개정 주요 내용**
1. **재산관리 지원서비스**
– 업무 위탁: 국민연금공단에 위탁.
–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 처리 근거 마련.
– 지원 인원: 2024년에 지원 대상을 450명으로 확대(올해 대비 3배 증가).
2.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
– 설치 주체: 시·군·구 시장·군수·구청장이 설립.
– 운영 위탁: 한국장애인개발원에 위탁 가능.
—
### **법률 개정 및 세부 규정**
– **개정 법률**: 이번 시행령은 2023년 4월 1일 개정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후속 조치입니다.
– **개정 예정 시행규칙**: 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이용 절차, 센터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조례로 구체화될 예정입니다.
—
### **시행 일정**
– **재산관리 지원서비스**: 2023년 12월 2일 시행.
–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설치**: 2024년 4월 2일 시행.
—
### **발언 및 기대 효과**
보건복지부 장애인서비스과의 모두순 과장은 “이번 개정으로 시범사업으로 운영되던 재산관리 지원서비스가 본사업으로 자리 잡고, 센터 운영이 전문성을 갖춘 공공기관에 위탁됨으로써 발달장애인에 대한 권리 보장과 지원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문의 사항은 아래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보건복지부 장애인서비스과 ☎ 044-202-3353
– 국민연금공단 발달장애인 재산관리지원센터 ☎ 063-713-6011
원문보기
### 정부 주도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내관광 진흥 기대
정부가 국내 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력을 돌리기 위해 범국민 여행 캠페인 **‘여행가는 가을’**을 선보입니다. 오는 11월까지 다양한 할인 혜택과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며 국민의 참여를 독려합니다.
—
#### **캠페인 주요 내용 및 혜택**
이번 캠페인은 교통, 숙박, 여행상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혜택을 제공합니다.
1. **교통 할인**
– 관광열차 50% 할인
– 내일로 패스 가격 할인 (1만 원)
– 지방 항공 노선 할인 (2만 원)
– 인구 감소 지역행 고속·시외버스 할인 (30%)
– 친환경 안전운전 여행자 온누리상품권 지급 (최대 2만 원)
2. **숙박 할인**
– ‘숙박세일페스타’ 할인권 (2~5만 원)
– 품질 인증 숙소 할인 (2~3만 원)
– 캠핑장 1만 원 할인
3. **여행상품 할인**
– 관광벤처·투어패스 상품 최대 30% 할인
– 6개 주제별 여행 프로그램 평균 45% 할인
—
#### **새로운 관광지와 특별 프로그램**
올해 캠페인에서는 신규 관광지와 특별 여행 프로그램도 마련되었습니다.
– 정읍시 **’장금이 파크’**, 진안고원 **산림치유원** 등 새로운 명소 개관
– ‘숨은 관광지’ 27곳 발굴 및 소개
– 독특한 프로그램: **미스터리 투어** 및 인플루언서 동행 여행 등
—
#### **지역 및 기관별 협업 강화**
문체부와 여러 부처 및 경제단체가 힘을 모아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행안부: ‘찾아가고 싶은 섬’ 여행지 추천
– 농식품부: 농촌 관광주간 및 체험 프로그램 제공
– 해수부: 어촌 체험 휴양마을 스탬프 투어 및 연안 크루즈 체험
– 경제 6단체: 소상공인·교통 약자 대상 특별 지원사업
특히 캐릭터 ‘잔망루피’를 활용한 캠페인과 한정판 이모티콘 배포로 재미를 더하고 참여를 독려할 계획입니다.
—
#### **참여 방법 및 정보 확인**
이번 캠페인의 상세 내용과 할인 이용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식 누리집**: [여행가는 가을](https://korean.visitkorea.or.kr/travelmonth)
– **포털사이트 검색**: ‘여행가는 가을’
—
### **가을의 풍성한 여행 기회,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의 기회**
김대현 문체부 제2차관은 이번 캠페인이 지방과 내수를 살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풍성한 혜택과 다양한 여행 프로그램으로 올가을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
**문의처 정보**
– 문화체육관광부 국내관광진흥과: 044-203-2855
– 한국관광공사 국민관광마케팅팀: 033-738-3413
원문보기
### 공정위, 신유형 상품권 약관 시정… 환불 비율 100%까지 상향 가능
공정거래위원회는 신유형 상품권 사업자들의 불공정 약관을 시정하고, 유효기간이 지난 상품권에 대한 환불 비율을 최대 100%까지 상향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16일 발표했습니다.
#### **소비자 권익을 위한 주요 개선 내용**
1. **환불 비율 상향**
– 기존: 유효기간 이후 미사용 상품권은 일률적으로 액면가의 90% 환불.
– 개선:
– 5만 원 이하 상품권: 90% 환불.
– 5만 원 초과 상품권: 95% 환불.
– 포인트 선택 시: 100% 환불 가능.
2. **부당 약관 삭제**
– 회원 탈퇴, 자격 상실, 비회원 구매 시 잔액 소멸 조항 폐지.
– 비정상적인 시스템 장애 시 소비자 불이익 방지.
– 환불수단을 가상화폐, 포인트 등으로 제한한 조항 삭제. 환불은 고객 결제 수단을 원칙으로 진행.
3. **환불수수료 명확화**
– 기존: 사업자가 환불수수료를 자의적으로 정하거나 청약철회권(구매 후 7일 이내 전액 환불) 제한.
– 개선: 소비자가 사전에 환불수수료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규정 수정.
4. **자유로운 양도 보장**
– 기존: 상품권 양도를 금지하거나 양수받은 상품권 사용 제한.
– 개선: 불법 거래 목적이 아닌 경우 양도 허용.
5. **기타 약관 시정**
– 계약 해지 및 서비스 이용 제한의 모호한 조항 구체화.
– 사업자의 고의나 과실에 따른 책임 면제를 방지.
#### **적용 대상 사업자**
페이코, 기프티쇼, 스마일기프트 등 10개 주요 신유형 상품권 업체. 이들 업체는 공정위의 표준약관을 신속히 반영하고, 소비자의 권익 증진에 동참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공정위의 향후 계획**
공정위는 앞으로도 상품권 등 다양한 소비자 거래 분야에서 약관 점검을 지속하며, 불공정한 관행을 철폐해 국민 생활 밀접 분야에서 소비자 권익을 보호할 방침입니다.
—
**문의처:**
공정거래위원회 약관특수거래과
전화: 044-200-4488
원문보기
**여성가족부, 성평등 정책 강화 및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 추진**
여성가족부(여가부)가 정부의 국정과제 실천을 위해 성평등정책 컨트롤 타워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고, 성평등 체감도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조치를 예고했다. 여가부는 특히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 개편을 통해 성평등 사안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성별임금격차 해소와 여성경제활동 참가율 제고에 주력할 방침이다.
### **여가부 주관 3대 국정과제 및 주요 내용**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된 여가부의 주요 추진 방향은 다음 세 가지다:
1.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및 다양한 가족 지원**
2. **기회와 권리가 보장되는 성평등 사회 조성**
3. **여성의 안전과 건강권 보장**
—
### **1. 아동·청소년의 성장 및 다양한 가족 지원**
여가부는 아동·청소년의 주도적 성장과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청소년 활동 지원**: 방과후아카데미 등에서 체험 및 학습 지원을 강화하고, 인문활동·국제교류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 **심리·건강 증진 지원**: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해 건강체험활동비 및 우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디지털 시민교육 및 미디어 과의존 치유프로그램도 확대한다.
– **아이돌봄 서비스 개선**: 정부 지원의 소득기준 완화, 돌봄 지원비율 상향, 야간 긴급돌봄수당 신설 등을 통해 양육부담을 줄이고 돌봄 노동자를 위한 환경 개선에 나선다.
– **다양한 가족 지원**: 한부모·이주배경 가족을 위해 아동양육비 지원을 상향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의 교육 및 진로설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안정적인 가정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 **2. 기회와 권리가 보장되는 성평등 사회 구축**
여가부는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 **성평등 정책 강화**: 기존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개편하며, 성평등 정책 전담 부서를 확충해 거버넌스를 강화한다.
– **고용평등 임금공시제 도입**: 성별 임금 실태를 체계적으로 공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진단과 교육을 지원한다.
– **여성 경제활동 참여 촉진**: 새일센터를 통해 여성의 취·창업을 지원하고, 여성벤처펀드를 조성하는 등 여성기업 성장 기반을 확충한다. ‘경력단절여성’이라는 표현을 대체하면서 공감할 수 있는 용어로 수정해 인식 개선에도 나선다.
—
### **3. 여성의 안전과 건강권 보장**
디지털성범죄, 교제폭력, 스토킹 등 다양한 폭력 유형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지원과 제도 개선에도 적극 나선다.
– **폭력 예방 및 지원 강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인력을 확충하고, 여가부·경찰청·방통위 등 관계기관 간 협력으로 원스톱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 탐지·추적 시스템도 고도화한다.
– **임신중지 관련 법·제도 개선**: 임신중지 약물 도입 및 ‘산부인과’ 명칭을 ‘여성의학과’로 변경하며, 남성 청소년 HPV 무료 접종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 **역사적 정의 구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명예 보호 법제화 및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 등의 지원을 통해 역사 인식을 높인다.
—
### **여성가족부 장관의 입장**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은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을 통해 정부 국정과제를 긴밀히 협력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여가부의 이번 대책은 성평등한 사회를 조성하고 다양한 가족의 안정된 생활을 지원하며, 여성과 아동·청소년의 권리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원문보기
### [공무원 징계 기준 강화…디지털 성범죄 및 음주운전 방조에도 강력 대응]
앞으로 공무원이 딥페이크 성 비위, 음란물 유포, 스토킹과 같은 디지털 성범죄를 저질렀을 때 파면·해임 등 최고 수준의 징계가 내려질 전망입니다. 또한, 음주운전을 부추기거나 이를 은닉·방조하는 행위에도 새로운 징계 기준이 마련됩니다.
—
#### **디지털 성범죄 및 스토킹: 징계 기준 대폭 강화**
인사혁신처는 16일 공무원 징계령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며 디지털 성범죄 및 과잉접근 행위(스토킹)에 대한 별도 징계 기준을 신설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에 따라 딥페이크 등 첨단 조작 기술을 활용한 허위 영상물 제작·유포, 음란물 유포 등은 기존 기타 항목에서 벗어나 성 관련 비위로 구체화되며, 최고 수준의 징계인 파면·해임 처리가 적용됩니다.
스토킹과 같은 과잉접근 행위도 고의성과 심각성이 확인될 경우 파면될 수 있도록 강화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이러한 행위들이 품위 유지 의무 위반 중 ‘기타’로 포함돼 징계 수위가 낮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
#### **음주운전 방조·은닉: 징계 기준 신설**
이번 개정안에서는 음주운전과 관련한 방조 및 은닉 행위에 대해서도 징계 기준이 새롭게 마련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행위들이 징계 대상이 됩니다:
1. **음주운전을 부추기는 행위**: 음주 사실을 알면서도 차량 열쇠를 제공하거나 운전을 권유한 경우.
2. **운전자 바꿔치기 및 허위 진술**: 음주운전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운전자로 내세우거나 허위로 진술한 경우.
기존에는 이러한 행위들이 명확한 징계 기준이 없어 품위 유지 의무 위반의 기타 항목으로 분류되며 적정한 처벌이 어려웠습니다. 앞으로는 관련 비위에 따른 적절한 징계가 가능합니다.
—
#### **인사혁신처: “청렴한 공직사회 구현 노력”**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은 이를 통해 “공직사회 내의 중대한 비위를 일벌백계함으로써, 국민에게 신뢰받는 청렴한 공직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입법예고 기간을 거쳐 오는 12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
### **참고**
* 문의: 인사혁신처 복무과(044-201-8433)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공무원들의 도덕적 책임과 윤리를 강화하며, 이를 통해 공직 사회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확보할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 금융위원회, 비상장주식 및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제도화 위한 법령 개정
금융위원회는 16일 국무회의에서 비상장주식 및 조각투자 증권의 장외거래소 제도 도입을 위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기존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시험적으로 운영되던 장외거래소를 본격적인 제도하에 편입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 **주요 내용**
#### 1. **비상장주식 및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전용 투자중개업 신설**
– 비상장주식 및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운영을 위한 **전용 인가 단위**가 신설된다.
– 장외거래소 인가 요건:
– 최소 자기자본
– 사업계획 타당성 및 건전성
– 인력·물적 설비
– 대주주 적격성 및 사회적 신용
#### 2. **샌드박스에서 제도화로 전환**
– 시행령·감독규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 기준이 도입:
– 매수·매도 호가 공개
– 가격이 일치하는 주문 간 거래 체결
– **증권사 간 결제 허용**:
– 기존 샌드박스에서는 동일 증권사 계좌 간 매매만 가능했으나, 증권사 간 거래를 허용하여 투자 편의성과 시장 유동성을 높임.
#### 3. **조각투자 거래소 도입**
– 기존 샌드박스에서는 본인 발행 조각투자 상품만 중개 가능했으나, 이제 다양한 사업자가 발행한 조각투자 상품을 한 곳에서 거래 가능.
– 투자자 입장에서 다양한 제품 간 비교와 투자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 4.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 활성화**
– 비상장주식 발행 및 조각투자를 통한 자산 유동화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이 원활할 것으로 예상.
—
### **향후 계획**
– 개정안은 다음 주 공포 후 즉시 시행될 예정.
– 구체적인 사항은 ‘금융투자업규정’ 및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과 함께 적용.
– 비상장주식 장외거래소는 기존 샌드박스 사업자 2개 사를 대상으로 우선 인가 절차를 진행하며, 조각투자 장외거래소는 별도의 운영 방안(2023년 9월 발표)에 따라 인가 신청이 진행될 예정.
—
이번 제도화를 통해 투자자 보호와 거래 편의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며,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문의: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02-2100-2644)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원문보기
### 정부, ‘123대 국정과제’ 본격 추진…국정 운영 5년 로드맵 확정
정부는 16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새정부의 5개년 국정운영 계획을 담은 ‘123대 국정과제’를 확정했습니다. 이번 확정된 과제는 국가 비전 아래 5대 목표, 23대 전략, 123대 실천과제로 구성되어 향후 국가 발전의 로드맵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입니다.
—
### 주요 내용 및 국정과제 방향
#### 1. **국민 주권 강화를 위한 개혁**
– 국민참여 확대 및 숙의 공론화를 통한 민주주의 기반 강화.
– 권력기관 개혁(수사·기소 분리, 경찰국 폐지 등)과 과거사 치유를 통한 국민통합 실현.
#### 2. **경제 혁신과 독자 AI 생태계 구축**
– AI 중심 국가 비전 제시: ‘AI 고속도로’ 구축 및 5대 강국 목표.
– 미래 전략산업 육성(바이오헬스, 반도체 등)과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 3. **균형성장을 통한 지역발전**
– 행정수도 세종 완성 및 2차 공공기관 이전 추진.
– 농어촌 및 자치분권 활성화를 위해 기본소득 도입과 공공직불 확대.
#### 4. **안전한 사회 및 복지체계 강화**
– 아동수당 확대,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산재 국가책임 실현.
– 성평등가족부 개편 및 노동권 강화, 실노동시간 단축 법안 추진.
#### 5. **국익 중심 외교·안보**
– ‘3축 방어체계’ 고도화 및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준비 완료.
– 남북 기본협정 체결 추진 및 방산 역량 강화로 글로벌 영향력 확대.
—
### 국정과제 관리 및 국민소통 강화
정부는 정책 추진 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국민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민관합동 현장점검과 국민만족도 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며, 성과 평가에도 국민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을 설정했습니다.
—
### 국정과제 실현을 위한 평가 및 향후 계획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규제 합리화, AI 기반 행정 혁신 등 각 부처별 역점 과제를 중점적으로 평가할 예정입니다. 특히 국민 의견과 정책 변화 여건을 반영해, 이행계획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며 실효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의 뜻을 담은 123대 국정과제를 통해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국정과제의 지속 점검과 보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앞으로 정부는 소통과 책임 행정을 바탕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성과를 구현하고, 지속 가능한 국가 발전에 주력할 것입니다.
원문보기
### 내년부터 페트병 제조업체, 연간 5000톤 이상 사용 시 재생원료 10% 의무화
2024년 1월부터 연간 5000톤 이상의 페트병을 제조하는 먹는샘물 및 비알코올 음료 제조업체는 재생원료를 최소 10% 사용해야 한다. 이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자원 순환 체계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새로운 규제다.
환경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1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으며, 본격적인 시행은 2026년 1월 1일부터 시작된다.
—
#### **주요 내용 및 배경**
1.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 지난 3월 개정된 ‘자원재활용법’을 바탕으로 도입된 이 제도는 제조업체가 플라스틱 재생원료를 제품에 다시 투입하는 순환 경제 체계를 구축하도록 의무를 부여한다.
– 음식과 음료용기로 재활용되는 제품의 안전성 검증은 식약처가 담당하며, 환경부는 수거-선별-재활용 등의 과정을 인증하게 된다.
2. **무색 페트병 활용에 집중**
– 무색 투명 페트병을 우선적으로 재활용 대상을 설정하여 원료의 순환 체계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재활용 원료 제작에 필요한 품질 검증도 1년 동안 이루어졌으며, 용기와 내용물의 상태 변화가 없음을 확인했다.
3. **단계적 의무 확대**
– 2024년 10% 의무 사용률로 시작해, 재생원료 사용 목표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2030년까지 연간 1000톤 이상 페트병을 사용하는 업체로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재생원료 의무 사용 비율도 30%로 상향 조정할 방침이다.
—
#### **국제적 흐름에 맞춘 순환경제 확립**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재생원료 사용의무 제도는 순환경제사회로 가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제도”라며, 무색 페트병을 시작으로 재활용 인증 체계를 점차 다른 플라스틱 재질과 품목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정책은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할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되며, 기업의 협력과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가 중요한 관건으로 꼽힌다.
#### **문의**
환경부 자원재활용과 (044-201-7381)
원문보기
### 해양수산부,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비전 제시
해양수산부가 새 정부의 해양수산분야 국정과제를 확정하며,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고 **K-해양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16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과제가 확정됐으며, 이는 지난달 발표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실행 가능성을 종합 검토한 결과입니다.
—
## ### 주요 국정과제와 정책 목표 ###
### 1.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
해양수산부는 **부산 청사 이전을 연내 완료**하고, 부산을 대한민국 해양 경제의 중심 허브로 육성할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 **선사 이전협의회 출범:** 국내 대형 선사 HMM 등 주요 선사의 부산 이전 지원
– **쇄빙성능 선박 지원:** 국적선사에 보조금 지원하여 북극항로의 상업적 이용 촉진
– **항만 개발 및 물류 육성:** 북극 화물별 거점항만 및 배후부지를 글로벌 물류 중심지로 발전
– **친환경 선박 개발:** IMO 온실가스 배출 규제 대응 및 자율운항선박·쇄빙 컨테이너선 기술 개발
### 2. 어촌·연안 경제 활성화
기후 위기에 대응하며 어촌과 연안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 **수산물 유통 효율화:** 직거래 및 온라인 거래 확대, 전국 콜드체인 유통망 구축
– **어촌 주거·일자리 개선:** 청년 어업인 정착 지원, 섬 주민 의료서비스 강화
– **해양관광 활성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와 차별화된 국가해양생태공원 개발
– **해상풍력 보급:** 내년 3월 해상풍력법 시행에 맞춰 계획적인 입지 지정 및 어업인 이익공유 모델 도입
### 3. 흔들림 없는 해양주권과 청정 바다 조성
국내 해역의 안전과 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 **불법조업 단속:** 관할해역 감시 및 외국어선 조업 단속 강화
– **해양 안전관리:** AI 기반 재난관리체계 확립, 어선 안전관리 개선
– **해양쓰레기 전 주기 관리:** 대규모 해양보호구역 지정, 폐기물 처리 인프라 확충
—
## ###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의 비전 ###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이번 국정과제는 새 정부의 철학과 비전을 담은 결과물로, 북극항로 시대의 돌파구를 마련하면서도 해양산업 전반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한 “어촌 경제 진흥과 해양주권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
이번 발표는 대한민국의 해양수산 분야가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기회로 여겨지며, 연내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예산 확보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 정부, 지반침하와 다중운집사고 대응 강화… 사회재난 유형 확대
정부가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지반침하 현상**과 **다중운집 사고**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합니다.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체계를 개선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이 16일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오는 **10월 2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 **사회재난 유형에 ‘지반침하로 인한 대규모 피해’ 신설**
지반침하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물적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사회재난 유형**에 포함시켜 관리 체계를 강화합니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지반침하 관련 대규모 피해를 **재난관리 주관부처**로 지정해 관련 시설물 점검 및 대응 체계를 전담하게 됩니다.
– **조치 내용**:
– 각 중앙행정기관(환경부, 산업부 등)이 특정 지하시설물 관련 지반침하 문제를 소관하며, 피해 예방 및 대응의 책임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 지반침하 발생 시 신속한 복구 및 재난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계기관의 **교육·훈련 및 긴급 대응** 체계가 강화될 전망입니다.
—
### **다중운집 사고의 예방조치 구체화**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축제, 공연 등에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과 책임을 확장합니다.
– **주요 사항**:
– 실태조사는 해마다 실시하며, **최대 운집 인원이 5000명 이상**인 행사나 **1일 이용객 다수 시설**(공항, 철도역, 대형 판매시설 등)을 대상으로 실행합니다.
– 위험 상황 발생 시 지자체장이 행사 중단을 **권고하거나 다중 해산을 요청**할 수 있도록 명확한 절차를 마련했습니다.
– 경찰과 협력해 보행안전 및 질서 유지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 **재난 현장 통합지원 체계 강화**
피해자 지원을 전문화하고 재난 현장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실시기관’** 제도를 본격 도입합니다.
– **지원 내용**:
– 피해자들이 필요로 하는 복구, 구호, 금융, 보험 서비스 등을 관련 기관들이 통합적으로 제공합니다.
– 지정된 기관에는 한국전력공사, 도시가스사업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정부 입장**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개정안은 변화하는 사회적 재난 양상에 대응하며 국민의 안전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재난관리 역량**을 국민 눈높이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___
행정안전부는 관련 문의를 위해 **안전정책총괄과(044-205-4120)**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 추석 앞두고 바가지요금 근절 나선 행정안전부… 물가 안정 대책 추진
다가오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바가지요금 근절 및 명절 성수품 물가 안정**에 나섭니다. 행정안전부는 국민이 물가 부담 없이 추석을 준비하도록 9월 17일부터 10월 9일까지를 ‘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해 긴급 대책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습니다.
—
#### **◆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한 집중 단속**
정부는 **관광지, 전통시장, 지역축제**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당요금 징수, 계량 위반, 가격표시제 위반** 등의 불공정 행위를 철저히 감시할 계획입니다.
– 지자체는 **‘바가지요금 신고센터’를 상시 운영**해 소비자 신고가 들어오면 즉각 현장 조사에 착수합니다.
– 위반 사항 적발 시, 법적 조치로 경각심을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시정 권고, 과태료 부과 등 강력 제재를 통해 바가지요금 행위 근절에 나섭니다.
– 또한, 지역별 **우수 사례 조례를 전파**하며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외식업 협회와 협력해 위생 및 가격표시 준수도 강조할 예정입니다.
—
#### **◆ 성수품 가격 안정 및 정보 투명성 제고**
– 각 지자체에서 조사한 **성수품 가격 동향**은 누리집에 공개해 누구나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을 돕습니다.
– 물가대책상황실을 운영해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신속히 대응할 계획입니다.
—
#### **◆ 전통시장 이용 편의 지원**
– 국민이 전통시장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9월 26일부터 10월 9일까지 **전국 439개 전통시장 주변 도로에 최대 2시간 주차를 허용**합니다.
단, **소방시설, 어린이보호구역 등 안전과 직결된 장소**는 주차 허용에서 제외됩니다.
—
#### **◆ 윤호중 장관: “현장을 꼼꼼히 챙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최근 바가지요금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행안부와 지자체가 팀을 이루어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민생을 위한 주차 허용 등 세심한 조치를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명절 준비에 나설 수 있도록 현장을 꼼꼼히 살피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이번 추석은 6일간의 긴 연휴로 소비와 관광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물가 안정 및 소비자 보호** 조치로 국민 신뢰를 얻고, 명절 분위기를 더 따뜻하게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발표 자료
– 공식 누리집 (www.korea.kr)
원문보기
### 산업부, 국정과제 추진으로 국민 체감 성과 창출 목표
산업통상자원부는 123대 국정과제 중 자신에게 해당하는 7개의 주요 과제를 적극 추진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16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국정과제의 일부로, 산업부는 ▲첨단산업 국가 도약 ▲국익·실용 중심의 통상 ▲친환경 에너지 대전환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입니다.
—
### 주요 국정과제 내용
#### 1. **신성장동력 발굴·육성**
– **산업 AI 확산**: AI 팩토리와 휴머노이드를 통해 2030년까지 산업 AI 활용률을 70% 수준으로 확대.
– **바이오헬스 산업 강화**: 바이오 파운드리 구축 및 첨단 의료기기 상용화로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을 35% 이상 증가.
– **기후테크 및 방산 육성**: 탄소감축 기술, 청정수소, 사용 후 배터리 등 기후 관련 산업 활성화 및 방산 강국으로 도약.
#### 2. **주력산업 혁신**
–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통해 주요 산업(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을 업그레이드.
– 철강 및 석유화학 산업을 저탄소·고부가가치로 전환하며 대·중소기업 간 기술 협력 모델도 확산 지원.
#### 3. **통상·경제안보**
– 보호무역 및 공급망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안보 체계 확립.
– 희소금속 비축 확대 및 공급망 안정화 전용 비축기지 건설 추진.
#### 4. **에너지 고속도로**
– **전력망 구축**: 서해안 HVDC(고압직류송전) 조기 구축 및 2040년대 한반도 U자형 전력망 완성.
– 인공지능 기반 전력망 효율화 및 수요관리 혁신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
#### 5. **재생에너지 활성화**
– 태양광 및 해상풍력 입지 다각화, 이격거리 완화 등 제도 개선.
–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지역 균형 성장 지원.
#### 6. **탄소중립**
– 탄소감축 투자지원 체계 정비 및 해외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순환경제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추진.
#### 7. **균형성장**
– 남부산업벨트 조성을 통해 지역 산업위기 극복 및 균형성장 선도.
—
### 국정과제 실행 계획
산업부는 관계 부처, 지자체, 민간과 긴밀히 협력하며 국정과제의 실행력을 높일 것입니다. 또한 각 과제의 성과를 정기적으로 점검·공개하여 산업현장과 국민 생활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담당관실 (044-203-5521)
—
이러한 정책 추진은 첨단 산업 강화,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 균형성장 등을 중심으로 국가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새 정부의 보훈 정책 발표: “특별한 희생에 합당한 특별한 보상”
국가보훈부는 2023년 10월 16일, 새로운 정부의 국정과제로 **”나라를 위한 헌신에 합당한 보상과 예우 실현”**과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보훈 체계 구축”**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가 유공자와 그 가족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보훈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루겠다는 대통령 철학을 반영한 것이다.
—
### 주요 정책 및 변화 사항
#### 1. **나라를 위한 헌신에 합당한 보상과 예우**
– **합리적 보훈보상체계 재정립**
– 참전유공자 고령·저소득 배우자에게 생계지원금 신설.
– 재해부상군경 7급도 부양가족수당 지급 대상에 포함.
– 참전명예수당, 6·25 신규승계자녀수당 등 비교적 낮은 보상금의 추가 인상.
– 지자체 간 참전수당 격차 해소를 위한 가이드라인 강화.
– **보훈의료 및 복지 사각지대 해소**
– 보훈병원이 없는 지역에는 준보훈병원을 설립하고, 동네의원을 활용해 위탁의료기관을 2030년까지 2000개로 확대.
– 보훈주치의제 신설 및 방문진료 확대.
– AI 기반 고독사 예방서비스 도입.
– **제대군인 권익 보장**
–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군 복무 경력을 공공부문 임금책정에 의무 반영.
–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점진적 인상 및 기간 확대.
– **독립유공자 및 유족 예우 강화**
– 생존 애국지사의 특별예우금 및 간병비 인상.
– 독립유공자 유족의 위탁병원 이용 연령 제한 완화.
—
#### 2.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보훈 체계 구축**
– **국민통합 보훈 추진**
– 국가보훈위원회의 대표성과 투명성 강화.
– ‘보훈문화진흥법’ 제정 및 관련 정책 추진.
– **보훈문화 체감도 향상**
– 주요 역사적 기념행사(광복 80주년, 4·19혁명 70주년 등)를 국민참여형으로 전환.
– 신규 국립묘지 및 현충시설 건립으로 국가유공자 예우 상징공간 확대.
– **국격 제고를 위한 보훈**
– 유엔참전국 및 독립운동 관련 국가와 국제적 교류 협력 확대.
– 국외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 및 유해 봉환 사업 추진.
—
### 권오을 장관의 강조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나라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으로 답해야 한다는 것은 우리의 책무”라며,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이 합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체제를 책임 있게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 의미와 전망
이번 국정과제 발표는 보훈 체계를 보다 종합적이며 세대 간 균형 잡힌 방향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국가유공자에 대한 합당한 예우뿐만 아니라 국민통합과 국격 제고도 동시에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균형발전과 지속 성장을 주제로 여러 국정과제를 발표했습니다. 그는 “행정수도 세종의 완성은 대한민국의 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세종 집무실과 세종의사당 건립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를 “지역균형발전 상징”으로 언급하며,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지방 소멸 등 국가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지역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닌 운명”이라며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5극3특’ 전략에 속도감을 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그는 청년 취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청년 일자리 창출은 국가 경쟁력과 경제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며, 청년 고용난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세심하게 추진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날 국무회의에서 123대 국정과제가 의결되었으며, 이 대통령은 이를 통해 국민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글로벌 선도국가로 자리잡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그는 “국정과제를 나침반 삼아 지속 점검하고 이행하겠다”며, 국민 모두를 위한 대통령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원문보기
### 정부, AI·자율주행·로봇 신산업 규제 개선 추진
한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로봇 등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미래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규제 합리화에 나섰습니다. 2023년 9월 15일, 이재명 대통령은 관계부처 장관, 기업 관계자 및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를 주재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과거 정부의 규제개혁 한계를 반성하며, 복잡하게 얽힌 규제를 해소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습니다. 기술 패권 경쟁과 글로벌 불확실성 시대에서 신산업 규제 개선은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
### 주요 발표 내용
#### 1. **AI 데이터 활용 규제 개선**
– **저작권 데이터 활용 확대**: AI 학습을 위한 저작권 데이터 사용 허용을 적극 추진하며, 저작물 공정이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불확실성을 완화합니다. 저작권 거래 비용 절감을 위한 정책도 올해 내에 수립될 예정입니다.
– **공공데이터 개방 강화**: 공공데이터 제공 확대를 통해 기업과 기관의 데이터 활용을 촉진합니다. 이에 따라 가명정보 제도 운영 혁신 방안과 공무원 책임 부담 완화를 위한 면책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 2. **자율주행 모빌리티 규제 합리화**
– **원본 영상 데이터 활용 허용**: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통해 자율주행 학습 목적의 보행자 원본 영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실증지역 확대**: 현재 47개 시범운행지구를 도시 단위로 확대해 충분한 실증 데이터를 확보합니다. 자율주행 특화 데이터센터 구축 및 관련 지원도 강화해 경쟁력을 높일 예정입니다.
#### 3. **로봇 산업 규제 개선**
– **오래된 규제 정비**: 주차,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로봇 활용 산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기존 규제를 대대적으로 개선합니다. 로봇 안전 기준과 인력 대체 가능성 평가를 면밀히 검토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합니다.
#### 4. **기업성장 지원 및 경제형벌 합리화**
– **기업 규모별 규제 개선**: 성장형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중복된 대기업 집단 규제를 조정해 기업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합니다.
– **형벌 규정 완화**: 경제형벌의 과도한 적용을 개선하며, 1차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하고 연말까지 후속조치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
### 향후 계획
정부는 “규제샌드박스 레벨업” 및 “메가특구”를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자유로운 실험과 도전을 가능하게 하고, 규제를 일정 기간 배제하는 제도를 도입해 혁신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정부는 신속하고 과감한 규제 개선으로 국내 신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문의: 국무조정실 규제총괄정책관실 (044-200-2397, 2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