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국가AI전략위원회’ 출범…이 대통령 “AI 기술은 국력이자 경제력”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이 주도하는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9월 8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첫 회의에서는 AI 3대 강국 비전을 이루기 위한 4대 원칙과 구체적인 AI 액션플랜 추진 방향이 논의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인공지능 기술로 산업 혁신과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되며,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포용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English The National AI Strategy Committee, chaired by President Lee Jae-myung, officially launched on September 8.
The first meeting discussed four key principles and specific action plans to achieve the vision of becoming one of the top three global AI leader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drive innovatio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AI, with a focus on inclusive access to AI for all.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が主導する国家AI戦略委員会が9月8日に正式に発足しました。
初会合では、AI 3大強国ビジョンの実現に向けた4つの原則と具体的なアクションプラン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AI技術を通じた産業革新と生活の質向上を目指し、誰もがAIを活用できる包摂的なアプローチが注目されます。
中文 由李在明总统主持的国家人工智能战略委员会于9月8日正式成立。
首次会议探讨了实现AI三大强国愿景的四大原则及具体行动计划方向。
总评 此政策致力于通过AI技术推动产业创新和提高生活质量,强调让所有人都能平等获取AI资源的包容性视角。
Italiano Il Comitato Nazionale per la Strategia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presieduto dal Presidente Lee Jae-myung, è stato ufficialmente lanciato l’8 settembre.
Durante il primo incontro sono stati discussi i quattro principi chiave e i piani d’azione specifici per realizzare la visione di diventare una delle tre principali potenze mondiali nell’I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promuovere l’innovazione e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grazie all’IA, sottolineando un approccio inclusivo per un accesso equo per tutti.
한·일 국방장관, 10년 만에 서울 회담…’한반도 비핵화’ 재확인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과 일본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공조를 지속하고 국방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양국 국방장관은 역내 전략 환경 변화와 관련된 협력을 확대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인 협력 가능성을 탐구하기로 했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안보 협력 수준을 높임으로써 갈수록 복잡해지는 지역 안보 환경 속에서 안정화를 도모하려는 노력이 돋보입니다.
English South Korea and Japan have agreed to maintain trilateral cooperation with the U.S. to address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s.
The defense ministers emphasized enhancing strategic communication and exploring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n areas like advanced technologies.
Summary This agreement reflects efforts to strengthen security and tackle challenges in a rapidly evolving regional environment.
日本語 韓国と日本は北朝鮮の核・ミサイル脅威に対応するため、米韓日協力を継続し、国防協力を強化することで合意しました。
両国の国防相は戦略的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拡大し、AIや宇宙を含む先端技術分野の協力可能性を模索しました。
総評 地域の安全保障環境が急速に変化する中、安定化を図る意欲的な努力として評価できます。
中文 韩国和日本同意维持韩美日三方合作,以应对朝鲜核武及导弹威胁。
双方国防部长强调加强战略沟通,并探索如AI、太空等领域的互惠合作可能性。
总评 此协议体现了双方在迅速变化的区域安全环境中提升稳定合作的努力。
Italiano Corea del Sud e Giappone hanno concordato di mantenere la cooperazione trilaterale con gli Stati Uniti per affrontare le minacce nucleari e missilistiche della Corea del Nord.
I ministri della difesa hanno sottolineato la necessità di intensificare la comunicazione strategica e di esplorare la cooperazione reciproca in settori come le tecnologie avanzat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dimostra l’impegno nel rafforzare la sicurezza in un ambiente regionale che cambia rapidamente.
문체부, R&D 예산 역대 최대 1515억 원 투자…문화산업 기술 혁신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는 내년 연구개발 예산을 1515억 원으로 확정하고, ‘케이(K)-컬처 AI 산소공급 프로젝트’를 포함해 역사상 최대 규모로 편성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예산은 콘텐츠 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도모하고, 공공 문화시설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하며, 융합형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세계 소프트파워 5대 문화강국’ 목표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문화와 기술 융합을 통해 국내 AI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국민들이 AI 기술을 더 쉽게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announced a record-high R&D budget of 151.5 billion KRW for next year, including the “K-Culture AI Oxygen Supply Project.”
The budget aims to promote AI transformation in the content industry, integrate AI technologies into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nurture talent to position Korea as one of the world’s top five cultural powers in soft power.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drive the growth of Korea’s AI industry and create more accessible opportunities for people to experience AI seamlessly in everyday life.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来年の研究開発予算を1515億ウォンと史上最大規模で確定し、「K-カルチャーAI酸素供給プロジェクト」を含む政策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予算は、コンテンツ産業全般のAI転換を進め、公共文化施設にもAI技術を活用し、融合型人材を育成して「世界のソフトパワー5大文化強国」の目標達成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政策は、文化と技術の融合を加速し、AI技術がより身近に体験できる社会を作り上げ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文化体育观光部宣布明年的研发预算将达1515亿韩元,为史上最高规模,并包含“韩流AI氧气供给项目”。
该预算旨在推动内容产业的AI转型,将AI技术应用于公共文化设施,并培养融合型人才,以助力实现“全球软实力五大文化强国”目标。
总评 此政策预计不仅推动韩国AI产业发展,还能让AI技术更贴近民众日常生活。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nunciato un budget record di 151,5 miliardi di KRW per la ricerca e sviluppo del prossimo anno, inclusi progetti come il “K-Culture AI Oxygen Supply Project”.
Il piano mira a promuovere la trasformazione AI nell’industria dei contenuti, integrare tecnologie AI nelle strutture culturali pubbliche e formare talenti per posizionare la Corea tra le prime cinque potenze culturali mondiali in soft power.
Valutazione Questa politica stimolerà lo sviluppo dell’industria AI in Corea e permetterà ai cittadini di sperimentare più facilmente le tecnologie AI nella vita quotidiana.
추석 대비 공항·역사 승강기 안전점검…연휴 전 위험요소 보완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추석을 앞두고 9월 8일부터 30일까지 주요 공항과 철도역사의 승강기 321대를 특별 점검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주요 안전장치, 에스컬레이터의 사고 방지 환경 등을 점검하고, 위험 요인은 추석 전에 보완 조치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또한 추석 연휴 동안 260명 규모의 상황대응반을 운영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점검과 대응 계획은 추석 연휴 동안 많은 사람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예방 조치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a special inspection of 321 elevators at major airports and train stations from September 8 to 30,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The inspection will focus on key safety devices and escalator environments, with any risks addressed before the holiday begins.
A 260-member response team will be on standby during the holiday to quickly handle any incident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ensure a safe and smooth travel experience for everyone during the Chuseok holiday.
日本語 行政安全部は、9月8日から30日までの間、主要な空港や鉄道駅で321台のエレベーターを特別点検すると発表しました。
点検では重要な安全装置やエスカレーターの環境を確認し、危険要因は休暇前に修正する予定です。
また、連休中には260名規模の対応班が配置され、迅速に対応できる体制を確保します。
総評 この施策は、チュソク休暇中に利用者が安心して移動できることを目的とした重要な安全対策で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宣布将在9月8日至30日期间,对主要机场和铁路车站的321台电梯进行特别检查。
重点检查重要安全装置及扶梯环境,如发现隐患将在节日前完成整改。
节日期间还将安排260人的应急小组,确保快速应对事故发生。
总评 这一措施旨在让民众在中秋节期间安全出行,特别是应对高峰人流具有重要意义。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un’ispezione speciale di 321 ascensori presso aeroporti e stazioni ferroviarie principali dall’8 al 30 settembre, in vista delle vacanze di Chuseok.
Le verifiche si concentreranno sui dispositivi di sicurezza principali e l’ambiente delle scale mobili, con eventuali rischi affrontati prima delle festività.
Durante il periodo festivo, sarà operativo un team di risposta rapida composto da 260 membri per gestire eventuali incidenti.
Valutazione Queste iniziative mirano a garantire un’esperienza di viaggio sicura e senza problemi durante le vacanze di Chuseok.
올 연말까지 ‘입시비리’ 집중신고 운영…예체능계 더 철저 조사
요약보기
한국어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 입학 원서 제출 준비에 맞춰 8일부터 연말까지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을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입학 관련 비리를 신고받아 감사 절차를 통해 조사하고, 공정한 입시제도 운영을 위해 징계 시효를 3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는 등 강력한 대응체계를 마련했습니다.
특히 예체능계 입시비리는 더욱 철저히 조사할 방침입니다.
총평 이번 집중신고 기간은 입시 공정성을 높이고, 반복되는 비리를 예방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launch of a “Focused Reporting Period on Admission Fraud” from September 8 to the end of the year to prevent and swiftly address admission-related misconduct.
The initiative includes extending the statute of limitations on disciplinary actions for school faculty from 3 to 10 years and intensifying investigations, particularly in arts and sports admissions.
Summary This period aims to reinforce fairness in university admissions and deter future misconduct, benefiting students and institutions alike.
日本語 教育部は、2026年度大学の願書提出開始に合わせて、9月8日から年末まで「入試不正集中申告期間」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教職員の不正行為に対する懲戒時効を3年から10年に延長し、特に芸術・体育分野の入試不正を徹底的に調査する体制が整えられました。
総評 この集中申告期間は、入試の公平性を高めるとともに、不正を防止する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教育部宣布自9月8日至年底启动“高考舞弊集中举报期”。
此举包括将教职人员违规行为的处罚时效从3年延长至10年,并特别加强对艺术类高考舞弊的调查力度。
总评 此次举报期旨在强化高考公平性,有望为考生及教育环境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l’Istruzione ha annunciato l’introduzione di un “Periodo di Segnalazione Intensa sulle Frodi nei Test di Ammissione” dall’8 settembre alla fine dell’anno.
La misura prevede l’estensione della prescrizione disciplinare da 3 a 10 anni e un’attenzione particolare alle frodi nei settori artistici e sportiv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fforza la trasparenza nei processi di ammissione e promuove l’equità a beneficio dell’intero sistema educativo.
김 총리, 한국거래소 방문…”역대 어느 정부보다 자본시장 존중”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방향을 논의하며 생산적 자금 유입과 경제 활력을 강조했습니다.
참석자들은 KOSPI 5000 달성을 위한 정책 일관성과 자본 유입 확대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글로벌 불확실성을 극복할 방안을 조언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한국 경제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며, 첨단 산업 투자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Kim Min-seok visited the Korea Exchange on the 9th, emphasizing policy discussions to revitalize the capital market and promote productive fund flows to boost economic vitality.
Participants stressed the need for consistent policies and expanded capital inflows to achieve the KOSPI 5000 goal, suggesting measures to counter global uncertaintie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boost South Korea’s economic growth potential while enhancing investment opportunities in cutting-edge industries.
日本語 キム・ミンソク国務総理は9日、韓国取引所を訪れ、資本市場活性化の政策方向を議論し、経済活力の促進を強調しました。
参加者たちは、KOSPI 5000達成に向けた政策の一貫性と資本の流入拡大の必要性を指摘し、グローバルな不確実性に対応する方策を提案し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韓国経済の成長潜在力を高め、先端産業への投資の拡大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金敏锡国务总理于9日访问韩国交易所,就资本市场活性化的政策方向进行了讨论,并强调促进生产性资金流动和增强经济活力的重要性。
与会者指出,为实现KOSPI 5000目标,需要政策的一致性以及扩大资本流入,并提出了应对全球不确定性的建议。
总评 这一政策有望提高韩国经济的增长潜力,并促进对高新技术产业的投资。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visitato la Borsa di Corea il 9 settembre, sottolineando l’importanza di discutere le politiche per rivitalizzare il mercato dei capitali e promuovere il flusso di fondi produttivi per aumentare la vitalità economica.
I partecipanti hanno sottolineato la necessità di politiche coerenti e di un’espansione degli afflussi di capitale per raggiungere l’obiettivo del KOSPI 5000, proponendo misure per affrontare le incertezze glob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incrementare il potenziale di crescita economica della Corea del Sud e a offrire nuove opportunità di investimento nelle industrie avanzate.
중국 단체관광객 내년 6월까지 한시 무비자 관광 허용…내수진작 기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최대 15일 간 무사증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 제도는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단체관광객에 대해 비자 없이 한국 전역을 여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관광 산업 활성화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관광업 활성화와 지방경제 발전에 기회를 제공하지만, 무단이탈 방지와 관리 강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English Starting from September 29 this year until June 30 next year, South Korea will implement a visa-free entry system for Chinese group tourists for up to 15 days.
Under this measure, groups organized by designated travel agencies can visit the entire country visa-free, with expectations of boosting the tourism industry and local economies.
Summary While this policy could revitalize tourism and regional economies, strict management is crucial to minimize unauthorized departures.
日本語 韓国政府は今年9月29日から来年6月30日まで、中国の団体観光客を対象に最大15日間の無査証制度を実施します。
指定旅行会社が募集した団体観光客は韓国内をビザなしで観光でき、観光業界や地方経済に良い影響を及ぼす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観光業活性化と地方経済の振興に寄与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が、不法滞在防止の厳格な管理も必要です。
中文 韩国政府将于今年9月29日至明年6月30日期间,对中国团体游客实行最长15天的免签制度。
经指定旅行社组织的团体游客可以免签游览韩国全境,这一措施有望促进旅游业发展并带动地方经济活力。
总评 此政策虽将推动旅游行业与地方经济,但严格管理以防非法滞留亦非常重要。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introdurrà, dal 29 settembre di quest’anno al 30 giugno dell’anno prossimo, un regime di esenzione dal visto per i turisti cinesi in gruppo per un massimo di 15 giorni.
I gruppi organizzati da agenzie di viaggio designate potranno visitare l’intero paese senza visto, con l’obiettivo di incentivare il turismo e rilanciare le economie locali.
Valutazione Questa misura potrebbe stimolare il settore turistico e le economie regionali, ma è fondamentale un controllo rigoroso per prevenire irregolarità.
수도권에 5년 간 주택 135만 호 공급…”실수요자에 공정하게 공급”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서울 및 수도권에서 2030년까지 총 135만 호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매년 27만 호 착공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도심 내 유휴부지 활용, 용적률 상향 및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통해 효과적인 주택 공급과 기존 거주민의 재정착을 지원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주택 부족 문제 해결과 도심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지만, 실효성을 높이려면 실행 과정에서 주민과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set a goal to supply 1.35 million homes by 2030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starting construction on 270,000 homes annually.
This involves utilizing unused urban lands, increasing building density, and promoting redevelopment projects to enhance housing supply and support current residents’ relocation.
Summary While this policy aims to solve housing shortages and improve urban environments,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during implementation will be crucial for its success.
日本語 政府は2030年までにソウル及び首都圏で135万戸の住宅供給を目指し、毎年27万戸の着工を計画しています。
未利用都市用地の活用、容積率の引き上げ、再開発・再建築事業を促進し、住宅供給を拡大すると同時に居住者の移転を支援します。
総評 住宅不足解消や都市環境改善への貢献が期待されますが、実施にあたり居住者との対話が成果にとって重要な鍵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计划到2030年在首尔和首都圈供应135万套住宅,每年新开工27万套。
这一计划将通过利用闲置城市用地,提高容积率以及促进重建与改造项目来实现,同时支持现有居民的重新安置。
总评 此政策有望解决住房短缺并改善城市环境,但落实过程中需要重视与居民的沟通,以确保效果最大化。
Italiano Il governo ha fissato l’obiettivo di fornire 1,35 milioni di case entro il 2030 a Seul e nelle aree metropolitane, con l’avvio di 270.000 nuove costruzioni ogni anno.
L’utilizzo di terreni urbani inutilizzati, l’incremento della densità edilizia e la promozione di progetti di ricostruzione aiuteranno a migliorare l’offerta abitativa e a sostenere il trasferimento dei residenti attuali.
Valutazione Questo piano potrebbe risolvere la carenza di abitazioni e migliorare l’ambiente urbano, ma una comunicazione efficace con i residenti sarà cruciale per il successo dell’attuazione.
K-스마트팜, 북미시장 개척 시동…캐나다서 로드쇼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9일부터 11일까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합니다.
국내 스마트팜 기업 9개 사가 참가해 기술 및 제품을 홍보하고, 현지 바이어 10개 사와 1:1 수출 상담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캐나다 원예 연구기관을 방문해 시장 동향을 파악하며, 진출 전략 설명회와 관련 정보 공유도 이루어집니다.
총평 이 행사는 한국 스마트팜 기업에게 북미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현지 적응력과 혁신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판로를 열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TRA will host the K-Smart Farm Roadshow in Toronto, Ontario, Canada, from November 9 to 11.
Nine Korean smart farm companies will participate to showcase their technologies and products, conducting one-on-one export consultations with ten local buyers.
The event also includes visits to Canadian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ions to explore market trends and information sharing on entry strategies.
Summary This event is a significant step for Korean smart farm companies to expand into the North American market, leveraging their innovation and adaptability to open new pathway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と大韓貿易投資振興公社(KOTRA)は、11月9日から11日までカナダのオンタリオ州トロントでK-スマートファームロードショーを開催します。
9つの韓国スマートファーム企業が参加し、技術や製品を宣伝し、現地のバイヤー10社と1対1の輸出相談を行う予定です。
また、カナダの園芸研究機関を訪問し市場の動向を把握し、進出戦略説明会や関連情報の共有も行われます。
総評 このイベントは、韓国スマートファーム企業が北米市場での進出機会を拡大し、革新性と適応力をもとに新たな販路を開拓する貴重な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农林畜产食品部和大韩贸易投资振兴公社(KOTRA)将于11月9日至11日在加拿大安大略省多伦多举办K-智能农场路演。
9家韩国智能农场企业将参加,展示其技术和产品,并与10家当地买家进行一对一出口洽谈。
活动还包括参观加拿大园艺研究机构,以掌握市场趋势,并分享进军战略和相关信息。
总评 此次活动为韩国智能农场企业拓展北美市场提供了重要契机,凭借其创新性和适应力可望开辟新市场。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i e Affari Rurali (MAFRA) e KOTRA organizzeranno il K-Smart Farm Roadshow a Toronto, Ontario, Canada, dal 9 all’11 novembre.
Nove aziende coreane di smart farm parteciperanno per presentare le loro tecnologie e prodotti, conducendo colloqui di esportazione individuali con dieci acquirenti locali.
L’evento include anche visite a istituti di ricerca orticola canadesi per esplorare le tendenze di mercato e condividere informazioni sulle strategie di ingresso.
Valutazione Questo evento rappresenta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le aziende coreane di smart farm di espandersi nel mercato nordamericano, sfruttando innovazione e adattabilità per aprire nuovi mercati.
보건복지분야 종사자 성희롱·성폭력 상담체계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의 직장 내 성희롱과 성폭력 상담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와 협력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분야 종사자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상담 콘텐츠를 제공해 상담사 교육에 활용하며, 관련자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도 계획 중입니다.
총평 복지 분야 특성을 반영한 상담체계 구축은 종사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plans to strengthen workplace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counseling systems for health and welfare worker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y aim to provide tailored educational content for counselors and improve support services for victims in these sectors.
Summary Tailored support systems will play a crucial role in protecting the rights and safety of worker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日本語 保健福祉部は、保健福祉分野の従事者に対する職場でのセクハラや性暴力相談体制を強化するため、雇用労働部や女性家族部と協力を拡大すると発表しました。
分野特化型の相談員教育コンテンツ提供を進め、今後さらなる連携強化も計画されています。
総評 福祉分野で働く人々の安全保障と権利保護に向けた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保健福利部宣布,将与雇佣劳动部和女性家庭部扩大合作,强化保健福利领域从业者在职场中的性骚扰和性暴力咨询体系。
通过开发针对性教育内容并提供给咨询员,该领域受害者的保护和支持将得到加强。
总评 此举将有助于保障保健福利从业者的职业安全及权益。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Benessere ha annunciato il rafforzamento dei sistemi di consulenza contro le molestie sessuali nei luoghi di lavoro per i lavoratori del settore socio-sanitario, in collaborazione con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a Famiglia.
Saranno sviluppati contenuti educativi specifici per i consulenti e pianificate ulteriori misure di supporto.
Valutazione Questo approccio mira a garantire maggiore sicurezza e tutela dei diritti per i lavoratori nel settore della salute e del benessere.
올해 임금체불 피해 노동자 17만여 명…체불액 절반은 수도권
요약보기
한국어 올해 7월 기준 임금 체불 총액은 1조 3421억 원에 달하며, 피해 노동자는 17만 300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수도권 지역이 전체 체불액의 52%를 차지했으며, 노동부는 체불 방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근로감독 권한 위임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임금 체불 문제를 지방과 협력해 해결하려는 시도로, 노동자들의 경제적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As of July this year, the total amount of unpaid wages reached 1.3421 trillion won, affecting 173,000 workers.
Over 52% of unpaid wages were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areas, prompt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enhanc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push for the delegation of labor inspection authority.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address wage arrears through local partnerships, fostering greater financial security for workers.
日本語 今年7月時点で未払い賃金の総額は1兆3421億ウォン、被害を受けた労働者は17万3000人に上ることが判明しました。
首都圏で未払い額の52%が集中しており、労働部は地方自治体との協力を強化し、労働監督権限の委譲を進める計画で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未払い賃金問題を地方と連携して解決し、労働者の生活を安定させ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截至今年7月,工资拖欠总额达到1.3421万亿韩元,涉及17.3万名劳动者。
其中首都圈欠薪金额占52%,劳动部计划加大与地方政府合作力度,并推进劳动监察权的授权工作。
总评 这一措施旨在通过地方合作解决工资拖欠问题,有望提升劳动者的经济稳定性。
Italiano A luglio di quest’anno, l’ammontare degli stipendi non pagati ha raggiunto 1,3421 trilioni di won, coinvolgendo 173.000 lavoratori.
Oltre il 52% degli arretrati si concentra nelle aree metropolitane, e il Ministero del Lavoro intende rafforzare la cooperazione con i governi locali e trasferire loro l’autorità ispettiv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isolvere il problema degli stipendi arretrati lavorando in sinergia con le autorità locali, promuovendo una maggiore sicurezza economica per i lavoratori.
[정책 바로보기] 고용부 “산업·일자리전환 지원금 사업성과 제고···산업전환 대응”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일자리 전환 지원금의 집행률이 낮아 정부가 사업 참여 활성화를 위해 홍보와 컨설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내년 건강보험료는 0.1%p 인상되며, 희귀·난치질환 치료 보장 확대 등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사용될 예정입니다.
총평 산업 지원금은 참여 조건 완화와 홍보로 효과를 높이고, 보험료는 필요한 의료 서비스 개선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s working to boost participation in the low-utilized industrial job transition subsidy program through increased promotion and consulting.
Next year’s health insurance rate will rise by 0.1%p to support public healthcare initiatives such as expanded coverage for rare and chronic diseases.
Summary The efforts aim to make industrial grants more effective while health insurance plans focus on improving essential healthcare services.
日本語 政府は利用率が低い産業・雇用転換補助金事業の活性化を目指して、宣伝活動やコンサルティングを強化しています。
来年の健康保険料率は0.1%ポイント引き上げられ、難治性疾患の治療保証拡大など公衆衛生の強化に使用される予定です。
総評 産業補助金の効率性を高める試みと、健康保険料の引き上げは必要な医療サービス向上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政府正在加强宣传和咨询,以提高利用率较低的产业就业过渡补贴计划的参与度。
明年健康保险费率将提高0.1个百分点,用于支持稀缺和慢性病治疗的覆盖扩展以及强化公共医疗服务。
总评 产业补贴计划旨在增强实效,而保险费的调整则支持更必要的医疗服务改进。
Italiano Il governo sta intensificando la promozione e il supporto per aumentare la partecipazione al programma di sovvenzione per la transizione industriale e lavorativa, attualmente poco utilizzato.
Il tasso di assicurazione sanitaria del prossimo anno aumenterà dello 0.1% per finanziare servizi sanitari essenziali come il trattamento delle malattie rare e croniche.
Valutazione Gli sforzi mirano a rendere i sussidi industriali più efficaci, mentre il rincaro delle tariffe sanitarie supporta il miglioramento dei servizi medici necessari.
외교부, 미 조지아주 한국 기업 단속에 “국민 보호 총력”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우리 국민 300여 명 구금 사건에 대해 현지 대응, 영사조력 제공, 신속대응팀 파견 등을 논의하며, 우리 투자기업의 권익 침해 방지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한미 고위급 협력을 통해 법 집행의 공정성과 사건 해결을 촉구하고, 관련 공조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총평 이번 대응은 해외에서 활동하는 국민과 기업의 안전을 보호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며, 비슷한 상황에 대한 신속 대응 체계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English South Korea’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a meeting to address the detention of over 300 Korean nationals in Georgia, U.S., discussing consular assistance, deploying a rapid response team, and ensuring fair law enforcement.
The government emphasized protecting the rights of its citizens and investors, strengthening U.S.-South Korea cooperation for the swift resolution of the issue.
Summary This effort highlights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protecting Korean citizens and businesses abroad, stressing the need for a robust rapid response framework in such cases.
日本語 外交部は米国ジョージア州で起きた韓国人300人以上の拘束事件について、対策会議を開催し、現地支援や迅速対応チームの派遣を検討するとともに、企業の権益侵害の防止に全力を尽くす方針を示しました。
また、米韓高官間の協力を強化し、公正な法執行と迅速な事件解決を求めました。
総評 この対応は海外で活動する国民と企業を守る政府の意志を示しており、迅速な対応の重要性を浮き彫りにしています。
中文 韩国外交部就美国乔治亚州300余名韩国公民被拘事件召开会议,讨论提供领事协助、派遣应急小组,并表示将全力保护韩国投资企业的权益免受侵害。
韩美间将加强高层协作,督促公平执法并加速解决问题。
总评 此次应对彰显了政府保护海外公民和企业的决心,强调快速应对机制的重要性。
Italiano Il Ministero degli Esteri sudcoreano ha discusso la detenzione di oltre 300 cittadini coreani in Georgia, negli Stati Uniti, lavorando su assistenza consolare, invio di una squadra di risposta rapida e protezione dei diritti degli investitori coreani.
Il governo ha evidenziato la necessità di cooperazione con gli Stati Uniti per garantire applicazioni legali e rapide soluzioni dei problemi.
Valutazione Questo intervento dimostra l’impegno del governo nel tutelare cittadini e imprese all’estero, sottolineando l’importanza di risposte tempestive a situazioni simili.
요약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9월 8일 서울에서 공식 출범하며, 대한민국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액션플랜을 발표했습니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AI가 가져올 산업과 사회적 변화,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적 역할이 강조되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 1. **출범식 및 비전 발표**
–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서울스퀘어에서 공식 출범했으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행사와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 이 대통령은 AI가 단순 기술 혁신을 넘어 삶과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임을 강조하며, AI를 기반으로 한 문명사적 대전환이 우리 경제력과 안보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 2.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4대 원칙**
이재명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과 4대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1. **포용적 AI**: 모든 사람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람 중심의 AI를 지향하며,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포괄적인 접근을 강조.
2. **민관 협력**: 민간 주도의 창의성과 역동성을 정부가 전략적으로 지원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3. **AI 친화적 시스템**: 법, 제도, 생태계를 AI 중심으로 재편해 글로벌 AI 경쟁력 강화.
4. **균형 발전**: 전 국토의 균형 잡힌 AI 발전과 지역 특화 산업을 통한 기회 확산.
#### 3. **위원회의 주요 안건**
– AI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국가 AI컴퓨팅 센터 설립 방안 논의.
– AI기본법 하위법령 및 운영세칙 제정.
– 대한민국 AI액션플랜은 11월까지 각 부처의 세부 이행과제를 포함하여 완성될 예정.
#### 4. **추진 전략 및 기대 효과**
– **AI 혁신 생태계 조성**: 세계적 수준의 AI 기술과 인재 확보 및 독자적인 AI모델 개발.
– **산업 및 공공 영역 확대**: AI를 기반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개선.
– **글로벌 AI 이니셔티브**: 국방, 문화 등 특화된 산업의 AI 결합으로 성장 동력 창출 및 수출 확대.
– **보편적 AI 혜택 제공**: 모든 국민이 AI 기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글로벌 선도국의 위상을 확립.
#### 5. **민간 위원 위촉**
위원회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8개 분과위원회의 위원장이 위촉장을 받았으며, 각 분과는 기술혁신, 데이터 관리, 인재 육성 및 글로벌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게 됩니다.
### 기대 및 전망: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의 출범은 대한민국이 AI를 통해 산업체질을 선진화하고, 경제성장과 국력 강화를 위한 체계적 기반을 마련하려는 중요한 단계로 평가됩니다. 특히 AI를 균형 발전의 도구로 활용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국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비전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한국과 일본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공조를 지속하며 국방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국방부는 10월 8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대신이 서울안보대화를 계기로 국방장관회담을 열고 공동 언론발표문을 채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일본 방위대신의 방한이 10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이라는 상징적인 해에 성사되었습니다.
### 주요 합의 내용
1. **국방 당국 간 소통 강화**
양국 장관은 국방장관회담과 상호방문을 포함한 정례 협의와 인적 교류를 활성화하며 군사적 신뢰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오는 11월 일본 자위대 음악축제에 한국 군악대가 참여하는 것을 환영하며, 문화적 교류도 지속적으로 촉진하기로 했습니다.
2. **북핵·미사일 위협 공동 대응**
양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한미일 간 협력을 이어나가기로 했습니다. 또한 최근 심화되고 있는 북한-러시아 간 군사 협력에 대해서도 공동 대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3. **미래지향적 협력**
급변하는 안보 환경에서 양국 간 협력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AI, 무인체계, 우주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도 상호 호혜적인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며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담은 한일 간 대화를 통해 국방 협력을 미래지향적으로 강화하고, 동맹국인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과 기타 안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평가됩니다.
국방부는 이번 합의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협력 정책을 추진하며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원문보기
### 문체부, K-컬처 강화 위해 연구개발(R&D) 예산 역대 최대 규모 편성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K-컬처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2024년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1,515억 원으로 확정**했다고 8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2023년 대비 454억 원(42.7%) 증가한 수준으로, 이전 정부에서 감액되었던 예산을 대폭 상향한 것입니다.
### 주요 프로젝트: ‘K-컬처 AI 산소공급 프로젝트’
문체부는 이번 투자 확대의 핵심 프로젝트로 **’K-컬처 AI 산소공급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K-컬처를 중심으로 한 전후방 산업의 파급력을 극대화하고, **인공지능 세계 3강 도약**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콘텐츠 산업의 기획, 제작, 수출 등 전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해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도모하고, 한국문화와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해 **자국 중심의 인공지능 기술 기반(소버린 AI)**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정책 목표: 문화산업과 AI 기술 접목
최근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생성형 AI 기술이 큰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문체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문화, 체육, 관광 등 문화기술 분야에 적극적으로 AI를 도입할 방침입니다. 특히, 공공 문화시설에 AI를 활용해 국민들이 AI 기술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며, **융합형 AI 인재 양성** 사업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문체부 정책담당자는 “문화산업은 아이디어에 기반한 고부가가치 창출의 신성장동력”이라며, “산업의 튼튼한 기반인 문화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예산 증액 배경과 기대 효과
– **지난 정부 예산 축소 극복:** 2023년 1,062억 원에서 2024년 1,515억 원으로 큰 폭의 증액을 이뤄냄.
– **글로벌 문화강국 목표:** K-컬처를 활용해 “세계 소프트파워 5대 문화강국”을 목표로 문화산업의 경쟁력 강화.
– **지속 가능성 강조:** 산업 전반에 AI 기술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문화기술 분야 R&D에 적극 투자.
이처럼 확대한 예산을 통해 문체부는 K-컬처를 기반으로 한 문화산업이 한국 경제의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
**문의정보 및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부서(문의: 044-203-2416)
관련 자료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 행정안전부, 추석 연휴 앞두고 주요 공항·철도역사 내 승강기 특별점검 실시
행정안전부는 추석 연휴를 대비해 **9월 8일부터 30일까지** 주요 공항과 철도역사의 승강기에 대해 특별점검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명절 기간 귀성·귀경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 **점검 대상 및 주요 내용**
– **점검 대상**: 전국 주요 공항 및 철도역사 내 승강기 321대(12개소)
– **점검 범위**: 주요 안전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와 에스컬레이터의 넘어짐·연쇄 전도 사고 방지 대책, 대기선 과밀 방지를 위한 통행환경 등
– **사후 조치**: 점검 중 발견된 위험 요소는 **추석 연휴 전까지 보완 조치 완료** 계획
#### **최근 5년간 명절 연휴 승강기 사고 현황**
명절 연휴 기간 동안 승강기의 고장 및 갇힘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이번 특별점검은 그동안의 사고 사례를 참고해 보다 밀착된 예방 활동을 추진한다.
#### **상황대응반 운영**
추석 연휴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승강기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상황대응반(260명 규모)이 가동될 예정이다.
– **역할**: 비상연락체계 유지, 사고 발생 시 신속 대응
– **운영 주체**: 행정안전부와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공동
#### **행정안전부 관계자 발언**
김용균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은 “추석을 맞아 국민들이 승강기 이용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철저한 사전 점검과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추가 문의 사항은 **행정안전부 승강기정책과(044-205-4299)** 또는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사고조사단(044-868-5934)**로 연락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이번 특별점검은 추석 연휴 동안 많은 인파가 몰릴 주요 시설에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들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사전 조치로 평가된다.
원문보기
### 교육부,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 운영…공정한 입시를 위해 총력
2026학년도 대학 입학원서 제출이 시작됨에 따라, **교육부**는 입시비리를 예방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3년 9월 8일부터 연말까지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을 운영합니다. 이 조치는 대입 공정성을 확보하고 입시비리를 근절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의 일환입니다.
—
#### **집중신고 기간 개요**
1. **운영 기간:** 2023년 9월 8일 ~ 12월 31일
2. **신고 대상:**
– 신입생 충원을 위해 재학의사가 없는 학생을 조직적으로 모집하여 허위 등록하는 행위
– 면접·실기 평가과정에서 규정을 어긴 사례
– 예체능계 입시에서 불공정 행위
3. **신고 방법:**
– 신고는 **교육부 누리집 내 ‘입시비리 신고센터'(https://fair-edu.moe.go.kr)**를 통해 가능하며, 신고 시 비리 주체, 내용, 취지, 관련 증거 등을 첨부해야 합니다.
4. **보호 방침:**
신고자의 개인정보는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따라 철저히 보호됩니다.
—
#### **예체능 분야에 대한 집중**
특히, 음대와 같은 예체능계에서 발생하는 입시비리는 규정 위반 사례가 잦아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예체능 분야에서 불공정한 대입 제도의 문제는 공정성 강화의 주요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
#### **징계 시효 연장으로 강력한 처벌 근거 마련**
2024년 2월 15일부터는 관련 법령 개정으로 인해, **국·공·사립학교 교원이 입시와 관련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경우 징계 시효가 기존 3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됩니다. 이는 입학 관련 비위에 더 엄중히 대처하기 위한 법적 기반이 될 것입니다.
—
#### **입시비리 대응 체계 강화**
교육부는 올해 초 **입시비리조사팀**을 신설하며 이와 같은 이슈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신고센터로 접수된 비위 행위는 감사 절차를 거쳐 철저히 조사되며, 위반 사항에 대한 엄정한 대응이 이루어질 방침입니다.
교육부 김도완 감사관은 “공정하고 투명한 입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신고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집중신고 기간 동안의 제보가 입시비리 근절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 **문의**
– **교육부 감사관실 입시비리조사팀:** 044-203-6089
공정한 입시를 위한 교육부의 이러한 노력은, 입시비리에 대한 국민들의 감시를 통해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번 집중신고 기간은 교육 현장의 신뢰를 되찾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 김민석 총리, “자본시장을 존중하는 정부가 되겠다” 강조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한국거래소를 방문하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 의지를 천명했다. 간담회 자리에서 김 총리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자본시장을 존중하는 정부가 되겠다”는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
#### **경제 활력 및 선순환 구조 확립**
간담회에서 김 총리는 자본시장이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 유입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경제활력을 높이며, 이를 통해 성장의 과실이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경제가 대내외적인 구조적 도전과 변동성에 직면한 상황을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의 5년이 우리 경제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시기”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자본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
#### **KOSPI 5000 달성과 국정 과제**
이번 간담회는 새 정부의 국정 과제 중 하나인 **’코리아 프리미엄을 향한 자본시장 혁신’**과 KOSPI 5000 달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거래소의 고위 임원과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주요 증권사 애널리스트 및 투자은행 이코노미스트가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전문가들은 우리 증시의 최근 성과가 새 정부의 **’신 자본시장적 정책’**에 대한 시장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으며, 정책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치열해지는 산업 경쟁 속에서 자본시장이 첨단 및 유망 산업으로의 자금 유입을 촉진해 경제 성장잠재력을 회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주가조작 대응단 방문**
김 총리는 7월 한국거래소에 설치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도 방문한 바 있다. 그는 자본시장의 불공정 거래를 막기 위한 대응 현황을 점검하며, 주가조작과 같은 불공정거래를 철저히 색출하고 엄정 대응해 **투명하고 공정한 자본시장 육성**에 기여할 것을 요구했다.
—
#### **정부의 정책 방향**
간담회에서 김 총리는 자본시장 활성화와 자본 배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자금 흐름 개선**: 생산적 부문에 자금 유입 촉진.
– **정책 일관성 유지**: 시장 기대에 부응하는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 추구.
– **불공정 거래 근절**: 공정한 시장 생태계 구축.
—
이번 간담회는 새 정부가 중점 두고 있는 자본시장 혁신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정책 반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앞으로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원문보기
### 중국 단체관광객, 최대 15일 무비자 입국 허용…관광 활성화 기대
정부는 2023년 9월 29일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최대 15일 동안 무비자(무사증) 입국을 허용하는 한시적인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번 조치는 국내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목표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가 협력해 마련한 후속방안으로, 지난 8월 관광 활성화 TF 회의에서 발표된 계획의 구체화를 의미합니다.
#### 주요 내용
– **적용대상**: 문체부 및 재외대한민국공관이 지정한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최소 3인 이상의 단체관광객.
– **체류범위**: 제주특별자치도는 기존 30일 무비자 체류 제도를 유지하며, 이를 제외한 한국 전역에서 최대 15일간 관광 가능.
– **입국절차**: 단체관광객 명단은 입국 24시간(선박 이용 시 36시간) 전에 하이코리아(www.hikorea.go.kr)에 등록.
#### 단체관광객 무단이탈 방지 강화
– 고위험군(불법체류 이력, 입국규제 대상)은 무비자 입국 대상에서 제외되며, 사증을 별도 발급받아야 입국 가능.
– 무단이탈 방지를 위해 전담여행사의 책임을 강화. 이탈률이 분기별 2%를 초과할 경우 지정 취소 및 2년간 등록 제한.
– 고의적이거나 공모로 발생한 이탈 사고 시 즉각 지정 취소 조치.
#### 저가 관광 및 관광 부작용 방지
– 쇼핑 강요, 부실한 관광 서비스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전담여행사를 대상으로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
– 저가 여행상품에서의 무단 결함을 방지하고, 우수 여행사 지원을 통해 품질 높은 관광상품 개발을 장려.
#### 기대 효과
– 관광업 활성화를 통해 음식, 숙박, 면세점 등 관광 관련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
– 수도권과 지방 관광지의 고른 관광객 분포로 지역경제 활성화.
– 한중 간 교류 확대를 통해 양국 국민 간 이해 및 우호 관계 증진 예상.
#### 입국 절차 안내 및 전담여행사 지정 일정
– 법무부는 9월 15일부터 전담여행사 등록절차를 시작하며, 중국 국경절 연휴(10월 초)를 대비해 9월 22일부터 단체관광객 명단 등재 가능.
– 문체부는 여행사에 대한 설명회와 교육을 통해 시행 계획에 대한 이해를 도울 예정.
### 참고 문의
– **법무부 출입국심사과**: 02-2110-4045
– **문체부 국제관광과**: 044-203-2829
– **외교부 동북아1과**: 02-2100-7353
–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 044-200-2366
### 마무리
이번 한시적 무비자 제도는 중국 단체관광객의 유입 확대를 통해 한국 관광산업의 재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국내 여행업계의 질적 성장과 한중 관계 강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길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 정부가 발표한 주택 공급 확대 방안 – 2030년까지 135만 호 착공 목표
정부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매년 27만 가구의 신규 주택을 착공해 2030년까지 총 135만 호를 공급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최근 3년간 공급 실적 대비 1.7배 수준이며, 매년 약 11만 호가 추가로 공급되는 규모입니다. 이번 대책은 국민 체감도와 실현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착공 기준’으로 물량을 산정해 관리됩니다.
—
### 주요 내용
#### **신속한 공공주택 공급**
1. **LH의 역할 강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주택용지를 민간에 매각하지 않고 직접 주택 건설사업을 시행해 공급 속도를 높이고, 용적률 상향을 통해 추가적인 주택 공급을 추진합니다.
2. **공공택지 조기 공급**: 공공택지 절차를 개선해 지연 요소를 없애고, 수도권에서 총 37만 2000호의 주택을 신속히 공급할 예정입니다.
3. **비주택용지 전환**: 상업용지 및 장기간 사용되지 않은 비주택용지를 주택용지로 전환해 추가 공급(약 1만 5000호)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도심 내 주택 공급 확대**
1. **노후시설·유휴부지 활용**: 도심 내 30년 이상 된 노후 공공임대주택을 재건축하여 약 2만 3000호를 공급하며, 유휴 국공유지와 노후 공공청사 등을 복합 개발해 2만 8000호를 추가로 공급합니다.
2. **학교부지 등 활용**: 미사용된 학교부지를 개발해 약 3000호를 공급하고, 서울 내 유휴부지(예: 송파구 위례업무용지)를 개발해 약 4000호 주택을 추가 공급합니다.
3. **도심복합사업 활성화**: 공공 도심복합사업에서 용적률을 높이고 사업 기간을 단축해 약 5만 호를 공급하고, 1기 신도시의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통해 약 6만 3000호를 추가적으로 공급합니다.
#### **민간 주택사업 활성화와 규제 개선**
1. **규제 완화**: 주택 실외 소음기준 및 과도한 학교용지 기부채납 요구 등 기존 규제를 합리화해 민간 건설사업을 촉진합니다.
2. **비아파트 공급 확대**: 모듈러 공법을 활용한 주택 공급과 도심 내 공실 상가를 활용한 주택 공급 모델을 도입합니다.
#### **주택 시장 안정화 방안**
1. **불법행위 단속 강화**: 정부는 부동산 시장 감독 기능을 강화하며 불법 거래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관련 조사·수사 조직을 신설합니다.
2. **대출 규제 강화**: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LTV) 비율을 상향(기존 50% → 40%)하며, 주담대를 제한하고 대출 수요 관리 조치를 시행합니다.
—
### 기대 효과
정부의 이번 대책은 공급 속도 및 물량을 늘려 주거 안정에 기여하며, 도심과 역세권 등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의 공급을 확대해 국민의 주거 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정한 주택 시장 구조 확립과 실수요자 중심의 공급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문의: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044-201-3318)
– 기획재정부 부동산정책팀(044-215-2851)
–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02-2100-1696)
– 국세청 부동산납세과(044-204-3417)
원문보기
### 캐나다 토론토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 개최, 한국 스마트팜 해외 진출 본격화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오는 9일부터 11일(현지 시간)까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합니다. 이 행사는 한국 스마트팜 기업의 기술과 제품을 해외에 소개하고, 수출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캐나다 스마트팜 시장과 한국의 진출 기회
캐나다는 농산물 생산·유통 환경이 기후와 거리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며, 스마트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으로의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캐나다는 한국 스마트팜 기업이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경쟁력이 충분한 지역으로 평가됩니다. 이번 로드쇼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코트라가 북미 지역 최초로 캐나다에서 개최하는 행사로, 그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주요 행사 내용
이번 로드쇼에는 국내 9개 스마트팜 관련 기업이 참여하여 현지 구매업체 10개와 1:1 수출 상담을 진행합니다. 행사에서는 캐나다 원예 연구기관(Vineland Research & Innovation Centre)의 실증단지를 방문하여 지역 농업 동향과 수요를 파악하는 시간을 가지며, 캐나다 스마트팜 진출 전략 설명회도 함께 진행됩니다.
또한, 지역 농업부 관계자와 원예 연구기관 등이 캐나다의 스마트농업 현황과 기술 협력 기회를 발표하며, 한국 스마트팜 기업의 현지 구축 사례도 소개될 예정입니다.
#### 농식품부의 지원 전략
농림축산식품부와 코트라는 이번 로드쇼를 통해 성사된 수출 상담이 장기적으로 수주 및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특히,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계약을 추진하거나 현지 실증이 필요할 경우, 관련 비용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캐나다는 글로벌 스마트팜 기업들이 이미 시장에서 자리 잡고 있지만, 여전히 진출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곳”이라며, “한국 스마트팜 기업들이 혁신성과 현지 적응력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문의
자세한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실 농산업수출진흥과로 문의 가능합니다.
문의: 044-201-2477
한국 스마트팜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이번 로드쇼가 향후 어떤 성과를 가져올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 성희롱·성폭력 상담체계 강화
8일 보건복지부는 보건복지 영역 종사자들의 직장 내 성희롱 및 성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보건복지 분야의 고유한 근무 환경 및 특성상 성희롱·성폭력 피해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피해 예방과 지원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 **보건복지 분야의 특성과 현황**
– **보건복지 종사자 규모:** 약 329만 명으로 전체 산업 종사자의 11.3%를 차지하며, 이 중 여성이 81.6%나 된다.
– **폐쇄적 근무 환경:** 소규모 기관 및 방문형 돌봄, 재가요양 등이 많은 보건복지 분야는 폐쇄적이며, 이러한 환경에서 피해를 참고 넘어가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 **여성 중심 종사 분야:** 여성 취업자의 20.7%가 보건복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어 성희롱 및 성폭력 문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욱 크다.
#### **강화된 상담체계와 교육 콘텐츠**
복지부는 두 기관과 협력하여 상담사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상담 업무에 적용하도록 했다. 고용노동부의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와 여성가족부의 **여성긴급전화1366**이 해당 콘텐츠를 활용해 보건복지 종사자를 더 잘 이해하고 돕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1.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 직장 내 성희롱이나 고용상의 성차별 피해에 대해 상담·자문을 제공하며 일상 복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2. **여성긴급전화1366**: 성폭력, 스토킹, 가정폭력 등 여성 대상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긴급 구조 및 보호·상담 창구.
#### **향후 계획과 협력 방향**
복지부는 올해 사회복지 분야를 시작으로 보건의료,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맞는 맞춤형 상담사 교육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 협력 외에 다른 부처와도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임호근 보건복지부 정책기획관은 “보건복지 분야에서 종사자들의 성희롱·성폭력 상담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다른 부처와 협력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
원문보기
### 올해 임금 체불 현황: 수도권에 집중
**2023년 7월 기준, 임금 체불 문제와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 **임금 체불 총액**: 1조 3421억 원
– **체불 피해 노동자 수**: 17만 3000명
**수도권 체불 현황**
서울 및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체불액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며, 6974억 원(52.0%)에 달했습니다. 이는 수도권에 사업체와 노동자가 집중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
**체불액 상위 5개 지방자치단체**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에 따르면,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체불액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기도**: 3540억 원(4만 3200명)
2. **서울시**: 3434억 원(4만 7000명)
3. 기타 지역: 39억 원~756억 원 범위, 전체 0.3~5.6% 비중
각 지역별로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체불 사례가 두드러지며, 서울은 운수·창고·통신업, 제주는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체불이 높았습니다.
—
### 고용노동부의 대응 및 향후 계획
고용노동부는 임금 체불이 중앙정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정부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임금체불 예방 및 근절 대책을 다음과 같이 계획**하고 있습니다:
1. **정기적인 현황 공유**
매월 시·도별 체불 현황을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해 지역 맞춤형 대책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2. **합동 단속 실시**
2023년 10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전국적으로 대규모 체불 합동 단속을 추진합니다.
3. **근로감독 권한 위임 제도 마련**
지방자치단체에도 근로감독 권한을 위임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
**김유진 노동정책실장의 발언**
고용노동부는 “지역 특성을 가장 잘 아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노동권 사각지대를 줄이고 체불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다짐했습니다.
—
이는 임금체불 근절을 위해 중앙정부와 자치단체가 조화를 이루며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사례로 평가됩니다.
원문보기
### [정책 바로보기: 산업·일자리 전환 지원금 현황과 건강보험료 인상 소식]
**1. 산업·일자리 전환 지원금: 성과 제고를 위한 노력**
산업·일자리 전환 지원금은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사업주 및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재훈련과 전직 지원 서비스입니다. 최근 언론에서 지원금 도입 이후 집행률이 저조하다는 문제를 지적했는데, 특히 3년 연속 15%를 밑돌았다는 내용이 화제가 됐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는 사업 성과를 끌어올리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집행률 저조의 주요 원인으로는 기업이나 근로자 입장에서의 인력 부족, 복잡한 절차, 기존 훈련지원 사업과의 유사성이 언급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고용부는 세부 전략을 통해 사업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 **사업 참여 저조 이유**: 업무 공백, 정책 복잡성, 훈련계획 수립 부담 등
– **대응책**:
– 석유화학 등 위기 산업 대상 홍보 강화
– 관심 업체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 제공
– 훈련과 전직지원 관련 지원금 수요 발굴
이로써, 산업변화 및 환경적 전환 과정에서 더 많은 기업과 근로자를 지원하겠다는 목표입니다.
—
**2. 건강보험료 인상: 국민을 위한 든든한 지원**
2024년 건강보험료율이 올해 대비 0.1%p 증가해 7.19%로 결정되었습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월 평균 보험료가 약 2,235원 증가하며, 지역가입자의 경우 월 평균 1,280원 증가됩니다.
이번 인상은 보장성 강화와 필수 공공의료 확충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난치질환 및 희귀질환 치료비 지원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또한 국민이 부담을 덜 느낄 수 있도록 본인부담상한제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도 마련되었습니다.
– **건강보험료 활용 계획**:
– **희귀·난치성 질환 환자 치료 지원** 강화
– **지역필수 및 공공의료 확대**를 통한 의료 접근성 개선
– 간병비 및 의료 서비스 품질 유지
이는 국민 건강과 의료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며 지속 가능한 보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
### 요약 및 결론
이번 정책 바로보기에서는 산업·일자리 전환 지원금 집행률 문제와 대응책, 그리고 불가피한 건강보험료 인상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두 가지 모두 현재 사회적 필요에 집중하여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국민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앞으로 정책 추진 효과가 더 많은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출처: KTV 국민방송, 한국정책방송원*
원문보기
### 미국 조지아주 구금된 한국인 300명…외교부, 긴급 대책회의 개최
외교부는 지난 6일 오후 조현 외교부 장관 주재로 미국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불법체류 단속과 관련하여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안은 미국 당국이 현지 공장 건설현장에서 단속을 벌여 한국인을 포함한 약 475명을 체포한 사건과관련된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 **합동회의 주요 내용**
– **참석자**: 외교부 1·2차관, 주미국대사관 및 주애틀랜타총영사관 관계자, 재외국민보호·영사 정부대표 등.
– **논의 사항**: 구금된 약 300여 명의 한국인에 대한 신속한 영사조력 방안, 사건의 공정한 해결을 위한 대응책.
조현 장관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통령의 지시를 재차 강조하며, “미국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기업과 국민의 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지 대응을 위해 신속대응팀 파견과 같은 인력 보강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 **미국과 긴밀한 소통 계획**
외교부는 대한민국 기업 및 경제부처들과 협력하여 이번 사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미국 정부와의 긴밀한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고위급 인사의 미국 방문도 신중히 고려 중이다.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같은 날 앨리슨 후커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과의 통화를 통해 이번 사건의 경위를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한미 정상 간 신뢰관계가 형성된 중요한 시기에 이 사태가 발생한 점을 유감을 표명하며 빠른 해결을 촉구했다.
### **미국 국무부 입장**
앨리슨 후커 정무차관은 미국 국무부가 이번 사건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하며, 양국 간 긴밀한 협조를 지속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한국의 대미 투자 활동과 연관된 사안인 만큼 유관 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 **향후 계획**
– 외교부는 구금된 국민들을 위해 현지 대응반을 통한 영사조력 제공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 경제 및 법적 협력과 더불어 미국 측과의 지속적 협의를 통해 국민 보호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사건은 한국의 대미 투자 확대와 긴밀한 한미 관계가 중요시되는 시점에서 발생해 외교적 해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국민의 권익을 확보하고 신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방면에서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