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8월 농축산물 물가 4.4%↑…농식품부, 추석 물가 대비 총력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축산물의 소비자 물가 안정 대책으로 공급 확대와 할인 행사를 추진 중입니다.
특히 배추, 쌀 등 주요 품목의 공급 상황을 관리하며 추석 성수기를 대비한 계약재배 물량 공급과 할인 판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축산물과 일부 가공식품의 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추가 대책도 발표하였습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추석을 앞두고 농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통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working to stabilize consumer prices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by expanding supply and organizing discount events.
Efforts include managing key items like napa cabbage and rice while preparing for Chuseok demand through contract cultivation and discounted sales.
Additional measures were introduced to address price increases in livestock and processed food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alleviate the financial burden on consumers by stabilizing prices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specially ahead of Chuseok.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農畜産物の消費者物価安定策として供給拡大と割引イベントを実施中です。
白菜や米を中心とした主要品目の供給状況を管理し、中秋節供給に向けた契約栽培量の確保や割引販売を計画しています。
畜産物や加工食品の価格上昇に対する追加的な対策も発表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対策は、中秋節を控えた農畜産物価格の安定化を通じて、消費者の経済的負担を軽減す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品食品部正在通过扩大供应和开展折扣活动来稳定农畜产品的消费者价格。
重点管理如白菜、大米等主要品种的供应状况,同时为中秋节期间供应做好契约种植量调配和折扣销售计划。
此外,还发布了应对畜产品和部分加工食品价格上涨的附加措施。
总评 此举旨在通过稳定农畜产品价格,尤其在中秋节前夕,来减少消费者的经济负担。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ll’Alimentazione e degli Affari Rurali sta lavorando per stabilizzare i prezzi al consumo dei prodotti agricoli e zootecnici attraverso il potenziamento delle forniture e iniziative di sconti.
Tra gli interventi figurano la gestione dell’offerta di prodotti chiave come il cavolo cinese e il riso e la preparazione di coltivazioni su contratto e vendite scontate in vista della festa di Chuseok.
Sono state inoltre annunciate misure supplementari per affrontare l’aumento dei prezzi di prodotti zootecnici e alimenti trasformati.
Valutazione Queste misure mirano ad alleggerire il peso economico sui consumatori stabilizzando i prezzi, soprattutto in vista del periodo festivo della Chuseok.
구 부총리 “공급망 안정·수출시장 다변화 위해 아세안과 협력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대외경제 관련 주요 정상회담 성과를 바탕으로,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과 신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한미 제조업 협력 강화 및 한일 경제안보 소통 확대, 아세안과의 협력 심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기업 부담을 줄이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이번 대책은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plans to implement follow-up measures to U.S. tariff negotiations and develop a new external economic strategy based on the outcomes of key international summits.
The measures aim to strengthen Korea-U.S. manufacturing partnerships, enhance economic security dialogue with Japan, and deepen cooperation with ASEAN countries.
Summary These initiatives are expected to reduce business burdens and bolster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stronger global partnerships.
日本語
政府は主要な国際首脳会談の成果を基に、米国関税交渉のフォローアップ支援策と新たな対外経済戦略を実施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れにより、韓米製造業協力の強化、日韓経済安全保障対話の充実、ASEAN諸国との連携深化が目指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企業負担を軽減し、グローバルな協力を強化することで産業競争力の向上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计划根据重要国际首脑会议的成果,落实美国关税谈判的后续支持政策,并制定新的对外经济战略。
该举措旨在加强韩美制造业合作、深化韩日经济安全对话及强化与东盟国家的合作。
总评 这项政策有望减轻企业负担,加强国际合作,提高产业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piani per attuare misure di supporto successive ai negoziati tariffari USA e sviluppare una nuova strategia economica esterna basata sui risultati di importanti vertici internazionali.
Le iniziative puntano a rafforzare la cooperazione manifatturiera tra Corea e Stati Uniti, migliorare il dialogo sulla sicurezza economica con il Giappone e approfondire i legami con i paesi ASEAN.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à alleviare il carico delle imprese 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attraverso collaborazioni internazionali più solide.
중기부, AI 보이스봇 등 통해 위기 소상공인 선제 발굴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내년부터 카드사의 매출 데이터를 활용한 ‘소상공인 대안평가 모형’을 시범 도입하여 대출 과정을 단축하고 초기 창업자의 지원 접근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또한, AI 보이스봇과 조기경보제도의 통합 운영을 통해 위기 소상공인을 조기에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책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재기와 경영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소상공인이 신속히 금융 지원을 받고 위기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할 것입니다.
English Starting from next yea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will introduce a pilot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for Small Businesses,’ utilizing sales data from credit card companies to shorten the loan process and enhance support access for early-stage entrepreneurs.
Additionally, AI Voice Bots and Early Warning Systems will be integrated to identify and support struggling small business owners proactively.
This initiative aims to aid small businesses in stabilizing their operations and recovering effectively.
Summary This measure provides a practical pathway for small business owners to secure timely financial support and cope with challenges more systematically.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来年からカード会社の売上データを活用した「小規模事業者代替評価モデル」を試験導入し、融資過程を短縮し、創業初期の支援アクセスを向上させる計画です。
また、AIボイスボットと早期警報制度の統合運営を通じて、危機的小規模事業者を早期に発見し、カスタマイズされた支援策を提供します。
これによって、小規模事業者の経営安定と再起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小規模事業者が迅速に金融支援を受け、危機状況に体系的に対応できる基盤を提供します。
中文 中小企业部将于明年试行利用信用卡公司销售数据的“小微企业替代评估模型”,以缩短贷款流程并提高初创企业的支持获取能力。
此外,通过整合AI语音机器人和早期预警系统,主动识别并为有困难的小微企业提供量身定制的支持政策。
此举预计将帮助小微企业更有效地稳定经营并实现复苏。
总评 该政策为小微企业获得及时金融支持并系统应对挑战提供了务实的解决途径。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iccole e Medie Imprese e Start-up introdurrà dal prossimo anno un modello pilota chiamato “Modello di Valutazione Alternativo per Piccole Imprese”, utilizzando i dati di vendita delle società di carte di credito per abbreviare i tempi di prestito e migliorare l’accesso al sostegno per gli imprenditori alle prime armi.
Inoltre, verranno integrati i Sistemi di Avviso Precoce e i Bots Vocali AI per identificare e supportare proattivamente le piccole imprese in difficoltà.
Questa iniziativa mira a stabilizzare le operazioni delle piccole imprese e favorire il loro recupero.
Valutazione Questa misura offre una via concreta per garantire supporto finanziario tempestivo e affrontare le difficoltà in modo più sistematico.
김 총리, 소비자정책위 주재…”소비자 권익 침해 요소 감시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소비자 권익 보호와 강화를 위한 ‘소비자주권 확립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방안은 권익침해 예방, 피해구제 강화, 합리적 선택 지원, 주권행사 활성화 등 4대 정책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조치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게임 확률조작에 대한 징벌적 배상제 도입, 스드메 가격정보 공시 의무화, AI 기술을 활용한 분쟁조정 시스템 도입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소비자 보호 수준을 높이고 직접적인 일상에서의 신뢰와 선택 기회를 확대하여 국민 생활의 질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ntroduced a “Consumer Sovereignty Establishment Plan” aimed at strengthening consumer rights.
This plan focuses on four main policies: preventing rights violations, enhancing damage relief systems, supporting rational choices, and encouraging active sovereignty exercises.
Notable measures include punitive damages for manipulated gaming odds, mandatory disclosure of wedding service prices, and the integration of AI in dispute resolution systems.
Summary This policy aims to create a safer and more transparent consumer environment, ultimately improving everyday life quality and consumer trust.
日本語 政府は「消費者主権確立方策」を発表し、消費者保護の強化を目指す計画を明らかにしました。
この計画では権利侵害の予防、迅速な被害救済、合理的な選択支援、主権行使の活性化を中心に据えた施策が進められます。
具体的には、ゲーム確率操作に対する懲罰的損害賠償制度や、結婚関連サービスの価格情報義務化、AI技術を活用した紛争解決システムの導入などが含まれます。
総評 この方策により、消費者環境がより安全で透明性の高いものとなり、生活の質の向上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发布了“消费者主权确立方案”,以进一步加强消费者权益保护。
该方案围绕防范权益侵害、强化损害救济、支持理性选择、促进积极主权行使四大政策目标实施具体措施。
其中包括游戏概率操控的惩罚性赔偿制度、婚纱服务价格信息公开义务化,以及应用人工智能技术的纠纷调解系统等。
总评 这项措施有望增强消费者信心,营造更加安全、透明的消费环境,从而提升日常生活品质。
Italiano Il governo ha presentato il piano di “Rafforzamento della Sovranità del Consumatore” per potenziare i diritti dei consumatori.
Il piano si concentra su quattro aree principali: prevenire le violazioni dei diritti, migliorare i sistemi di risoluzione dei danni, supportare scelte razionali e promuovere l’esercizio attivo della sovranità.
Tra le misure spiccano l’introduzione di danni punitivi per la manipolazione delle probabilità nei giochi, l’obbligo di trasparenza sui prezzi dei servizi matrimoniali e l’uso dell’intelligenza artificiale nei sistemi di risoluzione delle controversi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ra a migliorare la fiducia e la sicurezza dei consumatori, con un impatto positivo sulla qualità della vita quotidiana.
국토부, 내년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예산 대폭 확대…’정액패스’ 도입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가 내년도 예산을 올해보다 7.4% 늘린 62조 5000억 원으로 책정하며 항공·철도·도로 안전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22조 8000억 원을 투입해 19만 4000호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교통망 확충과 중소 건설현장의 안전 예방체계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총평 이번 예산안은 국민 생활의 안전성과 주거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서민과 취약계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an expanded budget of 62.5 trillion won for next year, a 7.4% increase, focusing on aviation, rail, and road safety.
Notably, 22.8 trillion won will be allocated to supply 194,000 public housing units, alongside investments in transportation networks and measures to enhance safety in small construction sites.
Summary This budget plan aims to improve public safety and housing stability, offering tangible support to the underserved and vulnerable populations.
日本語 国土交通部は来年度の予算として、今年比7.4%増の62.5兆ウォンを策定し、航空・鉄道・道路の安全強化を含む様々な分野への投資計画を発表しました。
特に22.8兆ウォンを投入して19万4千戸の公営住宅を供給し、交通網の拡充や中小建設現場の安全予防体制を強化する方針です。
総評 この予算案は国民生活の安全と住居の安定を重視しており、庶民や弱者層に実質的な支援を提供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国土交通部发布了较今年增长7.4%的年度预算,总额为62.5万亿韩元,重点加强航空、铁路和道路安全,以及其他多领域投资。
其中,22.8万亿韩元将用于提供19.4万套公共住房,与此同时还计划扩充交通网,并强化小型建筑工地的安全防护措施。
总评 此次预算案旨在提升国民生活的安全性和住房稳定性,对低收入和弱势群体将带来实质性帮助。
Italiano Il Ministero delle Terre,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della Corea ha annunciato un budget ampliato di 62,5 trilioni di won per il prossimo anno, con un aumento del 7,4% rispetto all’anno in corso.
Particolare attenzione sarà data alla sicurezza di aviazione, ferrovie e strade, e 22,8 trilioni di won verranno destinati alla costruzione di 194.000 alloggi pubblici, con un focus sulla rete dei trasporti e sul miglioramento della sicurezza nei cantieri più piccoli.
Valutazione Questo piano di spesa mira a garantire stabilità abitativa e sicurezza pubblica, fornendo un aiuto concreto alle comunità meno avvantaggiate.
중기부 내년 예산 16조 8449억 원…소상공인 위기극복 등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2026년 예산안을 발표하며 올해보다 10.5% 증액된 16조 8449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글로벌 벤처 4대 강국 도약, 소상공인 지원 확대, AI·디지털 전환 지원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예산안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성장 잠재력을 키우고 기술 중심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its 2026 budget plan, which is increased by 10.5% to KRW 16.8 trillion from the previous year.
The budget focuses on becoming a global top four venture powerhouse, supporting small business owners, and promoting AI and digital transformation, aiming to boost local economies and driv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MEs.
Summary This budget plan is expected to enhance the growth potential of SMEs and small business owners while strengthening their technology-based competitivenes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2026年度予算案を発表し、今年より10.5%増の16兆8449億ウォンを編成しました。
主な内容には、グローバルベンチャー4大強国への跳躍、小規模事業者支援拡大、AIとデジタル転換推進などが含まれており、地域経済の活性化や中小企業の技術革新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今回の予算案は、中小企業と小規模事業者の成長を促進し、技術競争力を強化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中小企业部宣布了2026年预算案,比去年增加10.5%,达到16.8449万亿韩元。
预算重点包括实现全球前四大创投强国的目标,扩大对小微企业的支持,促进AI和数字化转型,旨在推动地方经济振兴和中小企业的技术创新。
总评 此预算案预计将提升中小企业和个体经营者的成长潜力,同时加强其技术创新竞争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delle Start-up ha annunciato il piano di bilancio per il 2026, con un aumento del 10,5% rispetto all’anno precedente, raggiungendo 16,8 trilioni di KRW.
Il piano si concentra sull’obiettivo di diventare una delle quattro principali potenze del venture capital globale, sull’ampliamento del supporto alle piccole imprese e sulla promozione della trasformazione digitale e dell’IA, mirando a rafforzare l’economia locale e l’innovazione tecnologica delle PMI.
Valutazione Questo piano di bilancio potrà supportare la crescita delle PMI e delle piccole imprese, migliorandone la competitività tecnologica.
상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대규모 상장사 집중투표제 의무화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는 2일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의무화와 감사위원 분리선출 정원확대를 포함한 개정 상법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습니다.
법 시행은 공포일 기준 1년 후이며, 이에 따라 일반주주의 의견 반영과 이사회 독립성 강화가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개정은 기업 투명성을 높이고 일반주주의 권익을 향상시켜 보다 공정한 경영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on the 2nd that the revised Commercial Act, mandating cumulative voting for large listed companies with assets over 2 trillion KRW and expanding the quota for separately elected auditors, was approved in the Cabinet meeting.
The law will take effect one year after its promulgation, aimed at enhancing shareholder democracy and board independence.
Summary This revision is expected to improve corporate transparency and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interests, fostering a fairer management environment.
日本語 法務部は2日、総資産2兆ウォン以上の大規模上場企業に対する集中投票制の義務化と、分離選出監査委員の定員拡大を含む改正商法が国務会議で承認されたと発表しました。
施行は公布から1年後となり、一般株主の意見の反映と取締役会の独立性強化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改正は、企業の透明性を高め、少数株主の利益を保護することで、公正な経営環境の整備につなが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法务部于2日宣布,通过了关于强制总资产2万亿韩元以上大企业实施累积投票制和扩大分离选举监事人数的修订《商法》。
此法律将于公布一年后生效,旨在增强普通股东的发言权和董事会的独立性。
总评 此次修订有望提高企业透明度,保护中小股东权益,并促进公平的经营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ha annunciato il 2 ottobre che la legge commerciale riformata, che obbliga il voto cumulativo per le grandi società quotate con asset superiori a 2 trilioni di KRW ed espande il numero di revisori eletti separatamente, è stata approvata dal Consiglio dei Ministri.
La legge entrerà in vigore un anno dopo la promulgazione, con l’obiettivo di rafforzare la democrazia tra gli azionisti e l’indipendenza del consiglio di amministrazione.
Valutazione Questa riforma mira a migliorare la trasparenza aziendale e a tutelare gli interessi degli azionisti minoritari, creando un ambiente gestionale più equo.
“임금체불은 절도”…체불범죄 법정형 ‘5년 이하 징역’으로 상향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임금체불 해소를 위한 범정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법정형 강화, 근로감독 확대, 경제적 제재 강화, 임금구분 지급제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올해 체불청산율 87% 달성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계를 위협하는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comprehensive measures to address wage arrears.
Main initiatives include strengthening legal penalties, expanding labor inspections, enhancing economic sanctions, and introducing wage differentiation systems.
The goal is to achieve an 87% wage arrears clearance rate this year.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protect workers’ livelihoods by reducing wage arrears and improving labor rights.
日本語 政府は賃金未払い問題に対処するための包括的な対策を発表しました。
主な内容には法定刑の引き上げ、労働監督の拡大、経済制裁の強化、賃金区分支払制度の導入が含まれます。
今年の目標は未払い賃金清算率87%の達成です。
総評 この対策は労働者の生活を守り、より良い労働環境の実現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了解决拖欠工资问题的全面措施。
主要内容包括加强法律刑罚、扩大劳动监察、增强经济制裁以及引入工资区分支付制度等。
目标是今年实现87%的工资拖欠清偿率。
总评 这些措施旨在改善劳动者权益并缓解拖欠工资对家庭生计的威胁。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misure complete per affrontare il problema dei salari non pagati.
Le iniziative principali comprendono l’inasprimento delle pene legali, l’ampliamento delle ispezioni sul lavoro, il rafforzamento delle sanzioni economiche e l’introduzione di sistemi di pagamento differenziato dei salari.
L’obiettivo è raggiungere un tasso di liquidazione degli arretrati salariali del 87% entro quest’anno.
Valutazione Questi provvedimenti mirano a tutelare i diritti dei lavoratori e migliorare la loro stabilità economica.
해수부, 내년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 투자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가 내년 예산을 8.1% 증가한 7조 3287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이는 북극항로 기반 조성, 친환경 선박 보급 확대, 어촌 경제 활성화, 해양산업 육성을 포함한 다양한 사업에 쓰일 예정입니다.
특히 기후위기 대응과 첨단 기술 개발 투자에도 중점을 두었습니다.
총평 이 예산 확대는 해양수산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set next year’s budget at 7.3287 trillion won, an 8.1% increase from this year.
This budget will fund projects including Arctic route development, expansion of eco-friendly ships, revitalization of fishing villages, and fostering of the marine industry.
Special emphasis is placed on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investing in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Summary The expanded budget is expected to boost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oceans and fisheries sector and positively impact local economic development.
日本語 海洋水産部は来年度予算を8.1%増加の7兆3287億ウォンに策定しました。
この予算は、北極海航路の基盤整備、環境に優しい船舶の普及促進、漁村の経済活性化、海洋産業の育成など多岐にわたる事業に充てられます。
特に気候変動対応や先端技術開発への投資に重点を置いています。
総評 この予算拡大は、海洋分野の国際競争力強化と地域経済の活性化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海洋水产部宣布明年预算为7.3287万亿韩元,比今年增长8.1%。
此预算将用于北极航道开发、推广环保船舶、渔村经济振兴以及海洋产业培育等多个项目。
特别突出应对气候变化和投资于先进技术开发。
总评 此次预算增加预计将增强海洋渔业领域的全球竞争力,并积极推动地方经济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stabilito il bilancio per il prossimo anno a 7,328,7 trilioni di won, un aumento dell’8,1%.
Il bilancio sarà destinato a progetti come lo sviluppo delle rotte artiche, l’espansione delle navi ecologiche, la rivitalizzazione dei villaggi di pescatori e la promozione dell’industria marina.
Sono posti particolare accento sulla lotta al cambiamento climatico e sugli investimenti nello sviluppo di tecnologie avanzate.
Valutazione Questo aumento si prevede che rafforzerà la competitività globale del settore oceanico e avrà un impatto positivo sull’economia locale.
내년 ‘전기차 전환지원금’ 100만 원 지원…’전기차 안심보험’ 도입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내년에 전기차 전환지원금을 신설해 내연기관차를 폐차하고 전기차 구매 시 추가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전기차 안심보험과 전기·수소버스 구매 융자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민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전기차 보급 확대와 친환경 차량 전환에 기여하며, 소비자의 초기 부담을 덜어주어 전기차 선택을 촉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will introduce an EV transition subsidy next year, providing an additional 1 million won for electric vehicle purchases upon scrapping internal combustion cars.
Additionally, the plan includes the launch of EV insurance, financing programs for electric and hydrogen buses, and expanded cooperation for charging infrastructure.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adoption of EVs, reduce consumer costs, and promote a transition toward greener transportation.
日本語 政府は来年、電気自動車に転換する支援金を新設し、内燃機関車を廃車して電気自動車を購入する際に100万ウォンを追加支援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さらに、電気自動車安心保険や電気·水素バス購入融資プログラムを導入し、充電インフラ拡大に向けた民間協力を強化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電気自動車の普及を進め、消費者の負担を軽減し、持続可能な交通への移行を促進します。
中文 政府将在明年推出电动车转型补助政策,通过报废内燃机车辆后购买电动车给予额外100万韩元支持。
此外,计划引入电动车安心保险、电动及氢能源巴士购买贷款项目,并加强充电基础设施的民间合作。
总评 此政策有望加速电动车普及,减轻消费者成本负担,并推动向绿色交通的转变。
Italiano Il governo introdurrà il prossimo anno un sussidio per la transizione ai veicoli elettrici, offrendo un ulteriore contributo di 1 milione di won per l’acquisto di un’auto elettrica al rottamare un’auto a combustione interna.
Inoltre, il piano prevede l’assicurazione per i veicoli elettrici, programmi di finanziamento per autobus elettrici e a idrogeno e una maggiore collaborazione per le infrastrutture di ricaric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accelerare l’adozione dei veicoli elettrici, ridurre i costi per i consumatori e favorire una transizione verso mezzi di trasporto più sostenibili.
내년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국비 지원 확대…골목상권 등 활성화
요약보기
한국어 내년 행정안전부 예산안이 76조 4426억 원 규모로 편성되었으며, 지역사랑상품권, 재난 예방 및 복구, 인공지능을 활용한 행정 효율화 등에 중점 투자될 예정입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국민 안전 강화, 자치 발전 및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이 추진됩니다.
총평 예산안이 최종 확정되면 지역 주민부터 소상공인, 이재민, 자치단체까지 폭넓은 효용을 누리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proposed a budget plan of 76.426 trillion KRW for next year, focusing on regional love gift certificates, disaster prevention and recovery, and AI-based administrative efficiency.
Key projects aim to boost local economies, enhance public safety, and foste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Summary Once finalized, this budget is expected to benefit a wide range of groups, from local residents and small business owners to disaster victims and local governments.
日本語 来年の行政安全部の予算案は76兆4426億ウォン規模で編成され、地域愛商品券、災害予防・復旧、AIを活用した行政効率化に重点的に投資される予定です。
主要な事業として地域経済の活性化、国民の安全向上、地方発展と社会統合の実現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予算案が最終決定されれば、地域住民や中小企業主、被災者など多くの人々に恩恵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明年行政安全部的预算案规模达76.4426万亿韩元,重点投资于地区爱心商品券、灾害防预与恢复以及基于人工智能的行政效率提升。
主要项目旨在促进地方经济活跃、加强公众安全、实现地区均衡发展与社会融合。
总评 预算案一旦敲定,预计将惠及地方居民、小商户、受灾居民等广泛群体。
Italiano Il piano di bilancio de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per il prossimo anno ammonta a 76.426 trilioni di KRW, con investimenti mirati nei buoni locali, nella prevenzione e nel recupero dalle calamità e nell’efficienza amministrativa basata sull’IA.
I principali progetti puntano a rivitalizzare le economie locali, migliorare la sicurezza pubblica e promuovere lo sviluppo regionale equilibrato e l’integrazione sociale.
Valutazione Una volta approvato, questo bilancio potrebbe portare benefici a una vasta gamma di gruppi, dai residenti locali ai piccoli imprenditori e alle vittime di calamità.
이 대통령 “잠재성장률 하락 흐름 반전시키는 첫 정부가 돼야”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2일 국무회의에서 잠재성장률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재정 정책과 신기술 혁신 지원, 규제 개혁 등이 포함된 종합 대책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상법개정안과 노란봉투법에 대해 기업 경영 투명성과 노사 협력을 통한 경제 발전을 언급하며, 여야 협치를 바탕으로 민생 경제 회복에 힘쓸 것을 당부했습니다.
총평 이는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를 활성화하고 민생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계획으로 보이며, 신속하고 과감한 실행이 관건입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the need for proactive fiscal policies and comprehensive measures, including support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regulatory reforms,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to restore potential growth rates.
Additionally, he addressed the importance of corporate transparency and labor-management cooper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urging bipartisan cooperation to revive the livelihood economy.
Summary These initiatives aim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and stabilize citizens’ lives, but their success relies on swift and bold implementation.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2日の国務会議で、潜在成長率回復のため、積極的な財政政策や新技術革新支援、規制改革などを含む包括的な対策を強調しました。
さらに、商法改正案とノラン봉投法について、企業経営の透明性と労使協力を通じた経済発展の意義を述べ、与野党が協力して民生経済の回復に取り組むよう呼びかけました。
総評 長期的には国家経済と国民生活の安定に寄与する重要な計画であり、迅速で大胆な実行が鍵となり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2日的国务会议上强调了通过积极财政政策、新技术创新支持以及规制改革等综合措施恢复潜在增长率的必要性。
此外,他还提到《商法修订案》和《黄信封法》的重要性,指出通过企业透明经营和劳资合作来促进经济发展,并呼吁朝野合作以稳定民生经济。
总评 这些措施有望推动长期经济增长和社会稳定,其成功依赖于迅速而果断的执行力。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durante la riunione di gabinetto del 2 settembre l’importanza di politiche fiscali attive e misure globali, come il sostegno all’innovazione tecnologica e alle riforme normative, per invertire il calo del tasso di crescita potenziale.
Ha inoltre evidenziato la necessità di trasparenza aziendale e cooperazione tra lavoratori e imprese per lo sviluppo economico, invitando la collaborazione bipartisan per rilanciare l’economia di sostentamento.
Valutazione Queste misure possono contribuire al rilancio economico e alla stabilizzazione del tenore di vita, ma richiedono una rapida ed energica attuazione per avere successo.
이 대통령, 23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안보리 의장 자격 토의 주재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3일부터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하여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일 다양한 외교 활동을 펼칠 예정입니다.
특히,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자격으로 공개토의를 주재하며, 인공지능과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논의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일정은 대한민국의 국제적 리더십을 강화하고, 글로벌 이슈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will attend the 80th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igh-Level Session in New York starting September 23 to engage in various diplomatic activities that elevate South Korea’s global standing.
Notably, he will chair an open debate at the UN Security Council as the chair for September,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Summary This trip presents a critical opportunity for South Korea to strengthen its international leadership and take a proactive role in global issues.
日本語 李在明大統領は9月23日からニューヨークで開催される第80回国連総会のハイレベルセッションに出席し、韓国の国際的地位を高めるための多様な外交活動を行う予定です。
特に韓国大統領として初めて国連安保理の議長として公開討論を主催し、「人工知能と国際平和・安全保障」をテーマに議論を進める予定です。
総評 韓国の国際的リーダーシップを強化し、グローバルな課題に積極的に関わる絶好の機会です。
中文 李在明总统将于9月23日起参加在纽约举行的第80届联合国大会高级别会议,计划通过各种外交活动提升韩国的国际地位。
特别是,他将以韩国总统的身份首次担任安理会会议主席,主导关于“人工智能与国际和平与安全”问题的公开讨论。
总评 此次行程是韩国加强国际领导力并在全球议题中发挥主导作用的关键机会。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parteciperà alla 80ª sessione ad alto livello dell’Assemblea Generale delle Nazioni Unite a New York a partire dal 23 settembre, intraprendendo diverse attività diplomatiche per accrescere la posizione globale della Corea del Sud.
In particolare, sarà il primo presidente sudcoreano a presiedere un dibattito aperto al Consiglio di Sicurezza delle Nazioni Unite, con il tema “Intelligenza artificiale e pace e sicurezza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viaggio rappresenta un’opportunità cruciale per rafforzare la leadership internazionale della Corea del Sud e contribuire attivamente alle questioni globali.
요약
원문보기
### 농축산물 물가 안정 대책: 공급 확대 및 대규모 할인 행사 추진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농축산물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4.4% 상승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를 안정화하기 위해 공급 확대와 할인 행사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이번 대책은 추석 성수기를 앞두고 국민의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농축산물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
#### **원예농산물: 안정세 유지**
– **채소류**: 배추는 고온과 폭염으로 일부 출하량 감소가 있었으나, 정부 비축물량(3만 5,500톤)을 시장에 적시 공급해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추석 성수기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가격 동향**: 무, 당근, 양배추 등은 생산 증가로 가격이 하락했으며, 애호박과 청양고추는 일조량과 생육 상태가 좋아 공급이 안정적입니다.
– **과일류**: 사과와 배는 폭염 여파로 출하가 지연되었으나 생육이 회복되며 추석철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늘어날 전망입니다.
#### **쌀: 가격 상승 속 대책 마련**
– 산지 유통업체들의 원료벼 확보 경쟁으로 인해 쌀 가격은 전년 대비 11% 상승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3만 톤의 정부양곡을 대여 방식으로 공급 중이며, 이달 말까지 해당 물량의 시중 방출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
#### **축산물: 가격 상승 원인과 대책**
– **한우**: 전년 기저효과로 소비자물가가 7.1% 상승했으며, 추석 성수기를 대비해 한우 공급량 확대와 할인 행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돼지고기**: 국제시장 가격 상승 영향으로 국내 수요가 커졌지만, 이번 달 도축 물량 증가로 가격 안정화가 예상됩니다.
– **계란**: 소비 증가와 산지가격 인상으로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공급 확대 및 할인 행사를 준비 중입니다.
—
####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동향**
– **가공식품**: 원재료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대비 4.2%, 전월 대비 0.2% 상승에 그쳤으며, 팜유와 설탕 등 주요 원재료의 안정세가 관측되고 있습니다.
– **외식**: 원재료비, 인건비, 배달앱 수수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으나, 전월 대비 추가 상승은 없었습니다.
농식품부는 원재료 할당관세 적용 품목을 확대하고, 가공 및 외식업체에 금융 지원과 주요 소비 품목 할인행사를 통해 물가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
#### **향후 계획**
농식품부는 추석 연휴 전까지 농축산물 수급 안정 대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며, 정부와 민간 차원의 협업을 통해 소비자 부담 완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주요 품목별 수급 상황을 상시 점검하며 예기치 못한 기상변화와 같은 리스크에 대비한 세부 계획도 수립 중입니다.
> **문의**: 농식품부 소속 각 담당부서 연락처는 뉴스 본문 참조.
원문보기
### 정부, 미 관세 협상 및 신대외경제전략으로 기업 지원 확대
정부는 최근 한미 정상회담과 한일 정상회담의 경제적 성과를 기반으로 우리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대외경제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일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루어진 경제·기술 협력 및 투자 계획을 중심으로 후속 조치안을 논의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회담을 통해 한미 간의 “미래형 동맹”이 강화되었다고 평가하며, 조선·원자력, 항공, 핵심 광물 등 다양한 산업에서 총 2건의 계약과 9건의 MOU를 체결하여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특히,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금융 패키지도 구체화됨에 따라 양국 간 협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 한일 정상회담 주요 성과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경제안보 소통의 강화와 수소, 인공지능(AI) 등 미래 산업 협력을 위한 논의가 진전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양국 간 공통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체 출범을 주요 성과로 제시했다.
### 아세안과의 네트워크 고도화
구 부총리는 글로벌 시장 다변화를 위해 아세안 주요국과의 경제 네트워크 강화를 강조했다. 특히,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 등 아세안 지역은 글로벌 3위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어 이를 활용하여 수출 및 공급망의 안정성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 발표 예정
이와 함께,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관련 후속 지원대책을 마련하여 우리 기업의 관세 부담을 낮추고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는 불확실한 통상 환경 속에서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고 새롭게 변화하는 대외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 대책의 일환이다.
정부는 조만간 세부적인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과 신대외경제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 **문의:**
> 기획재정부 대외경제총괄과 (044-203-5650)
—
본 글은 정부의 공식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기업 및 경제 정책 관계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 및 재기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소상공인 대안평가 모형 도입**
내년 1분기부터 카드사 매출 데이터를 활용한 ‘소상공인 대안평가 모형’이 신용취약 소상공인을 위한 특별경영안정자금에 시범적으로 적용됩니다.
– 대출 처리 기간을 기존 28일에서 21일로 단축.
– 초기 창업자나 매출 신고가 어려운 소상공인도 신속한 지원 가능.
– 향후 금융위원회가 계획하는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 모형(SCB)’과 연계하여 비금융 정보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 2. **위기 소상공인 선제 발굴 및 지원**
경기 둔화와 소비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조기에 발굴하고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한 계획입니다.
– AI보이스봇과 조기경보제도를 통합 운영.
– 기존 AI보이스봇은 연체된 차주를 대상으로만 작동했으나, 앞으로는 부실 징후가 확인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도 맞춤형 지원 정책을 제공.
– 실태조사를 통해 경영애로 사항에 대한 심층 상담 실시 및 1:1 코칭과 재기지원 사업 제공.
### 3. **지역신용보증재단 역할 강화**
지역신용보증재단은 신용정보사와 연계하여 위기징후 소상공인을 진단하고, 경영진단, 교육, 금융 지원을 통해 안정화 단계별 지원 체계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 4. **소상공인의 정책정보 접근성 개선**
새로운 조치를 통해 소상공인들이 정책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경영 안정화와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 기대 효과 및 정부의 의지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이번 정책이 소상공인의 위기 상황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함으로써 경영 안정과 재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민간 대안평가모형을 내년 상반기에 정책자금 평가에 시범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며, 하반기에는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 모형 사용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 요약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경영 안정과 재기 지원을 위해 카드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안평가모형을 도입하고, 위기 소상공인을 체계적으로 발굴 및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정책 접근성을 높이고, 경영 위기 해소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김민석 국무총리, 소비자 권익 강화를 위한 포괄적 방안 제시
김민석 국무총리는 9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는 요소들에 대해 모든 관계부처가 감시를 강화하고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 신뢰 확보가 내수 경제 회복과 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이라고 지적하며, 소비자주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 소비자정책위원회란?
소비자정책위원회는 국무총리와 민간위원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으며, 8개 관계부처 장관, 민간위원 15명 및 한국소비자원장으로 구성된 기구다. 이 위원회는 범정부 차원의 소비자 정책을 수립·조정하고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한다.
#### 핵심 정책방향과 주요 과제
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을 반영하여, 다음의 4대 정책 목표를 기반으로 세부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1. **소비자 권익침해 차단 및 예방**
– 가격 인상 요인인 담합 행위와 그린워싱(소비자 기만 행위)에 대한 감시 체계를 강화.
– 게임 아이템 확률 조작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
– 아파트 입주 하자 점검 시 소비자가 전문 점검업체를 고용할 권리를 보장.
2. **신속하고 효과적인 피해구제**
– 금융분쟁조정위원회 결정을 소비자가 수락할 경우, 사업자 거부를 원천 차단.
– 소비자 피해구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금 설치 추진.
3.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 지원**
–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서비스 가격 및 환불 정보 제공 의무화.
– ‘올바로’ 앱 출시를 통해 해외직구 시 위해식품 정보를 쉽게 확인.
– 전기차 구매 지원금을 기존 보조금 형태에서 지원전환금 방식으로 확대.
4. **소비자의 적극적 주권행사 지원**
– 소비자단체소송 허가 절차 폐지로 제도 활성화.
– 온라인 중심의 소비 환경을 반영한 전자상거래 소비자 보호방안 마련.
– 중고거래를 포함한 플랫폼의 불공정 약관 점검 및 소비자 기만 행위 단속.
#### 한국소비자원의 기술 개선
한국소비자원은 제품 위해성 평가 체계 고도화, 소비재 시험시설 강화, 및 AI 기술 도입을 통해 소비자 피해 예방 조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소액 사건을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 AI 기반 분쟁조정 지원 시스템을 도입한다.
#### 미래 지향적 제도 개선
위원회는 또한 소비자권익 제한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선정했다:
– **어린이 안전 확보**: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의 발암물질(PAHs) 허용기준 마련.
– **명확한 디카페인 커피 표시제도**: 잔존 카페인 함량 기준에 따라 디카페인 여부를 구분.
#### 김민석 총리의 발언
김민석 총리는 “소비자 주권을 공고히 하여 국민이 주인 되는 나라를 실현하고, 소비자 권익에 대한 신뢰를 정부가 책임지고 확립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
이번 소비자정책위원회의 논의는 소비자 권익 강화와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내수 경제 활성화와 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2024년도 국토교통부 예산안 주요 내용 및 투자 방향
국토교통부는 2024년도 예산안을 올해 대비 7.4% 증액된 62조 5000억 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국민 안전 강화, 건설 경기 회복, 민생 안정, 균형 발전, 미래 성장에 초점을 맞췄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 1. **국토·교통 안전강화 및 인프라 투자**
– **항공안전**: 13개 공항에서 조류 충돌 예방 강화 및 관련 시설 개선에 1204억 원 투자. 3개 공항에 활주로 이탈방지 시스템 도입.
– **도로안전**: 제설작업, 위험도로 개선 등 대규모 도로 안전시설 보수에 2조 5000억 원 투입.
– **철도 안전**: 노후시설 개선 및 안전시설 개량에 2조 9000억 원 투자.
– 지반침하 고위험 지역의 탐사구간을 3700km에서 7020km로 확대.
– 건설현장에 스마트 안전장비 보급(200곳 → 220곳) 및 전문가 점검 시행.
—
#### 2. **SOC 확충 및 건설경기 회복**
– **총 예산**: SOC 분야에 20조 9000억 원, 간선교통망 확충에 8조 5000억 원 투자.
– **철도사업**:
– 인천발·수원발 KTX, 동해선 북울산역 연장 등에 대한 투자 확대(3조 1000억 원 → 4조 4000억 원).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적기 개통 지원.
– **도로사업**:
– 신규 도로 건설 21건. 제천-영월 고속도로, 천안 목천-삼룡 국도 건설 등 진행.
– 건설 중인 도로 사업에도 2조 8000억 원 → 3조 1000억 원으로 지원 확대.
– **신공항 건설**:
– 새만금·가덕도 등 8개 신공항 건설 사업에 1조 원 배정.
—
#### 3. **민생 지원 및 서민 주거 안정**
– **공적주택 공급**: 19만 4000호 공공주택 공급에 22조 8000억 원 투자.
–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취약계층 주거 안정에 중점.
–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2만 8000호 → 3만 1000호).
– **월세 지원 및 주거급여**:
– 저소득 무주택 청년에게 월 20만 원 지원 사업을 상시화.
– 임차가구 주거급여 기준임대료를 4.7%~11% 인상.
– **전세사기 피해 지원**:
– 피해주택 7500호 매입 및 사전 예방 시스템 구축.
– 안전 계약 컨설팅과 법률상담 지원 신규 진행.
—
#### 4. **균형발전 및 지역 활성화**
– **지자체 자율권 확대**:
– 국비 보조예산을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는 자율계정을 8000억 원에서 1조 3000억 원으로 확대.
– **지역 개발**:
– AI 기술을 적용한 시범도시 조성(40억 원) 및 산단 탄소중립 실현 사업 확대.
– 경북대와 전남대에 캠퍼스혁신파크 도시 첨단산업단지 조성.
– 빈집 철거지원사업(150억 원) 신설 및 철도 지하화 사업 추진.
—
#### 5. **미래 성장 및 첨단 기술 투자**
– **AI 기반 제품 및 시스템 개발**:
–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사업(880억 원) 신규 실시.
– **첨단 모빌리티 및 탄소중립**:
– 초연결 지능도시, 지역특화형 자율주행, 초고속 하이퍼튜브 등 R&D 투자 확대(4879억 원 → 5336억 원).
– **해외건설 지원**:
– 해외투자개발사업 정책펀드(300억 원) 조성과 전략적 ODA 사업 추진.
—
### 주요 예산 편성 방향에 대한 기대 효과
문성요 국토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예산을 통해 건설 경기 활성화와 국민 생활 안정, 지역 균형발전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가장 큰 특징**은 안전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미래 성장 동력을 준비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에 초점을 맞춘 점이다.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부, 2026년 예산안 발표: 글로벌 벤처 4대 강국 도약 및 중소기업 성장 지원에 방점**
중소벤처기업부가 2026년 예산안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총 **16조 8449억 원**을 책정하고,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혁신과 성장을 통한 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이는 올해보다 **10.5%(1조 5961억 원)** 증가한 금액으로, 창업·벤처 활성화, 디지털 전환, 소상공인 위기 극복, 지역 경제 활성화,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등 5대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
—
### **주요 내용 요약**
#### **① 창업·벤처: 글로벌 4대 강국 도약**
– 역대 최대 규모의 **모태펀드 1조 1000억 원** 공급.
– **5500억 원**을 AI·딥테크 투자, NEXT UNICORN 프로젝트에 배정.
– 창업 단계별 맞춤 지원 강화:
– 초창기: 팁스(TIPS).
– 성장 단계: 스케일업 팁스.
– 글로벌 진출 단계: 글로벌 팁스.
– 혁신 유망 기업(746개사)에 신산업 사업화 자금 지원과 글로벌 진출 지원 확대.
#### **② 디지털·AI 대전환**
– 중소기업 R&D에 **2조 1955억 원** 투입(전년 대비 45% 증액).
– 스마트공장 보급 예산 확대 및 AI 기술 상용화 신규 지원(990억 원).
– **K-뷰티 클러스터 조성** 및 수출 중소기업 지원 강화.
#### **③ 소상공인 위기 극복**
– **소상공인 정책자금 3조 4000억 원**, 대출보증 예산 확대.
– 점포 철거비 지원 금액(600만 원) 확대 및 온누리상품권 발행 규모 유지(5조 5000억 원).
– 혁신형 소상공인의 글로벌 진출 및 AI 도입 지원.
– 소상공인 대상 **AI 도우미 프로그램 신설**.
#### **④ 지역 경제 활성화**
– 지역 중심 AI 창업 붐을 조성하고 지역 창업 페스티벌 지원.
– **글로벌 혁신특구 3곳 추가** 선정 및 지역 중소기업 혁신 기술 지원 강화.
#### **⑤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
– 납품대금 연동제 적용 확대 및 ESG 지원 강화.
– 중소기업 기술 보호 지원 확대, 기술 침해 대응 비용 지원.
—
### **재정정책 의의**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이번 예산안에 대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진짜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두었으며, 재정정책의 효과가 우리 경제에 폭넓게 작용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예산안은 중소벤처기업부가 국가 경제에서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역할을 강화하며, 혁신과 성장을 선도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문보기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의무화 및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를 담은 개정 상법 국무회의 의결**
법무부는 2일 열린 제40회 국무회의에서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대규모 상장회사에 대한 집중투표제 의무화*와 *감사위원 분리선출 정원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정 상법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 상법은 일반주주의 경영 참여를 확대하고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 **주요 내용 요약**
1. **집중투표제 의무화**
– 자산총액 2조 원 이상의 대규모 상장회사는 해당 회사 주식의 1% 이상을 보유한 주주의 청구가 있을 경우 집중투표제를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 집중투표제는 1998년 도입되었으나, 대부분의 상장기업이 정관으로 이를 배제해왔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 이번 개정안에 따라, 집중투표제 의무화 조항은 개정 상법 시행 이후 처음 열리는 주주총회부터 적용된다.
2. **감사위원 분리선출 정원 확대**
– 기존 1명이었던 감사위원 분리선출 정원이 2명으로 확대되며, 정관에 따라 3명 이상으로도 정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 이는 이사회 독립성 결여, 이사의 자기감사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통제 기능 강화를 요구하는 사회적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 이와 관련한 규정은 시행 전 1년간 유예기간이 주어져, 기업이 감사위원 분리선출에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 **개정 상법 시행 시점**
– 본 개정 상법은 공포일 기준 1년 후 시행되며,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선출 규정 모두 시행 이후 주주총회 소집 시점에 따라 적용된다.
### **기대 효과**
법무부는 이번 상법 개정을 통해 **일반주주들의 의견이 회사 경영에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반영**되고,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이 강화됨에 따라 **이사회와 회사 운영의 투명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문의**
– 더 자세한 사항은 법무부 법무실 상사법무과(02-2110-4458)로 문의하면 된다.
—
법 개정에 관한 기업들의 대응과 향후 변화를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특히 대규모 상장사들의 경우 내부 규정 변경 및 주주총회 준비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원문보기
**정부,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제도 대폭 강화한다**
정부가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대응에 나섰다. 주요 대책은 임금체불 처벌 강화, 감독 확대, 제도적 지원 강화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노동자 생계 보호와 기초노동질서 확립을 목표로 한다.
### **임금체불 처벌 강화**
정부는 임금체불을 ‘임금절도’로 규정하고 범죄 처벌을 강화한다. 체불범죄의 법정형을 기존 3년 이하 징역에서 5년 이하 징역으로 상향했으며, 벌금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구형·양형기준을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임금을 체불한 사업주에 대해 반의사불벌 적용을 제외하고 고액 체불 시 정책자금 융자 제한, 과징금 부과, 징벌적 손해배상 등 강력한 제재를 병행할 방안을 마련 중이다.
### **임금체불 감독 대폭 확대**
올해 하반기 근로감독 대상 사업소를 기존 1만 5,000개소에서 2만 7,000개소로 확대하며,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합동 감독을 통해 체불 문제를 적극적으로 점검한다. 또한, 익명 제보 시스템을 활용해 현장 중심의 체불 예방을 강화한다.
### **피해노동자 보호 및 체불 예방제도 도입**
체불 노동자를 신속하게 보호하기 위해 대지급금 지급범위를 기존 3개월분에서 6개월분으로 확대했다. 추석을 전후로 집중 청산 지도 기간을 운영해 체불임금을 우선 청산할 예정이다. 구조적 체불발생을 막기 위해 임금구분 지급제와 발주자 직접지급제를 도입해 하도급 과정 중 임금이 누수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퇴직금 체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퇴직연금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퇴직금 구조를 사외 적립 형태로 전환해 체불 방지에 나선다.
### **사업주의 자발적 준법 노력 유도**
신용 제재를 포함한 경제적 제재를 강화하며, 반복 체불 사업주에 대해 다양한 공공재정 지원을 제한한다. 반면 준법 사업장은 협회 수준에서 발굴·포상해 체불 근절 동기를 유인할 방침이다.
### **사회적 인식 개선 및 구직자 보호**
체불 임금 관련 사례를 적극 알리고, 채용 플랫폼과 협업해 체불 사업장을 공개해 구직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다. 이는 노동법 위반 사실이 없는 사업장을 선별해 구직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 **고용부 장관 발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임금체불은 노동자 생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범죄”라며 “노동존중사회로 가는 첫걸음은 임금체불 근절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와 성과 점검을 통해 추가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약속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범부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단기적 대응을 넘어 구조적 문제 해결과 장기적 체불 근절을 목표로 하며, 노동환경 개선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문의: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044-204-7529)**
원문보기
### 해양수산부, 내년 예산 7조 3287억 원 편성…8.1% 증가
해양수산부는 2024년도 예산을 올해보다 8.1% 증가한 7조 3287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고, 전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는 등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
### **주요 예산 편성 방향**
#### **1. 북극항로 시대와 해운산업 강화**
– **투자 확대**: 북극 진출을 위한 기반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쇄빙선 및 내빙선 건조 등의 기술개발에 677억 원을 배정해 올해(79억 원)보다 8배 이상 증액했습니다.
– **항만 조성**: 북극 화물별 거점 항만과 대규모 친환경·스마트 항만을 육성하여 글로벌 물류 허브로 도약합니다.
– **친환경 선박 확대**: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감축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선박 보급에 445억 원을 투입합니다.
#### **2. 수산업 경쟁력 제고와 어촌 활성화**
– **스마트 양식업 확대**: 첨단 스마트 설비로 양식업 전환을 촉진하고, 유통·가공 분야 지원을 통해 수산업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예산은 전년 대비 약 1359억 원 증가(8217억 → 9576억 원).
– **어촌 경제 거점 구축**: 대규모 어촌 경제·생활거점 34곳을 신규로 조성하며, 청년 어촌 정착 지원을 확대(130억 → 169억 원).
– **기후위기 대응**: 재해 대응 예산을 두 배로 증액(250억 → 493억 원)하고, 갯벌 복원과 바다숲 조성 등으로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합니다.
#### **3. 역동적인 해양산업 육성**
– **AI 전환(AX) 지원**: AI 응용 제품 상용화를 위해 1483억 원을 투입하며, 연안 기업 특화 펀드(200억 원 신규)를 조성해 해양수산 유망기업을 육성합니다.
– **해양바이오 산업 발전**: 충남과 전남을 중심으로 해양바이오 특화 거점을 구축하며 대량생산 인프라를 조성합니다.
#### **4. 해양주권 강화 및 깨끗한 바다 조성**
– **불법어업 대응**: 중국어선 등 불법어업 감시와 첨단 기술을 활용한 해역 관리를 위해 예산을 증대(981억 → 1122억 원).
– **해양교통 안전**: GPS 전파 혼신 대응 장비 및 해상 안개 관측 시스템 등 신종 안전사고 대비책을 마련합니다.
– **환경 보호**: 어구·부표 보증금제를 기존 통발에서 자망·부표 등으로 확대 시행하며, 해양폐기물 저감에 기여(84억 → 107억 원).
—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발언**
전재수 장관은 “이번 예산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수도권 조성 등 국정운영 목표 달성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고 강조했습니다.
### **문의처**
– **기획재정담당관:** 044-200-5131
– **해양수산과학기술정책과:** 044-200-6230
원문보기
### **2026년도 환경부 예산안 주요 내용 요약**
환경부가 2026년을 목표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탈탄소 사회 전환과 국민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 재생에너지 활성화, 무공해차 전환 등을 통해 녹색 성장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마련하려는 계획입니다.
—
#### **핵심 정책 및 중점 투자 방향**
### **1. 전기차 보급 촉진 및 지원 확대**
– **전기차 전환지원금 신설:** 내연기관차를 폐차하고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보조금 외 100만 원 추가 지원.
– **전기·수소차 구매보조금 유지:** 2023년 대비 보조금 단가 동결, 운수사업자 전용 전기·수소버스 구매 융자프로그램 도입.
– **전기차 보험 신설:** 전기차 화재 위험에 대한 배상책임 보험 신설.
– **충전 인프라 확충:** 민·관 재원을 결합해 충전 인프라 펀드 조성 계획.
—
### **2. 재생에너지 활성화 및 온실가스 감축**
– **공기열 히트펌프 보급:** 기존 난방 방식을 대체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난방 전기화 사업 신규 추진.
– **바이오가스화 사업 확대:** 가축분뇨, 음식물쓰레기 등 폐자원을 활용해 자원 순환 효과 제고.
– **다회용기 보급:** 일회용품 사용량 감소를 목표로 지자체 지원을 확대해 다회용기 사용 촉진.
– **탄소중립포인트 증액:** 국민의 친환경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혜택 강화.
—
### **3. 국민 안전과 사회 기반시설 강화**
– **홍수 예방 및 물 관리 확충:** 국가하천 CCTV에 AI 기능 탑재, 하수관로·빗물터널 개선으로 침수 예방.
– **도시 기반 안전성 강화:** 맨홀 추락방지 시설 20만 7000개 신규 설치, 노후 상하수도 및 싱크홀 예방 사업 확대.
– **정수장 고도화:** 과불화화합물 모니터링과 점검 로봇 도입으로 정수장 안전 확보.
– **산불 대응 능력 강화:** 22개 국립공원에 IoT 기반 산불감지시스템 구축.
—
### **4. 자연과 공존하는 지역사회 구축**
– **생태 복원과 주민 연계:** 훼손된 생태축 복원 및 산책로 조성 등 생활공간 내 생태 관리를 강화.
– **햇빛 연금 사업:** 상수원 지역 주민에게 태양광 사업 수익금 지원.
– **친환경 개발 사업 확대:** 장항국가습지 복원, 개발제한구역 복원을 위한 예산 2배 증액.
– **국립공원 숲 결혼식 인프라:** 공원 내 사진 촬영, 메이크업 등 지원해 저렴한 결혼식 서비스 제공.
—
### **5. 탈탄소 산업 전환 및 녹색금융 확대**
– **녹색금융 투자:** 7.7조 원에서 8.6조 원으로 녹색 금융 규모 확대.
– **신재생 산업 지원:** 스타트업·벤처기업에 녹색채권 발행 지원.
– **온실가스 감축설비 집중 투자:** 대규모 설비 지원으로 감축 효과 극대화.
—
### **6. 기후 기술 개발 및 연구 예산 확대**
– 내년 환경 기술개발 예산을 19.8% 증액한 4180억 원으로 편성, 사상 최대 규모.
– 기후대응 기술개발 예산에 537억 원을 배정,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중점적으로 지원.
—
### **7. 국민 생활과 환경 개선을 위한 세부 정책**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확대:** 피해자 구제 기금을 100억 원으로 편성.
– **곤충 문제 규명:** ‘러브버그’ 등 곤충 대발생 원인 연구와 해결 방안 마련.
– **항공안전 설계 지원:** 철새 서식지 연구를 통해 공항 안전에 활용.
—
### **환경부의 비전**
금한승 환경부 차관은 “이번 예산안이 기후위기 시대를 대비한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예산 편성이 국민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 **예산 확정 일정**
– 2026년도 환경부 예산안은 12월 국회의 심의와 의결 이후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주의:** 본 요약은 정부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의 공식 발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행정안전부는 2026년도 예산안을 76조 4,426억 원 규모로 편성해 주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습니다. 내년 예산안은 기존 대비 2조 원 이상 증액된 사업비가 배정되었으며, 골목 상권 활성화, 인공지능 기반 정부혁신, 국민안전 강화, 자치발전 및 사회통합 등을 중점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 주요 예산안 내용 및 핵심 추진 사업
#### 1. **골목 상권 및 지역경제 활성화**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확대**: 올해 1조 원에서 내년 1조 1,500억 원으로 증액해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경제 선순환 촉진.
–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 지방소멸 문제 해결을 위해 1조 원 투입. 지역 특화산업, 청년 창업 지원, 이주민 정착 프로그램 등을 강화.
#### 2. **세계 최고 인공지능 민주정부 구현**
–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 인공지능의 기획-개발-운영-고도화 전 단계를 지원하며, 정부·지자체 간 중복투자를 방지.
– **공공부문 AI 서비스**: 206억 원 투입, ‘AI 에이전트’ 도입해 국민 편의성 증대. 예컨대 정부 혜택 알림 서비스 강화 및 공공데이터 확대 제공.
– **AI 기반 지능형 관제 시스템 확산**: 재난예측과 대응 강화를 위한 드론, 위성, CCTV 데이터 활용.
#### 3. **국민 안전 확보**
– **재난 예방 및 대응**: 재해위험지역 정비 예산 증액(1조 488억 원), 재난피해 복구 예산 확대(1조 100억 원). 드론 및 AI 기술을 활용한 재난 감시 체계 구축.
– **지역안전 지원**: 산불로 인한 피해지역 공동체 복원 사업에 피해복구비 추가 배정.
#### 4.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추진**
– **지역 맞춤형 지원 강화**: 접경지역과 섬 등 소외된 지역에 기초생활 기반 확충.
– **마을단위 기업 지원 확대**: 주민 참여를 통한 지역문제 해결로 소득 창출과 일자리 확대 도모.
– **안전시설 확대**: 공중화장실에 불법 촬영 방지 시스템 및 비상벨 설치로 안전한 이용 환경 마련.
#### 5. **사회통합 및 과거사 치유**
– **과거사 관련 치유 활동 강화**: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기념시설 및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추모 사업 확대. 국가폭력 피해자 치유센터 운영 지원 확대.
– **국내외 자원봉사 활성화**: 지역사회 중심 자원봉사 프로그램 추진과 글로벌 자원봉사 인재 육성을 위한 거점 공간 조성.
—
### 주요 의의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예산안에 대해 “국민 행복과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 실질적이고 체감 가능한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편성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오는 12월 국회 본회의 의결로 최종 확정될 예정인 이 예산안은, 정부가 지역경제 회복, 디지털 정책 혁신, 국민 안전 강화, 균형 성장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현 정부의 핵심 과제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구체적 예산 계획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0회 국무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하락 흐름을 반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밝히며, 적극적인 정책 시행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그동안 정권 교체마다 잠재성장률이 1%가량 하락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 수립과 실행을 요청했다.
### 주요 발언 및 정책 방향
1. **경제 지표 개선**
이 대통령은 7월 산업 생산, 소비, 설비투자가 증가세로 전환됐다는 점과 소매 판매가 2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한 점을 들어 재정 투입의 긍정적 효과를 언급했다. 하지만 “1%대까지 떨어진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지 못하면 모든 정책은 일시적인 효과에 그칠 것”이라며,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강조했다.
2. **종합 대책 수립 요청**
이 대통령은 적극적 재정과 생산적 금융을 기반으로 신기술 혁신, 규제 개혁, 산업 재편, 인재 양성 등을 포괄하는 정부 차원의 종합 대책을 마련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제약에 얽매이지 않는 과감한 해법 필요성을 강조했다.
3. **상법개정안 및 노란봉투법**
이날 국무회의 안건으로 상정된 두 법안은 기업의 투명성 강화와 노사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노사가 협력해야 국민 경제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상호 존중과 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4. **양측 균형 강조**
그는 “기업도 노동도 중요한 요소”라며,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함을 언급하며 “소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이는, 소위 ‘교각살우’를 피해야 한다”고 비유했다.
5. **정기국회 협력 요청**
정기국회와 관련해서는 국회와 정부가 국민의 삶을 책임지고 국가 미래를 함께 개척하는 공동체임을 강조하며, 여야가 민생 경제와 개혁 과제를 협력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국무위원들에게는 정부 정책을 명확히 설명하고 국회의 협조를 구하는 자세를 견지할 것을 요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경제의 지속 성장과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괄적이고 과감한 정책 실행을 당부하며, 협력과 상생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이날 국무회의는 경제 회복과 개혁과제 추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 자리로 평가된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제80차 유엔총회 참석 통해 국제사회와 협력 확대**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3일부터 미국 뉴욕에서 개최되는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하여 대한민국의 글로벌 외교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이번 일정에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경험과 비전을 국제사회에 공유하고,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 국가적 위상을 재확인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민주주의 위기 극복 과정과 한국 정부의 정책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기조연설은 한반도 문제와 국제사회 주요 현안을 다룬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안보리 의장 역할 수행**
특히 이번 방문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자격으로 공개토의를 직접 주재하는 일정도 포함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9월 한 달 동안 안보리 의장국을 맡고 있으며, 24일에는 ‘인공지능과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공개토의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는 AI 기술이 국제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강 대변인은 “이번 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은 신뢰받는 글로벌 파트너로서 국제사회의 기대와 관심을 받을 것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엔 창설 80주년, 특별한 의미 더해져**
제80차 유엔총회는 유엔 창설 80주년을 맞아 국제사회가 집중하는 주요 외교 무대가 될 전망이다. 매년 9월 셋째 주 화요일부터 열리는 이 고위급 회기는 전 세계 193개 회원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최대 규모의 다자외교 행사로, 이번 회기에서도 다양한 글로벌 현안들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뉴욕 방문은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중요한 외교적 자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