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 정책정보 – 전체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외교부, 내년도 예산 3조 6028억 원…실용외교 핵심 투자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한미동맹 강화와 공적개발원조(ODA) 조정 등을 포함한 내년도 예산안 3조 6028억 원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 주요 지역과의 협력 확대와 디지털 공공외교, AI 기반 외교 정보 분석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외교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예산안은 외교 협력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기업 지원 및 다변화를 통해 국내 경제에도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nounced plans to submit next year’s budget proposal of 3.6028 trillion KRW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focus is on strengthening the South Korea-U.S. alliance, expanding cooperation with regions such as China and Central Asia, and enhancing digital diplomacy and AI-based foreign information analysis.
Summary This budget aims to elevate Korea’s global standing while providing support for businesses to navigate international challenges, positively impacting the domestic economy.

日本語 外交部は、3兆6028億ウォンの来年度予算案を国会に提出する計画を明らかにしました。
韓米同盟の強化や中国、中央アジア、アフリカなどの主要地域との協力拡大、デジタル公共外交とAIを活用した外交情報分析の強化に焦点を当てています。
総評 この予算案は、韓国の国際的な地位を高めると同時に、国内企業を支援することで経済への波及効果も期待されます。

中文 外交部宣布计划向国会提交3.6028万亿韩元的明年预算草案。
重点在于加强韩美同盟、扩展与中国及中亚等主要地区的合作,同时强化数字公共外交以及基于AI的外交信息分析能力。
总评 这一预算案有望提升韩国在国际社会的地位,同时协助国内企业应对国际挑战,带来经济上的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annunciato l’intenzione di presentare una proposta di bilancio per il prossimo anno pari a 3.6028 trilioni di KRW al Parlamento.
L’attenzione è rivolta al rafforzamento dell’alleanza Corea del Sud-USA, all’espansione della cooperazione con regioni chiave come la Cina e l’Asia centrale, e al potenziamento della diplomazia digitale e dell’analisi delle informazioni basata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Valutazione Questo bilancio mira a migliorare lo status globale della Corea e a sostenere le imprese nazionali, con ricadute positive previste sull’economia nazionale.

7월 소비 2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소비쿠폰 효과

요약보기
한국어 지난달 소비쿠폰 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2.5% 증가하면서 2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생산과 투자가 함께 늘어나며 전 산업의 긍정적인 성장세가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내수 회복을 지속하기 위해 추경 집행과 지방 중심 소비 활성화 등의 추가 조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내수 회복은 소비심리와 경기 반등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연휴 기간 내수 진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Last month, consumption increased by 2.5%, marking the biggest growth in 29 months, driven by consumption coupons and other factors.
Production and investment also rose, reflecting overall positive growth in industry.
The government plans additional measures, such as supplementary budgets and fostering regional consumption, to sustain the recovery.
Summary The recent recovery in domestic demand signals positive trends in consumer confidence and economic rebound, potentially boosting regional markets and holiday spending effects.

日本語 先月、消費クーポンなどの影響で消費が2.5%増加し、29か月ぶりの最大の伸びを記録しました。
生産と投資も増加し、全体産業の成長が顕著に見られました。
政府は補正予算の執行や地方中心の消費活性化などの追加措置を計画しています。
総評 今回の内需回復は消費心理と経済反発に良い兆しを与え、地域経済の活性化や連休期間中の内需促進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上个月,由于消费券等举措,消费增长了2.5%,创下29个月来的最大增幅。
生产和投资也有所增加,整体产业显示出积极的增长态势。
政府计划通过迅速执行补充预算和促进地方消费等政策,持续推动内需复苏。
总评 此次内需的回升为消费信心和经济反弹带来积极信号,或将推动区域经济发展与假期消费增长。

Italiano Lo scorso mese i consumi sono aumentati del 2,5%, segnando la crescita più significativa degli ultimi 29 mesi grazie ai buoni consumo e ad altre misure.
Produzione e investimenti sono anch’essi in crescita, mostrando una ripresa positiva in tutti i settori.
Il governo prevede ulteriori interventi, tra cui l’uso rapido di fondi supplementari e il potenziamento dei consumi locali.
Valutazione La ripresa della domanda interna segnala una fiducia dei consumatori in crescita e potrebbe stimolare l’economia regionale e i consumi durante le festività.

내년 보건복지 137조 6480억 원 투자…돌봄 강화·필수의료 확충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내년도 복지부 예산안을 올해보다 9.7% 증가한 137조 6480억 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예산안은 생계급여, 장애인 복지, 노년층 지원, 의료 서비스 확대 및 저출산·고령화 대응 등에 중점을 두며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예산안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동시에 지역 의료 격차를 줄이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finalized its 2024 welfare budget at 137.648 trillion KRW, a 9.7% increase from this year.
The budget focuses on areas such as livelihood support, disability services, senior care, expanded healthcare, and addressing challenges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
Summary This budget aims to provide direct support to citizens facing economic hardship while addressing regional healthcare disparities and strengthening social safety nets.

日本語 保健福祉部は、2024年の予算案を今年より9.7%増の137兆6480億ウォンに確定しました。
予算案は生計費補助、障害者福祉、高齢者支援、医療拡充および低出生率・高齢化問題への対応を中心に構成されています。
総評 本予算案は、経済的困難に直面している国民への直接的な支援と地域医療格差の解消、社会的安全網の強化に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卫生福利部已将2024年福利预算确认为137648亿韩元,比今年增长9.7%。
预算主要集中在生活补助、残疾人福利、老年人支持、医疗服务扩展以及应对低出生率和人口老龄化问题等领域。
总评 此次预算案有望直接帮助面临经济困难的民众,同时缓解地区医疗差距并加强社会安全网建设。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finalizzato il budget 2024 per il welfare pari a 137,648 trilioni di KRW, con un aumento del 9,7% rispetto a quest’anno.
Il budget si concentra sull’aiuto economico, i servizi per persone con disabilità, il supporto agli anziani, l’ampliamento delle cure mediche e il contrasto alla bassa natalità e all’invecchiamento della popolazione.
Valutazione Questo budget dovrebbe offrire supporto diretto a chi affronta difficoltà economiche oltre a ridurre le disuguaglianze nella sanità regionale e rafforzare la rete di sicurezza sociale.

APEC 에너지장관회의 ‘공동선언문’ 채택…’전력망 안정’ 공감대

요약보기
한국어 부산에서 열린 제15차 APEC 에너지장관회의가 공동선언문 채택과 함께 성공적으로 종료되었습니다.
에너지 슈퍼위크 기간 동안 한국은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며 전력망 및 에너지 안보, AI 기반 에너지 혁신 등 핵심 주제를 논의하고 국제사회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한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을 국제적으로 알리고, 기후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에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15th APEC Energy Ministers’ Meeting in Busan concluded successfully with the adoption of a joint declaration.
During the Energy Super Week, South Korea demonstrated its global leadership by discussing key topics such as energy security, power grid expansion, and AI-based energy innovation while gaining international consensus.
Summary This event is a pivotal step for South Korea to showcase its energy policy direction globally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limate and energy sectors.

日本語 釜山で行われた第15回APECエネルギー大臣会議が共同声明の採択をもって成功裏に終了しました。
エネルギースーパウィーク中、韓国はエネルギー安全保障、電力網の拡大、AI活用エネルギー革新などの重要なテーマを国際社会と共有し、その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しました。
総評 本イベントは韓国のエネルギー政策を国際的にアピールし、気候およびエネルギー分野での連携強化に寄与する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第15届亚太经合组织(APEC)能源部长会议在釜山成功闭幕,并通过了联合声明。
在能源超级周期间,韩国展示了其全球领导力,讨论了能源安全、电网扩展以及基于AI的能源创新等关键议题并达成国际共识。
总评 此次活动是韩国向全球展示能源政策方向的重要一步,同时有助于深化气候与能源领域的国际合作。

Italiano Il 15° incontro dei Ministri dell’Energia dell’APEC a Busan si è concluso con successo adottando una dichiarazione congiunta.
Durante l’Energy Super Week, la Corea del Sud ha dimostrato la sua leadership globale discutendo temi chiave come la sicurezza energetica, l’espansione delle reti elettriche e l’innovazione energetica basata sull’AI, ottenendo consenso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evento rappresenta un passo cruciale per la Corea del Sud per mostrare la sua politica energetica al mondo e rafforzare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nei settori del clima e dell’energia.

지난해 항공안전투자에 6조 1769억 원…전년 대비 5.7%↑

요약보기
한국어 지난해 국내 항공업계의 안전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3324억 원 증가해 총 6조 1769억 원에 달했다고 국토교통부가 발표했습니다.
정비비용과 엔진·부품 구매가 대폭 증가했으며, 항공안전투자 공시 제도를 개선하고 안전 관련 투자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안전투자 증가와 제도 개선은 항공사의 안전체계 강화와 자율적 경영문화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총평 항공산업의 안전성 증대는 여행객부터 항공사 종사자까지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at the domestic aviation industry’s safety investment last year increased by KRW 332.4 billion, totaling KRW 6.1769 trillion.
Maintenance costs and engine and parts procurement saw significant growth, and plans to enhance the safety investment disclosure system as well as expand safety-related investments have been outlined.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aviation safety systems and fostering a culture of independent management in the industry.
Summary Improvements in aviation safety investments benefit both passenge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ensuring safer and more reliable air travel.

日本語 国土交通部は昨年国内航空業界の安全投資額が前年より3324億ウォン増加し、合計で6兆1769億ウォンに達したことを発表しました。
整備費用やエンジン・部品購入費の増加が顕著であり、航空安全投資公示制度の改善や安全関連投資拡大計画も進めると表明しました。
これにより、航空の安全性強化と自律的な経営文化の醸成が期待されます。
総評 航空業界の安全性向上は、旅行者にも業界関係者にも安全で信頼性の高い航空サービスを提供する重要な要素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国土交通部宣布去年国内航空业的安全投资规模比前一年增加332.4亿韩元,总额达到6.1769万亿韩元。
维修费用和发动机及零部件采购显著增长,同时计划改善航空安全投资公示制度并扩大安全相关投资。
这些努力预计将有助于加强航空业的安全体系并促进自主经营文化的形成。
总评 航空业安全性的提升对乘客和行业从业者都将带来更安全的飞行体验和工作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 annunciato che l’investimento in sicurezza dell’industria aeronautica domestica lo scorso anno è aumentato di 332,4 miliardi di KRW, raggiungendo un totale di 6,1769 trilioni di KRW.
I costi di manutenzione e l’acquisto di motori e parti hanno registrato una crescita significativa, e sono stati delineati piani per migliorare il sistema di divulgazione degli investimenti in sicurezza e ampliare gli investimenti legati alla sicurezza.
Questi sforzi contribuiranno al rafforzamento dei sistemi di sicurezza dell’aviazione e alla creazione di una cultura gestionale autonoma nel settore.
Valutazione L’aumento degli investimenti in sicurezza nel settore aereo garantirà voli più sicuri e affidabili sia per i passeggeri che per i professionisti del settore.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유기동물 입양안내 팝업스토어 운영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실·유기동물의 입양 활성화를 위해 스타필드 수원에서 29일부터 31일까지 팝업 행사를 개최합니다.
행사에서는 입양 동물 소개, 입양 상담, 반려견 예절 교육, 그리고 동물등록 체험 등 반려동물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유기동물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와 반려문화 정착에 실질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hosting a popup event at Starfield Suwon from October 29 to 31 to promote the adoption of lost and abandoned animals.
The event offers programs such as introducing adoptable animals, adoption counseling, pet etiquette education, and pet registration experiences to enhance the pet-friendly culture.
Summary This event is expected to play a meaningful role in raising awareness about stray animal adoption and establishing a responsible pet culture.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10月29日から31日までスターフィールド水原でユキ・ユカイ動物の里親募集を促進するためのポップアップイベントを開催します。
イベントでは、動物紹介、里親相談、ペットマナー教育、動物登録体験など、ペット文化の普及を目指したプログラムが実施されます。
総評 このイベントは、ユキ動物に関する肯定的な認識の拡大や、責任あるペット文化の形成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将于10月29日至31日在水原的Starfield购物中心举办推广领养流浪动物的快闪活动。
活动包括宠物介绍、领养咨询、宠物礼仪教育以及宠物注册体验等多种促进宠物文化的项目。
总评 此活动有望提高公众对流浪动物领养的关注,同时推动负责任的宠物文化的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terrà un evento popup a Starfield Suwon dal 29 al 31 ottobre per promuovere l’adozione di animali smarriti e abbandonati.
Il programma include la presentazione di animali adottabili, consulenza per l’adozione, educazione sull’etichetta per animali domestici e esperienze di registrazione degli animali.
Valutazione Questo evento potrebbe aumentare la consapevolezza sull’adozione di animali randagi e promuovere una cultura responsabile degli animali domestici.

이재명 정부 첫 예산 728조 원 편성…’적극재정’으로 선도경제 이끈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을 약 728조 원 규모로 편성하며, 사상 첫 700조 원을 넘는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AI, R&D, 첨단산업 등에 중점 투자하며, 지방발전 및 국민복지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특히 초혁신경제와 국민성장펀드 조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총평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이 경제 활성화와 국민 생활 안정에 기여하겠지만, 재정 건전성도 꾸준히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proposed a record-breaking 728 trillion won budget for next year, exceeding the 700 trillion mark for the first time.
The budget focuses on AI, R&D, and high-tech industries, alongside initiatives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public welfare.
It aims to drive economic growth with a super-innovation economy and national growth funds.
Summary While the expanded budget could help revitalize the economy and improve citizens’ lives, continuous monitoring of fiscal sustainability is essential.

日本語 政府は初めて700兆ウォンを超える約728兆ウォン規模の来年度予算案を策定しました。
AI・R&D・先端産業への重点投資、および地方発展と国民福祉の強化に取り組んでいます。
超革新経済と国民成長基金を通じて経済成長を牽引する計画です。
総評 財政拡大政策は経済活性化と国民生活の安定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が、財政健全性の維持も課題です。

中文 政府提出了总额约728万亿韩元的明年预算,首次突破700万亿韩元大关。
重点投资人工智能、研发、高科技产业,同时加强地方发展和国民福利。
通过超创新经济和国民成长基金推动国家经济成长。
总评 扩大预算有助于促进经济复苏和改善生活,但需关注财政可持续性。

Italiano Il governo ha proposto un bilancio record di 728 trilioni di won per il prossimo anno, superando per la prima volta i 700 trilioni.
Il piano prevede investimenti prioritari in AI, R&S e industrie avanzate, insieme a iniziative per lo sviluppo regionale e il welfare pubblico.
Mira a guidare la crescita economica con un’economia super-innovativa e fondi per la crescita nazionale.
Valutazione Sebbene il bilancio ampliato possa sostenere l’economia e il benessere dei cittadini, è importante monitorarne la sostenibilità fiscale nel tempo.

중기부, 6400억 원 규모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조성 착수

요약보기
한국어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민관이 공동으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조성합니다.
총 6401억 원 규모로,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권, 정부 등이 참여해 혁신기술과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스타트업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특히, 바이오, 뷰티테크, AI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미래 산업에 중점을 둔 오픈이노베이션 분야가 신설되었습니다.
총평 이 펀드는 혁신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자금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더욱 넓혀,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ve launched the ‘Startup Korea Fund’ to foster deep-tech startups.
The fund totals 640.1 billion KRW and involves investments from large corporations, SM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aiming to support groundbreaking technologies and startups targeting global markets.
A newly added open-innovation sector will focus on industries like biotech, beauty tech, and AI.
Summary This fund is expected to provide crucial financial support for innovative startups, promoting their global expansion and boosting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日本語 政府と民間が共同で、ディープテックスタートアップの育成に向けた「スタートアップ韓国ファンド」を創設しました。
総額6401億ウォン規模で、大企業、中小企業、金融機関、政府が参加し、革新技術とグローバル市場を目指すスタートアップに投資する予定です。
特に、バイオ、ビューティテック、AIなど将来的に成長が期待される分野に重点を置くオープンイノベーション分野が新設されました。
総評 このファンドにより、技術革新を目指すスタートアップが資金を調達し、世界市場に進出する機会が広がり、経済の活性化と雇用創出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政府与民间联合推出了“初创企业韩国基金”,旨在支持深度科技领域的初创企业。
基金总规模为6401亿韩元,由大型企业、中小企业、金融机构和政府共同投资,重点支持创新技术及面向国际市场的初创企业。
新增的开放式创新领域将专注于生物技术、美容科技、人工智能等具有高增长潜力的未来产业。
总评 该基金有望为创新科技企业提供必要的资金支持,帮助它们进军国际市场,同时推动经济发展与就业增长。

Italiano Il governo e il settore privato hanno istituito il “Fondo Startup Corea” per sostenere le startup deep-tech.
Con un totale di 6.401 miliardi di KRW, il fondo coinvolge grandi aziende, PMI, istituti finanziari e il governo per investire in tecnologie innovative e startup orientate ai mercati globali.
Un settore dedicato all’open innovation è stato recentemente introdotto, concentrandosi su settori come biotecnologia, beauty tech e intelligenza artificiale.
Valutazione Questo fondo potrebbe offrire alle startup innovative il supporto finanziario necessario per espandersi a livello globale, stimolando allo stesso tempo la crescita economica e l’occupazione.

국익 중심 실용외교 빛났다 한미동맹 미래로 큰 걸음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이 8월 25일 워싱턴 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동맹 현대화, 경제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돌발 발언으로 긴장감이 돌았으나,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얻으며 회담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총평 이번 회담은 한미동맹이 전통적 안보에서 첨단 기술 협력까지 확장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해 일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held a summit with President Donald Trump in Washington D.C. on August 25 to discuss modernizing the Korea-U.S. alliance and enhancing economic cooperation.
Despite initial tensions due to Trump’s sudden remarks on social media, President Lee successfully gained a positive evaluation from Trump, concluding the summit on a high note.
Summary This summit is expected to deepen the Korea-U.S. alliance beyond security and into advanced technology sectors, which could positively impact daily life.

日本語 李在明大統領は8月25日、ワシントンD.C.でトランプ大統領との首脳会談を行い、韓米同盟の現代化や経済協力の強化策について話し合いました。
トランプ大統領のSNS発言で緊張もありましたが、李大統領はトランプ大統領から好意的な評価を得て会談を成功裏に終えました。
総評 この会談は韓米同盟が安全保障から先端技術分野に拡大する重要な転機となり、日常生活にも前向きな影響を与え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总统李在明于8月25日在华盛顿特区与特朗普总统举行峰会,讨论韩美同盟现代化和加强经济合作的方案。
尽管早先因特朗普总统的社交媒体发表而出现紧张局势,但李总统成功获得特朗普的积极评价,使峰会圆满结束。
总评 此次峰会将从传统安全扩展到高新技术合作层面,对日常生活有望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tenuto un vertice con il presidente Donald Trump a Washington D.C. il 25 agosto, discutendo la modernizzazione dell’alleanza Corea-USA e il rafforzamento della cooperazione economica.
Nonostante momenti di tensione iniziale causati da dichiarazioni improvvise di Trump sui social media, il presidente Lee ha concluso il vertice con una valutazione positiva da parte di Trump.
Valutazione Questo vertice rappresenta una svolta fondamentale per l’alleanza Corea-USA, ampliando le collaborazioni verso settori tecnologicamente avanzati e fornendo benefici alla vita quotidiana.

새 정부 첫 본예산 편성…이 대통령 “재정의 적극적 역할 필요”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2026년도 예산안 의결과 관련해 적극적인 재정 역할을 강조하며 경제 혁신과 성장을 목표로 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외교 순방 성과를 강조하며 초당적 협력을 요청했으며, 노란봉투법의 시행안착을 위해 노동계의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재정 지출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고, 외교와 노동 정책에서의 협력이 국민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the active role of finance in the 2026 budget plan, aiming to achieve economic innovation and growth.
He also highlighted the outcomes of his recent diplomatic tours, calling for bipartisan cooperation, and urged labor unions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Yellow Envelope Act.
Summary This policy aims to stimulate the economy through fiscal spending and foster cooperation in diplomacy and labor policies for the benefit of citizen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2026年度予算案に関して財政の積極的な役割を強調し、経済革新と成長を目指す方針を示しました。
また、最近の外交巡回の成果を強調し、超党派の協力を要請するとともに、ノラン封筒法の施行定着に向けた労働界の協力を訴え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財政支出を通じて経済を活性化し、外交と労働政策における協力が国民生活へ良い効果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强调了2026年预算案中财政的积极作用,目标是实现经济创新与增长。
他还提到了最新的外交访问成果,呼吁朝野合作并要求劳工界支持黄信封法的落实工作。
总评 该政策通过财政支出刺激经济,并在外交与劳动政策上推动合作,预计将对民众生活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il ruolo attivo della finanza nel bilancio 2026, puntando all’innovazione e alla crescita economica.
Ha inoltre evidenziato i risultati dei recenti tour diplomatici, chiedendo cooperazione bipartisan e il sostegno dei sindacati per l’attuazione della Legge delle Buste Giall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intende stimolare l’economia attraverso la spesa pubblica e promuovere la collaborazione nelle politiche diplomatiche e lavorative con effetti positivi sulla vita dei cittadini.

야간긴급돌봄·유아돌봄 수당 신설…내년 ‘아이돌봄’ 지원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내년 아이돌봄 지원 기준을 중위소득 250% 이하로 완화하고, 돌봄수당 인상 및 신규 수당 신설 등으로 돌봄 사각지대 해소에 나섭니다.
청소년 지원사업도 확대해 고립·은둔 청소년 지원과 시설 급식단가 인상, 자립지원수당 추가 제공 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다양한 가족과 청소년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일상에서 체감할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will ease the income standard for child care support to 250% of the median income starting next year and introduce increased allowances and new benefits to close care gaps.
Support for youth will also be expanded, including aid for isolated adolescents, increased meal costs in youth facilities, and additional self-reliance support allowance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provide meaningful support for families and youth, potentially translating into tangible improvements in daily life.

日本語 政府は来年度、育児支援基準を中位所得の250%以下に緩和し、手当の引き上げや新しい手当の導入によりケアの隙間を解消します。
さらに、引きこもりの若者への支援を拡大し、施設の食費基準の見直しや自立支援手当の追加提供を計画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家族や若者が必要な支援を受けられるようにし、日常生活に具体的な変化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计划从明年起将育儿支持标准放宽至中位收入的250%以下,并通过增加补贴和设立新补贴来解决照护盲区问题。
对青少年的支持也将扩大,包括对孤立青少年的援助、青年设施用餐标准提高以及额外的自立支持补贴发放。
总评 此政策有望为家庭和青少年提供实际支持,带来日常生活中的显著改善。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che dal prossimo anno allenterà i criteri per l’accesso al sostegno all’infanzia fino al 250% del reddito mediano, aumentando i sussidi e introducendo nuove misure per colmare le lacune di assistenza.
Saranno ampliati anche i progetti per i giovani, con supporto agli adolescenti isolati, aumento del costo dei pasti nelle strutture per giovani e ulteriori sussidi per l’autonomia.
Valutazione Queste politiche intendono offrire supporto concreto alle famiglie e ai giovani, con un impatto positivo sulla vita quotidiana.

내년 건강보험료율 7.19%로 결정…올해보다 0.1%p↑

요약보기
한국어 내년 건강보험료율이 올해보다 1.48% 오른 7.19%로 결정되었습니다.
또한,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총평 보험료 인상은 다소 부담이 될 수 있지만, 필수 치료비 보장 확대는 의료비 걱정을 줄이는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English Next year’s health insurance premium rate has been set at 7.19%, a 1.48% increase from this year.
Additionally, the coverage for multiple myeloma treatments under health insurance has been expanded, significantly reducing financial burdens for patients.
Summary While the premium increase might add some burden, expanded treatment coverage is a welcome change to alleviate medical cost concerns.

日本語 来年の健康保険料率が今年より1.48%増の7.19%に決定されました。
また、多発性骨髄腫治療薬の健康保険適用範囲が拡大され、患者の経済的負担が大幅に軽減される見通しです。
総評 保険料の引き上げは負担に感じられるかもしれませんが、治療費の保障拡大は医療費の心配を軽減する前向きな変化として評価されます。

中文 明年的健康保险费率将上调1.48%,达到7.19%。
此外,多发性骨髓瘤治疗药物的保险适用范围扩大,患者的经济负担将显著减轻。
总评 虽然保费提升可能增加负担,但扩大治疗保障范围是减轻医疗费用压力的一项积极举措。

Italiano Il tasso dei premi dell’assicurazione sanitaria per il prossimo anno è stato fissato al 7,19%, con un aumento dell’1,48% rispetto a quest’anno.
Inoltre, è stata ampliata la copertura assicurativa per i trattamenti contro il mieloma multiplo, riducendo significativamente gli oneri finanziari per i pazienti.
Valutazione Sebbene l’aumento dei premi possa rappresentare un peso, l’espansione della copertura dei trattamenti è un cambiamento positivo per alleviare le preoccupazioni sui costi sanitari.

요약

외교부, 내년도 예산 3조 6028억 원…실용외교 핵심 투자 확대
발행일: 2025-08-29 09:39

원문보기
### 외교부, 2024년 예산안 3조 6028억 원 편성…한미동맹 및 글로벌 협력 강화

외교부는 내년도 예산안으로 총 3조 6028억 원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이 예산은 한미동맹 강화, 경제 협력,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등 실용 외교를 기반으로 핵심 사업별 투자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한미동맹 강화 및 미래형 전략동맹 발전**
– 고위급 및 실무급 협의 강화.
– 미국 의회·주정부·학계와의 교류 확대.
–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안정적 운영.
– 안보 협력 심화 및 확대.

2. **기업 지원 및 경제 협력**
– 미국의 정책 변화 모니터링 및 신속 대응.
–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애로 해소 및 신규 진출 지원.
– 수출 확대와 시장 다변화 전략 수립.

3. **중앙아시아와 신남방·신북방 외교**
– 중앙아시아 5개국과 첫 정상회의 개최.
– 신남방·신북방 정책 계승 및 발전.
–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 네트워크 다변화.

4. **아프리카 및 글로벌 외교 강화**
– 아프리카 국가와 외교장관회의 개최를 통해 장기적 파트너십 강화.
– 디지털 공공외교 등 국민참여형 외교 사업 확대.
– 인공지능(AI) 기반 외교 정보 분석·정책 지원 데이터 플랫폼 구축.

5. **문화 및 국제 협력**
– OECD 가입 30주년 맞아 한국 문화 홍보 행사 진행.
–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한-OECD 협력 방향 모색.

### 예산 활용 및 목표

외교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재외공관 플랫폼 강화, 신기술 활용 외교 확대, 그리고 K-이니셔티브를 세계로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국과 협력 네트워크를 다변화함으로써 글로벌 외교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AI 기술 활용을 통해 외교 안보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새 정부의 외교정책 방향과 국제사회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2024년도 예산안이 국회 심의를 원활히 통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국민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습니다.

7월 소비 2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소비쿠폰 효과
발행일: 2025-08-29 09:27

원문보기
### 지난달 산업활동: 소비 증가와 경제 회복 신호

지난 7월, 정부의 소비쿠폰 정책 등 내수 진작책에 힘입어 소비가 2.5% 증가하며 2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더해 생산과 투자도 동반 상승하며 경제 전반에서 ‘트리플 증가세’가 나타났습니다.

#### **생산 및 소비 현황**
기획재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1.9% 증가했습니다. 건설업은 -1.0%로 감소했지만, 광공업(0.3%), 서비스업(0.2%), 공공행정(2.8%)에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 **광공업**: 전자부품(20.9%)과 기계장비(6.5%)가 상승세를 견인했으나, 반도체(-3.6%)와 자동차(-7.3%)는 감소.
– **서비스업**: 도소매(3.3%)와 정보통신(3.1%)이 두드러진 증가를 기록.
– **소매판매**: 내구재(5.4%), 준내구재(2.7%), 비내구재(1.1%) 모두 상승하며 2023년 2월 이후 최대 폭을 기록.

#### **투자 및 건설**
– **설비투자**: 일반산업용 기계를 포함한 기계류(3.7%)와 운송장비(18.1%)가 크게 늘어나면서 전월 대비 7.9% 증가.
– **건설기성**: 토목 부문(10.1%) 증가에도 불구하고 건축(-4.8%) 감소로 인해 -1.0%로 소폭 하락.
– **건설수주**: 주택 등 건축(45.7%)의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22.4% 상승.

#### **경기지표 변화**
– **동행종합지수**: 건설기성과 소매판매액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내수출하지수 등이 줄며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
– **선행종합지수**: 코스피와 장단기 금리 차 증가로 전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하며 101.5를 기록.

#### **경제 회복과 정부 대응**
이달 소비심리는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정부는 경기 회복의 긍정적 신호가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추경 사업의 신속 집행, 지역 소비 및 건설 활성화, 추석 연휴와 APEC 정상회의를 활용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 **미국 관세협상**: 후속 조치를 지원하며,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대책은 다음 달 중 마련될 예정.
– **경제성장전략**: AI 대전환, 초혁신경제 30대 선도 프로젝트 등 새 정부의 성장전략이 적극 시행될 전망.

정부는 내수 회복의 모멘텀을 지속 확대하며 경기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내년 보건복지 137조 6480억 원 투자…돌봄 강화·필수의료 확충
발행일: 2025-08-29 09:12

원문보기
### 보건복지부 2024년 예산안, 올해 대비 9.7% 증가한 137.6조 원 규모 확정

보건복지부는 2024년도 예산안을 올해보다 9.7% 증가한 137조 6480억 원 규모로 편성해 29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예산안은 국민의 기본적 삶을 위한 안전망 강화와 인구구조 변화 대응, 지역 및 필수·공공의료 확충, 의료인력 양성 및 정신건강 지원, AI 기반 복지·의료 기술 개발과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등 **5대 핵심 투자 분야**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 1. **기본적 삶을 위한 사회 안전망 강화**
– **저소득층 지원 강화**
– 기준 중위소득 6.51% 인상(4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 수급 대상 6만 7000가구 증가.
– 생계급여액 월 12만 7000원 추가 인상(207만 8000원).
– 자동차 재산기준 완화(소형 500만 원 이하),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
– **기타 지원 확대**
– 의료급여 대상자 선정 시 부양비 기준 폐지로 대상자 5000명 추가.
–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범위도 73만 6000명으로 대폭 확대.
– 장애인 활동지원 대상 및 장애인 일자리 프로그램 확대.

### 2. **저출산·고령화 대응**
– **생애주기별 정책 강화**
– 아동수당 지원 연령을 만 8세 미만에서 만 9세 미만으로 확대하고 비수도권 거주 아동에게 추가 지급(최대 3만 원).
–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대상 20만 명에서 35만 명으로 확대.
– **노인 및 고령층 지원 확대**
– 노인 일자리 115만 2000개로 증대 및 기초연금 대상자와 금액 인상.
– 치매환자 대상 재산관리·개안 수술비 지원 확대.

### 3. **지역 및 필수 의료 확충**
– **의료 인프라 개선**
– 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5개소 추가 설립.
– 응급의료기관 대출 프로그램(1000억 원) 및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장비비 지원.
– “달빛어린이병원” 27개 추가 선정(총 120개).

### 4. **의료인력 양성 및 정신건강 지원**
– **의료전문가 양성**
– 전공의 수련병원 성과 기반 인센티브 제공 및 필수의료 분야 지원 확대.
–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 및 보험료 지원 신설.
– **정신건강 투자 확대**
– 자살 예방센터 인력 607명 확충 및 자살유족 지원 전국 확대.
– 자살시도자 치료비 소득기준 폐지.

### 5. **AI 활용 및 바이오헬스 산업 투자 강화**
– **AI 기반 복지·의료**
–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AI 도입 확대.
– 의료 AI 실증 지원 신설 및 의료데이터 바우처 지원 대폭 증대.
–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 신약 개발 R&D 투자 1조 원 규모로 확대.
– K-바이오 백신 펀드 신규 조성(2027년까지 1조 원 목표).
–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 진출 지원(528억 원 투자).

정은경 장관은 이번 예산안이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설계됐다고 밝히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국민 의견을 적극 수렴해 정책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문의: 보건복지부 재정운용담당관 (044-202-2321)

APEC 에너지장관회의 ‘공동선언문’ 채택…’전력망 안정’ 공감대
발행일: 2025-08-29 08:46

원문보기
### 부산 에너지 슈퍼위크 성료: 한국의 국제 에너지 리더십 강화

부산에서 열린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너지장관회의가 28일 공동선언문 채택을 끝으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부터 29일까지 부산 벡스코와 APEC누리마루하우스 등에서 세계적 에너지 리더들을 초청해 ‘에너지 슈퍼위크’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 에너지 슈퍼위크: 국제 협력과 의제 심화의 장
에너지 슈퍼위크는 APEC 에너지장관회의,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미션이노베이션(MI) 장관회의 등 주요 에너지 회의와 기후산업국제박람회를 함께 여는 획기적인 행사로, 전 세계 에너지 정책 및 기술을 논의할 장을 제공합니다. 특히 올해 슈퍼위크 기간 중 채택된 APEC 에너지장관회의 공동선언문은 G20 및 G7 에너지 장관회의보다 앞서 국제적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습니다.

### 주요 의제 및 한국의 역할
한국은 이번 회의에서 전력망 및 에너지 안보, AI 기반 에너지 혁신 등을 논의하며 세계적 관심과 지지를 이끌어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고속도로, 차세대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등 한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을 APEC 회원국들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었습니다.

파티뷔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비해 전력망 확대가 뒤처지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며, 한국의 에너지고속도로 정책 추진에 대해 높게 평가했습니다.

### 글로벌 협력의 확장
슈퍼위크 중 청정에너지 및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에는 41개 국가 대표단, 111개 국제단체, 105개 글로벌 기업이 참석해 청정전환, 산업 탈탄소화, 미래 연료, AI 적용 등의 핵심 의제를 논의했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10월 G20 에너지 장관회의 및 11월 COP30(기후당사국총회)에서도 중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후산업국제박람회와 에너지장관회의를 연계한 새로운 행사 모델은 국제적 주목을 받았으며 방한한 주요 인사들과 기업들에게도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 박람회의 성황리 개최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첫날 방문객 1만 6,587명을 기록하며 전년도 대비 15% 성장했습니다. 박람회는 12개 국제 콘퍼런스와 60여 개 부대 행사를 통해 기후 및 에너지 기술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 향후 계획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에너지 슈퍼위크의 성공적 개최에 대해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에너지 분야 핵심 의제를 이끌며 세계적인 리더십을 발휘했다”고 평가하며,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재생에너지 확대, 차세대 전력망 개발 등을 통해 한국의 국제적 역할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에너지와 기후변화 대응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한국의 노력이 향후 국제 행사와 협력의 토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항공안전투자에 6조 1769억 원…전년 대비 5.7%↑
발행일: 2025-08-29 08:36

원문보기
### [국내 항공업계 안전투자 확대…2022년 6조 1769억 원 집행](https://www.korea.kr)

지난해 국내 항공업계의 안전투자 규모가 6조 1769억 원으로 집계되며 전년 대비 3324억 원(5.7%) 증가했다고 국토교통부가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항공안전법에 따른 항공안전투자 공시 제도에 따라 18개 항공교통사업자의 안전투자 실적을 취합한 결과입니다.

### **안전투자 주요 항목별 동향**
1. **정비비용**:
지난해 총 3조 61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6700억 원) 증가. 이 중 계획정비 비용이 전체의 86% 이상을 차지함.

2. **엔진·부품 구매**:
고장과 결함에 대비해 예비 부품 확보가 늘어나며 지난해 투자액이 1조 57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9%(2500억 원) 증가.

3. **경년항공기 교체**:
기령 20년을 넘어선 항공기 교체 비용은 5347억 원으로 전년보다 55.1% 감소하며 감소세를 보였음.

### **2023~2024년 투자 계획**
– **2023년 예상 투자**: 10조 2079억 원
– **2024년 예상 투자**: 10조 6594억 원
안전 강화를 위한 투자 기조는 올해와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 **항공안전투자 공시 제도 개선 방향**
국토교통부는 해당 제도의 실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개선을 추진합니다.
1. **신규 항목 추가**:
저기령 항공기의 도입을 장려하고 관련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반영할 계획.

2. **안전 관련 인건비 인정 확대**:
항공정비사 외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운항관리·통제담당자 등 실제 안전활동 전반에 대한 투자 항목 포함.

### **국토부의 향후 계획**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항공사들이 자율적으로 안전 체계 개선분야를 발굴하고 실질적인 투자를 이루는 문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과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자세한 공시자료는 각 사업자 누리집 및 국토교통부의 [항공정보포털](http://www.airportal.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유기동물 입양안내 팝업스토어 운영
발행일: 2025-08-29 08:32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유실·유기동물 입양 활성화 위한 특별행사 개최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실·유기동물의 입양 활성화와 반려동물 문화 확산을 위해 **10월 29일부터 31일까지 경기도 스타필드 수원에서 특별 팝업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제1회 동물보호의 날**을 기념하며, 반려동물과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통해 입양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대하려는 취지입니다.

#### **행사 주요 프로그램**
1. **입양 대기 동물 소개**
– 경기도 동물보호센터(반려마루 여주)에서 입양을 기다리는 유실·유기동물을 현장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음.
– 입양자의 **생활 패턴과 동물의 성향**을 고려한 입양 상담 제공.

2. **체험 및 교육 활동**
– 강아지와의 올바른 인사법 및 교감 프로그램 진행.
– 어린이를 위한 **반려견 예절(펫티켓) 테스트**와 **캐릭터 색칠 프로그램(컬러링북)** 운영.
– 방문객 대상 **동물등록 지원**, 반려견의 비문(코주름)을 활용한 동물등록 체험 제공.
– 비문 및 생체정보 등록은 **규제 샌드박스**로 현재 시범 운영 중.

3. **기념품 제공**
– 반려견 캐릭터 티셔츠, 열쇠고리(키링) 등 다양한 기념품 제공.

#### **향후 계획**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행사 현장에서 “책임 있는 반려문화 형성은 동물복지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기반”이라고 강조하며, 다음 달 26일~27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제1회 동물보호의 날 메인 행사**의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이번 메인 행사는 반려동물 입양 활성화뿐만 아니라:
– **반려동물 산업 관련 직업 소개**
– **AI 기술을 활용한 반려동물 생애주기별 헬스케어 및 용품 체험**
– 동물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들로 준비될 예정입니다.

💡 **문의 및 참여 방법**
더 자세한 정보는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 044-201-2616)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유실·유기동물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 있는 반려동물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뜻깊은 기회로, 반려인을 포함한 일반 국민의 많은 참여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 첫 예산 728조 원 편성…’적극재정’으로 선도경제 이끈다
발행일: 2025-08-29 07:41

원문보기
### 정부, 내년도 728조 원 ‘슈퍼 예산’ 편성…성장·안전·지방발전 집중 투자

정부는 2026년 예산안을 약 728조 원 규모로 편성했습니다. 이는 올해 본예산(약 673조 원)보다 8.1% 증가한 금액으로, 사상 처음으로 700조 원을 돌파하며 ‘슈퍼 예산’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예산안은 이재명 정부가 편성한 첫 번째 예산안으로, 성과 중심의 적극적인 재정운용을 통해 선도경제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주요 투자 분야

#### 1. **기술이 주도하는 초혁신경제**
– **AI·첨단산업**: AI 투자 규모를 약 10조 1000억 원으로 대폭 확대하며 ‘AI 3강’ 진입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R&D 예산도 올해 대비 19.3% 증액된 35조 3000억 원으로 설정했습니다.
– **신재생에너지**: 기존 화석연료를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예산을 올해 대비 두 배 가까이 증액한 4조 2000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 **K-컬처와 관광 산업**: 한류 관련 산업에 약 6조 원을 투자해 ‘글로벌 빅5 문화강국’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 휴가지원제’와 ‘K-관광 패스’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 2. **모두의 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 **지방 발전:** 지방 지원 예산을 29조 2000억 원으로 대폭 확대하며 농어촌 기본소득, 지역 의료시설 개선, 광역철도 구축 등을 강화합니다.
–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만 7세에서 8세로 확대하고 청년미래적금을 신설해 청년 경제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 **소상공인 지원**: 경영안정 바우처 지급, 폐업 지원 강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등으로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습니다.

#### 3. **국민안전,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
– **재난 대응**: 드론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에 34억 원을 투입하고, 국민안전펀드 200억 원을 조성합니다.
– **국방 예산 증액**: 국방 예산을 22조 8000억 원으로 증액하며, 보라매(KF-21) 개발과 AI·드론 기술 육성 등을 위한 추가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 **초급 간부 처우 개선**: 급여 인상 및 급식 단가 상향(1만 3000원 → 1만 4000원)을 통해 복지 개선에 나섭니다.

### 기대 효과
이번 예산은 경제 회복 및 성장을 촉진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재정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 중심의 첨단산업, 지방균형발전, 국민안전·복지 확충이라는 세 가지 줄기로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선도국가로서의 입지를 공고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예산안은 9월 3일 국회에 제출되며, 심의를 거쳐 12월 중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문의처 : 기획재정부 예산실 (044-215-7110)
출처: [Korea.kr](http://www.korea.kr)

중기부, 6400억 원 규모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조성 착수
발행일: 2025-08-29 07:05

원문보기
### 민관 협력으로 6401억 규모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조성…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

중소벤처기업부는 29일, 국내 딥테크(Deep Tech)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의 벤처펀드 선정**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총 6401억 원 규모의 펀드를 통해 국내 혁신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고, 미래 전략 산업을 선도할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 **딥테크 중심의 스타트업 도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기존 기술 개선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인 과학적 발견과 기술적 혁신을 목표로 하는 **딥테크 분야 스타트업**에 중점 투자하는 점이 특징이다. 펀드는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권, 정부가 함께 출자해 결성된다.

### **6401억 원 펀드 구성과 세부 투자 분야**

– **펀드 출자 규모**
– *민간 출자*: 2488억 원
– *모태펀드(정부 출자)*: 1716억 원
– *총 규모*: 6401억 원

– **투자 분야 및 금액**
– *초격차·글로벌 분야*: 2625억 원
–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2170억 원
– *세컨더리 분야*: 1606억 원

### **민간 출자 확대 및 해외 진출 교류**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에는 27개 민간 기관이 출자에 참여했으며, 이 중 코스맥스와 성균관대학교기술지주회사를 포함한 8개 기관은 첫 벤처투자를 시작했다.
특히 민간 및 금융권 출자 규모가 지난해 대비 크게 증가했다.

– 민간 일반 법인 14개: **210억 원 → 1375억 원 (7배 증가)**
– 금융권 5개: **2989억 원 → 4368억 원 (46% 증가)**

국외에서도 일본 도쿄세경센터, 재일동포기업, CMIC 등 해외 기업이 참여, 한국 딥테크 스타트업과의 협력 및 생태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적극 강화**
올해 신설된 **‘오픈이노베이션 분야’**는 뷰티, 바이오, 반도체, 기후테크, AI 등 **전략적 혁신 산업**을 목표로 9개 신규 벤처펀드를 조성했다.

– **K-뷰티 생태계 지원**
– 한국콜마, 코스맥스: 각각 200억 원 규모 펀드 조성
– 화장품 및 뷰티테크 스타트업 대상 투자

– **제약·바이오 육성**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15개 회원사와 연합하여 유망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투자 확대

### **향후 전망과 기대 효과**
NH농협금융, 현대해상, 포스코홀딩스, GS건설 등 다양한 기업이 이번 펀드 출자를 기반으로 딥테크 기업 및 신산업과의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국내 벤처투자 생태계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하려면 민간자금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며, 모태펀드가 플랫폼 역할을 강화해 기업과 금융권의 출자를 장려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 **마무리**
이번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딥테크를 중심으로 한 혁신 스타트업 육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익 중심 실용외교 빛났다 한미동맹 미래로 큰 걸음
발행일: 2025-08-29 06:08

원문보기
이 기사는 일부 사실과 다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설명을 드리자면, 2023년 기준으로 이재명 의원은 대한민국 대통령직에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미국 백악관에서 회담을 가졌다는 내용은 실제 사실이 아닙니다. 이 글은 픽션이나 가상 시나리오일 가능성이 높으며, 위에 제공된 내용은 정치 또는 외교현황과 관련된 실제 뉴스를 반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이 있거나 정치 및 외교 상황과 관련된 정확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구체적으로 질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새 정부 첫 본예산 편성…이 대통령 “재정의 적극적 역할 필요”
발행일: 2025-08-29 05:34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26년도 본예산 편성과 관련해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며 예산안의 중요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씨앗을 빌려 농사를 준비한다는 것이 상식이고 순리”라며 경제 회복과 성장을 위한 예산안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또한, 신기술 중심 산업 혁신과 수출 의존 경제 개선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예산안을 마중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은 국회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차질 없는 예산안 처리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이어 외교와 관련해 최근 미국과 일본 순방의 성과를 언급하며 “순방에서 형성된 따뜻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국익을 지키고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초당적 협력을 요청하며 여야 지도부와 순방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최근 국회를 통과한 노란봉투법과 관련해 노동계의 협력을 강조하며 “노사의 상호 존중과 협력 촉진이 법의 진정한 목적”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노동계가 상생의 정신을 발휘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을 당부하며 후속 조치를 철저히 준비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휴가 중 보이스피싱 피의자를 검거한 경찰관을 치하하며 “공직자는 언제 어디서든 국민을 위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해당 경찰관에 대한 포상을 지시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국민을 위해 헌신한 공직자의 모범적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작성자: 블로그 뉴스팀

야간긴급돌봄·유아돌봄 수당 신설…내년 ‘아이돌봄’ 지원 확대
발행일: 2025-08-29 05:21

원문보기
정부가 내년도 돌봄과 청소년 보호, 성평등 사회 조성을 위한 예산을 대폭 확대하며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여성가족부는 2026년도 예산안을 1조 9866억 원으로 책정했으며, 이는 올해 대비 11.8% 증가한 수치입니다. 주요 내용과 변화되는 정책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1. **아이돌봄 및 한부모가족 지원 확대**

#### **중점 사항:**
– **아이돌봄 지원 확대:** 정부 지원 기준을 기존 중위소득 200%에서 250% 이하로 완화하여 수혜 가구를 12만 명에서 12만 6천 명으로 확대.
– **신규 지원 신설:** 야간긴급수당, 유아돌봄수당 제도 도입 및 한부모·조손가구에 추가 지원 시간 부여.
– **취약 지역 지원 강화:** 인구감소지역 이용 가구에 자기부담금 10% 추가 감면.
– **양육비 기준 완화:** 한부모가족의 복지급여 소득기준을 중위소득 63%에서 65% 이하로 완화하며 추가 양육비와 학용품비도 인상.

#### **추가 사업:**
– 양육비 이행 지원금 회수 강화를 위해 인력을 확대.
– 온가족보듬사업을 제공하는 가족센터를 233개로 확충하고, 늦은 시간 운영하는 공동육아나눔터 시범사업 시행.

### 2.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지원**

#### **중점 사항:**
– **위기 청소년 지원:** 고립·은둔 청소년 지원사업 확대(2개 시·도 추가), 집중심리클리닉 인력 증원(105명 → 124명).
– **시설퇴소 청소년 자립 지원:** 자립지원수당(월 50만 원) 지원 대상을 440명에서 540명으로 확대.
– **급식지원 인상:** 청소년복지시설 급식단가를 기존 5000원에서 6000원으로 상향.

#### **추가 사업:**
– 노후 청소년수련시설 안전보강 및 활동 프로그램 확대.
– 청소년 국제화 사업 및 정책 제안 프로그램 신설.

### 3. **성평등 사회 조성을 위한 노력**

#### **핵심 과제:**
– **디지털 성범죄 대응:** 불법영상물 삭제 지원 시스템 개선, 피해자 지원 전문인력 증원, 국제 협력 강화.
–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 강화:** 폭력 피해자 주거 지원과 안전장비 제공, 성착취 피해 청소년에게 월 50만 원 자립지원수당 지급.
– **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개편:** 지자체 주도형으로 운영하며 경력단절예방 및 경력이음 프로그램 확대.

#### **추가 사업:**
– 국립여성사박물관 건립 추진과 유물 확보로 여성 역사 인식 확대.
– 청년 세대 성별균형문화 확산 사업 전개.

### **2026년에 변화될 주요 모습**

여성가족부는 자녀 돌봄과 청소년 건강 지원, 여성 경제활동 촉진 및 폭력 피해자 일상 회복을 위한 생활 밀착형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국민들이 이를 체감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실행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양육·돌봄의 사각지대 해소, 취약계층 보호 강화를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평등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발판이 될 전망입니다.

내년 건강보험료율 7.19%로 결정…올해보다 0.1%p↑
발행일: 2025-08-29 05:05

원문보기
### 내년 건강보험료율, 1.48% 인상 결정…월평균 보험료 상승

보건복지부는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내년 건강보험료율을 올해보다 1.48% 인상한 7.19%로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로 인해 직장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2,235원이 올라 16만 699원이 되며, 지역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1,280원이 인상돼 9만 242원이 된다.

#### 인상의 배경
건강보험 재정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저성장 경제와 보험료율 동결로 재정 기반이 약화된 상황이다. 또한, 지역 및 필수의료 강화를 포함한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실행하기 위해 기초 재원이 필요해 일정 수준 이상의 보험료 인상이 논의됐다. 다만, 고물가로 인한 국민 부담을 고려해 1.48%의 인상 수준으로 조정됐다.

정부는 이번 보험료 인상과 함께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재정 누수 관리 및 지출 효율화를 통해 건강보험 재정의 안정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 중증 희귀질환 보장성 확대
위원회는 9월 1일부터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급여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다발골수종은 완치가 어려운 희귀난치성 혈액암으로, 투여단계 2차 이상에서도 병용요법으로 해당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연간 8,320만 원에 달하던 환자의 투약비용은 건강보험 적용으로 416만 원 수준(본인부담 5% 기준)으로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는 중증 희귀질환 치료제뿐 아니라 항암제 등 환자에게 꼭 필요한 신규 약제를 급여화하고, 기존 약제의 사용범위를 넓히는 등 보장성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정책 방향과 기대 효과
이번 결정으로 건강보험료 부담은 소폭 증가하지만, 간병비와 희귀중증·난치질환 치료비 완화 등 국민 의료비 경감과 치료 접근성 향상이 예상된다. 이는 더불어 건강보험 재정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해 국민이 부담하는 보험료가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문의처**: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 보험정책과, 보험약제과(044-202-2755)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