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산업부, 국내 기업의 대만 반도체 부품 제조사 인수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장비기업이 대만 반도체 부품 제조업체 아사히 램프를 108억 원에 인수하도록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사히 램프는 미국과 대만의 주요 반도체 기업에 납품하는 첨단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인수를 통해 국내 반도체 공급망 안정성과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사례는 정부의 지원을 통해 국내 기술 기반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its support for a domestic equipment company’s acquisition of Taiwan’s Asahi Lamp for 10.8 billion KRW.
Asahi Lamp possesses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es and supplies major U.S. and Taiwanese firms, with this acquisition expected to boost the st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s semiconductor supply chain.
Summary This move illustrates how government support can enhance domestic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global market competitiveness.
日本語 韓国産業通商資源部は、国内装置企業が台湾のアサヒランプ社を約108億ウォンで買収する支援を行ったと発表しました。
アサヒランプは半導体製造技術を保有し、米国と台湾の主要企業に部品を納品しています。今回の買収で韓国の半導体供給網の安定と競争力強化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政府の支援によって国内技術を強化し、グローバル市場での競争力を高める大きな一歩となります。
中文 韩国工业通商资源部宣布,支持国内设备企业以108亿韩元收购台湾Asahi Lamp公司。
Asahi Lamp拥有用于半导体制造的先进技术,并向美国和台湾主要公司供应产品,此次收购预计将提高韩国半导体供应链的稳定性和竞争力。
总评 此举表明,政府支持能够有效增强国内技术基础,提升全球市场竞争力。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annunciato il supporto all’acquisizione da parte di un’azienda coreana della Asahi Lamp di Taiwan per 108 miliardi di KRW.
Asahi Lamp possiede tecnologie avanzate per la produzione di semiconduttori e rifornisce aziende leader negli Stati Uniti e a Taiwan; questa acquisizione è destinata a migliorare la stabilità e la competitività della catena di fornitura di semiconduttori in Corea.
Valutazione Questo caso dimostra come il sostegno governativo possa favorire l’espansione delle competenze tecnologiche nazionali 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sui mercati globali.
‘택지개발·주거복지’ 새 틀 짠다…’LH개혁위원회’ 출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구조와 역할을 재편하기 위해 ‘LH 개혁위원회’를 출범시켰습니다.
위원회는 택지개발 방식 개편, 재무 건전성 강화, 국민 의견 수렴을 통한 투명한 개혁안 마련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입니다.
총평 국민의 의견을 반영한 개혁이 진행되면 LH의 공공주택 사업이 더욱 신뢰받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launched the ‘LH Reform Committee’ to reorganize the structure and role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The committee plans to focus on revising land development methods, enhancing financial soundness, and collecting public opinions to establish transparent reform measures.
Summary Incorporating public input into the process could lead to more trustworthy and efficient operations of LH’s public housing programs.
日本語 政府は韓国土地住宅公社(LH)の構造と役割を見直すために「LH改革委員会」を発足させました。
委員会は、宅地開発方式の改編、財務健全性の強化、国民の意見を反映した透明な改革案の策定に注力する予定です。
総評 国民の声を反映することで、LHの公共住宅事業がより信頼され、効率的に運営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为重组韩国土地住宅公社(LH)的结构和职能成立了“LH改革委员会”。
委员会将重点讨论改进住宅开发方式、加强财务稳健性,并通过听取公众意见制定透明的改革方案。
总评 通过纳入公众意见,LH 的公共住房项目有望变得更加值得信赖和高效。
Italiano Il governo ha istituito il “Comitato di Riforma LH” per riorganizzare la struttura e il ruolo della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Il comitato si concentrerà sulla revisione dei metodi di sviluppo del territorio, sul rafforzamento della solidità finanziaria e sulla raccolta dell’opinione pubblica per formulare riforme trasparenti.
Valutazione Integrare le opinioni dei cittadini potrebbe rendere i programmi abitativi pubblici di LH più affidabili ed efficienti.
[정책 바로보기] 고용부 “비전문 외국인력 특화훈련 사업 활성화 위해 노력”
요약보기
한국어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산업안전 특화훈련 참여율이 저조하다는 지적에 대해 고용노동부가 활성화 방안을 밝혔습니다.
구급차의 교차로 안전을 위해 시청각 안전장치 도입을 시범 실시하며, 운전자의 인지 반응속도를 개선해 사고를 줄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총평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과 구급차 사고 예방은 근로 환경과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구체적인 실행이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announced measures to improve participation in the specialized industrial safety training for foreign workers.
Additionally, visual and auditory safety devices are being introduced in ambulances to enhance driver awareness at intersections and reduce accidents.
Summary These policies aim to create safer working environments for foreign workers and more secure ambulance operations, benefiting both workers and the public’s well-being.
日本語 外国人労働者の産業安全教育参加率が低いとの指摘を受け、雇用労働部は対策を明らかにしました。
また、交差点での安全性向上のため、救急車に視覚・聴覚安全装置を試験導入する計画です。
総評 労働環境の改善と救急車の安全運行は、労働者や患者の命を守る重要な施策です。
中文 针对外国劳工工业安全培训参与率低的问题,韩国雇佣劳动部提出了应对措施。
同时,为提高交叉路口的救护车安全性,政府计划试点安装视觉和听觉安全装置。
总评 这些政策将提升外国劳工的工作安全性及紧急医疗的效率,对社会整体产生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annunciato misure per incentivare la partecipazione alla formazione sulla sicurezza industriale per i lavoratori stranieri.
Inoltre, dispositivi di sicurezza visivi e sonori saranno introdotti nelle ambulanze per migliorare il riconoscimento nei crocevia e ridurre gli incidenti.
Valutazione Questi interventi migliorano la sicurezza sul lavoro e nei trasporti d’urgenza, garantendo una protezione migliore per tutti.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3000가구→8000가구로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지방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물량을 3000호에서 8000호로 늘리고, 매입 상한 기준을 감정평가액의 83%에서 90%로 상향하기로 했습니다.
매입된 주택은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공급되어 최대 8년 거주 후 저렴한 가격에 분양받을 수 있으며,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혜택이 제공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지방 건설경기를 회복시키고 주택난을 해결하며, 특히 청년과 신혼부부가 안정적으로 주거를 마련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plans to revitalize the regional construction market by increasing the purchase of unsold post-construction homes in regional areas from 3,000 to 8,000 units and raising the purchase price cap from 83% to 90% of the appraised value.
These homes will be offered as rent-to-own units through the “Ddeunden Jeonse” system, allowing residents to live for up to 8 years before purchasing at a low price, particularly benefiting young people and newlyweds without home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boost the local construction sector and alleviate housing issues by providing stable housing options for youth and newlyweds.
日本語 政府は地方の建設景気回復を目的に、地方の竣工後未販売住宅の買い取り枠を3000戸から8000戸に拡大し、買い取り上限基準を評価額の83%から90%に引き上げる方針を発表しました。
購入された住宅は「分譲転換型の賃貸住宅」として提供され、最大8年間居住後に手頃な価格で分譲され、特に無住宅の若者や新婚夫婦が対象となり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地方経済の活性化を図るだけでなく、若者や新婚家庭が安定的な住居を確保する手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计划通过将地方竣工后未售出的房屋收购量从3000套增加到8000套,并将收购价格上限从评估值的83%提高到90%,以促进地方建设市场复苏。
收购的房屋将以“分配转换型租赁”的方式提供,最多可居住8年,然后以低价转为分配,主要面向无房的青年和新婚夫妇。
总评 该政策有望提振地方经济,同时为青年和新婚家庭提供稳定住房,是多方受益的举措。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rivitalizzare il mercato edilizio locale, aumentando l’acquisto di abitazioni invendute post-costruzione nelle regioni dagli attuali 3.000 a 8.000 unità e alzando il limite di acquisto dall’83% al 90% del valore stimato.
Queste abitazioni saranno offerte come “affitti con riscatto”, permettendo di viverci fino a 8 anni prima di acquistare a un prezzo conveniente, con particolare attenzione per i giovani e le coppie neosposate senza casa.
Valutazione Questa misura può stimolare l’economia locale e offrire una soluzione abitativa accessibile, soprattutto per giovani e famiglie in cerca di stabilità.
중기부, 동남권 유망 스타트업들 투자 유치 돕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가 28일 부산에서 ‘동남권 웰컴 투 팁스’ 행사를 개최하며 지역 창업기업의 투자를 지원했습니다.
행사에는 100여 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동남권 유망 창업기업들이 투자설명회와 네트워킹을 통해 성장 기회를 모색했습니다.
이를 통해 팁스 프로그램 참여 기업의 후속 투자 유치를 지원하며, 지역 창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지역의 창업 기반을 강화하고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 기회 분산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eld the ‘Southeast Welcome to TIPS’ event on the 28th in Busan to support investment in regional startups.
The event gathered over 100 companies, with promising startups in the southeastern region engaging in investment presentations and networking opportunities.
This initiative aims to foster regional startup growth by assisting TIPS program participants in securing follow-up investments.
Summary This event strengthens regional startup ecosystems and contributes to balancing investment opportunities beyond the capital area, potentially boosting local economie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28日、釜山で「東南圏ウェルカム トゥ TIPS」イベントを開催し、地域のスタートアップ企業への投資支援を行いました。
イベントには100社以上が参加し、東南圏の有望なスタートアップ企業が投資説明会やネットワーキングを通じて成長機会を模索しました。
これにより、TIPSプログラムに参加する企業の後続投資を支援し、地域のスタートアップ活性化を促進しています。
総評 今回のイベントは、首都圏に集中していた投資機会を地域に分散し、地域経済の活性化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中小企业部于28日在釜山举办了“东南圈欢迎加入TIPS”活动,以支持区域初创企业的投资。
此次活动吸引了100多家公司参加,东南圈的有潜力初创企业通过投资说明会和交流活动寻求发展机会。
此举旨在支持参与TIPS项目的企业吸引后续投资,并推动区域初创企业的活跃与成长。
总评 此活动有助于将首都圈的投资机会分散到区域,并为地方经济注入活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delle Startup ha organizzato il 28 a Busan l’evento “Benvenuti a TIPS nel Sudest” per sostenere gli investimenti nelle startup regionali.
L’evento ha coinvolto oltre 100 aziende e le startup promettenti della regione hanno colto opportunità di crescita attraverso presentazioni e networking per gli investimenti.
Questo sforzo mira a supportare le startup partecipanti al programma TIPS nell’attrarre nuovi investimenti, favorendo lo sviluppo regionale.
Valutazione Questo evento può contribuire a diffondere opportunità di investimento al di fuori delle aree centrali, rafforzando le economie locali e l’innovazione nelle regioni.
석유화학·철강 위기 겪는 서산·포항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공급 과잉과 무역 환경 불확실성 속에서 석유화학 및 철강 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서산시와 포항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이 지정은 2023년 8월 28일부터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유지되며, 긴급경영안정자금, 우대보조금,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포함합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지역 기반 산업과 중소기업이 도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 지역 경제를 안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Seosan and Pohang as Industrial Crisis Response Regions due to challenges in the petrochemical and steel industries caused by global oversupply and trade uncertainties.
The designation lasts from August 28, 2023, to August 27, 2027, and includes support measures such as emergency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s, preferential financial aid, and policy-based financial support for small businesse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stabilize local economies and help struggling industries and small businesses navigate the current economic challenges.
日本語 政府は、世界的な供給過剰と貿易環境の不確実性による課題に直面している西山市と浦項市を「産業危機先制対応地域」に指定しました。
この指定は2023年8月28日から2027年8月27日までの2年間にわたり、有事経営安定資金、優遇助成金、中小企業への政策金融支援などが含まれます。
総評 これは地域経済の安定化を図り、地元産業や中小企業が危機を乗り越えるための重要な支援策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因全球供过于求和贸易环境不确定性问题,决定将瑞山市和浦项市列为“产业危机先行应对地区”。
此指定有效期为2023年8月28日至2027年8月27日,涵盖紧急经营稳定资金、优待补助金以及对中小企业的政策性金融支持等措施。
总评 此举旨在稳定地方经济,帮助面临危机的产业和中小企业渡过难关,减少经济波动的影响。
Italiano Il governo ha designato Seosan e Pohang come aree di risposta preventiva alla crisi industriale a causa delle difficoltà dell’industria petrolchimica e siderurgica per via dell’eccesso di offerta globale e dell’incertezza commerciale.
La designazione è valida dal 28 agosto 2023 al 27 agosto 2027 e prevede misure di sostegno come fondi di emergenza per la stabilizzazione della gestione, sussidi preferenziali e supporto finanziario per le piccole imprese.
Valutazione Questo piano mira a stabilizzare l’economia locale e a sostenere i settori industriali in difficoltà e le piccole imprese durante le attuali sfide economiche.
노동부, 개정 노조법 ‘현장지원단’ 운영…”현장 정착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가 8월 24일 개정된 노조법 적용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 ‘노조법 2·3조 개정 현장지원단’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원단은 경영계와 노동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원·하청 간의 교섭을 지원하며, 불법 노동행위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법 시행 초기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노사 상생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지원단 운영은 노사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노동 환경 적응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On-Site Support Tea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Union Law passed on August 24.
This team will gather opinions from management and labor groups, assist negotiations between principal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and monitor illegal labor activities.
These efforts aim to reduce uncertainties during the initial implementation phase and promot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while facilitating adaptation to the new labor regulation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8月24日に改正された労組法の適用における混乱を減らすため、「労組法2・3条改正現場支援団」を運営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支援団は、経営界と労働界の意見収集、元請けと下請け間の交渉支援、不法労働活動の監視を行います。
改正法の現場への安定的な定着と労使の協力を促進することが目的です。
総評 この支援団の活動は、労働環境の変化に対する迅速な対応を支援し、労使関係を安定させる期待が持てます。
中文 韩国雇佣劳动部宣布,将运营“修订《劳动组合法》2·3条现场支援团”,以减少8月24日修订法案实施中的混乱。
支援团旨在收集劳资双方意见,协助主分包商之间的协商,并监测非法劳动行为。
这一措施旨在降低法规实施初期的不确定性,并促进劳资合作关系的建立。
总评 此次支援团运营将有助于稳定劳资关系,减少法规实施过程中的问题,方便劳工与企业的协作共赢。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Occupazione ha annunciato la creazione di un Team di Supporto sul Campo per l’attuazione della nuova Legge Sindacale, approvata il 24 agosto.
Il team raccoglierà opinioni da parte del settore imprenditoriale e sindacale, supporterà le negoziazioni tra appaltatori principali e subappaltatori, e monitorerà attività lavorative illegali.
L’obiettivo è ridurre le incertezze iniziali dell’attuazione della legge e favorire relazioni di cooperazione tra le parti sociali.
Valutazione Questo team rappresenta un passo fondamentale per facilitare la transizione verso le nuove norme e promuovere una maggiore cooperazione tra imprese e lavoratori.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대학 6곳 추가…박사과정 월 110만 원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의 올해 참여대학 6곳을 추가 선정하고 35개 대학, 약 5만 명의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장려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업은 연구 생활 안정화를 위해 석사과정 월 80만 원, 박사과정 월 110만 원 이상을 지급하며, 대학 내 연구자 관리체계도 새로운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총평 이번 지원 사업은 연구에 몰입하기 어려운 대학원생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며, 장기적으로는 국내 연구역량 강화를 기대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the selection of six additional universities to participate in this year’s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Stipend Support Program, supporting approximately 50,000 graduate students across 35 universities.
This initiative provides at least 800,000 KRW per month for master’s students and 1.1 million KRW for doctoral candidates to alleviate their financial burden and focuses on enhanc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for campus researchers.
Summary This program offers substantial financial relief for graduate students, enabling better focus on research and fostering long-term growth in Korea’s research capabilities.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は、今年の科学技術系研究生活奨励金支援事業に6つの大学を追加選定し、35の大学で約5万人の大学院生に奨励金を支給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事業は、修士課程には月額80万ウォン、博士課程には月額110万ウォン以上を支給し、大学内の研究者管理体制の整備も進める内容です。
総評 この政策は、研究に集中したい大学院生への経済的支援を実現し、国内の研究開発力の底上げが期待されるものです。
中文 科学技术信息通信部宣布,今年科学与工程学科研究生活奖励金支持项目新增6所参与大学,共为35所大学的约5万名研究生提供支持。
该项目为硕士生每月至少提供80万韩元,博士生110万韩元,同时建立校内研究人员管理的新体系。
总评 该项目为研究生提供了实质性的经济支持,有助于集中精力于科研,并提高国家整体科研实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ICT ha annunciato la selezione di sei nuove università che parteciperanno al programma di sostegno alle spese di ricerca per le discipline scientifiche e ingegneristiche, con un totale di 35 università e circa 50.000 studenti di dottorato coinvolti.
Il programma offre un minimo di 800.000 KRW mensili per gli studenti di master e 1,1 milioni KRW per quelli di dottorato, migliorando anche i sistemi di gestione integrata per i ricercatori universitari.
Valutazione Questa misura offre un sostegno concreto agli studenti, facilitando il loro impegno nella ricerca e rafforzando il sistema scientifico nazionale nel lungo termine.
인구감소지역에 더 높은 세제 감면율 적용…”지역 균형발전 촉진”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국가 균형 발전과 민생 경제 안정을 위해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인구감소지역과 비수도권에서의 경제활동과 주택구입, 출산·육아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세제 감면 혜택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내 기업과 주민 지원을 강화하고, 빈집 정비와 활용 촉진을 위한 세제 지원을 포함합니다.
총평 이번 개편안은 지역 균형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비수도권 주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a revised local tax system plan to promot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stabilize the economy.
The plan includes expanded tax benefits for activities such as housing acquisition and childcare in areas with declining populations and non-capital regions.
It also features incentives for businesses and residents and supports measures for vacant house management.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provide substantial support for balanced regional growth while easing the economic strain on residents in non-capital regions.
日本語 政府は国家の均衡ある発展と民生経済の安定を目的とした地方税制改正案を発表しました。
人口減少地域や非首都地域での住宅取得、子育てなどに対して税制上の優遇措置を拡大する内容です。
特に地域内企業支援や空き家整備の促進策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改正案は地方経済の活性化に寄与し、地方住民の負担軽減を現実的に助け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发布了旨在促进国家均衡发展和稳定民生经济的地方税制改革方案。
该方案扩大了人口减少地区和非首都地区在住房购置、育儿等方面的税收减免优惠。
同时还包括对地方企业支持和空置房管理的相关激励政策。
总评 此次改革方案预计将有助于实现区域均衡发展,并减轻非首都地区居民的经济负担。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a riforma fiscale locale per promuovere lo sviluppo equilibrato del Paese e stabilizzare l’economia civile.
Il piano prevede l’ampliamento dei benefici fiscali per l’acquisto di case e l’assistenza all’infanzia nelle regioni con calo demografico e aree non metropolitane.
Include anche incentivi per le imprese locali e il recupero di edifici vuo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contribuire allo sviluppo sostenibile delle regioni meno sviluppate, alleviando il carico economico sui residenti locali.
국민 누구나 산재위험 신고…노동부, ‘안전일터 신고센터’ 개설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가 오는 29일부터 국민 누구나 사업장의 산재 위험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 ‘안전일터 신고센터’를 운영합니다.
이 센터는 산업재해 위험이 있는 작업이나 사고 징후를 발견하면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하며, 산업안전감독관이 해당 신고 내용을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 정책은 노동자와 시민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안전한 근로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ill launch the “Safe Workplace Reporting Center” on August 29, allowing citizens to report workplace safety risks.
This platform enables individuals to report hazardous work conditions or disaster signs online, and safety inspectors will review the reports and take necessary actions.
Summary This initiative empowers workers and citizens to actively contribute to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fostering safer workplace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8月29日から誰でも事業所の産業災害危険状況を通報できる「安全職場通報センター」を運営します。
このセンターでは、危険な作業や事故の兆候を発見した場合、オンラインで通報できる仕組みを提供し、安全監督官が内容を確認して対応します。
総評 この政策は産業災害の予防に労働者と市民が積極的に参加できる場を提供し、より安全な職場環境の整備に貢献するものです。
中文 韩国雇佣劳动部将于8月29日启用“安全工作场所举报中心”,供公众举报工作场所的工业事故风险。
平台允许个人在线举报危险工作条件或事故征兆,安全监督员将核实举报内容并采取措施。
总评 此举旨在推动工人和公民参与工业事故预防,共同建设更安全的工作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Occupazione avvierà il 29 agosto il “Centro segnalazioni luoghi di lavoro sicuri”, permettendo a chiunque di segnalare rischi di incidenti sul lavoro.
Questa piattaforma consente di segnalare online condizioni lavorative pericolose o segnali di disastri, con gli ispettori della sicurezza che verificheranno le segnalazioni e prenderanno provvedimenti.
Valutazione Questa misura permette ai lavoratori e ai cittadini di contribuire attivamente alla prevenzione degli infortuni industriali, promuovendo ambienti lavorativi più sicuri.
보이스피싱 24시간 365일 즉시 대응…”피싱 번호 10분 내 차단”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을 신설하고, 악성 앱·대포폰·사설 중계기 차단 및 AI 기반 탐지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또한 금융회사 피해 배상 책임제와 강화된 수사 및 처벌체계를 통해 보이스피싱 예방과 대응력을 대폭 강화할 방침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보이스피싱으로부터 국민의 재산을 보호하고,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Voice Phishing Integrated Task Force” to combat voice phishing.
Key measures include blocking malicious apps and illegal devices, introducing an AI-based detection system, and enforcing financial institutions’ liability to reimburse victim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ffectively safeguard the public from financial scams, improving prevention and accountability in tackling voice phishing crimes.
日本語 政府は「ボイスフィッシング統合対応団」を設立し、ボイスフィッシング犯罪の根絶を目指します。
悪質なアプリや不正端末の遮断、AI検出システムの導入、さらに金融機関の被害弁償責任制度を強化する対策を進めます。
総評 この対策は国民の財産被害を防ぎ、ボイスフィッシングに対する予防策として実効性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成立“防范网络钓鱼综合应对小组”,以根治电信诈骗犯罪。
措施包括屏蔽恶意APP、非法设备,引入AI检测系统,并强化金融机构赔偿责任制度。
总评 此举有望提升电信诈骗的预防能力,有效保护公众的财产安全。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la creazione della “Unità Integrata per il Phishing” per contrastare i crimini di phishing telefonico.
Le misure includono il blocco di app dannose, dispositivi illegali, l’utilizzo di sistemi di rilevamento basati su AI e il rafforzamento della responsabilità delle istituzioni finanziarie verso le vittim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rappresentare un aiuto concreto per proteggere i cittadini da frodi e prevenire danni economici.
사물인터넷(IoT)으로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가구 안부 살핀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보훈부가 고령·독거 국가유공자의 고독사 예방을 위해 IoT 기반 실시간 안부확인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올해는 4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내년에는 전체 위험군으로 확대될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AI 안부 전화, 찾아가는 복지 지원 등 맞춤형 정책이 준비 중입니다.
총평 이 서비스는 특히 고립된 고령 국가유공자에게 실질적인 정서적 지원과 안전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as launched a pilot program to prevent social isolation and solitary deaths among elderly and single-living veterans using IoT technology.
This year, 400 households are participating, with plans to expand it to all risk groups next year, alongside AI-based welfare initiatives.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a crucial safety net, addressing both emotional well-being and physical safety for isolated senior veterans.
日本語 国家報勲部は、高齢・独居の国家有功者を対象にしたIoT技術によるリアルタイム安否確認サービスの試行事業を始めました。
今年は400世帯を対象に実施され、翌年には全リスク層に拡大予定で、AI安否確認電話や福祉支援活動も行われます。
総評 このサービスは、特に社会的孤立の高い高齢国家有功者に実質的な安心感と安全ネットを提供する取り組みといえます。
中文 国家报勋部启动了针对老年独居国家功臣的IoT实时问候服务试点项目,以预防社会孤立和孤独死问题。
今年将覆盖400户,明年计划扩大到所有风险群体,并配套启动AI问候服务及个性化福利支持。
总评 该服务为生活孤立的老年国家功臣提供实质性的情感关怀和安全保障。
Italiano Il Ministero per i Patrioti e i Veterani ha avviato un progetto pilota che utilizza la tecnologia IoT per prevenire l’isolamento sociale e le morti in solitudine tra i veterani anziani e soli.
Quest’anno coinvolgerà 400 famiglie, con l’obiettivo di estenderlo a tutti i gruppi a rischio il prossimo anno, insieme ad iniziative di benessere basate sull’AI.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fornisce un supporto concreto sia emotivo che pratico agli anziani veterani socialmente isolati.
2인 이하 소형어선 구명조끼 의무화…10월 19일 시행
요약보기
한국어 오는 10월 19일부터 2인 이하 소형 어선에서 모든 승선자가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홍보와 단속을 병행하며, 2주간 계도기간을 거친 후 집중 단속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어선 사고와 어선원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조업 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총평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는 어업 종사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긴급 구조 상황에서 생존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Starting October 19, life jackets will be mandatory for all crew members on small fishing boats with two or fewer peopl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lans to promote this rule and enforce it through a two-week guidance period followed by focused inspections.
This initiative aims to minimize accidents and casualties on fishing boats and ensure a safer working environment.
Summary Mandatory life jacket use is expected to enhance the safety of fishermen and increase survival rates in emergency situations.
日本語 10月19日から、2人以下が乗船する小型漁船でライフジャケットの着用が義務化されます。
海洋水産部は2週間の指導期間を設けた後、集中的に取り締まりを行い、この制度の定着を目指しています。
この措置は漁船事故や漁業者の人的被害を最小化し、より安全な作業環境を確保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ライフジャケット義務化は、漁業従事者の安全を向上させ、緊急時の生存率を高める取り組みです。
中文 从10月19日起,两人或以下的小型渔船上所有船员必须穿戴救生衣。
海洋水产部计划在为期两周的指导期后,开展集中检查,以推动该规定的落实。
此举旨在最大限度减少渔船事故和人员伤亡,营造更安全的作业环境。
总评 救生衣强制使用是保障渔民安全的重要措施,将提高紧急情况下的生存几率。
Italiano Dal 19 ottobre sarà obbligatorio indossare i giubbotti di salvataggio su piccole imbarcazioni da pesca con un massimo di due persone.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prevede un periodo di orientamento di due settimane seguito da controlli mirati per garantire l’attu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idurre gli incidenti e le vittime nelle imbarcazioni e a creare un ambiente di lavoro più sicuro.
Valutazione L’uso obbligatorio dei giubbotti di salvataggio proteggerà i pescatori e aumenterà le possibilità di sopravvivenza in situazioni di emergenza.
요약
원문보기
**국내 장비기업, 대만 반도체 부품 제조업체 아사히 램프 인수 성공**
*산업부 지원으로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내재화 기대*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국내 장비기업 에프엔에스테크가 대만 반도체 부품 제조업체 아사히 램프(ASAHI LAMP)를 약 108억 원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는 투자연계형 기술확보지원사업을 통해 이뤄졌으며, 이를 통해 국내 반도체 생산의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아사히 램프(ASAHI LAMP)의 핵심 기술
아사히 램프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RTP(급속 열처리)와 EPI(에피택셜 증착)에 사용되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 제조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 기술은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대만의 TSMC 등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해당 고출력 램프는 생산 기반이 없어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에, 이번 인수는 공급망 다각화와 기술력 확보 측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
### 단기 및 중장기적인 기대 효과
이번 인수는 단기적으로 안정적인 반도체 부품 공급 및 시장 확대를 이루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기술을 국내화하고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해외 M&A 활동은 기존 R&D를 넘어서서 기술과 시장을 동시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으로 평가된다.
### 정부의 지원 및 추가 전략
산업부는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와 함께 인수 대상 기업의 발굴, 실사, 기술 평가를 지원하며 국내 기업의 해외 기술 확보를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공급망 전략 수립 지원과 함께 인수 금액의 최대 10%까지 세액 공제 연장도 추진 중이다.
에프엔에스테크는 이번 인수로 이미 검증된 글로벌 기술력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지난 2013년에도 산업부의 지원을 받아 미국 이노패드(InnoPad)를 인수해 CMP PAD(연마용 패드) 기술을 국내화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전자 등 주요 국내 반도체 기업에 제품을 납품하며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 나성화 정책관: 해외 M&A는 제2의 R&D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해외 M&A는 기술과 시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제2의 R&D”라며 “정부의 지원을 적극 활용해 해외 기술 확보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인수 사례는 국내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협력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도 정부는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고 첨단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이어갈 예정이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관 소재부품장비개발과(044-203-4927)
원문보기
**LH 개혁위원회 출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미래 방향성 모색**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업 구조와 역할 재편을 위한 청사진을 그릴 *LH 개혁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민간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LH 개혁방안 마련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개혁위원회 구성과 주요 사업 내용**
이번 개혁위원회는 임재만 세종대학교 교수(민간위원장)와 국토교통부 1차관이 공동으로 이끌며, 주거복지, 공공주택, 도시계획, 재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위원회는 아래와 같은 주요 과제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1. **사업방식 개편**: 택지개발 및 주거복지 등 LH 사업 부문별 구조 개선.
2. **미래 성장동력 확보**: LH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적 방향 모색.
3. **재무 건전성 강화**: 보다 책임 있고 투명한 경영 체계 구축.
### **국민 참여를 통한 개혁 방향 제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및 국민 자문단 운영을 도입합니다.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들이 직접 개혁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창구 마련.
– **국민 자문단**: 신혼부부, 임차인 등 정책 수혜자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인사이트 제공.
– **시장·전문가 자문단**: 업계 종사자와 전문가의 심층적인 의견을 반영해 현장 중심의 정책 논의 확장.
### **LH·국토부 협력 거버넌스 구축**
실질적인 개혁 추진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LH 내부에 별도 기획지원 조직을 설치해 운영합니다:
1. **LH 개혁기획단**: 국토교통부 내 조직으로 개혁 과제들을 종합 기획 및 조정.
2. **LH 개혁추진단**: LH 내부 조직으로 개혁과제를 구체화하고 실행 가능성을 높임.
### **정부의 개혁 의지와 기대 목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LH가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개혁 방안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현장 안전관리와 공공주택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해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새롭게 출범한 *LH 개혁위원회*는 국민과 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LH의 재정립과 공공주택사업의 미래 방향성을 구체화할 예정입니다. 이는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LH가 국민 생활 안정과 주거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정부 정책 업데이트: 산업안전 교육과 구급차 안전장치
—
안녕하세요, 정책 바로보기 코너에서 논의된 두 가지 주요 사안을 요약하고 분석해보았습니다. 이번 정책은 외국인 노동자의 안전 교육 참여율 증진과 구급차의 교차로 안전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 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산업안전 교육 강화
최근 외국인 노동자들이 산업안전 교육훈련에 충분히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지난해 목표 인원 4천 명 대비 실제 참여율이 31.6%에 그쳤습니다. 이와 관련해 고용노동부는 비전문 외국인력(E-9 비자)이 입국 초기부터 직무 및 산업안전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화훈련 사업을 확대하고 유연성을 강화했다고 밝혔습니다.
#### 정책 방안:
– **훈련 업종 확대**: 조선업에서 제조업, 임업, 서비스업 등으로 확대.
– **훈련 기간 유연화**: 훈련 기간을 1주부터 8주까지 다양화.
– **사업주 혜택**: 참여 사업주에게 고용허가 신청 시 가점을 제공.
– **컨설팅과 홍보 강화**: 훈련 수요조사와 컨설팅 제공.
정부는 안정적인 훈련 참여 유도를 위해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입국 인원 감소와 중소기업의 인력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인 지원책 마련도 필요해 보입니다.
—
### 2. 교차로 안전을 위한 구급차 시청각 장치 도입
구급차 교통사고 위험은 응급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지난 3년 간 소방 및 구급차 사고 612건 중 절반이 교차로에서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급차에 새로운 “시청각 안전장치”가 시범적으로 적용됩니다.
#### 핵심 장치:
– **로고라이트**: 바닥에 문구나 로고를 투영해 구급차 접근 상황을 빠르게 인지.
– **고출력 지향성 사이렌**: 특정 방향으로 소음을 집중적으로 방사, 기존보다 더 먼 거리에서도 효과 확인.
#### 실험 결과:
– 운전자 인지 반응 속도 14.6% 향상.
– 10m 이상 거리에서도 명확한 사이렌 소리 유지.
정부는 인천, 충북, 전남 등 일부 지역의 소방관서에서 장비를 시범 적용하며, 장치가 가져올 실질적 효과를 점검할 예정입니다.
—
### 결론: 안전과 효율을 위한 노력
두 정책 모두 안전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적극적 노력의 일환입니다. 외국인 노동자 특화훈련은 중소기업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며 노동자들의 안전을 강화하고, 구급차 시청각 장치는 긴급 상황에서 생명 구조 확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 정책의 실행과 개선 과정을 지켜보며 국민과 정책 수혜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 정부, 지방 건설경기 활성화 위해 미분양 주택 매입 확대
정부는 지방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물량을 8000호**로 늘리고, 매입 상한 기준을 기존 감정평가액의 **83%에서 90%로 상향**한다고 28일 발표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실행되는 이번 방안은 지방 건설경기의 극심한 침체를 극복하고, 공공임대주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택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
#### **핵심 내용 요약**
1. **매입 물량 확대**
기존 **3000호에서 8000호로 확대**하여 정책 효과를 강화할 예정.
2. **매입 상한가 상향**
감정평가액의 **83% → 90%**로 상향.
최근의 공사비 증가와 우수 주택 매입 유도 목적.
3. **매입 대상 및 절차**
–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 LH가 신청 주택의 임대 활용 가능성과 분양전환 가능성을 검토 후 매입.
– 매입 가격은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로 결정하되, 매입 상한가 대비 낮은 가격부터 순차적으로 진행.
4. **활용 계획**
매입 주택은 분양전환형 공공임대전세로 공급되며, **6~8년 동안 거주** 후 저렴하게 분양전환이 가능함.
(분양전환 미희망 시, 추가 2년 거주 가능)
5. **자세한 정보 제공**
29일부터 LH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에서 확인 가능.
—
#### **정부의 기대 효과**
김규철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은 이번 조치가 건설업계의 **유동성 확보와 자금 원활 공급**을 통해 **지역 경기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철저한 심사로 **임대수요가 높은 주택**을 매입해 지방권 청년과 신혼부부 등 **취약 계층에 안정적인 주거와 내집 마련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문의 및 정보**
– 국토교통부: ☎ 044-201-4533
– LH 건설경기안정화지원단: ☎ 031-738-4621
원문보기
### 중소벤처기업부, 동남권에서 첫 ‘웰컴 투 팁스’ 현장 투자설명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가 창업 지원과 투자 기회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동남권에서 첫 투자설명회를 진행했다. 이 행사는 창업기업을 위한 민관 협력형 창업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와 이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킹 및 성장 지원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 주요 행사 내용
지난 10월 28일, 부산 워케이션 거점센터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동남권의 유망 기술창업기업 8개 사와 팁스 운영사를 비롯해 약 100여 개 사가 참여했다. 팁스는 민간 운영사가 창업기업에 투자하면 정부가 연구개발(R&D), 창업사업화 자금 등을 연계해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3,700여 개 창업기업을 지원하며 17조 원 이상의 후속 투자를 유치한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 행사 주요 프로그램
1. **투자설명회 및 평가**
사전 선발된 동남권 창업기업 8개 사는 팁스 운영사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진행했으며, 현장평가를 통해 우수기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기업은 연말 통합 본선무대에서 전국 투자사들과 다시 만날 기회를 얻게 된다.
2. **운영사와 창업기업 네트워킹**
팁스 운영사들이 주요 투자 분야와 전략을 소개하는 설명회를 진행했으며, 창업기업과의 네트워킹 및 멘토링 프로그램도 마련되었다. 선배 팁스 기업이 주요 제품을 전시하고 경험을 공유하면서 신규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조언을 전했다.
3. **특화형 운영사 지정**
중기부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지역별·분야별 특화형 팁스 운영사 10개 사를 신규 지정했다. 이들은 지역, 글로벌, 상생, 기후테크 등 분야별 창업기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며 추천권 우선 배정 등 혜택을 제공받는다.
#### 중기부 차관, 창업 지원 의지 강조
행사에 참석한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은 “이번 행사는 창업기업들이 성장의 첫걸음을 내디딘 중요한 자리”라며, “동남권을 시작으로 권역별 투자설명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해 지역 창업 열기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특화형 운영사 지정을 통해 비수도권 기업의 팁스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창업기업이 지역 경제의 성장 엔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임을 약속했다.
#### 향후 지역 확산 계획
중소벤처기업부는 동남권에서 시작된 이 같은 행사를 권역별로 확대해 창업 지원과 투자 유치의 기회를 전국적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창업기업과 민간 운영사 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비수도권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동남권 웰컴 투 팁스’ 행사는 창업기업과 민간 투자사 간의 성공적인 교류의 장이 되었으며, 지역 창업 생태계 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원문보기
### 정부, 서산시·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위기 극복 지원 강화
석유화학 및 철강산업이 공급 과잉과 무역 환경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정부가 해당 산업에 의존도가 높은 **서산시**와 **포항시**를 각각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며 직접적인 지원에 나선다.
####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배경
– **서산시**: 충청남도는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어려움을 들어 해당 지역 산업이 현저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
– **포항시**: 경상북도는 글로벌 공급과잉 및 불공정 수입재 유입으로 철강산업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
지난달 18일 두 지자체가 신청서를 제출한 뒤,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청서 검토 ▲현지 실사 ▲관계부처 협의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심의 등 절차를 거쳐 이번 지정을 확정했다.
#### 지원 내용
1. **긴급경영안정자금 및 정책금융 강화**
– 중소기업에 대한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
–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우대보증 지원 프로그램 제공.
2. **추가 재정 지원**
– 2023년 2차 추경 예산 신설로 이차보전* 지원 및 기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
– *이차보전: 기업 대출 이자를 정부가 일부 보전해주는 제도.
3. **맞춤형 지원**
– 위기지역 내 수행기관 선정 후, 기업 수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전담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4. **기타**
– 연구개발(R&D), 경영자문, 고용안정 등 필요한 지원사업을 추진. 해당 내용은 내년도 이후 예산에 적극 반영.
#### 향후 계획
정부는 서산과 포항에 대한 지속적인 예산 투입 및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각 지역 산업의 체질 개선과 경쟁력 회복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와 함께, 고의나 중과실이 없는 한 정책 지원 담당자를 면책하도록 해 정책 실행력을 높인다.
—
현재 상황에 대해 문의사항이 있다면,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경제진흥과(044-203-4428) 또는 지역경제총괄과(044-203-4406)로 연락하면 더 자세히 확인 가능하다.
**출처**: (www.korea.kr)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노조법 2·3조 개정 현장지원단’ 운영 발표
**현장 혼선을 최소화하고 노사 관계의 안정적 정착을 목표로**
고용노동부는 8월 24일 국회를 통과한 개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의 원활한 현장 안착을 위해 ‘노조법 2·3조 개정 현장지원단’을 운영한다고 10월 28일 밝혔다. 이는 법 시행 초기 경영계와 노동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과 혼란을 최소화하며, 원하청 간 교섭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
### **현장지원단 주요 역할 및 활동 계획**
1. **경영계·노동계 의견 수렴 위한 TF 구성**
– 경영계와 노동계의 우려와 쟁점을 수렴하기 위해 소통 창구(TF)를 마련한다.
– 경영계는 경총(경영자총협회)을 중심으로, 노동계는 한국노총 및 민주노총을 통해 주요 의견을 모아 법리적 검토와 지침, 매뉴얼에 반영할 예정이다.
– 필요시 노사정이 협력 가능한 소통체계도 검토한다.
2. **원하청 교섭 지원**
– 지방 고용노동 관서를 기반으로 현장지원단을 구성해 원청-하청 구조가 두드러진 주요 업종과 기업을 진단한다.
– 특정 대상 기업에 대해 컨설팅을 제공하고, 업종별 교섭 모델을 발굴 및 공유한다.
– 조선업 등 주요 산업에서 상생 협력 및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원청과 하청이 함께 논의하는 협력 모델 구축을 지원한다.
3. **노사불법행위 모니터링 및 신고센터 운영**
– 교섭 방해 행위나 불법 점거 등 불법행위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전담팀 운영.
– 신고센터를 통해 즉각적인 신고 접수 및 수사를 추진해 불법 행위 발생을 예방할 방침이다.
—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법 시행 안정화에 총력”**
김 장관은 “법률 시행 초기부터 철저히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예측 가능성과 안정성을 높이겠다”며, “개정 노조법 취지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노사 모두 적극적인 협력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
이번 ‘노조법 2·3조 개정 현장지원단’의 운영은 법 시행의 혼란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원하청 교섭 모델 및 산업 내 협력 문화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문의:** 고용노동부 노사협력정책관 노사관계법제과 ☎ 044-202-7609
원문보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 하반기 대상 대학 6곳 추가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의 올해 참여대학으로 6개 대학을 추가 선정했다고 28일 발표했습니다. 새로 선정된 대학은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국민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입니다.
이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이 경제적 부담 없이 연구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석사과정은 월 80만 원, 박사과정은 월 110만 원을 지원하고, 대학(산학협력단) 차원의 학생연구자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 **추가 선정 대학 및 지원 확대**
올해 상반기에는 29개 대학이 선정되었으며, 이번 2차 공모를 통해 6개 대학이 추가되어 총 35개 대학으로 확대됐습니다. 이로 인해 장려금을 받는 대학원생은 약 6000명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반기에 선정된 대학들은 세부 운영계획 컨설팅을 거쳐 지난 6월 말부터 순차적으로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2차 공모에서도 대학 선정 절차는 두 단계(요건 검토 및 선정 평가)로 진행되었으며, 추가 선정된 대학들 역시 개별 컨설팅과 사업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통해 지원 체계를 안정적으로 시작할 방침입니다.
—
### **올해 지원 현황 및 향후 계획**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올해 시행 첫해에 35개 대학, 약 5만 명의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연구생활장려금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참여대학에 안정적으로 사업이 정착되도록 돕고, 더 많은 대학과 학생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신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 **추진 일정 및 문의처**
이번 2차 공모 선정 결과는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누리집(https://www.iris.go.kr)에 공지되었으며, 자세한 사항은 **한국연구재단 누리집(https://www.nrf.re.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과 관련된 문의는 아래 연락처를 통해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양성과**: 044-202-4835
– **한국연구재단 인재양성사업팀**: 042-869-6456
이번 사업은 이공계 후속 세대를 위한 정부 지원의 주요 사례로, 향후에도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 주요 내용 요약**
행정안전부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통해 국가 균형발전과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다양한 세제 혜택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편안은 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되었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납세자 편의 증진, 공정한 과세체계 구축에 중점을 둡니다.
—
### **1.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세제 지원**
– **인구감소지역 우대**: 비수도권 및 인구감소 지역에서의 산업 단지, 주택 취득 등에 대해 세제 감면율을 확대 적용.
– **취득세·재산세 감면**: 인구감소지역 내 창업 및 사업장 신설 시 부동산 관련 세금을 면제.
– **기업 지원**:
– 인구감소지역에서 고용 창출 시 법인지방소득세 감면 신설.
– 장기근속 수당에 대한 주민세 과세표준 공제 신설.
– 사원 임대·무상 거주용 주택 및 기숙사 취득세 50% 감면 신설.
– **주택 정책 개선**:
– 인구감소지역의 빈집 철거 및 재활용 시 취득세 및 재산세 감면.
–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소형 주택 취득 시 한시적으로 취득세 중과 제외.
—
### **2. 민생경제 안정 지원 강화**
– **생애최초 주택구입 및 출산·양육 지원 확장**:
– 신혼부부 및 청년층의 생애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100% 감면 연장.
– 인구감소지역 주택 구입 시 감면 한도 200만 원 → 300만 원 확대.
– 출산·양육 목적으로 주택 구매 시 취득세 감면 제도 연장.
– **취약계층 복지 향상**:
– 공공매입임대주택 감면 대상을 한국주택도시보증공사(HUG)까지 확대.
– 장애인 및 근로자 지원 기관에 대한 지방세 감면 연장.
– **국민 안전 강화**:
– 비의무 스프링클러 설치 숙박업소에 지방세 감면 신설.
—
### **3. 납세자 중심 환경 조성과 과세체계 개선**
– **납세자 권익 보호 및 편의 증진**:
– 납세자보호관의 불복청구 과정 참여 허용.
– 기계 및 비품 압류금지 대상을 확대.
– 행정제재부과금법 적용 확대로 납부 편의성 증대.
– **과세체계 합리화**:
– 법인지방소득세 세율 0.1%p 상향.
– 골프장 등 사치성 재산 승계취득 시 취득세 중과세 적용.
– 세무조사 사전통지 기간 확대 및 불복 청구 처리 절차 개선.
—
### **4. 향후 일정**
이번 지방세법 개정안은 **2023년 10월 초 국회 제출**을 목표로 9월 22일까지 입법예고를 통해 의견을 수렴합니다. 국민은 **국민참여입법센터**와 우편 등을 통해 의견 제출 가능하며, 관련 정보는 관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결론**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개편안이 지역 균형발전과 국민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민 신뢰와 지방재정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세제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의처**:
– 지방세정책과 (044-205-3821)
– 부동산세제과 (044-205-3845)
– 지방소득소비세제과 (044-205-3878)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안전일터 신고센터’ 개설…국민 누구나 산재 위험 신고 가능
오는 8월 29일부터 고용노동부는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재 위험 상황을 국민 누구나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는 **’안전일터 신고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산업 현장의 안전을 강화하고 사전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시행할 계획입니다.
—
#### **신고 대상 및 주요 기능**
‘안전일터 신고센터’는 다음과 같은 산업 안전문제를 신고할 수 있는 소통창구 역할을 합니다:
1. **안전조치 없는 작업 상황**
– 예: 보호장비 미착용, 작업환경 기준 미준수 등.
2. **중대 사고 위험 징후**
– 예: 붕괴, 화재, 유해물질 누출 등의 잠재적 안전사고 배경.
3. **산업재해 은폐**
– 예: 발생한 재해를 고의로 축소하거나 은폐하려는 사례.
이 밖에도 노동자는 물론 일반 국민이 현장에서 발견한 다양한 위험 요소를 신고, 대처 요청할 수 있습니다.
—
#### **신고 방법**
산재 위험 상황을 신고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면 됩니다:
1. **온라인 신고 플랫폼 접속**
– [노동부 노동포털](http://labor.moel.go.kr) 또는 노동부 홈페이지 → 민원 신청 메뉴에 접속.
2. **’안전일터 신고센터’ 선택 및 신고 내용 작성**
– PC, 모바일(휴대폰, 태블릿)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
**접수된 신고**는 관할 지역의 산업안전감독관이 내용을 확인하며, 현장 방문 및 점검을 통해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집니다.
—
#### **시범 운영 및 개선 계획**
안전일터 신고센터는 **9월 말까지 시범 운영**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후 신고 절차 상의 불편사항을 보완하여 정식 운영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의 당부**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우리 모두의 작은 신고가 중대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며 적극적인 신고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제보된 모든 내용은 철저히 확인하고 개선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하며, 이를 통해 **안전한 일터 문화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 **문의 및 정보**
– 담당 부서: 고용노동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 안전보건감독기획과
– 문의 전화: 044-202-8905
원문보기
###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범정부 종합대책: 핵심 내용 요약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가 교묘한 신종 수법으로 국민의 재산을 위협하면서 피해 규모가 증가하자, 정부는 대응 체계를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다음은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
#### 1.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 신설**
– 24시간 가동되는 통합대응단 설치.
– 신고된 범죄 이용 전화번호는 **10분 이내 통신망 차단**, **24시간 이내 이용 중지**.
#### 2. **범죄수단 원천 차단**
– 악성 앱 및 불법 스팸문자 차단을 위해 **3중 방어 체계** 구축:
1. 문자사업자의 악성 문자 차단 시스템(X-ray).
2. 통신사의 URL 차단 및 전화번호 위변조 확인.
3. 스마트폰 제조사의 악성 앱 설치 자동 방지 기능.
– 대포폰 유통 방지:
– 외국인 휴대폰 개통 시 철저한 본인 확인(안면 인식 등) 의무화.
– 사설 중계기(SIM Box) 사용, 제조, 유통 금지.
#### 3.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차단 플랫폼 구축**
– 금융, 통신, 수사기관 간 정보를 통합 공유해 AI로 의심 계좌 및 패턴 사전 탐지.
–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 탑재 스마트폰 확대 (고급형-중저가 포함).
—
#### 4. **피해 예방 및 구제 시스템 개선**
– 금융회사에 **피해 배상 책임제도** 도입 검토:
– 영국, 싱가포르 등 선진 사례를 참고.
– 모든 금융권과 가상자산거래소에 피해 계좌 지급 정지 및 환급 의무화.
– 오픈뱅킹 악용 방지 ‘안심 차단 서비스’ 도입 예정.
—
#### 5. **수사·처벌 강화**
– 국가수사본부 중심, **전국 단위 400여 명 규모 전담 수사체계** 구축.
– 해외 거점 보이스피싱 조직을 겨냥한 국제 공조 강화 (중국, 동남아 등과 협력).
– 내부 조직원 제보 시 형량 감형을 적용하는 **형벌 감면제도 도입**.
– 법정형 상향 및 범죄수익 몰수·추징을 위해 관련 법 정비.
—
#### 6. **추진 배경**
– 기존 대응 방식은 개별 기관 중심의 사후 대처로 한계 존재.
– **예방·선제적 대응**과 유관기관 간 **통합적 협력체계**로 정책 혁신 추진.
– 주요 전략: **대응 거버넌스 개편**, **범죄 예방·선제적 대응**, **배상책임 및 처벌 강화**.
—
#### 7. **정부의 당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보이스피싱을 반드시 근절하겠다”고 밝히며, 국민들에게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에 대해 즉각 신고하고 대응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
이번 대책은 단순한 처벌에 그치지 않고, 피해를 미리 막고 범죄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과 방식에 근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정부는 국민적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보이스피싱 완전 근절을 목표로 지속적인 개선을 이어나갈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위한 IoT 기반 안부확인 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국가보훈부는 고령·독거 국가유공자의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반 실시간 안부확인 서비스** 시범사업을 본격화한다고 28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업은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맞춤형 복지 지원을 확대하고, 고독사 위험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 주요 내용
1.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
지난 4월 보훈부는 6·25전쟁 및 월남전 등 참전 경험을 가진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한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을 공개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취약계층 1인 가구 8500여 명**을 조사하여 고위험군, 중위험군, 저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2. **IoT 기반 실시간 안부제공**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 국가유공자 400가구를 선정하여 **현관문**, **냉장고** 등에 문열림 센서를 부착, 실시간으로 안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올해 시범사업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전체 위험군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3. **현장 점검**
강윤진 국가보훈부 차관은 민간 협업 파트너인 퀄컴코리아 상무와 루키스 대표와 함께 안부확인 대상 국가유공자들의 자택을 방문해 문열림 센서 설치와 작동 여부를 점검했습니다. 생활 환경도 함께 살펴보며 직접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했습니다.
—
#### 추가적인 정책과 법적 기반 마련
보훈부는 IoT 기반 안부확인 외에도 다양한 맞춤형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AI 기반 안부 전화제도**
– **혹서기·혹한기 현장 안부확인 및 복지지원**
또한, **국가유공자법 등 6개 법률 개정**을 추진하여 고독사 예방정책의 법적 기반을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통해 유공자를 우선 지원 대상으로 포함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 강윤진 차관 발언
강 차관은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가 건강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보훈 의료 및 복지의 사각지대를 좁히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이번 사업은 국가유공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됩니다. 보훈부는 지속적인 정책 개선을 통해 단순한 서비스 제공을 넘어, 국가유공자의 복지와 예우를 더욱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국가보훈부 복지증진국 복지정책과(044-202-5620)**
원문보기
### 어선 안전 강화: 10월 19일부터 2인 이하 어선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
다가오는 10월 19일부터 **2인 이하가 승선하는 소형 어선에서도 구명조끼 착용이 의무화**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련 정책을 강화하고, 어업인의 협조를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 정책 배경 및 주요 논의 사항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어선안전조업법을 개정하며, 소형 어선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높은 치사율과 구조의 어려움을 고려해 구명조끼 착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가 시행되는 이번 10월 19일을 기점으로, 2주 동안의 **계도기간**을 거친 뒤 **집중 단속**을 통해 규정 준수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계획입니다.
오는 29일에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자체, 해양경찰청, 한국해양안전교통공단, 수협중앙회 등과 함께 ‘어선 안전사고 예방 및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회의가 개최됩니다. 회의의 주요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나홀로 조업선의 사망 및 실종사고 예방 방안**
2.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에 대한 홍보 및 단속 계획**
3. **팽창식 구명조끼의 전 어선원 신속 보급 방안**
4. **가을철 어선사고 예방 대책**
#### 안전조업 강조의 이유
홍래형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조업 본격화 시기인 가을철에는 어선 사고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면서, 어선 안전 점검 및 구명조끼 사용 의무화를 적극 계도해 사고를 예방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어업인은 해상에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구명조끼 착용 및 안전수칙 준수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추가 안내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와 관련하여 문의가 있으신 분들은 해양수산부 어선안전정책과(044-200-5523, 5526)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이번 규정은 해상 안전성을 높이고 어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어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며, 정책 이행으로 해상 안전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