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대통령실 “한미 정상회담, 3대 목표 성과 거둬…’동맹 현대화’ 진전”
요약보기
한국어
25일(현지시간)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간 경제·통상 안정화, 동맹 현대화, 협력 분야 확대 등에서 성과를 거뒀다고 대통령실이 발표했습니다.
양국은 조선, 원자력, 항공 등 전략산업에서 협력 증진을 위한 계약과 MOU를 체결하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전략산업 강화를 위한 금융패키지 활용에 합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 간 경제적·안보적 협력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며, 양국 국민 모두에게 새로운 산업 기회와 안정성을 제공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Presidential Office announced that the recent South Korea-U.S. summit achieved key outcomes in stabilizing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modernizing alliances, and expanding cooperation areas.
Both sides signed agreements and MOUs in strategic industries like shipbuilding, nuclear energy, and aviation, and also agreed on leveraging financial packages to strengthen these industries.
Summary This summit is expected to deepen economic and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offering citizens of both countries opportunities and stability in key industrial sectors.
日本語
韓国大統領室は、25日(現地時間)に行われた韓米首脳会談で、経済通商の安定化、同盟の近代化、協力分野の拡大において成果を上げたと発表しました。
両国は造船、原子力、航空などの戦略産業分野で契約やMOUを締結し、また経済協力を強化するための金融パッケージ利用について合意しました。
総評 今回の会談は韓米間の経済的・安全保障的協力を深化させるとともに、戦略産業分野における新しい機会を提供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韩国总统办公室宣布,25日(当地时间)举行的韩美首脑会晤在经济贸易稳定化、联盟现代化及合作领域扩展方面取得成果。
两国在造船、核能、航空等战略产业领域签署了协议与备忘录,还就利用金融套餐加强战略产业的合作达成一致。
总评 此次首脑会谈深化了韩美间的经济及安全合作,同时有望为两国民众带来产业新机遇与稳定性。
Italiano
L’Ufficio Presidenziale della Corea del Sud ha annunciato che il summit Corea del Sud-Stati Uniti del 25 agosto ha raggiunto risultati chiave nella stabilizzazione economica e commerciale, nella modernizzazione dell’alleanza e nell’espansione dei settori di cooperazione.
I due paesi hanno firmato accordi e memorandum in settori strategici come la cantieristica, l’energia nucleare e l’aviazione, concordando inoltre sull’uso di pacchetti finanziari per rafforzare questi settori.
Valutazione Questo summit rappresenta un passo avanti nella cooperazione economica e di sicurezza tra i due paesi, offrendo opportunità e stabilità nei settori industriali strategici.
국토부, ‘도심항공교통(UAM) 사업’ 지역별 맞춤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을 지역별 맞춤형으로 단계적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역 특성과 준비 정도에 따라 예산 지원, R&D 및 실증 연계, 전문 컨설팅 등으로 나누어 각 지역별 도심항공교통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UAM 기술을 실현하고 지역 교통 및 관광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UAM 기술이 지역교통과 관광산업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며, 시민들이 더 나은 교통 편의를 누릴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phase out support for the Urban Air Mobility (UAM) project tailored to each region.
Support will include budget aid, R&D and testing connections, and professional consulting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eparedness.
This initiative aims to implement UAM technology, bringing transformative changes to local transportation and tourism.
Summary This policy is likely to bring improvements in regional mobility and tourism, offering citizens enhanced transport options and convenience.
日本語 政府は地域別の特徴に合わせた段階的な支援によって、都市型航空交通(UAM)事業を進め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予算支援、研究開発および実証の連携、専門コンサルティングなどの形式で各地域の準備状況に応じて進められます。
これにより、UAM技術が地域交通と観光に革新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地域社会への利便性向上と観光産業の発展に寄与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政府宣布将根据各地区特点分阶段支持城市空中交通(UAM)项目。
支持形式包括预算援助、研发与实证结合以及专业咨询,以推动各地区UAM示范项目的发展。
该举措旨在实现UAM技术,为区域交通和旅游业带来变革性影响。
总评 此政策有望提高区域交通便利性,并为旅游业开辟创新发展路径。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sostenere il progetto di Mobilità Aerea Urbana (UAM) su misura per ciascuna regione.
Il supporto include sovvenzioni, ricerca e sviluppo, infrastrutture e consulenze professionali in base alle caratteristiche e alla preparazione locale.
Si prevede che questa iniziativa rivoluzionerà i trasporti locali e il settore turistico.
Valutazione Questo piano promette di migliorare la mobilità regionale e il turismo, portando innovazione e comodità ai cittadini.
갱신기간 지난 운전면허증, 9월 1일부터 본인확인 제한
요약보기
한국어 경찰청은 9월 1일부터 운전면허 진위확인 시스템을 개선해 갱신 기간이 지난 면허증으로는 본인확인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유효 기간 경과 여부와 상관없이 “일치”로 안내되던 시스템이, 앞으로는 갱신 상태까지 확인하여 제약을 두는 방향으로 변경됩니다.
이는 운전면허증을 신분증으로 사용할 때 발생 가능한 혼란을 줄이기 위한 조치이며, 면허 자체가 취소되는 것은 아닙니다.
총평 이번 변경으로 신분 확인 시 보다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갱신 관리를 소홀히 하면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English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nounced that starting September 1, the validity verification system for driver’s licenses will be improved, limiting the use of expired licenses for identity verification services.
Previously, the system only checked for matches in the information without considering whether the license had expired, but now it will also verify the renewal status.
This change aims to reduce confusion when using driver’s licenses as identification, and it does not lead to license cancellation.
Summary While this update enhance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dentity verification, individuals must ensure timely license renewal to avoid inconvenience.
日本語 警察庁は9月1日から運転免許証の真偽確認システムを改善し、更新期限を過ぎた免許証では本人確認サービスの利用が制限されると発表しました。
従来は更新期間経過の有無に関係なく情報が一致しているかのみ確認していましたが、今後は更新状態まで確認するシステムに変更されます。
これは運転免許証を身分証明書として使用する際の混乱を減らす目的であり、免許を取り消すものではありません。
総評 この変更は身分確認の信頼性を高める一方、期限切れによる不便を避けるため、免許更新を怠らないことが重要です。
中文 警察厅宣布,从9月1日起,将改进驾驶证真伪核查系统,过期驾驶证将无法用于身份核查服务。
目前系统不区分是否过期,仅核对信息是否一致,而改进后将增加对更新状态的检查。
此举旨在减少驾驶证作为身份证明时可能引发的混乱,不会影响驾驶证的有效性。
总评 该改进提升了身份核查的准确性,但持证人需注意及时更新证件以避免不便。
Italiano L’agenzia di polizia nazionale ha annunciato che dal 1° settembre il sistema di verifica dei documenti di guida sarà migliorato, limitando l’uso di patenti scadute per i servizi di identificazione personale.
Fino ad ora, il sistema verificava solo la corrispondenza dei dati senza considerare la scadenza, ma ora controllerà anche lo stato di rinnovo.
La misura mira a ridurre la confusione nell’uso delle patenti come documenti d’identità senza comportare la revoca della patente stessa.
Valutazione Questo aggiornamento migliora l’affidabilità delle verifiche d’identità, ma i titolari devono assicurarsi di rinnovare le patenti in tempo per evitare disagi.
OECD, 대한민국 잠재 위험 관리체계 ‘우수 사례’로 평가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OECD로부터 우리나라의 잠재위험 관리체계가 우수한 사례로 평가받았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우리나라는 미래 예측을 통한 중장기 위험 관리와 잠재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모델을 운영하며,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관리가 강점으로 꼽혔습니다.
총평 이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재난 대응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으며, 향후 재난관리 분야에서의 글로벌 위상이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on the 26th that South Korea’s potential risk management system was recognized as an exemplary case by OECD.
Key strengths include long-term risk predicti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model for potential risks, and the use of big data and AI in management.
Summary This recognition highlights South Korea’s advanced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potentially enhancing its global standing in risk management.
日本語 行政安全部は26日、韓国の潜在リスク管理体制がOECDから優れた事例として評価されたと発表しました。
中長期的なリスク予測、リスクの体系的分類、そしてビッグデータやAIを活用した管理が主な強みと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評価は韓国の災害対応能力が国際的に認められたことを意味し、今後リスク管理分野での地位向上が期待されます。
中文 行政安全部26日宣布,韩国的潜在风险管理体系被OECD评为优秀典范案例。
其优势包括通过预测进行中长期风险管理、系统化分类潜在风险的模型,以及使用大数据和AI进行管理。
总评 此次认可表明韩国在灾害管理领域的先进技术,未来其国际影响力有望进一步提升。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il 26 che il sistema di gestione dei rischi potenziali della Corea del Sud è stato riconosciuto come caso esemplare dall’OCSE.
I punti di forza includono la previsione dei rischi a lungo termine, un modello di classificazione sistematica dei rischi potenziali e l’uso di big data e AI nella gestione.
Valutazione Questo riconoscimento sottolinea l’alto livello della Corea del Sud nella gestione dei disastri e promette di rafforzare la sua posizione globale nel settore.
소기업 등으로 성장한 소상공인, ‘3년 지위 유예’ 포기 가능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 지위 유지(유예)를 포기할 수 있는 선택권을 도입하는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또한, 인구감소지역의 활성화구역 지정 기준을 점포 100개에서 50개 이상으로 완화해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합니다.
총평 이 개정안은 신속한 기업 성장과 소외된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지원해 상생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as approved an amendment allowing small businesses to opt out of maintaining their status during the grace period.
The amendment also lowers the store count requirement for designating revitalization zones in depopulated areas from 100 to 50.
Summary This amendment is expected to support rapid business growth and foste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revitalization of local commercial area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小規模事業者が地位維持(猶予)を辞退できる選択権を導入した改正案を可決しました。
また、人口減少地域の活性化区域指定基準を店舗数100軒から50軒以上に緩和しました。
総評 この改正案は、企業の迅速な成長と地域の活性化を支援するための重要な施策となるでしょう。
中文 中小风险企业部通过一项修正案,允许小商户在宽限期内放弃其地位保持权。
此外,将人口减少地区的活跃区划定标准从100个店铺减少至50个以上。
总评 这一修正案预计将促进企业快速发展,同时推动地方经济的均衡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Startups ha approvato un emendamento che consente alle piccole imprese di rinunciare alla loro qualifica durante il periodo di grazia.
L’emendamento abbassa inoltre il requisito di 100 negozi per le zone di rivitalizzazione nelle aree a calo demografico a 50 negozi.
Valutazione Questo provvedimento promuove lo sviluppo economico rapido e favorisce una crescita equilibrata nelle aree meno popolate.
한국 방문 외국 기업인, 입국 심사 빨라진다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와 국토교통부가 31일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외국 국적 기업인들의 입국심사 시간을 단축하는 우대 입국심사대를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경제단체 추천을 받은 외국 기업인들이 신속히 입국할 수 있도록 입국 절차를 개선한 것으로, 이는 국제 비즈니스 환경을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제도는 경제 활동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외국 기업인과의 협력 기회를 확대하여 국내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at, starting from the 31st, they will implement a pilot operation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reduce entry screening times for foreign businesspeople.
This measure, designed to expedite entry for foreign businesspeople recommended by domestic economic organizations, aims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business environment in Korea.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boost economic activities and create further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with foreign enterprises, benefiting the domestic economy.
日本語 法務部と国土交通部は31日から仁川国際空港で外国籍企業関係者の入国審査時間を短縮する優遇入国審査レーンの試験運用を開始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措置は、経済団体による推薦を受けた外国企業関係者が迅速に入国できるよう手続きを改善したもので、国際ビジネス環境の促進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制度は経済活動の活性化に貢献し、外国企業との協力機会が増加して国内経済に良い影響をもたらすとみられます。
中文 法务部和国土交通部宣布,从31日起将在仁川国际机场试运行优待入境审查通道,以缩短外国企业人士的入境等待时间。
此措施旨在通过改善入境流程,使国内经济团体推荐的外国企业人士能够更快捷地入境,从而提升韩国的国际商务环境。
总评 此政策将促进经济活动,扩大与外国企业的合作机会,对国内经济产生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e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nno annunciato che dal 31 si attiverà una corsia preferenziale per ridurre i tempi di ingresso per gli imprenditori stranieri all’aeroporto internazionale di Incheon.
Questa iniziativa, volta a semplificare le procedure per gli imprenditori stranieri raccomandati da associazioni economiche locali, intende rafforzare l’ambiente degli affari internazionali in Corea.
Valutazione Questa misura stimolerà le attività economiche e aumenterà le opportunità di collaborazione con le imprese straniere, generando benefici per l’economia nazionale.
식품 이동차량에 포장육·달걀 등 판매 허용…’식품 사막화’ 해소
요약보기
한국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산간벽촌 등의 ‘식료품 이동판매차량’에서 냉장·냉동 포장육과 냉장 달걀 판매를 허용하는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령’ 개정을 26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식품 사막화 문제 대응 및 국민 체감 우선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농협 등이 이를 운영하도록 선정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개정은 농어촌 주민들이 축산물을 더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해 생활 편의와 영양 균형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on the 26th an amendment to allow sales of refrigerated and frozen packaged meat and refrigerated eggs through “mobile food trucks” in remote areas.
This initiative aims to address food deserts and is part of a key government priority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faced by rural resident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access to safe livestock products in rural areas, improving both convenience and nutritional balance for residents.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は、26日に「畜産物衛生管理法施行令」を改正し、山間僻地などの「移動販売車両」で冷蔵・冷凍包装肉や冷蔵卵の販売を認め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措置は、食品砂漠化対策の一環として農協の運営を通じて実施さ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地方住民が畜産物をより簡単に購入できる環境を整えることで、生活の利便性と栄養バランスの向上に貢献するでしょう。
中文 食品药品安全处于26日宣布修订《畜产品卫生管理法实施令》,允许在偏远地区的“移动销售车辆”中销售冷藏、冷冻包装肉类和冷藏鸡蛋。
此项政策旨在解决“食品荒漠化”问题,并优先缓解农村居民的生活不便。
总评 此政策将为偏远地区居民创造更安全便利的畜产品购买环境,有助于改善生活便捷性及营养平衡。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 annunciato il 26 che la vendita di carne confezionata refrigerata e congelata e uova refrigerate sarà consentita nei “veicoli di vendita mobili” nelle aree remote.
Questa misura affronta il problema dei “deserti alimentari” ed è gestita da cooperative agricole come parte di una priorità governativ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gliorerà l’accesso ai prodotti alimentari sicuri nelle zone rurali, contribuendo al benessere e all’equilibrio nutrizionale degli abitanti.
경기침체 때 공유재산 임차 소상공인 부담 완화…임대료 최대 80%↓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가 공유재산 임차 소상공인 등의 임대료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경기침체 등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임대료를 최대 80%까지 인하할 수 있도록 하고, 적용기간을 올해 초부터 소급해 12월 31일까지로 정했습니다.
이는 지역경제 회복과 소상공인 생존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으로 평가됩니다.
총평 이번 개정안은 경기침체 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임대료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줄 수 있는 효과적인 지원책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approved a revised enforcement decree to reduce the rental burden on small business owners who lease public property.
This measure allows rent reductions of up to 80% during economic crises and retroactively applies it from the start of this year to December 31.
This policy aims to support local economic recovery and the survival of small businesses.
Summary This revision provides practical relief for small businesses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ir rental burdens during economic downturn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共有財産を賃借している小規模事業者などの賃料負担を軽減する「共有財産及び物品管理法施行令」の改正案を可決しました。
経済危機時でも賃料を最大80%まで引き下げ、今年初めから12月31日まで遡及適用される予定です。
この政策は地域経済の回復や、小規模事業者の存続を支援するための一環です。
総評 この改正案は経済不況時に小規模事業者の経営負担を大幅に軽減する実効性のある支援策といえま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批准了一项修订法令,以减轻租赁公共财产的小微商户的租金负担。
该措施允许在经济危机时期租金最多可降低80%,并可追溯适用于今年初至12月31日。
此政策旨在支持地方经济复苏和小微商户的生存。
总评 这一修订将成为经济低迷时期有效减轻小微商户租金压力的重要举措。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pprovato una modifica al decreto esecutivo per ridurre l’onere dell’affitto per le piccole imprese che affittano proprietà pubbliche.
Questa misura consente riduzioni fino all’80% durante le crisi economiche ed è retroattiva dall’inizio dell’anno fino al 31 dicembre.
L’obiettivo è favorire la ripresa economica locale e sostenere la sopravvivenza delle piccole imprese.
Valutazione Questa modifica rappresenta un aiuto concreto per le piccole imprese durante i periodi di difficoltà economica, alleggerendo significativamente il carico degli affitti.
김민석 총리 “한미 정상, 동맹을 경제로 확장…의미 있는 진전”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국무총리는 26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며, 한미동맹을 경제 분야로 확대하고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국회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정부 부처에 긴밀한 소통을 당부했습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국제 정세와 경제적 협력을 동시에 고려하며, 한반도 평화에 대한 긍정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Kim Min-seok announced at the Cabinet meeting on the 26th that the recent U.S.-South Korea summit has expanded the alliance to economic sectors and reinforced cooperation for peace and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dditionally,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National Assembly for effective governance.
Summary This announcement highlights a significant step forward in international diplomacy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promising implications for stability in Korea.
日本語 金民錫国務総理は26日に開催された国務会議で、最近の米韓首脳会談の結果を発表し、米韓同盟を経済分野に拡大し、朝鮮半島の平和と非核化に向けた協力を強化する方針を述べました。
さらに国会との緊密な連携を重視する必要性も強調しました。
総評 この発表は朝鮮半島の平和と国際協力を前進させる重要な一歩になる可能性を秘めています。
中文 韩国总理金民锡26日在国务会议上表示,最近举行的韩美首脑会谈达成共识,扩大韩美联盟至经济领域,并加强合作以推动朝鲜半岛的和平与无核化。
他还强调了与国会紧密合作的重要性,以促进有效治理。
总评 此次声明预示着韩国在国际外交和经济合作领域迈出重要一步,对半岛稳定充满希望。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annunciato il 26 ottobre, durante la riunione del Consiglio dei Ministri, che il recente summit tra Corea del Sud e Stati Uniti ha ampliato l’alleanza ai settori economici e rafforzato la collaborazione per la pace e la denuclearizzazione nella penisola coreana.
Ha inoltre sottolineato l’importanza della comunicazione stretta con il Parlamento per una governance efficace.
Valutazione Questa dichiarazione rappresenta un passo avanti significativo nella diplomazia internazionale e nella cooperazione economica, con l’obiettivo di stabilizzare la Corea.
’24시간 신생아 분만·진료’ 가능한 지역모자의료센터 10곳 선정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산모와 신생아 통합치료를 주도할 지역모자의료센터 10곳을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센터들은 24시간 분만과 신생아 진료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지역 내 산모와 신생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진료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산모와 신생아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의료 격차를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e selection of 10 regional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s to lead integrated treatment for mothers and newborns.
These centers will offer 24-hour delivery and neonatal care, creating safer medical environments for expectant mothers and newborns within their local regions.
Summary This initiative enhances healthcare access for mothers and newborns while addressing regional disparities in medical care.
日本語 保健福祉部は、産母と新生児の統合治療を主導する地域母子医療センター10か所を選定したと発表しました。
これらのセンターでは24時間の分娩と新生児治療が可能になり、地域内でより安全な医療環境が構築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妊婦と新生児の医療へのアクセスを向上させ、地域間の医療格差を縮小す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保健福利部宣布已选定10家区域性母婴医疗中心,负责主导产妇和新生儿的一体化治疗。
这些中心将提供24小时分娩及新生儿治疗服务,预期为地方产妇和新生儿创造更安全的医疗环境。
总评 此举改善了母婴医疗服务的可及性,并有助于缩小地区间医疗资源差异。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annunciato di aver selezionato 10 centri sanitari regionali per madri e bambini per guidare il trattamento integrato di madri e neonati.
Questi centri offriranno cure neonatali e assistenza al parto 24 ore su 24, creando un ambiente medico più sicuro per le madri e i neonati a livello locale.
Valutazione L’iniziativa migliora l’accesso alle cure per madri e neonati, contribuendo a ridurre le disparità sanitarie tra le regioni.
보험업권 상생기금 300억 원 조성…서민·소상공인 보험료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보험업계가 금융위원회와 함께 300억 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 소상공인 회복과 저출산 극복을 위해 6개의 상생 보험상품을 무상 지원합니다.
지원 보험에는 신용보험, 상해보험, 기후보험 등이 포함되며, 지역별 맞춤형 지원으로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안전망을 제공하고,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insurance industry, in collaboration with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will establish a mutual aid fund worth 30 billion KRW to provide free insurance coverage through six specially designed products aimed at helping small businesses recover and addressing the low birth rate.
The supported insurances include credit insurance, accident insurance, and climate insurance, with tailored regional support to maximize the impact.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provide substantial economic relief to small business owners and vulnerable groups while promot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日本語 保険業界が金融委員会と協力し、300億ウォン規模の共生基金を設立、小規模事業者の再建と少子化対策のため6つの共生保険商品を無償で提供します。
支援対象には、信用保険、傷害保険、気候保険が含まれ、地域特化型の支援で効果を最大化する予定です。
総評 小規模事業者や脆弱層に経済的安心を提供し、地域均衡発展にも貢献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保险行业与金融委员会合作设立了300亿韩元的互助基金,通过6种特殊设计的保险产品免费支持小规模商户恢复和应对低生育率问题。
支持的保险包括信用保险、意外保险和气候保险,并通过区域定制化支持以最大限度提高效果。
总评 此举有望为小商户和弱势群体提供实际经济保障,同时促进区域均衡发展。
Italiano L’industria assicurativa, in collaborazione con la Commissione dei Servizi Finanziari, istituirà un fondo mutualistico di 300 miliardi di KRW per fornire gratuitamente sei prodotti assicurativi volti a sostenere le piccole imprese e affrontare il calo demografico.
I prodotti comprendono assicurazioni di credito, contro gli infortuni e climatiche, con supporto adattato su base regionale per massimizzare i risulta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offrire concretamente una rete di sicurezza economica per le piccole imprese e i gruppi vulnerabili, oltre a favorire uno sviluppo regionale equilibrato.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연다…조선·원자력 등 11개 계약·MOU 체결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과 미국은 조선, 원자력, 항공, LNG, 핵심광물 분야에서 11건의 계약과 MOU를 체결하며,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강화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해양 역량 강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협력,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도입, 장기 LNG 수입 계약,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등입니다.
총평 이번 협력은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이 미국 시장 진출에 도움을 주며, 원료와 에너지 안정 확보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Englis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igned 11 contracts and MOUs in shipbuilding, nuclear energy, aviation, LNG, and critical minerals, strengthening their Manufacturing Renaissance Partnership.
The agreements include efforts to enhance maritime capabilities, collaborate on Small Modular Reactor (SMR) development, acquire next-generation efficient aircraft, secure long-term LNG imports, and establish a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
Summary This collaboration is expected to help Korean companies expand into U.S. markets and ensure stable supplies of raw materials and energy.
日本語 韓国とアメリカは、造船、原子力、航空、LNG、重要鉱物分野で11件の契約およびMOUを締結し、製造業ルネサンスパートナーシップを強化しました。
主要な内容には、海洋能力の強化、小型モジュール炉(SMR)の開発協力、次世代効率的航空機の導入、長期LNG輸入契約、重要鉱物サプライチェーンの構築が含まれます。
総評 この協力は、韓国企業が米国市場への進出を進めるとともに、原料とエネルギーを安定的に確保する助け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与美国在造船、核能、航空、LNG及关键矿物领域达成11项协议和MOU,进一步强化制造业复兴伙伴关系。
主要内容包括提高海洋能力、开发小型模块反应堆(SMR)、引进下一代高效飞机、签署长期LNG进口协议、建立关键矿物供应链等。
总评 此次合作有望帮助韩国企业拓展美国市场,同时保障原材料和能源的稳定供应。
Italiano Corea del Sud e Stati Uniti hanno firmato 11 contratti e memorandum d’intesa nei settori della cantieristica navale, energia nucleare, aviazione, LNG e minerali critici, rafforzando la loro partnership per la rinascita manifatturiera.
I principali accordi includono il potenziamento delle capacità marittime, la collaborazione sugli Small Modular Reactor (SMR), l’acquisizione di velivoli efficienti di nuova generazione, l’importazione di LNG a lungo termine e lo sviluppo di una catena di approvvigionamento di minerali critici.
Valutazione Questa collaborazione potrà aiutare le aziende coreane a espandersi nel mercato statunitense e a garantire approvvigionamenti stabili di risorse ed energia.
한·미 정상 “한미동맹, 더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현대화하자”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워싱턴DC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연설하며 한미동맹을 현대화하고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추진할 의지를 밝혔습니다.
한국은 국방비를 증액하여 미래형 스마트 강군을 육성하고, 미국과의 첨단 방산 협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북한 비핵화와 도발 대응을 통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며, 한미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연설은 안보와 경제를 융합한 첨단 기술 동맹이 우리 일상과 미래를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delivered a speech at CSIS in Washington, DC, emphasizing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US alliance and practical diplomacy centered on national interests.
South Korea plans to increase its defense budget to create a future-oriented smart military and expand advanced defense cooperation with the US.
Additionally, efforts for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denuclearization and responses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as well as bolstered Korea-US-Japan cooperation, were highlighted.
Summary This speech demonstrated a vision of a Korea-US alliance integrating security and economy to enrich daily lives and bolster future prospect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米国ワシントンDCのCSISで演説を行い、韓米同盟を現代化し、国益中心の実用外交を推進する意志を表明しました。
韓国は国防費を増加させて未来型のスマート軍隊を育成し、米国との先端防衛協力を拡大する予定です。
また、北朝鮮の非核化と挑発対応を通じて朝鮮半島の平和定着に努力し、韓米日協力の強化を目指すと強調しました。
総評 この演説は安全保障と経済を融合した実効的な韓米同盟が日常生活や将来の可能性を豊かにする方向性を示したものと言え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华盛顿DC的CSIS发表演讲,确认将现代化韩美同盟,并推进以国家利益为中心的务实外交。
韩国计划提升国防预算,培养未来型智能化军队,并扩大与美国的先进防务合作。
此外,他还强调通过朝鲜半岛无核化以及应对北方挑衅来促成和平,并增强韩美日的三方合作。
总评 此次演讲展示了安全与经济融合的韩美同盟对改善日常生活及未来发展具有积极作用的远景。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tenuto un discorso al CSIS di Washington, DC, sottolineando la modernizzazione dell’alleanza Corea-USA e la diplomazia pratica centrata sull’interesse nazionale.
La Corea del Sud prevede di aumentare il budget per la difesa per sviluppare un esercito smart orientato al futuro e ampliare la cooperazione avanzata con gli Stati Uniti.
Ha inoltre evidenziato gli sforzi per la pace nella penisola coreana, inclusa la denuclearizzazione e la risposta alle provocazioni della Corea del Nord, rafforzando la collaborazione tra Corea, USA e Giappone.
Valutazione Questo discorso ha illustrato una visione dell’alleanza Corea-USA che integra sicurezza ed economia per migliorare la vita quotidiana e favorire il progresso futuro.
이 대통령,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양국 기업협력 비전 제시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8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양국 협력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참석한 양국 기업인들은 조선·반도체·AI 등 첨단 및 전략 산업 협력과 공급망 강화를 위한 1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총평 이 행사는 한미 양국이 서로의 강점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첨단산업 및 공급망 협력을 더욱 강화하려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English On August 25, President Lee Jae-myung attended the ‘Korea-U.S. Business Roundtable’ in Washington, D.C., discussing enhanced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Key business leaders from both countries announced initiatives, including a $150 billion investment plan in the U.S., focusing on shipbuilding, semiconductors, AI, and supply chain enhancement.
Summary This event aims to strengthen economic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leveraging each country’s strengths to drive global market influence and industrial innovation.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8月25日、ワシントンD.C.で開催された「韓米ビジネスラウンドテーブル」に出席し、両国間の協力強化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船舶、半導体、AIなどの先端・戦略産業分野と供給網強化を目標とする1500億ドル規模の対米投資計画が発表されました。
総評 このイベントは、韓米双方が産業協力を深め、グローバル市場での競争力を高める場となるでしょう。
中文 8月25日,李在明总统出席了在华盛顿特区举行的“韩美商务圆桌会议”,讨论了两国合作的进一步加强。
两国企业领袖宣布了包括1500亿美元对美投资计划在内的措施,重点关注造船、半导体、人工智能及供应链强化领域。
总评 此次会议为韩美双方在全球市场中发挥优势并进一步深化产业合作奠定了基础。
Italiano Il 25 agost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partecipato al ‘Tavolo rotondo Corea-USA’ a Washington D.C., discutendo il rafforzamento della collaborazione tra i due Paesi.
Leader aziendali dei due Paesi hanno annunciato iniziative, tra cui un piano di investimenti di 150 miliardi di dollari negli Stati Uniti, focalizzato su settori come la cantieristica navale, semiconduttori, AI e catene di approvvigionamento.
Valutazione Questo event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rafforzare i legami economici tra Corea e USA, potenziando la collaborazione industriale sui mercati globali.
이 대통령, 미 트럼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남북 피스메이커 제안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첫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양 정상은 한반도 평화, 대북 정책, 경제 협력, 한미일 협력 강화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습니다.
특히 조선업과 제조업 등에서 협력 확대와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 관계 발전과 함께 경제와 국제 협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and U.S. President Donald Trump held their first summit meeting on August 25 in Washington, DC.
They discussed key topics including Korean Peninsula peace, North Korea policy, economic cooperation, and strengthening trilateral partnership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The leaders emphasized expanding collaboration in shipbuil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strengthening future-oriented bilateral ties.
Summary The summit showcased potential for positive impacts on both economic advance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とドナルド・トランプ米国大統領は、8月25日にワシントンDCで初めての首脳会談を行いました。
韓半島の平和、大北方政策、経済協力、韓米日協力強化など幅広いテーマが議論されました。
特に造船業や製造業分野での協力拡大と未来志向の韓米同盟関係の発展が強調されました。
総評 今回の会談は韓米関係の発展と国際協力の進展に前向きな影響を与える可能性を示しました。
中文 李在明总统与美国总统特朗普于8月25日在华盛顿特区举行了首次领导人会晤。
双方讨论了朝鲜半岛和平、北方政策、经济合作以及强化韩美日合作等多项议题。
特别强调了在造船和制造业领域的协作扩展及推动未来型韩美联盟的发展。
总评 此次会晤显示出在经济和国际合作方面可能带来的积极影响。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e il presidente degli Stati Uniti Donald Trump hanno tenuto il loro primo vertice il 25 agosto a Washington DC.
Hanno discusso temi chiave come la pace nella penisola coreana, le politiche verso la Corea del Nord, la cooperazione economica e il rafforzamento della partnership trilaterale tra Corea del Sud, USA e Giappone.
I leader hanno sottolineato l’importanza della collaborazione espansa nei settori della cantieristica navale e della manifattura e della crescita delle relazioni bilaterali orientate al futuro.
Valutazione Questo incontro ha mostrato il potenziale per effetti positivi sia sul progresso economico che nelle relazioni internazionali tra i due paesi.
요약
원문보기
### 한미 정상회담 결과: 경제·통상, 동맹 현대화 및 새로운 협력 분야에서 성과 달성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이 25일(현지시간) 열렸으며, 양국은 경제·통상 안정화, 동맹 현대화,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이라는 3대 목표에서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했습니다. 대통령실 측은 워싱턴DC의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
#### 주요 성과 요약
##### 1. **경제·통상 안정화**
– 양국 정상은 투자, 구매, 제조업 협력 등에서 논의를 진행하며 경제·통상 분야 안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추가 협의가 남아있지만, 경제·통상 분야의 안정화가 한 단계 진전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2. **동맹 현대화**
– 국방과 관련한 다양한 방안과 동맹 발전 방향에 대해 양국 간 진전과 공감대가 형성되었습니다.
– 이재명 대통령은 CSIS(국제전략문제연구소) 연설에서 국방비 증액 의지를 천명하며, 한반도 안보에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 3.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
– 조선 및 원자력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이 본격화되었습니다.
– **HD현대**와 **서버렛스캐피털**은 미국 조선소 현대화를 위한 공동 투자 프로그램을 논의.
– **두산에너빌리티**와 **엑스에너지**는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상용화 협력에 대한 합의 도출.
– 항공, LNG, 핵심광물 분야에서도 협력이 논의되었으며, 양측은 2건의 계약과 9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
#### 추가 사항
– **금융 패키지 활용:**
– 양국은 조선 분야에 최대 1500억 달러를 포함한 금융 패키지를 활용해 에너지, 반도체, AI 등 전략 산업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세부 실행 방안은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을 중심으로 한 실무 TF가 마련할 예정입니다.
– **비서실장 간 핫라인 구축:**
– 양국 대통령 비서실장 간 핫라인이 구축되어 외교·안보 및 경제 협상에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논의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 수지 와일스 미국 대통령 비서실장과 강훈식 한국 대통령 비서실장은 양국 협상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방침입니다.
—
#### 평가와 향후 계획
본 회담에서는 한미일 협력 강화 및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구상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높게 평가받았습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은 경제통상, 외교안보, 새로운 협력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함과 동시에 장기적 협력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후속 협상을 통해 이번 합의된 내용들이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원문보기
# 정부, 도심항공교통(UAM) 사업 지역 맞춤형 지원 계획 발표
정부가 에어택시로 불리는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지역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마련합니다. 국토교통부는 관련 예산 지원과 함께 연구개발(R&D), 실증 테스트, 전문기관 컨설팅 등을 통해 K-UAM 시범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26일 전했습니다.
## **K-UAM 지원 유형 및 지역별 계획**
국토부는 올해 초 공모한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지원’에 참여한 지자체에 대해 서면평가와 현장 실사를 거쳐 사업화 준비 상황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지원 방향을 구분했습니다. 각 유형별로 구체적인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예산 지원형’ 사업화 모델**
– **대상:** 사업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높은 지역.
– **주요 사례:**
– **제주**: 제주공항과 주요 관광거점을 연결하는 관광노선 계획. 버티포트(공중택시 이착륙 시설) 설계 예산 지원.
– **대구·경북**: 산불 감시, 고속도로 사고 모니터링 등 공공 목적 사업. 관련 예산 및 인프라 설계 지원.
– **전남·경남**: 남부권 광역관광 기반 구축. 문화체육관광부와 협력하여 인프라 예산 지원과 제도적 지원 병행.
### 2. **’R&D 및 실증 연계형’ 사업화 모델**
– **대상:** 연구 환경이 잘 갖춰져 있고 도심 노선으로 확장 가능한 지역.
– **주요 사례:**
– **울산**: 기존 도로 중심의 교통망을 보완하기 위해 태화강과 울산역을 잇는 노선 계획. 핵심 기술 개발 및 실증용 버티포트 구축.
– **서울·경기·인천**: 인천·김포공항과 수도권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 셔틀노선으로 높은 민간 수요가 예상. 도심지 실증 시설을 구축하고 기체 안전성과 운용성을 시험.
### 3. **’전문컨설팅 지원형’ 사업화 모델**
– **대상:** UAM 도입 효과가 크고 확산 가능성이 높은 지역.
– **주요 사례:**
– **부산**: 부산역과 해운대를 연결하는 교통·관광 통합형 사업. 버티포트 입지와 규제 해소를 위한 컨설팅 지원.
– **충북**: 재난 대응 헬기를 UAM으로 대체하는 사업. 충청권 광역 연계 및 버티포트 입지 구체화 컨설팅 제공.
추가적으로 공모에 미신청한 전북, 강원, 충남 지역도 자체 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전문 컨설팅 지원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미래 도심 항공교통을 향한 청사진**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각 지역의 특성과 요구에 맞춘 맞춤형 지원을 통해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K-UAM 서비스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지원을 통해 UAM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한 발돋움을 마련하고 있다며, 연구개발과 실증 과정에서 도출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도를 보완해 나갈 계획입니다.
—
**UAM 관련 배경 지식:**
도심항공교통(UAM)은 3차원 교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드론과 같은 항공기를 활용한 새로운 이동수단으로, 교통 체증 해소 및 효율적인 시간 절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운전면허 진위확인 서비스 개선, 갱신기간 경과 면허증 제한
경찰청은 2023년 9월 1일부터 운전면허 진위확인 서비스 시스템을 개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존 운전면허증 진위확인 시스템은 갱신 기간 경과 여부와 상관없이 발급 당시 기재된 정보와 일치 여부만 판단했으나, 앞으로는 갱신 기간이 지났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됩니다.
—
### 개선 전과 개선 후의 비교
#### **개선 전**
1. 갱신 기간 경과 여부 관계없이 운전면허증이 발급 당시 정보와 ‘일치’하는지만 표시됨.
2. 유효기간이 지난 면허증도 신분증으로 사용하는 데 제한이 없음.
#### **개선 후**
1. 운전면허증이 발급 당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갱신 기간 경과 여부도 표시.
2. 갱신 기간이 지난 면허증은 신분증으로 사용하는 데 제한이 생김. (예: 신분 확인 과정에서 부적합 처리 가능)
—
### 시스템 개선 배경
주민등록증, 여권,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다른 신분증은 유효기간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다는 공통된 규정을 따릅니다. 그러나 기존 운전면허증은 갱신 기간이 지나도 신분증으로 계속 사용 가능해, 신분 확인 과정에서 부정확한 사례가 발생하거나 시스템 개선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
### 경찰청 입장
경찰청은 이 개선 조치가 운전면허증의 유효성 체크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면허 자체를 취소하거나 효력을 상실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신분을 확인할 때 유효기간이 지난 면허증은 제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경찰청 교통기획과(02-3150-2253)로 문의하면 됩니다.
—
이제 운전면허증을 신분증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등록된 갱신 기간을 철저히 확인하고 갱신 기한 내 갱신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변경 내용에 따라 기존 면허증 사용에 익숙한 사람들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홍보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원문보기
### [뉴스 요약]
**행정안전부, OECD로부터 잠재위험 관리체계 우수성 인정**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대한민국의 잠재위험 관리체계를 우수 사례로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래 예측을 통한 중장기 위험 대비 ▲잠재위험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모델 ▲전문가 위원회를 통한 객관성 확보 ▲빅데이터와 AI 활용 등이 주요 성공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은 재난 관리 분야에서 표준화 절차와 선진적인 잠재위험 식별 체계를 통해 다른 국가들보다 앞서 나가고 있다고 평가받았습니다.
행정안전부는 국제적으로도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G20회의, OECD 재난위험경감 포럼 등 다양한 국제회의에서 대한민국의 사례를 소개하며 글로벌 협력을 이끌어냅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잠재 재난위험 요소를 영문 보고서를 통해 공유하고, 이를 국제 사회와도 연결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강화하고 있습니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한국의 우수한 관리체계를 세계에 알리고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 [블로그 콘텐츠]
#### 대한민국,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재난 위험 관리의 선도국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과거에 없던 새로운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거나 기존 위험이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재난과 위험 관리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OECD의 높은 평가: 대한민국의 잠재위험 관리체계 성공 비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대한민국의 잠재위험 관리체계를 세계적 사례로 평가한 것은 우리나라가 위기 관리에 있어 우수한 접근 방식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공 요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1. **미래 예측과 대응**
대한민국은 중장기 잠재 위험 요인을 미리 탐색하고 사전에 대비하는 미래지향적 접근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응력을 높이는 데 기반이 됩니다.
2. **체계적인 분류 모델**
위험의 심각성, 발생 가능성, 사회적 영향 등을 기준으로 잠재 위험을 분류하는 합리적인 모델을 통해 재난 대비를 과학적으로 접근합니다.
3. **전문가 위원회 운영**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의사결정에 참여해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4. **빅데이터와 AI 활용**
최신 기술인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위험 요소를 예측 및 분석하며 효율적이고 정밀한 관리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국제사회에서의 선도적 역할
행정안전부는 OECD와 함께 잠재위험 관리체제를 분석한 각국 중에서도 우리나라가 위험 식별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이 그동안 국제적인 협력과 홍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G20회의에서 ‘재난위험경감에 관한 장관선언문’에 관련 내용을 반영하고, 요약 분석 보고서를 영문으로 발간해 세계에 한국의 사례를 알리고 있습니다.
#### 앞으로의 미래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언급했듯,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의 선제적 위험 관리 체계는 국제적 모범 사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수 사례를 국제사회에 계속 알리고, 한국의 위상을 더욱 높이는 데 국가적 노력을 이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 재난은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협력하고 배울 수 있는 스마트한 재난 관리 체계, 여러분도 함께 관심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
✔ 관련 문의
– 행정안전부 자연재난실 재난대응총괄과: 044-205-5218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잠재재난위험분석센터: 052-928-8614
> 더 알아보기: www.ndmi.go.kr/eng
원문보기
### 소상공인제도 개정: 성장 기업 선택권 확대 및 지역상권 활성화 지원
**1. 소상공인 유예 선택권 부여**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에서 소기업·중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이 원할 경우, 소상공인 지위유지(유예)를 포기할 수 있는 제도 개정을 추진했다.
소상공인 유예제도는 매출 또는 고용 규모 확대로 소상공인 범위를 벗어난 기업이 3년간 소상공인 지위를 유지하며 중소기업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2021년 도입됐다. 그러나 기업 의사와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유예를 적용하는 방식에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업이 정부·지자체 지원사업 참여 또는 기타 이유로 소상공인 유예를 포기하려면 포기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단, 유예를 포기한 기업은 철회를 할 수 없다.
– **시행일**: 2023년 9월 1일
– **포기 신청 방법**: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sminfo.mss.go.kr)을 통해 ‘중소기업확인’ 신청 시 유예 포기 가능
이미 확인서를 발급받은 기업은 다음 사업연도부터 유예 포기를 신청할 수 있다.
—
**2. 지역상권 활성화구역 지정 기준 완화**
인구감소지역에서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상권법 시행령도 개정되었다. 기존에는 활성화구역으로 지정되기 위해 구역 내 점포수가 100개 이상이어야 했으나, 인구감소지역에 한해 이 기준이 50개 이상으로 완화된다.
이 개정은 중소도시 등 지역적 여건으로 인해 활성화구역 지정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시행일은 2023년 10월 2일**이다.
—
**정부의 기대 효과**
중소벤처기업부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 “소상공인 유예 포기로 기업의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소기업·중기업으로의 원활한 성장을 돕고, 활성화구역 점포수 기준 완화를 통해 인구감소지역 소규모 상권의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문의처**
– 소상공인 유예제도: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과 (044-204-7823)**
– 지역상권 활성화구역: **중소벤처기업부 지역상권과 (044-204-7887)**
원문보기
### 인천공항 우대 입국심사대 시행, 외국 기업인 입국 시간 단축
오는 10월 31일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국내 경제단체가 추천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들이 별도의 우대 입국심사대를 통해 빠르게 입국할 수 있게 됩니다. 법무부와 국토교통부는 비즈니스 목적의 외국인 입국 절차를 개선하는 이 조치를 발표하며, 국내 경제 활성화 및 국제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배경 및 추진 과정
이번 조치는 6월 13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경제단체·기업인 간담회에서 건의된 사항을 반영한 후속 정책으로, 정부는 관계기관 회의와 경제단체 간담회를 거쳐 해당 제도를 마련했습니다. 유인 입국심사대에서 긴 대기시간을 겪었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이 제도가 시행되면 대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입국심사 기준을 보면 우리나라 국민은 자동출입국심사로 평균 2분, 내국인 유인 심사대 이용은 평균 5분, 최대 24분이 걸리는 반면 외국인은 평균 24~35분, 최대 92분의 대기시간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해소하고 국제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인천공항에서 시작하며, 운영 결과에 따라 김포·김해 등 다른 공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 향후 계획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일반 외국인도 자동출입국심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제도는 올해 12월까지 시범 운영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과 효율성을 점검한 후 확대 적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법무부 정성호 장관은 “외국 기업인의 신속한 입국 절차가 국내 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할 것”이라 전하며, 국토교통부 김윤덕 장관도 “경제 교류 확대와 국가 경제 전반에 활력을 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기대 효과
외국 국적 기업인의 빠른 입국은 한국의 국제 비즈니스 여건을 개선하며, 국내 기업 및 외국 투자자 간 협력과 경제 교류를 활발히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정부는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제도를 적극 홍보하고 제도의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이 조치는 국제적인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외국인 투자 유치와 국내 경제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보기
### **축산물 이동판매 허용, 농어촌 주민 생활 개선 기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2023년 7월 26일, 일부 지역의 축산물 구매 불편 해소를 위해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에 따라 농업협동조합(농협)이 운영하는 냉장·냉동 차량을 통해 포장육과 냉장 달걀을 산간벽촌 등 소매점이 부족한 지역에서 이동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된다.
—
### **왜 이번 개정이 필요한가?**
최근 식품 소매점이 사라지는 일명 ‘식품 사막화’는 산간벽촌, 낙도 등 소외 지역 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야기해왔다. 특히 육류나 계란 등 신선 축산물을 구매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식약처는 국민 생활 편의 개선과 영양 섭취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해당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다.
—
### **주요 개정 내용**
1. **허용 품목 구체화**
– 이동·판매 가능한 축산물: **냉장·냉동 포장육**과 **냉장 달걀**
– 이를 통해 소비자의 축산물 구매 수요와 식품 안전성을 확보.
2. **판매 장소 선정의 지자체 권한 강화**
– 인구 감소, 주민 요청, 점포 접근성과 같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지자체가 판매 장소를 자율적으로 선정.
3. **판매 주체: 농협 지정**
– 전국적인 유통망과 식품 안전 관리 경험을 보유한 농협이 주체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추가적인 판매 주체 확대 가능성 검토 예정.
—
### **기대 효과**
이번 제도 개정을 통해 농어촌 주민들은 축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손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는 특히 신선 식품을 먼 거리에서 사야 했던 농어촌 지역 주민들에게 큰 삶의 질 향상을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영양 섭취 불균형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앞으로의 계획**
식약처는 이번 축산물 이동판매 제도 안정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주민들의 체감 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지속적으로 제도를 발전시킬 방침이다.
—
**문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소비안전국 축산물안전정책과
043-719-3259
식품 소매점 부족으로 불편을 겪었던 주민들에게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이번 제도의 정착이 주목된다.
원문보기
### 공유재산 임대료 감면, 경기침체에도 확대 적용 가능
경기침체와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임대료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9월 26일 국무회의에서 해당 내용을 담은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 기존 조치와의 차이점
기존에는 **재난으로 인한 피해**에 한해서만 공유재산 임대료 인하가 가능했으나, 이번 개정안을 통해 경기침체와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도 임대료 감면 조치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공유재산을 임차해 카페, 식당, 편의점 등을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최대 **약 80% 감면(임대료 요율 5%→1%)**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치는 침체된 지역경제의 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구체적인 운영 방식
개정안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임대료 감면을 적용한다:
1. **경제위기 상황 판단:** 경기침체 시 행안부 장관이 필요성을 판단한 뒤, 감면 적용 기간을 고시한다.
2. **지자체 재량:** 자치단체장은 공유재산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감면 대상, 요율, 폭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3. **소급 적용 가능:** 감면 적용 기간을 올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소급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정.
#### 기대 효과와 정부 입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조치는 어려운 경기 상황에서도 소상공인의 생계와 고용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며, 각 지자체가 제도를 신속히 적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 관련 문의
보다 자세한 사항은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 공유재산정책과(044-205-3686)**로 문의하면 된다.
—
**요약:**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공유재산 임대료 감면 범위가 경기침체 상황까지 확대된다. 이 조치는 올해 1월 1일부터 소급 적용 가능하며, 임대료는 최대 80%까지 감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회복과 고용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김민석 국무총리, 한미 정상회담 결과 및 현안 관련 발언
김민석 국무총리는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8회 국무회의에서 새벽에 있었던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언급하며, 외교적 진전을 강조했습니다.
####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성과
김 총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의미 있는 진전”으로 평가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를 강조했습니다:
– **한미동맹의 폭넓은 확장**: 군사적 협력을 넘어 조선업, 제조업 등 경제 분야까지 동맹을 확대하며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
–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 공조**: 한반도의 평화구축과 비핵화를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양국 정상이 뜻을 모음.
이와 함께 김 총리는 “내란 극복에도 또 하나의 고개를 넘은 의미가 있다”고 언급하며, 이재명 대통령과 관계자들의 외교적 노력에 찬사를 보냈습니다. 아울러 외교부를 중심으로 후속 조치 이행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국정 운영과 여야 관계
김 총리는 제1야당의 새로운 대표 선출과 관련하여, “정부의 기본 책무는 여야 국회와의 협력”임을 강조하면서, 각 부처 장관들에게 국회와의 긴밀한 소통 및 협력을 주문했습니다. 이를 통해 민주주의 원칙을 준수하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도모해야 한다는 점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 기상 관련 특별 지시
김 총리는 간밤의 폭우에 대한 대책을 언급하며 “비 피해와 산사태 피해를 철저히 관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대비책 마련에 각 부처가 각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을 요청했습니다.
—
### 요약
김 총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경제와 안보의 협력 강화를 통한 동맹 확장을 강조하고, 국익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야당 간의 협력 강화 필요성을 피력하며, 기후 재난 대응에도 만전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습니다.
원문보기
**보건복지부, 지역모자의료센터 10곳 선정 및 산모·신생아 진료 역량 강화 추진**
보건복지부는 산모와 신생아의 통합치료를 강화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10곳의 지역모자의료센터를 새롭게 선정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고위험 신생아 치료뿐 아니라 산모 진료와 분만까지 확대해 해당 의료센터가 지역 내 모자보건의 핵심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 **주요 내용**
1. **지역모자의료센터 역할 확대**
과거 신생아 집중치료에 초점을 맞췄던 지역모자의료센터는 올해부터 치료 범위를 확대해 산모 및 신생아 진료를 모두 통합적으로 담당한다. 이를 통해 임산부와 고위험 신생아를 안전하게 진료하고, 야간 및 응급 상황에서 24시간 지원이 가능하도록 강화할 예정이다.
2. **선정 기관 및 지원 내용**
이번에 선정된 10곳의 의료센터는 예산 지원을 통해 전문의 당직 체계를 구축하고,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24시간 진료 기능을 확보해야 한다. 더불어 지역 내 산모와 고위험 신생아 진료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3. **제주권 권역모자의료센터 지정**
제주권에 처음으로 권역모자의료센터가 지정되며 제주대학교병원이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 내 산모와 신생아들이 고위험 상황에서도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역센터는 첫해에 시설과 장비 마련을 위해 10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고, 이후 매년 6억 원씩 운영비를 지원받게 된다. 또한, 산모-태아 집중치료실(MFICU) 확충 등 고위험 진료 환경 구축에도 큰 역할을 할 예정이다.
4. **정부 차원의 노력**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지역모자의료센터 지정과 권역센터 확대는 지역 분만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큰 진전”이라며,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가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 **기대 효과**
– 임산부가 거주지 가까운 의료센터에서 안전하게 진료와 분만을 받을 수 있는 체계 확립.
– 야간 및 응급 상황에서도 신속한 의료서비스 제공.
– 제주 지역 첫 권역모자의료센터 지정으로 지역 내 공백 해소.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기반적 지원을 강화하며, 전국적으로 평등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문의처**: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 (044-202-2535)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 보험업계, 300억 원 규모 상생기금으로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지원에 나선다
보험업계가 소상공인 민생 회복과 저출산 극복 등 사회안전망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300억 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하고, 6개의 맞춤형 무상보험 상품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상생기금 조성 및 운영**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업계가 각각 150억 원씩 기여해 총 300억 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
이 기금으로 3년간 보험료가 전액 지원되는 상생상품을 운영.
2. **주요 상생상품 구성**
6종의 보험상품 출시로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전방위 지원:
– 신용보험
– 상해보험
– 기후보험
– 풍수해보험
– 화재보험
– 다자녀 안심보험
3. **정책 배경**
고물가와 경기 둔화, 자연재해 등으로 소상공인과 서민경제의 압박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서민들의 보험 가입 및 유지 부담 완화를 위해 마련됨.
4. **지역별 맞춤형 지원**
전국 17개 시·도와 협력하여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상품 운영.
인구 감소 지역과 취약 지역에는 지원 비율을 높이는 차등 운영 방식을 채택.
5. **지자체 협력 및 추진 일정**
– 지자체 공모를 통해 내년 초 지원 대상 지자체 선정.
– 올해 3분기 내 첫 번째 지원 지자체 결정 후 구체적 협약 및 실행 계획 수립.
– 지자체와 생명보험·손해보험협회의 긴밀한 협의 필요.
#### **정책의 기대 효과**
이번 상생 기금을 통해 소상공인은 경제 및 자연재해로부터 보호받으며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고, 취약계층은 의료비와 같은 다양한 부담에서 벗어나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저출산 극복을 위한 다자녀 안심보험 도입은 정부 정책과 연계된 인구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이 같은 상생 상품 제공은 보험업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재난 대응 및 생계 안정망 구축에 중요한 선례를 남길 것으로 평가됩니다.
#### **추진 과정 문의**
– 금융위원회 보험과: 02-2100-2961
– 생명보험협회 전략기획본부: 02-2262-6624
– 손해보험협회 기획관리본부: 02-3702-8530
원문보기
###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5대 분야 11건 계약 및 MOU 체결
대한민국과 미국이 제조업 협력을 통해 새로운 르네상스를 열기 위해 조선, 원자력, 항공, LNG, 핵심광물 등 5대 전략 산업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양국은 총 11건의 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양국 기업 간 비즈니스 시너지를 극대화할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
### **1. 행사 개요**
– **일자 및 장소**: 2025년 8월 2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윌러드 호텔
– **주최**: 산업통상자원부
– **참석자**:
– **한국**: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16명의 주요 기업인
– **미국**: 엔비디아 젠슨 황 CEO, 칼라일 그룹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공동회장 등 21명의 주요 기업인
– **정부 관계자**: 김정관 산업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
### **2. 주요 성과: 5대 산업 분야 협력 확장**
#### **① 조선**
– **HD현대 및 미국 서버러스 캐피탈**:
공동 투자펀드 조성 MOU 체결(수십억 달러 규모)
– 목표: 미국 조선업과 해양 물류 인프라 강화
– **삼성중공업 및 비거 마린 그룹**:
미국 해군 지원함 유지·보수 및 조선소 현대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MOU 체결
**→ 한미 양국의 조선 및 해양 역량 강화, 군사적 협력 확대 기대**
—
#### **② 원자력**
– **주요 MOU**:
–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에너빌리티, 엑스-에너지: SMR(소형모듈원자로) 설계 및 운영, 공급망 협력
– 한수원 및 센트러스: 우라늄 농축 설비 구축 공동 투자
**→ 국내 원전 경쟁력 강화 및 미국 내 전력 수요 대응**
—
#### **③ 항공**
– **대한항공 – 보잉사**: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 신규 도입 계약(362억 달러 규모)
– **GE에어로스페이스**: 엔진 구매 및 정비 서비스 계약(137억 달러 규모)
**→ 대한항공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단일 계약**
—
#### **④ LNG**
– **한국가스공사 – 트라피구라, 쉐니에르 등**:
2028년부터 10년간 약 330만 톤의 미국산 LNG 장기 도입 계약
**→ 안정적인 LNG 공급망 확보 및 국내 천연가스 가격 안정화 기여**
—
#### **⑤ 핵심광물**
– **고려아연 – 록히드마틴**:
게르마늄 공급 및 핵심광물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핵심 희소자원의 안정적 공급 및 방산 부문 협력 확대**
—
### **3. 정부 지원 및 전망**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은 “정부는 한미 제조업 협력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양국 기업에 더 많은 사업 기회를 창출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
### **마무리**
이번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은 양국 간 산업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전략적 동맹을 공고히 하고, 미래 기술 및 에너지 협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이 기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재명 대통령, 미국 CSIS에서 한미동맹 강화 의지 강조**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정책 연설을 통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대통령의 발언 요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
### **한미동맹의 현대화 및 강화**
1.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 현대화:**
– 이 대통령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한미동맹의 강화와 현대화를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 “국익 중심 실용동맹”이라는 비전을 통해 양국의 협력을 심화할 계획을 언급했습니다.
2. **한반도 안보와 방위능력 증강:**
– 한국이 한반도 안보를 지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 이를 위해 국방비를 증액하고 국가의 방위력을 강화하는 데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
###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관계**
3. **북한 핵문제 해결 노력:**
– 이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며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 한미는 북한의 도발에 강력히 대응하되, 대화 노력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4. **평화로운 대화 노력:**
– 남북 간 긴장 완화와 협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접경 지역 주민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
### **경제 및 첨단기술 협력 강조**
5. **한미 기술 연대의 확대:**
– 양국 간 첨단기술 분야 협력이 경제 번영의 새로운 역사적 계기가 될 것임을 전망했습니다.
– 특히, 한국의 세계적 조선업(K-조선)이 미국 조선업의 르네상스를 이끌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6. **관세 합의와 첨단기술 협력:**
– 최근 한미 간 타결된 관세 합의가 양국의 기술 협력을 더욱 촉진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 **한미일 협력 및 글로벌 비전**
7. **한미일 삼각 협력 강화:**
– 일본은 한미동맹의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세 나라가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8. **인도-태평양 및 글로벌 공조:**
– 한미일 협력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영뿐만 아니라 글로벌 차원의 협력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
### **미래 비전: “같이 갑시다”**
이 대통령은 연설을 마치며 “한미동맹의 새로운 전성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고 말하며, 양국의 무한한 가능성과 협력을 통해 위대한 미래를 만들어갈 것을 역설했습니다. “같이 갑시다”라는 발언은 협력의 중요성을 상징하며 연설의 메시지를 맺었습니다.
—
### **의미와 맥락**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은 안보, 경제, 기술 분야에서의 한미동맹의 심화를 강조한 것으로, 북한 문제와 글로벌 안보 및 경제 협력의 과제에 대해 구체적 비전을 제시한 중요한 연설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이재명 대통령,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서 제조업 르네상스 강조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양국 간 산업 협력 강화와 경제 동맹의 새 지평을 논의했습니다.
—
### **주요 참석 인물**
행사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인들이 대거 참여했습니다:
– **한국 측 참석자**: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 최태원 회장, 현대차 정의선 회장, LG 구광모 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와 함께, 두산에너빌리티 박지원 회장,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등이 자리했습니다.
– **미국 측 참석자**: 엔비디아(NVIDIA) 젠슨 황 CEO, 칼라일 그룹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회장을 포함해 보잉,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 등의 대표 기업인들.
—
### **기조연설 및 주요 메시지**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양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1. **제조업 르네상스**:
– 대한민국의 제조 기술력과 미국의 혁신 역량을 결합해 세계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강조.
– 조선·원전·반도체·AI·바이오 등 전략적 첨단 산업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고도화하자는 제안.
2. **공급망 협력**:
– 글로벌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 간 전략적 투자와 협력을 통해 안정적이고 강력한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성을 언급.
3. **역사적 연대**:
–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역할을 언급하며 양국 간 조선 협력 프로젝트의 역사적 의의를 강조.
—
### **대미 투자 계획 및 협업**
한국 기업들은 이날 총 **1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양국 기업인들은 첨단산업(반도체, AI, 바이오), 전략산업(조선, 원전, 방산), 모빌리티 및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공동 연구**와 **정부 지원**이 성공적인 협력의 핵심임을 재확인했습니다.
—
### **마무리 발언**
이재명 대통령은 행사 마무리 발언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황금시대를 열기 위해 기업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히며, 정부가 양국 기업 간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임을 다짐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첫 미국 방문에 맞춰 이루어졌으며, 한미 간 경제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여는 중요한 계기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위 기사 내용은 현실과 맞지 않는 허위 정보거나 조작된 기사로 보입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핵심 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
1.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언급**: 현재 기준(2023년), 이재명은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재명 대통령”이라는 표현은 사실에 기반하지 않습니다.
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2021년 1월 미국 대통령직에서 퇴임했으며, 미국의 현직 대통령은 조 바이든입니다. 따라서 트럼프와 관련된 정상회담에 대한 내용은 역시 현실 상황과 맞지 않습니다.
3. **2025년의 날짜**: 기사가 미래의 날짜를 언급하고 있어, 이는 허구적 설정으로 보입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2025년의 어떤 사건도 확정적인 정보가 아니므로, 해당 보도는 신뢰성이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기사는 사실과 맞지 않으며 허위 생성된 자료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원하실 경우, 공신력 있는 뉴스 매체나 공식 발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