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정부, 경제형벌 합리화 TF 가동…1년 내 경제형벌규정 30% 개선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경제형벌의 합리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경제활동 위축을 막기 위해 불필요한 경제형벌 규정을 줄이고, 경미한 사안은 과태료 대체 등으로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중대한 경제범죄는 엄단하는 동시에 기업 창의성을 보장하려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총평 이번 방안은 기업 활동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책임을 강화해 경제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Task Force (TF) to rationalize economic criminal penalties and held its first meeting.
The plan aims to reduce unnecessary regulations, convert minor offenses to fines, and maintain strict measures for serious economic crimes.
The initiative also seeks to foster a creative and responsible business environment.
Summary This approach could enhance economic efficiency by balancing business freedom with accountability.
日本語 政府は経済刑罰の合理化を目的としたタスクフォース(TF)を設立し、第1回会合を開きました。
不必要な経済刑罰を削減し、軽微な事案については過怠金に変更する方針を打ち出しました。
また、重大な経済犯罪には厳正に対処しつつ、企業の創造性を守る政策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方針は、企業活動の自由を保障しながら、責任感の強化も図るバランスの取れた改善策です。
中文 政府成立了经济刑罚合理化专项组(TF)并召开了第一次会议。
计划减少不必要的经济刑罚规定,对于轻微案件改用罚款,同时对重大经济犯罪严厉打击。
该政策还意在支持企业的创新能力,同时提升责任意识。
总评 此举有望在保障企业自由发展的同时,规范市场行为,优化经济环境。
Italiano Il governo ha costituito una Task Force (TF) per razionalizzare le pene economiche e ha tenuto la prima riunione.
Il piano prevede la riduzione delle regole eccessive, la sostituzione delle pene minori con multe, e il mantenimento di sanzioni severe per i reati economici gravi.
Inoltre, si punta a incentivare la creatività e la responsabilità tra le impres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à migliorare l’efficienza economica promuovendo un equilibrio tra libertà imprenditoriale e responsabilità.
“국민이 만드는 APEC”…APEC 정상회의 국민소통 플랫폼 운영
요약보기
한국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는 경주에서 열리는 올해 APEC 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8월 한 달 동안 온라인 국민소통 플랫폼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플랫폼은 국민 제안을 통해 인프라, 서비스, 홍보 등 다양한 분야를 개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글과 K-POP 등 국격을 드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모을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온라인 플랫폼은 국민의 참여를 통해 대형 국제 행사의 품질과 완성도를 높일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APEC Summit Preparatory Committee announced the launch of an online public communication platform throughout August to promote successful hosting of this year’s APEC Summit in Gyeongju.
The platform invites public suggestions to improve areas such as infrastructure, services, and promotion, leveraging ideas like using Hangeul and K-POP for cultural marketing.
Summary This platform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itizens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a major international event.
日本語 アジア太平洋経済協力会議(APEC)首脳会議準備委員会は、今年の慶州APEC首脳会議の成功を支援するため、8月の1か月間、オンライン国民コミュニ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運営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プラットフォームでは、国民提案を通じてインフラやサービス、広報戦略を改善し、ハングルやK-POPなどを活用した文化マーケティング案を募集しています。
総評 国民のアイデアで大型国際行事の水準を高める良い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亚太经济合作组织(APEC)峰会筹备委员会宣布,在八月全月期间运营一个线上公众交流平台,以确保今年庆州APEC峰会的成功举办。
该平台旨在通过公众提议,改进基础设施、服务和宣传等领域,并利用韩语和K-POP等元素进行文化推广。
总评 这为国内公众参与提升国际活动质量提供了良机。
Italiano Il Comitato per la preparazione del Vertice APEC ha annunciato che ad agosto sarà operativo un portale online per raccogliere il contributo dei cittadini al fine di garantire il successo del Vertice APEC di quest’anno a Gyeongju.
Il portale inviterà proposte pubbliche per migliorare infrastrutture, servizi e promozione, valorizzando strumenti come l’Hangeul e il K-POP.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dà ai cittadini l’opportunità di partecipare al miglioramento di un grande evento internazionale.
대중문화예술분야 ‘청소년보호책임자 지정’ 의무화 시행
요약보기
한국어 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의 인권 보호를 위해 청소년보호책임자 지정을 의무화하는 법령이 시행되었습니다.
문체부는 이와 더불어 대중문화산업 내 청소년 인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장관의 자료 요구 권한도 신설했습니다.
총평 이번 법 시행은 청소년 아티스트의 권익을 보호하고 안전한 활동 환경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A new law requiring the designation of youth protection officers to safeguard the rights of young performer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been implemente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lso introduced a provision granting the Minister the authority to request relevant data to strengthen youth rights protection.
Summary This implementation is expected to help protect the rights of young artists and ensure a safer working environment for them.
日本語 青少年の大衆文化芸術人の人権保護を目的に、青少年保護責任者の指定を義務付ける法律が施行されました。
さらに、文化体育観光部は、大衆文化産業における青少年の権利保護強化のため、担当大臣が関連資料を要求できる権限を新設しました。
総評 この法律の施行により、青少年アーティストの権利が守られ、より安全な活動環境が整備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用于保护青少年大众文化艺术工作者人权的新法律已正式实施,规定必须指派青少年保护责任人。
此外,文体部还引入了部长有权要求提供相关数据的条款,以加强青少年权益保护。
总评 此政策预计将为青少年艺术家提供人权保护,并确保他们拥有更安全的工作环境。
Italiano È entrata in vigore una nuova legge che impone la designazione di responsabili della protezione dei giovani per salvaguardare i diritti degli artisti minorenni nell’industria culturale e artistica.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che introdotto l’autorità per richiedere dati rilevanti per migliorare la protezione dei diritti dei giovan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nta a tutelare i diritti degli artisti minorenni, garantendo loro un ambiente di lavoro più sicuro.
외국에 국가전략기술 정보 제공 시 사전 협의해야…”국가 책임 관리”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국제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과 그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법에 따라 외국 정부나 기관이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보를 요청할 경우, 기술육성주체는 60일 이내 관계부처에 통보하고 협의를 의무화해야 합니다.
총평 이번 개정은 국가 전략기술의 보안을 강화하고 기술 유출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amendments to the “Special Act o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o address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on.
Under this law, if foreign entities request information o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related institutions must notify the concerned ministries within 60 days and conduct prior consultations.
Summary These amendments aim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preventing leakage and fostering a stable technological ecosystem.
日本語 政府は国際技術覇権競争に対応するため、「国家戦略技術育成に関する特別法」とその施行令の改正案を発表しました。
この法律に基づき、外国政府や機関が国家戦略技術に関する情報を要求した場合、関係機関は60日以内に関連部門に通知し、事前協議を行う義務があります。
総評 この改正は国家戦略技術の安全性を強化し、技術流出を防ぎ、安定的な技術エコシステムの構築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了应对全球技术竞争的“国家战略技术培育特别法”及其实施令修订案。
根据该法,若外国政府或机构请求国家战略技术相关信息,有关育成主体需在60日内向相关部门通报并进行事先协商。
总评 此次修订旨在加强国家战略技术的安全,防止泄露,推动稳定的技术生态系统建设。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modifiche alla “Legge speciale per lo sviluppo delle tecnologie strategiche nazionali” e al suo regolamento di attuazione per affrontare la competizione tecnologica globale.
Secondo questa legge, se entità straniere richiedono informazioni sulle tecnologie strategiche nazionali, gli enti responsabili devono notificare i ministeri competenti entro 60 giorni e condurre consultazioni preventive.
Valutazione Queste modifiche puntano a rafforzare la sicurezza delle tecnologie strategiche, prevenendo fughe di informazioni e promuovendo un ecosistema tecnologico stabile.
산업부, ‘미 구리 관세 50% 부과’ 긴급 점검…”업계 영향 최소화”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의 한국산 구리 관세 50% 부과와 관련해 구리 수출업계와 긴급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정부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수출 다변화와 국내 생산 지원을 약속하며,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총평 구리 관세 부과는 국내 수출업계에 부담을 줄 수 있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이 피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an emergency meeting with copper exporters to discuss responses to the U.S. decision to impose a 50% tariff on South Korean copper.
The government pledged to minimize damage by diversifying exports and supporting domestic production while closely monitoring ongoing developments.
Summary The new tariff could strain the export industry, but active government measures are expected to help buffer the impact.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米国の韓国産銅製品に50%の関税を課す決定を受けて、銅輸出業界と緊急会議を開き対応策を協議しました。
政府は、輸出の多様化や国内生産支援を通じて国内産業への影響を最小限に抑える方針を発表しました。
総評 関税の負担は国内輸出業界に圧力をかける可能性がありますが、政府の支援策が損害軽減に役立つ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召开紧急会议,与铜出口业界讨论应对美国对韩国产铜加征50%关税的措施。
政府承诺通过出口多元化和支持国内生产,将尽量减轻对国内行业的影响,同时密切关注实施动态。
总评 新关税可能加重出口压力,但政府的积极措施有望缓解部分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Industria e Energia ha tenuto un incontro d’emergenza con gli esportatori di rame per discutere le misure in risposta al 50% di dazi imposti dagli Stati Uniti sul rame coreano.
Il governo ha promesso di minimizzare i danni diversificando le esportazioni e supportando la produzione domestica, monitorando attentamente gli sviluppi.
Valutazione I dazi potrebbero creare difficoltà per l’industria delle esportazioni, ma le misure governative attive sono previste per attenuare gli effetti negativi.
한미 관세협상 타결…쌀·소고기 추가 개방 않기로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타결하여 8월 1일부터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습니다.
자동차 품목에 대한 관세도 15%로 결정되었으며, 쌀과 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협력 펀드가 조성되어 반도체, 원전 및 조선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경제적 기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한국 기업들에게 미국 시장 신규 진출과 경쟁력 강화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successfully concluded tariff negotiations with the U.S., reducing mutual tariffs from 25% to 15%, effective August 1.
Tariffs on automobiles were set at 15% while additional opening of rice and beef markets was excluded from the agreement.
A $350 billion investment fund was established to support South Korea’s core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nuclear energy, and shipbuilding.
Summary This agreement offers South Korean businesses opportunities to expand in the U.S. market and enhance competitive standing.
日本語 韓国政府は米国との関税交渉を成功裡に終え、8月1日から相互関税を25%から15%に引き下げることに合意しました。
自動車品目の関税は15%に決定され、米や牛肉の市場追加開放は見送られました。
また、総額3500億ドルの投資・協力ファンドが設立され、半導体・原子力・造船業などを対象にした経済的機会を創出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合意は韓国企業にとって米国市場への進出と競争力の向上の大きなチャンス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政府与美国成功达成关税谈判协议,将于8月1日起将相互关税从25%降至15%。
汽车的关税也降至15%,并决定不额外开放稻米和牛肉市场。
此外,成立规模达3500亿美元的投资合作基金,旨在支持韩国的半导体、核能与造船等核心产业。
总评 此协议为韩国企业进军美国市场和提升竞争力提供了重要机遇。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ha concluso con successo i negoziati sui dazi con gli Stati Uniti, riducendo i dazi reciproci dal 25% al 15% a partire dal 1º agosto.
I dazi sul settore automobilistico sono stati fissati al 15%, mentre l’apertura ulteriore dei mercati del riso e della carne bovina è stata esclusa.
È stato istituito un fondo di investimento e cooperazione da 350 miliardi di dollari per sostenere settori chiave come semiconduttori, energia nucleare e cantieristica navale.
Valutazione Questo accordo offre alle imprese sudcoreane l’opportunità di espandersi nel mercato statunitense e rafforzare la propria competitività.
매년 사라지는 페이·머니 529억 원…’소멸시효 사전 안내’ 의무화
요약보기
한국어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소멸시효 안내가 강화됩니다.
국민권익위는 소멸시효 만료 1년 전부터 소멸일자와 사용 촉구를 3회 이상 통지하고, 표준약관에 소멸시효 표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권고했습니다.
또한, 소멸된 잔액을 공익사업에 활용하는 제도적 방안도 제안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선불결제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잔액 소멸로 인한 손실을 줄이고 대중에게 더 공정한 경제 환경을 제공합니다.
English The expiration notification system for prepaid electronic payment methods will be strengthened.
Korea’s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has recommended requiring at least three notifications within the year before expiration and highlighting expiration details in terms and agreements.
Unused balances from expired funds will also be repurposed for public welfare projects.
Summary This initiative protects users from losing unused balances and promotes a fairer and more transparent financial environment.
日本語 プリペイド型電子決済手段の消滅時効案内が強化されます。
国家権益委員会は、消滅時効満了の1年前から3回以上通知を義務付けるとともに、標準約款に消滅時効の表記を追加することを提案しました。
また、消滅した残高を公共事業に活用する案も掲げられました。
総評 この措置により、利用者は残高の消失を防ぎ、公平な経済環境の確保に貢献します。
中文 预付电子支付工具的时效提醒规定将被强化。
国家权利和利益委员会建议在时效到期前一年至少发送三次提醒,同时在合同标准条款中规定时效信息。
对于到期后未使用的余额,提议将其用于公共事业项目。
总评 该措施帮助用户避免余额损失,并促进了更加公平透明的金融环境。
Italiano Il sistema di notifica delle scadenze per i metodi di pagamento elettronico prepagati sarà rafforzato.
La Commissione per i Diritti e gli Interessi Pubblici ha proposto di obbligare almeno tre notifiche entro l’anno prima della scadenza e di evidenziare i dettagli della scadenza nei termini contrattuali.
I saldi non utilizzati derivanti da fondi scaduti saranno riutilizzati per progetti di utilità pubblic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rotegge gli utenti da perdite finanziarie e promuove un ambiente economico più equo e trasparente.
APEC 14개 회원국, 한국에서 자동차산업 협력방안 모색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송도 컨벤시아에서 제42차 APEC 자동차대화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전기차·배터리 생태계 전략, 자율주행 기술 등 미래차 관련 주요 이슈를 논의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특히 한국은 미래차 기술과 정책 발표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적 우위를 강화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미래차 시대의 혁신을 선도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the 42nd APEC Automotive Dialogue to be held on November 1-2 in Songdo Convensia.
The meeting focuses on key issues such as EV and battery ecosystem strategie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sustainable mobility,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South Korea will contribute by presenting advancements in future vehicle technology and policy.
Summary This initiative could strengthen South Korea’s position in the global automotive industry and drive innovation in the future mobility era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11月1〜2日にかけて、松島コンベンシアで第42回APEC自動車対話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今回の会合では、電気自動車とバッテリーエコシステム戦略、自動運転技術、そして持続可能なモビリティなどの議題を中心に討議が行われます。
韓国は未来車技術や政策の発表を通じて、包括的で持続可能なエコシステムの構築に寄与することを目指します。
総評 韓国の未来車技術のプレゼンスを世界に示し、国際協力を通じて革新を主導できるチャンス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宣布将于11月1日至2日在松岛Convensia举办第42届APEC汽车对话会。
会议将讨论包括电动车与电池生态系统战略、自动驾驶技术及可持续发展等未来汽车领域的关键议题,并寻求合作方案。
韩国将通过展示未来车辆技术和政策,推动包容性和可持续性的生态系统建设。
总评 此次会议有助于提升韩国在全球未来汽车产业中的技术优势,并通过国际合作推动行业创新。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annunciato che il 1° e il 2 novembre si terrà al Songdo Convensia il 42° Dialogo Automobilistico dell’APEC.
L’incontro affronterà temi chiave come le strategie per l’ecosistema dei veicoli elettrici e delle batterie, le tecnologie di guida autonoma e la mobilità sostenibile, promuovendo la collaborazione tra i partecipanti.
La Corea del Sud contribuirà con la presentazione di tecnologie e politiche per i veicoli del futuro.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gliorerà la posizione della Corea del Sud nell’industria automobilistica globale, promuovendo l’innovazione nella mobilità futura attraverso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고용노동부, 필리핀 노동자 91명 집단 임금체불 사건 조사 착수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강원도 양구군에서 필리핀 계절노동자 91명의 집단 임금체불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전담팀을 구성해 조사를 시작했으며, 브로커 업체의 중간착취 배제 조항 위반 가능성에 대해서도 수사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해당 노동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외국인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농촌 지역 고용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reported a case of 91 Filipino seasonal workers experiencing collective wage theft in Yanggu, Gangwon Province.
A dedicated team has been formed to investigate the issue, including potential violations by brokers related to intermediary exploitation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The government aims to ensure the affected workers receive their rightful compensation promptly.
Summary This action highlights efforts to protect the rights of foreign workers and improve labor conditions in rural areas, addressing systemic issues effectively.
日本語 雇用労働部は、韓国江原道楊口郡でフィリピン出身の季節労働者91名が集団的な賃金未払い被害に遭ったと発表しました。
特別チームを編成し調査を開始し、ブローカー業者による中間搾取の可能性についても迅速に捜査を進める方針です。
被害労働者が早期に権利救済を受けられるよう全力を尽くす予定で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外国人労働者の権利保護を進め、地域の労働環境改善に繋がる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雇佣劳动部通报,91名来自菲律宾的季节性工人在江原道杨口郡遭遇集体拖欠工资问题。
政府已成立专门小组展开调查,同时将快速启动对涉及非法中间剥削的经纪公司的调查。
计划确保受害工人在最短时间内获得权利救济。
总评 此举不仅保护了外国劳动者的权益,也将推动农村地区劳动环境的改善,具有重要意义。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segnalato un caso di sfruttamento salariale collettivo che ha coinvolto 91 lavoratori stagionali filippini a Yanggu, nella provincia di Gangwon.
È stato formato un team speciale per indagare l’accaduto, e si indagherà anche su possibili violazioni da parte di intermediari secondo la legge sul lavoro.
Il governo si impegna a garantire agli interessati un rapido risarcimento dei loro dirit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ppresenta un passo importante per tutelare i diritti dei lavoratori stranieri e migliorare l’ambiente lavorativo nelle zone rurali.
‘공직사회 활력 특별팀’ 출범…당직제도 전면 개편 착수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공무원이 소신껏 일할 수 있는 공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제도 정비에 착수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적극행정 활성화, 당직제도 개편, 공무원 처우 개선, 포상·승진 강화 등을 포함한 5대 과제를 중심으로 매주 정례회의를 통해 추진합니다.
현장 공무원, 노조, 전문가와의 소통을 강화하며 실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총평 공직문화 개선 정책은 공무원들이 책임감과 긍지를 갖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initiated measures to reform the public sector, focusing on cultivating a culture where civil servants can work confidently and responsibly.
The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plans to activate proactive administration, revamp the duty system,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enhance rewards and promotions for public officials through regular meetings.
Efforts will also involve strengthened communication with field officials, unions, and expert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Summary These reforms aim to create an improved work environment for civil servants, ultimately leading to better administrative services for the public.
日本語 政府は公務員が自信を持って働ける文化を築くため、公職制度の整備に着手しました。
人事革新処は、積極行動の促進、当直制度の見直し、公務員の待遇改善、表彰と昇進の強化など5大課題を中心に定例会議を通じて進めていく予定です。
現場の公務員、労組、専門家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強化し、実効性を高めること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公務員が責任と誇りを持って働き、行政サービスの質を向上させる一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开始制定改革措施,以营造公务员能够有信心和责任感工作的公务文化。
人事革新处计划通过定期会议,推动积极行政、改革值班制度、改善公务员待遇、加强奖励与晋升等五大任务。
同时,将加强与一线公务员、工会及专家的沟通,以提高执行效率。
总评 这一改革将改善公务员工作环境,从而提高公共行政服务质量。
Italiano Il governo ha avviato misure per riformare il settore pubblico e creare una cultura in cui i funzionari possano lavorare con fiducia e responsabilità.
Il ministero per l’innovazione nella pubblica amministrazione intende promuovere l’amministrazione attiva, riformare i turni, migliorare le condizioni lavorative e potenziare premi e promozioni attraverso riunioni settimanali.
Si rafforzerà inoltre la comunicazione con funzionari, sindacati ed esperti al fine di migliorare l’efficacia delle riforme.
Valutazione Queste misure miglioreranno l’ambiente lavorativo dei dipendenti pubblici, contribuendo a servizi amministrativi più efficienti e di qualità.
이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균형 발전이 국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임을 강조하며,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을 위한 자치와 분권을 중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수도권보다 지방에 인센티브를 더 주는 정책을 시행했으며, 앞으로 국가 정책과 예산 배분에서도 이러한 원칙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 방향은 지역 불균형 해소와 지방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alanced development as a survival strategy for the nation during the National Meeting of Provincial Governors.
He highlighted the need to address the single-centralized system in the capital region and announced policies prioritizing autonomy, decentralization, and increased incentives for local areas.
Summary These measures aim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invigorate local economies, ultimately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outside the capital region.
日本語 李在明(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全国市道知事懇談会で、均衡発展が国家生存のための必須戦略であると強調しました。
首都圏集中の解決や地方自治と分権を強化する方針を示し、地方により多くのインセンティブを与える政策を進めることを明らかにし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地域間格差の是正と地方経済の活性化を目指し、地方住民の生活の質の向上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全国市道知事座谈会上强调,均衡发展是国家生存的重要战略。
他表示需解决首都圈过度集中的问题,并提出推动自治权分散和给予地方更多激励措施的政策方向。
总评 此政策旨在缩小地区差距并振兴地方经济,有望提升非首都圈居民的生活质量。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ello sviluppo equilibrato come strategia essenziale per la sopravvivenza nazionale durante l’incontro nazionale dei governatori provinciali.
Ha indicato la necessità di superare il sistema accentrato nella capitale, promuovendo autonomia, decentralizzazione e maggiori incentivi per le zone local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ra a ridurre le disparità regionali e a rafforzare l’economia locale, migliorando la qualità della vita dei residenti nelle aree periferiche.
방산수출 투자 세제지원 확대…연구개발 최대 30% 세액공제
요약보기
한국어 방위사업청이 방위산업 연구개발과 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하는 ‘2025년 세제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방산 수출 기업은 이번 개편으로 연구개발비의 20~30%, 시설 투자비의 3~12%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총평 방산 기업들의 수출 및 기술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 업계와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announced a tax reform plan for 2025 that expands tax support for defense industry R&D and facility investments.
Defense export companies can now claim a tax credit of 20-30% for R&D costs and 3-12% for facility investments, aiming to strengthen global supply chain competitivenes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timulate export growth and innovation in the defense industry, potentially creating more jobs and boosting related sectors.
日本語 防衛事業庁は、防衛産業の研究開発と施設投資に対する税制支援を拡大する「2025年税制改編案」を発表しました。
防衛輸出企業は、研究開発費に対して20~30%、施設投資費に対して3~12%の税額控除を受けることができ、グローバル供給網での競争力を向上させ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今回の措置により、防衛産業の輸出と技術革新が促進され、関連産業や雇用創出にプラスの効果をもたらす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防卫事业厅宣布了2025年税制改革方案,加强对国防工业研发和设施投资的税收支持。
国防出口企业的研发成本可获得20-30%的税收抵免,设施投资可享受3-12%的税收抵免,以增强全球供应链竞争力。
总评 此政策有望推动国防行业的出口增长和技术创新,同时对相关行业和就业创造起到积极作用。
Italiano L’Agenzia per gli Acquisti della Difesa (DAPA) ha annunciato un piano fiscale per il 2025 che amplia il supporto fiscale per la ricerca e sviluppo e gli investimenti nelle strutture del settore della difesa.
Le aziende esportatrici di difesa potranno beneficiare di un credito d’imposta del 20-30% per le spese di R&S e del 3-12% per gli investimenti nelle strutture, al fine di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nella catena di approvvigionamento globa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stimolare la crescita delle esportazioni e l’innovazione nel settore della difesa, generando impatti positivi sull’occupazione e sulle industrie correlate.
김 총리, 신동식 한국해사기술 회장과 조선업 전략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총리는 31일 ‘제2차 K-토론나라’ 행사에서 신동식 한국해사기술 회장을 초청해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초격차 유지와 미래 성장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대담에서 신 회장은 친환경, 자율운항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대한 투자와 인재 처우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 대담은 한국 조선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유지하고 미래 성장 가능성을 확장하도록 하는 전략적 논의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Kim Min-seok hosted the 2nd ‘K-Toronnara’ event on the 31st, inviting Shin Dong-sik, Chairman of Korea Maritime Technology.
The discussion focused on strategies for maintaining Korea’s competitive edge in shipbuilding and securing key talents for future growth.
Summary This dialogue emphasizes Korea’s need for investment in high-value ships and improved treatment of experts to maintain its global competitiveness.
日本語 キム・ミンソク総理は31日、『第2回K-トロンナラ』に韓国海事技術のシン・ドンシク会長を招待し、韓国造船産業の超格差を維持する戦略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シン会長は、環境配慮型、自律航行を含む高付加価値船舶への投資と人材待遇改善の必要性を強調しました。
総評 韓国の造船業が世界的競争力を維持するための実践的議論が行われた意義深い会話でした。
中文 金民锡总理于31日举行了第二次“K讨论国家”活动,并邀请了韩国海事技术公司会长申东植。
双方围绕韩国造船业的未来发展战略以及如何保持领先优势等话题进行了深入讨论。
总评 此次对话突出了投资高附加值船舶和改善相关人才待遇的重要性,对韩国造船业的未来发展具有实质意义。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ospitato il 31 ottobre il 2° evento “K-Toronnara”, invitando Shin Dong-sik, Presidente della Korea Maritime Technology.
La discussione si è concentrata su strategie per mantenere il vantaggio competitivo della cantieristica coreana e attrarre talenti chiave per la crescita futura.
Valutazione Questo dialogo sottolinea l’importanza degli investimenti nelle navi ad alto valore aggiunto e del miglioramento delle condizioni degli esperti per preservare la competitività globale della Corea.
한미 외교장관 첫 회담…”북,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요약보기
한국어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7월 31일 한미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재확인하고 한미동맹 강화 및 한미일 협력 심화를 논의했습니다.
양국은 첨단 기술 분야 협력과 지역 평화를 위한 전략을 강화하며, APEC 정상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총평 이번 회담은 한미동맹의 지속적 발전과 기술 동맹을 강화하여 국가 안보와 경제 성장에 기여할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English On July 31, Foreign Minister Cho Hyun and U.S.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 U.S.-South Korea meeting.
Both nations agreed to strengthen their alliance, enhance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collaborate on regional peace initiatives, including successful APEC summit preparations.
Summary This meeting lays the foundation for stronger U.S.-South Korea ties and increased collaboration in advanced technologies, benefiting economic and security interests.
日本語 7月31日、趙賢(チョ・ヒョン)外交部長官とマルコ・ルビオ米国務長官は会談を通じて、朝鮮半島の非核化を再確認し、韓米同盟および韓米日協力の強化について話し合いました。
両国は先端技術分野での協力強化と地域平和のための戦略的協力に加え、APEC首脳会議の成功に向けた連携についても合意しました。
総評 今回の会談は韓米同盟を強化し、技術協力を拡大することで、経済と安全保障の向上を図る基盤を提供します。
中文 7月31日,韩国外交部长赵贤与美国国务卿马可·卢比奥会晤,重申了实现朝鲜半岛无核化的共同目标。
双方同意加强韩美同盟、深化技术合作,并在区域和平以及APEC首脑会议成功举办方面开展合作。
总评 此次会晤为强化韩美同盟和技术合作奠定了基础,有助于推动经济发展与地区安全。
Italiano Il 31 luglio, il Ministro degli Esteri Cho Hyun e il Segretario di Stato americano Marco Rubio hanno riaffermato l’impegno per la denuclearizzazione della penisola coreana durante un incontro bilaterale.
I due paesi hanno concordato di rafforzare l’alleanza, potenziare la cooperazione tecnologica e collaborare su iniziative per la pace nella regione, incluso il successo del vertice APEC.
Valutazione Questo incontro promuove un’alleanza più forte tra Corea del Sud e Stati Uniti e una maggiore cooperazione tecnologica, con benefici per economia e sicurezza.
물놀이 전 챙겨야 하는 것들…”수심 낮아도 구명조끼는 필수”
요약보기
한국어 지난해와 올해 여름철 물놀이 사망자 32명은 모두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아 발생한 사고로, 구명조끼 착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 휴가철 물놀이 장소에서는 안전수칙을 지키고, 응급상황 대비책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총평 여름철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구명조끼 착용과 기본 안전수칙 준수를 생활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English Last summer and this year, all 32 drowning deaths occurred because the victims were not wearing life jacket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life jacket use.
Particularly during the summer vacation season, following safety rules and being prepared for emergencies are essential at water recreation spots.
Summary Wearing life jackets and adhering to basic safety guidelines are the most effective ways to prevent drowning accidents in the summer.
日本語 昨年と今年の夏に発生した水遊び中の死亡者32人は全員、救命胴衣を着用していませんでした。
夏の休暇シーズンでは、水遊びの基本安全規則を守り、緊急時の対処法を知ることが不可欠です。
総評 夏の事故防止には、救命胴衣の着用と安全規則の遵守が最も重要です。
中文 去年和今年夏天的水上活动死亡人数共32人,均未穿戴救生衣,这突显了其重要性。
特别是在夏季假期期间,在水上活动场所遵守安全规范并熟悉应急预案至关重要。
总评 穿戴救生衣并遵守基本安全规则是防范夏季溺水事故的最佳方法。
Italiano Lo scorso anno e quest’estate, tutte le 32 vittime degli incidenti in acqua non indossavano giubbotti di salvataggio, sottolineando l’importanza di queste misure di sicurezza.
Durante la stagione delle vacanze estive, è fondamentale seguire le regole di sicurezza e conoscere i protocolli di emergenza nei luoghi di balneazione.
Valutazione Indossare giubbotti di salvataggio e rispettare le regole di sicurezza sono le misure più efficaci per prevenire incidenti in acqua durante l’estate.
요약
원문보기
**정부, ‘경제형벌 합리화 TF’ 첫 회의 개최…1년 내 30% 개선 목표**
정부는 8월 1일 ‘경제형벌 합리화 TF(Task Force)’의 1차 회의를 열고, 경제형벌 규정을 합리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TF는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차관이 공동으로 이끌며, 15개 부처와 연구기관이 참여해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 **경제형벌 합리화 배경**
지난 7월 30일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기업활동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경제형벌 합리화 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것을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 **핵심 목표와 추진 방향**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향후 1년간 전 부처의 경제형벌 규정 30%를 개선”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면서, 형벌의 기계적 감축보다는 기업과 피해자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 **형사책임의 완화**
– 사업주의 고의·중과실이 아닌 경미한 사안에 대해서는 형사책임을 경감.
– 배임죄 등 주요 법률에 대한 개선 논의 병행.
2. **형벌의 대체 방안**
– 소상공인·중소기업 및 일반 국민에게는 과도한 형벌 대신 과징금·과태료로 대체.
– 형벌보다는 징벌적 과징금 등 재산상 책임을 강화.
– 피해자 대상 실질적 배상 시스템 정비.
3. **중대범죄 엄정 대응**
– 주가 조작, 악의적 불공정거래, 생명·안전 위해를 초래하는 중대한 범죄에 대해서는 강경 대응 예정.
이진수 법무부 차관은 형벌을 규제의 “마지막 수단”으로 삼아 기업의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실질적 추진 일정**
– 경제단체와 기업인 의견을 수렴해 **올해 안에 개선과제 마련**.
– 우선 추진이 필요한 과제는 **다음 달 정기국회에 제출**.
– 국내외 사례 분석 및 부처 간 협력을 통한 과징금 부과 프로세스 개선 방안 논의.
– 입법 과제 신속 추진을 위해 국회와 긴밀히 협력.
이번 TF는 정부, 민간, 연구기관이 힘을 합쳐 현재 경제 및 기업 환경에서 문제가 되는 과도한 경제형벌 규정을 체계적으로 정비함으로써, 기업의 활동을 지원하고 국민 부담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의 안내**
– 기획재정부 기업환경과: 044-215-4634
– 법무부 상사법무과: 02-2110-3167
(자료: www.korea.kr)
원문보기
**[뉴스 요약 및 국민 소통 참여 안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는 2025년에 개최될 “경주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APEC 온라인 국민소통 플랫폼'(https://apec2025.kr)**을 운영한다고 1일 발표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달 개최했던 APEC 종합점검회의의 후속 조치로 마련된 것으로, 다양한 국민 의견을 수렴해 콘텐츠, 인프라, 서비스, 홍보 등 전반적인 APEC 준비 과정을 보완하는 데 활용할 방침입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국민소통 플랫폼 운영**
– **운영기간**: 2023년 8월 한 달 동안
– **목적**: 국민 제안을 통해 한글과 K-POP, 현대적 서비스 등을 활용해 APEC 정상회의를 전국적 이벤트로 기획
2. **국민참여 방법**
– APEC 공식 누리집(https://apec2025.kr) 또는 국무조정실, 외교부 누리집에서 “K-APEC! 결국 국민이 합니다” 배너 클릭
– 개인정보 입력 후 자유롭게 의견 제시 가능
3. **우수 아이디어 반영**
– 제출된 의견 중 우수 제안은 다양한 이벤트와 홍보 콘텐츠로 구현 예정
### **문의처**
– 국무조정실 외교안보정책관실: 02-2100-2199
이번 기회를 통해 국민이 직접 APEC 정상회의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으니 많은 참여를 독려드립니다.
원문보기
### 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 인권 보호를 위한 법적 기반 강화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의 인권 보호 및 안전한 활동 환경 조성**을 위한 새로운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개정된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에 근거하며, 구체적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주요 변경 사항
#### 1. 청소년보호책임자 지정 의무화
– **대중문화예술사업자는** 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이 용역을 제공할 경우, 필수적으로 **청소년보호책임자**를 지정해야 합니다.
– 책임자는 임원, 부서장, 혹은 청소년 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 중에서 지정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 주요 업무:
– 청소년 인권 침해 사실 신고 및 조치.
– 청소년의 용역 제공 시간 관리.
– 청소년과의 계약 검토.
– 관련 자료 관리 및 보관.
#### 2. 문체부 장관의 자료 제출 요구 권한 신설
– 문체부 장관은 필요 시 대중문화예술사업자 및 제작 스태프에게 **청소년 인권 보호와 관련된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자료 요청 시에는 사유, 범위, 제출 기한 및 방법을 명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
### 제도 도입 배경
이 개정은 **2022년 3월 국가인권위원회**가 권고한 **’아동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의 인권 증진 제도 개선’**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 조치입니다. 이번 법 개정은 청소년 예술인의 인권과 근로 조건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대중문화산업 현장에서 청소년 보호 체계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 문체부의 대응 및 지원
– 지난달 23일, 문체부는 **청소년보호책임자 제도 설명회**를 개최해 기획사 및 제작사를 대상으로 제도 시행 내용을 안내했습니다.
– 문체부는 앞으로도 관련 자료 및 자율 점검표를 배포하며 업계의 **제도 이해 및 현장 안착**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 또한, 해당 제도 시행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하는지 **지속적으로 실태 조사 및 점검**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기대 효과 및 의의
이번 개정법 시행은 **제작 현장에서 청소년들의 기본적 인권과 안전을 보장**하는 체계를 갖추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청소년보호책임자라는 명확한 담당자가 지정됨으로써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권 침해 및 과도한 근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 제도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해 나가며 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산업과(044-203-2462)**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 업계 종사자들은 해당 법률 개정에 따른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참고하고, 향후 설명자료 및 지원 도구를 활용해 제도를 준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원문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고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 개정안을 10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주요 내용:
1. **외국 정부나 기관의 요청 시 사전 통보 및 협의 의무화**
기술육성주체(산·학·연)는 외국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보 제공 요청을 받는 경우, **60일 이내에 관계부처에 통보**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전 **사전협의를 요청**해야 한다.
2. **절차 및 관리 지침**
– 기술육성주체가 어느 부처와 협의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에게 통보할 수 있다.
– 정보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보안과제로 분류된 연구성과, 참여 인력, 경영정보 등 비공개 자료에 해당한다.
3. **사전협의 검토 및 결과 통보**
관계부처는 외교, 통상, 국가안보를 포함한 전략적 관점에서 요청일로부터 **20일 내에 검토 결과를 통보**해야 하며, 기한 내 통보가 없을 경우 협의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4. **보안과제 및 전략연구과제 정의**
– 보안과제: 기술·재산적 손실 및 국가 안보 관련 정보 보호가 필요한 R&D 과제.
– 전략연구과제: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시행계획에 따라 지정된 과제.
### 향후 계획 및 의의:
과기정통부는 가이드라인 제공, 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제도의 정착을 지원하며, 기술육성주체와의 소통을 통해 이를 체계적으로 보완해나갈 방침이다. 강상욱 정책국장은 이번 개정이 **국가전략기술 보호와 관리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 평가하며, 제도의 안착과 생태계 조성을 강조했다.
이 법령 개정은 점점 심화되는 글로벌 기술경쟁 속에서 국가적인 기술보호 및 육성에 필요한 효과적인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핵심 기술의 유출 방지와 전략적 관리를 위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원문보기
### 미국, 한국산 구리에 50% 관세 부과…정부와 업계 대응 본격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수입 구리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관세 50%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함에 따라, 한국 정부와 관련 업계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 **정부와 업계, 긴급 영향 점검회의 개최**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관련 구리 수출업체와 함께 긴급 영향 점검회의를 열고, 이번 관세 부과 조치의 여파를 분석했습니다. 구리는 동선, 동봉, 동관, 동박 등 품목이 다양해 관세의 영향이 품목마다 상이하다는 점에서, 업계는 정부에 맞춤형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 **미국 행정명령 및 정부 조치 사항**
미국은 지난 2월 25일 한국산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을 발표한 이후, 이번에 이를 공식화했습니다. 이에 산업부는 구리업계 의견을 반영한 정부의견서를 미국에 제출했으며,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구리 기업을 선도사업자로 지정하는 등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추진해왔습니다.
#### **구리업계 수출 다변화 및 국내 생산 확대 지원**
산업부는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수출 물량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수출 다변화와 국내 생산 지원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비철금속업계와 협력해 품목별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추가 지원 정책도 지속적으로 강구할 방침입니다.
#### **향후 계획**
산업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 시행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비철금속협회를 통합 창구로 지정해 대응 체계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특히, 주요 품목별 영향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면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업계와 정부 모두 한국 구리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보호하고, 이번 미국 관세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빠른 대응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한미 관세협상 타결: 관세 조정 및 3500억 달러 투자 펀드 조성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가 관세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8월 1일부터 예정했던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지며 자동차 등 주요 수출 품목에 적용된다. 추가적으로, 쌀과 소고기와 같은 농축산물 시장 개방은 이루어지지 않기로 합의됐다. 또한, 양국은 총 3500억 달러(약 487조 원) 규모의 투자·협력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 주요 합의 내용
1. **상호관세 인하:**
– 25%에서 15%로 낮아지며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 **농축산물 시장 보호:**
– 쌀과 소고기는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3. **대규모 투자 펀드 조성:**
–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협력 펀드:
– 1500억 달러는 조선업 생태계 전반(선박 건조, 유지보수, 기자재 등)에 투자.
– 2000억 달러는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대미 투자 프로젝트로 활용.
4. **마스가 프로젝트(MASGA):**
–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라는 이름으로 추진.
– 수십조 원 규모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립, 인력 양성, 공급망 재구축 등에 집중.
#### 협상 결과 및 전망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오늘의 합의를 통해 수출환경의 불확실성이 상당히 제거됐으며 우리 기업들이 주요국 대비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협상 과정에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농축산물 개방 요구를 성공적으로 차단한 점을 강조했다.
향후 한미 협력에서 기술적 사안(검역 절차 개선, 자동차 안전기준 상한 폐지) 논의와 함께 에너지 수입 확대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관세 협상은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양국의 경제적 결속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트럼프-이재명 정상회담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향후 2주 내로 백악관에서 이재명 한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개최하며 이번 협상 내용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수출 다변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후속 조치를 이어갈 방침이다.
원문보기
**선불전자지급수단 소멸시효 안내 강화: 소비자 권익 증진 기대**
국민권익위원회가 선불전자지급수단에 대한 소멸시효 제도 강화를 추진합니다. 교통카드나 네이버페이, 티머니 등과 같은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잔액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 안내 의무화와 소멸 금액 활용 방안 마련을 권고했습니다.
### 연간 529억 원 증발, 소멸시효 인식 부족 문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소멸시효가 만료된 금액은 모두 2116억 원에 달하며, 연평균 529억 원의 충전 금액이 소멸되었습니다. 국민권익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4%가 소멸시효 제도를 모르고 있어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현재 사업자들은 소멸시효 안내 의무가 없으며, 약관에서도 관련 정보가 제대로 고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 개선 사항: 사전 안내 및 소비자 정보 제공 의무화
국민권익위가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권고한 주요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멸시효 사전 안내 의무화**
– 소멸시효 완료 1년 전부터 이메일 등으로 3회 이상 고지
– 실물 카드 및 표준약관에 관련 정보 명시
2.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
– 개인정보 활용 동의 범위 내에서 연락처 등을 수집해 사용자에게 안내
– 표준약관 제공 시 사용자에게 요약동의서를 제공해 소멸시효 정보를 강조
3. **미사용 잔액 활용 정책 마련**
– 소멸시효가 만료된 금액을 주기적으로 공개
– 해당 금액을 공익사업에 활용하는 방안 제안
### 소비자 보호와 공익적 활용 기대
이번 제도 개선으로 선불전자지급수단 이용자들은 소멸시효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인지하여 잔액 소멸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소멸된 금액이 공익사업에 활용될 경우 사회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송영휘 국민권익위 경제제도개선과장은 “소비자 권리보호를 강화하고 제도적으로 선불전자지급수단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국민의 권익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선불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할 때 소멸시효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잔액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원문보기
### 제42차 APEC 자동차대화, 송도에서 개최
**산업통상자원부는 제42차 APEC 자동차대화(Automotive Dialogue, AD)를 11월 1~2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14개 APEC 회원국의 정부 및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주요 이슈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 APEC 자동차대화란?
APEC 자동차대화는 **1999년부터 시작된 공식 민관협의체**로, APEC 회원국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자동차산업의 정책 이슈와 동향을 논의하고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가 AD의 공동의장**으로 참여했다.
—
### 주요 논의 의제
이번 회의에서 다뤄진 핵심 의제는 다음과 같다:
1.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전망**: 산업 전체를 둘러싼 주요 경제적 환경과 시장 변화.
2. **전기차·배터리 생태계 전략**: 친환경적인 기술 확산 및 관련 인프라 구축.
3. **AI 및 자율주행 기술의 사회적 영향**: 미래 기술이 사람 중심의 이동성과 안전성에 미칠 영향 논의.
4. **지속 가능성과 포용성**: 친환경 미래차 생태계 구축과 관련된 국제 협력 방향.
특히 대한민국은 **배터리 안전기술 동향, 수소경제 기반 모빌리티, 커넥티드카 및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최신 이슈와 정책들을 발표했다.
—
### AD워크숍: 실무자 중심 협력 기반 강화
회의 전날인 **10월 31일에는 실무 전문가 중심의 AD워크숍**이 열렸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자동차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람 중심의 모빌리티 실현”을 주제로 정책 교류 및 기술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 모임은 **APEC 회원 간 미래차 기술협력 및 정책 교류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
### 기대 효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미래차 분야의 주요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미래차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 방향**을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APEC 내 자동차산업의 **혁신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 자동차과 (044-203-4327)
출처: [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 강원도 농가에서 발생한 외국인 노동자 임금체불 사건, 고용노동부 조사 착수
고용노동부는 강원도 양구군 한 농가에서 필리핀 계절노동자 91명이 집단으로 임금을 체불당한 사건이 지난 7월 31일 접수되었음을 확인하고, 8월 1일부터 전담팀을 구성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고 발표했습니다.
#### **브로커 개입과 추가적 문제**
이번 사건은 임금체불 문제뿐 아니라 브로커 업체가 개입해 노동자들로부터 부당하게 수수료를 편취한 정황도 드러나 더욱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브로커의 행위가 근로기준법상 **중간착취 배제 조항**을 위반한 것인지 여부를 철저히 수사하고, 신속히 조치를 취할 방침입니다.
#### **외국인 노동자 권리 구제**
고용노동부는 사건의 피해자인 다수 외국인 노동자들이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관계 당국은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관련 책임자들에게 엄중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김영훈 장관의 입장**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사건을 두고 “농촌 지역에서 외국인 노동자는 단순한 보조 인력이 아니라 함께 일하는 우리의 이웃”이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제대로 된 대우가 보장될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또한, 앞으로 이와 같은 부끄러운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문의 정보**
–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 근로감독기획과: 044-202-7533
– 중부지방고용노동청 강원지청 근로개선지도과: 033-269-3592
이번 사건은 단순한 임금체불 문제를 넘어, 외국인 노동자와 관련된 구조적인 문제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각계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정부, 공무원 소신 행정을 위한 공직사회 활성화 제도 정비 착수**
정부가 공직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공무원들이 책임감과 소신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 개편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주요 추진 과제와 활동 계획**
인사혁신처는 지난달 24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표된 ‘공직사회 활력 제고 5대 과제’의 후속 조치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실무 추진체계를 출범하고 관련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지난달 29일 열린 첫 기획회의에서는 공무원들이 적극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공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주요 개선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적극행정 활성화**: 공무원들이 과감하게 각종 정책과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2. **현장 공무원 처우개선**: 공무원들의 근무 환경과 처우를 보다 개선.
3. **정부 당직제도 전면 개편**: 효율성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당직근무 제도 도입.
4. **포상 및 승진 제도 강화**: 우수 공무원에 대한 포상과 승진 기회 확대.
5. **인공지능 교육 강화**: 공무원 역량 강화를 위한 AI 활용 능력 배양.
**당직제도 개편 및 현장 소통 강화**
특히, 시대 변화에 부합하지 않는 기존 당직 근무 제도를 전면 개편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당직근무 실태조사가 실시됩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개선 방안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동시에 정부는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공무원 노조, 현장 공무원,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인사처는 매주 정례회의를 통해 이들 과제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며 적극적으로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공직문화 혁신의 출발점**
박용수 인사혁신처 차장은 이번 특별팀의 출범이 단순한 제도 개편을 넘어, 공무원들이 소신과 책임감을 갖고 일하는 새로운 공직문화를 만드는 시작점이 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이 제도 정비를 통해 공직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국민을 위한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행정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문의처**
– 인사혁신처 기획재정담당관: 044-201-8112
(출처: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8월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그리고 국민 안전을 강조하며, 이를 국가 생존 전략으로 삼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자치와 분권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불균형 성장의 부작용으로 수도권 중심의 일극 체제가 형성된 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에 더 많은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식을 소비쿠폰 정책에서 실험적으로 적용했다고 언급하며, 앞으로 국가 정책과 예산 배분에서 이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지방자치가 민주주의 발전의 기초가 되었음을 평가하며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에서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국민 생명 보호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간담회에서는 유정복 인천시장을 비롯한 많은 참석자들이 지방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을 거론했고,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자연재난 대응과 소비쿠폰 사용 촉진 방안 등을 보고했습니다. 이어진 자유 토론에서 시도지사들은 한미 관세 협상 성공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대감을 표명했습니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남, 울산 등 지역에서 각 산업 분야에 관세 협상이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이야기하며 정부의 협상 결과를 높게 평가했습니다.
경북지사는 경주 APEC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자는 제안을 했으며, 시도지사들은 수해 복구 작업과 관련해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및 재정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시도지사들의 의견을 국정에 신속히 반영하겠다고 약속하며, 지방 자치와 분권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는 전국 17개 시도의 광역단체장이 참석했고, 정부에서는 김민석 국무총리,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자리를 함께하며 국가와 지방의 협력을 위한 생산적인 논의가 펼쳐졌습니다.
원문보기
**K-방산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 실시**
방위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국 정부가 방산수출 관련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2025년부터 적용될 세제개편안에 따라 방산업체들의 연구개발(R&D) 및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이 확대된다고 1일 밝혔다.
### **핵심 내용: 방산수출 투자에 세제지원 포함**
기획재정부와 방사청은 지난해 조세특례제한법의 신성장·원천기술 목록에 방위산업 기술 3개 분야(추진체계, 군사위성체계, 유·무인 복합체계)를 지정하여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처음 시작한 바 있으나, 방산수출과 관련된 투자에는 해당 지원이 적용되지 않고 있었다.
이번 세제개편안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진입 및 안정화 기술’이 신성장·원천기술에 추가됐으며, 방산기업 및 협력업체가 관련 분야에 투자할 경우, 연구개발비에 대해 20~30%, 시설투자 비용에 대해 3~1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 **정책 배경과 기대 효과**
확대된 세제지원책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방산수출 기업 R&D 세액 감면’ 이행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방사청과 기획재정부는 방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하여 관련 투자계획과 수요를 면밀히 검토한 후 개편안을 확정했다.
석종건 방사청장은 이번 개편안이 방산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에 안정적으로 진출하고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으로도 방위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견인할 실질적인 지원책을 계속해서 마련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 **미래 전망**
이번 세제지원 확대는 방산기업들에게 큰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이며, 무인 이동체와 같은 첨단 기술이 포함된 방위산업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한국 방산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문의:**
방위사업청 방산진흥국 방산정책과(02-2079-6411)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김민석 총리, ‘제2차 K-토론나라’에서 신동식 회장과 대한민국 조선업 미래 전략 논의**
김민석 국무총리는 31일 국무총리공관에서 열린 ‘제2차 K-토론나라: 미래대화’에 박정희 정부 초대 경제수석인 신동식 한국해사기술 회장을 초청해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초격차 유지 및 미래 성장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총리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된 대담에서 김 총리가 인터뷰어로 나서 신 회장과 현안을 심도 있게 나눴다. 김 총리는 대담이 끝난 후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우리 모두가 애국심과 실사구시 정신으로 다시 뛰자”고 강조했다.
### 주요 논의 사항
1. **한미 관세 협상의 의미**
김 총리의 질문에 대해 신동식 회장은 한미동맹이 단순한 안보 동맹에서 산업 동맹으로 전환될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전략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 **한국 조선업의 초격차 유지 방안**
신 회장은 한국 조선업이 세계 최정상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친환경, 디지털, 자율운항 등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 및 관련 연구인력 처우 개선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 **국가의 전략적 역할**
김 총리가 국가적 조선업 발전 전략에 대한 질문을 던지자, 신 회장은 대통령 직속의 강력한 컨트롤타워를 통해 해양·조선산업에 대한 실행 가능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4. **해외 인재 영입 경험**
과거 해외 인재 영입 사례에 대해 신 회장은 박정희 정부 시절 미 백악관과 국무부 협력, 과학 원로들의 설득, 그리고 정책 실무자의 노력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회상했다.
5. **대담 마무리**
신 회장은 “승리하는 자는 중단하지 않고 중단하는 자는 승리하지 못한다”는 메시지로 대담을 마무리했으며,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국가적 성장에 대한 의지를 다짐했다.
### 결론
이번 대담은 한국 조선산업과 국가 미래 전략에 대한 유익한 논의의 장이 되었으며, 김 총리와 신 회장은 애국심과 실사구시 정신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의: 국무총리비서실 디지털소통비서관실 (044-200-2736)
원문보기
최근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중요한 만남으로, 양국 간 동맹의 역할과 미래 방향성이 재조명된 자리였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7월 3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만나 다양한 현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이어갔으며, 이를 통해 한미 간 협력의 가치를 재확인했습니다.
### **핵심 논의 사항 요약**
#### 1. **북한 비핵화 및 한미동맹 강화**
– 양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재확인하고,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공조하기로 했습니다.
– 북한 문제에 대한 상호 평가와 정보를 공유하였으며, 한미 간 긴밀한 소통과 협조를 통해 앞으로의 대응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 2. **한미일 3자 협력 심화**
–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일 우호 관계**의 발전이 동아시아 안보 협력의 기반이라는 점에 동의했습니다.
– 향후 한미일 3자 협력 구도를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 3. **동맹 현대화 및 신산업 협력**
– 변화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한미동맹의 현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 조 장관은 기존의 안보·경제 협력뿐만 아니라 **AI, 원자력, 퀀텀 기술** 등 첨단 기술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확장하여 “기술 동맹”의 형태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양국 관계를 미래 지향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됩니다.
#### 4. **지역 정세 및 인태 평화 증진**
–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협력 문제를 논의하고, 역내 안보 파트너로서의 긴밀한 협력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 5. **APEC 정상회의 관련 논의**
– 조 장관은 오는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해 논의하며, 미국 측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이에 마르코 루비오 장관은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 **의미와 전망**
이번 회담은 단순히 양자 간 현안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 한미 관계를 다차원적으로 확장시키고 역내 및 글로벌 차원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 문제에 대한 공조뿐만 아니라 첨단 기술 분야 등 새로운 협력 영역을 발굴하며, **경제·안보·기술이 삼축으로 작동하는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향후 한미 간 긴밀한 협력이 지속되며, 한일 관계 안정 및 인태 지역의 평화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여름철 물놀이 안전, 구명조끼는 생명을 지키는 필수품
최근 여름철 물놀이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구명조끼 착용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6~8월)과 올해(6~7월) 물놀이 사망자 32명 모두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 지켜야 할 기본 수칙과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법을 정리했습니다.
—
### **1. 물놀이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
– **응급처치 요령 숙지**: 물놀이 전에는 응급 상황에 대비한 처치 요령을 익혀야 합니다.
– **안전한 장소 선정**: 물이 깨끗하고 안전한 지역을 선택하고, **출입금지 안내판**이 없어도 급류나 수심이 깊은 곳은 피합니다.
– **기상 정보 확인**: 방문할 물놀이 장소의 기상 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파도가 높거나 조류가 강한 날에는 물놀이 계획을 연기합니다.
—
### **2. 물놀이 중 안전수칙**
– **구명조끼 착용**: 물놀이 시 체형에 맞는 구명조끼는 필수입니다. 심지어 얕은 수심에서도 구명조끼 착용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 **어린이 보호**: 어린이들은 보호자와 항상 함께하며, 사각지대에서 혼자 놀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 **준비운동 필수**: 물에 들어가기 전 몸을 푸는 준비운동을 반드시 하고, 심장에서 먼 부위(손, 발)부터 천천히 입수합니다.
– **안전한 장소 이용**: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를 선택하며, 야간이나 음주 후에는 절대 물놀이를 피합니다.
– **보호 신발 착용**: 계곡 바닥에는 돌, 유리 조각 등이 있으므로 신발 착용은 필수입니다.
—
### **3.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방법**
#### **① 찰과상 및 외상**
– 흐르는 물에 상처를 씻고, 깨끗한 천이나 거즈로 지혈합니다.
#### **② 머리 부위 부상**
– 부상자의 머리, 경추, 척추를 움직이지 않고 호흡과 의식 상태를 확인한 뒤 병원으로 즉시 이송합니다.
#### **③ 근육경련 대처**
– 물 밖으로 나올 수 없을 경우, 몸을 둥글게 말아 물 위에 뜬 상태에서 근육을 천천히 스트레칭합니다. 이후 물 밖으로 나와 따뜻한 찜질로 회복을 돕습니다.
#### **④ 저체온증 대처**
– 젖은 옷을 벗기고 마른 수건이나 옷으로 몸을 감싸 체온을 유지합니다.
#### **⑤ 해파리 쏘임**
– 쏘인 부위를 바닷물로 충분히 씻어내고, 해파리 촉수는 플라스틱 카드로 제거합니다. 통증이나 어지럼증 등 이상 증상이 있으면 즉시 병원을 방문합니다.
—
### **4. 익수 사고 대응**
익수사고는 사람이 물에 빠져 정상적으로 호흡을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발견 시 다음의 절차를 따라 구조에 임해야 합니다:
– **119 신고 우선**: 직접 물에 뛰어드는 대신, 구조 장비(튜브 등)를 활용합니다.
– **응급처치 진행**: 안전요원이 도착하기 전 심폐소생술(CPR)이나 인공호흡 등 응급처치를 실시합니다.
—
### **5. 정부와 지자체의 물놀이 안전 대책**
정부는 물놀이 성수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7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성수기 수상안전 특별대책기간’**을 운영 중입니다. 이 기간 동안:
– 해수욕장에는 지난해보다 174명 늘어난 2466명의 안전관리요원 배치
– 하천·계곡에서는 3019명의 안전관리 인력 추가 배치
– 국립공원 내 250곳 물놀이 지역 특별 점검
지자체 차원에서 수상안전 전담 공무원을 지정하는 등 물놀이 사고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 **결론: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물놀이는 여름철 더위를 피하는 즐거운 경험이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구명조끼 착용과 같은 기본 안전수칙 준수는 생명을 지키는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물놀이를 즐기기 전, 준비를 철저히 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합시다. 여름철 모두가 즐거운 휴가를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