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중소벤처기업부]2025년 1~3분기 벤처투자 9.8조원, 펀드결성 9.7조원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3분기 벤처투자 및 펀드 결성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신규 벤처투자는 9.8조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으며, 벤처펀드 결성은 9.7조원으로 ’22년 이후 처음으로 반등했습니다.
비수도권에서도 13개 기업이 1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바이오, 로봇 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벤처 생태계가 성장하고 지방 기업도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venture investment and fund formation trends for Q3 2025.
Venture investment reached 9.8 trillion won, a 13.1% increase year-on-year, while venture funds grew to 9.7 trillion won, marking the first rebound since 2022.
Additionally, 13 non-metropolitan companies secured over 100 billion won in investments, highlighting growth in bio and robotics industries.
Summary This demonstrates a growing venture ecosystem and expanded investment opportunities for regional companie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2025年第3四半期のベンチャー投資およびファンド結成の動向を発表しました。
ベンチャー投資額は9.8兆ウォンで前年同期比13.1%増加し、ベンチャーファンド結成は9.7兆ウォンで2022年以来初めて回復傾向を見せました。
非首都圏でも13社が100億ウォン以上の大規模投資を獲得し、バイオやロボット産業が注目されています。
総評 ベンチャー投資が活性化し、地方企業にも投資機会が広がっ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ます。
中文 中小风险企业部发布了2025年第三季度风险投资及基金成立的新趋势。
风险投资额达9.8万亿韩元,同比增长13.1%,风险基金成立规模达9.7万亿韩元,首次出现2022年以来的反弹态势。
此外,非首都地区有13家公司成功获得超过100亿韩元的大规模投资,生物科技和机器人产业备受关注。
总评 风险投资的增长和区域企业的机遇扩展有助于行业多样化及经济活力提升。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Startups ha annunciato le tendenze sugli investimenti di rischio e sulla formazione di fondi per il terzo trimestre del 2025.
Gli investimenti di rischio hanno raggiunto i 9,8 trilioni di won, con un aumento del 13,1% su base annua, mentre i fondi di rischio sono cresciuti a 9,7 trilioni di won, invertendo la tendenza negativa dal 2022.
Inoltre, 13 aziende al di fuori delle aree metropolitane hanno ottenuto investimenti superiori a 100 miliardi di won, con focus su biotecnologie e robotica.
Valutazione La crescita degli investimenti di rischio e l’espansione di opportunità per le aziende regionali stimolano nuove prospettive per vari settori economici.
[중소벤처기업부]제20회 전국장애경제인대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와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는 ‘제20회 전국장애경제인대회’를 개최하며 장애경제인의 지난 20년 성과를 기념했습니다.
올해 대회는 장애인기업 주간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행사를 통해 장애인기업의 성과를 알리고 창업과 성장을 지원하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총평 장애경제인들의 축적된 성과와 정부 지원은 장애인기업 생태계 강화 및 포괄적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the Disabled Entrepreneurs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held the 20th Nationwide Disabled Entrepreneurs Conference to celebrate 20 years of achievements.
This year, it was designated as Disabled Business Week, featuring diverse events that supported the promotion and growth of disabled-owned businesses.
Summary The accumulated achievements of disabled entrepreneurs and governmental support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 business ecosystem and contribute to inclusive economic growth.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と障害者企業総合支援センターは、20回目となる「全国障害者経済人大会」を開催し、過去20年間の成果を記念しました。
今年の大会は「障害者企業週」として指定され、多様なイベントを通じて障害者企業の成果や創業支援を促進する場となりました。
総評 障害者経済人の成果と政府による支援は、障害者企業生態系の強化及び包摂的な経済発展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中小风险企业部和残疾人企业综合支援中心举办了第20届全国残疾企业家大会,以纪念过去20年的成就。
今年的大会被指定为“残疾企业周”,通过多样活动支持残疾人企业的成果推广与发展。
总评 残疾企业家的成果与政府的支持预计能够推动企业生态系统的完善并促进包容性经济成长。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il Centro di Supporto per gli Imprenditori Disabili hanno organizzato la 20ª Conferenza Nazionale per gli Imprenditori Disabili, celebrando i risultati di 20 anni.
Quest’anno è stata designata come Settimana dell’Impresa per Disabili, con eventi diversificati per promuovere e sostenere la crescita delle imprese gestite da disabili.
Valutazione I successi degli imprenditori disabili e il supporto governativo contribuiranno a rafforzare l’ecosistema imprenditoriale e a favorire una crescita economica inclusiva.
[중소벤처기업부]온라인을 통한 전세계(글로벌) 경제영토 확장,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육성, 물류·통관 지원 강화, 전략품목 발굴 등을 추진하며,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더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에게 물류 부담 완화와 맞춤형 지원으로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measures to promote online exports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Key initiatives include platform development, enhanced logistics and customs support, and strategic product selection to help SMEs penetrate global markets more effectively.
Summary This plan offers significant support for SMEs facing challenges in entering international markets, reducing logistical burdens and fostering growth.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中小企業によるオンライン輸出活性化のための対策を発表しました。
プラットフォームの育成、物流・通関支援強化、戦略的品目の選定などを通じて、中小企業がグローバル市場に簡単に進出できるよう支援する方針です。
総評 この対策は海外進出に困難を抱える中小企業にとって、物流負担軽減やカスタマイズされた支援を提供する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中小企业部宣布了振兴中小企业在线出口的新措施。
这些措施包括平台建设、加强物流与通关支持、以及战略性出口产品的开发,以帮助中小企业更加有效地打开全球市场。
总评 此政策为中小企业进入国际市场提供实质支持,有望减轻物流压力并促进增长。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delle Startup ha annunciato misure per incentivare le esportazioni online delle piccole e medie imprese.
Tra le iniziative principali figurano lo sviluppo di piattaforme, il potenziamento della logistica e delle dogane, e la selezione di prodotti strategici per facilitare l’accesso delle imprese al mercato globale.
Valutazione Questo piano offre un sostegno concreto alle PMI per superare le problematiche legate all’espansione internazionale, alleggerendo i costi logistici e favorendo la crescita.
[산림청]산림청, 국유림 경영관리 현장에서 답을 찾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이 경상북도 경주에서 ‘2025년 국유림 경영관리 워크숍’을 개최하며 우수사례 경진대회 시상식 및 정책 발전 방향 모색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최우수 사례로는 동부지방산림청의 공동산림사업이 선정되었고, 생태계 보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국유림을 통해 지역사회와 환경을 동시에 살리는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지속적 개선이 중요합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held the “2025 National Forest Management Workshop” in Gyeongju, presenting awards for exceptional case studies and discussing policy improvements.
The top case, conducted by the Dongbu Regional Forest Office, emphasized ecological conservation and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receiving high praise.
Summary This initiative highlights the potential of forest policies to balanc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effectively.
日本語 山林庁は慶尚北道慶州で「2025年国有林経営管理ワークショップ」を開催し、優れた事例の授賞式と政策改善策の検討を進めました。
最優秀事例は東部地方山林庁による共同林業事業で、生態系保護と地域活性化に大きく貢献した点が評価されました。
総評 森林政策が環境と地域活性化を両立する可能性を示す良い例となっています。
中文 韩国林业厅在庆尚北道庆州举办了“2025年国有林经营管理研讨会”,展示优秀案例并探讨政策改进方向。
东部地方林业厅的共同森林项目被评为最佳案例,其生态保护和推动地方经济发展的贡献受到高度评价。
总评 此政策展示了森林管理能够在环境保护和经济发展之间实现平衡的潜力。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ha organizzato a Gyeongju il “Workshop sulla Gestione delle Foreste Pubbliche 2025”, premiando casi di eccellenza e discutendo miglioramenti delle politiche.
Il miglior progetto, svolto dall’Ufficio Forestale Regionale Dongbu, ha ricevuto elogi per la conservazione ecologica e la stimolazione dell’economia locale.
Valutazione Questo piano mostra come le foreste pubbliche possano essere utilizzate sia per tutelare l’ambiente che per promuovere lo sviluppo economico delle comunità locali.
[기획재정부]범부처 민생안정지원단, 청년주거 애로사항 및 전문가 의견 청취
요약보기
한국어 민생안정지원단이 11월 13일 청년 주거 문제와 관련해 애로사항 및 전문가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이번 논의는 청년층의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정책 마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새로운 정책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Civil Stability Support Team held a discussion on November 13 to listen to youth housing challenges and expert opinions.
The aim of this discussion was to prepare practical policies addressing youth housing issu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facilitating policies to stabilize housing for young people.
日本語 民生安定支援団は11月13日、若者の住居問題に関する障害と専門家の意見を聴取しました。
この議論は、若者の住居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実効的な政策を準備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行われました。
総評 この試みは、若者の住居安定を促進する政策の導入に重要な役割を果た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民生稳定支持团队于11月13日就青年住房问题及专家意见进行了讨论。
此次讨论旨在制定解决青年住房问题的切实政策。
总评 此举预计将在推动稳定青年住房的政策制定方面发挥重要作用。
Italiano Il Team di Supporto alla Stabilità Civile ha tenuto una discussione il 13 novembre per affrontare le sfide abitative giovanili e ascoltare i pareri degli esperti.
L’obiettivo di questa discussione era preparare politiche pratiche rivolte alle problematiche abitative dei giovan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risultare cruciale per indirizzare politiche che favoriscano la stabilità abitativa per i giovani.
[농촌진흥청]농촌진흥청, 13일 ‘겨울철 기상 위험 예측 협의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11월 13일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대비를 위한 협의회를 개최했습니다.
협의회에서는 농업기상재해 대응 전략을 점검하고, 기습 폭설 및 급격한 기온 하강에 대비한 기술 보급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올겨울 기온은 평년 수준이지만 서해안을 중심으로 폭설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총평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전 대비와 지역별 관리 요령 숙지는 농업 현장에서 큰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eld a meeting on November 13 to prepare for winter natural disasters such as heavy snow and cold waves.
The meeting focused on reviewing agricultural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and discussing technical distribution plans for sudden snowstorms or temperature drops.
This winter, temperatures are expected to stay average with localized heavy snow predicted around the western coast.
Summary Farmers can benefit from proactive planning and tailored management techniques to minimize crop damages during adverse winter weather condition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11月13日に冬季の自然災害(大雪・寒波)に備える協議会を開催しました。
協議会では農業災害対策案を点検し、局地的な大雪や急激な気温低下への技術供給方法を議論しました。
今冬の気温は平均並みですが、西海岸を中心に局地的大雪の可能性が示されています。
総評 冬季の災害に強い農業を実現するには、事前の準備と対策が必須であるといえます。
中文 农村振兴厅于11月13日召开会议,为应对冬季自然灾害(暴雪和寒潮)做好准备。
会议着重检查农业气象灾害响应策略,探讨应对突发暴雪和急剧降温的技术方案。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ha tenuto una riunione il 13 novembre per prepararsi ai disastri naturali invernali, come neve intensa e ondate di freddo.
Durante l’incontro si sono valutate le strategie per affrontare i rischi climatici e si sono discussi i metodi tecnici per fronteggiare nevicate improvvise o abbassamenti di temperatura.
Quest’inverno le temperature resteranno nella media, ma si prevedono nevicate localizzate lungo la costa occidentale.
Valutazione La pianificazione preventiva e la diffusione delle migliori pratiche gestionali saranno fondamentali per ridurre i danni agricoli durante l’inverno.
[원자력안전위원회]제224회 원자력안전위원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총 3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와 방사성환경영향평가서 및 사고관리계획서의 평가 기준 개정, 방사성폐기물 분류 기준 개정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원자력 안전 및 관리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결정은 원자력시설의 안전성을 높이고 폐기물 관리 절차를 간소화하여 지역 사회 및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held a meeting on the 13th to deliberate and approve three agenda items.
Key points included the approval for continued operation of Kori Unit 2, amendments to evaluation standards for radioactive impact assessments and accident management plans, and revisions to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standards.
This is expected to improve nuclear safety and enhance management efficiency.
Summary These decisions aim to enhance the safety of nuclear facilities and simplify waste disposal processes, potentially benefiting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日本語 原子力安全委員会は13日、3件の案件について審議・議決を行いました。
主な内容は、古里第2号機の継続運転許可、放射線環境影響評価書及び事故管理計画書の評価基準改定、放射性廃棄物分類基準改訂が含まれます。
これにより原子力の安全性と管理効率が向上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今回の決定は、原子力施設の安全を向上させるとともに廃棄物処分手続きを簡素化し、地域社会と環境に好影響を及ぼす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核安全委员会于13日召开会议并审议通过了三项议题。
主要内容包括批准古里2号机继续运行、修改放射性环境影响评估和事故管理计划的评估标准,以及修订放射性废弃物分类标准。
预计这些措施将提高核安全性并优化管理效率。
总评 此次决定旨在提升核设施安全并简化废弃物处理流程,有望惠及社区与环境。
Italiano La Commissione di Sicurezza Nucleare ha tenuto una riunione il 13 per delibere su tre argomenti.
I punti salienti riguardano l’approvazione per la continuazione dell’operazione di Kori Unità 2, modifiche agli standard di valutazione per impatti radioattivi e piani di gestione degli incidenti e revisioni degli standard di classificazione dei rifiuti radioattivi.
Si prevede un miglioramento della sicurezza nucleare e una maggiore efficienza nella gestione.
Valutazione Queste misure puntano a rafforzare la sicurezza delle strutture nucleari e semplificare i processi di smaltimento, portando benefici alle comunità e all’ambiente.
[산림청]남북산림협력으로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잇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이 국회에서 남북산림협력의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논의는 기후위기 대응과 한반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며, 장기적인 신뢰 구축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산림협력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실현할 중요한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총평 남북산림협력은 정치적 부담이 적고 실질적 혜택이 있어 남북 관계 개선과 환경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held a seminar at the National Assembly discussing the direction and tasks of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The seminar explored strategies for climate crisis respon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insula, emphasizing long-term trust-building efforts.
Forest cooperation is considered a key measure for achieving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Summary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is a low-risk and high-benefit approach that may improve relations and contribute positively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日本語 山林庁は国会にて南北山林協力の方向性と課題について議論するセミナーを開催しました。
この会議では気候危機への対応と朝鮮半島の持続可能な発展を目指し、長期的な信頼構築が重要視されました。
山林協力は平和と繁栄の半島を実現する重要な手段として評価されています。
総評 南北山林協力は政治的リスクが低く、環境保護と関係改善の双方に実質的な効果を期待できます。
中文 韩国林业厅在国会上举办了关于南北林业合作方向和任务的研讨会。
此次会议探讨了应对气候危机及朝鲜半岛可持续发展合作的策略,强调了长期信任构建的重要性。
林业合作被评价为实现半岛和平与繁荣的重要工具。
总评 南北林业合作具有较低的政治敏感性,对改善关系和环境保护具备实质作用。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ha organizzato un seminario presso l’Assemblea Nazionale per discutere le direzioni e i compiti della cooperazione forestale intercoreana.
Nel seminario si sono esplorate strategie per affrontare la crisi climatica e sostenere lo sviluppo sostenibile della penisola coreana, enfatizzando la costruzione di fiducia a lungo termine.
La cooperazione forestale è considerata uno strumento chiave per realizzare pace e prosperità nella regione.
Valutazione La cooperazione forestale tra Sud e Nord Corea è un approccio pratico e poco rischioso che potrebbe favorire relazioni migliori e protezione ambientale.
[국토교통부][참고] 「국가공간정보기본법」 ·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 「철도안전법」 · 「대도시권광역교통관리에관한특별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의결
요약보기
한국어 국회는 「국가공간정보기본법」,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등 4개 법률 개정안을 본회의에서 의결했습니다.
이들 개정안은 철도 안전 강화, 물류 서비스 개선, 대도시 광역교통 관리를 위한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 생활 안전과 편의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법 개정은 교통 및 물류 관련 안전과 서비스 개선을 통해 일상에서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Assembly has passed amendments to four laws, including the “Basic Act on National Spatial Data” and the “Living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in its plenary session.
These amendments focus on strengthening railway safety, improving logistics services, and managing urban mass transit systems more effectively.
This is expected to enhance public safety and convenience in daily life.
Summary This legislative update aims to create safer and more efficient systems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ignificantly improving everyday experiences.
日本語 国会は「国家空間情報基本法」や「生活物流サービス産業発展法」などの4つの法律改正案を本会議で議決しました。
これらの改正案は鉄道安全の強化や物流サービスの改善、都市圏の広域交通管理を含む内容です。
国民の生活安全性と利便性が向上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今回の改正は交通や物流の安全性とサービスを向上させ、市民生活をより快適にす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国会在全体会议上通过了《国家空间信息基本法》、《生活物流服务产业发展法》等四项法律修正案。
这些修正案旨在加强铁路安全、改善物流服务以及更有效地管理大都市区域交通系统。
预计这些改动将提高公众的日常生活安全和便利性。
总评 此次法律修订通过致力于优化交通与物流的安全及便利性,日常生活体验有望进一步提升。
Italiano L’Assemblea Nazionale ha approvato in sessione plenaria gli emendamenti a quattro leggi, tra cui la “Legge di base sui dati spaziali nazionali” e la “Legge sullo sviluppo dei servizi di logistica di vita”.
Questi emendamenti mirano a rafforzare la sicurezza ferroviaria, migliorare i servizi logistici e gestire più efficacemente i sistemi di trasporto urbano.
Si prevede un aumento della sicurezza e della comodità nella vita quotidiana dei cittadini.
Valutazione Questi aggiornamenti legislativi promettono di migliorare l’efficienza e la sicurezza dei sistemi di trasporto e logistica, facilitando la vita quotidiana dei cittadini.
[외교부]외교부, 제7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를 개최하여 여성·평화·안보 의제(WPS)의 25주년을 기념했습니다.
회의에서는 분쟁 상황 속 여성 보호, 평화구축과 여성 참여 증가 등을 주요 논의 주제로 삼아 청년과 기술 혁신의 역할까지 폭넓게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회의는 국제사회의 평화를 위한 여성 및 청년의 역할 증대와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해결책 모색 가능성을 열어준 계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Peace with Women” to commemorate the 25th anniversary of the Women, Peace, and Security (WPS) agenda.
The conference discussed key topics such as women’s protection in conflicts, increased participation in peacebuilding, and the role of you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Summary This conference highlighted the growing importance of women and youth in promoting global peace, fostering innovative solutions through modern technology.
日本語 外務省は「女性と共に進める平和国際会議」を開催し、女性・平和・安全保障(WPS)アジェンダ25周年を記念しました。
会議では紛争下における女性保護や平和構築への参加促進、さらに若者と技術革新の役割などが幅広く議論されました。
総評 今回の会議は国際平和の促進における女性と若者の重要性を再確認すると同時に、新技術を活用した解決策を探る契機となりました。
中文 外交部举办“女性与和平国际会议”,纪念女性、和平与安全(WPS)议题25周年。
会议重点讨论了冲突中女性保护、和平建设中女性参与、青年与技术创新发挥的作用等内容。
总评 此次会议展现了女性及青年在促进国际和平中的重要性,也为技术创新提供了探索新方向的机会。
Italiano Il Ministero degli Esteri ha organizzato la “Conferenza Internazionale sulla Pace con le Donne” per celebrare il 25º anniversario dell’agenda Donne, Pace e Sicurezza (WPS).
La conferenza ha affrontato temi chiave come la protezione delle donne nei conflitti, il loro maggiore coinvolgimento nella costruzione della pace e il ruolo della gioventù e dell’innovazione tecnologica.
Valutazione Questo evento ha evidenziato l’importanza crescente delle donne e dei giovani per promuovere la pace globale, aprendo possibilità per soluzioni innovative attraverso la tecnologia moderna.
[국민통합위원회]이석연 위원장, 고(故) 박정희 전(前)대통령 생가 방문 및 헌화
요약보기
기사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을 진행하려면 뉴스 기사에 담긴 핵심 정보를 제공해 주세요.
[외교부]제14기 글로벌 녹색성장 서포터스, 성황리에 마무리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제14기 글로벌 녹색성장 서포터스의 해단식을 개최하며, 30명의 대학생들이 약 3개월간 북극환경 및 우리나라의 북극외교를 알리기 위한 활동을 수행했다고 밝히습니다.
주요 활동으로는 덴마크대사관 방문, 극지연구소 견학, SNS 콘텐츠 제작 등이 포함되었으며, 최우수 팀에게는 GGGI 인턴십 제공도 이루어졌습니다.
총평 이 활동은 청년들에게 환경 분야 국제 전문가로 성장할 기회와 우리나라 환경 외교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osted the closing ceremony for the 14th Global Green Growth Supporters, consisting of 30 university students who carried out activities to promote Arctic diplomacy and environmental awareness over the past three months.
Key activities included visiting the Danish Embassy, Polar Research Institute, and creating SNS content, with an internship at GGGI awarded to the best-performing team.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young people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as international experts and raises awareness about South Korea’s environmental diplomacy.
日本語 外務省は第14期グローバルグリーン成長サポーターズの解団式を開催し、30名の大学生が約3か月間にわたり北極環境と韓国の北極外交を広める活動を行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ました。
主な活動にはデンマーク大使館や極地研究所の訪問、SNSコンテンツの制作などが含まれ、最優秀チームにはGGGIインターンシップが提供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活動は若者に国際的な環境専門家への道を開き、韓国の環境外交への理解を深める機会を与えています。
中文 外交部举办了第十四期全球绿色增长支持者闭幕仪式,由30名大学生组成的团队在过去三个月中进行了宣传北极环境变化及韩国北极外交的活动。
主要活动包括访问丹麦大使馆、极地研究所,并通过创作SNS内容进行宣传,最优团队还获得了GGGI的实习机会。
总评 此活动为青年提供了成长为国际环境专家的机会,并提升了对韩国环境外交的关注和理解。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organizzato la cerimonia di chiusura della 14ª squadra dei Global Green Growth Supporters, composta da 30 studenti universitari che hanno svolto attività promuovendo la diplomazia artica e la consapevolezza ambientale negli ultimi tre mesi.
Le attività principali includono visite all’ambasciata danese, all’Istituto di ricerca polare e la creazione di contenuti SNS, con uno stage al GGGI offerto al team vincent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onsente ai giovani di crescere come esperti internazionali e aumenta la consapevolezza sulla diplomazia ambientale della Corea del Sud.
[국토교통부][해명] 국토교통부의 해명자료가 거짓이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는 최근 발표된 해명자료에서 일부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보도자료는 사실과 다른 내용에 대해 바로잡으며 관련 자료는 첨부파일로 제공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해명자료는 정책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독자들이 정확한 정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larified in its latest statement that certain allegations against their materials are not true.
The press release aimed to correct misinformation and provided related documents for reference.
Summary This clarification helps enhance policy credibility and ensures readers access accurate information.
日本語 国土交通部は最近の声明において、一部の主張が事実ではないことを明らかにしました。
報道資料は誤情報を訂正し、関連資料を添付ファイルとして提供しました。
総評 この声明は政策の信頼性を向上させ、正確な情報を提供することに役立つものです。
中文 国土交通部近日发布声明,明确指出部分针对其资料的指控并不属实。
声明纠正了错误信息,并提供了相关文件以供参考。
总评 此举提升了政策信息的公信力,有助于公众获取正确的资讯。
Italiano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 chiarito con una recente dichiarazione che alcune accuse mosse contro i loro dati non sono vere.
Il comunicato stampa ha corretto informazioni errate e fornito documentazione allegata per riferimento.
Valutazione Questa presa di posizione rafforza la fiducia nelle politiche e garantisce l’accesso a informazioni accurate per il pubblico.
[해양경찰청]해양경찰청, 제4회 해양 국제범죄 대응 학술대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경찰청이 해양 국제범죄 대응을 위해 11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제4회 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미국 FBI, 일본 해상보안청 등 10개 해외 기관과 국내 법무부, 경찰청 등 총 80여 명이 참석했으며, 밀입국, 해상 밀수, 산업기술 유출 대응을 주요 주제로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학술대회는 해양 국제범죄 대응을 강화하고 각국 기관의 협력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안보 시스템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Coast Guard hosted the 4th Maritime International Crime Response Symposium in Songdo, Incheon, from November 13 to 14.
Representatives from 10 foreign agencies, including the FBI and Japan Coast Guard, and 10 domestic organizations discussed topics such as illegal immigration, maritime smuggling, and industrial technology leaks.
Summary This symposium is expected to bolste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stablish a stronger security framework against maritime crimes.
日本語 韓国海洋警察庁は11月13日から14日の間、仁川松島で第4回海洋国際犯罪対応学術会議を開催しました。
米国FBIや日本海上保安庁など海外10機関と国内の法務部、警察庁など80人が参加し、不法入国や海上密輸、産業技術流出への対応を議論しました。
総評 本会議は海洋国際犯罪への効果的な対応と、各国機関との連携強化に役立つ重要な機会となりそうです。
中文 韩国海警在11月13日至14日于仁川松岛举办了第四届海洋国际犯罪应对学术大会。
包括美国FBI、日本海上保安厅在内的10个海外机构以及国内法务部、警察厅等共约80人参与,讨论了非法入境、海上走私和技术泄露等议题。
总评 此次大会有望加强国际合作,构建更有效的数据共享和犯罪应对体系。
Italiano La Guardia Costiera della Corea ha organizzato il 4° Simposio sulla risposta ai crimini internazionali marittimi a Songdo, Incheon, dal 13 al 14 novembre.
Erano presenti 10 agenzie straniere, tra cui l’FBI e la Guardia Costiera giapponese, oltre a 10 organizzazioni nazionali che hanno discusso di immigrazione illegale, contrabbando marittimo e fuga di tecnologie industriali.
Valutazione Questo simposio rappresenta un’opportunità cruciale per rafforzare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e migliorare i sistemi di sicurezza marittimi contro i crimini.
[법무부]법무부, 5일 간의 43차 아시아·태평양 교정본부장회의 성황리에 마쳐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는 11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신라 호텔에서 열린 제43차 아태교정본부장회의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22개국 및 4개 국제기구 교정 행정 관계자 약 150명이 참석했으며, 대한민국 교정 협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총평 이번 회의는 국제 교정 분야에서 한국의 역할과 위상을 강화하고, 다양한 협력 기회를 마련하며 우리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Justice successfully concluded the 43rd Asia-Pacific Correctional Administrators Conference, held from November 9 to 13 at the Shilla Hotel.
The event saw participation from about 150 officials representing 22 countries and 4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stablishing a new milestone for correctional collaboration in South Korea.
Summary This event highlights South Korea’s growing influence in correctional systems internationally and opens doors for enhanced collaboration in the justice sector.
日本語 法務部は11月9日から13日まで、新羅ホテルで開催された第43回アジア太平洋矯正本部長会議を成功裏に終了しました。
本会議には22か国と4つの国際機関から約150名の矯正行政関係者が参加し、韓国の矯正協力の新たな節目を築きました。
総評 韓国が矯正行政の国際社会での役割を強化し、新たな協力機会を広げるための重要な場となった会議です。
中文 韩国法务部成功举办了第43届亚太矫正管理会议,会议于11月9日至13日在新罗酒店举行。
会议吸引了来自22个国家和4个国际机构的约150名矫正行政相关人士,为韩国矫正合作树立了新的里程碑。
总评 此次会议提升了韩国在国际矫正领域的影响力,并为未来合作开辟了新路径。
Italiano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ha concluso con successo la 43ª Conferenza dei Capi della Correzione dell’Asia-Pacifico, tenutasi dal 9 al 13 novembre presso l’Hotel Shilla.
Circa 150 partecipanti, provenienti da 22 paesi e 4 organizzazioni internazionali, hanno partecipato all’evento, stabilendo un nuovo punto di riferimento per la collaborazione correttiva in Corea del Sud.
Valutazione Questa conferenza rafforza il ruolo della Corea del Sud nei sistemi correttivi internazionali e promuove opportunità di cooperazione nel settore della giustizia.
[국무조정실][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자립준비청년 카페(은평 에피소드) 개소 격려방문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국무총리는 은평구의 자립준비청년 카페 ‘은평 에피소드’를 방문하여 격려했습니다.
이 카페는 자립준비청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며, 지방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조성된 공간입니다.
김 총리는 이를 지방정부-기업 협력의 좋은 정책 모델로 평가하며 확산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자립준비청년들이 일터를 설계하고 운영함으로써 경제적 독립과 사회참여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Kim Min-seok visited “Eunpyeong Episode,” a café in Seoul operated by self-reliant youths.
The café is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businesses, entirely designed and run by the youths themselves.
He praised it as an excellent policy model and emphasized the need for broader adoption.
Summary This initiative offers young individuals a pathway to self-reliance while contributing to local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their direct participation.
日本語 キム・ミンソク国務総理がソウルにある自立準備青年の運営するカフェ「ウンピョンエピソード」を訪問しました。
このカフェは地方自治体と企業の協力で設立され、青年たちが自ら計画から運営までを担当したプロジェクトです。
キム総理はモデルとしての価値を評価し、全国への拡張を求めました。
総評 若者の自立と社会参加を同時に促進する有効な方法として、さらなる展開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金民石总理访问了首尔恩平区的青年自立咖啡馆“恩平Episode”。
该咖啡馆由地方政府与企业合作运作,完全由自立青年自主策划和运营。
金总理高度评价其为良好的政策模式,并强调需加强推广。
总评 此项目为青年提供经济独立及社会贡献的机会,同时推动社区发展。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visitato “Eunpyeong Episode”, un caffè di Seoul gestito da giovani autosufficienti.
Il progetto è stato sviluppato attraverso la collaborazione tra governo locale e imprese, con il coinvolgimento diretto dei giovani nella gestione.
Kim ha sottolineato il valore del modello e la necessità di una maggiore diffusione.
Valutazione Questo progetto rappresenta un’opportunità concreta per favorire l’indipendenza economica e l’integrazione sociale dei giovani.
[산업통상부]산업부장관, 외국인 투자기업에 지속적인 한국 투자 당부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부는 외국인 투자 유치에 기여한 관계자를 격려하고 한국 투자 확대를 당부하며 「2025 외국기업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첨단산업 분야의 외국인 투자 유치 유공자들에게 금탑·은탑 산업훈장이 수여되었고, 글로벌 공급망과 투자 활성화 방안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총평 한국 경제 발전을 위해 외국인 투자 기업의 지속적 참여와 협조를 독려하는 메시지로, 첨단산업 강화가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osted the “2025 Foreign Company Day,” encouraging continued investment in Korea from foreign companies.
Key figures in cutting-edge industries were awarded for their contributions, and discussions were held about boosting global supply chain and foreign investment.
Summary This event reinforces Korea’s commitment to creating an attractive environment for foreign investors focused on advanced industries.
日本語 韓国の産業通商部は「2025外国企業の日」記念式典を開催し、外国企業関係者に韓国への継続的な投資を求めました。
先端産業分野で貢献した外国投資関連者に金塔・銀塔産業勲章が授与され、投資活性化に関する議論が行われました。
総評 韓国の産業競争力を強化するため、外国企業の協力を促進する重要な試みです。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举办了“2025外国企业日”纪念活动,鼓励外国企业继续投资韩国。
活动中表彰了在尖端产业领域贡献卓著的个人,讨论了扩大外资和全球供应链的策略。
总评 此活动显示韩国对吸引外资的重视,特别是推动尖端产业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celebrato la “Giornata delle Aziende Straniere 2025,” incoraggiando ulteriori investimenti in Corea.
Sono stati premiati i leader che hanno favorito investimenti nell’industria avanzata e discussi piani per migliorare le catene di approvvigionamento globali.
Valutazione La Corea si impegna a offrire opportunità competitive per investitori stranieri interessati agli sviluppi tecnologici.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배경훈 부총리, 첨단 과학기술 현장에서 ‘과학기술 인공지능’ 진화와 산업혁신 정책 방향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 ‘KAPEX’ 시연회가 열렸으며, 제2차 과학기술 인공지능 전략대화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11월 말 발표 예정인 「과학기술 인공지능 국가 전략」 수립에 앞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실생활과 산업에 어떻게 확대될지 방향성을 제시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demonstration of the Korean humanoid robot ‘KAPEX’ was held, along with the 2nd Science and Technology AI Strategy Dialogue.
This event aimed to gather expert opinions ahead of the nation’s official “Science and Technology AI Strategy” set to be announced at the end of November.
Summary This discussion is expected to outline how AI technology can be integrated into everyday life and industries.
日本語 韓国型ヒューマノイドロボット「KAPEX」のデモが行われ、第二回科学技術AI戦略対話が開催されました。
これは11月末に発表予定の「科学技術AI国家戦略」の策定に向け専門家の意見を収集する場でした。
総評 今回の対話を通じてAI技術が日常生活や産業にどのように応用されるかが示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型人形机器人“KAPEX”进行展示,同时举办了第二次科学技术人工智能战略对话会。
此次活动旨在为11月底即将发布的《科学技术人工智能国家战略》收集专家意见。
总评 此次讨论有望为人工智能技术如何应用于日常生活和产业提供方向。
Italiano È stata presentata la dimostrazione del robot umanoide coreano ‘KAPEX’ e si è tenuta la seconda discussione sulla strategia AI in ambito scientifico e tecnologico.
L’evento ha avuto lo scopo di raccogliere opinioni esperte per la definizione della “Strategia Nazionale di Scienza e Tecnologia AI”, prevista per fine novembre.
Valutazione Questo incontro potrebbe indicare la strada per integrare la tecnologia AI nella vita quotidiana e nei settori industriali.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요약보기
한국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계속운전을 허가했습니다.
1983년부터 운영된 고리 2호기는 설계수명이 2023년에 만료됐지만 주요 설비 교체와 안전성 평가를 통해 2033년까지 계속운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지속하는 동시에 철저한 안전 관리를 통해 주민들의 신뢰를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approved the continued operation of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Unit 2.
Initially operated in 1983, the plant’s original design lifespan expired in 2023, but after critical equipment replacement and safety evaluations, the unit was deemed fit to operate until 2033.
Summary This decision aims to ensure stable energy supply while emphasizing thorough safety management to maintain public trust.
日本語 原子力安全委員会は、古里(ゴリ)原子力発電所2号機の運転継続を承認しました。
1983年に稼働を開始した2号機は2023年に設計寿命を迎えましたが、重要設備の交換と安全性の評価を経て、2033年までの運転継続が可能と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安定したエネルギー供給を確保しながら、安全対策を重視して地域住民の信頼を得ようとするものです。
中文 核安全委员会批准了古里核电站2号机组的继续运行。
2号机组自1983年开始运营,设计寿命在2023年到期,但通过设备更换和安全性评估,决定其可以运行至2033年。
总评 此措施旨在确保能源供应的稳定,同时通过严格的安全管理增强公众信心。
Italiano La Commissione per la Sicurezza Nucleare ha approvato l’operazione continuata dell’Unità 2 della centrale nucleare di Kori.
L’unità, operativa dal 1983, aveva la propria durata di vita progettuale scaduta nel 2023, ma grazie alla sostituzione di attrezzature critiche e a valutazioni di sicurezza è stata giudicata idonea per funzionare fino al 2033.
Valutazione Questa decisione mira a garantire una fornitura energetica stabile, con un forte accento sulla gestione della sicurezza per mantenere la fiducia del pubblico.
[재외동포청]해외 유력 언론사 활약 한인 언론인, 국내 기자와의 간담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재외동포청은 11월 13일 서울에서 「세계 저널리즘 속의 재외동포 언론인」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미국, 아르헨티나, 일본 등 각국에서 활동 중인 재외동포 언론인들이 참여해 국내 기자들과 교류하며 언론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간담회는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인 언론인들이 국내 언론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서 한국의 목소리를 강화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English The Overseas Koreans Agency hosted a symposium titled “Overseas Korean Journalists in Global Journalism” on November 13 in Seoul.
Journalists from the U.S., Argentina, and Japan gathered to network and discuss media collaboration with domestic reporters.
Summary This event highlighted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Korea’s voice in global media through meaningful cooperation between overseas and domestic journalists.
日本語 在外同胞庁は11月13日、ソウルにおいて「世界ジャーナリズムにおける在外同胞ジャーナリスト」をテーマにした懇談会を開催しました。
米国、アルゼンチン、日本で活躍する在外同胞記者たちが国内記者と協力方法を議論し交流を深めました。
総評 この懇談会は、世界の韓国人ジャーナリストが国内メディアと連携し、韓国の声を国際的に広げる契機にな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海外侨胞厅于11月13日在首尔举办了以“全球新闻中的海外韩裔记者”为主题的座谈会。
来自美国、阿根廷和日本的韩裔记者与国内媒体人士互动,共同探讨媒体合作方向。
总评 此次座谈会为韩裔记者与国内媒体搭建桥梁,助力韩国声音在全球传媒中扩大影响力。
Italiano L’Agenzia per i Coreani all’Estero ha ospitato il 13 novembre a Seoul un incontro intitolato “Giornalisti coreani all’estero nel giornalismo globale”.
Giornalisti provenienti da Stati Uniti, Argentina e Giappone si sono riuniti per discutere e approfondire la collaborazione tra i media stranieri e quelli coreani.
Valutazione Questo evento potrebbe rafforzare la presenza della Corea nel panorama mediatico globale attraverso una cooperazione più stretta tra giornalisti locali e quelli internazionali.
[외교부]서울외교포럼(Seoul Diplomacy Forum) 2025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외교원이 11월 18일 서울외교포럼 2025를 개최하여 한국 신정부의 외교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합니다.
주요 세션은 실용외교, 한반도 평화, 그리고 AI를 포함한 경제안보 외교에 관한 전문가 토론으로 구성됩니다.
총평 이번 포럼은 한국 외교의 방향과 도전에 대한 국민과 전문가들의 이해를 돕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Diplomatic Academy will host the Seoul Diplomacy Forum 2025 on November 18 to discuss the foreign policy paradigm of Korea’s new administration.
Main sessions will focus on pragmatic diplomacy,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conomic security diplomacy around AI featuring expert panels.
Summary This forum provides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deepen understanding of Korea’s diplomatic challenges and strategies among the public and experts.
日本語 国立外交院は11月18日に「2025年ソウル外交フォーラム」を開催し、韓国新政府の外交パラダイムについて議論します。
主なセッションでは、実用的な外交、韓半島平和、AIを含む経済安全保障外交に焦点を当てた専門家討論が行われます。
総評 このフォーラムは韓国外交の課題と方向性について国民や専門家が理解を深める重要な機会となります。
中文 韩国国立外交院将于11月18日举办“2025年首尔外交论坛”,探讨韩国新政府的外交理念。
主要议程包含务实外交、朝鲜半岛和平及围绕人工智能的经济安全外交专题讨论。
总评 该论坛将帮助公众及专家深入了解韩国外交的挑战与战略方向。
Italiano L’Accademia Nazionale di Diplomazia ospiterà il Forum Diplomatico di Seoul 2025 il 18 novembre, per discutere il paradigma diplomatico della nuova amministrazione della Corea.
Le principali sessioni affronteranno la diplomazia pragmatica, la pace sostenibile nella penisola coreana e la diplomazia economica sulla sicurezza legata all’AI, con esperti di settore.
Valutazione Questo forum offre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il pubblico e gli esperti di comprendere meglio le sfide e le strategie diplomatiche della Corea.
[기후에너지환경부](참고) 송전설비주변법 등 3개 법안 국회 통과
요약보기
한국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송·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사업 등 관련 3개 법률 개정안이 11월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지원사업 추진 시 주민 동의 기준 완화, 분산에너지 사업자의 전력 구매 옵션 확대, 이산화탄소 활용 제품 구매자 대상 지원 근거 마련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지역 지원, 에너지 분산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산업 육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법 개정은 지역 및 환경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관련 산업 성장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limate, Energy, and Environment announced that three amended laws related to energy and local support project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on November 13.
The amendments include eased consent requirements for local support projects, expanded electricity purchasing options for distributed energy businesses, and support for buyers of carbon-related products.
These changes are expected to promote regional support, energy decentraliza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industries.
Summary These legislative updates set the groundwork for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and contribute directly to addressing both region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日本語 気候エネルギー環境部は、エネルギー関連地域支援事業に関する3つの改正法案が11月13日に国会本会議で可決されたと発表しました。
改正内容には住民同意基準の緩和、分散型エネルギー事業者の電力調達オプション拡大、二酸化炭素関連製品購入者への支援基準の追加が含まれています。
これにより地域支援事業、エネルギー分散、温室効果ガス削減産業の成長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今回の法改正は地域の課題解決やエネルギー分野の持続可能性を高める重要なステップ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气候能源环境部宣布,与能源和周边地区援助相关的三项法律修订案于11月13日在国会全体会议上获得通过。
修订内容包括放宽居民同意要求、扩大分布式能源企业的购电选择,以及为二氧化碳相关产品购买者提供支持依据。
预计这些变化将推动区域支持、能源分散化和减少温室气体排放的相关产业发展。
总评 此次法律修订为解决环境问题和支持能源行业的可持续发展提供了坚实基础。
Italiano Il Ministero per il Clima, Energia e Ambiente ha annunciato che tre leggi modificate relative ai progetti di supporto energetico e locale sono state approvate dall’Assemblea Nazionale il 13 novembre.
Le modifiche includono l’allentamento dei criteri di consenso per i progetti di supporto locale, l’espansione delle opzioni di acquisto dell’elettricità per le aziende di energia distribuita e il supporto agli acquirenti di prodotti legati alla CO2.
Questi cambiamenti mirano a promuovere il supporto regionale, la decentralizzazione energetica e lo sviluppo dei settori di riduzione dei gas serra.
Valutazione Queste modifiche legislative stabiliscono un importante passo verso la crescita sostenibile dei settori energetici e il trattamento delle sfide ambientali locali.
[산림청]산림청, 국민과의 소통 위해 산림정책 홍보역량 강화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은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산림정책 홍보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홍보담당자들이 소통 역량과 기획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책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특강과 논의로 구성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워크숍은 국민과 정책 사이 간격을 좁히고 정책 홍보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Korea Forest Service hosted a workshop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promotional capabilities for better public engagement.
The workshop included lectures and discussions to improve the skills of public relations officers in delivering effective policy message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citizens and policies, improving the overall impact of forest policy promotions.
日本語 韓国の山林庁は、国民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強化を目的に、山林政策広報力向上ワークショップを開催しました。
このワークショップでは、広報担当者の能力向上と効果的な政策メッセージの伝達に関する特別講義と議論が行われました。
総評 この取り組みは政策と市民との繋がりを強化し、政策広報の効果を向上させ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山林厅举办了提升森林政策宣传能力的工作坊,以加强与公众的沟通。
工作坊通过专题讲座和讨论,帮助宣传人员提高沟通技能和有效传递政策信息。
总评 此次活动旨在拉近公众与政策之间的距离,提升森林政策宣传的效果。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Coreano ha organizzato un workshop per migliorare le capacità di comunicazione e promozione, al fine di rafforzare l’interazione con i cittadini.
Il workshop ha offerto lezioni speciali e discussioni per aiutare gli addetti alla comunicazione a trasmettere meglio i messaggi delle politiche forest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erca di rendere più efficace la trasmissione delle politiche forestali e avvicinare cittadini e istituzioni.
[국토교통부][참고] ’26년 공시가격, ‘부동산 시세 변동을 정확히 반영’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오늘 2026년 공시가격 산정이 부동산 시세 변동을 보다 정확히 반영토록 개선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부동산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고, 공시가격이 가계와 세금에 미치는 영향을 공정하게 조정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그간 발생해왔던 과도한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공시가격의 정확성 향상은 재산세와 건강보험료 등 부동산과 관련된 가계 지출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day to improve the calculation of the 2026 official property value, aiming to better reflect real estate market changes.
This measure seeks to enhance transparency in property assessments and ensure fair adjustments in its impact on household budgets and taxes.
It is expected to reduce excessive burdens on citizens.
Summary Improved accuracy in official property values will play a key role in ensuring fairness in real estate-related costs like taxes and health insurance premiums.
日本語 政府は本日、2026年の公示価格算定について、不動産市場の変動をより正確に反映する改善策を発表しました。
この措置は不動産評価の透明性を高め、公示価格が家計や税金に与える影響を公平に調整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これを通じて過度な負担の軽減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公示価格の正確性向上は、固定資産税や健康保険料など家計の負担を公平にする重要な役割を果たすと考えられます。
中文 政府今日宣布计划改善2026年的房地产公示价格计算方式,以更加准确地反映市场变化。
该措施旨在提高房地产评估的透明度,并公平调整公示价格对家庭支出和税收的影响。
预计将减轻公众面临的过重负担。
总评 公示价格的准确性提高将有助于确保与房地产相关支出的公平性,比如税收和健康保险费。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oggi di voler migliorare la definizione dei valori immobiliari ufficiali del 2026, per riflettere meglio le variazioni del mercato.
Questa iniziativa mira a promuovere la trasparenza delle valutazioni immobiliari e ad assicurare una distribuzione equa degli impatti sui costi familiari e sulle tasse.
Si prevede che contribuirà a ridurre i carichi eccessivi per i cittadini.
Valutazione L’accuratezza nei valori ufficiali degli immobili sarà fondamentale per garantire equità nei costi fiscali e contributivi legati alla proprietà.
[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 지역 필수 공공의료 강화에 대한 공공보건의료기관장 의견 수렴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11월 13일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공공보건의료 CEO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 국립대학병원, 지방의료원 등 주요 공공보건기관장이 참여해 의료격차 해소와 공공의료 강화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총평 공공의료 강화는 모든 국민이 어디서든 의료 서비스를 평등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osted a Public Healthcare CEO Forum on November 13 to discuss strengthening regional, essential, and public healthcare.
This event saw participation from heads of major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includi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nd regional medical centers, with shared goals of addressing healthcare disparities and enhancing public medical services.
Summary Strengthening public healthcare is crucial for ensuring that all citizens receive equitable access to medical services nationwide.
日本語 保健福祉部は11月13日、公衆保健医療CEOフォーラムを開催し、地域・必須・公衆医療の強化策を議論しました。
国立大学病院や地方医療院などの主要な医療機関の長が参加し、医療格差の解消および公衆医療の発展について意見を共有しました。
総評 公衆医療の強化は、どこに住んでいても平等な医療サービスを享受できる社会の構築に貢献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保健福祉部于11月13日举办了“公立医疗CEO论坛”,讨论强化地区、必需及公共医疗服务的政策方向。
论坛汇聚了国立大学医院、地方医疗院等主要公立医疗机构领导,共同探讨改善医疗差距及强化公共医疗服务的措施。
总评 加强公立医疗服务将有助于实现全民公平享有医疗服务的目标。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organizzato il 13 novembre il Forum dei CEO sulla salute pubblica per discutere le strategie per rafforzare la sanità regionale, essenziale e pubblica.
All’evento hanno partecipato i dirigenti di ospedali nazionali e regionali, collaborando per colmare le disparità sanitarie e migliorare i servizi sanitari pubblici.
Valutazione Rafforzare la sanità pubblica è fondamentale per garantire che tutti i cittadini abbiano accesso equo ai servizi medici ovunque si trovino.
[외교부]한-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력사업 이행약정 체결식(11.13.)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한-AfCFTA 협력기금을 활용한 첫 협력사업 이행약정을 체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무역·인프라 제도와 표준을 아프리카에 확산하여 한국 기업의 진출을 지원하고 아프리카 경제통합에 기여하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총평 이번 사업은 한국 기업의 글로벌 확장을 돕고 아프리카에서의 경제 기회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igned the first implementation agreement for cooperation projects using the Korea-AfCFTA Cooperation Fund.
This aims to spread Korea’s trade and infrastructure systems and standards in Africa, supporting Korean businesses’ entry and contributing to African economic integration.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help Korean companies expand globally while opening economic opportunities in Africa.
日本語 外交部は韓-AfCFTA協力基金を活用した初の協力事業履行協定を締結しました。
この事業により、韓国の貿易・インフラ制度と標準がアフリカに普及し、韓国企業の進出を支援するとともにアフリカ経済統合に貢献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本事業は韓国企業の国際展開を促進し、アフリカ経済の新たな可能性を広げる重要な役割を果たすでしょう。
中文 外交部签署了首个利用韩国-AfCFTA合作基金的项目实施协议。
该合作旨在推广韩国的贸易与基础设施制度和标准,支持韩国企业进入非洲市场,并促进非洲经济一体化。
总评 此项合作有助于韩国企业全球业务扩展,同时带动非洲经济发展机遇。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firmato il primo accordo di attuazione per i progetti di cooperazione utilizzando il Fondo di cooperazione Korea-AfCFTA.
L’iniziativa mira a diffondere i sistemi e gli standard di commercio e infrastrutture coreani in Africa, supportando le aziende coreane e contribuendo all’integrazione economica africana.
Valutazione Questo progetto può favorire l’espansione globale delle imprese coreane e creare nuove opportunità economiche in Africa.
[새만금개발청]새만금청, 쓰레기 없는 깨끗한 새만금호 만들기에 나서
요약보기
한국어 새만금개발청이 연말까지 7억 원을 투입하여 새만금호 내 침적 폐기물과 부유 쓰레기를 정화할 계획입니다.
이 사업은 수질 개선과 경관 회복은 물론, 수상레저와 관광산업 기반 조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환경 개선을 통해 관광 및 레저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니 지역 주민 및 방문객에게도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Saemangeum Development Authority announced a cleanup project of Saemangeum Lake, investing 700 million KRW by year’s end.
The effort aims to remove floating debris, submerged waste, and abandoned vessels, enhancing the water quality and fostering tourism and leisure industries.
Summary The initiative promises to restore the lake’s environmental health while paving the way for recreational and economic opportunities for both locals and visitors.
日本語 セマンゲム開発庁は、年末までに7000万円を投入しセマンゲム湖内の沈殿廃棄物や浮遊ゴミを清掃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の事業は水質改善と景観回復のみならず、水上レジャーや観光産業の基盤整備にも寄与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地域の環境改善を通じて観光業と娯楽活動の発展を目指す現実的な施策であり、住民にとっても恩恵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新万金开发署计划投入7000万韩元,于年末前清理新万金湖内的漂浮垃圾和沉积废物。
该项目旨在改善水质和恢复景观,并为水上休闲和旅游产业的发展奠定基础。
总评 通过环境治理,区域旅游和娱乐活动或将迎来更多机遇,居民及游客都会从中受益。
Italiano L’Autorità di Sviluppo di Saemangeum ha annunciato un progetto di pulizia del lago Saemangeum, investendo 7 miliardi di KRW fino alla fine dell’anno.
L’obiettivo è rimuovere rifiuti galleggianti, detriti sommersi e imbarcazioni abbandonate, migliorando la qualità dell’acqua e promuovendo il turismo e il tempo libero.
Valutazione Questo progetto potrebbe stimolare l’economia locale attraverso il turismo e offrire nuovi spazi per attività ricreative.
[새만금개발청]새만금개발청, "제18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 종합 대상" 수상
요약보기
한국어 새만금개발청이 ‘제18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에서 종합대상을 수상했습니다.
국민 친화형 콘텐츠를 통해 소통과 공감을 강화해 조회수 및 팔로워 증가 등 탁월한 성과를 올린 점이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수상은 새만금 정책 정보를 친숙하고 쉽게 전달하려는 노력이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소통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었습니다.
English Saemangeum Development Authority won the Grand Award at the 18th Korea Communication Awards.
Through citizen-friendly content, they enhanced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achieving remarkable increases in views and followers.
Summary This recogni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livering familiar and easy policy information, signaling the role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public relations.
日本語 セマングム開発庁が「第18回韓国コミュニケーションアワード」で総合大賞を受賞しました。
親しみやすいコンテンツを通じて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強化し、視聴数やフォロワー数の増加など優れた成果が評価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受賞は政策情報を分かりやすく届ける努力が、多くの人々に好影響を与え、効果的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重要性を示しています。
中文 新万金开发厅荣获第18届韩国沟通奖综合大奖。
通过亲民化内容提升沟通与共鸣,显著提高了浏览量及粉丝数量等成果备受认可。
总评 此次获奖证明公众沟通能力是广泛传播政策信息的关键,同时凸显了数字时代有效宣传的重要性。
Italiano L’Autorità di Sviluppo di Saemangeum ha vinto il Premio Grandioso alla 18ª edizione del Premio Comunicazione della Corea.
Grazie a contenuti accessibili per il pubblico, ha potenziato comunicazione e coinvolgimento, raggiungendo aumenti notevoli di visualizzazioni e follower.
Valutazione Questo premio dimostra quanto sia cruciale creare strategie comunicative che rendano le politiche più comprensibili e accattivanti nel mondo digitale di oggi.
[산업통상부](참고자료)민생안정을 위해 과도한 석유제품 가격인상 자제 당부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부는 석유시장 점검회의를 통해 유류세 일부 환원 이후 휘발유,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의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높아진 국제 석유제품 가격과 이에 따른 국내 가격 상승을 고려해, 정유사와 주유소 업계에 자발적 협조를 요청하며 가격 안정화를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석유 가격 급등으로 인한 국민 부담을 줄이고, 업계 간 협력을 통해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a meeting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petroleum product prices following partial reinstatement of fuel taxes.
In response to rising global petroleum prices and consequent domestic increases, the government urged oil companies and gas stations to cooperate voluntarily on price stabilization.
Summary This measure aims to reduce public burden from soaring petroleum prices and foster collaboration for market stability.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ユ税の一部復元後、国内の石油製品価格の現状を点検するため「石油市場点検会議」を開催しました。
国際的な石油製品価格の上昇とそれに伴う国内価格上昇を受け、製油業界とガソリンスタンドに自主的な協力を求め、価格安定化を強調しました。
総評 この対応は石油価格の急騰による国民負担を軽減し、市場安定を目指したものと言えます。
中文 产业通商资源部召开石油市场检查会议,检查燃油税部分恢复后石油产品价格现状。
由于国际石油价格上涨导致国内价格升高,政府呼吁石油公司和加油站主动合作,推动价格稳定。
总评 此举旨在减轻石油价格上涨带来的国民负担,同时促进市场的稳定。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organizzato un incontro per monitorare l’andamento dei prezzi dei prodotti petroliferi dopo il ripristino parziale della tassa sul carburante.
Con l’aumento dei prezzi internazionali dei prodotti petroliferi e il conseguente aumento domestico, il governo ha chiesto la collaborazione volontaria delle aziende petrolifere e delle stazioni di servizio per stabilizzare i prezzi.
Valutazione Questo intervento mira a ridurre il peso economico sul pubblico a seguito della salita dei prezzi del petrolio e a garantire una stabilità del mercato.
[국토교통부][장관동정] 김윤덕 장관, 13일 서울시장과 면담
요약보기
한국어 김윤덕 장관이 13일 서울시장과 면담을 가졌습니다.
면담 관련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제공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대화는 정책 조율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로 볼 수 있습니다.
English Minister Kim Yoon-deok met with the Mayor of Seoul on the 13th.
The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meeting has been provided through an attached file.
Summary This meeting appears to be a key opportunity for policy coordination and exploring collaboration efforts.
日本語 キム・ユンドク長官が13日にソウル市長との面談を行いました。
面談に関する具体的な内容は添付ファイルを通じて提供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対話は政策調整と協力の可能性を模索する重要な場であったと思われます。
中文 金胤德部长于13日与首尔市长进行了会谈。
有关会谈的具体内容通过附件提供了详细信息。
总评 此会谈可能是政策协调及探讨合作方案的重要契机。
Italiano Il Ministro Kim Yoon-deok ha incontrato il Sindaco di Seoul il 13 ottobre.
I dettagli riguardanti l’incontro sono stati forniti tramite un file allegato.
Valutazione Questo incontro potrebbe rappresentare un’opportunità cruciale per il coordinamento delle politiche e per esplorare collaborazioni future.
[공정거래위원회]한국공정거래조정원, 한국경제연구원 및 한국산업조직학회와 정책 심포지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은 한국경제연구원 및 한국산업조직학회와 함께 ‘AI·디지털 혁신과 경쟁정책’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AI와 디지털 전환 시대에 경쟁 구도를 변화시키는 주요 쟁점과 혁신을 균형 있게 관리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총평 AI 기술 발전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논의는 데이터 접근성과 공정 경쟁의 기반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변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Korea Fair Trade Mediation Agency held a symposium together with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and the Korea Industrial Organization Association on ‘AI and Digital Innovation in Competition Policy.’
The symposium focused on addressing key challenges posed by AI and digital transformation, exploring balanced policies for innovation and fair competition.
Summary Discussions like these can shape a framework for equitable competition and accessible data amid fast-paced technological advances.
日本語 韓国公正取引調整院は韓国経済研究院と韓国産業組織学会と協力し、’AI・デジタル革新と競争政策’をテーマにしたシンポジウム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シンポジウムでは、AIとデジタル化が加速する中、公正な競争と革新のバランスを模索する政策方向について議論されました。
総評 AI時代における競争政策は、公平な競争環境とデータの透明性を促進する上で重要です。
中文 韩国公平贸易协调院与韩国经济研究院及韩国产业组织学会共同举办了主题为“AI与数字创新及竞争政策”的论坛。
此次论坛旨在探讨AI和数字化转型对竞争环境的影响,并研究如何在创新与公平竞争之间找到平衡政策方向。
总评 随着技术进步,此类讨论将推动建立透明的竞争秩序及加强数据获取的公平性。
Italiano L’Agenzia Coreana di Mediazione per il Commercio Equo ha organizzato un simposio con il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 l’Associazione Coreana delle Organizzazioni Industriali sul tema ‘AI e innovazione digitale nelle politiche di competizione.’
Il simposio ha trattato le sfide poste dall’IA e dalla trasformazione digitale, proponendo politiche equilibrate tra innovazione e concorrenza leale.
Valutazione Questi argomenti possono aprire la strada a una maggiore trasparenza e accessibilità dei dati nel contesto della rivoluzione tecnologica.
[외교부]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6-2030) 수립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제10차 공공외교위원회를 통해 향후 5년간 실행될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이 계획은 ‘국민과 함께 K-이니셔티브를 통한 글로벌 성장과 평화 기여’를 비전으로 하며, K-이니셔티브 활용과 공공외교 생태계 구축 등을 목표로 합니다.
정부는 국민의 공공외교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민·관 협업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계획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민이 글로벌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finalized the 3rd Public Diplomacy Basic Plan for the next five years through the 10th Public Diplomacy Committee.
This plan envisions contributing to global growth and peace with the “K-Initiative” while aiming to build a comprehensive public diplomacy ecosystem.
The government plans to enhance public participation in diplomacy and strengthen collaboration between civil and public sectors.
Summary This plan is expected to elevate Korea’s global standing and offer more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engage in international activities.
日本語 外交部は第10回公共外交委員会を通じ、今後5年間の第3次公共外交基本計画を確定しました。
この計画は「国民と共にK-イニシアチブを通じたグローバル成長と平和への貢献」をビジョンに掲げ、公共外交の生態系構築を目指す内容です。
政府は国民の公共外交参加機会を拡大し、民間と行政の協力を強化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計画は韓国の国際的影響力を高め、国民が外交活動に積極的に関与できる機会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外交部通过第十次公共外交委员会确定了未来五年的第三次公共外交基本计划。
该计划以“与国民共同通过K倡议促进全球增长与和平贡献”为愿景,同时致力于构建全面的公共外交生态体系。
政府计划扩大国民外交参与机会,强化民间与政府的合作。
总评 此计划有望提升韩国国际地位,并让更多国民参与全球行动。
Italiano I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ha approvato il 3° Piano di Base per la Diplomazia Pubblica per i prossimi cinque anni tramite il 10° Comitato per la Diplomazia Pubblica.
Il piano mira a contribuire alla crescita globale e alla pace con l’uso della “K-Initiative” e a costruire un ecosistema integrato per la diplomazia pubblica.
Il governo prevede di espandere le opportunità di partecipazione dei cittadini alla diplomazia e di rafforzare la collaborazione tra settori pubblici e privati.
Valutazione Questo piano potrà migliorare l’immagine internazionale della Corea e permettere ai cittadini di partecipare più attivamente alle attività globali.
[국가보훈부]광복 80년 피날레 행사 ‘빛나라 대한민국’ 15일 세종서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광복 80년을 기념하는 피날레 행사 ‘빛나라 대한민국’이 오는 15일 세종시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의 역사와 미래를 기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 행사는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대한민국의 발전을 축하하며 지역 사회 간 유대강화를 기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finale event celeb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Day, titled ‘Shine, Korea,’ will be held in Sejong on the 15th.
The event will feature various programs to honor Korea’s history and its future progress.
Summary This event provides a meaningful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significance of Liberation and celebrate Korea’s growth while strengthening community ties.
日本語 光復80周年を記念するフィナーレイベント「輝け、大韓民国」が15日、セジョン市で開催されます。
このイベントは韓国の歴史と未来を称える多種多様なプログラムで構成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イベントは韓国の光復を再認識し、発展を祝いつつ地域社会の繋がりを深める機会になるでしょう。
中文 庆祝光复80周年的压轴活动“闪耀韩国”将于15日在世宗举行。
活动将通过多种形式的节目来纪念韩国历史和展望未来发展。
总评 此次活动将是重温光复意义并庆祝国家进步的良机,同时也有助于增强社区联系。
Italiano L’evento finale per celebrare gli 80 anni della Liberazione, intitolato “Brilla, Corea,” si terrà il 15 a Sejong.
L’evento includerà una varietà di programmi per celebrare la storia e il progresso futuro della Corea.
Valutazione Quest’occasione consentirà di riflettere sul significato della Liberazione e celebrare la crescita del paese, rafforzando i legami comunitari.
[산업통상부](참고자료)산업부 공공기관, 국정감사 후속조치에 속도낸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부는 11월 13일 공공기관 부기관장 회의를 개최하여 국정감사 지적사항에 대한 이행 계획을 논의하고 자산 매각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특히 육아휴직 대체인력 확대, 출산휴가금 및 자녀수당 도입 필요성 등을 각 기관별로 적극 검토하고 정책 반영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회의는 복지 향상과 공공기관 운영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민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On November 13,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a meeting with deputy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to discuss follow-ups to issues raised during the National Assembly audit and review asset liquidation status.
The meeting emphasized implementing measures such as expanding parental leave replacements and introducing childbirth and child allowances within institutions.
Summary This meeting is expected to lead to improved welfare policies and increased transparency in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benefiting citizens.
日本語 11月13日、産業通商部は公的機関副機関長の会議を開催し、国政監査で指摘された事項への対策計画と資産売却状況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育児休業代替人員の拡充や出産休暇手当、子供手当の導入を各機関で積極的に検討することが重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取り組みは福祉の改善と機関運営の透明性向上につながり、国民にとって有益な影響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11月13日,工业通商资源部召开了公营机构副负责人会议,讨论国会审查中提出问题的后续措施,并检查资产出售情况。
会议强调各机构需加强落实扩展育儿休假替代人员以及引入生育津贴和子女补贴相关政策。
总评 此次会议将促进公共机构管理的透明化和福利政策的优化,对普通民众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13 novembre, il Ministero del Commercio e dell’Energia ha organizzato una riunione con i vice dei dirigenti delle istituzioni pubbliche per discutere il follow-up delle criticità sollevate durante l’audit parlamentare e verificare lo stato di vendita degli asset.
La riunione ha dato priorità a iniziative come l’ampliamento del personale sostitutivo per il congedo parentale e l’introduzione di indennità di maternità e per figli.
Valutazione Questo incontro dovrebbe contribuire a migliorare il benessere sociale e la trasparenza nella gestione degli enti pubblici, con benefici tangibili per i cittadini.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국민 체감형 규제 합리화 속도낸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11월 13일, 국민 체감형 규제합리화를 논의하기 위한 제2차 농식품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에너지전환, 농촌 발전 및 민생규제를 포함한 5개 분야 54개 과제를 확정하고, 재생에너지 도입, 농업 수출 확대, 동물복지 개선 등 다양한 규제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지역 농업 활성화와 국민 생활 편의를 증진하며, 에너지와 환경, 동물복지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해 실질적인 변화를 기대하게 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eld the 2nd Agricultural Regulations Rationalization Strategy Meeting on November 13 to discuss reforms that citizens can tangibly experience.
The meeting outlined 54 tasks across 5 areas, including energy transition, rural development, and citizen-centered regulations, with initiatives such as introducing solar energy in rural areas and supporting agricultural exports.
Summary These efforts aim to balance energy innovation, rural development, and cost reductions, bringing practical improvements for citizens and the agricultural sector.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11月13日、第2回農食規制合理化戦略会議を開催し、国民が実感できる規制改善策を議論しました。
再生可能エネルギー導入や農業輸出拡大、動物福祉向上などを含む5分野54件の課題が確定されました。
総評 エコロジー、農業振興、生活の質向上に寄与する政策で、国民に直接的な恩恵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于11月13日召开了第二次农食品监管合理化战略会议,讨论国民可切实感受到的监管改进方案。
会议确定了覆盖五个领域的54项具体任务,包括再生能源引入、农业出口支持和动物福利优化等。
总评 此项政策有望在生态环境、农业发展及民生便利方面带来实际改善,为国民创造更多福祉。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ha tenuto il 13 novembre il 2° incontro strategico per la razionalizzazione delle regolazioni agroalimentari, promuovendo miglioramenti percepibili dai cittadini.
Sono stati definiti 54 compiti in 5 settori, includendo l’introduzione delle energie rinnovabili, l’espansione delle esportazioni agricole e il miglioramento del benessere animale.
Valutazione Queste iniziative favoriranno lo sviluppo rurale e una maggiore sostenibilità ambientale, portando benefici concreti alla società.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5 무선 전력 전송 학술회의(콘퍼런스)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2025 무선 전력 전송 학술회의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 콘퍼런스는 첨단 기술과 연구를 공유하는 장으로,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 토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총평 무선 전력 기술은 일상에서 충전기 사용을 줄이는 등 실용성과 편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큽니다.
English The 2025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ference is scheduled to take place.
This conference serves as a platform for sharing advanced technologies and research, facilitating discussions and exploring future directions among experts.
Summary Wireless power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daily convenience by reducing the need for charging cables.
日本語 2025年無線電力伝送学術会議が開催予定です。
この会議は先端技術と研究を共有し、専門家同士が議論を行い、将来の方向性を探る場となります。
総評 無線電力技術は充電器を使わない利便性を日常生活に提供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2025无线电力传输学术会议将举行。
此次会议是共享尖端技术和研究的平台,专家们将在此讨论并探寻未来发展方向。
总评 无线电力技术有望在日常生活中减少充电器使用,提高便利性。
Italiano La Conferenza sul Trasferimento di Energia Wireless del 2025 è prevista.
Questa conferenza sarà un’opportunità per condividere tecnologie avanzate e ricerche, discutendo e orientando gli sviluppi futuri tra esperti.
Valutazione La tecnologia di trasmissione wireless potrebbe migliorare la quotidianità riducendo la necessità di cavi di ricarica.
[국토교통부]환승센터로 여는 교통혁신, "제3차 환승혁신 포럼"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는 제3차 환승혁신 포럼을 통해 교통 시스템 개선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포럼에서는 환승센터를 활용한 교통 효율화와 시민 중심의 이동 편의 증대 방안이 주요 주제로 다뤄졌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더 빠르고 편리한 이동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iscussed transportation system improvements during the 3rd Transit Innovation Forum.
Key topics included optimizing transportation efficiency through transit centers and enhancing user convenience for citizens.
Summary This discussion is anticipated to provide public transit users with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options.
日本語 国土交通省は第3回乗換革命フォーラムを通じて交通システム改善案を議論しました。
フォーラムでは乗換センターを活用した交通効率化と市民の移動利便性向上が主要議題となりました。
総評 この議論は公共交通利用者がより早く便利な移動手段を享受するための基盤作りに役立つ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国土交通部在第三次换乘创新论坛上讨论了交通系统改进方案。
论坛主要议题包括通过换乘中心优化交通效率以及改善市民出行便利性。
总评 此次讨论有望为公共交通用户提供更快捷便利的出行服务基础。
Italiano Il Ministero del Territori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 discusso delle migliorie al sistema di trasporto durante il 3º Forum sull’Innovazione dei Trasferimenti.
I temi principali hanno riguardato l’ottimizzazione dell’efficienza tramite i centri di trasferimento e una maggiore comodità per i cittadini.
Valutazione Questa discussione potrebbe migliorare l’accesso e la praticità dei trasporti pubblici per gli utenti.
[외교부]차관보, 「아세안 언론인과의 간담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 정부는 아세안 언론인들과의 간담회에서 한-아세안 협력 동반자 관계(CSP)의 발전 비전을 공유했습니다.
이를 통해 경제 규모 확대, 문화적 교류 증진, 인적 교류 활성화 등의 구체적 실행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아세안 국가와 한국 간 교류를 확대하며, 장기적으로 양국 국민에게 다양한 경제, 문화적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eld a meeting with ASEAN journalists to discuss the vision for advancing the Korea-ASEAN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SP).
The plans included increasing trade volume, cultural exchanges, and human interaction initiativ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trengthen ties and create diverse opportunities for both Korean and ASEAN citizens in the long term.
日本語 韓国政府はアセアンジャーナリストとの会談を通じて、韓国とアセアンの包括的協力関係(CSP)の発展ビジョンを発表しました。
経済規模の拡大、文化交流の促進、人的交流の活性化などの具体的な実施策が示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アセアン諸国との連携を強化し、長期的に経済や文化交流の機会を拡大する期待が持たれています。
中文 韩国政府在与东盟记者的座谈中分享了韩国-东盟全面合作伙伴关系(CSP)的发展愿景。
计划内容包括扩大贸易规模、促进文化交流及加强人员交流。
总评 此举将帮助韩东两地关系进一步深化,长期来看可为民众创造更多经济与文化交流机会。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ha incontrato i giornalisti dell’ASEAN per presentare la visione dello sviluppo del partenariato strategico comprensivo Corea-ASEAN (CSP).
Il piano prevede l’espansione del commercio, lo scambio culturale e l’interazione uman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à rafforzare i legami e offrire nuove opportunità economiche e culturali ai cittadini di Corea e ASEAN nel lungo periodo.
[지식재산처]지식재산처, 객체 인식 안전관리 창업 초기 기업 에이엘테크와 현장소통 간담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지식재산처는 11월 13일 대구시 달서구에 위치한 객체 인식 안전관리 창업 초기 기업 에이엘테크를 방문해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권 현안을 논의하고, 객체 인식 기술과 특허 전략 방안 공유를 통해 정책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총평 객체 인식 기술은 교통,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이 커지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기술 개발과 특허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English Th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eld a meeting on November 13 with AL Tech, a startup specializing in object recognition-based safety management located in Daegu.
This meeting aimed to discuss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of SMEs, share patent strategies, and improve related policies.
Summary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in fields like transportation and autonomous driving, startups like AL Tech could benefit greatly from improved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日本語 知識財産処は11月13日、大邱広域市に所在するオブジェクト認識安全管理関連の新興企業であるエイエルテックを訪問し、懇談会を実施しました。
この懇談会は、中小企業の知識財産権の課題を議論し、特許戦略方針の共有を通じて政策改善を推進する目的で行われました。
総評 オブジェクト認識技術は交通や自律走行など多くの分野で重要性が増しており、対応する企業の技術開発と特許取得が重要です。
中文 知识产权处于11月13日拜访了位于大邱市达西区的初创企业AL Tech,该公司专注于基于对象识别的安全管理技术。
此次会议旨在探讨中小企业的知识产权问题,共享专利战略方针,促进政策改进。
总评 对象识别技术在交通、自主驾驶等领域的重要性正在提升,相关企业通过政策支持将获得更多发展机遇。
Italiano L’Ufficio della proprietà intellettuale ha visitato il 13 novembre AL Tech, una startup di Daegu specializzata nella gestione della sicurezza basata sul riconoscimento degli oggetti.
L’incontro mirava a discutere le problematiche sulla proprietà intellettuale delle PMI e a condividere strategie per il miglioramento delle politiche sui brevetti.
Valutazione La tecnologia di riconoscimento degli oggetti sta diventando fondamentale in settori come i trasporti e la guida autonoma, rendendo essenziale il supporto politico per la crescita delle aziende innovative.
[외교부]"사도광산 추도식 개최 예정"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11월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서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를 위한 추도식을 개최합니다.
이혁 주일본대사가 대표로 참석하며, 유가족과 정부 관계자가 함께 희생자를 추모하고 관련 장소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강제동원의 아픔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재확인하고 희생자를 기억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평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will hold a memorial ceremony on November 21 in Sado City, Niigata Prefecture, Japan, to honor the Korean victims of forced labor at Sado Mines.
Ambassador Lee Hyuk will represent the government alongside bereaved families and officials to pay tribute and visit related sites.
Summary This event serves as an important reminder of historical accountability and a solemn tribute to the victims.
日本語 政府は11月21日、日本新潟県佐渡市にて佐渡鉱山で強制労働に従事した韓国人犠牲者を追悼する式典を開催します。
李赫駐日大使が代表として出席し、遺族や政府関係者と共に犠牲者を追悼し、関連施設の訪問も行う予定です。
総評 歴史的責任を再確認し、犠牲者を記憶する重要な場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将在11月21日于日本新潟县佐渡市举行佐渡矿山韩国强制劳工祭奠仪式。
韩国驻日大使李赫将代表政府出席,遗属及政府相关人员将共同悼念受害者并拜访相关地点。
总评 此次活动体现了对历史责任的重视,亦是对受害者的深切缅怀。
Italiano Il governo terrà una cerimonia commemorativa il 21 novembre a Sado City, nella Prefettura di Niigata, in Giappone, per onorare le vittime coreane del lavoro forzato presso le miniere di Sado.
L’ambasciatore Lee Hyuk rappresenterà il governo, insieme ai familiari e ai funzionari, per rendere omaggio alle vittime e visitare i luoghi correlati.
Valutazione Questo evento sottolinea la necessità di responsabilità storica e offre un tributo significativo alle vittime.
[산림청]"기후변화 시대, 지역 식물이 답이다" 국립수목원-강화군, 특산식물 공동연구 본격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강화군과 희귀·특산식물 보전과 지역 브랜드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강화황기’를 비롯한 강화도와 서해5도 지역 특산식물의 보전을 강화하고 활용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과 경제 발전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총평 지역 특산식물의 활용이 강화군 지역 경제와 생태 관광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signed an agreement with Ganghwa County to preserve and brand rare and specialty plants.
The plan focuses on conserving regional plants like “Ganghwa Hwanggi” and leveraging them for local development.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iodiversity preservation and boost regional economic growth.
Summary Utilizing regional plants like “Ganghwa Hwanggi” may offer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to local communities.
日本語 韓国国立樹木園が、珍しい植物および特産植物の保全と地域ブランド化を目的に、江華郡と協力協定を結びました。
‘江華黄耆’などの特産植物を保護し、それを地域発展の基盤として活用することが主な目標です。
これにより地域の生物多様性保全と経済発展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地域特産植物の活用により、観光振興と地元経済活性化への貢献が見込まれています。
中文 韩国国家树木园与江华郡签署协议,共同推进稀有和特产植物的保护及区域品牌化。
重点保护包括“江华黄芪”在内的地区植物,并发挥其对地方发展的潜力。
该举措预计将促进生物多样性保护与区域经济增长。
总评 “江华黄芪”等植物的推广将加强地方经济与生态旅游的发展潜力。
Italiano L’Arboreto Nazionale della Corea ha siglato un accordo con Ganghwa County per la conservazione e il branding delle piante rare e locali.
Il progetto mira a proteggere piante regionali come la “Ganghwa Hwanggi” e a sfruttarle per lo sviluppo locale.
Questo programma promette di contribuire sia alla biodiversità che alla crescita economica della regione.
Valutazione La valorizzazione delle piante locali può rafforzare l’economia regionale e incentivare il turismo ecologico.
[고용노동부]"벌목작업 중대재해 근절" 고용노동부,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겨울철 발생하기 쉬운 벌목 작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5대 안전수칙을 비롯한 교육 자료를 배포하고 기술 지원 및 점검을 강화하며,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고위험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a “Forestry Work Safety Enhancement Plan” to prevent accidents during forestry operations, especially in winter.
Key measures include distributing materials on five safety rules, strengthening technical support and inspections, and collaborating with local governments and the Forest Service.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minimize workplace hazards and ensure safer working environments for forestry worker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冬季の森林伐採作業中に発生する事故を防ぐため、「伐採作業安全強化対策」を発表しました。
5つの安全ルールを含む教育資料の配布や技術支援、点検を強化し、地方自治体や森林庁と協力して安全管理を拡大する計画を立てています。
総評 この対策は危険性の高い作業環境で働く労働者の事故を防ぎ、安全を確保する現実的な政策です。
中文 劳动就业部宣布了“加强伐木作业安全措施”以防止冬季伐木作业中的事故发生。
主要包括分发五大安全守则教育资料,提供技术支持及强化检查,并与林业局和地方政府合作扩大安全管理范围。
总评 此措施有助于降低伐木工作中的风险,确保工人的作业安全。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Occupazione ha annunciato un “Piano di sicurezza per il lavoro forestale” per prevenire incidenti durante le operazioni di abbattimento degli alberi in inverno.
Il piano include la distribuzione di materiali educativi con le cinque regole di sicurezza, il supporto tecnico e maggiori controlli, lavorando in collaborazione con enti locali e il Servizio Forestale.
Valutazione Questa misura contribuirà a migliorare la sicurezza sul lavoro per i lavoratori in ambienti ad alto rischio.
[고용노동부]"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외국인 고용허가 신청 개시"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11월 24일부터 11월 28일까지 외국인근로자(E-9)에 대한 5회차 신규 고용허가 신청을 접수합니다.
이번 배정된 총 인원은 9,326명으로 제조업, 조선업, 농·축산업 등 다양한 업종에 걸쳐 배정되며, 초과 수요 발생 시 탄력적으로 조정할 예정입니다.
점수제 기준은 핵심 항목 중심의 가·감점 방식으로 변경 적용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고용허가는 인력난을 겪는 업종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내국인 구인 절차를 먼저 진행한 뒤 신청해야 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ill accept applications for the fifth round of new employment permits for foreign workers (E-9) from November 24 to November 28.
A total of 9,326 workers have been allocated across various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shipbuilding, and agriculture, with flexible adjustments planned for excess demand.
The scoring system has been revised to focus on key criteria for bonus and penalty points.
Summary This permit system is expected to alleviate labor shortages in industries, and employers must first attempt to recruit domestic workers before applying.
日本語 雇用労働部は11月24日から11月28日まで、外国人労働者(E-9)の第5回新規雇用許可申請を受け付けます。
製造業、造船業、農畜産業などさまざまな業種に総計9,326人が割り当てられており、需要超過時には柔軟に対応する予定です。
点数制の基準は主要な加減点項目に焦点を当てて改定されました。
総評 新たな雇用許可は労働不足で困っている業種に実質的な支援を提供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おり、申請前には国内採用への努力が必要です。
中文 韩国雇佣劳动部将在11月24日至11月28日期间接受外国工人(E-9)第五轮新就业许可的申请。
此次共分配了9,326名工人,涵盖制造业、造船业、农业等多个行业,并将在需求过剩情况下进行灵活调整。
评分标准已修订为以关键指标为中心的加减分方式。
总评 此许可制度预计将有效缓解行业劳动力短缺,但申请前需先进行国内劳动力招聘尝试。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accetterà, dal 24 al 28 novembre, le domande per il quinto turno di permessi di lavoro per i lavoratori stranieri (E-9).
Saranno assegnati un totale di 9.326 lavoratori tra vari settori come manifattura, cantieristica e agricoltura, con adeguamenti flessibili previsti per la domanda eccedente.
Il sistema a punti è stato rivisto focalizzandosi su criteri chiave per bonus e penalizzazioni.
Valutazione Questo sistema di permessi mira ad aiutare concretamente i settori in difficoltà con carenze di personale, ed è necessario provare prima a reclutare lavoratori locali.
[국방부]정전협정 10여 일 앞두고 전사… ‘고(故) 박석호 일등중사’의 귀환
요약보기
한국어 대한민국 국방부가 유해발굴을 통해 22세에 전사한 고 박석호 일등중사를 유가족의 품으로 모셨습니다.
유해와 함께 발견된 인식표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친조카와 유가족을 찾아내며 신원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6·25전쟁 전사자 중 총 263명이 가족에게 돌아갔으며, 이는 2000년부터 시작된 유해발굴사업의 성과입니다.
총평 전쟁으로 가족을 잃은 분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유전자 시료 채취 동참이 필요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Korea identified the remains of Sergeant First Class Park Seok-ho, who died at the age of 22 during the Korean War.
The identification was made possible through a dog tag found alongside the remains and DNA analysis matching his family.
This marks the 263rd soldier returned to their family since the remains recovery project began in 2000.
Summary This meaningful effort brings hope and solace to families who have lost loved ones to war, but public participation in DNA sampling remains essential for its success.
日本語 韓国国防部は6·25戦争で22歳で戦死した故パク・ソクホ一等中士の遺骨を家族に引き渡しました。
遺骨と共に見つかった認識票およびDNA分析を通じて親族を探し出し、身元を確認しました。
2000年に開始された遺骨発掘事業により、今回で263人目の戦没者が家族に届けられました。
総評 戦争で家族を失った人々に希望をもたらし癒しになる活動ですが、国民のDNA提供協力がさらに必要です。
中文 韩国国防部通过遗骸发掘将22岁在韩战中战亡的朴锡浩军士长遗骸交还给其家人。
通过遗骸旁发现的身份识别牌及DNA检测确认其亲属,从而辨认出身份。
自2000年开始的遗骸发掘项目已使共263名战亡者回归家园。
总评 对于因战争失去亲人的家庭而言,这是希望与慰藉的重要举措,公众参与DNA采集尤为重要。
Italiano Il Ministero della Difesa della Corea ha consegnato le spoglie del Sergente Maggiore Park Seok-ho, morto a 22 anni durante la Guerra di Corea, ai suoi familiari.
L’identificazione è stata possibile grazie alla piastrina trovata accanto ai resti e all’analisi del DNA per rintracciare i parenti.
Dal 2000, il progetto di recupero dei resti ha permesso di restituire 263 soldati alle loro famiglie.
Valutazione Questo progetto rappresenta un importante gesto di consolazione per le famiglie colpite dalla guerra, ma è fondamentale la partecipazione pubblica alla raccolta dei campioni di DNA.
[국방부]군(軍), 도로명주소 사용해 보안성과 편의성 높인다.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와 국방부는 2025년 11월부터 군 시설의 도로명주소 부여 지침을 표준화하는 방안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지침은 군사시설의 보안을 강화하면서 군인 및 군인 가족의 택배 수령 편의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보안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군 복지 시설 이용의 접근성을 개선해 군인과 가족들에게 실질적인 생활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nounced that standardized guidelines for assigning road addresses to military facilities will be implemented from November 2025.
This initiative aims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military facilities while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logistics and delivery service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address security concerns while enhancing ease of access and services for military personnel and their families.
日本語 行政安全部と国防部は、2025年11月から軍施設への道路住所運用基準を標準化する方針を発表しました。
この新しい指針は、軍事施設の保安を強化しながら、軍人やその家族が宅配便を受け取りやすく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安全性の向上と軍人や家族の日常生活の利便性を両立させるもの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和国防部宣布,将于2025年11月起实施军队设施道路地址规范化运营指引。
该指引旨在提升军事设施的安全性,同时改善军人及家属的快递接收便利性。
总评 这项政策能够在强化安全的同时,更好地服务于军人及其家庭的日常需求。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e il Ministero della Difesa hanno annunciato che a partire da novembre 2025 verranno implementate linee guida standardizzate per l’assegnazione degli indirizzi stradali alle strutture militari.
Questa iniziativa mira a rafforzare la sicurezza delle strutture militari migliorando allo stesso tempo la comodità dei servizi di consegna per i militari e le loro famiglie.
Valutazione Questa misura può contribuire a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di militari e famiglie assicurando maggiore sicurezza e praticità.
[기후에너지환경부]제24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대상 ‘성인대에서 바라본 울산바위’
요약보기
한국어 제24회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에서 수상작으로 박정식 씨의 ‘성인대에서 바라본 울산바위’ 외 64개 작품이 선정되었습니다.
총 3,596점이 공모되었으며, 대상작은 울산바위의 안정적인 구도와 뛰어난 색감 표현으로 호평을 받았습니다.
총평 이번 공모전은 국립공원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우리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In the 24th National Park Photography Contest, 64 winning works, including Park Jung-sik’s ‘Ulsan Rock View at Seongindae,’ were selected.
A total of 3,596 entries were submitted, and the grand prize-winning photo received praise for its stable composition and vivid depiction of the seasons and colors.
Summary The contest helps promote the scenic beauty of national parks and fosters greater appreciation for natural environments.
日本語 第24回国立公園写真コンテストで朴正植氏の「成人台から見た蔚山岩」をはじめとする64作品が選ばれました。
全3,596点が応募され、大賞作品は安定感ある構図と季節感、色彩表現で高く評価されました。
総評 本写真コンテストは国立公園の美しさを広め、自然環境への関心を高めるきっかけとなる取り組みです。
中文 第24届国家公园摄影大赛中,朴正植的《成人台遥望蔚山岩》等64幅作品获奖。
参赛作品共计3,596件,获奖作品以稳定的构图与丰富的季节感与色彩表现获得好评。
总评 此次比赛促进了国家公园的美景宣传,同时提升公众对自然环境的关注。
Italiano Nel 24° Concorso Fotografico dei Parchi Nazionali, sono state selezionate 64 opere vincitrici, tra cui ‘Veduta della Roccia Ulsan da Seongindae’ di Park Jung-sik.
Un totale di 3.596 fotografie è stato presentato, e la foto vincitrice del premio principale è stata elogiata per la composizione stabile e la vivida rappresentazione di colori e stagioni.
Valutazione Questo concorso favorisce la diffusione della bellezza dei parchi nazionali e incoraggia il rispetto per l’ambiente naturale.
[지식재산처]지식재산처, 위조상품 근절을 위한 상표 분쟁대응 학술회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지식재산처는 11월 13일 서울에서 위조상품 근절을 위한 상표 분쟁대응 학술회의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학술회의는 위조상품 유통방지 및 K-브랜드 보호를 위한 민관 협력 강화와 관련된 주요 발표와 협약 체결, 퍼포먼스, 포상 등을 포함합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위조상품 문제를 줄이고 국가적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며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will hold a trademark dispute response academic conference in Seoul on November 13 to combat counterfeit products.
The event will include agreements, awards, performances, and key presentations aimed at strengthen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K-brand protection and tackling counterfeit distribution.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improve national brand value and help businesses address trademark-related challenges more effectively.
日本語 知的財産処は11月13日にソウルで偽物商品の撲滅を目的とした商標紛争対応の学術会議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会議には協議会の協定締結、発表、表彰、パフォーマンスなどが盛り込まれており、偽物商品の流通防止に向けた官民協力が強化され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企業の商標問題克服を支援し、国家ブランド価値を引き上げ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知识产权局宣布将于11月13日在首尔举办商标纠纷应对学术会议,以打击仿冒商品。
会议涉及协议签署、颁奖、活动表演,以及强化公共与民间协作以保护K品牌和防止仿冒商品传播的相关内容。
总评 此次会议有望提升国家品牌形象,同时帮助企业更有针对性地解决商标纠纷问题。
Italiano L’Ufficio della Proprietà Intellettuale ha annunciato che il 13 novembre terrà a Seoul una conferenza accademica sulle controversie sui marchi per combattere i prodotti contraffatti.
L’evento includerà accordi, premi, performance e presentazioni volte a rafforzare la cooperazione pubblico-privata per la protezione del marchio K e la prevenzione della distribuzione di prodotti contraffat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aumentare il valore del marchio nazionale e sostenere le imprese nel gestire problemi legati ai marchi.
[보건복지부]담배 유해성분 검사 대상 목록 지정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담배 유해성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 제1차 담배유해성관리정책위원회를 개최했습니다.
위원회는 담배 제품별 유해성분 목록과 시험법을 지정하며, 관련 운영규정을 의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담배 유해성분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제공하고 담배 규제 정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총평 금연을 고민하는 흡연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eld the first Tobacco Harm Management Policy Committee for 2025.
The committee designated harmful components for different tobacco products and testing methods, while also setting management regulations.
This initiative aims to transparently provide harmful tobacco substance information and strengthen tobacco regulations.
Summary The policy is expected to help smokers considering quitting by offering accurate information about tobacco’s harmful effects.
日本語 保健福祉部と食品医薬品安全処は2025年第1回タバコ有害性管理政策委員会を開催しました。
委員会ではタバコ製品ごとの有害成分リストと試験方法を指定し、運営規則を議決しました。
これにより、タバコの有害成分情報を透明に提供し、規制政策を強化する予定です。
総評 禁煙を検討している喫煙者に、有害性に関する正確な情報を提供し健康管理を促進します。
中文 卫生福利部与食品药品安全处召开了2025年第一次烟草有害性管理政策委员会会议。
会议决定了不同烟草产品的有害成分目录和测试方法,并通过了相关管理规定。
通过这一举措,计划向公众透明公开烟草有害物质信息,并加强烟草管理政策。
总评 该政策有助于考虑戒烟的吸烟者获取更准确的信息,从而更好地保护健康。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nno organizzato il primo comitato sulla gestione dei danni del tabacco per il 2025.
Il comitato ha approvato l’elenco dei componenti dannosi per i prodotti del tabacco e i metodi di prova, insieme alle regole di gestione.
L’obiettivo è di fornire in modo trasparente informazioni sui danni del tabacco e rafforzare le politiche di regolamentazio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à supportare i fumatori nel prendere decisioni informate sulla loro salute con dati più chiari sui danni del tabacco.
[식품의약품안전처][부처합동] 담배 유해성분 검사 대상 목록 지정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담배 유해성분 검사 대상 목록을 지정했습니다.
이 정책은 담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보호와 담배 유해성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해당 정책은 흡연으로 인한 건강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a list for testing harmful substances in cigarettes.
This policy aims to systematically identify and manage harmful substances present in tobacco produc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tecting public health and reducing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Summary This policy serves as a key measure for preventing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ensuring effective management.
日本語 政府はタバコの有害成分検査対象リストを指定しました。
この政策はタバコに含まれる有害物質を体系的に確認・管理するためのものです。
これにより国民の健康を守り、喫煙による有害性を減少させ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喫煙による健康リスクを予防し、効果的に管理するための重要な指針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已指定香烟有害物质测试清单。
该政策旨在系统地检测并管理香烟中的有害物质。
预计将有助于保护公众健康并减少吸烟的有害影响。
总评 此政策有助于提前预防吸烟危害,并提供有效的管理方向。
Italiano Il governo ha designato un elenco per la verifica delle sostanze nocive presenti nelle sigarette.
Questa politica mira a identificare e gestire in modo sistematico le sostanze dannose contenute nei prodotti del tabacco.
Si prevede che contribuirà a proteggere la salute pubblica e a ridurre gli effetti negativi del fumo.
Valutazione Questa misura rappresenta una guida essenziale per prevenire i rischi per la salute legati al fumo e migliorare la gestione delle sostanze dannose.
[보건복지부]학대피해아동 회복 지원과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우수사례 공유 자리 마련
요약보기
한국어 아동권리보장원과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2025년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관리 성과공유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학대피해아동의 심리지원과 가족 기능 강화 성과를 돌아보며, 우수사례를 발굴해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방문형 가정회복 프로그램을 통해 1년 이내 재학대율을 1/3 수준으로 낮추는 등 긍정적 결과가 나타났으며 앞으로도 관련 사업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총평 이번 공유회는 아동 학대 피해를 줄이고 가정 회복을 지원하는 현실적 사례와 프로그램을 보여줌으로써 아동 보호에 대한 실효적인 방향을 제시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English The Child Rights Protection Agenc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jointly held the ‘2025 Child Protection Agency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haring Conference’.
The event aimed to review achievements in psychological support for abuse victims and strengthen family functions, while spreading excellent cases nationwide.
The home-visit recovery program showed positive results, including reducing the re-abuse rate to one-third within a year, indica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Summary This conference highlighted practical examples and programs that significantly support child protection and reduce abuse rates, paving the way for future improvements.
日本語 児童権利保障院と保健福祉部は共同で「2025年児童保護専門機関事例管理成果共有会」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児童虐待被害者への心理支援や家庭機能強化事業の成果を振り返り、優れた事例を全国に普及することを目的としました。
訪問型家庭回復プログラムでは、1年以内の再虐待率を1/3に減少させるという良好な結果を示しました。
総評 この共有会は、児童虐待の被害を減らし家庭回復を現実的に支援するプログラムと事例を発表し、児童保護の実効的な方向性を示す契機となりました。
中文 儿童权益保障院与保健福利部共同举办了“2025年儿童保护专业机构案例管理成果分享会”。
该活动旨在总结虐待受害儿童心理支持和家庭功能恢复项目的成果,并推广优秀案例至全国。
通过上门型家庭恢复项目,成功将一年内再虐待率降低至原来的三分之一,展现项目积极影响。
总评 本次分享会展示了实际支持儿童保护的优秀案例与项目,为减少虐待和促进家庭功能恢复指明了有效方向。
Italiano L’Agenzia per la Protezione dei Diritti dei Minori e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nno organizzato congiuntamente la “Conferenza di condivisione dei risultati della gestione dei casi delle agenzie di protezione dei minori 2025”.
L’evento ha mirato a rivedere i risultati del supporto psicologico alle vittime di abusi e al potenziamento delle funzioni familiari, diffondendo casi eccellenti a livello nazionale.
Il programma di recupero domestico ha mostrato risultati positivi, riducendo il tasso di recidiva degli abusi a un terzo entro un anno.
Valutazione Questa conferenza ha evidenziato esempi pratici di protezione dei minori e recupero familiare, fornendo una direzione concreta per il miglioramento futuro.
요약
원문보기
### 2025년 3분기 벤처투자 및 벤처펀드, 두 자릿수 증가세 기록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3분기 신규 벤처투자와 벤처펀드 결성 동향을 발표하며, 벤처투자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
#### 1. **신규 벤처투자 9.8조원, 전년 대비 13.1% 증가**
2025년 3분기까지 신규 벤처투자 규모는 9.8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3.1% 증가했습니다. 특히 3분기 실적은 전기 대비 32%,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4조원으로,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단일 분기에서 4조원을 돌파했습니다.
– **최근 벤처투자 동향**
– 투자기업 수는 3,136개로 전년대비 9.0% 감소했지만, 기업당 평균 투자금액은 24.3% 증가한 3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창업 7년 이하 초기기업뿐만 아니라 후기기업에 대한 투자도 고르게 늘어나, 기업 성장기 전반에 걸친 투자 확대가 나타났습니다.
—
#### 2. **벤처펀드 신규 결성, 2022년 이후 첫 반등 기록**
2025년 3분기까지 벤처펀드 신규 결성은 9.7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하며 2022년 이후 감소세를 멈추고 상승 전환했습니다. 민간 출자가 펀드결성을 주도했으며, 연기금·공제회 출자는 8,37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펀드 수 감소**
– 결성된 펀드 수는 602개로 소폭 감소(-2.4%)했지만, 전체 결성금액 증가에 기여하며 시장 규모 확대를 이끌었습니다.
—
#### 3. **비수도권 기업, 대규모 투자 유치 증가**
비수도권에서도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13개 기업이 100억원 이상의 투자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바이오 기업(㈜셀락바이오, 소바젠㈜ 등)**과 **전기·기계·장비 기업(㈜라이온로보틱스 등)**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 중기부 장관 한성숙의 발언
한성숙 장관은 벤처투자와 펀드결성 규모가 두 자릿수 증가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다양한 산업 성장세가 두드러진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벤처투자시장 40조원 조성**을 목표로 한 정책인 “(가칭) 벤처 4대강국 도약 방안”을 연내 마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 시사점
1. **시장 회복세**: 2025년 신규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모두 성장세를 기록하며 벤처투자시장이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2. **비수도권 투자 확대 가능성**: 기술력과 잠재 성장을 보유한 비수도권 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지방 투자 활성화 정책이 필요합니다.
3. **정부 역할 강화**: 중기부의 벤처육성 정책이 시장 활성화와 산업 저변 확대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원문보기
**제20회 전국장애경제인대회 성료, 장애인기업 성장 성과와 미래 비전 공유**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와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이사장 박마루)는 11월 13일, 서울 코엑스마곡에서 **‘제20회 전국장애경제인대회’**를 개최하여 장애경제인의 지난 20년간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전국장애경제인대회는 장애인기업의 업적을 알리고 장애경제인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매년 열리는 행사입니다. 올해는 대회 20주년을 맞아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를 ‘장애인기업 주간’**으로 지정하고, 수출·투자 상담회, 창업캠프, 정책토론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20년의 혁신을 넘어, 무한한 성장을 향해!’**라는 슬로건 아래, 장애경제인의 발전을 기념하고 미래의 도약을 다짐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 **20년간 장애인기업의 눈부신 성장**
– 2006년 대회가 처음 열릴 당시 약 3만 개로 추정됐던 장애인기업은 **2023년 기준 약 17만 개**로 증가했습니다.
– 2023년 장애인기업 매출은 약 **69조 원**에 달하며, **58만 명**이 고용되어 경제 규모가 크게 성장했습니다. *(출처: 중기부, 장애인기업실태조사)*
### **우수 사례 및 수상 내역**
대회에서는 장애경제인의 성과를 축하하며 다수의 포상이 이루어졌습니다.
1. **모범 장애경제인 표창**
– ㈜피에스케이리테일의 **박상규 대표이사**는 수산물 유통 구조 개선 및 지역사회 기여로 중기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2. **장애인기업 공공구매 부문**
– **시흥도시공사**는 장애인기업 제품의 구매 목표를 초과 달성하며, 공공구매 유공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3. **장애인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대상**
– ㈜이푸(대표 김재준)는 음성 제어와 IoT 연동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디퓨저** 개발로 사업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 **향후 지원과 비전**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 “장애경제인들은 지난 20년간 어려움을 극복하며 한국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며, **중소벤처기업부가 장애인기업의 공정한 경쟁과 지속 성장을 위해 꾸준히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행사는 장애인기업의 성과를 기념함과 동시에, 장애인경제인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 대책 발표: 글로벌 진출 확대 위한 세부 지원책 마련**
중소벤처기업부는 14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와 함께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포함하며 글로벌 진출 기반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주요 대책 내용
1. **온라인 수출 플랫폼 육성 및 협력**
– 유망 국내 플랫폼을 선정해 글로벌 수준으로 육성 (정책자금 최대 10억 원 지원).
– 케이(K)-브랜드 제품 및 신흥시장 중심의 수출 전략 플랫폼 적극 지원.
– 기존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입점기업에 교육, 마케팅 지원 및 수수료 우대 제공.
– 고비즈코리아(GobizKOREA)를 수출 전반을 통합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개편.
2. **수출 전략품목 발굴과 지원**
– 온/오프라인 인기 제품을 케이(K)-수출 전략품목으로 지정하고 전용 지원체계 마련.
– 제공되는 ‘온라인 수출 바우처’를 활용해 시장조사, 물류 서비스 등 지원.
– 현지화를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유통사와의 협력 프로젝트 운영.
–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출 간 연계 효과 창출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도입.
3. **물류·통관 지원 강화**
– **2026년부터 물류 바우처 지원**과 함께 EMS 할인 및 민간 물류사를 활용한 신속배송 제공.
– 인천국제공항과 부산항에 **중소기업 전용 물류시설** 건립.
– 보건복지부와 연계해 화장품 전용 물류센터 운영.
– 통관 절차 간소화 및 반품 물품의 국내 재반입 절차 개선 추진.
4. **지식재산 보호 및 거래 안전 강화**
– 케이(K)-브랜드 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협의체 구성.
– 글로벌 플랫폼 입점기업을 위한 **판매대금 보장보험 도입**(2023년 11월 시행).
5. **전문역량 강화 및 제도 정비**
– 온라인 수출 전문가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 온라인 수출 통계 항목 도입 및 전담기관 법적 근거 마련.
### 추가 협력과 현장 이행 점검
간담회 현장에서 기업들은 관세조치로 인한 경영 부담을 언급하며 **추가 예산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부와 우정사업본부 간 업무협약을 통한 물류비 할인, 스마트트레이드 허브 협력 등 온라인 수출 확대를 위한 실질적 협력이 논의되었습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이번 대책이 빠르게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철저히 이행하겠다”며, 온라인 수출 강국 도약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후 장관은 스마트트레이드 허브 건설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며 중소기업의 물류 애로 해결에 힘쓸 것을 약속했습니다.
### 기대 효과
2026년부터 완공될 스마트트레이드 허브는 하루 처리량 2.4만 개를 목표로 중소기업의 물류 비용 절감과 해외 진출 지원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대책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수출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산림청, 효과적인 국유림 경영관리 방안 모색 위한 워크숍 개최**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국유림 경영·관리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3일 경상북도 경주 라한셀렉트 호텔에서 약 140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국유림 경영관리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국유림 경영관리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선정된 우수 기관들에 대한 시상식과 사례 공유가 이루어졌으며, 직무교육과 인문소양 특강 등이 진행되어 의미 있는 논의의 장이 마련되었습니다.
### **우수사례 시상 특징**
이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 사례로 선정된 동부지방산림청의 사례는 국유림과 지자체가 협력하여 시행한 공동산림사업으로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 사례는 무릉계곡과 발왕산 일대의 생태 보전, 숲길 조성 등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국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숲을 활성화하는 국사유림 교환 추진 △소록도 숲의 복원과 활용을 목표로 한 산림경영 사례 등 총 5건의 사례가 산림청장상을 받으며 정책적인 의미와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 **산림청의 목표와 다짐**
산림청은 워크숍을 통해 앞으로도 현장의 경험과 우수사례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숲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지키고 국민 참여로 숲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키는 선순환 산림경영 정책을 실현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국유림 경영·관리 측면에서 실질적이고 성공적인 정책 개발의 기반을 마련한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산림청의 지속적인 노력이 숲을 살리고 나아가 지역사회와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최근 범부처 민생안정지원단은 청년 주거 문제 해결을 논의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회의는 2025년 11월 13일(목)에 진행되었으며, 청년들이 겪고 있는 주거 관련 애로사항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단체는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문서에서 확인 가능하며, 관련 문의는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민생안정지원단 담당자인 김유림(044-215-2862)에게 하면 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www.korea.kr)
원문보기
**농촌진흥청, 겨울철 기상재해 대비 ‘기상 위험 예측 협의회’ 개최**
농촌진흥청은 11월 13일 본청 2층 영농종합상황실에서 소속 연구기관과 함께 ‘겨울철 기상 위험 예측 협의회’를 열어 농업기상재해 대비책을 점검했습니다. 이번 협의회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운영되는 ‘범정부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에 앞서 준비 상황을 확인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습니다.
### 주요 논의 내용
– **농업 재해 대응 전략 검토:** 노지 월동작물 생육 상태, 시설원예 및 축산 분야별 주요 현황 점검
– **기상재해 예측 대응:** 기습 폭설 및 급격한 기온 하강 시 농작물 생육 회복, 재배 및 사양 관리 기술 보급 방안 논의
– **기상청 예보 반영:** 올겨울 기온은 평년(평균 0.4℃)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대체로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서해안 중심으로 국지적 폭설에 대비
### 대응 전략
– **협력 강화:** 농촌진흥청은 각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상습 피해 지역 사전 대비 점검 강화
– **정보 신속 전달:** 눈의 무게 및 기상 특보 정보를 기상청 발표 하루 전에 수집하여 지방 농촌진흥기관을 통해 농업인들에게 제공
–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확대:** 관련 예측 자료와 대응 정보를 빠르게 전달
채의석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장은 “작년 중부지방에서 발생했던 폭설로 인한 농업시설물 붕괴와 농작물 피해 사례를 교훈 삼아, 본격적인 추위에 앞서 시설물 보강과 난방시설 점검 등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향후 지속적으로 농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 보급과 정보 공유에 힘쓸 계획입니다.
원문보기
**제224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주요 결정 사항 요약**
1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가 제224회 회의를 열어 총 3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1.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 고리 2호기(가압경수로, 685MWe)는 1983년부터 가동을 시작하여 2023년 4월 설계수명이 만료되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0년 계속 운전을 신청하였으며, 이를 위해 안전성 심사와 7차례 전문위원회 검토를 거쳤습니다.
– 원안위는 안전 여유도 및 관련 기술기준 충족을 확인하고 계속운전을 최종 허가했습니다.
—
### 2. **원전 사고관리계획서 관련 규칙 및 고시 개정**
–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와 사고관리계획서의 평가방법 명문화:
– 사고관리계획서에는 테러 및 극한 재해 상황에서의 발전소 손상 상태와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명시.
– 방사선 피폭 평가 시 일관성을 위해 50백분위수 대기확산인자 값을 적용하도록 명문화.
– 이 개정은 규제 심사 및 관계 부처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 완료 예정. 심의 기준의 명확성과 효율성 향상을 기대.
—
### 3. **방사성폐기물 분류기준 개선**
– 우라늄 동위원소(U-234, U-235, U-238)에 대한 자체처분 허용농도를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에 따라 1Bq/g으로 규정.
– 이를 통해 방사능 농도가 낮은 폐기물의 처분 절차가 간소화되고, 국제 기준 정합성이 강화될 전망.
—
이날 안건들은 대한민국 원자력 안전성을 제고하고 방사성폐기물 관리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내용으로, 향후 관련 규정 및 절차가 체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 출처: www.korea.kr*
원문보기
**남북산림협력을 통한 한반도 평화와 번영 논의**
산림청은 지난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 정청래·서삼석·김선교·이원택·임호선·임미애 의원과 함께 남북산림협력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해 산림 분야에서의 협력 방향과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남북산림협력은 새로운 정부의 ‘평화 공존과 번영의 한반도’ 기조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평가되며, 정치적 민감성이 낮고 국민적 공감대가 높은 사업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세 명의 발제가 있었는데, △홍민 통일연구원의 발표는 신뢰 구축을 위한 장기적 접근법을, △박진우 강원대학교 교수는 기존 산림협력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이요한 서울대학교 교수는 REDD+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방안을 제시했다.
이후 민간단체와 정부, 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토론에서 협력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산림협력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연결 고리가 되도록 실행 가능한 과제를 발굴하고 유관 부처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도 신뢰 회복과 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원문보기
**국회 본회의에서 공간정보, 생활물류, 철도안전, 광역교통 관련 법 개정안 통과**
국회 본회의에서 「국가공간정보기본법」,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철도안전법」, 그리고 「대도시권광역교통관리에관한특별법」 개정안이 의결되었습니다. 이번 법 개정은 국민 편익 증진과 산업의 발전, 안전 강화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주요 내용
1. **국가공간정보기본법 개정안**
– 국가 공간정보 관리와 활용체계를 개선하고 혁신적인 공간정보 기반 구축을 위해 주요 규정 조정.
2.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개정안**
– 생활물류 서비스산업 종사자 안전을 강화하고, 관련 산업 성장과 효율성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 포함.
3. **철도안전법 개정안**
– 철도 사고 예방과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철도 이용자의 보호와 공공 안전 향상을 목표로 함.
4. **대도시권광역교통관리에관한특별법 개정안**
– 대도시권 교통체계 효율화를 위한 규정 개선 및 광역교통 주민 편익 증대에 초점.
해당 법안들은 행정부와 고관 공공기관, 관련 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으로 마련되었으며,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www.korea.kr](http://www.korea.kr)을 참고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뉴스 요약: 제7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외교부는 11월 13일 서울에서 제7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 회의는 여성·평화·안보(WPS) 의제 활성화를 목표로 2019년부터 매년 진행된 행사로, 올해는 WPS 논의 25주년을 기념하며 “미래를 위한 우선순위와 혁신”을 주제로 삼았습니다.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지속적인 평화 구축과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주요 연사로는 프라밀라 패튼, 리베라타 물라물라, 일와드 엘만 등 국제기구 및 시민사회 대표들이 참여해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며 포용적인 평화 달성을 촉구했습니다.
회의는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되어 아태 지역의 WPS 성과 점검, AI 기술이 여성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폭력 생존자의 평화 구축 기여 방안, 그리고 청년세대와의 협력 강화를 다뤘습니다. 특히, 청년 세션과 포럼을 개최하며 세대 간 소통을 활성화하고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기회를 늘렸습니다.
참가자들은 이번 회의가 AI와 청년 관점을 포함해 WPS 논의의 미래를 열어가는 중요한 계기였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여성 인권 및 평화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awp.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이 문구는 한국 정부의 공식 홍보 포털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제공하는 자료임을 나타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파일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포털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제공된 자료를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유된 보도자료는 관련 정책, 공공서비스, 또는 정부의 주요 발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용을 요약하거나 분석하기 위해 첨부된 원문을 확인해주시면 보다 정확하고 명료한 요약을 제공하겠습니다.
원문보기
**글로벌녹색성장 서포터스 제14기 해단식 개최, 환경 외교 미래를 밝히다**
지난 11월 13일(목), 외교부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에서 제14기 글로벌 녹색성장 서포터스의 해단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기수는 국내 대학생 30명으로 구성되어, “북극 환경 변화의 심각성 및 범지구적 파급력”을 주제로 약 3개월간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 **다채로운 활동으로 녹색성장을 홍보**
서포터스들은 △주한덴마크대사관 방문 및 북극 정책 청취,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방문 및 북극 관련 토의, △극지연구소 견학, △글로벌녹색성장주간(GGGW) 참여 등으로 북극 관련 이슈를 심도 있게 탐구했습니다. 또한, 매월 정책 제안, 시민 인터뷰, 일상 속 환경 보호 방법 등을 주제로 SNS 콘텐츠를 제작하며 북극 환경의 중요성을 알렸습니다.
### **수료식 및 수상자 명예**
해단식에서는 서포터스 전원에게 수료증을 수여하고, 우수 활동을 펼친 최우수 1개 팀과 우수 2개 팀에게 장관상이 시상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최우수 팀에게 GGGI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며, 환경 분야의 국제 전문가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 **북극 외교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성**
정병하 외교부 극지협력대표는 수료사에서 서포터스들의 열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북극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속적인 관심과 활동을 당부했습니다. 또한 북극 논의에 있어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역할을 알리는 데 힘쓰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 **환경외교의 젊은 추진 동력**
외교부는 지난 2012년 제1기 출범 이후 지금까지 708명의 서포터스를 배출하며 청년층의 기후변화 및 환경 외교 정책에 대한 관심을 높여왔습니다. 앞으로도 환경 외교의 다양한 이슈를 청년들과 함께하며 미래를 향한 녹색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 **주목받는 청년 서포터스**
> 국내외 환경 문제에 대한 젊은 세대의 창의적 접근과 활동은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큰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부 공식 포털 www.korea.kr]
원문보기
국토교통부는 “해명자료가 거짓이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며 관련된 내용을 명확히 설명하고자 보도자료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작성된 해명자료는 객관적 사실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첨부파일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사실 관계를 바로잡고자 이러한 자료를 공개했으며, 관련 의혹이나 주장은 사실 무근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플랫폼(www.korea.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해양경찰청, 제4회 해양 국제범죄 대응 학술대회 개최**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이 11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해양 국제범죄 대응 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경을 초월한 밀항·밀입국, 산업기밀 유출 등 해양 국제범죄에 대응하고 국내외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열리는 자리로, 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미국연방수사국(FBI), 미해안경비대(USCG), 일본 해상보안청, 필리핀·대만 해경 등 해외 10개 치안·정보기관과 국내 법무부, 대검찰청, 경찰청, 관세청, 지식재산처 등 10개 기관의 관계자 총 8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학술대회는 ▲ 해양국경안보와 밀항·밀입국 대응, ▲ 마약을 포함한 해상밀수 대응, ▲ 해양산업기술 유출 방지라는 3대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석자들은 각국의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며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고민관(정보외사국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해양 국제범죄 해결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와 협력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내외 기관과의 공조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국가 이익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학술대회는 국제적인 해양범죄에 대한 공동 대응의 장으로서, 참가국 간의 실질적인 협력 강화를 도모하고 미래의 공조체계를 논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원문보기
**법무부, 제43차 아시아·태평양 교정본부장회의 성황리에 마무리**
법무부가 주관한 **’제43차 아시아·태평양 교정본부장회의’**가 11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서울 신라 호텔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22개국과 4개 국제기구에서 온 150여 명의 교정행정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새로운 생각으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교정’**이라는 주제 아래 진행되며, 현대 교정행정의 혁신과 국제적 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자리였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교정서비스 발전과 국제사회에서의 협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이정표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자세한 논의 내용은 첨부된 상세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부(www.korea.kr)
원문보기
김민석 국무총리가 자립준비청년이 운영하는 ‘은평 에피소드 CAFE’를 방문하며 격려했습니다. 11월 13일, 은평구에 위치한 이 카페를 찾아 자립준비청년들의 노력과 도전 정신에 응원을 건넸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은 가정위탁이나 아동양육시설에서 보호를 받다가 독립을 시작한 청년을 의미하며, 은평 에피소드 카페는 이들이 처음부터 기획, 홍보, 운영까지 주도적으로 참여해 만든 공간입니다. 지방정부(서울시, 은평구)와 기업(텐퍼센트 커피)이 함께 만들어낸 이 프로젝트는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한 일자리 모델입니다. 김 총리는 이러한 모델이 더 많은 지방정부와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자립준비청년들은 “카페를 준비하며 자신감을 얻고, 긍정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으며, 김 총리는 이들의 성장을 응원하며 “지역 명소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했습니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이 힘을 합쳐 이런 성공적인 정책이 확대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은평 에피소드 CAFE’는 오는 11월 17일 공식 개소 예정으로, 자립준비청년들이 설계한 일터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2025 외국기업의 날: 외국인 투자기업의 지속적인 한국 투자 촉구**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11월 13일, 외국인 투자 유치에 기여한 기업과 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2025 외국기업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며 외국인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올해로 25회를 맞은 이 행사는 김정관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외국기업협회 회장, 외국상공회의소 대표,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160명이 참석했다.
금탑산업훈장은 국내 최대 외국인 투자기업인 **에쓰-오일**(주)의 안와르 에이 알-히즈아지 대표이사가 수상했으며, **온세미컨덕터코리아**의 노성 전무가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이 외에도 산업포장 5점, 대통령표창 5점, 국무총리표창 6점, 장관표창 22점 등 총 40명이 표창을 수상하며 첨단산업 분야에서 국내 투자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정관 장관은 외국인 투자가 한국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한국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조성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계속할 것을 다짐했다. 또한, 외투기업에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요청하며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와 첨단산업 발전을 언급했다.
행사에는 투자 성공사례 공유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외국인 투자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패널토의가 포함됐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기업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외국인 투자 환경을 지속 개선하고, 산업경쟁력 강화 및 외국인 투자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원문보기
**한국형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KAPEX’ 시연 및 제2차 과학기술 인공지능 전략대화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형 인공지능 인간형 로봇(KAPEX)의 공개 시연과 함께 제2차 과학기술 인공지능 전략대화를 개최했습니다. 이는 한국의 인공지능 기반 기술 및 휴머노이드 개발 현황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향후 국가 전략 수립에 앞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로 평가됩니다.
**KAPEX 시연 참관 내용**
KAPEX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인간형 로봇으로,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람과 소통 가능하며 물리적 작업 수행 능력을 탑재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번 참관에서는 KAPEX의 기술적 성과와 실생활 적용 가능성이 소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로봇 및 AI 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줬습니다.
**과학기술 인공지능 국가 전략 수립**
11월 말 발표될 예정인 「과학기술 인공지능 국가 전략」의 방향 설정을 위해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습니다. 참석자들은 국내외 인공지능 연구 동향, AI 역량 강화 방안, 윤리적 AI 개발 필요성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대화는 한국이 세계적인 인공지능 허브로 자리잡기 위한 정책적 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기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기대**
향후 한국형 AI 기술과 로봇 개발이 지속적으로 강화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정부와 업계 간 협력 모델을 강화해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대한민국의 AI 기술력을 전 세계에 알릴 계획입니다.
이번 행사와 논의 내용은 한국형 AI 기반 정책 및 연구개발 투자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원안위,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결정**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11월 13일 열린 제224회 회의에서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을 허가하기로 최종 의결했다고 발표했다.
고리 2호기는 1978년에 건설 승인을 받아 1983년부터 운영을 시작한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로, 2023년 4월 8일 설계수명 40년을 맞아 운전이 중단된 상태였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계속운전을 위해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주기적 안전성 평가와 주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필요한 서류를 제출했으며, 안전 여유도 확보 및 설비 교체 계획을 마련했다.
약 3년간의 안전성 심사를 수행한 결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과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운전 연장 기간인 2033년 4월 8일까지의 안전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했다. 특히, 구조물·기기 안전성, 방사선환경영향평가 및 중대사고 시 영향 평가에서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운전 허가를 받은 고리 2호기는 설비 교체 완료 후, 원안위의 현장 점검 및 적합성 확인을 거쳐 재가동될 예정이다. 한편, 원안위는 이번 허가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 누리집에 제공하고 있다.
최원호 위원장은 “고리 2호기의 운전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비 개선과 현장 점검에 철저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링크:**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https://nsic.nssc.go.kr)
원문보기
**세계 속 한인 언론인들의 활약 조명, 국내 기자들과 교류의 장 열려**
재외동포청(청장 김경협)은 11월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세계 저널리즘 속의 재외동포 언론인”을 주제로 재외동포 언론인과 국내 기자 간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국내 언론과 세계 각국에서 활약 중인 동포 언론인들 간의 소통 및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간담회에는 미국, 아르헨티나, 일본에서 활동하는 재외동포 언론인 3인—강형원 기자(前 LA타임즈 사진기자), 황진이 앵커(前 Telefe TV 메인 앵커), 신기 기자(지지통신사 외신부 소속)—이 초청되었다. 이들은 지역 언론 환경과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발표를 진행하며, 국내 언론인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요 발언 및 활동 내용**
강형원 기자는 퓰리처상을 수상한 사진 보도의 사례와 포토 저널리즘의 가치를 강조하며, 한국 내에서도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 및 보급이 확대되길 희망했다. 황진이 앵커는 중남미에서의 한인 최초 앵커로서의 경험을 소개하며, 현재는 SNS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임을 전했다. 일본 출신 신기 기자는 재일동포 3세로서 한일관계와 관련된 보도 경험을 바탕으로, 두 나라 간 가교 역할을 하는 기자로 성장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행사의 환영사에서 재외동포청 김민철 교류협력 국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한인사회의 목소리가 세계 무대에서 더욱 널리 전달되길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후속 일정 및 계획**
간담회 이후 초청된 언론인들은 국내 주요 언론사 방문, 강연, 자율 취재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며, 모국 언론 환경 및 사회를 직접 경험할 예정이다. 재외동포청은 앞으로도 이러한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국에서 활동 중인 한인 언론인들이 한국과 세계를 잇는 중요한 매개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원문보기
**2025년 서울외교포럼: 한국 신정부 외교 패러다임 논의**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는 오는 **11월 18일(화), 국립외교원 1층 대강당**에서 ‘한국 新정부의 외교 패러다임: 실용, 평화, 그리고 번영(Foreign Policy Paradigm of ROK’s New Administration: Pragmatism, Peace, and Prosperity)’을 주제로 「서울외교포럼 2025」를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은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 외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신정부의 외교 구상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될 예정입니다.
### 주요 일정 및 구성
이번 포럼은 **개회사**, **기조연설**, 그리고 국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3개의 패널토론 세션**으로 진행됩니다.
#### 제1세션: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 한국의 실용외교
– 사회: 이문희 외교안보연구소장
– 패널:
– **미즈시마 코이치** 주한일본대사
– **다이 빙** 주한중국대사
– **웡 카이 쥔** 주한싱가포르대사
– **잭 쿠퍼** 미국기업연구소(AEI) 선임연구원
– **전재성** 서울대 교수
#### 제2세션: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외교
– 사회: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
– 패널:
– **황지환** 서울시립대 교수
– **레이프 에릭 이슬리** 이화여대 교수
– **류 아밍** 중국 상해사회과학원 교수
– **미야모토 사토루** 일본 세이가쿠인대 교수
– **홍지영** 한국수출입은행 북한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제3세션: AI 대전환을 위한 경제안보 외교
– 사회: 이효영 국립외교원 교수
– 패널:
–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 **심현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교수
–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기술총괄/전무
– **이왕휘** 아주대 교수
– **백서인** 한양대 조교수
### 서울외교포럼의 배경
「서울외교포럼」은 2023년부터 기존 외교안보연구소의 국제문제회의(IFANS Conference on Global Affairs)를 리브랜딩하여 새롭게 출범한 행사입니다. 국립외교원은 이를 통해 **국제 문제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대한민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국민과 전문가들의 이해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 포럼은 한국 외교의 실용적 접근, 한반도 평화 정착, AI를 포함한 첨단 기술을 활용한 경제 안보 외교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며 미래 협력 방향을 제시할 것입니다.
**자료출처:** 대한민국 정부, www.korea.kr
원문보기
### 주요 내용 요약
**1. 송·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사업비 확대 요건 완화**
– 기존에 세대별 지원금을 지역 지원금 총액의 50% 이상으로 확대하려면 주민 전체의 합의가 필요했으나, 개정안에서 주민 **4분의 3 이상의 동의**로 가능하도록 변경.
– 이는 고령자 비율이 높거나 세대가 적은 마을 등에서 주민 합의가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여 사업 추진을 원활히 하기 위한 조치.
**2.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개정**
–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사업자가 전력이 부족할 경우 한국전력뿐만 아니라 **전력시장에서도 구매** 가능하도록 개정.
– 부정 행위로 매출액 산정자료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을 시, 유사한 규모 사업자의 회계자료를 활용해 과징금을 산정할 수 있도록 처리 기준 마련.
**3.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 개정**
– 기존에는 기술개발과 설비투자에 대해 생산자만 지원받을 수 있었으나, 이번 개정으로 **구매자에게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규정.
– 이는 이산화탄소 활용 제품의 가격 경쟁력 제고 및 관련 산업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
### 기대 효과
– **송·변전설비 지원사업비 요건 완화**: 주민 간 합의 어려움으로 사업 지연된 사례 감소, 사업 추진 효율성 향상.
–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력 공급 안정성 강화와 관련 시장 활성화.
– **이산화탄소 활용 제품 지원 확대**: 구매자 지원으로 지속 가능 산업 육성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개정된 법률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하위법령 정비 등 준비 작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원문보기
**[산림청, 국민 소통 강화 위해 산림정책 홍보역량 워크숍 개최]**
산림청이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산림정책 홍보역량 강화에 나섰습니다.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13일, 정부대전청사 본청 및 소속·산하기관 홍보 담당자 120여 명을 대상으로 ‘산림정책 홍보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원칙인 ‘경청과 통합’을 산림정책에 반영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홍보를 위한 노력을 확대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홍보기획 역량 강화와 소통 능력을 높이는 특강이 마련되었으며, 각 부서 간 홍보 방향과 전략을 공감하고 발전시키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특히, 초청 강연자로 나선 이주형 기업홍보연구원 본부장은 변동성이 높은 미디어 환경 속에서 정책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언론 대응 전략을 공유하며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이 자리에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정책 발굴과 실천을 위해서는 소통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며, 홍보 담당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국민과 더 가까워지기 위한 산림청의 노력으로, 앞으로 산림정책과 국민 간의 긍정적 연결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2026년 공시가격 산정과 관련된 주된 내용은 ‘부동산 시세 변동을 정확히 반영’이라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공시가격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조세 부담 형평성 또한 개선하고자 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주요 내용
1. **정확성 제고**:
– 부동산 시장 동향과 시세를 반영해 투명하고 실제적인 공시가격을 산정.
– 공시가격 산정 과정에서 보다 정밀한 데이터와 통계를 활용한다는 방침.
2. **조세 형평성 개선**:
– 공시가격의 산출 기준을 명확히 하여 불균형한 세 부담 문제를 해소.
– 국민들이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공시가격 정보가 제공될 예정.
3. **협력 강화**:
– 현장 조사 및 시세 반영을 위한 관계 기관 및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력 도모.
### 기대 효과
– 공시가격의 신뢰도와 객관성이 증대됨에 따라 부동산 관련 다양한 정책(종합부동산세, 취득세 등)이 보다 실효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
– 기존의 공시가격 산정 방식에서 발생했던 과잉 평가 또는 과소 평가가 줄어들어 한국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의료 강화 위해 기관장들과 소통**
보건복지부는 11월 13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2025 공공보건의료 CEO 포럼’을 개최**하며 공공보건의료기관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국립대학병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주요 공공의료기관의 기관장 약 40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 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 주요 발표 및 논의 사항
– 경영분석 활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공공보건의료 경영 전략
– AI 의료 기술의 임상적 적용과 관련 프로젝트(Y-KNOT) 소개
– 보건의료 혁신과 건강보험 보상체계 개선 방안
– **지역 필수의료법**을 기반으로 한 의료격차 해소 및 공공의료 강화 전략
이에 더해, 참석 기관장들은 **현장의 경험과 의견을 공유**하며 공공보건의료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영상 개회사를 통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강조하며, “공공보건의료기관이 국민 누구나 어디서든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녀는 아울러 기관장들에게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하며 정부 정책에 대한 다양한 조언을 당부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공공보건의료의 발전과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중앙-지역 연계체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원문보기
**한-AfCFTA 협력기금 이행약정 체결, 한국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기반 강화**
외교부는 11월 13일 목요일 한·아프리카재단에서 *한-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력기금을 활용한 협력사업 이행약정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AfCFTA 사무총장,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전자통관국제협력재단(CUPIA),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아프리카재단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 **AfCFTA: 아프리카 경제 통합을 위한 큰 변화**
AfCFTA는 아프리카 경제통합을 목표로 하는 자유무역지대로, 2021년 1월을 기준으로 교역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 지역 간 경제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무역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한-AfCFTA 협력기금 설립 및 시범사업 추진**
한국 외교부는 올해 한-AfCFTA 협력기금을 설립하여 국내 유관기관과 함께 협력사업 발굴에 주력해 왔다. 이번 체결식은 협력기금을 활용한 시범사업 이행을 본격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KTNET, CUPIA, KAIST 등 국내 기관들이 협력사업에 참여함으로써 무역·인프라 제도와 표준 등을 아프리카 지역에 확산시키고, 한국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 **성과 기대와 향후 방향**
이번 사업은 아프리카 경제 통합을 촉진하고 한국 기업이 아프리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추가적으로 협력기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한국인 전담 프로젝트 매니저를 고용할 예정이며, 시범사업의 경과와 성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기금 구조를 개선하고 신규사업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과 아프리카의 협력 강화는 양 지역의 상호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무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제공: [www.korea.kr]*
원문보기
**새만금청, 새만금호 환경 개선 위해 7억 원 규모 정화사업 착수**
새만금개발청(청장 김의겸)은 새만금호의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말까지 약 7억 원을 투입해 해양쓰레기 정화 작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상류에서 유입된 부유 쓰레기와 호수 바닥의 폐그물 등 침적 폐기물, 방치된 폐어선을 수거·처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이번 정화 작업을 통해 새만금 지역의 수질 개선과 경관 회복이 기대되며, 나아가 수상레저 및 관광 산업의 기반 조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은 “이번 사업은 새만금이 친환경 미래도시로 자리잡기 위한 중요한 시작점”이라며, “지자체 및 관계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깨끗하고 건강한 새만금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전했습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번 정화 작업 외에도 지속적인 환경 정화 활동과 관리 체계를 강화해 새만금을 깨끗하고 안전한 공유수면 관리의 모범 지역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원문보기
새만금개발청, 제18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 종합대상 ‘국회 위원장상’ 수상
새만금개발청(청장 김의겸)이 제18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에서 종합대상인 국회 위원장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상은 한국인터넷소통협회(KICOA)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기관이 후원하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높은 권위를 자랑하는 시상식입니다.
### 소통 우수 사례로 평가받은 성과들
이번 수상은 새만금개발청이 국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새만금 정책과 사업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한 결과로 이뤄졌습니다. 유튜브에서 방송인 홍현희와 영화평론가 라이너가 참여한 프로그램, 그리고 새만금청 직원들이 출연한 콘텐츠가 구독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으며 조회수가 이전 대비 176% 상승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SNS에서도 새만금 캐릭터를 활용한 콘텐츠가 제작되며 팬덤 콘텐츠로 큰 인기를 끌었고,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는 전년 대비 177% 증가했습니다. 블로그는 전문가 인터뷰와 분석 콘텐츠를 통해 새만금 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며 예정 목표의 240%를 초과 달성했습니다.
### 새만금개발청장의 소통 강화 의지
김의겸 청장은 수상 소감을 통해 “국민과 친숙하게 소통하기 위해 노력의 결실로 이번 상을 받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새만금을 쉽게 이해하고 정보를 신속히 접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국민 친화형 콘텐츠 제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새만금개발청은 디지털 미디어 트렌드에 발맞춰 국민과 소통하며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바, 이번 수상은 그 성과를 국내외에 알린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원문보기
**산업부, 과도한 석유제품 가격 상승 자제 요청 및 석유시장 점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1월 13일(목) 석유시장 점검회의를 개최하며 국제 석유제품 가격 상승과 유류세 일부 환원 조치 이후 국내 석유제품 가격 동향을 점검한 바 있다. 이는 국민에게 부담을 줄 수 있는 급격한 석유제품 가격 인상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회의는 산업부 장관 김정관의 주재로, 정유 4사(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및 알뜰공급사(석유공사, 농협, 도로공사), 대한석유협회, 한국석유유통협회, 한국주유소협회 등 주요 기관이 참석했다.
### 석유제품 가격 상승 우려
국제 석유제품 가격 상승으로 국내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며, 이번 주에도 추가적인 인상이 예상된다. 산업부는 이와 관련해 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석유산업계의 자발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알뜰주유소를 운영하는 공급사들에게는 가격 안정화를 적극 추진하며 국민부담 완화에 기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 범부처 석유시장점검단 운영
산업부는 국내 석유제품 가격 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련 기관들과 협력할 계획이며, 범부처 석유시장점검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분야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 가격표시판에 명시된 판매가격과 보고 가격의 일치 여부
– 주유소의 세금 신고 적정성
– 보조금 부정 수급 여부
석유시장점검단에는 산업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석유공사, 석유관리원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 기대 효과
석유시장 점검을 통해 석유제품 가격 상승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향후에도 석유제품 가격 안정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도 검토할 예정이다.
원문보기
김윤덕 장관이 10월 13일 서울시장과의 면담을 진행한 데 대한 보도자료가 배포되었습니다. 이번 면담에서는 주요 정책 현안 및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보도자료는 정부 소식 포털인 [www.korea.kr](http://www.korea.kr)을 통해 제공되었으며, 구체적인 논의 사항 및 결과는 원문 자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한국공정거래조정원, AI·디지털 경쟁정책 심포지엄 개최**
한국공정거래조정원(원장 최영근)이 한국경제연구원(원장 정철), 한국산업조직학회(학회장 조성진)와 함께 ‘AI·디지털 혁신과 경쟁정책’을 주제로 정책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디지털 전환 시대, 새로운 경쟁정책 방향 모색**
이 심포지엄은 AI 기술 확산 및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변화하는 경쟁 구도 속에서 혁신과 공정경쟁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정책 방향을 찾기 위해 개최되었다.
한국경제연구원 정철 원장은 환영사에서 “AI와 디지털 기술이 급변하는 시대에 정책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한 해결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한국산업조직학회 조성진 학회장은 개회사에서 “AI 경쟁정책의 주요 쟁점은 데이터 접근성과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데 있다”고 언급하며 학계, 산업계, 정책 관계자 간의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주제 발표 및 종합 토론**
심포지엄에서는 세 가지 주요 주제 발표가 이루어진 후, 발표와 관련된 핵심 쟁점들을 중심으로 패널 토론이 진행되었다. 참석자들은 현재의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요한 경쟁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과 해법을 논의하며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 심포지엄은 학계, 산업계, 정책 관계자들이 협력하여 공정경쟁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혁신을 도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원문보기
한국 외교부는 2023년 11월 13일 제10차 공공외교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여,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을 종료하고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6-2030)」을 확정 의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은 향후 5년 간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비전으로 ‘국민과 함께 K-이니셔티브를 통한 글로벌 성장과 평화에 기여’를 설정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 K-이니셔티브를 통한 국익 증진 △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위상 제고 △ 통합적·체계적 공공외교 생태계 구축이라는 3대 목표와 11개 중점과제, 32개의 세부과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융복합 공공외교 사업을 추진하여 국내 산업의 해외 진출 지원과 글로벌 도전 과제 해결을 통해 책임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재외공관의 협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민·관 협력을 증진하고, 국민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여 공공외교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예정입니다.
해당 계획의 상세 내용은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2025년에 있을 **광복 80주년 피날레 행사인 ‘빛나라 대한민국’**이 11월 15일 세종에서 개최된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의 독립을 기념하고, 국민의 화합과 희망을 전하는 자리로 마련됩니다. 구체적인 행사 일정과 프로그램 내용은 정부가 제공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행사의 주요 목적은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며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는 데 있습니다. 국가적 행사인 만큼 다채로운 공연, 역사적 전시물 및 국민 참여 프로그램 등이 준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정부 공식 홈페이지(www.korea.kr)**에 제공된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산업부 공공기관, 국정감사 후속조치 속도낸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11월 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관할 20개 공공기관의 부기관장 회의를 개최해 국정감사 지적사항 이행과 주요 현안 추진상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오승철 기획조정실장이 주재했다.
**국정감사 지적사항 이행 계획**
올해 국정감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된 육아휴직 대체인력 부족 문제 및 출산휴가금, 자녀수당 도입 필요성에 대해 각 기관은 실정에 맞춰 적극적으로 반영하기로 했다. 또한 개별 기관의 지적사항에 대한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개선 가능한 부분은 제도에 신속히 반영할 계획이다.
**정부 자산 매각 중단 후 대책 마련**
11월 초 시행된 정부 자산 매각 중단 조치에 따라, 산업부 산하 기관은 매각 절차를 전면 중단한 상태다. 단, 예외적인 자산의 경우 산업부와 협의를 거쳐 진행할 방침이며, 헐값 매각 논란 방지를 위해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철저히 관리할 예정이다.
**내수 활성화 및 안전관리**
동절기와 연말연시를 앞두고 공공기관의 노력으로 안전사고 예방과 공직기강 확립을 강화하며,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오승철 실장은 “국정과제와 주요 현안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산업부와 각 공공기관 간 소통과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정례 협의체 운영을 통해 협업 체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 제2차 농식품규제 합리화 전략회의, 국민 체감형 농식품 규제 개선 논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13일 양재동 aT센터에서 「제2차 농식품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를 개최하며, 다양한 농식품 규제 개선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이 빠른 규제 합리화 및 국정감사 지적사항의 개선을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진행되었으며, 농식품 업계, 지방정부 및 민간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 5개 분야 54개 과제 확정
회의에서는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개선 가능성, 시급성,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검토하여 △농촌 발전 △국가전략산업으로서 농업 육성 △국가 책임 강화 농정 △사람과 동물의 복지 증진 △민생규제 합리화 등 5가지 분야의 개선 과제를 확정하였습니다.
#### 1. **농촌 발전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균형발전**
– 농촌 내 태양광 발전 도입 강화: 태양광 농지 사용기간을 최대 23년으로 늘리고, 주민공동체 주도 햇빛소득마을 조성을 위해 재정지원을 확대.
– 농촌 특화산업 활성화: 농가 직접 생산 즉석 판매 가공식품의 지역 직거래 판매 및 빈집재생민박 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 2. **국민 먹거리 보호를 위한 국가전략산업으로서 농업 육성**
– 스마트농업 및 푸드테크 산업 지원: 규제 일원화 신청제 도입 및 신산업 선정을 위한 기준 수립.
– K-푸드 수출 확대: 단감과 한우·돼지고기의 해외 검역 요건 완화를 통해 수출 지원.
– 농산업 부산물 업사이클링 활성화: 품질기준 완화 및 재활용 유형 추가.
#### 3. **농정 대전환 및 국가 책임 강화**
– 공동영농 확산 지원: 사업 첫 해 직불금 수령 조건 완화 및 농지 은퇴직불제 신청 요건 개선.
– 농업 세대전환 촉진: 경영면적 완화로 농업 규모화를 지원.
#### 4.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복지 증진**
– 동물복지 향상: 도심 유휴시설 유실·유기동물 입양 지원 및 맹견의 중성화 수술 규제 완화.
– 펫푸드 관리 개선: 반려동물 사료의 분류 체계 및 표시 기준 마련으로 소비자 알권리 보장.
#### 5. **민생규제 합리화**
– 농지 편의시설 허용: 화장실 및 주차장 설치 허용을 통해 농작업 환경 개선.
– 식품 소분업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 허용 및 동물용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 책임자 자격 기준 완화.
### 송미령 장관의 의견
송 장관은 “현장에서 불명확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계속해서 개선하겠다”며 “정부가 즉시 조치 가능한 사항부터 빠르게 정비하고, 복합적 규제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농식품 분야의 체질 개선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규제 합리화를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2025 무선 전력 전송 학술회의(콘퍼런스)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본 행사는 첨단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중심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연구 성과와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정확한 일정 및 장소 등 세부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 파일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이번 콘퍼런스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며, 산업 전반의 혁신을 촉진할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개최 관련 문의 및 자료 확인은 (www.korea.kr)을 통해 지원됩니다.
원문보기
**환승센터로 여는 교통혁신, “제3차 환승혁신 포럼” 개최**
국토교통부는 대한민국 교통체계를 발전시키고 환승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담론의 장, “제3차 환승혁신 포럼”을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은 환승센터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 혁신 및 국민의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행사는 환승센터의 주요 역할과 국내외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학계, 민간 전문가,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협력적 논의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특히, 대중교통 연계성 강화와 지속 가능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이 심도 있게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종합적 접근은 대중교통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이동 서비스(MaaS, Mobility as a Service)와 융합된 환승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교통 공간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포럼 주요 내용**:
– 환승센터의 전략적 구축 방안
– 성공 사례 발표 및 해외 우수 사례 분석
– 교통 서비스 통합 및 디지털 기반 혁신 방향
–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친환경 교통체계 논의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민들의 교통 편의성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도시를 설계하는 중요한 과제이며, 이번 포럼을 통해 환승센터가 교통 혁신의 중심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및 발표 자료는 국토교통부 누리집(www.korea.kr)을 통해 제공될 예정입니다.
원문보기
**간담회 요약: 한-아세안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 강화 논의**
2023년 11월 13일, 정의혜 외교부 차관보는 한-아세안 센터의 아세안 언론인 초청사업을 통해 방한한 11개국 21명의 아세안 언론인들과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주요 주제는 ‘한-아세안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CSP)의 이해 증진 및 강화’였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1. **개회사 및 CSP 비전 소개:**
– 지난 10월 27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CSP 비전 상세 설명.
– 비전 목표:
– 꿈과 희망을 이루는 조력자.
– 성장과 혁신의 도약대.
– 평화와 안정의 동반자.
–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 인적 교류(연간 1,200만명 → 1,500만명)와 교역 규모 확장(2,000억 달러 → 3,000억 달러) 목표 설정.
2. **한반도 평화 및 아세안 협력:**
– 아세안의 한반도 평화 정책 지지 평가.
– 앞으로도 아세안 메커니즘(ARF, EAS)을 통해 지속적 협력 추진.
3. **문화 분야 협력 강화:**
–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활용한 문화 교류 사업 추진.
– **영화:** ‘한-아세안 영화 공동체 사업(FLY)’ 진행 예정(2025년 단편 영화제작 및 영화제 개최).
– **음악:** ‘한-아세안 뮤직 페스티벌(ROUND)’을 통해 연간 3회 공연 및 네트워크 구축.
– **축구:** ‘한-아세안 축구 인적 역량 강화 사업(FIELD)’을 통해 트레이너 교육, 의료 서비스, 반도핑 활동 등을 지원.
4. **아세안 언론인 반응:**
– 간담회를 통해 한국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 방향성을 더욱 명확히 파악하고 기대감을 표명.
외교부는 앞으로도 한-아세안 관계를 더욱 중요한 외교 기조로 삼아 적극적인 아웃리치 활동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붙임:** 간담회 사진. 끝.
원문보기
**지식재산처, 에이엘테크와 지식재산 간담회 개최: 현장소통 및 중소기업 지원 강화**
지식재산처(처장 김용선)가 11월 13일 대구시 달서구에 위치한 객체 인식 안전관리 창업 초기 기업인 에이엘테크를 방문하여 지식재산권 관련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권 현안을 청취하고 정책 개선 방향을 모색하며, 특허 심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국민, 기업과 함께하는 현장소통’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에이엘테크의 주요 기술 및 발전 전망]**
에이엘테크는 광섬유 LED와 발광기술을 활용한 교통안전 디스플레이와 객체 인식 기술을 타워 크레인에 접목한 안전관리 솔루션 개발 등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창업 초기 기업이다. 특히 객체 인식 기반의 첨단 기술을 통해 안전 관리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연구 및 개발하며 지식재산권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간담회에서 지식재산처 방송미디어심사팀은 객체 인식 기반 기술의 최근 특허 동향자료를 공유하며, 연구개발 특허 전략 비전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들이 관련 기술 개발 및 지식재산권 보호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와 기업 간 시너지 효과 기대]**
에이엘테크 천정환 대표는 “정부의 안전관리 중심 정책 방향에 발맞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지식재산권 창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히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기업의 미래 도약과 정부 지원 가능성에 기대감을 표했다.
박재훈 전기통신심사국장 역시 “객체 인식 기술은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라며, 중소 제조기업의 지식재산권 창출을 위한 협력 체계 강화와 애로사항 해결을 약속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는 기업의 현장 의견을 특허 심사정책에 적극 반영해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간담회는 객체 인식 기술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중소기업의 기술 발전과 지식재산 보호라는 공통 목표를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www.korea.kr]*
원문보기
정부는 11월 21일(금)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서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를 위한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는 이혁 주일본대사가 정부 대표로 참석하며, 유가족 및 정부 관계자들이 함께 자리할 계획입니다.
추도식 이후에는 한국인 노동자와 관련된 주요 장소를 방문하며, 사도광산에서 강제 동원된 한국인 피해자들의 희생을 기리는 일정을 진행합니다.
해당 행사는 역사적 아픔을 되새기고 피해자들의 넋을 기리며, 기억을 한층 더 공고히 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출처: [자료제공: (www.korea.kr)]
원문보기
**국립수목원·강화군, 희귀·특산식물 보전 및 지역브랜드화 협약 체결**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이 인천광역시 강화군(군수 박용철)과 손을 맞잡고 지역 특산식물 보전에 나선다. 양 기관은 11월 13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지역 희귀·특산식물인 ‘강화황기’ 등 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국립수목원이 추진 중인 「중앙-지방 식물 거버넌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강화군은 석모도에서 발견된 강화황기의 생물학적 가치와 지역 상징성을 높게 평가하며 이를 지역 대표 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석모도수목원과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브랜드화와 자생식물 보전을 추진 중이다.
국립수목원은 협약을 발판 삼아 지역 및 국가적 희귀식물 보전 네트워크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물향기수목원을 비롯한 전국 9개 권역별 수목원과 협력망을 확대하며, 강화군 내 석모도수목원을 희귀·특산식물 보전기관으로 지정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강화 및 서해 5도 자생식물의 생육 모니터링과 관련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며 현지내외 보전 기법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지역 발전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앞으로 ▲식물 유전자원 보전을 위한 공동 연구 ▲수목원 및 정원 조성 관련 기술 검토 ▲정책 및 정보 교류를 통해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국가와 지방 간 유기적 역량 결집을 이어가기로 했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은 협약식에서 “지역명 식물인 ‘강화황기’는 지역 특성화를 통한 활용 모델로 자리 잡을 잠재력이 크다”며, “중앙과 지방의 협력을 기반으로 강화군의 자생식물 보전 활동과 브랜드화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식물 분양, 증식법 개발 등 다양한 식물 보전활동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가적 식물자원 보전 노력의 일환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생물자원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원문보기
### 벌목작업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대책 강화
고용노동부는 겨울철 벌목작업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벌목 현장에서 근로자가 나무에 깔리거나 작업 중 사고로 사망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실시된 조치입니다.
—
#### 최근 임업 관련 사망사고 현황:
– 2024년: 11명
– 2023년: 16명
– 2022년: 11명
—
### 벌목작업 재해예방 5대 안전수칙
고용노동부는 해당 수칙을 기존 사망사고 사례를 분석해 도출했으며, 근로자가 준수하면 사고 위험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구 각도는 30도 이상(깊이는 뿌리지름의 1/4~1/3) 만들기**
– 나무 밑동에 제대로 된 절단면을 만들어 안정적으로 벌목을 수행.
2. **벌목작업 위험 구역은 진입 금지**
– 다른 작업자의 위험 지역에서 입장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
3. **받치고 있는 나무는 벌목 금지**
– 다른 나무를 지탱하고 있는 나무는 작업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음.
4. **작업 전 대피로 및 대피장소 확인**
– 긴급 상황 시 대피할 경로를 사전에 파악.
5. **안모 등 보호구 착용**
– 기본 보호 장비를 항상 착용해 사고를 방지.
—
### 추가 안전조치 및 계획
고용노동부는 재해 예방을 위해 **표준 안전작업 동영상**, **안내문(OPS)** 같은 자료를 제작·배포하며, 작업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벌목작업 특성상 사고 위험이 높은 현장을 실질적으로 지도하고 점검하기 위해 **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신고 및 허가 현황을 관리하고 안전 사각지대를 줄이는 노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
### 고용노동부의 방향
류현철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벌목작업의 높은 위험도를 강조하며, “근로자와 사업주는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올바른 작업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유관기관과 협력해 현장의 안전 실태를 점검하며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할 계획입니다.
—
벌목 작업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과 안전수칙 준수는 생명 보호를 위한 첫걸음입니다. 이를 위해 노동부뿐만 아니라 업계 전체가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의:
산업안전기준과 김재규(044-202-8851), 김진희(044-202-8854)
원문보기
**고용노동부, 외국인근로자 신규 고용허가 5회차 신청 접수 시작 (11.24.~11.28.)**
고용노동부는 11월 24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를 통해 올해 5회차 외국인근로자(E-9) 신규 고용허가 신청을 접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5회차에서는 총 9,326명의 외국인근로자 채용이 허용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6,530명 △조선업 250명 △농·축산업 940명 △어업 832명 △건설업 178명 △서비스업 596명으로 배정됐으며, 초과 수요 발생 시 탄력배정분 3.2만 명이 활용될 전망이다.
**점수제 적용 및 신청 방법**
외국인 고용 허가는 점수제를 기준으로 하며, 지난 4회차부터 핵심항목 위주의 가·감점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숙사 제공 여부, 우수 기숙사 운영, 외국인 근로자의 장기근속 비율 등이 가점 항목에 포함되며, 노동관계법 위반, 안전보건조치 의무 미이행에 따른 사망 재해 발생 등은 감점 요인이 된다.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하려는 사업주는 내국인 구인노력 7일을 선행한 후,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를 방문하거나 고용허가제 홈페이지(www.work24.go.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발표 일정**
– 신청 마감: 11월 28일
– 결과 발표: 12월 12일
– 고용허가서 발급:
제조업·조선업·광업: 12월 15~17일
농축산업·어업·임업·건설업·서비스업: 12월 18~22일
문의사항은 고용노동부 외국인력담당관실(044-202-7148, 7153)로 하면 된다.
[자료 출처: 고용노동부 및 www.korea.kr]
원문보기
### 6·25전사자 고 박석호 일등중사, 산화 70년 만에 가족 품으로 귀환
—
**고 박석호 일등중사의 유해 발굴과 신원 확인**
지난해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이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주파리 일대에서 발굴한 유해가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수호하다 생을 마감한 고 박석호 일등중사(현 계급 하사)임을 확인했습니다. 그는 유해발굴 사업을 통해 2023년 들어 신원이 확인된 15번째 호국영웅이며, 2000년 이래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영웅은 모두 263명이 되었습니다.
과거 유해발굴을 경험했던 대대장의 제보를 바탕으로, 국유단의 전문 조사팀이 약 20일간의 발굴 작업 끝에 유해를 수습했습니다. 고인의 신원 확인은 그의 이름과 군번이 새겨진 인식표와 병적기록부를 통해 진행됐으며, 이미 채취된 유가족 DNA 정보를 활용해 유전자 비교·분석도 이루어졌습니다.
—
**고인의 생애와 참전 과정**
고 박석호 일등중사는 1931년 경북 의성군에서 태어나 1951년 육군 제1훈련소(제주)에서 훈련을 받은 후 국군 제11사단 13연대 소속으로 배치되었습니다. 그는 1953년 장렬했던 ‘적근산-삼현지구 전투’에 참전 중 전사했으며, 해당 전투는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서 중공군의 대거 공격을 막고 국군이 반격으로 전환한 치열한 공방전이었습니다.
전사 당시 고인은 22세였으며, 가족들은 이후 그의 행방을 모르고 긴 세월을 보내야 했습니다. 현재 고인의 부모와 형제자매 모두 세상을 떠났고, 자식들도 없었기에 유가족 대표는 친조카 박용철 씨가 맡았습니다.
—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
지난 11월 13일,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유가족 자택에서 고 박석호 일등중사의 귀환 행사가 열렸습니다. 국유단 조해학 단장 직무대리(육군 중령)는 고인의 유해 발굴 과정과 참전 내역을 설명하며 유품과 호국영웅 귀환 패가 담긴 「호국의 얼 함」을 유가족에게 전달했습니다. 친조카 박용철 씨는 삼촌을 국립묘지에 모실 수 있다는 소식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이제 마음이 놓인다”고 소회를 밝혔습니다.
—
**호국영웅의 가족 찾기, 국민 참여 절실**
국방부는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수많은 호국영웅의 유해를 가족에게 돌려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사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유전자 시료채취는 친·외가 8촌 유가족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도 지급됩니다. 점차 고령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하루하루가 시간과의 싸움인 만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합니다.
전국 보건소 및 보훈병원 등을 통해 시료를 제공하거나 대표 번호(1577-5625)를 통해 국유단에 연락하면 직접 방문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국유단은 한 명의 유가족이라도 더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마무리**
고 박석호 일등중사는 70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며 국가를 위해 산화한 수많은 영웅들의 존재를 되새기게 합니다. 국유단과 정부는 앞으로도 끝까지 6·25전사자의 유해 발굴과 신원 확인을 위해 힘쓸 예정입니다. 한 분 한 분의 영웅이 가족과 대한민국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참여와 관심이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 군 시설 도로명주소 관리 개선… 보안 강화와 생활 편리성 확대 기대
2025년 11월 17일부터 군사시설, 군복지시설, 군주거시설 등에 대한 도로명주소 부여 및 활용 지침이 시행된다. 행정안전부와 국방부는 택배 배송의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군사시설 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개선안을 발표했다.
#### 배경 및 문제점
현재 군 시설 대부분은 우체국 사서함 주소를 사용하거나 도로명주소가 불명확해 택배나 우편물 수취 과정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다. 특히, 인터넷 쇼핑이 증가하면서 군 시설로의 민간 택배 물량이 늘어났고, 기존 정보 체계로는 오배송 문제와 시설 위치에 대한 보안 우려가 발생했다.
#### 주요 변화
1. **도로명주소 표준화와 보안 강화**
– 군 시설을 영내(보안 지역)와 영외(민간 기준 적용)로 구분.
– 영내 시설은 위치 정보가 비공개되지만 출입구 접점에만 주소를 부여해 배송에는 문제가 없도록 개선.
– 군 주거시설 및 복지시설은 민간 건물과 동일한 주소 시스템으로 생활 편리성을 보장.
2. **관할 부대장의 신청으로 주소 부여**
군 시설의 특수성과 보안성을 고려해 관할 부대장이 도로명주소 부여를 관련 지방자치단체에 신청하도록 규정.
#### 기대 효과
– **편리한 택배 및 방문 서비스**
군인 가족 거주시설, 면회회관 등 군 복지 시설에 대한 주소제공 기준이 명확해짐으로써 택배 오배송 및 위치 확인 불편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보안 강화**
도로명주소 사용 가능 범위와 위치 정보 노출 지침을 표준화해 군사시설의 보안성을 높인다.
#### 국방부·행안부의 입장
안규백 국방부장관은 이번 지침이 군인 및 가족의 복지를 개선하면서도 보안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조치라고 평가했고, 윤호중 행정안전부장관은 주소의 중요성과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관계 부처 간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이번 개정으로 군시설과 관련된 주소 운영이 체계화되면서 군인의 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관련 경제적 비용 절감 및 보안 강화 효과를 동시에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 수상작 발표, 대상은 ‘성인대에서 바라본 울산바위’**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이 제24회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의 수상작 64점을 발표했습니다. 올해 대상을 차지한 작품은 박정식 씨의 ‘성인대에서 바라본 울산바위’로, 울산바위의 안정적인 구도와 표현된 계절감, 색감 등이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공모전 개요와 심사 과정
이번 공모전은 올해 6월부터 46일간 진행되었으며, 국립공원의 경관, 생태, 역사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3,596점의 작품이 접수되었습니다. 5차에 걸친 엄격한 심사를 통해 수상작이 선정됐습니다.
### 수상 내역 및 시상식
– **대상**: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상 및 1,000만 원 상금
–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입선작**은 공단 이사장상과 함께 각각 500만 원, 100만 원, 50만 원, 30만 원의 상금 수여
특히 시상식은 11월 14일 국립공원공단 스마트워크센터(서울 마포구)에서 진행되며, 대상 및 주요 수상자 10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 작품 감상과 활용
수상작들은 11월 13일부터 국립공원공단 누리집(www.knps.or.kr)을 통해 공개되며, 비상업적 용도로 개인이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 작품은 사진집, 2026년 국립공원 달력, 전시 액자 등으로 제작되어 홍보 활동에 적극 활용될 예정입니다.
국립공원공단 주대영 이사장은 “국립공원의 매력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소중한 공모전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겠다”라는 뜻을 전했습니다.
원문보기
지식재산처가 위조상품 근절을 위한 상표 분쟁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1월 13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머큐어 임피리얼 팰리스에서 「상표 분쟁대응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는 특허심판원장을 비롯한 관련 협회 및 기업 약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위조상품 근절을 주제로 한 퍼포먼스, 신규 업무 협약 체결, 주요 성과 발표, 우수 기관 및 개인에 대한 포상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부대행사로 정품과 가품 비교 전시 및 온라인 인공지능 점검 시연이 진행됩니다.
서을수 특허심판원장은 위조상품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식재산처가 관련 협의회와 함께 국내외 위조상품 근절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K-브랜드 보호와 지식재산 관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2025년 제1차 담배유해성관리정책위원회 개최, 담배 유해성분 검사 대상 지정**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1월 13일 열린 2025년 제1차 담배유해성관리정책위원회에서 담배 유해성 관리 체계의 중요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번 회의에서는 담배 유해성분 목록 지정, 시험법 확정 및 위원회 운영규정 의결 등이 논의되었다.
### 주요 내용 요약
**1. 위원회 운영규정 의결**
– 전문가 구성(분석, 독성, 의약학 등 민간 분야 포함).
– 위원의 제척·기피·회피 등 공정성을 위한 기준 마련.
– 안건 의결 절차 명확화.
**2. 담배 유해성분과 시험법 지정**
– **검사 대상 유해성분**: 궐련 및 궐련형 전자담배는 타르, 니코틴 등 총 44종, 액상형 전자담배는 니코틴, 프로필렌글리콜 등 총 20종.
– **시험법 기준**: WHO 및 ISO의 국제 표준시험법 참고.
### 향후 계획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담배 유해성분 정보 제공을 확대하고, 시험법 개선을 통해 검사 대상을 지속 확충할 예정이다.
담배유해성관리정책위원회는 과학적이고 투명한 담배 유해성 관리정책 수립을 목표로 운영될 예정이며, 이번 회의에서 의결된 내용은 규제심사를 거쳐 2025년 연내 확정된다.
원문보기
**담배 유해성분 검사 대상 목록 지정**
담배 유해성분에 대한 관리와 국민 건강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담배에 포함된 주요 유해성분을 검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유해성분의 체계적인 관리와 국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
### **지정된 검사 대상 유해성분 목록**
지정된 검사 대상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e)
– 니코틴 (Nicotine)
– 타르 (Tar)
–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 벤젠 (Benzene)
– 니트로사민류 (Nitrosamines)
– 기타 발암성 물질
이 유해성분들은 흡연자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성분으로, 세계보건기구(WHO) 및 국제담배규제기구에서 관리 대상으로 권고한 바 있습니다.
### **검사 실시 및 관리 체계**
정부는 공인된 검사소를 통해 담배 제품별 유해성분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담배회사들이 성분 함량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고, 결과는 대중에게 투명하게 공개될 방침입니다.
### **기대효과**
이번 조치를 통해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가 담배의 위험성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담배 규제 정책의 근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국민 건강 증진과 흡연율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담배 성분 관리 정책을 마련하며, 국민 건강 보호와 담배 해악 감소에 힘쓸 것을 밝혔습니다.
원문보기
**[요약]**
11월 13일,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은 서울에서 “2025년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관리 성과공유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아동학대 심리지원 사업 및 방문형 가정회복 프로그램의 성과를 점검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2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주요 사업 성과:**
1. **아동학대 심리지원 사업**: 학대피해아동에 대한 심리평가 및 치료 지원.
2. **방문형 가정회복 프로그램**: 학대피해아동의 안정적 회복을 위해 가정 내 가족기능 회복을 지원.
특히, 방문형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정의 재학대 발생률이 약 1/3 수준으로 감소(2.9%)하며 제도적 성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우수기관 공모전에서 대전,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팀이 심리 및 방문형 사례관리 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행사에서는 우수사례 발표와 네트워크 강화뿐만 아니라, 현장 인력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과 특강도 운영되었습니다. 앞으로 이번 사례를 담은 사례집이 배포될 예정입니다.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학대피해아동의 권익 보호 및 가정 회복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예산 확충을 약속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