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질병청, 미래 팬데믹 대비·대응 고도화 추진단 발족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이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체계 고도화 추진단과 질병관리 인공지능 혁신 추진단을 발족했습니다.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과학 혁신을 통해 국민체감형 질병관리 모델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미래 팬데믹 대비와 효율적 의료 체계 구축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미래 팬데믹과 질병 관리를 위한 선제적 준비로, AI 기술을 활용해 더 정교한 의료 서비스를 구현할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launched two task forces focused on upgrading pandemic response and utilizing AI innovation.
The initiative aims to enhance diseas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develop AI-driven models that will improve public health services.
This marks a significant effort in preparing for future pandemics and optimizing healthcare structures.
Summary This strategy could offer more precise medical services and ensure preparedness for possible pandemics through advanced AI-driven solutions.
日本語 韓国疾病管理庁は、感染症危機対応体制の高度化推進団と疾病管理AI革新推進団を発足しました。
感染症対応力の強化や、AI技術を活用したデータ科学革新を通じて、国民が実感できる疾病管理モデルの開発を目指しています。
これにより、将来のパンデミックへの備えと効率的な医療体系の構築が進む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新しい政策は、AI技術を活用して、より精密で効率的な医療サービスが提供される未来に貢献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韩国疾病管理厅宣布成立两个任务小组,致力于提高疫情应对体系并推进AI技术创新。
该计划旨在强化疾病管理能力,通过人工智能实现数据科学技术创新,开发更贴近民众需求的疾病管理模式。
这一举措有望加速未来疫情的应对工作和医疗体系的优化。
总评 此政策通过AI技术的应用,为公众健康管理提供更高效和精准的服务表现出潜力。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KDCA) ha inaugurato due task force: una per l’ottimizzazione della risposta alle pandemie e l’altra per l’innovazione attraverso l’AI.
L’obiettivo è migliorare le capacità di gestione delle malattie e sviluppare modelli basati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per una sanità più efficace.
Questo segna un passo importante verso una maggiore preparazione alle future pandemie e strutture mediche ottimizzate.
Valutazione Con l’applicazione dell’intelligenza artificiale, questa politica potrebbe garantire servizi medici più precisi e un’efficienza gestionale superiore per le malattie future.
최휘영 장관 “종묘 가치 훼손 우려…모든 수단 강구해 지킬 것”
요약보기
한국어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세계유산 종묘를 방문하여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에 따른 영향과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그는 종묘의 세계유산 가치를 강조하며 법령 개정과 새로운 법 제정을 통해 보존 및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총평 서울시의 개발 계획이 문화유산 보존 문제로 이어지고 있어 향후 발전 방향과 세계유산 보호 사이 균형을 맞추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English Minister Choi Huy-Young visited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 Jongmyo to discuss the impacts of Seoul’s redevelopment plan for Sewoon Shopping Center.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Jongmyo’s heritage value and committed to strengthening preservation laws, including introducing new legislation if necessary.
Summary Balancing urban development with the preservation of world heritage sites like Jongmyo remains a critical issue for Seoul.
日本語 崔輝英文化体育観光部長官は世界遺産である宗廟を訪れ、セウン商街再開発計画による影響と対策を議論しました。
彼は宗廟の世界遺産としての価値を強調し、関連法律の改正や必要に応じた新しい法律制定を推進すると述べました。
総評 都市開発と世界遺産の保護をどう両立させるかが今後の重要課題となります。
中文 文化体育观光部部长崔辉英访问了联合国教科文组织世界遗产宗庙,讨论了首尔市世运商街再开发计划的影响及对策。
他强调了宗庙的重要历史价值,并表示将通过法律修订及制定新法确保遗产保护和管理。
总评 城市开发与世界文化遗产保护之间的平衡问题是首尔未来必须解决的关键。
Italiano Il Ministro Choi Huy-Young ha visitato il sito patrimonio mondiale UNESCO di Jongmyo per discutere gli impatti del piano di riqualificazione del centro commerciale Sewoon a Seoul.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preservare il valore culturale di Jongmyo, proponendo di rafforzare le leggi esistenti e introdurre nuove normative se necessario.
Valutazione Il dilemma tra la modernizzazione urbana e la tutela dei patrimoni culturali rappresenta una sfida centrale per Seoul.
‘국가과학자’ 선정, R&D 전폭 지원…우수 과학기술인재 확보 속도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새로운 이공계 롤 모델인 ‘국가과학자’ 제도 신설과 연구자 생애 주기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불필요한 연구 행정 부담 제거와 연구비 관리 체계 개편 등으로 R&D 생태계를 효율적으로 혁신할 방안을 포함했습니다.
이를 통해 인재 유치와 연구 성과 창출에서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며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연구자들에게 안정된 환경을 제공해 연구 몰입을 돕고, 특히 신진 및 청년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a new model, the ‘National Scientist’ system, along with comprehensive support measures for researchers across their career lifecycle.
It aims to alleviate administrative burdens, reform R&D funding management, and establish a virtuous circle in attracting talent and fostering innovation.
The plan strives to position Korea as a global leader in science and technology.
Summary This initiative supports researchers with a stable environment for innovation and offers substantial opportunities, particularly for young and early-career scientists.
日本語 政府は新たな科学技術模範として「国家科学者」制度の導入と研究者への包括的支援策を発表しました。
研究負担の軽減や研究資金管理体制の改編を通じて、科学技術分野の効率と革新を促進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これにより韓国は科学技術大国への飛躍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本政策は研究者が費用や環境面で安定した条件で研究に専念できるようにし、特に若い世代の研究者に新たな機会を提供するものです。
中文 政府宣布设立“国家科学家”新制度,并推出涵盖研究者整个职业周期的支持政策。
该计划通过减轻行政负担和改革研发经费管理体系,旨在优化研发生态圈并推动科技创新。
目标是将韩国打造为全球领先的科学技术强国。
总评 此政策将为研究人员提供更安心的研发环境,并特别为青年和新兴研究人才创造更多机会。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l’istituzione del nuovo sistema “Scienziato Nazionale” e misure di supporto per i ricercatori lungo tutto il loro ciclo di carriera.
Il piano prevede la riduzione del carico amministrativo e la riforma del sistema di gestione dei fondi R&D per promuovere l’innovazione scientifica.
L’obiettivo è far avanzare la Corea come potenza leader nel campo della scienza e tecnologi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crea un ambiente ideale per i ricercatori e mira a offrire nuove opportunità, specialmente ai giovani e ai ricercatori emergenti.
이 대통령 “상상 못할 정도로 R&D예산 늘려…더 많은 국가역량 투입”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정부에서 삭감된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을 복구하고 대폭 확대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국민 보고회에서 그는 R&D 투자 확대와 함께 실패를 용인할 자유를 부여하며 연구 환경 개선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과학기술 발전에 필수 요소인 연구 환경과 자원을 확충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announced plans to restore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eviously reduced R&D budget.
During the national briefing session, he emphasized expanding R&D investments and foster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for failure in research.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research resources and encouraging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削減された科学技術R&D予算を復元し、大幅に拡大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国民報告会では、R&D投資の拡大と失敗を許容する自由を研究者に与える重要性を強調し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科学技術の進展を促進し、国の競争力を向上させる基盤を強化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宣布计划恢复并大幅增加之前被削减的科学技术研发预算。
在全国报告会上,他强调扩大研发投资,同时创造允许失败的研究环境以改善条件。
总评 这一政策将通过优化研究资源和鼓励创新,为国家竞争力提供强有力的支持。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comunicato l’intenzione di ripristinare e aumentare significativamente il budget per la ricerca e sviluppo (R&D) precedentemente ridotto.
Durante il briefing nazionale,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ampliare gli investimenti in R&D e di favorire un ambiente che tolleri il fallimento nella ricerca.
Valutazione Questo piano contribuirà a migliorare le risorse per la ricerca e a stimolare l’innovazione, rafforzando la competitività del paese.
공사기간 짧은 모듈러 공법 활성화…주택공급 속도 낸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공공주택 공급을 늘리고, 빠르고 안전한 모듈러공법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3000호 규모의 모듈러 공공주택을 발주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모듈러 기술과 AI 가전기술이 융합된 미래형 스마트주거공간을 홍보하며 관련 기술 개발과 법적 기준 정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총평 모듈러 주택 기술의 활성화는 짧은 공사기간과 안전한 작업 환경으로 국민들이 고품질 주택을 더 빨리 제공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plans to accelerate public housing supply by promot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s, which are fast and safe, with an annual target of 3,000 modular public housing units.
It is also advocating for futuristic smart housing spaces that integrate modular techniques with AI home appliances while working to establish legal standards and develop related technologies.
Summary Promoting modular hous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provide high-quality homes more quickly, thanks to reduced construction time and enhanced safety.
日本語 政府は安全かつ迅速なモジュラー工法による公営住宅供給を拡大するため、年間3000戸規模のモジュラー公営住宅の発注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さらに、モジュラー技術とAI家電技術を融合した未来型住居空間を提案し、関連技術開発と法律基準の整備を進めています。
総評 モジュラー住宅技術の推進は、安全性の向上や工期短縮を通じて高品質の住宅提供を加速させ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计划每年推进3000套模块化公共住房订单,以加速公共住房供应并采用快速安全的模块化建造技术。
同时正在推广融合模块化建筑技术与AI家电技术的未来智能居住空间,并推动相关技术开发和法律标准的制定。
总评 模块化住房技术的推广预计将凭借更短的施工时间和更高的安全性,为公民提供更优质的住房。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aumentare la fornitura di alloggi pubblici utilizzando tecnologie modulari sicure e rapide, proponendo la costruzione di 3.000 unità all’anno.
Contestualmente, si promuovono spazi abitativi futuristici che combinano moduli prefabbricati con elettrodomestici AI e si avanza nello sviluppo tecnico e nell’introduzione di norme giuridiche specifiche.
Valutazione La tecnologia modulare permetterà di abbreviare i tempi di costruzione e di garantire la sicurezza, facilitando l’accesso dei cittadini ad abitazioni di alta qualità.
한국·아세안 10개국, 스캠·인신매매 대응 국제 공조 작전 펼친다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 경찰청과 아세안 10개국이 초국가적 스캠 및 인신매매 대응을 위한 국제 공조 작전을 시작합니다.
이번 결의안 ‘브레이킹 체인스(Breaking Chains)’는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초국가 범죄 대응을 위한 한국과 아세아나폴 간 첫 공식 협력체계를 제도화한 것입니다.
총평 이 국제 공조는 지역 내 조직적 범죄 근절과 피해자 보호를 강화해 일상 속 안전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National Police Agency of Korea, along with ASEAN countries, has launched an international operation to combat transnational scams and human trafficking.
The resolution, “Breaking Chains,” was unanimously adopted, marking the first institutionalized cooperation framework between Korea and ASEANAPOL for addressing transnational crim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trengthen crime prevention and victim protection, contributing to enhanced safety in daily life within the region.
日本語 韓国警察庁とASEAN10カ国が国際スキャム・人身売買対応の国際協力作戦を開始しました。
「ブレーキングチェーンズ(Breaking Chains)」決議案は全会一致で承認され、韓国とASEANAPOL間の初の公式協力枠組みが制度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地域の安全を向上させるため、組織犯罪の撲滅と被害者保護を強化するもの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警察厅与东盟十国启动了应对跨国诈骗和人口贩卖的国际合作行动。
此次决议案“破链行动”获成员国一致通过,标志着韩方与东盟警察协会首次正式建立跨国犯罪合作框架。
总评 该合作行动旨在增强地区安全,打击组织犯罪,同时加强对受害者的保护,将对日常社会安保产生积极影响。
Italiano L’Agenzia di Polizia Nazionale della Corea e i dieci paesi ASEAN hanno avviato un’operazione internazionale per contrastare le truffe transnazionali e la tratta di esseri umani.
La risoluzione “Breaking Chains” è stata adottata all’unanimità, segnando la prima collaborazione ufficiale tra la Corea e l’ASEANAPOL per affrontare i crimini transnazion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ontribuirà a una maggiore sicurezza nella vita quotidiana, rafforzando la lotta contro i crimini organizzati e la protezione delle vittime.
11일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100세 용사 등 80명 방한
요약보기
한국어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을 맞아 14개국 참전용사와 유가족 80명이 한국을 방문합니다.
행사는 부산 유엔기념공원 참배를 비롯해 음악회 참석 등 다양한 일정으로 구성되며,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립니다.
총평 이 행사는 참전국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국제 사회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중요한 계기입니다.
English 80 veterans and family members from 14 countries are visiting Korea in honor of UN Veterans International Memorial Day.
The event includes tributes at Busan UN Memorial Cemetery and a concert to commemorate the sacrifices and dedication of the veterans.
Summary This initiative strengthens bonds with participating nations and acknowledges the international contributions to Korea’s freedom and peace.
日本語 14か国から80名の参戦者と遺族が、国連参戦勇士国際追悼の日を記念して韓国を訪問します。
釜山国連記念公園での献花や音楽会などを通じて、参戦者の犠牲と献身を讃える行事が行われます。
総評 この行事は、参戦国との連携を強め、国際的な協力と感謝を表す重要な機会です。
中文 14个国家的80名联合国参战老兵及家属因联合国老兵国际追悼日参访韩国。
活动包括釜山联合国纪念公园的献花仪式及音乐会,以纪念参战人员的牺牲和奉献精神。
总评 此举有助于加强与参战国家的联系,同时传递对国际社会支持的感激之情。
Italiano 80 veterani e familiari di 14 paesi stanno visitando la Corea per commemorare la Giornata internazionale dei veterani delle Nazioni Unite.
L’evento include omaggi presso il Cimitero commemorativo delle Nazioni Unite di Busan e un concerto per onorare il sacrificio e la dedizione dei veterani di guerr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fforza i legami con i paesi partecipanti e esprime gratitudine per il contributo internazionale alla libertà e alla pace della Corea.
황석영 작가, 문화훈장 ‘금관’ 수훈…젊은예술가상 등 33명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가 ‘2025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에서 총 33명의 수상자를 발표하며, 올해의 문화훈장 최고 등급인 금관을 황석영 작가에게 수여했습니다.
아울러 젊은 예술가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상자들에게 감사와 격려를 전달했습니다.
총평 이번 시상식은 한국 문화예술 발전의 기여자를 조명하며, 예술인들에게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한 다각적 지원을 약속한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cognized 33 individuals in the ‘2025 Cultural Arts Development Merit Awards Ceremony’.
This included the top-tier Gold Crown Cultural Medal awarded to novelist Hwang Sok-yong for his contributions to Korean literature.
Summary This recognition highlight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culture and arts, assuring future support for artists to foster a better creative environment.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2025年文化芸術発展有功表彰式」で33名を表彰し、最高級文化勲章である金冠を作家の黄晳暎氏に授与しました。
また、若い芸術家賞、文化芸術賞、芸術家の立派な親賞など、多様な分野で栄誉を授けました。
総評 今回の形式は文化芸術分野の貢献者を称え、自由な創作環境の支援を約束する重要なイベントといえます。
中文 韩国文化体育观光部在“2025文化艺术发展功勋颁奖典礼”上表彰了33名人士。
其中,最高荣誉金冠文化勋章授予了韩国文学家黄锡亨,以表彰其对文学发展的卓越贡献。
总评 此次表彰不仅表扬了重要贡献者,还承诺支持艺术家的创作环境,加强文化艺术可持续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premiato 33 individui nella cerimonia ‘2025 per il Merito dello Sviluppo delle Arti Culturali’.
Il massimo riconoscimento, il Gold Crown Cultural Medal, è stato assegnato allo scrittore Hwang Sok-yong per il suo contributo alla letteratura coreana.
Valutazione Questa cerimonia sottolinea quanto siano preziosi i contributi culturali e promette più supporto per promuovere un ambiente creativo per gli artisti.
올해 ‘K-푸드+’ 수출 전년 대비 5.7%↑…김치·라면 ‘강세’
요약보기
한국어 2023년 10월 농식품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0% 증가한 85억 9천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농산업 수출은 7.8% 증가한 26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라면, 김치, 포도, 아이스크림 등이 주요 품목으로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 확대를 이끌었습니다.
총평 한국 농식품과 농산업의 수출 증가는 국내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농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큰 긍정을 가져올 전망입니다.
English In October 2023, agricultural food exports increased by 5.0% year-over-year to $8.59 billion, and agricultural industry exports grew by 7.8% to $2.64 billion.
Main items leading the growth were ramen, kimchi, grapes, and ice cream under the K-Food Plus export initiative.
Summary The rise in exports of Korean agro-food and industry products indicates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benefiting both domestic producers and international consumers.
日本語 2023年10月の農食品輸出額は前年同期比で5.0%増の85億9千万ドル、農産業輸出額は7.8%増の26億4千万ドルを記録しました。
「K-フードプラス」輸出の拡大においてラーメン、キムチ、ぶどう、アイスクリームなどが主要商品として牽引しました。
総評 韓国農食品の世界競争力が強化され、生産者と国際消費者双方に恩恵をもたらす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2023年10月,农食品出口额同比增长5.0%,达85.9亿美元,农业产业出口额增长7.8%,达26.4亿美元。
泡面、泡菜、葡萄和冰激凌等主要商品推动了“K食品+”出口的扩大。
总评 韩国农食品和农业产业出口增长表明全球竞争力加强,有利于国内生产者和国际消费者。
Italiano A ottobre 2023, le esportazioni di alimenti agricoli sono aumentate del 5,0% rispetto allo scorso anno, raggiungendo 8,59 miliardi di dollari, mentre quelle del settore agricolo sono cresciute del 7,8% a 2,64 miliardi di dollari.
I principali prodotti come ramen, kimchi, uva e gelato hanno trainato l’espansione dell’export K-Food Plus.
Valutazione L’aumento delle esportazioni di prodotti agroalimentari coreani rafforza la competitività globale, apportando benefici sia ai produttori domestici che ai consumatori internazionali.
복지부, 소외 청년 비대면 상담앱 ‘마들랜’ 운영…익명·예약제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SNS 상담채널 ‘마들랜’을 통해 외부와 단절된 소외 청년들에게 익명·비대면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상담은 주 1회 기본 8회 제공되며 최대 13회까지 연장 가능하며, 전문 상담사가 청년의 정서적 특성을 고려해 진행합니다.
총평 이 서비스는 고립된 청년들이 익명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어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사회와의 연결을 회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at it is offering anonymous and remote mental health counseling for isolated youth through the SNS counseling channel ‘Madeleine’.
The counseling sessions, provided once a week for up to 8 sessions and extendable to 13, are carried out by professional counselors specialized in understanding the emotional needs of youth.
Summary This initiative can help isolated youth reconnect with society while accessing tailored mental health support in a stress-free way.
日本語 保健福祉部は、SNS相談チャネル「マドレラン」を通じて外部との接触が途絶えた孤立した若者に匿名・非対面の精神健康相談サービスを提供すると発表しました。
相談は週1回、基本8回提供され、最大13回まで延長可能であり、専門の相談員が若者の感情的特徴を理解した上で進められます。
総評 このサービスは孤立した若者が心理的な負担なく相談を受けられる環境を提供し、社会への再接続を促進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卫生福利部宣布,通过SNS咨询平台“Madeleine”为与外界隔绝的青年提供匿名、远程的心理健康咨询服务。
咨询每周提供1次,基本8次,可延长至最多13次,由专业顾问根据青年情感特性进行个性化辅导。
总评 该服务针对孤立青年,提供心理支持并帮助他们重新连接社会,是一个值得期待的举措。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Benessere ha annunciato un servizio di consulenza per la salute mentale anonima e a distanza per i giovani isolati attraverso il canale SNS ‘Madeleine’.
Le sessioni di consulenza, offerte una volta alla settimana per 8 incontri di base e prorogabili fino a 13, sono gestite da consulenti professionisti formati sulle esigenze emotive dei giovani.
Valutazione Questo progetto può offrire agli giovani isolati un supporto psicologico personalizzato, aiutandoli a ritrovare il collegamento con la società.
잊지 말아야 할 ‘여성 독립운동가들’…무료 강연·답사 프로그램 마련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유산청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헌신과 역사를 조명하는 인문교양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강연과 답사를 통해 독립운동 현장을 돌아보며 여성 지도자들의 치열하고 숭고한 삶을 기릴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프로그램은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기억하면서 역사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자긍심을 높일 기회를 제공합니다.
English Korea Heritage Agency announced a free humanities program to commemorate the 80th anniversary of Korean liberation and honor the spirit of women independence fighters.
The program includes lectures and guided tours to revisit historical sites and shed light on the noble lives of women leaders.
Summary This initiative offers an excellent chance to reflect on the sacrifices of independence fighters and deepen historical understanding.
日本語 国家遺産庁は韓国解放80周年を記念し、女性独立運動家たちの献身と歴史を振り返る無料インテリ講座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講座では演説や巡礼体験を通して独立運動の歴史的な舞台を訪問し、女性リーダーたちの崇高な人生を伝える予定です。
総評 このプログラムは歴史的理解を深めながら、独立の精神と誇りを共有する有意義な機会となります。
中文 国家遗产厅宣布推出免费的人文教育项目,以纪念光复80周年并追忆女性独立运动家的奉献与历史价值。
项目包括讲座和历史现场的导览活动,以帮助参与者了解女性独立斗士们的光辉事迹。
总评 此项目为普通市民提供了纪念与学习历史的良机,促进了对独立斗争精神的珍视与传承。
Italiano L’Agenzia del Patrimonio Nazionale ha annunciato un programma gratuito di cultura umanistica per celebrare l’80º anniversario della liberazione, onorando la memoria delle donne combattenti per l’indipendenza.
Il programma prevede conferenze e visite guidate a siti storici per ricordare il coraggio e i sacrifici di queste donne eroiche.
Valutazione Un’opportunità preziosa per approfondire la conoscenza storica e valorizzare il sacrificio delle leader dell’indipendenza nazionale.
“준 국가유공자 보훈수당 늘려야”…권익위, 보훈부·지자체에 권고
요약보기
한국어 국민권익위원회는 지원공상군경 등을 대상으로 보훈수당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국가보훈부와 지방자치단체에 제안했습니다.
전국 조사 결과, 121개 지자체가 지원공상군경 등에 대해 보훈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국민권익위는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례 제정 지침 마련과 정보 공유를 요청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보훈 혜택 사각지대를 줄이고 지원공상군경 등과 유가족의 권익 보호를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has proposed measures to expand veteran compensation for supported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their familie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121 local governments did not pay compensation to these individuals, and the commission suggested creating clear guidelines to address disparities.
Summary These actions aim to reduce gaps in veteran benefits and ensure fair support for all eligible individuals and families.
日本語 国民権益委員会は支援公傷軍警などへの援護手当拡大を目指した計画を策定し、国家報勲部と地方自治体に提言を行いました。
調査の結果、121の自治体が支援公傷軍警などへの手当を支給していないことが分かり、それによる不均衡問題へ対応するため具体的な指針の策定を求めました。
総評 本施策は報勲の恩恵を公平に届け、支援公傷軍警やその家族の権益保護を強化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国家权益委员会提出扩大支持公共服务军警及其家属的优抚津贴方案。
调查显示,121个地方政府未向相关人员支付优抚津贴,委员会建议制定明确的指引以解决福利差异问题。
总评 此举有望减少优抚福利领域的盲点,保障相关人员及其家属的权益。
Italiano La Commissione per i Diritti Civili ha proposto l’espansione delle indennità per il personale militare e civile supportato, inclusi i familiari.
Un’indagine ha rilevato che 121 comuni non fornivano indennità a questi individui, sollecitando la creazione di linee guida per risolvere le disparità.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garantire un trattamento equo e una maggiore protezione dei diritti delle persone e delle loro famiglie interessate.
질병 사유 병역면제자 최대 3년 간 치료 이력 추적
요약보기
한국어 병무청은 병역 면제를 받은 이들의 허위 진단 악용을 차단하기 위해 질병 치료 이력을 최대 3년 동안 추적·검증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제도는 지난 9월 19일부터 시행되었으며, 병역 면탈 방지와 공정성 강화를 목적으로 진료기록 제출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총평 이번 제도는 병역 면탈자의 부정행위를 예방하고 병역 수행의 공정한 환경을 조성해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has implemented a system to track and verify the medical records of those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for up to three years.
This system, effective since September 19, aims to prevent fraudulent use of false diagnoses and enhance fairness by enabling requests for medical record submission.
Summary This system helps curb draft dodging and promotes fairness in military service, restoring public trust in the system.
日本語 兵務庁は免除された兵役者を対象に最大3年間の治療記録を追跡・検証する制度を導入しました。
この制度は9月19日から施行され、虚偽診断による兵役逃れを防ぐため、診療記録の提出を求める法的根拠も整備されました。
総評 この制度は兵役免除者の不正行為を事前に防ぎ、兵役の公平性を向上させるだけでなく、信頼回復にも寄与するでしょう。
中文 兵务厅已启动一项系统,追踪和验证免除服兵役人员最长三年的医疗记录。
该系统自9月19日起实施,旨在防止虚假诊断导致的逃避兵役行为,并通过要求提供医疗记录提高兵役的公平性。
总评 此制度将有助于有效防止逃避兵役行为,同时重建公众对兵役系统的信任。
Italiano L’Amministrazione Militare ha attuato un sistema per monitorare e verificare i registri medici di coloro esentati dal servizio militare fino a tre anni.
Questo sistema, in vigore dal 19 settembre, mira a prevenire l’abuso di diagnosi false e a migliorare la trasparenza attraverso la richiesta di documentazione sanitaria.
Valutazione Questo sistema contribuisce a prevenire frodi e a garantire equità nel servizio militare, rafforzando la fiducia pubblica.
떼먹은 임금 2조 원 “체불은 절도”…2030년까지 절반으로 줄인다
요약보기
한국어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개정 ‘근로기준법’이 지난 10월 23일부터 시행됐습니다.
새 법안은 피해 노동자가 체불임금의 최대 3배까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상습체불사업주의 경우 신용정보 기관 공유, 금융 불이익, 정부 지원 제한 등 강력한 제재를 포함합니다.
퇴직급여 체불 방지를 위한 ‘퇴직연금’ 의무화와 명단 공개사업주의 반복적 체불 시 반의사불벌죄 배제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총평 이 법 개정으로 노동자들의 임금 체불 피해가 줄어들고 생계 안정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amended Labor Standards Act aimed at eradicating wage arrears has been enacted since October 23.
Under the new law, affected workers can claim up to triple compensation for unpaid wages, while habitual offenders face penalties like credit information sharing, financial disadvantages, and restrictions on government support.
Additionally, measures such as mandatory retirement pension schemes and removing prosecutorial discretion for repetitive offenders are included.
Summary This amendment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reduce wage arrears and enhance the livelihood security of workers.
日本語 10月23日より、賃金不払い問題を撲滅するための改正「労働基準法」が施行されました。
改正法では、不払いの被害を受けた労働者が最大3倍の損害賠償を請求する権利を持ち、常習的な不払い事業主には信用情報共有や政府支援の制限など厳しい制裁が科されます。
また、退職手当の不払い防止を目的に「退職年金」の義務化や、再犯事業主への不起訴特例の適用除外などの措置も含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改正法は、賃金不払いの被害を減らし労働者の生活の安定に寄与する期待が持てます。
中文 自10月23日起,旨在杜绝工资拖欠问题的《劳动基准法》修订版已开始实施。
新修订法允许受害劳动者对拖欠工资索赔最高达三倍赔偿,同时对惯性拖欠工资的企业实施信用信息共享、融资受限以及政府支持限制等严厉措施。
此外,还包括强制性退休金制度以及针对重复拖欠行为取消诉讼豁免权的内容。
总评 此修订预计将显著减少工资拖欠问题,并有效提高劳动者的生计保障。
Italiano Dal 23 ottobre è entrato in vigore il nuovo ‘Codice del Lavoro’ per combattere il mancato pagamento degli stipendi.
La legge consente ai lavoratori colpiti di chiedere un risarcimento fino a tre volte gli stipendi non pagati, mentre i datori abituali subiscono penalità come la condivisione delle informazioni di credito e la limitazione al sostegno governativo.
Altre misure includono la pensione obbligatoria per i lavoratori e l’eliminazione della discrezionalità legale per i recidivi.
Valutazione Questa riforma promette di ridurre i casi di mancata retribuzione, migliorando la stabilità economica dei lavoratori.
요약
원문보기
질병관리청이 미래 팬데믹 대비와 데이터 기반 질병관리 혁신을 위해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체계 고도화 추진단과 질병관리 인공지능(AI) 혁신 추진단을 발족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초고령화, 글로벌 이동 증가, AI 기술 발전 등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코로나19 팬데믹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질병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을 담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1.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체계 고도화 추진단**
–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이 단장을 맡아 구성.
– 감염병 위기 상황에 맞춰 방역 체계 정비, 의료병상 활용 효율화, 감염병 전문병원 및 관리기관 구조화, 의료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
– 법제도 정비를 통해 내년 하반기까지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
2. **질병관리 인공지능(AI) 혁신 추진단**
– 질병청의 방대한 건강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기술을 결합하고 데이터 과학 혁신에 집중.
– ‘공공AX 프로젝트’를 통해 국민체감형 AI 모델을 개발하고 데이터 결합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2027년까지 구축할 계획.
– 목표는 유전체, 감염병, 만성질환 등 데이터를 종합해 고부가가치 건강 데이터셋 생성.
### 질병청의 비전
임승관 청장은 팬데믹 대응 체계의 지속적인 개편과 AI 기술 활용을 통해 국가 경쟁력과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자산으로 삼아 미래 사회환경 변화에 유효한 질병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 질병청 연락처
–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체계 고도화 추진단: 043-719-9152
– 질병관리 인공지능 혁신 추진단: 043-719-7974
질병청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질병 관리 혁신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앞으로의 변화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보기
**문화체육관광부, 세운상가 재개발로 인한 세계유산 종묘 가치 보호 대책 점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세계유산 종묘를 방문해 서울시의 세운상가 재개발계획이 종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점검했습니다. 문체부는 장관의 현장 방문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법령 개정과 새로운 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 서울시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과 종묘 훼손 문제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을 통해 건축물 최고 높이를 기존 70m에서 145m로 변경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종묘를 직접적으로 둘러싼 환경 변화로 인해 해당 세계유산의 상징적 가치 훼손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6일 대법원은 문체부가 제기한 서울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 무효확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리며 논란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종묘는 조선 왕실의 위패가 모셔진 신성한 장소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첫 번째 유산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문화계 인사와 시민은 종묘 가치가 훼손될 가능성과 세계유산 목록 삭제 가능성을 염려하고 있습니다.
### 최휘영 장관, 긴급 대응책 추진
최휘영 장관은 허민 국가유산청장과 함께 종묘를 방문하며 “종묘는 단순한 역사적 유산을 넘어 대한민국 문화강국의 자부심을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라고 강조하며 현재 상황에 깊은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최 장관은 관련 법령인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및 ‘세계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하거나 필요할 경우 새로운 법령 제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허 청장에게 신속한 대응 조치를 준비할 것을 지시하며 종묘 보호를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 향후 대응 방향
문체부는 문화재 보호와 활용에 대한 강력한 정책 수립을 통해 종묘의 가치를 지켜낼 계획입니다. 특히 세운상가 개발로 인해 종묘가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잃지 않도록 국내외 전문가와 협력하며 지속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문체부는 문화유산 보호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며 시민 및 문화계와 함께 대한민국의 역사적 자산을 지켜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관(044-203-2513)
원문보기
### [정부, 과학기술 강국 도약 위한 이공계 인재 육성 및 R&D 혁신 발표]
한국 정부가 과학기술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이공계 인재 육성 전략과 연구개발(R&D)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7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이를 상세히 소개하며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 정체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 **’국가과학자’ 제도 신설로 우수 인재 육성**
정부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가진 연구자 20명을 ‘국가과학자’로 선정해, 대중에게 존경받는 과학자상을 정착시키고 국가 R&D 리더로서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인공지능(AI) 시대에 맞춘 연구자를 육성하고, AI와 과학기술을 접목한 융합형 ‘양손잡이 인재’를 키우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과학 영재학교 확대 및 지역 혁신 허브 전환 등을 통해 추진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2030년까지 해외 우수 연구자를 2,000명 유치하고 국내 이공계 대학원 장학금 수혜율을 현재 1.3%에서 10%로 대폭 확대하는 등 인재 양성을 강화합니다.
### **R&D 생태계 개선 및 지원 확대**
정부의 이번 발표는 연구자들이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연구비 관리 체계를 자율·책임 중심으로 전환하고, 연구자 행정 부담을 제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았습니다. 연구비 직접비의 자율 사용 비율을 10%로 확대하며, 기존 간접비 운영 방식은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됩니다. 또한, 연구 기관이 장비 관리와 연구행정을 책임지는 블록펀딩과 연구지원체계가 도입됩니다.
출연연구기관의 안정성을 위해 PBS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며, 연구성과를 충실히 뒷받침하기 위해 예산을 매년 정부 총지출 대비 5% 수준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 **평가 체계 및 도전 연구 환경 조성**
기존의 목표 달성 기준 평가등급제를 폐지하고 정성평가로 전환하며, 평가위원 실명제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실패도 가치 있는 자산으로 인정하는 ‘실패의 자산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간 전문가들에게 연구 과제 전주기 책임 운영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도전과 혁신의 지평을 넓히는 체계를 구축합니다.
### **연구 데이터 공유 및 지역 R&D 체계 강화**
정부는 R&D 과제에서 생성되는 수많은 연구 데이터를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 시스템 구축을 발표했습니다. 지방정부는 지역 자율 R&D 체계를 도입하고, 거점 대학을 과기원 수준으로 확대하여 지역 연구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 **35조 원 R&D 예산 사용 최적화**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 원의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인재가 연구에 몰두하고 혁신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정부가 제시한 이번 종합 대책은 인재 육성과 연구자 지원, R&D 생태계 혁신을 통해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 R&D 예산 대폭 확대 강조**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7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 보고회 및 토론회에서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그는 “이전 정부에서 삭감된 R&D 예산을 원상 복구할 뿐 아니라, 더 많은 국가 자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하며, R&D 투자가 대한민국 미래 경쟁력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이번 정부는 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하여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앞서 2026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도 AI, 콘텐츠, 방위산업 등 첨단 전략산업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해 R&D 예산을 35조 3,000억 원으로 늘렸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9.3% 증가한 수치로, 첨단 기술 개발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잡았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학습과 교육이 지금의 선진국 도약을 가능하게 했다고 평가하며, “국가도 공부를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과학기술에 투자한 나라들이 번영을 이루었음을 상기시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실패를 수용하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현재 R&D 성공률이 90%를 초과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결과가 보장된 연구만 집착하지 않고 보다 도전적인 연구에 힘써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패를 용인하고 혁신적인 분야에 매진해야 진정한 연구 성과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국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젊은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연구에 몰두하며 국가와 함께 성장해 갈 것을 희망하며, 정부가 든든한 지원체계로서 뒷받침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정책의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며,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확인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출처: [연합뉴스], [korea.kr]
원문보기
### 정부, 모듈러공법으로 공공주택 공급 속도 낸다
국토교통부는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해마다 3,000호 규모의 모듈러 공공주택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이를 위해 모듈러공법의 활성화와 홍보를 강화하며, 관련 기술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 모듈러공법의 특징과 장점
모듈러공법은 주요 구조물을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기존 현장 중심 방식 대비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 **공사기간 단축**: 공사기간 20~30%가량 절감 가능.
– **안전성 향상**: 고소작업 감소로 안전사고 위험 축소.
– **품질관리 강화**: 기상 악화 등 현장의 영향을 적게 받아 일관된 품질 보장.
– **인력 효율화**: 현장 투입 인력을 최소화해 숙련인력 부족 문제와 고령화 대처.
#### 스마트 기술 융합과 신속한 공급
정부는 삼성전자와 협력해 모듈러공법에 AI 기술을 접목한 미래형 스마트 주거공간을 제시하며,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 기간 동안 이를 홍보했다. 전시된 모듈러주택은 AI 가전을 비롯해 IoT 기반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공간을 제공해 관람객들이 미래 주거 환경을 체험하도록 했다.
#### 법적 기준 정립과 기술 지원
정부는 OSC·모듈러 특별법을 제정해 설계, 감리, 품질관리 등의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규제를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250억 원 규모의 R&D 사업을 통해 모듈러주택의 고층화와 단지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지원 중이다.
#### 정부의 목표 및 의지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모듈러 기술은 주택 품질과 건설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기회”라며, “모듈러주택 활성화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택을 신속히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모듈러공법을 중심으로 한 기술적, 법적,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하며 주택 부족 문제와 건설현장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원문보기
### 한국 경찰청, 아세안 10개국과 초국가적 범죄 대응 공조 강화
한국 경찰청과 아세안 10개국이 초국가적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경찰청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43차 아세아나폴(ASEANAPOL)’ 총회에서 대한민국이 제안한 ‘초국가 스캠·인신매매 대응 국제 공조 작전(Breaking Chains)’ 결의안이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채택됐다고 6일 발표했다.
#### 주요 내용:
1. **결의안 채택 배경 및 목표**
결의안은 국경을 초월하는 스캠센터 운영, 인신매매 및 온라인 사기 등 초국가적 범죄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협력 체계 마련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결정은 한국 경찰청과 아세아나폴 간 공조를 제도화한 첫 공식 조치로 이루어진다.
2. **협력 대상 국가**
아세아나폴의 10개 회원국은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으로, 이들 국가가 이번 공조 작전에 참여한다.
3. **국제 협력 확대**
이번 결의안 채택으로 아세아나폴은 단순한 협의 중심 기구에서 정보 공유, 공조 수사, 피해자 보호에 이르는 실행 기반 국제공조 플랫폼으로 역할이 확대될 예정이다. 회원국들은 신흥 범죄 양상에 대한 공동 대처의 필요성을 인정하며 전원 찬성으로 결의안을 승인했다.
#### 차후 계획 및 기대 효과:
– **첫 공조 작전회의 개최**
경찰청은 서울에서 오는 11일 ‘브레이킹 체인스’ 국제 공조 작전회의를 개최하고 실질적인 사업 계획 및 초국가 범죄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한-아세안 협력기금 활용**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활용해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정보 공유 체계 구축과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 **초국가 범죄 근절**
이번 결의안은 초국가적 범죄 대응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피해자 보호와 지역 내 조직적 범죄 근절에 기여할 것이다.
#### 경찰청의 역할 및 전망:
이재영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이번 ‘브레이킹 체인스’ 결의안 채택이 경찰청과 아세아나폴 간 국제공조의 새로운 이정표”라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아세아나폴과 협력하여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 관련 문의:
– **경찰청 국제협력관 국제공조담당관실**
(전화번호: 02-3150-2178)
한국 경찰청이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다자간 협력을 주도함으로써 아세아나폴 내 최초의 국제공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결의안은 큰 의의를 가진다.
원문보기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재방한 초청행사: 14개국 참전영웅과 유족, 한국 방문**
국가보훈부는 오는 11월 8일부터 13일까지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을 기념하며 14개국 유엔참전국의 참전용사와 유가족 등 총 80명을 한국으로 초청하는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초청자 중에는 참전용사 13명, 참전용사 유가족 41명, 전사 및 실종장병의 유족 26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행사의 주요 내용**
초청 대상국은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참전용사가 안장된 미국, 영국, 콜롬비아, 튀르키예, 벨기에 등 14개 국가이며, 행사는 부산에서 열리는 유엔기념공원 참배 및 국제추모의 날 기념식, 서울에서 진행되는 문화행사 및 감사 오찬 등으로 구성됩니다.
재방한단은 8일 입국한 후 전쟁기념관 방문 및 전사자 기념비 헌화를 시작으로 부산으로 이동해 11월 11일 추모 행사와 오찬에 참석합니다. 이후 서울로 이동하여 창덕궁과 문화 프로그램을 관람하고, 여의도 KBS홀에서 열리는 ‘유엔참전용사, 영웅을 위한 음악회’에 참여한 뒤 13일 출국할 예정입니다.
**참전국 영웅들의 특별한 사연**
– **콜롬비아:** 최고령 참전용사인 루이스 A. 가르시아 벨란디아(100세)는 콜롬비아 제4대대 소속으로 불모고지 전투에 참전했습니다. 해당 전투는 중국군 약 600명을 사살하며 전과를 올렸지만, 콜롬비아군 역시 220여 명이 전사, 부상, 실종되는 큰 희생을 겪었습니다.
– **네덜란드:** 빌럼 프레데릭 판 스트라렌 참전용사는 6·25전쟁 후 72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합니다. 당시 그는 북한 황해도 인근 해역에서 지원사격 임무를 수행하며 부상병과 피난민들을 이송하는 기억을 떠올렸습니다.
– **튀르키예:** 아직도 유해를 찾지 못한 참전용사 유가족들도 방한합니다. 오스만 조쉬쿤 참전용사의 딸은 아버지의 유해를 찾아 유엔기념공원에 모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으며, 또 다른 유족인 이브라힘 카라테킨의 아들은 아버지의 흔적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행사의 의미와 정부의 의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참전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은 대한민국 역사에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며, “정부는 유족에 대한 보답과 참전국과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국제보훈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한국전쟁 당시 유엔의 깃발 아래 희생한 참전영웅들의 업적을 기리고, 그들의 가족과 참전국들과의 연대를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 총 33명 수상자 발표**
문화체육관광부는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의 뛰어난 활약으로 한국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에게 포상을 수여했다. 시상식은 10월 7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정부포상의 최고 훈격인 **문화훈장**과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이 시상되었다.
### 주요 수상자 및 시상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문화훈장** (총 17명 수여)
– **최고 등급 금관**: 황석영 작가
–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로, <장길산>, <바리데기>, <삼포 가는 길> 등 작품이 민중의 삶을 깊이 있게 묘사하며 한국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확충. 최근 <철도원 삼대> 등이 해외에서 주목받으며 한국문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인 공로를 인정받아 금관을 수훈했다.
– **은관 문화훈장**: 김화영 명예교수, 한태숙 연극연출가 등 4명
– 한국문학 번역과 문화 교류, 연극 및 미술의 독창성 정립, 건축유산 창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헌이 평가됨.
– **보관, 옥관, 화관 문화훈장**: 권영민 명예교수, 만화가 김형배, 첼로 연주자 양성원 등을 포함해 다양한 예술 분야 인물들에게 수훈.
####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총 5명 수여)
– 대통령 표창과 함께 상금 1000만 원 증정.
– 문학 부문: 은희경 소설가
– 음악 부문: 최우정 교수
– 미술 부문: 고 박영숙 사진작가 등 5명(단체 포함).
####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총 8명 수여)
– 문체부장관 표창과 상금 500만 원 증정.
– △ 박천휴 작가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창작)
– △ 김준수 국립창극단 단원
– △ 성해나 소설가 등 8명 선정.
####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 (총 3명 수여)
– 자녀를 훌륭한 예술가로 성장시킨 부모를 대상으로 문체부장관 감사패 및 400만 원 상당의 부상 증정.
– △ 송가인의 어머니 송순단 님
– △ 드럼 연주자 이태양 씨의 어머니 김혜영 님 등.
### 문체부 주요 발언 및 정책 강조
김영수 문체부 차관은 수상자들에게 축하를 전하며, 예술 창작 환경 조성과 미래세대 예술인 성장 지원을 위한 제도적 노력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문화강국 대한민국” 실현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정책적 뒷받침을 다짐했다.
—
이번 시상식은 한국문화예술의 현재와 미래를 밝히는 자리로, 수상작과 인물들은 새로운 창작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한국 문화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원문보기
### 2025년 10월,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 증가세 기록
2025년 10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해 112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 중 농식품 수출은 85억 9천만 달러로 5.0% 증가했으며, 농산업 수출은 26억 4천만 달러로 7.8% 증가했습니다.
—
### 농식품 수출 증가 요인
농식품 수출 증가를 주도한 품목은 **라면, 조제품 기타, 김치, 포도**로, 아래와 같은 주요 요인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1. **라면**: 중국, 일본, 미국 등 소비 확대와 다양한 유통망의 성장으로 21.7% 증가.
2. **조제품 기타**: 이너뷰티 제품 등 건강기능식품 수요 확산에 따른 13.6% 성장.
3. **김치**: 일본·캐나다·대만에서의 발효식품 관심 증가로 6.4% 상승.
4. **포도**: 생산량 증가 및 대만 수출용 ‘사전등록제(ID)’ 정착으로 대만 수출이 50.9% 확대.
5. **아이스크림**: 하절기 디저트 수요 증가 및 글로벌 유통망 확대로 22.1% 상승.
지역별로는 **중동, 유럽연합, 북미**에서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중동 지역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의 성장세가 높았습니다.
—
### 농산업 수출 증가 요인
농산업 수출은 **동물용의약품, 농약, 비료, 종자** 등의 주요 품목이 골고루 성장하며 7.8%의 확대를 보였습니다:
1. **동물용의약품**: 유럽 지역에서 중국산 라이신 대체 수요 증가로 24.9% 증가.
2. **농약**: 베트남·중국·인도네시아 중심으로 완제품 수요가 늘어나며 16.0% 상승.
3. **비료**: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 신뢰도 증가와 국제 가격 상승으로 10.5% 확대.
4. **종자**: 한국산 고추 종자를 중심으로 미국·중국 시장에서 9.9% 수출 증가.
—
### 정부의 수출 촉진 노력
농림축산식품부는 연말까지 글로벌 마케팅 강화와 수출기업 지원을 통해 연간 수출액 **140억 달러 목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은 품목별 전략적인 시장 확대를 강조하며 국제 무대에서 케이-푸드 플러스의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이번 성과는 한국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의 글로벌 시장 내 인지도 상승과 소비 트렌드 대응이 성공적으로 결합된 결과로 평가됩니다.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케이-푸드 플러스의 글로벌 행보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원문보기
**SNS 상담채널 ‘마들랜’, 외부 단절 청년 대상 비대면 정신건강 지원**
보건복지부가 외부와 단절된 소외 청년층을 대상으로 SNS 상담채널 ‘마들랜(마음을 들어주는 랜선친구)’을 통해 정신건강 지원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운영하며, 지난 10월 22일부터 시범 운행 중이다. 고립·은둔 청년 등 외부와의 접촉이 어려운 이들을 위해 익명·비대면 방식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들랜’은 청년층에 익숙한 SNS 형태로 운영되며,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예약해 개별 생활 패턴에 맞춘 상담이 가능하다. 회원가입 과정에서도 전화번호 본인 인증만 요구하며 실명 정보를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을 보장한다.
상담은 주 1회씩 기본적으로 8회 제공되며, 필요 시 최대 13회까지 연장이 가능하다. 상담은 관련 전문 교육을 이수한 상담사가 맡아 청년의 상황과 정서를 충분히 이해한 뒤 진행된다.
보건복지부 이상원 정신건강정책관은 “SNS 기반 상담은 단절된 청년층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창구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청년들이 정신적 위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기대감을 전했다.
해당 서비스는 플레이스토어 및 앱스토어에서 ‘마들랜’ 앱을 다운로드 후 회원가입과 예약 버튼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
문의: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 자살예방정책과 (044-202-3899)
원문보기
국가유산청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업적을 조명하기 위해 특별 인문교양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이 진행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그들의 시간을 기억하다 – 잊지 말아야 할 여성 독립운동가들’*이라는 주제로, 오는 21일과 28일 두 차례 운영됩니다.
### 주요 내용:
1. **교육 프로그램 일정 및 신청 안내**
– 시행일: **2025년 3월 21일, 3월 28일 (매주 금요일)**
– 참가비: 무료
– 신청기간: **2025년 3월 10일 오전 10시 ~ 20일 오전 11시**
– 신청방법: 전통문화교육원 누리집([https://knuh.ac.kr/hei](https://knuh.ac.kr/hei))에서 선착순 접수 (회차 당 25명).
2. **프로그램 구성**
– **21일:** 서울 강동구 전통문화교육원 서울학습관에서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주제로 한 강연 진행.
– 강사: 강혜영 경일대학교 초빙교수.
– 주요 독립운동가: 윤희순, 정정화, 권기옥, 김마리아 열사 등.
– **28일:** 서울 중구와 서대문구에서 역사탐방 프로그램 운영.
– 방문지: 정동제일교회, 이화박물관, 서대문형무소 등 여성 독립운동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
### 의미와 기대
국가유산청은 이번 프로그램이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용기와 헌신을 되새기고, 광복의 의미를 전달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앞으로도 전통문화 교육을 통해 국가유산의 공공성을 확대하며 국민과 가까워지는 노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문의처
자세한 사항은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기획과 (041-830-7828)**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지자체 보훈수당 지급 확대 기대… 사각지대 해소 방안 마련**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등’으로 등록된 지원공상군경 및 그 유가족을 대상으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보훈수당 지원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1월 7일 관련 방안을 마련해 대책을 국가보훈부에 요청했으며, 지자체에도 보훈수당 지급을 검토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을 권고했다.
—
### **지자체 보훈수당 미지급 실태 조사**
국민권익위가 전국 238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한 결과, 지원공상군경과 그 유가족에게 보훈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지자체는 121곳으로 드러났다. 주요 미지급 사유로는 ▲재정 부족(37.8%) ▲지원 대상 여부에 대한 인식 부족(21%) ▲보훈수당 지급 필요성 및 당위성 부족(9.2%) 등이 있었다.
특히 일부 지자체는 수당 지원 대상·금액의 차이로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며 국가 차원의 통일된 지침을 요청했다.
—
### **지원 공상군경 대상의 현 위치와 혜택 범위**
지원공상군경은 군 복무나 국가 공무수행 중 사망하거나 상이를 입었지만, 본인의 과실 등으로 국가유공자로 등록되지 못한 이들이다. 이들은 과거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로 등록되었으나, 법령 개정 이후 기존 등록자는 종전 규정에 따른 혜택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자체에서 보훈수당 지급 대상에서 누락되며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
### **국민권익위의 권고와 제도 개선 방향**
국민권익위는 지자체 보훈수당 지급과 관련된 불균형과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국가보훈부에 제안했다:
– 조례 제정 지침 마련 및 배포
– 지자체 보훈 담당자 대상 정기적 교육
– 지원공상군경 대상 정보 공유 및 보훈수당 신청 안내 등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
또한, 보훈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121개 지자체는 지급 필요성을 검토하고 단계를 거친 확대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받았다.
—
### **책임 있는 예우와 지원 필요성 강조**
양종삼 국민권익위 고충처리국장은 “국가보훈대상자 및 그 유가족에 대한 예우와 지원은 국가와 지자체의 책무이며, 억울하게 보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세심히 살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와 권고를 계기로 지원공상군경과 그 유가족에 대한 예우와 지원이 강화되길 기대된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통일된 기준 마련과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문의: 국민권익위원회 국방보훈민원과 (044-200-7370)
[출처: 공식 보도자료 www.korea.kr]
원문보기
**병역면탈 방지를 위한 병적 별도관리자 질병 추적관리 제도 시행**
병무청이 허위 질환을 통한 병역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병적 별도관리자 질병 추적관리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병역면제를 받은 병적 별도관리자의 질병 치료 이력을 최대 3년 동안 추적·검증하며, 의료기관 등으로부터 진료기록 제출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 주요 내용
– **제도의 목적**: 병역면탈 악용 사례를 차단하고 병역 이행의 공정성과 신뢰를 높이는 데 초점.
– **추적관리 기간**: 병역 면제 이후 최대 3년 동안 질병 치료 이력을 지속적으로 검증.
– **법적 근거 마련**: 의료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진료기록을 요청할 수 있도록 의료법 개정.
### 배경 및 필요성
2017년 병적 별도관리제도 시행 이후 연예인, 스포츠 선수 등 사회적 관심 대상자 중 34명이 병역면탈 사례로 적발되었다. 특히 면제 이후 치료가 중단되는 반복적 병역면탈 수법이 문제가 되어왔다. 올해 들어 병역의무자가 뇌전증을 위장해 병역면제를 받은 사건이 발생하면서 제도적인 보완이 더욱 시급히 요구됐다.
### 기대 효과
– 질병 치료를 위장한 병역면탈 사례를 사전에 예방.
– 면제 처분 후에도 진료기록을 추적·관리함으로써 병역 이행의 공정성을 강화.
– 개인정보 침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실효적인 검증 가능.
### 병무청의 계획
– 안정적 제도 운영을 위해 병역이행 실태를 분석하고 관계기관과의 협업체계를 강화할 방침.
– 국민적 신뢰 회복을 위한 공정 병역문화 캠페인을 병행하여 홍보를 확대할 예정이다.
홍소영 병무청장은 병역면탈이 국민 신뢰를 크게 훼손하는 중대한 행위라고 지적하며, 사회적 관심 인사가 모범적으로 병역을 이행하는 병역 문화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
국민들은 병역면탈 제도와 관련해 병무청 병역자원국 병역조사과(042-481-2891)로 문의 가능하다.
원문보기
##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개정 ‘근로기준법’ 본격 시행: 주요 변화와 대책
지난 10월 23일부터 개정된 ‘근로기준법’이 시행되며, 임금체불 문제 해결을 위한 한층 강력한 법적 및 구조적 대책들이 마련되었습니다. 이제 임금체불 피해 노동자는 체불임금의 최대 3배까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상습적인 임금체불 사업주에 대한 경제적 제재와 형사처벌도 대폭 강화됩니다.
### 주요 변화 및 법적 강화 방안
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시행**
– 임금 체불 피해 노동자는 기존 진정 절차와 별도로 법원에 최대 3배 수준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명백한 고의성이나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며, 피해자의 법적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 **상습 체불 사업주에 대한 제재 강화**
– 3개월분 이상의 임금을 체불하거나 총 3000만 원 이상의 임금을 체불한 상습체불사업주는 신용정보기관에 정보가 공유되어 금융거래 시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조·지원사업 참여도 제한되며, 해외 출국이 금지됩니다.
– 명단 공개와 더불어, 반복적 체불 사업주는 피해자가 처벌 의사를 표하지 않아도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반의사불벌죄 배제).
3. **지연이자 및 퇴직연금 의무화**
– 퇴직자에게만 적용되던 지연이자가 재직자까지 확대되며 연 20%의 지연이자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 퇴직금 체불 방지를 위해 단계적으로 2027년부터 ‘퇴직연금 의무화’를 시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퇴직금 체불 문제를 구조적으로 개선합니다.
###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구체적 대책
– **임금체불 집중 감독 확대**
9월 발표된 ‘임금체불 근절 대책’에 따라 노동부는 연말까지 체불 청산율 87%를 달성하며, 2030년까지 임금체불 규모를 절반으로 감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근로감독 대상 사업장을 기존 1만 5000개소에서 2만 7000개소로 확대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고위험 사업장 선별 및 특별 감독을 실시합니다.
– **하도급 임금 지급제도 개선**
하도급 대금에서 임금을 구분해 지급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제화가 올해 하반기에 추진되며, 표준하도급계약서 개정과 보급이 내년 상반기에 진행됩니다.
– **사회적 사각지대에서의 보호 강화**
청년 사회초년생과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체불 상담과 구제를 확대하며,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체불 피해는 강제출국 없이 신고할 수 있도록 출입국관리법 규정을 개정했습니다.
– **퇴직급여 체불 방지**
개정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이 의결됨에 따라 퇴직급여 체불 시에도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되지 않도록 했고, 정부는 명단 공개 중인 사업주의 추가 체불을 강력히 차단하며 더욱 엄격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정부의 의지와 향후 과제
이재명 대통령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노동존중 사회를 위한 첫걸음이 임금체불 근절임을 강조하며, 이 문제를 절도와 중대 범죄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임금체불은 단순히 금전적 손해를 넘어 노동자와 가족의 생계 자체를 위협하는 만큼, 정부는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임금체불 근절 정책을 범부처적 협력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번 법 개정과 대책은 임금체불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제재와 구제 체계를 강화함으로써 한국 노동 환경의 기초 노동질서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