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지방재정 확충·성과 중심 운용…”새 정부 재정분권 반드시 실현”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2025 지방재정전략회의’에서 지방재정 확충과 재정분권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지방세 비율 조정, 지방교부세율 단계적 인상, 성과 중심의 재정 관리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지역 자치단체들이 재정 자율성을 강화해 주민들의 생활에 밀접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ntroduced strategies during the ‘2025 Local Fiscal Strategy Meeting’ to strengthen regional finances and advance fiscal decentralization.
Various measures, including adjusting the local tax ratio and enhancing fiscal management based on performance, aim to boost local economic vitality.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mpower local governments to provide better services tailored to their residents’ needs.
日本語 政府は2025年地方財政戦略会議で地方財政を強化し、財政分権を推進する方策を発表しました。
地方税比率の調整や地方交付税の段階的引き上げ、成果主義に基づく財政管理の強化など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地方自治体の自主性を高め、地域住民の生活向上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政府在“2025地方财政战略会议”上提出了加强地方财政和推动财政分权的方案。
措施包括调整地方税比例、逐步提高地方交付税率以及以成果为导向的财政管理,以促进区域经济活力。
总评 该政策将帮助地方政府提高服务质量,更贴近民生需求。
Italiano Durante la “Strategia di Finanza Locale 2025”, il governo ha presentato strategie per rafforzare le finanze regionali e promuovere la decentralizzazione fiscale.
Le misure includono un riequilibrio del rapporto tra tasse locali, l’aumento graduale dei tassi di trasferimento fiscale e la gestione delle finanze basata sui risultati.
Valutazione Queste iniziative potrebbero migliorare la capacità delle autorità locali di fornire servizi meglio adattati alle esigenze dei cittadini.
내년 장기요양보험료 517원 인상…’중증 수급자·돌봄 인력’ 지원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내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이 0.9448%로 결정되어, 세대당 월 평균 보험료가 517원 증가한 1만 8362원이 됩니다.
정부는 확보된 재정을 통해 중증 수급자와 돌봄 종사자 처우 개선, 서비스 이용 확대 등 보장성 강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어르신들의 돌봄 서비스 질 향상과 가족 돌봄 부담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로 보입니다.
English The long-term care insurance rate for next year has been set at 0.9448%, increasing the average monthly insurance premium by 517 KRW to 18,362 KRW.
The government plans to use the additional funds to strengthen support for severe recipients, improve caregivers’ working conditions, and expand service access.
Summary This policy aims to enhance elderly care services and reduce the burden on families, providing tangible benefits to recipients and caregivers.
日本語 来年度の長期介護保険料率は0.9448%に決定し、世帯当たり月平均の保険料は517円増加して18362ウォンになります。
政府は確保した財源を活用し、中重度受給者への支援強化や介護従事者の待遇改善、サービス拡大に投資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介護サービスの質向上と家族の負担軽減に役立つ具体的な取り組みと見られます。
中文 明年的长期护理保险费率定为0.9448%,平均每户每月保险费将增加517韩元,达到18,362韩元。
政府计划利用额外资金,加强对严重患者的支持,改善护理人员待遇,并扩大服务范围。
总评 此政策有望提升老年护理服务质量,并减轻家庭的照护压力,带来实际效益。
Italiano Il tasso di assicurazione per l’assistenza a lungo termine per il prossimo anno è stato fissato a 0,9448%, aumentando il premio mensile medio per famiglia di 517 KRW fino a 18.362 KRW.
Il governo utilizzerà i fondi aggiuntivi per migliorare il supporto ai destinatari con grave disabilità, le condizioni di lavoro dei caregiver e l’accesso ai serviz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uò migliorare la qualità dei servizi offerti agli anziani e alleggerire il carico sulle famiglie, fornendo vantaggi concreti.
수산물 유통경로 6→4단계로 단축…유통비용 10% ↓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새로운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수산물 유통 단계를 기존 6단계에서 4단계로 간소화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위판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이를 통해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에게 더 신선한 제품을 제공하며, 가격 변동성을 완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방안은 소비자에게 더 신선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수산물 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어업인들에게도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unveiled a new plan to improve the seafood distribution structure.
The distribution steps will be streamlined from six to four stages, and online auction systems will be utilized to enhance direct transaction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This reform aims to reduce distribution costs, provide fresher products to consumers, and stabilize price fluctuations.
Summary The policy is expected to ensure more affordable and fresher seafood for consumers, while also offering new market opportunities for fisheries.
日本語 韓国政府は水産物流通構造を改善する新たな政策を発表しました。
流通段階を従来の6段階から4段階に簡素化し、オンライン競りシステムにより産地と消費地の直接取引を活性化させます。
これにより流通コストが削減され、消費者に新鮮な水産物を提供しながら価格変動を抑制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消費者に新鮮で手頃な価格の水産物を届けるだけでなく、漁業者にとっても新たな販路機会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政府公布最新水产品流通结构优化政策。
该政策旨在将流通步骤从六个阶段简化为四个阶段,并通过在线拍卖系统促进产地与消费地的直接交易。
此举可减少流通成本,为消费者提供更新鲜的水产品,并稳定价格波动。
总评 此项政策不仅有助于消费者购买到更实惠和新鲜的水产品,同时也为渔业从业者开拓了新的市场机遇。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ha annunciato un nuovo piano per migliorare la struttura di distribuzione dei prodotti ittici.
Il sistema di distribuzione sarà semplificato da sei a quattro fasi, con l’introduzione di aste online per favorire le transazioni dirette tra produttori e consumatori.
L’obiettivo è ridurre i costi di distribuzione, offrire prodotti più freschi ai consumatori e stabilizzare le fluttuazioni dei prezz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portare benefici economici sia ai consumatori che ai pescatori, aumentando l’accessibilità ai prodotti ittici freschi e convenienti.
충청권 CTX, 2028년 첫삽 뜬다…대전-세종-청주 ’30분 시대’
요약보기
한국어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여 2028년 착공이 예상됩니다.
이 사업은 주요 지역 간 통행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기존 경부선을 활용해 대전, 세종, 서울을 연결하며, 세종시의 행정수도 기능 강화와 초광역 경제권 형성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총평 대중교통의 효율성이 개선되어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가 높아지는 한편, 세종의 행정수도로서의 역할도 강화될 것입니다.
English The Chungcheong Region Metropolitan Express Railway (CTX) project has passed the private investment feasibility study, with construction projected to begin by 2028.
The project aims to significantly reduce travel times between key regional hubs, utilizing the existing Gyeongbu Line to connect Daejeon, Sejong, and Seoul, and strengthen Sejong City’s role as an administrative capital while fostering economic growth in the area.
Summary Improved transportation will enhance commuting convenience and bolster Sejong’s status as an administrative capital.
日本語 忠清圏広域急行鉄道(CTX)プロジェクトが民間投資適格性調査を通過し、2028年から着工される見込みです。
この事業は主要地域間の移動時間を短縮し、既存の京釜線を活用して大田、世宗、ソウルを結び、世宗市の行政首都機能強化と広域経済圏の形成に貢献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交通の便利さを向上させるとともに、世宗市の行政都市としての役割がさらに強化されるでしょう。
中文 忠清圈广域快速铁路(CTX)项目通过了民间投资可行性研究,预计最早将于2028年开工建设。
该项目利用现有京釜线连接大田、世宗和首尔,大幅缩短地区之间的通行时间,同时加强世宗市作为行政首都的功能,并有望助力区域经济发展。
总评 这一项目将提升交通效率,减轻通勤负担,同时推动世宗市成为更加重要的行政中心。
Italiano Il progetto della ferrovia metropolitana espresso della regione di Chungcheong (CTX) ha superato lo studio di fattibilità per l’investimento privato e si prevede che i lavori inizieranno entro il 2028.
Il progetto utilizzerà la linea Gyeongbu esistente per collegare Daejeon, Sejong e Seul, riducendo significativamente i tempi di viaggio e rafforzando il ruolo di Sejong come capitale amministrativa, oltre a promuovere lo sviluppo economico regionale.
Valutazione Questo progetto migliorerà l’efficienza dei trasporti e faciliterà la mobilità, sostenendo il ruolo di Sejong come capitale amministrativa e favorendo la crescita economica locale.
진동 약한 지역엔 ‘경보음 없는’ 지진재난문자만 발송된다
요약보기
한국어 기상청은 오는 12월부터 지역별 지진 체감 정도에 따라 긴급재난문자와 안전안내문자를 구분 발송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2026년부터 새로운 지진조기경보서비스를 운영하여 지진정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개편은 불필요한 경보음을 감소시키고 신속한 정보를 통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지진 대응 체계를 제공할 것입니다.
English Starting December,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ll categorize seismic alert messages into emergency and safety guidance based on regional quake intensity.
Moreover, a new early earthquake warning system will launch in 2026 to deliver faster and more accurate quake information.
Summary This reform aims to minimize unnecessary alarms while providing a more efficient response system for citizens during earthquakes.
日本語 気象庁は12月から地域別の地震震度に応じて緊急災害メールと安全案内メールを区別して発信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さらに2026年には新しい地震早期警報システムを運用し、地震情報をより迅速かつ正確に提供する計画です。
総評 今回の改正は無駄な警報音を減らし、市民の迅速な対応を支援するための体制整備に寄与します。
中文 气象厅宣布,从今年12月开始将根据地区地震感知程度区分发送紧急灾害信息和安全提示信息。
此外,到2026年将推出新的地震早期警报系统,以更快、更准确地传递地震信息。
总评 此举将减少不必要的警报,并为市民提供更高效的地震应对系统。
Italiano Da dicembre, l’Agenzia Meteorologica Coreana invierà i messaggi di allerta sismica suddivisi in emergenza e guida di sicurezza, in base all’intensità del sisma nelle diverse regioni.
Inoltre, dal 2026 sarà operativo un nuovo sistema di allarme precoce per i terremoti che assicurerà una comunicazione più rapida e accurata.
Valutazione Questa modifica intende ridurre gli allarmi inutili e migliorare il sistema di risposta per proteggere meglio i cittadini durante i terremoti.
적극행정 공무원 지키는 ‘보호관’ 신설…수사·소송 등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적극행정을 수행하는 공무원의 보호를 확대하기 위해 ‘적극행정 보호관’ 제도를 신설하고 관련 규정을 개정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공무원의 법률 지원, 감사 면책 확대, 소송 비용 지원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여 공무원이 안심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총평 적극행정 공무원들이 법적 부담 없이 국민을 위한 책임 있는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Active Administration Guardian” system and amended regulations to enhance protection for public servants conducting active administration.
The amendment strengthens institutional measures like legal support, expanded immunity from audits, and assistance with lawsuit costs to create a secure working environment for public officials.
Summary These changes aim to ensure that public servants can perform their duties responsibly without concern for legal liabilities, benefiting both them and citizens.
日本語 政府は積極行政を行う公務員を保護するため、「積極行政保護官」制度を新設し、規則を改正しました。
改正案では法的支援、監査免責範囲の拡大、訴訟費用の支援等、制度的基盤を強化し、公務員が安心して業務に専念できる環境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公務員が国民のために責任ある行政を安心して行える仕組みが整備され、より信頼される役割を果たせ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设立了“积极行政保护官”制度,并修改相关规章,以扩大对积极执行公务的官员的保护措施。
此修订旨在通过法律支持、扩大审计免责范围以及诉讼费用帮助等制度,营造安全的公务环境。
总评 此举能够有效减轻公务员的法律负担,使其更加专注于服务公众的职责。
Italiano Il governo ha introdotto il sistema di “Guardiano dell’amministrazione attiva” e modificato le normative per rafforzare la protezione dei funzionari pubblici che svolgono amministrazione attiva.
Le modifiche includono supporto legale, l’espansione dell’immunità dalle verifiche e l’assistenza con i costi delle cause legali, creando un ambiente lavorativo sicuro per i funzionari.
Valutazione Questo cambiamento permette ai dipendenti pubblici di lavorare con maggiore serenità, concentrandosi sul servizio ai cittadini senza preoccupazioni legali.
개인정보분쟁조정위, SKT에 ‘손해배상금 30만 원씩 지급’ 결정
요약보기
한국어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는 SK텔레콤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3998명에게 각 30만 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위원회는 SKT에 개인정보 보호조치 강화와 재발 방지책 마련을 권고했으며, 이번 조정안은 신청인들과 SKT가 15일 이내 수락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총평 이번 결정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자들의 정신적 손해를 일정 수준 구제하고, 기업의 보안 강화 책임을 강조하는 실질적 조치로 보입니다.
English The 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 decided that SK Telecom should pay compensation of 300,000 KRW per person to 3,998 individuals affected by their data leak.
The committee recommended SKT enhance its data protection measures and prevent future breaches, with the mediation proposal awaiting acceptance within 15 days.
Summary This decision aims to address damages caused by the data breach while emphasizing corporate responsibility for stronger security measures.
日本語 個人情報紛争調停委員会は、SKテレコム(SKT)の個人情報漏洩事件に対し3998人に各30万ウォンの賠償金を支払うよう決定しました。
委員会はSKTに情報保護対策強化と再発防止策の準備を推奨し、調停案は15日以内に受け入れられるかどうかが決定されます。
総評 この決定は、漏洩被害者への精神的賠償の一助となるとともに、企業の情報保護責任の重みを再確認するものです。
中文 个人信息纠纷调解委员会决定SK电信需向3998名个人信息泄露受害者每人支付30万韩元赔偿金。
委员会同时建议SKT强化信息保护措施并采取预防再泄露的措施,调解方案将在15天内决定是否被接受。
总评 此行动既缓解了受害者的精神损失,又强调了企业对信息安全的责任。
Italiano Il Comitato per la Mediazione delle Controversie sui Dati Personali ha deciso che SK Telecom deve risarcire ciascuno dei 3.998 individui con 300.000 KRW per la fuga di dati personali.
Ha inoltre raccomandato a SKT di rafforzare le misure di protezione dei dati e di impedire futuri incidenti, con la proposta di mediazione in attesa di accettazione entro 15 giorni.
Valutazione Questa decisione mira a compensare i danni psicologici causati dalla fuga di dati, rafforzando anche l’importanza delle responsabilità aziendali nella sicurezza dei dati.
공공기관 예타 속도 높인다…안전·시급 사업 수시 신청 가능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공공기관의 안전 관련 및 시급한 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수시 허용하는 등 예타제도를 개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조사 절차의 유연성을 확대해 필수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도모하며, 예타 중 사업계획 변경 기한을 폐지하고 대안 검토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포함됩니다.
총평 이 정책은 필수사업의 효율적인 진행으로 국민 안전 증진과 공공서비스 제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reforms to streamline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PFS) system for public institutions.
Key changes include allowing emergency and safety-related projects to apply for PFS at any time, removing deadlines for project plan revisions during the study, and promoting flexible alternative reviews.
Summary This update aims to accelerate essential public projects, enhancing safety measures and public services efficiently.
日本語 政府は、公共機関が安全関連および緊急性の高い事業について、いつでも予備妥当性調査を申請できるようにするなど、制度の改善を発表しました。
主な内容には、調査手続きの柔軟性を拡大し、必要不可欠な事業の迅速な推進を図ることや、調査中の事業計画変更期限を撤廃し、代替案検討を活性化する方針が含ま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公共サービスの改善や国民の安全確保に迅速な対応を可能に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将对公共机构的预可行性研究制度进行改革。
主要变化包括允许与安全相关及紧急项目随时申请预可行性研究,取消在研究过程中的项目计划修改期限,并加强替代方案的审查。
总评 此项改革有望加速国家重点项目推进,提高公众安全和便利服务的提供效率。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a riforma del sistema di studi di fattibilità preliminari per gli enti pubblici.
Le modifiche principali includono la possibilità per progetti di emergenza e legati alla sicurezza di richiedere in qualsiasi momento il PFS, l’eliminazione delle scadenze per le modifiche ai piani di progetto e la promozione di revisioni alternative più flessibi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favorisce l’efficienza nei progetti pubblici fondamentali, migliorando la sicurezza cittadina e i servizi pubblici.
철강산업 구조 재편…과잉설비 줄이고 특수탄소강 등 경쟁력 키운다
요약보기
한국어 철강산업 구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철근 등 공급 과잉 품목의 설비를 줄이고 특수탄소강과 같은 저탄소·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을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보호무역 대응을 위해 수출 보증 상품을 신설하고 저가 수입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경제와 국내 안전을 동시에 보호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plans to address structural challenges in the steel industry by reducing facilities for over-supplied items like rebar and supporting transitions to high-value, low-carbon products such as specialty carbon steel.
Additionally, measures to strengthen exports and impose anti-dumping tariffs on low-cost imports were introduced to mitigate protectionism barrier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eel industry while supporting local economies and safety standards, and reinforcing its position in global markets.
日本語 政府は鉄鋼産業の構造的課題に対応するため、鉄筋など供給過剰品目の設備縮小や特殊炭素鋼などの低炭素・高付加価値製品への転換支援策を発表しました。
さらに、保護貿易に対応するため輸出保証商品の創設や低価格輸入品への反ダンピング関税強化を予定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鉄鋼産業の競争力を強化し、地域経済と国内の安全を保護しつつ、グローバル市場での地位強化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政府宣布应对钢铁行业结构性难题的措施,将减少钢筋等供给过剩品的设施,并支持向特殊碳钢等高附加值低碳产品的转换。
同时,为应对保护主义壁垒,政府还计划推出出口担保商品并对低价进口产品加强反倾销关税措施。
总评 此举有望提升钢铁产业竞争力,同时维护本地经济与国内安全,并加强在全球市场中的地位。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piano per affrontare le sfide strutturali del settore siderurgico, riducendo gli impianti per articoli sovraforniti come il cemento armato e sostenendo la transizione verso prodotti ad alto valore e basso contenuto di carbonio, come l’acciaio al carbonio speciale.
Inoltre, sono state introdotte misure per potenziare le esportazioni e applicare dazi antidumping sui prodotti importati a basso costo, affrontando le barriere al protezionismo.
Valutazione Questa politica dovrebb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del settore siderurgico, proteggere l’economia locale e garantire la sicurezza interna, migliorando al contempo l’accesso ai mercati globali.
‘수능, 이것 꼭 기억하세요’…시험장에 모든 전자기기 반입 금지
요약보기
한국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열흘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이 시험 전날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당일 유의 사항을 반드시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전자기기 반입 금지, 신분증 지참, 그리고 4교시 한국사 응시 의무 등 준수 사항이 강조되었습니다.
총평 수험생들이 필수 절차를 준수해 실수 없이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준비와 유의 사항 숙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English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s now less than 10 days awa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reminded students to collect their test admission ticket on the day before the exam and carefully follow the guidelines on the day of the test.
Key rules include a ban on electronic devices, the required identification, and mandatory participation in the 4th-period Korean History section.
Summary Being proactive and adhering to the essential guidelines will help students avoid mishaps and stay focused during the exam.
日本語 大学修学能力試験まであと10日未満となりました。
教育部は試験前日に受験票の受け取りと、試験当日の注意事項遵守を受験者に呼びかけました。
電子機器の持ち込み禁止、身分証の持参、そして4時間目の韓国史受験義務が強調されています。
総評 必須条件をきちんと守ることで、受験生は試験中のトラブルを防ぐことと集中力維持に役立つでしょう。
中文 大学能力考试即将进入最后10天倒计时。
教育部提醒考生务必在考前一天领取准考证并熟悉考试当天的注意事项。
重要要求包括禁止带入电子设备、携带身份证件以及必须参加第四节韩国史科目考试。
总评 按规定准备将减轻考生的失误风险,有助于专心考试并更好发挥水平。
Italiano Mancano meno di dieci giorni all’esame di ammissione all’università.
Il Ministero dell’Istruzione ha ricordato agli studenti di ritirare il loro biglietto d’ammissione il giorno prima dell’esame e di osservare attentamente tutte le istruzioni il giorno della prova.
Le regole principali includono il divieto di dispositivi elettronici, il possesso di documenti identificativi e la partecipazione obbligatoria alla sezione di Storia Coreana nel quarto periodo.
Valutazione Osservare le linee guida stabilite è essenziale per evitare errori e concentrarsi al massimo durante l’esame.
공공기관 발주 건설현장 집중 점검…안전조치 미흡 시 엄정 조치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11월 한 달 동안 공공 발주 공사현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집중점검 기간’을 운영합니다.
안전관리 방안을 점검하고 불법 하도급 근절을 강조하며, 공공부문부터 안전한 일터 문화를 선도적으로 정착시킬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공공기관 중심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민간 부문에 영향을 미칠 긍정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will operate a “focused inspection period” in November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order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plan emphasizes preventing illegal subcontracting and establishing safe workplace culture starting from the public sector.
Summary This policy aims to set a precedent for safety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potentially influencing private industries towards stricter workplace safety standards.
日本語 政府は11月に公的機関発注の工事現場における安全管理強化のため「集中点検期間」を設けます。
公的部門から安全職場文化を定着させるため、不法な下請け防止を強調し点検を進める方針です。
総評 この措置は公的機関から安全管理を強化し、産業災害防止のために民間部門へ好影響を与え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政府计划于11月启动“集中检查期”,加强公共机构发包的施工现场安全管理。
该政策重点在于遏制非法分包,并率先在公共领域建立安全工作环境文化。
总评 此举将有助于公共领域带头加强安全管理,从而对整个行业产生积极影响。
Italiano Il governo opererà un “periodo di ispezione concentrata” a novembre per rafforzare la gestione della sicurezza nei cantieri commissionati da enti pubblici.
L’iniziativa sottolinea l’eliminazione del subappalto illegale e la creazione di una cultura del lavoro sicuro nei settori pubblic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migliorare la sicurezza nei cantieri pubblici e spingere il settore privato ad adottare standard più elevati di gestione della sicurezza.
중소기업 지원사업 한눈에…AI 기반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가 인공지능(AI) 기반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개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플랫폼은 중소기업이 지원사업 정보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높이며, 필요한 서류와 인증서를 간소화합니다.
AI를 활용해 기업별 맞춤 지원사업 추천 및 사업계획서 초안을 자동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행정 부담을 줄이며, 효율적으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체계적인 변화를 도모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improvements to the support system,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integrated support platform.
This platform will centralize access to SME support programs, streamline document requirements, and simplify certification issuance.
AI features like personalized program recommendations and automated project proposals will reduce bureaucratic burden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provide SMEs and small business owners with easier, more efficient access to necessary support, enhancing their competitivenes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AIを活用した統合支援プラットフォームを構築し、中小企業支援体制を改善すると発表しました。
プラットフォームでは支援事業の情報を一括で提供し、必要書類と認証書類を簡素化します。
さらにAIを活用し、企業ごとの最適な支援事業推薦や事業計画書の自動生成機能も導入します。
総評 この政策は中小企業や小規模事業者が効率的かつ簡単に支援を受けられる環境を整え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中小企业部宣布创建基于AI的整合支持平台,并改进中小企业的支持体系。
该平台将集中提供支持项目信息,简化所需文档及认证书处理。
运用AI为企业提供个性化推荐及自动生成项目计划书功能,减轻行政负担。
总评 此政策旨在优化中小企业与小商户的支持途径,使获得援助更便捷高效。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ha annunciato la creazione di una piattaforma integrata basata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per migliorare il sistema di supporto alle imprese.
La piattaforma faciliterà l’accesso ai programmi di supporto, semplificando documenti e la procedura di certificazione.
Funzionalità AI, come suggerimenti personalizzati e la generazione automatica di piani aziendali, allevieranno il carico burocratico.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endere più semplice ed efficiente per le PMI accedere agli aiuti necessari, favorendo la loro crescita.
정부, 김장철 물가 안정 총력…배추·무 등 4만 7500톤 공급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김장철을 맞아 배추·무 등 주요 김장재료를 대규모로 공급하고 최대 50% 할인 행사를 실시합니다.
또한, 수산물 유통비용 절감을 위해 2030년까지 유통구조 개선과 AI 기반 예측 모형 개발 등 장기적 대책도 추진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김장 부담을 줄이고 가계 살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유통 개선으로 물가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plans to supply key kimchi ingredients such as cabbage and radish in large quantities and offer up to 50% discounts during the kimchi season.
Additionally, long-term measures to reduce seafood distribution costs, including streamlining logistics and developing AI-based prediction models, are being implemented until 2030.
Summary This initiative helps households save on kimchi preparation costs while contributing to overall price stability through improved distribution systems.
日本語 政府は、キムチシーズンに合わせて白菜や大根など主要な材料を大量供給し、最大50%割引キャンペーンを実施します。
さらに、2030年までに水産物の流通コスト削減を目指した長期的な対策として、物流構造改善やAI予測モデルの開発を進め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キムチ材料費の負担を軽減し、家庭経済を支えるとともに、流通改善による価格安定化効果も期待できます。
中文 政府将于腌制泡菜季节大规模供应白菜、萝卜等主要泡菜原料,并实施最高50%的折扣活动。
此外,还将通过简化流通结构和开发人工智能预测模型等措施,目标到2030年减少水产物流通成本。
总评 此政策不仅降低家庭泡菜制作成本,还通过优化流通结构有助于稳定整体生活物价。
Italiano Il governo prevede di fornire grandi quantità di ingredienti chiave per il kimchi, come cavolo e ravanello, e di offrire sconti fino al 50% durante la stagione del kimchi.
Inoltre, saranno attuate misure a lungo termine fino al 2030 per ridurre i costi di distribuzione del pesce attraverso il miglioramento della logistica e lo sviluppo di modelli predittivi basati su A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iuta a ridurre il costo di preparazione del kimchi per le famiglie, contribuendo anche alla stabilità dei prezzi grazie a sistemi di distribuzione ottimizzati.
이 대통령 “AI 고속도로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 열어야”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2026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대한민국의 AI 시대를 여는 첫 예산안을 공개하고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예산안은 총 728조 원으로, AI 및 R&D 분야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과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예산안은 기술 중심 사회로의 변화를 촉진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활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delivered a budget speech for 2026, unveiling the nation’s first budget plan for the AI era and asking for parliamentary support.
The budget amounts to 728 trillion won, focusing heavily on investments in AI and R&D to drive future growth and economic stability.
Summary The proposed budget aims to accelerate technological advancements,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fostering economic resilience.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2026年度予算案に関する施政演説で、AI時代の幕開けとなる予算案を発表し国会の協力を求めました。
予算は総額728兆ウォンで、AIと研究開発分野への投資を通じて未来成長と経済回復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本予算案は技術社会への転換を加速し、国民生活の向上と経済活力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预算施政演讲中公布了2026年的韩国首个人工智能时代预算案,并请求国会支持。
预算总额为728兆韩元,重点投资于人工智能和研发领域,以推动未来发展和经济复苏。
总评 此预算案将加快技术社会转型,提升民生质量并促使经济复苏与繁荣。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tenuto il discorso sul budget per il 2026, presentando il primo piano di bilancio per l’era dell’AI e sollecitando il sostegno parlamentare.
Il bilancio ammonta a 728 trilioni di won e prevede grandi investimenti in AI e R&D per stimolare la crescita futura e la stabilità economica.
Valutazione Questo bilancio mira ad accelerare il progresso tecnologico, migliorando la qualità della vita e favorendo la resilienza economica.
요약
원문보기
### 정부, 지방재정 확충 및 성과 중심 관리로 지역경제 활력 도모
행정안전부는 11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 지방재정전략회의’**를 통해 지방재정의 확충과 성과 중심 관리를 기반으로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전국 17개 시·도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재정·세제 분야 국정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
### 주요 발표내용 및 추진 과제
**1. 지방재정 확충 방안**
– **국세-지방세 비율 7:3 달성**: 이를 위해 지방소비세율 상향과 지방교부세율의 단계적 인상 방안을 논의.
– **재정 자율성 확대**: 국고보조사업을 지방주도로 운영하며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의 지역자율계정 규모를 확대.
**2.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 지방자치단체 예·결산안 주민 공개 및 예산 심의기간 확대.
– 지방재정법 및 지방자치법 개정을 통해 더욱 투명한 재정 운용 체계 마련.
**3. 성과 중심 관리 강화**
– **전략적 재정 집행**: 집행 지연, 유사·중복사업 통·폐합 및 경상경비 지출 축소.
–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예산 삭감 또는 인센티브 제공. 외부기관이나 총괄부서를 활용하여 성과평가의 객관성을 강화.
—
### 내년도 지방재정 운용방향
행안부는 **회복과 성장**을 위한 재정의 마중물 역할을 강조하며 모든 가용 재원을 민생 안정과 전략산업에 집중 투자하도록 요청했습니다. 특히, 집행이 어려웠던 시설비 예산을 다른 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지방재정의 불용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
### 지방재정 혁신 사례 발표
회의에서는 인천시와 전북 정읍시가 예산절감과 혁신적 재정운용 사례를 공유하며 지방정부 간의 협력 강화에 기여했습니다.
—
### 윤호중 장관, 재정분권 실현 의지 표명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재정분권을 새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강조하며, “지방이 스스로 정책을 설계하고 책임 있게 재정을 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 제안된 재정분권 방안을 **’범정부 차원의 논의’**로 이어가며 실현할 계획도 덧붙였습니다.
—
이번 협의는 지방과 중앙정부가 한자리에 모여 재정의 효율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및 내년도 장기요양제도 개선안 주요 내용**
2024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이 0.9448%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올해보다 0.0266% 인상된 수치로, 가입자 세대당 월 평균 보험료는 517원이 상승해 **1만 8362원**으로 조정됩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인상분을 통해 **중증 수급자 보장성 강화**와 **돌봄 종사자 처우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재정을 운용할 방침입니다.
—
#### **중증 수급자 대상 서비스 확대**
1. **재가급여 월 이용 한도액**이 1만 8920원~24만 7800원 범위로 인상되며, 특히 **1등급과 2등급 중증 수급자** 대상 한도액이 전년 대비 20만 원 이상 증가합니다.
– 1등급: 월 최대 **44회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 가능.
– 2등급: 월 최대 **40회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
2. **가족 돌봄 부담 완화**를 위해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이용 가능일수를 기존 **11일에서 12일**로 확대합니다.
3. 방문요양·목욕·간호 서비스의 **본인부담금 감면**과 **가산제도**도 준비 중입니다.
4. 신규 서비스 시범사업:
– 병원동행 지원.
– 낙상 예방 재가환경 지원.
– 방문재활 및 방문영양 서비스.
—
#### **돌봄 종사자 처우 개선**
1. **장기근속장려금** 제도를 개선해 지급대상 확대:
– 기존 ‘3년 이상 근속자’에서 **1년 이상 근속자**로 기준 완화.
– 지급 대상에 **위생원** 포함.
– 수혜자 비율 14.9% → **37.6%**로 확대.
2. 지급금액 조정:
– 1년 이상 근속자에게 **월 5만 원 신설 지급**.
– 근속기간에 따라 최대 **월 18만 원**까지 인상.
– 입소형 기관 근무자에게는 방문형보다 **3만 원 추가 지급**.
– 농어촌 등 인력수급취약지역 근무자에게 **월 5만 원 추가수당** 제공.
3. **선임 요양보호사** 제도 신설:
– 5년 이상 근속 및 40시간 교육 이수 시 지정.
– 월 15만 원 수당 지급.
– 적용 대상 확대(3000명 → 6500명).
복지부는 이 조치를 통해 신규 돌봄 인력 유입을 촉진하고, **돌봄 서비스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장기요양 인프라 확충 및 관리 체계 개선**
1. **통합돌봄제도**와 연계해, **장기요양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
– ‘단기보호 서비스’를 제도화하여 돌봄 공백 해소.
– 재택의료센터와 통합재가기관 인프라 강화.
2. **시설 개선**:
– ‘유니트케어형 구조’ 확충(25유니트 → 80유니트).
– 9인 이하의 소규모 그룹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가정환경을 연출.
– ‘전문요양실’ 확대(52개소 → 90개소).
– 시설 내 간호가 요구되는 수급자를 대상으로 방문간호 수준의 의료 처치 제공.
—
#### **보건복지부의 입장**
이스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초고령사회를 맞아 장기요양보험의 역할이 막중해졌다”며,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제도 내실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문의처**
– 수가·보험료율 관련: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요양보험제도과 (044-202-3492)**
– 요양보호사 관련: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요양보험운영과 (044-202-3513)**
원문보기
**정부의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발표: 유통단계 축소와 디지털화로 효율성 제고 및 비용 절감**
해양수산부가 유통비용을 낮추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산물 유통구조를 대대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기존의 복잡한 6단계 유통경로를 4단계로 간소화하고, 새로운 기술과 인프라를 도입하여 어업인과 소비자가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 **주요 개선 내용**
1. **유통단계 간소화**
– 기존 어업인에서 소비자까지 이르는 유통단계를 6단계에서 4단계(FPC-FDC-소매상)로 줄여 비용 절감 및 신선도 유지.
– 산지와 소비지의 거점유통센터를 확대하고 연계 강화.
2. **위판장 현대화 및 복합 개발**
– 위판장을 저온·친환경 시설로 바꾸고, 주변을 카페와 레스토랑이 결합된 공간으로 개발해 투자 유치.
3. **온라인 위판 활성화**
–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품목을 현행 60개에서 134개로 확대.
– 판매자 가입제한 완화로 참여를 확대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품질 등급을 손쉽게 판별.
4. **직거래 활성화**
– 선상에서 모바일로 위판할 수 있도록 ICT 기술 활용한 전자경매 도입.
– 대도시 소비지 직매장 개설로 산지의 신선한 수산물 구매 가능.
5. **도매시장 고도화**
– 도매시장 내 단순 가공 및 실시간 배송 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 접근성 확대.
– 가격 급등·급락 방지 목적의 전자송품장 도입과 경매 의존 완화.
### **첨단 기술 활용**
– **스마트양식 육성:**
기후변화에 대응할 양식품종 전환을 지원하고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물가 변동성을 줄이는 안정적 생산 기반 마련.
– **AI 기반 수급 예측:**
수산물 수요와 공급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수집, 정교하게 분석해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
– **유통 정보의 투명성 제고**
온라인 데이터 전송 체계와 어획증명제 확립으로 소비자 신뢰 강화.
해수부는 이번 대책으로 수산물 유통 비용을 10% 절감하고 수산물 가격 변동성을 25%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유통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출처:**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관 유통정책과
원문보기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사업,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2028년 착공 전망**
정부대전청사와 정부세종청사, 조치원, 청주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총연장 64.4㎞의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며 2028년 착공을 목표로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충청권 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에서 경제성과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4일 발표했다.
### **충청권 CTX 사업의 주요 계획**
CTX 사업은 기존 경부선을 활용해 대전청사와 세종청사 및 서울을 직결하고, 대중교통의 환승을 없애 통행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주요 구간들의 통행 시간은 다음과 같이 줄어들 전망이다:
– **대전청사-세종청사**: 45분 → 16분
– **세종청사-청주공항**: 65분 → 36분
– **세종청사-천안역**: 65분 → 28분
– **청주공항-대전청사**: 77분 → 50분
###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CTX 개통으로 충청권 주요 거점 간 이동이 더욱 편리해지고, 지역 간 연계 강화로 ‘5극 3특’ 초광역 경제권의 한 축으로 자리 잡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서울과 세종청사가 직결됨으로써 행정협업의 효율이 증대되고 세종시의 행정수도 기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
이번 사업은 지방권 광역철도 프로젝트 중 처음으로 민간투자방식으로 진행되어, 지자체의 재정부담을 줄이는 한편 투자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의 후속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2028년 중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의 발언**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충청권 광역급행철도는 충청권 주민의 삶과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핵심 인프라로, 수도권 과집중을 완화하고 지방균형발전을 앞당기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
국토교통부는 이 철도사업을 통해 민간투자 활성화와 정책적 지원 간의 시너지로 지역 주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빠르게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국토교통부 철도국 철도투자개발과(044-201-3984)
원문보기
### 12월부터 지역별로 구분된 ‘지진재난문자’ 발송… 경보음 불편 줄인다
기상청은 국민의 불편을 줄이고 지진 재난문자 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오는 12월부터 지역별 지진 체감 정도에 따라 긴급재난문자와 안전안내문자를 구분해 발송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진도별로 지진 재난문자를 차별화함으로써 불필요한 경보음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지진재난문자 발송 기준 개선**
기존에는 최대 예상진도가 V 이상일 때 전국적으로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으나, 앞으로는 지역별 체감 진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발송된다:
– **긴급재난문자**: 예상진도 Ⅲ 이상 지역 발송 (경보음 포함).
– **안전안내문자**: 예상진도 Ⅱ 지역 발송 (경보음 없음).
이는 지난 2월 충주 지진 당시 진동이 미미한 지역에도 경보음이 울려 불편을 초래했던 사례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진도 Ⅱ는 조용한 환경에서만 소수의 사람들이 느낄 정도이며, 진도 Ⅲ 이상부터 실내에서도 분명히 감지된다.
—
#### **지진해일특보 및 정보 강화**
기상청은 지진에 따른 해일 피해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보를 개선할 예정이다:
1. **지진해일특보 기준**: 관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해 특보기준 설정.
2. **상세 정보 제공**: 지진해일의 상승·하강·종료 추세 발표로 국민 혼란 최소화.
3. **정보 전달 체계 강화**: 특보기준 미달 시에도 재난문자 발송으로 경각심 고취.
—
#### **2026년: 최대 5초 빨라진 조기경보**
현행 지진조기경보의 송출 시간이 5~10초 소요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상청은 지진 현장경보와 기존 조기경보를 병합한 새로운 체계를 2026년부터 운영한다. 이를 통해:
– 조기경보 송출 시간 단축: 3~5초 이내 정보 전달 가능.
– 지진경보 사각지대 해소: 국민이 흔들림을 인지하기 전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
—
#### **기대 효과와 전망**
이미선 기상청장은 “지진과 지진해일은 예고 없이 발생한다”며 “새로운 제도와 조기경보 체계를 통해 국민이 더욱 빠르게 정보를 접하고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선이 실제 체감을 반영한 정보 전달과 신속성의 향상으로 안전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기상청 지진화산국 (02-2181-0763)
원문보기
**정부, 적극행정 공무원 보호 강화를 위한 개정안 시행**
정부가 적극행정을 수행하는 공무원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적 틀을 마련한다. 인사혁신처는 4일 국무회의에서 적극행정 공무원의 민·형사상 책임 문제와 관련된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한 ‘적극행정 운영규정’ 개정안을 의결했으며, 이달부터 이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핵심 내용: 적극행정 보호관 신설과 면책추정 확대**
이번 개정안은 공무원이 적극행정 과정에서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법적 분쟁 및 책임 문제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체계를 포함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적극행정 보호관 지정*: 각 기관에 적극행정 보호관을 신설해 해당 기관의 공무원에게 법률 자문, 변호사 선임, 소송 비용 지원 등을 제공하며 수사기관 의견 제출 등도 지원한다.
– *면책추정 범위 확대*: 적극행정위원회의 의견에 따라 처리한 업무는 기존에는 자체 감사에서만 면책추정이 가능했지만, 이번 개정으로 감사원 감사에서도 면책추정을 받을 수 있게 됐다.
– *소송 및 비용 지원 확대*: 공무원 책임보험의 한계를 보완하며, 변호사 선임 비용 지원 대상을 추가적으로 확대해 형사 단계까지 지원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강화했다.
적극행정 공무원이 수사 과정이나 소송에 직면했을 경우, 기관은 공무원의 요청에 따라 수사기관 등에 의견을 제출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도 신설된다.
**공직사회 활력 증진을 위한 정부 의지**
이번 개정은 지난 7월 대통령실에서 발표한 ‘공직사회 활력 제고 5대 과제’의 후속 조치로, 새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유능하고 청렴한 공직사회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 추진됐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적극행정을 수행하는 공무원들이 안심하고 직무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이번 개정의 핵심 목표”라며, “정부 국정과제 수행에 있어 신뢰받는 기반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공무원의 책임과 권한을 더욱 명확히 하고, 적극행정에 대한 두터운 보호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주권 시대에 걸맞은 공직사회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의처**
인사혁신처 적극행정과 (044-201-8501)
원문보기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사건, 분쟁조정위 30만 원 손해배상 결정**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가 SK텔레콤의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하여, SKT가 피해 신청인 3998명에게 각각 30만 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도록 하며, 개인정보 보호 조치 강화를 권고했다.
### **개요와 배경**
SK텔레콤은 가입자 약 2300만 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하면서 법적 논란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부터 집단분쟁 3건(신청인 3267명)과 개인신청(731명)이 접수되었고, 총 3998명의 피해자가 분쟁조정을 요청했다. 개인정보 유출 유형은 휴대전화번호, 가입자식별번호, 유심 인증키를 포함한 25종으로, 피해자들이 유출 정보 악용, 혼란, 불안을 겪었다.
### **조정 결정 사항**
분쟁조정위원회는 SK텔레콤이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였음을 인정하고, 피해자들에게 정신적 손해를 배상하도록 권고했다. 동시에 SKT에는 내부관리계획 수립과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안전조치 강화를 포함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분쟁조정위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명확히 했다:
– SKT가 즉각적으로 유출 경로를 차단하고 유심 교체 등 개인정보 악용 방지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침해행위는 중지된 것으로 평가했다.
–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성격상 원상회복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요구는 불수용했다.
### **향후 절차**
분쟁조정위는 조정안을 신청인들과 SKT에 통보하고, 15일 이내 수락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양측 중 하나라도 수락하지 않으면 분쟁조정은 불성립되며 사건은 종료된다.
우지숙 분쟁조정위원장 직무대행은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마련된 조정안이 피해 신청인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구제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결론**
SK텔레콤의 이번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대규모로 발생한 만큼 사회적 여파가 컸다. 피해 보상 및 개선 조치를 통해 유사 사고 방지와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사례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문의사항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분쟁조정과](02-2100-3148)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문보기
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제도 개선을 발표하며 국민 안전 및 시급한 사업에 대한 예타 신청 절차를 대폭 간소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은 예타 통과 가능성을 높이고 사업 추진 속도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도 개선 주요 내용**
1. **수시 신청 허용**: 기존 예타 신청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국민안전이나 시급한 사업에 한해 시기에 관계없이 예타를 신청할 수 있게 됩니다.
2. **조사기간 단축과 사업범위 확대**: 시급한 사업은 예타 대상 선정 단계에서부터 KDI와 사전 협의를 통해 평가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3. **사업계획 변경 기한 폐지**: 사업 추진 도중 여건 변화에 따라 사업계획 수정이 필요한 경우 기한 제한 없이 사업계획 변경이 가능합니다.
4. **유연한 대안 검토 활성화**: 예타 과정 중 공공기관이 대안을 제시하면 이를 검토하는 절차가 마련되어 보다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기획재정부의 이번 조치는 예타 절차가 사업 병목 현상이 아니라 국가정책 추진을 지원하는 역할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인 규제개혁으로 평가됩니다. 임기근 제2차관은 “공공기관이 필수 사업을 적기에 추진하도록 돕는 선제적 조치”라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긴밀한 소통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공공기관 경영 현황**
2023년 3분기 기준:
– 공공기관 정원이 42만 7000명으로 늘었고, 1만 9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 대표적으로 철도 안전과 국립대병원 전공의 등 신규 채용이 이루어짐.
– 공기업 자산은 755조 2000억 원으로 증가, 부채는 감소하며 경영 안정성을 강화.
– 투자집행 내역은 전년 대비 7조 8000억 원 증가한 55조 2000억 원.
기재부는 이번 공시를 통해 공공기관 운영 개선 및 정책적 활용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번 제도 개선은 향후 필수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원문보기
### 철강산업 구조 재편과 미래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
정부가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대응을 위해 주요 정책과 전환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방안은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저탄소·고부가가치 중심의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급증하는 각국의 보호무역 장벽에 맞서 국내외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공급과잉 대응 및 설비 규모 조정**
– 정부는 ‘철강 설비 규모조정의 3대 원칙’을 수립하여 경쟁력 약화와 공급과잉이 있는 품목(형강·강관 등)의 설비 조정을 지원합니다.
– 저탄소·고부가 가치 철강재 품목(전기강판·특수강)에는 선제적 투자 및 확장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2. 해외 보호무역 장벽 및 국내 불공정 수입 대응**
– 미국 관세 및 EU 세이프가드 등에 대비해 수출 애로 해소책을 마련하고, 새로운 수출 보증 상품(4000억 원 규모)과 무역구제 조치(반덤핑 관세 등)를 강화합니다.
– 철강재의 품질검사증명서 의무화를 통한 철강재 수입 모니터링을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3. 미래 유망 소재 ‘특수탄소강’ 육성**
– 특수탄소강을 초혁신 경제 선도프로젝트로 선정하여 2000억 원 규모의 R&D 지원을 통해 글로벌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국내 납품 실적 확보 및 주요 정부 프로젝트와 연계해 기술 우수성을 반영하는 방향을 추진합니다.
**4. 저탄소 공정 전환 및 친환경 경쟁력 강화**
–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8100억 원)’을 본격 추진하며 청정수소 확보 및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합니다.
– 철스크랩 안정적 공급과 관련된 산업 육성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5. 상생 협력 및 지역경제 지원**
– 철강산업 집적지의 지역경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및 다각적 지원을 지속합니다.
– 철강-원료-수요 간 협력을 촉진하여 안정적 공급망과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6. 안전 및 품질 기준 강화**
– 국민 안전을 위해 품질 기준 미달 철강재 유입을 차단하며, 국내 KS 인증제도의 확대 및 비KS재 철저 관리 방안을 마련합니다.
–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철강산업 내 AI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추진합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조치는 철강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하며, 환경친화적 기술 및 글로벌 시장 대응력을 높이는 데 주요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문의처**: 산업통상부 철강세라믹과 (전화: 044-203-4692, 4693, 4694, 4695)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www.korea.kr]
원문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내용**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1월 13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수험생들은 시험 관련 중요 사항을 철저히 숙지해야 합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이 시험 당일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요 유의사항을 사전 안내하며, 안정적인 시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방침입니다.
—
#### **① 시험 전 준비 사항**
1. **예비 소집일 필참**
– **11월 12일** 예비 소집일에 반드시 참석하여 수험표를 수령해야 하며, 수험표의 시험장 위치와 선택 과목을 확인해 시험 당일 혼선을 방지합니다.
2. **지참물 준비**
– 시험 당일에 필요한 물품: **수험표 및 유효한 신분증**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청소년증, 여권 등 지정된 증명서만 가능합니다.
– **수험표 분실 시**: 응시원서에 부착된 사진과 동일한 사진 1장, 신분증을 지참해 오전 8시까지 시험장 관리본부에서 재발급 가능합니다.
—
#### **② 시험 당일 유의사항**
1. **입실 시간 준수**
– 모든 수험생은 **오전 8시 10분까지**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해야 합니다.
2. **전자기기 반입 금지**
– 반입 금지 품목: 휴대전화, 스마트워치, 태블릿, 블루투스 이어폰, 전자담배 등 *모든 전자기기*
– 부정행위 방지: 시험 시작 전 감독관에게 제출하지 않으면 부정행위로 간주되어 시험이 무효 처리됩니다.
3. **사용 가능한 시계**
– 아날로그 시계만 허용되며, 디지털 또는 통신 기능이 없는 시계만 사용 가능합니다.
4. **시험 중 규정 준수**
– 반드시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답안 작성과 필적확인 문구를 기재해야 하며 샤프나 연필 사용 시 불이익이 따를 수 있습니다.
– 4교시 탐구 영역을 본인의 선택 순서에 맞춰 응시해야 하며, 탐구 과목 순서를 어기거나 답안을 수정하면 부정행위로 간주됩니다.
—
#### **③ 돌발 상황 대처 및 기타 안내**
1. **시험 중 돌발 상황 발생 시**
– 자연재해(지진 등)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시험장은 사전에 마련된 대처방침에 따라 수험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조치합니다.
2. **교육부의 지원**
– 교육부는 수험생 준비를 돕기 위해 **영상물 및 자료집 제작**을 통해 유의사항을 안내하며, 해당 자료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공식 누리집(https://www.suneung.re.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 **최교진 교육부 장관 당부 말씀**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수험생들이 유의사항을 숙지하고 차분히 시험에 임하여 실력을 100% 발휘하기를 바란다”며,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안정적인 시험 환경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수험생들은 이상과 같은 내용을 숙지하여, 별도의 불미스러운 상황 없이 준비된 상태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주의하길 바랍니다.
원문보기
**정부, 공공기관 공사현장 안전관리 강화 ‘집중점검 기간’ 운영**
11월 한 달 동안 정부는 공공기관 발주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집중점검 기간’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가 함께한 ‘공공기관 긴급안전대책 회의’에서, 공공부문이 산업재해 근절에 앞장설 것을 강조하며 모든 가능한 수단을 활용해 안전한 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핵심 방안:**
1. **자체 점검 및 불시 감독:**
공공기관은 핵심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을 자체적으로 점검해 노동부에 제출해야 합니다. 노동부는 안전조치가 미흡한 사업장에 대해 불시 감독을 실시하고, 위법행위가 확인되면 엄정히 조치할 계획입니다.
2. **안전경영 강화:**
공공부문은 최근 주요 공공기관의 사고 사례를 바탕으로, 사망 사고와 불법 하도급 방지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연말까지 원·하청 노사 통합 협의체 운영 실태를 점검하며 이행하지 않는 기관을 지도할 방침입니다.
3. **불법하도급 강력 대응:**
불법하도급 행위는 이유를 불문하고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김 장관은 경고했습니다. 하도급 실태조사를 통해 주요 공공 분야(발전, 에너지, 공항 등)의 안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국토교통부와 협력해 공사 기간과 비용을 충분히 보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추가 조치 및 계획:**
– **예측 가능한 사고 예방:**
공공기관은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을 위해 각별히 노력하고, 발생한 산재 사고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격히 처벌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간담회 확대:**
이날 회의를 시작으로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 공기업과의 긴급안전대책 회의를 추가적으로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정부는 공공기관이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경영 정착에 앞장서도록 지도하며, 이를 민간 부문으로 확산시킬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문의 정보:**
문의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예방정책관 산업안전정책과
전화 : 044-202-8814
원문보기
### 중소기업 AI 지원 플랫폼 출범, 서류 간소화와 맞춤형 지원 확대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대폭 개선하기 위해 **AI 기반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지원사업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 **핵심 개선 사항**
1.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기존 운영 중인 서비스(‘기업마당’, ‘중소벤처24’)를 통합한 새로운 플랫폼이 신설된다.
– **정부부처·지자체의 2700여 지원사업 정보**를 한 곳에서 제공.
– ‘중소기업확인서’, ‘벤처기업확인서’ 등 **21종 인증서 발급** 통합.
– 지원사업 신청 및 서류 제출을 **로그인 한 번**으로 연계 가능.
2. **AI 기술 활용**
– 기업의 업종, 지역, 수혜 이력 등을 분석해 **최적화된 지원사업 자동 추천**.
– 사업자등록번호와 핵심 키워드 입력 시 **사업계획서 초안 자동 생성**.
→ 생업에 바쁜 기업들의 행정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
– 수출기업에게는 **맞춤형 수출국가·관세 정보**, 소상공인에게는 **상권분석 정보**, 제조기업에는 **기술공급기업 추천** 등 대상별 특화 정보 제공.
#### **행정 간소화**
– **서류 간소화**: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평균 9개에서 4.4개로 절반 이상 줄임.
– 행정안전부의 **행정정보공동이용 서비스**와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기관이 직접 서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
– 서류 연계율을 현재 43%에서 내년까지 **96%로 확대**할 예정.
#### **불법 브로커 방지**
– **대리신청·사칭 예방**을 위해 지방중소벤처기업청 및 산하기관에 **신고 채널 설치**.
– AI를 통해 불법 브로커가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식별 가능하도록 시스템 도입.
– 정부 사칭, 허위 서류 등 불법 행위를 처벌할 근거 마련.
#### **스타트업 및 기술 평가 지원 강화**
– 벤처캐피털이 먼저 투자한 스타트업에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TIPS 방식** 확대.
– 글로벌 대기업과 유망 스타트업 협력을 강화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추진.
– AI 기반 ‘K-TOP 평가플랫폼’을 활용해 객관적인 **기술평가와 R&D 지원** 체계 확립.
– 금융시장 연계를 통해 **기술 보증-대출 연계형 원스톱 금융 체계**를 구축.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직관적이고 접근 가능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며 서비스 혁신 의지를 밝혔다.
이번 개선방안은 중소기업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마련된 만큼, 업계에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다.
**문의처:**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실 (044-204-7470)
원문보기
### 정부, 김장철 맞아 배추·무 등 김장재료 할인 및 대규모 공급 추진
정부가 김장철을 맞아 생활물가 안정과 시민 부담 경감을 위해 배추, 무 등 주요 김장재료를 대규모로 공급하며, 최대 50% 할인 행사도 실시한다. 또한, 2030년까지 수산물 유통비용 절감을 목표로 근본적인 유통구조 개선에 나선다.
—
#### 주요 내용
1. **김장재료 수급 안정 및 할인 행사**
올해 김장철 주요 채소류의 생산량이 양호한 가운데 정부는 배추, 무 등 주요 재료를 대규모로 공급할 계획이다.
– 공급량: 배추 3만 6500톤, 무 1만 1000톤, 기타 김장재료 5000톤
– 할인 행사: 농산물은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대형·중소형마트에서 진행되고, 수산물은 11월 13일부터 30일까지 특별전, 19~23일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통해 진행된다.
2. **소비자 지원 및 점검 강화**
김장재료 원산지 표시 단속과 잔류농약 검사 강화로 신뢰도를 높이며, 소비자에게 수급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 합리적인 구매를 돕는다.
3.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2030년 목표)**
– 목표: 유통비용 10% 절감
– 방안:
–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
– 산지거점유통센터 및 소비자분산물류센터 확충
– AI 수급 예측 모형 개발 및 스마트 양식업 육성
—
#### 추가 배경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추석 연휴가 포함된 숙박·여행 서비스 가격 상승과 일부 농산물·석유류 가격 상승으로 2.4% 증가했다. 이에 구윤철 부총리는 “민생경제의 핵심인 생활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기획재정부 및 각 담당 부서
– 기획재정부 정책조정총괄과(044-215-4510)
– 농림축산식품부 수급안정지원단(044-201-2681)
– 해양수산부 유통정책과(044-200-5440)
[출처: 한국 정부 공식 자료 제공 웹사이트(www.korea.kr)]
원문보기
이 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2026년도 정부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대한민국을 인공지능(AI) 시대의 선두주자로 만들겠다는 강력한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발표 내용:
1. **AI 시대를 위한 전략적 투자**
– 내년도 예산안은 AI 시대를 여는 첫 번째 예산안으로, 정부는 총 10조 1000억 원을 인공지능 분야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 산업, 생활, 공공 전 분야의 AI 도입(2조 6000억 원)과 인재 양성 및 인프라 구축(7조 5000억 원)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2. **첨단 기술 및 산업 육성**
– AI 기술을 활용한 로봇,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산업에 약 6조 원을 투입해 ‘피지컬 AI 선도국’ 목표를 실현.
– 고급 인재 양성(1만 1000명) 및 AI 교육 지원.
– 35조 3000억 원이 투자되는 연구개발(R&D) 사업 예정.
– GPU 1만 5000장 추가 구매 및 엔비디아와 협력을 통해 국내 민간기업의 자원 확보력 강조.
3. **국방과 방위산업 혁신**
– 국방 예산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약 66조 3000억 원으로 편성.
– 재래식 무기를 AI 기반 최첨단 무기 체계로 전환, “방산 4대 강국” 목표.
– 자주국방 및 스마트 강군으로의 신속한 변화와 국방력 증대 강조.
4. **사회 안전망 강화**
– 발달장애인 지원 확대, 장애인 일자리 확충.
– 기준중위소득 6.51% 인상해 저소득층 안정적 지원.
– 근로감독관 증원 및 산재 예방을 위한 현장 점검 강화.
– 재해·재난 예방 및 대응에 총 5조 5000억 원 편성.
5. **균형발전 및 지방우대 정책 강화**
–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방 발전을 위한 ‘5극 3특’ 구도 추진.
– 비수도권 지역 지원 확대, 아동수당과 노인 일자리 혜택 확대 설계.
– 농어촌 주민 기본소득 지원(월 15만 원) 및 지방정부 자율성 강화.
6. **문화 및 창작지원**
– K-콘텐츠 펀드 출자를 2000억 원 확충해 청년 창작자 지원과 한류 콘텐츠 육성.
– AI 적용 기반의 K-컬처 및 K-푸드 수출 확대를 통한 경제 성장 도모.
7. **소비 회복 및 경제 지표 개선**
– 경제성장률 반등, 주가지수 4000 돌파 등 긍정적 경제 흐름을 반영하며 국민 노력 및 협력에 감사를 표함.
이재명 대통령은 연설의 마지막에서 국민의 저력을 믿고 함께 ‘인공지능 시대’를 열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였으며, 예산안의 법정기한 내 통과를 간절히 요청했습니다.
### 전체적인 평가:
이 대통령의 2026년도 예산안은 AI 시대를 준비하며 첨단 기술, 지방 균형발전, 취약계층 보호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면서 장기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상세한 계획이 돋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