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 정책정보 – 전체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바이오·에너지·문화 관련 규제 ‘지원·육성’ 중심으로 확 바꾼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바이오, 재생에너지, K-컬처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규제를 대폭 완화할 계획입니다.
제2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허가 절차 개선, 첨단 재생의료 지원, 영농형 태양광 확대 등이 주요 과제로 논의되었습니다.
바이오와 에너지, 문화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산업 국제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변화는 산업계 성장과 함께 개인의 생활 품질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서비스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ims to cultivate bio, renewable energy, and K-culture as future growth engines by significantly easing regulations.
In the second Core Regulation Rationalization Strategy Meeting, key initiatives such as streamlining approval procedures, supporting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nd expanding agrivoltaic systems were discussed.
The plan targets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and boost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globally.
Summary These changes are expected to enhance industrial growth while also providing job opportunities and innovative services, benefit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like.

日本語 政府はバイオ、再生可能エネルギー、Kカルチャーを未来の成長エンジンとして育成するため、規制を大幅に緩和する予定です。
第2回核心規制合理化戦略会議では、認可手続の改善、先端再生医療の支援、営農型太陽光発電の拡大などが主要課題として議論されました。
これにより、国民の生活の質向上と産業の国際競争力強化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政策は、産業の成長を促進すると同時に、雇用創出と新しいサービス体験の機会を提供することで、個人と地域社会に利益をもたら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计划通过大幅放宽监管,将生物科技、可再生能源和K文化培育为未来的增长引擎。
在第二次核心监管合理化战略会议上,重点讨论了审批程序简化、支持先进再生医疗和扩大农用光伏系统等议题。
计划旨在提升国民生活质量,并加强产业的全球竞争力。
总评 这一政策预计将促进产业发展,同时为个人和社区带来就业机会和创新服务体验。

Italiano Il governo intende coltivare bio, energie rinnovabili e K-culture come motori di crescita futuri attraverso un significativo allentamento delle normative.
Nella seconda Riunione sulla Strategia per la Razionalizzazione delle Norme Chiave, sono state discusse iniziative chiave come la semplificazione delle procedure di approvazione, il supporto per la medicina rigenerativa avanzata e l’espansione dei sistemi agro-fotovoltaici.
L’obiettivo è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dei cittadini 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a livello globale.
Valutazione Questo piano potrà favorire lo sviluppo industriale, offrendo al contempo opportunità lavorative e nuove esperienze di servizio per il benessere delle persone e delle comunità.

뇌사 외 ‘심정지 사망’도 장기기증 가능…첫 국가 종합계획 마련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뇌사자에 한정됐던 장기기증 대상을 연명의료 중단 후 심정지 사망자까지 확대하고, 장기기증 희망 등록 기관을 주민센터 등 공공기관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장기기증 및 이식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생명나눔 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총평 장기기증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국민이 생명나눔에 참여하기 더 쉬워지고, 부족한 장기와 인체조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expand organ donation eligibility from brain-dead individuals to include cardiac deceased donors after life-support withdrawal, while increasing access to donor registration through public facilities like local community centers.
This initiative aims to resolve the imbalance between organ supply and demand and promote a culture of life-sharing.
Summary Increasing accessibility to organ donation will make it easier for individuals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to solving the organ and tissue shortage problem.

日本語 政府は、脳死者に限定されていた臓器提供を、延命医療中断後の心停止死亡者にまで拡大し、住民センターなど公的機関でも臓器提供希望登録が可能になるようにしました。
これにより、臓器提供と移植の供給と需要の不均衡を是正し、命を分かち合う文化の活性化を図る予定です。
総評 臓器提供の手続きが簡便化され、国民が命の分かち合いに参加しやすくなるとともに、臓器・人体組織の不足問題の改善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决定将器官捐献范围从仅限脑死亡者扩大至终止延命治疗后的心脏死亡者,并增加社区中心等公共机构作为器官捐献登记点。
此举旨在解决器官供需失衡问题并推广生命分享文化。
总评 提高器官捐献的便利性将促使更多人参与,同时有望缓解器官和人体组织短缺的问题。

Italiano Il governo ha deciso di estendere l’idoneità alla donazione di organi dai soli donatori in stato di morte cerebrale ai donatori deceduti per arresto cardiaco dopo l’interruzione del supporto vitale, aumentando anche i punti di registrazione presso enti pubblici come i centri municipali.
Questa iniziativa mira a risolvere lo squilibrio tra domanda e offerta di organi e a promuovere una cultura della condivisione della vita.
Valutazione Rendere la donazione più accessibile faciliterà la partecipazione dei cittadini, contribuendo a ridurre il problema della carenza di organi e tessuti.

2년 내 수도권 신축매입임대 7만 호 착공…대부분 우수 입지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가 수도권 내 신축매입임대 7만 호를 2026~2027년에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90% 이상을 우수한 입지의 오피스텔·아파트·도시형생활주택으로 공급하며, 신혼부부와 청년층을 대상으로 공공임대로 제공한다는 방침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수도권 내 주택 수요가 높은 그룹에게 적절한 공급을 제공함으로써 주거 안정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plans to begin construction on 70,000 housing uni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2026–2027.
Over 90% of these units will be located in prime areas and include apartments, officetels, and urban-style residences targeted at newlyweds and young people.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address housing shortages by providing quality homes in desirable areas, potentially enhancing housing stability for key demographic groups.

日本語 国土交通部は2026~2027年までに首都圏内で計7万戸の新築買収賃貸住宅の建設を開始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買収される住宅の90%以上はアクセスの良いオフィステル、アパート、都市型住宅を中心に提供し、主に新婚夫婦や若年層向けの公営賃貸住宅として供給される予定です。
総評 首都圏住宅の不足を解決するために良質な住宅を迅速に提供する方針で、生活の安定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国土交通部宣布计划在首都圈内于2026年至2027年期间开工建设7万套新建收购式租赁住房。
其中90%以上将位于优越地段,包括办公楼式住宅、公寓和都市型住房,主要面向青年和新婚家庭的公共租赁住房。
总评 此政策旨在快速增加供房数量,对减缓住宅需求压力具有积极作用,同时为潜在租户提供更多优质选择。

Italiano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 annunciato che entro il 2026–2027 saranno costruiti 70.000 nuovi alloggi in affitto nell’area metropolitana di Seoul.
Oltre il 90% degli alloggi sarà situato in aree di pregio e comprenderà appartamenti, officetel e abitazioni urbane destinate principalmente a giovani coppie e famigli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offrirà maggiori opportunità di alloggi di qualità, migliorando la stabilità abitativa per gruppi demografici chiave.

2차 추경 석 달 만에 92.4% 신속 집행…”내수·민생 뒷받침”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지난 7월 제2차 추경예산을 9월 말까지 3개월 안에 85% 이상 집행하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신속한 집행을 통해 92.4%를 초과 달성하며 민생 회복을 위한 예산 효과를 극대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평 이번 추경 집행은 내수 활성화를 통한 경제 회복과 소비진작 정책이 국민 일상에 실질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In July, the government set a challenge goal to execute at least 85% of the second supplemental budget within 3 months by the end of September.
Eventually, the execution rate reached 92.4%, exceeding the original target, enhancing the impact of funds allocated for economic and livelihood recovery.
Summary This swift budget implementation is likely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and positively affect citizens’ daily lives.

日本語 政府は7月に第2次補正予算を9月末までの3ヶ月間で85%以上執行するという目標を掲げました。
その結果、迅速な執行により目標を超える92.4%が達成され、生活支援の資金効果が最大化されたことが確認されました。
総評 この迅速な執行は、国内消費の活性化と経済回復に加え、市民の日常に形のある恩恵をもたらす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在今年7月设定目标,到9月底的3个月内执行第二次追加预算的85%及以上。
最终,预算执行率达到92.4%,超出原计划目标,强化了用于经济和民生恢复的预算效果。
总评 这一快速预算执行预计将促进国内消费,并对民众日常生活产生积极影响。

Italiano A luglio, il governo ha fissato l’obiettivo di eseguire almeno l’85% del bilancio supplementare entro tre mesi, entro la fine di settembre.
Alla fine il tasso di esecuzione ha raggiunto il 92,4%, superando l’obiettivo iniziale e massimizzando l’impatto delle risorse destinate al recupero economico e sociale.
Valutazione L’implementazione tempestiva del bilancio potrà stimolare il consumo interno e migliorare significativamente la qualità della vita quotidiana dei cittadini.

‘간부 모시는 날’ 익명게시판 설치…공직사회 불합리한 관행 근절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공직사회 내 불합리한 관행을 없애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하는 방식 및 조직문화 혁신 추진 방안’을 마련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잡무 떠넘기기 금지, 격식 차리기 감소, 불필요한 대기 근무 최소화, 근무시간 외 연락 자제 등이 포함되며, AI를 활용해 반복 작업을 줄이는 방안도 포함됩니다.
윤호중 장관은 이번 방안이 공직사회의 활력을 높이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공무원들에게 실질적인 업무 효율성과 공정을 가져와 업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더 나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plans to reform work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Key measures include prohibiting task delegation to new employees, minimizing unnecessary formalities and standby tasks, and limiting non-essential contact after work hours, with added use of AI to reduce repetitive tasks.
Minister Yoon Ho-jung emphasized that these reforms aim to create a more dynamic public sector and enhance services for citizen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alleviate work-related stress for civil servants, fostering a fairer and more efficient public administration.

日本語 行政安全部は、公職社会の不合理な慣行を撲滅し、業務効率を向上させるため、「働き方および組織文化革新推進方策」を発表しました。
主な内容は、新規職員への雑務押し付け禁止、必要以上の儀礼削減、無駄な待機勤務の最小化、勤務時間外の連絡自粛などが含まれており、さらにAIを活用して反復作業を削減する計画が含まれています。
ユン・ホジュン長官は、この方策が公職社会の活力を高め、国民により良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ことに役立つと期待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方策は、職員の負担を軽減し、効率的で公平な公務を実現する一助となる政策で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宣布计划改革公共部门的工作方式与组织文化。
主要措施包括禁止向新员工分配琐碎任务、减少繁文缛节、缩减无效待命工作、限制非工作时间的随意联系,并利用AI降低重复性工作。
部长龙虎中表示,这些改革旨在提升公务员队伍的活力并为市民提供更优质的服务。
总评 该政策有望减轻公务员的工作压力,推动更高效且公平的行政管理。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un piano per riformare le pratiche lavorative e la cultura organizzativa nel settore pubblico.
Le misure principali includono il divieto di assegnare compiti gravosi ai nuovi assunti, la riduzione delle formalità inutili, la minimizzazione delle attese inutili e il miglioramento dell’efficienza tramite l’uso dell’intelligenza artificiale.
Il ministro Yoon Ho-jung ha sottolineato che queste riforme mirano a creare un settore pubblico più dinamico e a fornire servizi migliori ai cittadin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ridurre lo stress lavorativo dei funzionari, rendendo l’amministrazione pubblica più equa ed efficiente.

‘상생페이백’ 415만 명에 2414억 환급…1인당 평균 5만 원 수준

요약보기
한국어 올해 처음 시행된 상생페이백으로 415만 명에게 총 2414억 원이 환급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정책은 전년 대비 월별 카드소비 증가분의 20%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방식으로,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기여했습니다.
총평 상생페이백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하며 민생 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매출 증대에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

English This year’s newly implemented “Shared Growth Payback” policy has refunded a total of 241.4 billion won to 4.15 million people.
The program refunds 20% of the increase in monthly card spending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he form of Onnuri Gift Certificates, promoting consumption and supporting small businesses.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direct benefits to consumers while boosting the local economy and sales in traditional markets.

日本語 今年初めて実施された「共生ペイバック」政策により、415万人に総額2414億ウォンが返還されました。
昨年比で月間カード消費額が増加した分の20%をオンヌリ商品券で返還する仕組みで、消費促進と小規模事業者の収益向上に寄与しました。
総評 消費者に直接還元しながら地域経済活性化と伝統市場の売上増加に貢献する施策です。

中文 今年首次实施的“共享成长回馈”政策已向415万名民众退还了总计2414亿韩元的金额。
此政策按去年相比月度信用卡消费额增长部分的20%以数字型Onnuri商品券形式退还,促进消费并支持中小商户发展。
总评 此措施通过直接回馈消费者,助力经济活跃,同时增加传统市场的销售额。

Italiano Quest’anno, la nuova politica “Shared Growth Payback” ha rimborsato un totale di 241,4 miliardi di won a 4,15 milioni di persone.
Il programma restituisce il 20% dell’aumento della spesa mensile con carta rispetto all’anno precedente sotto forma di buoni Onnuri, stimolando il consumo e aiutando le piccole impres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e benefici diretti ai consumatori, contribuendo al rilancio dell’economia locale e al supporto del commercio tradizionale.

추석 대목 노린 ‘국내산 둔갑’ 원산지 표시 위반 업체 373곳 적발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추석 전 원산지 표시 점검으로 위반업체 373곳과 품목 410건을 적발했습니다.
이번 점검은 배추김치, 돼지고기 등 다양한 품목에서 국내산 둔갑 등 위반 행위를 집중 단속했습니다.
적발된 업체는 형사입건 및 과태료 부과 처리가 이루어졌으며, 소비자 신뢰를 위한 캠페인과 합동단속도 진행되었습니다.
총평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 신뢰 및 건강을 직결하는 문제로, 정부의 점검 강화는 소비자 보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detected 373 violating businesses and 410 items during an inspection of country-of-origin labeling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The inspection focused on uncovering fraudulent labeling practices for items like kimchi and pork, with some businesses criminally charged and fined.
Campaigns to promote correct labeling and joint inspections with other agencies were also conducted.
Summary Accurate labeling protects consumers and supports fair trade, making these inspections crucial for trust and transparency.

日本語 国立農産物品質管理院は、秋夕を控えた原産地表示の点検で、違反業者373カ所と410品目を摘発しました。
点検では、白菜キムチや豚肉などの主要品目で国内産偽装などが集中的に取締りました。
違反業者は刑事訴追や罰金処理され、消費者信頼のためのキャンペーンや合同取り締まりも実施されました。
総評 原産地表示は消費者の信頼と安全を守るため、これらの取り締まり強化は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ます。

中文 国家农产品质量管理院在中秋节前对原产地标识进行了检查,查处了373家违规业者和410项商品。
检查重点集中在如白菜泡菜、猪肉等商品的国内产冒充行为,部分违规者被刑事立案及罚款。
此外,还开展了提高消费者信任的宣传活动及联合执法行动。
总评 原产地标识直接关系到消费者权益,政府的严格检查有助于保障食品安全和市场规范。

Italiano Il Servizio Nazionale per la Qualità dei Prodotti Agricoli ha individuato 373 aziende e 410 prodotti che violavano le normative sull’etichettatura dell’origine, durante i controlli effettuati prima della festività di Chuseok.
L’ispezione si è concentrata su frodi riguardanti prodotti come kimchi e carne di maiale, con multe e procedimenti penali per i trasgressori.
Sono state inoltre promosse campagne per etichettature corrette e ispezioni congiunte con altre autorità.
Valutazione Questo tipo di controlli è essenziale per garantire trasparenza, fiducia dei consumatori e pratiche commerciali leali.

케이-컬처의 대표 ‘한복’의 모든 것…21~26일 ‘한복문화주간’

요약보기
한국어 한복문화주간이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열려, 전국 360여 거점에서 한복 패션쇼, 체험 행사, 토론회 등을 통해 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이 조화된 한복문화를 선보입니다.
국민은 롯데월드와 국립현대미술관 등의 할인과 무료입장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한복의 전통과 현대적 매력을 동시에 느끼며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혜택을 즐길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Hanbok Culture Week will be held from October 21 to 26, showcasing traditional and modern aesthetics of hanbok through fashion shows, experiential events, and forums at over 360 locations nationwide.
The public can also enjoy benefits such as discounts at Lotte World and free entry 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ummary The event is a great opportunity to explore hanbok’s cultural charm while enjoying various experiences and benefits.

日本語 10月21日から26日にかけて「韓服文化週間」が開催されます。
全国360ヶ所以上で韓服の伝統美と現代的デザインを融合させたファッションショーや体験イベント、議論会が行われます。
総評 韓服文化の魅力を体験でき、割引や無料入場の特典が楽しめる貴重な機会です。

中文 10月21日至26日将举行“韩服文化周”,在全国360多个地点举办韩服时装秀、体验活动和座谈会,展示韩服的传统美和现代感的结合。
公众还可享受乐天世界折扣及国立现代美术馆免费入场等福利。
总评 此活动是体验韩服文化魅力并享受多元优待的绝佳机会。

Italiano Dal 21 al 26 ottobre si terrà la Settimana della Cultura del Hanbok, con più di 360 eventi in tutta la nazione tra sfilate di moda, attività interattive e conferenze per celebrare la fusione tra tradizione e modernità del Hanbok.
Il pubblico potrà beneficiare anche di sconti a Lotte World e ingressi gratuiti al Museo Nazionale di Arte Moderna e Contemporanea.
Valutazione L’evento offre una magnifica opportunità per immergersi nella cultura del Hanbok e approfittare di vantaggi culturali e ricreativi.

노동부, 항공사 등 50개사 기획 감독…노동시간 위반 등 종합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가 16일부터 두 달 동안 노동시간 위반 및 산업안전에 취약한 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합동 기획 감독을 실시합니다.
점검 대상은 교대제 및 특별 연장근로 반복 사용이 많은 약 50개 사업장이며, 노동시간 위반, 수당 미지급, 안전조치 이행 여부 등을 조사합니다.
총평 이번 감독은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과 근로자의 건강 및 안전을 보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ill conduct joint inspections for two months starting on the 16th, focusing on companies vulnerable to labor hour violations and industrial safety.
Around 50 companies, including manufacturing firms and airlines excessively utilizing shift systems and extended working hours, will be targeted.
Summary This inspection is expected to enhance workplace safety and improve labor conditions for workers suffering from long hours and inadequate protection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16日から約2か月間、労働時間違反や産業安全に脆弱な事業所に対して合同監査を実施します。
対象は交代勤務や特別延長労働を繰り返し利用する約50の企業で、労働時間違反や安全対策の履行状況などを調査します。
総評 この監査は、長時間労働の改善と働き手の健康・安全を守るための重要な措置といえます。

中文 劳动部宣布自16日起开展为期两个月的联合监督,重点针对劳动时间违规及工业安全薄弱的行业。
目标包括重复使用轮班制度和特殊加班的约50家企业,检查内容涉及加班费支付、安全措施落实等方面。
总评 此次监督有望改善长时间工作环境,保障劳动者的健康与安全。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avviato dal 16 ottobre un’ispezione di due mesi sulle violazioni delle ore lavorative e sulla sicurezza industriale nelle aziende più vulnerabili.
Circa 50 aziende che utilizzano frequentemente il lavoro straordinario e i turni verranno controllate riguardo al rispetto delle norme su orari, salari e sicurezz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portare a un miglioramento delle condizioni di lavoro e aumentare la sicurezza e la salute dei lavoratori.

KDI “소비쿠폰 영향 경기 부진 완화…제조업 지표도 개선”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최근 우리 경제가 건설업과 고용 부진에 제약을 받지만, 소매판매 개선과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아 소비 부진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승용차 판매 증가 등의 요인이 소비 개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며,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는 장기적 위험 요인으로 제기됐습니다.
총평 건설업 부진과 수출 악화는 경제 성장에 도전 과제를 던지지만, 정부 정책과 소비 활성화는 개인 소비 심리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English KDI analyzed that South Korea’s economy is constrained by construction and employment sluggishness but shows recovery in consumer spending due to retail improvement and government policies.
Factors such as public recovery coupons and increased car sales are expected to sustain consumption growth, while deteriorating global trade conditions pose long-term risks.
Summary While challenges from construction and export constraints persist, government policies and consumer spending improvements may positively boost individual economic confidence.

日本語 韓国開発研究院(KDI)は、建設業と雇用の低迷が続いているものの、小売販売改善や政府施策による消費改善傾向が見られると分析しました。
民生回復クーポンや乗用車販売増加が消費成長を後押しする一方で、悪化する世界的な貿易環境は長期的なリスク要因とされました。
総評 建設業の不振と輸出減少は課題ですが、政府の支援策と消費活性化が個人経済の安心感を高める手助けとなり得ます。

中文 韩国开发研究院(KDI)分析称,建筑业和就业疲软限制了经济增长,但零售改善和政府政策缓解了消费疲软的局面。
民生恢复消费券和乘用车销售增长等因素预计将进一步推动消费改善,同时全球贸易环境恶化构成长期风险。
总评 建筑行业疲软与出口疲软对经济有压力,但政府措施与消费复苏可能有效增强个人经济信心。

Italiano Il KDI ha analizzato che l’economia della Corea del Sud è limitata dalla stagnazione del settore edilizio e dall’occupazione, ma mostra segnali di ripresa grazie al miglioramento dei consumi al dettaglio e alle politiche governative.
Si prevede che fattori come i coupon per il sostegno pubblico e l’aumento delle vendite di automobili favoriranno la crescita dei consumi, mentre il deterioramento delle condizioni commerciali globali rappresenta un rischio a lungo termine.
Valutazione Gli ostacoli legati all’edilizia e alle esportazioni sfidano la crescita economica, ma le politiche di governo e i miglioramenti nei consumi possono concretamente rafforzare la fiducia economica individuale.

수능 ‘기억력 향상’ 등 식품 부당광고·의약품 불법 유통 특별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6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수험생 대상 식품·의약품의 부당 광고와 불법 판매를 점검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과 SNS에서 소비자 심리를 이용한 허위·과장 광고를 점검하며, 불법 게시물은 접속 차단 및 행정처분 요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점검은 잘못된 광고로 피해를 볼 우려가 있는 수험생과 학부모를 보호하고 불법 유통을 예방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plans to inspect deceptive advertisements and illegal sales targeting students preparing for the 2026 college entrance exams.
The crackdown will focus on misleading claims on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social media, including effects on concentration, memory, and exam-related supplements, with illegal posts being blocked and reported for administrative action.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protect students and parents from falling victim to false advertisements, ensuring a safer digital market environment during exam preparation periods.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は2026年度大学入試試験に向けて、受験生を対象とした食品・医薬品の不当広告や違法販売の点検を行うと発表しました。
特に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やSNSで記憶力向上や集中力増強を謳う誇張広告や違法投稿を集中監視し、迅速に対応する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受験生や保護者を誤った情報から守り、より安全な消費環境を整えるための重要な対策と言えます。

中文 食品药品安全处宣布,为备战2026年大学入学考试的考生进行食品和药品虚假广告与非法销售的检查工作。
此次重点针对在线购物平台和社交媒体中利用记忆增强、专注力提升等概念进行虚假宣传的行为,非法内容将被快速屏蔽并行政处理。
总评 此项检查能有效保护考生及家长免受虚假广告的误导,为考试准备期提供更安全的消费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 dichiarato che ispezionerà le pubblicità ingannevoli e le vendite illegali di prodotti rivolti agli studenti che si preparano agli esami di ammissione del 2026.
L’attenzione sarà concentrata sulle piattaforme di shopping online e social media che sfruttano l’ansia dei genitori e degli studenti con promesse di miglioramento della memoria e concentrazione, bloccando rapidamente i post illegal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roteggerà gli studenti e le famiglie dalle conseguenze di pubblicità fuorvianti, migliorando la sicurezza nei consumi durante i periodi di studio intensivo.

이 대통령 “바이오·에너지·문화, ‘규제→성장’ 패러다임 전환해야”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제2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바이오, 에너지, 문화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강조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를 혁신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회의에서는 바이오 분야의 절차 단축, 재생에너지 활성화, 문화산업 진흥을 저해하는 규제 개선 방향이 논의되었습니다.
총평 규제합리화가 성공한다면 첨단기술과 에너지 전환, 그리고 문화산업 발전이 가속화되어 개인과 지역사회에 실질적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On October 16,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io, energy, and cultural industries as key drivers of future growth at the 2nd Regulatory Rationalization Strategy Meeting.
The meeting discussed regulatory reform in areas like streamlining bio processes, boosting renewable energy, and enhancing the cultural industry.
Summary Successful regulatory reform could accelerat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benefit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angibly.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16日、バイオ、エネルギー、文化産業を未来の成長動力として強調し、規制合合理化が必要であると述べました。
会議では、バイオ分野の手続き短縮、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促進、文化産業振興の規制改善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規制の改善が進めば、技術革新と産業成長が加速し、国民と地域社会に具体的な利益をもたらす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李在明总统于16日的第2次核心规制合理化战略会议上强调,生物、能源和文化产业是未来增长的关键驱动力,需通过规制创新来支持它们的发展。
会议讨论了简化生物领域审批流程、促进可再生能源发展以及改善文化产业规制的方向。
总评 若规制成功改进,将加速技术、能源和文化产业发展,切实改善民众和地区的生活质量。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enfatizzato il ruolo cruciale di bio, energia e cultura come motori di crescita futura durante la 2ª Conferenza Strategica sulla Razionalizzazione delle Regolazioni del 16 ottobre.
Durante l’incontro, sono stati discussi temi quali la semplificazione dei processi bio, la promozione delle energie rinnovabili e la regolamentazione per favorire l’industria culturale.
Valutazione Se la razionalizzazione delle regole sarà efficace, potrebbe stimolare fortemente innovazione, sviluppo industriale ed energia sostenibile, migliorando concretamente la vita delle comunità locali.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 45.7%…”11월 말까지 최대한 복구”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복구를 위해 45.7%의 시스템 재건을 완료했습니다.
1·2등급 주요 시스템을 10월 말까지, 기타 시스템을 11월 20일까지 복구하겠다는 일정을 발표했습니다.
총평 이번 복구 계획은 국민이 사용하는 주요 시스템의 조속한 복구를 통해 일상생활의 불편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completed the restoration of 45.7%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mpa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 fire.
Key systems with grades 1 and 2 will be restored by the end of October, with remaining systems scheduled for restoration by November 20.
Summary This restoration plan seek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n citizens by prioritizing the recovery of essential public services.

日本語 政府は国家情報資源管理院の行政情報システムの火災復旧作業を45.7%完了しました。
重要な1・2級システムを10月末まで、それ以外のシステムを11月20日までに復旧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総評 この計画は、国民の日常生活への影響を最小限に抑えるため、主要システムの迅速な復旧を目指したものです。

中文 政府已完成国家信息资源管理院行政信息系统火灾恢复工作的45.7%。
计划优先于10月底恢复1、2级关键系统,其余系统将于11月20日前完成恢复。
总评 此恢复计划旨在通过尽快恢复重点服务系统来减少对公众日常生活的影响。

Italiano Il governo ha completato il ripristino del 45,7% dei sistemi informativi amministrativi colpiti dall’incendio del Servizio Nazionale delle Risorse Informative.
I principali sistemi di grado 1 e 2 saranno ripristinati entro la fine di ottobre, e gli altri sistemi entro il 20 novembre.
Valutazione Questo piano di ripristino mira a ridurre al minimo il disagio per i cittadini grazie al recupero prioritario dei servizi essenziali.

요약

바이오·에너지·문화 관련 규제 ‘지원·육성’ 중심으로 확 바꾼다
발행일: 2025-10-16 09:38

원문보기
### 정부, 신산업 육성 위해 핵심규제 대대적 합리화 및 성장지원 강화

정부는 바이오, 재생에너지, 문화 산업을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관련 규제를 “성장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10월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2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를 위해 전 부처 차원의 개선 및 신속한 대처를 강조했다.

#### 주요 발표 내용

1. **K-바이오 규제 혁신**
– 허가와 심사 절차를 동시·병렬적 방식으로 단축해 안전한 치료제의 신속 출시를 지원.
– 첨단재생의료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 및 난치질환 치료 범위 확대.
–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AI 연구 활성화.
– 가명데이터 셋 적용을 통한 안전한 원격접속 분석 시스템 단계적 도입.

2. **탈탄소 및 재생에너지 육성**
– 영농형 태양광 설치 규제 완화: 농업진흥지역 확대 및 발전사업 기간 연장.
– 태양광 발전 설비 이격거리를 법제화하고, 사업 투명성 및 주민 수익공유 기반 강화.
– 폐자원 수입 규제 합리화를 통해 핵심광물 확보 및 순환경제 활성화.

3. **K-컬처 산업 활성화**
– 영화산업 투자 펀드 확대 및 문화산업 전문회사 대상 세제 지원 검토.
– 방송 광고 규제 완화(가상·중간광고 허용 및 하루 총광고량 제도 마련).
– 웹툰, 드라마 등 K-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대응 강화(24시간 내 불법 사이트 차단).

#### 정부의 규제기관 역할 변화
– 규제 중심 역할을 넘어, 지원·육성기관으로 전환.
– 민간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규제 합리화를 선제적으로 추진.
– 네거티브 규제 방식(원칙적 허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강조.

####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기대효과
정부의 이번 규제 합리화 방침은 바이오 치료제의 빠른 개발, 녹색 산업 생태계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K-콘텐츠를 세계 시장에 더욱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당 의제를 신속히 구체화하고 후속 조치를 점검해 민생과 산업의 긍정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관계 부처에 당부했다.

[문의: 국무조정실 규제총괄정책관실, 044-200-2397]

뇌사 외 ‘심정지 사망’도 장기기증 가능…첫 국가 종합계획 마련
발행일: 2025-10-16 08:21

원문보기
### 정부의 장기기증 활성화 종합계획 발표: 기증자 확대 및 관리체계 강화
정부가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기존 뇌사자만을 대상으로 했던 장기기증을 연명의료 중단 이후 심정지 사망자(DCD)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장기 및 인체조직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기증 문화를 장려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

#### 주요 내용 및 추진 방안
1. **장기기증 희망등록 기관 확대**
– 기존 462개소에서 2030년까지 2배 이상 늘린 904개소로 확대 예정.
– 주민센터, 건강보험공단 등 공공기관에서도 등록 가능하도록 접근성을 강화.

2. **순환정지 뒤 장기기증(DCD) 도입**
– 해외 선진국에서는 널리 시행 중인 연명의료 중단자의 순환정지 뒤 장기기증 방식 도입.
– 법적,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기증 활성화를 추진.

3. **기증자 및 가족 예우 강화**
– 장례 지원, 봉안당 비용 경감, 추모행사 확대 등 정서적·실질적 지원.
– ‘기억의 벽’ 설치 및 감사패 수여 등 예우 프로그램 추진.

4. **의료기관 지원 및 관리 개선**
– 병원 전자의무기록(EMR)으로 기증 정보 공유 간소화.
–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코디네이터 인력 지원 확대.

5. **인체조직 공급체계 정비**
–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와 병원 조직은행 운영지원을 강화.
–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기증 확대를 목표.

6. **연구 및 거버넌스 활성화**
– 장기기증 및 이식 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해 연구환경 개선.
– 의료계, 학계, 정부 간 협력을 통해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거버넌스 구축.

#### 정책의 배경과 목표
현재 우리나라 장기기증은 뇌사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증 수급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특히 인체조직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공급 기준 개선 및 국내 기증 활성화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이번 종합계획은 정책적 접근을 통해 기증자 모집을 확대하고, 장기 및 인체조직의 안정적인 수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장기기증 희망등록 방법
16세 이상 개인은 본인 인증을 통해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홈페이지(www.konos.go.kr) 또는 관련 단체 웹사이트에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장기기증 활성화뿐만 아니라 기증자의 공헌을 국민적으로 존중하는 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2년 내 수도권 신축매입임대 7만 호 착공…대부분 우수 입지
발행일: 2025-10-16 08:14

원문보기
**국토교통부, 수도권 내 신축매입임대 14만 호 착공 추진 및 주요 내용 발표**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내 신축매입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14만 호 착공계획을 발표하고,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7만 호를 2026~2027년에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7만 호 중 90% 이상을 역세권 등 우수 입지에서 오피스텔·아파트·도시형생활주택으로 공급해 주거여건 개선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습니다.

신축매입임대사업은 도심 내 주택을 선제적으로 확보하여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청년층·신혼부부 등이 선호하는 주택을 빠르게 제공하는 효과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사업 추진 가속화 및 제도개선**
정부는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기 위해 착공 단계에서 매입대금의 최대 10%를 선지급하는 인센티브를 올해부터 도입했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 내 조기착공지원팀을 신설해 현장 중심 사업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8월 말 기준 약정체결 건수가 2만 4000호에 달했으며, 이는 지난해 4분기 대비 약 10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답십리 현장 대표 사례**
16일 이상경 국토부 제1차관은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에 위치한 신축매입임대 현장을 방문해 사업 진행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해당 주택은 올해 3월 매입약정을 체결했으며, 이달 중 매매계약을 완료한 뒤 4분기에 입주자 모집을 공고할 예정입니다. 특히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공임대로 공급하여 주거안정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미래 사업 계획**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내 신축매입임대 14만 호 공급 목표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안정을 조기에 달성하고, 우수 입지 내 고품질 주택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문의: 국토교통부 주거복지정책관 주거복지지원과 044-201-4528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2차 추경 석 달 만에 92.4% 신속 집행…”내수·민생 뒷받침”
발행일: 2025-10-16 08:06

원문보기
**정부, 2차 추경예산 목표보다 신속 집행하며 민생 회복 노력**

정부가 지난 7월 결정한 제2차 추경예산을 설정된 목표보다 빠르게 집행하며 민생 안정과 내수 회복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임기근 2차관 주재로 열린 재정집행 점검회의를 통해 2차 추경예산 집행 실적을 발표했다.

### **집행 목표 초과 달성**
정부는 지난 7월, 85% 이상을 3개월 안에 집행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으며 이는 1차 추경보다 15%p 높은 목표였다. 이를 바탕으로 빠르고 효과적인 집행을 통해 9월 기준 92.4%를 달성하며 목표치를 5%p 초과했다. 총 집행 금액은 19조 1000억 원으로, 내수 회복과 민생 안정에 중점을 둔 예산이었다.

### **주요 사업별 집행 내역**
1. **소비진작 사업**
–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전액(8조 1000억 원)을 지급 완료, 2차분 4조 원 중 3조 5000억 원을 지자체에 신속 교부했고, 잔여분은 대상을 확정 후 지급 예정.
– 1차 소비쿠폰은 5008만 명(9조 700억 원), 2차분은 4194만 명(4조 1900억 원)에게 지급되었다.

2.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
– 8월 20일 환급 개시 이후 9월 9일까지 70만 건을 처리해 904억 원 환급.

3. **문화 소비 진작 지원**
– **영화 할인쿠폰**: 99% 이상 사용 완료.
– **공연·전시 할인권**: 매주 목요일 재배포, 1차 미사용분도 소진 중.
– **숙박 할인권**: 87만 장 배포했고, 지난달 말까지 66만 장 발급 완료.

4. **벤처·스타트업 창업 지원**
– 혁신 창업 사업화 자금 융자사업으로 총 1097건, 2000억 원 지원.

### **정부의 의지와 당부**
임기근 기획재정부 차관은 추경이 내수 회복과 민생 지원의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고 강조하며, 남은 예산의 연내 완전 집행을 위해 관계부처 및 지자체의 협력을 요청했다.

문의 사항은 관련 부처(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직접 문의 가능하다.

이는 정부가 민생과 내수 개선을 위한 신속 대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보인 사례로 평가된다.

‘간부 모시는 날’ 익명게시판 설치…공직사회 불합리한 관행 근절
발행일: 2025-10-16 07:42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공직사회의 관행 개선과 혁신 추진 방안 발표**

행정안전부는 공직사회의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고 활력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인사혁신처와 협업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간부 모시는 날’ 같은 관행 근절을 위해 익명게시판을 설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행안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일하는 방식 및 조직문화 혁신 추진 방안’을 마련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모든 행정기관에 오는 17일 배포할 예정입니다. 이번 혁신안은 공직사회 내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무원 본연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점 내용: 불합리한 관행 개선과 효율성 제고**
구체적인 추진 방안으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 **중점 근절 과제:** 신규직원에게 기피업무와 잡무를 떠넘기는 행위 금지.
– **5대 실천 과제:**
1. 체계적인 업무 인계·인수
2. 과잉 의전 및 격식 차리기 금지
3. 직급과 연차를 고려한 업무 분장
4. 불필요한 대기 근무 최소화
5. 근무시간 외 무분별한 연락 자제

또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활용하여 단순·반복 업무를 줄이고, 공무원이 핵심 업무인 정책 발굴과 현장 소통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자율적 점검과 진단도구 배포**
각 기관이 스스로 조직문화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 진단도구 표준안’을 배포하며, 후속 간담회와 점검을 통해 계획의 실효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공무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불합리한 관행과 비효율적인 업무 방식을 개선하는 기회를 마련했다”며, 국민에게 신뢰받는 정부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혁신안은 공직사회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 제공 및 신뢰 증진을 위한 디딤돌이 될 전망입니다.

문의: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행정제도과 (044-205-2249)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상생페이백’ 415만 명에 2414억 환급…1인당 평균 5만 원 수준
발행일: 2025-10-16 07:31

원문보기
**상생페이백 상반기 성과: 415만 명에게 총 2414억 원 환급 지급**

올해 처음 시행된 상생페이백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1058만 명이 신청했고, 지난달 페이백으로 총 2414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이는 1인당 평균 5만 8155원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 **상생페이백 개요**
– **대상**: 만 19세 이상 국민
– **기간**: 2023년 9월~11월
– **혜택 방식**: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증가한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
– **소비 제외 항목**: 백화점, 아웃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은 제외

### **누적 환급 내역**
– 9월분 지급 대상자는 약 415만 명으로 전체 신청자의 41%를 차지
– 지급된 총 금액은 2414억 원, 1인당 평균 환급액은 5만 8155원

### **지역 및 연령별 신청 현황**
–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전체 신청의 54%
– 수도권 외 지역: 부산(6.4%), 경남(6.0%) 순
– 연령별 참여: 30대(25.4%), 40대(24.8%), 50대(19.6%) 순으로 높은 비중

### **소비 진작 효과 및 경제 기여**
상생페이백이 환급한 금액은 전체 소비 증가액을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의 20%로, 이를 통해 약 1조 2070억 원의 소비 진작 효과를 창출하여 중소·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매출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향후 지급 계획**
– 10월 이후 신청자들도 9월 소비 증가분이 확인되면 10월 페이백 지급 시 소급 적용
– 신청 기간은 **2023년 11월 30일까지**로, 국민들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예정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은 국민들의 소비 참여가 경제 활력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

**☞ 상생페이백 신청 바로가기: [상생페이백.kr](https://상생페이백.kr)**
**문의: (044-204-7881, 7896, 7905)**

> **결론**: 상생페이백은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견인하는 성공적인 소비 촉진 정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신청 기한 내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더 많은 환급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추석 대목 노린 ‘국내산 둔갑’ 원산지 표시 위반 업체 373곳 적발
발행일: 2025-10-16 07:19

원문보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추석 맞아 373곳 원산지 위반 적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선물 및 제수용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산지 표시 점검에서 373곳의 업체와 410건의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16일 발표했습니다.

### **주요 적발 품목**
배추김치가 9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돼지고기가 59건, 두부류가 44건, 닭고기가 28건, 쇠고기가 25건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 **단속 대상 및 결과**
농관원은 특별사법경찰과 명예감시원을 통해 제조·가공업체, 통신판매업체, 농축산물 도·소매업체 등 총 1만 7364곳을 점검했습니다. 주요 위반 사례로는 외국산을 국내산으로 둔갑시키거나 국내 유명지역의 특산물로 속이는 행위가 포함되었습니다.

적발된 업체 중에서 거짓 표시를 한 198곳은 형사 입건되어 검찰 송치 예정이며, 미표시로 적발된 175곳은 총 3826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됐습니다.

###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한 캠페인 및 단속**
이번 단속 기간 동안 농관원은 소비자가 국산 제수용품을 신뢰하며 구매할 수 있도록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에서 관련 단체와 함께 올바른 원산지 표시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또한 산림청, 관세청, 지자체와 합동으로 단속이 이루어졌습니다.

### **향후 계획**
박순연 농관원장은 다가오는 김장철을 대비해 배추, 고춧가루, 마늘 등 주요 양념류의 원산지 표시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염소 등 축산물에 대한 점검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문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산지관리과 (054-429-4156)

케이-컬처의 대표 ‘한복’의 모든 것…21~26일 ‘한복문화주간’
발행일: 2025-10-16 06:58

원문보기
**[2023 한복문화주간: 한복의 날을 기점으로 펼쳐지는 케이-컬처 축제]**

문화체육관광부는 10월 21일 ‘한복의 날’을 시작으로 10월 26일까지 전국적으로 한복문화주간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한복문화주간은 올해로 8회를 맞이하며, ‘현대 한복판(Modern Hanbokpan): the Center of K-Culture’라는 주제로 한복의 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을 결합한 새로운 한복문화를 선보입니다.

### **한복문화주간 주요 행사**
– **한복의 날 기념행사:**
– 한복 분야 유공자 시상식과 패션쇼, 축하 공연이 의정부시 역사유적광장에서 개최됩니다.
– 한복 패션쇼는 ‘일상유희(Portrait of Happiness)’를 주제로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한복 디자인을 선보이며, 김혜순한복, 차이킴, 서담화, 리우앤비우 등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합니다.
– 내외의 주목을 받는 댄스팀 홀리뱅도 한복을 입고 퓨전 공연을 펼칩니다.

– **한복 분야 유공자 시상:**
올해 한복문화공로상은 한국 복식사 교육에 헌신해온 이은주 교수에게 돌아갔으며, 한복인상 및 젊은 디자이너 상 등 여러 학문적, 실천적 공헌자들이 수상했습니다.

– **360개 거점 프로그램:**
전국에서 한복 패션쇼, 체험 행사, 토론회가 열리며, 특히 국회의원회관에서는 ‘찾아가는 한복상점 홍보관’이 운영됩니다. 세종시와 코엑스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해 현대적인 한복과 전통 소품을 홍보합니다.

### **세계적 확산과 사회적 논의**
–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한복 생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학술 토론회와 발대식을 진행해 국제적 위상을 도모합니다.
– 국회의 특성을 살린 ‘한복문화산업 진흥법’ 제정 서명운동을 진행, 한복문화를 제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논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 **문화 혜택과 지역 연계 행사**
– 한복 착용자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롯데월드(50%, 10월 21~31일), 서울 스카이(35%) 등 민간 문화시설은 물론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국악원 등에서도 무료 또는 할인된 입장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역에서는 경북 상주, 전북 전주 등 한복창작소를 중심으로 체험 프로그램과 플로깅 행사 등 지역 자원과 연계된 다채로운 이벤트가 마련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은 “한복이 일상문화와 세계 ‘케이-컬처’를 대표하는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며 “한복문화주간을 통해 한복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세계인이 감동할 수 있는 깊이를 더할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전했습니다.

한복문화주간과 관련한 자세한 일정은 공식 홈페이지(www.kcdf.or.kr/hanbokcultureweek/main)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동부, 항공사 등 50개사 기획 감독…노동시간 위반 등 종합 점검
발행일: 2025-10-16 06:49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장시간 노동 및 안전점검 강화…제조업체 등 50개사 집중 감독

고용노동부가 오는 10월 16일부터 약 두 달 동안 노동시간 위반 및 산업안전에 취약한 제조업체와 항공사 등 총 50개사를 대상으로 노동·산업안전 합동 기획 감독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기획 감독은 노동시간 위반 및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 **점검 대상 및 배경**
특히, 교대제 활용 및 특별 연장근로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며 위법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과 항공사의 근로조건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최근 일부 제조업체에서 주야간 맞교대 근무로 인해 장시간 노동과 산업재해 위험이 증가하며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점이 이번 감독에 반영됐다.

#### **점검 항목**
고용노동부는 이번 감독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 **노동시간 위반 여부**: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 미지급 및 특별 연장근로 시간 준수 여부.
– **산업안전**: 기계·설비 등의 안전 조치, 종사자 특수건강진단, 휴게시설 기준 준수 여부.
– **항공사 관련 감독**: 항공 승무원의 연차휴가 및 휴게시간 보장 위반 사례 확인.

아울러, ‘익명제보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를 검토하며 교대제 근무자들의 근로조건을 최우선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 **강화된 대처 및 후속 조치**
감독 결과 위법 사항이 확인되면 엄정 조치하며,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신속히 시정하도록 할 계획이다. 노동시간 위반 사업장에 대해 ‘교대제 개편 컨설팅’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고용센터와 협력하여 채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장시간 노동 개선 사례를 발굴하고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 **소기업 및 자율 개선 지원**
감독 대상 사업장 외에도 소기업 및 생명·안전 업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지원책도 병행된다. 노동시간 격차 해소를 위해 컨설팅, 장려금, 세액공제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제공할 예정이다.

#### **장관 발언 및 기조**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우리 사회에 여전히 많은 노동자가 장시간 노동과 열악한 환경에서 고통받고 있다”며, “장시간 노동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실질적인 감독과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문의처**
– 노동정책관 임금근로시간정책과: 044-202-7530
– 근로감독정책단 근로감독기획과: 044-202-7533
– 안전보건감독국 안전보건감독기획과: 044-202-8914

*[자료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웹사이트 (www.korea.kr)]*

KDI “소비쿠폰 영향 경기 부진 완화…제조업 지표도 개선”
발행일: 2025-10-16 06:47

원문보기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0월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경제의 주요 흐름을 분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건설업의 부진과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가 경제 회복에 제약을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긍정적인 신호도 감지된다는 평가를 내놨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 **1. 생산과 고용 부진:**
– **건설업 부진:** 8월 건설업 생산은 전월 대비 -6.1% 감소, 전 산업 생산 증가세를 저해. 건축과 토목 부문 모두 감소세를 확대하며 건설투자의 장기적 부진을 유발.
– **고용 상황:** 건설업과 제조업의 고용 둔화로 취업자는 8월에 16만 6000명 증가하며 전월 대비 증가 폭 축소. 실업률은 2.6%로 소폭 상승.

#### **2. 소비 개선세 지속:**
– **소매판매:** 8월 소매판매액은 소폭 감소(-0.5%)했으나 승용차 판매(13.6% 증가)가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며 소비 개선 흐름 지속.
– **민생회복 소비쿠폰:** 쿠폰 지급 등 정부 지원 정책이 긍정적인 소비 환경을 조성.
– **소비자심리:** 소비자심리지수는 110.1로 양호한 수준 유지.

#### **3. 제조업 회복:**
– **자동차 생산:** 승용차 소매판매 증가로 제조업 지표가 개선됐으며 자동차 생산이 21.2% 증가. 반도체 생산은 AI 수요 증가로 향후 전망 밝음.

#### **4. 통상 여건 불확실성:**
– **미중 갈등 및 관세 문제:** 미국의 대중 자동차 고율 관세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가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로 이어지고 경기의 하방 위험을 초래.

#### **5. 주택시장 안정화:**
– **주택 매매가격:** 대출 규제 강화 영향으로 수도권의 상승세 둔화. 서울은 매매가 △0.45%, 경기도는 △0.05%로 상승 폭 축소. 비수도권은 매매가격 하락 지속.

#### **6. 물가 안정:**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에 2.1%로 소폭 올랐으나 기조적인 물가는 안정적. 농산물 가격은 하락(-1.2%)했고 석유류는 기저효과로 상승(2.3%).

### 전망:
KDI는 소비 여건 개선과 정부 지원 정책 덕분에 소비 개선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습니다. 반면, 건설업 부진과 통상 리스크 등은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국내 고용 둔화가 경제 활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수능 ‘기억력 향상’ 등 식품 부당광고·의약품 불법 유통 특별점검
발행일: 2025-10-16 06:38

원문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처, 수능 대비 특별점검 실시: 부당광고·불법판매 예방**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수험생 및 학부모의 관심을 끌고 있는 식품과 의약품의 부당광고 및 불법판매 행위를 철저히 점검하기 위해 특별조치를 진행한다고 16일 발표했습니다. 특별점검은 오는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주요 점검 사항**
이번 점검은 온라인 쇼핑몰과 SNS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주로 다음과 같은 문제를 겨냥합니다:
– **식품**:
–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으로 혼동하게 만드는 광고.
– 허위 또는 과장된 기능성을 내세운 광고.
– 질병 예방 및 치료 효능을 암시하는 식품 광고.
–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오인시키는 표현.
– 주로 ‘기억력 향상’, ‘집중력 강화’, ‘수험생 영양제’ 등 표현 사용.

– **의약품**:
– 마약류 성분의 전문의약품인 메틸페니데이트 제품에 대해 ‘집중력을 높이는 약’ 등의 표현으로 불법 유통·판매·광고하는 게시물.
– ADHD 치료제로 사용되는 메틸페니데이트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하며, 오남용의 위험성이 높은 만큼 각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음.

### **지난해 점검 결과**
2022년 점검에서는 기억력 개선 등 과장 광고를 한 식품 관련 게시물 83건과 메틸페니데이트 불법판매를 광고한 게시물 711건이 적발되었으며, 관련 당국에 접속 차단과 행정처분을 요청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 **소비자 피해 예방 목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피해 예방을 최우선 목표로, 수능 등 특정 시기에 관심이 집중되는 식의약품 광고를 면밀히 점검하고, 신속한 대응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문의 및 정보**
점검 관련 문의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이버조사팀(043-719-1920)으로 가능합니다.

식품과 의약품의 부당광고 및 불법판매는 소비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소비자는 온라인 광고를 꼼꼼히 확인하고 허위·과장된 표현에 속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 대통령 “바이오·에너지·문화, ‘규제→성장’ 패러다임 전환해야”
발행일: 2025-10-16 05:57

원문보기
### 이재명 대통령 “바이오·에너지·문화산업, 미래 성장의 키워드…규제에서 성장으로 전환 필요”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2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바이오, 에너지, 문화 산업을 미래 성장을 견인할 핵심 산업으로 강조하며, “민간의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 중심의 패러다임을 성장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 핵심 내용 요약:
1. **바이오산업**:
– 실증, 임상, 치료 절차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과감한 제도 개편 필요.
– 의료 AI 및 바이오헬스 연구를 위한 의료데이터 활용 확대 방안 검토.

2. **에너지산업**:
– 재생에너지, 특히 영농형 태양광 확산의 장애 요인인 인허가 및 입지 규제 개선.
– 폐자원을 활용한 순환 경제 활성화 논의.

3. **문화산업**:
– 글로벌 OTT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영화 및 지상파 방송산업에 대한 진흥 방안 모색.
– 창작자 권리 보호를 위한 해외 불법 콘텐츠 유통 차단 강화.
– 관광지 바가지요금 방지 대책 검토.

#### 발표와 토론:
– 국무조정실장은 핵심 산업 성장에 필요한 규제 합리화 방안과 당면 과제를 발표했다.
– 소관 부처 장관들과 산업계, 학계 등 참석자 40여 명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 주요 방향:
– 바이오산업에서는 첨단재생의료 기술의 접근성 확대와 허가·심사 절차 혁신을 중심으로 논의.
– 에너지산업은 지역 주민의 소득 창출과 연계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환 필요.
– 문화산업은 해외 진출과 창작 활동 지원을 위해 불필요한 규제 해소에 초점.

#### 후속 조치:
대통령실은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정책과제들이 현장에서 신속히 개선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며, 지난 1차 회의에서 다뤄진 AI, 자율주행, 로봇산업에 이어 바이오, 에너지, 문화산업 주제를 다뤘다.

이번 회의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산업의 신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 45.7%…”11월 말까지 최대한 복구”
발행일: 2025-10-16 04:39

원문보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복구 현황 및 계획**

지난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발생 이후 복구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10월 16일 오전 기준 복구율은 45.7%로 집계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총 324개 시스템이 복구되었으며, 이번 주 추가 복구된 시스템은 64개입니다. 정부는 국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시스템을 우선 복구하고, 나머지 시스템도 단계적으로 재개할 예정입니다.

### 복구 목표 및 일정
1. **우선 복구 대상**:
– 국민 생활과 밀접히 연관된 보훈서비스, 법령정보서비스 등 1·2등급 시스템 289건은 10월 말까지 복구.
– 기타 시스템 76건은 11월 20일까지 모든 복구 작업 완료 예정.

2. **복구 원칙**:
– 안전, 보안, 신뢰라는 3대 원칙 추진.
– 사이버 위협과 물리적·관리적 보안 점검을 통해 복구 과정의 안전성 확보.

### 현재까지의 주요 복구 현황
– **1등급 시스템 복구율**: 77.5% (31개 복구 완료)
– **2등급 시스템 복구율**: 55.9% (38개 복구 완료)
– 예: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1등급), 공무원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정부원격근무서비스(2등급) 기능 재개.

### 대구센터 이전 및 복구 과정
행정안전부는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시스템의 업무 환경 분석과 협의를 진행 중이며, 복구 기간 중 주요 시스템의 불편 해소를 위해 대체 서비스 안내 및 수기 접수 처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 안전 관리 및 대응 방안
– 복구 과정에서 신규 장비 배치 시 장비 하중을 고려해 배치 완료.
– 국정자원 대전센터 건물의 고온 화재 영향 분석 및 구조 진단 실시.
– 복구된 시스템 서비스 재개 시 접속 트래픽 급증에 따른 서비스 지체를 방지하기 위한 사전 대응 방안 마련.

### 향후 계획 및 발언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복구 과정에서 완전한 안전과 신뢰를 확보하며 국민 서비스의 정상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보시스템 관리체계를 재정비하고 개선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에게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부는 관련 기관과 협조하여 복구 작업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문의: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디지털정부기획과 (044-205-2716)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