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해양경찰청]해양경찰청, 9월부터 다자회의를 통한 국제협력 강화에 나선다.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경찰청은 9월부터 북태평양해양치안기관회의(NPCGF), 아시아해양치안기관회의(HACGAM) 등 다자회의에 적극 참여하여 국제 해양협력체계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불법어업, 해양재난 등의 초국가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양안보와 치안 역량을 높일 방안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총평 이 협력체 강화는 해양 안전과 무역로 보호에 실질적 기여를 할 뿐 아니라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더욱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Korea’s Coast Guard announced plan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maritime cooperation starting in September.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multilateral meetings such as NPCGF and HACGAM, the agency aims to enhance its response to transnational maritime issues and bolster maritime security.
Summary Strengthening these cooperative ties will protect trade routes and maritime safety, while boosting Korea’s global standing in maritime governance.
日本語 韓国海洋警察庁は9月より北太平洋海洋治安機関会議(NPCGF)、アジア海洋治安機関会議(HACGAM)などへの積極的な参加を通じて、国際海洋協力体制を強化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れにより、違法漁業や海洋災害などの国境を越えた問題に対処し、海洋の安全と治安能力の向上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協力体制の強化は、海洋安全と貿易ルートの保護に寄与し、韓国の国際的な地位向上につな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海警计划从9月起,通过积极参与北太平洋海洋治安机构会议(NPCGF)、亚洲海洋治安机构会议(HACGAM)等多边会议,加强国际海洋合作机制。
此举旨在应对非法捕鱼、海洋灾害等跨国问题,提升海洋安全和治安能力。
总评 加强这些合作可保护海洋安全和贸易通道,同时提升韩国在国际海洋治理中的地位。
Italiano La Guardia Costiera della Corea ha annunciato che a partire da settembre parteciperà attivamente a incontri multilaterali come NPCGF e HACGAM.
L’obiettivo è rafforzare la capacità di risposta ai problemi marittimi transnazionali, migliorando la sicurezza e la collaborazione internazionale.
Valutazione La cooperazione rafforzata proteggerà le vie commerciali marittime e la sicurezza, aumentando la posizione internazionale della Corea nell’ambito della governance marittima.
[해양경찰청]해양경찰청, 청년 국민패널과 현장에서 답을 찾다!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경찰청은 5일 청년 국민패널 “바다소리”를 대상으로 현장 견학과 간담회를 열어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참여자들은 주요 업무 현장을 둘러보고, 청년들이 공감하는 제도 개선 방향과 인공지능 등 미래 정책 방향에 대해 소통하며 의견을 나눴습니다.
총평 청년의 신선한 시각과 의견이 정책에 반영된다면, 더 나은 해양 서비스와 환경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Korea Coast Guard hosted a field visit and discussion session on the 5th with members of its youth panel “Badasori” to incorporate their perspectives into future policies.
Participants explored key operational sites and exchanged ideas on improving systems, aligning with AI advancements, and addressing youth priorities.
Summary Leveraging the fresh insights of young people in policy-making can lead to enhanced maritime services and innovation.
日本語 韓国海洋警察庁は、5日に青年国民パネル「バダソリ」を対象に現場見学および意見交換会を開催し、青年世代の声を政策に反映するための取り組みを行いました。
参加者は主要な業務現場を視察し、制度改善の方向性やAIを含む未来の政策方向について意見を共有しました。
総評 青年の新鮮な視点を活かせば、海洋関連サービスの向上や革新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海警局于5日举办了与青年国民面板“바다소리”的现场参观和座谈活动,以将青年世代的声音融入政策中。
参与者参观了主要工作现场,并就制度改进方向、人工智能未来政策以及青年关切点交流了意见。
总评 听取青年的意见或能带动海洋服务质量提升及政策创新。
Italiano La Guardia Costiera coreana ha organizzato il 5 ottobre una visita sul campo e un incontro con il gruppo giovanile “Badasori” per integrare le loro opinioni nelle politiche future.
I partecipanti hanno visitato i principali siti operativi scambiando idee su come migliorare i sistemi e affrontare le priorità riguardanti l’intelligenza artificiale e le nuove generazioni.
Valutazione Incorporare il punto di vista dei giovani può favorire innovazioni significative nei servizi marittimi.
[방송통신위원회]개정 「방문진법」·「EBS법」, 9일부터 시행
요약보기
한국어 방송문화진흥회법과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이 오는 9일 시행됩니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 수를 기존 9명에서 13명으로 확대하고, 이사 추천 주체를 다양화하며, 사장후보국민추천위원회를 신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영방송의 투명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개정안은 공영방송의 민주적 운영 구조를 강화하여 시청자의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큽니다.
English The partial amendments to the Broadcasting Culture Promotion Act and the EBS Act will take effect on the 9th.
The revised laws expand the number of directors from 9 to 13, diversify the nominating entities, and establish a Public Recommendation Committee for CEO candidates.
This aims to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fairness of public broadcasting.
Summary These amendments are expected to strengthen democratic governance in public broadcasting, improving trust among viewers.
日本語 放送文化振興会法および韓国教育放送公社法の一部改正法が、9日から施行されます。
今回の改正では理事数を9人から13人に増やし、推薦主体を多様化、さらに社長候補国民推薦委員会を新設する内容が含まれています。
これにより公共放送の透明性と公正性の向上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改正は公共放送運営の民主性を強化し、視聴者の信頼向上に貢献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广播文化振兴会法》和《韩国教育广播公司法》的部分修正案将于9日开始实施。
修订内容包括将理事人数由9人扩大至13人、丰富推荐主体种类,并设立社长候选人国民推荐委员会。
这旨在提高公共广播的透明性与公平性。
总评 此次修订有望加强公共广播的民主化运营,进一步赢得观众的信任。
Italiano Le modifiche parziali alla Legge sulla Promozione della Cultura Radiotelevisiva e alla Legge sull’EBS entreranno in vigore il 9 ottobre.
Le modifiche prevedono l’aumento del numero di consiglieri da 9 a 13, una maggiore diversificazione degli enti di nomina e l’istituzione di un Comitato di Raccomandazione Pubblica per i candidati alla presidenza.
Questi cambiamenti mirano a migliorare la trasparenza e l’equità delle trasmissioni pubbliche.
Valutazione Queste modifiche potrebbero rafforzare la governance democratica delle trasmissioni pubbliche, aumentando la fiducia degli spettatori.
[소방청]"전 세계 유일한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 소방청, 정부혁신 세계 최초 분야 수상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의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가 행안부와 한국행정연구원이 주관한 ‘2025 정부혁신 최초·최고’ 세계 최초 분야에서 수상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무료 서비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해외 체류 국민들에게 응급처치와 의료상담을 실시간 제공하는 혁신 사례로 주목받았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해외 거주 국민들이 위급 상황에서 실질적인 의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English The National Fire Agency’s “Overseas Nationals 119 Emergency Medical Consultation Service” received recognition in the “2025 Government Innovation First and Best” awards, hos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dentified as the only free service of its kind worldwide, the initiative offers real-time medical advice and emergency care for Korean nationals abroad.
Summary This service provides vital medical support for overseas Koreans, securing their safety and well-being in emergencies.
日本語 消防庁の「海外邦人向け119緊急医療相談サービス」が、行政安全部と韓国行政研究院主催の「2025政府革新最初・最高」賞で世界最初部門に選ばれました。
このサービスは世界的に類似の無料サービスがないと確認されており、海外在留邦人に緊急処置や医療相談をリアルタイムで提供する革新的な事例として評価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海外にいる韓国人が緊急時に頼れる医療の安全網として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ます。
中文 韩国消防厅的“海外侨民119紧急医疗咨询服务”荣获由行政安全部与韩国行政研究院共同主办的“2025政府创新首创与最佳”全球首创奖。
该项目被证明是全球唯一的免费服务,实时为海外韩国公民提供紧急医疗指导和咨询,被誉为创新典范。
总评 此项服务为海外侨民在紧急情况下提供了医疗支持,保障了他们的生命安全。
Italiano Il “Servizio di consulenza medica d’emergenza 119 per i cittadini all’estero” dell’Agenzia Nazionale Antincendio ha ricevuto il premio per la categoria “Prime e Migliori Innovazioni Governative 2025,” organizzato da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e dal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l servizio, unico nel suo genere gratuito a livello mondiale, offre consulenza medica e soccorso in tempo reale per i cittadini coreani all’estero.
Valutazione Questo intervento garantisce un essenziale supporto medico per i cittadini coreani che vivono all’estero in situazioni di emergenza.
[조달청]공공기관 업무망에서도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 가능해진다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이 공공기관에서 생성형 AI 서비스를 업무망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 카탈로그 계약 입찰을 공고했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자료 분석, 보고서 작성 등 다양한 AI 활용 기능을 제공하며, 보안성 높은 국가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공공분야에서도 AI 도입이 본격화되며, 행정 업무의 간소화와 효율성 증대가 기대됩니다.
English Public Procurement Service has announced a new contract bid to enable public institutions to safely use generative AI services within official networks.
The service offers various AI functions like data analysis and report generation and is operated on a highly secure national cloud infrastructure.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enhance work efficiency in public organizations.
Summary This marks the beginning of broader AI adoption in the public sector, which could simplify administrative tasks and boost efficiency.
日本語 調達庁が公的機関で生成型AIサービスを業務ネットワーク内でも安全に利用できる新規カタログ契約の入札を公示しました。
このサービスはデータ分析や報告書作成などをサポートし、セキュリティの高い国家クラウド基盤で運用されます。
これにより、公的機関の業務効率が大幅に向上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公共分野でのAI導入が本格化する中、行政業務の簡略化と効率化が進む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采购厅宣布了一项新招标,允许公共机构在其工作网络中安全使用生成型AI服务。
该服务提供数据分析、报告生成等功能,基于高安全级别的国家云基础设施运行。
此举预计将显著提高公共机构的工作效率。
总评 公共领域AI的进一步应用有望简化行政流程,提升工作效率。
Italiano L’Agenzia degli Appalti ha annunciato un nuovo bando per permettere agli enti pubblici di utilizzare in sicurezza i servizi di AI generativa anche nelle reti di lavoro.
Il servizio offre funzioni come analisi dei dati e generazione di rapporti ed è basato su un’infrastruttura cloud nazionale altamente sicura.
Si prevede un notevole miglioramento nell’efficienza lavorativa delle organizzazioni pubbliche.
Valutazione L’integrazione dell’AI nei settori pubblici potrebbe semplificare le procedure amministrative e aumentare l’efficienza complessiva.
[고용노동부]청년들의 미래, 기술로 빛낸다! 폴리텍대학,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
요약보기
한국어 올해 한국폴리텍대학의 ‘유턴 입학생’ 비율이 25.2%로 증가하며, 4명 중 1명에 해당합니다.
대학은 반도체 및 신산업 분야를 포함한 31개 학과를 신설·개편하고, 9월 8일부터 2년제 학위과정 신입생 5,630명을 모집합니다.
총평 직업교육과 미래산업 대응에 초점을 맞춘 이번 노력은 성인 학습자의 전직과 경력개발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is year, the proportion of “U-turn students” at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reached 25.2%, accounting for one out of every four students.
The university has established and revamped 31 departments, including those for semiconductors and new industries, and is recruiting 5,630 new students for its two-year degree programs starting September 8.
Summary These efforts to align vocational education with future industrie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 for adult learners seeking career changes and further development.
日本語 今年、韓国ポリテック大学の「Uターン入学生」の割合が25.2%に達し、4人に1人に相当します。
大学は半導体や新産業分野を含む31の学科を新設・改編し、9月8日から2年制学位課程の新入生5,630人を募集します。
総評 職業教育と未来産業に対応するこの取り組みは、キャリアの再構築を目指す成人学習者に現実的な支援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Polytech大学今年的“返回校园学生”比例达到25.2%,相当于每四名学生中有一人。
大学增设并重组了31个学科,包括半导体和新兴产业领域,并从9月8日起招收5,630名两年制学位课程的新生。
总评 聚焦职业教育与未来产业发展的此次努力,预计将对寻求转行和技能提升的成年学习者提供实质帮助。
Italiano Quest’anno, la percentuale di “studenti di ritorno” presso la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ha raggiunto il 25,2%, ovvero uno su quattro.
L’università ha istituito e riorganizzato 31 dipartimenti, inclusi quelli nei settori dei semiconduttori e delle nuove industrie, e il 8 settembre ha iniziato a reclutare 5.630 nuovi studenti per i corsi di laurea biennale.
Valutazione Questo approccio, incentrato sull’educazione professionale e sulle nuove esigenze industriali, è destinato a fornire un supporto concreto agli adulti che cercano di cambiare carriera o sviluppare competenze.
[고용노동부]근로복지공단 ‘푸른씨앗’ 출범 3주년 맞아 인공지능(AI) 홍보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근로복지공단이 중소기업 퇴직연금기금제도 ‘푸른씨앗’ 출범 3주년을 기념해 국민 인지도 향상을 위한 AI 홍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푸른씨앗’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를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제도입니다.
이번 공모전은 숏폼 콘텐츠와 로고송으로 제도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총평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더 나은 노후 대비 환경을 제공하려는 이번 노력은 공적 연금 제도를 보완하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English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announced a public AI promotion contest to mark the 3rd anniversary of the ‘Blue Seed’ retirement fund system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Blue Seed’ was designed to provide stable retirement support for SME workers.
The contest focuses on raising awareness through short-form content and logo songs about the system’s importance.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retirement security for SME workers, complementing public pension systems effectively.
日本語 韓国勤労福祉公団は、中小企業退職年金基金制度「ブルーシード」の開始3周年を記念して、AIを活用した広報コンテスト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ブルーシード」は中小企業の労働者に安定した老後の支援を提供するための制度です。
このコンテストは、ショートフォームコンテンツやロゴソングを通じて制度の重要性を広め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中小企業の労働者にとって充実した老後準備環境を提供する努力が、公的年金制度を補完する可能性を示しています。
中文 韩国勤劳福利公团宣布,将举办一场AI推广大赛,以纪念中小企业退休金基金制度“蓝种子”推出三周年。
“蓝种子”制度旨在为中小企业员工提供稳定的退休保障。
此次大赛侧重通过短视频内容和标志歌曲提升公众对该制度重要性的认知。
总评 这项措施致力于改善中小企业员工的退休准备,并有效补充公共养老金制度。
Italiano Il Servizio Coreano di Compensazione e Welfare per i Lavoratori ha annunciato un concorso di promozione con l’uso dell’intelligenza artificiale per celebrare il terzo anniversario del sistema pensionistico “Blue Seed” per le PMI.
“Blue Seed” è stato progettato per offrire supporto pensionistico stabile ai lavoratori delle PMI.
Il concorso mira a sensibilizzare il pubblico sull’importanza del sistema attraverso contenuti brevi e canzoni distintiv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erca di migliorare la preparazione alla pensione dei lavoratori delle PMI, integrando efficacemente i sistemi pensionistici pubblici.
[고용노동부]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 최초 공유 체불 근절 위해 중앙-지방정부 긴밀히 협력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체불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지방정부와 공유한 것은 처음입니다.
총평 이 자료는 지방정부가 임금체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wage arrears status by 17 cities and provinces.
This marks the first time the central government has analyzed and shared such data with local government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provide local governments with the necessary data foundation to address wage arrears more effectively.
日本語 雇用労働部は全国17の市・道別に賃金未払いの現状を発表しました。
今回、地方自治体ごとに分析した結果を地方政府と共有したのは初めてです。
総評 この資料は、地方政府が賃金未払い問題を効率的に解決するための基盤を提供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雇佣劳动部发布了全国17个市道的拖欠工资统计情况。
这是政府首次对各地数据进行分析并与地方政府共享。
总评 该数据分析有望为地方政府更高效地解决拖欠工资问题提供支持。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pubblicato i dati sui salari arretrati delle 17 province e città in Corea.
È la prima volta che tali dati vengono analizzati e condivisi con i governi locali.
Valutazione Questi dati potrebbero aiutare i governi locali a gestire i problemi legati ai salari arretrati in modo più efficace.
[고용노동부]사회적 가치를 조달하다, ‘가치장터’ 신규 개통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9월 8일 사회적 가치 조달 플랫폼 ‘가치장터’와 착한 소비를 위한 상품몰 ‘스토어 36.5’를 새롭게 단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추석을 맞아 다양한 기획전도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총평 소비자들은 착한 소비를 실천하며 지역 사회적 기업들을 지원할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announced the relaunch of the social value procurement platform ‘Gachijangteo’ and the ethical consumption mall ‘Store 36.5’ on September 8.
Alongside the launch, special exhibitions for the Chuseok holiday will also be held.
Summary Consumers will have the chance to practice ethical consumption while supporting local social enterprises through this initiative.
日本語 雇用労働部と韓国社会的企業振興院は、9月8日に社会的価値調達プラットフォーム「カチジャント」と、善意消費のためのモール「ストア36.5」を改装すると発表しました。
併せて、秋夕(チュソク)に向けた特別企画展も予定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により、消費者は倫理的な消費を実践しながら地域の社会的企業を応援することが可能になります。
中文 韩国雇佣劳动部和韩国社会企业振兴院宣布,将于9月8日重新推出社会价值采购平台“价值集市”和善意消费商品商城“商店36.5”。
此外,还将在中秋节期间举行特定主题的企划展览。
总评 此举将为消费者提供机会,通过实践善意消费支持当地社会企业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Occupazione e l’Agenzia Coreana per la Promozione delle Imprese Sociali hanno annunciato il rilancio il 9 settembre delle piattaforme di approvvigionamento di valore sociale ‘Gachijangteo’ e del centro commerciale etico ‘Store 36.5’.
Inoltre, saranno organizzate mostre speciali in occasione della festa di Chuseok.
Valutazione Grazie a questa iniziativa, i consumatori potranno sostenere le imprese sociali locali praticando un consumo etico.
[특허청]공공기술 사업화로 ‘기술선도 진짜 성장’ 이끈다
요약보기
한국어 특허청은 10개 부처 공동으로 우수 공공기술 민간 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2025년 범부처 공공기술 이전·사업화 로드쇼’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행사에서는 117개 연구기관의 1,863개 기술이 전시되며, 이를 필요로 하는 기업과의 기술이전 상담 및 협약이 진행됩니다.
또한, 지식재산 경영 우수기관 12곳에 대한 시상식도 포함됩니다.
총평 이번 행사를 통해 기업은 혁신기술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연구기관은 사업화를 통해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nounced the upcoming ‘2025 Public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Roadshow’ aimed at facilitating the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public technologies.
The event will showcase 1,863 technologies from 117 research institutions, offering consultations and agreements with companies in need of these innovations.
Award ceremonies for 12 top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stitutions are also scheduled.
Summary This event provides companies with access to cutting-edge technologies while enabling research institutes to achieve tangible commercialization outcomes.
日本語 韓国特許庁は、公共技術の民間移転と事業化促進を目指した「2025年官公庁公共技術移転・事業化ロードショー」の開催を発表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117の研究機関から1,863の技術が公開され、必要としている企業との技術移転相談や協定が行われます。
また、知的財産管理優秀機関12社への授賞式も含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イベントにより、企業は先端技術にアクセスでき、研究機関は事業化を通じて具体的な成果を達成する機会が得られ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专利局宣布了‘2025年跨部门公共技术转移和商业化路演’,旨在推动公共技术的民间转移与商业化。
活动将展出117家研究机构的1,863项技术,并与需要这些技术的企业进行转移咨询和协议签署。
同时还将对12家知识产权管理优秀机构进行颁奖仪式。
总评 此次活动将有助于企业获取创新技术,同时为研究机构提供实现技术商业化的实际平台。
Italiano L’Ufficio Brevetti della Corea ha annunciato il ‘Roadshow per il Trasferimento e la Commercializzazione delle Tecnologie Pubbliche 2025’, mirato a facilitare il trasferimento e la commercializzazione delle tecnologie pubbliche.
Durante l’evento, verranno presentate 1.863 tecnologie da 117 istituti di ricerca, con consulenze e accordi di trasferimento tecnologico per le aziende interessate.
È prevista anche una premiazione per 12 istituti eccellenti nella gestione della proprietà intellettuale.
Valutazione Questo evento offre alle aziende l’accesso a tecnologie innovative, permettendo agli istituti di ricerca di concretizzare gli effetti economici della loro ricerca.
[국무조정실][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 보도자료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국무총리는 9월 8일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정부는 자본시장에 자금 유입을 촉진하고 KOSPI 500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 중이며, 투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공정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간담회는 자본시장 활성화와 투자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금융 소비자들에게 안정적인 투자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Min-seok Kim visited the Korea Exchange on September 8 to hold a forum discussing strategies to invigorate the capital market.
The government aims to promote capital inflow into the market while targeting a KOSPI level of 5000 and reinforcing fairness to enhance investor confidence.
Summary This meeting laid the groundwork for revitalizing the capital market, potentially creating opportunities for safer investment for financial consumers.
日本語 金民錫首相は9月8日に韓国取引所を訪問し、資本市場活性化に向けた政策についての意見交換会を開催しました。
政府はKOSPI 5000の達成を目指し、資本市場への資金流入を促進しつつ、公正性を強化する方針を表明しました。
総評 この会合は資本市場の活発化と投資環境の改善に向けた議論の枠組みを築くものであり、個人投資家に信頼性の高い投資機会を提供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总理金民锡于9月8日访问韩国交易所,举办了关于振兴资本市场的座谈会,听取了专家意见。
政府旨在推动资金流入资本市场,同时努力实现KOSPI 5000目标,并强调通过强化公平性来提高投资者信心。
总评 此次座谈会为资本市场的复兴和投资环境的优化奠定了基础,有望为投资者带来更稳定的投资机会。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visitato la Borsa Coreana l’8 settembre per un incontro volto a discutere strategie per rivitalizzare il mercato dei capitali.
Il governo mira a favorire l’afflusso di capitale nel mercato, puntando a un obiettivo KOSPI di 5000, rafforzando allo stesso tempo l’equità per accrescere la fiducia degli investitori.
Valutazione Questo incontro ha stabilito le basi per rivitalizzare il mercato dei capitali e creare opportunità di investimento più sicure per i consumatori finanziari.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민 참여로 감 잡는 과학관 프로젝트!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민 참여를 통해 과학관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국민의 의견을 반영해 과학관의 전시와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고 밝혔습니다.
총평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과학관이 보다 친근하고 유익한 공간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a project to develop science museum operation plan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This project focuses on reflecting public opinions to improve exhibitions and programs, aiming to enhance visitor satisfaction.
Summary By incorporating public input, science museums are likely to become more engaging and beneficial spaces.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は、国民参加型の科学館運営プロジェクトを発表しました。
このプロジェクトの目的は、国民の意見を反映し科学館の展示とプログラムを改善し、利用者の満足度を高めることにあります。
総評 国民の声を活かすことで、科学館がより親しみやすく、有益な場とな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科学技术信息通信部宣布了一项通过公众参与制定科学馆运营计划的项目。
该项目旨在通过采纳公众意见来改进科学馆的展览和项目,从而提高参观者的满意度。
总评 公众的直接参与将使科学馆变得更加贴近生活并充满吸引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ICT ha annunciato un progetto per sviluppare i piani di gestione dei musei della scienza attraverso la partecipazione pubblica.
Il progetto si propone di migliorare le esposizioni e i programmi dei musei riflettendo i feedback dei cittadini, puntando a incrementare la soddisfazione dei visitatori.
Valutazione Questo approccio partecipativo potrebbe trasformare i musei della scienza in luoghi più accessibili e coinvolgenti.
[국가유산청]디지털로 구현한 한국 국가유산의 아름다움, 오스트리아에서 첫 선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유산청은 9월 6일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열린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에 참가해 대한민국 국가유산을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특별 전시를 선보였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 전통 공예, 조선시대 정원, 경복궁을 디지털 콘텐츠로 재탄생시킨 작품들이 포함되었으며, 관람객들에게 몰입형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총평 디지털 기술과 전통문화의 접목은 우리 유산을 세계에 알리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howcased special digital exhibitions of Korea’s national heritage at the Ars Electronica Festival in Linz, Austria, on September 6.
The exhibits included immersive represen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Joseon-era gardens, and Gyeongbokgung Palace, created using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Summary Combining digital technology with cultural heritage opens new doors for sharing Korea’s traditions with a global audience.
日本語 国家遺産庁は9月6日、オーストリアのリンツで開催された「アルス・エレクトロニカ・フェスティバル」で、韓国の国家遺産をデジタル技術で具現化した特別展示を披露しました。
伝統工芸や朝鮮時代の庭園、景福宮をモチーフにした没入感あるデジタル作品が観客の注目を集めました。
総評 デジタル技術と伝統文化の融合は、韓国遺産の国際的な発信に向けた新たな試みです。
中文 国家遗产厅于9月6日在奥地利林茨举办的“阿尔斯电子节”上展示了以数字技术实现的韩国国家遗产特别展览。
展品包括以韩国传统工艺、朝鲜时代庭园和景福宫为主题的数字作品,为观众带来沉浸式体验。
总评 传统文化与数字技术的结合为韩国文化打开了更多走向国际的机会。
Italiano L’Amministrazione del Patrimonio Culturale ha presentato mostre digitali speciali sul patrimonio nazionale coreano il 6 settembre al Festival Ars Electronica a Linz, in Austria.
Le opere hanno incluso rappresentazioni immersive dei mestieri tradizionali coreani, dei giardini dell’epoca Joseon e del Palazzo Gyeongbokgung, utilizzando avanzate tecnologie digitali.
Valutazione L’integrazione tra tecnologia digitale e cultura tradizionale offre nuove opportunità per promuovere il patrimonio coreano nel mondo.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바이오의약품 해외시장 진출 길잡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정보’를 클릭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바이오의약품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글로벌 규제, 시장 동향, 인증 절차 등에 대한 종합 정보를 담고 있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총평 이 서비스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있는 기업들이 해외시장 정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launch of the ‘Global Biopharmaceutical Information’ service to support the overseas expansion of biopharmaceuticals.
This platform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global regulations, market trends, and certification processes, focusing on aiding domestic companies in entering foreign markets.
Summary This service is expected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biotech firms by making global market information more accessible.
日本語 政府はバイオ医薬品の海外市場進出を支援するため、「グローバルバイオ医薬品情報」サービスを開始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サービスは、世界の規制や市場動向、認証手続きなどに関する総合的な情報を提供し、国内企業の国外進出を促進することを重視しています。
総評 このサービスにより、バイオ医薬品に携わる企業が国際市場での競争力を強化する一助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推出“全球生物医药信息”服务,以支持生物医药产品进入海外市场。
该平台提供关于全球监管、市场趋势和认证程序的综合信息,重点帮助国内企业开拓国际市场。
总评 这一服务将帮助生物医药领域的企业更轻松获取国际市场信息,从而提升国际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il lancio del servizio ‘Informazioni Globali sui Biofarmaci’ per sostenere l’espansione dei biofarmaci nei mercati esteri.
Questa piattaforma offre informazioni complete su regolamentazioni globali, tendenze di mercato e processi di certificazione, mirate ad aiutare le aziende nazionali a entrare nei mercati internazionali.
Valutazione Questo servizio potrebb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internazionale delle aziende biotech facilitando l’accesso alle informazioni sui mercati globali.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사회적 관심 품목. 생활 밀착형 품목 등 의약품·의약외품 표시·광고 집중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식약처는 사회적 관심 품목과 생활 밀착형 품목을 대상으로 의약품 및 의약외품의 표시와 광고를 집중 점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잘못된 정보나 부적절한 광고로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점검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 점검은 소비자가 의약품을 선택할 때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that it will conduct intensive inspections on the labeling and advertising of socially significant and lifestyle-related medicines and quasi-drugs.
This effort aims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caused by false or inappropriate advertisements and to ensure the provision of accurate information.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help consumers make more trusted choices when selecting medicines.
日本語 食薬処は、社会的関心のある品目や生活密着型品目を対象に、医薬品および医薬部外品の表示や広告の集中点検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誤った情報や不適切な広告による消費者の混乱を防ぎ、正確な情報を提供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点検は、消費者が医薬品を選択する際に信頼性の高い情報を得られることに寄与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食品药品安全部宣布,将集中检查社会关注和生活相关的药品及非药品的标签和广告。
此举旨在防止错误信息或不适当广告对消费者造成混淆,并提供正确的信息。
总评 这一措施预计将帮助消费者更放心地选择药品。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la Sicurezza Alimentare ha annunciato che condurrà ispezioni intensive sull’etichettatura e la pubblicità di farmaci e quasi-farmaci legati a temi sociali e alla vita quotidiana.
L’obiettivo è prevenire la confusione dei consumatori causata da informazioni errate o pubblicità inappropriate e garantire informazioni corrett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iuterà i consumatori a fare scelte più consapevoli e affidabili per quanto riguarda i farmaci.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2025년 화장품 위해평가 국제심포지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화장품 위해평가 국제심포지엄이 열릴 예정이라고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화장품 안전성과 위해평가 관련 최신 연구와 정책 방향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 안전을 강화하고 국제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총평 화장품 안전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에게, 이번 심포지엄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제품 선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2025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smetics Safety Assessment has been announced.
This symposium will discuss the latest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cosmetics safety and risk evaluation.
It is expected to enhance consumer safety and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Summary For consumers concerned about cosmetics safety, this symposium is likely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and assist in making informed product choices.
日本語 2025年化粧品リスク評価国際シンポジウムの開催が発表されました。
このシンポジウムでは、化粧品の安全性やリスク評価に関する最新の研究と政策の方向性が議論される予定です。
これにより消費者の安全が強化され、国際的な連携が促進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化粧品の安全性を重視する消費者にとって、信頼できる情報を得る良い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2025年化妆品风险评估国际研讨会的召开已被宣布。
研讨会将讨论化妆品安全性和风险评估相关的最新研究及政策方向。
预计此举将增强消费者安全并推动国际合作。
总评 对关注化妆品安全的消费者来说,这一研讨会将提供可靠信息,有助于理性选购产品。
Italiano È stato annunciato il Simposio Internazionale sulla Valutazione del Rischio nei Cosmetici del 2025.
Durante questo evento verranno discussi gli ultimi studi e le strategie politiche riguardanti la sicurezza dei cosmetici.
Si prevede che rafforzerà la sicurezza dei consumatori e favorirà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simposio offrirà informazioni affidabili a chi si preoccupa della sicurezza dei cosmetici, aiutando nella scelta consapevole dei prodotti.
[국가유산청]’국민 속으로, 세계로 나아가는 K-헤리티지’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유산청이 9월 8일 덕수궁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K-헤리티지’ 중심의 국가유산 정책 추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문화유산 보존·활용 확대, 글로벌 확산, 디지털 기술 접목, 지역 활성화, 재난 대응 강화 등이 주요 과제로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국민 일상 속 문화 가치 확산과 글로벌 문화강국 도약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문화유산 접근성과 활용을 높여 국민들이 더 가까이에서 유산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지역 경제 활성화와 세계적 관심을 확대하는 데 기대를 모읍니다.
Englis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eld a press briefing on September 8 at Deoksugung Palace to unveil policies focusing on ‘K-Heritage.’
Key initiatives include expanding preservation, leveraging digital technologies, promoting international engagement, regional revitalization, and disaster preparedness.
The ultimate goal is to enhance cultural accessibility for citizens and elevate South Korea as a global cultural powerhouse.
Summary This policy aims to bring cultural heritage closer to daily life while driving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boost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Korea’s historical value.
日本語 国家的遺産庁は9月8日、徳寿宮で記者会見を開き、「K-Heritage」を中心とした国家遺産政策推進計画を発表しました。
政策の主要課題には、遺産の保存・活用拡大やデジタル技術の活用、地域振興、災害対策などが含まれます。
これにより、国民の日常生活で遺産の価値を広げ、韓国をグローバルな文化強国に導く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文化遺産を身近に感じる機会を増やすと同時に、地域経済の活性化と国際的な注目の拡大に期待がかかります。
中文 国家遗产厅于9月8日在德寿宫举行新闻发布会,宣布以“K-遗产”为中心的国家遗产政策计划。
主要任务包括扩大遗产保护与利用、数字技术运用、国际推广、区域活化以及防灾措施强化。
目标是增加国民文化遗产的可及性,同时推动韩国成为全球文化强国。
总评 政策不仅拉近遗产与民众生活的距离,还为区域经济发展和全球关注注入了新动力。
Italiano L’Agenzia per il Patrimonio Culturale ha tenuto una conferenza stampa l’8 settembre al Palazzo Deoksugung, presentando un piano incentrato su “K-Heritage”.
Le principali priorità includono l’espansione della conservazione, l’uso delle tecnologie digitali, la promozione internazionale, la rivitalizzazione delle regioni e il rafforzamento della gestione delle emergenze.
L’obiettivo è migliorare l’accessibilità culturale per i cittadini e posizionare la Corea come leader nel panorama culturale globale.
Valutazione La politica avvicina i cittadini al patrimonio e favorisce la crescita economica locale, incrementando inoltre il prestigio internazionale della cultura coreana.
[산업통상자원부]캐나다 서스캐처원주와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박종원 통상차관보는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무역수출개발부 장관과 만나 산업 및 핵심광물, 에너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서스캐처원주는 우라늄, 포타시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무탄소 에너지원을 최대 80%까지 공급하기 위해 소형모듈원전(SMR)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양측은 상호 호혜적 협력을 통해 에너지 안보 및 첨단산업 활성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총평 한국과 캐나다 협력이 확대되면 안정적 에너지 확보와 첨단산업 발전으로 일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English Vice Minister Pak Jong-won met with Warren Kaeding, Minister of Trade and Export Development of Saskatchewan, Canada, to discuss strengthened cooperation in industry, critical minerals, and energy.
Saskatchewan is rich in natural resources such as uranium and potash and aims to supply up to 80% of its electricity through carbon-free energy sources by 2030, including small modular reactors (SMRs).
Both sides agreed on the significance of mutual cooperation for energy security and the promotion of cutting-edge industries.
Summary Enhance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anada could positively impact daily life by ensuring energy stability and advancing high-tech industries.
日本語 韓国の朴鍾元通商次官補は、カナダのサスカチュワン州貿易輸出開発部大臣ウォーレン・ケイディング氏と会談し、産業・重要鉱物・エネルギー分野での連携強化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サスカチュワン州はウランやポタッシュなどの豊富な天然資源を有しており、2030年までに最大80%の電力を炭素ゼロのエネルギー源で提供するため、小型モジュール炉(SMR)を導入する計画です。
両者はエネルギー安全保障と先端産業の活性化を目指した相互協力の重要性について共感しました。
総評 韓国とカナダの協力が進展すれば、安定したエネルギー供給と先端産業の発展が日常生活に良い影響を与えるでしょう。
中文 韩国贸易副部长朴钟元与加拿大萨斯喀彻温省贸易与出口发展部长沃伦·凯丁会面,讨论了在工业、关键矿物和能源领域加强合作的方案。
萨斯喀彻温省拥有丰富的天然资源,如铀和钾盐,并计划在2030年前通过小型模块化反应堆(SMR)实现电力供应80%的碳中和目标。
双方就加强能源安全与促进高端产业发展的双赢合作达成了共识。
总评 加强韩加合作有望在能源稳定与高端产业发展方面为日常生活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viceministro coreano Pak Jong-won ha incontrato Warren Kaeding, Ministro per lo Sviluppo del Commercio e delle Esportazioni della provincia canadese di Saskatchewan, per discutere il rafforzamento della cooperazione in industria, minerali critici ed energia.
Il Saskatchewan è ricco di risorse naturali come uranio e potassio e prevede di fornire fino all’80% dell’elettricità con fonti di energia a zero emissioni di carbonio entro il 2030, incluso l’utilizzo di piccoli reattori modulari (SMR).
Entrambe le parti hanno convenuto sull’importanza della cooperazione reciproca per la sicurezza energetica e lo sviluppo delle industrie avanzate.
Valutazione Un rafforzamento della collaborazione tra Corea e Canada potrebbe portare benefici alla vita quotidiana grazie alla stabilità energetica e allo sviluppo delle industrie avanzate.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관계부처와 미국 관세 협상 관련 후속협의 진행 계획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가 제50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개최해 관계부처들과 한미 관세합의 후속 협의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미국과 일본 간 관세 인하 합의가 한국 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불리한 경쟁 환경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한국 기업들이 국제 무역 환경 변화 속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the 50th Trade Promotion Committee meeting to discuss follow-up plans for the Korea-U.S. tariff agreement.
The meeting analyzed the impact of the recent U.S.-Japan tariff agreement on Korean companies and sought measures to mitigate disadvantages in competitive environments.
Summary This effort aims to protect Korean businesses from potential challenges arising from international trade changes.
日本語 韓国産業通商資源部が第50回通商推進委員会を開催し、関係省庁と韓米関税合意に関する後続協議計画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会議では米国と日本間で締結された関税削減合意が韓国企業に与える影響を分析し、不利な競争環境を最小化するための対策を模索しました。
総評 これらの議論は、国際貿易変更によるリスクに直面する韓国企業を保護する努力の一環です。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举行了第50次通商推进委员会会议,与相关部门讨论韩美关税协议的后续协商计划。
会议分析了最近美国与日本间达成的关税降低协议对韩国企业的影响,并寻求减轻竞争劣势的应对措施。
总评 此举旨在帮助韩国企业应对国际贸易变化可能带来的挑战,保护其竞争力。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Industria e Energia della Corea ha tenuto il 50º Comitato per la Promozione del Commercio per discutere il piano di follow-up relativo all’accordo tariffario tra Corea e Stati Uniti.
Durante l’incontro sono stati analizzati gli effetti dell’accordo tariffario tra gli Stati Uniti e il Giappone sulle aziende coreane, cercando di ridurre l’impatto negativo sui loro ambienti competitivi.
Valutazione L’iniziativa mira a garantire che le aziende sudcoreane possano affrontare le sfide derivanti dalle modifiche al commercio internazionale.
[관세청]관세청, 공공조달물품 원산지표시 위반행위 기획단속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관세청이 9월 8일부터 10월 24일까지 공공조달물품 원산지표시 위반 행위에 대한 기획단속을 진행합니다.
이는 저가 외국산 제품을 국산으로 속여 납품하는 행위를 적발하고, 중소기업을 보호하며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위반 시 높은 과징금과 형사처벌이 뒤따를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단속은 공공조달의 신뢰성을 높이고 성실히 경쟁하는 국내 기업들을 보호하며 소비자들에게도 안정된 품질을 제공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English Korea Customs Service will conduct a special crackdown on violations of country-of-origin labeling for public procurement goods from September 8 to October 24.
This initiative aims to detect the practice of falsely labeling foreign goods as domestic, protect SMEs, and ensure fair competition.
Violators will face significant fines and criminal penalties.
Summary This operation strengthens trust in public procurement, protects legitimate domestic businesses, and ensures consumers have access to reliable, high-quality products.
日本語 韓国関税庁は9月8日から10月24日まで、公的調達物品の原産地表示違反行為に対する特別取り締まりを実施します。
これは、外国製品を国産として虚偽表示する行為を取り締まり、中小企業を保護し、公正な競争を促進するためのものです。
違反者には高額な過料および刑事罰が課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取り締まりは、公的調達の信頼性を高め、国内企業を保護しつつ、消費者に安定した品質を提供する基盤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关税厅将于9月8日至10月24日对公共采购商品原产地标识违规行为进行专项稽查。
此举旨在打击把外国商品伪装成国产品的行为,保护中小企业,促进公平竞争。
违反者将面临高额罚款以及刑事处罚。
总评 此次行动旨在提高公共采购的透明度,保护国内正规企业,使消费者享受到更加可靠的高质量产品。
Italiano Il Servizio Doganale della Corea condurrà un’operazione speciale dal 8 settembre al 24 ottobre per reprimere le violazioni sull’etichettatura dell’origine dei beni destinati alla pubblica amministrazione.
L’obiettivo è individuare false dichiarazioni di origine, proteggere le PMI e promuovere una competizione leale.
I trasgressori saranno soggetti a pesanti multe e sanzioni penali.
Valutazione Questa operazione mira a migliorare la fiducia nelle forniture pubbliche, a proteggere le aziende locali oneste e a garantire prodotti di qualità per i consumatori.
[행정안전부]추석 대비 승강기 특별점검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9월 8일부터 30일까지 승강기 특별점검을 실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점검은 승강기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국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총평 추석 연휴를 대비한 이번 점검은 승강기를 이용하는 국민들이 더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at it will conduct a special inspection of elevators from September 8 to September 30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This initiative aims to prevent elevator-related accidents and enhance public safety.
Summary This inspection is expected to ensure safer elevator usage, especially during the busy holiday season.
日本語 行政安全部は秋夕(チュソク)連休を前に、9月8日から30日までエレベーターの特別点検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点検はエレベーターの安全事故を防ぎ、国民の安全を強化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秋夕期間中にエレベーターを利用する人々が安心して利用できるようになる重要な取り組みです。
中文 行政安全部宣布将在中秋假期前,从9月8日至30日开展电梯专项检查。
此次检查旨在防止电梯安全事故,并加强公众安全保障。
总评 此次检查有助于确保中秋期间电梯的安全使用,提高公众安全感。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che condurrà un’ispezione speciale degli ascensori dall’8 al 30 settembre in vista delle festività di Chuseok.
Questa iniziativa mira a prevenire incidenti legati agli ascensori e a rafforzare la sicurezza pubblica.
Valutazione L’ispezione garantirà un uso più sicuro degli ascensori durante un periodo di grande affluenza come le festività.
[행정안전부]볼리비아 검찰 고위급 대표단 초청, 한국 법과학으로 ‘젠더기반폭력’ 대응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볼리비아 추키사카주 검찰청장 등 고위급 대표단을 초청해 9월 8일부터 19일까지 연수를 진행합니다.
이번 연수는 법과학 조사 분야의 협력 강화 및 기술 공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국제적 연수는 법과학 분야의 글로벌 협력을 증진하며 국내 법과학 기술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will host high-ranking representatives, including the prosecutor general of Chuquisaca, Bolivia, for training from September 8 to September 19.
This program aims to strengthen cooperation and share expertise in forensic investigation fields.
Summary This international training will help enhance global collaboration in forensic science and raise the international profile of South Korea’s forensic capabilities.
日本語 行政安全部国立科学捜査研究院は、ボリビアチュキサカ州検察庁長官などの高位代表団を招待し、9月8日から19日まで研修を実施します。
この研修の目的は法科学調査分野での協力強化と技術共有にあります。
総評 この国際的な研修は法科学分野でのグローバルな協力を促進し、韓国の法科学技術の国際的な地位向上につながるでしょう。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国家科学搜查研究院宣布将于9月8日至19日邀请玻利维亚楚基萨卡州检察院院长等高级代表团参加培训。
此次培训旨在加强法科学调查领域的合作并进行技术共享。
总评 此次国际培训不仅促进法科学领域的全球合作,还提升了韩国在此方面的国际声誉。
Italiano Il Servizio Nazionale di Medicina Legale de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ospiterà dal 8 al 19 settembre un gruppo di alto livello, tra cui il procuratore generale di Chuquisaca, Bolivia.
L’obiettivo del programma è rafforzare la collaborazione e condividere competenze nei campi delle investigazioni forensi.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internazionale contribuirà alla cooperazione globale nel campo delle scienze forensi e al prestigio internazionale della tecnologia forense coreana.
[행정안전부]’2025 생활안전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작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안전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2025 생활안전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했고, 우수 아이디어 10건을 선정했습니다.
공모전은 2023년 4월 16일부터 5월 16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공모전은 실제 생활에 필요한 안전 기술과 아이디어를 발굴해 국민의 안전과 편리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eld the “2025 Life Safety Ideas Contest” to discover practical R&D projects for life safety and selected 10 outstanding ideas.
The contest was conducted from April 16 to May 16, 2023.
Summary This contest aims to enhance public safety and convenience by applying innovative ideas and technologies to everyday life.
日本語 行政安全部は、生活安全分野の研究開発課題を発掘するため、「2025生活安全アイデアコンテスト」を実施し、優秀アイデア10件を選定しました。
コンテストは2023年4月16日から5月16日まで開催されました。
総評 このコンテストは、生活の中で役立つ安全技術やアイデアを推進し、市民の安全と利便性向上に貢献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行政安全部举办了“2025生活安全创意征集大赛”,旨在发掘生活安全领域的研发课题,共评选出10个优秀创意。
大赛于2023年4月16日至5月16日举行。
总评 此大赛有助于将创新技术应用于生活中,提高公众的安全性与便利性。
Italiano Il Ministero degli Interni e della Sicurezza ha organizzato il “Concorso di Idee per la Sicurezza della Vita 2025” per individuare progetti R&S pratici nel settore della sicurezza della vita, selezionando 10 idee eccellenti.
Il concorso si è svolto dal 16 aprile al 16 maggio 2023.
Valutazione Questo concorso favorisce l’applicazione di tecnologie e idee innovative per migliorare la sicurezza e la convenienza nella vita quotidiana dei cittadini.
[산업통상자원부]「제28회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8일 서울 세종대 컨벤션센터에서 ‘제28회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전기재해 예방과 안전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를 포상하고, 전기안전에 대한 문화와 실천을 다짐하는 자리로, 9월 8일부터 3일간 관련 행사들도 이어질 예정입니다.
총평 전기안전 강화 정책은 에너지 전환 시대에 감전 및 화재 사고를 줄이고 안전한 사회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the “28th Korea Electric Safety Awards” on September 8 at the Sejong University Convention Center in Seoul.
This major event aimed to recognize individuals and groups for their contributions to preventing electric hazards and promoting electric safety culture, with additional related events running from September 8 to 10.
Summary Strengthening electric safety policies is expected to minimize risks like electrical shocks and fires, fostering a safer societal environment in the age of energy transition.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9月8日、ソウル世宗大学コンベンションセンターで「第28回大韓民国電気安全大賞」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は電気災害の予防と安全文化の拡散に貢献した功労者を表彰するもので、9月8日から3日間、関連イベントも行われます。
総評 電気安全強化政策は、エネルギー移行時代に感電や火災事故を減らし、安全な社会環境構築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于9月8日在首尔世宗大学会展中心举办了“第二十八届韩国电气安全奖”。
活动旨在表彰在预防电气灾害和推广电气安全文化方面作出贡献的人员,并将从9月8日至10日开展多个相关活动。
总评 强化电气安全政策有望减少触电及火灾事故,为能源转型时代营造更加安全的社会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Industria e Energia ha organizzato l’8 settembre presso il Centro Congressi dell’Università di Sejong a Seul la “28ª Giornata della Sicurezza Elettrica in Corea”.
L’evento è stato dedicato a premiare chi ha contribuito alla prevenzione degli incidenti elettrici e alla promozione di una cultura della sicurezza elettrica, con ulteriori iniziative in programma dall’8 al 10 settembre.
Valutazione Rafforzare le politiche sulla sicurezza elettrica può ridurre incidenti come folgorazioni e incendi, favorendo un ambiente sociale più sicuro nell’era della transizione energetica.
[산림청]국민 수요를 반영한 ‘내산(山)내돈’ 산림교육 강좌 첫 개설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내산(山)내돈’ 산림교육 강좌를 운영합니다.
이번 강좌는 부재 산주 문제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산림 경영과 소득 전략을 제시합니다.
참가자들은 구체적 사례와 현장답사를 통해 실질적인 적용 방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총평 이 강좌는 산림 소유자의 산림 가치 이해와 현실적 경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실질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is hosting the “My Mountain, My Money” forestry education courses.
The program aims to address absentee forest owners and challenges in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by providing practical income and management strategies.
Participants will learn actionable approaches through case studies and field visits.
Summary This program is expected to assist forest owners in understanding forest value and crafting practical management plans.
日本語 山林庁国立山林科学院が「私の山・私のお金」山林教育講座を開催します。
この講座は不在山主問題と持続可能な山林管理の課題解決に向け、経営・収益戦略を提供する内容です。
参加者は具体的な事例研究や現地訪問を通じて実践的な学習を行います。
総評 この講座は山林所有者に実践的な経営案を提供し、山林資源の価値理解にも役立つ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林业厅国立林业科学院推出“我的山,我的财富”林业教育课程。
该课程旨在解决因缺席林主导致的持续管理困难,提供实用的林业经营和收入策略。
参与者将通过案例学习与实地探索掌握实际应用方法。
总评 此课程有望帮助林主理解林地价值,制定切实可行的管理计划。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ha organizzato i corsi di formazione “La mia Montagna, il mio Denaro”.
Questi corsi mirano a risolvere i problemi degli proprietari assenti e le difficoltà nella gestione sostenibile delle foreste offrendo strategie pratiche di reddito e gestione.
I partecipanti approfondiranno le conoscenze tramite esempi pratici e visite sul campo.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aiutare i proprietari a comprendere il valore delle foreste e sviluppare strategie di gestione reali e funzionali.
[국민권익위원회]"운전면허시험장에서 종합 민원 상담을?" 네 번째 ‘찾아가는 현장 상담’ 나선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민권익위원회는 10일 한국도로교통공단 용인운전면허시험장에서 네 번째 ‘찾아가는 현장 상담’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상담은 운전면허 적성검사, 교통안전 등 도로·교통 관련 민원과 더불어 용인시 등 경기 남부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생활 불편을 종합적으로 상담하고 해결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현장에서 즉시 처리 가능한 민원은 바로 해결하고, 추가 검토가 필요한 사항은 별도로 접수해 처리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상담 창구는 주민들이 복잡한 절차 없이 직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로, 일상 속 불편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announced its fourth “on-site counseling service” to be held on October 10 at Yongin Driver’s License Test Center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his event provides comprehensive counseling for traffic-related issues such as license tests and road safety, as well as addressing various daily inconveniences faced by residents in Yongin 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
Issues that can be resolved immediately will be handled on-site, while those requiring further review will be formally registered as complaints.
Summary This service offers an accessible way for residents to solve their concerns directly, improving overall convenience in their daily lives.
日本語 国民権益委員会は10日、韓国道路交通公団の龍仁運転免許試験場で、第4回目の「現場相談窓口」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今回の相談では、運転免許の適性検査や交通安全などの道路交通関連問題に加え、龍仁市や京畿南部地域住民の生活上のさまざまな不便について総合的な相談が行われます。
その場で解決可能な問題は即座に処理し、追加検討が必要な事項は正式に受理して対応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相談窓口は、複雑な手続きを経ることなく、日常の問題を解決できる貴重な機会として、住民の利便性向上に貢献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反腐与民权委员会宣布,将于10月10日在韩国道路交通公团的龙仁驾驶考试中心开展第四次“上门现场咨询服务”。
此次活动将针对驾驶资格考试、交通安全等道路交通问题,以及龙仁市及京畿南部地区居民在日常生活中遇到的各种不便提供全面咨询。
能够当场解决的问题将立即处理,需要进一步研究的问题将正式登记为投诉并处理。
总评 此项服务为居民提供了一种无需复杂流程即可直接解决问题的便利途径,预计可以显著提升日常便利性。
Italiano La Commissione per i Diritti Civili e l’Anticorruzione ha annunciato il quarto servizio di “consulenza sul posto” il 10 ottobre presso il Centro Esami per la Patente di Yongin, in collaborazione con l’Autorità Stradale Coreana.
Tale evento fornirà consulenza su questioni relative alla patente di guida, sicurezza stradale e vari disagi quotidiani affrontati dai residenti di Yongin e della provincia meridionale di Gyeonggi.
I problemi risolvibili immediatamente saranno affrontati sul luogo, mentre per le questioni più complesse sarà avviato un processo di reclamo ufficiale.
Valutazione Questo servizi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reziosa per risolvere direttamente le problematiche dei cittadini, migliorando la qualità della vita quotidiana.
[법무부]중국 단체관광객 한시 무사증 시행계획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2025년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무사증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관광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불법체류를 방지하기 위해 단체관광객 명단 사전 점검과 전담여행사 제도 운영 등 보완책이 마련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관광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나, 불법체류 방지를 위한 철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a temporary visa exemption for Chinese group tourists will be implemented from September 29, 2025, to June 30, 2026.
This measure aims to boost tourism while minimizing issues like illegal stays by pre-screening tourist groups and managing designated travel agencies.
Summary This policy could significantly boost the tourism industry, but strict management to prevent illegal stays remains crucial.
日本語 政府は、2025年9月29日から2026年6月30日まで、中国の団体観光客を対象に一時的なビザ免除制度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観光産業の活性化を目指し、団体観光客名簿の事前確認や専用旅行社制度の運営を通じて不法滞在を防ぐ対策が講じら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観光業界の活性化が期待されますが、不法滞在を防ぐための徹底した管理が重要です。
中文 政府宣布将于2025年9月29日至2026年6月30日对中国团体游客实施临时免签政策。
旨在促进旅游业发展,同时通过提前审核游客名单和运营指定旅行社制度,尽量减少非法滞留问题。
总评 此政策有望推动旅游业增长,但需要加强管理以防范非法滞留。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che dal 29 settembre 2025 al 30 giugno 2026 sarà in vigore un’esenzione temporanea del visto per gruppi turistici cinesi.
Questa iniziativa punta a stimolare l’industria turistica, adottando misure come la verifica preventiva delle liste di gruppo e la gestione delle agenzie di viaggio designate per minimizzare il rischio di soggiorni illegal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uò rilanciare il turismo, ma sarà essenziale gestire rigorosamente i rischi legati ai soggiorni irregolari.
[법무부]「기업과 인권 국제포럼」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와 국가인권위원회는 2025년 9월 8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기업과 인권 국제포럼」을 개최합니다.
이 포럼은 정부, 국제기구, 기업, 시민사회가 모여 글로벌 규제 대응과 인권경영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총평 이번 포럼은 기업 활동에서 인권 보호를 강화하고 글로벌 규제 변화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will jointly host the “Business and Human Rights International Forum” on September 8, 2025, at the 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in Seoul.
This forum will bring together govern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to discuss responses to global regulations and strategies for implementing human rights management.
Summary This forum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businesses to strengthe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adapt to evolving global regulations.
日本語 法務部と国家人権委員会は2025年9月8日、ソウルのアンバサダーソウルプルマンホテルで「企業と人権国際フォーラム」を共同開催します。
このフォーラムでは、政府、国際機関、企業、市民社会が集まり、グローバル規制への対応と人権経営の実践方針を議論します。
総評 このフォーラムは、企業における人権保護強化と国際的な規制変化への対策を考える貴重な機会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法务部和国家人权委员会将于2025年9月8日在首尔大使首尔铂尔曼酒店联合举办“企业与人权国际论坛”。
论坛将汇聚政府、国际组织、企业和民间社会,共同讨论应对全球监管和实施人权管理的策略。
总评 这一论坛预计将为企业提供加强人权保护和适应全球监管变化的重要指导。
Italiano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e la Commissione Nazionale per i Diritti Umani della Corea organizzeranno congiuntamente il “Forum Internazionale su Imprese e Diritti Umani” l’8 settembre 2025 all’Ambassador Seoul Pullman Hotel di Seul.
Il forum riunirà governi, organizzazioni internazionali, imprese e società civile per discutere le risposte alle normative globali e le strategie per l’applicazione della gestione dei diritti umani.
Valutazione Questo forum offrirà spunti preziosi per rafforzare la tutela dei diritti umani nelle imprese e affrontare i cambiamenti nelle normative globali.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의 ‘튼튼한 뿌리’ 만들기 위해 문체부 연구개발 역대 최대 규모 투자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가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R&D) 예산을 책정했습니다.
이는 문화산업 전반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혁신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총평 이 투자로 국내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일자리와 콘텐츠 개발 기회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allocated the largest-ever budget for cultural industry R&D.
This investment aims to enhance sustainability and foster innovation in the cultural sector.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boost global competitiveness, create new job opportunities, and expand creative content development in the cultural industry.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文化産業の発展を目指し、史上最大規模の研究開発予算を策定しました。
これは文化産業全体の持続可能性を向上させ、革新的な成果を生み出すための取り組みです。
総評 この投資により、国内文化産業の国際競争力が強化され、新たな雇用やコンテンツ開発の機会が広が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文化体育观光部为推动文化产业发展,制定了历史上最大规模的研发预算。
此举旨在提高文化产业的可持续性并促进创新成果的产生。
总评 这项投资有望增强国内文化产业的国际竞争力,同时扩大就业机会和创意内容的发展空间。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stanziato il più grande budget di sempre per la R&S nell’industria culturale.
Questo investimento mira a migliorare la sostenibilità e promuovere innovazioni nel settore culturale.
Valutazione Questo piano potrebb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globale del settore culturale, creando nuove opportunità lavorative e progetti creativi.
[보건복지부]보건복지 종사자 성희롱·성폭력 피해,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상담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와 협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상담사 교육에 활용할 콘텐츠를 개발하고, 직장 내 피해 사례에 대해 심층 상담 및 구조 지원 체계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열악한 근무 환경에 놓인 보건복지 종사자들이 더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plans to strengthen the counseling system for workplace sexual harassment and violence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in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y aim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for counselors and establish comprehensive support systems for victims.
Summary This measure provides a vital support system for health and welfare workers, allowing easier access to help for those in challenging conditions.
日本語 保健福祉部は、保健福祉分野の職場における性的嫌がらせや暴力の被害相談体制を強化するために、雇用労働部および女性家族部と連携すると発表しました。
相談員教育用の教材を開発し、被害者に対する深層相談と支援体制を整備する計画です。
総評 この対策は、厳しい労働環境にいる保健福祉従事者がより簡単に支援を受けられる仕組みを提供するものです。
中文 保健福祉部宣布将与雇佣劳动部和女性家庭部合作,加强卫生与福利领域的职场性骚扰及性暴力受害咨询体系。
计划开发咨询师教育内容并建立综合支持体系,以帮助受害者获取支持。
总评 此项举措为卫生与福利从业者提供了重要的援助平台,帮助他们在困境中更便捷地获取帮助。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annunciato l’intenzione di rafforzare il sistema di consulenza per i casi di molestie sessuali e violenze sul lavoro nel settore della salute e del welfare, collaborando con il Ministero del Lavoro e il Ministero per le Pari Opportunità.
È prevista la creazione di contenuti didattici per i consulenti e l’istituzione di un sistema di supporto per le vittim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e un sistema di supporto necessario ai lavoratori del settore, facilitando l’accesso all’aiuto in situazioni difficili.
[환경부]과일껍질, 버섯 폐배지 등 동·식물성 잔재물 규제 특례 통해 제품 원료로 순환이용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9월 4일 농업부산물 및 폐기물을 활용한 7건의 신기술·서비스에 대해 ‘순환경제 규제특례(샌드박스)’를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특례를 통해 식물성 잔재물을 원료로 하는 포장재, 식물성 가죽,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제품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경제성과 환경성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총평 해당 정책은 폐기물의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관련 산업의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여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on September 4th the approval of ‘Circular Economy Regulatory Sandbox’ for seven innovative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utilize agricultural by-products and waste materials.
This initiative enables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packaging, plant-based leather, and cosmetic ingredients, testing their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during the special regulatory period.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promote waste recycling, foster innovation in related industries, and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a circular economy.
日本語 環境部は9月4日、農業副産物や廃棄物を活用した7件の新技術とサービスに対する「循環経済規制サンドボックス」を承認しました。
これにより、植物性残渣を原料とする包装材や植物性レザー、化粧品原料などの製品開発が可能になり、経済性や環境性の検証が進めら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廃棄物のリサイクルを推進し、関連産業の革新を促進しながら、持続可能な循環経済の確立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环境部于9月4日宣布,批准7项利用农业副产品和废弃物的新技术和服务进入“循环经济监管沙盒”。
该政策支持开发基于植物残渣的包装材料、植物性皮革和化妆品原料,并在特定期限内验证经济性和环保性。
总评 此政策有望促进废弃物回收再利用,加速相关产业创新,推进循环经济的可持续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annunciato il 4 settembre l’approvazione del ‘Sandbox Regolatorio per l’Economia Circolare’ per sette nuove tecnologie e servizi che utilizzano sottoprodotti agricoli e materiali di scarto.
Questa iniziativa consente lo sviluppo di prodotti come imballaggi ecologici, pelle vegetale e ingredienti cosmetici, testandone la fattibilità economica e ambiental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stimolare la riciclabilità dei rifiuti e l’innovazione industriale, contribuendo alla realizzazione sostenibile dell’economia circolare.
[농림축산식품부]산란계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 추가 대책으로 계란 수급 및 가격 안정화를 추진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란계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에 따른 계란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해 2025년 9월부터 신규 입식 산란계에 0.075㎡ 기준을 적용하고, 이를 2027년까지 민간 자율이행 체계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계란 산지가격 안정을 위해 유통계약서 활성화, 가격 예측 정보 제공, 중소농가 및 대규모 농장의 사육시설 투자 확대를 위한 재정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대책은 계란 안전성과 동물복지 개선을 목표로 하며, 농가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계란 공급 불안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decided to apply a 0.075㎡ per hen cage space requirement for new laying hens starting in September 2025, transitioning to a voluntary implementation framework until 2027.
Measures such as promoting standard contracts, providing market price forecasts, and increasing financial support for poultry facility expansions aim to stabilize egg supply and prices.
Summary This policy focuses on improving egg safety and animal welfare while supporting farmers to reduce impacts, ensuring a stable egg market.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2025年9月から新たに導入される産卵鶏に0.075㎡の飼育面積基準を適用し、2027年まで段階的な自主実施体制へ移行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また、標準契約の促進、価格動向情報の提供、中小農家や大規模農場向けの財政支援拡大などを通じて、卵の供給と価格の安定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卵の安全性と動物福祉を向上させるものであり、農家の負担を軽減し、安定した卵市場を実現する助け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决定自2025年9月起对新引入的产蛋鸡实施每只0.075㎡的饲养面积标准,并在2027年前过渡到自愿执行阶段。
通过推广标准合同、提供市场价格预测信息、扩大对中小农场和大型农场设施投资的财政支持等措施,旨在稳定鸡蛋供应和价格。
总评 该政策兼顾鸡蛋安全、动物福利与农户负担,可望为确保鸡蛋市场稳定提供支持。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ll’Alimentazione e degli Affari Rurali ha deciso di applicare uno standard di 0,075㎡ per gallina a partire da settembre 2025 per i nuovi allevamenti, con una transizione a un sistema volontario fino al 2027.
Misure come la promozione di contratti standard, la fornitura di previsioni sui prezzi e maggiori finanziamenti per l’espansione delle strutture agricole mirano a stabilizzare l’offerta e i prezzi delle uov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ra a migliorare la sicurezza delle uova e il benessere animale, supportando al contempo gli agricoltori per ridurre l’impatto e garantire un mercato stabile.
[교육부]교육부, 입시 공정성 강화를 위해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 운영
요약보기
한국어 교육부가 입시 공정성 강화를 위해 9월 8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을 운영합니다.
대학 입시 전후로 발생할 수 있는 부정 행위를 방지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입시 공정성을 보장해 수험생들이 공정한 기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operate a special reporting period for college admission fraud from September 8 to December 31.
This initiative aims to prevent and promptly address unfair practices related to college admissions.
Summary This measure is expected to ensure fair opportunities for students by strengthening justice in the admission process.
日本語 教育部は9月8日から12月31日まで入試不正に関する集中通報期間を実施します。
大学入試前後に発生し得る不正行為を防止し、迅速に対応するための措置です。
総評 この対応により、受験生が公平な機会を得られるように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教育部将于9月8日至12月31日期间开展高考舞弊集中举报活动。
此举旨在防止高校入学中的不正行为并及时采取行动。
总评 此项举措有望保障考生在高校录取过程中享有公平权益。
Italiano Il Ministero dell’Istruzione gestirà un periodo dedicato alla segnalazione di frodi nei processi di ammissione all’università dall’8 settembre al 31 dicembre.
L’obiettivo è prevenire e affrontare rapidamente eventuali irregolarità nei procedimenti di ammissio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garantire opportunità eque per tutti gli studenti durante il processo di selezione universitaria.
요약
원문보기
### 해양경찰청, 9월부터 국제협력 강화…다자회의로 글로벌 해양안보 네트워크 확대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급변하는 국제 해양안보 환경에 대응하고자 9월부터 다자회의를 통한 글로벌 협력체계 확장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여름철 태풍 및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가 완료되는 가을부터 국제 외교 활동이 본격화되는 시기를 고려한 움직임입니다.
#### 주요 다자회의 참여 계획
해양경찰청은 주요 다자협의체에 적극 참여하며 회원국들과의 공조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주요 참여 예정 회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세계해양치안기관회의(CGGS)**
2. **북태평양해양치안기관회의(NPCGF)**
3. **아시아해양치안기관회의(HACGAM)**
이를 통해 불법어업, 해양오염, 마약 밀매 등 초국가적 범죄 대응과 함께 해양재난에 대한 국제적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합동훈련, 정보 공유, 인적 교류 등을 통해 실질적인 대응 역량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 국제협력의 중요성과 효과
해양경찰청의 다자협력 활동은 여러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해양 거버넌스 강화:** 우리나라가 글로벌 해양안보 리더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기반 마련.
– **신속한 대응 네트워크 구축:** 해외 해양재난 발생 시 신속한 공동대응 체계 활용.
– **역량 강화:** 합동훈련과 토론을 통한 전문성 제고.
– **외교·안보 기여:** 국제 해양안보 협력뿐만 아니라 외교·안보 목표 달성에 기여.
#### 미래 비전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다자협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해상 교역로 안전 확보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한국 해양경찰의 리더십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더불어 “국제 파트너십을 확대하여 글로벌 해양안보의 핵심 주체로 자리잡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해양경찰청의 이번 활동은 국제 해양치안 문제 해결에서 한국의 역할을 강화하고, 글로벌 해양 안보를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해양경찰청, 청년 국민패널과 함께 미래를 설계하다”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이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보다 국민 친화적인 정책을 만들어 가기 위해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지난 5일 해양경찰청은 “청년 국민패널과 소통의 날”을 개최하여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으로 구성된 국민패널 “바다소리”와 현장에서 소통했습니다.
#### **현장과 소통으로 정책에 생기를 더하다**
이날 행사에는 총 10명의 청년 패널이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영종도에 위치한 경인연안해상교통관제센터와 인천회전익항공대 같은 해양경찰의 주요 업무 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실무 담당자들에게 상세한 설명을 들으며 해양경찰의 역할과 업무에 대해 이해를 높였습니다. 현장에서 펼쳐진 생생한 경험은 청년 패널들이 정책 제안에 더 현실적인 통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주요 논의 주제와 청년 세대의 관점**
간담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습니다:
1. **청년이 공감하는 제도 개선 방향**
2. **AI(인공지능)와 같은 최신 기술을 반영한 미래 정책 방향**
3. **국민 패널 활동을 통해 느끼는 소통 만족도**
청년 패널들은 정책 수요자로서의 관점을 공유하며, 해양경찰 업무가 청년들은 물론 국민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 **청년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다**
최경근 혁신행정법무담당관은 “청년세대의 시각과 아이디어는 정책 혁신의 원천”이라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현장 견학과 청년들과의 소통을 통해 청년들의 목소리를 정책 안에 반영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 **국민패널 ‘바다소리’란?**
‘바다소리’는 해양경찰청이 운영하는 국민 참여 소통 창구입니다. 올해 총 1,567명이 모집되었으며, 이 중 662명은 청년세대로 구성되었습니다. 청년 패널은 해양경찰 정책에 실질적인 의견을 제공하며 정책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양경찰청의 이번 행보는 국민을 보다 가까이 이해하고, 특히 청년세대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좋은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으로 국민 눈높이에 맞춘 정책 추진을 기대해봅니다.
원문보기
### 공영방송 이사 수 확대 및 국민추천위원회 설치…9일부터 시행
지난 10월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방송문화진흥회법(방문진법)」과 「한국교육방송공사법(EBS법)」 일부 개정안이 오는 9일부터 시행됩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는 이번 개정 법률에 따라 공영방송의 이사 구성과 사장 선임 절차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핵심 개정 내용**
1. **이사 수 확대 및 추천 주체 다양화**
– 방송문화진흥회 및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이사가 기존 9명에서 13명으로 늘어납니다.
– 이사 추천 단체로는 ▲국회 ▲방송사 임직원 ▲시청자위원회 ▲방송미디어학회가 포함됩니다.
–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의 경우 변호사 단체가, EBS 이사의 경우 교육부장관·교육감협의체·교육 관련 단체가 추가로 참여하게 됩니다.
2. **사장후보국민추천위원회 설치**
– 공영방송 사장 선임 절차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장후보국민추천위원회’가 신설됩니다.
– 위원회는 국민 여론을 반영한 후보 추천 과정을 담당하며, 이사회는 재적 3/5 이상 특별다수제 의결을 통해 사장 후보를 확정하게 됩니다.
#### **후속 조치**
방송통신위원회는 법 시행에 맞춰 시행령 개정과 규칙 제정 등의 후속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사 추천 단체(방송미디어학회·변호사단체·교육 관련 단체)와 여론조사기관의 구체적인 운영 기준은 방통위 규칙으로 정할 예정입니다.
이번 개정안은 공영방송 운영 구조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대폭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확대해 국민과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방송 운영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전 세계 유일, 한국의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 세계 최고 혁신 사례로 선정
소방청이 운영하는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혁신 사례로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공공서비스가 국제 무대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세계 최초 혁신 사례로 선정된 ‘재외국민 응급의료상담’
소방청은 2025년 **’제4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시상식에서 **세계 최초 분야**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밝혔습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행정연구원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 시상식은 국내외 국민의 편의와 안전을 높인 최초 도입 사례 및 최고 운영 기관에 주는 특별한 상입니다.
올해의 총 8개 수상 사례 중, **세계 최초 분야에서는 소방청이 유일하게 선정되었으며, 중앙행정기관 중 독보적**인 성과로 평가받았습니다.
#### 해외 어디에서도 유례 없는 공공 서비스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는 2018년 도입되어 2020년부터 전 세계 재외국민 대상으로 확대 적용되었습니다. 이 서비스는 **미국을 포함한 123개국 대사관에서 검증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무료 응급 상담 서비스가 없는 유일무이한 사례**로 확인됐습니다.
소방청은 이를 통해 해외에서 부상이나 질병을 겪은 한국 국민들에게 응급의학 전문의와 상황요원이 실시간 의료 상담, 응급처치 지도, 복약 안내 등을 제공하여 실제 위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 핵심 사례: 네덜란드 해상 응급구호
한 예로 2024년 5월, 네덜란드 주변 해상에서 한국인 선원의 의식불명 사태 발생 시 소방청이 이메일로 접수된 상담 요청 후 즉각 대응하며 응급의학 전문팀이 의료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이 조치 덕분에 환자는 응급 헬기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되어 건강을 회복, 귀국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실질적 성공 사례는 제도의 필요성과 혁신성을 더욱 확고히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소방청의 지속적인 시스템 고도화
소방청은 서비스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119안전신고센터(APP)를 통한 상담 요청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특히 항공기 내에서의 의료 지원 시스템 도입을 목표로 항공사와의 협의를 추진 중입니다.
#### 허석곤 소방청장의 다짐
허석곤 소방청장은 “재외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가 세계적 사례로 인정받아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보다 혁신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 주요 내용 요약:
– **세계 유일**: 123개국 대사관 검증 결과 유사 사례 없음.
– **서비스 방식**: 전화, 이메일, 누리집, 카카오톡 등을 통한 의료 상담.
– **시작**: 2018년 도입, 2020년 전 세계 재외국민 대상 확대.
– **2024년 이용자 수**: 4,901명.
– **특징**: 응급 상황 시 실제 의료 지침 제공(예: 해상 사고, 복약 지도 등).
—
이 서비스는 단순히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넘어,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즉각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세계적 모범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소방청의 노력과 정책적 창의성은 미래 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공공기관 업무망에서도 생성형 AI 서비스 활용 가능
조달청이 공공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성형AI 업무지원서비스’ 카탈로그 계약 신규 입찰공고를 게시**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업무망에서도 생성형 AI 기술을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 주요 배경 및 필요성
그동안 공무원 등 공공분야 종사자들은 생성형 AI를 사용하기 위해 **인터넷망에 별도로 접속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이는 높은 보안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함이었지만, 업무 효율성 저하를 초래했다. 조달청은 이번 공고를 통해 **업무망에서 생성형 AI 서비스를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
### 생성형 AI 서비스 기능 및 보안 기준
새로 도입되는 서비스는 이미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료·통계 분석, 보고서 작성 및 요약, 문서 초안 생성 등** 다양한 업무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보안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서비스들만 입찰 대상으로 삼고 있다:
– **업무망에서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한 서비스
– 국가 클라우드 보안 기준에서 **‘상’ 등급**을 받은 인프라(IaaS) 기반 서비스
– **국가정보원 보안성 검증에서도 ‘상’ 등급**을 획득한 검증된 서비스
—
### 향후 계획
조달청은 **공공분야에서 AI 활용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신면 기술서비스국장은 “이번 입찰공고를 통해 공공기관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전한 AI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며, 향후 생성형 AI 서비스를 **행정망과 인터넷망으로 확대**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기대 효과
이번 조치는 공공기관에서 AI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환경적 제약을 크게 개선하며, **공공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보안 우려를 해소한 상태에서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기회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
문의:
기술서비스총괄과 김희준 서기관 (**042-724-6141**)
원문보기
**한국폴리텍대학, 기술 중심 직업교육 강화 및 유연한 입학생 유치 전략**
한국폴리텍대학(이사장 이철수)은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을 통해 산업 수요에 기반한 학과 신설·개편과 유연한 입시 제도를 바탕으로 기술 중심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 **주요 내용**
1. **’유턴 입학생’ 비율 지속 상승**
– 올해 폴리텍대학 내 ‘유턴 입학생'(다른 직업군 또는 학업 선택 후 학업으로 복귀) 비율이 25.2%를 기록하며,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이는 4명 중 1명꼴로, 성인 학습자와 경력 전환 희망자 간 수요 증가를 나타낸다.
2. **미래산업 대응 학과 신설 및 개편**
– 반도체, 신산업 분야 등 산업계가 요구하는 기술과 역량에 중점을 둔 31개 학과가 신설 및 개편됐다.
–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미래산업 대응과 혁신 기술 수요 반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3.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
– 9월 8일부터 2년제 학위과정 신입생 약 5,630명을 모집.
– 유연해진 입학 제도를 통해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의 학습자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
### **폴리텍대의 역할과 비전**
한국폴리텍대학은 산업 수요에 맞춰 학과를 신설 및 개편하고,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직업교육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변화하는 산업 환경과 기술 발전에 대응하며, 실무 중심의 인재 개발을 목표로 한다.
문의사항은 **홍보부 박미선(032-650-6742)** 또는 **직업능력운영부 김나영(032-650-6675)**으로 연락하면 된다.
> 자료 제공: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숏폼·로고송으로 중소기업 근로자의 노후 준비 중요성 알린다**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은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 ‘푸른씨앗’ 출범 3주년을 맞아 그 중요성과 대국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AI 홍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숏폼 영상 및 로고송 제작 등을 통해 푸른씨앗 제도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노후 준비의 중요성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중소기업근로자퇴직연금기금제도 ‘푸른씨앗’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퇴직 후 안정적인 삶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제도로, 근로복지공단은 이를 꾸준히 홍보하고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형식의 콘텐츠를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공모전의 구체적인 내용과 참여 방법은 근로복지공단 관련 채널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문의는 퇴직연금운영부 박영진(전화: 052-704-7372)으로 하면 된다.
**블로그 콘텐츠 아이디어**
제목: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노후 준비, ‘푸른씨앗’을 아시나요?”
내용:
– 푸른씨앗 제도의 개념 및 3주년을 맞아 진행되는 홍보 활동 소개
– AI 홍보 공모전의 참가 방법 및 기대 효과 안내
– 퇴직연금의 필요성과 푸른씨앗의 중요한 역할
– 공모전에 참여하는 방법: 숏폼 콘텐츠를 통한 창의적인 제안
– 근로복지공단의 복지 제도와 노후 준비 개선을 위한 비전
초점: 중소기업 근로자의 권익 향상과 즐거운 참여형 홍보 활동으로 사회적 메시지 확산.
원문보기
고용노동부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임금 체불 현황을 처음으로 발표하며, 이를 지방정부와 공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임금 체불 문제를 지역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지방 정부와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석됩니다. 이번 발표는 임금 체불과 관련된 지역별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해결책 모색에 중점을 두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고용노동부는 체불 근절을 위한 실효성 높은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해당 자료를 각 지방정부에 제공하며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고 전했습니다.
**문의:**
근로감독기획과 김보경(044-202-7521), 이경수(044-202-7538)
**자료제공:**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두 주요 플랫폼인 ‘가치장터’와 ‘스토어(STORE) 36.5’를 새롭게 단장하며, 이에 맞춰 추석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9월 8일 발표했습니다.
‘가치장터’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담은 제품 조달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입점 상품과 서비스를 강화하고 이용 편의성을 개선한 것이 특징입니다. ‘스토어(STORE) 36.5’는 착한 소비를 지향하는 온라인 쇼핑몰로 운영되며, 사회적경제 기업의 제품을 소개하고 소비자가 이를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추석 연휴에 맞춘 이번 기획전에서는 사회적기업들이 생산한 우수한 품질의 다양한 선물세트를 선보이며, 사회적 가치 창출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관련 상세 정보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 사항은 사회적기업과(044-202-7424)로 연락 바랍니다.
원문보기
### 공공기술 사업화로 혁신과 성장 이끈다: ‘2025년 범부처 공공기술 이전·사업화 로드쇼’
특허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10개 정부 부처와 함께 2025년 9월 8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범부처 공공기술 이전·사업화 로드쇼’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정부 연구개발(R&D)을 통해 창출된 우수 공공기술의 민간 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주요 행사 개요
올해 로드쇼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우수기술 출품**: 117개 연구기관(64개 대학, 51개 공공연구기관, 2개 병원)에서 총 1,863개의 사업화 유망 기술이 출품되었다.
2. **기술이전 협약 및 의향서 체결**: 기업과 연구기관 간 2건의 협약과 10건의 의향서가 체결되어 이전된 기술의 실질적 사업화를 지원한다.
### 대표 기술 및 사례
이번 로드쇼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는 연구성과가 소개된다:
– **서울시립대**: 흡음재 거치형 천장구조체 및 시공방법 기술로 건축 내장재 전문기업과 협약 체결.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식생 변동 예측 기술을 공조 전문기업에 이전.
– **한양대**: 인공위성 충돌 방지와 우주교통 관제를 위한 AI 기반 시스템으로 미 우주군에도 서비스 제공.
### 부대행사 및 시상식
행사 중 제품 및 기술 전시 부스가 운영되며, 지식재산 경영이 우수한 12개 기관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진행된다. 해당 기관들은 특허청장상과 특허수수료 납부 시 사용할 수 있는 지식재산 포인트를 수여받는다.
### 기대 효과
목성호 특허청 차장은 “정부가 엄선한 공공기술이 기업과 만나 혁신 제품으로 탄생하길 바란다”며, “특허청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기술 거래와 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공공기술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어 국민 생활의 개선과 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는 뜻깊은 자리로 평가받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범정부적인 협력이 기술 혁신과 선도적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역대 정부 중 자본시장을 가장 존중하는 정부 목표
김민석 국무총리가 9월 8일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자본시장 전문가들과 함께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코리아 프리미엄을 향한 자본시장 혁신”**과 KOSPI 5000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방향 논의를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 주요 내용
1. **정부의 정책 의지**
김민석 총리는 **”이재명 정부는 자본시장을 존중하며, 경제활력 제고와 투자자와의 선순환 구조 확립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역대 정부 중 자본시장에 가장 큰 중점을 두겠다고 강조했습니다.
2. **증시 상승률 및 시장 기대**
– **KOSPI 주요 성과**
6월 2일 이후 KOSPI 상승률은 +18.6%로 주요국 증시를 상회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성과가 정부의 친(親) 자본시장 정책 기대감에서 비롯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예:
– S&P 500 (미국) +9.5%
– 닛케이 (일본) +13.6%
– FTSE 100 (영국) +5.0%
– DAX (독일) -0.7%
– 참석자들은 KOSPI 5000 달성을 위해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3. **글로벌 경제와 자본시장 역할**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경쟁 심화와 같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자본시장 활력을 통해 유망·첨단 산업 및 생산적 부문에 자금을 집중 공급해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
### 합동대응단 방문
김 총리는 한국거래소에 신설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을 방문해 불공정 거래에 대한 철저한 단속과 엄정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 **주요 역할**: 신속한 사건 심리 및 집중 조사
– 단장: 금감원 부원장
– 구성: 금융위, 금감원, 한국거래소 직원 약 30명
—
### 총리의 다짐
김 총리는 “현재 우리 경제가 대내외적으로 구조적 난제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5년 동안 자본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경제 활력을 높여 국민들에게 실질적 성과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다짐했습니다.
—
### 전망
이번 간담회는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성과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진정성 있는 정부의 의지가 자본시장과 경제의 선순환 구조 확립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국민 참여로 감 잡는 과학관 프로젝트!**
최근 발표된 보도자료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련 기관이 국민 참여를 중심으로 한 과학관 개선 및 활성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과학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시민의 의견을 반영해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주요 내용:
1. **국민 참여를 통한 개선**
– 과학관 내 전시 콘텐츠와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국민 의견 수렴.
– 설문조사, 워크숍, SNS 모집 등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집.
2. **지역별 맞춤형 과학관 활성화**
– 전국 각지의 과학관을 대상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엽시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기획.
– 지역 주민들과의 협력으로 과학관이 지역의 문화적 거점 역할을 수행토록 지원.
3. **체험형 전시와 참여형 교육의 확장**
– 기존 시청각 중심의 전시에서 탈피, 체험 위주의 전시로 전환.
– 과학 실험, 워크숍,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함께하는 프로그램 운영.
### 기대 효과:
이번 프로젝트는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소통형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과학관 운영으로 과학기술 접근성을 높이며, 국민들의 과학적 사고력 및 창의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원문보기
### **국가유산청, K-헤리티지의 디지털 전환으로 세계 무대에 서다**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지난 9월 6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열린 세계적 디지털 문화축제인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에서 대한민국의 국가유산을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특별 전시를 성공적으로 선보였다.
####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디지털과 예술의 융합**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은 1979년에 시작된 세계적인 미디어아트 및 디지털 문화 행사로, 매년 9월 전 세계의 창의적 작품과 기술을 조명하는 행사다. 개최 장소인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전시와 실험적인 예술 작품들이 상시 전시되는 ‘미래 박물관’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이곳의 ‘딥 스페이스(Deep Space)’는 대형 고해상도 화면(16m×9m 크기)으로 관람객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상징적 전시 공간이다.
#### **한국 디지털 유산 전시: 전통과 기술의 만남**
올해 국가유산청은 ‘디지털 기술로 K-헤리티지의 가치를 창조하다'(K-Heritage, Creating Value Through Digital Technology)라는 주제로 디지털 전환을 통해 재탄생한 한국 전통문화 작품들을 소개했다. 주요 전시작품은 다음과 같다:
1. **자연으로부터**
– 한국 전통 공예의 섬세한 미학을 아나몰픽(Anamorphic) 기술로 구현한 작품. 관람객은 착시 효과를 통해 마치 생동하는 입체 작품을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했다.
– 이 작품은 현재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국가유산 디지털 콘텐츠 전시 <헤리티지 : 더 퓨처 판타지>에서도 만날 수 있다(9월 17일까지 진행).
2. **별서정원**
– 조선시대 선비들이 가꾼 자연 친화적 전통 정원을 3D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작품.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정원의 공간적 아름다움과 철학을 세계 무대에 알렸다.
3. **경복궁 – 왕의 정원을 거닐다**
– 경복궁의 대표적 건축물과 정원을 디지털 콘텐츠로 재창조하여, 관람객이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어 실제 경복궁을 거니는 듯한 몰입감을 체험하게 했다.
#### **글로벌 교류와 미래 방향**
국가유산청은 이번 전시를 통해 전통 유산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국제적으로 제시하는 한편, 오스트리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와의 협력을 시작으로 2024년부터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 및 기술 교류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전 세계적으로 홍보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산 보존과 활용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 **국가유산의 글로벌 확산: 새로운 도약**
전통문화와 현대 기술의 융합은 단순히 유산을 보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인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국가유산청은 이를 계기로 국내외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의 국가유산을 감상하고, 그 철학과 가치를 깊이 이해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예정이다.
> **”전통의 가치와 첨단 기술의 만남을 통해, K-헤리티지가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정보”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 가이드로,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자료는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 국가별 규제 요건, 주요 품목에 대한 글로벌 수요, 그리고 성공적인 진출 사례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1. **시장 동향 및 분석**
주요 해외 시장에 대한 최신 동향과 통계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이 시장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규제 정보 및 승인 절차**
국가별로 상이한 바이오의약품 규제 및 승인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여 진입 장벽을 낮춥니다.
3. **성공 사례**
해외시장 진출에 성공한 기업들의 실전 사례를 통해 전략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4. **지원 프로그램 안내**
국내외 다양한 지원사업과 네트워크 기회를 소개하며, 관련 컨설팅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이오 산업은 고도의 기술과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은 국가 경제 성장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자료는 해외 시장 진출을 꿈꾸는 스타트업부터 대규모 제약사까지, 다양한 규모의 바이오 기업들에게 꼭 필요한 핵심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자료는 **”www.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업들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만약 관련 분야에서 준비 중이거나 관심이 있다면 놓치지 말고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식약처, 사회적 관심 품목 및 생활 밀착형 제품 표시·광고 집중 점검에 나서**
**출처: (www.korea.kr)**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의약품·의약외품의 부당한 표시·광고에 대해 집중 점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점검은 사회적 관심 품목과 생활 밀착형 제품을 대상으로 하며,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과대광고를 방지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됩니다.
### **중점 점검 대상**
점검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회적 관심 품목**: 감염병 예방과 관련된 마스크, 손소독제, 소독용 에탄올, 멸균 제품 등.
2. **생활 밀착형 품목**: 온열기, 구급용품, 다빈도 사용 의약품(감기약, 진통제 등), 염모제, 여드름 치료제 등.
이들 제품은 사용 빈도가 높고, 국민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잘못된 정보나 허위·과장 광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요 점검 내용**
1. 제품 효과를 부풀리거나 검증되지 않은 효능·효과를 홍보하는 행위.
2. 의약품 오·남용을 조장하는 광고 문구 사용.
3. 허가·승인 범위를 초과한 효능 효과를 암시하는 경우.
4. 다른 제품과 과도하게 비교하며 소비를 부추기는 행위.
### **소비자 권리와 안전 제공**
식약처는 이번 점검을 통해 허위광고를 사전에 차단하여 소비자가 올바른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안전성과 유효성을 강화하여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방침입니다.
### **신고 시스템 운영**
소비자는 부당한 표시·광고를 발견한 경우, 식약처 또는 소비자보호관련 기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 제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계획입니다.
식약처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소비자들에게 항상 꼼꼼히 제품 정보를 살피고 현명한 소비 활동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해당 점검 활동은 불법적 광고 근절과 함께 건전한 제품 시장 형성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계속되는 식약처의 노력이 국민의 신뢰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2025년 화장품 위해평가 국제심포지엄’ 개최**
2025년, 전 세계 화장품 위해평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화장품 안전성 평가, 기술 공유, 글로벌 규제 동향 논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 **심포지엄의 주요 목표와 배경**
최근 화장품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소비자 안전과 관련된 문제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를 위한 객관적이고 정밀한 평가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국제 심포지엄은 이러한 배경에서 전문가들의 연구와 시각을 공유하며 글로벌 표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핵심 논의 주제**
1. **화장품 내 유해 성분 평가 기법**
– 최신 과학기술 및 데이터 기반 평가 방법 소개
2. **국가별 규제 비교 및 통합 가능성 논의**
– 국가별 평가 기준과 절차의 차이점 파악
3. **친환경·안전한 원료 개발 동향**
– 지속 가능한 원료 혁신과 대체 화학물질 개발 방향
4. **AI와 데이터 기반 평가 시스템 도입**
– 첨단 기술을 활용한 화장품 위해성 검사 효율화 방안
### **산업 관계자 및 연구진들의 협력 기대**
이 심포지엄은 정부 기관, 대학, 연구소,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함께 협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를 통해 화장품 산업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관련 정책과 기술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이나 참가 방법은 추후 공식 웹사이트 및 관계기관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원문보기
### 국가유산청, 새 정부의 국가유산 전략 발표: “K-헤리티지, 국민 곁으로 세계 속으로”
9월 8일 오전 덕수궁 석조전에서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개최한 기자 간담회에서, 새 정부의 국가유산 정책 추진 방향과 중점 과제가 발표되었습니다. 다음은 주요 내용을 요약한 카드뉴스입니다.
—
#### **1. 국민과 함께하는 ‘열린 국가유산’**
– **새로운 유산 발굴 및 관리 확대**: 제작된 지 50년 미만인 근·현대 건축 및 산업유산, 대중문화유산, 디지털 유산 등이 보존 대상에 포함.
– **국민 접근성 강화**: 고궁 야간개방 확대, 조선왕릉과 명승 옛길 개방.
– **현장 중심 규제**: 개발사업 시 유산 보호와 공사 병행 가능성을 높이는 ‘똑똑한 규제’ 도입.
– **지역 유산 활성화**: 역사문화권 정비 및 주민 정주 여건 개선.
—
#### **2. 글로벌 유산강국 도약**
– **AI·디지털 기술 활용**: 3D 원천자원 및 국가유산 AI생태계 조성.
– **K-헤리티지 글로벌 홍보**: 궁궐 내 외국인 특화 프로그램 운영, 경복궁 플래그십 스토어 설립 예정.
– **유네스코 및 APEC 계기 홍보 강화**: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2025년 APEC 정상회의 연계 활용.
– **해외 유산 환수 및 보존**: 국외 유산 환수를 위한 전략 마련, 해외 동포 지원 협력 강화.
– **남북 문화유산 협력 재개**: 개성 고려궁성 조사는 물론, 북한 지역 세계유산 복원 등 협력 추진.
—
#### **3. 혁신적 행정 운영**
– **성과 중심 조직 개편**: 효율성과 성과 우수자를 중심으로 한 승진 체계 구축.
– **AI·브랜드화 투자 확대**: 국가유산의 혁신적 성장과 글로벌 확산.
—
허민 청장은 “K-헤리티지가 국민의 자랑이 되고, 문화강국으로 이어지길 희망한다”며, 유산 정책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뜻을 밝혔습니다.
### **덧붙임**
국가유산 정책의 현장 중심 적극행정이 언제 어디서나 국민 곁에서 진정성 있게 실현될 수 있길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 한-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논의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8일 서울에서 **박종원 통상차관보**와 **워렌 케이딩(Warren Kaeding)**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무역수출개발부 장관 간의 면담을 통해, 양국 간 산업, 핵심광물,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논의는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장관의 방한을 계기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 **캐나다 서스캐처원주의 풍부한 자원**
서스캐처원주는 우라늄, 석유, 천연가스를 포함한 **핵심 광물** 공급지로 세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음의 주요 자원 생산 분야에서 강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 **포타시(Potash)**: 매장량 및 생산량 모두 세계 1위
– **우라늄**: 매장량 세계 3위, 생산량 세계 2위
또한 서스캐처원주는 2030년까지 전력의 80%를 무탄소 에너지로 충당하기 위한 **소형모듈원전(SMR)** 도입을 계획하며 친환경에너지 전환을 적극 추구하고 있습니다.
—
### **한-캐나다 교역의 성장세**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FTA)이 2015년에 발효된 이후, 양국 간 교역은 약 2배로 증가하며 튼튼한 경제협력 구조를 확인했습니다.
– **’15년 FTA 발효 이후:** 교역 규모 86억 불 → **’24년 172억 불**
– **한국의 對캐나다 투자:** ’20년 약 9.8억 불 → **’24년 37.9억 불** (최근 5년간 4배 가까이 증가)
—
### **양국 협력의 중요성**
박종원 차관보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통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양국 간 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한국은 안정적인 **에너지 및 핵심광물 공급**을 확보할 수 있고, 캐나다는 **에너지 수출 다변화**를 꾀하는 데 있어 상호 이익이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미래지향적 협력 확대 논의**
양국은 에너지 분야 협력을 비롯해 다양한 첨단 전략 산업에서의 협력을 도모했습니다. 논의된 주요 협력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배터리 소재**
2. **소형모듈원전(SMR)**
3. **수소에너지**
4. **핵심광물 개발 및 공급망**
박 차관보는 한국과 서스캐처원주 간 미래지향적 협력 강화를 위해 서스캐처원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요청했습니다.
—
### **결론**
이번 면담은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 속에서 한국과 캐나다 간의 다층적 협력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첨단 기술 및 에너지 분야에서 양국 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산업 및 경제협력의 긍정적인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원문보기
**산업부, 한-미 관세 협상 관련 후속 협의 방향 논의**
**-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제50차 통상추진위원회 주재 -**
2023년 9월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관계부처와 함께 제50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에 대한 논의와 계획을 점검했다. 이번 회의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주재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지난 협의 상황 점검 및 향후 계획 논의**
회의에서는 지난 7월 30일 체결된 한-미 관세 합의와 관련하여 미국과의 기존 협의 상황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협의 진행 계획을 검토했다.
특히, 9월 4일 발표된 미-일 관세 합의와 관련하여, 일본과의 관세 인하 합의 내용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에 대응할 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7월 22일 체결된 미-일 합의가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취지로 진행됐다.
### **여한구 본부장 발언 및 대응 방향**
여 본부장은 “미국과 일본 간의 구체적인 관세 협상 내용을 기반으로,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측과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한 대응 기조를 강조했다.
관계부처 역시 미국의 대(對)일본 관세 인하 발효가 한국 기업에 미칠 불리한 여건을 심각히 받아들이고 있으며, 우리 기업이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공동의 인식을 공유했다.
### **향후 계획**
산업부는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한 ‘원팀’ 체제를 바탕으로 관계부처 간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하고, 미국 측과 밀도 있는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논의는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 정부가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원문보기
관세청이 공공조달물품 관련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에 대해 9월 8일부터 10월 24일까지 7주간 기획단속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단속은 공공조달시장에서 외국산 제품을 국산으로 둔갑시켜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 제도를 악용한 부정 행위를 차단하고, 국내 중소기업을 보호하며 공정 경쟁을 조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 주요 위반 행위와 사례
원산지 표시 위반 유행에는 △거짓 표시, △오인 표시, △표시 손상·변경, △미표시, △부적정 표시 등이 포함됩니다.
적발 사례로는 외국산 의류와 소방용 랜턴을 국산으로 속여 각각 공공기관과 소방서에 납품한 사건이 보고되었으며, 이로 인한 피해 규모는 의류 186억 원, 랜턴 11억 원 상당으로 집계됩니다.
### 단속 세부 계획
관세청은 수입 통관자료와 조달청의 공공조달 계약자료를 연계 분석해 위법 가능성이 높은 업체를 선별하며, 필요한 경우 현장 단속과 함께 조달청과의 합동단속도 실시할 계획입니다. 원산지 허위 표시는 물론, 국내 생산물이 한국산 기준에 부합하는지도 엄격히 점검할 예정입니다. 위반사항이 적발되면 최대 3억 원의 과징금 혹은 5년 이하의 징역형과 같이 엄중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 기대 효과 및 향후 계획
관세청은 이번 단속을 통해 조달 시장의 불법 행위를 근절하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국내 중소기업의 피해를 줄이고 공정 성장을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여 이러한 위반 행위가 재발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요약
– **단속 기간:** 2023년 9월 8일 ~ 10월 24일
– **단속 대상:** 공공조달물품의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 (거짓 표시, 미표시 등)
– **주요 위반 사례:** 외국산 물품을 국산으로 둔갑시켜 공공기관에 납품
– **처벌:** 최대 3억 원 과징금 또는 5년 이하 징역
– **목적:** 중소기업 보호, 조달 시장 공정성 확보, 국민 신뢰 회복
앞으로 관세청은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민 안전과 국내 산업 보호에 최선을 다할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추석 대비 승강기 특별점검 실시**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국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9월 8일(월)부터 9월 30일(화)까지 전국적으로 승강기 특별점검**을 진행합니다.
이번 점검은 추석 기간 동안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의 승강기 안전성을 확인하고, 고장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주요 점검 대상은 **대형 쇼핑몰, 전통시장, 공공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내 승강기입니다.
점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승강기 정기검사 여부 확인
– 비상통화장치 및 비상 시 동작 기능 점검
– 주요 부품(브레이크, 승강로 등) 상태 점검
–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관련 사항
행정안전부는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시행하고, 주요 시설 관리자들에게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특별점검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승강기정책과 백준민 주무관(044-205-4299)**에게 연락하면 됩니다.
**자료 제공: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볼리비아 고위급 대표단 초청 연수 실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원장 이봉우)은 볼리비아 추키사카주 검찰청장 등 고위급 대표단 9명을 초청해 연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9월 8일(월)부터 9월 19일(금)까지 약 2주 동안 진행되며, 법과학 분야의 선진 기술 및 운영 노하우를 공유하며 양국 간 협력 강화와 국제 교류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번 초청 연수는 두 나라 간 과학수사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과학수사 기법과 법의학 기술 전반에 대한 교육을 통해 볼리비아 측의 기술 역량 강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연수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과 기타 관련 사항은 첨부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및 세부사항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과학연구센터 김덕훈(033-902-5080)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2025 생활안전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 아이디어 10건 선정**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국민 생활의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2025 생활안전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했다. 이번 공모전은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생활안전 분야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지난 4월 16일부터 5월 16일까지 공모가 실시되었다.
총 열띤 경쟁 끝에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 10건은 각 분야에서 창의성과 실현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행정안전부는 이를 토대로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재난안전연구개발과 김좌현 담당자(044-205-6237)와의 연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의 지속적인 노력**
행정안전부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국민들과 함께 생활 속 안전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연구개발 과제로 연결시키는 플랫폼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및 기술적 성과를 도출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거나 심층적인 자료가 필요하다면, 정부 공식 포털(www.korea.kr)을 참고하면 된다.
원문보기
**제28회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 성황리에 개최**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8일 서울 세종대 컨벤션센터 광개토관에서 전기안전 분야 최대 행사인 **’제28회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기재해 예방과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들의 헌신을 기리며 전기안전에 대한 실천 의지를 고취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 **6개 행사를 통합한 전기안전 컨퍼런스 운영**
올해는 기존의 6개 개별 행사를 통합하여 9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전기안전 컨퍼런스’**로 기획되었으며, ‘전력설비 안전성 향상 대회’를 포함한 총 5개의 부대행사가 함께 열렸다.
### **전기안전 유공자 포상 및 격려**
행사에서는 전기안전 분야의 유공자들에게 은탑산업훈장 등 **13점의 정부포상**과 산업부 장관 표창 및 상장 38점이 수여되었다. 특히, 김성조 국제통신공업 대표이사는 무정전전원장치(UPS) 제조기술 국산화와 ESS 화재 예방 특허 개발에 기여하여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이외에도 무재해 시공을 달성한 배장수 진명전력 대표이사와 전기안전 의식을 높인 조성국 한국전기안전공사 홍보실장이 각각 산업포장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전기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 제시**
박덕열 수소경제정책관은 격려사에서 “에너지 전환의 성공은 전기안전이 뒷받침될 때 가능하다”며, **전기화재 예방대책**, **감전사고 감축방안**, **지능형 전기안전 관리체계 전환** 등 정부의 전기안전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 **400여 명의 참여로 안전문화 확산의 장 마련**
이번 행사에는 박성민 국회의원, 황대일 연합뉴스 사장 등 정재계 인사와 전기안전 유공자, 전기업계 종사자 및 가족 등 약 400여 명이 참석해 전기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향후 안전문화 증진을 다짐했다.
### **미래 전기안전을 위한 노력 지속**
산업부는 이번 행사를 발판으로 국민 생활과 밀접한 전기안전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안전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이번 전기안전대상은 전기산업 종사자들의 성과를 조명함과 동시에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여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전환 사회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원문보기
### 국민 맞춤형 산림교육 강좌 ‘내산(山)내돈’, 첫발을 내딛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이 국민의 수요에 응답한 체계적인 산림교육 강좌, **’내산(山)내돈’**을 처음으로 선보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산림자원의 중요성을 알리고 실질적인 관리 방법을 공유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인생케어평생학습관과의 협력으로 운영됩니다.
—
### **강좌 기획 배경과 필요성**
우리나라 산림의 67%는 사유림으로, 그 소유주(산주)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산림 소유자 중 **거주지가 다른 부재 산주가 56%에 달해 관리의 지속 가능성이 저하**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림의 합리적인 경영과 실질적인 소득 창출 방법에 대한 교육 수요는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강좌는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과제로 인정받아, **2025년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공공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했습니다.
—
### **강좌 내용 및 특징**
해당 강좌는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실천형 교육 과정으로 다음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1. **산촌의 이해와 산 탐색하기**
산림 생태계에 대한 기초 이해와 개별 산림의 탐색 방법 익히기.
2. **산림경영 지원제도와 소득 품목 알아보기**
산림경영과 관련된 지원 정책 및 소득 창출 가능한 주요 품목 학습.
3. **산림 공간을 활용한 가치 창출 사례**
다양한 임업 성공 사례와 창의적인 산림활용 방안을 소개.
4. **임업 6차산업 현장답사**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사례지를 방문하여 가치 창출의 현장을 직접 경험.
특히, 현장답사는 참여자들에게 이론을 실제로 접목해보는 기회를 제공해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 **강좌 신청 방법 및 일정**
– **신청 기간:** 9월 8일(월) ~ 9월 15일(금)
– **신청 방법:** 서대문구 평생학습포털(https://www.sdm.go.kr/lll) 통해 온라인 접수
– **참여 대상:** 산림 소유자 및 산림경영에 관심 있는 누구나
– **운영 장소:** 서대문구 인생케어평생학습관
—
### **전문가 의견**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하시연 박사는 “이번 강좌는 산림 소유자들이 자신의 산림이 가진 잠재적 가치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경영·소득 전략을 설계하도록 돕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특히 강좌의 핵심인 현장답사를 통해 단순 이론 습득을 넘어 학습 내용을 실천으로 이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 **마무리**
‘내산(山)내돈’은 개인의 자산으로서의 산림 가치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국토 환경 보전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첫걸음**입니다. 산림 소유자뿐만 아니라 산림 관리에 관심 있는 일반 국민에게도 열려 있는 이번 강좌를 통해, 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 운전면허시험장에서 만나는 ‘찾아가는 현장 상담’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가 민원 처리를 위해 발 벗고 현장으로 찾아간다. 이번에는 용인운전면허시험장에서 주민들의 교통 및 민원 관련 상담을 직접 진행한다.
—
### **주요 내용 요약**
1. **행사 개요**
– **일시 및 장소**: 10일, 한국도로교통공단 용인운전면허시험장
– **주최 및 협업**: 국민권익위원회 정부합동민원센터와 한국도로교통공단
– **목적**: 도로·교통 관련 민원을 포함한 다양한 생활 분야의 불편 사항에 대해 현장에서 상담과 해결책을 제공
2. **배경 및 취지**
– 국민권익위는 주로 온라인 국민신문고와 방문 상담을 통해 민원을 처리해왔으나, 상담 접근성 제고를 위해 올해부터 ‘찾아가는 현장 상담’을 시행.
– 지역 특성에 맞는 민원 처리를 위해 현장 상담을 도입하여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려는 취지.
3. **상담 내용**
– 운전면허 관련 처분 및 적성검사
– 교통안전 및 도로 관계 상담
– 기타 생활 속 불편과 민원사항 해결
4. **현장 처리 방식**
– 즉시 해결 가능한 민원은 현장에서 처리.
– 추가 검토가 필요한 경우, 민원으로 접수해 체계적으로 처리.
—
### **임진홍 센터장의 발언**
임진홍 정부합동민원센터장은 “용인운전면허시험장이 서울 강남권, 분당, 수원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에 착안해 이번 상담 장소로 선정했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의 고충에 귀 기울이고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 **의의와 전망**
이번 상담은 경기 남부지역 주민들의 일상 속 불편을 해소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정부가 직접 지역사회로 다가가 소통하는 좋은 사례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www.korea.kr)]
원문보기
**중국 단체관광객 대상 한시 무사증 제도 시행 발표**
정부는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한시적 무사증 입국 제도를 오는 2025년 9월 29일(월)부터 2026년 6월 30일(화)까지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국내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특히 중국인 관광객 수요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시행 배경 및 기대 효과**
이번 정책은 관광객 유입을 촉진해 국내 경제, 특히 관광업과 지역 상권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불법체류 방지 및 운영 대책**
정부는 제도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철저한 사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 **단체관광객 명단 사전 점검**: 출발 전 단체관광객 명단을 확인하고 승인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 **전담여행사 제도**: 신뢰할 수 있는 여행사를 선정하여 단체관광 운영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입니다.
### **전담여행사 등록 절차**
– **기간**: 2025년 9월 8일(월)부터 9월 19일(금)까지
– **내용**: 국내외 전담여행사 지정 및 등록 관련 안내를 실시하고 지정 절차를 마무리합니다.
– **단체관광객 명단 접수 시작일**: 2025년 9월 22일(월)
### **향후 계획**
정부는 관계부처 간 협력을 통해 정책 시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 차단하고, 정책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입니다.
이번 발표는 관광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관광 산업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세 내용은 관련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기업과 인권 국제포럼」 개최**
법무부와 국가인권위원회는 2025년 9월 8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기업과 인권 국제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은 정부, 국제기구, 기업, 시민사회 등이 함께 모여 인권 문제와 관련된 글로벌 규제 대응 방안과 인권경영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포럼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세션이 열리며, 기업들이 국제사회의 인권 경향에 어떻게 대응하고 실질적인 인권경영을 실천할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자세한 행사 일정 및 내용은 별도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문화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문화산업의 ‘튼튼한 뿌리’ 역할을 다지기 위한 중장기적 목표와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번 연구개발 투자 확대의 주요 목적은 문화콘텐츠와 예술,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관련 생태계를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확장 현실(XR)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창작자와 소비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추진 과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첨단 기술 기반 문화콘텐츠 개발 지원**
– VR/AR/XR 기술을 활용한 몰입형 콘텐츠 제작
– 창작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 도입
2. **산업 협력과 전문 인력 양성**
– 기술 개발 기업 및 콘텐츠 제작사 간 협업 지원
– 연구 인력 및 기술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확대
3.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 대중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콘텐츠 발굴
– 해외 진출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제작 지원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러한 연구개발 투자가 한국 문화의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관련 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보도자료에서 구체적인 예산안 편성 내용과 세부적인 추진 계획을 확인하고 싶다면, 문체부가 공개한 관련 붙임파일([0908]문체부보도자료-2026년 문체부 연구개발 예산안 편성.hwpx)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 보건복지 종사자 성희롱·성폭력 피해 상담체계 강화
보건복지부는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와 협력하여,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를 위한 성희롱·성폭력 상담 체계를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 보건복지 분야의 특징과 여성 종사자 비율
– **종사자 규모**: 약 329만 명으로, 전체 산업 종사자의 11.3%를 차지.
– **여성 비율**: 종사자 중 81.6%가 여성이며, 이는 여성 취업자의 약 20.7%에 해당.
– **근무 환경**: 소규모 기관과 폐쇄적 근무 환경이 많아, 성희롱·성폭력 피해가 묵인되기 쉬운 상황.
### 부처 간 협업과 상담 체계 개선
– **연계 기관**: 고용노동부(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와 여성가족부(여성긴급전화1366)와 협력.
– **상담사 교육 강화**: 상담사들이 보건복지 분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2025년부터 맞춤형 교육 콘텐츠 제공.
– **주요 서비스**:
–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 직장 내 성희롱·성차별 피해 구제 및 복귀 지원.
– 여성긴급전화1366: 성폭력, 가정폭력 등 여성폭력 피해 초기 상담 및 긴급 보호.
### 향후 계획
– **예방교육 확대**: 사회복지 분야에서 시작하여 보건의료,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분야로 확대.
– **맞춤형 콘텐츠 개발**: 분야별 특성에 맞춘 교육 콘텐츠 지속 제공.
– **추가 협력 분야 발굴**: 상담체계 구축을 위한 지속적 협의 및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
### 정책적 의도
보건복지부는 성희롱·성폭력 예방을 위한 상담체계를 잘 정착시키고, 피해자가 고립되지 않고 지원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나갈 계획입니다.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도움이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상담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원문보기
### 순환경제 규제혁신: 폐기물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신기술 7건 승인
환경부는 2023년 9월 4일 서울 엘더블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순환경제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에서 총 7건의 신기술 및 서비스에 대해 규제 특례를 승인했습니다. 이 특례는 특정 기간 동안 기업이 혁신적인 자원순환 기술을 실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성공적인 검증 후 규제를 개선하는 제도입니다.
—
### 주요 승인 기술 및 서비스
이번에 특례를 승인받은 기술들은 **식물성 잔재물**과 **동물성 잔재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1. 식물성 잔재물 활용 (6건)
– **친환경 포장재 및 완충재 제조**
버섯 폐배지와 균사체를 활용하여 포장재를 제작하는 기술. 공정의 안전성과 환경성을 특례 기간 동안 검증합니다.
– **식물성 가죽 제조**
선인장 잎과 감귤박을 가죽화 소재로 활용해 자동차 내장용 가죽을 제작하며, 향후 사과껍질 등으로 대상을 확장할 예정.
– **신소재 개발**
대두박, 왕겨 등 농업 부산물을 활용해 새로운 소재를 개발 및 생산.
– **고양이 배변용 모래**
커피박, 펄프, 고흡수성 수지를 재활용하여 고성능 배변 모래를 제작하는 기술.
– **화장품 원료 생산**
맥주박, 감귤박 등을 활용한 화장품 원료 및 완제품 생산.
– **기능성 원료 추출**
배박(배 껍질)과 감귤박을 이용해 고기능성 원료를 만들어내는 기술.
#### 2. 동물성 잔재물 활용 (1건)
– **바이오가스 생산**
계절·지역에 따라 성질이 달라지는 가축분뇨에 도축잔재물을 혼합하여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잔재물을 비료화하는 기술.
—
### 현행 규제의 한계와 특례의 필요성
현재 폐기물 재활용은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제한적인 용도에서만 허용됩니다. 예를 들어, 식물성 잔재물은 비료, 사료, 연료 등으로만 사용 가능하며, 화장품이나 가죽 제품 같은 고부가가치 재활용은 불가능합니다. 이번 특례를 통해 이러한 제한을 완화하고, 신기술의 경제성과 환경성을 검증하여 규제 개선 방안을 모색합니다.
—
### 기대 효과와 향후 계획
이번 특례를 통해 혁신적인 자원순환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탐색하며, 실증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관련 규정 개정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환경부는 기업의 혁신을 적극 지원하여 순환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방침입니다.
#### 환경부 자원순환국장 발언
김고응 자원순환국장은 “규제 특례는 기술과 시장의 현장 적용을 가속화하는 핵심 도구”라며, “혁신적 아이디어가 규제에 가로막히지 않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
### 마무리
이번 순환경제 규제특례는 기업들이 재활용 기술의 실증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당 기술들이 상용화된다면 환경 보호와 동시에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추가 자료**
– 순환경제 규제 샌드박스 제도 개요
– 각 특례 승인 사업 세부 내용
원문보기
### 산란계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에 따른 추가 대책 발표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산란계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와 관련하여 계란 수급 및 가격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와 조정 일정 변경**
농식품부는 기존 마리당 0.05㎡에서 0.075㎡로 확대되는 기준을 2025년 9월부터 신규 입식 산란계에 적용하려던 계획을 유예하여, 2027년 8월까지 민간 자율적 이행 관리 체계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2027년 9월부터는 미준수 농가에 대한 행정처분을 강화하고, 기존 0.05㎡ 사육환경에서 생산되는 계란은 유통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방침입니다.
#### **계란 가격 안정을 위한 유통 구조 개선**
생산자 및 유통단체를 대상으로 표준거래계약서를 활성화하여 계란 산지가격이 신속히 안정화되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기존의 가격고시 시스템을 폐지하고, 주간 단위로 계란 수급 동향과 가격 전망을 제공하는 “계란 수급 동향 정보지”를 발간하기로 하였습니다.
#### **농가 지원 확대**
중소규모 농가뿐만 아니라 대규모 농장을 위해서도 재정 지원을 확대합니다. 중소 농가에는 기존 한도 51억 원까지 지원하던 것을 유지하고, 대규모 농장의 신축·증축을 위해 지원 한도를 132억 원으로 대폭 늘릴 계획입니다.
#### **규제와 재정지원에 따른 성과**
사육 면적 기준 강화 시행에 따라 농가의 산란계 시설 교체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0.075㎡/마리 기준을 적용 중인 농가는 2019~2023년 사이 91곳에서 2025년 7월까지 164곳으로 늘어났으며, 동물복지형 시설로 전환된 농가는 2023년 224곳에서 2025년까지 262곳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 **안정적 이행을 위한 협력 강조**
농식품부 안용덕 국장은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는 국민과의 약속인 만큼 안전성과 동물복지를 고려하면서도 농가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생산자 단체와 지속 협력하며 계란 수급 및 가격 충격 완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대책은 기존 정책의 연착륙을 돕는 한편, 국내 계란 수급 체계와 동물복지 환경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개선하는 차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원문보기
**교육부, 2026학년도 대학 입시비리 근절 위해 집중신고 기간 운영**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 입학원서 제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입시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입시 관련 비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2023년 9월 8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을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집중신고 기간 동안 공정성을 침해하는 대학 및 입시 관련 비리 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비리 발생에 대한 경계성을 높이기 위해 **입시비리 신고센터**를 통해 관련 사례를 제보받습니다. 입시 비리 행위란 주로 대학 입학 과정에서의 부정행위나 입학 절차의 공정성을 저해하는 행동을 포함합니다.
### **주요 신고 대상**
– 대학 또는 입학처 내 입시 관련 비리 사례
– 특정 대학 또는 학부에 우대조건을 제공하는 부정 행위
– 입학 공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부조리한 사례
### **신고 방법**
입시비리와 관련된 정보가 있거나 의심 사례를 발견한 경우, **입시비리 신고센터에 즉시 제보**할 수 있습니다. 신고 내용은 철저히 비밀이 유지되며, 신고자의 신분 보호를 보장합니다.
### **운영 목적**
교육부는 이번 집중신고 기간을 통해 입시 비리를 조기에 예방하고 신속한 대응 체계를 확립하여, 대학 입시가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 속에서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또한 관련 제보를 바탕으로 필요 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비리 사실이 확인될 경우 관련자에 대한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번 조치는 사회적으로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던 입시비리 근절을 목표로 하며, 공정한 입시 제도를 뒷받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