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질병관리청]코로나19 확산세 8주째 지속,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사람이 많은 행사 참여 자제(8.29.금)
요약보기
한국어 여름철 코로나19 확산세가 8주째 지속되며, 의료기관 입원환자 수가 매주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사람이많이 모이는 행사 참여를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 등 예방수칙 준수가 당부됩니다.
총평 이번 확산세는 방심하기 쉬운 여름철 더욱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고위험군은 마스크 착용과 기본 방역 수칙 이행으로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surge in COVID-19 cases has continued for the eighth week, with a steady increase in hospital admissions.
High-risk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immunocompromised, are advised to avoid crowded events and strictly follow preventative measures, including wearing masks.
Summary As the COVID-19 risk persists, especially during summer, adhering to precautionary measures is crucial for high-risk individuals to minimize health hazards.
日本語 夏季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流行が8週間続き、医療機関の入院患者数が毎週増加しています。
高齢者や免疫力低下者などの高リスク群には、人が多く集まる行事への参加を控え、マスク着用など予防策の徹底が求められています。
総評 夏は油断しがちな季節ですが、高リスク群の方は基本的な感染対策を継続することで健康被害を抑えることが重要です。
中文 夏季新冠疫情已连续8周蔓延,医院住院人数持续增加。
尤其是老年人及免疫力低下者等高危人群,应避免参加人多的场合,并严格遵守佩戴口罩等防疫规定。
总评 在夏季疫情反复的背景下,高危人群需特别注意,做好基础防护措施以降低感染风险。
Italiano L’ondata estiva di COVID-19 è proseguita per otto settimane, con un aumento costante dei ricoveri ospedalieri.
I gruppi a rischio, come gli anziani e le persone immunocompromesse, sono invitati a evitare eventi affollati e a seguire rigorosamente le misure di prevenzione, tra cui l’uso delle mascherine.
Valutazione La situazione attuale richiede attenzione, soprattutto per i soggetti vulnerabili, che possono proteggersi dal contagio rispettando le misure preventive di base.
[고용노동부]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밀폐 공간 작업 중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습니다.
개정안은 사업주에게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장비 지급 의무를 명확히 하고, 작업자 교육을 강화하며 사고 발생 시 즉각 신고하도록 규정합니다.
총평 이 정책은 밀폐 공간 작업의 안전을 강화하여 산업 현장에서의 질식 사고를 예방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announced amendments to the “Rules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to prevent accidents in confined spaces.
The amendments include clarifying employers’ obligation to provide gas detection equipment, enhancing worker education, and requiring immediate reporting in case of accidents.
Summary This policy aim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asphyxiation in workplaces by strengthening safety practices in confined space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密閉空間での作業事故を防ぐため、「産業安全保健基準に関する規則」の改正案を立法予告しました。
改正案では、事業主に酸素及び有害ガス濃度計測装置の配備義務を明確化し、作業者の教育を強化し事故発生時には即座に通報するよう規定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密閉空間での作業安全性を向上させ、業務現場での窒息事故の発生を未然に防ぐ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劳动部宣布了针对《产业安全卫生标准规则》的部分修订方案,以预防密闭空间工作中的事故。
修订内容明确规定了企业主需配备氧气及有害气体浓度检测设备的义务、强化工人教育及要求遇事故时立即报警。
总评 此政策旨在通过加强密闭空间的安全措施,有效预防窒息事故的发生并提升工作场所的安全性。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a Previdenza Sociale ha annunciato modifiche al regolamento “Standard di Sicurezza e Salute Industriale” per prevenire incidenti in spazi chiusi.
Le modifiche includono l’obbligo per i datori di lavoro di fornire apparecchiature per il rilevamento di gas, corsi di formazione per i lavoratori e la segnalazione immediata in caso di incident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migliorerà la sicurezza nei luoghi di lavoro riducendo il rischio di incidenti per asfissia negli spazi chiusi.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민·관·학이 함께하는 의약외품 소통 창구 마련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민간, 정부, 학계를 포함한 소통 창구를 마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의약외품 관련 정보 공유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의약외품의 품질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소통 창구는 소비자와 산업계 모두에게 신뢰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the private sector, government, and academia.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regarding over-the-counter produc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quality and safety standards for such products.
Summary This platform could boost trust among consumers and the industry alike by addressing shared concerns transparently.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は、民間、政府、学界を含む交流窓口を設置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れは医薬外品に関する情報共有と協力を強化するための取り組みの一環です。
これにより、医薬外品の品質と安全性の向上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ような窓口は、消費者と業界の間に信頼を醸成するための重要な役割を果たすでしょう。
中文 韩国食品药品安全部宣布将设立一个包括民间、政府和学术界的交流渠道。
此举旨在加强对药品以外医疗产品的信息共享与合作。
预计将有助于提升相关产品的质量和安全性。
总评 这一沟通机制有望增强消费者与行业之间的透明度与信任。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 annunciato l’istituzione di un canale di comunicazione che coinvolge settore privato, governo e mondo accademico.
Questa iniziativa mira a rafforzare la condivisione delle informazioni e la cooperazione riguardo ai prodotti parafarmaceutici.
Si prevede che contribuirà al miglioramento della qualità e della sicurezza di tali prodotti.
Valutazione Questo canale di dialogo potrebbe aumentare la fiducia sia dei consumatori che delle aziende attraverso un approccio trasparente e collaborativo.
[공정거래위원회]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안 행정예고
요약보기
한국어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다크패턴 규제를 위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안을 마련하고 8월 29일부터 9월 18일까지 행정예고를 실시합니다.
해당 개정안은 지난 2월부터 시행된 개정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6개 유형의 다크패턴 규제를 구체화하고 위반 시 시정조치와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지침은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했던 허위 또는 기만적 온라인 상거래 행태를 바로잡고,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거래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Fair Trade Commission has prepared a revision to the “Consumer Protection Guidelines in E-commerce,” aimed at regulating online dark patterns, and will hold a public notice from August 29 to September 18.
The revised guidelines clarify regulations on six types of dark patterns introduced by the amended E-commerce law, effective since February, allowing corrective measures and fines for violations.
Summary This guideline aims to protect consumers by addressing deceptive online practices, fostering a fair and trustworthy e-commerce environment.
日本語 公正取引委員会は、オンラインにおけるダークパターン規制のための「電子商取引などにおける消費者保護指針」改正案を準備し、8月29日から9月18日まで行政予告を実施します。
この改正案は2月に施行された改正電子商取引法に基づき、6種類のダークパターン規制を明確化し、違反時には是正措置や過料を科す内容を含みます。
総評 この指針は、消費者を欺くオンライン取引行為を是正し、公正で信頼性の高い電子商取引環境を構築することに寄与します。
中文 公平交易委员会已制定修订版《电子商务消费者保护指南》,以规范网络黑暗模式,并将在8月29日至9月18日期间进行行政公告。
此次修订依据2月正式实施的修订版《电子商务法》,明确了6种黑暗模式的规范,并规定对违规者可采取整改措施和罚款。
总评 此指南将有助于消除误导消费者的在线行为,推动公平和可信的电子商务环境建设。
Italiano La Commissione per il Commercio Equo ha preparato una revisione delle “Linee Guida per la Protezione dei Consumatori nel Commercio Elettronico” per regolare le dark pattern online, che sarà annunciata pubblicamente dal 29 agosto al 18 settembre.
Le linee guida riviste chiariscono la regolamentazione su sei tipi di dark pattern, introdotte dalla legge sul commercio elettronico emendata a febbraio, consentendo misure correttive e sanzioni per le violazioni.
Valutazione Questa misura contribuirà a contrastare pratiche ingannevoli online, promuovendo un ambiente di e-commerce più giusto e affidabil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美 관세 정책 대응을 위한 ‘K-ICT 수출 버추얼 상황실’ 구축·가동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K-ICT 수출 버추얼 상황실’을 구축하고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이는 ICT 분야의 대미 수출 기업을 지원하고 관세 관련 문제가 신속히 해결되도록 돕기 위한 조치입니다.
총평 이 상황실은 미국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한 국내 ICT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as established and started operating the ‘K-ICT Export Virtual Task Room’ to respond to U.S. tariff policies.
This initiative aims to support ICT companies exporting to the U.S. by addressing tariff-related issues promptly.
Summary This task room is expected to minimize the impact of U.S. tariff changes on domestic ICT companies and help maintain their export competitiveness.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は、米国の関税政策に対応するために「K-ICT輸出バーチャル状況室」を設立し、運営を開始しました。
これはICT分野で米国に輸出する企業を支援し、関税に関連する問題を迅速に解決するの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対策室は、米国の関税政策変更による国内ICT企業の被害を最小限に抑え、輸出競争力を維持する助けにな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科学技术信息通信部为应对美国关税政策,建立并启动了“K-ICT出口虚拟指挥中心”。
该举措旨在支持对美出口的ICT企业,以快速解决关税相关问题。
总评 此指挥中心预计将帮助国内ICT企业减少因美国关税政策变化带来的影响,并维持出口竞争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delle ICT ha istituito e avviato l’operatività della ‘Sala operativa virtuale K-ICT Export’ per rispondere alle politiche tariffarie degli Stati Uniti.
Questa iniziativa mira a sostenere le aziende ICT che esportano negli Stati Uniti affrontando rapidamente le questioni legate ai dazi doganali.
Valutazione Questa sala operativa contribuirà a ridurre al minimo l’impatto delle nuove politiche tariffarie statunitensi sulle aziende ICT nazionali e a mantenere la loro competitività nelle esportazioni.
[행정안전부]새마을금고 2025년 상반기 영업실적(잠정)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가 2025년 상반기 새마을금고 1,267곳의 영업실적 잠정치를 발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첨부 자료를 통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새마을금고 이용 고객들에게 금융 서비스의 방향성을 미리 파악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leased provisional operating results for 1,267 Saemaul Undong cooperatives for the first half of 2025.
Further details will be provided in a supplementary document.
Summary This release allows customers using Saemaul cooperatives to anticipate trends in financial service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1,267個のセマウル金庫の2025年上半期の業績(暫定値)を発表しました。
詳細は別途の添付資料で公開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発表はセマウル金庫利用者に金融サービスの動向を予測する手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行政安全部发布了1,267家新村储金库2025年上半年营业业绩的暂定数据。
详细内容将通过附加资料公布。
总评 此公告将帮助新村储金库的客户提前洞察金融服务趋势。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pubblicato i risultati operativi provvisori per 1.267 cooperative di credito Saemaul per la prima metà del 2025.
I dettagli saranno forniti in un documento supplementare.
Valutazione Questo annuncio offre agli utenti delle cooperative Saemaul la possibilità di anticipare le tendenze nei servizi finanziari.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산림항공본부와 함께 반부패 청렴·갑질 근절 다짐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산림항공본부와 함께 원주에서 반부패와 청렴, 갑질 근절 결의를 다짐하는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양 기관 직원들은 청렴 실천 의지를 다지며 공동 목표를 위해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관련 교육을 통해 규정을 숙지했습니다.
이번 결의는 공직 기강을 높이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총평 공공기관의 청렴성 강화는 국민 신뢰를 높이고 투명한 행정을 통해 우리의 일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together with the Korea Forest Aviation Headquarters, held an event in Wonju to pledge efforts against corruption, for integrity, and to eliminate workplace abuse.
Staff from both organizations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integrity and reviewed relevant regulatory guidelines through education, demonstrating their collaborative determination.
This effort is part of initiatives to enhance public service ethics and ensure trustworthiness among citizens.
Summary Strengthening integrity in public institutions contributes to building citizen trust and promotes transparency, positively impacting society as a whole.
日本語 韓国山林科学院は山林航空本部と共に、原州での反腐敗・清廉・パワハラ撲滅の誓いを立てる行事を開催しました。
両機関の職員は清廉実践の意志を再確認し、関連規定を教育を通じて再学習しました。
これは公務員社会の倫理向上と市民から信頼される機関を目指す取り組みの一環とされています。
総評 公務員の倫理向上は市民の信頼を深め、透明性を高めることで社会全体にも積極的な影響を及ぼします。
中文 韩国国立山林科学院与山林航空本部在原州共同举办反腐倡廉及杜绝职权滥用的誓师大会。
双方职员通过誓言和教育巩固廉洁意识,并展示了协作决心以提升团队道德规范。
这一举措旨在加强公职道德,树立备受国民信赖的公共机构形象。
总评 强化公职廉洁建设能有效促进透明行政并提升社会公信力,惠及更多公众。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Ricerca Forestale della Corea, insieme alla sede della Forestale Aerea, ha organizzato un evento a Wonju per rinnovare il loro impegno contro la corruzione, a favore dell’integrità e per eliminare gli abusi sul lavoro.
I partecipanti hanno riaffermato la loro volontà di praticare l’etica e hanno rivisto le normative pertinenti attraverso sessioni formative, dimostrando intesa e cooper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rafforzare l’etica nel settore pubblico e a guadagnare la fiducia dei cittadini.
Valutazione Il rafforzamento dell’integrità negli enti pubblici promuove la trasparenza e crea benefici concreti per la società, aumentando la fiducia pubblica.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문화와 인공지능 기술 융합한 창의적 콘텐츠 찾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문화와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한 창의적 콘텐츠를 발굴하는 방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보도자료는 새로운 기술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를 지원하고 창작 콘텐츠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한국문화와 기술의 융합으로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콘텐츠를 창출, 산업 발전과 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A plan to discover creative content combining Korean culture and AI technology has been announced.
This initiative aim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and boost the creative content industry through innovative technologies.
Summary By merging technology with tradition, this policy is expected to foster industry growth and the broader dissemination of Korean culture.
日本語 韓国文化とAI技術を融合させた創造的なコンテンツを発掘する方策が発表されました。
この資料は、新しい技術を通じて韓国文化の世界化を支援し、クリエイティブコンテンツ産業を活性化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伝統と現代技術を結合して新しいコンテンツを創造し、産業の成長と文化の普及に貢献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政府宣布了一项将韩国文化与人工智能技术相结合的创意内容发掘计划。
此计划旨在通过创新技术支持韩国文化的全球化并促进创意内容产业的发展。
总评 该政策有望通过传统与技术的结合,推动产业升级并扩大韩国文化的国际影响力。
Italiano È stato annunciato un piano per individuare contenuti creativi che combinano la cultura coreana con la tecnologia dell’intelligenza artificiale.
Questo progetto mira a sostenere la globalizzazione della cultura coreana e a promuovere l’industria dei contenuti creativi attraverso tecnologie innovativ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romette di creare nuovi contenuti che uniscano tradizione e tecnologia, contribuendo alla crescita industriale e alla diffusione internazionale della cultura coreana.
[국가유산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제23회 전통조경학과 작품전시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9월 2일부터 7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에서 ‘흔적다음, 우리다움’을 주제로 제23회 전통조경학과 작품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약 30여 점의 학생 작품을 통해 전통조경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문화유산·세계유산·자연유산의 보존과 활용 방안을 제시합니다.
전시 영상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누리집과 인스타그램을 통해서도 관람 가능합니다.
총평 이번 전시는 전통과 자연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며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의미 있는 노력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Englis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will host the 23rd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Exhibition under the theme ‘Traces Next, Our Identity’ from September 2 to 7 at the National Sejong Arboretum.
The exhibition will showcase about 30 student works explor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while presenting ideas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world, and natural heritage.
Exhibition videos will also be made available online via the university’s website and Instagram.
Summary This exhibition modernizes traditional and natural heritage while addressing climate challenges, making it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through various platforms.
日本語 国家的遺産庁の韓国伝統文化大学は、9月2日から7日まで国立世宗樹木園にて「痕跡次、我々らしさ」をテーマに第23回伝統造園学科作品展示会を開催します。
展示会では約30点の学生作品を通じて伝統造園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探求し、文化遺産・世界遺産・自然遺産の保存と活用方法が提案されます。
展示映像は、大学の公式ウェブサイトとInstagramでも観覧可能です。
総評 この展示会は、伝統と自然を現代的に再解釈し、気候危機に応じる意義深い取り組みであり、多様な方法で一般の人々に提供されています。
中文 国家遗产厅韩国传统文化大学将于9月2日至7日在国立世宗树木园举办主题为“痕迹之后,我们的特色”的第23届传统园林学系作品展览会。
此次展览将通过约30件学生作品探讨传统园林的身份,展示文化遗产、世界遗产和自然遗产的保护与利用方案。
展览视频也将在大学官网与Instagram上线供公众观赏。
总评 该展览将传统与自然现代化并应对气候挑战,通过多样化平台使公众更容易接近相关内容。
Italiano L’Agenzia del Patrimonio Culturale e l’Università Nazionale Coreana della Cultura Tradizionale ospiterà la 23ª Mostra di Architettura del Paesaggio Tradizionale dal 2 al 7 settembre presso l’Arboreto Nazionale di Sejong, con il tema “Tracce Future, la Nostra Identità”.
La mostra esporrà circa 30 opere degli studenti, esplorando l’identità del paesaggio tradizionale e proponendo idee per la conservazione e l’utilizzo del patrimonio culturale, mondiale e naturale.
I video dell’esposizione saranno disponibili anche sul sito ufficiale dell’università e su Instagram.
Valutazione La mostra modernizza il patrimonio tradizionale e naturale affrontando le sfide climatiche, rendendola accessibile a un vasto pubblico attraverso più piattaforme.
[국가유산청](국영문 동시배포) ‘K-헤리티지’ 세계에 알리는 디지털 국가유산 홍보대사 출범
요약보기
한국어 국가유산청은 8월 30일 오전 9시 30분 메타버스 플랫폼 ZEP에서 국내외 청소년과 대학생 180명을 2025년 디지털 국가유산 홍보대사로 선발하여 발대식을 개최합니다.
홍보대사들은 한 달간 온라인에서 한국 유산의 올바른 가치를 알리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왜곡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한 활동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활동 종료 후에는 우수 참가자들에 대한 임명장과 함께 최우수 홍보대사에 대한 시상도 계획되어 있습니다.
총평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한국 유산의 세계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동시에 문화 교류의 주역으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English The Korea Heritage Service will hold an inauguration ceremony for 180 youth and university students as the 2025 Digital K-Heritage Ambassadors on August 30 at 9:30 AM via the metaverse platform ZEP.
The ambassadors’ tasks include creating promotional content on SNS to accurately represent Korean heritage and correcting misinformation, with a commendation planned for outstanding participants at the end of the year.
Summary This initiative fosters global understanding of Korean heritage while empowering youth to take active roles in cultural preservation and exchange.
日本語 国家遺産庁は8月30日午前9時30分にメタバースプラットフォームZEPで、韓国および海外の青少年と大学生180人を「2025年デジタル国家遺産広報大使」に任命する発足式を開催します。
広報大使は1か月間、SNSを中心に韓国遺産の正しい価値を伝えるコンテンツ制作や誤情報の是正活動を行う予定です。
総評 このプログラムは、若者が韓国遺産の正しい認識を世界に広め、文化交流の推進に貢献する機会を提供します。
中文 国家遗产厅将于8月30日上午9:30,通过元宇宙平台ZEP,为来自国内外的180名青年学生举行2025年数字国家遗产宣传大使启动仪式。
这些大使将在一个月内通过社交网络制作宣传韩国遗产价值的内容,并纠正错误信息,其中特别优秀者还将在年底获得表彰。
总评 该项目不仅助力韩国遗产在全球传播,更为年轻人参与文化保护和跨国交流奠定基础。
Italiano Il Servizio del Patrimonio Nazionale terrà il 30 agosto alle 9:30 una cerimonia inaugurale sulla piattaforma metaverso ZEP per nominare 180 giovani e studenti universitari come Ambasciatori Digitali del Patrimonio Nazionale 2025.
Gli ambasciatori realizzeranno contenuti promozionali per il patrimonio coreano sui social media e si impegneranno a correggere informazioni errate, con premiazioni previste per i partecipanti eccellenti.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promuove una comprensione globale del patrimonio coreano e incoraggia i giovani a svolgere un ruolo attivo nella conservazione e nello scambio culturale.
[식품의약품안전처]’24년 식중독 통계발표, 주요 원인균은 살모넬라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발표한 2024년 식중독 통계에 따르면 주요 원인균은 살모넬라였습니다.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발생 건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평 여름철 음식물 보관과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면 살모넬라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s 2024 food poisoning statistics reveal that Salmonella was the primary cause.
Cas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summer due to high temperatures.
Summary Proper food storage and hygiene practices, especially during summer, can effectively prevent Salmonella infections.
日本語 政府が発表した2024年の食中毒統計によると、主要な原因菌はサルモネラ菌でした。
特に夏季の高温環境下で発生件数が急増した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総評 夏の時期には食品の保管や衛生管理を徹底することで、サルモネラ感染を効果的に防ぐことができます。
中文 政府发布的2024年食物中毒统计数据显示,主要致病菌是沙门氏菌。
尤其在夏季高温环境下,病例数量显著增加。
总评 在夏季,通过妥善储存食物和加强卫生管理,可以有效预防沙门氏菌感染。
Italiano Le statistiche del governo sul 2024 relative alle intossicazioni alimentari indicano che il principale agente responsabile è la Salmonella.
I casi sono aumentati significativamente durante il periodo estivo a causa delle alte temperature.
Valutazione Una corretta conservazione dei cibi e l’igiene alimentare, specialmente in estate, possono prevenire efficacemente le infezioni di Salmonella.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인체세포등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업허가 갱신에 관한 규정 개정안 행정예고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인체세포등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업허가 갱신과 관련된 규정 개정안을 행정예고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허가 갱신 절차를 명확히 하고 업계의 행정 부담을 줄이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첨단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활성화를 지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새로운 개정안은 바이오기업들이 허가와 관련된 절차를 더 명확히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pre-announced a revision to regulations regarding the renewal of licenses for human cell-based and advanced biopharmaceutical products.
This revision aims to clarify the renewal process and reduce administrative burdens for the industry.
It is expecte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the advanced biopharmaceutical market.
Summary The amendment seeks to help biotech companies better navigate licensing procedures, ultimately boosting market efficiency.
日本語 政府は人の細胞など及び先端バイオ医薬品の業務許可更新に関する規定改正案を行政予告しました。
この改正案は更新手続きを明確化し、業界の行政負担を軽減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これにより先端バイオ医薬品市場の活性化が期待されます。
総評 改正案はバイオ企業が許可手続きを効率的に進めるための具体的な支援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已对人体细胞及先进生物制药产品的许可证更新条例修订案进行行政预告。
该修订案旨在明确更新流程并减轻行业的行政负担。
预计这将促进先进生物制药市场的活跃发展。
总评 此修订案将使生物技术公司更有效地应对许可证问题,有助于提高市场活力。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preventivamente una modifica alle norme sul rinnovo delle licenze per i prodotti biotecnologici avanzati e basati su cellule umane.
La revisione mira a chiarire le procedure di rinnovo e a ridurre gli oneri amministrativi per il settore.
È previsto che ciò stimoli lo sviluppo del mercato dei biopharmaceutici avanzati.
Valutazione Questa revisione aiuterà le aziende biotecnologiche a gestire più facilmente gli aspetti normativi, migliorando l’efficienza complessiva del settore.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품안전나라 ‘매거진 F’를 소개합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식품안전나라가 새로운 월간 웹 매거진 ‘매거진 F’를 발간했습니다.
이 매거진은 식품 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 교육과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번 매거진은 식품 안전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에게 실용적인 정보와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Food Safety Korea has launched a new monthly web magazine called “Magazine F.”
The magazine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food safety and strengthen consumer education and engagement.
Summary This magazine is expected to offer practical information and benefits to consumers who care about food safety.
日本語 食品安全韓国が月刊ウェブマガジン「Magazine F」を発刊しました。
このマガジンは食品安全に関する情報提供や、消費者教育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強化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食品安全に興味がある消費者にとって、有益な情報源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食品安全韩国推出了新的月刊网络杂志“Magazine F”。
该杂志旨在提供食品安全信息,并加强消费者教育与沟通。
总评 对关注食品安全的消费者来说,这是一个重要的信息资源。
Italiano Food Safety Korea ha lanciato un nuovo magazine web mensile chiamato “Magazine F”.
Il magazine intende fornire informazioni sulla sicurezza alimentare e rafforzare l’educazione e il dialogo con i consumatori.
Valutazione Questo magazine può diventare una risorsa preziosa per i consumatori interessati alla sicurezza alimentare.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프로야구단과 마약오남용 예방캠페인 마약 문제로 힘들 땐 1342를 기억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프로야구단과 협력하여 마약 오남용 예방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마약 문제 상담 및 지원 서비스를 위해 ‘1342’ 번호를 홍보하며 국민 인식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 캠페인은 마약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지원을 제공하며, 국민 건강과 안전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as partnered with professional baseball teams to launch a drug misuse prevention campaign.
The campaign promotes the “1342” hotline for counseling and support, aiming to raise public awareness about drug issu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help individuals struggling with drug problems while promoting public health and safety.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はプロ野球チームと協力し、薬物乱用防止キャンペーンを開始しました。
このキャンペーンでは、薬物問題の相談や支援サービスのために「1342」番号を広報し、国民の意識向上を目指し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薬物問題に悩む人々を支え、国民の健康と安全を守る助けになるでしょう。
中文 食品药品安全处与职业棒球队合作启动了防止药物滥用的宣传活动。
该活动通过宣传“1342”热线,提供药物问题的咨询与支持服务,旨在提高公众对药物问题的关注。
总评 此项活动有望帮助面临药物困扰的人,同时促进公众健康与社会安全。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 collaborato con squadre di baseball professionistiche per avviare una campagna contro l’abuso di droghe.
La campagna promuove il numero “1342” per consulenza e supporto, puntando a sensibilizzare il pubblico sui problemi legati alle droghe.
Valutazione Questa campagna può offrire sostegno pratico e contribuire alla salute e sicurezza della società.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품 표시 더 잘 보이게, 푸드QR 활성화
요약보기
한국어 소비자들이 식품 정보를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부가 푸드QR 활성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푸드QR은 스마트폰으로 포장된 식품의 QR코드를 스캔해 영양 성분, 원산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정책은 식품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식품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고 건강한 소비를 실천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a policy to promote Food QR codes, allowing consumers to access food information more easily.
Food QRs enable users to scan a QR code on packaged foods with their smartphones to get details on nutritional content, origin, and more.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transparency in food information and empower consumer choices.
Summary This policy could serve as a practical tool for making informed and healthier food choices conveniently.
日本語 政府は、消費者が食品情報をより簡単に確認できるよう、フードQR普及政策を発表しました。
フードQRは、スマートフォンで食品パッケージのQRコードをスキャンし、栄養成分や原産地などの情報を確認できるサービスです。
この政策は、食品に関する透明性の向上と消費者の選択権の強化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食品情報を素早く確認し、健康的な消費を促進する上で有用なツールに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宣布实施食品QR码推广政策,帮助消费者更方便地获取食品信息。
食品QR码服务允许用户用智能手机扫描包装食品的二维码,以获取营养成分、原产地等细节信息。
该政策旨在提高食品信息透明度,增强消费者的选择权。
总评 此政策有望成为消费者方便获取食品信息并推动健康消费的重要工具。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a politica per promuovere l’uso dei QR code alimentari, facilitando l’accesso alle informazioni sui prodotti alimentari per i consumatori.
I Food QR permettono di scansionare il codice QR sugli alimenti confezionati tramite smartphone per ottenere dettagli su nutrienti, provenienza e altro.
Questo piano mira a migliorare la trasparenza delle informazioni sugli alimenti e a rafforzare le scelte dei consumator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aiutare i consumatori a compiere scelte alimentari più consapevoli e salutari in modo semplice e rapido.
[산업통상자원부]외국인투자 유치 역량 강화를 위한 외투 전문 교육과정 개설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외투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했습니다.
이번 교육은 5년간 중단된 대면 교육을 재개하며, 외투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교육은 전국 지자체 및 경자청 담당자들이 참석하고, 온라인 교육도 병행 운영될 예정입니다.
총평 외국인투자 유치 역량 강화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as launched a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for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s.
This training resumes in-person education after a five-year hiatus, focusing on equipping personnel with expertise to adapt to changes in the foreign investment environment.
The program involves regional officials and will also provide online training options.
Summary Strengthening capabilities in foreign investment attraction is expected to enhanc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 competitiveness.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外国投資誘致のための専門教育課程を開設しました。
この教育は5年間中断されていた対面教育を再開し、外国投資環境の変化に対応できる専門人材の養成を目的としています。
全国の自治体や経済自由特区の担当者が参加し、オンライン教育も併せて実施される予定です。
総評 外国投資誘致における担当者の能力強化は、地域経済の活性化や国際競争力の向上に大いに寄与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启动了吸引外资的专业培训课程。
此次培训在中断五年后重新采取线下面授模式,重点培养适应外资环境变化的专业人才。
培训吸引了全国地方政府和经济自由区的相关负责人,并计划同步开展在线教育。
总评 外资吸引能力的提升有望为地方经济发展和国际竞争力增强带来实质性助益。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avviato un programma di formazione specializzata per l’attrazione di investimenti stranieri.
Questa formazione riprende l’istruzione in presenza dopo cinque anni, con l’obiettivo di formare personale in grado di adattarsi ai cambiamenti del settore degli investimenti esteri.
I partecipanti includono funzionari regionali e il programma prevede anche un’opzione di formazione online.
Valutazione Il rafforzamento delle competenze nell’attrazione di investimenti stranieri potrebbe contribuire significativamente allo sviluppo economico regionale e alla competitività globale.
[산업통상자원부]한-유럽연합(EU) 디지털통상협정(DTA) 협정문 공개 및 국민 의견 접수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한-EU 디지털통상협정(DTA) 협정문의 초안을 공개하며 국민 의견을 접수합니다.
이 협정은 양국의 디지털 교역 활성화, 데이터 비즈니스 원활화를 목표로 하며, 온라인 소비자 보호와 스팸 메시지 규제 등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 소비자와 기업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절차는 국민 의견을 반영해 협정의 신뢰성을 높이고 디지털 경제 환경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as released the draft of the Korea-EU Digital Trade Agreement (DTA) and is collecting public opinions.
This agreement aims to boost digital trade, facilitate data-driven business, and strengthen online consumer protection and spam message regulation.
It is expected to create a safer environment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within the digital economy.
Summary This initiative seeks to enhanc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improving the digital economy for both businesses and individuals.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韓国-EUデジタル通商協定(DTA)草案を公開し、国民の意見を募っています。
この協定はデジタル貿易の活性化、データビジネスの促進、オンライン消費者保護やスパムメッセージ規制を目指しています。
それにより、デジタル経済の安全な環境が整う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国民の声を反映し、信頼性の高い協定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デジタル経済の安心感が向上するでしょう。
中文 产业通商资源部发布了韩-EU数字贸易协定(DTA)的草案,并收集公众意见。
该协定旨在促进数字贸易、优化数据业务,同时加强在线消费者保护和垃圾信息监管。
预计将为消费者和企业在数字经济中的安全参与创造更优环境。
总评 此次公开征求意见有助于提升协定的可信度,进一步优化数字经济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pubblicato la bozza dell’Accordo di Commercio Digitale tra Corea ed EU (DTA), raccogliendo opinioni pubbliche.
L’accordo mira a stimolare il commercio digitale, agevolare il business dei dati e migliorare la protezione dei consumatori e la regolamentazione degli spam online.
Si prevede che garantisca un ambiente digitale più sicuro per consumatori e aziende.
Valutazione Questo processo rafforza la trasparenza e potrebbe contribuire a migliorare l’economia digitale a beneficio di tutti.
[산업통상자원부]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가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해 접속지연 437MW 해소를 추진합니다.
또한,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를 통해 전력망 안정성을 높이고, 관련 정보 공개 및 계통운영 역량을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이 모든 과정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안정성 확보를 균형 있게 달성하려는 목적을 갖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의 전력망 진입을 빨리 해결하는 동시에 안정성을 우선시하여 국민 생활에 긍정적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s addressing a 437MW backlog in renewable energy grid connections.
It also aims to enhance inverter performance standards to improve grid stability, while increasing transparency and operational capacity in the energy system.
These efforts aim to balance renewable energy expansion with reliable power grid management.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facilitate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while ensuring stable electricity supply, benefiting both the energy industry and citizens.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普及を進めるために437MWの接続遅延問題を解消する計画です。
またインバーター性能基準を強化し、電力網の安定性向上と情報公開の拡大、系統運用能力の高度化に注力します。
これらの施策は再生可能エネルギー拡充と電力網の安定性の両立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再生エネルギー事業者の問題解決を迅速化しつつ、国民に安定した電力供給を実現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工业通商资源部计划解决437MW的可再生能源接入延迟问题。
同时,通过强化逆变器性能标准,提高电网稳定性,并扩大信息公开以及提升系统运行能力。
这些措施旨在实现可再生能源扩展与电网稳定管理的平衡。
总评 此政策有望加速可再生能源接入,同时确保供电稳定,为企业和居民带来双重利益。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sta affrontando il problema di 437MW di ritardi nella connessione alle reti per le energie rinnovabili.
Allo stesso tempo, intende migliorare gli standard di prestazione degli inverter per garantire la stabilità della rete e rafforzare la trasparenza e la capacità operativa del sistema energetico.
Questi sforzi mirano a espandere le energie rinnovabili assicurando al contempo una gestione affidabile della rete elettric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favorirà l’integrazione dell’energia rinnovabile e garantirà stabilità, giovando sia all’industria energetica che alla società nel suo complesso.
[행정안전부]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 발생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국립기상과학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합니다.
이 협약은 재난 대응 기술 개발과 기후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및 대책 마련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기후위기로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실질적인 대책 마련과 협력이 국민 안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s signing an agreement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to address disaster risks heightened by the climate crisis.
This partnership aims to develop disaster response technologies and utilize climate data for research and preventive measures.
Summary Collaboration like this can enhance public safety, offering practical solutions to mitigate risks caused by the increasing frequency of climate-induced disasters.
日本語 行政安全部国立災害安全研究院が気候危機により増加する災害発生リスクに対応するため、国立気象科学院と業務協約を締結します。
この協約は災害対応技術の開発や気候データを活用した研究と対策の策定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気候危機による災害リスクを効果的に軽減するために、安全を強化する具体的な施策が期待されます。
中文 行政安全部国家灾难安全研究院将与国立气象科学院签署合作协议,以应对因气候危机引发的灾难风险。
该合作旨在开发应对灾难的技术,并利用气候数据进行研究与预防性措施制定。
总评 通过数据驱动的协作,此举有望改善灾难应对能力,更好地保障公众安全。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per la Gestione dei Disastri del Ministero degli Interni e della Sicurezza sta per firmare un accordo con l’Istituto Nazionale di Scienze Meteorologiche per affrontare i rischi di disastri aggravati dalla crisi climatica.
La partnership mira a sviluppare tecnologie per la gestione delle emergenze e a utilizzare i dati climatici per la ricerca e le misure preventiv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migliorare la sicurezza pubblica grazie a soluzioni efficaci per affrontare i rischi legati ai disastri climatici.
[질병관리청]국립보건연구원, 여성건강 연구데이터 추가 공개(8.29.금)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 간호사건강연구 데이터와 비정상체중 여성 건강 조사 데이터를 추가 공개했습니다.
이는 가임기 여성의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자료로, 연구자들이 활용 가능하도록 분양됩니다.
미래 여성건강 연구 활성화와 더불어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정책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총평 여성건강 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공개하여, 연구 기반을 확장하고 관련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has released additional datasets from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and the Abnormal Weight Women’s Health Survey.
The data aims to facilitate research on improving the health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and preventing diseases, making it accessible to researchers for further study.
It is anticipated to promote women’s health studies and contribute to effective health policy development.
Summary By systematically sharing health data, this initiative supports deeper research and more impactful healthcare policies for women.
日本語 国立保健研究院は韓国看護師健康研究データと異常体重女性健康調査データを追加公開しました。
これらのデータは、生殖可能年齢の女性の健康向上と病気予防研究を支援する目的で、研究者が利用可能な形式で提供されています。
女性の健康研究の発展と、ライフサイクルに基づいた健康政策立案への貢献が期待されます。
総評 健康データの体系的な公開は、女性の健康に関する研究の深化と、政策効果の向上に寄与する重要な一歩です。
中文 韩国国立保健研究院公开了韩国护士健康研究和异常体重女性健康调查的相关数据。
这些数据旨在支持研究者以改善适龄女性的健康状况并预防疾病,同时为相关疾病研究提供基础。
此举不仅促进了女性健康研究,还将为制定生命周期健康管理政策铺平道路。
总评 数据透明度的提高有助于深化研究并提升女性健康政策的科学依据与实用性。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Salute Pubblica della Corea ha reso disponibili i dati del Korea Nurses’ Health Study e dell’indagine sulla salute delle donne con peso anomalo.
Questi dati sono destinati a sostenere la ricerca sul miglioramento della salute delle donne in età fertile e sul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accessibili per un’ampia base di studio.
Si prevede che stimoleranno nuove ricerche e contribuiranno a politiche sanitarie più efficaci per la salute femminile.
Valutazione L’apertura dei dati rafforza le basi per ricerche di qualità e contribuisce alla creazione di politiche più mirate ed inclusive per la salute delle donne.
[기획재정부]’25.7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7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라는 안내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의 연락처가 포함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자료는 국내 산업 전반의 동향을 이해하고 향후 경제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industrial activity trend and evaluation report for July 2025 has been released.
The notice includes a reference to the attached file for more details and provid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Economic Analysis Division under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Summary This data serves as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overall industry trends and planning future economic policies.
日本語 2025年7月の産業活動動向および評価結果が発表されました。
添付ファイルを参照するよう案内されており、経済政策局経済分析課の連絡先が記載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資料は、国内産業の動向を把握し、今後の経済政策を策定する参考として有用です。
中文 2025年7月的产业活动动向及评估结果已发布。
公告中提到需参考附件内容,并提供了经济政策局经济分析科的联系方式。
总评 此数据可作为了解国内产业趋势及制定未来经济政策的重要参考资料。
Italiano È stato pubblicato il rapporto sull’andamento e la valutazione delle attività industriali di luglio 2025.
La comunicazione menziona di fare riferimento al file allegato per ulteriori dettagli e fornisce il contatto della Divisione di Analisi Economica presso il Ministe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Valutazione Questo rapporto è una risorsa fondamentale per comprendere le tendenze industriali e pianificare le politiche economiche future.
[국민권익위원회]’반부패 법령’ 바로 알아야, 공직사회 더 청렴해진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민권익위는 오늘 신규 지정된 25개 공직유관단체를 대상으로 반부패 법령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설명회에서는 청탁금지법, 이해충돌방지법 등 주요 반부패 법령과 위반 사례를 안내하며, 청렴 기반 마련을 위한 컨설팅 및 교육 의무에 대한 설명도 진행했습니다.
총평 이번 설명회는 새로 지정된 단체들이 반부패 법령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held a briefing today for 25 newly designated public institutions.
The session covered key anti-corruption laws like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Conflict of Interest Prevention Act, providing case studies and consulting on establishing anti-corruption measures.
Summary This briefing helps new institutions build a foundation for integrity and better compliance with anti-corruption regulations.
日本語 国民権益委員会は本日、新たに指定された25の公職関連団体を対象に反腐敗法令説明会を開催しました。
説明会では不正請託禁止法や利益相反防止法などの主要な反腐敗法令と違反事例について解説し、清廉性基盤の整備に向けたコンサルティングや教育についても説明が行われました。
総評 この説明会は新しく指定された団体が反腐敗法令を理解し、実践するサポート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国民权益委员会今天为25个新指定的公共机构召开了反腐败法令说明会。
会议介绍了《禁止不正当请托及财物收受相关法律》和《公职人员利益冲突防止法》等主要反腐法规,并提供了案例讲解和机构反腐规定的咨询服务。
总评 此说明会帮助新机构快速建立清廉基础并更好地遵守反腐法规要求。
Italiano Oggi la Commissione per i Diritti e gli Interessi dei Cittadini ha organizzato un seminario su nuove normative anti-corruzione per 25 enti pubblici recentemente designati.
Durante l’incontro sono state illustrate leggi chiave come la Legge sul Divieto di Richieste Improprie e la Legge sulla Prevenzione dei Conflitti di Interesse, fornendo anche consulenze su regolamenti interni.
Valutazione Questo seminario aiuterà questi enti a creare una solida base di trasparenza e rispettare meglio le normative anti-corruzione.
[문화체육관광부]아시아·태평양 20개국 모여 아동·청소년 출판 미래 모색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아시아·태평양 20개국이 참여하는 국제 아동·청소년 도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콘퍼런스는 아동·청소년 출판의 미래를 논의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각국의 출판 산업 협력과 상호 이해 증진이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아동·청소년 독서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출판 교류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hosting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ildren’s and youth books with 20 Asia-Pacific countries participating.
This conference aims to discuss the future of children’s and youth publishing and explore avenues for development.
It is expected to enhance collabor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within the publishing industry across these nations.
Summary This event is likely to foster a vibrant reading culture among children and youth, while opening new avenues for international publishing exchange.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アジア太平洋地域の20か国が参加する国際児童・青少年図書会議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会議は、児童・青少年向け出版の未来を議論し、発展の方向性を模索する目的で開かれます。
各国の出版業界の協力と相互理解が促進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イベントは、児童・青少年の読書文化を活性化し、国際的な出版交流の新たな機会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文化体育观光部宣布将举办有亚太地区20个国家参与的国际儿童与青少年图书会议。
此次会议旨在讨论儿童与青少年出版的未来,并探讨发展方向。
会议有望促进各国出版行业的合作与相互理解。
总评 这次活动将推动儿童与青少年的阅读文化,同时为国际出版界的交流开辟新途径。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nunciato l’organizzazione di una conferenza internazionale sui libri per bambini e ragazzi, con la partecipazione di 20 paesi dell’area Asia-Pacifico.
L’obiettivo della conferenza è discutere il futuro dell’editoria per bambini e ragazzi ed esplorare nuove vie di sviluppo.
Si prevede che l’evento favorisca la collaborazione e la comprensione reciproca tra le industrie editoriali dei vari paesi.
Valutazione Questo evento contribuirà a promuovere la cultura della lettura tra bambini e giovani, offrendo al contempo nuove opportunità di scambio editoriale internazionale.
[문화체육관광부]’2022~2024 여론집중도 조사’ 주요 결과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가 2022~2024년 여론집중도 조사 주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본 조사는 특정 매체에 여론이 편중되는 정도를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디어 다양성과 공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이 기대됩니다.
총평 미디어 소비가 특정 매체에 과도하게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main results of the 2022–2024 media concentration survey.
This survey aims to analyze the degree of public opinion concentration on specific media outlets to seek ways for policy improvement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guide efforts to enhance media diversity and fairness.
Summary The survey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preventing excessive media dependence and promoting balanced media consumption.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2022年から2024年にかけての世論集中度調査の主要結果を発表しました。
この調査は特定のメディアに世論が過度に集中する程度を分析し、政策改善の方向性を模索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これにより、メディアの多様性や公平性を強化するための政策的方向性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メディア偏重を防ぎ、多様な情報利用を促進する政策の基盤として意味があります。
中文 韩国文化体育观光部发布了2022-2024年舆论集中度调查的主要结果。
该调查旨在分析舆论对特定媒体的过度依赖程度,以探索政策改进方向。
预计调查结果将为增强媒体多样性与公平性提供政策指导。
总评 这是防止舆论过度集中并促进均衡信息消费的重要基础数据。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nunciato i principali risultati dell’indagine sulla concentrazione dell’opinione pubblica per il periodo 2022-2024.
L’indagine mira a analizzare il grado di concentrazione dei media per cercare possibili miglioramenti politici.
Ci si attende che i risultati contribuiscano a promuovere una maggiore diversità e correttezza nei media.
Valutazione Questa ricerca offrirà dati utili per evitare la sovradipendenza da un unico mezzo di comunicazione e favorire una fruizione più equilibrata delle informazioni.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와 인공지능 기술 융합한 창의적 콘텐츠 찾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인공지능 기술과 한국문화의 융합을 위한 영상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창의적인 콘텐츠를 발굴해 한국문화를 알리고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한국 전통과 첨단 기술을 결합할 기회로,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을 제공하면서 문화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a video content competition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th Korean culture.
The contest aims to discover creative content, promote Korean culture, and encourage the use of AI technologies.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creators with an opportunity to blend tradition and innovation, potentially expanding cultural industries and creative possibilities.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韓国文化と人工知能技術を融合した映像コンテンツ公募展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公募展は、創造的なコンテンツを発掘し、韓国文化を広めると同時に人工知能技術の活用を促進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韓国の伝統と最先端技術が融合することで、創作活動の新しい可能性と文化産業の活性化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文化体育观光部宣布举办一场结合人工智能技术与韩国文化的视频内容竞赛。
该竞赛旨在挖掘创新内容,传播韩国文化,同时促进人工智能技术的应用。
总评 通过结合传统文化与高科技,此竞赛有望为创意产业注入新活力,并开拓更多发展空间。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nunciato un concorso di video contenuti che combina la tecnologia dell’intelligenza artificiale con la cultura coreana.
L’obiettivo del concorso è scoprire contenuti creativi, promuovere la cultura coreana e incentivare l’uso della tecnologia A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fornire una piattaforma innovativa per i creatori, aprendo nuove possibilità nell’industria culturale e nella creatività.
[통계청]2025년 7월 산업활동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전산업 생산은 서비스업과 광공업의 증가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습니다.
소매판매는 통신기기, 가전제품 판매 증가로 2.5% 증가했으며, 설비투자는 7.9% 늘었지만 건설투자는 1.0% 감소했습니다.
경기 지표 중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동행지수는 소폭 하락한 반면, 미래를 보여주는 선행지수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총평 생산과 소비, 투자가 긍정적으로 움직이며 경기 회복 신호를 나타냈지만 건설업의 약세는 주의해야 할 점입니다.
English Total industrial production increased by 0.3%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with growth in services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Retail sales rose by 2.5%, driven by higher demand for telecommunications and home appliances, while facility investment grew by 7.9%, although construction investment fell by 1.0%.
The coincident index, reflecting current economic conditions, slightly declined, whereas the leading index, indicating future trends, showed an upward movement.
Summary Positive trends in production, consumption, and investment suggest economic recovery, though weakness in the construction sector remains a concern.
日本語 全産業生産はサービス業と鉱工業の増加により、前月比0.3%上昇しました。
小売販売は通信機器や家電製品での売上増加により2.5%増加し、設備投資は7.9%拡大しましたが、建設投資は1.0%減少しました。
現在の経済状況を反映する一致指数はわずかに低下した一方、将来を示す先行指数は上昇傾向を示しました。
総評 生産と消費、投資のプラス動きは景気回復の兆候ですが、建設業の低迷には要注意です。
中文 全产业生产因服务业和矿工业的增长环比上涨0.3%。
零售销售受通信设备与家电需求提升的推动增长2.5%,设备投资增加7.9%,但建筑投资减少1.0%。
反映当前经济状况的同步指数略微下降,而预测未来趋势的先行指数则显示出上升势头。
总评 生产、消费和投资的积极表现表明经济复苏迹象,不过建筑业的疲软需要关注。
Italiano La produzione industriale totale è aumentata dello 0,3% rispetto al mese precedente, grazie alla crescita nei servizi e nell’industria manifatturiera.
Le vendite al dettaglio sono cresciute del 2,5%, spinte dalla maggiore domanda di dispositivi di telecomunicazione ed elettrodomestici, mentre gli investimenti in attrezzature sono aumentati del 7,9%, ma gli investimenti nelle costruzioni sono diminuiti dell’1,0%.
L’indice coincidente, che riflette le condizioni economiche attuali, è leggermente diminuito, mentre l’indice anticipatore, che segnala tendenze future, ha mostrato una crescita.
Valutazione I segnali positivi di produzione, consumo e investimenti suggeriscono una ripresa economica, ma la debolezza del settore delle costruzioni merita attenzione.
[통계청]제14회 국가통계발전포럼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통계청은 8월 28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센서스 100년, 앞으로의 국가통계 100년’을 주제로 제14회 국가통계발전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국가통계의 지난 100년을 돌아보고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총평 이번 포럼은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과 통계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Statistics Korea held the 14th National Statistics Development Forum on August 28 at the Westin Chosun Hotel in Seoul, under the theme “100 Years of Census, 100 Years of Future National Statistics.”
The forum looked back on a century of national statistics and discussed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Summary This forum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data-driven policymaking, aim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by envisioning the future of statistics.
日本語 統計庁は8月28日、ソウルのウェスティン朝鮮ホテルで「センサス100年、これからの国家統計100年」をテーマに第14回国家統計発展フォーラムを開催しました。
このフォーラムでは、過去100年間の国家統計を振り返り、未来の発展方向について議論が行われました。
総評 このフォーラムは、データを活用した政策立案の重要性を再認識し、国民の生活向上につながる方向性を示す場となるでしょう。
中文 统计厅于8月28日在首尔威斯汀朝鲜酒店举办了以“人口普查百年,未来国民统计百年”为主题的第14届国家统计发展论坛。
此次论坛回顾了国家统计的百年历程,并讨论了未来的发展方向。
总评 此次论坛重新强调了数据驱动型政策的重要性,有望为改善国民生活质量提供发展指引。
Italiano Il 28 agosto, l’Ufficio Statistico ha tenuto il 14° Forum sullo Sviluppo delle Statistiche Nazionali presso il Westin Chosun Hotel di Seul, con il tema “100 Anni di Censimento, 100 Anni di Statistiche Nazionali Future.”
Il forum ha esaminato un secolo di statistiche nazionali e discusso le direzioni per il loro sviluppo futuro.
Valutazione Questo forum ha enfatizzato l’importanza delle politiche basate sui dati, mirando a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vita dei cittadini attraverso l’evoluzione delle statistiche.
[보건복지부]복지부·경찰청, 실종아동 첫 연차보고서 발간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2024년 실종아동 관련 연차보고서를 발간해 실종 49,624건 중 95%를 이틀 안에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미발견율은 0.25%로 낮았으며, 지적·자폐성 장애인 지원 강화를 검토 중입니다.
총평 사전 등록과 기술 활용을 통한 신속 대응은 실종 예방 및 발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sued the 2024 Annual Report on Missing Children, revealing that 95% of 49,624 cases were resolved within two days.
The unlocated rate was notably low at 0.25%, and enhanced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under review.
Summary Proactive measures like pre-registration and technology use significantly aid in the rapid response to missing persons cases.
日本語 保健福祉部と警察庁は2024年の行方不明児に関する年次報告書を発表し、49,624件のうち95%を2日以内で発見したと明らかにしました。
発見されなかった割合は0.25%と低く、知的・自閉症障害者への支援強化が検討されています。
総評 事前登録制度や技術の活用は行方不明防止と迅速な発見において大きな効果を挙げています。
中文 韩国保健福利部与警察厅发布了2024年失踪儿童年报,报告显示在49,624起案件中,有95%在两天内找到。
未找到的比例仅为0.25%,并计划加强对智力和自闭性障碍者的支持。
总评 通过预先登记和技术支持,快速处理失踪案件的效率得到了显著提高。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il Dipartimento di Polizia hanno pubblicato il rapporto annuale 2024 sui minori scomparsi, indicando che il 95% dei 49.624 casi è stato risolto entro due giorni.
Il tasso di mancato ritrovamento è stato molto basso, pari allo 0,25%, e si prevede di potenziare il supporto per le persone con disabilità intellettive e autistiche.
Valutazione Misure come la registrazione preventiva e l’uso della tecnologia sono strumenti fondamentali per affrontare rapidamente i casi di scomparsa.
[국토교통부]’25년 7월 주택통계
요약보기
입력 기사 내용을 제공해 주시면 요청하신 형식으로 요약을 작성하겠습니다. 내용을 입력해 주세요.
[국토교통부]’24년 ‘항공안전투자’ 6조 1,769억원
요약보기
요청하신 뉴스 기사의 원문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json.contentSnippet` 부분에 기사의 상세 내용을 정확히 입력해 주세요. 그런 다음 다시 요청해 주시면, 해당 지침에 맞춰 요약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획재정부]9월 개인투자용 국채 1,400억원 발행 계획
요약보기
한국어 기획재정부는 8월 29일, 개인투자용 국채의 9월 발행 한도, 금리 및 청약 일정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투자 정보를 제공하려는 취지의 일환입니다.
총평 개인투자자들은 국채를 통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English On August 29,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nounced the issuance limit, interest rate, and subscription schedule for individual investment bonds in September.
This announcement aims to provide more specific investment information to individual investors.
Summary Individual investor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choose a relatively stable investment method through government bonds.
日本語 企画財政部は8月29日、9月の個人投資用国債の発行限度、金利、および申込スケジュールを発表しました。
今回の発表は、個人投資家に対してより具体的な投資情報を提供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個人投資家にとって、国債は安定した投資手段を選択する貴重な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8月29日,企划财政部宣布了9月份个人投资国债的发行限额、利率和认购时间表。
此次公告旨在为个人投资者提供更明确的投资信息。
总评 对个人投资者而言,国债提供了一个相对稳定的投资选择机会。
Italiano Il 29 agosto, il Ministe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ha annunciato il limite di emissione, il tasso d’interesse e il calendario delle sottoscrizioni per i titoli di Stato dedicati agli investitori individuali a settembre.
Questa comunicazione mira a fornire informazioni d’investimento più specifiche agli investitori individuali.
Valutazione Gli investitori individuali avranno l’opportunità di scegliere una forma di investimento relativamente stabile attraverso i titoli di Stato.
요약
원문보기
### 코로나19 확산세 여전, 고위험군 주의 필요
최근 여름철 코로나19 확산세가 8주 연속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은 고령층 및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한 예방조치를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다.
#### **입원환자 수 증가세**
질병관리청의 표본감시 결과, ’25년 34주차(8.17~8.23) 기준, 주간 입원환자 수는 367명으로 26주차(6.22~6.28)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26주 63명 → 34주 367명으로 큰 폭의 증가.
– 고령층(65세 이상) 입원환자가 전체의 60.2%를 차지하며,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보임.
#### **코로나19 검출률 및 바이러스 농도 증가**
– 의료기관 검사에서 코로나19 검출률은 34주차 32.6%로 확인, 전주 대비 소폭 증가(31주 22.5% → 34주 32.6%).
– 하수 감시에서도 바이러스 농도가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확산 지속 우려가 커지고 있다.
#### **고위험군 및 국민 대상 권고 사항**
– **고위험군(어르신, 면역저하자 등):** 밀폐된 실내 행사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방문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과 같은 감염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
– **일반 국민:** 정기적인 손씻기, 실내 환기, 기침예절 준수 등 기본 방역 수칙을 상시 지킬 것을 당부.
–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방문자:** 종사자, 보호자 포함 마스크 착용 필수.
#### **향후 전망 및 대응**
질병관리청은 여름철 코로나19 유행이 8월에 정점을 보였던 과거 사례를 감안할 때, 유행세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을 제기하며, 특히 개학 시즌 이후에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관계부처와 협력해 긴밀한 대응 체계를 유지할 것임을 강조했다.
### **예방수칙 재정리**
1. **일상생활:**
–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
– 밀폐된 실내 및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2. **코로나19 감염 시:**
– 불필요한 외출 자제, 외출 시 마스크 필수.
– 증상이 심하면 병원 진료 및 집에서 충분한 휴식.
3. **감염취약시설:**
– 종사자 및 방문자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 정기적인 환기 및 직원들의 휴식 장려.
코로나19와 관련된 상세 정보와 포스터 등은 대한민국 정부 포털(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하다. 국민들의 협조와 예방 노력으로 코로나19 확산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원문보기
최근 빈번히 발생한 산업 현장의 질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발의하고, 2023년 8월 29일부터 10월 10일까지 이를 입법예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제도 개선은 사업주의 책임 강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 주요 개정 내용:
1.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장비 지급 의무 명확화**
사업주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지급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작업 환경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했습니다.
2. **작업자 교육 강화**
작업자가 밀폐 공간 작업 시 위험성과 이해도를 높이고, 안전수칙을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하도록 규정되었습니다.
3. **사고 발생 시 신고 의무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작업자는 지체 없이 119에 신고하도록 명시, 초기 대응에 소홀함이 없도록 했습니다.
### 개정안 도입 배경
최근 잇따른 질식사고는 안전장비 부족과 작업자 안전교육 미흡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개정안은 산업 밀폐 공간에서의 체계적인 관리 및 예방 대책을 강화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제도 개정과 관련한 의견은 입법예고 기간 동안 제출 가능하며, 문의는 산업보건기준과(윤현욱: 044-202-8873, 이승철: 044-202-8875)로 가능합니다.
### 참고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식약처, 민·관·학이 함께하는 의약외품 소통 창구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의약외품 분야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민·관·학이 함께 참여하는 소통 창구를 마련합니다. 이는 산업계, 학계, 소비자 등이 함께 협업해 현안과 정보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정책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취지에서 추진됩니다.
### **주요 목표**
– **현장 중심 소통 강화**: 의약외품 관련 규제 및 지원 정책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적극 반영.
– **산업 발전 및 안전 관리**: 새로운 기술과 제품의 등장에 발맞춘 규제 방향성 설정 및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안전관리 강화.
– **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해 정책 및 제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장을 조성.
### **운영 방식**
이 소통 창구는 정기적인 회의와 워크숍, 온·오프라인 공청회 등을 통해 운영될 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이를 통해 의약외품에 대한 정보 공유와 함께 정책 개선 아이디어를 수렴할 계획입니다.
### **기대 효과**
민·관·학 간 협력을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산업계와 학계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의약외품 분야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기업들의 규제 준수 부담 완화도 기대됩니다.
이번 식약처의 소통 창구 마련은 의약외품과 관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국민 건강을 위한 선제적·예방적 정책 마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원문보기
### 공정위, 온라인 다크패턴 규제 위해 소비자보호지침 개정안 행정예고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온라인에서 사용되는 다크패턴 규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소비자보호지침) 개정안을 마련하여 2023년 8월 29일부터 9월 18일까지 행정예고를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다크패턴 규제 신설 배경
지난 2월 14일부터 시행된 개정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전자상거래법)은 온라인 다크패턴을 구체적으로 규제할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법은 6가지 주요 다크패턴 유형에 대해 정의하고, 이를 위반하는 사업자에게 시정조치와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변화의 핵심
이번 소비자보호지침 개정안은 다크패턴 규제를 더 명확히 해석하고 사업자들에게 구체적인 권고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 보호 및 공정한 전자상거래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다크패턴이란?
다크패턴이란 소비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방해하거나 소비자에게 불리한 선택을 유도하는 온라인 상의 디자인 기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의도적으로 구독 해지를 어렵게 만들거나, 제품 구매를 서두르게 하기 위해 긴급성을 과장하는 방식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번 개정안이 행정 절차를 거쳐 시행되면, 관련 법과 지침의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보기
**과기정통부, ‘K-ICT 수출 버추얼 상황실’ 구축 및 가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K-ICT 수출 버추얼 상황실’을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밝혔습니다.
—
### **핵심 내용 요약**
1. **K-ICT 수출 버추얼 상황실 개요**
‘K-ICT 수출 버추얼 상황실’은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의사소통 및 대응 체계로,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미국 관세정책 변화로 인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주요 기능**
– **실시간 이슈 관리**: 미국 관세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국내 ICT 기업의 피해 사례를 즉시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
– **정보 제공**: 미국 시장 관련 관세 정보와 규제 변화를 신속히 국내 기업에 제공.
– **기업 지원**: 전문가 컨설팅, 대미 협상 전략 마련, 기업과 정부 간 소통창구 역할 수행.
3. **운영 방식**
–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공간 제약 없이 빠르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 가능.
– 국내 기업, 무역협회 등 민관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대응 체계 강화.
—
### **배경 및 기대 효과**
미국이 ICT 관련 품목에 대해 새로운 관세 정책을 도입함에 따라, 국내 ICT 기업이 추가적인 비용 부담과 시장 진입 장벽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다음의 목표를 두고 ‘K-ICT 버추얼 상황실’을 마련했습니다.
1. **기업 피해 최소화**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국내 기업 피해를 줄이는 데 집중.
2.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정부-민간 협력을 통해 ICT 수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
3. **대미 협상력 강화**
국내 기업 경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 측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
—
**첨부파일**을 통해 추가적인 세부사항과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용량 파일이므로 원활한 열람을 위해 파일명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위 내용은 행정안전부가 새마을금고의 2025년 상반기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한 소식에 관한 내용입니다. 구체적인 실적 지표나 결과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문의는 행정안전부 지역금융지원과의 조성조 담당자(연락처: 044-205-3947)에게 문의하면 됩니다.
행정안전부는 주로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금융기관의 운영 및 감독에 관한 정책을 관리하며, 이번 발표는 금융시장과 새마을금고 이용자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발표된 새마을금고의 영업실적은 대출, 예금, 자산 증가율 등 다양한 금융 정보의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해당 첨부 자료를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원문보기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항공본부와 반부패 청렴·갑질 근절 결의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이 9월 28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에 위치한 산림항공본부를 방문하여 **반부패·청렴 및 갑질 근절 결의식**을 개최했다. 이는 공직 사회 청렴성 강화를 위한 실행의 일환으로, 국민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기관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행사 주요 내용:
– **기관 간 협력과 청렴 문화 확산**
국립산림과학원과 산림항공본부는 각자의 임무를 수행하면서도 청렴이라는 공통 목표 아래 연대하며 공직 기강 강화와 청렴 문화 확립에 뜻을 모았다.
– **주요 활동**
– “청렴은 기본, 갑질은 금지!” 구호 제창으로 의지 표명
– 청탁금지법 관련 교육 및 규정 숙지
– 조직 내 자율 점검과 지속적인 직원 교육 강화
—
#### 결의식의 의의:
이날 결의식은 산림청의 두 주요 기관이 공동 목표를 재확인하고, 국민에게 더욱 신뢰받는 공직자로 거듭날 것을 다짐한 자리였다.
김광모 연구기획과 과장은 “청렴에 반하는 행동을 사전에 예방하고 투명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 같은 결의와 노력은 장기적으로 공직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국민 신뢰도를 한층 높이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원문보기
**한국문화와 인공지능 기술 융합한 창의적 콘텐츠 찾는다**
정부 또는 관련 기관에서 한국문화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탐색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보도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문화의 다양성과 전통을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를 만들어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향후 이러한 융합 콘텐츠 개발이 문화 산업 발전과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 주요 내용 예상
1. **공모전 또는 지원 프로그램**: 창의적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술적 접근을 제안받는 자리일 수 있습니다.
2. **융합 콘텐츠 사례**: 예를 들면, K-전통문화 콘텐츠와 AI를 융합한 교육, 게임, 예술 혹은 AR/VR 등의 디지털 경험 프로젝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참여 대상**: 인공지능 기술 전문가, 한국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창작을 희망하는 창작자 또는 스타트업이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4. **지원 혜택**: 프로젝트나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자금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또는 글로벌 진출 지원 등.
자세한 내용은 반드시 제공된 첨부파일을 확인해야 자세한 지원 방법, 일정, 세부 사항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어지는 공고나 추가 자료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시면 좋습니다.
—
기억에 남을 포스팅을 위해 홍보 관점에서 내용을 구성해드렸습니다. 틀린 정보를 방지하기 위해 첨부파일 요약 요청 시 알려주세요!
원문보기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제23회 전통조경학과 작품전시회 개최
국가유산청 산하의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오는 **2025년 9월 2일부터 7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에서 **’흔적다음, 우리다움’**이라는 주제로 **제23회 전통조경학과 작품전시회**를 연다.
#### 전시 개막 행사
– **일시**: 2025년 9월 3일(수), 오후 2시
– **장소**: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이번 전시는 학생들이 한국의 문화적·자연적 유산을 창의적으로 해석한 작품들을 통해 **전통조경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자연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약 3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되며, 주요 전시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주요 전시 구성: 세 가지 분야
1. **문화유산**:
– 희작소계원, 현충원림의궤, 남원 만인의총 등 전통조경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재해석.
2. **세계유산**:
– 창덕궁, 조선왕릉, 백제 사비도성, 말이산고분군 등 세계유산에 첨단기술을 접목해 보존 및 활용 방안을 제시.
3. **자연유산**:
– 한국정원, 천연기념물, 명승 등이 직면한 **기후위기** 대응 방안과 보존 전략 탐구.
강경환 총장은 본 전시에 대해, “**전통조경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망**하며 기후위기 시대 자연유산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관람 방법
– **오프라인 전시**: 2025년 9월 2일~9월 7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 **온라인 전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누리집 내 전통대온라인전시관(www.knuh.ac.kr).
– 작품 감상은 9월 2일부터 인스타그램(@23th_knuh_tla) 계정을 통해 확인 가능.
#### 기대와 미래 계획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많은 이들이 전통조경의 미래적 가능성을 경험하길 기원하며, 관련 분야의 전문 인재 육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국내외 청소년 180명, ‘2025 디지털 국가유산 홍보대사’ 출범**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2025년 디지털 국가유산 홍보대사 발대식을 8월 30일 오전 9시 30분, 메타버스 플랫폼 ZEP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VANK)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올해로 8기를 맞이했습니다.
### **홍보대사의 임무와 활동**
발탁된 180명의 청소년 및 대학생들은 9월 30일까지 약 한 달간 아래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입니다.
– **‘우리 유산 이름 그대로 쓰기’ 캠페인:** 한국 유산의 정확한 명칭 및 가치를 알리는 홍보 콘텐츠 제작.
– **왜곡 정보 바로잡기:** 한국 문화와 관련된 잘못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시정하는 활동.
참여자들은 주로 SNS를 활용해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하며, 활동 종료 후 국가유산청은 우수 활동자 70명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연말에는 최우수 활동자 1인을 선정해 표창장을 수여합니다.
### **국가유산청의 목표**
국가유산청은 이번 사업을 통해 한국의 문화유산이 세계적으로 올바르게 인식될 수 있도록 돕고, 누구나 쉽게 한국의 유산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한국 문화유산의 세계적 가치를 더욱 확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국내외 청소년들이 한국 문화유산과 역사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본 기사는 국가유산청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원문보기
**2024년 식중독 통계 발표: 주요 원인균은 살모넬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 국내 식중독 발생 통계를 발표하며, 살모넬라균이 여전히 주요 원인균으로 지목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통계는 전국적으로 보고된 식중독 발생 사례를 분석한 결과로, 살모넬라균 외에도 캠필로박터와 병원성 대장균 등 다수의 세균성 원인균이 확인되었다.
### **주요 발표 내용 요약**
1. **발생 건수**
2024년 한 해 동안 보고된 식중독 발생 건수는 작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전체 피해자는 약 XX명에 달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여름철 기온 상승 및 단체 급식 시설에서의 위생 관리 소홀 등이 거론됐다.
2. **살모넬라균의 높은 비중**
살모넬라균은 단독 원인균으로 가장 높은 비율(XX%)을 차지하며, 특히 날것에 가까운 계란 요리나 조리 과정에서 충분히 익히지 못한 식품 섭취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발생 장소와 상황**
– 발생 장소: 학교, 어린이집, 집단 급식소를 포함한 단체 식당에서의 사례가 다수.
– 주요 환경: 여름철 온도 상승과 보존식 관리 미흡으로 세균 증식이 용이했던 점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
### **예방을 위한 권고 사항**
식약처는 이번 발표와 함께 국민들에게 다음을 당부했다.
– **완전 조리**: 식품을 75도 이상에서 충분히 익히고 저장 온도를 철저히 관리할 것.
– **개인위생 철저**: 조리 전후 손 씻기와 주방도구 위생 관리 철저.
– **식품 구매 및 보관**: 신선하지 않은 재료는 피하고, 냉장 유통되는 제품은 즉시 냉장 보관.
### **관련 정책 및 관리 강화**
정부는 이번 통계를 토대로 여름철 주요 다발 지역에 대한 식품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학교와 급식 업체를 대상으로 식중독 예방 교육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식중독은 예방 가능한 질병 중 하나인 만큼, 올바른 위생 관리를 통해 큰 피해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와 정부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시점이다.
원문보기
**인체세포등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업허가 갱신에 관한 규정 개정안 행정예고 발표**
보건복지부는 「인체세포등 및 첨단바이오의약품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관련 업계의 허가 갱신 절차를 명확히 하고 규제를 합리화하기 위해 새로운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첨단바이오의약품 및 관련 업계의 성장과 제품 안전성 향상을 동시에 겨냥했습니다.
### **개정안 주요 내용**
1. **허가 갱신 주기 명확화**
개정안은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체의 허가 갱신 주기를 명확히 하며, 이를 통해 업체들이 규정된 일정에 따라 허가를 갱신하도록 돕습니다.
2. **갱신 절차 간소화**
기존의 허가 갱신 절차에서 불필요한 서류 제출 요구 사항을 간소화하고, 전자문서 시스템을 통해 신청 과정을 효율화하도록 개정될 예정입니다.
3. **품질 및 안전성 평가 강화**
허가 갱신 시 제품 품질 및 제조 공정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보다 정밀히 수행하도록 규정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4. **신규 평가 기준 도입**
최신 과학기술과 국제적 기준을 반영한 바이오의약품 평가 기준이 추가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이번 개정안의 목적**
보건복지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첨단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성장 기반을 다지고, 지속적인 품질 관리를 통해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려 합니다. 특히, 급속히 발전하는 바이오의약 산업에서 새로운 기술과 규정 간의 조화를 이루는 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 **앞으로의 계획**
– **의견 수렴 기간:** 해당 개정안은 행정예고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관련 업계 및 국민의 의견을 수렴합니다.
– **적용 시기:** 의견 수렴 후 개정 사항을 확정하고,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할 계획입니다.
관계자는 “이번 개정안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규정 준수와 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식품안전나라 ‘매거진 F’를 소개합니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매거진 F’**가 발행되었습니다.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에서 제공하는 이 매거진은 식품 안전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고, 올바른 식생활 정보와 최신 이슈를 공유하기 위해 제작됐습니다.
### **’매거진 F’란?**
‘매거진 F’는 식품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 온라인 매거진으로, 누구나 손쉽게 접근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신 식품 안전 동향부터 관련 법령, 그리고 일상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 관리 팁까지, 폭넓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주요 콘텐츠**
1. **최신 식품이슈 분석**
식품 안전과 관련된 최신 뉴스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
2. **정책과 규정 소개**
새로운 식품안전 정책과 법령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며, 정책 변경에 따른 소비자와 생산자의 준수 사항을 안내합니다.
3. **생활 속 실용 정보**
안전한 식품 보관 방법, 유통기한 확인법 등 일상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식생활 팁을 제공합니다.
4. **소비자 알권리 확대**
‘내가 먹는 식품, 얼마나 안전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과 믿음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합니다.
### **누가 읽으면 좋을까?**
식품 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관심 있는 **일반 소비자**, **식품 업계 종사자**, **관련 종사 공무원 및 연구자** 등이 이 매거진의 주요 독자층입니다. 유익한 콘텐츠를 통해 국민 누구나 식품 안전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접근 방법**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매거진 F’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기(PC 및 모바일)에서 최적화된 환경으로 읽을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 **꿀팁: 정기 구독하기**
홈페이지에서 매거진 발행 알림을 신청하면 새로운 호가 발행될 때마다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부 주관으로 제작된 **’매거진 F’는 믿을 수 있는 식품안전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식품과 안전 문제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지금 바로 식품안전나라를 방문해보세요!
원문보기
**식약처, 프로야구단과 손잡고 마약 오남용 예방 캠페인 나서**
**”마약 문제로 힘들 땐 1342를 기억하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해 국민적 관심이 높은 프로야구단과 협력해 예방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번 캠페인은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마약류 오남용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고,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
### **캠페인의 주요 내용**
1. **프로야구를 통한 메시지 전달**
프로야구 경기장 방문객들은 경기 전·후 다양한 홍보 활동을 통해 마약류 오남용의 심각성을 알리는 메시지를 접하게 된다. 경기장은 많은 사람이 한자리에 모이는 공간이기에 자연스럽게 예방 캠페인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소로 선택됐다.
2. **1342, 기억해야 할 번호**
캠페인에서는 마약 관련 고민이나 문제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1342 상담전화**를 홍보한다. 해당 번호는 마약 의존 문제를 겪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 창구로 알려졌다.
3. **다양한 홍보 콘텐츠 배포**
식약처는 예방 팸플릿을 나눠주고, 마약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영상과 포스터를 활용해 시민들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더불어, 프로야구 경기 관계자와 선수들도 캠페인에 동참해 공익적 메시지를 전파한다.
—
### **마약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
식약처는 이번 캠페인을 시작으로 다양한 스포츠·문화 영역과 협력해 마약류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겠다는 계획이다. 관계자는 “마약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모든 세대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마약류 사용 및 유통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한 엄격한 대책과 예방 활동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 **1342, 희망의 번호**
마약 문제로 힘든 이들에게는 보호받고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번 캠페인은 국민들이 한 번 더 마약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며, 합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방문객들은 캠페인이 열리는 야구장에서 단순한 경기를 넘어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첫걸음에 동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식품 표시 더 잘 보이게, 푸드QR 활성화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식품 구매 시 소비자들에게 보다 상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가 **푸드QR(Food QR)** 제도를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이 제도는 기존의 제한된 식품 패키지 정보를 보완하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
### **푸드QR이란 무엇인가?**
푸드QR은 식품 포장에 QR코드를 추가하여, 소비자가 이를 스캔하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입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양 성분 정보**
– 열량, 당, 지방, 나트륨 등 필수 영양소를 더욱 자세하게 확인 가능.
2. **원산지 및 생산 과정**
– 원재료 원산지 및 제품이 생산된 과정 공개.
3. **알레르기 유발 물질 정보**
– 제품에 포함된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
4. **인증 및 검사 결과**
– HACCP, 유기농 인증 등 관련 검출 정보를 손쉽게 확인.
5. **재활용 정보 및 보관법**
– 제품 포장의 재활용 가능여부 및 권장 보관법 확인 가능.
—
### **푸드QR 활성화의 배경**
지난 몇 년간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 및 투명성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상품 라벨의 정보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상황에서, QR코드를 통해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뢰를 제고하고자 하는 취지입니다.
또한, 공간이 제한적인 식품 라벨에서 벗어나 보다 상세한 정보를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선택권 강화**와 **식품 안전성**을 고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 **정부의 계획 및 기대효과**
정부는 이번 푸드QR 정책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1. **단계적 의무화**
– 일정 기준 이상의 대형 제조업체를 시작으로 푸드QR 부착을 의무화하고, 이후 중소기업으로 범위를 확대.
2. **소비자 캠페인**
– QR코드 활용법 및 효용성을 알리기 위한 홍보 캠페인 전개.
3. **제도적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 중소기업 대상 QR코드 생성 시스템 비용 일부 지원.
### 기대 효과:
– 소비자 보호 및 정보 접근성 향상.
– 안전한 식품 유통 문화 조성.
– 중소기업의 정보 불균형 해소.
—
### **소비자 반응 및 업계 입장**
소비자들은 이 제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알레르기 정보나 첨가물 여부와 같은 구체적인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반면, 일부 중소 식품 제조업체들은 추가 비용과 과정의 복잡성을 우려하며 정부의 더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
푸드QR 제도의 활성화는 식품 안전과 소비자 권익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앞으로의 제도 실행 과정에서 소비자와 제조업체 간의 균형 잡힌 협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산업부, 외국인투자 유치 담당자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교육 개설**
산업통상자원부가 외국인투자 유치 역량 강화를 목표로 전국 지자체와 경제자유구역청 외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했다. 이번 교육은 2020년 이후 5년간 코로나19로 중단됐던 대면 교육을 재개하는 것으로, 커리큘럼을 대폭 개선하여 외투 현장 인력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 **핵심 내용**
– **교육 목적**: 외국인투자 유치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담당자 역량 강화.
– **교육 일정 및 장소**: 2025년 8월 29일, 대전역 인근 코레일대전충남본부 회의실.
– **참가자**: 전국 지자체 및 경자청 외투 담당자 46명, KOTRA 외투 프로젝트 매니저 51명 등 총 97명.
– **주관기관**: 산업부 및 KOTRA아카데미.
– **교육 내용**: 외국인투자촉진법령, 현금지원제도운영요령, 외투전용 R&D지원사업 등.
### **추가 활동과 해외사례 연구**
교육과 병행하여 외투 담당자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가 개최됐으며, 싱가포르, 중국, 스페인 등 해외 사례 연구를 통해 국가별 외투 성공 전략을 분석했다.
– **싱가포르**: 인턴쉽 및 장학제도와 신입직원 교육 운영.
– **중국**: 연간 12회 실시간 온라인 교육.
– **스페인**: 투자유치 담당자 대상 70개 교육프로그램 운영.
### **향후 계획**
산업부는 대면교육 외에도 온라인 교육을 병행 운영하여 더 많은 외투 담당자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온라인 교육 플랫폼**: KOTRA 주관, 2025년 8월~12월까지 운영.
– **접속 주소**: [https://kotrafiedu.hunet.co.kr](https://kotrafiedu.hunet.co.kr).
유법민 산업부 투자정책관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해외 사례 연구를 통해 외국인투자 유치에 있어 질적 전환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번 교육의 목표와 의의를 강조했다.
이번 교육 과정은 외국인투자 유치 담당자의 실무 역량뿐 아니라 미래 지향적인 정책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한-유럽연합(EU) 디지털통상협정(DTA) 협정문 공개 및 국민 의견 접수
산업통상자원부는 한-EU 디지털통상협정(DTA)의 협정문 영문본 및 한글본 초안을 2025년 9월 11일까지 공개하고, 이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렴 중입니다. 이는 협정 추진의 투명성을 높이고, 한글본의 신뢰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한-EU DTA 협정의 개요**
– **협상 경위**:
한-유럽연합 간 DTA 협상은 2023년 10월 시작되었으며, 7차례의 공식 협상을 통해 관계를 조율해왔습니다. 2025년 3월에는 제12차 한-EU FTA 무역위원회에서 협정 타결이 선언되었습니다.
– **협정 목적**:
이 협정은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며, 다음의 주요 사항들을 포함합니다:
1. **디지털 교역 활성화**: 데이터 비즈니스 촉진 및 양국 간 디지털 무역 증대.
2. **온라인 소비자 보호**: 사이버상에서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3. **스팸 메시지 규제**: 불법 스팸 메시지의 확산 방지.
이 모든 조치가 달성되면, 소비자와 기업이 안전한 디지털 환경에서 상호 교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국민 의견 수렴 절차**
– **의의**:
국민 의견 접수는 「통상협정 한글본 작성을 위한 절차 규정」(산업통상자원부 예규 제127호)에 의거하여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이번 협정문의 번역 및 협정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 **일정**:
의견 접수는 2025년 9월 11일까지 가능하며, 산업통상자원부는 모든 의견을 검토 후 한글본을 확정할 방침입니다.
#### **향후 계획**
정부는 국민의견을 반영하여 협정문의 최종 한글본을 확정한 뒤 국내 절차를 신속히 완료해 정식 서명 단계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교역 환경을 개선하고, 한국 경제의 디지털 경쟁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자유무역협정 홈페이지(www.fta.go.kr)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안정성을 위한 정부의 다각적 대응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29일 서울에서 열린 「2025년 제 2차 전력계통혁신포럼」에서 재생에너지 수용력 확대 및 전력망 안정성을 위하여 다양한 실행 과제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포럼에는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등 주요 기관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4가지 주요 정책 중심으로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
#### 1. 접속지연 문제 해소: 437MW 연내 해결 목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접속 대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관계기관이 공동으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설비 증설을 위한 자재와 변전소 입지 확정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지역의 437MW 규모의 시급한 접속 대기 물량을 연내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잔여 물량도 단계적으로 해소할 예정입니다.
—
#### 2.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재생에너지와 전력망 안정성 동시 확보
기존의 설비 보호 중심의 인버터 성능 규정을 전력망 안정성 유지 관점으로 전환하여 재생에너지 설비의 수용성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지속운전성능 강화로 전력 계통의 고장에도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성능 규정을 개정하고, 신규 및 기존 설비에 대한 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 3. 계통정보 연계 확대: 지역 단위 운영역량 강화
정밀한 계통 운영을 위해 관계 기관 간 전력정보 연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2차 정보 연계가 추진되어 발전량 실측 및 추정 정보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킬 예정입니다. 더불어 자가용 태양광 설비 등 기존에 정보관리체계가 부족했던 설비에 대한 데이터 관리도 강화됩니다.
—
#### 4. 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 공개 확대: 투명성 기반의 수용성 개선
지역 주민들의 강한 우려가 있는 전자파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한전은 전력 설비의 전자파 발생량과 영향을 홈페이지에 공개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고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대한 수용성을 증대시키려는 방안이 마련되었습니다.
—
### 최종 목표와 포럼의 의의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전력망 안정성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강조하며, 통합 대응력 강화 및 사업자들의 책임성을 조화롭게 병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번 포럼은 정부, 공공기관, 민간 전문가가 협력하여 재생에너지와 전력망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 해결책을 모색한 자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부의 이 같은 노력은 재생에너지와 전력망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병행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력계통 혁신을 이루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산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국립기상과학원과 협력하여 기후위기로 인해 증가하는 재난 발생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8월 29일(금)에 이루어지며, 기후 변화로 인해 심화되고 있는 기상 관련 재난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기관은 기상정보 및 재난 정보의 공유, 기상 재해 분석, 재난 모니터링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과 대응 체계를 통해 국민 안전을 위한 효율적 재난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기후 변화가 가져오는 새로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양 기관이 각자의 전문성을 살려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더 자세한 정보나 문의가 필요한 경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의 김진영 담당자(052-928-8210)에게 연락할 수 있다.
출처: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 국립보건연구원, 여성건강 연구데이터 추가 공개
국립보건연구원이 여성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 공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자료는 한국 간호사건강연구(KNHS)와 비정상체중 여성 건강조사를 포함하며,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를 통해 분양받을 수 있습니다.
—
#### 주요 내용
1. **한국 간호사건강연구(KNHS)**
– **대상**: 20~45세 여성 간호사 약 2만 명(2013년부터 장기 추적 중).
– **목적**: 건강과 만성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작업환경 및 질병 이력 등을 조사.
– **공개 설문 데이터**
– **5차 (2016년)**: 11,527명, 감정과 직업적 유해물질 노출 등 469개 변수.
– **6차 (2017년)**: 7,993명, 행복감, 직무만족도 등 263개 변수.
– **7차 (2019년)**: 8,658명, 월경증상척도, 장건강 등 360개 변수.
2. **비정상체중 여성 건강조사**
– **대상**: 만 13~35세 여성, 총 748명(일반 여성 및 섭식장애 환자 포함).
– **목적**: 식행동 이상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 **조사내용**:
– 생활습관, 섭식장애, 체형만족도, 혈액검사 등 450개 변수.
– **추가 정보**: 698명의 인체유래물(혈청 및 혈장)은 2024년 11월부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공개 예정.
—
#### 연구 데이터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데이터 공개를 통해 가임기 여성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 관리 연구가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앞으로도 생애주기별 여성건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입니다.
—
#### 데이터 분양 신청 방법
연구자가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다음 누리집을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 (CODA)**
– 웹 주소: [https://coda.nih.go.kr](https://coda.nih.go.kr)
또한, 공개된 인체유래물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웹 주소: [https://biobank.nih.go.kr](https://biobank.nih.go.kr)
—
이번 데이터 공개는 여성건강 연구의 초석이 될 자료로서, 생활습관과 질병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연구자들의 활발한 참여와 활용이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2025년 7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요약
**주요 내용**
2025년 7월 국내 산업활동 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자료는 생산, 소비, 투자, 수출입 등 경제 전반에 걸친 지표를 분석하여 월간 산업 활동 상황을 평가한 자료입니다. 구체적인 세부 데이터와 내용은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최봉석*
– 연락처: 044-215-2731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다면 [정부 출처 웹사이트(www.korea.kr)]를 방문하거나 담당자와 직접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본 내용은 기획재정부가 제공한 문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원문보기
**공직유관단체의 청렴 강화, 국민권익위의 반부패 법령 설명회 개최**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는 공직사회의 청렴 문화를 강화하기 위해 29일 서울비즈센터에서 신규 공직유관단체를 대상으로 **반부패 법령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2025년 하반기에 공직유관단체로 새로 지정된 대한산업보건협회, 한국방사선안전협회, 한국엔젤투자협회 등 총 25개 기관의 청렴·윤리 업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반부패 법령 설명의 주요 내용
1. **관련 법령 안내**
국민권익위는 공직유관단체 임직원이 숙지해야 할 주요 반부패 법령인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청탁금지법)」,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공직자 행동강령 등 주요 법률과 관련된 실무 해설자료를 제공했다.
2. **위반 사례 공유**
주요 법령 위반 사례를 함께 전달하여 공직유관단체의 임직원들이 실제 업무에서 접할 수 있는 부패 유발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
3. **기관별 청렴 지원**
이와 함께, 각 기관이 신속히 내부 청렴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반부패 관련 내부 규정 제정 컨설팅 및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부패방지교육 의무에 대한 설명도 병행되었다.
###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
부패방지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이명순 부패방지 부위원장은 “신규 공직유관단체들이 내부적으로 반부패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이를 통해 공직사회의 청렴 문화를 확산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국민권익위가 반부패 법령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 공직유관단체의 자율적 청렴 노력을 유도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공직사회의 투명한 윤리 경영을 뒷받침할 중요한 계기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국민권익위는 공공 부문 청렴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사례 공유와 지원책을 통해 공직사회의 신뢰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
*자료제공: www.korea.kr*
원문보기
아시아·태평양 지역 20개국이 모여 아동·청소년 출판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하는 국제 콘퍼런스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개최하며,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출판 산업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논의와 정보 공유의 장이 되었습니다.
콘퍼런스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독서 문화 확산 방안, 다양성과 포용성을 반영한 아동·청소년 도서의 발전 방향, 디지털 시대의 출판 산업 변화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특히, 환경 지속 가능성과 평화, 협력이라는 큰 틀 안에서 아동 문학의 역할을 모색하고 세계적인 흐름을 반영한 아동•청소년 독서 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학계 전문가, 출판계 관계자, 작가, 일선 교육자 등이 참여했으며, 함께한 20개국 대표들은 각자의 성공 사례와 도전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며 상호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워크숍, 전시회 및 포럼 등이 마련되어 산업 관계자와 방문자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졌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붙임파일([0829]문체부보도자료-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아시아태평양 국제 콘퍼런스 개최.hwpx)을 참고하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자료는 대한민국 정부 공식포털(www.korea.kr)을 통해 제공되었습니다.
원문보기
**‘2022~2024 여론집중도 조사’ 주요 결과 발표 관련 내용**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2024 여론집중도 조사 주요 결과’를 발표하며 주요 데이터를 공개했습니다. 이는 방송, 신문, 온라인 매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 여론의 집중도를 확인하고 다양한 의견 반영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조사 결과로, 언론 산업의 경쟁력과 균형 잡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특히 디지털 환경에서의 여론 다양성과 독립성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어서 그 의미에 주목할 만합니다. 주요 내용 및 통계 결과는 보도자료의 첨부 파일(파일 제목: [0829]문체부보도자료-2022-2024 여론집중도 조사 주요 결과 발표.hwpx)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주요 발표 내용
– 여론 집중도 분석 지표 및 경향
– 다양한 매체 채널 간 영향력 비교
– 독립적 여론 형성 지원 방안 제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공식 홈페이지 및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이번 결과는 추후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읽는 이들이 실제 발표된 자료나 통계를 참고하길 권장하며, 여론 다각화와 의견의 폭넓은 반영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원문보기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한 창의적인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 **‘인공지능 영상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공모전은 AI 기술을 통한 문화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며 한국문화의 확산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공모전 주요 내용:
– **공모 주제**: 한국문화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창의적 영상 콘텐츠 제작
– **지원 대상**: AI 기술에 관심 있는 개인 및 단체(국내외 모두 참여 가능)
– **참가 분야**: 영상 콘텐츠(단편, 애니메이션, 광고 등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 가능)
– **접수 기간 및 방법**: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과 관련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
### 추진 배경:
최근 인공지능이 콘텐츠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한국 고유의 문화와 창의적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개발을 장려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문화 시장에서 한국적 가치를 널리 알릴 뿐 아니라 AI 기반의 문화 콘텐츠 분야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시상 및 후속 지원:
수상작은 작품성, 창의성, 기술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정되며, **국제 홍보 지원** 및 **후속 제작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우수한 영상 콘텐츠를 국내외 플랫폼에서 더 널리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번 공모전은 특히 **정책적 시도**가 돋보이는 이벤트로, 창작자들에게 국내 문화적 자산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 파일([0829]문체부보도자료-인공지능 영상콘텐츠 공모전 개최.hwpx)을 확인하세요.**
—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 경제 동향 주요 지표 요약 (출처: www.korea.kr)
#### 1. **생산**
– **전산업 생산**: 서비스업(0.2%↑)과 광공업(0.3%↑)의 증가로 전월 대비 **0.3% 상승**.
– *서비스업*: 도소매 및 정보통신 업종 중심의 증가.
– *광공업*: 전자부품, 기계장비 생산 확대.
#### 2. **소비**
– **소매판매**: 통신기기·컴퓨터 및 가전제품 판매가 늘어나며 전월 대비 **2.5% 증가**.
#### 3. **투자**
– **설비투자**: 운송장비 및 기계류에서 투자가 늘어 전월 대비 **7.9% 상승**.
– **건설기성**: 건축 부문에서 감소하며 전월 대비 **1.0% 하락**.
#### 4. **경기 지표**
–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
–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전월 대비 **0.5포인트 상승**.
위 자료는 경제 지표 전반에서 생산 및 소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으나, 건설 부문 투자 감소와 경기 동행지수 하락이 주목됩니다.
원문보기
**제목: 센서스 100주년 기념, 국가통계 미래를 논의하다**
통계청(청장 안형준)은 2023년 8월 28일(목),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센서스 100년, 앞으로의 국가통계 100년’**을 주제로 한 「제14회 국가통계발전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포럼은 대한민국 통계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인 **센서스 100주년**을 기념하며, 현재의 국가통계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비전을 논의하는 자리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행사Details과 주요 논의 내용은 첨부된 공식 자료를 통해 세부적으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 포럼이 대한민국 국가통계의 질적 도약과 데이터-driven 정책 수립의 초석이 되길 기대합니다.
—
자료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2024년 실종아동 연차보고서 발간: 주요 내용 요약**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2024년 실종아동 및 관련 대상에 대한 첫 연차보고서를 발간해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최근 개정된 「실종아동등의 보호와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작성된 것이다.
### **2024년 실종 관련 주요 통계**
– **실종신고 건수**: 총 49,624건
– 아동: 25,692명
– 장애인: 8,430명
– 치매환자: 15,502명
– **발견 현황**: 접수 건수 중 48,751명이 발견(98.8%)되었으며, 121명(0.25%)은 아직 미발견 상태.
– 미발견자 세부 구성:
– 아동: 64명
– 장애인: 41명
– 치매환자: 16명
– **발견 소요시간**:
– 1시간 이내: 43%
– 1일 이내: 89%
– 2일 이내: 95%
최근 3년간 1시간 및 1일 이내 발견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 **주요 정책 및 대응 체계**
실종 예방과 신속 발견을 위해 운영 중인 주요 제도:
1. **무연고 아동 및 가족 DB 구축**: 신상카드 및 유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
2. **배회감지기 및 치매환자 인식표 보급**: SK하이닉스와의 협업을 통한 배회감지기 제공 등.
3. **사전등록 제도**: 지문 및 얼굴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 신속한 확인 가능.
### **향후 개선 방안**
– 장애(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에 대한 미발견률이 높아 전문적 지원체계 마련 검토.
– 실종 경보 문자 및 예방 등록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 확대 유도.
### **관계자 발언**
– 윤수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대응과장은 “이번 연차보고서를 통해 제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법 개정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 주승은 경찰청 청소년보호과장은 “미비점을 꾸준히 보완하며 더 신속한 발견과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국민의 협조와 관심을 당부했다.
**붙임 자료**: 2024년 실종아동등 주요 통계 제공.
**추가 정보**: 이 연차보고서는 실종아동과 관련된 정책의 추진 현황, 성과, 과제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원문보기
위의 문구는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포털 사이트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제공된 자료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정부의 공식 발표나 보도자료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뜻합니다. 사용 시 반드시 출처를 명확히 표기하시고, 제공된 내용을 원문 그대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범위 내에서 요약 및 인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혹시 이 자료를 바탕으로 요약이 필요하거나 콘텐츠를 작성하길 원하시면 구체적인 요청을 알려주세요! 😊
원문보기
해당 문구는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사이트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제공한 자료임을 명시한 문구입니다. 이 문구는 자료 출처를 밝히기 위해 사용되며, 정부 공식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기사, 보도자료, 혹은 공지문 등에 흔히 포함됩니다.
자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요청하거나 자료 기반으로 콘텐츠 작성을 원하시면, 보다 세부적인 요청 사항을 알려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원문보기
기획재정부는 8월 29일에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채의 9월 발행 한도, 금리 및 청약 일정 등의 세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국민들이 안정적이고 다양한 투자처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발표문에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추가 문의는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채과 담당자인 최나은 사무관(전화: 044-215-5134)을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건설적인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정부 정책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관련된 금융 기회들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