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 보도자료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보건복지부]법무부-보건복지부, 지역 노인돌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선정 결과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법무부와 보건복지부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을 위한 24개 대학을 발표했습니다.
이들 대학은 2026학년도부터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과 학위과정을 운영하며,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야 합니다.
이 제도는 돌봄 인력난을 해결하고 지역사회에 필요한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돌봄 인력 부족을 해결하고,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취업 기회의 문을 열어주는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ve announced 24 universities to train foreign caregivers.
Starting in 2026, these universities will offer specialized education and degree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ddressing caregiver workforce shortages.
This initiative aims to alleviate caregiving staff shortages by locally training needed personnel.
Summary This policy opens doors to employment for foreign students and aims to resolve caregiver shortages positively.

日本語 法務部と保健福祉部は外国人介護者を育成するための大学24校を発表しました。
2026年度よりこれらの大学は外国人留学生向けの介護者養成学位プログラムを運営し、人材不足問題に対応します。
この制度は介護現場のスタッフ不足解消を目指したものです。
総評 この政策は介護分野の人材不足を補い、外国人留学生に実務経験と雇用のチャンスを提供するものです。

中文 韩国司法部和保健福祉部宣布了24所大学,用于培养外国护工专业人才。
从2026学年开始,这些大学将为留学生提供专门的教育及学位课程,以解决护工人力不足问题。
这一计划旨在通过本地培养所需护工人员,解决人力短缺问题。
总评 此政策为留学生开创了就业机会,同时缓解了护工领域的人员紧张局面。

Italiano Il Ministero della Giustizia e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nno selezionato 24 università per formare caregiver stranieri.
Dal 2026 queste università offriranno corsi di laurea specializzati per studenti internazionali, affrontando la carenza di personale nel settore dell’assistenza.
L’obiettivo è formare i caregiver necessari direttamente nelle comunità local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non solo affronta la carenza di personale di assistenza, ma offre nuove opportunità di lavoro agli studenti stranieri.

[농림축산식품부]햇빛을 통한 소득창출 마을현장 방문

요약보기
한국어 농식품부는 농촌 주민이 주도하는 ‘햇빛소득마을’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마을공동체가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농지와 부지를 활용하고, 발전 수익을 주민 복지와 농촌 활성화에 활용하는 사업 모델입니다.
하지만 경관 훼손 및 수익 유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 보완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농촌 공동체에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제공하며, 재생에너지 확대와 농촌 활성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잠재력을 갖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implementing the “Sunshine Income Villages,” a community-driven solar energy project.
This initiative allows rural communities to install solar power facilities, utilize farmland and other areas, and allocate revenues to community welfare and rural revitalization.
However, concerns like landscape disruption and revenue leakage are being addressed with institutional measures.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sustainable income opportunities for rural communities while simultaneously advancing renewable energy and addressing rural economic challenge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日光収入の村」政策を推進しています。
地域共同体が主導で太陽光発電施設を設置し、農地や地元資源を活用して得た収益を福祉や農村活性化に還元するモデルです。
しかし、その過程で景観破壊や収益流出に関する懸念にも制度的に対応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地方共同体に持続可能な収益源を提供し、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拡大と農村活性化を同時に進める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正在推动“阳光收益村”政策。
该政策通过社区主导安装太阳能发电设施,利用农田和其他用地,收入则用于社区福利和农村振兴。
同时也在通过制度措施解决景观破坏和收益外流等问题。
总评 该政策有望为农村社区提供可持续的收入来源,同时促进可再生能源的普及和农村经济的复苏。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sta promuovendo il progetto “Villaggi del Reddito Solare,” guidato dalle comunità rurali.
Il modello prevede l’uso di impianti solari su terreni agricoli e altre aree per generare entrate, da reinvestire nel benessere delle comunità e nella rivitalizzazione rurale.
Si stanno affrontando preoccupazioni legate all’impatto paesaggistico e alle perdite di profitto verso l’esterno.
Valutazione Questa politica offre alle comunità rurali una fonte di reddito sostenibile, contribuendo allo sviluppo delle energie rinnovabili e al rafforzamento delle economie locali.

[보건복지부]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 중증 고난도 치료역량 제고를 통해 지역 필수 공공의료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중증질환 치료 역량 강화를 위해 759억 원의 시설·장비 지원을 결정했습니다.
이 사업은 권역 내 필수·공공의료 문제를 해결하고자 의료 인프라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첨단 장비 도입과 치료 환경 개선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지역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치료 가능 사망률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decided to allocate 75.9 billion KRW to enhance the advanced treatment capabilities of regional medical centers lik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he initiative aims to resolve critical healthcare disparities by improving medical infrastructure and introducing advanced equipment in underserved area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access to essential healthcare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thereby reducing preventable deaths in regional areas.

日本語 保健福祉部は、国立大学病院などの地域責任医療機関の重症疾患治療能力を強化するために759億ウォンの施設・設備の支援を決定しました。
この事業は、地域の医療格差を解消することを目的に、医療インフラを拡充し、先端技術の導入を進めるもの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地域住民がより質の高い医療サービスを受けられるようにし、治療可能な死亡率の低下に貢献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保健福祉部决定向国立大学医院等地区责任医疗机构提供759亿韩元的设施设备支持。
该项目旨在通过扩大医疗基础设施和引入先进设备,以解决地区医疗服务的不均等问题。
总评 此政策有望为地方居民提供更优质的医疗服务,并降低治疗可预防死亡率。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deciso di destinare 759 miliardi di KRW per migliorare le capacità di trattamento avanzato delle istituzioni sanitarie regionali, come gli ospedali universitari nazionali.
Il progetto mira a ridurre le disparità sanitarie regionali attraverso il miglioramento delle infrastrutture e l’adozione di tecnologie avanzat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uò migliorare significativamente l’accesso alle cure sanitarie essenziali nelle aree regionali, riducendo i tassi di mortalità evitabili.

[보건복지부]아동 돌봄 이용 부모 64%, 야간 긴급상황 발생 대비 공적돌봄 구축 필요성 공감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는 초등 방과 후 마을돌봄시설의 20시 이후 연장돌봄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설문에 따르면 부모 64%가 긴급 야간 상황에 대처할 공적 돌봄체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22시까지 센터 연장 운영을 가장 선호했습니다.
정부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장돌봄 시범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늦은 시간까지 생업에 종사하는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leased survey results on the demand for extended care at elementary after-school care centers beyond 8 PM.
64% of the surveyed parents expressed the need for a public childcare service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s, with most preferring extended operations at centers until 10 PM.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pilot projects based on these findings.
Summary This policy could offer meaningful support to working parents who need flexible childcare options during evening hours.

日本語 保健福祉部は、小学校放課後まち子供ケア施設で20時以降の延長ケアに関する需要調査結果を発表しました。
調査では、親の64%が夜間の緊急時に対応する公的なケアシステムが必要だと回答し、22時までの施設延長運営が最も好まれることが分かりました。
政府はこの結果を基に延長ケアの試行事業を拡大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夜間の仕事などで子供のケアが心配な家庭に安心を提供する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保健福祉部公布了有关小学生课后托管设施晚8点后延时服务需求的调查结果。
64%的家长表示需要为夜间紧急情况建立公共托管服务体系,最受欢迎的选择是将中心运营延长至晚10点。
政府计划根据调查结果扩大延时托管试点项目。
总评 该政策有望为在晚间工作需要托管服务的家长提供切实帮助。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pubblicato i risultati di un sondaggio sulla necessità di prolungare le ore di assistenza nei centri di doposcuola per bambini oltre le 20:00.
Il 64% dei genitori intervistati ha espresso la necessità di un sistema pubblico di assistenza per emergenze notturne, preferendo un’estensione delle attività nei centri fino alle 22:00.
Il governo prevede di espandere i progetti pilota basandosi su questi risultat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fornire un concreto sostegno ai genitori che lavorano fino a tardi, alleviando le preoccupazioni legate alla cura dei figli.

[질병관리청][8.25.월.조간] 대한민국, 미래 공중보건 위기에 대비 세계보건기구 주관 합동외부평가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대한민국 정부가 WHO 합동외부평가를 통해 공중보건위기 대응 역량을 점검합니다.
이번 평가는 12개 부처가 참여하며, 메르스와 코로나19를 기반으로 강화된 보건안보 시스템을 국제적으로 검증받는 기회입니다.
질병관리청은 평가 결과를 토대로 국민 생명과 안전을 체계적으로 보호하는 국가계획을 준비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 평가를 통해 국제적 협력 강화와 국내 보건 체계 개선 가능성을 높이며,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South Korea is conducting the WHO Joint External Evaluation to assess its public health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The evaluation involves 12 ministries and serves as an opportunity to showcase the strengthened health security system built upon MERS and COVID-19 experiences.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lans to use the results to fortify national plans aimed at safeguarding citizens’ health and safety.
Summary This evaluation could enhanc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improve domestic health systems, contributing to better public protection.

日本語 韓国政府がWHO合同行外評価を通じて公衆衛生危機対応能力を検証します。
12省庁が参加し、MERSやCOVID-19を基に強化された保健安全システムが国際的に評価される機会となります。
韓国疾病管理庁は評価結果をもとに国民の生命と安全を守る国家計画を体系的に準備する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評価は国際協力の強化や国内保健システムの向上を可能にし、国民の健康保護への寄与が期待されます。

中文 韩国政府正在通过世界卫生组织(WHO)联合外部评价评估其公共卫生危机应对能力。
此次评价涉及12个部门,也是展示基于中东呼吸综合征(MERS)和新冠疫情经验强化的卫生安全系统的国际契机。
韩国疾病管理厅计划以评价结果为依据制定国家方案,系统性地保护国民生命与安全。
总评 此次评价有望加强国际合作并改善国内卫生系统,提升公共健康保障能力。

Italiano Il governo sudcoreano sta conducendo una valutazione esterna congiunta dell’OMS per verificare le capacità di risposta alle crisi sanitarie pubbliche.
L’analisi coinvolge 12 ministeri ed è un’occasione per mostrare il sistema sanitario rafforzato basato sulle esperienze di MERS e COVID-19.
L’Agenzia sud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utilizzerà i risultati per preparare piani nazionali a tutela della salute e sicurezza della popolazione.
Valutazione Questa valutazione può migliorare la collaborazione internazionale e rafforzare i sistemi sanitari nazionali, proteggendo meglio la salute pubblica.

[소방청]소방청, 생활 속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발생 주의 경고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은 최근 증가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화재예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5월부터 7월까지 배터리 화재 건수가 지속 증가했으며, 과충전, 불량 충전기 사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소방청은 대국민 홍보 강화와 교육을 통해 배터리 화재 예방과 안전한 사용 환경 조성에 나설 계획입니다.
총평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기기의 올바른 관리와 안전수칙 준수는 가정 내 화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Korean Fire Department announced new fire prevention measures following an increase in lithium-ion battery-related fires.
Cases of battery fires rose steadily from May to July, with overcharging and faulty chargers identified as major causes.
The department plans to enhance public awareness and education to prevent such incidents and improve safe usage practices.
Summary Proper management and adherence to safety guideline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lithium-ion battery-related fires at home.

日本語 韓国消防庁は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関連の火災増加を受け、火災予防対策を発表しました。
5月から7月にかけて火災件数が増加しており、過充電や不良充電器の使用が主な原因として指摘されています。
消防庁は広報活動と教育を強化し、バッテリー火災の防止と安全な使用環境の整備に取り組む計画です。
総評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の適切な管理と安全規則の順守が、家庭内の火災リスクを大幅に減少させます。

中文 韩国消防部门针对近期锂离子电池相关火灾的增加,宣布了预防措施。
从5月到7月,电池火灾案件持续上升,主要原因是过度充电和使用劣质充电器。
消防部门计划通过加强公共宣传和教育,防止此类事故并改善电池的安全使用环境。
总评 正确管理和遵守安全规则可以大幅降低锂离子电池引发火灾的风险。

Italiano Il Dipartimento dei Vigili del Fuoco in Corea ha annunciato nuove misure di prevenzione degli incendi in seguito all’aumento dei casi legati alle batterie al litio.
I casi di incendi sono aumentati da maggio a luglio, con sovraccarichi e caricabatterie difettosi tra le principali cause.
Il dipartimento prevede di rafforzare la sensibilizzazione pubblica e l’educazione per prevenire questi incidenti e migliorare le pratiche di uso sicuro.
Valutazione La gestione corretta e il rispetto delle linee guida per la sicurezza ridurranno notevolmente il rischio di incendi domestici legati alle batterie al litio.

[소방청]현장 구급대원 아이디어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한다 「시청각 안전장치」 전국 시범 적용 돌입!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소방연구원이 교차로 구급차 사고 예방을 위한 ‘시청각 안전장치’를 3개월간 시범 적용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장치는 로고라이트와 고출력 지향성 사이렌으로 구성되어 운전자들에게 시각 및 청각 경고를 제공해 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효과가 검증되면 전국 확대도 검토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 기술이 교차로 사고를 줄이고 긴급상황 발생 시 더욱 효율적인 구급활동을 가능하게 해 국민 안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National Fire Service Research Institute announced a three-month pilot application of the “Visual and Auditory Safety Device” to prevent ambulance accidents at intersections.
This device, consisting of logo lights and high-powered directional sirens, aims to reduce accident risks by providing visual and auditory warnings to drivers.
If proven effective, its nationwide expansion will be considered.
Summary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reduce intersection accidents and enhance efficient emergency responses, positively impacting public safety.

日本語 国立消防研究院は、交差点での救急車事故を防ぐために「視聴覚安全装置」を3か月間試験的に運用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装置はロゴライトと高出力指向性サイレンから成り、運転者に視覚と聴覚の警告を与え、事故リスクを低減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効果が検証されれば全国的な拡大も検討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技術は交差点での事故を減らし、緊急時の迅速な対応を可能にすることで、国民の安全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国家消防研究所宣布将试点应用“视听安全装置”三个月,以预防交叉路口的救护车事故。
该装置由激光图形投影灯和高功率定向警报器组成,旨在通过视觉与听觉警示减少事故风险。
如果证明有效,将考虑在全国范围内推广。
总评 这项技术有望显著降低交叉路口事故,并提高应急反应效率,对公共安全有积极贡献。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Ricerca sui Vigili del Fuoco ha annunciato l’applicazione sperimentale di tre mesi del “Dispositivo di Sicurezza Visiva e Uditiva” per prevenire incidenti agli incroci con ambulanze.
Il dispositivo, composto da luci con logo e sirene direzionali ad alta potenza, mira a ridurre i rischi di incidenti fornendo avvisi visivi e sonori agli automobilisti.
Se dimostrato efficace, si valuterà un’espansione a livello nazionale.
Valutazione Questa tecnologia potrà ridurre significativamente gli incidenti agli incroci e migliorare le risposte alle emergenze, contribuendo positivamente alla sicurezza pubblica.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내 AI 스타트업 뉴욕진출, 지혜를 모으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내 AI 스타트업이 뉴욕에 진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 진출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적인 협력과 투자 기회를 확대하려는 취지로 이루어졌습니다.
스타트업들이 새로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경우 국내 AI 산업의 국제적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진출은 국내 AI 기술이 해외에서 인정받는 기회로, 관련 산업 종사자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Korean AI startups are venturing into New York, seeking growth in the global market.
This expansion aims to leverage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ies to foste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attract investments.
If these startups successfully establish themselves, it is expected to elevate the global status of Korea’s AI industry.
Summary This move provides an opportunity for Korea’s AI technology to gain international recognition, potentially opening new avenues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日本語 韓国のAIスタートアップがニューヨークに進出し、グローバル市場での成長を目指しています。
この進出は、技術力を基に国際的な協力や投資の機会を拡大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スタートアップが新たな市場で成功すれば、国内AI産業の国際的な地位がさらに向上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進出は韓国のAI技術が海外で認められる機会となり、関係者に新たな可能性を提供すると見込まれます。

中文 韩国AI初创企业正在进军纽约,以寻求在全球市场的增长。
此次进军旨在利用技术优势,扩大国际合作与投资机会。
如果这些初创企业成功立足新市场,预计将进一步提高韩国AI产业的国际地位。
总评 此次进军为韩国AI技术获得国际认可提供了契机,有望为业内人士带来新的发展空间。

Italiano Le startup coreane di AI stanno espandendosi a New York, cercando di crescere nel mercato globale.
Questa espansione mira a sfruttare le loro capacità tecnologiche per favorire collaborazioni internazionali e attrarre investimenti.
Se queste startup riusciranno ad affermarsi, si prevede che aumenteranno il prestigio internazionale dell’industria AI coreana.
Valutazione Questo pass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il riconoscimento globale della tecnologia AI coreana, aprendo nuove prospettive per gli esperti del settore.

[환경부]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대상으로 기후적응 역량강화 교육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 국제 기후적응 교육을 제주국제연수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행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등 국제기구들과 공동으로, 아시아·태평양 12개국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기후적응 정책 사례와 보고서 작성 실습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국가들의 기후적응 역량을 강화하고,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 협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교육은 기후적응 국제협력에 실질적 기여를 함과 동시에, 한국의 우수 사례가 아시아 지역의 정책 개발에 영향을 줄 기회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that it will host the 2025 Asia-Pacific International Climate Adaptation Training at the Jeju International Training Center.
This event, co-organized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UNFCCC, will educate officials from 12 Asia-Pacific countries on Korea’s climate adaptation policies and include hands-on training for report preparation.
It aims to bolster climate adaptation capacities in the region and enhance global collaboration for meeting the Paris Agreement goals.
Summary This training offers a practical platfor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limate adaptation, while showcasing Korea’s leadership in this crucial area.

日本語 環境部は2025年アジア・太平洋国際気候適応教育を済州国際研修センターで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はUNFCCCなどの国際機関と共同で開催され、12ヶ国の担当者を対象に韓国の気候適応政策の事例や報告書作成の実践教育を提供します。
地域の気候適応能力の向上と、パリ協定目標達成のための国際協力を強化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教育は地域の実務能力向上に貢献するとともに、韓国の成功事例が他国の政策形成に影響を与える契機となるでしょう。

中文 环境部宣布将在济州国际研修中心举办2025年亚太国际气候适应培训活动。
此次活动由UNFCCC等国际组织联合主办,面向12个亚太国家的气候适应负责人,分享韩国政策经验并进行报告撰写实践培训。
活动旨在增强各国的气候适应能力,并深化全球合作共同实现巴黎协定目标。
总评 此培训将促进国际气候适应合作,同时凸显韩国在气候领域的政策引领作用。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annunciato che ospiterà la formazione internazionale sulla Adattamento Climatico Asia-Pacifico 2025 presso il Centro Internazionale di Formazione di Jeju.
Questo evento, organizzato con enti come l’UNFCCC, coinvolgerà funzionari di 12 paesi dell’Asia-Pacifico, condividendo esempi di politiche coreane e offrendo esercitazioni pratiche sulla redazione di rapporti.
L’obiettivo è rafforzare le capacità dei paesi nella gestione dei cambiamenti climatici e promuovere la cooperazione per gli obiettivi dell’Accordo di Parig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à favorire una collaborazione concreta a livello internazionale, valorizzando il ruolo chiave della Corea nello sviluppo delle politiche climatiche.

[환경부]2025년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공모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8월 25일부터 9월 23일까지 ‘2025년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을 공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대회는 기후위기로 인한 물 문제 해결과 디지털 물관리 전환을 위한 아이디어와 혁신 기업을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아이디어 부문과 사업화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선정된 기업들에는 상금, 사업화 자금, 전문교육, 전시 참여 등의 지원이 제공됩니다.
총평 물 문제 해결과 관련된 창업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게 실질적 기회를 제공하여, 문제 해결과 경제적 성장을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that it will hold the ‘2025 Korea Water Industry Innovation Startup Competition’ from August 25 to September 23.
The competition aims to gather ideas and discover innovative companies addressing water issue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digital water management transformation.
Winners will receive support including funding, training,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xhibitions to strengthen their business ideas.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a valuable platform for solving water-related problems while fostering economic growth through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日本語 環境部は8月25日から9月23日まで「2025年韓国水産業革新スタートアップ大会」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大会は気候危機による水問題の解決や水管理のデジタル化転換を目指し、革新的な企業やアイデアを発掘するために行われます。
受賞者には賞金や事業化資金、専門教育、展示会参加の支援が提供されます。
総評 水問題へ挑戦する革新的なアイデアと技術を支えることで、持続可能な経済成長と環境解決の両面にメリットがあります。

中文 环境部宣布将于8月25日至9月23日举办“2025年韩国水产业创新创业大赛”。
此次大赛旨在应对气候危机下的水资源问题,探索洪水、干旱及水管理数字化转型方面的创新企业和创意。
获奖者将获得包括资金、培训和展会参与在内的支持,以推动创新发展。
总评 借助此次大赛,水资源相关技术与创意能够获得实际支持,从而推动经济增长并缓解水资源问题。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annunciato il concorso “2025 Korea Water Industry Innovation Startup Competition”, che si terrà dal 25 agosto al 23 settembre.
L’evento mira a raccogliere idee e scoprire aziende innovative per affrontare problemi idrici come inondazioni, siccità e la trasformazione digitale della gestione dell’acqua.
I vincitori riceveranno finanziamenti, formazione e opportunità di partecipazione a fiere per rafforzare i loro progetti.
Valutazione Questo concorso offre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risolvere sfide ambientali e promuovere la crescita economica attraverso l’innovazione.

[보건복지부]청소년·청년 주도 ‘노담소셜클럽’, 노담문화 확산을 위한 활동 시작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8월 23일 서울에서 청소년·청년 주도 ‘노담소셜클럽’의 첫 활동을 알리는 발대식을 개최했습니다.
‘노담소셜클럽’은 비흡연 청년이 중심이 되어 비흡연을 긍정적인 문화로 확산시키기 위한 캠페인으로, 청소년과 청년 세대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운영됩니다.
총평 이 캠페인은 젊은 세대가 비흡연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스스로 건강한 생활을 선택하도록 돕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held a launch event on August 23 in Seoul for the ‘No-Dam Social Club,’ spearheaded by youth and young adults.
This campaign encourages participation from non-smoking youth, aiming to spread a positive, self-chosen culture of non-smoking through offline and online activities.
Summary This initiative supports young generations in embracing non-smoking as a healthy cultural norm while fostering voluntary participation.

日本語 保健福祉部と韓国健康増進開発院は8月23日、ソウルで青少年と若者が主導する『ノーダムソーシャルクラブ』の初活動発表会を開催しました。
このキャンペーンは非喫煙者である青少年と若者を中心に、自発的な参加を通じて非喫煙という文化を広め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若者が自主的に健康的な生活を選択しやすい環境を整える一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保健福利部和韩国健康促进开发院于8月23日在首尔举办了“无烟社交俱乐部”的首次活动发布仪式。
该活动由非吸烟的青少年和青年主导,旨在通过在线和线下活动推广非吸烟作为一种正面的文化选择。
总评 此活动为年轻一代创造了主动选择健康生活的新途径,让无烟文化更贴近生活。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i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hanno tenuto il 23 agosto a Seoul l’evento di lancio per il ‘No-Dam Social Club,’ guidato dai giovani.
La campagna mira a diffondere una cultura positiva del non-fumo, coinvolgendo giovani non-fumatori con attività sia online che offli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offre ai giovani strumenti per scegliere uno stile di vita sano, promuovendo una cultura del non-fumo condivisa e apprezzata.

[농림축산식품부]한우의 착한 가격은 가을에도 쭉~ 이어집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 25일부터 9월 5일까지 한우를 30~50%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소프라이즈 한우 할인행사’를 진행합니다.
행사는 대형 온라인몰, 하나로마트 519개소, 주요 대형마트 등에서 열리며, 품목은 등심, 양지, 불고기·국거리가 포함됩니다.
소비자 물가 부담 경감을 목적으로 시작된 이번 행사는 추석까지도 추가 할인 계획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할인행사는 고급 한우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will hold a ‘Surprise Hanwoo Discount Event’ from August 25 to September 5, offering Hanwoo beef at 30–50% discounts.
The event will take place at major online malls, 519 NongHyup Hanaro Marts, and other large supermarkets, covering items like sirloin, brisket, and bulgogi cuts.
This initiative aims to reduce consumer price burdens, with additional discounts planned for the Chuseok holiday season.
Summary This event provide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purchase premium Hanwoo beef at affordable prices, helping to ease consumer household expense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8月25日から9月5日まで、30~50%割引で韓牛を購入できる「ソプライズ韓牛割引イベント」を実施します。
このイベントは、大手オンラインモールや全国519店舗のハナロマート、主要な大型スーパーで行われ、対象商品はロース、ブリスケット、プルコギなどです。
消費者の価格負担軽減を目指す今回のイベントは、秋夕に向けた追加割引も計画されています。
総評 韓牛を手頃な価格で購入できる貴重な機会であり、家計の負担を軽減する一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将于8月25日至9月5日期间举办“惊喜韩牛特价活动”,韩牛将以30-50%的折扣销售。
此次活动将在主要购物平台、全国519家农协Hanaro超市及大型商超举行,涵盖牛里脊、胸肉、炒牛肉等品种。
此活动旨在减轻消费者物价压力,另有计划在秋夕继续推出优惠措施。
总评 此次活动为消费者提供了以实惠价格购买高品质韩牛的机会,有助于缓解家庭消费压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e delle Politiche Alimentari organizzerà dal 25 agosto al 5 settembre un evento promozionale chiamato “Sorpresa Hanwoo”, offrendo carne di Hanwoo con sconti dal 30 al 50%.
L’evento si terrà in grandi negozi online, 519 supermercati NongHyup Hanaro e principali supermercati, includendo tagli come lombata, petto e carne per bulgogi.
L’iniziativa mira ad alleviare il peso dei prezzi al consumo, con ulteriori sconti previsti per la stagione delle festività di Chuseok.
Valutazione Questa promozione è un’ottima occasione per acquistare carne di Hanwoo di alta qualità a prezzi convenienti, contribuendo a ridurre la pressione sui bilanci familiari.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너지슈퍼위크 25일 개막, 전 세계 에너지 리더 부산 집결

요약보기
한국어 에너지슈퍼위크가 25일 부산에서 개막하며, 전 세계 에너지 리더들이 모여 글로벌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합니다.
행사는 다양한 세미나와 토론으로 구성되어 에너지 혁신 및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에너지 정책과 기술 발전 동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개인과 기업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데 유익합니다.

English The Energy Super Week begins in Busan on the 25th, gathering global energy leaders to discuss solutions for worldwide energy challenges.
The event includes seminars and discussions aiming to explore energy innovations and sustainable future strategies.
Summary This event can help understand energy policies and trends, supporting individuals and businesses in transitioning toward sustainable energy use.

日本語 エネルギースーパーウィークが25日に釜山で開幕し、世界のエネルギーリーダーたちが集まり、グローバルなエネルギー問題の解決策を議論します。
イベントは様々なセミナーや討論を通じてエネルギー革新と持続可能な未来のあり方を模索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イベントはエネルギー政策や技術の動向を理解し、個人や企業が持続可能なエネルギー移行を準備するための有意義な機会です。

中文 能源超级周将于25日在釜山开幕,全球能源领导者齐聚一堂,共同探讨解决全球能源问题的方案。
活动包括多种研讨会与讨论,旨在发掘能源创新与可持续未来策略。
总评 此活动有助于了解能源政策及技术趋势,为个人和企业向可持续能源转型提供指导。

Italiano La Energy Super Week inizierà il 25 a Busan, riunendo leader globali del settore energetico per discutere soluzioni alle sfide energetiche mondiali.
L’evento include seminari e discussioni dedicati a esplorare le innovazioni energetiche e le strategie per un futuro sostenibile.
Valutazione Questo event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comprendere le politiche energetiche e aiutare individui e aziende a muoversi verso l’uso di energia sostenibile.

[해양수산부]2025년 국제해양법 모의재판대회, 식사동학파팀(연세대·서울대연합) 우승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8월 22일 고려대에서 ‘2025년 국제해양법 모의재판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연세대-서울대 연합팀 ‘식사동학파’가 우승을 차지하며 해양수산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참가자들은 유엔해양법협약(UNCLOS)에 근거하여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 군사활동’을 두고 법적 논쟁을 벌였다.
총평 국제해양법을 실제로 적용해보는 경험은 관련 분야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유익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osted the ‘2025 International Maritime Law Moot Court Competition’ at Korea University on August 22.
The joint team ‘Siksadong Hakpa’ from Yonsei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won the competition and received the Minister’s Award.
Participants debated legal issues related to ‘military activitie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based 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Summary This competition provides students with a practical opportunity to apply maritime law, fostering confidence and shaping their future careers.

日本語 海洋水産部は8月22日、韓国大学で「2025年国際海洋法模擬裁判大会」を開催しました。
延世大学とソウル大学の連合チーム「シクサドン学派」が優勝し、海洋水産部長官賞を受賞しました。
参加者たちは「排他的経済水域での軍事活動」をテーマに国連海洋法条約(UNCLOS)に基づいた法的論争を行いました。
総評 この大会は国際海洋法の適用経験を積む貴重な機会で、学生のキャリア形成に役立ちます。

中文 韩国海洋水产部于8月22日在高丽大学举办了“2025年国际海洋法模拟法庭大赛”。
由延世大学和首尔大学联合组成的“食寺洞学派”团队获得了冠军,并荣获海洋水产部长官奖。
参赛者们围绕“专属经济区的军事活动”议题,依据《联合国海洋法公约》(UNCLOS)展开了激烈辩论。
总评 此比赛为学生提供了实践海洋法的宝贵机会,有助于明确未来职业方向。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organizzato il “Concorso di Moot Court di Diritto Marittimo Internazionale 2025” il 22 agosto presso l’Università della Corea.
La squadra congiunta “Siksadong Hakpa” dell’Università Yonsei e dell’Università Nazionale di Seoul ha vinto il concorso, ricevendo il premio del Ministro.
I partecipanti hanno dibattuto su questioni legali relative alle “attività militari nella Zona Economica Esclusiva (EEZ)” basandosi sulla Convenzione delle Nazioni Unite sul Diritto del Mare (UNCLOS).
Valutazione Questa competizione offre un’opportunità pratica per applicare il diritto marittimo, aiutando gli studenti a orientarsi meglio nella loro carriera futura.

[해양수산부]국민과 함께하는 2025년 해양 안전 콘텐츠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은 8월 25일부터 10월 23일까지 ‘2025 해양안전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올해부터는 창의적인 콘텐츠 발굴을 위해 AI 생성 창작물 분야가 포함되었으며, 총 31명에게 상금과 상장이 수여됩니다.
수상작들은 해양안전 홍보와 교육 목적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공모전은 AI 기술을 활용해 해양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Korea Coast Guard announced the ‘2025 Maritime Safety Content Contest,’ open from August 25 to October 23.
This year, AI-generated creations were included as a new category to discover innovative ideas, with prizes awarded to 31 participants.
Winning entries will be used for maritime safety promotion and education.
Summary This contest is expected to enhance public interest in maritime safety and integrate innovative ideas, including AI-based creations, into policy-making.

日本語 海洋水産部と海洋警察庁は8月25日から10月23日まで、「2025海洋安全コンテンツ公募展」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今年からAI生成創作品部門が新たに追加され、31名の受賞者に賞金と賞状が授与されます。
受賞作品は海洋安全の広報や教育目的で活用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公募展は、AI技術を活用して海洋安全への関心を高め、革新的なアイデアを政策に反映する取り組みに繋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海洋水产部和海警厅宣布,将于8月25日至10月23日举办“2025年海洋安全内容征集大赛”。
今年首次新增了AI生成创作类别,以发掘创新内容,总共有31名参赛者将获得奖金和奖状。
获奖作品将用于海洋安全的宣传和教育活动。
总评 此次大赛通过引入AI技术,预计将提高公众对海洋安全的关注度,并将创新想法融入政策发展中。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e la Guardia Costiera Coreana hanno annunciato il concorso “2025 Contenuti sulla Sicurezza Marittima,” aperto dal 25 agosto al 23 ottobre.
Quest’anno è stata aggiunta una nuova categoria per le creazioni generate da AI, con premi assegnati a 31 partecipanti.
I lavori premiati saranno utilizzati per la promozione e l’educazione alla sicurezza marittima.
Valutazione Questo concorso mira a sensibilizzare il pubblico sulla sicurezza marittima e a integrare idee innovative, comprese quelle basate su AI, nelle politiche future.

[해양수산부]추석 대비 선원 임금체불 예방 및 밀린 임금 지급을 위한 특별근로감독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8월 28일부터 9월 26일까지 선원 임금 체불 예방과 밀린 임금 지급을 위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합니다.
특히 체불이 자주 발생하거나 우려되는 사업장을 집중 점검하며, 명절 전 임금 지급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체불 임금 해소를 위해 법적 지원과 관련 기금도 활용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선원들의 생계와 안정적 명절 준비를 지원함으로써 취약한 노동 여건을 개선할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ill conduct special labor inspections from August 28 to September 26 to prevent and address wage delays for sailors.
Focus will be on frequent offenders and businesses prone to delays, ensuring wages are paid before the holiday.
Legal support and dedicated funds will also be available to assist workers.
Summary This initiative helps sailors secure their wages and prepare for the holiday,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t sea.

日本語 海洋水産部は8月28日から9月26日まで、船員の給与未払防止と未払給与の支給を目的とした特別労働監督を実施します。
給与未払が頻発する事業所やその懸念がある企業を重点的に調査し、名節前の給与支給を目指します。
また法的支援や関連基金も活用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船員の生活を守り、安定した名節準備を支援することで労働環境の改善に寄与します。

中文 海洋水产部从8月28日至9月26日开展专项劳动检查,以预防和解决船员工资拖欠问题。
重点检查经常拖欠工资或存在拖欠风险的企业,确保工资在节日前发放。
相关基金和法律支持措施也将提供帮助。
总评 此举将改善船员的经济状况,帮助他们安心准备节日,并优化海上工作环境。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condurrà ispezioni straordinarie dal 28 agosto al 26 settembre per prevenire e risolvere il ritardo nei pagamenti ai marinai.
Le verifiche si concentreranno su aziende con ripetuti problemi di pagamento o rischio di ritardi, garantendo il versamento prima delle festività.
Saranno inoltre attivate misure di supporto legale e fondi dedicat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iuterà i marinai a recuperare le loro retribuzioni in tempo, favorendo una maggiore sicurezza finanziaria per le festività.

[농림축산식품부]농관원, 휴가철 축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업체 329개소 적발

요약보기
한국어 농관원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축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 단속을 통해 329개 업체를 적발했습니다.
특히 흑염소와 오리고기에 대한 위반 사례가 대폭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형사입건 및 과태료 부과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추석을 대비해 앞으로도 원산지 관리가 강화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단속은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먹거리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며, 위반 사례 감소를 통한 시장 투명성 확보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conducted special inspections on livestock product origin labeling during the summer vacation season, uncovering 329 violations.
Cases involving black goat and duck meat saw significant increases, leading to criminal charges and fines for offenders.
NAQS plans to continue strengthening origin labeling management, especially ahead of Chuseok.
Summary This enforcement aims to ensure consumer trust in food safety and improve market transparency by reducing labeling violations.

日本語 農産物品質管理院は、夏休みのシーズンを迎え、畜産物の原産地表示特別取り締まりを実施し、329業者の違反を摘発しました。
特に黒ヤギ肉と鴨肉に関する違反が大幅に増加し、刑事告発や罰金の処置が行われました。
今後も、原産地表示管理は秋夕を控え強化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取り締まりは、消費者が安心して食品を購入できる環境作りと市場の透明性向上に寄与します。

中文 国家农产品质量管理院在暑假期间对畜产品原产地标识进行了专项检查,查获了329家违规企业。
特别是黑山羊肉和鸭肉的违规案例大幅增加,涉及企业被刑事立案或罚款。
中秋节前夕,原产地管理将继续得到强化。
总评 此次执法有助于确保食品安全透明,提升消费者对市场的信任。

Italiano Il Servizio Nazionale per la Qualità dei Prodotti Agricoli ha condotto ispezioni speciali sull’origine delle carni durante il periodo delle vacanze estive, rilevando 329 violazioni.
Particolarmente evidenziati sono stati gli aumenti dei casi relativi a carne di capra e anatra, con conseguenti sanzioni penali e multe.
La gestione dei controlli sarà ulteriormente intensificata in vista della festività di Chuseok.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ontribuisce a garantire la sicurezza alimentare e a rafforzare la fiducia nel mercato da parte dei consumatori.

[기획재정부]아시아개발은행 한국 기후기술허브(ADB K-Hub) 설립협정문 서명

요약보기
한국어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아시아개발은행 총재와 화상 면담을 진행하며, 한국 기후기술허브(K-Hub) 설립에 관한 협정문에 서명했습니다.
이 허브는 기후 변화 대응과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총평 K-Hub 설립은 한국이 글로벌 기후 기술 분야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conomy and Finance Gu Yoon-cheol held a virtual meeting with ADB President Kanda Masato on August 22 at the Seoul Government Complex.
During the meeting, he signed an agre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Climate Technology Hub (K-Hub) aimed at tackling climate change and promoting technology development.
Summary The establishment of K-Hub is expected to enhance Korea’s global leadership in climate technology while boosting related industries.

日本語 グ・ユンチョル副首相兼企画財政部長官は、8月22日政府ソウル庁舎でアジア開発銀行総裁とオンライン会談を行い、韓国気候技術ハブ(K-Hub)設立に関する協定文に署名しました。
K-Hubは気候変動対応と技術開発支援の中心的役割を担う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K-Hubの設立は、韓国がグローバルな気候技術分野でリーダーシップを強化し、関連産業の活性化につながると予測されます。

中文 韩国副总理兼企划财政部长官具允哲于8月22日在首尔政府大楼与亚洲开发银行总裁举行线上会谈。
他签署了关于韩国气候技术中心(K-Hub)的成立协议,该中心旨在应对气候变化并促进技术开发。
总评 K-Hub的成立预计将强化韩国在全球气候技术领域的领导地位,同时促进相关产业的发展。

Italiano Il Vice Primo Ministro e Minist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Gu Yoon-cheol ha tenuto un incontro virtuale con il Presidente della Banca Asiatica di Sviluppo, Kanda Masato, il 22 agosto presso il Complesso Governativo di Seoul.
Durante l’incontro ha firmato un accordo per la creazione del Korea Climate Technology Hub (K-Hub), un centro volto a affrontare i cambiamenti climatici e promuovere lo sviluppo tecnologico.
Valutazione La creazione di K-Hub rafforzerà la leadership della Corea nel campo delle tecnologie climatiche globali e stimolerà la crescita di settori correlati.

요약

[보건복지부]법무부-보건복지부, 지역 노인돌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선정 결과 발표
발행일: 2025-08-24 05:05

원문보기
### 법무부·보건복지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을 위한 대학 24곳 선정

법무부와 보건복지부는 2026년 요양보호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24곳을 최종 선정했습니다.

### 주요 내용

####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제도**
이 제도는 국내 돌봄 인력난 해소를 목표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해 체계적인 학위 과정 운영을 통해 요양보호사로 양성하는 정책입니다.
– **운영 절차**: 유학생 모집 → 학위과정 운영 → 자격 취득 → 취업 지원
– **기간**: 2026~2027년 시범 운영

#### **선정 과정**
– 13개 광역지자체에서 추천한 대학 중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를 통해 최종 24곳 선정.
– 대구·대전은 추천 대학이 없었으며, 세종·강원에서는 신청 자체가 없었습니다.

#### **교육 내용과 자격 조건**
– 맞춤형 한국어 교육과 요양보호사 양성 학위를 진행.
– 요양보호사로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 각 대학은 광역지자체로부터 **「노인복지법」에 따른 요양보호사교육기관** 지정을 받아야 함.

#### **대학에 제공되는 혜택**
1. **비자 요건 완화**: 유학생 전담학과에 입학하는 학생의 비자 발급 지원 요건 완화.
2. **운영기관 우대**: 해당 대학이 법무부의 조기적응프로그램 및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선정 과정에서 우대.

#### **점검 및 평가**
– 시범사업 기간 동안 매 학기 ‘자체평가’를 의무적으로 실시.
– 법무부와 보건복지부는 시범사업 종료 시 성과 평가를 통해 정식사업 전환 여부를 결정.

### 기대 효과와 장관 발언

– **정성호 법무부 장관**: “지역 대학이 필요 인력을 직접 양성해 돌봄 인력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이 제도는 요양보호사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 국민들이 안심하며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 앞으로의 계획
보건복지부는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에도 초점을 맞춰 돌봄 인력을 현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계속할 방침입니다.

**참고**: 세부 대학 명단은 붙임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햇빛을 통한 소득창출 마을현장 방문
발행일: 2025-08-24 05:00

원문보기
### “햇빛소득마을: 농촌 재생에너지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다”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지난 8월 24일, 경기도 여주시 구양리에 위치한 ‘마을태양광 발전소’를 방문하여 태양광 기반의 마을공동체 모델에 대한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했습니다.

#### **’마을태양광 발전소’의 성공 사례**
구양리 마을의 태양광 발전소는 2022년 산업부의 ‘햇빛두레 발전소’ 시범사업 지원을 통해 조성된 1MW 규모의 발전시설입니다. 이 발전설비는 마을회관, 체육시설, 마을창고, 잡종지와 같은 마을 공동 소유 공간을 활용해 설치되었습니다.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마을협동조합이 관리하며, 이 자금은 마을식당 무료 급식운영, 행복버스 운행 등 주민 복지사업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주민 주도형 마을태양광 사업의 성공 사례로 꼽히며, 다른 지역에도 지속 가능한 농촌 발전 모델로서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 **새 정부의 ‘햇빛소득마을’ 정책**
송미령 장관의 방문과 함께 이번 사례는 정부가 추진 중인 ‘햇빛소득마을 500개 조성’ 국정 과제와 맞물려 있습니다. 이 정책의 핵심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농지, 저수지 등 자연부지를 활용하여 공동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그 수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것입니다. 특히, **영농형 태양광**을 통해 농업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함으로써 농지의 본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발전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을 적극 도입할 예정입니다.

#### **주민 갈등 해소와 과제**
하지만 태양광 발전 시설을 둘러싼 일부 주민들의 우려도 존재합니다. 경관 훼손, 발전 수익의 외부 유출 가능성 등은 ‘햇빛소득마을’ 활성화의 잠재적 장애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이에 대해 송미령 장관은 농업인과 농촌 주민이 사업의 주체가 되는 체계적인 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해 갈등을 최소화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 **농촌 재생에너지 확산과 통합적 접근**
농식품부는 재생에너지지구 내 농지 및 농업법인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영농형 태양광 시설의 규모와 집적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 외에도 풍력, 바이오에너지 등 다양한 재생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추진함으로써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 **미래를 위한 비전**
송미령 장관은 “햇빛소득마을과 같은 재생에너지 사업 모델은 단순히 에너지 공급에 그치지 않고, 농촌소멸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농촌 주민 모두가 실질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이번 구양리의 성공 사례는 농촌 재생에너지의 가능성을 현실화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됩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주민 주도의 참여로 농촌 지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결론:** 송미령 장관의 구양리 방문과 더불어 새 정부의 ‘햇빛소득마을’ 정책은 농촌 지역에 재생에너지라는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발전소 운영 수익이 주민 복지와 지역 발전으로 환원되는 이러한 사례는 앞으로 더 많은 농촌 지역으로 확산될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 중증 고난도 치료역량 제고를 통해 지역 필수 공공의료 강화
발행일: 2025-08-24 03:05

원문보기
### 국립대병원 및 권역책임의료기관, 중증 치료 역량 강화로 지역 의료 격차 해소

보건복지부는 국립대병원과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중증 질환 치료 역량 강화를 목표로 시설과 장비에 759억 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중요한 투자로, 2025년까지 총 2,03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역할 확대와 지원 배경
권역책임의료기관은 중증·고난도 필수 진료 제공 및 권역 내 의료기관 간 협력을 추진하는 거점 병원입니다. 2019년부터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지정이 시작되어, 현재 전국 17개 시·도에 배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사업은 병원의 치료 시설 및 장비를 현대화하여 지역 내 필수의료 격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지원 내용과 주요 성과
– **예산 집행:** 보건복지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공모를 진행했으며, 전문가 평가를 통해 1,898억 원(국비 759억 원)의 지원을 최종 결정했습니다.
– **주요 지원 사례:**
– **강원대학교병원:** 첨단 로봇수술기를 도입하고, 서울의 대형 병원에서 전문의를 초빙해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
– **전남대학교병원:** 중환자실 내 음압격리병상을 확충해 고위험 감염병 환자 치료 역량 강화.
– **여타 병원들:** 수술실 확충 및 중환자실 인프라 확대를 통해 응급·중증환자 최종 치료 역량 강화.

이를 통해 권역 내 중증 치료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의 치료 가능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앞으로의 계획
9월부터는 3차 공모를 통해 광주·전남 등 예산이 충족되지 못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서를 접수받아 추가 지원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미래의 방향과 정책 통합
보건복지부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지역 국립대병원의 특화된 연구개발(R&D) 지원 및 국립의대 전임교원 증원, 인건비와 관련된 규제 개선 등을 통해 의료·연구·교육 분야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정책적 의의
이번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장비 지원 사업은 지역 의료 격차 완화 및 의료 시스템 강화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체계를 통해 지역 의료체계 책임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강화된 임상 역량을 기반으로 지역 필수 의료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 의료 격차를 조속히 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보건복지부]아동 돌봄 이용 부모 64%, 야간 긴급상황 발생 대비 공적돌봄 구축 필요성 공감
발행일: 2025-08-24 03:05

원문보기
### **아동 돌봄 시스템, 야간 긴급상황 대비 공적 돌봄 체계 필요성 대두**
– **64% 부모, “20시 이후 아동 공적 돌봄 서비스 필요” 응답 -**

보건복지부는 초등 방과 후 마을돌봄시설의 20시 이후 연장 돌봄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부산 아파트 화재 아동사망 사건과 같은 긴급상황에 대한 대비책 마련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에 전국의 부모 2만 5천여 명이 참여했다.

### **주요 설문 결과**
1. **긴급상황 대비 돌봄 요구도:**
– 응답자의 64.4%가 야간 긴급상황에 대해 **공적 돌봄 서비스** 구축의 필요성에 동의했다.
– 현재 긴급상황 발생 시 대부분 부모가 ‘친척·이웃 도움'(57.8%)에 의존하거나,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경우(‘계획 없음’, 25.1%)가 다수를 차지했다.

2. **돌봄 시간대별 수요:**
– 돌봄 공백 시간대는 주로 **16시~19시**에 집중.
– 20시 이후의 수요는 다소 낮지만, 야간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음.

3. **돌봄 서비스 방식 선호도:**
– 부모들은 **센터 연장 돌봄(22시까지)**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였다(41.7%).
– 그 뒤를 **재가방문 서비스(28%)**, 친척·이웃 돌봄 강화 순으로 선호했다.

4. **선호되는 귀가 시간:**
– 야간 돌봄 서비스라 하더라도 **밤 12시 전(前) 귀가**나 **재가방문 서비스**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남.

### **정부의 정책 준비 방향**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야간 돌봄 서비스 확대를 검토 중이다. 현재 전국 218개 마을돌봄시설에서 시범 운영 중인 **22시까지 연장 운영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관계 부처와 협력해 **공적 야간 돌봄체계 강화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전망 및 의미**
이번 수요조사를 통해 부모들이 상시 돌봄보다는 긴급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공적 야간 돌봄 서비스 체계**를 원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논의는 최근의 돌봄 공백 문제와 위험 상황을 방지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희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야간까지 생업에 종사해야 하거나, 긴급상황 시에라도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부모의 마음을 안심시킬 수 있는 실질적 돌봄 체계 구축과 함께,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돌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정착되길 기대해본다.*

[질병관리청][8.25.월.조간] 대한민국, 미래 공중보건 위기에 대비 세계보건기구 주관 합동외부평가 실시
발행일: 2025-08-24 03:00

원문보기
### 대한민국, 미래 공중보건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WHO 합동외부평가 실시

질병관리청은 대한민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 역량을 점검하고 미래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하는 **합동외부평가(JEE)**를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대한민국이 **메르스(2015년)**와 **코로나19**를 통해 강화한 보건안보체계를 국제적으로 검증받고, 향후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다.

### WHO 합동외부평가란?
WHO 합동외부평가(JEE)는 국제보건규칙에 따라 회원국들의 **공중보건 위기 대비·대응 역량**을 평가하고 개선안을 권고하는 방식의 국제적 평가다. WHO는 **5년 주기**로 이 평가를 시행하며, 이는 각국의 보건체계 취약점을 식별하고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한민국은 지난 **2017년 1차 평가**를 받은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8년 만에 2차 평가를 받게 되었다.

### 대한민국 보건안보 시스템의 강화
2017년 평가 당시, 한국은 메르스를 계기로 개편된 방역체계로 높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이후 WHO의 권고를 반영해 긴급상황센터(EOC) 구축, 즉각대응팀 운영, 음압병상 확대 등으로 보건안보 역량을 강화해왔다. 특히,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통해 얻은 교훈과 발전이 이번 평가에 반영될 예정이다.

한국 정부는 신종감염병 뿐만 아니라 식품안전, 방사능, 화학물질 사고 등 다양한 보건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범부처 협력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해왔다.

### 2차 평가 진행 방식
– 평가단: WHO 및 7개국(프랑스, 호주, 핀란드, 중국, 일본, 싱가포르, 아르헨티나)의 전문가 총 14명.
– 평가 항목: 공중보건 위기관리, 인수공통감염병, 항생제내성 등 **19개 분야**.
– 참여 기관: 질병관리청, 환경부, 식약처, 원안위 등 **12개 부처**의 대표자들이 함께한다.

평가 방식으로는 대한민국의 **자체평가보고서(Self Assessment Report)**를 기반으로 서면 심사, 발표 및 질의응답, 토론을 거쳐 평가 점수가 확정된다. 또한, 평가 2일차에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천안시 서북구보건소, 김해공항검역소 등 주요 현장을 방문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협업 체계를 점검할 예정이다.

### 평가 결과와 향후 계획
평가가 끝난 후, 합동외부평가단은 한국의 공중보건 체계에 대한 개선 권고를 제시하며, 평가 결과는 WHO 홈페이지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된다. 질병관리청은 이를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보건위기 대응 역량을 더욱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 전문가의 기대와 평가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WHO 합동외부평가는 한국의 보건위기 대응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일 뿐만 아니라 미래 공중보건 위협에 대비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수한 사례는 공유하고, 취약점은 신속히 보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평가는 대한민국 보건 시스템이 국내외적 신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방청]소방청, 생활 속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발생 주의 경고
발행일: 2025-08-24 03:00

원문보기
### 소방청,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예방 경고…안전 수칙 준수 당부

소방청은 최근 생활 속에서 리튬이온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화재 예방을 위한 대국민 경고와 홍보를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증가하는 추세**
최근 몇 달간 리튬이온배터리 사용과 관련된 화재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화재 건수는 ▲ 2025년 5월 49건 ▲ 6월 51건 ▲ 7월 67건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화재의 주요 원인은 △과충전 △불량 충전기 사용 △동시 충전 등의 부주의 상황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특히, 8월에 발생한 두 건의 아파트 화재는 인명 피해로 이어져 심각성을 더했습니다.
– **8월 17일, 서울 마포구 창전동:** 전동스쿠터 배터리 열폭주로 추정되는 화재로 사망 2명, 중상 1명 등 총 18명의 인명피해가 발생.
– **8월 19일, 경기 동두천시:** 캠핑용 배터리 충전 중 열폭주로 인한 화재로 6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 치료를 받음.

#### **소방청의 대응 방안**
소방청은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1. **홍보 강화:**
– 방송사 재난 자막 송출 및 언론 보도자료 배포.
– 아파트 승강기 영상, 소방서 전광판, 관리사무소 게시판 등 생활 밀접 매체 활용.
– 모바일 플랫폼(예: 아파트아이·PASS)을 통한 홍보자료 제공으로 접근성 확대.

2. **교육 활동 확대:**
–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및 재난 대비 특별강좌 운영.
– 화재 예방 수칙에 대한 대국민 캠페인 지속 추진.

#### **안전 사용을 위한 주요 수칙**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리튬이온배터리는 편리하지만 잘못 사용할 경우 대형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안전 수칙을 강조했습니다.
– **충전이 끝난 후 전원 분리:**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면 반드시 전원을 차단할 것.
– **장시간 방치 금지:** 충전 중 배터리를 방치하거나 외출·수면 시간에 충전을 하지 말 것.
– **불량 충전기 사용 금지:** 정품 충전기를 사용해 과충전 등 화재 위험을 방지할 것.

#### **결론**
리튬이온배터리는 현대 생활에 필수적이지만, 안전한 사용 없이는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동참해야 하며, 소방청의 예방 캠페인에 많은 관심과 협조가 요구됩니다.

[소방청]현장 구급대원 아이디어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한다 「시청각 안전장치」 전국 시범 적용 돌입!
발행일: 2025-08-24 03:00

원문보기
### **현장 구급대원 아이디어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한다!**

최근 국립소방연구원이 구급차 교통사고 예방을 목표로 새로운 기술을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술은 현장 구급대원이 제안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으며, 시청각 안전장치라는 이름으로 연구개발을 거쳐 실증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국민의 안전을 강화하고, 구급차 출동 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시청각 안전장치’란?**

이 안전장치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1. **로고라이트**
– 구급차가 야간 교차로에 진입할 때 도로에 ‘구급차 접근’ 문구를 투영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장치입니다.
–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반응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2. **고출력 지향성 사이렌**
– 특정 방향으로 음향을 강력하게 방사하는 장치로, 기존 사이렌보다 더 멀리, 더 선명하게 소리를 전달합니다.
– 주·야간 관계없이 명확한 경고음을 통해 운전자들의 즉각적인 반응을 도모합니다.

이 두 가지 장치는 시청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교차로 사고의 위험 요소를 줄이고 구급차의 신속한 이동을 지원합니다.

### **효과성과 연구 결과**

국립소방연구원은 다양한 실험과 분석을 통해 시청각 안전장치의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 **소음 간섭 실험:** 고출력 지향성 사이렌은 25m 떨어진 거리에서도 배경 소음과 명확히 구분 가능해 기존 사이렌의 약점을 보완했습니다.
– **주행 시뮬레이션 실험:** 로고라이트를 활용한 가상 주행 실험에서는 운전자의 인지 반응 시간이 평균 14.6% 단축되어 사고 예방에 기여할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 **현장 아이디어에서 정책으로**

현장 소방대원들이 제안한 이 기술은 소방청 R&D 경진대회에서 최우수 아이디어로 수상한 뒤, 국립소방연구원의 협력 하에 실현되었습니다. 이는 현장 경험에 기댄 해결책이 연구개발로 이어져 정책화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시범 사업과 앞으로의 방향**

이번 시청각 안전장치는 인천, 충북, 전남 등 총 3개 시도의 4개군에서 구급차 7대를 대상으로 3개월간의 시범 운영이 진행됩니다. 실증 과정에서는 △사고 발생률 △일반 운전자의 인식도 △구급대원의 만족도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전국 확대 여부를 검토합니다.

**국립소방연구원의 김연상 원장**은 “시범 적용을 통해 구급차 교통사고 발생률을 현저히 줄이는 것은 물론, 응급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기반을 다질 것”이라며 연구개발 의지를 밝혔습니다.

### **결론**

‘구급차 시청각 안전장치’는 혁신적인 구급 시스템 개선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기술적 발전을 넘어, 현장의 아이디어가 국민의 안전까지 보호하는 모범적인 정책 사례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내 AI 스타트업 뉴욕진출, 지혜를 모으다
발행일: 2025-08-24 03:00

원문보기
제공해주신 정보를 바탕으로 보아, 국내 AI 스타트업이 뉴욕으로 진출한다는 보도자료인 것 같습니다. 첨부파일이 포함되어 있어 세부적인 내용은 직접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 자료가 즉시 확인되지 않으므로, 보도자료 내용을 요약하거나 다룰 수 있는 준비된 상세 정보는 없습니다.

다만, 비슷한 주제와 관련해서 일반적인 내용으로 언급하자면, 국내 AI 스타트업이 뉴욕에 진출한다는 소식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추진하는 흐름의 하나로 보입니다. 이런 진출은 미국 내 스타트업 허브 및 글로벌 네트워크와 기술 협력 기회뿐 아니라, 혁신 기술을 더 큰 국제 무대에서 테스트하고 상용화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큽니다.

원하신다면 첨부 파일을 확인한 후 보다 구체적으로 도움을 드릴 수 있으니, 추가 정보를 제공 부탁드립니다.

[환경부]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대상으로 기후적응 역량강화 교육 실시
발행일: 2025-08-24 03:00

원문보기
### 2025년 아시아·태평양 국제 기후적응 교육, 제주에서 개최

환경부는 유엔훈련연구기구(UNITAR) 제주국제연수센터에서 2025년 아시아·태평양 국제 기후적응 교육을 개최한다고 8월 25일 밝혔다. 이 교육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12개국 20명의 기후적응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후적응 정책 사례 공유와 국가 보고서 작성 실습을 포함한다.

#### **주요 내용 및 배경**
– **행사 주관**: 환경부 주최,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한국환경연구원, 유엔환경계획 코펜하겐 기후센터 등 공동 주관.
– **목적**: 격년투명성보고서(BTR) 작성 경험 공유 및 기후적응 역량 강화.
– **보고 의무**: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은 2024년부터 BTR를 2년마다 제출해야 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이 적응보고서 제출을 권고하고 있다.

#### **한국의 역할과 성과**
– 2009년부터 기후적응 역량강화 교육 제공, 2021년부터 UNFCCC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
– 첫 국내 개최를 통해 국제적 협력 확대 및 교육 실효성 제고.
– 대한민국은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및 제1차 격년투명성보고서 제출 경험 보유.

#### **향후 기대 효과**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국제사회의 기후적응 협력을 강화하고, 파리협정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한국의 정책적 리더십과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행사는 각국의 기후 정책 개선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후 대응 역량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환경부]2025년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공모
발행일: 2025-08-24 03:00

원문보기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물관리 혁신 공모전, 2025년 도약 준비**

**환경부,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개최… 창의적 아이디어와 혁신 기술 발굴**

환경부는 기후위기로 인해 심화되는 물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적인 물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오는 **8월 25일부터 9월 23일까지 ‘2025년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공모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은 이 대회는 **홍수, 가뭄, 녹조** 같은 현안 문제, 물관리 디지털 전환 등 국민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모아 지속 가능한 물산업 혁신을 도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 **공모전 개요 및 진행 절차**

공모전은 두 개의 부문으로 나뉜다:
1. **아이디어 부문**: 일반인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물관리 아이디어를 모집
2. **사업화 부문**: 창업 기업이 참가해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

참가자들은 도시침수 방지를 위한 시설 개선, 녹조 관리 방법, 물 절약 방안, **미세플라스틱 및 과불화화합물(PFAS) 제거 기술** 등 물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제시할 수 있다.

**평가 절차**
– 1차 서류심사 → 2차 발표평가를 거쳐 부문별 9개 팀 선정
– **발표 역량 및 사업계획 강화를 위한 ‘부트캠프’ 교육 제공**
– 11월, 최종 경연을 통해 최종 4개 팀 선발

### **풍부한 지원과 실질적 성과**

최종 선발된 팀에는 다음 지원이 제공된다:
– **환경부 장관상 수여**
– 최대 **2,000만 원의 사업화 자금 또는 상금 지원**
– 특허청, 창업진흥원 등과 협력한 **특허·마케팅 전문교육 및 국내외 전시회 참여**

지난 5년 동안 이 프로그램은 73개 혁신 기업을 탄생시켰으며, 이들이 2022년까지 매출 **962억 원**, 투자유치 **535억 원**, **464명의 고용 창출**이라는 성과를 냈다.

### **미래 물산업의 방향성**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이번 공모전에서 발굴된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가 창업으로 이어져 기후위기로 인한 물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며, “정부는 지속적인 성장 지원으로 물산업 생태계 발전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 위기의 심화로 물 문제 해결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2025년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은 국민의 참여로 해결책을 모색하며 혁신적 물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발판이 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청소년·청년 주도 ‘노담소셜클럽’, 노담문화 확산을 위한 활동 시작
발행일: 2025-08-24 02:29

원문보기
### 청소년·청년 주도 ‘노담소셜클럽’, 비흡연 문화를 향한 발걸음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청소년과 청년 비흡연자를 중심으로 한 자발적인 비흡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노담소셜클럽’ 캠페인을 발족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담배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고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선택하는 문화, 즉 ‘노담(비흡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기획된 참여형 프로그램입니다.

### **주요 활동 개요와 발대식 열기**

2023년 8월 23일 서울 성동구 앤더슨씨 성수에서 열린 발대식을 시작으로, 이 캠페인의 공식 활동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노담문화를 대표하는 방송인 노홍철이 캠페인 클럽장으로 참여하여 유쾌한 분위기를 더했으며, 주요 프로그램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 노담소셜클럽 임명장 수여
– 클럽 간 네트워크 형성 및 소통의 시간
– 노담문화 확산을 상징화한 대형 풍선 띄우기 퍼포먼스

### **다양한 활동 영역과 콘텐츠 제작**
이번 캠페인에는 총 20개의 클럽이 선발되었으며, 이들은 운동, 음악, 연극, 미식 등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한 방식으로 활동합니다. 특히, 참가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하며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노담’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 **온라인 활동**: 각 클럽은 SNS를 통해 3회 이상의 ‘노담’ 콘텐츠를 제작 및 게시하며 비흡연 문화를 홍보합니다.
– 예: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숏폼 영상 등
– **오프라인 활동**: 노담을 알리는 홍보물을 활용해 행사장 및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인 캠페인 진행.
– 주요 행사: 롯데월드(9월 6일), 서울숲재즈페스티벌(9월 20일)

### **캠페인 평가와 특별한 혜택**
캠페인 마무리 단계에서는 최고의 노담 콘텐츠를 제작한 클럽을 선정합니다. 상위 3개 클럽은 국민 투표 및 심사를 거쳐 평가되며, 이들에게는 특별 활동 기회와 함께 클럽장 노홍철과 함께하는 유튜브 콘텐츠 제작 등의 혜택이 주어질 예정입니다.

### **보건 당국의 기대와 지원**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이번 캠페인이 청소년·청년층이 주체적으로 비흡연 가치를 실천하고 전파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청년 세대가 비흡연 문화를 강요가 아닌 멋진 선택으로 인식하도록 정책적 지원을 이어갈 것이며, 담배업계의 마케팅 공세 속에서 미래 세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 **마무리**
‘노담소셜클럽’은 비흡연을 자발적이고 당당한 선택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춘 참신한 캠페인입니다. 청소년과 청년이 만들어가는 건강한 문화의 파급력을 기대하며, 해당 활동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관련 링크**: 캠페인 공식 사이트 [노담소셜클럽](https://nodam.kr)

[농림축산식품부]한우의 착한 가격은 가을에도 쭉~ 이어집니다!
발행일: 2025-08-24 02:00

원문보기
### 농식품부, 한우 할인행사로 소비자 물가 안정 도모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가을철을 맞아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안정과 한우 소비 촉진을 위해 한우 할인행사인 ‘소(牛)프라이즈 한우 할인행사’를 8월 25일부터 9월 5일까지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한우자조금, 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등심, 양지, 불고기·국거리류 등 다양한 한우 품목을 30~50%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예정이다.

### 할인행사 세부 내용 및 참여 정보
– **행사 기간**: 대형 온라인몰은 8월 25일 시작, 전국 농협 하나로마트와 주요 대형마트는 8월 29일부터 행사를 진행.
– **할인 품목**: 등심, 양지, 불고기·국거리류 (1+등급 ~ 2등급).
– 단, 최고 등급인 1++등급은 할인 대상에서 제외.
– **할인폭 및 가격**: 품목별로 최대 5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며, 1등급 기준으로 등심은 100g당 6,730원, 양지는 3,970원, 불고기·국거리는 2,920원 이하로 판매될 예정.

할인행사는 소비자 물가 부담을 줄이고 한우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으며, 작년 8월 소비자 가격 대비 17~25% 저렴한 수준으로 제공된다.

### 지역별 행사 정보 확인 방법
행사 참여 매장 및 상세 일정은 **한우자조금 누리집(hanwooboard.or.kr)**, **전국한우협회(ihanwoo.org)**, **농협경제지주(nhabgroup.com)**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농식품부의 향후 계획
농식품부 안용덕 축산정책관은 “소비자가 육류를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도록 생산자단체와 유통업체와 협력하여 한우 할인행사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추석 등 주요 성수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할인행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들이 품질 좋은 한우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이번 할인행사는 가계 부담 완화 및 국내 한우 산업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너지슈퍼위크 25일 개막, 전 세계 에너지 리더 부산 집결
발행일: 2025-08-24 02:00

원문보기
**에너지슈퍼위크 25일 개막, 글로벌 에너지 리더들 부산으로 집결**

오는 25일부터 부산에서 개최되는 **’에너지슈퍼위크’**는 전 세계 에너지 산업의 전문가와 리더들이 모이는 대규모 국제행사로, 에너지 전환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논의하는 글로벌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국가의 에너지 부문 정책 결정자, 민간 기업 대표, 학계 전문가, 그리고 관련 기술 혁신 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세계적인 에너지 이슈를 논의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진행됩니다.

행사 주요 프로그램에는 ▲글로벌 에너지 산업 동향과 기술 혁신 사례 공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략 토론, ▲에너지 전환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 논의, ▲신재생에너지 및 첨단기술 전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번 에너지슈퍼위크에서는 2030년까지의 실질적인 탄소중립 실현 전략과 재생 에너지 투자 동향,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기술적 대안들이 집중적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부산이라는 개최 도시는 이미 글로벌 에너지 전략의 허브로서 발전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으며,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의 에너지 기술과 정책이 국제 무대에서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할 기회로 삼을 계획입니다.

자세한 행사 정보와 일정은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사이트 ‘정책브리핑’] www.korea.kr

[해양수산부]2025년 국제해양법 모의재판대회, 식사동학파팀(연세대·서울대연합) 우승
발행일: 2025-08-24 02:00

원문보기
**2025년 국제해양법 모의재판대회, 식사동학파팀 우승**

2025년 8월 22일 고려대학교 신법학관에서 개최된 ‘2025년 국제해양법 모의재판대회’에서 연세대와 서울대 연합팀인 식사동학파팀이 영예의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해양수산부가 국제해양법 분야 인재 발굴을 목적으로 2013년부터 매년 열어온 행사로, 올해는 전국 주요 대학에서 총 18팀이 신청해 그중 8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대회의 주제는 **’외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의 군사활동에 관한 분쟁’**이었으며, 참가자들은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의 관련 조문과 국제판례를 바탕으로 치열한 법리 공방을 벌였다. 식사동학파팀은 논리적이고 명확한 변론을 통해 해양수산부 장관상과 500만 원의 우승 상금을 받았다. 준우승은 한국해양대의 해결팀, 장려상은 국민대 청해팀에게 돌아갔고, 최우수변론가상은 한국해양대의 최민혁 학생이 수상했다.

한 참가자는 대회 경험을 통해 국제해양법에 대한 실무적 이해를 키우며 학업과 진로에 자신감을 얻었다고 밝혔다. 최현호 해양수산부 국제협력정책관은 차세대 국제해양법 전문가 양성에 이번 대회가 기여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대회는 학술적 깊이와 법적 논증 능력을 평가하며 미래의 해양 법률 전문가들이 글로벌 현안 속에서 성장할 기회를 제공했다.

[해양수산부]국민과 함께하는 2025년 해양 안전 콘텐츠 공모전 개최
발행일: 2025-08-24 02:00

원문보기
### 「2025 해양 안전 콘텐츠 공모전」 개최, AI 창작물도 참여 가능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은 오는 **8월 25일(월)부터 10월 23일(목)**까지 「2025 해양 안전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해양 안전 실천과 홍보를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목표로, 2013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AI 생성 창작물**도 공모전 참가 대상에 포함되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 공모전 주요 내용
– **주관 기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및 해양안전실천본부
– **공모 분야**:
1. 그림(초등학생 이하)
2. 정책 아이디어
3. AI 생성 디자인물
4. AI 생성 숏폼 영상

– **참가 대상**: 국민 누구나
– **접수 방식**: **공모전 누리집**(www.해양안전공모전.com)
– **수상 특전**:
– 분야별 대상(4명): 해양수산부 장관상 및 상금 300만 원(※ AI 분야는 100만 원)
– 최우수상(4명): 해양경찰청장상 및 상금 100만 원(※ AI 분야는 50만 원)
– 총 수상자: 31명(우수상 9명, 장려상 14명 포함)

### AI 창의성 발굴을 위한 첫 시도
올해 처음 도입된 AI 창작물 부문은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디자인과 숏폼 영상이 포함됩니다. 이는 해양 안전 관련 기술 및 문화 확산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 활용 및 기대 효과
선정된 작품들은 향후 **해양 안전 캠페인**과 **홍보·교육** 및 **해양안전체험관** 등 관련 시설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해양 안전 의식을 향상시키고 국민과 함께 안전한 바다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게 됩니다.

### 참여 독려
최성용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국민의 소중한 제안을 정책에 반영해 안전한 바다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이번 공모전은 해양 안전 문화의 확산과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양수산부]추석 대비 선원 임금체불 예방 및 밀린 임금 지급을 위한 특별근로감독 실시
발행일: 2025-08-24 02:00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추석 대비 선원 임금체불 예방 특별근로감독 실시**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선원의 임금 체불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8월 28일부터 9월 26일까지 한 달간 특별근로감독에 나섰습니다. 이는 선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명절을 앞두고 원활한 임금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집중 점검 및 체불임금 지급 지도**
전국 11개 지방해양수산청이 구성한 점검반은 **임금 상습 체불업체와 체불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을 집중적으로 점검합니다. 이를 통해 확인된 체불임금이 추석 전까지 선원들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지도와 감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과거의 사례를 살펴보면, 해양수산부는 지난 설 명절을 계기로 특별근로감독을 통해 체불사업장 28곳을 적발하고, 27명의 선원들에게 약 2억 5천만 원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조치한 바 있습니다. 이번 추석에도 유사한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선원 보호를 위한 지원책**
만일 사업체가 도산하거나 파산한 경우에도 선원들은 **’선원 임금채권보장기금’**을 통해 체불된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법적 조치가 필요한 경우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와 대한법률구조공단이 제공하는 **’선원 무료 법률구조사업’**을 통해 법률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문의 정보:
–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 선원 법률구조 담당: 051-996-3647
– 대한법률구조공단: 국번 없이 132

### **철저한 점검과 재발 방지 노력**
허만욱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임금 체불 문제를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시 사법처리 조치를 병행하겠다”고 강조하며, 선원들이 가족들과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특별근로감독은 선원들의 권익을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체불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 데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농관원, 휴가철 축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업체 329개소 적발
발행일: 2025-08-24 02:00

원문보기
### 농관원, 원산지 표시 위반 축산물 적발… 휴가철 집중 단속 결과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박순연 원장, 이하 농관원)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축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 단속을 강화한 결과, 총 329개소의 위반 업체를 적발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이번 단속은 7월 14일부터 8월 14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었다.

#### **집중 단속 대상과 결과**
이번 점검은 특히 여름철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대체 보양식인 **흑염소**와 **오리고기**에 중점을 두었다. 점검 결과 다음과 같은 품목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

– **오리고기:** 161건 (45.4%)
– **돼지고기:** 88건 (24.8%)
– **염소고기:** 42건 (11.8%)
– **소고기:** 37건 (10.4%)
– **닭고기:** 26건 (7.3%)
– **벌꿀:** 1건 (0.3%)

특히 **염소고기**와 **오리고기**의 위반 사례는 각각 지난해 대비 10배 이상의 큰 폭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사이버 단속 강화와 관계단체와의 협업 단속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 **위반 사례 및 처벌**
농관원은 원산지를 **거짓 표시**하거나 **미표시**한 위반 업체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했다:
– **형사입건:** 중국산 오리고기 등 외국산 축산물을 국내산으로 속여 판매한 103개 업체
– **과태료 부과:** 미표시로 적발된 226개 업체에 총 7,400만 원 부과
(미표시 과태료는 판매가격의 일정 비율로 계산되며, 최대 1,000만 원까지 부과 가능)

위반 업체들은 최악의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 **농관원 향후 계획**
농관원은 “축산물 소비가 확대되는 가을철에도 지속적인 원산지 관리 점검을 시행할 계획”이라며, 특히 **추석 성수품**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예고했다.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부정 유통을 근절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 **결론 및 소비자 주의사항**
이번 단속은 여름철 축산물 소비 증가와 수입 확대에 따른 원산지 위반 사례를 집중적으로 단속한 결과, 소비자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 불법 행위들을 다수 적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소비자들은 축산물 구매 시 반드시 원산지를 확인하고, 표시가 미비하거나 의심스러운 경우 지방 농관원에 신고하는 참여가 필요하다.

문의 및 신고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또는 관련 관할 부처를 통해 가능합니다.

[기획재정부]아시아개발은행 한국 기후기술허브(ADB K-Hub) 설립협정문 서명
발행일: 2025-08-23 15:00

원문보기
2023년 8월 22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 칸다 마사토 총재와 화상 면담을 통해 한국 기후기술허브(K-Hub) 설립협정문에 공식 서명하였습니다.

K-Hub는 한국이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협력하고 기술을 공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새로운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후변화는 국제적으로 긴급한 해결이 요구되는 문제로, 이번 K-Hub 설립을 통해 한국은 기후 기술 및 혁신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Hub는 특히 신재생에너지, 탄소 감축 기술, 친환경 인프라 등 다양한 기후 관련 기술을 아시아 지역 국가들과 협력하여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게 됩니다. 또한, 이는 글로벌 환경 목표에 대한 한국의 기여도를 높이고, 개발도상국이 기후 기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기획재정부 제공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사항은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 국제기구과(장주영, 044-215-8729)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