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환경부 공동 주최,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는 2025년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를 공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거나 운영 방식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사례를 발굴하여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우수사례는 대면평가 등을 거쳐 분야별로 선정되며, 교육 및 홍보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공모전은 친환경 축산업으로 전환하려는 실질적인 노력을 알리고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 competition to collect innovative cases in livestock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2025.
This initiative aims to identify and promote solutions that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in livestock manure treatment facilities through eco-friendly technologies or cost-effective operational innovations.
The selected cases will be evaluated and utilized as educational and promotional materials.
Summary This competition is expected to highlight and encourage practical efforts toward transitioning to environmentally friendly livestock farming.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と環境部は、2025年畜産環境革新優秀事例の公募を開始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公募は、家畜ふん尿処理施設の環境問題を解決し、または運営を革新的に改善した事例を発掘して広く知らせ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選ばれた事例は教育や広報資料として活用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公募は、環境にやさしい畜産業への転換を促進する重要な一歩となりそうで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和环境部宣布开启2025年畜牧环境创新优秀案例征集活动。
该活动旨在发现和推广通过环保技术或创新运营方式解决畜禽粪便处理设施环境问题的案例。
评选出的案例将被用作教育和宣传材料。
总评 此次征集活动有望推动畜牧业向环保方向转型,成为实质性努力的重要标志。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ll’Alimentazione e delle Politiche Rurali e il Ministero dell’Ambiente hanno annunciato un concorso per raccogliere casi di innovazione nella gestione ambientale del bestiame per il 2025.
L’obbiettivo è identificare e promuovere soluzioni per i problemi ambientali negli impianti di trattamento dei reflui zootecnici, utilizzando tecnologie ecologiche o innovazioni operative a basso costo.
I casi selezionati saranno utilizzati come materiali per l’educazione e la promozio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incentivare la transizione verso un’industria zootecnica più sostenibile dal punto di vista ambientale.
[소방청]소화기 등 소방용품 인증절차 개선하고, 제조사 비용부담은 줄인다!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이 소방용품 인증제도의 규제를 완화하는 대대적인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편은 인증 절차 간소화와 비용 경감, 해외 인증 인정 확대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연간 약 1,200억 원의 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개편은 소방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기업의 생산성과 국제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Fire Agency and the Korea Fire Institute announced a major overhaul of the fire product certification system.
The reform simplifies certification procedures, reduces costs, and expands international certification recognition, aiming to save the fire industry approximately 120 billion KRW annually.
Summary This overhaul is expected to enhance productivity and global competitiveness while alleviating industry burdens.
日本語 消防庁と韓国消防産業技術院が消防用品の認証制度に関する改革案を発表しました。
認証手続きの簡素化や費用負担の軽減、海外認証の承認拡大が含まれ、年間約1,200億ウォンの費用削減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改革は消防産業の活性化に寄与し、企業の生産性と国際競争力を向上させる現実的な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消防署与韩国消防产业技术院宣布对消防用品认证制度进行重大改革。
此次改革包括简化认证程序、减少费用负担以及扩大国际认证认可,预计每年可为行业节省约1200亿韩元。
总评 该改革有望推动消防产业发展,提高企业生产效率和国际竞争力。
Italiano L’Agenzia Nazionale dei Vigili del Fuoco e l’Istituto Coreano per l’Industria dei Vigili del Fuoco hanno annunciato una profonda riforma del sistema di certificazione dei prodotti antincendio.
La riforma mira a semplificare le procedure, ridurre i costi e ampliare il riconoscimento delle certificazioni internazionali, generando un risparmio annuale di circa 120 miliardi di KRW.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favorirà la competitività internazionale e l’efficienza produttiva del settore antincendio, alleggerendo i costi per le impres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새로운 개방형 표준 기반 이동통신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5세대 이동통신 상용망의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 실증을 통해 국내 기업 장비가 독일과 일본으로 수출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또한, 2025년까지 서울역과 김포공항 등 주요 생활 인프라에 인공지능과 융합된 이동통신 기술을 실증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총평 첨단 이동통신 기술이 실생활 인프라와 결합되면서 대중교통과 공공시설 이용이 더 편리하고 스마트해질 전망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Open RAN technology in 5G commercial networks, leading to the export of domestic equipment to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it plans to integrate AI-powere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into major infrastructure like Seoul Station and Gimpo Airport by 2025.
Summary The integration of cutting-edge telecom technologies into public infrastructure is expected to make daily transit and facility usage more convenient and intelligent.
日本語 政府は第5世代移動通信商用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オープンRAN技術の実証を通じて、国内企業の機器がドイツと日本に輸出される成果を上げました。
また、2025年までにソウル駅や金浦空港などの主要な生活インフラにAIを活用した移動通信技術を導入・実証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総評 先端通信技術と生活インフラの融合により、公共施設や交通機関の利用がより便利でスマートに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通过在5G商用网络中验证开放式无线接入网技术,促成国内设备出口至德国和日本。
此外,计划到2025年将人工智能融合电信技术应用于首尔站和金浦机场等核心生活基础设施。
总评 前沿电信技术与公共基础设施的结合,有望使日常交通和公共设施使用更加便捷智能。
Italiano Il governo ha dimostrato l’efficacia della tecnologia Open RAN nelle reti commerciali 5G, portando all’esportazione di apparecchiature nazionali verso Germania e Giappone.
Ha inoltre annunciato un piano per integrare tecnologie di telecomunicazione supportate da intelligenza artificiale in infrastrutture chiave come la Stazione di Seoul e l’Aeroporto di Gimpo entro il 2025.
Valutazione L’integrazione di tecnologie avanzate nelle infrastrutture pubbliche potrebbe rendere l’uso quotidiano dei trasporti e dei servizi più comodo e intelligente.
[환경부]환경부·농식품부 공동 주최,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2025년까지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을 공동 주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환경 문제 해결과 혁신적인 운영 개선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제출된 우수 사례는 교육과 홍보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 공모전은 축산업 관계자들에게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창의적 아이디어를 유도할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ve announced a joint contest to find innovative cases in improving livestock waste management.
The contest aims to identify and promote creative solutions to environmental challenges in anim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with selected cases being used as educational and promotional material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courage stakeholders in the livestock industry to contribute innovative idea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日本語 環境部と農林畜産食品部が、2025年までの畜産環境革新優秀事例コンテストを共同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コンテストでは、家畜ふん尿処理施設の環境問題解決や運営改善の革新的な事例を発掘し、それを教育や広報資料として活用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コンテストは、畜産業関係者に持続可能性を高め、環境問題解決に貢献する創意工夫を促す重要な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环境部和农业畜牧食品部宣布,共同举办2025年畜牧环境创新优秀案例征集大赛。
该大赛旨在发掘畜禽粪污处理设施的环境问题解决及创新管理改进案例,获选案例将作为教育和宣传材料使用。
总评 此次大赛为畜牧业相关者带来了重要机会,鼓励他们为可持续发展和环境问题解决贡献创新想法。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e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hanno annunciato un concorso congiunto per trovare casi innovativi nel miglioramento della gestione dei rifiuti zootecnici.
Il concorso mira a individuare e promuovere soluzioni creative alle sfide ambientali nei centri di trattamento, con i casi selezionati utilizzati come materiale didattico e promoziona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ppresenta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incoraggiare il settore zootecnico a proporre idee innovative per lo sviluppo sostenibile e la protezione ambientale.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7월 극한 호우 농업분야 피해 복구 지원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7월 호우로 피해를 입은 농업 분야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재난지원금 지급 및 금융 지원 등의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농작물 침수, 축산시설 손상 등 피해 농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으며, 특히 대파대 및 가축 입식비 보조율 100% 상향, 농기계 지원 품목 확대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농가가 재빨리 생산을 재개하고 피해를 회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measures to quickly recover the agricultural sector after July’s heavy rains.
The support includes financial aid for affected farms, with enhanced subsidies such as 100% coverage for replanting and livestock purchasing costs, as well as expanded support for farming equipment.
Summary These measures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farmers, enabling them to resume production and recover from losses swiftly.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7月の豪雨で被害を受けた農業分野の迅速な復旧のため、災害支援金の支給や金融支援策を発表しました。
主要作物の再植費用や畜産施設の補助率引き上げ、農機の支援対象拡大など、具体的な支援が含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れらの対策は、被害を受けた農家の早期復旧と生産の再開を後押しする現実的な支援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宣布了一系列措施,以迅速恢复7月暴雨给农业领域造成的损失。
支持内容包括提高主要作物和畜牧补助率至100%,扩大农机支持范围,以及向受灾农户提供灾害补贴和金融援助。
总评 这些措施有望帮助受灾农户快速恢复农业生产,减轻经济损失。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i e Affari Rurali ha annunciato misure per il rapido recupero del settore agricolo dopo le forti piogge di luglio.
Tra i sostegni ci sono sussidi potenziati come il rimborso al 100% per il ripianto e l’acquisto di bestiame, oltre all’ampliamento delle categorie di macchinari agricoli supportati.
Valutazione Queste misure potrebbero aiutare concretamente gli agricoltori a riprendere rapidamente la produzione e a riprendersi dalle perdite subite.
[해양수산부]2025년 청소년 해양영토 토론대회 뜨거운 관심 속에 성료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8월 16일 고려대학교에서 ‘2025년 청소년 해양영토 토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습니다.
중등부에서는 ‘해양병법팀'(거제여중 외)이, 고등부에서는 ‘마린벨트팀'(대송고)이 우승하며 상과 상금을 수상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해양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던 뜻깊은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총평 이번 대회는 청소년들이 해양 문제를 깊이 고민하며 논리적 사고와 협업 능력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uccessfully hosted the “2025 Youth Marine Territory Debate Competition” on August 16 at Korea University.
The “Haeyangbyeongbeop Team” (Goeje Middle School, among others) won in the middle school category, and the “Marine Belt Team” (Daesong High School) won in the high school category, receiving prizes and recognition.
Participants shared that it was a meaningful experience to raise awareness about marine environmental issues.
Summary This competi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youth to deeply engage with marine issues, fostering logical reasoning and teamwork skills.
日本語 海洋水産部は8月16日、韓国大学で「2025年青少年海洋領土討論大会」を成功裏に開催しました。
中等部では「海洋兵法チーム」(巨済中学校他)が、高等部では「マリンベルトチーム」(大松高校)が優勝し、賞と賞金を受賞しました。
参加者は、海洋環境問題への関心を深める有意義な経験だったと感想を述べました。
総評 この大会は、青少年が海洋問題に深く向き合い、論理的思考とチームワークを育む機会となりました。
中文 海洋水产部于8月16日在高丽大学成功举办了“2025青年海洋领土辩论大赛”。
初中组的“海洋兵法队”(巨济女中等)和高中组的“海洋带队”(大松高)分别获得冠军并赢得奖项和奖金。
参赛者表示,这是一场提升海洋环境问题意识的宝贵经历。
总评 此比赛为青少年提供了深入探讨海洋问题的机会,培养了逻辑思维与团队协作能力。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ospitato con successo il “Concorso di Dibattito sul Territorio Marino Giovanile 2025” il 16 agosto presso l’Università di Corea.
Il team “Haeyangbyeongbeop” (Scuola media di Geoje e altri) ha vinto nella categoria delle scuole medie, mentre il “Marine Belt Team” (Liceo Daesong) ha trionfato nella categoria delle scuole superiori, ricevendo premi e riconoscimenti.
I partecipanti hanno condiviso che è stata un’esperienza significativa per aumentare la consapevolezza sulle questioni ambientali mari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ha permesso ai giovani di approfondire le questioni marine, sviluppando capacità di pensiero logico e collaborazione di squadra.
요약
원문보기
### **농식품부와 환경부,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는 축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2025년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를 8월 18일부터 9월 12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공모전은 축산 환경 문제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현장의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된 연례 행사입니다.
—
### **공모전 주요 내용**
– **주최:**
– 농림축산식품부(공동자원화시설 분야)
– 환경부(공공처리시설 분야)
– **공모 주제:**
– 가축분뇨 처리시설과 관련된 환경 문제 해결 및 시설 운영 개선 사례
– 친환경 기술 도입, 저비용 고효율 운영 방식 등을 통한 혁신 사례 발굴
– **참가 대상:**
– 축산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한 구체적인 사례를 가지고 있는 개인 또는 기관
– **접수 기간 및 방법:**
– 8월 18일 ~ 9월 12일
– 축산환경관리원 전자우편([email protected])으로 제안서 제출
– **평가기준:**
1. 혁신성과 기술 도입 노력
2. 사례의 타당성 및 신뢰성
3. 개선 효과 및 성과
4. 현장 적용 가능성과 구체성
—
### **수상 및 혜택**
1. **선정 절차:**
– 서면 평가 → 최종 대면 평가(9월 30일)
2. **시상 내역:**
– **분야별 대상(농식품부/환경부 장관상):** 상금 200만 원
– **최우수상(축산환경관리원장상):** 상금 100만 원
– **우수상(자원순환농업협회장상):** 상금 50만 원
– **총 상금:** 700만 원
선정된 우수 사례는 향후 다른 시설의 모범 운영 사례로 교육 및 홍보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
### **공모전의 의의와 기대 효과**
– 농식품부와 환경부의 협력을 통해 축산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알리고 현장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이번 공모전의 주요 목표입니다.
– 농식품부 안용덕 축산정책관은 “**지속 가능한 축산업 발전을 위해 환경 개선은 중요하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관련 산업의 인식을 제고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환경부 조희송 물환경정책관은 “**현장 중심의 문제 해결과 성과 공유를 통해 환경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이번 공모전은 지속 가능한 축산업 구축과 친환경 기술 확산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축산 환경 개선에 이제는 현장의 각계각층이 주체가 되어 참여하게 되는 도약점이 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 소방용품 인증제도 대대적 개편, 제조업체 부담 감소 기대
소방청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이 소방용품 인증제도의 비효율적인 요소를 개선하고 제조업체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대대적인 개편을 발표했습니다. 민관합동 TF를 통해 5개월에 걸쳐 5개 분야 53개 과제를 도출하며 산업 활성화와 국민 안전, 국제 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
### **주요 개편 내용**
1. **인증 절차 및 규제 완화**
– 시험항목 정기검사 주기를 기존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해 인증 절차의 효율성을 높임.
– 시험 결과 지연 문제를 해소하여 생산과 유통 일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
2. **비용 부담 경감**
– 인증 수수료 할인 기준 확대를 통해 연간 약 30억 원, 10년간 300억 원 감면 효과 전망.
3. **국제 인증 연계 강화**
– 국내 시험데이터(KFI)를 외국 공인 인증기관과 연계, 국제 인증 일부 시험 면제로 해외 진출 장벽을 낮춤.
4. **신기술·신제품 지원 확대**
– 기업 혁신 지원을 위해 불분명한 인증 기준 개선과 신기술 인증 절차 간소화.
5. **민원 서비스 혁신**
– 온라인 기반 절차 도입 및 처리 기간 단축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 **경제적 효과와 기대**
이번 개혁으로 연간 약 1,000억 원, 10년간 1조 원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방제조업체들은 인증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통해 경영 여력을 확보하는 한편, 해외 시장 진출에도 큰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산업 관계자 및 소방청의 입장**
– 소방산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개편이 인증절차 간소화와 비용 감소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현장과 정책 실무의 연결을 통해 실질적으로 체감 가능한 규제 개선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소방용품 인증제도 개편은 소방산업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이며, 제조업체와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도 희소식이 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5G 개방형 이동통신 기술, 글로벌 무대로! 국내 기업의 성과와 미래 비전”**
최근 발표에 따르면,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망에서 개방형 무선 접속망(Open RAN) 기술을 실증적으로 성공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독일과 일본에 5G 장비를 수출하며 국내 기술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입증한 것입니다.
**국내 기술,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다**
Open RAN 기술은 전통적인 이동통신 인프라에서 오랜 기간 걸림돌이 되어왔던 특정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상호운용성과 기술의 유연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번 실증 결과는 세계 이동통신 시장의 주요 타깃인 독일과 일본 시장에서 국내 기술이 성공적으로 안착했음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습니다.
**미래를 위한 인프라 추진 계획**
한편, 우리 정부는 2025년까지 서울역, 김포공항 등 국민의 일상과 밀접한 기반 시설에 인공지능(AI) 융합 개방형 이동통신 기술을 실증적으로 적용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이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통신 속도, 품질 및 효율성을 한 단계 높이고, 이를 통해 국가 기반 기술의 첨단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
**시사점과 기대효과**
이번 성과는 단순 기술 실증을 넘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와 관련 산업 활성화로 이어질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입니다. 또한, 향후 AI 융합 기술의 적극적 도입은 국민 편익 증대와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선도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이 기사 요약은 정책 자료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한 것입니다. 보다 상세한 자료는 원문을 참조하세요.
원문보기
### 가축분뇨 처리시설 혁신 사례 공모전 개최, 자발적 환경 개선 촉진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2025년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이 오는 8월 18일부터 9월 12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공모전은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및 공동자원화시설의 운영에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거나 운영 효율성을 높인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 **공모전 주요내용**
– **공모 주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친환경 기술 도입, 저비용 고효율의 실현 등으로 환경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거나 시설 운영을 개선한 사례.
– **응모 대상**:
환경문제 해결 및 운영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공할 수 있는 관계자.
– **공모 분야**:
– **공공처리시설 분야**: 환경부 관할.
– **공동자원화시설 분야**: 농림축산식품부 관할.
– **선정 기준**:
1. 혁신성 및 기술 도입 노력.
2. 내용의 타당성 및 신뢰성.
3. 개선 효과 및 성과.
4. 현장 적용성 및 구체성.
—
### **상금 및 시상 내역**
| 수상 등급 | 상훈 | 상금 | 선정 수(분야별) |
|————|———————|—————|—————–|
| 대상 | 환경부·농식품부 장관상 | 200만 원 | 1점 |
| 최우수상 | 축산환경관리원장상 | 100만 원 | 1점 |
| 우수상 | 자원순환농업협회장상 | 50만 원 | 1점 |
*분야별로 총 3점씩 선정되며, 총 상금은 700만 원이다.*
—
### **응모 일정 및 방법**
– **응모 기간**:
2023년 8월 18일 ~ 9월 12일.
– **제출 방법**:
사례 제안서를 작성해 축산환경관리원 전자우편으로 제출.
—
### **의의와 기대효과**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현장의 자발적 실천과 성과 공유가 중요함을 강조하며, 이번 공모전이 그런 성과를 발굴하고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안용덕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지속 가능한 축산업 발전을 위해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고, 축산업을 환경 문제 해결의 주체로 성장시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우수 사례는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모범 운영 사례로 교육 및 홍보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규제나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주체적인 환경 개선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 **추가 자료**
– 공모전 관련 공식 포스터 및 홍보 자료는 [www.korea.kr](http://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하다.
– 이번 공모전은 축산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변화와 자율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의 및 제출처**: 축산환경관리원 (구체적인 전자우편 주소는 공모전 포스터 참고).
원문보기
**농림축산식품부, 7월 호우 피해 농업복구에 총력 지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7월 극한 호우로 발생한 농업 분야 피해를 신속히 복구하기 위해 재난지원금, 금융지원 등 여러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에 옮긴다.
### **7월 호우로 인한 피해 규모**
이번 호우로 인해 전국 농업계에 발생한 주요 피해는 다음과 같다:
– 농작물 침수: 29,686ha
– 농경지 유실·매몰: 1,447ha
– 가축 폐사: 약 179만 마리
– 농축산시설, 농업기계 손상: 총 44,817건
– 수리시설 피해: 979개소
총 복구비로 **2,724억 원**이 책정됐으며, 이 중 사유시설을 중심으로 한 재난지원금은 1,480억 원, 공공시설 복구에는 1,24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
### **피해 농가를 위한 복구 지원 방안**
농식품부는 피해 농가의 빠른 회복과 영농 재개를 위해 아래와 같은 강화된 복구 지원책을 발표했다.
#### **1. 대파대 품목과 보조율 확대**
– 피해가 큰 주요 농작물(수박, 오이, 딸기, 고추 등 10종)에 대해 대파대 지원 단가를 **100%로 현실화**, 대파대와 가축 입식비 보조율을 **50%에서 100%로 상향**.
#### **2. 농업시설 보조율 상향**
– 비닐하우스, 축사 등 농축산시설 보조율을 기존 **35%에서 45%로 상향**.
#### **3. 농기계 지원 확대**
– 기존 트랙터, 관리기 등 14개 기종에서 양수기, 분무기 등 모든 기종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보조율은 **35%에서 50%로 상향**.
—
### **추가 지원**
#### **피해가 심한 농가에 생계비 추가 지원**
– 농작물 및 가축 피해 정도에 따라 **1개월에서 최대 11개월분까지 생계비를 추가** 지원.
– 일반작물: 1~2개월
– 채소작물 및 가축: 1~5개월
– 과수: 7~11개월
#### **금융지원 확대**
– 농업정책자금 상환 기간 **연기 및 이자 감면**을 지원(피해율 30%는 1년, 50% 이상은 2년).
– 농가 경영회복을 위한 금리 1.8%의 재해대책경영자금을 추가 융자 지원.
—
### **기타 복구 대책**
– **수리시설 복구**: 저수지, 배수장, 양수장 등 979개소 복구에 1,244억 원 투입.
– **딸기 육묘 지원**: 주요 딸기 생산지의 육묘 피해에 대해 340만 주 규모로 농가 간 매칭을 통해 차질 없이 공급.
—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호우 피해 농가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관계부처, 지자체와 적극 협력하겠다”며, 복구사업의 조기 완료와 재난지원금의 신속 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대책을 통해 피해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경영을 재개하고, 장기적으로는 더욱 회복탄력성을 갖춘 대한민국 농업체계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원문보기
### 2025년 청소년 해양영토 토론대회 성공적으로 마무리… 해양병법팀·마린벨트팀 우승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가 주최한 **’2025년 청소년 해양영토 토론대회’**가 지난 8월 16일(토) 고려대학교 신법학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대회는 중·고등학생들에게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환경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
### **중등부와 고등부 각각 우승팀 탄생**
올해 대회에는 **중등부 31팀, 고등부 26팀이 참가**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서면심사를 통해 부문별 상위 4개 팀만이 본선에 진출했고, 본선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중등부 해양병법팀(거제여중, 부곡여중, 해운대여중 연합)**과 **고등부 마린벨트팀(대송고)**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중등부 주제**: 섬·갯벌에서 항구 또는 공항 건설
– **고등부 주제**: 해양보호구역 확대
최종 결선에서 두 팀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발언으로 심사위원단과 관객의 이목을 끌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에게는 **해양수산부 장관상과 상금(중등부 150만 원, 고등부 200만 원)**이 수여되었다.
—
### **수상 내역**
– **준우승**:
– 중등부: 블루하모니팀(다원중, 청계중 연합)
– 고등부: 지해팀(대전외국어고)
– **장려상**:
– 중등부: NEXT팀(판교중, 수내중 연합)
– 고등부: 푸른선택팀(원주금융회계고)
– **개인 최우수토론상**:
– 김유리(해운대여중), 문준휘(대송고)
—
### **참가자들의 열정과 성과**
참가한 학생들은 준비 과정에서 해양환경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시각을 접하고 논리적으로 이를 정리하며 성장의 기회를 얻었다. 한 참가자는 “대회를 통해 해양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많은 친구들이 이런 주제들에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현호 해양수산부 국제협력정책관은 대회의 의의를 언급하며, “이번 대회를 통해 청소년들이 바다와 관련된 쟁점에 대해 생각을 확장하고 깊게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고 전했다.
—
### **해양 환경 문제에 대한 청소년의 관심과 역할**
이번 토론대회는 해양영토, 갯벌 보호, 해수면 상승 등 해양 관련 중요 이슈를 청소년들과 함께 논의해봄으로써, 미래 세대가 해양 환경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더 많은 청소년들이 이 같은 기회를 통해 해양 환경 보호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성을 체감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