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 보도자료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농림축산식품부]"APEC 계기 농업외교 활발" 한국, 美·加·대만 등과 협력 강화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 9일부터 10일까지 인천에서 열린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를 계기로 캐나다, 뉴질랜드, 대만, 필리핀, 미국 등 여러 국가의 고위 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각국은 농식품 분야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하며, 기후변화와 글로벌 이슈 대응을 위해 정보교류와 정책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특히 한국은 자국 농축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협조를 요청하며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협력의 의지를 밝혔습니다.
총평 이번 논의는 한국산 농축산물의 수출 증대와 국제 농업 협력 강화를 통해 국내 농업계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eld bilateral meetings with officials from Canada, New Zealand, Taiwan, the Philippines,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APEC Food Security Ministerial Meeting in Incheon on August 9-10.
Delegat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agreed on the need for information sharing and policy cooperation to address global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Korea specifically sought cooperation for expanding exports of its agricultural products and committed to fostering trust-based partnerships.
Summary This dialogue is expected to boost Korea’s agricultural exports while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food sector.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8月9日から10日まで、仁川で開催されたAPEC食糧安全保障閣僚会議にて、カナダ、ニュージーランド、台湾、フィリピン、アメリカの官僚らと会談を行いました。
各国は農食品分野での協力の重要性を確認し、気候変動などの国際的課題に対応するための情報交換や政策連携の必要性に共感しました。
韓国は特に、自国産農畜産物の輸出拡大に向けた協力を要請し、信頼関係を基盤とした協力の発展を約束しました。
総評 韓国農産物の輸出促進と国際的な農業協力の進展が、国内農業の発展に繋が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于8月9日至10日,在仁川举行的APEC粮食安全部长会议期间,会见了来自加拿大、新西兰、台湾、菲律宾和美国的高级官员。
各国重申了农食品领域合作的重要性,并对应对气候变化等全球挑战时信息交流和政策协作的必要性达成共识。
韩国特别请求各国协助扩大韩国产农畜产品的出口,同时表示愿意以信任为基础,深化农业合作。
总评 此次会谈有望促进韩国产品出口增长,并加强中国际农业合作,同时惠及本国农业从业者。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gli Alimenti e delle Aree Rurali ha tenuto incontri bilaterali con rappresentanti di Canada, Nuova Zelanda, Taiwan, Filippine e Stati Uniti durante la riunione ministeriale APEC sulla sicurezza alimentare tenutasi a Incheon il 9-10 agosto.
Le delegazioni hanno ribadito l’importanza della cooperazione nel settore agroalimentare, concordando sulla necessità di condividere informazioni e coordinare politiche per affrontare sfide globali come il cambiamento climatico.
La Corea ha richiesto supporto per l’espansione delle esportazioni di prodotti agricoli nazionali, sottolineando l’impegno in partenariati basati sulla fiducia.
Valutazione Questo dialogo potrebbe favorire l’incremento delle esportazioni agricole coreane, rafforzando al contempo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nel settore alimentare.

[농림축산식품부]APEC 무대에서 ‘케이-푸드 플러스(K-Food+)’수출 외교 박차

요약보기
한국어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8월 10일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베트남 및 말레이시아 농업 장관들과 만나 양국 간 농업 협력 및 농식품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베트남 장관은 한국의 ODA 지원에 감사하며 농업 분야 투자 확대를 제안했고, 말레이시아 장관은 농식품 교역 및 검역 협력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특히 한국은 베트남에 과일 수출, 말레이시아에 할랄 인증 소고기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 중입니다.
총평 이번 논의를 통해 한국은 아세안 주요 국가들과의 농식품 교역을 확대하며, 국내 농업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넓힐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Minister Song Mi-rung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od met with agricultural ministers from Vietnam and Malaysia on August 10 during the APEC Food Security Ministerial Meeting.
Discussions focused on expanding agricultural cooperation and food exports, with Vietnam showing interest in increased investment and Malaysia emphasizing halal-certified beef exports from Korea.
Korea is working to broaden its export portfolio to both countries, including fruits to Vietnam and chilled beef to Malaysia.
Summary These discussions are expected to strengthen Korea’s agricultural trade with ASEAN countries, enhancing opportunities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global markets.

日本語 農食品部の宋美玲(ソン・ミリョン)長官は8月10日、APEC食料安全保障担当大臣会合に出席したベトナム及びマレーシアの農業大臣と会談し、農業協力や農食品輸出拡大の方策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ベトナム側はODA支援に感謝し、農業分野の投資拡大を提案。マレーシア側はハラール認証の韓国産牛肉輸出拡大を要請しました。
韓国では両国への輸出品目拡大に引き続き取り組んでいます。
総評 この会談を通じて、韓国の農食品がASEAN諸国市場でさらに定着する可能性が高まりました。

中文 农食部部长宋美玲于8月10日借APEC粮食安全部长会议之机,会见了越南和马来西亚农业部长,讨论两国间农业合作及食品出口的扩大计划。
越南表达了对韩国ODA支持的感谢,并提议扩大农业领域投资,而马来西亚则要求加强韩国产牛肉的清真认证出口。
韩国正在努力扩大输往两国的出口种类,包括越南的水果和马来西亚的清真认证牛肉。
总评 此次会谈有望进一步强化韩国产品在东盟市场的竞争力,推动出口增长。

Italiano Il 10 agosto, il ministro Song Mi-ryeong del Ministero dell’Agricoltura ha incontrato i ministri dell’agricoltura di Vietnam e Malesia durante il vertice APEC sulla sicurezza alimentare.
Le discussioni hanno riguardato la cooperazione agricola e l’espansione delle esportazioni, con il Vietnam interessato agli investimenti e la Malesia alla carne bovina certificata halal proveniente dalla Corea.
La Corea si impegna a diversificare i prodotti esportati, tra cui frutta in Vietnam e carne bovina refrigerata in Malesia.
Valutazione Questo incontro potrebbe favorire l’accesso ai mercati ASEAN per i prodotti agricoli coreani, promuovendo la crescita delle esportazioni nazionali.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 혁신과 K-Food+로 여는 미래’, 농식품부 APEC 2025 식량안보 장관회의 성황리 마무리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 9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열린 ‘2025년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속 가능한 농식품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식량안보 정책 협력과 기술 혁신 사례를 공유하며, 우리나라의 농업 혁신 및 K-Food+ 확산의 중요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총평 이번 회의는 한국 농식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조하고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자리로, 농업 및 식량안보 분야의 혁신 가능성을 높였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uccessfully concluded the ‘2025 APEC Food Security Ministerial Meeting’ held in Songdo, Incheon, on August 9-10.
The meeting emphasized building sustainable agri-food systems by enhancing food security policies, sharing innovation cases, and expanding the global reach of Korea’s K-Food+.
Summary This meeting highlighted Korea’s agricultural innovation and global leadership in food security, foster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8月9日から10日にかけて仁川の松島で開催された「2025年APEC食料安全保障閣僚会議」を成功裏に終えたと発表しました。
会議では持続可能な農食システム構築を目指し、食料安全保障政策や技術革新の事例共有が行われ、韓国の農業革新とK-Food+の広がりを世界にアピールする場となりました。
総評 この会議を通じて韓国の農業競争力と食料安全保障における国際的協力の重要性が再確認されました。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宣布,8月9日至10日于仁川松岛成功举办了“2025年APEC粮食安全部长级会议”。
会议旨在构建可持续农业食品体系,通过加强粮食安全政策合作、分享创新案例,并扩大韩国K-Food+的国际影响力。
总评 此次会议展示了韩国在粮食安全及农业创新领域的全球领导力,加强了国际合作契机。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ll’Alimentazione e delle Politiche Rurali ha annunciato il successo del ‘Meeting Ministeriale sulla Sicurezza Alimentare dell’APEC 2025’, tenutosi a Songdo, Incheon, nei giorni 9-10 agosto.
Durante l’evento, si è promossa la costruzione di sistemi agroalimentari sostenibili, condividendo politiche sulla sicurezza alimentare, esempi di innovazione e ampliando l’impatto globale del K-Food+.
Valutazione Questo incontro ha sottolineato il ruolo guida della Corea nell’innovazione agricola e nella sicurezza alimentare, rafforzando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문화체육관광부]’케이-뮤지컬’ 진흥 위한 지원 확대 약속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가 ‘케이-뮤지컬’ 진흥을 위한 지원 확대를 약속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한국 뮤지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창작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케이-뮤지컬’ 활성화로 문화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총평 이번 지원은 한국 뮤지컬이 세계 시장에서 더 큰 발판을 마련하고 관련 산업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omised to expand support for the growth of ‘K-Musicals’.
This announcement includes various measures to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musical industry and to improve the creative environment.
The promotion of ‘K-Musicals’ is expected to become a new growth engine fo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Summary This support aims to help K-Musicals gain more recognition worldwide while positively impacting job creation within the related industry.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K-ミュージカル」の振興を目的とした支援拡大を約束しました。
この発表には韓国ミュージカル産業の国際競争力強化と創作環境の改善を目的とした様々な方策が含まれています。
「K-ミュージカル」の活性化を通じて文化コンテンツ産業の新たな成長動力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支援によって韓国ミュージカルの世界的な認知度向上と関連産業の雇用創出が進むと予想されます。

中文 文化体育观光部承诺扩大对“K-音乐剧”振兴的支持。
此声明包括提高韩国音乐剧产业全球竞争力和改善创作环境的各种措施。
通过促进“K-音乐剧”,有望成为文化内容产业的新增长动力。
总评 该支持措施有望提升韩国音乐剧在国际上的认可度,同时促进相关产业的就业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promesso di ampliare il sostegno per la promozione dei “K-Musicals”.
L’annuncio include varie misure per migliorare la competitività globale dell’industria del musical coreano e l’ambiente di creazione.
La promozione dei “K-Musicals” può rappresentare un nuovo motore di crescita per l’industria dei contenuti culturali.
Valutazione Questo sostegno potrebbe facilitare il riconoscimento internazionale dei musical coreani e favorire al contempo la creazione di posti di lavoro nel settore correlato.

[보건복지부]국립부곡병원, 경남 전체의 정신질환자 치료 책임진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부곡병원이 경남 전역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자 관리 및 자립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정신재활시설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에서 낮병동을 활용해 치료 공백을 줄이고 사회 복귀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지역 보건소와의 협력을 통해 정신건강복지 향상이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사업은 정신건강서비스가 부족한 지역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치료와 재활 지원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 정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Bugok Hospital has launched a program to manage and support the independence of mentally ill patients across Gyeongsangnam-do.
This initiative aims to fill the care gaps in areas lacking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utilizing day clinics, facilitating patient recovery and community reintegration.
Collaboration with local health centers is expected to enhance mental health services.
Summary This program provides necessary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upport to underserved regions, promoting community stabilization and recovery for patients.

日本語 国立富谷病院が慶尚南道全域を対象に、精神疾患患者の管理および自立支援事業を本格的に開始しました。
精神リハビリ施設が不足している地域では、病院の昼間診療を活用して治療の空白を縮小し、社会復帰を支援する予定です。
地域保健所との協力で、精神保健福祉の向上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本事業は、地域で不足している精神保健サービスを提供し、患者の社会への円滑な復帰を現実的に支援します。

中文 国立富谷医院启动了针对庆尚南道全境精神疾病患者管理及自立支持的项目。
该项目利用日间病房,填补精神康复设施不足地区的服务空白,支持患者恢复及再融入社区。
通过与地方卫生中心的合作,精神健康服务有望得到改善。
总评 该计划为服务不足地区的患者提供了重要的支持,有助于精神健康领域的区域均衡发展。

Italiano L’Ospedale Nazionale di Bugok ha avviato un programma che copre l’intera provincia di Gyeongsangnam per il trattamento e il sostegno all’indipendenza dei pazienti affetti da malattie mentali.
Utilizzando le cliniche diurne, l’iniziativa mira a colmare le lacune nei trattamenti nelle aree con carenza di strutture riabilitative, promuovendo il reinserimento sociale dei pazienti.
È prevista una stretta collaborazione con i centri sanitari locali per migliorare i servizi di salute mentale.
Valutazione Questo progetto fornisce supporto essenziale alle regioni meno servite, promuovendo sia la cura dei pazienti sia il reintegro nella comunità.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5년도 정보보호 공시, 똑바로 했나?"…정부, 사후검증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2025년도 정보보호 공시의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해 사후검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정보보호 공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공시 자료의 품질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총평 이번 검증은 기업과 이용자 간의 정보 신뢰를 강화하고, 정보보호 관리 체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conduct post-verification checks on the 2025 information security disclosures.
This initiative aims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isclosures, improv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curity data.
Summary This verification process is expected to enhance trust between businesses and users while improving overal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日本語 政府は2025年度の情報セキュリティ公示の適正性を確認するため、事後検証を実施す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の取り組みは、公示の正確性と信頼性を確保し、公示データの品質向上を目指すものです。
総評 この検証により企業と利用者との信頼関係が強化され、情報セキュリティ管理体制の改善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宣布计划对2025年度的信息安全公开进行事后验证。
此举旨在确保信息公开的准确性和可信度,从而提升信息安全数据的质量。
总评 该验证预计将增强企业与用户之间的信任,同时改善整体信息安全管理体系。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l’intenzione di condurre verifiche postume sulla correttezza delle dichiarazioni di sicurezza informatica per il 2025.
Questo intervento mira a garantire l’accuratezza e l’affidabilità delle dichiarazioni, aumentando la qualità dei dati sulla sicurezza informatica.
Valutazione Questo processo contribuirà a rafforzare la fiducia tra imprese e utenti e a migliorare i sistemi di gestione della sicurezza informatica.

[소방청]"이 숙소, 스프링클러 설치돼 있나요?" … 놀(NOL)·여기어때서 안전 정보 확인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은 숙박시설 예약 시 스프링클러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놀(NOL)’과 ‘여기어때’ 플랫폼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숙박시설 화재 발생 시 높은 인명 피해 위험을 줄이고 이용자의 알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공개된 시설 정보는 분기마다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숙박 선택 시 안전성을 고려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 이용자와 사업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Fire Department has started offering information on sprinkler installations in accommodations through the platforms ‘NOL’ and ‘Yeogi Eottae’.
This initiative aims to reduce the high risk of casualties in accommodation fires and enhance public access to safety information, with data updated quarterly.
Summary This measure provides practical safety information for consumers, benefiting both users and business owners by promoting informed decisions.

日本語 消防庁は宿泊施設を予約する際、スプリンクラーの設置状況を「NOL」および「ヨギオッテ」プラットフォームで確認できるよう情報提供を開始しました。
これは宿泊施設の火災リスクを軽減し、利用者の情報へのアクセスを強化するための措置であり、情報は四半期ごとに更新される予定です。
総評 安全性を考える上で有益な情報を提示することで、利用者と事業者双方にメリットをもたらす取り組みです。

中文 消防厅通过“NOL”和“这里怎么样”平台开始提供住宿设施的喷淋系统安装信息。
此举旨在降低住宿设施火灾中的高伤亡风险并增强用户的信息获取权,相关数据将按季度更新。
总评 这项措施为消费者提供了实用的安全信息,有助于用户做出明智决策,同时提升商家的安全形象。

Italiano Il Dipartimento dei Vigili del Fuoco ha iniziato a fornire informazioni sull’installazione di sprinkler negli alloggi tramite le piattaforme ‘NOL’ e ‘Yeogi Eottae’.
L’iniziativa mira a ridurre il rischio di vittime negli incendi delle strutture ricettive e a rafforzare l’accesso pubblico alle informazioni sulla sicurezza, con aggiornamenti previsti ogni trimestre.
Valutazione Questa misura offre informazioni utili per considerare la sicurezza durante la scelta di un alloggio, con vantaggi sia per i consumatori che per gli operatori del setto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자율주행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를 드립니다. 마음껏 연구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5 자율주행 인공지능 경진대회’를 개최하며, 오는 8월 11일부터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최종 9개 팀을 선발해 과기정통부 장관상 등을 포함해 총 2,250만 원 규모의 상금을 수여할 예정입니다.
총평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기술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실력을 발휘하고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회로, 관련 분야 진출을 꿈꾸는 이들에게 유익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s launching the ‘2025 Autonomous Driving AI Competition’, with participant registration starting on August 11.
A total of nine teams will be selected to receive awards, including the Minister of Science and ICT Award, with a total prize pool of 22.5 million KRW.
Summary This competition offers a platform for those interested in AI an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o showcase their skills and gain valuable learning experiences.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が「2025自律走行AIコンテスト」を開催し、8月11日から参加者を募集します。
最終的に9つのチームが選ばれ、科学技術情報通信部長官賞など、総額2250万ウォンの賞金が授与される予定です。
総評 AIや自動運転技術に興味を持つ人々にとって、実力を発揮し学ぶための絶好の機会を提供する大会です。

中文 科学技术信息通信部将举行“2025年自动驾驶AI竞赛”,并从8月11日起开始招募参赛者。
最终将选拔9支队伍,获得包括科技信息通信部长奖在内的共计2250万韩元奖金。
总评 此竞赛为对AI和自动驾驶技术感兴趣的人提供了展示才能与学习成长的重要平台。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ICT ha annunciato il lancio della “Competizione AI per la Guida Autonoma 2025”, con registrazioni dal prossimo 11 agosto.
Saranno selezionati nove team finalisti che riceveranno premi, tra cui un premio del Ministro della Scienza, per un montepremi totale di 22,5 milioni di KRW.
Valutazione Questa competizione rappresenta un’opportunità unica per appassionati di intelligenza artificiale e guida autonoma di esprimere il proprio talento e acquisire esperienza formativa.

[농림축산식품부]자연재해로 인한 가을배추 무름병도 농작물재해보험 보상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부터 가을배추를 대상으로 농작물재해보험에 자연재해성 무름병 보장을 시범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상품은 충북 괴산, 전남 해남, 경북 영양에서 시행되며, 농업인은 방제 노력을 평가받아 보장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외에 병충해 보장도 포함되어 농업인의 위험 분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농업인이 예측할 수 없는 자연재해와 병충해 위험을 완화하는 데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the pilot introduction of crop disaster insurance for autumn cabbages to cover rot diseas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this year.
This coverage will initially be implemented in Goesan, Chungbuk; Haenam, Jeonnam; and Yeongyang, Gyeongbuk, and farmers must demonstrate pest control efforts to qualify for benefits.
This policy aims to mitigate risks for farmers by including both natural disasters and disease coverage.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significant support in reducing the unpredictable risks faced by farmers due to weather and pest-related disease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今年から秋キャベツを対象に、農作物災害保険で自然災害性の軟腐病を保障する制度を試験導入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制度はまず、忠北槐山、全南海南、慶北栄陽で実施され、農業者が防除努力を評価されることで保険の恩恵を受ける仕組みです。
自然災害による被害に加え、病害虫も保障されることで農業者のリスク分散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ような政策は、予測不可能な自然災害や病害虫リスクを抱える農業者における経済的な負担軽減に大いに役立つでしょう。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宣布今年起试点将秋白菜的自然灾害性软腐病纳入农作物灾害保险的保障范围。
该保障首先在忠北槐山、全南海南、庆北英阳实施,农民需通过防治努力评价以获取保险权益。
政策旨在通过覆盖自然灾害和病虫害,为农业生产者分散风险提供支持。
总评 此举将有效帮助农民应对不可预测的自然灾害及病虫害造成的经济损失。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ha annunciato l’introduzione pilota di un’assicurazione per disastri agricoli che coprirà la malattia da marciume naturale sui cavoli autunnali a partire da quest’anno.
La copertura sarà inizialmente attivata nelle regioni di Goesan (Chungbuk), Haenam (Jeonnam) e Yeongyang (Gyeongbuk), e gli agricoltori dovranno dimostrare gli sforzi di controllo dei parassiti per accedere ai benefici.
Questa politica mira a ridurre i rischi affrontati dagli agricoltori coprendo sia disastri naturali che malattie.
Valutazione Questa misura rappresenta un valido strumento per supportare gli agricoltori nella gestione degli imprevisti legati alla natura e agli attacchi parassitari.

[해양수산부]일상 속 신뢰할 수 있는 해상교통 제공을 위한 연안선박 현대화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8월 11일부터 29일까지 연안선박 현대화 펀드 3차 지원 대상자를 공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펀드는 정부 출자를 기반으로 해 연안여객선과 연안화물선의 건조비 일부를 지원하며, 선정된 선사는 15년 간 비용을 상환한 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섬 주민과 방문객에게 더 안전하고 편리한 해상교통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 정책은 노후 선박 문제를 해결해 연안 해운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섬 지역 주민들과 이용객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a public call for the 3rd round of the Coastal Vessel Modernization Fund from August 11 to 29.
This fund, supported by government investment, provides partial financing for the construction of coastal ferries and cargo vessels, allowing selected operators to repay costs over 15 years before gaining ownership.
The initiative aims to offer safer and more reliable maritime transportation for island residents and visitors.
Summary The policy enhances maritime safety and efficiency, benefiting island communities and travelers by addressing the issue of aging vessels.

日本語 海洋水産部は8月11日から29日まで、第3回目の「沿岸船舶近代化ファンド」支援対象者の公募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ファンドは政府の出資を基に、沿岸旅客船や沿岸貨物船の建造費を部分的に支援し、選ばれた企業は15年間で建造費を返済した後、船舶の所有権を取得します。
これにより、島の住民や訪問者に安全で快適な海上交通を提供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老朽化した船舶の問題を解決し、海上輸送の安全性と効率を向上させることで、島民や利用者の利便性を高めるでしょう。

中文 海洋水产部宣布将在8月11日至29日进行第三轮“沿岸船舶现代化基金”资助对象的公开招募。
该基金以政府出资为基础,为沿岸客船和货船的建造提供部分融资,入选企业可在15年内分期偿还建造费用后获得船舶所有权。
预计这一计划将为岛屿居民和游客提供更加安全和可靠的海上交通服务。
总评 此政策旨在解决老旧船舶问题,提高海运安全性和效率,为岛屿居民和旅客的生活带来便利。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annunciato la terza fase del Fondo per la Modernizzazione delle Navi Costiere, con una raccolta di candidature dall’11 al 29 agosto.
Il fondo, sostenuto da investimenti governativi, finanzia parzialmente la costruzione di traghetti e navi da carico costieri, consentendo agli operatori selezionati di restituire i costi in 15 anni prima di acquisire la proprietà.
Questo progetto mira a fornire un trasporto marittimo più sicuro e affidabile per i residenti delle isole e i visitatori.
Valutazione Questa misura affronta il problema delle navi obsolete, migliorando la sicurezza e l’efficienza marittima per il benessere delle comunità insulari e dei viaggiatori.

[해양수산부]"아시아 해역, 해적사건 급증" 해양수산부, 우리선박 피해 예방 당부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올해 상반기 전 세계 해적사건이 90건으로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아시아 해역에서의 사건이 7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2015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해수부는 싱가포르 해협을 중심으로 선박의 물품 탈취 행위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총평 이번 동향은 아시아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들이 경각심을 갖고 보안 대비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reported that global piracy incidents increased significantly to 90 case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sia accounted for the highest number, with 70 cases, marking a peak since 2015.
The ministry attributed the rise to the increase in robbery incidents around the Singapore Strait.
Summary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heightened security and vigilance for vessels navigating through the Asian seas.

日本語 海洋水産部は、今年上半期の世界的な海賊事件が90件に増加したと発表しました。
アジア海域での発生が70件と最多で、これは2015年以来の最高記録です。
同部は、シンガポール海峡周辺での船用品の略奪行為が増加したことを主な要因としています。
総評 アジア海域を航行する船舶には、さらなる警戒と準備が求められています。

中文 海洋水产业部公布,今年上半年全球海盗事件增至90起,比去年有显著增加。
其中,亚洲海域占据最多,达到70起,是2015年以来的最高纪录。
部门认为,新加坡海峡周围针对船舶物资的抢劫行为激增是主要原因。
总评 航行亚洲海域的船舶需提高警惕并加强安全防范措施。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riferito che gli incidenti di pirateria globale sono aumentati significativamente, raggiungendo 90 casi nella prima metà di quest’anno.
L’Asia ha registrato il numero più alto, con 70 casi, il picco più alto dal 2015.
Il ministero ha attribuito l’aumento all’incremento degli atti di rapina nello stretto di Singapore.
Valutazione Questo richiede una maggiore sicurezza e attenzione per le navi che navigano nelle acque asiatiche.

[농림축산식품부]기후 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축산! ’25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 338호 선정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로 총 338호를 새롭게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8배 증가한 수치로, 한우, 돼지, 젖소 농가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균 22%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학교 급식 시범 공급, 인증제품 유통 강화, 홍보 활동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인증제는 지속가능한 축산과 친환경 소비를 촉진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the certification of 338 new farms for low-carbon livestock production for 2025.
The selected farms reduced greenhouse gas emissions by an average of 22%, with the number of certified farms marking a 1.8-fold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Efforts to expand consumer outreach include pilot school supplies, strengthened distribution channels, and promotional activities.
Summary This program promotes sustainable livestock farming and eco-friendly consumption, offering a meaningful step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2025年度の低炭素畜産認証を得た農家338戸を新たに発表しました。
選ばれた農家は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を平均22%削減し、認証農家数は前年の約1.8倍に増加しました。
学校給食への試験供給や流通チャンネルの強化、広報活動を通じて消費拡大に努めています。
総評 この認証制度は持続可能な畜産業と環境に優しい消費を促進し、気候変動対策に貢献する重要な一歩と言え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宣布,2025年度新增338家低碳畜产品认证农场。
这些农场的温室气体平均减排达22%,比上一年增长约1.8倍。
通过学校试点供给、强化流通渠道以及推广活动,积极扩大低碳消费基础。
总评 此认证项目促进可持续发展和环保消费,有望在应对气候变化方面发挥实质作用。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ha annunciato 338 nuove aziende agricole certificate per la produzione di carne a basse emissioni per il 2025.
Queste aziende hanno ridotto in media le emissioni di gas serra del 22%, con un aumento del numero di certificazioni di circa 1,8 volte rispetto all’anno precedente.
La promozione del consumo include forniture scolastiche pilota, canali distributivi rafforzati e attività pubblicitarie.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promuove l’agricoltura sostenibile e il consumo ecologico, rappresentando un passo importante nella lotta al cambiamento climatico.

[농림축산식품부]귀농한 청년들에게 트랙터를 드립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TYM과 협업하여 귀농 청년에게 트랙터 16대를 지원합니다.
총 3천만 원 상당의 트랙터는 과수, 하우스, 밭작물 농업에 사용되며, 8월 11일부터 한 달간 신청을 접수받아 최종 분배될 예정입니다.
이번 사업은 청년농의 농업 정착을 지원하고 농작업 기계화를 촉진하려는 취지입니다.
총평 귀농 청년들이 영농 초기 투자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is collaborating with TYM to provide 16 tractors to young farmers who have returned to rural areas.
Valued at about 30 million won each, these tractors will support orchard, greenhouse, and field farming, with applications open from August 11 to September 12.
This initiative aims to assist young farmers in settling into agriculture and promote mechanization of farming practices.
Summary This program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reduce initial investment costs and enhance operational efficiency for young returning farmer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MAFRA)はTYMと協力して、16台のトラクターを若者の帰農者に提供します。
1台につき約3,000万ウォンの価値があり、トラクターは果樹園、ハウス、畑作業に使用でき、8月11日から9月12日まで応募を受け付ける予定です。
この事業は、若い農業者の定着支援と農作業の機械化を促進するためのものです。
総評 この支援により帰農直後の若者が資金的負担を軽減し、効率的な作業環境を整えられ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MAFRA)与TYM合作,将向返乡青年提供16台拖拉机。
这些拖拉机每台价值约3000万韩元,可用于果树、温室和旱田,申请期为8月11日至9月12日。
该项目旨在支持青年农民扎根农业并推动农作业机械化。
总评 此举将有效减轻返乡青年初期的农业投资压力,并提高作业效率。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ll’Alimentazione e delle Politiche Rurali (MAFRA) sta collaborando con TYM per fornire 16 trattori ai giovani che tornano all’agricoltura.
Ogni trattore, del valore di circa 30 milioni di won, sarà utilizzabile per frutteti, serre e colture da campo, con candidature aperte dall’11 agosto al 12 settembre.
Questo programma intende sostenere i giovani agricoltori nel loro percorso di insediamento e favorire la meccanizzazione agricola.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iuterà i giovani agricoltori a ridurre i costi iniziali e a migliorare l’efficienza operativa nel loro lavoro nei campi.

[농림축산식품부]농촌의 가치를 높이는 창업가 30인을 모집합니다! 농촌혁신 네트워크 제1기 모집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혁신 네트워크 ‘커넥트업’ 1기에 참여할 창업가 30인을 모집합니다.
이번 사업은 멘토를 중심으로 한 자율 네트워킹을 통해 농촌 창업 분위기를 확산하고, 농촌융복합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캠프와 협업 프로젝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가들의 성장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총평 농촌 창업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농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recruiting 30 entrepreneurs for the first cohort of the “Connect-Up” Rural Innovation Network.
This initiative aims to foster entrepreneurship in rural areas by creating a networking program led by experienced mentors and promoting sustainable entrepreneurial ecosystems through agribusiness integration.
Activities such as camps and collaborative projects will support the growth of participating entrepreneurs.
Summary This program offers new opportunities for those interested in rural entrepreneurship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rural economy.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農村イノベ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コネクトアップ)」1期生として30人の起業家を募集します。
この事業は、メンターを中心とした自律的な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農村での起業の雰囲気を広め、農村融合産業を通じて持続可能な起業生態系を支援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キャンプや協力プロジェクトなどを通じて、参加者の成長を支援する予定です。
総評 農村での起業に関心のある人々に新たなチャンスを提供するプログラムで、農村経済の活性化に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农林畜产品食品部正在招募30名创业者,加入首期“农村创新网络(Connect-Up)”计划。
此计划旨在通过以导师为中心的自主网络,加强农村创业氛围,并通过农业融合产业创建可持续的创业生态系统。
计划还将通过训练营和联合项目等活动支持参与者的发展。
总评 该项目为关注农村创业的人提供了新机会,有望推动农村经济的复苏与繁荣。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i e Affari Rurali sta cercando 30 imprenditori per il primo ciclo del programma “Connect-Up” della Rete di Innovazione Rurale.
L’iniziativa mira a promuovere l’imprenditorialità nelle aree rurali attraverso un programma di networking guidato da mentori esperti e a creare ecosistemi imprenditoriali sostenibili attraverso l’integrazione agraria.
Attività come camp e progetti collaborativi supporteranno la crescita dei partecipanti.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offre nuove opportunità per chi è interessato all’imprenditoria rurale e potrà contribuire a rivitalizzare l’economia rurale.

[농림축산식품부]매월 둘째 주? 농촌관광 가야 주(淍)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둘째 주를 ‘농촌관광 가는 주간’으로 지정하고, 농촌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할인과 이벤트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농촌 관광상품은 최대 50% 할인 혜택과 대중교통비 지원, 숙박비 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공모전과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특히, 문체부와 고용부 등 타 부처와의 협업으로 더 풍성한 프로그램들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농촌 관광 활성화와 농촌 경제 진작에 기여하면서, 도시민들에게 새로운 여행 선택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the designation of the second week of each month from August to November as “Rural Tourism Week,” offering discounts and events to promote rural tourism.
Tourism packages will be available with discounts up to 50%, along with benefits like transportation subsidies and accommodation discounts.
Collaborations with other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will enhance the variety of program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boost rural economies and provide city dwellers with appealing travel option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8月から11月までの毎月第2週を「農村観光ウィーク」とし、農村観光を活性化させるための多様な割引やイベントを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観光商品には最大50%の割引や交通費・宿泊費の支援が含まれ、公募展やイベントも行われます。
また、文化体育観光部や雇用部など他省庁との連携により、より多彩なプログラムが提供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農村経済の活性化に寄与し、都市住民に新たな旅行の選択肢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宣布,将在8月至11月期间每月的第二周定为“农村旅游周”,并推出各种折扣和活动以促进农村旅游发展。
旅游产品提供高达50%的折扣,还包括交通补贴和住宿支持等福利,同时举行各种竞赛和活动。
并计划与文化部、劳动部等其他部门合作,推出更丰富多彩的活动方案。
总评 此政策不仅有望助力农村经济发展,也为城市居民提供了有吸引力的旅行选择。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ll’Alimentazione e degli Affari Rurali ha annunciato che da agosto a novembre la seconda settimana di ogni mese sarà dedicata alla “Settimana del Turismo Rurale,” con sconti e eventi per promuovere il turismo nelle campagne.
I pacchetti turistici offrono sconti fino al 50%, supporti per trasporti e alloggi, oltre a concorsi ed eventi coinvolgenti.
In collaborazione con altri ministeri, si prevedono programmi ancora più ricchi di iniziativ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contribuirà a rivitalizzare l’economia rurale e a offrire nuove opportunità di viaggio ai cittadini urbani.

[농림축산식품부]케이(K) 스마트팜 호주 시장 문을 두드리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와 KOTRA는 8월 6일부터 8일까지 호주 멜버른에서 한국 스마트팜 홍보를 위한 ‘2025 케이(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10개 국내 스마트팜 기업이 호주 농업 전시회와 연계해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고, 현지 바이어들과의 93건의 수출 상담이 이루어졌습니다.
호주의 스마트팜 기술 수요 증가와 디지털농업 혁신전략에 맞춰, 한국 스마트팜의 경쟁력이 호주 농업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스마트팜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며, 미래 농업 기술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TRA held the ‘2025 K-Smart Farm Roadshow’ in Melbourne, Australia, from August 6 to 8.
The event featured 10 Korean smart farm companies showcasing their products and technologies, with 93 export consulting meetings conducted with local buyers.
As Australia increasingly focuses on smart farming technologies, Korean solutions are being recognized as competitive alternatives in the market.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significant export opportunit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smart farm businesses, promoting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to new market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とKOTRAは8月6日から8日まで、オーストラリア・メルボルンで「2025 K-スマートファームロードショー」を開催しました。
国内のスマートファーム企業10社が技術や製品を紹介し、現地バイヤーとの93件の輸出商談が行われました。
スマート農業技術需要が増加するオーストラリア市場で韓国技術の競争力が評価されています。
総評 今回のイベントは中小企業のスマート農業技術を国際市場に広げるきっかけとなり得る貴重な取り組みです。

中文 韩国农业部门与KOTRA于8月6日至8日在澳大利亚墨尔本举办了“2025 K-智慧农业路演”。
活动期间,10家韩国智慧农业企业展示了产品与技术,并与当地买家进行了93次出口洽谈。
随着澳大利亚对智慧农业技术需求的提升,韩国产品在该市场的竞争力日益受到关注。
总评 此次活动为中小型智慧农业企业提供了开拓国际市场的宝贵契机,同时推动了农业技术的全球化应用。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e KOTRA hanno organizzato il “2025 K-Smart Farm Roadshow” a Melbourne, in Australia, dal 6 all’8 agosto.
Dieci aziende coreane di smart farming hanno presentato le loro tecnologie e prodotti, realizzando 93 trattative di esportazione con partner locali.
Alla luce della crescente domanda australiana di tecnologie per l’agricoltura intelligente, le soluzioni coreane stanno guadagnando attenzione come alternative competitive.
Valutazione Questo event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le PMI del settore smart farming per espandere la loro presenza su scala globale, promuovendo innovazioni nel campo agricolo.

[기획재정부]구윤철 경제부총리, 초혁신경제 전환 등 한국경제 비전을 무디스에 적극 설명

요약보기
한국어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월 8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연례협의단과 만나 한국 경제 상황과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회의는 한국의 경제 안정성과 정책 의지를 국제적으로 알리는 기회로 활용되었습니다.
총평 이는 한국 경제의 신용도를 유지하고 국제적 신뢰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Deputy Prime Minister Kyungho Koo, who also serves as the Minister of Economy and Finance, met with Moody’s annual consultation group on August 8.
The discussion centered on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in Korea and its key policy directions, emphasizing stability and adaptability.
Summary This move strengthens Korea’s economic credit rating and builds global confidence in its economic policies.

日本語 ク・ユンチョル副首相兼企画財政部長官は、8月8日に国際格付け機関ムーディーズの年次協議団と会い、韓国の経済状況と主要政策の方向性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この会議は、韓国経済の安定性と戦略を国際的に示す場となりました。
総評 韓国の信用格付け維持および国際的信頼を強化する重要なステップ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副总理兼企划财政部长具允哲于8月8日会见了国际评级机构穆迪的年度协商团。
讨论内容包括韩国当前的经济状况以及主要政策方向,重点展示了稳定与政策适应性。
总评 这一会议有助于提高韩国经济信用评级并增强国际社会的信任。

Italiano Il Vice Primo Ministro Kyungho Koo, anche Minist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ha incontrato il gruppo annuale di consultazione di Moody’s l’8 agosto.
La discussione si è concentrata sulla situazione economica in Corea e sulle principali direzioni politiche, evidenziando stabilità e adattabilità.
Valutazione Questo incontro migliora il rating di credito economico della Corea e rafforza la fiducia globale nelle sue politiche economiche.

요약

[농림축산식품부]"APEC 계기 농업외교 활발" 한국, 美·加·대만 등과 협력 강화 논의
발행일: 2025-08-10 07:00

원문보기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서 한국, 글로벌 농업 협력 확대 논의**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대표단은 8월 9일부터 10일까지 인천에서 열린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를 계기로, 주요 국가들의 농업 관계자들과 만나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을 대신하여 참석한 차관과 실장 등 한국 대표단은 캐나다, 뉴질랜드, 대만, 필리핀, 미국 등 여러 국가 관계자들과 연이어 면담을 진행했다.

**각국과의 협력 논의 주요 내용**
– **글로벌 이슈 대응 협력**: 각국 대표들은 기후변화, 인구 고령화, 디지털 전환 등 현재 농업이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들에 대해 공감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교류와 정책 협력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 **한국 농식품 수출 확대 요청**: 한국 대표단은 한국산 농축산물의 수출 확대를 위한 각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하며, 서로 신뢰를 바탕으로 농식품 분야에서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번 회의는 APEC 회원국들이 농업 및 식량 안보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미래의 농업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배경 및 의의**
–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는 농업 및 식량 문제에 대한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개최된다.
– 한국은 농식품 분야에서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 한국산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동시에 식량 안보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국은 이번 논의를 발판 삼아, 글로벌 농식품 협력을 확대하며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과 식량 안보 실현을 위한 국제적 노력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출처: 행정안전부 공무원 발표 자료]

[농림축산식품부]APEC 무대에서 ‘케이-푸드 플러스(K-Food+)’수출 외교 박차
발행일: 2025-08-10 07:00

원문보기
###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서 농식품 수출 확대 논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8월 10일 인천에서 열린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계기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의 농업 관련 고위 관계자들과 잇달아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양국과의 농식품 교역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우리 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지원을 당부했다.

#### **베트남과의 협력**
송미령 장관은 쩐 득탕 베트남 농업환경부 장관 직무대행과 만나 농업 분야 협력과 수출 확대 가능성을 논의했다. 특히, 한국산 닭고기와 과일(키위, 온주밀감) 수출을 위해 베트남 정부의 협조를 요청했다.
– **베트남 측 입장**: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에 감사를 표하며, 양국 간 농식품 기업 교류 확대와 한국 기업의 농업 투자 활성화를 기대했다.
– **송 장관 언급**: 베트남은 한국의 주요 농식품 교역국이자 ODA 파트너로서 중요한 동반자임을 강조하며, 현재 진행 중인 ODA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 **말레이시아와의 협력**
송 장관은 모하마드 빈 사부 말레이시아 농업식량안보부 장관과 만나 할랄식품을 포함한 농식품 교역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 **말레이시아 측 제안**: 농업 및 식량안보 공조 강화 및 검역당국 간 협력 확대를 제안.
– **한국 측 요청**: 현재 할랄 인증을 받은 한국산 냉동 소고기만 수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냉장 소고기 등 수출 품목 확대를 위한 협력을 요청.
– **참고**: 한국은 2023년부터 할랄 한우 수출을 말레이시아에서 시작했으며, 할랄식품 산업 중심지인 말레이시아를 중요한 수출 시장으로 보고 있다.

#### **미래 전망**
송 장관은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각각 한국 농식품 수출의 핵심 시장이자 성장 가능성이 높은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 베트남: 한국 농식품 4위 수출국.
– 말레이시아: 할랄식품 산업의 중심지이자 동남아 인구 증가율이 높은 국가.

### 결론
송 장관은 이번 면담을 통해 양국과의 농식품 교역 및 협력이 한층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며, 한국 농식품의 해외 진출 확대 및 경제적 파트너십 강화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 혁신과 K-Food+로 여는 미래’, 농식품부 APEC 2025 식량안보 장관회의 성황리 마무리
발행일: 2025-08-10 03:44

원문보기
###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 성료: 한국, 농식품 혁신 선도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 9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APEC의 21개 회원경제체 모두가 참석해 농식품 혁신을 통한 식량안보 강화라는 공동 목표를 확인하며 협력의 필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

#### **회의의 주요 내용과 성과**

– **의장국 한국의 주도**
– ‘공동 번영을 위한 농식품 시스템의 혁신 추진(Driving Innovation in Agri-food Systems for Shared Prosperity)’을 주제로, 한국이 논의를 주도했습니다.
– 장관선언문 채택, 회원경제체 간 협력 방안 구체화 및 사례 공유 등 주요 의제를 다루며 **2030 식량안보 로드맵**의 중간점검도 진행했습니다.

– **인공지능(AI) 활용 협력 방안 논의**
– 디지털 격차 해소와 혁신 기술의 도입을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활용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 **양자면담 및 협력 확대**
– 일본,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K-Food+ 수출 확대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며, **한중일 농업 장관회의**(8월 11일)를 통해 3국 간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 협력을 논의했습니다.

#### **우리 농식품의 국제적 위상과 한국 농업의 경쟁력 홍보**
– **농업혁신 전시관 운영**
– 스마트팜, 스마트 농기계·기술, 전통주 및 K-스트리트푸드 체험 부스를 통해 한국 농업 기술과 문화를 알렸습니다.

– **우리 술로 ‘K-Food+’ 홍보**
– 우리 술을 활용한 칵테일 시음과 ‘천비향'(올해 대통령상 수상작)을 공식 만찬주로 제공하며 참가자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 **농업계와 함께한 소통의 장**
– 이번 회의는 단순히 회원국 대표단만의 모임을 넘어 농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며 글로벌 협력 방안을 논의한 점이 주목받았습니다. 특히 농업 현장을 직접 소개하며 한국 농업의 강점을 체감하도록 했습니다.

#### **송미령 장관의 기대와 비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장관선언문 채택이 매우 뜻깊다”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국의 농식품 혁신 정책과 K-Food+의 가치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렸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위상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는 한국이 농식품 혁신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리더십을 발휘한 자리였으며, 미래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케이-뮤지컬’ 진흥 위한 지원 확대 약속
발행일: 2025-08-10 03:40

원문보기
아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보도자료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한 ‘케이-뮤지컬’ 진흥 관련 주요 내용입니다.

### ‘케이-뮤지컬’ 진흥 위한 지원 확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국내 공연예술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뮤지컬 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케이-컬처(K-Culture)’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케이-뮤지컬'(K-Musical) 지원 확대와 진흥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 주요 내용:
1. **관계자 현장 방문 및 의견 수렴**
– 문체부 담당자는 뮤지컬 현장을 방문해 업계 종사자와의 대화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지원 정책을 마련했습니다.
– 뮤지컬 제작자, 배우, 스태프 등의 의견을 경청하고, 산업의 어려움과 필요 사항을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2. **지원 확대 주요 방향**
– **제작 지원 확대:** 뮤지컬 콘텐츠 제작비 및 기술 지원금을 증대하여, 창작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작품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
– **해외 진출사업 강화:** 우수한 작품을 세계 무대에 선보이기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 홍보 지원.
– **전문 인력 양성:**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창작자와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전문 프로그램 운영.
– **공연 인프라 개선:** 제작사와 중소극단들에게 적합한 안정적인 공연 공간 제공.

3. **케이-컬처의 중심축으로 성장**
– 문체부는 ‘케이-뮤지컬’을 **케이-컬처(K-Culture)의 글로벌 확산**을 이끄는 핵심 분야로 설정하고, 영화, 드라마와 더불어 세계적인 한류 콘텐츠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

#### 향후 계획
문체부는 이번 발표를 계기로, 뮤지컬 산업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우뚝 설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 갈 예정입니다. 또한, 이번 발표와 관련된 구체적 세부 사항은 첨부된 보도자료([0809]문체부보도자료-케이-뮤지컬 현장 방문.hwpx)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지원 계획은 한국 뮤지컬 산업이 질적, 양적 성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건복지부]국립부곡병원, 경남 전체의 정신질환자 치료 책임진다
발행일: 2025-08-10 03:00

원문보기
### 국립부곡병원, 경남 정신질환자 치료와 자립 지원에 앞장서다

국립부곡병원이 경상남도 전역에서 정신질환자들의 치료 공백을 줄이고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 내 정신질환자 지속치료 및 자립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이는 정신재활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지역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경남 13개 시·군 주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합니다.

#### **왜 이 사업이 중요한가?**

1. **정신재활시설 부족**
– 경상남도 내 18개 시·군 중 양산, 진주, 창원 등 5개 지역을 제외하면 재활시설이 없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 부산·울산·경남 지역 내 정신재활시설 수는 전국 대비 7.5%로, 매우 열악한 수준입니다.

2. **퇴원 후 재입원 문제**
–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정신질환자 퇴원 후 1개월 내 재입원율은 24%에 이르고 있어 지역사회에서의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절실합니다.

#### **주요 사업 내용**

– **낮병동 프로그램 운영**
국립부곡병원의 낮병동을 활용해 정신질환자들이 급성기 치료 이후 안정적으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지역사회 협력 강화**
사업은 경상남도 내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와 협력해 진행되며, 창녕군을 시작으로 대상 지역을 전역으로 확대 중입니다.

– **자립 지원**
치료 뿐만 아니라 환자들이 경제와 생활 면에서 독립할 수 있도록 돕는 재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기대 효과와 전망**

국립부곡병원 이태경 원장은 이 사업이 정신질환자 치료와 재활 수준을 끌어올리고, 지역 간 의료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국립병원과 지방자치단체의 협업 모델이 다양한 사회 재활 분야에서 모범 사례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제시했습니다.

### 결론 및 제언

정신건강 문제는 환자 개인뿐 아니라 가정과 지역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국립부곡병원이 주도하는 이번 사업은 경남 지역 정신질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꾸준한 관심과 예산 지원이 필요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5년도 정보보호 공시, 똑바로 했나?"…정부, 사후검증 실시
발행일: 2025-08-10 03:00

원문보기
국내 주요 기업과 기관이 매년 공개하는 “정보보호 공시”가 적법하고 정확하게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정부가 사후검증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정보보호 공시제도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기업들의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조치로 보입니다.

### 정보보호 공시제도란?
정보보호 공시제도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정보보호를 위해 투자한 금액, 활동 현황, 주요 성과 등을 대중에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신뢰를 구축하고, 정보보호에 대한 책임 있는 행보를 보여주기 위한 장치 역할을 합니다.

### 점검 대상 및 사후검증 방안
이번 사후검증은 주요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공시된 내용의 적합성과 신뢰성을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공시자료의 허위 여부, 실제 예산 집행 내역과 공시내용 간 불일치 여부, 정보보호 조치의 실효성 등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 기대효과
정부는 이 검증을 통해 기업들이 보다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공시를 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정보보호 투자와 실행력을 제고하는 데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정부가 제공한 첨부파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해당 파일은 특정 포맷일 경우 바로보기가 지원되지 않으니 다운로드 후 열람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정보보호 공시에 관심 있는 기업 관계자와 공공기관 담당자는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부의 검증 절차에 충실히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소방청]"이 숙소, 스프링클러 설치돼 있나요?" … 놀(NOL)·여기어때서 안전 정보 확인하세요
발행일: 2025-08-10 03:00

원문보기
### “이 숙소, 스프링클러 설치돼 있나요?” – 숙박 예약 전 확인 가능해졌다!

숙박시설 이용 전 안전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소방청은 국내 주요 숙박예약 플랫폼인 **’놀(NOL)’**과 **’여기어때’**를 통해 숙박시설의 **스프링클러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숙박시설의 화재 안전성을 강화하고 숙박 예약자들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 **왜 스프링클러 정보가 중요한가?**

숙박시설에서의 화재는 다른 시설에 비해 인명피해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지난해 숙박시설에서 발생한 화재 351건 중, 99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이는 전체 화재 대비 **4배 높은 인명피해 비율(28.2%)**을 나타냅니다. 이는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숙박시설의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전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숙소를 선택하는 것이 큰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 **새로운 정보 확인 방법: 놀(NOL) & 여기어때**

소방청은 약 3만여 개 숙박시설 중 약 4,500여 개(놀: 약 2,000곳, 여기어때: 약 2,500곳)의 숙박시설 정보를 두 플랫폼에 등록하고, 이용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앞으로도 분기별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이용자들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 🚨 **소방시설법이 정한 스프링클러 설치 기준**
– 바닥 면적 합계가 **600㎡ 이상**인 숙박시설은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 🏨 **숙박시설 현황과 화재통계**
– **전국 숙박시설**: 약 31,271개소
(여관·모텔 1만9,848곳, 호텔 1,776곳, 여인숙 1,703곳, 고시원(500㎡ 이상) 2,026곳 등)
– **2023년 숙박시설 화재**: 351건
– 인명피해: 99명(사망 16명, 부상 83명)

### 🤝 **소방청과 플랫폼의 협업: 기대 효과**
1. **숙박 예약자의 안전 선택권 강화**: 소비자는 시설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안전한 숙소를 선택 가능.
2. **영업장 이미지 제고**: 숙박시설 업주는 스프링클러 설치를 통해 고객들에게 안전성을 홍보.
3. **자율적 안전관리 확산**: 정부-민간 플랫폼 협력을 통해 안전문화 기반 형성.

### 💬 **소방청의 메시지**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이번 스프링클러 설치정보 공개는 숙박시설 이용자의 안전을 도울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며, 앞으로도 민관 협력 체계를 통해 자율적 안전관리를 확대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앞으로 숙박 예약 시 안전 정보를 꼭 확인하고, 안심할 수 있는 공간에서 소중한 시간을 보내세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자율주행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를 드립니다. 마음껏 연구하세요!
발행일: 2025-08-10 03:00

원문보기
### 2025 자율주행 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 자율주행 인공지능 경진대회”**를 개최하며, 오는 **8월 11일부터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목표로 준비되었으며, 최종 **9개 팀**을 선발해 다채로운 혜택을 제공합니다.

### 주요 대회 정보
– **대회명:** 2025 자율주행 인공지능 경진대회(챌린지)
– **모집 일정:** 2025년 8월 11일부터 시작
– **참가 자격:** 자율주행·AI 기술에 관심 있는 개인 및 팀
– **선발 팀 수:** 최종 9개 팀

### 상금 및 수상 혜택
총 **2,250만 원 규모**의 상금을 포함해 다음과 같은 혜택이 제공됩니다: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여**
2. 상위 팀에게 자율주행 관련 기술을 시험·운영할 더 큰 기회 부여
3. 추가적인 기술 지원 및 멘토링 제공

이번 경진대회는 자율주행 기술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기술 개발자들과 연구팀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식 누리집 **(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자연재해로 인한 가을배추 무름병도 농작물재해보험 보상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농식품부, 가을배추 대상 자연재해성 무름병 재해보험 시범 도입**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올해부터 가을배추를 대상으로 자연재해성 무름병을 보장하는 농작물재해보험 상품을 시범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자연재해로 인해 방제가 어려운 병충해 피해를 대상으로 하며, 농업 경영상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일반 병충해와는 다르다.

### **재해보험의 핵심 내용**
– **보장 대상**: 가을배추 재배 농업인 중 사전에 가입 수요를 제출하고 재배 기간 동안 병해충 방제 등 관리 노력을 기울이는 이들.
– **시행 지역**: 충북 괴산, 전남 해남, 경북 영양.
– **보장 범위**: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함께 자연재해성 무름병 피해 추가 보장.
– **운영 시기**: 8월 11일부터 시범 운영.

### **가입 농업인에 대한 관리 및 평가**
전문 손해평가인력이 배추 재배기간 동안 현장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농업인의 방제 노력(약제 살포, 병해충 확산 방지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한다. 이를 통해 관리 노력 여부를 확인하고 공정한 피해 보상을 보증한다.

### **추가 계획 및 전망**
농식품부는 이번 자연재해성 병충해 보험 도입과 함께 농업인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수입안정보험도 새롭게 추진한다. 이 보험은 자연재해 피해뿐만 아니라 가격 변동에 따른 경영 리스크를 보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농식품부는 “농업인들이 실질적인 체감을 얻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보험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라며, 현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결론**
자연재해의 위험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가을배추를 대상으로 하는 이번 시범 사업은 농업인의 안정적인 경영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시범 운영 결과에 따라 제도가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농업계의 관심이 주목된다.

[해양수산부]일상 속 신뢰할 수 있는 해상교통 제공을 위한 연안선박 현대화 지원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 일상 속 신뢰할 수 있는 해상교통 제공을 위한 연안선박 현대화 지원

#### 📌 2025년 제3차 연안선박 현대화 펀드 지원 공모 실시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오는 **2025년 8월 11일(월)부터 29일(금)**까지 **‘연안선박 현대화 펀드(현대화 펀드)’** 3차 지원 대상자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연안해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 연안 여객 및 화물 선박의 노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다.

#### 📌 **연안선박 현대화 펀드란?**

– **조성 배경**
연안해운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높이기 위해 **2016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현대화 펀드는 정부 출자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 **지원 구조**
펀드 자금은 **선가(선박 제작 비용)의 30~60%**를 부담하며, 이에 더해 금융기관 대출과 선사의 자부담이 결합되어 새로운 선박 건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 **선박 소유권 이전 방식**
선사는 펀드를 통해 건조된 선박을 약 **15년간(3년 거치, 12년 분할 상환)** 운영하며, 상환 완료 시 선박의 최종 소유권을 취득한다.

#### 📌 **현대화 펀드의 성과**

– **펀드 조성 및 건조 지원**
현재까지 총 **2,390억 원**이 조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13척**의 선박이 건조 지원을 받았다.
– 이 중 6척의 연안여객선은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운항 중(예: 퀸제누비아, 목포-제주 항로)이다.

– **지원 대상을 화물선으로 확대**
지난 2024년부터 연안 여객선뿐만 아니라 연안 화물선까지 지원 대상을 넓혀 현재까지 **5척의 연안화물선 건조 지원**을 통해 연안 물류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강화했다.

#### 📌 **지원 신청 방법 및 절차**

– **접수 기간**: 2025년 8월 11일 ~ 8월 29일
– **신청처**: 펀드 위탁운용사인 **세계로선박금융㈜ 누리집**([www.globalmarifin.com](http://www.globalmarifin.com))
– **평가 기준**:
– 사업계획의 타당성
– 금융기관 대출계획
– 선사의 여건 및 재무건전성

신청 과정과 관련한 세부 사항 역시 세계로선박금융㈜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미래 계획과 지속적 지원**

허만욱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 “연안해운은 섬 주민의 소중한 일상을 보장하고,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중요한 자원”이라고 강조하며,
> “앞으로도 해상교통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지속적으로 높여 국민 모두가 연안해운에 대해 긍정적인 기억을 가질 수 있도록 **노후 선박의 현대화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3차 공모를 통해 더 많은 선박이 현대화되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해상교통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해양수산부]"아시아 해역, 해적사건 급증" 해양수산부, 우리선박 피해 예방 당부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 아시아 해역 해적 사건, 10년 만에 최고 수준…해양수산부 “피해 예방 강화 필요”

해양수산부는 2025년 상반기 전 세계 해적 사건 발생 동향을 발표하며 아시아 해역에서의 해적 사건이 급증했다고 경고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해적 사건 수는 9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0건) 대비 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아시아 해역에서만 70건이 발생해 2015년(107건)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 1. **전 세계 해적 사건 현황**
– **2025년 상반기**: 전 세계에서 총 90건의 해적 사건 발생 (지난해 동기 대비 30건 증가).
– **아시아 해역**: 70건 발생, 전년 대비 약 71% 증가 (2024년 41건 → 2025년 70건).
– **승선자 피해 감소**: 같은 기간 승선자 피해는 줄어들어 98명에서 67명으로 감소.

#### 2. **해역별 사건 분포**
– 아시아 해역: 70건 (*역내 최대 증가 원인: 싱가포르 해협 해상강도 증가*).
– 서아프리카: 12건.
– 소말리아·아덴만 해역: 3건(*모두 선박 피랍 형태*).

#### 3. **싱가포르 해협의 해상강도 급증**
– 2024년 13건에서 2025년 57건으로 대폭 증가.
– 대부분 선용품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해적 행위.

#### 4. **선박 피랍 사건 현황**
– 총 4건 발생(2024년과 동일).
– 소말리아·아덴만 해역 3건, 서아프리카 1건.
– 소말리아·아덴만 해역에서 승선자 26명 일시 억류.

### **해수부의 대책 및 당부**

최성용 해수부 해사안전국장은 아시아 해역의 해적 사건 급증에 대해 심각성을 알리며, 선박에 대한 사전 대비와 해역별 위험 정보 활용을 당부했습니다.

#### **정부 권고사항**
– 해수부 및 연안국이 제공하는 최신 정보를 적극 활용.
– 해양수산부의 ‘해역별 해적위험지수’를 참고.
– 위험 해역 항로 운항 시 경계 강화와 안전 대책 준비.

#### **자료 제공**
해당 자료 및 세부 정보는 해양수산부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www.gicoms.go.kr](http://www.gicoms.go.kr))에서 확인 가능.

### **결론**

아시아 해역에서의 해적 사건이 급격히 늘어나며, 이 지역을 통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특히, 싱가포르 해협에서의 해상 강도를 포함해 다양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이를 막기 위한 해운업계와 관계 당국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기후 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축산! ’25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 338호 선정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 2025년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 338호 신규 선정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25년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로 총 338호를 선정했다고 8월 8일 발표했다. 이번 선정은 한우 42호, 돼지 187호, 젖소 109호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작년 대비 약 1.8배 증가한 규모다. 현재 누적 인증 농가는 599호에 달한다.

####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란?**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는 농가가 온실가스를 줄이는 기술을 적용하여 축종별 평균 배출량보다 10% 이상 감소시킨 농장을 인증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축산농가의 자발적 탄소 감축 활동을 장려하고, 소비자의 탄소중립 가치 소비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올해 농가의 탄소 감축 성과**
2025년 신규 인증 농가들은 저탄소 사양관리, 가축분뇨 처리 개선, 에너지 절감 등의 기술을 도입하여 온실가스를 평균적으로 한우 13.19%, 돼지 29.86%, 젖소 23.07%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

#### **소비 기반 확대와 유통 활성화**
저탄소 인증 축산물의 소비 기반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인증된 우유와 돼지고기를 활용한 브랜드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일부 지역(충남 아산 등)에서는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를 학교 급식에 시범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예컨대, 2025년 3월부터 7월까지 아산 및 천안 지역 내 630개소의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에서 약 46,886kg의 저탄소 돼지고기가 사용되었다.

#### **농식품부의 향후 계획**
농식품부는 인증제도를 더욱 발전시키고 저탄소 축산물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하반기 다양한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저탄소 급식 데이’ 행사 추진, ▲소비자 체험 행사 개최, ▲온라인 홍보 콘텐츠 배포 등을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방침이다.

또한,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인증표시 자재를 지원하고 인증 농가와 유통채널 간 연계를 강화하여 판로를 확대할 예정이다.

#### **축산정책관의 메시지**
안용덕 축산정책관은 “기후위기 속에서 축산 부문이 생산성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축산농가와 국민이 함께 저탄소 축산물 소비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저탄소 농업 실천의 지속 가능성과 함께 농가 및 소비자 양측의 적극적인 참여 필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농림축산식품부]귀농한 청년들에게 트랙터를 드립니다!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 농식품부, 귀농 청년 위한 트랙터 16대 지원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가 국내 농업기계 제조업체 TYM과 협력하여 귀농 청년들에게 총 16대의 트랙터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청년 농업인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과 농작업 기계화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약 3천만 원 상당의 고성능 55마력 논 캐빈형 트랙터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 **주요 내용**

#### **지원 배경과 목표**
농식품부와 TYM의 협업을 통해 귀농 청년들에게 농기계를 지원하면서 청년 농업 활성화와 농촌 정착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TYM은 2020년부터 자체적으로 진행해 온 귀농 청년 트랙터 지원 프로그램을 이번에는 정부와 협력하여 더욱 체계적인 방식으로 확대 실행합니다.

#### **지원 내용과 규모**
– **트랙터 종류**: 55마력 논 캐빈형 트랙터
– **지원 수량**: 16대
– **지원 금액**: 대당 약 3천만 원, 총 5억 원 상당

####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
– **지원 자격**:
– 귀농 1년 이상
–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만 40세 미만 청년 농업인

– **우대 조건**:
– 논에 비해 기계화율이 낮은 밭농업 종사자
– 귀농 배경 및 교육 이수를 통해 귀농의 진정성을 입증한 경우

#### **신청 및 절차**
– **신청 기간**: 2023년 8월 11일 ~ 9월 12일
– **신청 방법**: TYM 공식 홈페이지(tym.world/ko)
– **선발 절차**:
1. 서류 심사
2. 면접 평가(10월 진행 예정)
3. 최종 선발 후 전달식(11월 예정)

#### **추가 정보 제공**
지원 관련 세부 사항은 농식품부의 청년농 통합플랫폼 ‘탄탄대로’(youngfarmer.greendaer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습니다.

### **농식품부와 TYM의 기대 효과**
농식품부 김정욱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이번 협업이 청년 농업인의 영농 활동을 돕고 귀농의 문턱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향후 민간과의 협업을 더욱 다양화하여 농업과 연관 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습니다.

### **정리**
농식품부와 TYM이 함께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농업 기계화와 청년 농업 지원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청년 농업인이 겪는 초기 영농비용 부담을 덜어주고, 기계화로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유도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농촌 사회 구축에 일조할 전망입니다. 🌱

[농림축산식품부]농촌의 가치를 높이는 창업가 30인을 모집합니다! 농촌혁신 네트워크 제1기 모집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 농식품부, 농촌 창업 활성화를 위한 ‘커넥트업’ 참가자 모집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8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농촌혁신 네트워크(커넥트업)」에 참여할 창업가 30인을 모집한다고 밝히며, 농촌 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사업 개요
「농촌혁신 네트워크 지원사업」은 농촌 창업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모색하고, 창업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입니다. 기존의 정형화된 방식에서 벗어나, 선배 창업가들의 경험을 공유하며 창업가 간 협력을 강화하는 독창적 방식이 돋보입니다.

#### 커넥트업 1기와 멘토 구성
이번 1기 프로그램에는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을 받은 기업 대표 5명이 멘토로 참여하여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지침을 제공합니다. 멘토에는 이지현 대표(뭐하농), 이대로 대표(비전레드), 배민화 대표(므므흐스), 도원우 대표(리플레이스), 서동선 대표(팜앤디협동조합)가 있으며, 이들의 전문적인 농촌 창업 경험이 참가자들에 큰 가치를 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주요 활동 및 협력
프로그램 활동은 2박 3일 캠프와 간담회 형태로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협업 프로젝트 기획, 브랜드 확장 및 판매전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게 됩니다. 특히, ㈜롯데카드의 ESG 사업인 띵크어스와 협력하여 농촌 창업가의 브랜딩 강화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 향후 계획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창업가 간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킹 시스템을 확대하고, 성과에 따라 우수 멘티들은 차년도 멘토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농촌융복합산업과 연계된 전문 컨설팅, 자금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농촌 창업 생태계의 외연을 넓히려는 전략이 세워져 있습니다.

#### 참여 독려
농식품부 김고은 농촌경제과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농업·농촌에 특화된 창업 네트워크를 최초로 도입한 중요한 시도”라며, “농촌 창업가들이 서로 교류하며 사업적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농촌혁신 네트워크(커넥트업)」는 농업과 농촌을 기반으로 창업을 구상하고 있는 이들에게 뜻깊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농촌 창업에 열정을 가진 창업가들은 공모 기간 내 적극적인 참여를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농림축산식품부]매월 둘째 주? 농촌관광 가야 주(淍)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농림축산식품부, 8~11월 ‘농촌관광 가는 주간’ 운영해 경제 활성화 도모**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오는 8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둘째 주를 ‘농촌관광 가는 주간’으로 지정해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농촌지역에서 여가와 여행을 즐기도록 유도하며, 농촌 경제에 생기를 불어넣겠다는 취지입니다.

### **다양한 할인 혜택 및 지원 프로그램**
‘농촌관광 가는 주간’은 정부의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쿠폰 정책과 연계되어, 관광객들에게 폭넓은 할인과 혜택을 제공합니다.

– **농촌관광상품 할인**: 체험 프로그램 및 휴양마을 투어에 대해 30~50%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자유이용권인 ‘농촌 투어패스’는 9월부터 11% 할인 구매가 가능합니다.
– **농촌 워케이션**: 워케이션 참가자는 하루 5만 원 숙박비와 여행자 보험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이벤트 및 챌린지 행사**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다채로운 이벤트도 준비되었습니다.

– **8월 이벤트**:
– ‘리뷰 & 캐시백 이벤트’: 선택된 농촌체험 상품의 리뷰를 작성하면 결제 금액의 최대 20%(최대 4만 원)를 상품권 등으로 환급.
– ‘스타마을 숏폼 챌린지’: 숏폼 영상을 제작·홍보한 우수 참가자에게 총 235만 원 상당의 상금과 경품 제공.

– **9월 이벤트**:
– ‘농업유산 미스터리 인증샷 챌린지’: 농업유산 관련 인증사진을 SNS에 등록하면 추첨으로 최대 130만 원 상당의 상금과 상품권을 지급.

### **다부처 연계 협업**
‘농촌관광 가는 주간’은 다른 정부 부처와 협력해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늘릴 계획입니다.
– **9월**: 문체부 및 한국관광공사의 ‘여행가는 가을’.
– **10월**: 고용노동부의 ‘휴가샵 농촌관광 특별전’.
– **11월**: 농촌진흥청의 ‘치유농업과 함께하는 농촌힐링여행’.

### **전망과 참여 방법**
농림축산식품부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시범 운영으로 성과를 분석하여 정례화를 검토할 계획”이라며, 많은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자세한 프로그램 소개와 참여 방법은 **농촌관광 포털 ‘웰촌'(https://www.welchon.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농촌관광 가는 주간’은 농촌 여행 활성화와 지역 경제 회복에 기여하며, 국민들에게는 색다른 여가 문화를 경험할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케이(K) 스마트팜 호주 시장 문을 두드리다
발행일: 2025-08-10 02:00

원문보기
**[농식품부·KOTRA, 호주에서 ‘2025 K-스마트팜 로드쇼’ 개최]**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8월 6일부터 8일까지 호주 멜버른에서 ‘2025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한국 스마트팜의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을 해외에 알리고 수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호주의 대표 농업 전시회인 ‘미래농업전시회(Future AG)’와 연계해 진행되었다.

### **스마트팜 기업 10개사, 한국관 운영**
이번 로드쇼에는 스마트팜 기자재, 스마트 축산, 수직농장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을 지닌 국내 스마트팜 기업 10개사가 참여했다. 참여 기업으로는 ▲㈜리츠 ▲㈜한보일렉트 ▲㈜이다웰 ▲㈜이코모스 ▲㈜이수화학 ▲㈜신미래 ▲㈜오투엔비 ▲㈜캡쳐 ▲㈜넥스트온 ▲㈜파머스랩 등이 있다. 이들 기업은 현지 바이어에게 1:1 수출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고, 제품과 기술을 적극 홍보했다.

### **실질적인 성과 – 93건 수출상담**
수출상담회에는 현지 바이어 48개사가 참석하며 약 93건의 수출상담이 성사되었다. 이는 한국 스마트팜 기술이 호주의 농업 혁신과 발전에 필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다.

### **호주의 스마트팜 성장 가능성**
호주는 전통적인 농업 대국이지만, 기후변화와 인력 부족 문제 대응을 위해 디지털농업 혁신전략(National Agricultural Innovation Agenda, 2021–2030)을 수립하며 스마트팜 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한국 스마트팜 기술은 에너지 효율적인 온실 시스템, 정밀농업,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경쟁력을 입증하며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 **스마트팜 글로벌 시장 확대 행보**
농식품부는 호주를 시작으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캐나다(9월), 사우디아라비아(10월), 중국(11월) 등에서 잇달아 로드쇼를 개최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기업 중심인 스마트팜 업계를 고려해 법률·회계 컨설팅, 해외 실증 지원 등 밀착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 **미래를 위한 지원 확대**
김정욱 농식품혁신정책관은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고도화된 스마트농업 기술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로드쇼는 한국 스마트팜 산업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기회로 평가되며, 농식품부와 KOTRA는 지속적인 지원으로 한국 스마트팜 기술의 해외 진출을 적극 도모할 예정이다.

**[참조: www.korea.kr]**

[기획재정부]구윤철 경제부총리, 초혁신경제 전환 등 한국경제 비전을 무디스에 적극 설명
발행일: 2025-08-09 15:00

원문보기
### 구윤철 부총리, 무디스 연례협의단과 한국 경제 논의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월 8일(금),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 연례협의단과 만나 한국 경제의 현재 상황과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만남에서는 한국 경제의 회복력, 거시경제 정책, 그리고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의 대응 방안이 주요 논의 주제로 다뤄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논의 내용**
1. **한국 경제 현황**
– 글로벌 경제 변동성 속에서 한국 경제의 안정적인 성과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
– 국내외 주요 경제 지표와 회복 동향 점검.

2. **정책 방향**
– 주요 정책 과제를 통해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 강조.
– 신재생 에너지, 디지털 전환 등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방향 논의.

무디스는 글로벌 신용평가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과의 연례 협의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관리하고 국제적인 신뢰를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 국제금융과(담당: 류성열, ☎ 044-215-4714)로 연락해주시면 됩니다.

**참고:** 본 회의에 대한 더 세부적인 내용은 정부 제공 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www.korea.kr](http://www.korea.kr)에서 추가 자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