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韓国関税庁は2025年第3回関税品目分類委員会において、イギリス伝統の食品「クロティッドクリーム」を濃縮されていないクリームとして分類すると決定し、韓英FTAの無関税対象に含めたと発表しました。
この決定は韓国国内でクロティッドクリームをより安価に提供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また、靴用小型プラスチック装飾品は「模倣身辺装飾品」として分類され、関連企業の安定的な事業環境を支援する予定です。
中文
韩国关税厅在2025年第3次关税品目分类委员会上将“凝结奶油”归类为非浓缩奶油,并纳入韩英FTA免关税适用范围。
此举预计将使韩国消费者能够以更低价格享受英国传统食品“凝结奶油”。
此外,鞋类装饰用小型塑料物品被分类为“仿制个人装饰品”,有望为相关企业提供更稳定的经营环境。
Italiano
L’Agenzia Doganale Coreana ha classificato la “clotted cream” come crema non concentrata durante la 3a Commissione di Classificazione delle Merci del 2025, rendendola idonea all’esenzione da dazi nell’ambito dell’accordo commerciale Corea-Regno Unito (FTA).
Questa decisione mira a permettere ai consumatori coreani di godere del tradizionale cibo britannico a prezzi più bassi.
Inoltre, piccoli oggetti decorativi per scarpe in plastica sono stati classificati come “ornamenti personali imitativi”, favorendo un ambiente stabile per le imprese interessate.
[법제처]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 국무회의 의결
요약보기
한국어
대한민국과 에콰도르는 자유무역협정을 넘어 다양한 경제 협력 방안을 포함한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을 체결했다.
본 협정은 관세 철폐와 서비스 시장 개방 등을 통해 한국 기업과 콘텐츠의 수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특히 관세 조치와 같은 핵심 내용은 국회 동의를 거쳐야 한다.
English
South Korea and Ecuador have signed the Strategic Economic Cooperation Agreement (SECA), which encompasses broader economic collaborations beyond a standard free trade agreement.
The deal aims to boost exports of South Korean companies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tariff eliminations and expanded service market access.
Key provisions, including changes to tariffs, require approval from the National Assembly.
日本語
韓国とエクアドルは、自由貿易協定を超えた広範囲な経済協力を含む戦略的経済協力協定(SECA)を締結した。
この協定は、関税撤廃やサービス市場の開放を通じて、韓国企業や文化コンテンツの輸出活性化を目指している。
特に関税に関連する内容は国会の同意が必要となる。
中文
韩国与厄瓜多尔签署了战略经济合作协议(SECA),涵盖超越自由贸易协定范围的广泛经济合作。
该协议旨在通过取消关税和扩大服务市场,为韩国企业和文化内容出口创造更多机遇。
其中,涉及关税措施的关键内容需经过国会批准。
Italiano
La Corea del Sud e l’Ecuador hanno firmato l’Accordo di Cooperazione Economica Strategica (SECA), che include collaborazioni economiche più ampie rispetto a un normale accordo di libero scambio.
L’accordo mira a promuovere le esportazioni delle aziende sudcoreane e dei contenuti culturali attraverso l’eliminazione delle tariffe e l’apertura del mercato dei servizi.
Le disposizioni chiave, come le modifiche tariffarie, richiedono l’approvazione dell’Assemblea Nazionale.
[산림청]한여름의 ‘꽃물결’… 7월 수놓은 수목원·정원으로 떠나보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은 7월 여름철을 맞아 전국의 아름다운 수목원과 정원 10곳을 추천했다.
수련, 수국, 제비고깔 등 다양한 꽃을 감상할 수 있는 이 장소들은 자연의 풍경과 감성을 만끽할 수 있는 곳들이다.
자세한 정보는 산림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introduced 10 beautiful arboretums and gardens to visit in July.
These locations offer a chance to enjoy diverse flowers such as water lilies, hydrangeas, and larkspurs amidst picturesque natural settings.
Further details are available on the Korea Forest Service’s official website.
日本語
山林庁は7月に訪れるべき美しい樹木園と庭園10ヵ所を紹介した。
スイレンやアジサイ、トリカブトなど多種多様な花を楽しめるこれらの場所は自然の美しい風景を満喫できる。
詳細は山林庁の公式ウェブサイトで確認可能である。
中文
韩国林业厅推荐了7月可以参观的10个美丽的树木园和花园。
这些地点可以欣赏到如睡莲、绣球花、翠雀花等各种花卉,并享受自然的美景。
更多详情请访问韩国林业厅官方网站。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ha presentato 10 splendidi arboreti e giardini da visitare a luglio.
Queste località offrono la possibilità di ammirare fiori come ninfee, ortensie e aconiti in ambienti naturali mozzafiato.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sul sito ufficiale de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보건복지부]"건강한 일상, 지역사회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7월 3일, 서울에서 ‘2025년 지방자치단체 건강증진사업 성과대회 및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행사는 건강증진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1부 성과대회와 2부 콘퍼런스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우수 지자체와 개인들에게 장관 표창이 수여되었다.
보건복지부와 관계자는 앞으로도 주민건강을 지키기 위한 지역 보건소와 건강증진사업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English
On July 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held the ‘2025 Local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roject Performance Conference’ in Seoul.
The event consisted of two parts to share achievements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with Ministerial Awards presented to outstanding local governments and individuals.
Officials emphasized their commitment to enhancing the roles of local public health centers in safeguarding residents’ well-being.
日本語
保健福祉部と韓国健康増進開発院は7月3日、ソウルで「2025年地方自治体健康増進事業成果大会およびカンファレンス」を開催した。
イベントは成果を共有し、今後の方向性を議論するために、2部構成で行われ、優秀な自治体や個人に表彰が授与された。
関係者は地域保健所の役割を強化し、住民の健康を守ることへの取り組みを強調した。
中文
韩国保健福祉部和韩国健康促进开发院于7月3日在首尔举办了“2025年地方政府健康促进项目成果大会及论坛”。
活动分为两个部分,旨在分享成果并探讨未来方向,同时对优秀的地方政府和个人颁发了部长奖。
相关负责人表示,将进一步加强地方卫生所的作用,以保障居民的健康。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alute e i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hanno organizzato il 3 luglio a Seul la “Conferenza sui risultati del progetto di promozione della salute degli enti locali 2025”.
L’evento, suddiviso in due parti, ha condiviso i risultati e discusso le direzioni future, premiando con riconoscimenti i comuni e gli individui più meritevoli.
Le autorità hanno sottolineato l’importanza dei centri sanitari locali nel proteggere la salute dei cittadini.
[농림축산식품부]케이-푸드 플러스(K-Food+) 상반기 수출 전년 대비 7.1% 증가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상반기 K-Food+ 수출액이 전년 대비 7.1% 증가한 66.7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농식품 주요 수출국은 북미, 유럽, GCC(걸프협력회의)였으며, 가공식품 중 라면, 소스류, 아이스크림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동물용의약품, 농약, 종자 등 농산업 수출도 증가했으며, 송미령 장관은 하반기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지속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that K-Food+ exports reached $6.67 billion in the first half of 2025, up 7.1% from the previous year.
Key market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cluded North America, Europe, and the GCC, with ramen, sauces, and ice cream showing significant growth.
Exports of animal medicines, pesticides, and seeds also surged, and Minister Song Mi-ryeong pledged continued support to achieve year-end target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2025年上半期のK-Food+輸出額が前年同期比7.1%増の66.7億ドルに達したと発表した。
主な輸出市場は北米、ヨーロッパ、GCCであり、ラーメンやソース類、アイスクリームが特に高い成長を示した。
動物用医薬品や農薬、種子の輸出も拡大しており、宋美玲(ソン・ミリョン)長官は下半期目標達成に向けた支援を継続する計画だと述べた。
中文
韩国农林畜产食品部宣布,2025年上半年K-Food+出口额达到66.7亿美元,同比增加7.1%。
主要出口市场为北美、欧洲及海湾合作委员会(GCC),方便面、酱料类和冰淇淋出口增长显著。
动物药品、农药和种子等农产业出口也有所增加,部长宋美玲表示将持续提供多种支持以实现全年目标。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e delle Politiche Alimentari della Corea ha annunciato che le esportazioni di K-Food+ nella prima metà del 2025 hanno raggiunto i 6,67 miliardi di dollari, con un aumento del 7,1% rispetto all’anno precedente.
I mercati principali sono stati Nord America, Europa e i paesi del GCC, con ramen, salse e gelati che hanno mostrato una crescita notevole.
Anche le esportazioni di medicinali per animali, pesticidi e semi sono aumentate, mentre il ministro Song Mi-ryeong ha ribadito il supporto continuo per raggiungere gli obiettivi annuali.
[국토교통부]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실적 1,000호 넘어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주택 1,000호 이상을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고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purchased over 1,000 homes affected by rental fraud.
This measure aims to strengthen victim protection and promote housing stability.
日本語
政府は1,000戸を超える詐欺被害の住宅を購入したこと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これは被害者保護の強化と住宅安定を図るための措置とされています。
中文
政府已经购买了超过1,000套受租赁诈骗影响的住房。
此举旨在加强对受害者的保护并促进居住稳定。
Italiano
Il governo ha acquistato oltre 1.000 abitazioni colpite da frodi sugli affitti.
Questa misura mira a rafforzare la protezione delle vittime e promuovere la stabilità abitativa.
[산림청]3대를 이은 헌신과 열정, ‘산림명문가’를 찾습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은 대를 이어 산림경영과 임업 발전에 헌신한 가문을 ‘산림명문가’로 선정하기 위해 8월 14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산림명문가는 3대에 걸쳐 모범적으로 산림을 경영해온 가문으로, 선정된 가문은 기념패와 함께 산림정책 자문위원 활동 등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is accepting applications until August 14 to recognize families who have dedicated generations to forest management and forestry development as “Forestry Exemplary Families.”
These families have engaged in exceptional forest management over three generations and will receive certificates, participate in commemorative projects, and advise on forestry policies.
日本語
韓国山林庁は、8月14日までに申請を受け付け、世代を超えて林業経営と発展に貢献した家族を「森林名門家」として選定する予定です。
3代にわたり模範的な森林経営を続けてきた家族には、記念プレートが授与され、山林政策の助言活動などの特典が与えられます。
中文
韩国山林厅正在接受申请,截至8月14日,将选拔在林业管理和发展领域代代奉献的家族为“森林名门家”。
这些家族在三代人中模范地从事林业工作,获选后将获得纪念牌匾,并参与森林政策顾问等多项活动。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accetta candidature fino al 14 agosto per riconoscere le famiglie che hanno dedicato generazioni alla gestione forestale e allo sviluppo della silvicoltura come “Famiglie d’Eccellenza Forestale.”
Queste famiglie, attive nella gestione forestale per tre generazioni, riceveranno un riconoscimento e beneficeranno di vari vantaggi come la partecipazione a progetti commemorativi e consulenza sulle politiche forestali.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세종 국가시범도시, 스마트서비스 미래 선도한다
요약보기
입력된 기사가 없어 요약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기사 내용을 제공해 주시면 요청에 따라 요약을 도와드리겠습니다.
[해양수산부]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 신청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7월 4일부터 24일까지 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 희망자를 모집하며, 60명을 대상으로 30일간 교육을 제공한 후 30명을 최종 선정합니다.
최종 선정된 창업자들은 최대 8천만 원 시설비 지원과 점포 관리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세대에게는 가점 혜택이 제공되며, 신청은 수협유통 전자우편으로 가능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ill accept applications for seafood direct-store startups from July 4 to 24, providing training for 60 applicants over 30 days and selecting 30 final participants.
Selected entrepreneurs will receive comprehensive support, including up to 80 million KRW for facility costs and store management.
Younger applicants will receive additional evaluation points, and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by email to Suhyup Distribution.
日本語
海洋水産部は7月4日から24日まで、水産物専門直販店舗の創業希望者を募集し、60人を対象に30日間の教育を提供、その後30名を最終選抜します。
選ばれた創業者には、8000万ウォンの施設費支援や店舗管理を含む包括的な支援が行われます。
若者世代には評価で加点特典があり、申請は水協流通の電子メールで可能です。
中文
韩国海洋水产部将于7月4日至24日招募水产品专卖店创业者,先为60人提供为期30天的培训课程,并最终选拔30名参与者。
入选者将获得包括最高8000万韩元设施资金支持和店铺运营在内的全面支援。
青年一代在评选中可获得加分,申请可通过水协流通的电子邮件提交。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accetterà candidature per l’avvio di negozi specializzati in frutti di mare dal 4 al 24 luglio, offrendo una formazione di 30 giorni a 60 candidati e selezionandone 30 alla fine.
I partecipanti selezionati riceveranno un supporto completo, inclusi finanziamenti per le strutture fino a 80 milioni di won e gestione del negozio.
Ai giovani viene offerta una preferenza nei punteggi di valutazione, e le domande possono essere inviate tramite e-mail a Suhyup Distribution.
요약
[고용노동부](참고) 최저임금위원회, 2025년 제9차 전원회의 개최
발행일: 2025-07-03 11:09
원문보기
최저임금위원회는 7월 3일(목) 오후 3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제9차 전원회의를 열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2024년도 최저임금 수준 결정을 논의하기 위한 주요 일정 가운데 하나로, 위원회 구성원들이 참석하여 다양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노·사·공 위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구조로, 최저임금 인상률과 관련한 치열한 논의가 매년 진행됩니다. 대표적으로 경제 상황, 물가 상승률, 노동 생산성, 현실적인 기업 부담 등이 심도 있게 검토됩니다.
관련 문의 사항은 최저임금위원회 사무국 허윤행 담당자(044-202-8406)에게 연락하면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웹사이트([www.korea.kr](http://www.korea.kr))의 자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해양경찰청]해양경찰청-한국언론진흥재단 업무협약 체결
발행일: 2025-07-03 09:07
원문보기
**해양경찰청,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손잡고 해양 정책 강화**
*뉴스 분석 플랫폼 ‘빅카인즈’ 활용, 국민 안전 중심의 해양 정책 수립 목표*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효재)이 10월 3일 인천 송도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협력해 국내 주요 해양 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의 의견이 반영된 해양 정책을 만들어가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 빅데이터와 해양 정책의 연결
이번 협약에서 눈에 띄는 점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운영하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Big Kinds)’를 해양경찰청의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로 한 것입니다. 빅카인즈를 통해 언론 보도와 관련 데이터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국민 인식과 언론 동향을 파악하고, 해양 관련 쟁점과 정책에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양측의 기대와 의지
김효재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공공 부문에서도 빅카인즈가 더욱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며, 기관의 뉴스 분석 플랫폼이 지속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의지를 밝혔습니다.
김용진 해양경찰청 청장 역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해양 정책을 펼치겠다”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국민이 실질적으로 안전을 체감할 수 있는 해양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 향후 전망
이번 협약은 해양 분야의 주요 정책 수립 과정에 데이터 기반의 분석을 도입한 사례로, 정책의 효율성과 국민 중심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해양 안전은 물론, 환경 보호나 해양 산업 활성화와 같은 다양한 쟁점에서도 뉴스 빅데이터의 활용이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해양경찰청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만들어갈 정책적 성과가 앞으로 국민 생활에 어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이 크게 모아지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과수 탄저병, 선제적 방제 필수…비 온 뒤 예찰·추가 방제
발행일: 2025-07-03 09:01
원문보기
### 농촌진흥청, 과수 탄저병 예방 및 방제 강화
농촌진흥청은 과수 탄저병과 병해충의 확산을 막고 주요 과수의 상품성과 수량 감소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방제 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 탄저병의 발생 원인 및 예방 중요성
과수 탄저병은 병원균 포자가 빗물과 바람을 통해 과실에 침투해 발생하며, 고온다습한 환경(일 평균기온 22~27°C 및 연속적인 강우)이 주요 원인이다. 이는 발생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급격히 확산할 위험이 크다. 따라서 **비가 오기 전에 예방적 방제를 실시하고, 비가 그친 뒤에도 예찰 및 추가 방제를 진행해야 한다.**
#### 주요 방제 정책 및 활동
– **방제비 지원**: 상습 발생 지역인 과수 주산 시군에 병해충 방제비로 28억 원을 지원.
– **교육 실시**: 도 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 담당자 대상 병해충 예찰 및 방제 방법 교육 진행.
– **발생 조사**: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함께 관찰포 555지점에서 병해충 발생 상황을 조사 중.
– **관리 기간 설정**: 7월 21일부터 과수 수확 종료 시점까지를 ‘과수 탄저병 중점 관리 기간’으로 지정.
#### 복숭아 과수원 현장 방문
7월 3일,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충북 음성군 복숭아 재배 과수원을 방문하여 과수 탄저병 예찰 및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해당 과수원은 친환경 방제 기술(교미교란제, 광 방충기 등)을 적극 활용하며 병해충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어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
권 청장은 올봄 저온으로 인해 착과 수 감소와 생육 지연 현상이 나타난 상황에서 6월 기온 상승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탄저병과 병해충 발생 시 농가 피해가 커질 수 있어 지역 농가와 방제 기술을 적극 공유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농업기술원 및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들에게 병해충 모니터링 강화와 농가 지원에 만전을 기할 것을 강조했다.
#### 결론
농촌진흥청은 병해충과 탄저병을 예방하기 위한 지원과 대책을 강화하며, 지역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다. 농가에서도 예방적 방제를 철저히 실천하여 농산물 품질과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주력해야 할 시점이다.
[농촌진흥청]농촌진흥청, ‘찰옥5호’ 재배·유통 전략 현장간담회 개최
발행일: 2025-07-03 09:00
원문보기
### 이상기후 대응 ‘찰옥5호’ 본격 보급 착수, 충주시에서 현장 간담회 개최
농촌진흥청은 2023년 7월 3일 충청북도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신품종 찰옥수수 ‘찰옥5호’의 재배 확대 및 유통 전략 논의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생산자, 도매시장 관계자 및 연구자를 포함한 약 20명이 참여했으며, 신품종의 주요 특성과 시장 가능성을 검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신품종 ‘찰옥5호’의 특징**
‘찰옥5호’는 2023년 새롭게 육성된 품종으로, 기존 품종 대비 다음과 같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상품성 및 식감 개선**: 이삭 끝달림률 98%로 상품성이 높고 부드러운 식감과 뛰어난 찰기를 자랑.
– **병해충 내성**: 병해충에 강해 안정적인 재배 가능.
– **소비자 선호도 우위**: 기호도 조사 평균 7.0점(기존 품종 ‘미백2호’ 5.0점 대비 높은 평가).
#### **유통 및 재배 확대 전략**
농촌진흥청은 이 신품종을 충주시를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보급하는 계획을 수립 중입니다. 간담회에서 도매시장 품질 기준과 소비자 선호도를 반영한 보급 및 유통 전략이 논의되었으며, 충주시에서 기존 재배 품종을 ‘찰옥5호’로 전환하는 시험 재배와 보급 방안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습니다.
향후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026년까지 전국 본격 출하 준비**: 도매시장 시범 출하를 통해 유통 가능성을 점검.
2. **소비자 중심의 공급 체계 마련**: 유통 현장의 피드백을 반영해 시장 경쟁력을 높일 방침.
#### **농업계 기여와 기대 효과**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황택상 과장은 “찰옥5호는 소비자와 농가 모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줄 고품질 품종”이라며, “특히 이상기후에 강한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품종으로 확대해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이상기후로 인한 농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려는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전국적으로 안정적인 옥수수 생산과 소비자 만족도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입니다.
[국토교통부][차관동정] 이상경 차관, "여름철 재해 예방은 ‘안전’ 기본부터, 국민 눈높이 대응" 강조
발행일: 2025-07-03 08:56
원문보기
### 이상경 차관, 여름철 재해 예방에 총력 대응 강조
이상경 행정안전부 차관은 여름철 자연 재해에 대비하여 국민 안전과 재난 대응에 대한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특히, “기본에 충실한 안전 대책 수립”과 “국민 눈높이에 맞춘 예방 조치 및 대응”을 핵심적으로 언급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기상이변으로 인해 여름철 폭우, 태풍, 산사태, 침수 등 반복되는 재해에 민첩하고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재난대책본부와 함께 관련 부서들과 유기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이번 보도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메시지가 전달되었습니다:
1. **안전 기본 원칙 중시**
국가와 지자체 모두 여름철 재난 예방에 있어 가장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안전 원칙에 충실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사안이기에 사소한 부분까지도 꼼꼼히 점검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2. **국민 눈높이 대응 체계 강화**
이상경 차관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재해 예방과 대응 체계 강화도 주요 과제로 지목했습니다. 신속한 정보 제공, 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전 조치, 취약계층 보호 등에 무게를 두겠다고 밝혔습니다.
3. **협력 체제 구축**
지방자치단체, 유관 기관, 민간 단체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재난 대비태세를 철저히 점검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특히, 주요 취약 지역과 시설들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이 강조되었습니다.
정부는 이번 여름철 재해 대응 계획을 통해 국민의 신뢰와 재난 관리 시스템의 효과성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며, 재해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하고 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구체적인 대응 계획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고수온 위기경보 ‘주의’ 단계 발령
발행일: 2025-07-03 08:48
원문보기
### 고수온 위기경보 ‘주의’ 단계 발령… 서남해 및 제주 해역 예비특보 발표
해양수산부는 7월 3일 오후 6시, 서남해 및 제주 연안 23개 해역에 고수온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다양한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온 상승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
#### 주요 내용:
1. **빠른 예비특보 발령:**
올해 고수온 예비특보는 지난해보다 약 1주일 이르게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이례적으로 조기 종료된 장마와 연이은 폭염으로 인한 해수온 상승 예측에 따른 것입니다.
2. **주요 연안 수온 현황 (7월 2일 기준):**
– 전남 해남: 27.3℃
– 전남 보성: 27.2℃
– 여수 신월: 26.2℃
– 충남 서산: 25.1℃
이처럼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25℃를 초과한 상태입니다.
3. **대응 방안 강화:**
– 전국 200개소의 수온관측망을 통해 수온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지자체와 어업인에게 문자 및 온라인으로 안내.
– 10개 광역지자체에 고수온 대응 장비(액화산소 공급기 등) 사전 배포 완료.
–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해 영어, 인도네시아어로 된 양식장 관리요령 배포.
4. **비상대책반 가동:**
‘주의’ 단계 발령에 따라 현장점검 및 교육·홍보를 강화하고 고수온 대비 비상대책반을 설치·운영할 계획입니다.
—
#### 해양수산부 장관 메시지: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폭염 지속으로 추후 수온 상승이 예상된다며, 지자체 및 양식업 관계자들에게 조기출하, 사육밀도 조절, 대응 장비 점검을 철저히 수행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
이번 고수온 경보 발령은 양식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관련 기관과 어업인들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외교부]제29차 「한·중 경제협력 종합점검회의」 개최
발행일: 2025-07-03 08:24
원문보기
### 제29차 한중 경제협력 종합점검회의, 양국 경제협력 강화 방안 논의
7월 3일(목)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제29차 한중 경제협력 종합점검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는 김선영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장과 왕리핑 중국 상무부 아주사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양국 간 경제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 **경제협력 성과와 지속가능성 논의**
양측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 속에서도 양국 간 교역과 투자가 꾸준히 증가한 점을 평가했다. 특히 무역·투자 심화, 공급망 협력, 문화교류 확대 및 지식재산권 보호 등 경제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 **안정적 비즈니스 환경 조성의 중요성**
양국은 상호 투자 확대를 위해 안정적이면서도 예측 가능한 비즈니스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이를 위해 양국은 기업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김선영 국장은 한중 간 긴밀하게 연결된 공급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원활한 소통과 안정적 관리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 **신산업 및 지방 협력 확대**
수소,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과 함께 제3국 시장 공동 진출, 지방 간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구체적 조치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이러한 협력을 바탕으로 「2026-2030 한중 경제협력 공동계획」을 금년 안에 수립해 실질적인 협력 사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 **다자 협력 및 APEC 연대**
지역적·다자적 차원의 협력에서도 양국은 APEC, WTO 등의 플랫폼을 통해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중국은 올해 우리나라의 APEC 의장국으로서의 역할을 평가하며, 하반기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긴밀히 협조하기로 약속했다.
#### **향후 계획**
외교부는 이번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후속 조치를 취해 양국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중 경제협력을 더욱 심화하고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
이번 회의는 양국 간 경제협력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점검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향후 ‘2026-2030 한중 경제협력 공동계획’이 구체화되면서 양국 기업과 국민들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외교부]외교부, 환인도양연합과 지속가능한 청색경제 실현을 위한 협력 방향 모색
발행일: 2025-07-03 08:15
원문보기
### [요약] 한-IORA 파트너십 세미나, 지속 가능한 청색경제 협력 논의
2025년 7월 3일, 외교부는 서울에서 **’제6차 한-환인도양연합(IORA) 파트너십 세미나’**를 개최했다. IORA는 1997년 인도와 남아공 주도로 출범한 인도양 연안 국가 간 협력체로, 한국은 2018년 대화상대국으로 가입했다. 이번 세미나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청색경제를 위한 해양공간계획’**으로 설정되었으며, 17개국 주한외교관, 연구자, 학계 및 민간 전문가가 현장에, IORA 사무국 및 회원국 인사들이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 주요 논의:
– 해양공간계획의 중요성: **청색경제 및 지속가능한 인도양 실현**을 위한 핵심 도구로 평가.
– **정책 및 경험 공유**: 각국의 해양공간계획 및 스마트양식 사례 소개와 역내 협력 방안 논의.
– **기술 기반 생태계 회복력 강화** 방안 모색.
#### 주요 발언:
– **오진희 외교부 심의관**: 한국 정부는 한-인도양 협력기금을 통해 IORA 회원국에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는 협력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산지브 란잔 IORA 사무총장**: 한국의 협력에 감사하며, 해양자원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해양공간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도양 지역의 **포용적 협력과 생태계 회복력 강화**를 위한 공감대를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외교부]한국, 유엔과 협력을 강화해 전 세계 인도적 위기 대응에 기여
발행일: 2025-07-03 08:08
원문보기
###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한국의 새로운 인도적 지원 전략 발표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은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4차 개발재원총회**(6월 30일~7월 3일)에 참석하여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아동기금(UNICEF), 세계식량계획(WFP) 등 주요 유엔 개발기구 수석대표들과 합동 면담을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한국 정부의 2023년 인도적 지원 정책 방향과 주요 사업 계획을 발표하며 글로벌 협력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 **제4차 개발재원총회의 배경**
– 제4차 개발재원총회는 **2015년 이후 10년** 만에 유엔이 주최한 고위급 회의로, 각국·국제기구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제사회의 개발재원 확대 및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 김 차관과 면담한 대표로는 △하올리앙 쉬(UNDP 총재대행), △키티 반 더 하이든(UNICEF 사무부총장), △라니아 다가시 카마라(WFP 사무차장보)가 포함되었습니다.
—
#### **한국의 새로운 인도적 지원 방안**
올해 한국 정부는 기존의 다수 소규모 사업 중심의 지원 체계를 넘어, **통합적이고 전략적인 지원 체계**를 도입했습니다. 이 전략은 아래 요소에 중점을 둡니다.
1. **중점 지역 및 국가 선정**
– 긴급하게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지역과 국가들을 선정해 자원 배분의 집중도를 높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중동(6,500만 미불), △아시아(4,000만 미불), △아프리카(2,200만 미불) 등이 포함됩니다.
– 주요 사업 대상 국가: 팔레스타인, 시리아, 미얀마, 수단 등.
예)
– **팔레스타인**: 이스라엘-하마스 충돌로 대규모 난민 발생 및 인프라 파괴. 약 300만 명이 인도적 지원 필요.
– **시리아**: 내전 지속과 사회 기반 시설 붕괴로 약 1,600만 명이 지원 필요.
– **미얀마**: 쿠데타와 자연 재해로 약 2,000만 명이 지원 필요.
– **수단**: 만성적인 기근과 충돌로 약 3,000만 명이 지원 필요.
2. **브랜드화된 통합 전략 도입**
– 올해부터 **”Republic of Korea’s 3R Humanitarian Assistance Initiatives”**라는 단일 브랜드명을 도입하여 한국의 인도적 지원 가시성을 높였습니다.
– 기구별로도 세부적인 사업 브랜드를 개발:
– **UNDP**: “R.E.V.I.V.E.” (위기 복구를 위한 긴급구호·고용·인프라 재건)
– **UNICEF**: “Resilience for Children+” (아동 회복력 강화)
– **WFP**: “R.E.A.C.H” (긴급 식량 지원)
3. **예산 효율성 제고 및 영향력 강화**
– 기존과 유사한 수준의 예산을 보다 전략적으로 활용해 지원 효과성과 가시성을 극대화하고 국제기구 대상 영향력 증대에 초점을 맞춤.
—
#### **한국의 기여 확대 의지와 국제 기구 대응**
김진아 차관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기여국으로서 한국 정부가 인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아래와 같은 사항을 언급했습니다:
– 글로벌 위기 상황 속에서 한국의 기여가 지니는 중요성과 의의.
– 각 기구의 협조를 통해 **지원 사업 효과 홍보** 및 **성과 극대화** 방안 모색.
– 한국 국민의 유엔 기구 진출 확대를 위한 관심과 지원 요청.
이에 대해 UNDP, UNICEF, WFP 대표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한국이 보여주는 꾸준한 기여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향후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 **결론**
한국이 발표한 이번 인도적 지원 전략은 단순히 기금 지원을 넘어, 글로벌 협력 및 연대를 확대하고 세계적 위기에 대응하려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됩니다. 이를 통해 한국은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인도적 위기 대응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전망입니다.
[통일부]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관련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 실시
발행일: 2025-07-03 07:54
원문보기
###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와 정부 대응
최근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로 인해 방사성 물질 및 중금속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국민 건강과 안전, 환경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이번 사안과 관련된 주요 내용 요약입니다.
—
#### **1. 관계부처 회의 개최 및 특별 실태조사 계획**
– **관계부처 간 회의**: 7월 3일(목)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주재로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방부, 국정원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 회의가 열렸으며, 우려 사항에 대한 조치 계획이 논의되었습니다.
– **합동 특별 실태조사**: 7월 4일(금)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가 합동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합니다. 조사는 강화도 및 한강 하구 등 10개 정점을 중심으로 수행되며, 우라늄, 세슘, 중금속 등 방사성 물질 오염 여부를 검토합니다.
– *조사 결과는 2주간의 분석 과정을 거쳐 공개될 예정.*
—
#### **2. 조사 범위 및 방식 확대**
이번 조사는 2019년 조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가 있습니다:
– **조사 정점 확대**: 기존 6개 정점에서 이번에는 10개로 증가.
– **조사 범위 확대**: 우라늄 뿐만 아니라 세슘, 중금속까지 포함.
– **참여기관 확대**: 단일 기관(원안위) 중심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확장.
—
#### **3. 정기 감시 시스템 구축**
정부는 이번 조사를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매월 정기적인 감시 체계**를 구축하여 장기적으로 상황을 면밀히 관찰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 협의체를 운영하며 민감한 사안에 대해 신속히 소통 및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
#### **4. 국민 건강과 안전 확보**
정부는 북한의 우라늄 정련공장을 포함한 핵 활동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국민의 건강과 안전, 환경 문제에 대해 적극 대응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또한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적 우려를 해소할 계획입니다.
—
#### **결론 및 향후 대응**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문제가 국내 환경 및 국민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정부는 다각도로 조사와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관련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지속적인 감시와 신속한 대응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해양수산부]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관련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 7.4.(금) 실시
발행일: 2025-07-03 07:51
원문보기
###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정부 합동 특별 실태조사 실시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발생한 폐수가 우리나라 환경에 미칠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합동 특별 실태조사가 7월 4일(금)부터 실시됩니다.
#### 관계부처 회의와 조사 결정
최근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와 관련한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정부는 7월 3일(목)에 통일부,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방부가 참여한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긴급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회의 결과, 다음 날부터 강화도와 한강 하구를 중심으로 합동 조사를 착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조사 내용과 방법
이번 조사는 △우라늄 △세슘과 같은 방사성 물질, △중금속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작년 조사를 크게 확대한 형태로 진행됩니다.
– **조사 정점 확대**: 2019년의 6개 정점에서 2025년까지 10개 정점으로 확장
– **조사 범위 확대**: 우라늄 뿐 아니라 세슘 및 중금속 오염 여부 포함
– **참여기관 확대**: 원자력안전위원회 단독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구성
조사는 북한과 가까운 접경지역인 예성강 하구, 강화도, 한강 하구 등 10개 지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앞으로 약 2주간 분석 후 모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입니다.
#### 정기적 감시 체계 구축
조사는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당분간 매월 정기적인 감시가 지속될 예정입니다. 또한, 관계부처 협의체를 상시 운영하여 관련 동향을 감시하고 국민의 우려 사항에 즉각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 정부의 대응 의지
정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북한 우라늄 정련공장을 포함한 핵 관련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 결론
이번 합동 특별 실태조사는 북한에서의 환경적 위협으로부터 우리 국토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정부는 투명성을 유지하며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철저한 예방 및 대책 마련에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보도참고자료] 합리적 고용연장제도 마련을 위한 국회 정책토론회 축사
발행일: 2025-07-03 07:37
원문보기
### 합리적 고용연장제도 마련 토론회 개최
2025년 6월 30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권기섭은 “합리적 고용연장제도 마련을 위한 토론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하며, 대한민국이 직면한 초고령사회 전환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 접근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권기섭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노동공급 축소와 성장 잠재력 저하라는 중대한 이중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령층과 청년층 모두를 아우르는 균형 잡힌 고용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번 토론회가 실질적인 대책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초고령사회 대응과 고용연장제도의 필요성
권 위원장은 우리 사회가 고령층의 숙련과 경험을 조직의 자산으로 전환하고, 동시에 청년층이 안정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용연장제도가 특정 세대에만 국한되지 않고,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정책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역설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지난 2025년 5월 8일, 계속고용위원회를 통해 발표된 “고령자 계속고용의무 제도화에 관한 공익위원 제언”을 구체적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이 제언은 60세 이후의 계속고용을 보편적으로 보장하며, 임금체계 개선, 직무 재설계, 노동시장 구조 변화 및 청년 고용 보장을 함께 고려한 과도기적 정책 대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정책적 안전장치와 세대 간 조화
권기섭 위원장은 고용연장제도가 고령층만을 위한 대응책이 아니라 조화로운 세대 간 상생을 위한 구조를 마련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정책적 안전장치를 함께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고용연장제도의 실현 가능성과 현장 수용성을 검토하고 실천 가능한 대안을 도출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역할
권 위원장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노사정 간 신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 구조를 마련하고, 실효성 있는 사회적 대화를 적극 지원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고용연장제도 구체화 과정에서 정책적 실현 가능성과 현장의 요구를 긴밀히 연결하기 위한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고용연장제도의 방향성과 구조 설계를 분석하며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중요한 자리로, 초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고용 정책의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권기섭 위원장은 축사를 마치며 참석자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 의미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환경부](참고)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관련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 7.4.(금) 실시
발행일: 2025-07-03 07:30
원문보기
###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문제 대응 관련 관계부처 회의 개최
정부는 최근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문제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7월 3일(목)** 통일부를 비롯한 관계부처가 회의를 열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번 회의 결과, 관계부처는 **’합동 특별 실태조사’**를 진행하기로 하였으며, 조사 결과는 투명하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
### 특별 실태조사의 주요 내용
1. **조사 대상 및 방식**
–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진행.
– 대상 지역: 북한에서 유입되는 폐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강화도, 한강하구 등 **10개 조사 정점**.
– 조사 항목: 우라늄, 세슘 등 **방사성 물질** 및 **중금속 오염 여부를 평가**.
2. **확대된 조사 범위 및 수준**
– 정점 및 분석 항목이 증가:
– 조사 정점: 2019년 6개 → 이번 10개 지역으로 확대.
– 조사 범위: 우라늄에 한정했던 기존 조사에서 **세슘 및 중금속까지 포함**.
– 참여 기관 확충: **원자력안전위원회 단독 조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조사**로 변경.
3. **추가 조치**
– 정기 감시 체계를 구축: 이번 일회성 조사를 넘어서 **매월 주기적인 감시** 시행.
– 관계부처 협의체 운영: 부처 간 수시 소통을 통해 신속 대응 체계를 마련.
—
### 국민 안전 및 환경 보호 방안
정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북한의 핵 활동 및 폐수 관련 동향을 철저히 분석하고, 국민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향후 결과 분석 기간(약 2주간)을 거쳐 모든 결과는 **투명하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
### 참석 및 문의처
이번 회의는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주재로 진행되었으며,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방부, 국정원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여 적극적인 대책을 논의하였습니다. 긴급 문의 및 추가 자료 요청은 아래 담당자 정보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상 팀장 (02-397-7350), 이현지 사무관 (02-397-7372)
– 해양수산부: 유은원 과장 (044-200-5280), 하승우 사무관 (044-200-5287)
– 환경부: 배연진 과장 (044-201-7001), 신승철 사무관 (044-201-7015)
—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관계부처 협력을 통해 북한의 핵 활동과 환경 관련 문제를 철저하게 감시하고 대응할 것입니다.
[환경부]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 추가···총 5,908명(누계) 인정
발행일: 2025-07-03 07:25
원문보기
**제45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 83명 구제급여 및 피해등급 결정**
환경부는 7월 3일 서울역 인근에서 ‘제45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를 열고 127명의 피해에 대해 심의한 결과, 83명에 대해 구제급여 지급 및 피해등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를 통해 폐암 피해자 11명을 포함한 신규 인정자 48명의 구제급여 지급이 확정됐으며, 기존 피해 인정자 35명의 피해등급이 새롭게 결정되었다.
이로써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전체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는 누적 5,908명에 이르게 됐다. 환경부는 이번에 심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피해자들에게 신속한 구제를 진행할 계획이다.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제 지원 현황 및 문의처**
피해 관련 세부 사항 및 추가 지원은 환경부 산하 관련 담당 부서 및 기관별 담당자의 연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보호와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을 강조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공동)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관련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 7.4.(금) 실시
발행일: 2025-07-03 07:21
원문보기
###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문제에 대한 정부 대응, 특별 실태조사 착수
정부는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오염 가능성과 이에 따른 국민 건강 및 환경 우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를 2023년 7월 4일(금)에 실시합니다.
#### 주요 회의 내용 및 조사 계획
– **관계부처 회의**: 7월 3일(목)에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주재로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방부, 국정원 관계자들이 참석한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체적인 조사 및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 **조사 대상 지역**: 북한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배출된 폐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예성강 하구와 강화도 및 한강하구 등 총 10개 조사 지점을 선정해 오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 **조사 범위 및 기간**: 조사 항목으로는 우라늄, 세슘 등 방사성 물질과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으며, 약 2주간의 분석 기간을 거쳐 모든 결과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입니다.
#### 조사의 차별성
이번 특별 실태조사는 2019년 진행된 조사와 비교하여 정점, 범위, 참여 기관의 확대로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집니다.
– 조사 정점: 2019년 6개 지점 → 2025년 10개 지점
– 조사 항목: 우라늄 → 우라늄, 세슘, 중금속
– 조사 주체: 원자력안전위원회 단독 → 관계부처 합동(원안위·해수부·환경부)
#### 지속 가능한 체계 구축
정부는 이번 특별 실태조사가 일회적 활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매월 정기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계부처 협의체를 운영해 방사성 물질 및 중금속 오염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응할 계획입니다.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시하며, 환경적 위험 요소를 면밀히 감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 정부의 입장
관계부처는 앞으로도 북한의 핵 활동과 관련된 동향과 위험성을 면밀히 분석하며, 국민에게 신속하고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특별 실태조사는 국민 보호를 위한 중요한 단계로, 정부는 다각적인 협력을 통해 환경 및 건강 안전 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며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방침입니다.
[외교부]남아시아 지역 국가와의 물류·에너지·광물에 관한 공급망 연계성 증진 방안 모색
발행일: 2025-07-03 06:35
원문보기
### 외교부, 제16차 한-SAARC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공급망 증진 방안 논의
7월 3일, 외교부는 서울에서 「제16차 한-남아시아 지역협력연합(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SAARC) 파트너십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회의는 한국과 SAARC 회원국 간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2010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 남아시아 지역협력연합(SAARC) 개요
SAARC는 1985년 설립된 협의체로, 남아시아 지역 8개국(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간 경제, 사회, 문화적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은 2006년 옵서버 국가로 가입하여 이 지역과의 협력 확대에 힘쓰고 있다.
### 금번 세미나 주제 및 주요 내용
이날 세미나는 **‘남아시아 국가와의 물류·에너지·광물에 관한 공급망 연계성 증진’**을 주제로 열렸다. 행사에는 SAARC 회원국 관계자, 주한대사관 관계자, 국내 전문가들이 참석해 공급망 안정성 확보 및 연계성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오진희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 심의관은 개회사에서 공급망 안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과 남아시아의 협력을 통해 투자 확대와 무역 증진, 상호보완적 관계 형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람 사와르 SAARC 사무총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협력 노력에 감사를 표하고, 세미나의 주제가 SAARC의 주요 과제인 교통 및 에너지 인프라 확충과 연결성 증진에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SAARC가 추진 중인 지속가능한 성장 및 역내 통합 프로젝트들을 소개하며, 이번 논의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것을 기대했다.
### 주요 논의 사항과 의미
참가자들은 남아시아 국가의 에너지, 물류, 광물 공급망 현황을 공유하며, 각국과 한국 간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는 공급망 안정성과 연계성 증진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양측 간의 협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과 SAARC 회원국 간의 파트너십을 심화하고,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후위기 속에서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 결론
제16차 한-SAARC 파트너십 세미나는 양측 간 협력의 기반을 다지고, 공급망 연계성을 증진하려는 공동 목표를 확인한 의미 있는 행사로 자리 잡았다. 이를 통해 한국과 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상호 이익을 추구하며 지속가능한 관계를 위한 발걸음을 내딛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공식 웹사이트)*
[고용노동부](참고) 고용노동부 차관, 첫 현장 행보로 건설현장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준수 점검
발행일: 2025-07-03 06:34
원문보기
**고용노동부,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점검 및 준수 당부**
고용노동부 권창준 차관은 지난 7월 3일, 서울의 한 건설 현장을 직접 방문해 폭염 속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준수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에게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이 중 핵심 조치로는 **33도 이상 폭염에서 작업할 경우, 2시간마다 20분 이상의 휴식을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이 강조되었습니다. 이는 열사병과 같은 중대 질환을 예방하고 근로자들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대책입니다.
고용노동부는 폭염 속에서 근로자들이 적정 작업 환경과 휴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현장 점검을 진행할 방침이며,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폭염 대비 행동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이나 문의는 아래 연락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직업건강증진팀: 나상명(044-202-8893), 박현건(044-202-8891), 한진우(044-202-8895)
– 건설산재예방정책과: 신정욱(044-202-8937), 김병석(044-202-8939)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의 협력을 통해 근로 환경 안전성을 높이고, 나라 전체의 산업재해 예방 의식이 뿌리내릴 수 있길 기대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농축산물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 총력 대응
발행일: 2025-07-03 06:00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폭염 대응 긴급 점검회의 개최: 농작물·가축 피해 예방에 총력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가 최근 폭염특보 상황 속에서 농업 분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전국의 작물 생육 상황과 가축 폐사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 폭염특보 발령 현황
– 전국 183개 특보구역 중 174구역(95%)에 폭염주의보 및 폭염경보가 발령됨.
#### 원예 분야 점검 결과
농식품부는 원예작물의 생육 상태를 점검한 결과, 대체로 양호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여름배추의 경우 폭염이 지속될 경우 병해 발생과 확산으로 작황 부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영양제 공급 및 방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생육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술지도 및 적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 축산 분야 피해 및 대응
폭염으로 고온에 민감한 가축(닭, 돼지 등)의 폐사 피해가 일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폐사 현황(2025년 7월 2일 기준)**: 돼지 6,817두, 가금류 96,168수.
농식품부는 ‘축산재해대응반’을 가동하여 피해 농가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고위험 농가를 대상으로 사전점검과 사양관리 요령을 집중 지도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도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와 비타민제 등을 지원하고 있다.
#### 주요 대응방안
농식품부와 관련 기관은 폭염에 대비한 철저한 재난대응 체계를 유지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대응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농업인 및 지자체 대상 폭염 대응 지침 전파**
– 농작물과 가축 관리 요령 전달 및 현장 기술지도를 강화.
2. **온열질환 및 안전사고 예방**
– 농업인 건강 관리와 축사 화재 방지에 대한 주의를 당부.
3. **현장 조직 활용**
–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을 통해 취약 농가에 대한 집중 관리.
농식품부는 평년보다 폭염일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농업인 및 지역 담당자들에게 기상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과 적극적인 대응 참여를 요청했다.
### 결론
농식품부는 폭염 속에서 농업 및 축산 분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자원을 동원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농업인 스스로도 기상정보 점검 및 관리 요령 준수 등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국세청]부가가치세 신고, 국세청이 소상공인 어려움 극복을 지원합니다.
발행일: 2025-07-03 05:55
원문보기
국세청이 부가가치세 신고 과정에서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는 소식입니다. 아래는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국세청 조치 내용
1. **신고 편의성 증대**
국세청은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동안 소상공인을 위한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간편 신고 시스템을 확대 도입합니다. 이를 통해 신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신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컨설팅 및 지원 강화**
납세자가 필요한 경우 맞춤형 상담과 신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세무 지식이 부족한 소상공인을 위해 국세청 직원들이 신고 관련 궁금증을 해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3. **금융 부담 완화**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는 신고·납부 기한 연장, 세무조사 유예 등의 지원책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들이 심리적·재정적 안정을 얻도록 유도합니다.
4. **디지털 지원 확대**
홈택스(Hometax) 시스템을 활용한 신고 지원이 강화됩니다. 셀프신고가 용이하도록 AI 기술이 접목된 ‘자동 완성 기능’을 일부 서비스에 적용합니다.
### 참고 사항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에서 제공한 붙임파일(제목: `250703 부가가치세 신고, 국세청이 소상공인 어려움 극복을 지원합니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자료에는 보다 구체적인 세부 내용 및 신청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세청의 이번 조치는 소상공인의 경제적 난관을 해소하고 원활한 세무 행정을 지원하려는 취지로 마련된 만큼, 해당 지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추가적인 사항은 **정부 공식 누리집(www.korea.kr)**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통계청]제11회 국민 삶의 질 측정 포럼 보도자료
발행일: 2025-07-03 05:30
원문보기
### 제11회 국민 삶의 질 측정 포럼: ‘삶의 질’과 미래 정책의 방향성 논의
통계청은 7월 3일 서울 엘타워에서 **제11회 국민 삶의 질 측정 포럼**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개최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을 모색하는 자리로, 2015년부터 정부, 학계, 연구기관이 참여하며 매년 열리고 있습니다.
올해 대주제는 **’다 함께 나아가는 미래’**로 사회 갈등, 기후변화, AI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도전들을 삶의 질 관점에서 논의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
### **기조 강연 및 주요 발표 내용**
1. **기조 강연**:
– *OECD WISE 센터*의 Lala Fleischer 실장이 “한국과 OECD의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웰빙”에 대해 발표하며, 지난 2010년 이후 삶의 질 주요 변화를 다뤘습니다.
– 서울대 이재열 교수는 “승자독식 갈등 사회에서 행복한 품격사회로”를 주제로 사회 통합 방향성을 제언했습니다.
2. **삶의 질 세션**:
– *최바울 국가통계연구원 실장*의 주재 아래, 사회적 갈등 극복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연세대 한 준 교수는 차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고,
진주교대 김한나 교수는 청년 세대의 젠더 갈등 및 정치적 성향 분석을 공유했습니다.
– 한국행정연구원 박 준 실장은 정치적 양극화 심화 현상을 분석하며 통합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3. **SDG 세션**:
– *박상진 정책통계연구팀 팀장* 주관 아래, 기후위기와 디지털 전환 시대 속 새로운 취약계층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김윤정 부연구위원은 기후위기와 지역 격차로 인한 기후 취약계층 문제를 지적,
김수현 부연구위원은 AI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정책적 고려사항을 제언했습니다.
– 다양한 전문가들과 함께 기후변화와 AI 기술 도입으로 등장한 새로운 취약계층을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정책 및 민관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 **주요 기대와 방향성**
김 진 국가통계연구원장은 이번 포럼이 **사회 갈등과 취약계층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삶의 질과 SDG 측정 역량 강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수립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 **참여 안내 및 사후 자료**
포럼은 홈페이지(kostatforum.kr)를 통해 **온라인 실시간 중계**로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발표 자료와 유튜브 동영상이 사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각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이번 포럼은 삶의 질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한 의미 있는 자리로 평가됩니다.
[산림청]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대비 및 AI기술 활용 확대 방안 논의
발행일: 2025-07-03 05:14
원문보기
### 기후변화 대응 강화 및 산림분야 AI 활용 확대 논의
#### 2025년 제8기 산림청 정책자문위원회 기획조정 분과회의
산림청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산림분야에서 AI(인공지능) 기술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는 ‘제8기 산림청 정책자문위원회 기획조정 분과회의’를 국립세종수목원에서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 전문가 중심의 정책 검토와 대안 제시
제8기 산림청 정책자문위원회는 2024년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학계, 연구기관, 언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기획조정 △국제산림협력 △산림산업정책 △산림복지 △산림보호 △산림재난 등 6개 분과위원회와 청년특별위원회를 포함한 7개의 운영체계를 갖추고 있다.
### 주요 논의 내용
이번 기획조정 분과회의에서는 2월에 논의된 자문 사항에 대한 이행 결과를 점검하고, 하반기 추진 방향을 집중적으로 토론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의제를 다루었다:
1. **기후재난 대응 강화:**
– 대형 산불, 집중호우, 산사태 등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 역량 강화를 논의했다.
– 관련된 예산 확보와 조직 운영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2. **산림분야 AI 적용 확대:**
– 효율적인 산림관리를 위해 AI 기술의 활용 방안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산림의 가치 극대화를 목표로 포괄적인 의견을 나누었다.
–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석과 예측 시스템 개발 방향이 주요 논의 주제로 다뤄졌다.
### 국민 체감형 산림정책 추진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산림정책의 설계와 실행 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고, 모두가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기후변화 대응 및 첨단 기술 활용을 통해 산림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한편, 재난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고용노동부]「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철저히 지켜야
발행일: 2025-07-03 05:03
원문보기
### 안전보건공단 김현중 이사장, 폭염 취약 사업장 점검
안전보건공단 김현중 이사장은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7월 3일 식료품 제조업과 건설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사업장 내 폭염 안전 대책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특히 폭염에 취약한 업종의 근로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공단이 강조하는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실천 여부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김현중 이사장은 현장을 둘러보며 근로자들에게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한 5대 기본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공단은 근로자들이 고온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왔다. 5대 기본수칙은 구체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으나, 열사병 예방을 포함한 체온 조절, 수분 섭취, 충분한 휴식 등의 내용일 가능성이 크다.
#### **점검 내용 및 관심 분야**
이번 점검은 특히 밀폐된 작업 공간이나 외부에서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상황 등, 열사병 및 기타 폭염 관련 건강 문제의 위험이 높은 환경에 초점이 맞춰졌다. 식료품 제조업은 실내 작업 공간 내 기계 가동으로 인해 내부 온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건설업은 주로 외부 환경에서의 작업으로 강렬한 햇볕에 노출되기 쉽다.
#### **공단의 노력**
공단은 폭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필요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관련 부처 및 업종 관계자들과 협력해왔다. 김현중 이사장은 사업주와 근로자들의 폭염 피해 예방과 대응 능력 강화에 있어 공단의 역할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약속했다.
#### **문의**
폭염 및 근로자 건강 관리와 관련된 사항은 **안전보건공단 건강증진부 이정미(052-703-0787)**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현장 점검은 기록적인 여름 기온 속에서 근로자들의 생명과 직결된 안전 문제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공단의 노력이 돋보이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공단은 앞으로도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고용노동부]인공지능(AI) 활용 디지털 방식 내부통제 강화한다
발행일: 2025-07-03 05:02
원문보기
**안전보건공단, AI 감사 및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하 공단)은 건설근로자공제회, 국방과학연구소, 그랜드코리아레저(주)와 함께 디지털 기반의 감사 역량 향상 및 조직 내부통제 체계 고도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 10월 3일 울산 중구 공단 본부에서 체결됐다.
### **협약 주요 내용**
4개 기관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감사 및 내부통제 체계를 강화하는 데 협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응하는 감사 역량을 확대하고, 조직 전반의 관리 및 통제 수준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각 기관들의 특성과 전문성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감사 운영 방식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투명성과 신뢰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추진 배경**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관 운영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감사를 포함한 내부통제 체계의 디지털화 및 고도화가 필수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공단의 상임감사인 조현수는 “이번 업무협약은 AI 기술을 활용한 감사와 내부통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협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문의처**
공단 감사부 윤수희
전화: 052-703-0793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포털 www.korea.kr*
—
이번 협약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감사 분야 혁신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잡을 전망이며, 4개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향후 긍정적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관리청]당분간 무더위와 열대야 이어져… 야간에도 온열질환 주의 필요!(7.3.목)
발행일: 2025-07-03 05:00
원문보기
### 무더위와 열대야, 온열질환 주의보!
다가오는 한여름을 맞이하여 질병관리청은 폭염과 열대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사항과 건강 수칙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6월 하순 동안 온열질환자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만큼, 국민적 경각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
#### **온열질환자 증가와 주요 증상**
6월 2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온열질환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3명 증가했습니다.
온열질환이란 장시간 뜨거운 환경에 노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급성 질환으로, 대표적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포함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이 있습니다. 방치 시 생명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 진단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 **열대야의 영향과 주요 건강 수칙**
열대야는 단순한 더위 이상의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피로감, 두통, 식욕부진, 불면증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온열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다음과 같은 **열대야 건강수칙**을 제시하였습니다.
1. **취침 전 준비하기**
– 과식,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합니다.
–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되, 취침 직전에는 과도한 물 섭취를 삼갑니다.
– 잠들기 1~2시간 전에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를 하여 체온을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2. **시원한 수면 환경 만들기**
– 실내 온습도를 관리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합니다.
– 통풍이 잘 되는 면 소재의 얇은 잠옷을 입습니다.
– 과도한 운동을 피하고 수면을 방해하는 체온 상승을 억제합니다.
3. **일상 속 건강관리**
– 폭염 특보 및 열대야 예보를 수시로 확인합니다.
– 낮잠은 짧게, 수면 리듬은 규칙적으로 유지하여 생활 패턴을 안정시킵니다.
– 특히, 고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무리한 야외활동을 자제해야 합니다.
—
#### **온열질환 통계와 취약 계층 주의**
질병관리청이 제공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5월 15일부터 7월 1일까지 총 524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이 중 3명이 사망했습니다.
온열질환 발생의 84.9%는 실외에서 일어났으며, 특히 작업장, 논밭, 길가에서의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가 30.5%**를 차지할 만큼 폭염 취약계층인 어르신들에 대한 특별한 유의가 필요합니다.
—
#### **마지막 당부**
질병관리청장 지영미는 국민들에게 “더운 날씨에는 낮 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시원한 장소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열대야뿐만 아니라 폭염에도 각별히 유의하며 건강수칙을 실천하는 것이 안전한 여름을 보내는 길임을 당부했습니다.
이번 여름,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온열질환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키고, 더위 속에서도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상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자료]**
–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정보: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산림청]국립자연휴양림, 폭염 대비 긴급 대책회의 개최
발행일: 2025-07-03 04:49
원문보기
### 산림청, 폭염 대비 긴급 대책회의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최근 폭염경보가 연이어 발효됨에 따라, 8월 3일 대전시 서구 복수동에 위치한 국립휴양종합상황실에서 폭염 대응을 위한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김명종 소장의 주재로 전국 47개 국립자연휴양림의 팀장 등 50여 명이 영상으로 참여해 진행되었다. 이번 대책회의에서는 전국 휴양림에서 시행 중인 온열질환 예방 대책과 조치 현황을 점검함과 동시에, 고객, 근로자, 시설물 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폭염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 폭염 대비 주요 대책:
1. **근로자 보호**:
– 무더운 시간대(14~17시) 옥외 작업 금지.
– 휴양림 내 `무더위 쉼터` 지정.
– 근로자들에게 매시간 15분 이상의 휴식과 충분한 수분 섭취 제공.
2. **이용객 안전 관리**:
– 폭염특보와 관련된 안내방송 및 문자 발송을 통한 신속한 정보 전달.
– 숲해설 등 야외 프로그램은 실내로 전환하여 운영.
3. **위기경보 모니터링**:
– 실시간 폭염 위기경보를 주의 깊게 살피고 단계별로 맞춤 대책 적용.
김명종 소장은 “무더위 속에서도 국민의 편안한 휴식을 위해 노력하는 직원들과 이용객 모두가 안전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조치하겠다”며 철저한 관리를 약속했다.
이번 조치는 폭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근로자와 이용객의 건강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한 여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2025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신고 131.0억 달러(△14.6%), 도착 72.9억 달러(+2.7%)
발행일: 2025-07-03 04:16
원문보기
### 2025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분석
2025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글로벌 및 국내 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신고 실적은 감소했으나, 도착 실적은 소폭 증가를 보이는 혼합된 양상을 나타냈습니다.
—
### 1. 주요 성과 요약
**① 투자 신고:**
– 상반기 신고 금액은 **131.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6% 감소**.
– 이는 미국 관세 정책 및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에 기인한 글로벌 기업의 투자 보류가 주요 원인.
**② 투자 도착:**
– 도착 금액은 **72.9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 증가**.
– 이는 지난해 기록된 양호한 투자신고 실적이 안정적으로 자금 유입으로 이어졌기 때문.
—
### 2. 상세 분석
#### **(1) 유형별 동향**
– **투자 신고:**
– 그린필드(신규 투자)는 **109.7억 달러(△4.5%)**.
– M&A(인수합병)는 **21.3억 달러(△44.6%)**.
– M&A의 감소폭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글로벌 및 국내의 불확실성 확대 영향.
– **투자 도착:**
– 그린필드 투자는 **45.0억 달러(+4.4%)**.
– M&A 자금 도착은 **27.9억 달러(+0.2%)**로 소폭 증가.
—
#### **(2) 국가별 동향**
– **투자 신고:**
– 신고 실적은 EU와 미국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일본과 중국은 감소.
– EU: **22.4억 달러(+14.5%)**.
– 미국: **31.3억 달러(+20.2%)**.
– 일본: **21.6억 달러(△25.4%)**.
– 중국: **18.2억 달러(△39.0%)**.
– **투자 도착:**
– 미국 투자 도착은 **14.7억 달러(+32.9%)**로 큰 증가세를 보인 반면, EU(△29.0%), 일본(△59.8%), 중국(△48.6%)은 감소.
—
#### **(3) 업종별 동향**
– **제조업:**
– 투자신고는 **53.3억 달러(△34.5%)**, 자금도착은 **15.1억 달러(△54.1%)**로 감소.
– 특히, 전기·전자(△61.6%)와 의료정밀 및 기계장비(△77.0%) 부문이 타격.
– 이는 미국 관세 정책과 글로벌 투자 이동 현상이 주요 요인.
– **서비스업:**
– 투자신고는 **70.9억 달러(+10.6%)**, 자금도착은 **54.1억 달러(+51.0%)**로 증가.
– 유통(+73.3%), 정보통신(+9.4%) 강세가 주도.
– 도착 실적의 경우 금융·보험(+39.3%)이 주요 M&A 자금 유입처로 작용.
—
### 3. 평가 및 향후 전망
– **평가:**
미국 관세 정책과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신규 투자는 줄었으나, 기존 신고된 투자건의 안정적 흐름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 **전망:**
산업통상자원부는 하반기에 신정부 출범 및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로 상황 개선 가능성을 기대하며,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 4. 정책 방향 및 개선 전략
산업통상자원부는 외국인직접투자 환경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합니다.
1. **첨단산업 타겟팅 전략:**
– AI, 반도체 등 그린필드 기술 중심의 IR 활동 강화.
2. **지역 기반 IR 확대:**
– 외투기업 추가 투자 발굴을 위한 **”국내 카라반 프로그램”** 운영.
– 6월(충남), 7월(충북)에서 순차적 실행.
3. **대형 투자 1:1 밀착 관리:**
– 5천만 달러 이상의 주요 투자건 집중 관리로 실질 자금 도입 강화.
4. **투자 유치를 위한 시스템 혁신:**
– 한국의 경쟁력 있는 산업 기반 홍보와 규제 완화를 병행.
—
### 5. 결론
2025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 감소와 도착 증가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하반기에는 정책적 노력과 글로벌 환경 변화의 긍정적 영향을 기대하며, 한국은 첨단산업 및 서비스업 분야에서 지속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배드민턴화 6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배드민턴화 선택의 중요성과 소비자원 시험 결과 정리
배드민턴은 한국에서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인기 생활 스포츠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플레이하기 위해 적합한 배드민턴화 선택은 필수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6개 브랜드의 배드민턴화 6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 및 안전성을 시험·평가하며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 **시험 결과 주요 내용**
1.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 기능**
– 제품 간 성능 차이가 드러났습니다. 따라서, 운동 목적(예: 실내 경기용, 실외 경기용)과 개인 습관(예: 발 구조, 걷는 방식)에 맞는 제품 선택이 중요합니다.
2. **내구성**
– 신발의 마모 저항이나 내구성 면에서 제품별 차이가 존재했으므로, 장기간 사용을 원할 경우 내구성도 검토해야 합니다.
3. **안전성**
– 유해물질 여부 등 안전성 부문에서는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 다만 일부 제품에 한글 표시가 누락된 사례가 있어 사용 관련 정보의 접근성을 개선할 필요가 제기되었습니다.
#### **소비자들에게 주는 팁**
– 배드민턴화를 선택할 때는 자신의 **운동 스타일**과 **발 특성**을 분석한 뒤, 미끄럼 방지, 충격 흡수, 내구성 등을 꼼꼼히 비교해야 합니다.
– 안전성 측면에서는 모든 제품이 기준을 충족했지만, 상세 제품 정보 표시 여부를 확인하면 더욱 믿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주제 더 알아보기
배드민턴화를 잘 고르는 방법, 발 구조 유형별 추천 신발, 그리고 운동용품 관리법과 메이커별 특징 등을 알아보는 것도 좋은 자료가 될 것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 보호수준 평가 현장 지원 나선다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현장 설명회 개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가 2025년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이하 *보호수준 평가*)에 대한 현장 설명회를 7월 4일(화)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약 400여 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
### **보호수준 평가란?**
개인정보보호법 제11조의2(2024년 3월 시행)에 따라 도입된 보호수준 평가는 공공기관이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해 법령상 의무를 준수하고 있는지, 그리고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관 차원의 추가적인 노력을 어떻게 기울이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제도다. 이는 전반적인 개인정보 보호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
### **현장 설명회 주요 내용**
현장 설명회는 보호수준 평가에 대한 공공기관의 이해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설명회는 두 가지 세션으로 구성된다.
1. **1부**:
– 개인정보 영향평가(Personal Information Impact Assessment) 제도와 제도 개선 사항 설명
– 공공기관의 대응 방향 제시
2. **2부**:
– 보호수준 평가 운영계획, 절차, 평가지표 설명
– 관련 우수사례 공유
– 참가자들의 질의응답
특히 개인정보 영향평가는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사전에 진단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제도로, 법정 기준 이상으로 대규모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공공기관의 경우 이를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
### **다양한 지원 활동 병행**
현장 설명회 참석이 어려운 공공기관 담당자를 위해 6월 24일과 7월 8일에 온라인 설명회를 추가로 진행하며, 1차 온라인 설명회에는 약 700여 명이 참석했다.
이와 함께 기관 맞춤형 컨설팅도 추진된다. 7월 11일 대전 지역을 시작으로, 인천(7월 14일), 광주(7월 29일), 강원(7월 31일) 등 전국 4개 권역에서 컨설팅을 시행하며, 8월까지 신규 기관 및 지난해 평가 결과가 미흡했던 80여 개 기관을 직접 방문해 보다 심도 있는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
### **활동 의의와 기대 효과**
이번 개인정보위의 활동은 공공기관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과 관리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법적 준수뿐만 아니라 기관 차원의 자율적 보호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개인정보 침해 사고를 예방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개인정보위 자율보호정책과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다.
—
**문의처:**
– 박윤호 (02-2100-3050)
– 이선화 (02-2100-3087)
(*자료 제공: www.korea.kr*)
[소방청]24주 799시간의 혹독한 훈련…이제 국민 곁으로 중앙소방학교, 제110기 신임소방관 51명 배출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24주간의 강훈련 끝에 국민 곁으로, 신임 소방공무원 51명 배출**
중앙소방학교는 4일 충남 공주시에서 열린 제110기 신임 소방공무원 졸업식을 통해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51명의 소방관을 배출했다. 이들 졸업생은 24주간 총 799시간의 체계적인 이론·실무 교육과 혹독한 훈련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전문 인재로 거듭났다.
—
### **소방 인재 육성의 과정**
졸업생들은 ▲통합 기초 및 심화교육, ▲분야별 실전 훈련, ▲실화재 대응 및 관서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특히 3주간의 현장 실습을 통해 실무 적응력을 키운 이들은 이제 소방청, 대구시, 전북도 등 국민 안전 최일선에서 소임을 다할 예정이다.
—
### **졸업식의 하이라이트**
이날 졸업식에서는 7명의 졸업생이 성적 우수 및 공로자로 선정되어 시상을 받았다. 오미희 소방사 임용예정자는 졸업 성적 최우수로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여받았으며, 구본석과 황혜정 임용예정자는 각각 소방청장상과 중앙소방학교장상을 받았다. 추가로 방민혁, 이수영, 안상훈, 이명준 임용예정자는 학습과 훈련에서 모범을 보인 공로로 중앙소방학교장의 교육유공 표창을 수상했다.
오미희 임용예정자는 수상 소감에서 “소방학교에서 흘린 땀이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토대가 될 것”이라며, “국민에게 신뢰받는 소방관으로 거듭나겠다”는 다짐을 전했다.
—
### **졸업생의 배치와 역할**
– **배치 지역**
– 전북소방본부: 44명
– 대구소방본부: 6명
– 중앙119구조본부: 1명
졸업생들은 화재진압, 구조, 구급 등 각종 재난 현장에서 활동하며, 정보통신 등 특수분야의 전문성을 발휘하는 역할도 맡게 된다.
—
### **중앙소방학교의 포부**
김태한 중앙소방학교장은 “졸업생들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사명감을 가진 안전의 수호자”라며, “현장에서 초심을 잃지 말고, 국민을 지키는 일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중앙소방학교는 올해 약 240명의 신임 소방공무원을 추가로 양성하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현장 중심의 전문 교육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다.
—
새로운 출발선에 선 신임 소방관 51명. 이들이 흘린 땀과 열정이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소중한 연결고리가 될 것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디지털 세상을 바꾸는 창작자(크리에이터)들의 열정 현장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2025 창작자 매체 산업대전 in 인천, 창작자와 관람객의 혁신적 만남의 장 열린다**
2025년, 인천에서 개최될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대전’**은 청년 창작자와 관람객이 자유롭게 소통하며, 창작의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마련합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상호 성장 플랫폼 제공**
이 행사는 청년 창작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고, 관람객 및 업계 전문가들과 소통하며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열린 무대가 될 전망입니다. 또한, 기업들이 이들에게 사업적 기회를 제공하며 성장과 협력의 상생 모델을 구축합니다.
행사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창작자와 대중이 직접 만남을 통해 콘텐츠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 교환
– 창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기술 협업 및 비즈니스 연결 기회
– **융합기술 체험존**을 활용한 최신 기술 기반 콘텐츠 소개 및 체험 제공
**청년 창작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산업 축제**
관람객들은 산업대전을 통해 다양한 창작 콘텐츠 트렌드를 체감하고, 창작자 및 기업 협력을 통한 미래 미디어 산업 현황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 창작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작품을 알리고 업계 리더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본 행사는 창작 문화의 활성화와 창출, 그리고 기술 융합의 장으로 우리나라 크리에이티브 산업 발전에 소중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더 많은 정보는 [정부 누리집(www.korea.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손으로 만지고 체험해 과학, 물리와 가까워지는 특별한 과학 수업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최근 과학 및 물리 교육을 보다 흥미롭고 실감 나게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수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직접 손으로 만지고 실험을 통해 과학의 원리를 배우는 데 초점을 맞추며 학습 과정에서 몰입감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수업에서는 다양한 실습 도구와 장치를 활용해 물리학의 원리를 눈으로 관찰하고 손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중력, 에너지 변환, 자기장 등 추상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물리 개념을 실험을 통해 직관적으로 익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학을 단순히 책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실제 경험하며 이해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논리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수업 진행 중 학생들끼리의 협동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팀워크의 중요성도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주로 학교, 과학관, 특화된 교육센터에서 진행되며, 아동 및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춘 맞춤형 수업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일부 기관에서는 교사와 부모를 위한 참여 교육 세션도 운영하여 가정과 학교에서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보도자료에 첨부된 파일 또는 관련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활용이 기대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여름방학, 과학으로 도장깨기!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여름방학, 과학으로 도장깨기!**
여름방학을 맞아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재미와 가치를 알리기 위한 특별 프로그램이 준비되었습니다. 이번 보도자료는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포털 사이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제공한 자료로 구성되었습니다.
### 프로그램 주요 내용:
1. **과학 실험 및 체험 프로그램**
– 전국 주요 과학관에서 다양한 체험형 과학 프로그램 운영.
– 예: 로봇 제작, 화학 반응 체험, 신재생에너지 원리 학습 등.
2. **온라인 과학 콘텐츠 제공**
– 집에서도 쉽게 접근 가능한 온라인 과학교육 콘텐츠 제공.
– 주제별 강연, 실험 영상 등 다양한 자료가 포함되며,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
3. **퀴즈와 미션으로 즐기는 도장깨기**
– 참여자들에게 과학과 관련된 흥미로운 퀴즈와 도전을 제시.
– 프로그램 완료 후 인증서나 기념품 증정(각 과학관별로 정책 상이).
### 참여 방법:
– 관심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사전 예약 또는 현장 접수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일정과 세부 사항은 첨부된 파일 및 **해당 과학관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기대 효과:
이번 프로그램은 아이들에게 과학이 단순히 학문에 머무르지 않고, 현실과 밀접하게 연결된 흥미롭고 창의적인 활동이라는 점을 알려주어 여름방학 동안의 시간을 알차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제공된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용량 파일은 별도로 다운로드 후 열람 가능)**
—
[자료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해당 프로그램 내용 및 일정은 정책브리핑 제공 자료를 기반으로 하며, 추가 공지 내용이 변동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5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 선정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뉴스 요약 및 분석]**
**제목: 2025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대한민국 최상위 과학기술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수여하는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의 2025년 수상자로 황철성 서울대학교 석좌교수가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선정은 그의 연구 업적과 학문적 기여도를 높이 평가한 결과로, 과학계와 산업계 전반에 걸쳐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 **황철성 교수의 주요 업적**
– **분야:** 나노소재 및 반도체 기술 연구
– **대표 연구:** 나노소재 기반 첨단 반도체 공정 신기술 개발
– **성과:** 연구를 통해 반도체 기술 발전을 촉진하며 국내외 산업계와 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황철성 교수는 반도체 핵심 소재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연구 결과는 다양한 첨단 전자기기의 발전을 가능케 했으며,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반도체 기술 확보에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
###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의 의의**
이 상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자를 대상으로 매년 1명 또는 2명을 선정해 수여하는 국내 과학계 최고 권위의 상입니다. 수상자에게는 상패 및 포상이 주어지며, 이들의 업적은 젊은 과학자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
### **향후 기대**
황철성 교수의 업적은 특히 미래 첨단기술 경쟁 강화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생태계의 글로벌 리더십 강화라는 과학·산업적 전망을 밝게 해줍니다.
이번 선정 소식은 국내외 과학기술계에 큰 울림을 전하며, 학문과 산업의 융합을 통해 더 큰 도약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
※ 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 보도자료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www.korea.kr](http://www.korea.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재위, 7월4일, ‘제5차 지식재산 정책 토론회 (IP정책포럼)’개최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2023년 7월 4일, 지식재산위원회(지재위)는 제5차 지식재산 정책 토론회(IP 정책 포럼)을 개최한다는 보도자료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의 주요 목적은 지식재산 정책과 관련된 최신 동향을 논의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론회는 지적재산 분야의 관련 전문가, 학계, 기업 관계자가 참여하여 폭넓은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며, 대한민국의 지식재산 정책 강화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로 기대됩니다.
추가 상세 정보는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대용량 첨부파일의 경우 직접 다운로드하여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인사혁신처]2025년 6월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 공개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2025년 6월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 공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윤리위)는 지난 5월 27일 퇴직공직자의 취업심사를 진행한 62건에 대한 심사 결과를 6월 3일 공개했다. 해당 결과는 공직윤리시스템 누리집([www.peti.go.kr](http://www.peti.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심사 결과 요약
1. **취업제한:**
– 1건은 퇴직 전 5년간 소속된 부서나 기관의 업무와 취업 예정 기관 간 밀접한 업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취업제한 결정을 받았다.
2. **취업불승인:**
– 2건은 법령에서 규정한 취업 승인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취업불승인으로 결정되었다.
3. **사전심사 미실시 임의취업 사례:**
– 사전 취업심사를 거치지 않고 독단적으로 취업한 8건에 대해 관할 법원에 과태료 부과를 요청했다.
4. **임의취업 추가 적발:**
–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한 일제조사를 통해 지난해 하반기 드러난 75건의 임의취업 사례에도 과태료 부과 절차를 진행 중이다.
#### 총평 및 의의
이번 공개는 공직자들의 취업 과정에서의 투명성 확보와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철저한 심사 절차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공직자로서의 윤리적 책임과 법적 의무를 재확인시킴과 동시에, 불법적 취업 사례에 대한 강력한 제재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평가된다.
관련 내용은 윤리위 공식 웹사이트에서 자세히 확인 가능하다.
[행정안전부]외국인 어선원 안전교육 강화로 인명피해 최소화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행안부, 외국인 어선원 위한 ‘어선 안전수칙’ 영상 다국어 제작**
행정안전부가 외국인 어선원이 국내 어선에서 더욱 안전하게 조업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꼭 지켜야 할 어선인 안전수칙’ 영상을 총 8개 국어로 제작해 배포합니다.
이 영상은 한국어를 포함해 외국인 선원들이 자주 사용하는 주요 언어로 제작되어, 문화와 언어적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업무에 필요한 안전 정보를 쉽게 전달하려는 취지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영상은 주요 항만과 어선에서 활용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어선원과 운항 관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배포될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농축산해양재난대응과 오준현 담당자(044-205-6197)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이 자료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www.korea.kr)를 통해 제공되었습니다.
[행정안전부]급경사지·산사태 특화 재난안전산업 진흥시설 조성 본격 추진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행정안전부와 부산광역시는 오는 **7월 4일(금)**에 부산 사하구청에서 ‘급경사지 및 산사태 특화 진흥시설’ 조성을 위한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의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추진될 예정인 진흥시설 조성 사업의 본격적 논의를 시작하는 자리로, 관련 부처 및 관계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사업은 급경사지와 산사태와 같은 자연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지역 특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입니다.
### 주요 기대 효과
– 급경사지와 산사태에 대응하는 기술 및 인프라 확충.
– 해당 지역의 안전성 제고 및 재난 관련 산업 발전.
– 지역 주민에게 보다 안정적인 환경 제공.
자세한 정보는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산업과 담당자인 **박근호(044-205-4183)**에게 문의하면 됩니다. 이번 사업은 자연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는 의의를 가지며, 향후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과 세부 일정은 추가 발표를 통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행정안전부]이열치열! 여름에 더 찾기 좋은 온천 10선 소개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행정안전부는 이번 여름 휴가철을 맞아 무더위를 피하면서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특별한 여행 코스로 **‘여름철 찾기 좋은 온천 10선’**을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여름에도 비교적 서늘한 환경에서 온천욕을 즐길 수 있는 명소들을 소개함으로써, 국민들이 쾌적하고 건강한 휴가를 보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온천들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내용은 첨부한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발표는 여름철 휴가 계획을 세우는 국민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이며, 가족 단위 여행객뿐 아니라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관련 문의**
– 부서: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진흥과
– 담당자: 김남미 사무관
– 연락처: 044-205-3523
더 많은 정보는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웹사이트([www.korea.kr](http://www.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경부]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2호 조성, 연내 1,000억 원 투자 추진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환경부, 2,592억 원 규모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2호’ 조성
환경부는 국내 녹색산업의 수주·수출 활성화를 위해 2,592억 원 규모의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2호’**를 조성했다고 6월 30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작년 10월 조성된 1,580억 원 규모의 1호 펀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마련된 펀드입니다.
—
### **펀드 조성 배경 및 목표**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는 국내 기업이 탄소감축, 순환경제, 물 관련 산업 등 녹색전환을 촉진하는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도록 금융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펀드는 정부가 1,500억 원을 출자하고, 민간에서 1,092억 원을 투자해 총 2,592억 원 규모로 조성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펀드는 국내 녹색산업 기업들에게 **수주 기회 확대**와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투자 지원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
### **향후 계획**
환경부는 2028년까지 3,000억 원의 정부 출자와 2,000억 원의 민간 자금을 유치해 **총 3개 펀드**(1·2·3호 펀드 포함)를 통해 5,000억 원 규모의 녹색인프라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3번째 펀드는 **2025년 중 920억 원 규모**로 조성될 계획입니다.
—
### **주요 성과 및 기대 효과**
작년 조성된 1호 펀드는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시설 사업에 투자를 승인했으며, 환경부는 올해 연내 1,000억 원 투자 승인을 목표로 관련 사업 발굴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번 펀드를 통해 국내 녹색산업이 **급성장하는 글로벌 녹색산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
### **정부의 지원 강화**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정부는 투자 지원과 더불어 수주지원단 파견 등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 기업의 국제 녹색산업 시장 선전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
### **결론**
환경부의 이번 2호 펀드는 지속 가능한 녹색산업 인프라 개발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중요한 동력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녹색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
*자료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환경부]곤충, 작지만 강한 존재의 이유 알려드려요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국립생물자원관, ‘곤충, 많아지거나, 사라지거나’ 기획전 개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오는 7월 4일부터 ‘곤충, 많아지거나, 사라지거나’라는 주제로 새로운 기획전을 연다. 인천 서구에 위치한 국립생물자원관 생생채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곤충의 생태 변화와 이에 따른 공존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 **주요 전시 내용**
1. **급격히 늘어난 곤충들**
– 최근 도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해 급격히 대발생한 동양하루살이, 붉은등우단털파리 등 곤충 19종의 표본 전시.
– 관람객들에게 디지털 현미경을 제공하여 곤충들의 세밀한 모습을 관찰하도록 함.
2. **멸종위기 곤충 소개**
– 점점 사라져가는 꼬리명주나비, 외눈이지옥나비 등의 표본 전시.
– 장수하늘소, 비단벌레, 소똥구리와 같은 대형 모형을 통해 멸종위기에 처한 적색목록종도 함께 소개.
3. **몰입형 미디어 체험**
– 도시에서 보기 힘들어진 잠자리, 반딧불이의 풍경과 함께 다양한 풀벌레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미디어 공간 구현.
– 곤충과 인간이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는 환경을 체험하는 시청각 경험 제공.
#### **전시 일정 및 관람 정보**
– **기간**: 2023년 7월 4일부터 시작
– **운영 시간**: 오전 9시 30분 ~ 오후 5시 30분
– **비용**: 입장료 및 주차료 무료
– **휴관일**: 매주 월요일, 신정(1월 1일), 설날 및 추석 전날·당일
#### **전시의 취지**
기획전은 기후위기 시대에 곤충의 급증 또는 감소 현상을 통해 생태계의 변화와 곤충과의 공존 필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곤충 생물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유호 국립생물자원관장은 “곤충 생태계의 건강은 전체 환경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다”며 “곤충 보호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실천이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전시는 자연환경의 복잡성과 우리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연 속 다양한 생물들과 공존하는 삶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통계청]센서스 100년, 2025 인구주택총조사, 다양한 사회경제 변화상을 담는다
발행일: 2025-07-03 03:00
원문보기
### 통계청, 2025년 센서스 표본조사 항목 확정
통계청은 대한민국 센서스 100주년을 맞이하는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표본조사 항목을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2020년 주기와 동일한 **총 55개 항목**을 포함하며, 이 중 **13개 항목은 행정자료로 대체**하여 현장조사를 하지 않습니다. 또한, **신규 항목 7개**, **중지 항목 7개**, **수정된 항목 18개**로 구성하였습니다.
#### **주요 변경 사항**
2025년 조사항목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변화를 폭넓게 측정하고, 국민의 응답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주요 신규 항목:**
1. 정책 수요 반영: **가족돌봄시간**, **결혼 계획·의향**
2. 다문화 가구 및 외국인 관련: **가구 내 사용 언어**, **한국어 실력**
3. 임대주택 관련: **임대주체**
– **달라진 조사 방식:**
1. 기존 10개에서 13개로 행정자료 대체 항목 확대
2. 민감한 항목으로 지적되었던 **출산자녀 수**와 **자녀 출산 시기**는 행정자료로 대체
3. **사망자녀 수** 및 초혼 기준의 **혼인연월** 조사 중단
#### **조사 의의와 참여 요청**
통계청은 1925년 시작된 센서스가 대한민국의 100년 발전사와 함께해왔다며,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이후 처음 실시되는 **대규모 표본조사(약 500만 가구)**로, 사회·경제적 변화를 담아낼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안형준 통계청 차장은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이 필요하다”며 조사 취지에 대한 이해를 부탁했습니다.
**출처:** [정책브리핑](www.korea.kr)
[관세청]영국 전통 ‘클로티드 크림’, 농축하지 않은 크림으로 분류 ··· 한-영 자유무역협정(FTA) 무관세 적용된다
발행일: 2025-07-03 02:18
원문보기
### 영국의 전통 음식 ‘클로티드 크림’, 관세 품목분류에서 ‘농축하지 않은 크림’으로 결정
관세청은 최근 열린 2025년 제3회 관세품목분류위원회에서 ‘클로티드 크림(clotted cream)’을 ‘농축하지 않은 크림’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 결정은 유지방 함량이 55%로 높은 클로티드 크림에 대해 한-영 자유무역협정(FTA) 기준 무관세 혜택을 적용하게 만들며, 국내 소비자들이 이 영국 전통 음식을 보다 저렴하게 즐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습니다.
#### 클로티드 크림 품목분류 논의 배경
클로티드 크림은 열처리에 의한 증발 과정 등 농축 과정 없이 원심분리기로 제조되므로 ‘농축한 크림’으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농축하지 않은 크림(제0401호)’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유제품 품목분류에 대한 명확한 사례를 제시하였고, FTA 무관세 혜택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
### 신발 장식용 ‘지비츠’, 새로운 품목 분류 기준 제시
관세청은 크록스 신발 등에 자주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플라스틱 장식물인 ‘지비츠’를 ‘모조 신변 장식용품(제7117호)’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해당 물품이 사람보다는 신발을 장식하는 용도에 사용되지만, 여전히 ‘신변 장식용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 기업 안정성 및 제품 분류의 명확성 개선
이번 결정은 소형 장식물의 분류 기준을 명확히 함으로써 관련 기업들의 사업 운영 안정성을 강화하고, 보다 투명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관세품목분류위원회와 향후 계획
관세청은 품목분류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사전심사제도를 운영하며, 이를 통해 수출입 업계가 보다 효율적으로 품목분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이러한 투명한 품목분류를 지속적으로 정립해 나가며, 물품 세율과 원산지 결정에 있어 공정성과 합리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관세품목분류위원회 결정 사항은 국내외 소비자와 수출입 기업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며, 무역 환경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법제처]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 국무회의 의결
발행일: 2025-07-03 02:07
원문보기
### 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국무회의 의결…국회 동의 절차 예정
지난 7월 1일, 대한민국과 에콰도르 간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이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 이 협정은 기존 자유무역협정(FTA)보다 포괄적인 경제협력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국회 동의를 거쳐 시행될 예정이다.
—
#### **협정의 핵심 내용**
1. **관세 철폐 및 수출 활성화 기대**
– 대한민국의 주요 수출 품목, 특히 자동차에 대한 40% 고율의 관세가 1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된다.
– 이 외에도 한국 드라마, 영화, 게임 등 K-콘텐츠가 에콰도르 서비스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서비스 시장 개방을 확대한다.
2. **디지털 및 신산업 협력 강화**
– AI 및 디지털 분야, 조달, 공급망, 청정경제 등 다양한 미래 지향적 경제협력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3. **국회 동의 필요성**
– SECA의 관세 양허는 기존 「관세법」의 범위를 초과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헌법 제60조제1항에 따라 국회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
#### **법제처의 역할과 계획**
법제처는 이번 조약안 심사에서 헌법 및 법률에 따른 절차를 충실히 이행했으며, 앞으로도 다음과 같은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 **기업 수출 여건 개선**: 이중조세방지, R&D 촉진 등 협력 강화.
– **글로벌 협력 확대**: 기후변화 대응, 선박안전, 아동 보호 등의 국제적 과제에서 협조체계 구축.
—
#### **의미와 전망**
SECA는 단순히 관세 철폐를 넘어서 한국과 에콰도르 간 포괄적인 경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K-콘텐츠 시장 확대와 디지털 협력 강화는 한국의 신성장동력을 북중미 지역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
앞으로 국회의 동의 절차를 통해 협정이 최종 확정된다면, 양국 간 새로운 경제협력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청]한여름의 ‘꽃물결’… 7월 수놓은 수목원·정원으로 떠나보세요!
발행일: 2025-07-03 02:01
원문보기
### 한여름의 꽃 축제, 수목원과 정원에서 여름을 즐기다
본격적인 여름이 찾아온 7월, 산림청이 선정한 ‘수목원·정원 10선’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온전히 느껴볼 수 있습니다. 뜨거운 햇살 아래 만개한 꽃들과 함께 특별한 여름 추억을 만들어볼까요?
—
#### **추천 수목원 TOP 5**
**1. 신구대학교식물원 (경기도 성남시)**
세계 각국의 다채로운 온·열대 수련을 감상할 수 있는 신구대학교식물원. 연못 위에 피어난 아름다운 꽃들이 이국적이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선사합니다.
**2. 미동산수목원 (충청북도 청주시)**
숲길을 따라 조성된 수국담채원은 비 오는 날 특히 운치 있는 풍경을 자랑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수국이 만들어내는 색채의 향연을 감상하세요.
**3. 천리포수목원 (충청남도 태안군)**
수목원 뒤로 펼쳐진 바다와 어우러진 수국과 노루오줌꽃. 자연의 청량감을 가득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4. 기청산식물원 (경상북도 포항시)**
30년 동안 공들여 가꾼 무궁화 정원에는 무궁화 220여 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꽃의 아름다움을 한자리에서 만나보세요.
**5.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경상북도 봉화군)**
7만여 본의 제비고깔이 화사하게 수놓은 여름 숲. ‘여름을 물고 온 제비고깔’ 전시로 이 계절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
#### **추천 정원 TOP 5**
**1. 세미원 (경기도 양평군)**
‘물과 꽃의 정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10만여 주의 연꽃이 만개한 세미원. 수련과 빅토리아 수련이 어우러진 장관을 놓치지 마세요.
**2. 공간정원 (충청북도 청주시)**
도심 속에서 만나는 자연의 쉼터. 6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 절정을 이루는 수국이 피로한 일상에 힐링을 선사합니다.
**3. 쌍산재 (전라남도 구례군)**
300년 된 고택과 대나무 숲이 어우러져 자연 속 고즈넉한 여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대나무가 불러오는 시원한 바람 한 줌이 더위도 잊게 만듭니다.
**4. 죽화경 (전라남도 담양군)**
눈처럼 하얀 유럽수국 터널이 이어진 죽화경은 단순한 꽃길을 넘어 이국적인 감상거리로 유명합니다. 여름이지만 마치 겨울 동화를 걷는 듯한 기분을 느껴보세요.
**5. 그레이스정원 (경상남도 고성군)**
넓은 부지에 메타세쿼이아와 수국이 어우러진 그레이스정원. 영화 속 한 장면 같은 여름 풍경을 누릴 수 있는 곳입니다.
—
### **더 많은 수목원·정원 정보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산림청 누리집(https://www.forest.go.kr)에 접속하면 전국 73개의 수목원(국립 4개, 공립 37개, 사립 32개)과 180개의 정원(국가정원 2개, 지방정원 14개, 민간정원 164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수목원과 정원이 마련되어 있어 우리 곁의 자연을 더욱 친숙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
### **7월, 자연으로 떠나보세요!**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수목원과 정원은 각각 식물 보존과 자연 체험, 그리고 일상 속 자연을 경험하는 공간으로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며 “특히 여름철에 절정인 수국과 숲의 조화를 가까운 수목원과 정원에서 즐겨보시기를 바란다”고 추천했습니다.
이번 여름,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간에서 아름다운 꽃들과 함께 여름을 만끽해보세요! 🌸
[보건복지부]"건강한 일상, 지역사회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발행일: 2025-07-03 02:00
원문보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건강증진사업, 2025년 성과대회 개최**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2025년 7월 3일 서울 SC 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지방자치단체 건강증진사업 성과대회 및 콘퍼런스’**를 개최하며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성과를 조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 **주요 행사 내용**
**1부: 성과대회**
– **건강증진사업 우수 지자체 시상**: 총 34개 지방자치단체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통합건강증진사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낸 기관, 단체 및 개인 66명에게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이 수여되었습니다.
**2부: 콘퍼런스**
– **기술지원 및 우수사례 발표**: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새로운 기술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성공적인 사업 추진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참석자 및 발언 내용**
이 행사에는 전국 각 지역의 보건소 및 건강증진사업 담당자 약 650명이 참여했습니다.
– **곽순헌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보건소가 주민의 건강을 지키는 ‘최일선의 파수꾼’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하며 지역 중심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김헌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장**은 “그동안 지역 건강증진사업에 헌신한 모든 분들의 노력에 감사드리며, 이번 행사를 통해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 **이번 행사의 의의**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건강한 일상’을 주제로 열린 이번 성과대회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 보건의료 역할을 재조명하고,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공통 목표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가 협력하는 기반을 더욱 공고히 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성과대회를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지속 가능한 건강증진사업 모델이 만들어지길 기대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케이-푸드 플러스(K-Food+) 상반기 수출 전년 대비 7.1% 증가
발행일: 2025-07-03 02:00
원문보기
### 2025년 상반기 K-Food+ 수출 실적 7.1% 증가…성장세 지속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2025년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이 전년 대비 7.1% 증가한 **66.7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케이-푸드 플러스는 농식품(신선·가공)과 농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약품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한국 농업의 수출 경쟁력을 대표합니다.
—
### 주요 성과
#### 1. **농식품(K-Food) 분야**
– **수출액**: 51.6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
– **권역별 성장**:
– 북미: **24.3%↑**
– 유럽연합(EU+영국): **23.9%↑**
– 걸프협력회의(GCC): **17.8%↑**
– 독립국가연합(CIS+몽골): **9.0%↑**
#### 2. **주력 가공식품 성장**
가공식품 품목 중 소위 ‘K-라면’과 같은 대중적인 제품들이 호조를 보였습니다.
– **라면**: 731.7백만 달러 (24.0%↑)
– 증가 요인: 매운맛 인기에 따른 글로벌 반응과 신제품 출시
– **아이스크림**: 65.5백만 달러 (23.1%↑)
– 성장 배경: 미국·캐나다 등 대형 유통망 확장 및 식물성 아이스크림 수출 증가
– **소스류**: 228.4백만 달러 (18.4%↑)
– 성장 요인: 한식 소스의 높은 인지도와 글로벌 인기
#### 3. **신선식품 수출 증가**
– **닭고기**: 45.6백만 달러 (7.9%↑)
– 주요 시장: 베트남, 미국, EU 등
– **유자**: 28.5백만 달러 (5.5%↑)
– 미국, 일본, EU 중심으로 수요 증가
—
### 농산업 수출도 견조
– **수출액**: 15억 달러 (전년 대비 3.1% 증가)
– 주요 품목의 성장세:
– 동물용 의약품: 167.2백만 달러 (51.0%↑)
– 농약: 490.2백만 달러 (22.4%↑)
– 종자: 27.3백만 달러 (14.1%↑)
– 비료: 222.1백만 달러 (6.8%↑)
—
### 정부와 민관 협력의 성과
농식품부는 어려운 국제 무역 환경 속에서도 민관 협력을 통해 성과를 이끌어냈다고 밝혔습니다. 송미령 장관은 **140억 달러 수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계획을 강조했습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지 마케팅 강화**: 베트남, 싱가포르, 유럽 등에서 한식 및 K-Food+ 홍보
– **수출 지원 확대**: 상품 개발, 판촉, 관세 장벽 대응 등 종합적인 지원책 마련
—
### 향후 계획
하반기에는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추진될 예정입니다. 송 장관은 수출기업의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해외 시장 공략을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목표는 연말까지 **140억 달러 수출 달성**입니다.
[국토교통부]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실적 1,000호 넘어
발행일: 2025-07-03 02:00
원문보기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실적 1,000호 돌파**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피해 지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된 피해주택 매입이 1,000호를 넘어섰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성과는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단기간 내 피해주택을 적극 매입하고,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결실을 본 것입니다.
### **핵심 내용**
1. **매입 실적과 추진 배경**
– 전세사기 피해주택 1,000호 이상을 매입 완료.
– 매입된 주택은 주로 피해자의 실질 거주를 보장하거나, 저렴한 임대주택으로 전환되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활용.
2. **피해자 보호 및 지원**
– 매입된 주택에 피해자가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지원.
– 이와 함께 긴급지원 프로그램과 상담 서비스를 통해 피해자의 심리적·경제적 회복을 도모.
3. **정부의 지속적 노력**
– 피해 주택 추가 조사와 매입 확대 계획 발표.
– 향후 더 많은 주택이 매입될 예정이며, 전세사기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도 병행.
###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정부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정책을 더욱 강화할 방침입니다. 지속적인 피해주택 매입과 함께,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정보 제공과 법제도 개선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고, 부동산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및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 www.korea.kr]*
[산림청]3대를 이은 헌신과 열정, ‘산림명문가’를 찾습니다.
발행일: 2025-07-03 01:44
원문보기
### 대를 이어 산림에 헌신한 가문을 찾습니다: 산림청, ‘산림명문가’ 공모
산림청이 임업 발전에 헌신한 ‘산림명문가’를 선정하기 위해 8월 14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 ‘산림명문가’는 조부모부터 손자녀까지 3대에 걸쳐 산림경영에 종사하며 사회적 기여를 해온 모범적인 가문에게 주어지는 영예로운 칭호입니다.
이 제도는 2020년 도입되어 현재까지 총 15개 가문이 선정되었습니다. 선정된 가문은 산림명문가 패와 증서를 수여받으며, 주요 행사 초청, 기념사업 참여, 산림정책 자문 활동 등의 기회를 얻게 됩니다.
신청을 원하는 가문은 관련 신청서와 증빙서류를 8월 14일까지 산림청 사유림경영소득과에 방문 또는 우편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대를 이어 임업에 헌신한 가문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이들의 가치 있는 활동을 널리 알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산림에 대한 지속가능한 경영과 헌신을 이어온 가문의 이야기가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지길 기대합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세종 국가시범도시, 스마트서비스 미래 선도한다
발행일: 2025-07-03 01:43
원문보기
안녕하세요! 보도자료를 제공받으셨군요. 내용을 기반으로 요약하거나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 보도자료의 주요 내용을 공유해주시면 더욱 적합한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내용 요약, 핵심 메시지 도출, 혹은 타겟 독자를 고려한 블로그 포스팅 형태로 제공해드릴 수 있습니다. 내용을 알려주시면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해양수산부]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 신청하세요
발행일: 2025-07-03 01:40
원문보기
### 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 희망자 모집: 교육부터 지원까지 한눈에!
해양수산부가 오는 **7월 4일부터 24일까지** ‘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 희망자를 모집합니다. 이 사업은 2025년부터 새롭게 추진되는 프로젝트로, 연간 약 30개소 창업을 지원하며 수협중앙회의 자회사인 **㈜수협유통**과 협력해 운영됩니다.
직매장은 **‘수산물직거래촉진센터’**로 지정되어 신선하고 저렴한 산지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예정입니다.
—
### 창업 과정 및 혜택
총 **60명의 창업 희망자를 모집**하며, 다음과 같은 혜택과 지원이 주어집니다:
1. **창업 교육 제공**
– **총 30일간 이론·실습·현장 교육**
– 교육비는 해양수산부 및 ㈜수협유통이 **전액 지원**
2. **최종 지원 대상 30명 선발**
최종 선정된 30명은 다음과 같은 전방위 지원을 받습니다:
– **최대 8천만 원** 한도의 시설비 지원
– 점포 입지 선정 및 수산물 공급·품질 관리
– 부진 점포 대상 사후 관리
3. **청년 창업 혜택**
–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은 창업 평가 시 **가산점 등 추가 혜택** 부여
—
### 신청 방법
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에 관심 있는 **19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은 **7월 4일(금) 15시부터 24일(목) 18시까지** 신청 가능하며, 다음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 **사업신청서 제출**:
수협유통 전자우편([email protected])으로 송부
– **교육 대상자 발표**:
7월 31일(목) 15시, 수협유통 홈페이지에 공개 (개별 안내도 제공)
—
### 창업 준비에 참고할 매장 방문
창업 희망자는 **직매장 직영점 2개소**를 방문해 운영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호점**: 어부세상 개롱역점 (서울 송파구 오금로 400)
**2호점**: 어부세상 파주운정점 (경기도 파주시 경의로 1240번길 14-5)
**오픈일**: 7월 11일 예정
—
### 문의처
직매장 창업과 관련된 기타 궁금한 사항은 **㈜수협유통**(☎ 02-405-8314~8315)으로 문의하세요.
—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새롭게 떠오르는 수산물 전문 직매장 창업에 도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