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과학기술정보통신부]어린이 과학·전파 문화 확산에 힘 모으기로
요약보기
한국어
어린이를 대상으로 과학과 전파 분야의 관심과 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기관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관련 사항은 보도자료와 첨부파일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Various organizations have decided to collaborate to promote interest in science and radio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press release and attached files.
日本語
子供たちに科学と電波分野への関心と文化を促進するために、さまざまな機関が協力することになりました。
詳細はプレスリリースと添付ファイルで確認できます。
中文
多家机构决定合作,以促进儿童对科学和无线电领域的兴趣与文化传播。
详细信息可通过新闻稿和附件了解。
Italiano
Varie istituzioni hanno deciso di collaborare per promuovere l’interesse per la scienza e la comunicazione radio tra i bambini.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l comunicato stampa e nei file allegati.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러브버그’ 활동 7월 초 대부분 종료 전망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산림과학원이 러브버그의 활동 시기를 예측한 결과, 7월 초 대부분 종료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벌레는 인체나 농작물엔 피해를 주지 않으나, 대량 발생 시 생활 불편을 초래합니다.
올해 활동 종료 시점은 전년도보다 늦어졌으며, 분포 지역 확장이 예상됩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predicted that the activity of lovebugs would mostly end by early July.
While these insects do not harm humans or crops, their mass presence temporarily disrupts daily life.
This year, their activity is expected to end later than last year, with their range likely expanding.
日本語
国立山林科学院はラブバグの活動が7月初旬にほぼ終了すると予測しました。
この虫は人体や農作物には害を与えませんが、大量発生時には一時的不便を引き起こします。
今年の活動終了時期は昨年より遅れ、分布地域の拡大が予想されています。
中文
国立山林科学院预测,爱情虫的活动将在7月初大部分结束。
这种昆虫虽然不会危害人体或农作物,但大量出现时会导致短暂的不便。
今年的活动结束时间预计比去年稍晚,其分布范围可能会扩大。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Ricerca Forestale prevede che l’attività delle lovebug terminerà principalmente all’inizio di luglio.
Questi insetti non arrecano danni a persone o colture, ma la loro presenza massiccia provoca disagi temporanei.
Quest’anno, la fine dell’attività è prevista più tardi rispetto all’anno scorso, con una probabile espansione della loro area di distribuzione.
[조달청]조달청, 제1차 민· 관합동 규제혁신위원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2025년도 제1차 민관합동 규제혁신위원회를 열어 조달 규정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760개 조달 규정을 제로베이스에서 점검하며,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여 불합리한 규정을 폐지하고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개선할 방침입니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PS) held the first joint regulatory reform committee meeting of 2025 to comprehensively review procurement regulations.
760 procurement regulations will be examined from a zero-base perspective, aiming to eliminate unreasonable regulations and shift to a negative regulatory framework.
日本語
調達庁は2025年度第1回官民合同規制改革委員会を開催し、調達規制を全面的に見直すことを決定しました。
760の調達規制をゼロベースで調査し、不合理な規制を廃止し、ネガティブ規制方式に改善する予定です。
中文
韩国政府采购厅召开了2025年首次民官联合监管改革委员会会议,决定全面审查采购相关规定。
将对760项采购规定进行零基审查,旨在废除不合理规定并转向负面监管方式。
Italiano
L’Agenzia per gli Appalti Pubblici ha tenuto la prima riunione del comitato di riforma normativa congiunto del 2025 per rivedere completamente i regolamenti sugli appalti.
760 regolamenti sugli appalti saranno esaminati da zero per eliminare norme irragionevoli e passare a un quadro normativo negativo.
[산림청]우리동네 도시숲, 모범 인증받고 도시의 품격을 높이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은 도시숲의 관리 수준을 높이고 이용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7월 21일부터 31일까지 전국의 도시숲을 대상으로 ‘모범 도시숲’ 인증신청을 받는다.
해당 인증은 위치, 적합성, 안전성 및 주민 참여 등을 평가하며 최종 결과는 10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will accept applications for the “Model Urban Forest” certification from July 21 to 31, aiming to improve management standards and user satisfaction.
Certified forests will be evaluated based on location, safety, resident participation, and other criteria, with results announced in October.
日本語
韓国の森林庁は都市の管理レベルを向上させるため、7月21日から31日まで「模範都市森林」認証の応募を受け付けると発表しました。
位置や安全性、住民の参加などの基準に基づいて審査が行われ、結果は10月に発表されます。
中文
韩国林业厅宣布将于7月21日至31日接受“模范城市森林”认证申请,旨在提高城市森林管理水平和用户满意度。
该认证将根据森林位置、安全性及居民参与等标准进行评估,最终结果将在10月份公布。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della Corea accetterà le domande per la certificazione “Foresta Urbana Modello” dal 21 al 31 luglio, con l’obiettivo di migliorare la gestione e la soddisfazione degli utenti.
Le foreste candidate saranno valutate in base alla posizione, sicurezza e partecipazione dei residenti, con i risultati annunciati a ottobre.
[농촌진흥청]농촌진흥청, ‘청년정책 우수기관’ 선정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국무조정실의 ‘2024년도 중앙행정기관 청년정책 추진 실적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청년 맞춤형 정책 발굴, 정보 제공 플랫폼 운영, 해외농업기술사업 등을 통해 청년농업인의 역량 강화와 성과 창출에 기여했다.
스마트농업 전문가 육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농촌에 뿌리내린 청년들의 삶을 지원하고 있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s recognized as an outstanding institution in the 2024 Youth Policy Performance Assessment conduct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Coordination.
By developing tailored policies, running an information platform, and engaging in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projects, they contributed to enhancing young farmers’ capabilities and achievements.
Programs such as fostering smart farming experts aim to support the lives of youth embedded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国務調整室が実施した「2024年度中央行政機関青年政策推進実績評価」で優秀機関に選定された。
青年向け政策の発掘、情報提供プラットフォームの運営、国際農業技術事業を通じて青年農業者の能力強化と成果創出に貢献している。
スマート農業の専門家育成を含む多様なプログラムを通じて、農業や農村に根付いた青年の生活を支援している。
中文
农村振兴厅在国务协调室进行的“2024年度中央行政机构青年政策推进绩效评估”中被评为优秀机构。
通过定制化政策的开发、信息平台的运营以及国际农业技术项目,他们致力于增强青年农业从业者的能力并推动成果产出。
通过培养智能农业专家等多种项目,支持扎根于农业和农村领域的年轻人生活。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è stata riconosciuta come istituzione eccellente nella valutazione delle politiche giovanili del 2024 condotta dall’Ufficio di Coordinamento Governativo.
Attraverso politiche su misura, gestione della piattaforma informativa e progetti di tecnologia agricola internazionale, hanno contribuito a potenziare le capacità e i risultati dei giovani agricoltori.
Programmi come la formazione di esperti in agricoltura intelligente mirano a supportare la vita dei giovani radicati nell’agricoltura e nelle aree rurali.
[고용노동부](참고) 폭염·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전국 고용노동관서장 현장 속으로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권창준 차관 주재로 전국 48개 지방고용노동관서와 함께 폭염 및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긴급 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온열질환 예방 상황 점검 후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5대 기본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eld an emergency nationwide meeting with 48 local offices, led by Vice Minister Kwon Chang-jun, to prevent heat waves and serious incidents.
The meeting was urgently convened following an inspection of heat illness prevention measures, emphasizing adherence to five basic safety rule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クォン・チャンジュン次官主催で全国48か所の地方労働事務所とともに、猛暑および重大災害防止のための緊急会議を開催した。
この会議は、熱中症予防状況の点検後、迅速に対応するために開催され、5つの基本ルールの順守が強調された。
中文
韩国雇佣劳动部由权昌埈次官主持,与全国48个地方就业劳动机构一同召开了预防高温和重大灾害的紧急会议。
此次会议在检查了防止中暑措施后紧急举行,并强调遵守五大基本安全准则。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e Politiche Sociali ha tenuto una riunione nazionale urgente con 48 uffici locali, guidata dal Vice Ministro Kwon Chang-jun, per prevenire ondate di calore e gravi incidenti.
L’incontro è stato convocato d’urgenza dopo un’ispezione delle misure di prevenzione dei colpi di calore, sottolineando l’importanza del rispetto di cinque regole di sicurezza di base.
[농촌진흥청]’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안동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공동 연수회’를 개최해 자원의 산업적 활용과 전략적 다각화를 논의했다.
올해는 학술 연구기관과 민간 산업기관이 협력하여 자원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미생물 산업화 기반 조성에 힘을 기울였다.
Englis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osted the ‘2025 Agricultural Microbial Resources Workshop’ in Andong starting July 3 to discuss strategies for industrial application and diversification.
This year’s session emphasized collaboration between academic institu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strengthen resource management and accelerate microbial industrialization.
日本語
農村振興庁は7月3日から安東で「2025農業微生物資源共同研修会」を開催し、資源の産業的活用と戦略的多様化を議論しました。
今年は学術研究機関と民間産業機関が連携し、資源管理体制を強化し微生物産業化の基盤作りに尽力しました。
中文
农业振兴厅于7月3日起在安东举办“2025 农业微生物资源共同研讨会”,探讨资源的产业化应用和战略多样化。
今年的会议重点是学术研究机构与民间产业机构的合作,以强化资源管理体系并加速微生物产业化基础建设。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ha ospitato ad Andong, dal 3 luglio, il workshop ‘2025 Risorse Microbiche Agricole’ per discutere l’uso industriale e la diversificazione strategica delle risorse.
Quest’anno, si è sottolineata la collaborazione tra istituzioni accademiche e organizzazioni private per rafforzare la gestione delle risorse e accelerare la base dell’industrializzazione microbica.
[조달청]조달청 시설공사 주간(‘25.7.7.~’25.7.11.)입찰 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이번 주에 총 52건, 4,297억 원 규모의 공사입찰을 집행할 예정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서 진행되는 킨텍스 앵커호텔 건립사업이 있으며, 이는 지하 1층에서 지상 20층 이하 규모로 진행된다.
전체 공사 중 54%는 지역업체가 수주할 것으로 보이며, 주요 계약 방법으로는 적격심사, 일괄입찰, 그리고 종합평가가 사용될 예정이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lans to execute a total of 52 construction bids worth 429.7 billion KRW this week.
The major project is the construction of the KINTEX Anchor Hotel in Goyang, Gyeonggi Province, which will be a 20-story building.
About 54% of the total projects are expected to be awarded to local companies, with main contract methods including qualification screening, comprehensive bidding, and integrated evaluation.
日本語
調達庁は今週、総52件、4,297億ウォン規模の工事入札を実施する予定だ。
主要事業としては、京畿道高陽市で進行される「キンテックスアンカーホテル建設事業」があり、地下1階から地上20階以下規模の建物が建設される。
全体工事の約54%は地域企業が受注する見込みであり、主な契約方式は適格審査、一括入札、総合評価が用いられる予定だ。
中文
韩国政府采购局计划在本周执行共52项、总计4297亿韩元规模的工程招标。
主要项目包括在京畿道高阳市举行的“KINTEX Anchor酒店建设项目”,该项目预计为地下一层、地上20层的建筑。
预计54%的总工程将由本地企业中标,主要合同方式包括资格审查、整体招标和综合评估。
Italiano
La Pubblica Amministrazione coreana prevede di gestire questa settimana 52 appalti di costruzione per un valore totale di 429,7 miliardi di KRW.
Il progetto principale è la costruzione del KINTEX Anchor Hotel a Goyang, nella provincia di Gyeonggi, che sarà un edificio di 20 piani.
Si prevede che il 54% dei progetti totali sarà assegnato alle aziende locali, con metodi di contratto principali che includono valutazioni di idoneità, appalti integrati e valutazioni complessive.
[농촌진흥청]농업유전자원 7,000자원 ‘백두대간’에 안전중복보존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에 보리, 돌콩 등 92작물에 걸친 7,000개 농업유전자원을 기탁했다고 밝혔다.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는 국가 비상사태에 대비해 농업유전자원을 영구 보존하는 시설로, 농촌진흥청은 총 18만 7,000자원을 중복 보존 중이다.
이 기관은 세계 5위 규모의 농업유전자원을 보유하며 식량 주권과 미래 대비를 위해 4중복 보존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deposited 7,000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including barley and wild soybean, from 92 crops into the Baekdudaegan Global Seed Vault.
The vault, located in Bonghwa, aims to permanently preserve genetic resources for national emergencies, with a total of 187,000 resources now being securely duplicated there.
As the world’s fifth-largest holder of agricultural plant genetic resources, the agency employs a four-tier preservation system to safeguard food sovereignty and prepare for future challenge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大麦や野生の大豆を含む92種作物の7,000の農業遺伝資源を白頭大幹グローバルシードボルトに寄託したと発表しました。
この施設は国家の非常事態に備えて遺伝資源を永久保存する目的で設置されており、現在までに18万7,000の資源が重複保存されています。
同庁は世界第5位の農業遺伝資源の保有機関であり、食料主権と未来への備えを目的に4重保存システムを運用しています。
中文
农村振兴厅宣布已向白头大干全球种子库捐赠了包括大麦和野生大豆在内的92种作物的7,000个农业遗传资源。
该设施旨在为国家紧急情况永久保存遗传资源,目前已安全保存18.7万个资源。
作为全球第五大农业植物遗传资源保有机构,该厅通过四重保存体系守护粮食主权并为未来做准备。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Agricolo ha depositato 7.000 risorse genetiche agricole, tra cui orzo e soia selvatica, da un totale di 92 colture nella Baekdudaegan Global Seed Vault.
Il deposito, situato a Bonghwa, è progettato per preservare in modo permanente risorse genetiche per affrontare emergenze nazionali, con un totale di 187.000 risorse ora conservate in sicurezza.
Come il quinto maggiore detentore al mondo di risorse genetiche delle piante agricole, l’agenzia gestisce un sistema di conservazione a quattro livelli per tutelare la sovranità alimentare e prepararsi alle sfide future.
[기상청][2025년 6월 기후특성] 6월 폭염·열대야 기승, 평균기온 역대 최고, 이른 장마 시작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6월은 평균기온 22.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폭염과 열대야가 잦았습니다.
강수량도 평년 대비 126.6% 많아졌으며, 장마는 평년보다 3~7일 빠르게 시작되었습니다.
기상청은 여름철 무더위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해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습니다.
English
June 2025 recorded the highest-ever average temperature of 22.9℃, with frequent heatwaves and tropical nights.
Rainfall exceeded the average by 126.6%, and the monsoon season began 3–7 days earlier than usual.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urged thorough preparation to prevent damages from summer heat and localized heavy rains.
日本語
2025年6月は平均気温が22.9℃と歴代最高を記録し、猛暑や熱帯夜が頻発しました。
降水量も平年比126.6%と多く、梅雨入りは平年より3~7日早く始まりました。
気象庁は、夏の暑さや集中豪雨による被害防止のため準備を徹底するよう呼びかけました。
中文
2025年6月的平均气温达到22.9℃,创下历史最高纪录,并伴随频繁的酷暑和热带夜现象。
降水量比平均值高出126.6%,而梅雨季节比往常提前了3至7天开始。
气象厅呼吁人们做好充分准备,以避免夏季高温和局地暴雨带来的损失。
Italiano
Giugno 2025 ha registrato una temperatura media record di 22,9℃, con frequenti ondate di calore e notti tropicali.
Le precipitazioni sono state superiori alla media del 126,6%, e la stagione dei monsoni è iniziata 3-7 giorni prima del solito.
L’Agenzia Meteorologica Coreana ha esortato a prepararsi adeguatamente per prevenire danni dovuti al caldo estivo e alle piogge torrenziali locali.
[소방청]이른 폭염에 장기화 예상, 전국 화재위험경보 ‘경계’ 발령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은 이른 폭염 지속으로 화재 위험이 높아지자 7월 4일 전국에 화재위험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최근 5년간 여름철 발생한 화재 중 약 22.5%가 전기적 요인과 연관되었으며, 주로 냉방기기 과다 사용과 노후 전기설비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소방청은 전기화재 예방을 위해 국민 안내 및 노후 공동주택 관리 등을 포함한 4가지 대응 조치를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다.
English
The National Fire Agency issued a nationwide Fire Risk Alert at the ‘warning’ level on July 4 due to rising fire risks amid early and intense heatwaves.
Over the past 5 years, approximately 22.5% of summer fires were linked to electrical causes, with increased use of cooling devices and aging electrical systems identified as major factors.
The agency announced 4 immediate response measures, including public notices and strengthened management of aging residential complexes, to prevent electrical fires.
日本語
消防庁は、早い猛暑の継続により火災リスクが高まっているため、7月4日に全国で火災危険警報「警戒」段階を発令した。
過去5年間の夏季火災の約22.5%が電気的要因に関連しており、主に冷房機器の使用過多と老朽化した電気設備が主な原因に挙げられている。
消防庁は、電気火災防止のため、国民への案内や老朽化集合住宅の管理強化を含む4つの対策を直ちに実施すると発表した。
中文
由于高温天气持续,火灾风险上升,消防厅于7月4日发布全国性火灾风险警报“警戒”级别。
过去五年中,约22.5%的夏季火灾与电气原因有关,主要原因是制冷设备使用过多和老化电气设备。
为防止电气火灾,消防厅立即采取了包括公众宣传与老旧住宅管理在内的四项应对措施。
Italiano
L’Agenzia Nazionale dei Vigili del Fuoco ha emesso il 4 luglio un allarme nazionale di rischio incendio al livello di ‘attenzione’ a causa delle ondate di calore anticipate e persistenti.
Negli ultimi 5 anni, circa il 22,5% degli incendi estivi è stato collegato a cause elettriche, con l’uso eccessivo di dispositivi di raffreddamento e impianti elettrici obsoleti indicati come fattori principali.
Per prevenire incendi elettrici, l’agenzia ha annunciato 4 misure immediate, tra cui avvisi al pubblico e una gestione rafforzata dei complessi residenziali obsoleti.
[행정안전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부산 기장군 아파트 화재 현장 방문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부산 기장군 아파트 화재 현장을 방문했다.
그는 관계기관과 함께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English
Kim Kwang-yong, Director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Headquarters, visited the scene of the apartment fire in Busan’s Gijang County.
He discussed measures with related agencies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prevent recurrence.
日本語
行政安全部のキム・グァンヨン災害安全管理本部長が釜山機張郡のマンション火災現場を訪問した。
彼は関係機関とともに事故原因の調査と再発防止対策を議論した。
中文
韩国行政安全部灾害安全管理本部长金光容访问了釜山机张郡的公寓火灾现场。
他与相关机构一起商讨了事故原因调查以及防止再次发生的措施。
Italiano
Kim Kwang-yong, direttore della gestione della sicurezza dei disastri del Ministero dell’Amministrazione Interna, ha visitato il luogo dell’incendio di un appartamento a Gijang, Busan.
Ha discusso con le agenzie competenti per indagare sulle cause e introdurre misure di prevenzione.
[기획재정부]기획재정부, 보고서 작성 효율화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기획재정부는 보고서 작성 효율화를 위해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배포했습니다.
세부 사항은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n automated program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port writing.
Detailed information is available in the attached file.
日本語
企画財政部は報告書作成の効率化のため、自動化プログラムを開発し配布しました。
詳細は添付ファイルをご確認ください。
中文
企划财政部开发并分发了一款自动化程序,以提高报告撰写的效率。
详细信息请参考附件。
Italiano
Il Ministe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ha sviluppato e distribuito un programma automatizzato per migliorare l’efficienza nella redazione dei rapporti.
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l file allegato.
[산림청]국립수목원 ‘우리의 정원식물’, 7월은 가을을 준비하는 황금빛 국화, ‘감국’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7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가을에 황금빛 꽃을 피우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감국을 선정했다.
감국은 강한 생명력과 생태적 기능을 지닌 식물로,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심어 관리하며 정원의 경관을 풍성하게 할 수 있다.
English
Korea National Arboretum has chosen Chrysanthemum indicum,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that blooms golden flowers in autumn, as the “Garden Plant of the Month” for July.
This sturdy plant thrives in sunny environments and enhances garden aesthetics, while also serving ecological functions by attracting insects.
日本語
森林庁国立樹木園は、7月の「私たちの庭の植物」として秋に黄金色の花を咲かせる多年草であるカンコクを選定した。
カンコクは生命力が強く、日当たりの良い場所で育てることで、庭の景観を豊かにし、昆虫を引き寄せる生態的機能を持っている。
中文
韩国森林厅国家树木园将“感菊”选为7月的“我们庭园植物”,它是一种多年生草本植物,秋季开出金黄色花朵。
感菊生命力强,可在阳光充足的环境中生长,同时增强庭园美感并吸引昆虫,具备生态功能。
Italiano
Il Korea National Arboretum ha selezionato il Chrysanthemum indicum, una pianta perenne che fiorisce in autunno con fiori dorati, come “Pianta del mese del nostro giardino” di luglio.
Questa pianta robusta prospera in ambienti soleggiati, migliorando l’estetica dei giardini e attirando insetti con funzioni ecologiche.
[조달청]해외조달시장 개척, 이젠 청년 전문가에게 맡겨라!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7월 7일부터 31일까지 4주간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교육은 이론 및 실무형 실습으로 구성되며, 대면교육으로 전환하여 몰입도를 강화하고, 채용상담회를 통해 청년 취업 기회를 제공한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will run a four-week training program from July 7 to 31 to cultivate specialists for entering the international procurement market.
The program inclu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and has transitioned to in-person classes to increase focus, coupled with job matching sessions to aid youth employment.
日本語
調達庁は海外調達市場への進出のための専門人材育成を目的に、7月7日から31日までの4週間の教育プログラムを実施する。
教育は理論と実務的な演習で構成され、対面型教育に切り替え集中度を向上させ、採用相談会を通じて若者の就職機会を提供する。
中文
韩国公共采购厅将于7月7日至31日开展为期四周的培训课程,旨在培养进入国际采购市场的专业人才。
课程包括理论和实践培训,并改为面对面授课以提升专注力,同时举办招聘咨询会为青年提供就业机会。
Italiano
L’Agenzia per gli Appalti Pubblici condurrà un programma di formazione di quattro settimane dal 7 al 31 luglio per formare specialisti destinati al mercato internazionale degli appalti.
Il corso include formazione teorica e pratica, è stato convertito in lezioni in presenza per migliorare la concentrazione e offre opportunità di lavoro per i giovani tramite incontri di consultazione.
[산업통상자원부]소비자와 함께하는 제품안전정책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소비자단체와 간담회를 열고, 제품안전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간담회에서는 2025년 제품안전 정책 방향과 AI 기술 활용 정책, 국제표준 부합화 등이 발표되었으며, 소비자단체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제품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English
The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held a meeting with consumer organiza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safety policies.
Discussions included plans for 2025 policies, using AI in product safety, and aligning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with inputs from consumer groups.
The KATS emphasized its commitment to creating a reliable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日本語
韓国産業通商資源部国家技術標準院は、消費者団体との懇談会を開催し、製品安全政策の実効性向上に向けた議論を行った。
2025年の政策方向、AI技術の活用、国際標準の適合などを発表し、消費者団体の意見を積極的に反映する方針が示された。
国家技術標準院は、安全な製品管理体制の構築への取り組みを強調した。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国家技术标准院与消费者团体召开了座谈会,讨论提升产品安全政策效果。
会议介绍了2025年政策方向、AI技术应用以及国际标准的协调,并表示将积极采纳消费者团体的意见。
国家技术标准院强调,将致力于建立让公众安心的产品安全管理体系。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Industria ed Energia della Corea ha organizzato un incontro con le organizzazioni dei consumatori per migliorare l’efficacia delle politiche di sicurezza dei prodotti.
Sono stati presentati i piani per le politiche del 2025, l’uso dell’IA e l’allineamento agli standard internazionali, includendo i contributi dei gruppi di consumatori.
L’Agenzia ha sottolineato il suo impegno a creare un sistema di gestione della sicurezza dei prodotti che ispiri fiducia ai cittadini.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혁신제품 사전상담, 제품화 물길 텄다
요약보기
한국어
혁신제품 사전상담 제도를 통해 기업들이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제도 도입 이후 여러 기업들이 신기술을 제품화하는 데 성공했으며, 시장 진입이 용이해졌다.
English
The Pre-Consultation Program for Innovative Products now allows companies to receive guidance during the early stages of product development.
Since its introduction, many companies have successfully commercialized new technologies, facilitating easier market entry.
日本語
革新的な製品に関する事前相談制度により、企業は製品開発初期段階で助言を受けられるようになった。
制度導入以降、多くの企業が新技術の製品化に成功し、市場参入が容易になった。
中文
通过创新产品的事前咨询制度,企业现可在产品开发初期阶段获取指导。
该制度推行后,许多企业成功将新技术产品化,市场进入更加便捷。
Italiano
Il programma di consulenza preventiva per i prodotti innovativi consente ora alle aziende di ricevere supporto nelle prime fasi dello sviluppo del prodotto.
Dall’introduzione del programma, molte aziende sono riuscite a trasformare le nuove tecnologie in prodotti, facilitandone l’ingresso nel mercato.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약학대학 재학생 대상 공직 체험 프로그램’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식약처는 약학대학 재학생들을 위한 공직 체험 프로그램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공직자로서의 업무 경험을 제공하고 진로 탐색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the launch of a public service experience program for pharmacy students.
This initiative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work experience as public officials and broaden their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식약처)は、薬学部の学生を対象とした公職体験プログラム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プログラムは、学生に公務員としての業務経験を提供し、進路探索の機会を広げ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中文
韩国食品医药品安全处宣布,将为药学专业在校生举办公职体验项目。
该项目旨在为学生提供公职工作的实践机会,同时扩大职业探索的可能性。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 annunciato un programma di esperienza di servizio pubblico per gli studenti di farmacia.
L’iniziativa mira a fornire agli studenti un’esperienza lavorativa come funzionari pubblici e ad ampliare le opportunità di esplorazione professionale.
[방송통신위원회]세상을 바꾸는 ‘위치기반서비스’ 모집
요약보기
한국어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위치정보 기반 새싹기업(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공모전과 성장촉진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이번 공모전은 청년, 예비 창업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화 지원을 통해 위치기반서비스 분야의 성장을 촉진한다.
English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have launched a competition and growth acceleration program to support location-based startups.
The initiative targets youth, aspiring entrepreneurs, and SMEs, aiming to discover innovative ideas and advance business models within the location-based service sector.
日本語
韓国放送通信委員会と韓国インターネット振興院は、位置情報を基盤としたスタートアップ支援のためにコンテストと成長促進プログラムを開始しました。
この取り組みは、若者、起業志望者、中小企業を対象に、創造的なアイデアの発掘と事業モデルの強化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韩国广播通信委员会与韩国互联网振兴院启动了针对位置信息初创企业的比赛及成长促进计划。
该计划旨在发现创新创意,并助力青年、初创业者及中小企业在定位服务领域的发展。
Italiano
La Commissione per le comunicazioni della Corea e l’Agenzia coreana per la sicurezza di Internet hanno lanciato un concorso e un programma di accelerazione per sostenere le startup basate su servizi di geolocalizzazione.
L’iniziativa mira ai giovani, agli aspiranti imprenditori e alle PMI per scoprire idee innovative e potenziare modelli di business nel settore dei servizi basati sulla localizzazione.
[환경부](참고) 환경부, 인천 계양산 러브버그 현장수습 총력 지원으로 국민불편 최소화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인천 계양산에서 대량 발생한 외래종 곤충인 ‘러브버그’에 대응하기 위해 37명의 인력을 투입하고 방제 장비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또한 AI를 활용한 예측 및 방제 기술 개발과 법정 관리종 지정을 포함한 제도적 관리 방안을 준비하며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곤충 대발생 가능성에 대한 대응 체계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ployed 37 personnel and provided control equipment to address the large-scale outbreak of an alien insect species called ‘Lovebug’ in Gyeyang Mountain, Incheon.
They are developing long-term strategies such as AI-based forecasting and pest control technologies, as well as institutional management measures, including designating legally controlled species.
Plans are also underway to strengthen response systems to the potential ecological changes and insect outbreaks caused by climate change.
日本語
環境部は、仁川市の桂陽山で大量発生した外来種昆虫「ラブバグ」への対応として37名の人員を投入し、駆除装備を支援したと発表しました。
また、AIを活用した予測および防除技術の開発や法定管理種の指定を含む制度的管理策を準備し、中長期的な対策を進めています。
気候変動による生態系変化や昆虫大量発生の可能性に対応するための体制強化も計画されています。
中文
环境部宣布已向仁川桂阳山部署37名人员,并提供防治设备,以应对大规模爆发的外来昆虫“爱情虫”。
同时,正在制定包括利用人工智能的预测与防治技术开发和法律管理物种指定在内的制度性管理措施,并规划中长期对策。
还计划加强应对气候变化引发的生态系统变化和昆虫爆发可能性的应对体系。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inviato 37 operatori e fornito attrezzature per affrontare la massiccia infestazione dell’insetto alieno noto come “Lovebug” sul Monte Gyeyang di Incheon.
Sono in corso lo sviluppo di strategie a lungo termine, come le tecnologie di previsione e controllo basate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e misure di gestione istituzionale, inclusa la designazione di specie sottoposte a controlli legali.
Si prevede inoltre di rafforzare i sistemi di risposta ai potenziali cambiamenti ecologici e alle infestazioni di insetti causati dal cambiamento climatico.
[방송통신위원회]’성 착취물’ 등 불법 촬영물 18만 건 삭제·차단
요약보기
한국어
지난해 국내외 인터넷 사업자들이 불법 촬영물 18만 건을 삭제하거나 차단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불법 촬영물 처리에 관한 투명성 보고서’를 공개하며 사업자들의 유통방지 노력을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다.
English
Last year, major internet operators removed or blocked 180,000 cases of illegal recordings, marking more than twice the number from the previous year.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released a transparency report detailing efforts by businesses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such materials.
They plan to continue education and inspections to prevent further digital sex crimes.
日本語
昨年、国内外のインターネット事業者が18万件の違法撮影物を削除または遮断し、前年の2倍以上に増加したことが確認された。
放送通信委員会はこれを含む「違法撮影物処理の透明性報告書」を公開し、事業者の流通防止努力を強調した。
さらにデジタル性犯罪予防のための教育や点検を継続的に実施する予定である。
中文
去年,国内外互联网企业共删除或屏蔽了18万件非法拍摄内容,比上一年增长了两倍以上。
韩国广播通信委员会发布了透明度报告,强调企业在阻止此类内容传播方面所做的努力。
他们计划继续通过教育与检查来减少数字性犯罪的发生。
Italiano
L’anno scorso, i principali operatori di internet hanno rimosso o bloccato 180.000 contenuti illegali, con un aumento di oltre il doppio rispetto all’anno precedente.
La Commissione per le Comunicazioni Coreana ha pubblicato un rapporto sulla trasparenza che evidenzia l’impegno delle aziende per prevenire la distribuzione di tali materiali.
È previsto il proseguimento di formazione e verifiche per prevenire ulteriori crimini sessuali digitali.
[방송통신위원회]’민생회복지원금’ 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요약보기
한국어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안내를 가장해 유료 부가서비스 가입을 유도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검색된 블로그 글에서 신청 버튼을 누르면, 휴대폰 인증 등 본인 확인을 유도하며 유료 서비스 페이지로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통위는 이를 법 위반 가능성이 높은 기만적 광고행위로 판단하고 즉각적인 광고 중단을 요구하며, 추후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English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has warned users about recent fraudulent acts disguising as “living recovery support fund” application guides to lure users into subscribing to paid services.
Blog posts titled “Living Recovery Support Fund Guide,” when clicked, redirect users to paid service subscription pages after requesting mobile verification under the pretext of identity confirmation.
The KCC considers this deceptive advertising behavior to potentially violate telecommunications law and has called for the immediate cessation of such ads, with investigations planned if the practice continues.
日本語
韓国放送通信委員会は、最近「生活回復支援金」の申請案内を装い、有料付加サービスへの加入を誘導する事例が確認され、利用者に注意を呼びかけた。
ブログ記事の申請リンクをクリックすると、本人確認を装って携帯番号認証を要求し、有料サービスページに誘導されるケースが確認された。
放送通信委員会は、これを電気通信事業法違反の可能性が高い欺瞞的な広告行為と判断し、直ちに広告停止を要求し、継続する場合は調査を開始する予定であると発表した。
中文
韩国广播通信委员会警告近期冒用“生活恢复支援金”申请指南名义诱导用户订阅付费增值服务的案例正在增多,提醒用户警惕。
搜索相关博客文章并点击申请按钮后,会要求输入手机号进行认证,最终跳转至付费服务页面,而非实际的支援金申请程序。
广播通信委员会认为此类欺诈性广告行为可能违反电信法,并已要求广告立即停止,若持续,将对其展开调查。
Italiano
La Commissione Coreana delle Comunicazioni ha avvertito gli utenti riguardo a recenti casi di frode che, fingendo di essere guide per la richiesta dei “fondi di recupero”, cercano di abbonare gli utenti a servizi a pagamento.
Dopo aver cliccato sui link nei post dei blog, gli utenti vengono indirizzati a pagine di iscrizione a servizi a pagamento, mascherati da processi di verifica dell’identità.
La Commissione ha dichiarato che questo comportamento pubblicitario ingannevole potrebbe violare la legge delle telecomunicazioni e ha richiesto l’immediata interruzione degli annunci, con indagini previste in caso di persistenza.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제14차 인구비상대책 회의 개최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확정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저출생 대응을 위해 2025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88.5조 원의 예산을 중앙정부 차원의 300개 과제와 지방정부 차원의 6,741개 사업에 투입한다.
성과 중심 정책 운영 체계를 강화하며, 다양한 지표를 통해 정책 효과성을 평가하고 향후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제5차 계획에서는 출산율 외에도 건강수명, 노인빈곤율 등 인구구조의 질적 지표를 성과 목표로 설정할 예정이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finalized the 2025 implementation plan to address low birth rates, allocating 88.5 trillion KRW across 300 central government projects and 6,741 local initiatives.
A performance-based policy framework will be strengthened to assess effectiveness using various indicators and incorporate findings into future projects.
The fifth plan will expand beyond birth rates, setting qualitative goals such as healthy lifespan and elderly poverty rates.
日本語
政府は出生率低下対策として2025年度施行計画を確定し、中央政府の300事業と地方自治体の6,741事業に合計88.5兆ウォンを割り当てた。
成果基盤の政策運営体系を強化し、多様な指標を通じて政策の効果を評価し、これを今後の事業に反映する予定だ。
第5次計画では、出生率以外にも健康寿命や高齢者貧困率など人口構造の質的指標を成果目標として設定する方針である。
中文
政府已确定2025年应对低出生率的实施计划,总预算为88.5万亿韩元,涵盖中央政府300个项目和地方政府6,741项业务。
将加强基于绩效的政策运作体系,通过多种指标评估政策效果并将结果纳入未来项目中。
第五次计划将不再仅关注出生率,还将针对健康寿命、老年贫困率等人口结构的质量指标设定成果目标。
Italiano
Il governo ha approvato il piano di attuazione 2025 per far fronte al calo delle nascite, con un budget totale di 88,5 trilioni di KRW distribuito su 300 progetti governativi centrali e 6.741 iniziative locali.
Sarà rafforzato un sistema basato sulle prestazioni per valutare l’efficacia delle politiche mediante vari indicatori e incorporare i risultati nei futuri progetti.
Il quinto piano prevede obiettivi qualitativi per la struttura demografica, come l’aspettativa di vita sana e il tasso di povertà tra gli anziani, oltre al tasso di natalità.
[질병관리청]’글로벌 감염병 대응역량 확보’를 위한 국제연구협력 본격화(7.4.금)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와 국립중앙의료원이 공동으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가 임상시험 네트워크와 인프라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故 이건희 회장 유족의 기부금으로 추진되는 이번 연구사업은 신속한 백신과 치료제 개발, 항생제 내성 극복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행사에서는 국내외 전문가 간 협력이 강조되었으며,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한 연구 방향이 공유되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d the National Medical Center co-hosted an international symposium to discuss building clinical trial networks and infrastructures for infectious disease response.
Funded by the late Lee Kun-hee’s family donation, the initiative aims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nd treatments and address antibiotic resistance.
Experts emphasize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hared strategies for future pandemic preparedness.
日本語
韓国疾病管理庁と国立中央医療院が共催で感染症対応のための臨床試験ネットワークとインフラ構築について議論する国際シンポジウムを開催した。
故イ・ゴンヒ会長の遺族による寄付金で進められるこの研究事業は、迅速なワクチンと治療薬の開発、抗生物質耐性克服を目指している。
会議では国内外の専門家が協力の重要性を強調し、将来のパンデミックに備える研究方向性が共有された。
中文
韩国疾病管理厅与国立中央医疗院联合举办国际研讨会,讨论为应对传染病建立临床试验网络和基础设施的方案。
此研究项目由已故李健熙会长家属捐款推动,旨在迅速开发疫苗和治疗药物,并克服抗生素耐药性问题。
会议中强调了国内外专家间的合作,并分享了未来应对大流行的研究方向。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delle malattie e il Centro Medico Nazionale hanno co-organizzato un simposio internazionale per discutere la creazione di reti di sperimentazione clinica e infrastrutture per la risposta alle malattie infettive.
Il progetto di ricerca, finanziato dalla donazione della famiglia del defunto Lee Kun-hee, mira a sviluppare rapidamente vaccini e trattamenti e affrontare la resistenza agli antibiotici.
Durante l’evento è stata sottolineata la collaborazione internazionale e condivise le strategie per la preparazione alle pandemie future.
[산림청]REDD+ 이행능력 평가 방법, 온두라스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REDD+를 위한 준비 누가 누가 잘하나?』를 발간하며 국가별 REDD+ 이행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REDD+는 개발도상국의 산림 보호와 탄소 배출 저감을 목표로 한 국제감축사업으로, 온두라스 사례를 통해 평가 방법을 상세히 분석했다.
간행물은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 unveiled ‘Who is prepared for REDD+?’ to outline the evaluation methods for REDD+ implementation in countries.
REDD+ focuses on reducing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developing nations, using Honduras as a detailed case study for assessment methods.
The publication is available for free download through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s library website.
日本語
韓国山林庁が「REDD+の準備は誰が一番上手?」を発刊し、各国のREDD+実施能力を評価する方法を紹介した。
REDD+は開発途上国での森林保護と炭素排出削減を目的とした活動で、ホンジュラスの事例が詳細に分析された。
資料は国立森林科学院の図書館ウェブサイトで無料でダウンロード可能です。
中文
韩国林业厅发布了《谁准备好REDD+了?》,介绍了评估国家REDD+执行能力的方法。
REDD+致力于减少发展中国家的森林砍伐和退化,并通过洪都拉斯案例详细分析评估方法。
该资料可通过国家森林科学研究院图书馆网站免费下载。
Italiano
Il Servizio forestale coreano ha pubblicato “Chi è pronto per il REDD+?”, presentando i metodi per valutare le capacità di attuazione del REDD+ nei paesi.
Il REDD+ mira a ridurre la deforestazione e il degrado forestale nei paesi in via di sviluppo, con un caso studio dettagliato sull’Honduras.
La pubblicazione è disponibile per il download gratuito sul sito della biblioteca dell’Istituto Nazionale di Scienze Forestali.
[문화체육관광부]희망, 열정, 그리고 도전, ‘2025 휠체어농구리그’ 개막
요약보기
한국어
2025 휠체어농구리그가 희망과 열정을 주제로 개막했습니다.
이번 리그는 장애인 스포츠의 중요성을 알리고, 포용적인 사회를 위한 메시지를 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English
The 2025 Wheelchair Basketball League has opened with the theme of hope and passion.
This leagu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rasports and promotes messages of inclusivity in society.
日本語
2025年の車いすバスケットボールリーグが希望と情熱をテーマに開幕しました。
このリーグは、障がい者スポーツの重要性を伝え、包摂的な社会へのメッセージを発信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中文
2025年轮椅篮球联赛以希望与热情为主题正式开幕。
本次联赛旨在强调残疾人体育的重要性,并推广包容社会的理念。
Italiano
La Lega di Basket in Carrozzina 2025 è stata inaugurata con il tema della speranza e della passione.
Questa lega punta a sottolineare l’importanza dello sport per disabili e a promuovere un messaggio di inclusività nella società.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원이 없는 도시와 국가에서도 ‘케이-컬처’로 어울려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문화원이 없는 지역에서도 한국문화를 즐길 수 있는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이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케이-컬처를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English
The ‘Harmony Korean Culture Festival’ will be held, allowing people to enjoy Korean culture even in areas without Korean Cultural Centers.
This event aims to share the expanding K-culture with a wider global audience.
日本語
韓国文化院がない地域でも韓国文化を楽しめる「ハーモニー韓国文化フェスティバル」が開催されます。
このイベントは世界的に広がっているKカルチャーをさらに多くの人々と共有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中文
即使在没有韩国文化院的地区,也将举办“和谐韩国文化节”活动,让人们享受韩国文化。
本次活动旨在与全球更多的人分享日益扩展的韩流文化。
Italiano
Il ‘Festival della Cultura Coreana Armonia’ si terrà per permettere alle persone di godere della cultura coreana anche nelle aree prive di Istituti Culturali Coreani.
L’evento ha l’obiettivo di condividere la cultura coreana in espansione con un pubblico globale più ampio.
[외교부]김진아 외교부 2차관, 제4차 개발재원총회(6.30.-7.3.) 참석 결과
요약보기
한국어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은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4차 개발재원총회에 참석하여, 국제사회의 다양한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 차관은 한국의 발전 경험을 공유하며 국제적인 개발협력과 파트너십 강화를 강조했으며, 주요 국제기구 및 인사들과 면담을 통해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회의는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에 대한 한국의 기여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English
Deputy Minister Kim Jin-ah attended the 4th Conference on Development Financing in Seville, Spain, to discuss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ddressing global challenges.
She highlighted South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partnerships, and met with key representatives of global organizations to explore collaboration.
The conference reaffirmed South Korea’s commitment to contribut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日本語
金ジナ外交部第2次官は、スペイン・セビリアで開催された第4回開発資金会議に出席し、国際社会の課題解決に向けた協力案を議論した。
金次官は韓国の発展経験を共有し、国際的な開発協力およびパートナーシップの強化を強調し、主要国際機関の関係者とも面会して協力案を模索した。
今回の会議は、2030年持続可能な開発目標(SDGs)達成への韓国の貢献意思を再確認する機会となった。
中文
韩国外交部第二次官金珍雅出席了在西班牙塞维利亚举行的第四届开发融资大会,与会各方讨论了应对国际社会挑战的合作方案。
金次官分享了韩国的发展经验,强调了国际开发合作及伙伴关系的重要性,并与主要国际机构负责人会面探讨合作方向。
此次会议重申了韩国对实现2030年可持续发展目标(SDGs)的贡献决心。
Italiano
La Vice Ministra degli Esteri Kim Jin-ah ha partecipato alla 4ª Conferenza sui Finanziamenti per lo Sviluppo a Siviglia, in Spagna, per discutere le modalità di collaborazione internazionale per affrontare le sfide globali.
Ha condiviso l’esperienza di sviluppo della Corea del Sud, sottolineato l’importanza della cooperazione e dei partenariati internazionali, e incontrato rappresentanti di organizzazioni globali per esaminare nuove opportunità di collaborazione.
La conferenza ha riaffermato l’impegno della Corea del Sud nel contribuire al raggiungimento degli Obiettivi di Sviluppo Sostenibile 2030 (SDGs).
[환경부]환경 정보로 탄소중립 실현…2025 환경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 시상식 열려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가 주최한 ‘2025 환경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에서 총 341팀 중 1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최종 대상은 각 부문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제안한 팀들이 수상했습니다.
환경부는 수상팀에 대해 창업 지원 및 사업화 혜택을 제공하며, 앞으로도 환경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sted the “2025 Environmental Data Utilization and Analysis Contest,” where 18 teams advanced to the finals out of 341 participants, and top honors were awarded to teams presenting innovative ideas and technologies.
The ministry plans to support award-winning teams with business and startup incentives while promoting broader collaboration for environmental data utilization.
日本語
環境部が主催した「2025年環境データ活用・分析コンテスト」では、341チーム中18チームが決勝に進出し、革新的なアイデアや技術を提案したチームが最優秀賞を受賞しました。
環境部は受賞したチームに起業支援や事業化特典を提供し、環境データの活用促進に向けた協力エコシステムを構築する予定です。
中文
环境部主办的“2025年环境数据应用与分析竞赛”共有341支队伍参赛,18支队伍进入决赛,最终奖项授予了提出创新性想法和技术的团队。
环境部计划为获奖团队提供创业支持和商业化优惠,并将致力于建立促进环境数据利用的合作生态系统。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organizzato il “Concorso sull’utilizzo e l’analisi dei dati ambientali 2025”, dove 18 squadre sono arrivate in finale su 341 partecipanti, e i premi più importanti sono stati assegnati a squadre che hanno proposto idee e tecnologie innovative.
Il ministero prevede di supportare i vincitori con incentivi per start-up e imprese, promuovendo allo stesso tempo una collaborazione più ampia sull’uso dei dati ambientali.
[국토교통부]도로 공사현장, ‘알기 쉬운 매뉴얼’로 근로자 안전 강화
요약보기
한국어
도로 공사현장에서 근로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알기 쉬운 매뉴얼’이 도입됩니다.
이 매뉴얼은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관련 상세 내용은 첨부된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o enhance worker safety at road construction sites, an ‘easy-to-understand manual’ is being introduced.
The manual offers guidelines to reduce potential risks during work processes.
Further details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materials.
日本語
道路工事現場での労働者の安全を強化するため、「分かりやすいマニュアル」が導入されます。
このマニュアルは、作業中に発生する可能性のある危険要素を減らすためのガイドラインを提供します。
詳細は添付資料をご覧ください。
中文
为加强道路施工现场工人的安全,正在推广“易懂手册”。
该手册提供了减少工作过程中潜在风险的指导方针。
详细信息请参考附件资料。
Italiano
Per migliorare la sicurezza dei lavoratori nei cantieri stradali, viene introdotto un ‘manuale di facile comprensione’.
Il manuale fornisce linee guida per ridurre i potenziali rischi durante le fasi di lavoro.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i materiali allegati.
[산업통상자원부](참고자료)미국 관세유예 시한 임박, 對美 협상 총력 대응 전략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본부장은 제48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미측 관세유예 시한과 관련된 대응 전략을 점검하였다.
그는 유예기간 종료 이후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염두에 두며 정부가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회 보고를 진행하고 협상 전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English
Yeo Han-gu, Head of Trade Negotiation, held the 48th Trade Promotion Committee to review strategic responses to the upcoming U.S. tariff exemption deadline.
He emphasized the government’s comprehensive response to potential additional tariffs after the exemption period ends.
Going forward, the government plans to report the results of the meeting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intensify negotiation strategies.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のヨ・ハング本部長は第48回通商推進委員会を開催し、米国の関税猶予期限に関する対応戦略を点検しました。
彼は猶予期間終了後の追加関税の可能性を考慮し、政府が積極的に対応すると強調しました。
今後、政府は会議結果を基に国会への報告を行い、交渉戦略を強化する予定です。
中文
韩国产通资源部部长姚汉求召开了第48次通商促进委员会,审查应对即将到来的美国关税豁免截止日期的战略。
他强调,为应对豁免期结束后可能实施的额外关税,政府将采取全面措施。
政府计划基于此次会议结果向国会汇报,并进一步加强谈判策略。
Italiano
Il Direttore Generale Yeo Han-gu ha presieduto il 48° Comitato per la Promozione del Commercio per verificare le strategie di risposta in vista della scadenza dell’esenzione dai dazi statunitensi.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una risposta governativa globale per mitigare l’impatto di eventuali dazi aggiuntivi al termine del periodo di esenzione.
Il governo intende presentare i risultati della riunione al Parlamento e intensificare le strategie di negoziazione.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어린이 과학·전파 문화 확산에 힘 모으기로
발행일: 2025-07-04 01:30
원문보기
**어린이 과학·전파 문화 확산에 힘 모은다**
과학과 전파 기술의 대중화를 꾀하고 어린이들의 흥미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이는 어린이들이 과학과 전파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래의 과학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취지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전시회를 통해 과학의 재미와 전파 기술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최신 기술과 응용 사례를 접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과학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강연과 워크숍도 준비된다. 또한, 초등학교와 과학관, 도서관 등과 연계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어린이들에게 과학 기술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창의력 향상과 더불어 미래 직업 탐색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보도자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자료 제공: [www.korea.kr](http://www.korea.kr)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러브버그’ 활동 7월 초 대부분 종료 전망
발행일: 2025-07-04 01:24
원문보기
### 국립산림과학원, ‘러브버그’ 활동 7월 초 종료 예상
**-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예측 모델 활용**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부식성 파리류로 알려진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의 활동 양상을 분석한 결과, **7월 초 대부분의 활동이 종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분석은 러브버그의 발생 시기와 분포를 예측해 시민 불편을 줄이고자 추진된 것이다.
—
### 러브버그란?
러브버그는 주로 **6~7월**에 활동하며,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찰되는 곤충이다.
– **영향**: 인체나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는 주지 않지만, 대량 발생 시 불빛에 몰리는 특성으로 인해 **일시적인 불편**을 초래한다.
– **생태적 역할**: 꽃가루를 옮기며 생태계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예측 분석 결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는 **시민과학 플랫폼 iNaturalist**의 관찰 데이터와 기상 정보를 결합해 러브버그의 발생 패턴을 분석했다.
– **2023년 활동 특징**:
– 최초 발생일이 예년보다 약 **일주일 늦게** 관찰됨.
– 7월 1일 기준, 활동의 약 **86%**가 종료된 것으로 분석됨.
– **7~10일 이내**,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으로 예상됨.
– **지역 관찰 확장**: 올해는 경기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의 관찰 빈도가 증가했으며, 향후 **분포 지역의 확장 가능성**이 제기됨.
—
### 향후 대응 및 관리 계획
한혜림 산림병해충연구과 과장은 “관계 부처와 협력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시민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러브버그는 인체에 유해하지는 않지만, 높은 밀도의 개체군이 주는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이번 분석은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정책 대응**을 지원하는 데 의의가 있다.
—
자료 제공: [Korea.kr](http://www.korea.kr)
[조달청]조달청, 제1차 민· 관합동 규제혁신위원회 개최
발행일: 2025-07-04 01:20
원문보기
**조달청, 제1차 민관합동 규제혁신위원회 개최: 760개 조달 규정 전수조사 및 개선 방향 논의**
2025년 7월 4일, 조달청이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제1차 민관합동 ‘조달 현장 규제혁신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민간 전문가와 내부 관계자로 구성된 위원회가 조달 규제 혁신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를 하는 자리로, 조달 규정의 전방위적 개선과 규제 리셋을 위한 추진 계획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 **주요 논의 사항: 규제 리셋 및 제도 개선**
1. **규제 리셋 개념**
– **기존 방식**: 현장의 민원을 수렴해 규제를 개선하는 점진적 방식.
– **개선 방식**: 조달청이 주도적으로 모든 규정을 제로베이스(Zero-Base)에서 검토하고 개혁하는 적극적 방식으로 전환.
2. **조달 규정 전수조사**
– 약 **760개의 규정과 지침**을 재검토, 불필요하거나 시대에 맞지 않는 규제를 점검 및 개선.
– 다수공급자계약(MAS), 우수제품, 혁신제품, IT 및 서비스 계약 등 총 **82개 핵심 규정**을 우선 검토 대상으로 선정.
3. **규제 네거티브 방식 전환**
– 기존의 범위 제한적 규제에서 불필요한 사항을 제거해, 규제를 간소화하고 유연성을 제고.
백승보 조달청 차장은 “기업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모든 규정을 원점에서 검토하고, 불합리한 규제는 폐지하겠다”고 언급하며 규제 개혁의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또한,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해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해 민간의 활동을 적극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
—
**문의처**
–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박새라 서기관 (042-724-7185)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산림청]우리동네 도시숲, 모범 인증받고 도시의 품격을 높이세요!
발행일: 2025-07-04 01:14
원문보기
### 우리동네 도시숲, ‘모범 도시숲’ 인증으로 더 푸르고 품격 있게
산림청(청장 임상섭)이 전국의 도시숲 및 마을숲, 경관숲, 학교숲, 가로수 등 다양한 녹색 공간을 대상으로 ‘모범 도시숲’ 인증 신청을 오는 **7월 21일부터 31일까지** 받는다고 발표했습니다.
#### **’모범 도시숲’ 인증제도란?**
이 제도는 도시숲의 **관리 수준 향상**과 **이용자의 만족도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 우수하게 관리된 녹지 공간을 발굴해 ‘모범 도시숲’으로 인증하고 이를 통해 도시의 푸른 생태 환경을 유지하며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신청 대상 및 심사 절차**
– **신청 대상**: 전국의 도시숲, 마을숲, 경관숲, 학교숲, 가로수 등. 단,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이어야 합니다.
– **심사 절차**:
1. **1차 서류심사**: 위치, 규모, 적합성, 안전성 등 검토.
2. **2차 현장심사**: 유지관리, 주민참여, 이용 만족도, 운영 홍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3. 최종 결과는 오는 **10월 중 발표** 예정.
#### **인증 도시숲 현황**
현재까지 인증받은 도시숲은 총 **22개소**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곳들이 포함됩니다.
– **2022년 인증**: 포항 철길숲, 평택 바람길숲, 화개 십리벚꽃길 등 6개소.
– **2023년 인증**: 인천 만수산 무장애 도시숲, 수원 노송숲, 김포 모담공원 등 11개소.
– **2024년 예정**: 서울 올림픽공원, 구미 지산샛강생태공원 등 5개소.
#### **신청 방법과 자세한 내용 확인**
신청 요건 및 세부 내용은 **’모범 도시숲 인증제 누리집(urbanforest.kfca.re.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도시의 품격을 높이다**
산림청 산림보호국 최영태 국장은 이 인증이 주민들의 **도시 자긍심**을 키우는 데 기여하고, 나아가 도시 전체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많은 조성·운영 주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며,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동참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푸른 숲이 주는 여유로움과 자연의 품격을 더한 도시, 당신의 지역도 모범 도시숲으로 인증받아 더 빛나는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봅니다!
[농촌진흥청]농촌진흥청, ‘청년정책 우수기관’ 선정
발행일: 2025-07-04 01:03
원문보기
### 농촌진흥청, 청년정책 추진 평가에서 우수기관 선정
농촌진흥청은 국무조정실이 실시한 ‘2024년도 중앙행정기관 청년정책 추진 실적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번 평가는 46개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청년정책의 성과, 시행계획 이행도, 청년과의 소통과 참여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농촌진흥청은 창농 활성화를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글로벌 농업 인재 양성 등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 발굴·확대와 성과 창출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 주요 추진 정책과 프로그램
#### 1. **똑똑!청년농부 누리집**
농촌진흥청은 청년농업인과 예비 청년농업인을 위한 맞춤형 온라인 플랫폼인 ‘똑똑!청년농부 누리집'(www.rda.go.kr/young)을 운영하고 있다. 2021년 12월 시범운영을 시작한 이 플랫폼은 영농 정착 지원 정보부터 농업 경영 역량 강화,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 및 사례 등을 한곳에서 제공한다. 현재 월평균 방문객 수는 약 1만 3,000명에 달하며, 청년농업인들의 정보 접근성과 활용도를 크게 높였다.
#### 2.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농촌진흥청은 농과계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을 해외 개발도상국 농업 연구기관에 파견하여 국제적 경험과 농업 전문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있다. 파견 연구생들은 현지 맞춤형 농업기술을 개발·전수하며 실무 경험을 쌓고, 세계적 농업 인재로 성장할 기회를 얻는다.
#### 3. **스마트농업 전문가 육성**
농촌진흥청은 스마트농업을 선도할 청년 인재 발굴·육성을 위한 전문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에 필요한 청년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 4. **청년농업인 전문 인력 교육**
청년농업인의 창업 및 사업 관리, 판촉(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해 종합적인 지원과 교육을 진행한다. 해당 정책은 농업 분야에서의 창업과 경영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 농촌진흥청의 향후 계획
농촌진흥청 농촌지원정책과 노형일 과장은 청년농업인의 안정적 정착과 예비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농업과 농촌에 뿌리내린 청년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를 통해 나타난 성과는 농촌진흥청이 청년 맞춤형 정책을 확대하며 농업과 농촌의 미래를 준비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앞으로도 농촌진흥청의 노력은 청년농업인들의 역량 강화와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용노동부](참고) 폭염·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전국 고용노동관서장 현장 속으로
발행일: 2025-07-04 01:03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폭염 및 중대재해 예방 위한 전국 긴급 회의 개최
고용노동부는 7월 4일(금) 오전 9시 30분, 권창준 차관의 주재로 전국 48개 지방고용노동관서가 참여한 긴급 전국 기관장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건설현장의 온열질환 예방 상황을 점검한 권 창준 차관의 지시로 긴급하게 열렸습니다.
### 폭염 속 작업 안전을 위한 주요 권고 사항
고용노동부는 폭염 속 작업장에서의 안전을 위해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작업 중 적절한 휴식을 통해 신체 회복 시간을 마련합니다.
2. **온열질환 발생 시 즉각적 대응**: 위험 징후를 발견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3. 그 외 충분한 수분 섭취, 시원한 작업 환경 조성 등도 강조됩니다.
### 온열질환 및 중대재해 예방, 총력 대응
권 창준 차관은 이번 회의에서 다양한 작업현장에서 폭염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신속한 대책 마련을 강력히 지시했습니다. 폭염은 작업자의 건강을 심각히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인 만큼, 현장의 책임자들에게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 문의처 정보
– **산업안전보건정책과**: 유종호 (044-202-8805)
– **직업건강증진팀**: 나상명 (044-202-8893)
고용노동부는 계속해서 폭염과 관련된 안전 조치 및 대책을 강구하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농촌진흥청]’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발행일: 2025-07-04 01:02
원문보기
###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협력 기반 강화
**농촌진흥청,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 개최**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 국립경북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화 확대 전략 및 협력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와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표로 지난 2021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행사입니다. 올해에는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 전국의 10개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이 참여했으며,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심층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 핵심 논의 및 발표 내용
연수회는 기관별 운영 현황 발표와 관리 체계의 장점 및 개선점에 대한 논의로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 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제시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고 실효성 높은 산업화 전략을 마련하는 자리가 되었다고 농촌진흥청은 평가합니다.
올해는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와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이 신규 관리기관으로 지정됨으로써, 민간 기관을 포함한 협력을 통해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한층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됩니다.
### 그린바이오 산업과 미생물자원의 중요성
2023년 1월 발효된 그린바이오산업법에 따라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정책이 본격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농업미생물자원은 식량안보, 환경보호, 첨단바이오산업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능성 식품, 미생물 기반 의약품, 바이오에너지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김상범 과장은 이번 행사가 학술 연구형 대학과 산업형 민간기관 간 상호 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그린바이오 산업의 핵심 소재인 미생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관련 산업 규모화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기대되는 성과와 향후 방향
이번 연수회는 각 기관이 협력하여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발전시키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농업미생물자원 산업화를 위한 구체적 전략을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앞으로 정부와 민간, 학계 간 유기적인 협력이 이어지며 그린바이오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밑바탕을 다졌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지속적인 협력 기반 구축과 다각적인 활용 방안 도출로 대한민국 생명공학 산업 발전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조달청]조달청 시설공사 주간(‘25.7.7.~’25.7.11.)입찰 동향
발행일: 2025-07-04 01:02
원문보기
### 조달청, 시설공사 입찰 동향 발표: 총 4,297억 원 규모 공사 예정
**조달청은 ‘25.7.7.~’25.7.11. 기간 동안 총 52건, 약 4,297억 원 규모의 시설공사 입찰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
### 주요 입찰 공사
– **킨텍스 앵커호텔 건립사업**
– 발주처: 주식회사 킨텍스
– 위치: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 규모: 지하 1층, 지상 20층 이하 관광숙박시설
– 사업비: 추정가격 992억 원
– 공사 기간: 1,380일
– 낙찰 방식: 일괄입찰
이 공사는 주요 관광 인프라 확충을 위한 대형 프로젝트로, 킨텍스 일대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지역업체 수주 전망
– 이번 입찰 공사의 49건(약 54%에 해당)에서 지역업체가 수주할 가능성이 있음.
– 지역 제한 입찰: 29건, 659억 원 규모.
– 지역의무 공동도급 공사: 20건, 1,658억 원 중 상당액.
> *지역제한 입찰 및 의무 공동수급제는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조치로, 약 2,317억 원 규모의 공사가 지역 참가 업체들에 의해 수행될 전망입니다.*
—
### 계약 및 지역별 집행내역
1. **계약 방법별 분류**
– 적격심사: 2,756억 원
– 일괄입찰: 992억 원
– 종합평가 방식: 549억 원
2. **지역별 예산**
– 경기도: 1,227억 원
– 충청남도: 758억 원
– 기타 지역: 2,312억 원
—
### 담당자 및 문의
– **조달청 시설총괄과 방세빈 사무관**
– 연락처: 042-724-7343
☞ *자세한 정보는 정부 공식 포털(www.korea.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 결론
이번 주 조달청 시설공사 입찰은 대규모 프로젝트부터 지역 공사까지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지역업체 수주 확대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농촌진흥청]농업유전자원 7,000자원 ‘백두대간’에 안전중복보존
발행일: 2025-07-04 01:02
원문보기
농촌진흥청이 기후변화와 국가 비상 상황에 대비해 농업유전자원을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경북 봉화의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에 보리, 돌콩을 포함한 농업유전자원 7,000자원을 기탁했다고 7월 3일 밝혔습니다. 이는 농업유전자원의 안전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 📌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란?**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는 해발 760미터에 위치한 지하 암반층에 구축된 영구 종자 저장시설로, 자연재해나 전쟁과 같은 대형 위기로부터 소중한 농업유전자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2020년 농촌진흥청은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협력하여 이곳에서 안전중복보존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 🌾 **이번 기탁된 농업유전자원**
이번에 기탁된 자원은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가 1980년대부터 수집하고 평가해 온 보리(2,394자원), 돌콩(669자원), 밀, 옥수수, 고추 등 92작물에 걸친 7,000자원입니다. 이를 통해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에 보존된 총 농업유전자원 수는 18만 7,000자원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 **안전 보존을 위한 4중복 체계**
농촌진흥청은 전주, 수원, 봉화, 노르웨이 스발바르라는 4개 지역에 중복보존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주요 유전자원이 예기치 못한 사고로 소실될 경우에도 복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 💬 **미래를 위한 투자**
농업유전자원센터 안병옥 센터장은 이번 보존 활동에 대해 “농업유전자원을 안전히 지키는 것은 미래 식량 주권을 확보하는 기반”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약 28만 3,000자원의 농업유전자원을 보존하고 있는 세계 5위 규모의 보유기관입니다. 이번 기탁은 국내외 다양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됩니다. 🌿
[기상청][2025년 6월 기후특성] 6월 폭염·열대야 기승, 평균기온 역대 최고, 이른 장마 시작
발행일: 2025-07-04 01:00
원문보기
### 2025년 6월 기후특성: 역대 최고 평균기온과 이른 장마
2025년 6월 한국은 이례적 기후 현상을 기록하며 주요 특징으로 폭염, 열대야, 높은 강수량 및 평년보다 이른 장마 시작을 보였습니다. 기상청은 이번 기후특성을 분석하며 기온 상승과 강수량 증가의 원인을 밝혔습니다.
—
### 1. **기온**: 평균기온 역대 최고 경신
– 6월 전국 평균기온은 22.9℃로, 관측 이래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최고였던 지난해 2024년(22.7℃)보다 0.2℃ 높은 수치입니다.
– 우리나라 남동쪽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로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돼 무더운 날씨가 잦았으며, 특히 6월 하순 폭염과 열대야가 심화되었습니다.
#### ○ **폭염 및 열대야 기록**
– 6월 폭염일수는 2.0일, 열대야일수는 0.8일로 모두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 서울은 4년 연속 6월 열대야를 경험했으며, 남부지방에서는 27일부터 폭염특보가 발효되는 등 한여름 같은 날씨가 이어졌습니다.
—
### 2. **강수량 및 장마**: 높은 강수량과 빠른 장마 시작
– 6월 전국 강수량은 187.4mm로 평년 대비 126.6% 증가했습니다.
– 특히 부산은 14일 1시간 최다 강수량(61.2mm)을 기록하며 극값을 갱신했고, 충청 및 전북 지역은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150mm 이상의 강우를 보였습니다.
#### ○ **장마 시작**
– 장마는 제주도에서 6월 12일, 중부 및 남부지방에서 6월 19~20일 시작되어 평년보다 3~7일 빨랐습니다. 이는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 장마철의 조기 시작은 필리핀 부근 활발한 대류와 관련된 대기 순환, 그리고 북태평양 해수면온도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
### 3. **해수면온도**: 평년보다 다소 낮은 수준
– 6월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온도는 19.3℃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3℃ 낮습니다. 서해, 동해, 남해 모두 평년에 비해 온도가 하락했지만, 이후 기온 상승으로 점차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
### 4. **기상청의 요청 및 대비**
장동언 기상청장은 6월 말부터 이어진 폭염과 열대야가 여름철 전반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피해 방지를 위한 철저한 대책 마련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여전히 국지적 집중호우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방재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신속한 기상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 요약
2025년 6월 한국은 역대 가장 높은 평균기온과 이른 장마로 여름철 기후 변화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러한 이례적인 기후 특성은 고기압 발달, 해수면온도 상승, 대류 활동 증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국민들은 폭염 및 국지적 집중호우에 대비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소방청]이른 폭염에 장기화 예상, 전국 화재위험경보 ‘경계’ 발령
발행일: 2025-07-04 01:00
원문보기
### 이른 폭염에 따른 화재 위험성 높아져…소방청, 전국 화재위험경보 ‘경계’ 발령
최근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덮친 이른 폭염으로 인해 화재 발생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소방청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7월 4일 오전 10시부로 전국에 화재위험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습니다.
#### 급증하는 전기적 화재, 안심할 수 없는 ‘나의 공간’
폭염으로 냉방기기와 전자제품 사용량이 급증하며, 주거지와 사업장 등에서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여름철 화재 발생 건수가 연평균 8,618건(전체 화재의 약 22.5%)에 달합니다. 특히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는 여름철 평균 30% 이상을 차지해 지속적으로 증가 중입니다.
6월 24일과 7월 2일 부산에서는 노후 아파트에서 전기멀티탭 과부하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 어린이 4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하며 국민적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습니다.
#### 폭염 특보와 화재 발생률 연계
6월 29일부터 기상청의 폭염특보 발효 이후**화재 건수는 38% 급증**하는 등, 날씨와 화재 간 연관성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노후 전기설비의 사용 증가와 냉방기기 과부하가 반복되는 여름철, 소방청은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대응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 소방청의 4가지 대응 조치
1. **화재위험경보 ‘경계’ 발령:** 이번 경보는 전국적으로 일괄 적용되어 위험도 관리가 강화됩니다.
2. **국민 홍보 강화:** 재난방송과 긴급문자를 통해 전기화재 예방수칙을 국민에게 널리 알립니다.
3. **노후 공동주택 집중 관리:** 노후 아파트와 중점 관리 대상지역의 안전 점검을 대폭 강화합니다.
4. **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지자체 및 전력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화재 위험 요인을 신속히 관리합니다.
#### 국민을 향한 당부
소방청 관계자는 멀티탭 과부하 및 문어발식 전기 사용을 지양하고,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는 반드시 콘센트에서 분리하는 등 **화재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화재위험경보 발령을 계기로 더 많은 가정과 사업장에서 화재 안전 조치와 점검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전기화재 예방 수칙]**
– 멀티탭에 전자제품을 과도하게 연결하지 말 것.
–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뽑을 것.
– 노후 전기설비는 주기적으로 점검할 것.
– 전기 설비 주위에 가연성 물질을 가까이 두지 말 것.
### 관련 문의
– **소방청 화재예방총괄과장 홍장표:** (044-205-7441)
– **소방청 화재 예방 담당자 이종우 소방경:** (044-205-7442)
[행정안전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부산 기장군 아파트 화재 현장 방문
발행일: 2025-07-04 01:00
원문보기
행정안전부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오늘(4일) 부산 기장군 아파트 화재 현장을 방문하여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화재는 지난 7월 2일 발생했으며, 김 본부장은 관계기관들과 함께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효과적인 방안 마련에 나섰다.
이날 현장 방문에서는 화재 원인에 관한 초기 조사 결과를 점검하고, 건축물 안전관리 및 화재 예방 시스템에 대한 개선 사항들을 논의했다. 김 본부장은 “재난 대응의 모든 단계에서 빈틈없는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며 관계기관에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향후 조치 방향**
– 화재 원인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 진행
–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재발 방지 대책 수립
– 화재 취약 지역 및 건축물에 대한 점검 강화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문서를 참조하거나 국토산업재난대응과 담당자(044-205-6336)에게 문의하면 된다.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기획재정부]기획재정부, 보고서 작성 효율화 지원
발행일: 2025-07-04 01:00
원문보기
**기획재정부, 보고서 작성 효율화를 위한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기획재정부는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고 업무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배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자료 취합 및 편집을 지원함으로써 공무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첨부파일에는 프로그램의 상세한 사용방법 및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관 혁신정책담당관 송지현 (전화: 044-215-2591)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부 공식포털 (www.korea.kr)
[산림청]국립수목원 ‘우리의 정원식물’, 7월은 가을을 준비하는 황금빛 국화, ‘감국’
발행일: 2025-07-04 00:57
원문보기
### **두 달 전에 심어 가꾸는 가을 정원의 매력, ‘감국’**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7월의 ‘우리의 정원식물’로 가을을 대표하는 정원용 다년생 초본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을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감국은 여름철에 심으면 가을에 황금빛 꽃을 풍성히 피워 정원과 실내외 공간에 활력을 더해줄 수 있는 매력적인 식물입니다.
—
### **감국의 주요 특징과 장점**
– **생명력**: 한 번 심으면 매년 새싹이 자라 꽃을 피우며 햇볕이 풍부한 환경에서 특히 잘 자랍니다.
– **아름다움**: 밝은 노란색 꽃과 은은한 향기로 정원 경관을 돋보이게 하며, 벌과 나비를 유인해 생태적 균형을 돕습니다.
– **다양성**: 정원의 경계선, 화단, 화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어 디자인적 유연성이 높습니다.
—
### **효율적인 재배와 관리 방법**
1. **심는 시기와 위치**
– 7월 초중순에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우수한 토양에 약 30cm 간격으로 식재합니다.
2. **물 관리**
– 초기에는 충분한 물을 주어 뿌리가 자리잡게 도와주며, 생육기에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필요합니다.
– 감국은 가뭄에 약하므로 여름철 건조한 시기에는 적절한 급수가 중요합니다.
3. **생장 관리**
– 약 30cm 이상 자랐을 때 생장점을 잘라주면 가지가 늘어나 더욱 풍성한 꽃을 볼 수 있습니다.
4. **번식과 유지 관리**
– 가을에는 채종한 씨앗을 다음 해 재배용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 3~4년 이상 자란 감국은 뿌리가 과밀해 꽃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포기를 나눠 번식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 **감국으로 더 풍성한 정원을**
임연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자원활용센터장은 감국이 정원 조성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생태적 가치를 지닌 훌륭한 식물이라며, “정원 조성과 생태적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가을 정원의 품격을 한 층 더 높여줄 감국, 올여름 준비해보세요!
[조달청]해외조달시장 개척, 이젠 청년 전문가에게 맡겨라!
발행일: 2025-07-04 00:42
원문보기
### 해외조달시장 개척, 청년 전문가가 이끈다!
조달청은 국내 기업의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청년 인재 양성에 나섰습니다. 약 2조 달러(한화 약 2,700조 원) 규모로 추산되는 해외조달시장은 매력적이지만, 공공조달의 특성과 초기 진입의 어려움으로 기업들의 도전이 쉽지 않은 시장입니다. 이에 조달청은 젊고 유능한 인재를 발굴해 해외조달에 특화된 전문 교육을 제공하고, 수료 후에는 기업 취업까지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
### 청년 인재를 위한 4주간의 집중 교육
– **교육 기간:** 7월 7일~7월 31일 (4주)
– **대상:**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 60명 (34세 이하)
– **장소:** 대전광역시 KT 인재개발원
– **교육방식:** 전 과정 대면교육
청년 참가자들은 이론 교육으로 해외조달시장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넓히고, 실습을 통해 국제입찰 등록, 입찰제안서 작성 및 제출, 계약체결까지의 일련의 업무 과정을 실제로 경험할 기회를 가집니다.
—
### 취업 연계로 더 많은 기회 제공
교육 수료 후에는 조달기업과 청년 인재들이 참여하는 채용 상담회가 열립니다. 작년에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20명의 청년이 실제로 조달기업에 취업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이와 같은 취업 연계는 해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조달기업에게는 전문 인력을 제공하고, 청년들에게는 새로운 경력의 발판을 마련해 줍니다.
—
### 교육 환경 개선 및 효과성 강화
올해는 교육 장소를 대전으로 옮겨 접근성을 높였으며, 온·오프라인 병행 교육에서 **전면 대면교육**으로 전환해 몰입도를 강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인재 양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기대 효과
조달청 이형식 기획조정관은 “우수한 기술력과 품질을 보유한 우리 기업들이 실무 전문인력 부족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번 교육 프로그램이 청년 인재와 기업을 매칭해 해외조달시장 진출의 든든한 지원책이 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
### 마무리
청년들의 열정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해외조달시장에서 날개를 달도록 만드는 이 프로그램은, 청년 취업과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소비자와 함께하는 제품안전정책
발행일: 2025-07-04 00:14
원문보기
**소비자와 함께하는 제품안전정책: 소비자단체-국가기술표준원 간담회 열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이 7월 4일, 서울에서 소비자단체와 간담회를 개최하며, 국민 안전을 위한 제품안전 정책의 실효성과 현장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 자리에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문미란 회장을 비롯해 11개 주요 소비자단체 대표들이 참석해 뜻깊은 논의를 이어갔다.
### **주요 논의 및 발표 내용**
이번 간담회는 지난 회의에서 소비자단체들이 제기한 의견의 정책 반영 결과를 공유하며 시작됐다. 이어 2025년 제품안전 정책의 주요 추진 방향이 발표되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해외직구 제품 안전 관리 체계 정비 및 강화**
2. **2025년 제품 안전성 조사 추진 현황 발표**
3. **AI 기술 활용을 통한 제품안전 정보의 수집과 보급 방안**
4. **가정용 전기용품 안전기준 최신 IEC 국제표준에 맞춘 개정 작업**
5. **생활 및 어린이제품 안전기준 정비 계획**
### **소비자단체와의 자유토론**
자유토론 세션에서 소비자단체들은 해외직구 및 중고거래 플랫폼 확대, AI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과 현장 경험을 공유했다. 이와 관련해 국표원은 소비자로부터 전달된 의견을 향후 정책에 적극 반영해 실효성 높은 제품안전관리체계를 갖춰나갈 계획이다.
###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추진**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제6차 제품안전종합계획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제품안전관리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미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회장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안전 정책 수립을 위해 소비자단체는 정부와의 소통과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소비자 및 관계자 간 협력 강화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 수립의 초석이 되었으며, 앞으로도 정책의 현장 적합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료 출처: www.korea.kr*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혁신제품 사전상담, 제품화 물길 텄다
발행일: 2025-07-04 00:07
원문보기
**혁신제품 사전상담, 제품화 물길 텄다**
최근 정부와 공공기관이 나서 혁신제품의 상용화를 돕기 위한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입된 **‘혁신제품 사전상담’** 제도가 본격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는 소식이다.
### **혁신제품 사전상담, 무엇을 목표로 하나?**
‘혁신제품 사전상담’은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상용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특히 공공구매 시장에서 제품의 초기 진입을 지원하고, 기술적·법적 이슈를 사전에 검토해 기업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 목표다.
### **주요 성과**
이 제도를 통해 여러 유망기업들이 제품화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시장에 진입할 수 있었다. 예컨대, **친환경 기술을 구현한 신재생에너지 제품**이나 **AI 기반의 공공안전 솔루션** 등이 성공 사례로 꼽힌다.
또한, 사전상담을 통해 얻은 피드백은 제품 설계와 개선 작업에도 도움을 줘 경쟁력 강화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정부의 지속적 지원 약속**
정부는 해당 제도가 혁신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상담 절차를 더 원활하게 개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민간 부문과의 협력을 강화해 공공과 민간이 함께 혁신 제품 시장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 **미래 전망**
혁신제품 사전상담 제도는 단순한 상담을 넘어서, 제품 개발과 상용화 전반에 걸친 도약의 발판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기업이 이 제도를 통해 성공적인 제품화를 이루길 기대하며, 이는 우리나라 경제의 신성장 동력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약학대학 재학생 대상 공직 체험 프로그램’ 개최
발행일: 2025-07-04 00:07
원문보기
**식약처, 약학대학 재학생 대상 공직 체험 프로그램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약학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공직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공직 체험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이 프로그램은 약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식약처의 주요 업무를 학습하고, 실질적인 정책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프로그램 주요 내용**
– **기술 및 정책 실무 체험**: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식약처 정책 분야에서의 실무 이해를 돕기 위해 업무 현장을 견학하고 실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 **공직자의 역할과 직무 소개**: 식약처 내 전문가들과 함께 진행되는 세션을 통해 공직 내 약사의 역할과 기여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직원 멘토링**: 식약처에서 근무 중인 약사 공무원의 멘토링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경력 개발과 진로 설계를 돕는다.
### **대상 및 신청 방법**
– **대상**: 국내 약학대학 5년 차 및 6년 차 재학생
– **기간**: 프로그램은 일정 기간마다 기수제로 운영되며, 신청 접수는 관련 대학교 및 식약처 누리집을 통해 이루어진다.
– **참가 혜택**: 체험 수료생에게는 참가 증명서가 발급되며, 이는 향후 식약처 채용 공고 혹은 약무 관련 경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취지 및 기대 효과**
이번 프로그램은 약학대학 학생들이 공직 체험을 통해 국민 보건 증진과 안전 보장을 위한 제도와 정책 실행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나아가 학생들에게 공직 약사로서의 진로 가능성을 탐색하며, 현장에서 느끼는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식약처는 이외에도 다양한 교육 및 홍보 활동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약사 및 의료인들과의 협력을 지속 기반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정보는 식약처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약학대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세상을 바꾸는 ‘위치기반서비스’ 모집
발행일: 2025-07-04 00:06
원문보기
### 위치기반서비스(LBS) 새싹기업 성장 지원: ‘2025 코리아 LBS 챌린지’ 공모전 개최 및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은 위치정보 기반 새싹기업(스타트업)의 창업과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LBS) 새싹기업 챌린지’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공모전은 위치정보 분야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발전 가능성을 가진 청년 창업자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합니다. 동시에, 성장촉진 프로그램과 맞춤형 종합 컨설팅 지원을 통해 해당 분야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화를 촉진할 계획입니다.
—
### 주요 내용
#### 1. **’2025 코리아 LBS 챌린지’ 공모전**
– **공모전 대상**: 청년 창업자(34세 이하), 예비 창업자, 새싹기업(스타트업), 중소기업
– **접수 기간**: 2023년 4월 4일부터 8월 1일까지
– **분야**:
– **아이디어 분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청년 창업 대상자
– 선정된 10개 아이디어에 대해 창업 컨설팅 및 기술 상담(멘토링) 지원
– **사업화 지원 분야**: 중소기업 및 영세사업자를 대상으로 ‘공공/안전형’, ‘생활밀착형’ 두 갈래로 나누어 진행
– 20개 기업 선정 후 개발 비용, 서비스 고도화 컨설팅, 체험단 운영, 지식재산권 확보 지원
– **접수 방법**: 위치정보사업 공모전 누리집([https://korealbs.or.kr](https://korealbs.or.kr))에서 신청
– **수상 혜택**: 최종 선정된 아이디어 분야 3개 팀과 사업화 지원 분야 10개 팀에게 상장 및 상금 수여 (연말 행사)
#### 2. **성장촉진 프로그램**
– **대상 기업**: 유망 새싹기업 및 중소기업 45개 사 선정
– **지원 내용**:
– 국내 및 베트남 투자자 대상 홍보(IR 쇼케이스)
– 사업 협력망 구축(비즈니스 네트워킹)
– 서비스 고도화 상담(멘토링) 제공
– **공모 절차**: 8월 이후 진행 예정
#### 3. **종합 컨설팅 지원**
– **지원 일정**: 2023년 4월부터 연말까지 상시 운영
– **지원 내용**:
– 위치정보 관련 법적·제도적 요건 준수 상담
– 위치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재무·회계 등 경영 문제 해결
– **지원 방식**: 약 50여 명의 전문가 투입, 사업자 개별 진단 및 상담 제공
—
### 기대 효과
이번 공모전과 성장촉진 프로그램은 위치정보 서비스 분야의 창업과 사업화를 활성화하고, 유망 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공정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사, 이동통신사, 전문투자기관 등과 협력하여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각 단계별 지원을 강화합니다.
—
### 참여자 대상 메시지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위치기반서비스 분야에서 창업을 꿈꾸는 청년과 스타트업들의 성공적인 도전을 돕고자 한다”며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 있는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지원 프로그램은 새싹기업이 목표를 실현하고 성장하는 데 탄탄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관심 있는 예비 창업자와 기업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환경부](참고) 환경부, 인천 계양산 러브버그 현장수습 총력 지원으로 국민불편 최소화
발행일: 2025-07-04 00:05
원문보기
### 러브버그 대발생, 인천시 계양산 긴급 대응…환경부 다각적 조치 나서
최근 인천광역시 계양산에서 외래종 곤충인 **러브버그**가 대량으로 발생해 주민 불편이 심각해지자, 환경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격적인 방제 작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영향의 연장선에서 발생한 현상으로 평가되며, 관련 대응이 장기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 **1. 현장의 긴급 대처: 인력과 장비 투입**
– **환경부 지원 인력 37명**이 계양구청 인력 10여 명과 협력하여 긴급 방제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송풍기, 포충망, 살수장비**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해 러브버그 퇴치와 더불어 현장에 방치된 사체 수거작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특히, **러브버그의 빛에 유인되는 습성**을 활용한 ‘광원 포집 장비’를 추가로 현장에 설치해 보다 효과적인 방제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
#### **2. 러브버그 대발생의 배경과 특징**
– 러브버그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한 외래종**으로, 국내에서는 2015년 처음 발견된 바 있습니다.
– 2022년을 기점으로 매년 6~7월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량 발생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번 인천시 계양산 사례는 특히 심각한 대발생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
#### **3. 지자체 협력 및 중장기 계획**
– **협업 체계 강화**: 환경부-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간 기존 협업 체계에 인천시, 경기도 등 지자체를 추가하며, 필요시 인접 지자체로 협의체를 확대 운영합니다. 또한, **24시간 가동 대책반**과 전문가 자문단을 투입해 실시간으로 대응할 방침입니다.
– **AI 기술 및 연구 확대**: 곤충 대발생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방제하기 위해 **AI 활용 기법** 연구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종 특이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제 기술 개발을 추진합니다.
– **제도적 관리 방안 마련**: 현재 대발생 곤충에 대한 법적 관리 및 지원 체계가 미흡한 상황으로, 러브버그를 포함해 대발생 곤충을 **법정 관리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
#### **4. 곤충 대발생의 장기적 관점**
– 러브버그 외에도 **대벌레, 미국선녀벌레, 동양하루살이, 깔따구** 등이 대발생 가능성이 높은 곤충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생태계 변화로 인해, 곤충 서식지 변화를 철저히 연구하고 잠재적 문제를 사전에 대비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 **5. 국민 생활 불편 최소화**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올여름 곤충 대발생이 기후변화와 맞물려 높은 불확실성을 가지는 상황으로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며, **초기 신속 대응**과 **지자체 협업 강화**, 그리고 **재원 확보**를 통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 **향후 전망: 지속 가능하고 체계적인 대응 필요**
러브버그 대발생은 단기적 해법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솔루션과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환경문제입니다. 환경부가 제시한 AI 기술 활용, 곤충 연구 강화, 법적 관리 체계 마련 등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첫 걸음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교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보다 심도 깊은 논의와 실행이 요구됩니다.
[방송통신위원회]’성 착취물’ 등 불법 촬영물 18만 건 삭제·차단
발행일: 2025-07-04 00:04
원문보기
### 주요 인터넷 사업자 대상 불법 촬영물 처리 현황 보고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는 4일, 2024년도 ‘불법 촬영물 등의 처리에 관한 투명성 보고서’를 공개하며 주요 인터넷 사업자들이 디지털 성범죄물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시행했음을 발표했다. 네이버, 구글, 카카오를 포함해 총 81개 국내외 인터넷 사업자의 불법 촬영물 처리 노력을 분석한 이번 보고서는 매출액 10억 원 이상 또는 일평균 이용자 10만 명 이상의 주요 부가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작성됐다.
—
### 주요 내용 요약
#### 1. **불법 촬영물 처리 현황**
– 지난해 인터넷 사업자들이 삭제하거나 차단한 불법 촬영물은 총 **181,204건**으로, 전년도 대비 **122.1% 증가**했다.
– 신고된 불법 촬영물 총 231,261건 중 약 78.4%가 처리 완료됐다.
– 전년도 대비 신고 건수는 약 59.7% 증가(86,448건)했으며, 사회 전반적인 경각심과 신고 활성화, 사업자의 적극적인 유통방지 조치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2. **주요 대상 및 내용**
– 불법 촬영물에는 성적 허위 영상물(딥페이크),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 등이 포함되며, 이에 대한 ▲신고 접수 및 처리 결과, ▲유통방지 노력, ▲관리 절차 및 환경 구축 등이 보고서에 담겼다.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및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사례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뤘다.
#### 3. **인터넷 사업자의 역할 강화**
– 보고서에 따르면, 사업자들은 불법 촬영물 유통 방지를 위해 **전담 부서 신설**, **책임자 배치**, **필터링 등 기술적 조치**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첨단모니터링 시스템도 적용 중이다.
—
### 디지털 성범죄 대응의 중요성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딥페이크 같은 첨단조작기술영상으로 인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인터넷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유통방지 노력과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앞으로의 계획
방통위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지속 추진한다:
1. **인터넷 사업자의 유통방지 책임 교육 확대**: 유통방지 책임자 대상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
2. **기술적·관리적 이행 점검 강화**: 불법 촬영물을 사전에 걸러내는 필터링 시스템 도입 현황 확인 등.
3. **현장 모니터링**: 사업자들의 조치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점검.
더 자세한 보고서 내용은 방송통신위원회 누리집([www.kcc.go.kr](http://www.kcc.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누구나 자료를 내려받아 참고 가능하다.
—
### 마무리
디지털 성범죄 대응을 위한 인터넷 사업자들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사업자들의 노력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이 더 강화되어 안전한 디지털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방송통신위원회]’민생회복지원금’ 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발행일: 2025-07-04 00:03
원문보기
### 주의! ‘민생회복지원금’으로 위장한 유료 서비스 가입 유도 사례
최근 정부의 **’민생회복지원금’**과 관련된 허위 정보 사이트가 다수 발견되며, 이용자들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트는 지원금 신청 안내를 위장해 유료 부가서비스로의 가입을 유도하고 있어 피해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유료 서비스 가입 유도 방식**
1. **검색 엔진 상단 노출**
‘민생회복지원금’을 검색하면 상단에 관련 정보를 안내하는 것처럼 보이는 블로그 글이 게시됩니다.
2. **’신청하기’ 버튼 사용**
‘민생회복지원금 바로 안내’, ‘지금 신청하기’ 등 클릭을 유도하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유료 서비스로 연결**
해당 버튼을 누르면 실제 지원금 신청과는 무관한, ‘여가생활 안심보호서비스’, ‘휴대폰 가족보호서비스’ 등 **유료 부가서비스 가입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4. **본인 확인으로 위장**
사용자는 휴대폰 번호 및 인증번호 입력을 요구받아, 이를 본인 확인 절차로 쉽게 오인할 수 있습니다.
#### **법적 문제 소지 및 조치 계획**
이러한 행위는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에 따른 금지행위([별표4] 5의2 가목)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해당 광고가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광고 즉시 중단 요청**
관련 광고 게시 업체에 해당 내용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
– **사실조사 착수**
만약 광고가 계속될 경우, 자세한 사실 조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이용자 주의 사항**
– **공식 사이트 확인**
지원금 신청은 반드시 **정부나 지자체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 **의심 링크 주의**
출처가 불명확한 링크나 블로그 게시글의 ‘신청하기’ 버튼 클릭을 삼가야 합니다.
– **휴대폰 인증 신중**
휴대폰 번호 입력과 인증번호 제공 요구 시, 해당 내용의 신뢰성을 철저히 확인하세요.
이번과 같은 사례는 새롭게 발전하는 기만적 마케팅 기법의 일환으로, 정확한 정보 확인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정부나 방송통신위원회의 공식 발표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며 피해를 예방하세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제14차 인구비상대책 회의 개최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확정
발행일: 2025-07-04 00:00
원문보기
**제14차 인구비상대책 회의 개최: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확정**
정부가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담은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총 100조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는 대규모 인구정책으로, 저출산 대응과 인구구조 개선에 초점이 맞춰졌다.
—
### **핵심 요약**
#### **1. 2025년 주요 계획 및 예산 배정**
– **중앙정부:** 총 300개 과제, 88.5조 원 투입 (전년 대비 5.3조 원 증가)
– 저출산 대응에 직결된 사업 예산이 28.6조 원으로 배정 (전년 대비 3.3조 원 증가).
– **지방정부:** 6,741개 사업에 총 12.2조 원 배정 (전년 대비 1.5조 원 증가).
–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정책 강화.
#### **2. 세부 추진 방안**
– **성과기반 정책운영 체계 도입:** 사업별 성과를 명확히 분석해 재정 운용 효율성을 제고.
– 15개 성과 지표(일·가정양립, 교육·돌봄, 주거 및 출산) 활용.
– 성과 미흡 시 과감한 구조조정 검토.
#### **3. 성과 지표의 변화**
– 기존의 “합계출산율” 중심에서 벗어나 **건강수명 연장**, **노인빈곤율 감소** 등 질적 지표를 새로운 정책성과 목표로 설정.
#### **4. 구체적 지표 예시**
– **일·가정양립:** 30~44세 여성 경력단절 비율,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 등.
– **교육·돌봄:** 공공보육 이용률, 아이돌봄서비스 평균 대기일수 등.
– **주거 및 출산:** 출산가구 주택공급 물량, 난임시술 지원건수 등.
—
### **전망 및 과제**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번 계획이 실질적인 정책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철저히 이행하고 성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합계출산율 중심에서 벗어나 인구구조 전반의 질적 지표를 강화하는 제5차 기본계획(’26~’30년)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 출산 장려를 넘어, 사회 전반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으로 전환되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속 가능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책 홍보, 국민 신뢰 제고, 민간 차원의 협력 등이 필요하다.
[질병관리청]’글로벌 감염병 대응역량 확보’를 위한 국제연구협력 본격화(7.4.금)
발행일: 2025-07-03 23:50
원문보기
### 국제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연구협력 본격화
질병관리청과 국립감염병연구소, 국립중앙의료원이 공동으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故 이건희 회장의 유족 기부를 기반으로 한 다각도의 연구 강화사업이 그 중심에 있습니다.
—
#### 핵심 요약:
– **제1회 이건희 「감염병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 국제심포지엄(LISID)**과 **제3회 감염병연구기관 국제심포지엄(IDRIC)**이 7월 3일과 4일 양일간 개최됩니다.
– 故 이건희 회장의 유족은 2021년 감염병 대응 인프라 강화를 위해 7천억 원을 기부했으며, 이 기부를 바탕으로 다양한 감염병 연구 및 대응 사업이 본격화됩니다.
– 이번 심포지엄의 주요 논의 주제는 국가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항생제 내성 극복 연구, 백신·치료제 신속 개발, 팬데믹 대비 의료대응 연구 등입니다.
– 국제백신연구소(IVI) 및 국내외 감염병 연구기관들도 참여하여 연구 협력 체계를 강화합니다.
—
#### 심포지엄 주요 내용
##### 1. 이건희 「감염병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 국제심포지엄(LISID)
– **목적**: 2025년 본격 실시 예정인 「감염병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의 세부 방향 및 성과 공유.
– **주요의제**:
– 국가 임상시험 네트워크 및 항생제 내성 극복 인프라 구축.
– 감염병 위기 상황 발생 시 백신과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하도록 협력 강화.
– 감염병임상연구센터 건립 등 혁신적 연구 기반 마련.
##### 2. 감염병연구기관 국제심포지엄(IDRIC)
– **목적**: 글로벌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연구 네트워크 확립.
– **주제별 세분화**:
1. 팬데믹 대비 백신 연구개발 현황.
2.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병 치료제 개발 연구.
3. 인수공통감염병 연구를 위한 One-Health 접근 전략.
—
#### 주요 인사 발언
–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 “이번 심포지엄은 신속한 백신·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고 감염병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역량을 갖추는 첫걸음이다.”
– **보건복지부 이형훈 2차관**: “故 이건희 회장의 기부는 감염병 연구와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 기본 토대를 마련했다.”
– **국립중앙의료원 서길준 원장**: “중앙감염병병원을 중심으로 국내외 협력을 확대하여 글로벌 감염병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
—
#### 기부금 기반의 연구과제
– **6대 연구 중점 분야**:
1.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응급 대응체계.
2. 항생제 내성 극복 연구.
3. 팬데믹 대비 의료 대응 역량 강화.
4. 공공 의료체계 간 협력 확립.
5. 감염병 진단 기술의 혁신적 발전.
6. 국제 연구 네트워크의 고도화.
—
#### 향후 계획
– **데이터 및 임상 인프라 강화**: 신속하고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연구센터 건립**: 국내외 연구협력을 위한 거점 역할.
– **지속적 협력 강화**: 국제적 연구기관 및 기업 간의 네트워킹과 공동 연구 확대.
—
#### 행사 참여 및 접속 방법
– **사전 접수** 및 온라인 참여: 감염병연구기관 공식 홈페이지 [IDRIC 누리집](http://IDRIC.kr)을 통해 사전 신청 가능.
– **비대면 생중계**와 실시간 질의응답 제공.
—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한국은 국내외 감염병 연구협력의 중심에서 글로벌 위기 대응체계를 설계하고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5년에 본격화될 연구역량 강화사업이 감염병 대응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산림청]REDD+ 이행능력 평가 방법, 온두라스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한다!
발행일: 2025-07-03 23:09
원문보기
### REDD+ 이행능력, 온두라스 사례로 알아보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 보존 활동이 점점 더 중요한 시대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REDD+를 위한 준비 누가 누가 잘하나?』라는 간행물을 통해 REDD+ 준비 상태 평가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자료는 국가별 REDD+ 이행 역량을 평가하면서 특히 온두라스를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담고 있습니다.
—
#### **REDD+란 무엇인가?**
REDD+(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Plus)는 개발도상국에 초점을 맞춘 국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산림을 전용(개발 등으로 전환)하거나 황폐화하는 활동을 줄여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REDD+의 핵심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산림 보존 노력을 경제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습니다.
핵심 과제는 다음과 같은 ‘MRV’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측정(M)**: 산림 보존 및 탄소 배출 저감 활동의 결과를 측정
– **보고(R)**: 측정한 데이터를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유
– **검증(V)**: 보고된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도록 외부 검증
—
#### **간행물의 주요 내용: 국가별 REDD+ 준비 평가**
국립산림과학원의 이번 간행물은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에 따라 국가별 REDD+ 이행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평가를 통해 각국의 산림 감축사업 준비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중남미 국가들이 REDD+ 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며, 특히 온두라스는 표본 사례로 상세히 다뤄졌습니다.
온두라스 사례를 통해 REDD+ 평가 프로세스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이 REDD+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데 참고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 **온두라스를 사례로 한 REDD+ 평가 방법**
온두라스는 REDD+ 이행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요소에 중점을 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 **데이터 품질**: 장기적인 산림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를 정확히 분석.
2. **투명한 보고 체계**: 국제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는 데이터 제공.
3. **외부 검증 협력**: 국제 검증 과정을 통해 신뢰도 확보.
이를 기반으로 온두라스는 REDD+ 준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대표적 사례로 소개되었습니다.
—
#### **우리나라의 기여 전략**
이 간행물은 단지 글로벌 REDD+ 동향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이 어떻게 국제적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도 논의합니다. 특히, 한국은 중남미와 같은 주요 REDD+ 국가와 협력하여 기술 및 재정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안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
#### **자료 활용 및 확인 방법**
이번 연구 간행물은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무료로 열람 및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산림 전략과 관련된 정책 결정자 및 국제 산림 프로젝트 업무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전망입니다.
– 발간자료 확인: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http://www.korea.kr)
—
#### **전문가 말 한마디**
산림전략연구과 최은호 연구사는 “숲은 기후변화 대책의 중심”이라며, 개발도상국의 REDD+ 체계 구축을 돕기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평가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REDD+를 통해 전 세계가 함께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기틀을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자료는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관심 두고 있는 누구에게나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입니다. REDD+의 국제적 동향과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다면, 이번 간행물을 꼭 확인해보세요!
[문화체육관광부]희망, 열정, 그리고 도전, ‘2025 휠체어농구리그’ 개막
발행일: 2025-07-03 23:01
원문보기
**2025 휠체어농구리그 개막 – 희망, 열정, 그리고 도전의 장 열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대한장애인농구협회가 주관하는 **2025 휠체어농구리그**가 성대한 막을 올립니다. 이번 리그는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라는 큰 목표 아래 열정적인 선수들과 관중이 함께하는 스포츠 축제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 주요 내용
– **리그 일정 및 개최 장소**: 2025년 1월 개막 예정으로 국내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경기가 진행됩니다.
– **참가 팀 구성**: 총 ○개 팀이 리그에 참여해 백드롭 슛과 역동적인 플레이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 **슬로건**: “희망, 열정, 도전”
이번 리그는 장애를 딛고 자신만의 꿈을 실현하려는 선수들의 열정을 반영하며, 관중들에게도 감동적인 순간을 선사할 계획입니다.
### 추가 프로그램
리그 개최와 더불어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부대 이벤트도 마련됩니다.
– **휠체어농구 체험 프로그램**: 관중이 직접 선수들이 사용하는 휠체어를 경험해보고 경기를 체험.
– **토크 콘서트**: 선수들이 직접 참여해 도전과 성취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소통의 시간.
– **홍보 전시**: 장애인 스포츠 역사와 휠체어농구 관련 다큐멘터리가 상영됩니다.
### 사회적 의미
휠체어농구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모든 이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장애-비장애인 간의 벽을 낮추는 상징적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리그는 전 국민이 함께하는 다양한 캠페인과 홍보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 스포츠의 가치를 알릴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본 보도자료에 포함된 **첨부파일([0704]문체부보도자료-2025 휠체어농구리그 개막.hwpx)**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료출처**: 대한민국 공식 정책브리핑 포털 **(www.korea.kr)**
**보도자료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원이 없는 도시와 국가에서도 ‘케이-컬처’로 어울려
발행일: 2025-07-03 23:01
원문보기
**한국문화원 없는 지역에서도 ‘케이-컬처’로 어울리다: 한국문화페스티벌 개최**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해외 각지에서 ‘케이-컬처(K-Culture)’로 세계인들과 소통하고 한국 문화를 알릴 ‘한국문화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국문화원이 없는 국가와 도시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 글로벌 문화 확산의 새로운 접근
한국문화원은 해외에서 한국 문화를 알리는 주요 거점이지만, 모든 도시와 국가에 설치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번 한국문화페스티벌은 문화원이 없는 지역에서도 한국문화를 체험하고 세계인들과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 주요 행사 및 프로그램
– **문화 공연**: K-팝, 전통 국악, 현대 창작 공연 등 다양한 장르의 무대가 마련된다.
– **체험 워크숍**: 한식, 한복, 한글 등 한국문화 체험을 직접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 **토크 콘서트**: 한류 관련 유명 인사와의 대화를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적 확산 및 의미를 되짚는 시간을 갖는다.
–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 현지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으로 해당 지역에 특화된 프로그램도 함께 선보인다.
### 기대 효과
이 페스티벌은 한국문화원의 부재 지역에서도 케이-컬처를 알리고, 국제 문화교류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방문객들은 한국문화의 깊이를 체험하며, 자연스럽게 양국 간 문화적 소통과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0704]문체부보도자료-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 개최.hwpx** 파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출처: www.korea.kr]
[외교부]김진아 외교부 2차관, 제4차 개발재원총회(6.30.-7.3.) 참석 결과
발행일: 2025-07-03 22:00
원문보기
### 제4차 개발재원총회에 참여한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국제개발협력 강화 의지 발표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은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스페인 세비야에서 개최된 제4차 개발재원총회에 참석하여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강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번 총회는 유엔과 스페인 정부의 공동 주최로, 유엔 회원국 정부, 국제기구, 시민사회, 학계, 민간 기업 등 1만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실현을 위한 논의의 장을 펼쳤습니다.
#### 주요 발표 내용:
김 차관은 총회 기조발언을 통해 급변하는 국제사회의 복합 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신정부의 기조를 강조하며, 한국이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사례와 교훈을 공유했습니다. 또한 “개발효과성”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이번 총회에서 채택된 결과문서인 ‘Compromiso de Sevilla’가 지속가능한 개발 협력과 재원 마련의 중요한 채널이 될 것임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오는 9월 개최할 제8차 부산글로벌파트너십포럼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개발협력의 중요성을 확산시키고, 보다 효과적인 협력을 위한 논의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개발효과성 원칙:
– **국가 주인의식**
– **결과 중심**
– **포괄적 파트너십**
– **투명성 및 상호책무성**
####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김 차관은 국제개발협력 라운드테이블 및 부대행사에서 한국의 개발협력 성과를 소개하며, 개도국들의 공공행정 역량 강화 및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지원 방안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국제사회의 모니터링과 지식공유를 통해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발표했습니다.
회의 참석을 계기로 에이미 포프 국제이주기구(IOM) 사무총장, 카스텐 스타우어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의장 등 주요 국제기구 인사들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일본 및 스페인 국무관과도 양국 관계 발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 협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 앞으로의 방향:
이번 회의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분야 리더십을 재확인하는 자리였으며, 앞으로 한국은 유엔, OECD, G20 등의 규범 형성 논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글로벌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특히 9월 부산글로벌파트너십포럼을 통해 국제사회의 공감과 지지를 확산시킬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한국은 빈곤, 기아, 불평등, 질병, 분쟁, 재난 등 국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이행에 적극 기여하며 미래지향적 국제 파트너십 형성을 주도할 것입니다.
[환경부]환경 정보로 탄소중립 실현…2025 환경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 시상식 열려
발행일: 2025-07-03 21:00
원문보기
### 환경데이터 활용 공모전, 창의적 아이디어와 혁신으로 빛났다
환경부는 7월 3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디엠씨(DMC)타워에서 열린 ‘2025년 환경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 시상식을 통해, 미래 환경문제 해결과 친환경 기술 발전을 이끌 18개 팀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 공모전 개요와 참가 현황
이번 공모전은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등 9개 산하기관의 협력을 통해 대국민 환경데이터 활용과 분석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지난 4월부터 6주 동안 약 341개의 팀이 참여하여 치열한 경쟁을 펼쳤으며, 최종 본선에 오른 18개 팀은 다시 한번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어필하는 발표와 질의응답의 기회를 가졌습니다.
—
### 수상작 및 주요 아이디어
**① 환경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부문**
– **대상**: ‘함께 그린’팀
탄소 절감을 돕는 이동 데이터를 활용해 친환경 실천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
– **최우수상**: ‘힘벗’팀
기후 약자들을 위한 주택 에너지 알림 비서를 개발.
**② 제품·서비스 부문**
– **대상**: ‘에이치티피이오(HTPeo)’팀
혼합률과 오염도를 기반으로 한 환경 데이터 분석형 분리배출 플랫폼.
– **최우수상**: ‘스코프’팀
AI를 활용한 해운 탄소 배출 최적화 모델.
**③ 분석 부문**
– **대상**: ‘수질첵’팀
그래프 신경망 기반 수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질 리스크 지수 개발.
– **최우수상**: ‘올케미스트(all-chemists)’팀
화학물질 배출과 사회취약성 데이터를 통합한 정책 개입 예측 시나리오를 제안.
—
### 수상팀 혜택
환경부는 이번 공모전 수상자들에게 녹색 창업 및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1. 녹색창업지원사업(에코스타트업) 서류전형 면제.
2.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 시 가점 부여.
3. ‘공공데이터 창업경진대회’ 본선 추천.
4. 녹색융합클러스터 입주 우선권 제공.
—
### 환경데이터, 지속 가능한 미래로의 연결고리
박소영 환경부 정책기획관은 “이번 공모전은 환경문제 해결의 시발점으로 매우 상징적”이라고 평가하며, 창의적 아이디어가 실질적인 창업과 정책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데이터 개방성과 활용도를 높여 기업, 지역사회와 협력하며 환경 혁신을 주도할 계획입니다.
이번 공모전은 환경 문제 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으며, 데이터 기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초석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이번 공모전은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한 환경 혁신의 훌륭한 사례로, 앞으로도 기업과 개인이 데이터와 친환경 기술을 접목하여 현실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를 기대합니다.
[국토교통부]도로 공사현장, ‘알기 쉬운 매뉴얼’로 근로자 안전 강화
발행일: 2025-07-03 21:00
원문보기
[보도자료 요약: 도로 공사현장, ‘알기 쉬운 매뉴얼’로 근로자 안전 강화]
정부는 도로 공사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전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알기 쉬운 매뉴얼’을 새롭게 제작해 배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매뉴얼은 현장 근로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전문 용어를 줄이고, 시각적 자료(사진 및 그림)를 활용한 직관적인 안내로 구성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조치 기준 강화**: 공사를 진행하기 전 위험 요인의 구체적인 점검 항목을 추가로 제공하며, 위험 상황별 대응 절차를 세분화했습니다.
2. **현장 안전 교육 확대**: 근로자들에게 매뉴얼을 활용한 주기적인 안전 교육을 실시하여, 작업 전 안전 행동 준칙을 숙지하도록 지원합니다.
3. **긴급 상황 대응 절차**: 사고 발생 시 신속히 행동할 수 있도록 비상 연락 체계와 응급 처치법이 상세히 기술되었습니다.
또한, 이 매뉴얼은 모든 도로공사 관련 기관 및 현장에 배포되며,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파일 형태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매뉴얼은 근로자의 안전 인식을 높이는 실질적인 도구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내용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외에 자세한 내용은 필요 시 해당 자료 제공 웹사이트([www.korea.kr](http://www.korea.kr))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참고자료)미국 관세유예 시한 임박, 對美 협상 총력 대응 전략 점검
발행일: 2025-07-03 12:50
원문보기
### 미국 관세유예 시한 임박, 韓美 협상 총력 대응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7월 3일 제48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개최하며, 미국의 관세유예 시한을 앞두고 정부의 대응 전략을 최종 점검했다. 이번 회의는 6월 30일 공청회에 이어 7월 4일 국회 보고를 준비하기 위해 소집되었으며, 韓美 관세협상 추진계획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여 본부장은 현재 미국의 관세정책과 관련해 “유예기간 연장 여부와 향후 조치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언급하며, 7월 9일 이후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을 강조했다.
전 세계 주요국들이 미국과 경쟁적으로 막판 협상을 벌이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이러한 국제적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불리한 입장을 피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여 본부장은 “비상한 각오로 전향적인 협상에 나서야 한다”며 관계부처의 적극적인 협력과 시나리오별 대응책 마련을 지시했다.
정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관세협상 계획을 국회에 보고하고, 관계 부처 간 협력하여 협상 전략을 조정할 예정이다. 관세유예 시한까지 미측과의 집중 협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요 요점:**
– 7월 9일 관세유예 시한 종료 전망, 추가 관세 가능성 대비
– 韓美 협상에 전력을 기울이고,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 확보 목표
– 공청회 이후 국회 보고 및 다각적 대응 전략 마련
관세정책 관련한 국제 정세의 변화를 주시하며, 한국은 최선의 협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계속해서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