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새 정부 첫 세제개편안 발표…’진짜 성장 위한 공평·효율 세제’
요약보기
한국어 새 정부가 2025년 세제 개편안을 발표하며 경제 성장과 민생 안정, 세입 기반 확충 등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AI와 웹툰 등 미래산업 지원을 확대하고, 다자녀 가구와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세제 혜택을 도입하며, 법인세와 증권거래세 인상을 통해 세수 확보를 강화합니다.
총평 이번 개편안은 미래산업 육성과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하면서도 세수 확보를 목표로 해 다양한 경제 주체들에게 혼합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English The new government unveiled its 2025 tax reform plan, aiming to boost economic growth, ensure livelihood stability, and strengthen revenue bases.
The plan includes enhanced support for future industries like AI and webtoons, additional tax benefits for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and small businesses, and revenue reinforcement through corporate and securities transaction tax increases.
Summary This tax reform may have mixed impacts on different sectors, balancing future industry growth and social support alongside tax revenue goals.
日本語 新政府は2025年の税制改正案を発表し、経済成長と国民の安定生活、歳入基盤の強化を目標に掲げました。
AIやウェブトゥーンなど未来産業への支援を拡大するとともに、多子世帯や小規模事業者向けの税優遇を導入し、法人税と証券取引税の引き上げを通じて歳入を確保します。
総評 この税制改正は、未来産業育成と社会的支援を強化しながら税収増加という目標を追求するため、さまざまな経済主体に混合した影響を与え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新政府出台2025年税制改革方案,目标是促进经济增长、稳定民生、加强税收基础。
该方案包括扩大对人工智能和漫画等未来产业的支持,为多子家庭和小企业新增税收优惠,并通过提高公司税和证券交易税来增强税收。
总评 此次税改可能给不同领域带来综合影响,同时兼顾未来产业发展和社会支持的目标。
Italiano Il nuovo governo ha presentato il piano di riforma fiscale 2025, con l’obiettivo di stimolare la crescita economica, stabilizzare il benessere dei cittadini e rafforzare le basi fiscali.
Tra i punti principali ci sono il supporto ampliato per industrie innovative come l’AI e i webtoon, benefici fiscali aggiuntivi per le famiglie numerose e le piccole imprese, e l’incremento delle tasse aziendali e sulle transazioni di borsa per aumentare le entrate pubbliche.
Valutazione Questa riforma fiscale potrebbe avere un impatto diversificato, combinando la crescita delle industrie del futuro e il sostegno sociale con obiettivi di aumento delle entrate fiscali.
이 대통령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로 대외 파고 슬기롭게 넘어야”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상을 통해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경제 협력 및 동맹 관계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또한 국내 내수 확대, 수출 시장 다변화, 규제 혁신 등을 통해 경제적 한계를 극복하고 해외 역직구 시장 성장에 초점을 맞출 것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협상과 정책 방향은 국내외 경제를 안정시키고 민간의 활동을 장려하는 데 실질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announced that the U.S.-South Korea tariff negotiations have reduced uncertainties in the trade environment and are expected to strengthen economic cooperation and alliance relations.
He emphasized expanding domestic demand, diversifying export markets, and promoting regulatory innov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growing the overseas reverse direct-purchase market.
Summary These developments and policies aim to stabilize the economy while facilitating private sector activities for further growth opportunitie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韓米関税交渉が通商環境の不確実性を減少させ、経済協力と同盟関係の強化につながると期待されると述べました。
また、国内需要の拡大や輸出市場の多様化、規制改革などを通じて経済的限界を克服し、海外の逆直輸入市場の成長を強調し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国内外の経済を安定させ、民間部門の活動を促進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宣布通过韩美关税谈判降低了贸易环境的不确定性,并预计将进一步巩固经济合作和联盟关系。
他强调扩大内需、出口市场多元化,以及推进监管创新,尤其要关注海外反向直购市场的发展。
总评 这些政策旨在稳定经济,同时为私营部门创造更多增长机会。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dichiarato che i negoziati sui dazi tra Corea e Stati Uniti hanno ridotto le incertezze nel contesto commerciale, rafforzando la cooperazione economica e le relazioni di alleanza.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espandere la domanda interna, diversificare i mercati di esportazione e innovare i regolamenti, con particolare attenzione al mercato di acquisti diretti inversi all’estero.
Valutazione Queste politiche mirano a stabilizzare l’economia e a incentivare il settore privato per nuove opportunità di crescita.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본격 구축…추진단 출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관련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재생에너지와 저장장치를 AI로 제어해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하며 실증 사업으로 전남에서 먼저 시작됩니다.
지역 배전망 특화, 전력 직거래 활성화, 다양한 전기요금제를 포함한 혁신을 통해 전력 신산업을 활성화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 단위 전력 자립을 높여 주민과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unveiled plans to construct the “Korean-style next-generation power grid.”
This system aims to optimize power production, storage, and consumption through AI-controlled renewable energy and storage devices, with pilot projects starting in Jeollanam-do.
The initiative targets local power grid specialization, direct power transactions, and the diversification of electricity pricing to stimulate the new energy industry.
Summary This policy promises efficient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and increased local energy independence, benefiting both communities and businesses.
日本語 政府は「韓国型次世代電力網」の構築を進める計画を発表しました。
AIを利用して再生エネルギーの生産・保存・消費を最適化するシステムであり、まず全羅南道での実証事業が開始されます。
地域電力網の特化や電力直接取引の活性化、新たな電気料金制導入によるエネルギー新産業の推進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効率的な利用を促し、地域のエネルギー自立を高めることで、住民や企業にとって有益な影響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公布了“韩国型下一代电网建设”计划。
该系统通过AI控制可再生能源和储能设备,实现电力生产、储存和消费的优化,试点项目将在全罗南道开展。
政策旨在实现区域电网特化、促进电力直接交易,并通过多样化电费机制推动新能源产业发展。
总评 此政策有望提高可再生能源的利用效率,增强地方能源独立,为居民和企业带来显著益处。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il piano per costruire la “rete elettrica coreana di nuova generazione.”
Il sistema ottimizza produzione, stoccaggio e consumo di energia attraverso il controllo AI di fonti rinnovabili e dispositivi di accumulo, con progetti pilota avviati in Jeollanam-do.
L’obiettivo è specializzare le reti locali, incentivare la compravendita diretta di energia e favorire la diversificazione delle tariffe elettriche nel settore dell’energia innovativa.
Valutazione La politica potrebbe migliorare l’efficienza delle energie rinnovabili e promuovere l’indipendenza energetica locale, con benefici tangibili per cittadini e imprese.
내년 ‘기준 중위소득’ 4인가구 649만 원…역대 최대 6.51% ↑
요약보기
한국어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4인 가구 기준으로 6.51% 인상된 649만 4738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또한 기초생활보장제도와 관련해 청년 근로소득 공제 대상 확대, 주거급여 및 교육급여 인상 등을 포함한 제도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인상과 제도 변화는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과 자립을 돕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edian income standard for next year has been set at 6.51% higher, reaching 6,494,738 KRW for a family of four.
Additionally, reforms include expanding deductions for youth income, increasing housing and education subsidies, among other supportive measures.
Summary These adjustments aim to provide greater stability and promote self-sufficiency for vulnerable populations.
日本語 来年度の基準中位所得は4人世帯で6.51%増加し、649万4738ウォンに決定されました。
また、青少年の所得控除拡大や住宅・教育給付増額など制度改善が予定されています。
総評 改定と変更は、生活が不安定な層の安定と自立支援を促進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明年的基准中位收入确定为家庭四口升高6.51%,达649万4738韩元。
此外,政策包括扩大青年收入扣除范围,提高住房和教育补贴等改革措施。
总评 此次调整旨在为弱势群体提供更稳定的支持并助力其独立发展。
Italiano Il reddito mediano di riferimento per il prossimo anno è stato aumentato del 6,51%, raggiungendo 6.494.738 KRW per una famiglia di quattro persone.
Inoltre, le riforme includono l’espansione delle deduzioni per il reddito giovanile e l’aumento dei sussidi abitativi e educativi tra le altre misure di sostegno.
Valutazione Questi cambiamenti mirano a migliorare la stabilità e promuovere l’autosufficienza delle fasce vulnerabili della popolazione.
방송 출연 표준계약서, 12년 만에 개정…”편집돼도 출연료 지급”
요약보기
한국어 배우와 가수 등 방송 출연자들이 편집 과정에서 영상이 누락되더라도 출연료를 받을 수 있는 개정된 표준계약서가 발표됐습니다.
이번 개정 계약서는 방송뿐 아니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와 다양한 영상 플랫폼을 포함하며, 계약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반영했습니다.
또한 실연권 보호와 정당한 대가 지급을 강화하고 출연자의 사회적 논란에 대한 책임도 확대했습니다.
총평 이 개정안은 영상 콘텐츠 제작 환경에서 출연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계약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Actors and singers will now receive guaranteed payment even if their appearances are edited out, under the revised standard contract.
This updated contract extends to online video services and ensures clearer stipulations on performers’ rights and obligations, while also strengthening protections for their moral rights.
Additionally, it imposes stricter accountability for performers’ social controversies.
Summary This revision aims to safeguard performers’ rights and promote fairness in the media production ecosystem, benefiting both creators and companies.
日本語 俳優や歌手などの出演者が、動画編集で出番がカットされても報酬を受け取れるようになる改定版の標準契約書が発表されました。
この改訂契約書は、放送だけでなくオンラインビデオサービスにも適用され、出演者の権利や義務を明確にする内容です。
また、出演者の実演権保護や社会的問題に関する責任強化も盛り込まれています。
総評 この改正は、出演者の権利保障と公正な契約文化の定着に向けた重要な一歩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演员和歌手等出演者即使在编辑过程中视频被删减,也能收到酬金的新标准合同已出台。
新版合同不仅适用于广播,还延伸至在线视频服务领域,明确了合同双方的权利和义务,并加强了实演权保护。
此外,对于出演者引发的社会争议,也增加了责任条款。
总评 此次修改对保护出演者权益和推广公平的合同文化具有积极意义。
Italiano Gli attori e i cantanti riceveranno il compenso pattuito anche se le loro apparizioni verranno tagliate durante il montaggio, grazie al contratto standard aggiornato.
Il nuovo contratto si applica non solo alle trasmissioni televisive ma anche ai servizi di streaming online e rafforza i diritti dei protagonisti e i loro compensi.
Inoltre, sono state ampliate le responsabilità in caso di controversie sociali legate agli attori stessi.
Valutazione Questa revisione garantisce maggiore tutela ai protagonisti e promuove un ambiente contrattuale più equo nell’industria audiovisiva.
안성나들목~한남대교 남단 ‘버스전용차로 집중 단속’
요약보기
한국어 경찰청은 고속도로와 서울 시내 버스전용차로에서 승차정원을 위반하는 차량을 단속하고 있습니다.
이번 합동단속은 5대 교통반칙 행위 근절을 위해 서울경찰청과 경기남부경찰청이 협력했으며, 단속 대상은 새치기, 끼어들기, 비긴급 구급차 법규 위반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버스전용차로 운영 규칙을 위반하면 벌금과 함께 벌점이 부과됩니다.
총평 이번 단속은 교통질서 확립에 기여하며 도로 안전 강화를 통해 시민의 일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cracking down on vehicles violating occupancy limits in bus-exclusive lanes on highways and city roads.
This joint oper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nd Gyeonggi Nambu Police targets five major traffic violations, including illegal U-turns and unauthorized entry into bus-only lanes.
Violators face monetary fines and demerit point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road safety and alleviate traffic disruptions, positively impacting public transportation efficiency.
日本語 警察庁は高速道路と市内のバス専用車線で乗車定員を違反する車両を取り締まっています。
ソウル警察庁と京畿南部警察庁が協力して行う今回の取り締まりは、Uターンやバス専用車線の無許可使用を含む5つの主要な交通違反が対象です。
違反者には罰金と違反点数が科されます。
総評 この取り締まりは交通秩序の確立と道路の安全性向上に貢献し、公共交通の効率性を向上させ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警察厅正在对高速公路和市内巴士专用道上的车辆超员行为进行整治。
此次联合执法由首尔警察厅和京畿南部警察厅合作,针对掉头、未授权出入巴士专用车道等五种主要交通违规行为。
违法者将被罚款并记分。
总评 此次执法有助于维护交通秩序,提升公众对道路安全的信心,同时优化公共交通效率。
Italiano L’Agenzia Nazionale di Polizia sta attuando controlli sui veicoli che violano i limiti di occupazione nelle corsie riservate agli autobus su autostrade e strade urbane.
Questa operazione congiunta, condotta con la Polizia Metropolitana di Seul e la Polizia della Gyeonggi Meridionale, mira a contrastare cinque principali infrazioni stradali, inclusa l’entrata non autorizzata nelle corsie bus.
I trasgressori sono soggetti a multe monetarie e punti di penalità.
Valutazione L’iniziativa contribuirà a migliorare la sicurezza stradale e l’efficienza dei trasporti pubblici, garantendo maggiore rispetto delle regole.
65세 이상 어르신에 ‘스포츠 상품권’ 지원…최대 15만 원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가 기초연금을 받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1인당 최대 15만 원의 스포츠 상품권을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상품권은 전국의 제로페이 가맹 스포츠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고, 어르신의 건강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취지로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추진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어르신들의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과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at seniors aged 65 and older receiving basic pensions will be provided with sports vouchers worth up to 150,000 won per person.
The vouchers can be used at sports facilities registered with ZeroPay across the country and aim to enhance seniors’ health and boost regional economies through the supplementary budget.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help seniors adopt healthier lifestyles and stimulate the regional economy.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基礎年金を受給している65歳以上の高齢者に、1人あたり最大15万ウォン分のスポーツ商品券を提供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商品券は全国のゼロペイ加盟スポーツ施設で利用でき、高齢者の健康促進と地域経済の活性化を目指すものです。
総評 本政策は高齢者の健康づくりを支援するとともに、地域経済の再生にも寄与するでしょう。
中文 文化体育观光部宣布将为领取基础养老金的65岁及以上长者提供最高15万韩元的体育消费券。
该消费券可在全国43,000多家注册的零支付加盟体育设施中使用,旨在通过补充预算促进长者健康并活跃地方经济。
总评 此政策将帮助长者提升健康水平,并为地区经济注入活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nunciato la distribuzione di voucher sportivi fino a 150.000 won per persona agli anziani di età superiore ai 65 anni che ricevono la pensione di base.
I voucher possono essere utilizzati nei centri sportivi affiliati a ZeroPay in tutto il paese e mirano a promuovere la salute degli anziani e a stimolare l’economia locale grazie al bilancio supplementar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favorisce uno stile di vita più sano per gli anziani e il rafforzamento delle economie locali.
고위공직자들 만난 이 대통령 “공직자의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와”
요약보기
한국어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을 공유하기 위한 ‘국민주권정부 고위공직자 워크숍’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렸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특강을 통해 공직자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며 정책 감사 폐지를 언급해 주목받았습니다.
또한 AI 기반의 정부 업무 혁신과 국가브랜드 전략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총평 이번 워크숍은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정운영의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A “People’s Sovereignty Government Senior Officials Workshop” was held on the 31st at the Seoul Government Complex to share the new administration’s governance dir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highlighted the responsibilities of public officials in his lecture and suggested abolishing policy audits.
The event also included discussions on AI-driven innovation in government operations and strategies for national branding.
Summary This workshop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consensus on policies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overnance.
日本語 新政府の国政運営の方向性を共有するための「国民主権政府高位公職者ワークショップ」が31日、政府ソウル庁舎で開催されました。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公職者の役割と責任を強調し、政策監査の廃止を提案しました。
また、AIを活用した政府業務の革新や国家ブランド戦略に関する発表と議論も行われました。
総評 このワークショップは国政課題に対する理解と推進力を強化する場となることでしょう。
中文 31日,政府在首尔政府大楼召开了“国民主权政府高级公务员研讨会”,分享新政府的施政方向。
总统李在明在演讲中强调了公务员的职责,并提出废除政策审计的建议。
会上还围绕AI驱动的政府运作创新及国家品牌战略进行了讨论和交流。
总评 此次研讨会有望促进政策共识并提升施政效能。
Italiano Il 31 luglio si è tenuto presso il complesso governativo di Seoul il “Workshop per gli alti funzionari del Governo della sovranità popolare” per condividere le linee di indirizzo del nuovo gover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la responsabilità dei funzionari e suggerito l’abolizione degli audit politici.
Gli interventi hanno incluso anche innovazioni operative basate sull’AI e strategie di branding nazionale.
Valutazione Questo incontro potrà favorire una maggiore coesione politica e migliorare l’efficacia dell’amministrazione futura.
“광복의 감동, 기록으로 다시 만나다”…’기록사랑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제18회 기록사랑 공모전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기록으로 다시 만나는 광복의 감동’을 주제로 글, 그림, 동영상을 공모하며, 우수작 50점을 선정해 시상할 예정입니다.
수상작은 11월 21일 발표되며, 온라인 전시도 계획되어 있습니다.
총평 광복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기록 공모전은 모든 세대가 광복의 가치를 다시 기억하고 미래지향적인 시각을 갖도록 돕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s National Archives announced the 18th “Record Love Contest” to be hel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Marking the 8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the contest invites submissions of writings, artworks, and videos under the theme “Rediscovering the Inspiration of Liberation through Records,” with 50 awards planned.
Winners will be announced on November 21, followed by an online exhibition.
Summary This contest is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all generations to reflect on the legacy of liberation and engage with history creatively.
日本語 行政安全部国家記録院は、8月1日から9月30日まで第18回「記録愛コンテスト」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今年は解放80周年を記念して「記録で再会する解放の感動」をテーマに、文章、絵、動画作品を募集し、50作品を表彰する予定です。
受賞作は11月21日に発表され、オンライン展示会も予定されています。
総評 解放の意義を再認識できるこの記録コンテストは、世代を超えて歴史を振り返り未来志向の視点を持つ良い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行政安全部国家记录院宣布将于8月1日至9月30日举办第18届“记录热爱比赛”。
今年比赛以“通过记录重温解放的感动”为主题,纪念解放80周年,征集文章、绘画、视频作品,并计划评选50件优秀作品进行表彰。
获奖作品将于11月21日公布,并举办在线展览。
总评 此次比赛旨在通过创意记录,让更多人重新感受解放的历史意义,并向未来传递希望。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la 18ª edizione del concorso “Amore per i Documenti” che si terrà dall’1 agosto al 30 settembre.
Quest’anno, in occasione dell’80º anniversario della liberazione, il concorso accoglie opere scritte, artistiche e video sul tema “Ritrovare l’Emozione della Liberazione nei Documenti”, con un totale di 50 premi previsti.
I vincitori saranno annunciati il 21 novembre, seguiti da una mostra online.
Valutazione Questo concorso offre un’importante opportunità per riflettere sul valore storico della liberazione e guardare al futuro con consapevolezza.
관세청, 소상공인·혁신 중소기업까지 세정 지원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관세청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 부담을 줄이고 가족친화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8월 1일부터 세정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소상공인은 중소기업 대비 완화된 기준으로 지원받을 수 있고, 수출 바우처 기업 및 혁신 프리미어 1000 선정 기업도 포함됩니다.
또한 가족친화기업에게는 관세조사 유예 혜택을 확대하며, 세정지원 신청 절차를 간소화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소상공인과 가족친화기업의 운영 부담을 줄여 기업 환경 개선과 성장을 돕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glish Korea Customs Service announced that it will expand its tax support program starting August 1 to alleviate financial burdens on SMEs, small businesses, and family-friendly companies.
Small businesses will now be eligible under eased conditions, and export voucher companies as well as Innovation Premier 1000 firms are added to the support list.
Family-friendly firms will receive extended customs investigation deferment benefits, and the application process for tax support will be simplified.
Summary This policy aims to reduce operational burdens for small businesses and family-friendly firms, fostering a better environment for business growth.
日本語 関税庁は8月1日から中小企業や小規模事業者の経済負担を軽減し、家族に優しい企業への支援政策を拡大すると発表しました。
小規模事業者には基準を緩和して支援範囲を広げ、輸出バウチャー企業やイノベーション・プレミア1000選抜企業も対象に追加します。
さらに家族に優しい企業には税務調査の延期特例を拡充し、申請手続きの簡素化も進められます。
総評 この施策により小規模事業者や家庭重視の企業が運営の負担を軽減し、より成長に集中できる環境が整う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海关总署宣布从8月1日起扩大全税支持范围,以减轻中小企业和小微企业的资金压力,同时支持家庭友好型公司。
小微企业可在放宽条件下获得支持,出口凭证企业及创新卓越1000企业也被纳入支持名单。
此外,家庭友好型企业可享受扩大的关税调查延期优惠,申请程序也将简化。
总评 这一政策有望缓解小微企业和家庭友好型企业的经营压力,为其发展创造更有利的条件。
Italiano L’Agenzia delle Dogane coreana ha annunciato che dal 1º agosto amplierà il programma di sostegno fiscale per ridurre il peso finanziario su PMI, piccole imprese e aziende a misura di famiglia.
Le piccole imprese potranno beneficiare di condizioni agevolate, mentre le aziende con voucher di esportazione e quelle selezionate nell’Innovation Premier 1000 sono state aggiunte ai destinatari.
Le aziende a misura di famiglia riceveranno ulteriori agevolazioni per il rinvio delle indagini doganali e saranno semplificate le procedure di richiesta di supporto fiscal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ridurre i costi operativi, favorendo un ambiente più stimolante per il successo delle piccole imprese e delle aziende familiari.
소방청, 돌봄 공백 세대에 ‘단독 경보형 감지기’ 무상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은 최근 주택 화재로 어린이가 희생되는 사고가 이어짐에 따라 돌봄 공백 세대를 대상으로 ‘단독 경보형 감지기’를 무상 지원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감지기는 연기를 감지해 경보음을 울려 신속히 화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소방시설로, 별도의 전기공사 없이 설치 가능합니다.
신청 대상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특정 조건의 가정을 포함하여 내달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화재 위험에 취약한 가정을 보호하고 어린 생명을 지키는 데 중점을 둔 실질적인 예방 조치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Fire Agency announced a plan to provide free ‘stand-alone smoke detectors’ to vulnerable households, such as care gap families, following recent fatal housing fires involving children.
These detectors, which operate on batteries, detect smoke and alert residents with alarms, enabling quick action without requiring electrical work for installation.
Applications will be open starting next month for households meeting specific qualifications, such as lack of sprinklers.
Summary This policy is aimed at reducing fire risks and protecting vulnerable families, making it a significant step towards safety enhancement.
日本語 消防庁は、最近発生した住宅火災により子供が犠牲になった事例を受け、ケアが不足している家庭に無料で「単独警報型感知器」を支援する政策を打ち出しました。
この感知器は煙を感知して警報音を鳴らし、迅速な火災認識を可能にするもので、電気工事なしで簡単に設置できます。
申請は来月から可能で、スプリンクラー未設置の特定条件を満たす世帯が対象です。
総評 この政策は火災に弱い家庭を保護し、子供の生命を守るための実効性の高い予防策です。
中文 消防厅宣布将向包括“照护缺口家庭”在内的易受火灾影响的家庭免费提供“独立式报警感烟探测器”。
这种探测器通过电池运行,可检测烟雾并发出警报声,无需额外电气工程即可轻松安装。
符合特定条件的家庭可从下个月开始提交申请,如无洒水器安装的家庭。
总评 此政策旨在保护易受火灾影响的家庭,特别是弱势儿童家庭,是加强火灾防控的实际举措。
Italiano L’Agenzia Nazionale dei Vigili del Fuoco ha annunciato un piano per fornire gratuitamente ‘rilevatori autonomi di fumo’ alle famiglie vulnerabili, come quelle con carenze assistenziali, dopo i recenti incendi domestici che hanno coinvolto bambini.
I rilevatori, alimentati a batteria, rilevano fumo e emettono segnali di allarme, facilitando il riconoscimento rapido senza bisogno di installazioni elettriche.
Le domande saranno aperte il prossimo mese per famiglie che soddisfano criteri specifici, come l’assenza di sprinkler.
Valutazione Questa politica offre una reale protezione contro gli incendi per le famiglie vulnerabili ed è un passo concreto per migliorare la sicurezza domestica.
정부, 고용악화 우려지역 사전지원…”고용유지지원금 등 더 많이”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가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를 시행하며, 고용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강화합니다.
이 지역에 최대 6개월 동안 고용유지지원금, 직업능력개발 지원, 생활안정자금융자 등의 지원이 확대됩니다.
총평 이번 제도는 고용 불안정 지역 주민들에 대한 선제적 지원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implemented the “Employment Crisis Preemptive Response Areas” system to strengthen support for regions with potentially worsening employment situations.
These areas will receive expanded support for up to six months, including subsidies for employment retention, vocational training, and livelihood stabilization loan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foster economic stability and job security in regions facing employment uncertainty.
日本語 雇用労働部が「雇用危機先制対応地域」制度を施行し、雇用状況の悪化が懸念される地域への先制的な支援を強化します。
最大6ヶ月間、雇用維持支援金や職業能力開発支援、生活安定資金融資などの支援が拡大されます。
総評 この制度は雇用不安定な地域に住む人々に先制的な支援を提供し、地域経済の安定化に貢献す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就业劳动部实施了“就业危机预先响应区域”制度,加强对就业状况可能恶化地区的预防性支持。
这些地区将获得最多6个月的扩展支持,包括就业保留补贴、职业技能开发和生活稳定资金贷款等措施。
总评 此措施预计将帮助不稳定就业地区居民保住工作,对当地经济稳定起到积极作用。
Italiano Il Ministero dell’Occupazione e del Lavoro ha introdotto il sistema delle “Aree di Risposta Preemptiva alla Crisi Occupazionale” per intervenire preventivamente nelle regioni con possibili peggioramenti della situazione lavorativa.
Queste aree riceveranno un sostegno ampliato per un massimo di sei mesi, inclusi sussidi per la conservazione del lavoro, formazione professionale e prestiti di stabilizzazione del reddito.
Valutazione Questa misura mira a rafforzare la stabilità economica e l’occupazione nelle aree più vulnerabili.
정부, 미 금리동결에 “불확실성 대응, 금융·외환시장 24시간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대외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해 금융과 외환 시장을 24시간 모니터링 하며 대응 체계를 계속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최근 주식·채권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 대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평가하며,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금융 시장 변동성에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해 개인 투자자의 안정성과 경제 안정을 돕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decided to maintain a 24-hour monitoring system for financial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to address external economic uncertainties following the U.S. interest rate freeze.
During a joint macroeconomic finance meeting, officials evaluated recent stability in stock and bond markets but emphasized the need for proactive responses due to ongoing international uncertainties.
Summary This policy aims to stabilize financial markets and provide timely support, potentially mitigating risks for individual investors and the economy.
日本語 政府はアメリカの金利据え置き決定を受けて、金融・外国為替市場を24時間モニタリングする体制を維持する方針を決定しました。
関係機関の合同会議では、最近の株式や債券市場は安定しているが、依然として国際的な不確実性が残るとの評価がされ、積極的な対応の重要性が強調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市場の安定性を保ち、個人投資家と経済へのリスクを未然に防ぐ効果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决定在美国利率冻结后,继续保持金融和外汇市场的24小时监测体系,以应对外部经济不确定性。
在联合宏观经济金融会议上,与会者评估了近期股市和债市的相对稳定,但强调需警惕外部不确定性并提前应对。
总评 此政策有望稳定金融市场,帮助个人投资者应对潜在风险,并促进经济安全。
Italiano Il governo ha deciso di mantenere un sistema di monitoraggio 24 ore su 24 per i mercati finanziari e valutari, al fine di affrontare le incertezze economiche esterne dopo il mantenimento dei tassi di interesse negli Stati Uniti.
In una riunione congiunta di macroeconomia e finanza, è stato valutato che i recenti mercati azionari e obbligazionari sono relativamente stabili, ma rimangono incertezze internazionali, sottolineando l’importanza di risposte proattiv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contribuire a stabilizzare i mercati finanziari e proteggere gli investitori individuali dai rischi economici.
한미 국방장관 첫 통화…”한미동맹 더욱 심화·발전”
요약보기
한국어 한·미 국방장관이 역내 안보 상황을 점검하며 한미동맹과 연합방위태세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
두 장관은 동맹 현대화를 위한 협의를 이어가고, 조선·MRO 및 첨단과학기술 협력 확대를 약속했습니다.
총평 이번 협의는 양국의 안보와 방위 협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첨단기술 발전과 경제적 기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English The South Korean and U.S. Defense Ministers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the ROK-U.S. Alliance and joint defense posture while reviewing the regional security situation.
They agreed to continue modernizing the alliance and expand cooperation in shipbuilding, MRO, and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Summary This discussion is expected to solidify the security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potentially advance technological and economic opportunities.
日本語 韓国とアメリカの国防相が地域の安全保障状況を点検し、韓米同盟と連合防衛体制の重要性を再確認しました。
また、同盟の近代化を進めるとともに、造船・MROおよび先端科学技術分野での協力拡大を約束しました。
総評 この協議は安全保障を強化するだけでなく、技術革新や経済分野にも肯定的な影響を及ぼすと期待されます。
中文 韩美国防部长检查了地区安全局势,重申了韩美同盟和联合防御态势的重要性。
双方同意继续推动同盟现代化,并扩大在造船、MRO和先进科学技术领域的合作。
总评 此次合作不仅将巩固安全伙伴关系,还可能推动科技与经济领域的进一步发展。
Italiano I Ministri della Difesa di Corea del Sud e Stati Uniti hanno ribadito l’importanza dell’alleanza ROK-U.S. e della postura di difesa congiunta rivedendo la situazione della sicurezza regionale.
Hanno concordato di continuare a modernizzare l’alleanza e ampliare la cooperazione nei settori della cantieristica navale, MRO e tecnologie innovative.
Valutazione Questa intesa potrà rafforzare la sicurezza tra i due paesi e contribuire anche a innovazioni tecnologiche e opportunità economiche.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요약보기
한국어 한미 관세 협상 결과, 미국은 우리나라에 부과 예정이었던 상호 관세율을 25%에서 15%로 조정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반도체와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불리한 관세 부과 가능성도 낮춰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협상은 관세 부담을 줄여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적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U.S.-South Korea tariff negotiations concluded with the U.S. agreeing to lower reciprocal tariff rates from 25% to 15%.
Additionally, South Korea secured favorable treatment on semiconductor and pharmaceutical products, enhancing competitiveness for local businesses.
Summary This negotiation reduces financial burdens on exports, boosting South Korea’s trade competitiveness and minimizing economic uncertainties.
日本語 韓米間の関税交渉の結果、米国は韓国に課す予定だった相互関税率を25%から15%に引き下げることで合意しました。
さらに、半導体や医薬品などの主要品目に対する不利な関税課税の可能性も低下し、韓国企業の競争力が強化される見込みです。
総評 この交渉は韓国企業の対米輸出競争力を高め、経済的不確実性を解消する重要な成果です。
中文 韩美关税协商结果,美国同意将对韩国的相互关税率从25%降低至15%。
此外,韩国确保了对芯片和药品等主要项目的优惠对待,有助于提升企业竞争力。
总评 此次协商有助于减少出口关税负担,提高韩国企业对美国市场的竞争力,同时降低经济不确定性。
Italiano Nel negoziato sui dazi tra Corea del Sud e Stati Uniti, gli USA hanno concordato di ridurre le tariffe reciproche dal 25% al 15%.
La Corea del Sud ha inoltre ottenuto condizioni favorevoli per semiconduttori e prodotti farmaceutici, aumentando la competitività delle sue imprese.
Valutazione Questa intesa porterà vantaggi significativi, riducendo i costi per l’export e migliorando la stabilità economica per le imprese coreane.
한미 관세협상 타결…대통령실 “수출 환경 불확실성 상당 부분 제거”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 정부는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하여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주요 경쟁국과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습니다.
특히 자동차 관세는 15%로 낮아졌으며, 조선업과 반도체 등 주요 산업 분야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협상은 우리 기업들에게 새로운 수출 기회를 제공하고 대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cluded tariff negotiations with the U.S., reducing uncertainties in export conditions and enabling competition under superior terms.
The deal lowered car tariffs to 15% and plans to establish investment funds in sectors like shipbuilding and semiconductors.
Summary These negotiations open new export opportunitie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 edge of Korean companies in the U.S. market.
日本語 韓国政府はアメリカとの関税交渉を終え、輸出環境の不確実性を低減し、主要競合国に対して優位性を持った条件で競争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
自動車の関税は15%に引き下げられ、造船業や半導体など主要産業分野に対するアメリカ向け投資ファンドが設立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交渉は韓国企業に新たな輸出機会をもたらし、アメリカ市場での競争力強化に寄与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政府与美国完成关税谈判,减少出口环境的不确定性,并提供与主要竞争国相比更优越的竞争条件。
汽车关税降低至15%,造船、半导体等领域将设立面向美国的投资基金。
总评 此次谈判有望为韩国企业创造新的出口机会,加强其在美国市场的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coreano ha concluso negoziati sui dazi con gli Stati Uniti, riducendo l’incertezza nell’ambiente di esportazione e garantendo condizioni di competizione migliori rispetto ai paesi concorrenti.
I dazi sulle auto sono stati ridotti al 15%, e fondi di investimento saranno stabiliti in settori come cantieristica navale e semiconduttori.
Valutazione Questi negoziati offrono nuove opportunità di esportazione e rafforzano la competitività delle aziende coreane nel mercato americano.
요약
원문보기
**[2025년 세제개편안 발표: 주요 내용과 전망]**
새 정부의 첫 세제개편안이 발표되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안을 통해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라는 비전 아래 경제강국 지원, 민생안정, 세입기반 확충 등을 핵심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번 개편안은 특히 혁신산업 지원, 취약계층 보호, 조세제도 합리화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 **1. 경제강국 도약 지원**
**미래전략산업 세제 혜택 강화:**
–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관련 연구개발(R&D) 및 설비투자에 대해 대규모 세액공제를 제공합니다.
– R&D 세액공제율: 중소기업 40~50%, 중견기업 30~45%, 대기업 30~40%.
– 데이터센터 투자 세액공제: 중소기업 최대 35%, 중견기업 최대 18%, 대기업 최대 16%.
– 웹툰 콘텐츠 제작비: 일반기업 10%, 중소기업 15% 세액공제 신설.
– 방위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관련 기술 및 시설도 신성장·원천기술로 추가 지정.
**자본시장 활성화 및 고용 창출 지원:**
– 고배당 기업 배당소득에 대해 2024년부터 분리과세 적용.
– 종합소득세율(최대 45%)보다 낮은 14~35% 세율로 과세.
– 지방 중소기업 고용세액공제 상향: 1인당 2000만 원까지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 공장 및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 시 최대 15년간 세액감면 혜택.
– 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율 확대: 10만 원 초과분의 40% 공제.
—
### **2. 민생안정을 위한 포용적 세제**
**다자녀 가구 및 교육비 지원:**
–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자녀 2명 이상 가구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를 300만 원 → 400만 원으로 확대.
– 초등학교 1~2학년의 예체능 학원비 지출액 공제 신설: 지출액의 15% 공제, 연 300만 원 한도.
– 다자녀 가구 월세공제 기준 완화: 주택 기준을 85㎡ 이하 → 100㎡ 이하로 변경.
**소상공인 세정 지원:**
–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3년 연장.
– 노란우산공제 해지 요건 완화 및 스마트 설비 투자 세액공제 신설.
– 지역사랑상품권을 업무추진비로 인정.
—
### **3. 세입기반 확충 및 조세제도 합리화**
**법인세율 환원:**
– 과세표준 구간별로 법인세율 1%p씩 인상. (최고 세율 25% 적용.)
– 2022년 수준으로 돌아가며 대규모 기업에 더 높은 세 부담 부과.
**대주주 기준 변경 및 증권거래세 원상복귀:**
– 대주주 기준: 현행 50억 원 → 10억 원으로 하향.
– 증권거래세율 인상: 코스피 0.05%, 코스닥·K-OTC 0.2%로 조정.
**금융·보험회사 대상 과표구간 신설:**
– 매출 1조 원 이상 금융 및 보험회사의 교육세율: 0.5% → 1.0%로 인상.
—
### **정부의 기대와 전망**
이번 개편안의 결과로 약 8조 1672억 원의 추가 세수가 거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성장과 형평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경제 활력 제고와 조세제도의 공정성을 확립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앞으로의 일정:**
– **입법예고 기간:** 2023년 8월 14일까지
– 이후 차관회의 및 국무회의를 통해 최종 확정 후 국회 제출 예정.
—
### **마무리**
이번 개편안은 혁신산업육성을 위한 적극적 지원과 특정 계층 및 산업의 세금 부담 증가를 통해 세수 기반을 확충하려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입법 과정에서 기업과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보다 공정하고 균형 있는 세제 개편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열린 제6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관련해 국제 통상 질서의 급변을 언급하며 국익 중심의 실용적인 외교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한미 협상의 결과가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양국 간 경제 협력과 동맹 관계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국민 우려 사항 점검 및 후속 조치 마련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내수 비중 확대 및 수출 시장 다변화 등의 장기적인 경제 전략을 준비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또한, 이 대통령은 범정부 차원의 규제 혁신과 투자 촉진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며 네거티브 규제 방식 도입을 통한 규제 완화를 독려했습니다. 해외 역직구 시장의 성장 부족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민간 기업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정비를 요구했습니다.
대통령은 최근 발생한 스토킹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 사건을 언급하며, 관계 당국의 부실한 대처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책 마련을 당부하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책임을 다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환경 분야에 있어서는 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전력망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안을 모색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과 미래 대비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로 풀이됩니다.
이번 회의는 다양한 국내외 이슈를 다루며, 경제부터 사회안전 및 환경까지 전 분야에 걸친 정책 방향성과 대책 마련의 중요성을 재확인한 자리였습니다.
원문보기
###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화…분산형 에너지 시대 연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산에 따른 전력망 전환을 목표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이는 국내 전력 시스템을 기존의 단방향 송배전 방식에서 양방향 지능형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으로 전환하는 한편,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 분산형 에너지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전략입니다.
—
### 1. **차세대 전력망 주요 특징과 개념**
– **지능형 전력망**: AI 기반으로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해 재생에너지와 ESS(에너지 저장장치)를 관리하는 마이크로그리드 도입.
– **양방향 전력망**: 태양광 등 분산 에너지가 배전망을 통해 수요처로 전달되고 남는 전력은 송전망으로 전송.
– **소규모 전력망 중심**: 기존 송전망 중심 시스템과 달리 지역 단위의 소규모 분산형 전력망 구축.
이러한 전력망 전환은 에너지 효율화와 전력 시스템 안정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2. **정책 목표와 실증 사업**
– **정책 목표**
1. 재생에너지 친화적인 전력 시스템 구축.
2. 발전 지역과 소비 지역 간 전력 수급 균형 확보.
3. 전력망 기술 및 서비스의 수출 산업화.
– **실증 사업 계획**
– 첫 번째 실증 지역으로 **전라남도** 선정. 이는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많고 관련 연구기관(한국에너지공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이 위치한 점을 고려한 결정.
– 이후 전국으로 확대하여 산업단지, 공항, 군부대 등 맞춤형 전력망 구축 시범사업 병행.
– 예: 철강업 중심 산업단지에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 생산**과 같은 탈탄소 공정 추진.
—
### 3. **추진 체계와 규제 특례**
정부는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을 구성해 로드맵 수립 및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합니다. 추진단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외에도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코트라 등의 유관기관, 민간 기업,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 **규제 특례**:
– 전기사업법 및 전력시장 규제 완화.
– 지역 발전사와 기업 간 전력 직접 거래 허용.
– 다양한 전기요금제 도입 및 신산업 활성화 목표.
—
### 4. **주요 사례와 도입 가능성**
– **주민 참여형 RE100 마을**: 유럽 마을 협동조합 사례를 모델로, 마을단위에서 재생에너지 공동 설치 및 활용.
– **에너지 취약 지역 개선**: 에너지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 재생에너지를 도입, 지역 경제 활성화 및 환경 개선.
—
### 5. **기술과 추가 정책**
정부는 차세대 전력망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 및 정책을 병행 추진합니다:
–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및 장주기 ESS 핵심 기술 개발.
– 재생에너지 판매 입찰 시장 확대.
–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확대 및 이익 공유 시스템 마련.
– 배전망에 대규모 ESS 설치 등.
—
### 6. **의미와 기대효과**
이번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전력 시스템의 디지털화와 친환경화를 본격 추진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전력 시장의 현대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정부는 전력 산업의 탈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려면 민간과 정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문의처**: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 신산업분산에너지과(044-203-3951)
– 전력시장과(044-203-3923)
**출처**: 대한민국 정부 공식 블로그 (www.korea.kr)
원문보기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 소식]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사회복지제도에 변화가 예정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8월 31일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해 이를 확정하며 다양한 복지사업의 혜택 확대로 이어질 것을 발표했습니다.
—
#### 주요 발표 내용:
#### 1. **기준 중위소득 인상**
– **4인 가구 기준**: 올해 610만 7106원에서 649만 4738원으로 **6.51% 인상**. 이는 **역대 최대 증가율**로, 5년 연속 최고치 기록입니다.
– **1인 가구 기준**: 올해 239만 2013원에서 256만 4238원으로 **7.20% 인상**, 특히 1인 가구에게 높은 비율 적용.
#### 2.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및 인상폭**
– 생계급여: **32%**(4인 가구 기준 195만 1287원 → 207만 8316원).
– 의료급여: **40%**, 동일 수준 유지.
– 주거급여: **48%**, 임차가구 기준임대료 인상 (급지·가구원수별 1만 7000원~3만 9000원 추가).
– 교육급여: **50%**, 교육활동지원비 평균 **6% 인상**.
#### 3. **제도개선 및 확대 혜택**
– **청년층 근로소득 공제 확대**: 자립 지원을 강화, 더 많은 청년이 자활할 수 있도록 여건 조성.
–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승합·화물자동차, 다자녀 가구에 일반재산 환산율 적용.
– **생계급여 수급자 확대**: 약 **4만 명 추가** 예상.
#### 4. **의료 및 정신건강 지원 확대**
– 의료급여: 기존 의외진료 본인부담률 적용 계속 유지, 단 365회 초과 외래진료는 **30% 본인부담**.
– 정신질환 치료: 항정신병 장기지속형 주사제 본인부담률 인하(5% → 2%)로 치료 접근성 및 효과성 기대.
– 부양비 기준 완화: 더 많은 대상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개편.
—
#### 기대 효과 및 전망
이번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복지제도 개선은 **사회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과 자활 여건을 강화하는 방향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1인 가구와 청년층**에 대한 인상폭 확대와 지원 요구를 반영하며, 효과적인 복지 정책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번 정책에 대한 문의는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044-202-3066)**로 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방송·영상 출연표준계약서 전면 개정: 출연자 권익 보호 강화
문화체육관광부가 대중문화예술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방송·영상 출연표준계약서를 12년 만에 대폭 개정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방송뿐 아니라 OTT 및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영상물에도 계약서를 폭넓게 적용함으로써 변화하는 콘텐츠 제작 환경에 대응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
#### **출연료 지급 기준 확대**
개정 표준계약서에 따르면, 출연자가 계약에 따라 촬영 등의 용역을 제공한 경우 편집 과정에서 본인의 영상이 일부 누락되더라도 출연료는 지급됩니다. 이는 현재까지 일부 사례에서 영상 편집 누락을 근거로 출연료 지급이 거부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미공개 영상이나 변형된 콘텐츠를 활용할 경우 별도의 대가 지급 규정이 명시되었습니다.
—
#### **실연권 보호 강화**
최근 다양한 영상 플랫폼의 확산으로 실연권 포괄 양도 및 대가 미지급 사례가 잦아지며 출연자의 권익 침해가 우려됐습니다. 이에 따라 제작사가 송출 매체를 출연자와 사전에 합의하고, 계약 후 새로 등장한 매체에서 실연권을 사용할 때는 별도로 합의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출연자의 실연권을 보다 철저히 보호합니다.
—
#### **출연자의 사회적 물의에 대한 책임 명확화**
출연자의 불미스러운 사회적 행위로 인해 제작사 또는 방송사가 손해를 입을 경우 배상 근거를 제시한 조항도 포함됐습니다. 학교폭력, 사생활 논란 등 사회적 물의가 포함된 사례까지 포괄적으로 지정하여 손해 발생 가능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
#### **새로운 계약 관리 체계 도입**
기존 직군 중심 계약 체계는 음악, 드라마, 비드라마 등 분야 중심으로 개편됐습니다. 또한 매니지먼트사가 출연자를 대리해 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 관계의 변화 사항을 사업자에게 통보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이는 계약의 관리 책임을 더욱 명확히 하는 조치입니다.
—
#### **정책적 의의와 향후 계획**
문체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제작사와 출연자 간 분쟁을 줄이고,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계약 문화 정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개정된 표준계약서는 문체부 및 한국콘텐츠진흥원 누리집에 게시되며, 방송통신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현장 보급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문체부 관계자는 “표준계약서 개정을 계기로 예술인의 권익을 실효적으로 보호하고,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공정한 계약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출연료 지급 기준 강화, 실연권 보호, 그리고 계약 체계 개편까지 포함한 이번 개정 내용은 콘텐츠 제작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출연자와 제작사 간의 공정한 관계를 이루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5대 교통반칙 근절 위한 경찰청 합동단속 실시
경찰청은 국민의 도로 안전을 확보하고자 31일 서울경찰청, 경기남부경찰청과 함께 **5대 교통반칙 행위**에 대한 합동단속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단속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안성나들목부터 서울 한남대교 남단까지**로, 버스전용차로 위반을 중심으로 단속이 이뤄졌습니다.
—
### **5대 교통반칙 행위란?**
1. 새치기 유턴
2. 버스전용차로 위반
3. 꼬리물기
4. 끼어들기
5. 비긴급 상황에서의 구급차 법규 위반
—
### **버스전용차로 운영 및 위반 시 처벌**
– **운영 구간 및 시간**
– *고속도로*: 평일에는 양재나들목~안성나들목(58.1㎞), 토요일·공휴일에는 양재나들목~신탄진나들목(134.1㎞)까지.
– *서울 시내 구간*: 한남대교 남단~양재나들목은 고속도로와 동일 원칙 적용.
– *운영 시간*: 오전 7시~밤 9시.
– **사용 가능 차량**
– 6인 이상 탑승한 9인승 이상 승용차
– 12인승 이하 승합차
– **위반 시 처벌**
– 승용차: 범칙금 6만 원 + 벌점 30점
– 승합차: 범칙금 7만 원 + 벌점 30점
—
### **단속 현황 및 경찰 대응**
– **단속 규모**
– 참여 인력: 서울경찰청·경기남부경찰청 소속 경찰관 27명
– 장비: 암행순찰차 및 일반순찰차 총 16대
– **중점 단속 대상**
– 승차정원 위반 차량
한창훈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은 “**버스전용차로 위반 근절 및 고속도로 환경 개선**을 위해 도로전광판(VMS), 플래카드, 광고지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라며, 연말까지 단속을 지속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
이번 합동단속은 국민의 도로 이용 안전성을 높이고, 교통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운전자들은 관련 법규를 준수해 교통 안전에 기여해야 할 것입니다.
원문보기
**기초연금 수급자 대상 ‘어르신 스포츠 상품권’ 최대 15만 원 지원**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민체육진흥공단과 함께 기초연금을 받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최대 1인당 15만 원의 스포츠 상품권을 지원합니다. 이 사업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여 어르신의 신체 건강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추진됩니다.
### **주요 내용**
– **지원 대상**: 기초연금을 받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
– **지원 금액**: 상품권 1장당 5만 원, 1인당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
– **사용처**: 제로페이 가맹점으로 등록된 전국 4만 3000여 개 스포츠시설
– 대표적 사용처: 수영장, 파크골프장, 체력단련장 등 공공체육시설
### **상품권 신청 및 사용 안내**
– **신청 기간**:
– 1차 신청: 8월 4일 ~ 13일
– 추가 신청: 10월 예정
– **신청 방법**: 전용 누리집([ssvoucher.co.kr](http://ssvoucher.co.kr))에서 신청
– **사용 가능 기간**: 1차 지원 상품권은 9월부터 10월 31일까지 사용 가능
현재 제로페이 시스템을 통해 지급되는 상품권은 어르신들이 신체 건강을 증진하고 활력 있는 노년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와 함께 체육시설 소비 증진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입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어르신들의 행복한 생활과 더불어 민생 회복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진흥과 (044-203-3134)
원문보기
**새 정부 국정운영 방향 논의, 고위공직자 워크숍 개최**
7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을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한 ‘국민주권정부 고위공직자 워크숍’이 개최되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이 워크숍은 새 정부의 국정 비전에 대한 공직사회의 이해도를 높이고 국정 추진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중요한 국정 방향과 과제들이 심도 있게 다뤄졌다.
### **워크숍 주요 참여자와 개요**
이날 워크숍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해 중앙부처 장·차관, 실장급 이상 공직자, 대통령비서실 비서관급 이상 공직자 등 약 280여 명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새 정부 국정운영방향 및 고위공직자의 자세’를 주제로 약 1시간 동안 특강을 진행하며, 국정 철학과 공직자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 요지**
특강에서 이 대통령은 먼저 한미 관세 협상 결과를 언급하며 관련 부처와 공직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는 협상 당시 전략적 침묵을 유지했던 이유를 “협상의 민감성을 감안해야 했던 상황”이라며 비유적으로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공직자의 역할이 국민 중심에 있음을 거듭 강조하며, “우리가 행사하는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며, 국민을 위한 사고와 행정이 공직자의 본질”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책 감사의 폐지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행정적 재량권을 위축시키지 않고, 공직자들이 보다 자유롭고 혁신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언급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 **후속 발표와 자유 토론**
워크숍에서 조한상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은 ‘K이니셔티브’를 주제로 국가 브랜드와 혁신에 대해 발표하며, 새로운 국정 방향에 대한 비전을 공유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대전환’을 통한 정부의 일하는 방식과 문화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참석자들의 자유 토론이 진행되어 각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고 국정 운영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대통령실의 평가와 기대**
대통령실은 이번 워크숍이 고위공직자들에게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직접 듣고 토론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정운영 방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향후 국정 과제 추진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워크숍은 정책의 실질적 실행력을 강화하고, 새 정부의 국정 비전을 공직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소통의 자리가 지속적으로 마련될 필요성이 강조된다.
원문보기
### 제18회 기록사랑 공모전, 광복 80주년의 감동을 기록으로 재조명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주최하고, ‘광복 8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와 교육부가 후원하는 **’제18회 기록사랑 공모전’**이 **2023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공모전은 2025년 광복 80주년을 기리며 국민들과 함께 그 의미를 돌아보고 축하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공모전 개요 및 주제
– **주제:** “기록으로 다시 만나는 광복의 감동”
– **참가대상:** 초등부, 중·고등부, 일반부로 나누어 진행
– **주제 세부내용:**
1. **광장의 기쁨에서, 일상의 기록으로**
– 일상 속의 기록을 통해 광복의 환희를 발견하는 작품 공모
2. **기록으로 이어진 광복, 미래로 피어나다**
– 광복의 의미를 기록으로 재조명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을 표현
#### 응모 부문 및 신설된 분야
참가자는 글(시·산문), 그림(포스터·캘리그라피·웹툰), 동영상(숏폼·미드폼) 중 선택하여 자유롭게 창작물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수용하고자 **’웹툰’**과 **’숏폼’** 부문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 시상 내역
올해 시상 규모는 이전 공모전보다 10점 늘어난 총 50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행정안전부 장관상:** 5명
– **교육부 장관상:** 5명
– **국가기록원장상:** 40명
수상작은 외부 전문가 심사의 공정을 거쳐 선정되며, 결과는 **2023년 11월 21일** 국가기록원 웹사이트(국가기록포털)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또한, **온라인 전시회**를 통해 수상작들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 의미와 기대
이용철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공모전에 대해 “광복 80년을 국민과 함께 축하하며, 이를 계기로 광복의 감동을 다시 한 번 되새기길 바란다”고 전하며, “앞으로도 기록을 통해 국민과 만나는 기회를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참여 방법 및 문의
자세한 공모전 정보는 국가기록원 누리집 공모전 안내문 또는 모집 포스터의 QR코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 문의는 아래를 통해 가능합니다.
– 문의: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031-750-2223)
이번 공모전은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기록을 통해 되새기고, 나아가 미래 세대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뜻깊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
**공모전 바로가기:** [국가기록포털](http://www.archives.go.kr)
원문보기
### **관세청, 소상공인 및 가족친화기업 대상 세정지원 확대 발표**
관세청은 오는 8월 1일부터 **세정지원 대상 확대**를 발표하며,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수출입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 부담 완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한 저출생 극복과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을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
### **세정지원 확대 주요 내용**
1. **소상공인 지원 분야 신설**
– 기존 중소기업 중심의 지원에서 벗어나, 소상공인을 별도로 구분하여 맞춤형 기준을 도입.
– **지원 대상 조건 완화:** 중소기업은 최근 2년간 수입실적이 필요했으나, 소상공인이면 최근 1년간 수입실적만으로 지원 가능.
2. **지원 대상 확대**
– **수출 개척 및 혁신 중소기업** 추가: 중기부 **수출바우처 사업 대상 기업** 및 금융위원회 **혁신 프리미어 1000 선정 기업**을 포함.
– **원산지인증수출자**에 대한 지원 강화.
3.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정책**
– **가족친화인증기업 및 청년 일자리 강소기업**에 관세조사 유예 혜택 확대.
–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 유연근무제 및 자녀 출산·양육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 대상.
4. **납부기한 연장 기준금액 폐지**
– 기존 5000만 원 이상의 추징세액 규모 제한을 폐지하여 납부기한 연장 및 분할납부 가능.
5. **신청 절차 간소화**
–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인 **유니패스** 개선으로 기업이 간편하게 세정지원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
### **정책 기대 효과**
– **세정지원 사각지대 최소화:** 소상공인, 혁신기업 등 다양한 주체를 포괄하며 전문화된 지원.
– **중소기업 자금 부담 완화:** 경기둔화에 따른 내수 부진 타개책 제공.
– **저출생 대응 및 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동시에 장기적 인력 문제 해결 기여.
– **신속한 지원 절차:** 전산 시스템 개선으로 행정 처리 속도 상승.
—
### **2023년 상반기 지원 현황**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동안 **1300여 개 기업**에 대해 **8300억 원** 규모의 세정지원을 제공하며 중소기업 경영 정상화를 도왔다.
—
### **관세청의 의지**
관세청 관계자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세정지원 확대**를 통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조속히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정부 정책 참여 기업들에게 적극적으로 지원을 활용할 것을 권고했다.
—
**문의처:**
– 세원심사과: 042-481-7871
– 기업심사과: 042-481-7656
*출처: 대한민국 정부 뉴스 포털(www.korea.kr)*
원문보기
### 소방청, 돌봄 공백 세대 화재안전망 강화… ‘단독 경보형 감지기’ 무상 지원
소방청은 어린이들이 희생되는 주택 화재 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돌봄 공백 세대를 대상으로 화재 안전망 강화를 위해 ‘단독 경보형 감지기’ 무상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고 31일 발표했습니다.
#### **사업 추진 배경**
최근 부산에서 발생한 아파트 화재 사고로 보호받지 못한 어린이들의 희생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정부 관계부처가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으며, 화재 재발 방지와 안전 확보를 위한 후속 조치가 이번 사업으로 구체화되었습니다.
#### **단독 경보형 감지기란?**
‘단독 경보형 감지기’는 연기를 감지했을 때 경보음을 울려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히 알리는 주택용 소방시설입니다. 건전지로 작동하며 별도의 전기공사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실질적인 화재 예방 도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이번 무상 지원 사업은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합니다:
– **2004년 12월 31일 이전 건축허가된 아파트**
–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세대**
– **최근 3년 이내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이력이 있는 가정**
– **초등학생 이하 자녀가 거주 중인 세대**
#### **신청 방법 및 일정**
신청 접수는 오는 11월까지 관할 소방서의 누리집, 유선, 또는 담당자 이메일을 통해 진행됩니다. 선정된 세대는 소방관서나 계약된 설치업체가 직접 방문해 감지기를 설치하며, 문자 알림 등을 통해 홍보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다만 지역에 따라 지원 조건이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택 화재 위험성 통계**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주택 화재는 연평균 7,456건 발생했으며, 전체 화재의 약 18.4%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화재로 인한 전체 사망자의 약 45.9%가 주택 화재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며, 화재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대책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 **소방청의 예방 중심 정책**
이번 사업은 화재 취약계층과 돌봄 공백 세대를 대상으로 소방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국민 자율 안전관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천창섭 소방청 생활안전과장은 “이 사업은 단순한 물품 지원을 넘어 국민의 생명을 위해 설계된 실질적 안전망 강화 조치”라며, “더 많은 가정이 안전한 환경에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문의**
– 소방청 생활안전과: 044-559-7662
이번 사업은 어린이와 취약계층의 안전을 보호하고 화재 사고의 예방을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신청 대상 가정은 빠짐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 신설…위기 지역에 신속 대응
고용노동부가 지역별 고용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를 신설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제도는 고용 상황의 급격한 악화가 우려되는 지역을 선제적으로 지정해, 고용안정을 위한 지원책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제도는 10월 31일부터 시행됩니다.
#### 주요 지원내용
1.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해당 지역에 지정될 경우, **최대 6개월 동안** 기존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수준을 상향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평시 휴업수당의 지원 비율이 **1/2~2/3**에서 **6/10~8/10**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2. **기타 고용 및 생활안정 지원**
직업능력개발 지원 사업이나 생활안정자금융자 등 다양한 고용 안정화 프로그램의 지원 요건 완화 및 지원 수준 상승이 포함됩니다.
#### 배경 및 정책 개선 필요성
그동안 고용노동부는 고용 악화 지역을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 지원하는 기존 제도를 운영해왔습니다. 하지만 **엄격한 지정 조건과 긴 절차**가 선제적 대응의 한계로 지적되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용 사정이 나빠지기 전에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이번 제도가 새롭게 도입되었습니다.
#### 지정 조건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는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 내 주요 산업에서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3개월 연속 감소**할 경우.
– **300인 이상 기업**에서 상시근로자의 **10% 이상 고용조정 계획**이 발생하는 경우.
– 재난 등 예기치 못한 사유로 **지역 사업장의 10% 이상이 휴업**하거나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고용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지역이 지정됩니다.
#### 담당자 발언 및 기대 효과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고용환경 악화 요인으로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미국 고율 관세 정책, 내수 부진 등을 언급하며, 해당 제도를 통해 **”고용 위기 상황 발생 전에 선제적으로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제도가 지역 경제 회복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도 밝혔습니다.
—
이와 관련해 자세한 문의는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 지역산업고용정책과를 통해 가능합니다.
>*문의처: 044-202-7413*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www.korea.kr)*
원문보기
### [금융 시장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한국 정부의 조치]
한국 정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최근 정책금리 동결 이후 대외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 및 외환시장에 대한 24시간 점검 체계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 **미 연준의 금리 동결과 배경**
미 연방준비제도는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5차례 연속 정책금리(금리 상단 4.5%)를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현재의 긴축 정책이 적정 수준”이라며 “금리를 급히 인하할 경우 물가 상승 문제 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동시에,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과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률을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 **금리 동결의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
– **미 국채 및 달러화:**
금리 동결 결과는 예상됐던 바였으나, 파월 의장의 신중한 발언으로 인해 시장의 기대와 차이가 발생하며 미 국채 금리는 상승,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 **한국 주식시장:**
한국 코스피(KOSPI)는 30일 3254를 기록하며 2021년 8월 이후 약 4년 만에 최고치를 갱신, 대체로 안정적이고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한국 정부의 대응 방향**
31일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회의 참석자들은 대체로 “시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국의 경제 흐름과 대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아래와 같은 조치를 이어나갈 것을 결정했습니다:
1. **24시간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
금융시장 및 환율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합동 점검 체계를 유지합니다.
2. **긴밀한 관계기관 공조:**
시장의 변동성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한 상황별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유관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합니다.
3. **경각심 유지:**
주요국 경기흐름과 글로벌 정책 변화에 대한 주의력을 높이며 불확실성 관리를 위한 전방위적 대응을 준비합니다.
#### **향후 전망**
– 이번 FOMC 회의 결과를 기반으로 시장에서는 9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으나, 파월 의장의 신중한 발언은 그러한 기대를 제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한국 정부는 대외적 리스크 관리에 대해 중점을 두며, 주식시장의 긍정적 흐름을 이어가는 한편, 외환시장의 변동성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입니다.
—
**결론적으로,** 한국 정부는 대외 불확실성의 지속 가능성을 바탕으로 철저한 모니터링 체계를 통해 안정적 시장 환경을 조성하고 대내외적인 금융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대비할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 한미 국방장관, 동맹 현대화 및 협력 확대 논의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31일 첫 공조통화를 통해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하고, 동맹 관계를 현대화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
#### **주요 논의 내용 및 합의 사항**
1. **한미동맹의 중요성 재확인**
– 안규백 장관은 “한미동맹은 지난 70여 년간 피로 맺어진 불가분의 관계”라며, 이를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 방위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공약을 재차 강조했다.
2. **북러 군사협력 등 위협 대응**
– 양측은 북러 간 군사협력을 비롯한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긴밀히 대응하기로 하며, 확장억제 협력을 심화할 계획이다.
3. **동맹의 현대화 및 협력 확대**
– 변화하는 안보 환경을 반영하여 한미동맹을 상호 호혜적으로 현대화하기 위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 조선(MRO) 및 첨단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4. **향후 계획**
– 두 장관은 가까운 시일 내 대면회담을 통해 동맹 심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
이번 통화는 취임 후 첫 양국 국방장관 간 공조통화로, 한미동맹의 현황과 방향성을 재확인한 중요한 계기가 됐다. 양측은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미래 지향적 동맹 관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국방부 국제정책관실 미국정책과 (02-748-6330)
**출처**: 대한민국 국방부
원문보기
**한·미 관세협상 타결, 대미 수출 관세 부담 완화**
지난 7월 31일 한·미 양국이 관세 협상을 타결하면서 한국의 대미 수출 환경 개선에 큰 진전을 이뤘습니다. 이번 협상은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을 통해 최종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 주요 합의 내용:
1. **상호 관세 인하:**
–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기로 했던 상호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결정.
– 자동차 232조 관세도 동일하게 25%에서 15%로 인하.
2. **우호적 품목관세 대우:**
–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의약품 등은 여타 국가들과 비교하여 불리하지 않은 관세 조건을 보장받음.
3. **양국 간 투자 협력:**
– 총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협력 펀드를 조성해 미국 조선산업 발전을 지원.
– **2000억 달러** 대미투자펀드를 통해 반도체, 배터리, 원자력, 바이오 등 경제안보 관련 전략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
4. **무역구조 균형 발전:**
– 한국은 앞으로 4년간 미국산 에너지를 **1000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로 구매하며, 무역 균형을 확대.
5. **시장 접근성 개선:**
– 한국 정부는 미국산 자동차 안전기준과의 동등성을 인정하고, 무역장벽 보고서(NTE)에 명시된 비관세장벽 완화를 통해 미국산 물품의 한국 시장 접근성을 개선하기로 합의.
### 기대 효과 및 의의:
– 이번 관세 협상 타결로 한국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관세 부담을 완화해 대미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특히, 일본과 EU가 관세 협상을 성공적으로 타결함에 따라 경쟁력 악화 우려가 있었던 상황에서 한국도 동일한 조건을 확보함으로써 불확실성을 해소했습니다.
– 반도체, 의약품 등 향후 추가 발표될 품목에서도 우호적 관세 조건을 확보함에 따라 한국 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가 예상됩니다.
### 정부의 입장: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축인 수출에 숨통이 트이게 되었으며, 주요 경쟁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경쟁 조건을 확보한 것이 이번 협상의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큰 틀에서 합의는 마무리됐지만, 세부 사항에 대해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며, 끝까지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대미 수출의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됐지만, 글로벌 통상환경의 구조적 변화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협상은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고 국제 통상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앞으로도 한국 정부가 지속적으로 국익을 중심으로 한 통상 전략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원문보기
### 한미 관세 협상 타결…무엇이 달라졌나?
지난 7월 31일,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 간에 장기간 논의되었던 **한미 관세 협상**이 마침내 타결되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발표하며, 협상의 주요 내용을 상세히 설명했다.
—
### 🔑 **핵심 내용 요약**
1. **관세 인하 합의**
미국이 한국에 부과 예정이었던 상호 관세 25%는 8월 1일부터 15%로 낮아졌으며, *한국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 또한 15%로 조정되었다.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는 추후 동등한 대우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 **조선업 협력 확대**
– 양국은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 이 펀드는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를 전방위로 지원할 예정이다.
3. **대미 투자 펀드 신설**
– 추가로, 반도체, 원전, 2차 전지, 바이오 등 한국 기업이 두각을 보이는 산업 분야에 대한 **2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도 설계되었다.
– 펀드는 주로 대출이나 보증 형태로 운용되며, 직접 투자 비중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4. **농축산물 시장 방어**
– 미국으로부터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 개방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었으나, 이는 협상 과정에서 철저히 방어되었다.
– 기존 농업 시장 구조를 유지하면서 식량 안보를 지키는 데 성공했다.
—
### 📈 **한국 기업들에게 주는 기회와 과제**
– **긍정적 영향**
관세 부담이 일부 완화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전 세계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더 유리한 조건으로 미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 **남은 도전 과제**
김용범 실장은 새로운 관세 환경이 도전적일 수 있다며,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시장을 더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 🤝 **앞으로의 협력 방향 및 한계**
– **조선업 중심의 협력 확대**
이번 협상의 결과로 양국은 조선업 생태계에서 긴밀히 협력하며, 산업 구조를 고도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 **대미 관세 타결과 자동화 비용 증가**
자동차 부문에서 기존 0% 관세에서 15%로 상승한 점은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다. 이는 일부 경쟁국들과 비교해 여전히 불리한 조건으로 작동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추가 조정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
### 🚨 **정치적 반응 및 추가 논의**
– 미국의 트럼프 전 대통령이 SNS를 통해 농산물 시장 개방을 언급했으나, 정책적 차원에서 해당 내용은 합의되지 않은 상태다.
– 이번 협상 과정에서 일부 부문의 추가적인 양보는 없었으나, 미래의 통상 협력에 있어 이러한 정치적 발언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
### ✍️ **결론**
이번 협상은 주요 산업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진출 기회를 넓힌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다만, 세부적인 정책 이행 과정에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과, 농산물 시장 개방 문제에서의 추가 협상 대비가 요구된다.
궁극적으로, 정부와 기업, 양측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번 성과를 최대한 활용한다면,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