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APEC 재난분야 회의 개최…”아태지역 재난 줄이기 공조”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5 APEC 재난분야 회의를 30일부터 내달 1일까지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재난위험 경감 및 회복력을 논의하며, 디지털 기술 활용, 조기 경보 시스템 격차 해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회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기술을 세계에 알리고, 관련 산업 발전 및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e 2025 APEC Disaster Management Meeting to be held at Songdo Convensia, Incheon, from the 30th of this month to the 1st of next month.
This meeting will discuss disaster risk reduction and resilience in the Asia-Pacific region, addressing topics such a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nd bridging gaps in early warning systems.
Summary This meeting offers an opportunity to showcase Korea’s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ies to the world while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boosting related industrie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今月30日から来月1日まで仁川の松島コンベンシアで「2025 APEC災害分野会議」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会議ではアジア太平洋地域の災害リスク削減と回復力をテーマに、デジタル技術の活用や早期警報システムの格差解消などが議論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会議を通じて、韓国の災害管理技術を世界にアピールし、国際協力や関連産業の発展が期待されます。
中文 行政安全部宣布,将于本月30日至下月1日在仁川松岛会展中心举办“2025年APEC灾害领域会议”。
会议将以亚太地区的灾害风险减少与恢复能力为主题,讨论数字技术应用、缩小预警系统差距等议题。
总评 通过此次会议,韩国有望展示其灾害管理技术,促进国际合作并推动相关产业的发展。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nnunciato che dal 30 di questo mese al 1° del prossimo si terrà il “Meeting 2025 APEC sulla Gestione dei Disastri” presso il Songdo Convensia di Incheon.
Il meeting discuterà la riduzione del rischio di disastri e la resilienza nella regione Asia-Pacifico, trattando temi come l’uso delle tecnologie digitali e la riduzione delle disparità nei sistemi di allerta precoce.
Valutazione Questo incontr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promuovere le tecnologie di gestione dei disastri coreane, rafforzando la cooperazione internazionale e supportando l’industria del settore.
노동조합법 개정안 환노위 통과…”입법 취지 이행에 만전”
요약보기
한국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이 국회 환노위를 통과한 것에 대해, 정부가 입법 취지를 충실히 이행하고 노사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원하청 간의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하여 노사 간 자율적 대화를 촉진하고, 노동환경의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총평 이 법 개정은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더욱 공정하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상생과 협력의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Minister Kim Young-hoon of the Labor Ministry stated that the amendment to Articles 2 and 3 of the Labor Union Act, recently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faithfully implemented to strengthen labor-management cooperation.
The amendment clarifi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betwee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to promote autonomous dialogue and reduce legal uncertainties in the labor environment.
Summary This reform aims to create a more predictable and fair framework for both companies and workers, fostering a cooperative and sustainable work environment.
日本語 金栄勳雇用労働部長官は、労働組合法2・3条の改正案が国会環境労働委員会を通過したことを受け、その趣旨に従い政府が誠実に準備し、労使協力を強化すると述べました。
この改正案は、元請と下請の責任と権限を明確にし、労使間の自主的対話を促進し、労働環境における法的な不確実性を解消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法改正は、企業と労働者にとってより公平で予測可能な環境を作り出し、持続可能な協力と発展を支える基盤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劳动部部长金荣勋表示,劳动组合法第2条及第3条修订案已通过国会环保劳工委员会,政府将充分履行立法目的,加强劳资合作。
此次修订旨在明确总包与分包之间的责任与权力,促进劳资间的自主对话,减少劳动环境中的法律不确定性。
总评 此次修法将为企业与劳动者提供更公平且可预测的环境,推动共存与合作的长期发展。
Italiano Il ministro Kim Young-hoon del Ministero del Lavoro ha annunciato che l’emendamento agli articoli 2 e 3 della legge sui sindacati, approvato dal Parlamento, sarà attuato fedelmente per rafforzare la cooperazione tra lavoratori e datori di lavoro.
La riforma chiarisce i ruoli e le responsabilità tra i contraenti principali e subappaltatori, favorendo il dialogo autonomo e riducendo le incertezze legali nell’ambiente lavorativo.
Valutazione Questa modifica legislativa mira a creare un ambiente più equo e prevedibile, rafforzando la cooperazione e lo sviluppo sostenibile tra imprese e lavoratori.
‘소비쿠폰’ 가맹점, 네이버지도 등 민간 지도앱에서 확인 가능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가맹점을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티맵 등 민간 지도 앱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국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여신금융협회 및 신용카드사와 협업하여 가맹점 정보를 지도 앱에 제공한 결과입니다.
현재 데이터 매칭 문제로 전체 가맹점의 50~60%만 표출되고 있으며, 정확성 강화를 위해 지속 정비가 진행됩니다.
총평 지도 앱에서 소비쿠폰 사용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국민의 편리성과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launched a service allowing users to check vendors that accept the Financial Recovery Consumption Coupons on private map apps like Naver Map, Kakao Map, and T Map.
This was made possible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Credit Finance Association and credit card companies to integrate vendor data into map services.
Currently, around 50-60% of vendors are displayed due to data matching issues, but efforts are ongoing to enhance accuracy.
Summary This service is expected to improve public convenience significantly by easily identifying coupon-accepting locations through familiar map app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国民がネイバーマップ、カカオマップ、Tマップなど民間の地図アプリで「民生回復消費クーポン」が使える加盟店を確認できるサービスを開始しました。
これは国民の利便性向上を目的に、クレジット金融協会やクレジットカード会社の協力を得て加盟店情報を提供し、地図アプリに統合した結果です。
現在、データマッチングの問題により、全加盟店のうち50~60%が表示される状況ですが、正確性向上に向けた取り組みが進行中です。
総評 このサービスにより、国民はクーポン利用店舗を簡単に見つけることができ、大きな利便性向上が期待されます。
中文 行政安全部推出了一项服务,允许用户通过私人地图应用(如Naver Map、Kakao Map和T Map)查阅可使用“民生恢复消费券”的商家。
通过与信用金融协会和信用卡公司的合作,这些商家数据得以整合至地图服务中。
目前,由于数据匹配问题,仅显示50%-60%的商家,但部门正在努力提升数据展示的准确性。
总评 此服务通过熟悉的地图应用帮助用户便捷地查找消费券的适用地点,大大提高了便利性。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vviato un servizio che consente agli utenti di verificare i negozi che accettano i “Buoni Consumo per il Recupero Economico” su app di mappe private come Naver Map, Kakao Map e T Map.
Questo è stato reso possibile grazie alla collaborazione con l’Associazione Finanziaria per il Credito e le società di carte di credito, integrando i dati dei negozi nelle app di mappe.
Attualmente, solo il 50-60% dei negozi è visualizzabile a causa di problemi di corrispondenza dei dati, ma sono in corso sforzi per migliorare la precisione.
Valutazione Questo servizio semplifica il processo di ricerca dei negozi che accettano i buoni, migliorando notevolmente la comodità per gli utenti.
침수 우려지역 ‘기존 맨홀’에도 추락방지시설 설치 의무화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침수 우려 지역의 기존 맨홀에도 추락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지자체 빗물받이 관리·점검을 외부 전문업체에 맡기는 것을 권고하는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기존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집중호우 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집중호우로 인한 사고 방지와 도시 안전 강화에 기여하지만, 지자체 예산과 실행 계획에 따라 실효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announced an amendment requiring the installation of fall prevention facilities in existing manholes in flood-prone areas and recommending the outsourcing of storm drain maintenance to specialized firms.
This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and prevent accidents during heavy rain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urban safety and prevent disasters, but its effectiveness may depend on the budgets and implementation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日本語 政府は、浸水の懸念がある地域の既存マンホールに落下防止施設の設置を義務化し、地方自治体の雨水口管理業務を専門業者に委託することを勧告する改正案を発表しました。
これは現行管理システムの限界を克服し、集中豪雨時の事故を防止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総評 この政策は、集中豪雨による災害防止と都市の安全性向上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が、自治体の予算や執行能力によって効果が左右される可能性があります。
中文 政府宣布修订案,规定在洪水高风险区域的现有井盖中强制安装防坠设施,并建议将排水口管理工作外包给专业公司。
此举旨在克服当前管理体系的局限性,防止暴雨期间的安全事故。
总评 这一政策将有助于防范暴雨引发的事故并增强城市安全,但实施效果可能取决于地方政府的预算与执行力。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un emendamento che obbliga l’installazione di strutture antifallimento nei tombini esistenti nelle aree a rischio alluvione e raccomanda l’esternalizzazione della manutenzione delle bocchette di drenaggio a imprese specializzate.
Questo mira a superare i limiti dell’attuale sistema di gestione e prevenire incidenti durante le piogge intense.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uò contribuire alla sicurezza urbana e alla prevenzione dei disastri, ma la sua efficacia dipenderà dai bilanci e dalla capacità di implementazione dei governi locali.
드론특화자유화구역, 전국 67곳으로 확대…드론서비스 상용화 촉진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가 드론 기술 상용화를 위해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을 32개 지자체 67개 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재난 구조, 환경 모니터링, 스마트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 실증 사업이 추진되며, 규제를 면제하거나 간소화해 드론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총평 드론 규제 완화로 혁신적인 서비스 모델이 국민 실생활에 구체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designated the third batch of Drone Special Free Zones, expanding to 67 zones across 32 municipalities.
These zones will enable drone projects in areas like disaster respons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smart agriculture by easing various regulatory restrictions.
Summary This deregulation initiative could lead to innovative drone services becoming more integrated into everyday life.
日本語 国土交通省はドローン技術の商業化を目指し、全国32自治体67地域を第3次ドローン特別自由化地域に指定しました。
この地域では、災害救助、環境モニタリング、スマート農業などの分野でドローン実証事業が進められ、規制が緩和されています。
総評 規制緩和により、ドローンサービスがより身近で実用的な形で普及する可能性が高まります。
中文 国土交通部为促进无人机技术商业化,新增了第三批无人机特别自由化区域,覆盖32个地区67个区域。
这些区域推进无人机在灾害救援、环境监测和智能农业等领域的应用,同时简化了相关飞行监管。
总评 通过取消限制,无人机服务有望更广泛地融入普通居民的日常生活中。
Italiano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ha designato la terza fase delle Zone Speciali per i Droni, espandendole a 67 aree in 32 comuni.
Queste zone faciliteranno progetti di droni in settori come la risposta ai disastri, il monitoraggio ambientale e l’agricoltura intelligente tramite l’alleggerimento delle normative.
Valutazione Le nuove disposizioni permettono l’integrazione dei droni nella vita quotidiana attraverso servizi innovativi e funzionali.
12·29여객기참사 유가족 ‘피해지원포털’ 30일부터 시범운영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가 12·29여객기참사 피해자를 지원하고 유가족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피해지원 포털(www.1229familysupport.kr)을 시범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포털은 특별법에 따른 여러 지원사업 정보를 통합 제공하며, 유가족들의 의견을 반영해 구축되었습니다.
10월 정식 오픈 전까지 시범 운영 기간 동안 기능 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포털은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던 유가족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e trial operation of a support portal (www.1229familysupport.kr) for the December 29 air disaster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is portal integrates information related to relief programs under special law and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 portal will go through improvements during the trial phase before its official launch in October.
Summary This platform aims to provide accessible information and efficient communication to help families navigate the recovery process after the tragedy.
日本語 国土交通部は、12月29日航空機事故の被害者支援を目的としたポータルサイト(www.1229familysupport.kr)の試験運営を開始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ポータルは特別法に基づく支援事業情報を統合し、遺族の意見を取り入れて構築されました。
10月に正式オープンする前に試験運営期間を通じて改良が行わ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ポータルは遺族が必要な情報に簡単にアクセスできる助けになるでしょう。
中文 国土交通部宣布将试运行12·29空难受害者支持门户网站(www.1229familysupport.kr)。
该门户根据特别法整合了多项支持项目的信息,并吸收了遗属的意见进行建设。
在10月正式开放前,将通过试运行期改进功能。
总评 该网站预计将帮助遗属获取所需信息并加强与政府间的沟通。
Italiano Il Ministero dei Trasporti ha annunciato il lancio in prova di un portale di supporto (www.1229familysupport.kr) per le vittime del disastro aereo del 29 dicembre e le loro famiglie.
Il portale integra le informazioni sui programmi di assistenza previsti dalla legge speciale e tiene conto delle opinioni delle famiglie colpite.
Sarà migliorato durante la fase di prova per essere lanciato ufficialmente a ottobre.
Valutazione Questo portale potrà semplificare l’accesso alle informazioni necessarie per aiutare le famiglie colpite a gestire la fase di recupero dopo la tragedia.
전북·경남에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1조 7000억 투자 기대
요약보기
한국어 올해 전북 남원시와 경남 밀양·하동·창녕이 처음으로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으며, 기존 울산 기회발전특구는 투자 확대에 따라 면적이 거의 두 배로 늘었습니다.
이번 전북·경남 기회발전특구에는 약 40개의 기업이 총 1조 7천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기업의 지방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시 신청·지정 방식을 계속 운영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지역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지방 도시들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English This year, Namwon City in Jeollabuk-do and Milyang, Hadong, and Changnyeong in Gyeongsangnam-do have been newly designated as Opportunity Development Zones, while the existing Ulsan zone almost doubled in size due to increased investments.
Approximately 40 companies plan to invest a total of 1.7 trillion KRW in the newly designated areas.
The government intends to continue operating a rolling application and designation system to boost regional investment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promote local growth and job creation, potentially driving economic development in less urbanized areas.
日本語 今年、全羅北道南原市と慶尚南道密陽・河東・昌寧が初めて機会発展特区に指定され、既存の蔚山特区は投資拡大により面積がほぼ2倍に拡大されました。
新たに指定された地域には約40社が総額1兆7千億ウォンを投資する予定です。
政府は地方への企業投資を促進するため、随時申請・指定方式を今後も進めていく計画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地域の発展と雇用創出に寄与し、特に地方都市の経済成長を後押しするでしょう。
中文 今年,位于全罗北道的南原市以及庆尚南道的密阳、河东和昌宁首次被指定为机会发展特区,同时,因投资规模增加,蔚山的特区面积几乎扩大了一倍。
新指定区域预计将有约40家公司投资总计1.7万亿韩元。
政府计划继续通过灵活的申请和指定方式,推动企业的地方投资。
总评 此政策有望促进地方发展和就业创造,对较不发达地区的经济增长带来积极影响。
Italiano Quest’anno, Namwon nella provincia di Jeollabuk-do e Milyang, Hadong e Changnyeong nella provincia di Gyeongsangnam-do sono state designate per la prima volta come Zone di Sviluppo delle Opportunità, mentre la zona di Ulsan esistente è stata ampliata quasi il doppio grazie a maggiori investimenti.
Circa 40 aziende pianificano di investire un totale di 1,7 trilioni di KRW nelle aree appena designate.
Il governo intende continuare a gestire un sistema di applicazione e designazione continua per incentivare gli investimenti regionali.
Valutazione Questa politica potrebbe favorire lo sviluppo economico delle aree meno urbanizzate, promuovendo crescita e occupazione locale.
2030년 북극해 전역 누빈다…”북극항로 개척 시동”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가 2030년 북극에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투입해 북극해 전역을 항해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선은 기존보다 강력한 쇄빙능력과 친환경 연료 시스템으로 북극 연구 반경을 북극점까지 확대하며, 극지 과학연구와 자원협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총평 이 연구선은 북극 지역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국제적 협력 및 자원 개발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Korea’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plans to deploy a next-generation icebreaker research vessel in the Arctic by 2030.
Equipped with advanced icebreaking capabilities and an eco-friendly dual-fuel system, the vessel is expected to extend Arctic research to the North Pole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polar science and resource cooperation.
Summary This initiative is likely to boost global scientific collaboration and resource exploration in the Arctic, opening new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日本語 韓国の海洋水産部は2030年までに次世代砕氷研究船を北極に投入し、北極海全域での航行計画を発表しました。
この研究船は強化された砕氷能力と環境に配慮した燃料システムを搭載し、北極点まで研究範囲を拡大し、極地科学研究や資源協力に大きく寄与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計画は極地環境の理解を深めるとともに、国際的な協力と資源開発への新たな可能性を提供するでしょう。
中文 韩国海洋水产部宣布计划在2030年前将下一代破冰研究船投入北极,航行覆盖整个北冰洋。
该船具备更强的破冰能力和环保双燃料系统,将北极研究范围扩展至北极点,大幅提升极地科学研究和资源合作能力。
总评 此举将加速北极科学研究的发展,同时为国际资源合作开辟新的契机。
Italiano Il Ministero coreano degli Affari Marittimi e della Pesca ha annunciato che entro il 2030 intende impiegare una nave rompighiaccio di nuova generazione per navigare attraverso tutto il Mar Glaciale Artico.
La nave, con capacità di rottura del ghiaccio migliorate e un sistema a doppio carburante eco-compatibile, estenderà la ricerca fino al Polo Nord e darà un forte impulso alla collaborazione scientifica e alle risorse nel contesto polar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rafforzare le collaborazioni internazionali e promuovere lo sviluppo sostenibile nella regione artica.
5세 유아 28만 8000여명에 교육비·보육료 추가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이번 달부터 5세 어린이를 위한 교육비와 보육료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정책은 5세 유아부터 무상교육과 보육을 제공하며, 단계적으로 연령 확대를 통해 학부모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이번 지원은 학부모들에게 실질적 경제적 도움을 제공하며, 아이들의 평등한 교육 출발선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Starting this month, educational and childcare costs for five-year-old children will be expanded.
This policy aims to provide free education and childcare for five-year-olds and gradually extend the age coverage to reduce parental financial burden.
Summary This initiative offers tangible financial support to families and promotes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hildren from the start.
日本語 今月から5歳児の教育費と保育料の支援が拡大されました。
この政策は5歳児に対する無料教育と保育を提供し、年齢範囲を段階的に広げることで親の負担を軽減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親の経済的負担を実質的に減らし、子どもの平等な教育出発点を作ることに貢献する制度です。
中文 从本月起,针对5岁儿童的教育费和托儿费支持将得到扩大。
该政策旨在为5岁儿童提供免费教育和托育,并通过逐步扩大年龄覆盖范围减轻家长负担。
总评 此举将有效缓解家长经济压力,同时促进儿童教育公平起点的实现。
Italiano Da questo mese sono stati ampliati i sostegni per le spese educative e di assistenza ai bambini di cinque anni.
La politica punta a offrire istruzione e assistenza gratuite ai bambini di cinque anni e ad ampliare gradualmente la copertura per ridurre il peso economico sui genitori.
Valutazione Questa misura concretamente aiuta le famiglie, promuovendo opportunità educative più inclusive per i bambini sin dalla tenera età.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8월부터 68개 노선으로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는 광역버스 좌석예약제를 다음 달 11일부터 확대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노선 수를 기존 65개에서 68개로, 운행 횟수를 하루 150회에서 170회로 늘리며, 예약자 우선 탑승 후 비예약자가 잔여 좌석을 이용하는 혼용제로 운영됩니다.
또한, 예약 앱 개선으로 실시간 차량 위치 확인 및 결제 오류 방지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예약제 확대와 앱 개선은 출퇴근 대기 시간을 줄이고 승객들이 더 편리하게 광역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e expansion of the metropolitan bus seat reservation system starting November 11.
The number of routes will increase from 65 to 68, with daily trips rising from 150 to 170, and a hybrid system will prioritize reserved passengers before allowing non-reserved passengers to take available seats.
Additionally, the reservation app now allows real-time vehicle tracking and prevents payment errors.
Summary The expansion of the reservation system and improvements to the app are expected to reduce waiting times and enhance commuter convenience for metropolitan bus users.
日本語 国土交通部は、広域バスの座席予約制度を11月11日から拡大すると発表しました。
路線数を従来の65路線から68路線に増やし、1日の運行回数を150回から170回に拡大し、予約者優先の混合運行方式を採用します。
さらに、予約アプリにリアルタイム車両位置追跡機能を追加し、支払いのエラー防止機能も改善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拡大は、通勤時間の待ち時間を短縮し、乗客が快適に広域バスを利用できるようにする取り組みといえます。
中文 国土交通部宣布将从11月11日起扩大广域巴士座位预订制度。
线路数量将从原来的65条增加到68条,日运行次数从150次提升至170次,同时采取预约者优先上车的混用制。
预订应用新增车辆实时位置查询功能,并改进支付错误防范功能。
总评 这一扩展预期将减少通勤等待时间,使乘客能够更便利地使用广域巴士。
Italiano Il Ministero dei Trasporti ha annunciato l’espansione del sistema di prenotazione dei posti sugli autobus metropolitani a partire dal 11 novembre.
Il numero di linee passerà da 65 a 68, con un incremento delle corse giornaliere da 150 a 170, adottando un sistema ibrido che dà priorità ai passeggeri con prenotazione.
L’app di prenotazione è stata migliorata con funzioni di tracciamento in tempo reale dei mezzi e prevenzione di errori nei pagamenti.
Valutazione Questa espansione ridurrà i tempi di attesa e renderà il trasporto pubblico più pratico per i pendolari.
중기부, ‘중소기업 AI 대전환’ 참여 지자체 모집…350억 원 지원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가 AI 활용률이 낮은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을 시작합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산업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AI 프로그램에 예산 350억 원을 배정하며, 10월에 5개 지역을 최종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 사업은 지역 간 기술 격차를 줄이고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as launched the “Region-Led AI Transformation” project to support SMEs in areas with low AI utilization rates.
A budget of 35 billion KRW will be allocated, with five regional governments to be selected by October to implement various AI programs tailored to local industri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reduce technology gaps among region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SME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AI利用率が低い地域の中小企業を支援するため、「地域主導型AI大転換」事業を開始しました。
総予算350億ウォンを割り当て、地域産業特性に応じたAIプログラムを実施する5つの自治体を10月に選定する予定です。
総評 この事業は地域間の技術格差を縮小し、中小企業の競争力向上につなが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中小企业部启动了“地区主导型AI转型”项目,帮助AI利用率较低的地区中小企业。
总预算达350亿韩元,将在10月选出5个地区政府实施面向地方产业的AI相关计划。
总评 该项目预计能够缩小地区间技术差距,并提升中小企业的竞争力。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Startups ha avviato il progetto “Trasformazione AI guidata dalle regioni” per supportare le PMI nelle aree con basse percentuali di utilizzo dell’AI.
Un budget di 350 miliardi di KRW sarà destinato e cinque governi regionali saranno selezionati entro ottobre per realizzare programmi AI specifici per le industrie locali.
Valutazione L’iniziativa potrebbe colmare il divario tecnologico tra le regioni e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delle PMI locali.
국무회의 첫 생중계…이 대통령 “안전은 의무, 돈보다 생명이 귀중”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중대재해 근절 대책을 강조하며 산업안전 강화와 관련 기업에 대한 엄벌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토의는 생중계로 진행되며 산업재해 방지와 관련 법적·경제적 제재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근로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산업재해를 줄여 안전한 근로 환경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safety measures and the need for strict penalties against negligent companies during the Cabinet meeting on the 29th.
The discussion, broadcast live, addressed plan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nd strengthen legal and economic sanctions.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reduce workplace-related fatalities and improve safer working environments for worker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29日の国務会議で、安全対策強化と企業への厳罰適用の必要性を強調しました。
会議は生中継され、産業災害防止に関する法的・経済的制裁措置が議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労働者の安全を強化し、安全な職場環境の実現に寄与す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李在明总统在29日的国务会议上强调安全措施和对失责企业实施严惩的必要性。
会议通过直播讨论了工业事故防止及相关法律和经济制裁措施。
总评 此政策预计可加强劳动者安全,减少工伤事故,从而改善工作环境。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elle misure di sicurezza e delle sanzioni severe contro le imprese negligenti durante il Consiglio dei Ministri del 29.
La riunione, trasmessa in diretta, ha discusso delle strategie per prevenire gli incidenti sul lavoro e delle sanzioni legali ed economiche da adottar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tutelare maggiormente la sicurezza dei lavoratori e a ridurre gli incidenti sul lavoro, migliorando l’ambiente lavorativo.
산업부, 새 정부 ‘탄소중립산업 경쟁력 강화’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가 29일 탄소중립 기술·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을 논의하는 킥오프 회의를 열었습니다.
태양광, 해상풍력,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10대 탄소중립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청정전력 확대와 청정연료 도입 등 탄소중립 산업육성 로드맵이 주요 내용입니다.
총평 이번 로드맵은 우리나라가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고 탄소중립 기술을 통해 새로운 산업 경쟁력을 얻는 데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English On the 29t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eld a kickoff meeting to discuss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arbon-neutral technology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roadmap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10 core carbon-neutral technologies, including solar power, offshore wind power, and SMRs, alongside promoting clean electricity expansion and clean fuel adoption.
Summary This roadmap represents a significant step for South Korea to lead in climate crisis response while building new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carbon-neutral technologies.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29日、炭素中立技術・産業競争力強化のための戦略を議論するキックオフ会議を開催しました。
太陽光、洋上風力、SMR(小型モジュール炉)など10の炭素中立核心技術を基盤に、清浄電力拡大と清浄燃料導入を中心としたロードマップが主な内容です。
総評 このロードマップは韓国が気候危機対応をリードし、炭素中立技術で産業競争力を強化する重要な一歩です。
中文 韩国工业通商资源部于29日召开会议,讨论提升碳中和技术和产业竞争力的战略。
此次计划主要围绕太阳能、海上风电、SMR等十大核心技术,提出扩大洁净电力和引入清洁燃料的碳中和产业路线图。
总评 此路线图将助力韩国应对气候危机,并通过碳中和技术在国际产业竞争中占据优势。
Italiano Il 29 settembre,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tenuto una riunione inaugurale per discutere strategie volte a rafforzare le tecnologie e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per la neutralità carbonica.
Il piano si concentra su 10 tecnologie essenziali per la neutralità carbonica, come energia solare, eolica offshore e SMR, insieme all’espansione dell’elettrificazione e all’adozione di carburanti puliti.
Valutazione Questa roadmap è un passo fondamentale per consentire alla Corea del Sud di guidare nella lotta alla crisi climatica e costruire una nuova competitività industriale.
‘아빠 보너스제’ 급여 인상…일반 육아휴직급여와 동일하게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아빠 보너스제 급여를 일반 육아휴직 급여 수준으로 인상하는 ‘고용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아빠 보너스제는 부모 중 두 번째 육아휴직자의 첫 3개월 급여를 높게 지급하는 제도로, 이번 개정으로 수급자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형평성 제고가 기대됩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맞돌봄 문화 확산과 함께 육아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pproved amendments to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to raise the Daddy Bonus pay to the same level as regular parental leave pay.
The Daddy Bonus provides higher pay for the first three months of parental leave for the second caregiver, aiming to ease financial burdens and promote equity among recipients.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support greater shared caregiving responsibilities and ease financial strains for families.
日本語 政府は「育児休業法施行令」の改正案を承認し、パパボーナスの給付額を通常の育児休業給付と同等の水準に引き上げました。
パパボーナスは第二の育児休業取得者に対して最初の3カ月の給付額を特別に高く支給する制度で、経済的負担の軽減や公平性の向上が期待されます。
総評 この政策は共働き家庭の育児負担を減らし、育児のパートナーシップを促進する助け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已通过《就业保险法实施条例》修正案,将“爸爸奖金制”工资提高至普通育儿休假工资水平。
“爸爸奖金制”针对第二位育儿休假者,在头三个月给予较高工资,此次调整旨在减轻经济负担并提升受益者之间的公平性。
总评 该政策有望促进家庭共同分担育儿职责,同时缓解育儿相关的经济压力。
Italiano Il governo ha approvato l’emendamento al “Regolamento di attuazione della Legge sull’assicurazione per l’impiego”, aumentando il salario del Bonus Papà al livello del congedo parentale ordinario.
Il Bonus Papà offre un salario maggiore ai genitori che prendono il secondo congedo parentale per i primi tre mesi, mirando a ridurre l’onere economico e a promuovere l’equità tra i beneficiari.
Valutazione Questa misura potrà incentivare una maggiore condivisione delle responsabilità genitoriali e ridurre il peso finanziario per le famiglie.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지역거점 대학 키워 서울대 10개 만들기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5극 3특’ 정책을 통해 국가 균형성장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정책은 5개 초광역권과 3개의 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고 지방의 성장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등도 균형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됩니다.
총평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방의 자원과 인재를 활성화하여 국가 전반의 균형 잡힌 성장을 도모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5 Mega Regions 3 Special Areas’ policy to promot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is initiative aims to address regional inequalities by focusing on five mega-regions and three special autonomous provinces, fostering growth outside the Seoul capital area.
The relocation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o Busan is part of this strategy.
Summary This policy is a significant step toward resolving the capital area centralization and activating local resources and talents for balanced national growth.
日本語 政府は「5極3特」政策を通じて国家の均衡発展を推進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政策は、5つの超広域圏と3つの特別自治道を中心に地域間の格差を解消し、地方の成長を支援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海洋水産部の釜山移転もこの均衡発展戦略の一環として進められます。
総評 首都圏への集中問題を緩和し、地方の資源と人材を活性化して国家全体の均衡ある成長を図る転換点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宣布通过“5极3特”政策推动国家均衡发展。
该政策以5个超广域区域和3个特别自治道为中心,旨在缩小地区差距并支持地方发展。
海洋水产部迁至釜山也是这一均衡发展战略的一部分。
总评 此政策有望缓解首都圈过度集中的问题,激活地方资源与人才,实现国家整体的均衡发展。
Italiano Il governo ha annunciato la politica delle “5 Grandi Regioni e 3 Aree Speciali” per promuovere lo sviluppo equilibrato del paese.
Questa iniziativa mira a ridurre le disuguaglianze regionali concentrandosi su cinque macro-regioni e tre province autonome speciali, supportando la crescita al di fuori dell’area metropolitana di Seoul.
Il trasferimento de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a Busan è parte di questa strategi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rappresenta un punto di svolta per affrontare la centralizzazione nell’area metropolitana e attivare le risorse e i talenti locali per uno sviluppo nazionale equilibrato.
요약
원문보기
### 2025 APEC 재난분야 회의, 인천에서 개최
행정안전부는 2025 APEC 재난분야 회의를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조를 강화하는 자리로, 올해 APEC 의장국을 맡은 우리나라가 주최합니다. APEC 재난관리 대표단, 국제기구 인사 및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협력 방안을 논의합니다.
—
### 주요 회의 일정 및 논의 주제
#### 10월 30일: 비상대비실무그룹회의(EPWG)
– **주제:**
– 디지털 기반 재난위험관리 협력 전략
– 복합 재난 대응 체계에서 지역사회 리더십
– 지역 재난위험 평가 사례
– 포럼 간 협력을 통한 회복탄력성 강화
– **배경:** EPWG는 2005년 인도양 지진해일 이후 시작된 실무급 회의로, 각국의 재난관리 전략 및 사례를 공유합니다.
#### 10월 31일: 재난관리 고위급포럼(SDMOF)
– **주제:**
– 신종 위험 대응을 위한 회복탄력적 체계
– 조기경보 시스템 격차 해소
– 다층적 거버넌스 강화
– 재난 리더십과 기술 활용
– **목적:** 실무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각국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협력 방안을 논의합니다.
#### 11월 1일: 재난 관련 기관 견학
– 서울시민안전체험관, 인천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운영센터 등 국내 재난안전 기술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 재난기술 홍보전시관 및 국제협력 강화
회의와 더불어 ‘재난기술 홍보전시관’이 다음 달 3일까지 운영됩니다. 여기에는 10개 기관·기업이 참여해 우리나라의 재난안전기술을 소개하고 기술 교류 및 수출 활성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아시아재난예방센터(ADPC)와 양해각서(MOU), 뉴질랜드 국가재난관리청과 협력각서(MOC)를 체결합니다.
– **ADPC와의 협력:** 재난관리 정보 교환, 역량 강화, 인력 교류 추진
– **뉴질랜드와의 협력:** 재난 대응 훈련, 공동연구, 정기적인 정보 교류
뉴질랜드 국가재난관리청장은 이번 APEC 회의와 협력각서가 아태지역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
### 윤호중 장관의 발언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회의가 급변하는 재난 환경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의 내실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이 재난관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책·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의:**
행정안전부 자연재난실 재난안전APEC지원단
전화: 044-205-5898
원문보기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노사 상생과 진짜 성장의 초석 될 것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및 제3조 개정안'(일명 노란봉투법)에 대해 정부가 입법 취지를 현장에서 충실히 이행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7월 29일 밝혔다.
김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개정안이 산업현장의 절박한 필요를 반영한 결과물이며, 오랜 논의 끝에 대화와 협력을 통한 노사 관계를 구축하는 데 초석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원하청 간 소통의 단절을 해소하고,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는 구조를 통해 노사 간 자율 대화를 촉진하려는 취지가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기대 효과**
1. **원청과 하청 간 협력 강화**
김 장관은 그간 원청과 하청 사이의 단절된 구조를 개선하고 수직적 관계를 수평적 대화로 전환하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산업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상생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했다.
2. **노사 자발적 대화 촉진**
개정안은 사용자로서의 권한을 가진 원청이 책임을 함께 지도록 하고, 근로조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서도 노사가 대화할 수 있는 문을 열어줌으로써 자율적인 논의와 타협을 장려한다는 점에서 ‘대화 촉진법’으로 불린다.
3. **법적 불확실성 해소와 예측 가능성 제고**
고용노동부는 개정안을 바탕으로 교섭 절차와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하고, 노동위원회 및 법원에서 원청의 사용자성을 인정한 사례들을 연구하여 현장 적용이 용이하도록 대비할 계획이다.
4. **진짜 성장법**
김 장관은 개정안이 노사 간 상생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근로자의 노동환경을 개선하는 선순환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진짜 성장법’이라고 강조했다.
### **정부와 사회 각 계층에 당부**
김 장관은 경영계에는 법 개정을 구조적 변화와 혁신의 계기로 삼아 노사 관계 질서를 새롭게 구축할 것을, 노동계에는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대화와 타협 문화를 정착시켜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정부는 입법 이후 법 적용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며, 남은 입법 과정에서도 국회와 협력하여 충분한 논의가 이뤄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은 노사 협력 및 대화를 위한 제도적 환경을 마련하는 데 의의를 두며, 이를 통해 한국의 산업 생태계를 지속가능한 구조로 변화시키고 성장 기반을 확대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돋보인다.
원문보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주요 지도 앱에서 가맹점 확인 가능해져**
행정안전부는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민생회복 소비쿠폰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티맵 등 주요 민간 지도 앱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을 앱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서비스 개요 및 현재 상황**
이번 서비스는 행정안전부가 여신금융협회 및 신용카드사와 협력하여 가맹점 정보를 지도 앱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구현되었습니다. 지도 앱 기업은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을 지역별로 표출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소비자 편의를 높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세부 정보 부족 및 매칭 작업 등에 따라 전체 가맹점 중 약 50~60%만 표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추진 배경 및 기대 효과**
그동안 민생회복 소비쿠폰 가맹점을 일일이 찾아야 했던 국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소비 촉진을 통한 민생 회복을 돕기 위해 이번 서비스가 개시되었습니다. 특히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티맵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 **추후 계획**
행정안전부는 관련 협회 및 지도 앱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가맹점 표출 범위를 확대하고 잘못된 정보 표출을 방지하기 위한 정비 활동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소비쿠폰 가맹점 정보와 관련된 추가 문의는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공공서비스혁신과(044-205-2732)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번 서비스 개시는 국민들의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지방자치단체 하수관로 관리 강화: 빗물받이 외주화와 맨홀 추락방지시설 확대**
환경부는 빗물받이와 맨홀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하수관로 유지관리 기준’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침수 우려 지역 맨홀의 추락방지시설 설치 의무화를 포함하며, 빗물받이 관리 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 맡기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행정예고 기간은 오는 30일부터 20일입니다.
### 주요 내용
1. **빗물받이 관리 외주화 권고**
– 현재 담당 공무원이 관리하고 있는 빗물받이 업무를 전문 준설업체 등 외부에 맡기도록 권고합니다.
– 외주화를 통해 관리 체계를 시스템화하여 담배꽁초, 쓰레기, 불법 덮개 등을 제거하고 배수 기능을 원활히 유지시킬 계획입니다.
– 자치단체별 예산 상황을 고려하여 외주화를 강제하지는 않지만 적극 검토하도록 지침을 마련했습니다.
2. **맨홀 추락방지시설 설치 의무화 확대**
– 침수 우려가 있는 집중강우 중점관리구역의 기존 맨홀에도 추락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합니다.
– 기존 하수도 설계 기준에 따라 신규 맨홀에만 적용했던 제한을 확대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합니다.
– 해당 구역은 전국적으로 314개소이며, 기존 28만 4000개 맨홀 중 22만 2000개는 아직 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 국고 지원 방안을 통해 설치 자금을 보조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 빗물받이와 맨홀 관리 강화 배경
– 빗물받이는 도시 침수 예방의 핵심 시설로, 정기적인 점검과 청소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담당 공무원이 다른 업무와 병행하며 관리하는 실정이어서 한계가 있었습니다.
– 집중호우 시 맨홀 뚜껑 이탈로 인한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기존 맨홀 안전성을 확보하는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 환경부의 입장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빗물받이와 맨홀 추락방지시설은 집중호우 시 국민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시설”이라며, 지자체와 협력하여 하수관로 시설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하수관로 관리의 전문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국토부,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드론산업 상용화 가속화
국토교통부가 드론산업의 서비스 모델 상용화를 촉진하고 기술 실증을 위한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을 지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드론산업 혁신을 가속화하고 드론 기술의 상용화 및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 현황 및 확장**
기존 23개 지자체의 47개 구역에서 이번 지정으로 **32개 지자체, 67개 구역**으로 확대됐다. 특히, 기존 운영 지자체인 광주 북구와 전남 고흥군은 추가 구역을 확보했으며, 신규로 9개 지자체에서 18개의 구역이 새롭게 지정됐다.
—
#### **분야별 주요 실증사업**
각 지역에서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드론 기술 실증 및 상용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1. **재난 및 안전 분야**
– **충남 당진시**: 농가피해를 초래하는 말벌 제거를 위한 탐지 및 제거 실증.
– **충남 공주시**: 재난 응급상황 시 드론을 활용한 심장제세동기 및 의료품 배송 서비스 실현.
2. **환경 및 수질 관리 분야**
– **전남 강진군**: 실시간으로 하천 및 강진만의 수질과 조류 발생 모니터링.
– **충남 논산시**: 탑정호의 수질 개선을 위한 드론 기반 불법낚시 및 오염물질 모니터링 사업.
3. **농업·산림 및 기타 분야**
– **경북 영주시**: 스마트농업을 겨냥한 농업용 장기체류형 방제 드론 활용과 산불 대응용 대형 드론 실증.
– **강원 춘천시**: 드론 레저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레이싱코스 개발.
– **경기 양주시**: 공공 행정, 공원 및 다양한 물품 드론 배송 실증.
—
####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제도의 의미**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비행 승인, 특별비행 승인, 안전성 인증 등 6종의 드론 관련 비행 규제를 면제**하거나 간소화하는 제도로, 지자체의 안전관리를 전제로 드론 비행을 허용한다. 이를 통해 민간기업은 실험실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 조건에서 드론 기술 및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
#### **지금까지의 성과**
1·2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을 통해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 성과가 도출됐다.
– **태안**: 군집 드론 라이트쇼 기술 고도화.
– **인천·포천·서산**: 드론 배송 실증.
– **제주·울산**: 지역축제 안전 모니터링.
– **경주**: 국가유산 주변 드론 모니터링.
– **광주**: 수소연료 기반 드론 개발.
– **전주**: 침수지역 모니터링.
이번 3차 지정에서는 도심 및 농촌, 해양, 산림 등 다양한 공간에서 드론의 적용 분야를 확대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드론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통해 110여 개 이상의 드론 기업이 고하중 배송, 산불 감시 및 진압, 환경 모니터링 등 폭넓은 실증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
#### **정부의 지속적 지원 의지**
국토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제도를 통해 민간이 주도적으로 혁신적인 기술을 실증할 수 있도록 돕고, 정부는 규제를 과감히 완화하는 방식으로 신산업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장 수요를 반영한 규제 특례 적용을 확대해 드론 기술이 국민 실생활에 기여하는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이번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은 단순히 기술 혁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산업의 상업화를 촉진하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원문보기
### 국토교통부, 12·29 여객기 참사 피해 지원 포털 시범 운영 시작
국토교통부는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자 지원을 위한 포털 사이트(www.1229familysupport.kr)를 9월 30일부터 시범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포털은 유가족들이 피해 지원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정부와 유가족 간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특별법에 기반하여 피해자 및 피해지역 지원 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주요 기능과 정보 제공
1. **특별법령 및 주요 기관 안내**:
– 피해자 지원 기반이 되는 특별법 내용과 피해자 지원단 및 민간 전문가 자문단의 역할을 안내.
– 자문단에 대한 온라인 질의 서비스 제공.
2. **통합 지원 정보**:
– 관계 부처별 주요 지원 사항 통합 안내(생활지원금, 의료·심리치료, 치유휴직, 법률상담 등).
– 각 지원 사항의 신청 절차와 준비 서류 상세 설명.
3. **유가족 소통 강화**:
– 유가족 총회 및 주요 행사, 정부의 피해 지원 관련 보도자료 제공.
– 2차 가해 예방을 위한 신고 방법과 활동 가이드 안내.
4. **자료 공유**:
– 피해지원 신청서류, 추모위원회 회의록, 유관기관 연락처 등 관련 자료 제공.
#### 포털 구축 과정
포털 개발 단계에서 유가족협의회와 협의를 통해 유가족 의견을 충분히 반영했으며, 포털은 사전 시범운영 기간 동안 실제 사용 경험과 제안을 바탕으로 개선될 예정입니다. 정식 운영은 올해 10월 중 시작됩니다.
#### 국토교통부의 기대와 향후 계획
박정수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원단장은 “해당 포털이 유가족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정부와 유가족 간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유가족의 일상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소통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 문의처
포털 관련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자 지원단 기획총괄과(044-201-5453)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정식 오픈 전 시범 운영에 참여하여 유가족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국토교통부의 노력이 주목됩니다.**
원문보기
### [산업통상자원부 기회발전특구 지정 소식: 전북·경남 신규 지정 및 울산 확대]
**올해 전북 남원과 경남 밀양·하동·창녕 지역이 새롭게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었으며, 기존 울산 기회발전특구는 투자 증가에 따라 지정 면적이 확대되었습니다.**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별 기업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기회발전특구는 중요한 정책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새롭게 지정된 전북·경남 기회발전특구**
– **전북 남원**: 라이프케어 관련 기업들의 투자계획에 따라 15만 5000평 규모 지정.
– **경남 밀양·하동·창녕**: 나노융합산업, 이차전지 소재 및 모빌리티 부품 관련 기업들의 투자계획을 반영하여 총 67만 1000평 지정.
– 두 지역에는 총 40여 개의 기업이 1조 70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계획 중.
#### **울산 기회발전특구 확대**
– **울산 남구**: 데이터센터 투자 규모 확대에 따라 기존 면적 6000평에서 1만 1000평으로 지정 면적이 늘어남.
– 울산은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투자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더할 예정.
#### **기회발전특구 면적 규정과 운영 방식**
– **면적상한 기준**: 광역시는 150만 평, 도는 200만 평 내에서 신청 가능. 경남은 이번 지정으로 면적상한을 전부 소진.
– **외국인투자 특례**: 지난달 고시 개정으로 비수도권 외국인투자는 면적상한 초과 신청 가능. 이에 따라 경남도 추가 외국인 투자 유치 시 별도 면적 신청 가능.
#### **정부의 지원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예정된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자체 및 기업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며, 기회발전특구는 수시 신청 및 지정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업의 지방투자에 대해 신속한 지정 절차를 추진, 경제 활성화와 지역 간 격차 해소에 기여할 방침입니다.
#### **문의처**
–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경제진흥과: 044-203-4405
– 지방시대위원회 과학산업정책과: 044-251-3139
기회발전특구는 지역 기반의 고도화된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지방의 성장 잠재력을 활용하며 기업과 정부 간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투자와 일자리 창출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해양수산부, 차세대 쇄빙연구선으로 북극 연구역량 확대
해양수산부는 오는 2030년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북극에 투입해 북극해 전역을 항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북극항로 개척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북극항로 시대에 중대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한화오션, 건조 계약 체결
이날 해수부는 극지연구소와 한화오션 간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을 진행했습니다. 건조 대상자로 선정된 한화오션은 최적의 선체 디자인, 우수한 내한 성능, 연구자 중심의 연구 공간 등을 제안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사업 개요 및 목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은 해양수산부의 주요 국책사업으로, 2029년 12월까지 세계적 수준의 쇄빙연구선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아라온호에 비해 새로운 쇄빙연구선은 총톤수가 2배 이상 증가하고 쇄빙 능력은 50% 높아질 예정입니다.
새로운 쇄빙연구선은 국제선급협회연합(IACS)의 Polar Class3(PC3) 등급을 목표로 하며, 친환경적인 LNG-MGO 이중연료 시스템을 활용해 탈탄소 시대에 부합하는 선박으로 설계됩니다. 또한, ‘모듈형 연구시설’이 적용되어 기존 고정식 설비와 비교해 연구 공간 활용도가 크게 향상될 예정입니다.
#### 연구 범위 및 기대 효과 확대
이 쇄빙연구선이 투입되면 현재 북위 80도까지 제한된 북극 연구 반경이 북극점까지 확대되어 극지 과학연구의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기존 아라온호의 임무 과중 문제도 완화되고, 연구 가능 기간이 현재 약 40일에서 최대 160일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 해수부 장관의 기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북극 협력을 촉진할 과학 연구 및 자원 협력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연구선을 시작으로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성과 안전 운항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축적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우리나라의 북극 연구 및 항로 개척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고, 극지 환경에 맞춘 친환경 기술 도입으로 지속 가능한 해양 개발을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의: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 (044-200-6182)
원문보기
### 5세 유아 무상교육·보육 확대, 학부모 경제적 부담 완화 기대
이달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5세 유아 약 27만 8000명에 대한 교육비와 보육료 지원이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학부모들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 **교육비 및 보육료 지원 확대 계획**
교육부는 2025년 하반기까지 5세 무상교육·보육을 실현하기 위해 일반회계 목적예비비 지출안을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다고 29일 발표했습니다.
* **단계적 확대 방안**
– 2024년: 4~5세 대상 무상교육·보육
– 2027년: 3~5세 대상 무상교육·보육
—
#### **기존 누리과정 한계 및 새 지원안의 의미**
* **누리과정 도입 배경**
–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2013년부터 공통 유아교육·보육 과정인 누리과정을 도입.
– 유아교육비와 보육료 지원을 확대했으나 학부모의 추가 부담금 문제는 지속 발생.
* **이번 지원 확대의 의미**
–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비 5만 원에서 7만 원으로 인상.
– 사립유치원: 표준유아교육비 기준에 따라 11만 원 추가 지원.
– 어린이집: 기타필요경비 평균인 7만 원을 지원.
추가 지원은 올해 7월분부터 적용되어 학부모는 해당 금액만큼 원비나 기타 필요경비를 면제받게 됩니다.
—
#### **국가책임형 영유아교육·보육의 실현**
강민규 교육부 영유아정책국장은 이번 정책이 “대통령 공약인 국가책임형 영유아교육·보육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판”이라고 평가하며,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생애 출발선에서의 평등을 이루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로 부모님들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더 많은 유아가 양질의 교육 및 보육 환경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문의**: 교육부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재정과 (044-203-7218)
*자료 제공: [www.korea.kr](http://www.korea.kr)*
원문보기
###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확대…출퇴근길 더 편리해진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수도권 시민들의 출퇴근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광역버스 좌석예약제를 오는 11월 11일부터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 **좌석예약제란?**
광역버스 좌석예약제는 **모바일 앱(MiRi 앱)**을 통해 이용하는 서비스로, 정류장과 원하는 탑승 시간을 미리 선택해 좌석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류장에서 긴 시간 대기하지 않고 바로 버스에 탑승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특히, 혼잡한 출퇴근 시간대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23년 6월 기준 65개 노선 중 31개 노선의 평균 예약률이 **80% 이상** 기록되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 **확대되는 주요 내용**
1. **운행 노선 및 횟수 증대**
– 기존: **65개 노선, 하루 150회 운행**
– 확대: **68개 노선, 하루 170회 운행**
2. **지역별 확대 현황**
– 수원시: 42회 → 48회
– 용인시: 34회 → 41회
– 성남시: 9회 → 11회
– 의정부시: 2회 → 4회
– 남양주시: 12회 → 13회
– 안양시: 3회 → 4회
3. **혼용제 방식 운영 유지**
좌석예약제 적용 노선의 경우, **예약 승객 우선 탑승**이 보장되며, 비예약 승객은 잔여 좌석에 한해 탑승 가능하도록 운영됩니다.
—
### **이용 편의성 개선**
이번 확대와 함께 기존 서비스의 주요 불편사항도 개선됩니다.
1. **실시간 차량 위치 추가**
기존에는 버스 도착 예정 시간만 확인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앱에서 실시간 차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합니다.
2. **비예약자 교통카드 혼선 방지**
비예약자가 잘못하여 교통카드를 결제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 기능을 개선**하여 예약 승객의 안전한 탑승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
### **기대 효과 및 앞으로의 계획**
김수상 대도시권광역교통본부장은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확대를 통해 출퇴근 시간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시민 여러분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또한, “앞으로도 이용자 만족도와 운영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필요한 개선 사항을 빠르게 반영하고 노선을 추가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 **문의 안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버스과(044-201-5066)**로 문의하면 됩니다.
—
이번 좌석예약제의 확대 및 개선은 혼잡한 수도권 출퇴근길의 불편함을 줄이고,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도권 시민 여러분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원문보기
**중소기업 AI 시대를 열다: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 본격화**
중소벤처기업부가 AI 활용률이 낮은 지역 중소기업을 위해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에 착수한다. 이 사업은 지역 산업의 특성에 맞춘 AI 기술 활용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AI 기술 격차를 줄이고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올해 2차 추가경정 예산으로 총 350억 원이 편성됐다.
### **주요 내용**
1. **광역지방자치단체 모집**
– 대상: 서울을 제외한 광역지방자치단체
– 지원 규모: 선정된 5개 광역지자체에 각 최대 70억 원(총사업비의 60% 이내) 지원
– 자부담 조건: 지자체는 총사업비의 40% 이상 매칭 필수
2. **지원 프로그램**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 산업 특성과 기업 수요를 반영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AI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다:
– AI 솔루션 개발 및 보급
– AI 실증 테스트 베드 및 클라우드 환경 구축
– 기업 재직자 AI 활용 역량 강화
3. **기타 세부 사항**
광역지자체는 다음 달 29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서류 및 대면 평가를 통해 전문성, 실행 가능성 등을 검토 후 10월 중 최종 선정된다.
### **AI 활용 격차 해소의 필요성**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AI 활용률은 대기업의 절반 수준(28.7% vs. 48.8%)에 불과하다. 특히 비수도권은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AI 활용률이 낮아(17.9% vs. 40.4%) 지역 간 격차 해소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번 사업은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 중소기업의 AI 기반 생산성 향상을 촉진하려는 의도로, 특히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AI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 **중소기업에 미칠 긍정적 영향**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AI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참여 중소기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심경을 밝혔다.
### **문의처**
– 중소벤처기업부 미래기술대응지원단: 044-204-7256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AI 활용·확산 전담반: 055-751-9646/9647
배경에 자리 잡은 AI 기술 격차 해소 노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를 줄이고 전반적인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사업 참여를 원하는 광역지자체들은 기회를 놓치지 말고 적극 지원에 나서길 권장한다.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돈보다 생명이 우선입니다” – 산업재해 근절 대책 논의**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열린 제33회 국무회의에서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대책을 논의하며 산업재해 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빈번히 발생한 산업재해 사례를 언급하며 “안전은 당연히 지켜야 할 의무이지, 이를 비용으로 간주해 절약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돈보다 생명이 귀중하다는 생각을 모든 사회 영역에서 되새기자”고 호소했습니다.
### **포스코이앤씨 등 산업재해 사례에 대한 언급**
이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에서 올해만 다섯 번째 발생한 사망 사고와 함께 최근 빈번히 보도된 산업재해 사고들을 언급하며, 산업현장이 반복적으로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폐쇄된 공간에서 작업하다 질식사망하는 사고에 대해 “이는 국민적 상식으로도 충분히 예상 가능한 사고인데, 왜 보호장구 없이 작업을 하게 놓아두는가”라며 관리 소홀 문제를 꼬집었습니다.
그는 “일터에서 죽는 일이 줄어들지 않을 경우, 이는 회사가 죽음을 사소하게 보는 태도”라며, “산재 문제는 결국 미필적 고의를 통한 살인과도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 **산업재해 방지 대책에 대한 제언**
회의 중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망 사고 발생 시 형사처벌과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 공공입찰 제한 및 영업정지 등 경제적 제재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보고했습니다. 이에 대해 대통령은 “노동자의 생명이 경시되는 현황이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을 포기하는 대가가 커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정성호 법무부 장관이 제안한 산업재해 전담 검사 체계에 대해, 대통령은 이를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하며, 기업의 안전조치 미비에 경제적 제재를 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격려했습니다.
대통령은 “산재사망이 연간 1,000건 이상 발생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올해가 산재사망 비율이 줄어드는 첫해가 될 수 있게 하자”며, 현장에서 반복되는 하청 구조와 안전불감증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 **국무회의 생중계로 투명성 강화**
한편, 이번 국무회의는 주목할 만한 변화로 심층토의 내용이 생중계되었습니다. 대통령은 “중대재해 근절 대책은 국민 모두에게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며 토론 과정을 편집 없이 공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무회의는 KTV와 유튜브를 통해 1시간 20분 동안 생중계되었으며, 이는 역대 정부 사상 최초의 사례로 기록됩니다.
이규연 홍보수석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생중계는 일회성이지만, 앞으로 국민적 관심과 상황에 따라 공개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마무리**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회의 마무리 발언에서도 산업재해 예방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산업안전보건법을 강화하고, 안전조치 미비로 인한 사고에 대해 엄격한 과징금 제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최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심각성과 함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의지와 행동 방침을 국민들에게 보다 명확히 전달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노동자가 더 이상 생명을 담보로 일하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구축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돋보이는 자리였습니다.
원문보기
### 국내 탄소중립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정부 마스터플랜 수립 시작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한국무역협회에서 국내 탄소중립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탄소중립 기술·산업경쟁력 강화전략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이원용 에너지 MD, 이해석 고려대 교수 등 3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해 글로벌 시장 동향과 국내 기술 경쟁력을 진단하며 주요 전략을 논의했다.
#### **10대 탄소중립 핵심 기술 및 산업**
이번 회의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해 육성할 10대 핵심기술 및 산업 분야가 제시됐다. 해당 기술들은 청정전력, 청정연료, 청정인프라 중심으로 구분된다.
1. **청정전력**: 태양광, 해상풍력, 소형모듈원자로(SMR)
2. **청정연료**: 청정수소, 지속가능연료
3. **청정인프라**: 에너지 저장장치(ESS), 차세대 전력망, 에너지 AI, 히트펌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회의에서는 **전기화**와 **청정연료 도입**을 탄소중립 달성의 두 축으로 설정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술 개발, 대규모 실증, 초기 시장 조성 등을 포함한 산업 육성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 **주요 논의 내용**
– **태양광 및 해상풍력**: 친환경 전력 공급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 **SMR(소형모듈원자로)**: 차세대 원자력 기술의 초격차 전략
– **청정연료**: 전기화가 어려운 산업과 수송 부문을 위한 지속가능한 연료 및 청정수소 기술 검토
– **청정인프라**: 전력망 혁신, 에너지 저장 시스템, 히트펌프, 에너지 AI 등 활용 방안
#### **향후 계획**
산업부는 킥오프회의를 통해 수렴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탄소중립 기술·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신속히 마련하고, 추가 간담회를 통해 세부적인 로드맵을 확정할 방침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국내 탄소중립산업을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정책 지원을 다각도로 전개할 예정이다.
#### **정부 의지 및 비전**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우리 탄소중립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며, 이를 위해 전기화와 청정연료 도입을 기반으로 탄소중립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탄소중립 기술 중심의 질적 성장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이번 회의는 산업부가 국내 경제와 산업이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근본적인 체질 변화를 이루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해당 전략이 국내외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아빠 보너스제 육아휴직 급여 인상, 일반 급여 수준으로 개선된다**
정부가 부모 중 두 번째 육아휴직자인 ‘아빠 보너스제’ 수급자의 급여를 일반 육아휴직 급여와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하며 경제적 부담 완화를 시도합니다.
### **’아빠 보너스제’란?**
‘아빠 보너스제’는 맞돌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부모 중 두 번째 육아휴직자가 첫 3개월 동안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됐습니다.
그러나 당시 적용자들이 현재 남은 육아휴직 기간을 사용하려면 4개월 차 이후 급여가 통상임금의 50%(상한 월 120만 원)로 낮아져, 일반 육아휴직자 급여보다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었습니다.
### **주요 개선 내용**
이번 ‘고용보험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아빠 보너스제’의 급여 수준이 일반 육아휴직 급여와 동일하게 인상됩니다. 이는 육아휴직자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고, 수급자 간 형평성을 고려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 **예상 효과 및 기대**
고용노동부는 이 개정안을 통해 **육아 휴직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양성이 모두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문의:**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 여성고용정책과
전화번호: 044-202-7446
발행처: 국가정책 뉴스 플랫폼 (www.korea.kr)
원문보기
**국가균형성장 전략의 핵심, ‘5극 3특’ 체제와 정부의 추진 방향**
7월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개최된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간담회’에서 정부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재차 밝히며 주요 추진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도 이러한 균형성장을 통해 국토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는 방향성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 **5극 3특 체제: 새로운 균형발전 모델**
정부의 핵심 정책인 ‘5극 3특 체제’는 국가균형성장을 이루기 위한 초광역 및 자치 전략입니다:
– **5극**: 수도권을 포함해 동남권(부산·울산·경남), 대경권(대구·경북), 중부권(충청), 호남권(전남)을 초광역 중심지로 육성하고, 특별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여 협력 기반을 강화.
– **3특**: 제주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에 자치권한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특별법 개정을 추진.
### **정부 추진체계**
국가균형성장의 구체적 실행은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와 지방시대위원회를 중심으로 관리됩니다. 이들 위원회는 전국 각 지역의 대표들과 협의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폭넓게 청취하며, 정책 설계를 위한 로드맵을 마련 중입니다.
### **5극 3특의 주요 추진 과제**
김경수 지방시대위 위원장은 이 전략이 기존의 균형발전 모델을 넘어서는 “새로운 국가 성장전략”이라고 평가하며,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강조했습니다: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쟁구도를 넘어서기 위한 전략 수립.
– 수도권의 글로벌 경제수도 조성, 세종 행정수도 완성, 자치분권 확대.
– 교육 불균형 해소를 위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지역거점대학 육성.
– 각 지역에 인재 유입을 촉진하고, 인프라 및 에너지 공급 대책 마련.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균형성장의 새로운 축**
정부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두 번째 단계로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고, 부산의 항만도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해수부는 연내 필요한 절차를 완료하고 2025년까지 이전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 **정부의 방향성과 결론**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는 국가 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5극 3특 체계를 자리 잡게 하는 데 정책과 재정을 집중할 것을 공언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프라 구축, 정주여건 개선, 교육기관 육성 등의 다각적 접근을 통해 수도권 중심의 성장 모델에서 탈피하려는 의지입니다.
국가균형성장은 정부가 강조한 바와 같이 “더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5극 3특 체제를 토대로 대한민국 전역이 하나의 큰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실행과 법제 정비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