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이 대통령, 사회적 참사 유가족에 사과…”정부 책임 다하지 못했다”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7월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사회적 참사 유가족 200여 명을 초청해 위로와 치유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하며, 재난 원인 조사, 피해자 지원 법제화, 심리 회복 프로그램 등 유가족들의 요청사항을 수렴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국가가 사회적 참사의 아픔을 책임지고 국민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간담회는 피해자 가족들에게 위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추후 재난 관리와 대응 체계 개선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held a meeting with over 200 bereaved families of social disaster victims at the Blue House Reception Hall on July 16, 2025.
During the event, he issued an official apology on behalf of the government and listened to requests such as disaster cause investigations, victim support legislation, and psychological recovery programs.
The meeting highlighted the state’s commitment to taking responsibility for societal tragedies and ensuring the protection of its citizens.
Summary This event provided solace to the victims’ families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improving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systems.
日本語 李在明大統領は2025年7月16日、青瓦台迎賓館で社会的惨事の遺族200人余りを招待し、慰労と癒しを目的とした座談会を開きました。
この場で政府を代表して公式謝罪を行い、災害原因調査や被害者支援の法制化、心理的回復プログラムなどの遺族の要望を受け入れました。
今回の座談会は、社会的惨事で傷ついた国民の痛みに国家が責任を持ち、国民を保護する意志を示す重要な場と評価されています。
総評 この座談会は、被害者家族への癒しを提供すると同時に、災害対応や管理体制の改善に向けた重要な転機となるでしょう。
中文 李在明总统于2025年7月16日在青瓦台迎宾馆与200多名社会灾难遇难者家属进行了慰问与治愈对话会。
他代表政府正式致歉,并采纳了有关调查灾难原因、制定受害者支持法律、实施心理恢复项目等家属的诉求。
此次会议彰显了国家对社会悲剧负责到底和保护国民的决心。
总评 此次对话会在为受害者家属提供慰藉的同时,也为改进灾难管理与应对机制提供了契机。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ospitato il 16 luglio 2025 presso il salone delle reception della Casa Blu un incontro con oltre 200 famiglie colpite da tragedie sociali.
In questa occasione, ha presentato delle scuse ufficiali a nome del governo e ha ascoltato richieste come indagini sulle cause delle calamità, la legislazione per il supporto delle vittime e programmi di recupero psicologico.
L’evento ha sottolineato l’impegno dello Stato a prendersi la responsabilità delle tragedie sociali e a proteggere i suoi cittadini.
Valutazione Questo incontro ha offerto conforto alle famiglie delle vittime e ha costruito una base per migliorare i sistemi di gestione e risposta ai disastri.
‘RE100 산단’ 범부처 TF 출범…연내 특별법 제정안 마련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가 RE100 산업단지 조성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습니다.
RE100 산업단지 구축을 위해 정부는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를 출범하고 재생에너지 인프라, 기업 유치, 전기요금 인하 등의 세부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번 산업단지는 수출 기업의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과 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친환경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며 지역 경제와 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has officially initiated the creation of RE100 industrial complexes.
To establish these complexes, a taskforce involving multiple ministries has been launched, focusing on renewable energy infrastructure, corporate investments, and electricity rate reductions.
The initiative aims to support the needs of export companies while promoting regional balance and energy transition.
Summary This policy is expected to enhanc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economies while fostering sustainable energy use.
日本語 政府はRE100産業団地の本格的な整備を開始しました。
関係省庁が参加するタスクフォースが発足し、再生可能エネルギーインフラの構築や企業誘致、電気料金の引き下げなどが検討されています。
この産業団地は輸出企業のニーズを満たし、地域均衡の発展とエネルギー転換を目指すものです。
総評 この政策は環境配慮型の産業を促進し、地域経済と企業競争力の向上につながるでしょう。
中文 政府正式启动了RE100工业园区的建设计划。
多部门组成的工作组已成立,重点讨论可再生能源基础设施建设、企业引进以及电价降低等具体方案。
此计划旨在满足出口企业需求,同时推动区域均衡发展和能源转型。
总评 该政策有望在促进绿色产业发展的同时,提升地方经济和企业竞争力。
Italiano Il governo ha dato avvio alla creazione di complessi industriali RE100.
Un taskforce composta da vari ministeri è stata istituita per discutere infrastrutture energetiche rinnovabili, attrazione di investimenti aziendali e riduzione delle tariffe elettriche.
L’iniziativa mira a soddisfare le esigenze delle aziende esportatrici, favorendo lo sviluppo regionale e la transizione energetica.
Valutazione Questa politica contribuirà a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industriale e l’economia locale, promuovendo l’uso sostenibile dell’energia.
6월 취업자 18만 3000명↑…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요약보기
한국어 6월 취업자가 18만 3000명 증가하여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이 6월 기준 최대로 기록되었습니다.
하지만 제조업과 건설업 취업자는 각각 12개월, 14개월 연속 감소하고, 청년층 고용률은 45.6%로 1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정부는 내수 활성화, 첨단산업 육성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청년 고용 안정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총평 정책의 성공 여부는 청년층과 제조업 종사자들의 실질적인 고용 개선으로 평가될 것 같습니다.
English In June, the number of employed increased by 183,000, setting a record high for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rates for the month.
However, employment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has decreased for 12 and 14 consecutive months, respectively, while the youth employment rate fell to 45.6%, marking its 14th consecutive month of decline.
The government plans to boost domestic demand, foster advanced industries, and stabilize youth employment through targeted initiatives.
Summary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will likely be judged by actual improvements in youth and manufacturing sector employment.
日本語 6月の就業者数は18万3000人増加し、6月基準として雇用率と経済活動参加率が過去最高を記録しました。
しかし、製造業と建設業の就業者数はそれぞれ12か月、14か月連続で減少し、若年層の雇用率も45.6%に低下し、14か月連続で下降傾向が続いています。
政府は内需活性化や先端産業の育成を通じた雇用拡大と、若年層の雇用安定化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若者や製造業の雇用回復が政策の成否を左右すると考えられます。
中文 今年6月,就业人数增加18.3万人,就业率和经济活动参与率创下6月历史新高。
然而,制造业和建筑业就业人数分别连续12个月和14个月减少,青年就业率为45.6%,连续14个月下降。
政府计划通过刺激内需、培育先进产业等措施,扩大就业机会并稳定青年就业。
总评 该政策的成果或将取决于能否有效改善青年和制造业的实际就业情况。
Italiano A giugno il numero di occupati è aumentato di 183,000 unità, segnando un massimo storico per i tassi di occupazione e partecipazione economica per il mese.
Tuttavia, l’occupazione nei settori manifatturiero e delle costruzioni è diminuita per 12 e 14 mesi consecutivi, e il tasso di occupazione giovanile è sceso al 45,6%, evidenziando una flessione per il 14° mese consecutivo.
Il governo prevede di stimolare la domanda interna, promuovere l’industria avanzata e stabilizzare l’occupazione giovanile con iniziative mirate.
Valutazione La concretezza di questa politica si vedrà nei miglioramenti reali dell’occupazione giovanile e nel settore manifatturiero.
‘소방장비 이름’ 누구나 알기 쉽게 바뀐다…재난현장 혼란 최소화
요약보기
한국어 소방청이 재난 현장에서 소방장비 명칭을 개선하여 소통 효율성을 높인다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K급 소화기’는 ‘주방용 소화기’로, ‘홍염’은 ‘불꽃신호기’로 바뀔 예정입니다.
소방청은 12월부터 새 명칭을 적용하고, 일관적 관리를 위해 지침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총평 이번 명칭 변경은 재난 대응 과정에서 소방관과 기관 간 소통을 원활히 하고, 신속한 대응을 돕는 실질적 조치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National Fire Agency plans to improve firefighting equipment naming for better communication in disaster situations.
For instance, the ‘K-type fire extinguisher’ will be renamed to ‘kitchen fire extinguisher,’ and ‘Hongyeom’ will become ‘flare signal.’
The new names will be implemented in December, with a guideline set for consistent naming management.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enhance communication during disaster responses and is expected to lead to more effective and organized emergency operations.
日本語 消防庁は災害現場での効率的な連携を図るため、消防装備の名称を改善すると発表しました。
例えば「K級消火器」を「厨房用消火器」に、「紅炎」を「信号炎」に変更する予定です。
12月から新名称を適用し、一貫性を確保するためのガイドラインも策定します。
総評 名称変更は災害対応の現場での混乱を減らし、迅速な行動を支援する実用的な措置として期待されます。
中文 消防部门宣布计划改善消防设备的名称,以提高灾害现场的沟通效率。
例如,“K级灭火器”将更名为“厨房灭火器”,“红焰”将更名为“火焰信号器”。
新名称将在12月起实施,并制定统一的名称管理指南。
总评 此举旨在减少灾害响应过程中的沟通误差,有助于提高紧急行动的效率和协作能力。
Italiano L’Agenzia Nazionale dei Vigili del Fuoco ha annunciato che revisionerà i nomi delle attrezzature antincendio per migliorare la comunicazione durante le emergenze.
Ad esempio, l’estintore di tipo K sarà rinominato “estintore da cucina” e “Hongyeom” diventerà “segnale luminoso”.
I nuovi nomi saranno adottati a dicembre insieme a linee guida per una gestione uniforme dei termin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mira a facilitare la comunicazione nei contesti di emergenza, contribuendo a una gestione più efficace delle operazioni di soccorso.
기재부 차관 “내년도 예산안 편성, 강도 높은 지출 효율화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관행적·낭비성 지출을 과감히 구조조정하고, 새 정부 국정과제와 경제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데 재원을 재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안 편성에서 강도 높은 지출 효율화를 추진하며, 국민참여예산 플랫폼을 통해 의견을 수렴 중입니다.
총평 이번 구조조정은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줄이고 필요한 곳에 재정을 집중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예산 운용을 기대하게 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plans to restructure habitual and wasteful spending and reinvest resources into national projects and enhancing economic growth potential.
To this end, it aims to implement stringent expenditure reforms in next year’s budget plan and is currently collecting public opinions through the National Participatory Budget platform.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reduce unnecessary expenditures and focus financial resources on essential areas for more effective budget management.
日本語 政府は、慣例的および無駄な支出を思い切って削減し、新政府の国政課題や経済成長の潜在力向上に資金を再投資する計画です。
このため、来年度の予算案編成において厳格な支出効率化を推進し、現在、国民参加予算プラットフォームを通じて意見を募集中で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不要な支出を削減し、必要な分野に予算を集中させることで、財務運営の効率化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计划大胆调整惯例性和浪费性的开支,并将资金重新投资于新政府的国政任务和提升经济增长潜力。
为此,政府计划在明年的预算案中实施高强度的开支效率化措施,目前正在通过全民参与预算平台征集意见。
总评 这一举措有望减少不必要的开支,并将财政资源集中于必要领域,从而提高预算管理的效率。
Italiano Il governo intende ristrutturare le spese abituali e non necessarie, reinvestendo le risorse nei progetti nazionali e nel potenziamento della crescita economica.
A tal fine, il governo sta programmando riforme rigorose nella strutturazione del bilancio del prossimo anno e raccoglie attualmente opinioni attraverso la piattaforma del Bilancio Partecipativo Nazional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migliorare l’efficienza della gestione del bilancio, riducendo le spese superflue e concentrando le risorse nei settori essenziali.
정부, ‘호우특보’ 중대본 1단계 가동…하천변·지하공간 등 접근 자제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중부지방(수도권, 충청권 등)을 중심으로 호우 특보가 발효됨에 따라 16일 오후 3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했습니다.
김민재 본부장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고, 기상청은 17일까지 중부지방에 150~200mm 이상의 강한 비가 예상된다고 전했습니다.
폭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사태 위험지역, 침수지역 주민들의 사전 대피를 포함한 적극적인 조치를 요청했습니다.
총평 이번 조치는 폭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줄이고 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즉각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ctivated Level 1 of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t 3 PM on the 16th due to heavy rain warnings in the central regions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and Chungcheong areas).
Director Min-jae Kim emphasized minimizing damages through thorough preparation, while the Meteorological Agency forecast heavy rainfall of 150-200mm or more in the central regions until the 17th.
Measures such as preemptive evacuation from landslide-prone and flood-risk areas were requested to prevent damages.
Summary The government’s prompt action is aimed at mitigating the impacts of heavy rain and ensuring public safety through active prevention measures.
日本語 行政安全部は中部地方(首都圏や忠清圏など)を中心に発表された豪雨特報を受け、16日午後3時から中央災害安全対策本部1段階を稼働しました。
金ミンジェ本部長は被害を最小限に抑えるため徹底した対応を要求し、気象庁は17日まで中部地方で150〜200mm以上の強い雨が予想されると発表しました。
土砂災害危険地域や浸水危険地域の事前避難を含む積極的な対策を要請しました。
総評 今回の対応は豪雨による被害を未然に防ぎ、国民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迅速かつ先制的な措置です。
中文 韩国行政安全部因中部地区(包括首都圈和忠清地区等)发布的暴雨预警,于16日下午3点启动了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一级响应。
金敏宰本部长要求采取全面措施以尽量减少损失,气象厅预计中部地区至17日将有150至200毫米以上的强降雨。
同时要求针对滑坡危险区和淹水风险区等采取包括提前撤离在内的积极预防措施。
总评 此次行动旨在迅速应对暴雨带来的潜在灾害,最大限度地保障居民安全。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attivato il livello 1 della Sede centrale per la gestione e la sicurezza delle catastrofi alle ore 15 del 16 luglio, in seguito all’allerta meteo per forti piogge nelle regioni centrali (tra cui l’area metropolitana di Seoul e Chungcheong).
Il direttore Min-jae Kim ha chiesto di minimizzare i danni attraverso una preparazione meticolosa, mentre l’Agenzia Meteorologica ha previsto piogge intense di 150-200 mm o più fino al 17 luglio.
Si è richiesto il controllo preventivo e l’evacuazione nelle aree a rischio di frane e alluvioni per prevenire disastri.
Valutazione Queste misure preventive mirano a ridurre i danni causati dalla pioggia, assicurando la sicurezza pubblica con un’azione rapida e strategica.
지자체도 ‘소비쿠폰’ 순조롭게 진행…”만반의 준비 갖출 것”
요약보기
한국어 행정안전부는 16일 대구광역시를 방문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소상공인들의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소비쿠폰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선택해 지급되며, 사용처는 골목상권을 주로 포함하고 제한 업종이 있습니다.
이번 소비쿠폰은 내수 활성화와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총평 소비쿠폰은 골목상권 활성화를 촉진하고 주민들이 보다 쉽게 지역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visited Daegu on the 16th to inspect the preparation for the first distribution of the Livelihood Recovery Consumer Coupons and to gather feedback from small business owners.
The coupons can be received as credit/debit cards, prepaid cards, or regional gift certificates, and the usage is mainly restricted to small local businesses.
The initiative is aimed at revitalizing domestic consumption and supporting local small businesses.
Summary These coupons offer opportunities to both boost small local businesses and provide residents with an easier way to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日本語 行政安全部は16日、大邱広域市を訪問し、民生回復消費クーポン第1次配布の準備状況を点検し、地域の小規模事業者の意見を直接聞きました。
消費クーポンはクレジットカード、デビットカード、プリペイドカード、地域商品券の中から選んで受け取ることができ、使用先は主に地元の商店街に限られています。
この施策は、国内消費の活性化と地域経済の支援を目指しています。
総評 消費クーポンは地元経済の促進や小規模事業者を支援する実効性のある手段と言えるでしょう。
中文 16日,行政安全部访问大邱,检查第一批民生恢复消费券的发放准备情况,并倾听小商户的意见。
消费券可选择以信用卡、借记卡、预付卡或地方爱心商品券的形式领取,其使用范围主要限于小型商户。
此政策旨在激活内需消费并扶持地方小商户。
总评 消费券为居民参与地方经济提供了便利,同时助力巷间商户恢复生机。
Italiano Il Ministero dell’Interno e della Sicurezza ha visitato Daegu il 16 per controllare la preparazione alla prima distribuzione dei Buoni Consumo per il Recupero del Sostentamento e raccogliere le opinioni dei piccoli commercianti locali.
I buoni possono essere ricevuti sotto forma di carte di credito, carte di debito, carte prepagate o buoni regalo regionali, e il loro utilizzo è limitato principalmente a piccoli esercizi locali.
L’iniziativa mira a rivitalizzare i consumi interni e sostenere i piccoli commercianti locali.
Valutazione I buoni offrono un’opportunità per incentivare il commercio locale e coinvolgere i cittadini nel supporto dell’economia regionale.
상반기 건설현장 불법행위 167곳 520건 적발…”무관용 엄정 대응”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전국 건설현장에서 520건의 불법행위를 적발했다고 밝혔습니다.
불법하도급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국토부는 적발된 업체에 대해 행정처분을 요청하고 공공공사 하도급 제한 조치를 시행 중입니다.
AI 기반 추적 시스템을 활용해 단속체계를 강화하고 건설현장의 공정성 및 안전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총평 건설현장의 불법행위 단속은 안전사고 예방과 공정한 산업 환경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English Korea’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ncovered 520 illegal acts at construction sites nationwide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llegal subcontracting made up the largest portion, and authorities are requesting administrative actions and restricting public project subcontract participation for violators.
The ministry plans to enhance its monitoring system using AI and improve fairness and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Summary Strict monitoring of construction sites is crucial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fostering a fair industry environment.
日本語 国土交通部は今年上半期に全国の建設現場で520件の不法行為を摘発したと発表しました。
不法下請けが最も多く、摘発された業者に対して行政処分や公的事業の下請け参入制限が実施されています。
AIを活用した監視システム強化により、公正性と安全性を高める計画です。
総評 建設現場の不法行為の取り締まりは、安全事故防止と公正な産業基盤の促進に重要です。
中文 国土交通部在今年上半年共查处建筑工地520起非法行为。
其中非法分包占比最高,相关部门已要求对违规企业采取行政处罚并限制参与公共项目分包。
通过引入AI追踪系统,进一步提升监控效率以确保建筑工地的公平和安全性。
总评 加强建筑工地的违法行为监管对事故预防和维护行业公平非常关键。
Italiano Il Ministero del Territorio e dei Trasporti ha identificato 520 violazioni nei cantieri edili a livello nazionale nella prima metà dell’anno.
La maggior parte riguardava subappalti illegali, e le autorità stanno richiedendo sanzioni amministrative e limitazioni alla partecipazione in progetti pubblici.
Prevede di rafforzare la sorveglianza con sistemi basati su AI per migliorare la equità e la sicurezza nei cantieri.
Valutazione La sorveglianza rigorosa dei cantieri edili è essenziale per prevenire incidenti e promuovere un ambiente industriale equo.
중장년 근로자에 ‘경력설계’ 무료 제공…6주 간 일대일 맞춤 컨설팅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은 40세 이상 중장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1:1 맞춤형 경력관리 서비스인 ‘커리어 플래닝 서비스’를 올해부터 운영합니다.
6주 동안 경력진단, 역량분석, 경력계획 수립 등으로 구성된 이 프로그램은 무료로 제공되며, 근로자의 역량 강화와 직무전환을 지원합니다.
특히 퇴근 후나 주말에도 상담이 가능하고, 사업장 방문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총평 이 서비스는 중장년 근로자들이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력 전환 및 재취업을 준비하는 데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Labor Foundation announced the launch of a “Career Planning Service” for workers aged 40 and above.
This six-week program, offered free of charge, includes personalized consultations covering career diagnosis, skill analysis, and career planning to enhance competencies and guide job transitions.
Evening and weekend sessions, as well as on-site consulting, are available for added convenience.
Summary This service aims to help mid-to-late career workers adapt to evolving job markets and better prepare for career changes or reemployment.
日本語 雇用労働部と労使発展財団は、40歳以上の中高年労働者向け「キャリアプランニングサービス」を今年から実施すると発表しました。
6週間のプログラムで、キャリア診断やスキル分析、経路設計などを通じて参加者の能力向上と職務変換を支援します。
また、勤務後や週末の診断や職場訪問コンサルティングの選択肢も提供されます。
総評 このサービスは、中高年労働者が変化する労働市場に対応し、新たなキャリア設計や再就職準備に役立つ実質的な支援を提供するものです。
中文 韩国雇佣劳动部和劳资发展基金会宣布,今年开始为40岁以上的中年劳动者推出“职业规划服务”。
该服务为期六周,包括职业诊断、技能分析和职业路径规划等一对一咨询,旨在提升能力并支持岗位转型,且为免费提供。
另提供下班后、周末咨询及上门服务,方便劳动者参与。
总评 该服务将帮助中年劳动者适应就业环境的变化,并为职业转型或再就业提供切实支持。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e Politiche Sociali e la Fondazione per lo Sviluppo delle Relazioni Industriali hanno annunciato l’avvio del “Servizio di Pianificazione della Carriera” per i lavoratori sopra i 40 anni.
Il programma gratuito di sei settimane include consulenze individuali per diagnosi di carriera, analisi delle competenze e pianificazione del percorso lavorativo, favorendo il rafforzamento delle capacità e il trasferimento di ruolo.
Sono disponibili sessioni serali, nel fine settimana e consulenze direttamente nei luoghi di lavoro.
Valutazione Questo servizio aiuterà i lavoratori di mezza età a gestire i cambiamenti del mercato del lavoro, favorendo la transizione lavorativa e la ricerca di nuove opportunità.
김 총리, APEC 정상회의 준비 현장 재차 방문…정상급 숙소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김민석 국무총리는 오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주 현장에서 이틀간 숙소와 문화콘텐츠 준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숙박시설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관련 단체와 협력을 강조하며, 행사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총평 이번 점검은 정상회의 준비의 사소한 부분까지 꼼꼼히 챙겨 성공적인 국제 행사 개최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English Prime Minister Kim Min-seok conducted a two-day on-site inspection in Gyeongju to oversee accommodation and cultural content preparations for the upcoming 2025 APEC Summit.
He emphasized improving service quality at accommodations and urged close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to ensure successful event preparations.
Summary This inspection highlights efforts to meticulously manage every detail to lay the groundwork for a successful international summit.
日本語 金ミンソク国務総理は、2025年のAPEC首脳会議に向け、慶州での宿泊施設や文化コンテンツ準備状況を二日間かけて点検しました。
宿泊施設のサービス向上を目的に関連団体との協力を強調し、準備を万全に進めるよう要請しました。
総評 この点検は、国際会議の成功的開催を目指して細部まで念入りに確認する努力を示しています。
中文 金民锡国务总理为准备2025年APEC峰会,在庆州进行了为期两天的现场检查,重点关注住宿和文化内容的准备工作。
他强调提高住宿服务质量,并敦促与相关团体紧密合作,以确保活动筹备顺利进行。
总评 此次检查体现了对成功举办国际峰会的细致努力和前期准备的重视。
Italiano Il Primo Ministro Kim Min-seok ha condotto un’ispezione di due giorni a Gyeongju per verificare i preparativi degli alloggi e dei contenuti culturali in vista del Vertice APEC 2025.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migliorare la qualità dei servizi degli alloggi e ha richiesto una stretta collaborazione con le organizzazioni coinvolte per assicurare una preparazione accurata.
Valutazione Questo controllo riflette l’impegno nel gestire ogni dettaglio per garantire il successo di un evento internazionale di alto livello.
“바다 위 특별한 일주일”…해수부, 크루즈체험단 모집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크루즈 여행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25년 크루즈 체험단’ 운영 계획을 발표하고, 참가 신청을 17일부터 23일까지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체험단으로 선정된 30팀(60명)은 9월 5일부터 7박 8일간 부산항에서 출발해 일본을 방문하는 크루즈 여행을 체험하게 됩니다.
응모는 해수부 누리집에서 가능하며, 참가자들은 경비 90만 원을 부담합니다.
총평 이번 행사는 크루즈 여행을 체험하며 평소 접하기 어려운 레저 문화를 경험할 좋은 기회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plans to operate the ‘2025 Cruise Experience Program’ to promote interest in cruise travel.
Applications for the program will be open from September 17 to 23, and 30 teams (60 participants) will be randomly selected for a 7-night cruise departing from Busan on September 5.
Participants will cover 900,000 KRW in expenses and can apply through the Ministry’s website.
Summary This program offer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experience cruise travel, making it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日本語 海洋水産部は、クルーズ旅行への関心を高めるため、「2025年クルーズ体験団」を運営すると発表し、9月17日から23日まで応募を受け付けると明らかにしました。
体験団に選ばれた30チーム(60名)は9月5日に釜山港を出発し、日本を巡る7泊8日のクルーズ旅行を体験します。
応募者は体験経費として1人当たり90万ウォン負担し、オンラインで応募できます。
総評 クルーズ旅行を気軽に体験できる貴重なチャンスです。
中文 海洋水产部宣布推出“2025年邮轮体验团”以提升大众对邮轮旅游的兴趣,并将于9月17日至23日接受申请。
最终将随机选出30组(60人)于9月5日从釜山港出发,体验为期7晚8天的邮轮旅行,途经日本多个景点。
每位参与者需承担90万韩元费用,可通过官网提交申请。
总评 这是让邮轮旅游走进大众视野并提供全新体验的好机会。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annunciato l’attivazione del programma “Esperienza in Crociera 2025” per aumentare l’interesse dei cittadini verso i viaggi in crociera.
Le iscrizioni saranno aperte dal 17 al 23 settembre e 30 squadre (60 partecipanti) saranno selezionate casualmente per una crociera di 7 notti a partire dal 5 settembre da Busan verso il Giappone.
I partecipanti dovranno contribuire con 900.000 KRW e possono iscriversi tramite il sito web del Ministero.
Valutazione Questo programma offre un’opportunità unica per vivere l’esperienza di una crociera, rendendo questa forma di turismo più accessibile al pubblico.
내년 7월 부산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한국에서 처음
요약보기
한국어 우리나라가 2026년 7월 부산에서 개최될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개최국으로 최종 선정됐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로, 약 3000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입니다.
정부는 성공적인 행사를 위해 관계 기관과 협력하고 문화 강국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총평 이번 세계유산위원회 개최는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문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South Korea has been selected as the host country for the 48th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scheduled to take place in July 2026 in Busan.
This marks the first time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will be held in South Korea, with approximately 3,000 participants expected.
The government pledged to collaborate with relevant organizations to ensure the event’s success and fulfill its role as a cultural powerhouse.
Summary Hosting this event will showcase South Korea’s cultural heritage globally and elevate its status as a leading cultural nation.
日本語 韓国は2026年7月に釜山で開催される第48回ユネスコ世界遺産委員会の開催国に正式に選ばれました。
韓国で初めて世界遺産委員会が開催され、約3000人が参加する予定です。
政府は成功的な開催を目指して関係機関と協力し、文化大国としての役割を果たすと述べました。
総評 この委員会開催は、韓国の文化遺産が国際的に評価され、文化大国としての地位を強固にする機会と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被正式选定为2026年7月将在釜山举行的第48届联合国教科文组织世界遗产委员会的举办国。
这是世界遗产委员会首次在韩国召开,预计将有约3000名与会者参与。
政府承诺将与相关机构合作,全力以赴确保活动成功,并履行其作为文化强国的责任。
总评 此次活动的举办将向国际展示韩国文化遗产的价值,并进一步巩固其文化强国地位。
Italiano La Corea del Sud è stata ufficialmente selezionata come paese ospitante per il 48° Comitato del Patrimonio Mondiale dell’UNESCO, che si terrà a Busan nel luglio 2026.
Sarà la prima volta che il Comitato del Patrimonio Mondiale si svolge in Corea del Sud, con una partecipazione prevista di circa 3.000 persone.
Il governo ha dichiarato il suo impegno a collaborare con le organizzazioni competenti per garantire il successo dell’evento e affermare il ruolo del paese come potenza culturale.
Valutazione Questo evento sarà un’opportunità per mettere in luce il valore del patrimonio culturale della Corea e rafforzarne la posizione come nazione leader nella cultura.
요약
원문보기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 첫 공식 간담회, 이재명 대통령 “국가의 부재로 인한 억울함 반복되지 않도록”**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7월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세월호, 이태원, 오송 지하차도, 제주항공 참사 등 각종 사회적 참사 유가족 200여 명을 초청해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은 국가를 대표해 공식 사과하며, 국가의 부재로 인한 억울한 희생이 반복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간담회 배경 및 목적**
이번 행사는 유가족들에게 위로와 치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참사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과 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 자리를 통해 “국민의 아픔을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했습니다.
### **정부 측 추가 사과 및 유가족 요청**
이날 간담회는 세월호와 제주항공 참사뿐 아니라, 이태원 참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해 정부의 첫 공식 사과가 이루어진 자리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해 국민들에게 깊은 상처를 드렸다”며 거듭 사죄했습니다.
유가족 대표들은 이번 간담회를 중요한 소통의 자리로 평가하며, 참사의 원인 조사,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 심리 회복 프로그램 시행 등을 요청했습니다. 특히 유족들은 참사 관련 정보 공개, 지원 매뉴얼 법제화, 추모 공간 조성 등 실질적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 **주요 발언 및 대응**
이태원 참사 유가족 송해진 운영위원장은 그간 정부의 무대응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억울한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절대 외면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 김종기 운영위원장은 “단순한 위로의 자리를 넘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정부의 확고한 약속을 당부했습니다.
행사 말미에는 간담회 동안 발언하지 못한 유가족들을 위한 의견 서신함이 준비되어, 참석자들이 자유롭게 대통령에게 바라는 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대통령은 모든 서신 내용을 직접 확인하고 관련 부처와 논의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 **이재명 대통령의 다짐**
이 대통령은 “안전한 사회, 생명을 비용으로 치환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가겠다”며, 사회적 참사로 고통받는 국민들의 아픔을 보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 이번 간담회는 단순한 위로를 넘어, 사회적 참사를 통해 드러난 국가 시스템의 허점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 대책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피해자들과 국민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사회 구축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원문보기
### 정부, RE100 산업단지 조성 본격화 – 범정부 TF 출범
정부는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계획 수립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관계부처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
#### **RE100 산업단지란?**
RE100은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캠페인으로, 정부는 산업단지에 이 개념을 도입해 첨단기업 투자 유치를 도모하고,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과 에너지 전환을 이루겠다는 구상이다.
#### **범정부 TF 구성 및 논의 사항**
이번 TF는 지난 10일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보고된 바 있으며, 1차 회의에는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주요 부처의 실국장급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RE100 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다음과 같은 구체적 과제들이 논의됐다:
1.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2. **기업 유치를 위한 투자 인센티브 마련**
– 규제 완화
– 전기요금 인하 방안
3. **교육 및 주거 정주 여건 조성**
4. **산업단지 개발 및 기반시설 설치**
#### **특별법 제정 및 연내 계획 수립**
정부는 올해 안으로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상세 계획과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공동 주관으로 격주마다 정례회의를 열기로 했다.
#### **문신학 1차관 발언 요지**
문신학 산업부 1차관은 “RE100은 수출 기업에 필수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며, 이를 규제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지역 발전과 에너지 전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관계 부처와 협력해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 신속히 RE100 산업단지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처 안내**
– 산업통상자원부 RE100 산업단지 추진단: 044-203-4123
– 입지총괄과: 044-203-4438
–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과: 044-201-3677
—
이번 RE100 산업단지 조성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의 교두보로 평가받고 있으며, 추진 과정에서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이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원문보기
### 6월 고용 동향: 취업자 증가 및 고용률 역대 최고 기록, 제조업·청년층 감소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909만 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만 3000명 증가하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보였습니다. 고용률(63.6%)과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 65.4%)은 6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상반기 누적 기준 역시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주요 증가 분야와 감소 현황
– **증가 산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만 6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0만 2000명), 교육서비스업(+7만 2000명) 등.
– **감소 산업**: 농림어업(-14만 1000명), 건설업(-9만 7000명), 제조업(-8만 3000명). 특히 제조업 취업자는 12개월 연속, 건설업은 14개월 연속 감소하여 건설업은 최장기간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 연령별 고용 상황
– **증가**: 60세 이상(+34만 8000명), 30대(+11만 6000명).
– **감소**: 20대(-15만 2000명), 40대(-5만 5000명), 50대(-5만 3000명).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은 45.6%로 전년 동월 대비 1.0%p 하락하며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 실업 및 비경제활동 인구
– 실업자는 82만 5000명으로 3만 2000명 줄어 실업률은 2.8%(-0.1%p).
– 비경제활동인구는 1582만 8000명으로 4만 2000명(0.3%) 증가했으며, 그중 ‘쉬었음’ 인구는 243만 4000명으로 6만 명 증가, 특히 60세 이상(5만 4000명 증가)과 50대(1만 7000명 증가)에서 증가폭이 나타났습니다.
—
#### 정부의 대응 및 일자리 창출 계획
기획재정부는 내수 활성화와 첨단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고, 특히 청년 등 취약계층의 고용 안정을 위해 AI와 같은 첨단분야 기반의 직업훈련 및 일자리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 **첨단산업 육성**: AI와 차세대 기술 중심의 직업훈련 및 일경험 사업 확대로 중장기적인 일자리 창출 여력을 확충.
– **단기적 대책**: 2차 추경 사업 신속 집행, 대미 관세 협상 등 통상 리스크 대응 강화를 통한 민생 안정.
정부는 추가 과제를 발굴하며 지속적으로 고용 안정과 경제 활성화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원문보기
### 소방장비 명칭, 재난 대응 효율성 높이기 위해 바뀐다
소방청이 재난현장에서의 소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소방장비 명칭을 개선하고 표준화 작업을 추진합니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소방장비의 이름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기관 간 소통을 방해한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조치입니다.
#### **명칭 개선의 배경**
태풍, 지진, 산불 등 대규모 재난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초기 대응 단계에서부터 여러 기관 및 대규모 장비가 투입되는 국가 차원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재 장비의 이름이 기능과 목적을 명확히 알기 어렵거나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면서 혼선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명칭 개정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 **구체적인 명칭 변경 사례**
– **K급 소화기** → **주방용 소화기(K급)**
업소 주방 화재에 적합한 소화기로, 명칭에 ‘주방용’이라는 직관적인 용어를 추가했습니다.
– **스킨핀** → **오리발**
다수를 포함한 직관적 단어로 변경해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 **이동정비차** → **정비지원차**
장비명을 종합적 지원 개념으로 통일했습니다.
#### **장비 명칭 선정 기준**
소방청은 직관적 기능 인식이 낮거나 명칭이 혼란을 야기하는 장비를 중심으로 개정하며, 기존 명칭의 기능성이 떨어지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개선 대상이 됩니다. 특정 개별법에 따라 명칭 변경이 필요한 경우도 반영됩니다.
#### **체계적 관리와 적용 계획**
이번 명칭 개선은 소방장비 명칭 개정 전담팀(TF)이 현장대원들의 의견과 정책 부서의 검토를 거쳐 이뤄졌으며, 최종적으로 303종의 장비를 개정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개정된 명칭은 오는 12월부터 현장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후 새롭게 도입되는 장비에 대해서도 일관성 있는 명칭을 관리하기 위한 세부 기준이 마련됩니다.
#### **소방청의 계획과 비전**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소방장비 명칭 표준화는 신속한 재난대응을 위한 기반이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소방장비의 목적과 기능을 중심으로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명칭 표준화 작업은 소방대원의 현장 이해도를 높이는 한편, 기관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대규모 재난상황에서도 혼란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 소방청 장비총괄과(044-205-7686)
원문보기
### 정부, 내년도 예산안 지출 구조조정 추진…낭비성 사업 철저 점검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 편성과 관련해 관행적·낭비성 사업에 대한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 효율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새 정부의 국정과제 수행 및 경제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데 필요한 재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
#### **지출 구조조정 기본 방향 논의**
기획재정부는 16일 임기근 제2차관 주재로 주요 부처와 함께 지출 효율화 논의를 위한 회의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내년도 예산안 지출 구조조정의 기본 방향과 추진 방안이 논의되었다.
임 차관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필요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관행적·낭비성 지출을 면밀히 점검하고, 집행이 부진하거나 성과가 미흡한 사업은 과감히 폐지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더불어 작지만 곳곳에 흩어져 있는 낭비성 지출도 예외 없이 철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
#### **국민참여예산 플랫폼 활용**
정부는 국민들이 직접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국민참여예산 플랫폼을 통해 지출 구조조정과 관련된 의견을 수렴 중이다. 이는 10월 15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며, 각 부처는 플랫폼에 제출된 의견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
#### **효율성 제고로 재투자 촉진**
재정 지출의 효율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정부는 의무지출에 대한 중장기 재정 소요도 면밀히 검토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확보된 재원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재투자될 계획이다.
– 새 정부 국정과제의 원활한 추진
–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초혁신 경제 실현
재정 구조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관계부처 간 협의를 거쳐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되며, 최종 예산안은 9월 초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낭비를 최소화하고, 국민의 여론을 반영하여 정책 수립 과정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둔다.
**문의:**
기획재정부 예산실 예산정책과 (044-215-7130)
원문보기
### 중부지방 집중 호우 대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 가동
행정안전부는 중부지방(수도권, 충청권 등)을 중심으로 호우 특보가 이어짐에 따라 **7월 16일 오후 3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했습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관계기관에 철저한 대응을 지시하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를 강조했습니다.
### 주요 기상 정보 및 예보
기상청은 **7월 17일까지 수도권, 충청권, 강원도, 전라권**을 중심으로 최대 **150~200㎜ 이상의 비**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18일부터 19일까지는 남부지방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전망됩니다. 특히, **16일 저녁부터 17일 오전까지**는 강수량이 집중됨에 따라 취약 시간대로 판단되며 더욱 세심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 국민 행동요령 및 대응 지침
김 본부장은 위험 기상 상황을 실시간 관리하며 선제적 비상대응체계 가동을 주문했습니다. 국민들께는 **재난문자, 방송, 마을방송** 등을 통해 기상 정보를 안내하고, 강수 집중시간대에는 **외출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한, **산사태 취약지역, 침수위험지역, 지하차도** 등에 대해 선제적 통제를 실시하고 필요시 주민대피를 사전 예고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 관계기관 협력 및 현장 대응 강화
자치단체, 경찰, 소방 등 일선 기관은 위험징후 발생 시 즉각적인 공동 대응 및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더불어, 현장 대응 인력의 안전에도 각별히 유의하라는 당부가 있었습니다.
### 국민들에게 요청 사항
김 민재 본부장은 “지난 주말에 이어지는 많은 비로 인해 추가 피해의 가능성이 높다”며 국민들께 **산사태 우려 지역, 하천변, 지하공간 등 위험구역 접근을 삼가** 주시고, 기상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
이번 호우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국민과 당국의 협력이 절실합니다. 최신 기상 정보를 확인하며 안전한 행동 요령을 철저히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행정안전부 자연재난실 자연재난대응과 (전화: 044-205-5234)
원문보기
### 행정안전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준비 점검…소상공인 지원 강화
행정안전부는 16일 대구광역시를 방문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을 앞두고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지역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소비쿠폰 지급은 내수 활성화와 지역경제 회복을 목표로 진행되는 정부 정책으로, 주민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 **소비쿠폰 지급 방법 및 사용처**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중 원하는 지급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
* **신청 절차:**
– 온라인 신청: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
– 오프라인 신청: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 방문
* **사용처:**
– 신용·체크카드 및 선불카드: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
– 지역사랑상품권: 기존 상품권 가맹점에서 동일하게 사용 가능
– 사용 불가 업종: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면세점, 온라인 쇼핑몰, 배달 앱, 유흥·사행업종 등
특히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주민을 위해 은행 영업점에서 신청 과정을 꼼꼼히 안내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한 지침을 마련할 것을 강조했다.
#### **현장 점검 및 소상공인 지원 강화**
한순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대구시 북구에 위치한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을 방문해 소비쿠폰 가맹점임을 알리는 스티커를 직접 부착했다. 경북대학교 주변 상권을 포함한 여러 지역 상점에서도 점검과 소통을 진행하며, 민생 현장의 어려움을 직접 들었다.
지방자치단체에는 주민들이 쿠폰 사용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당부했으며, 지역 소상공인들에게는 효율적인 소비쿠폰 결제 절차에 협조를 요청했다.
#### **소상공인과 지역경제에 긍정적 영향 기대**
한 실장은 “침체된 골목상권에 소비쿠폰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히며, 국민들이 편리하게 신청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를 다짐했다. 이번 소비쿠폰 지급은 내수 경기 활성화와 지역사회 경제 회복의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 교부세과 (044-205-3754)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지역주민과 상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할 만하다. 앞으로도 정부가 소상공인과 주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과 지원을 강화해 나가길 바란다.
원문보기
### 국토부, 건설현장 불법행위 집중 단속…520건 적발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전국 1607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불법하도급 및 페이퍼컴퍼니를 단속한 결과, 167개 현장에서 520건의 불법행위를 적발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단속현장 대비 적발현장 비율(적발률)이 4.5%포인트 감소했지만, 여전히 불법하도급(37.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단속 결과 및 조치
적발된 건설업체에 대해서는 영업정지와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각 소관 지자체에 요청했으며, 특히 불법하도급과 외국인 노동자 불법 고용 등으로 처분을 받은 업체에 대해 공공공사 하도급 참여 제한을 통보했습니다. 이에 따라 상반기 중 238개 업체가 공공공사에 참여할 수 없도록 조치되었습니다.
### 공정건설지원센터 운영 및 신고 절차
국토부는 전국 주요 지역(서울, 원주, 대전, 익산, 부산) 지방국토관리청에 **공정건설지원센터**를 설치해 불법행위 신고를 접수받고 있습니다. 신고는 방문, 전화(1577-8221), 국토부 누리집, 우편, 팩스를 통해 가능합니다. 최초 신고자에게는 최대 **2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며, 지급 여부는 포상금 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됩니다.
### 향후 계획
더 나아가 국토부는 **AI 기반 불법행위 의심업체 추적 시스템**을 도입해 단속 체계를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건설현장 및 업체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해마다 반복되는 건설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집중 점검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국토부 건설정책국장 남영우는 “건설현장의 불법행위를 무관용의 원칙으로 강력히 대처할 것이며, 공정하고 안전한 건설환경 조성을 위해 관계자들이 법령을 준수할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불법신고 및 문의
건설현장에서 불법행위를 발견한 경우, 다음 문의처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 **문의처:** 국토교통부 건설정책국 건설현장준법감시팀
– **전화:** 044-201-3511
– **신고 사이트:**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go.kr)
국토부는 앞으로도 건설산업 기본법령 준수를 촉진하며 보다 공정하고 안전한 건설 환경을 조성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원문보기
###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 ‘커리어 플래닝 서비스’ 시범 운영 개시**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은 40세 이상 중장년 근로자의 경력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커리어 플래닝 서비스’**를 올해부터 운영한다고 16일 밝혔습니다.
—
### **서비스 주요 내용**
‘커리어 플래닝 서비스’는 단순한 직무 교육이나 상담을 넘어, 개인의 경험과 직무 특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경력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비스 구성**
– **경력진단**: 현재까지의 경력을 분석
– **역량분석**: 개인이 보유한 직무역량 점검
– **경력경로 탐색**: 5년 또는 10년 후 경력 방향 설정
– **경력계획 수립**: 필요한 역량 강화 및 구체적 목표 설정
2. **제공 방식**
– 1:1 맞춤형 컨설팅 형태로 6주 동안 진행
– 업스킬링(기존 역량 확장) 및 리스킬링(새로운 직무 전환) 유도
– 퇴직예정자 대상 재취업 관련 서비스 병행 제공
3. **운영 방식 및 대상**
– 1,000인 미만 기업의 40세 이상 재직자 대상(무료)
– 개인 참여와 기업 단체 참여 모두 가능
– 근무시간 외에도 **퇴근 후와 주말 상담 가능**
– 단체 신청의 경우 컨설턴트가 사업장으로 방문
4. **재취업 및 중장년내일센터와 연계 서비스**
– 1,000인 이상 기업에는 퇴직 예정자 대상 생애경력설계 서비스 제공 권고
– 구직자는 **중장년내일센터**를 통해 본 서비스 이용 가능
—
### **2023년 운영 목표와 전망**
올해는 950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되며, 이후 점진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 권진호 국장은 “이 서비스는 단순 교육을 넘어 중장년 근로자들이 **역량 강화와 직무전환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 **추가 문의**
–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
– ☎ 044-202-7469
– **노사발전재단 전직지원팀**
– ☎ 02-6021-1332
– 노사발전재단 공식 웹사이트: [https://www.nosa.or.kr/portal](https://www.nosa.or.kr/portal)
본 서비스는 중장년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커리어 기회를 제공하고, 조직 내에서의 성장을 지원할 실질적인 도구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김민석 국무총리, APEC 정상회의 준비 현장을 직접 점검**
김민석 국무총리(2025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장)는 11일 APEC 정상회의 인프라 조성을 점검한 데 이어, 15일과 16일 이틀 동안 경주 현장을 직접 방문해 숙소와 문화콘텐츠 준비 현황을 꼼꼼히 살폈다.
### **숙소 및 서비스 준비 점검**
15일, 김 총리는 실무인력과 기자단 숙소부터 정상급 숙소까지 다양한 숙박시설을 방문해 서비스 준비 상태를 면밀히 검토했다. 특히, 식음료 및 서비스 수준이 부족한 시설에 대해 개선 방안을 논의하며, 실무 인력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호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교육 현장을 찾아 APEC 정상회의를 기존보다 더욱 특별한 행사로 만들기 위해 종사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언급하며, 성실히 임해줄 것을 당부했다.
김 총리는 개보수가 한창인 모든 정상급 숙박시설도 세심하게 돌아보며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계획에 따라 공정을 마무리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 등의 시설이 부족한 연수원이 주요 호텔 수준의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단체와 협력할 것도 요청했다.
### **문화콘텐츠 준비 점검**
16일에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양정웅 예술감독 및 관계 부처로부터 공식 만찬 행사 기획안과 문화행사 계획 전반을 보고받았다. 이후, 오후에는 문화행사 준비 현장을 직접 둘러보며 세부적인 점검을 통해 정상회의를 위한 완벽한 준비를 독려했다.
### **향후 계획 및 기대**
이번 현장 점검은 APEC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숙박시설의 질적 개선과 차별화된 문화콘텐츠 준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김 총리는 모든 실무 인력과 관련 단체들이 협력하여 행사의 품격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
**문의**: 국무조정실 외교안보정책관실 (02-2100-2199)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부 공식 포털 www.korea.kr)*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크루즈 체험단 모집…2025년 체험단 운영계획 발표**
해양수산부는 크루즈 여행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크루즈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크루즈 체험단’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체험단 참가 신청은 8월 17일부터 23일 오후 5시까지 진행되며, 모집 인원은 총 30팀(60명)이다.
### 올해 체험단 여행 일정과 정보
체험단은 2024년 9월 5일 부산항에서 출발하여 코스타세레나호(Costa Serena) 크루즈선을 타고 7박 8일간의 일정으로 한국 속초, 일본 무로란, 구시로, 하코다테를 관광하게 된다. 여행 후에는 9월 12일 부산항으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전체 여행 경비는 약 240만 원 상당으로 추산되며, 참가자는 승선비용 일부와 관광비용 포함 총 1인당 90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
### 신청 조건 및 방법
참가 조건은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이며, 이전에 해수부 크루즈 체험단으로 선정된 적이 있는 사람은 제외된다. 신청은 해양수산부 누리집(www.mof.go.kr)에서 할 수 있으며, 신청 시에 참가자 및 동행인의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를 입력하면 된다.
문의사항은 체험단 운영기관(☎02-2075-3810, 3400) 또는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과(☎044-200-5277)로 연락할 수 있다.
### 운영 목적과 기대
김성범 해수부 차관은 이번 체험단 운영을 통해 크루즈 여행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크루즈산업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결과 발표는 8월 25일 해양수산부 누리집을 통해 공개되며, 선발된 체험단은 개별적으로 안내받는다.
이번 체험단 모집은 크루즈 여행에 관심 있는 국민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해양 레저 산업과 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원문보기
### 우리나라,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국으로 선정
2026년 7월, 대한민국은 부산에서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를 개최하게 된다. 이번 결정은 2023년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의 발표를 통해 확정되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세계유산위원회를 처음으로 개최하는 중요한 역사적 순간이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와 이번 개최의 의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매년 열리는 국제회의로, ‘세계유산협약’에 기반을 둔 세계유산의 등재 및 보존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이 대규모 회의에는 세계유산협약 196개국의 대표단, 유네스코 사무총장 등 약 3,000명의 관계자가 참석한다.
특히 대한민국은 1988년 협약에 가입한 후 네 번째 위원국(2023년~2027년)으로 활동 중이며, 이번 행사는 석굴암과 불국사, 종묘 등 국내 세계유산 등재 30주년과 겹쳐 더욱 뜻깊은 시점에 개최된다.
#### 부산 개최 확정 및 준비 상황
부산은 국내 선정 절차를 거쳐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 개최도시로 확정되었으며, 국가유산청은 관련 부처, 부산광역시, 전문가들과 협력해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전력을 다할 계획이다. 대한민국은 이번 위원회를 통해 기후위기, 도시화 영향 속 세계유산의 지속 가능성 및 보호 방안을 논의하는 데 앞장설 것으로 기대된다.
#### 대통령실 입장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것은 문화 강국으로서 위상을 알리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역할과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의 개최는 대한민국이 문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도약의 계기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