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방위사업청][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신속시범사업 군 관심 과제, 전격 공개!
요약보기
한국어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이 7월 15일 군 관심 무기체계 설명회를 열어 산학연과의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각 군은 25개 과제를 제시하며 AI, 드론 등 신기술을 활용한 첨단 무기체계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설명회 후에도 홈페이지를 통해 협력을 이어가며, 2025년 하반기 신속시범사업을 통해 실행 기관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총평 이번 정책은 민간의 혁신적 기술이 군사 분야에 접목될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한 첨단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English On July 15, the Defense Rapid Acquisition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eld a seminar to enhance cooperation with academia and industry.
During the seminar, 25 key military projects involving AI, drones, and other advanced technologies were unveiled.
Continuous collaboration will be pursued via the institute’s website, with organizations for the fast-track pilot project to be selected in late 2025.
Summary This initiative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grate cutting-edge civilian technologies into the military sector, accelerating advancements suitable for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s.
日本語 国防迅速取得技術研究院は7月15日、産学官の協力を強化するために軍の関心武器体系説明会を開催しました。
説明会では、AIやドローンなどの先端技術を活用した25の主な軍事プロジェクトが公開されました。
公式ウェブサイトを通じて協力を継続し、2025年後半には迅速示範事業の実行機関が選定さ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民間の先進技術を軍事分野に活用する可能性を広げ、未来の戦場環境に適応する技術開発を加速させ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国防快速获取技术研究院于7月15日举办了一场研讨会,加强与产学研合作。
会上公开了25个涉及AI、无人机等先进技术的重点军事项目。
通过官方网站继续推动合作,并计划在2025年下半年选定快速示范项目的执行机构。
总评 此举拓宽了先进民用技术融入军事领域的途径,有望加速适应未来战场需求的技术发展。
Italiano Il 15 luglio, l’Istituto per la Ricerca sulle Tecnologie di Acquisizione Rapida della Difesa ha organizzato un seminario per rafforzare la collaborazione con il mondo accademico e industriale.
Durante l’evento sono stati presentati 25 progetti militari chiave che utilizzano tecnologie avanzate come AI e droni.
La collaborazione continuerà tramite il sito ufficiale dell’istituto, con la selezione degli enti esecutori del progetto pilota rapida prevista per la fine del 2025.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mplia le opportunità di integrazione delle tecnologie avanzate civili nel settore militare, accelerando lo sviluppo di soluzioni adatte ai futuri ambienti di battaglia.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전원 메달 획득(금 1·은 3)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이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3개를 획득하며 모든 대표단이 메달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한국 학생들의 과학 분야에서의 뛰어난 역량과 국제적 성취를 다시 한번 증명한 결과로 평가됩니다.
총평 이번 성과는 국내 과학 교육의 우수성을 보여주며, 학생들에게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English South Korea won one gold medal and three silver medals in the 57th International Chemistry Olympiad, with all its representatives achieving medals.
This demonstrates the exceptional capabilities of South Korean students in science and their global achievements.
Summary This achievement highlights the excellence of South Korea’s science education and serves as motivation for students to enhanc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日本語 韓国代表団が第57回国際化学オリンピックで金メダル1個、銀メダル3個を獲得し、代表全員がメダルを得ました。
これは韓国の学生たちが科学分野で卓越した能力を持っていることを示す国際的な成果として評価されます。
総評 この成果は国内科学教育の優秀さを示し、学生たちが国際的な競争力を高めるきっかけにな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代表团在第57届国际化学奥林匹克竞赛中赢得了1枚金牌和3枚银牌,全体成员均获奖牌。
这一成就再次证明了韩国学生在科学领域的卓越能力及国际成就。
总评 此次成绩表明韩国科学教育的实力,同时为学生们提升国际竞争力提供了激励。
Italiano La squadra rappresentativa della Corea del Sud alla 57ª Olimpiade Internazionale di Chimica ha vinto una medaglia d’oro e tre d’argento, con tutti i membri medagliati.
Questo risultato dimostra ancora una volta le straordinarie capacità degli studenti coreani nel campo scientifico e i loro traguardi a livello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successo evidenzia l’eccellenza dell’educazione scientifica in Corea, ispirando gli studenti a potenziare la propria competitività globale.
[조달청]인공지능(AI) 기술… 조달 행정에 활용, 접목시킨다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이 16일 경기도 판교를 방문해 SK 데이터 센터와 AI 전문기업 아이브릭스를 탐방하며, AI 기술을 조달 행정에 접목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탐방에서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자연어 처리 기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공공조달 자동화·지능화 가능성을 점검했습니다.
총평 AI 기술 도입은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민간과의 연계를 강화해 더 투명하고 신속한 조달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visited SK Data Center and the AI technology company iBrix in Pangyo on the 16th to explore the integration of AI in procurement administration.
The visit focused on large-scale data management systems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assessing their potential to automate and enhance public procurement procedures.
Summary The adoption of AI technology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in public services, while fostering greater collabo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日本語 調達庁は16日、京畿道板橋のSKデータセンターとAI専門企業アイブリックスを訪問し、AI技術を調達行政に活用する方法を模索しました。
データ管理システムや自然言語処理技術など、公共調達の自動化・高度化を可能にする技術の活用法が検討されました。
総評 AI技術の導入は効率性と透明性を向上させ、公的サービスの迅速な提供と民間との連携強化に貢献します。
中文 16日,韩国公共采购局访问了位于京畿道板桥的SK数据中心及人工智能技术公司iBrix,探讨如何将AI技术与采购行政相结合。
此次访问集中考察了大型数据管理系统及自然语言处理等技术,评估其在公共采购自动化及智能化中的潜力。
总评 AI技术的应用有助于提升公共服务效率,促进透明化,并加强与私营部门的合作。
Italiano Il servizio pubblico di approvvigionamento ha visitato il 16 ottobre il centro dati SK e l’azienda di tecnologia AI iBrix a Pangyo, per esplorare l’integrazione dell’AI nell’amministrazione degli acquisti pubblici.
Durante la visita sono stati approfonditi i sistemi di gestione dei dati su larga scala e le tecnologie di elaborazione del linguaggio naturale, valutando il loro potenziale per automatizzare e migliorare i processi di approvvigionamento pubblico.
Valutazione L’adozione della tecnologia AI potrà migliorare notevolmente l’efficienza e la trasparenza nei servizi pubblici, promuovendo una maggiore collaborazione con il settore privato.
[조달청]조달청, 공공조달 AI 대전환을 위한 현장 목소리 청취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공공조달 AI 대전환 준비의 일환으로 AI 기반 지능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는 이든티앤에스를 방문해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AI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공공조달 체계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AI 소프트웨어 품명 신설 이후 최초 단가계약을 체결한 사례를 확인했습니다.
총평 공공조달의 AI 활용 확대로 중소기업의 기술력이 더욱 증명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visited Eeden T&S, a company specializing in AI-based intelligent workflow automation solutions, to gather feedback as part of the preparation for AI transformation in public procurement.
This visit aimed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small and medium-sized AI enterprises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 public procurement system, marking the first contract established under the newly defined AI software item categories.
Summary Expanding AI in public procurement could pave the way for small businesses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credibility.
日本語 調達庁は、公共調達AI大転換準備の一環として、AIベースの業務自動化ソリューションを開発するイーデンティーアンドエスを訪問し現場の声を聞きました。
新設されたAIソフトウェア名の下で初の単価契約が結ばれた事例を確認するとともに、中小企業支援における公共調達システム改善案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総評 公共調達におけるAI導入拡大は、中小企業が技術力を実証する場をさらに広げることにつながるでしょう。
中文 政府采购局访问了开发AI智能业务自动化解决方案的伊登科技公司,以听取有关公共采购AI转型的反馈意见。
这次访问旨在了解AI中小企业的困难,并讨论改进公共采购体系,同时确认在新创建的AI软件分类下首个单价合同的实施情况。
总评 公共采购的AI应用扩展为中小企业提供了技术认证和更广的成长平台。
Italiano L’Agenzia per la Pubblica Amministrazione ha visitato Eeden T&S, azienda specializzata in soluzioni di automazione aziendale basate sull’intelligenza artificiale, per raccogliere opinioni sul terreno.
L’incontro mirava a identificare le difficoltà delle PMI del settore AI e migliorare il sistema di pubbliche gare, segnando il primo contratto sulla nuova categoria di software AI.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ebbe rafforzare il ruolo delle PMI nel settore AI, accelerando la loro crescita e il riconoscimento tecnologico.
[조달청]공공건축물 탄소중립, 설계단계부터 강화된다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16일,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설계적정성검토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여기서 친환경 설계 검토 강화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확산 방안을 논의했으며, 앞으로 설계 단계부터 탄소중립 요소를 효과적으로 반영하도록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공공건축물의 환경 영향을 줄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며, 민간 건축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eld a briefing on the 16th to discuss strengthening design reviews and expanding zero-energy building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public buildings.
The government plans to enhance policies to incorporate carbon-neutral elements effectively from the design phase.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ublic buildings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potentially influencing private construction as well.
日本語 調達庁は16日、公的建築物の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実現を目指す設計適正性検討説明会を開催しました。
設計段階から環境配慮を効果的に反映させるための方針強化が議論され、ゼロエネルギー建築物の普及政策が進められる予定です。
総評 この政策は公的建築物の温室効果ガス削減を促進し、さらに民間分野への波及効果も期待されます。
中文 政府采购厅于16日召开说明会,探讨加强绿色设计审查和推广零能耗建筑,实现公建物的碳中和目标。
计划进一步强化政策,使设计阶段即可有效融入碳中和元素。
总评 此政策有望减少公建物对环境的影响,并推动可持续发展,同时可能带动民间建筑领域的绿色化进程。
Italiano Il Servizio di Approvvigionamento Pubblico ha organizzato il 16 una conferenza per discutere il rafforzamento delle verifiche di progettazione e l’espansione degli edifici a energia zero per realizzare la neutralità carbonica negli edifici pubblici.
Si prevede di potenziare le politiche per integrare efficacemente elementi di carbon neutrality già dalla fase di progettazion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uò ridurre l’impatto ambientale degli edifici pubblici e promuovere uno sviluppo sostenibile, influendo anche sull’edilizia privata.
[조달청]조달청 물품구매 금주('25.07.21. ~ '25.07.25) 입찰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2025년 7월 21일부터 25일까지 총 140건, 약 797억 원 규모의 물품구매 입찰을 집행 예정입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해양경찰청의 유류 바지 3척 건조 계약, 산림청의 진화대원 회복차량 도입 등이 포함됩니다.
지역별로는 본청이 전체의 36.8%, 나머지는 지방청으로 배분됩니다.
총평 이번 입찰은 해양 및 산림 분야의 공공 장비 확충뿐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lans to conduct bids worth approximately 79.7 billion KRW for 140 projects from July 21 to July 25, 2025.
Key projects include constructing three oil barges for the Coast Guard and introducing recovery vehicles for wildfire responders.
The central office will handle 36.8% of the total amount, with the rest distributed to regional offices.
Summary These bids aim to enhance public equipment in maritime and forestry sectors while also boosting local economies.
日本語 調達庁は2025年7月21日から25日までに総額797億ウォン規模の140件にわたる物品購入入札を実施する予定です。
主な案件には、海洋警察庁の油送船3隻の建造や森林庁の消火隊員用回復車両の導入が含まれます。
総額の36.8%は本庁が担当し、残りは地方庁に割り振られます。
総評 今回の入札は、海洋および森林分野の公共設備を拡充し、地域経済にも貢献する期待が高いです。
中文 韩国公共采购处计划于2025年7月21日至7月25日期间,执行约797亿韩元的140项采购招标。
主要项目包括海警局的3艘油驳船建造和林业厅的灭火队恢复车辆引进项目。
其中,中央机关负责36.8%,其余由地方机关分配执行。
总评 此次招标将加强海洋与林业领域的公共设施,并促进地区经济发展。
Italiano Il Servizio Pubblico per gli Appalti prevede di condurre aste per un valore di circa 797 miliardi di KRW su 140 progetti dal 21 al 25 luglio 2025.
Tra i principali progetti figurano la costruzione di tre chiatte di petrolio per la Guardia Costiera e l’acquisizione di veicoli di recupero per i vigili del fuoco forestali.
L’ufficio centrale gestirà il 36,8% del totale, mentre il resto sarà distribuito agli uffici regionali.
Valutazione Questi appalti rafforzeranno le attrezzature pubbliche nei settori marittimo e forestale, stimolando al contempo l’economia locale.
[산림청]비 오면, 산사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산림과학원이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강우량과 토양 정보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 지역을 분석하며, 지역별로 위험도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산불 피해 지역의 위험도 조정과 대피소 정보도 제공하여 재난 예방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총평 이 시스템은 비가 많은 시기 산사태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해 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s providing real-time landslide risk information.
This system analyzes landslide-prone areas using rainfall data and soil conditions, allowing detailed risk assessments by locality.
Additionally, it adjusts risks for wildfire-affected areas and provides evacuation shelter locations to enhance disaster prevention.
Summary This tool is invaluable for early detection of landslide risks, enabling swift action during heavy rainfall seasons.
日本語 国立山林科学院がリアルタイムで土砂崩れの危険度情報を提供しています。
このシステムは降水量と土壌情報を活用し、地域ごとに詳細な危険度を分析します。
特に山火事被害地域のリスク調整や避難所情報の提供により、災害予防に貢献しています。
総評 このシステムは雨量の多いシーズンに土砂災害の危険を事前に把握し、迅速な対応を可能にする重要なツールです。
中文 国立山林科学院正在提供实时山体滑坡风险信息。
该系统利用降雨量和土壤条件分析山体滑坡风险区域,并可按地区详细查看风险等级。
此外,还针对森林火灾受灾地区调整风险等级并提供避难所位置信息,以加强灾害预防。
总评 此系统在多雨季节帮助提前识别滑坡风险,是快速应对灾害的重要工具。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Scienze Forestali fornisce informazioni in tempo reale sul rischio di frane.
Il sistema analizza le aree a rischio utilizzando dati sulle precipitazioni e sulle condizioni del suolo, consentendo valutazioni dettagliate per località.
Inoltre, adatta le valutazioni per le aree colpite dagli incendi boschivi e offre informazioni sui rifugi di evacuazione per prevenire disastri.
Valutazione Questo sistema aiuta a identificare i rischi di frane in anticipo, facilitando rapide azioni durante stagioni di forti piogge.
[국가유산청]대홍수가 깨운 풍납토성 발견부터 현재까지, 한성의 역사적 의미 조명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7월 17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물의 기억 한성의 역사”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발견된 백제 한성기 수도 풍납토성의 100년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이번 행사는 한성기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역사적 가치를 알리는 의미 있는 자리로 기대됩니다.
총평 백제 한성기의 유적과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우리의 과거를 이해하고 미래 연구를 준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host a seminar titled “The Memory of Water: The History of Hanseong” on July 17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Seoul.
This seminar marks 100 years since the discovery of the Baekje Hanseong capital, including Pungnaptoseong, triggered by the Eulchuk-year flood in 1925, and aims to summarize research achievements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Experts from various fields will contribute to this meaningful even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Hanseong’s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Summary This seminar serves as a vital moment to revisit and celebrate the historical legacy of Baekje Hanseong while fostering collaboration for future scholarly advancements.
日本語 国立ソウル文化遺産研究所は7月17日、国立故宮博物館で「水の記憶 漢城の歴史」をテーマにした学術大会を開催します。
この学術大会は、1925年の乙丑年大洪水によって発見された百済漢城期の首都・風納土城についての100年にわたる研究成果を整理し、今後の研究方向を議論するために企画されました。
多くの分野からの専門家が参加し、漢城期の歴史的価値を再評価する意義深い場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ます。
総評 百済漢城期の遺跡とその歴史的意義を再発見するこの学術大会は、過去を知り、未来の研究を育む重要な契機となるでしょう。
中文 国立首尔文化遗产研究所将于7月17日在国立古宫博物馆举办以“水的记忆 汉城的历史”为主题的学术大会。
本次学术大会旨在总结1925年乙丑年大洪水后发现的百济汉城时期都城风纳土城的百年研究成果,并探讨未来的研究方向。
来自多个领域的专家将齐聚一堂,共同探索汉城历史的深厚内涵,这将是一场别具意义的学术盛会。
总评 此次学术大会有助于深化对百济汉城时期遗址的认知,为未来相关研究提供新的视角和方向。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per il Patrimonio Culturale di Seoul organizzerà un convegno dal titolo “La memoria dell’acqua: La storia di Hanseong” il 17 luglio presso il Museo del Palazzo Nazionale a Seoul.
Questo convegno commemora i 100 anni dalla scoperta della capitale Hanseong di Baekje, inclusa Pungnaptoseong, resa possibile dall’alluvione dell’anno Eulchuk nel 1925, e mira a riassumere i progressi della ricerca e a discutere le direzioni future.
Esperti di diversi settori contribuiranno a questo evento significativo, aumentando la comprensione del valore archeologico e storico di Hanseong.
Valutazione Questo convegno rappresenta un’importante occasione per riscoprire il patrimonio storico di Hanseong e per stimolare la cooperazione accademica in vista di future indagini.
[국가유산청]「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5년간의 학술조사 마무리
요약보기
한국어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발굴조사가 5년간의 여정을 마치고 7월 17일 결과를 발표합니다.
이 고분군은 마한 역사문화권의 중요한 유적으로, 일본식 묘제를 수용했지만 주변 국가들과 독자적인 문화교류를 보여주는 유물들이 출토되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고분들은 철저한 설계 하에 축조되었고, 고대 사회의 위계체계 또한 드러났습니다.
총평 이 조사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적 교류와 기술 수준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Hampyeong Masan-ri Pyo-san Tomb Cluster excavation concluded after a 5-year investigation, with results to be unveiled on July 17.
This site is a key relic of the Mahan historical-cultural sphere, showing unique cultural exchanges among neighboring nations despite adopting Japanese-style tomb structures.
The findings highlight meticulous construction planning and the presence of a hierarchical social order in ancient societies.
Summary This investigation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ancient East Asia’s cultural interchange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iques.
日本語 咸平馬山里表山古墳群の発掘調査が5年の歳月を経て完了し、7月17日に成果が発表されます。
この古墳群は馬韓歴史文化圏の重要な遺跡で、日本式の墓制を取り入れつつも、周辺諸国との独自の文化交流を示す遺物が出土しました。
調査結果から、高度な設計と古代社会における階層秩序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総評 この調査は古代東アジアにおける文化交流と技術水準の理解に重要な材料を提供します。
中文 咸平马山里表山古坟群经过5年的发掘调查完成,7月17日将公布相关成果。
这一古坟群是马韩历史文化圈的重要遗址,尽管吸收了日本墓制的特点,但出土文物展示了与周边国家的独特文化交流。
调查结果表明,这些古坟具有精心规划的建筑结构,并反映了古代社会的等级制度。
总评 该调查为理解古代东亚的文化交流与技术成就提供了关键线索。
Italiano Il sito delle Tombe di Pyo-san a Masan-ri, Hampyeong, ha concluso un’indagine di 5 anni, i cui risultati saranno rivelati il 17 luglio.
Questo sito è una reliquia fondamentale della sfera storico-culturale di Mahan, che mostra scambi culturali unici con le nazioni vicine e adotta strutture tombali di stile giapponese.
L’indagine ha messo in luce meticolose tecniche di costruzione e la presenza di un ordine gerarchico nella società antica.
Valutazione Questa ricerca offre spunti preziosi sugli scambi culturali e sui progressi tecnologici dell’antica Asia orientale.
[국가유산청](국영문 동시배포) 우리나라,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2026년) 유치
요약보기
한국어 대한민국이 2026년 7월 개최될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으로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회의는 국내 최초로 부산에서 개최되며, 약 3천 명의 세계유산 관계자가 참석할 예정입니다.
국가유산청은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정부, 부산시, 전문가들과 협력할 것을 밝혔습니다.
총평 이번 유치로 인해 우리나라의 문화재 보존 노력과 국제적 위상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South Korea has been officially chosen as the host country for the 48th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session, set to take place in July 2026.
This marks the first time South Korea will host the conference, which will occur in Busan and gather around 3,000 participants worldwide.
The Korea Heritage Service is committed to collaborating with government agencies and experts to ensure the event’s success.
Summary This opportunity is expected to boost Korea’s efforts in heritage preservation and enhance its global cultural standing.
日本語 韓国が2026年7月に開催される第48回ユネスコ世界遺産委員会の議長国に正式に選ばれました。
これは韓国初の開催となり、釜山で行われ、約3000人の世界遺産関係者が参加すると予想されています。
国家遺産庁は成功的な開催のために政府機関および専門家と協力する方針を示しました。
総評 この開催により、韓国の文化遺産保護と国際的地位の向上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韩国正式被选为将于2026年7月举办的第48届联合国教科文组织世界遗产委员会的主席国。
此次会议是韩国首次承办,将在釜山举行,预计将吸引约3000名世界遗产相关人士参会。
国家遗产厅表示将与政府部门、釜山市及各领域专家密切合作,确保活动圆满举办。
总评 此次承办将进一步提升韩国在文化遗产保护领域的努力和国际声望。
Italiano La Corea del Sud è stata ufficialmente scelta come paese ospitante per la 48ª sessione del Comitato del Patrimonio Mondiale dell’UNESCO, prevista per luglio 2026.
Sarà la prima volta che la Corea del Sud ospiterà l’evento, che si terrà a Busan e vedrà la partecipazione di circa 3.000 rappresentanti internazionali.
Il Servizio del Patrimonio Coreano lavorerà in collaborazione con agenzie governative e esperti per garantire il successo dell’evento.
Valutazione Questo evento rappresenta un’opportunità per rafforzare il ruolo della Corea nella conservazione del patrimonio culturale a livello mondiale.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전원 메달 획득(금1·은3)
요약보기
한국어 한국대표단이 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3개를 획득하며 전원 메달을 받았습니다.
한국의 참가자 모두가 뛰어난 성과를 보여 각국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총평 이번 결과는 한국의 화학 교육 수준 향상과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하며 미래 과학인재 육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n team won one gold and three silver medals at the 2025 57th International Chemistry Olympiad.
All participants from Korea achieved outstanding results, gaining attention from countries worldwide.
Summary This achievement demonstrates the advancement of Korea’s chemistry education and boosts the nation’s competitiveness on the international stage, fostering future scientific talent.
日本語 韓国代表団は2025年第57回国際化学オリンピアードで金メダル1個、銀メダル3個を獲得し、全員がメダルを受け取りました。
韓国の選手は優れた成果を挙げ、各国から注目を集めました。
総評 この結果は韓国の化学教育の進展を示し、未来の科学人材育成に良い影響を与えるでしょう。
中文 韩国代表团在2025年第57届国际化学奥林匹克竞赛中获得了1枚金牌和3枚银牌,全员均摘得奖牌。
韩国参赛选手的优异表现赢得了各国的关注。
总评 此次成果展示了韩国化学教育的提升,同时对未来科学人才培养带来积极影响。
Italiano La delegazione coreana ha vinto una medaglia d’oro e tre d’argento alla 57ª Olimpiade Internazionale di Chimica del 2025.
Tutti i partecipanti della Corea hanno ottenuto risultati eccellenti, attirando l’attenzione internazionale.
Valutazione Questo risultato dimostra il progresso dell’istruzione chimica in Corea e contribuirà positivamente alla formazione di giovani talenti scientifici per il futuro.
[법제처]제36대 조원철 법제처장 취임사
요약보기
한국어 조원철 신임 법제처장은 행정입법의 과도한 의존 문제와 규제의 고착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법제처 업무에 AI를 도입하여 불필요한 법령 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국민과 기업의 법령 접근성을 높일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총평 이번 발표는 행정 효율성과 법령 접근성을 향상시켜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을 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Jo Won-cheol, the newly appointed head of the Legislative Research Institute, emphasized addressing excessive reliance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resolving regulatory rigidity.
He highlighted the need to adopt AI in legislative processes to streamline adjustments of unnecessary regulations and improve accessibility to legal information for citizens and business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hanc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legal accessibility, driving new economic growth opportunities.
日本語 新任の法制処長であるジョ・ウォンチョル氏は、行政立法への過度な依存や規制の固定化を改善する必要性を強調しました。
特にAIを法制処の業務に導入し、不要な法令の適切な調整を効率化し、国民や企業に法令情報へのアクセスを向上させる必要性を述べました。
総評 この取り組みは行政効率と法令へのアクセス性を向上し、経済成長の起爆剤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新上任的法律事务处长赵元哲强调需要解决行政立法过度依赖和规制固化的问题。
他特别提到应将人工智能引入法律事务,以更高效地调整不必要的法规,并提高民众和企业对法律信息的获取能力。
总评 这一举措将有助于提升行政效率和法律可访问性,并为经济增长提供新的动力。
Italiano Jo Won-cheol, nuovo capo della Legislative Research Institute, ha sottolineato la necessità di affrontare l’eccessiva dipendenza dalla legislazione amministrativa e la rigidità normativa.
Ha evidenziato l’importanza di introdurre l’AI nei processi legislativi per rendere più efficienti le modifiche delle normative inutili e migliorare l’accessibilità alle informazioni legali per cittadini e aziend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potrà migliorare l’efficienza amministrativa e l’accesso alle informazioni legali, contribuendo a stimolare la crescita economica.
[산업통상자원부]RE100 산단 조성에 범부처 역량 총결집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 태스크포스를 출범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 회의에서는 재생에너지 인프라, 기업 유치, 정주 여건을 포함한 세부 계획과 특별법 제정 방안이 논의되었습니다.
정부는 연내 조성과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격주로 정례회의를 열 계획입니다.
총평 RE100 산업단지는 친환경 산업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과 기업 환경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launched a joint task force to establish RE100 industrial complexes and held its first meeting.
The meeting discussed detailed plans such as renewable energy infrastructure, attracting companies, and improving residential conditions, along with legislation for a special law.
The government aims to finalize the plans and special law within this year, holding bi-weekly meetings.
Summary The RE100 initiative could play a key role in promot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enhancing the business environment through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日本語 政府はRE100産業団地の創設に向けて関係省庁合同タスクフォースを立ち上げ、初会議を開催しました。
会議では再生可能エネルギー基盤構築や企業誘致、住環境改善についての詳細な計画と特別法案を議論しました。
政府は年内に計画と特別法を完成させるため、隔週で会議を開く予定です。
総評 RE100産業団地は、持続可能なエネルギーを通じて地域の均衡発展と企業環境の向上に寄与する重要なプロジェクトになるでしょう。
中文 政府成立了RE100产业园联合工作组,并举行了首次会议。
会议讨论了可再生能源基础设施、吸引企业投资、改善居住条件等详细计划及相关特别法案。
政府计划在今年内完成相关计划和法案,并将每两周召开一次例会。
总评 RE100产业园将成为通过可持续能源促进区域均衡发展和优化营商环境的重要一步。
Italiano Il governo ha avviato una task force congiunta per sviluppare i complessi industriali RE100 e ha tenuto la sua prima riunione.
Durante l’incontro sono stati discussi piani dettagliati, tra cui infrastrutture per energie rinnovabili, attrazione di imprese e miglioramento delle condizioni residenziali, insieme a una proposta di legge speciale.
Il governo mira a finalizzare i piani e la legge entro quest’anno con riunioni periodiche ogni due settimane.
Valutazione I complessi RE100 rappresentano un passo fondamentale per promuovere lo sviluppo regionale equilibrato e creare un ambiente aziendale più sostenibile.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과 현장 잇는 행보 … APEC 인구대응 논의 촉구 및 에이지테크 현장방문
요약보기
한국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대구·경북에서 현장 소통을 통해 제5차 기본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위원회는 APEC 인구구조변화 포럼에서 저출생 문제 해결, 포용적 문화 조성, 에이지테크 산업 육성을 제안하며 “경주 선언” 채택을 촉구했습니다.
또한 계명대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를 방문해 에이지테크 산업 발전과 생태계 조성을 논의했습니다.
총평 이 정책은 인구변화 문제를 다각도로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돌봄기술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held discussions in Daegu and Gyeongbuk to gather input for the 5th Basic Plan (2026–2030).
In the APEC Population Change Forum, the committee proposed addressing low birthrates, fostering inclusive culture, and promoting Age-Tech industries, advocating the adoption of the “Gyeongju Declaration.”
The committee also visited the Aging-Friendly Industrial Innovation Center at Keimyung University to support the Age-Tech ecosystem development.
Summary This initiative aims to tackle demographic challenges through tech innovation and cultural inclusivity, potentially boosting both caregiving technologies and regional economies.
日本語 低出生高齢社会委員会は大邱と慶北で現場と対話し、第5次基本計画(2026~2030)策定のための意見を収集しました。
APEC人口構造変化フォーラムでは、低出生問題への対処、包摂的文化の確立、高齢者向け技術産業の振興を提案し、「慶州宣言」の採択を促しました。
また、啓明大学の高齢者産業革新センターを訪れ、エイジテック産業の発展とエコシステムの構築を話し合いました。
総評 この政策は人口問題解決の多角的アプローチを目指しており、福祉技術の発展と地域経済の促進に好影響を与えると期待されます。
中文 低生育高龄社会委员会深入大邱和庆北采纳意见,为制定第5次基本计划(2026年至2030年)奠定基础。
在APEC人口结构变化论坛上,委员会提议应对低出生率、打造包容性文化以及发展老龄技术产业,同时呼吁通过“庆州宣言”。
此外,委员会还访问了启明大学老龄友好产业创新中心,探讨如何推动老龄技术产业发展及生态体系建设。
总评 这一政策试图多层面应对人口问题,预计将推动护理技术进步以及促进地方经济发展。
Italiano Il Comitato per la Società a Bassa Natalità e Invecchiamento ha tenuto incontri a Daegu e Gyeongbuk per raccogliere opinioni sul 5° Piano di Base (2026–2030).
Nel Forum sui Cambiamenti Demografici dell’APEC, il comitato ha proposto soluzioni per il calo delle nascite, la creazione di una cultura inclusiva e la promozione delle industrie Age-Tech, sollecitando l’adozione della “Dichiarazione di Gyeongju.”.
Il comitato ha anche visitato il Centro d’Innovazione Industriale Amico degli Anziani presso l’Università di Keimyung per sostenere lo sviluppo dell’ecosistema Age-Tech.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affronta i cambiamenti demografici promuovendo l’innovazione tecnologica e l’inclusione culturale, con potenziali benefici per le economie locali e il benessere.
[질병관리청][7.16.행사시작(9시)이후] ‘팬데믹 대비 정책 통찰 나눈다’ 국제 감시 협력 워크숍, 한국에서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은 미국 CDC 및 국제공중보건기관연합(IANPHI)와 함께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국제 팬데믹 대비 워크숍을 한국에서 개최합니다.
이번 워크숍은 10개국 및 4개 국제기관이 참여하여 데이터 활용 기반 감염병 대응 사례를 공유하고, 각국의 대비 전략을 구체화하는 자리가 될 예정입니다.
총평 이는 국제적 협력 강화를 통해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체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회로, 국민 건강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호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U.S. CDC, and IANPHI are hosting an international pandemic preparedness workshop in Korea from July 16 to 18.
The workshop involves 10 countries and four international agencies to share cases of data-driven disease response and formulate further preparedness strategies.
Summary This initiative is a crucial step in enhancing global collaboration to build robust systems for better pandemic prevention and response, ultimately safeguarding public health.
日本語 韓国の疾病管理庁はアメリカCDCおよび国際公衆衛生機関連合(IANPHI)と共に、7月16日から18日まで韓国で国際パンデミック対策ワークショップを開催します。
このワークショップには10カ国と4つの国際機関が参加し、データを活用した感染症対策の事例を共有し、各国の準備戦略を具体化する計画です。
総評 この取り組みは国際的な協力を強化し、感染症対策の能力向上に寄与する重要な機会となり、市民の健康を守る基盤を築きます。
中文 韩国疾病管理厅与美国疾病控制与预防中心(CDC)及国际公共卫生机构联合会(IANPHI)联合举办7月16日至18日的国际大流行病准备工作坊。
此次会议汇集了来自10个国家和4个国际机构的代表,分享数据驱动的疾病应对案例,并制定未来的战略。
总评 此次合作将为提升国际社会的疫情预防与应对能力提供重要支持,有效保护公共健康。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il CDC degli Stati Uniti e l’Istituto internazionale di sanità pubblica (IANPHI) ospitano un workshop internazionale sulla preparazione alle pandemie in Corea dal 16 al 18 luglio.
Il workshop coinvolge 10 paesi e quattro enti internazionali per condividere esempi di risposta alle malattie basati sui dati e sviluppare strategie future.
Valutazione Questa iniziativa rappresenta un passo fondamentale per rafforzare la collaborazione globale e migliorare i sistemi di prevenzione sanitaria, proteggendo la salute pubblica in modo più efficace.
[통계청]2025년 6월 고용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64세 고용률은 70.3%로 전년 동월 대비 0.4%p 상승했습니다.
실업률은 2.8%로 0.1%p 하락했고, 청년층 실업률 역시 6.1%로 동일하게 감소했습니다.
이번 달 취업자는 2,909만 1천 명으로 전년 대비 18만 3천 명 증가했습니다.
총평 경제 상황 개선의 신호로 보이며, 고용률 상승은 더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English According to the June 2025 employment trends, the employment rate for those aged 15-64 rose to 70.3%, up by 0.4%p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unemployment rate fell to 2.8%, an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lso decreased to 6.1%.
Total employment reached 29.09 million, an increase of 183,00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ummary This indicates an improving economy, offering more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secure employment.
日本語 2025年6月の雇用動向によると、15~64歳の雇用率は70.3%で、前年同月比0.4%p増加しました。
失業率は2.8%に低下し、若者の失業率も6.1%に減少しました。
就業者総数は2,909.1万人で、前年より18.3万人増加しました。
総評 景気の回復が進んでいる兆しが見られ、さらなる雇用機会の創出が期待されます。
中文 根据2025年6月就业动向,15至64岁人群的就业率达到70.3%,同比上升0.4个百分点。
失业率下降至2.8%,青年失业率也降至6.1%。
就业总人数为2909.1万,同比增加了18.3万人。
总评 这表明经济正在改善,人们获得工作的机会正在增加。
Italiano Secondo i dati sull’occupazione di giugno 2025, il tasso di occupazione per le persone di età compresa tra 15 e 64 anni è salito al 70,3%, con un aumento dello 0,4% rispetto allo stesso mese dell’anno scorso.
Il tasso di disoccupazione è sceso al 2,8%, mentre la disoccupazione giovanile si è ridotta al 6,1%.
Il numero totale di occupati ha raggiunto i 29,09 milioni, con un incremento di 183.000 rispetto all’anno precedente.
Valutazione Questi dati indicano un miglioramento dell’economia, con maggiori opportunità lavorative per la popolazione.
[농림축산식품부]조류인플루엔자 예방 및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 머리 맞대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전략 강화를 위해 7월 15일 국제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했습니다.
국내외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하여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과 방역 동향,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방역정책과 질병 통제 강화를 위한 국제적 공조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총평 이번 심포지엄은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와 전문가 간 협력의 좋은 사례로, 향후 방역 체계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jointly hosted 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July 15 to strengthen strategies for controlling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Over 150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participated to discuss outbreak trends, quarantine policies, and global cooperation strategies.
The symposium highlighted the critical need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o enhance disease control measures.
Summary This symposium demonstrates a robust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government and experts, which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ffective disease control strategie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と農林畜産検疫本部は、7月15日に高病原性鳥インフルエンザ対策強化のための国際シンポジウムを共催しました。
国内外の専門家150名以上が参加し、発生動向や防疫政策、国際協力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特に、国際的な協調を強化する必要性が重要視されました。
総評 このシンポジウムは、鳥インフルエンザ拡散防止に向けた政府と専門家の連携の良いモデルで、今後の防疫体制に大きく貢献すると考えられます。
中文 农林畜产食品部与农林畜产检疫本部于7月15日共同举办了国际研讨会,以加强高致病性禽流感的应对策略。
超过150名国内外专家参加了研讨会,讨论了疫情趋势、防疫政策及国际合作方案。
会议特别强调了加强国际协作以改进防疫措施的必要性。
总评 本次研讨会表明政府与专家携手合作,有望对禽流感防控体系带来积极影响。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i e Affari Rurali ha organizzato il 15 luglio un simposio internazionale per rafforzare le strategie di controllo dell’influenza aviaria altamente patogena.
Oltre 150 esperti nazionali e internazionali hanno partecipato per discutere tendenze, politiche di quarantena e strategie di cooperazione globale.
Durante il simposio è stata sottolineata l’importanza di una stretta collaborazione internazionale per migliorare le misure di prevenzione delle malattie.
Valutazione Questo simposio rappresenta un esempio di collaborazione virtuosa tra governo ed esperti, destinato a rafforzare significativamente il sistema di controllo sanitario.
[기획재정부][보도참고] ‘25.6월 고용동향 및 평가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6월 고용 동향 보도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참고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평 이 자료는 고용 상황 변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자세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입니다.
English The employment trends report for June 2025 has been released.
Additional details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reference materials.
Summary This report is a valuable resource for those interested in analyzing changes in employment conditions.
日本語 2025年6月の雇用動向に関する報道資料が発表されました。
詳細は添付の参考資料をご確認ください。
総評 雇用状況の変化に関心がある人々にとって、分析と理解に役立つ資料です。
中文 2025年6月就业动向的报道资料已发布。
详细内容请参阅附加的参考资料。
总评 这份资料对关心就业变化的人员来说非常有参考价值。
Italiano Il rapporto sulle tendenze occupazionali di giugno 2025 è stato pubblicato.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i materiali di riferimento allegati.
Valutazione Questo rapporto è utile per chi desidera comprendere meglio le modifiche nel mercato del lavoro.
요약
원문보기
**[블로그 콘텐츠] 군과 민간의 협력!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의 ‘신속시범사업 설명회’ 성공적 개최**
국방의 미래를 준비하는 한 걸음!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신속원)이 지난 7월 15일 서울 본원에서 2026년 신속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군 관심 무기체계 공개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의미 있는 행사에는 군, 산업, 학계, 연구기관(산학연)의 관계자 약 300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는데요. 이번 설명회는 군이 필요로 하는 첨단 기술과 무기체계를 통해 미래 전장 환경을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소통의 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무기체계의 미래를 엿보다! 군이 제안한 25개의 핵심 과제**
설명회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이 각각의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군 미래 전장에서 중요하게 될 무기체계 관련 핵심 과제 25개를 공개했는데요.
– **육군**: 대드론 개인방호체계
– **해군**: AI 기반 감시·정찰 무인항공기
– **공군**: 대공포 무인화 사격통제체계
이 외에도 군 운용 경험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첨단 기술과 무기체계가 제시되었습니다. 특히,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산학연 관계자들과 군의 요구사항을 깊이 이해하며 소통을 강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민간과 군이 협력해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더욱 실질적인 무기체계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산학연과의 지속적 소통,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신속원은 이번 설명회에서 제시된 군 관심 분야와 담당자를 공식 누리집(www.add.re.kr/dratri)에 게시하고, 산학연과의 소통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군이 필요로 하는 무기를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민간 기업 및 연구기관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입니다.
### **2026년을 향한 준비: ’26-1차 신속시범사업’**
한편, 신속원은 2026년 신속시범사업의 첫 단추를 다가올 2025년에 진행합니다.
– **제안서 접수 기간**: 6월 30일부터 8월 8일까지
– **사업 대상**: 사업비 500억 원 미만, 시제 개발기간 2년 이내의 과제
이 후 하반기에는 제안서 평가를 거쳐 최종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하게 됩니다. 이는 군의 관심 분야뿐만 아니라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AI, 드론, 로봇 등 다양한 신기술을 포괄적으로 공모하여 혁신적인 무기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차근히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 **장희선 신속사업부장의 기대와 포부**
장희선 신속사업부장은 설명회를 통해 “신속시범사업이 산학연의 참여를 확대해 군이 필요로 하는 무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하며,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한 첨단 무기체계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민·군 협력으로 완성될 혁신적 국방!**
군과 민간의 협력이 강화되고, 혁신적 첨단 기술이 도입됨으로써 우리의 국방은 한층 더 강력해질 전망입니다. 이번 설명회를 통해 미래 전장을 대비하는 다양한 과제와 산학연의 참여가 어떻게 성과를 내는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데요. 신속원의 지속적인 소통과 노력이 궁극적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국방의 미래를 함께하는 여러분, 어떠한 기술이 국방 분야에서 실제로 적용되기를 바라시나요? 군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발전할 국방 분야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원문보기
**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전원 메달 획득**
한국대표단이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금메달 1개와 은메달 3개를 획득, 전원 메달 수상의 쾌거를 이뤘습니다. 이번 대회는 세계적 수준의 화학 지식을 겨루는 국제 경연으로, 2025년 개최지는 [국제올림피아드 개최국]입니다.
### 주요 성과 및 참가자
– **금메달**: 대표단 중 [참가자 이름], 기초화학 및 응용 문제에서 탁월한 실력을 선보이며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 **은메달**: [참가자 이름들], 각기 탁월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하며 은메달을 획득했습니다.
– 대표단 전원이 메달을 얻으며 한국의 뛰어난 화학 교육과 학생들의 우수성을 세계 무대에서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 대회의 의미
국제화학올림피아드는 매년 각국의 우수한 청소년들이 화학적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겨루는 대회로, 높은 난이도의 필기 및 실험 문제를 통해 참가자의 독창성과 깊은 과학적 통찰력을 평가합니다. 한국은 매년 이 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며 국제적인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 한국대표단의 준비 과정
대회에 참가한 대표단은 국내 치열한 선발전을 거쳐 선정된 후 약 [준비기간] 동안 집중 교육과 훈련을 받았습니다. 대한민국 [교육기관 및 관련 단체]의 체계적 지원 아래,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한국대표단의 성공은 단순한 개인의 성취를 넘어, 대한민국 화학 교육의 경쟁력과 과학기술 분야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도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서 더욱 뛰어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보다 상세한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 조달 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AI 기술 접목 추진
조달청은 10월 16일,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기반 행정환경 변화를 준비하며 조달 정책의 혁신을 꾀하기 위해 경기도 판교의 SK 데이터 센터와 AI 전문기업 아이브릭스를 방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보는 조달 행정의 미래를 설계하며 현장에서 민간 기술과의 접점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이루어졌습니다.
#### 주요 방문 목적
1. **AI 기반 물품 분류 기술 적용 검토**
조달 상품의 분류와 적정성 판단 과정에 AI 기술을 적용해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2. **전자조달 시스템 자동화·지능화**
현재 운영 중인 전자조달 시스템의 지능화와 자동화 가능성을 타진하며 공공 조달의 최적화를 모색했습니다.
3. **공공-민간 데이터 연계 활성화**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 간 데이터 연계를 통해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기반의 조달 프로세스를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현장 점검 주요 내용
1. **SK 데이터 센터 방문**
대규모 데이터 저장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현장을 점검하며 공공부문의 디지털 인프라 확장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SK 데이터 센터 관계자는 안정성과 확장성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센터 운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공서비스 디지털화의 발전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2. **AI 전문기업 아이브릭스 방문**
자연어 처리 기반의 검색 기술, 챗봇,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등을 시연하고, 해당 기술이 공공 조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을 의견 교환의 중심으로 삼았습니다.
#### 조달 행정과 AI의 융합 방향
전태원 조달청 공정조달국장은 “AI 기술은 조달 업무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 개선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첨단 기술 적용 범위를 넓히고 디지털 기반의 미래 조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현장을 탐방할 계획임을 덧붙였습니다.
#### 향후 계획
조달청은 지속적인 첨단 기술 탐방과 민간 의견 수렴을 통해 공공조달 행정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이를 통해 기술 혁신이 촉매제가 되어 조달 업무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두 배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문의: 조달청 전자조달기획과 이원천 사무관 (042-724-7516)*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
이 블로그가 조달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AI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원문보기
### 공공조달 AI 대전환: 조달청, AI 기업 지원과 성장 전략 모색
최근 조달청이 공공조달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준비하며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16일, 서울 영등포구 소재 AI 기반 지능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인 **이든티앤에스**를 방문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한 것이 그 일환입니다.
#### 최초 단가계약 체결 및 공공조달시장 진출
이든티앤에스는 조달청이 **2025년 2월 신설한 ‘AI 소프트웨어’ 물품 세부품명**을 통해 최초로 단가계약을 체결한 기업으로, 현재 디지털서비스몰에서 AI 기반 광학문자인식(OCR) 솔루션을 판매 중입니다. 이 회사의 솔루션은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AI 기반 광학문자인식(OCR), 지능형 문서 처리(IDP),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술이 융합된 기업 맞춤형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날 방문에서 김연기 대표는 조달청의 지원이 중소기업들에게 중요한 디딤돌이 되고 있다며,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원활한 공공조달시장 접근과 성장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조달청의 지원 의지와 비전
강신면 조달청 기술서비스국장은 “인공지능은 국가 기간 산업으로서 향후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될 것”이라면서, 우리나라 AI 기업들이 공공조달시장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하고 세계적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 주요 논의 내용 및 방향
이번 현장 방문은 **국내 AI 중소기업이 직면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공공조달 체계 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특히, 조달청의 공공구매력을 활용하여 AI 기업의 성장과 기술검증을 지원하려는 의지를 강조하며, 앞으로의 협력 방향을 탐색했습니다.
—
### 결론
이처럼 조달청은 공공조달을 통해 AI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며, 차세대 국가 기간 산업으로 자리잡게 하기 위한 체계적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진출을 돕는 시스템 개선은 산업 전반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평가됩니다.
앞으로 조달청과 AI 기업 간 협력을 통한 성과는 국내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공공건축물 탄소중립 강화, 설계단계에서 시작된다
조달청은 10월 16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수요기관과 설계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설계적정성검토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공공건축물의 설계 초기 단계부터 친환경 요소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탄소중립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취지로 기획됐다.
—
#### 주요 내용
1. **설계적정성 검토 강화**
– 총사업비 200억 원 이상 또는 국고보조금 30억 원 이상이 투입되는 공공시설사업에 대해 설계 내용 보완 및 예산과 시설 규모 적정성 검토 진행.
– 2024년 약 13조 원 규모의 설계적정성 검토 예정.
2.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 등급 상향**
– 2021년부터 시작한 친환경 설계검토를 강화하며, 2023년부터 공공건축물 신축 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최저 의무 등급이 기존 5등급에서 4등급으로 상향.
3. **세부 교육 및 안내**
– 친환경 설계검토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 제공:
– 친환경 항목 중심의 설계 검토 요청서 작성 요령
– 설계도서 제출 방법 안내
– 친환경 설계 중점 검토의 기대효과 제시
4. **컨설팅 및 우수사례 소개**
– 한국에너지공단에서 국토교통부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에너지 최적화 컨설팅 지원 사업 및 우수 사례 발표.
– 컨설팅은 건축·기계·전기·신재생 설비 등 기술요소 분석을 통해 대안 제시.
5. **녹색건축 정책 방향 공유**
–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는 설계기준 강화에 따른 실무 대응 방안과 앞으로의 녹색 건축 관련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
#### 조달청의 의지
조달청 권혁재 시설사업국장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40%를 건축물이 차지하는 만큼,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 실현은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라며, “앞으로도 설계 단계에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과 실제 사례를 꾸준히 마련하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번 설명회는 공공건축물에 탄소중립과 환경친화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조달청은 지속적으로 설계단계부터 실천 가능한 정책을 확산해나갈 계획이다.
원문보기
### 조달청, 797억 원 규모 물품구매 입찰 집행 예정 (7월 21일~25일)
조달청은 2025년 7월 21일부터 25일까지 약 797억 원 상당의 물품구매를 위한 입찰을 집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입찰은 총 140건에 이르며, 주요 사업으로는 해양경찰청의 **’2025년 유류바지 3척(부산, 부안, 보령) 건조’**가 포함됩니다.
#### 계약 방식 및 금액 구성
계약 방식에 따른 주요 입찰 내용과 금액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협상에 의한 계약**
– 해양경찰청 유류바지 건조
– 금액: 약 217억 원 (27.2%)
2. **규격가격동시입찰에 의한 계약**
– 산림청의 ‘2025년 진화대원 회복차량 도입’ 등
– 금액: 약 248억 원 (31.1%)
3. **적격심사에 의한 계약**
– 육군군수사령부의 ‘2025년 기능성 전투우의 제조’ 등
– 금액: 약 223억 원 (28.0%)
4. **우수 등 수의계약**
– 금액: 약 35억 원 (4.4%)
5. **다수공급자계약(MAS) 2단계 경쟁**
– 경기도교육청의 ‘경화여고 공간재구조화사업 금속제창 구매’ 등
– 금액: 약 74억 원 (9.3%)
#### 지역별 집행 내역
– 총 723억 원 중 **본청**이 266억 원(36.8%)을 집행하며,
– **10개 지방청**이 457억 원을 각각 집행할 계획입니다.
#### 문의처
– 구매총괄과 김정순 서기관 (전화: 042-724-7232)
이번 조달 계획은 공공 인프라와 장비 현대화에 기여하며, 정부의 공공조달 사업이 지역과 산업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예상하게 합니다.
원문보기
### 비 오는 날, 산사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 국립산림과학원,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정보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비가 오는 양에 따라 산사태 위험도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마을 단위까지 세밀한 위험도 분석을 통해 산림 재난을 예방한다고 밝혔습니다.
산사태는 주로 **7월과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최근 10년간의 통계를 보면 전체 피해의 **98.7%가 7월 이후**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고려해 국립산림과학원은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KLES)을 활용하여 강우량, 토양 내 수분량 등을 분석해 산사태 위험 지역을 지도로 보여주는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
### 산사태 위험도 서비스의 주요 특징
1. **위험 등급 분류**:
– ‘매우 높음’에서 ‘매우 낮음’까지 **5등급**으로 세분화.
– 100㎡ 단위 격자로 전국의 산사태 위험도를 제공.
– 위험 지역 확인이 가능한 시각화 기능으로 마을, 동·리, 읍·면·동, 시·군 단위로 확대·축소 가능.
2. **긴급 조정 반영**:
– **경북·경남·울산 산불 피해 지역**의 심각성에 맞춰 위험등급을 빠르게 조정해 반영.
3. **대피소 위치 정보 제공**:
– 산사태 취약지역 내 대피소 위치를 누구나 조회 가능.
—
### 실시간 정보 확인 및 활용 방법
국립산림과학원이 운영하는 **[산사태정보시스템](https://sansatai.forest.go.kr)**에서 전국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시스템은 누구나 접근 가능하며, 지역 주민들이 산사태 위험을 미리 파악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 관계자의 말
국립산림과학원 산사태연구과 **이창우 과장**은 “산사태 위험은 강우량에 따라 계속 변화한다”며, 주민들이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실시간 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 중요한 시점, 정보 활용하세요
7~8월 장마철과 집중호우 시즌에 맞춰 **우리 동네 산사태 위험도를 사전에 확인**하고, 대피소 위치를 숙지하여 안전을 확보하세요. 산사태는 예측과 대비만 잘하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산사태정보시스템 바로가기](https://sansatai.forest.go.kr)** 🌐
원문보기
### 1925년 을축년 대홍수 100주년, 백제 한성기 역사 재조명 학술대회 개최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오는 **7월 17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서 “물의 기억, 한성의 역사”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부터 100년을 되돌아보고**, 이 대홍수가 백제 한성기 왕성의 발굴을 가능케 한 역사적 사건임을 되새기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한성기 백제와 을축년 대홍수의 역사적 의의
– **한성기 백제**: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등장하는 백제의 옛 도성으로, 475년까지 백제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현 송파구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일대를 중심으로 번성했습니다.
– **1925년 을축년 대홍수**: 한반도 전역에 막대한 피해를 끼친 대재앙으로, 당시 백제 왕성의 존재가 풍납토성 성벽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을축년 대홍수를 계기로 풍납토성뿐만 아니라 암사동 선사주거지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한국 고고학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
### 학술대회 프로그램 개요
1. **기조강연**
– *노중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100년만의 귀환, 풍납토성”
2. **주제발표**
연구자들이 백제 한성기와 한강을 중심으로 고고학, 역사학, 도시공학, 지리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를 발표합니다. 주요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성의 도시화와 변화양상 (이난경, 문화국토연구협동조합)
– 일제시기 한성 유적의 조사 (오영찬, 이화여자대학교)
– 도성사적 관점에서 본 백제 한성 (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
– 백제 한성기 한강의 수로 교통과 도성의 위상 (임동민, 계명대학교)
– 한성백제 도성 안팎의 공간구조 (강동석, 동국대학교)
– 한성기 도성의 공간구조와 운영체계 (이보람 외,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
3. **종합토론**
– 좌장: 권오영 서울대학교 교수
– 주제: 한성의 공간과 구조를 종합적으로 논의
### 행사 정보 및 참여 방법
– **출발 시간 및 장소**: 7월 17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 (서울 종로구)
– **참석 방법**: 행사 당일 현장 등록으로 누구나 참여 가능
– **관련 문의**: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 누리집(https://www.nrich.go.kr/seoul/index.do) 또는 전화(☎02-484-9404)
### 앞으로의 계획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백제 한성기 도성 유적의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학계 및 관련 전문가와 긴밀히 협력하여 백제 한성의 역사적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힘쓸 예정입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백제의 찬란한 역사뿐만 아니라 자연재해가 불러온 역사적 발견의 의미를 되새기며, 앞으로의 연구 및 보존 방향을 고민하는 자리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발굴조사 완료 및 성과 공개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권택장)는 2021년부터 진행해 온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 발굴조사를 마무리하고, 2023년 7월 17일 오전 11시 발굴현장에서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발굴조사 성과 및 주요 내용을 국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 조사 개요 및 발굴 의의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군」은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마산리에 위치하며, 고대 마한역사문화권의 핵심 유적 중 하나이다. 특히 장고 모양을 닮은 고분, 즉 장고분(長鼓墳)이 조성된 유일한 사례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라 평가받고 있다. 이번 발굴은 처음 발견된 1984년 이후 미진했던 본격적인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며, 유적의 구조와 성격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 정비·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 주요 조사 성과
1. **교류 관계 및 출토 유물**
– 조사 결과, 함평지역 고대 마한세력은 백제뿐만 아니라 중국 남조 및 일본과 긴밀히 교류한 것으로 밝혀졌다.
– 장고분에서 발견된 유물은 지역 생산 토기를 비롯해 중국 남조의 동전문양도기와 백제계 유물로 구성되었다. 일본계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는 마한세력이 왜(일본)계 묘제를 수용했지만, 이를 독자적으로 변화시켜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2. **고도의 축조 기술**
– 표산고분군은 도랑과 석실을 갖춘 마한 분구묘의 대표적인 구조로, 장기적인 보존과 안정성을 고려한 정밀한 설계와 공법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발굴 과정에서 고분으로 여겨졌던 유적 중 5기가 삼국시대가 아닌 조선 후기 이후의 민묘로 밝혀졌다. 이는 향후 유적 정비와 연구 방향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3. **위계체계 및 조성 시기**
– 고분군 내에서는 장고분이 가장 먼저 축조되고, 원형 고분이 외곽으로 갈수록 늦게 만들어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 유력자를 중심으로 한 엄격한 위계체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 고분군 전체는 약 50~60년간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시기는 6세기 전후로 평가된다.
#### 향후 계획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함평군 및 관계 기관과 협력하여 고분군의 종합적인 보존, 정비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마한역사문화권의 문화유산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국민과 전문가들에게 성과를 꾸준히 공유하겠다는 방침이다.
#### 현장설명회 정보
– **일시**: 2023년 7월 17일 오전 11시
– **장소**: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마산리 16-2번지 일원
– **참여**: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 단, 우천 시 현장 공개 제한 가능.
– **문의처**: ☎061-339-1122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마한역사문화권의 고유성을 조명하고, 그 가치를 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원문보기
### 대한민국, 2026년 유네스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 개최국으로 선정…부산 개최 확정
2026년 7월, 유네스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가 대한민국 부산에서 열리게 된다. 이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2025년 7월 6일~16일)에서 7월 15일(현지시간) 공식 발표된 결정이다.
부산은 지난 6월 30일 국내 선정 절차를 거쳐 개최 도시로 확정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이 이 위원회를 유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에서는 일본(1998년), 중국(2004년, 2021년)에 이어 네 번째로 세계유산위원회를 개최하게 된다.
—
###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매년 열리는 국제적 회의로, 세계유산의 등재 및 보존, 보호와 관련된 핵심 사항들을 논의한다. 약 3,000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이 회의에는 196개 협약 가입국의 대표단과 유네스코 사무총장 등이 함께한다.
– **세계유산협약**: 1972년 유네스코가 제정한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협약」. 대한민국은 1988년에 가입했으며, 현재 네 번째 위원국으로 활동 중(2023년~2027년).
—
###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의 의미
부산에서의 위원회 개최는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관리 및 보존 노력을 국제적으로 알릴 기회이다. 대한민국은 이번 위원회의 의장국을 맡아 회의 일정 조정, 의사 진행 관리 등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한다.
국가유산청은 외교부, 국회, 부산광역시 등과 협력해 성공적인 회의 개최를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며, 약 2년간의 준비 기간 동안 국제적인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 향후 계획
대한민국 정부와 국가유산청은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국내외 전문가, 부산광역시, 관련 부처들과 협력하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보존 노력이 이번 위원회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할 예정이다.
부산에서 세계유산과 관련된 국제 행사가 열리는 만큼 문화적, 경제적 파급 효과 역시 기대된다.
원문보기
안녕하세요, 아래는 요청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제공된 정보를 요약 및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
### 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에서 한국대표단 전원 메달 획득
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에서 한국대표단이 전원 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를 차지하며 국제 수준의 화학 교육 및 연구 성과를 입증했습니다.
#### 주요 성과 및 배경:
– **참가 배경**: 국제화학올림피아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올림피아드 대회 중 하나로, 화학 분야에서 최고의 두각을 나타내는 학생들이 모여 각국의 화학 교육 및 연구 능력을 겨루는 자리입니다.
– **한국대표단 구성**: 각 지역의 엄격한 선발 과정을 통해 선발된 대한민국 대표 4명은 약 1년에 걸친 체계적인 연구 및 훈련을 거쳐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 **대회 성적**: 금메달 1개를 포함한 전원 메달을 획득하며, 참여한 모든 대표단원이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았습니다.
#### 한국대표단 성과의 의의
1. **화학 교육의 우수성**: 한국 대표단은 매년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며 국내 화학 교육의 세계적 위상을 다시 한번 알렸습니다.
2. **미래 과학자의 산실**: 이번 성과는 지속적인 교육 지원과 학생들의 노력의 성과로,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미래의 리더를 육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대회의 향후 여정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는 한국 대표단뿐 아니라 다양한 국가들이 참가한 가운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한국대표단의 이번 성과가 국내 과학계 전반의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www.korea.kr](www.korea.kr))
—
감사합니다. 추가 정보나 자료가 필요하시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
원문보기
**법제처장 조원철: 법제업무 개혁과 AI 활용의 중요성 역설**
2025년 7월 16일, 조원철 신임 법제처장이 취임사에서 법제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행정법령 개혁과 AI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36년간 판사와 변호사로 활동하며 법을 해석하고 적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법제처장이라는 역할을 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 **행정입법 문제와 규제 개혁**
조 처장은 행정입법의 과도한 의존과 이로 인한 규제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그는 시행령이 모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고 국민과 기업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령 형태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지적했습니다. 이어서, “정부가 변화할 때마다 규제 철폐를 외쳤지만, 규제의 고착화와 행정부 공무원들의 관행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 처장은 법제업무를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관행을 탈피하고, 각 조항의 필요성과 현실적 작동 여부, 공익과 사익의 균형 등을 고민하며 규제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행정법령의 정비는 정체된 경제성장을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 **AI 활용과 법령정보관리**
조 처장은 법제처의 업무에 AI 기술을 도입하는 과제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법령정보의 방대함과 복잡성은 기존 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임을 언급하며, AI가 법령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국민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AI의 추론 기능은 행정법령의 전면적인 정비 과정에서도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AI 활용을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적 토대로 인식해야 한다고 역설하며, “AI 기술의 가속적인 발전 속에서 한 해의 지체도 선발주자를 따라잡기 어려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향후 법제처가 AI 도입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추진해 나갈 것을 요청했습니다.
### **대통령 국정 운영과 법제처의 역할**
조 처장은 대통령이 AI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국민들의 경제적 고통을 덜기 위해 불합리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히 정비하고자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법제처는 적극적으로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며 이러한 정책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끝으로 법제처 구성원들이 전문성을 발휘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고 요청하며 법제처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조원철 처장의 취임 연설은 법제처가 법치주의 강화, 행정입법 개혁, AI 기술 도입을 통해 국민의 권익을 높이고 국가 성장의 동력을 마련할 방향성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RE100 산업단지 조성, 정부의 적극적 지원 및 협력 강화
정부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관계부처 간 협력을 한층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 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RE100 산업단지 조성 TF’* 1차 회의를 개최하며 본격적인 작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 핵심 회의 내용
1. **TF 출범 및 배경**
이번 TF는 대통령 주재 수석 보좌관 회의에서 최우선 정책 과제로 보고된 RE100 산업단지 조성의 구체적 실행을 위해 구성됐다. 관계부처인 국조실, 기재부, 국토부, 환경부, 해수부 등 여러 부처 실국장급 인사들이 참석하여 각 부처의 역할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2. **RE100 산업단지의 목표**
RE100 산업단지는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경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첨단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 균형 발전 및 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한다. 주요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 첨단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마련
– 산단 정주 여건 개선 및 교육 환경 구축
3. **인센티브 강화**
기업의 투자와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 **규제 제로**: 기업에 우호적인 환경 조성
– **전기요금 인하**: 재생에너지 사용 관련 보상 체계 강화
– **교육·주거 환경 개선**: 산업단지 내 교육 및 정주 여건을 강화해 기업 근로자 유치
#### 향후 계획
정부는 연내 RE100 산업단지 조성과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산업부와 국토부가 공동 주관하는 TF 정례회의를 격주로 개최하여 실질적 성과를 도출할 방침이다.
#### TF 주재자의 발언
문신학 산업부 1차관은 오늘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혔다:
> “RE100은 이제 우리 수출기업의 필수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이를 규제가 아닌 기회로 삼아 지역 균형 발전은 물론 에너지 전환까지 이루어 내겠습니다.”
그는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국가 차원의 모든 정책적 수단을 총동원하여 신속히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
### RE100이란?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충당하겠다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이는 기업들의 지속 가능성 확립 및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하는 국제적 흐름으로,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정부의 RE100 산업단지 조성 계획은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도모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친환경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원문보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저출생 및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각 지역을 방문하고, 정책 수립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대구·경북 지역을 방문하며 국정 과제와 현장을 잇는 다양한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 1. **’APEC 정상회의 인구구조변화 대응 포럼’ 참석**
16일 경주의 ‘APEC 정상회의 인구구조변화 대응 포럼’에 참석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은 인구구조 변화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공통 과제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협력적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경주 선언문’ 채택을 제안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 **저출생 극복과 지역 공동체 회복**: 남성 육아휴직 확대, 기업 유연근무제 도입 등 정책적 기반 강화.
– **다양한 가족 형태 포용 지원**: 비혼가구, 한부모가족 등에 대한 정책적 존중과 지원.
– **에이지테크 산업 육성**: 고령친화적인 기술개발과 산업 육성으로 새로운 경제 가치를 창출.
또한,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위한 펀드 설립, 실무 워킹그룹 구성 등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제안했습니다.
#### 2. **계명대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 방문**
계명대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를 방문한 주 부위원장은 에이지테크(Age-Tech) 산업 연구 및 실증 현장 점검을 통해 고령친화산업의 실질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그는 산업의 성장을 위해 전국 5개 권역별 고령친화산업 혁신센터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지역 밀착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위원회는 지난 3월 ‘Age-Tech 실버경제 육성전략’ 발표 및 5대 분야(돌봄로봇, 웨어러블 의료기기 등) 중점 육성 방안을 마련했으며, 5월에는 ‘Age-Tech 민관 얼라이언스’를 출범시켜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3. **지역별 현장 행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전국을 순회하며 지역별 현장에서 정책 수요자와 공급자를 만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26~2030년을 목표로 국민과 함께하는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번 대구·경북 방문은 부산·경남에 이어 진행된 중요한 행보로, 앞으로도 국가 전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현장 소통을 지속할 예정입니다.
—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는 국가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요한 도전과제입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이러한 현장 중심 접근법은 국민과 소통하며 실질적 정책 대안을 마련하려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위원회의 정책이 저출생 극복 및 고령친화적 사회로 나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한국에서 개최된 국제 감시 협력 워크숍: 아시아태평양 지역 팬데믹 대비 역량 강화 논의
질병관리청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국제공중보건기관연합(IANPHI)과 함께 2023년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팬데믹 대비 감시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이번 워크숍은 해당 세 기관이 공동 주최한 첫 행사로, 아시아태평양 10개국과 유럽연합 CDC, 영국 보건안보청(UKHSA), 아세안 감염병 대응 센터(ACPHEED) 등 총 40명의 정부 및 기관 관계자가 참여합니다.
### 주요 논의 주제 및 목적
이번 워크숍의 주제는 **”데이터에서 행동으로: 데이터시스템 및 통합 감시 강화”**이며, 팬데믹 대비를 위한 감염병 데이터 수집, 통합 감시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 기반 대응 방법에 대한 각국의 경험을 공유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합 감시 시스템 구축**
–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활용**
– **팬데믹 대비를 위한 데이터 기반의 발전 방향 모색**
### 일정 및 내용
1. **첫째 날**:
– 6개국의 통합 질병 감시 시스템 구축 사례 발표.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은 방역통합정보시스템과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을 소개하며, 코로나19 유행 당시 빅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링 사례를 공유.
–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각국의 정보기술 활용 사례와 인력 개발 경험 논의.
2. **둘째 날**:
– 실시간 데이터 활용 및 위험 평가 사례 발표.
– 데이터 기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각국 시스템 및 프로그램 시연, 현장 적용 가능성 검토.
3. **셋째 날**:
– 참여국 간 데이터 흐름과 감시 체계 발전을 위한 실천 전략 논의.
– 지역별 로드맵 수립 및 국가 간 협력 방안 모색.
워크숍 마지막 날까지, 각국 대표들은 워크숍 결과를 바탕으로 팬데믹 대비를 위한 장기적인 협력 기반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 한국의 보건안보 리더십
한국 질병관리청은 이번 워크숍 개최를 통해 서태평양 지역 내 리더십을 강화하고, 글로벌 보건 안보의 선도적 역할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국제 공중보건기관 간 정보 교류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팬데믹 대비 역량 강화를 목표로 다각적인 활동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 팬데믹 대비 역량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지역 내 및 국제적 협력을 바탕으로 데이터 기반의 공중보건 정책 발전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주요 참여국 및 기관
– **아시아태평양 국가**: 대한민국,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호주.
– **기타 국제 기관**: 미국 CDC, 영국 UKHSA, 유럽연합 CDC, ASEAN ACPHEED.
이번 워크숍은 단순한 정보 공유의 자리를 넘어, 팬데믹 대비라는 국제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인 협력을 구축하는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2025년 6월 고용동향 요약
#### 고용률 및 실업률
– **15~64세 고용률**: 70.3%
└ 전년 동월 대비 **0.4%p 상승**
– **실업률**: 2.8%
└ 전년 동월 대비 **0.1%p 하락**
#### 주요 실업률 지표
– **실업자 수**: 82.5만 명
└ 전년 동월 대비 **-3.8%** (32천 명 감소)
– **청년층 실업률**: 6.1%
└ 전년 동월 대비 **0.1%p 하락**
– **계절조정 실업률**: 2.6%
└ 전월 대비 **0.1%p 하락**
#### 취업자 수
– **총 취업자 수**: 2,909만 1천 명
└ 전년 동월 대비 **18만 3천 명 증가** (+0.6%)
—
**추가 자료 다운로드**
1. [통합보도자료 및 통계표 (PDF)](링크)
2. [보도자료 본문 (HWX 파일)](링크)
3. [상세 통계표 (엑셀)](링크)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www.korea.kr]
원문보기
**”2025년 조류인플루엔자 국제심포지엄” 개최: 원헬스 기반 국제공조 강화 논의**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와 농림축산검역본부(검역본부)는 7월 15일, 서울에서 “2025년 조류인플루엔자 국제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한 원헬스(One Health) 기반 대응전략과 국제공조 방안을 논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원헬스 개념 및 심포지엄의 필요성**
원헬스란 사람, 동물, 환경의 건강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하며, 국제 보건 문제에 대해 협력적 해결책을 도모하는 개념입니다. AI는 공중보건 및 가축 방역 측면에서 국가적 재난형 질병으로 간주되어, 이를 예방하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이번 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국제심포지엄 주요 내용**
올해로 7회를 맞이한 국제심포지엄은 기존 검역본부의 단독 개최에서 농식품부와의 협력으로 확대 개편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AI 전문가와 정부, 생산자 단체, 대학 관계자 약 150명이 참석했습니다.
행사는 두 개 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1. **제1세션**: 한국, 호주, 일본의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표준실험실 소속 전문가들이 최근 AI 발생 및 연구 동향을 공유.
2. **제2세션**: 학계 전문가와 질병관리청 관계자 등이 국제기구 차원의 AI 대유행 대비 방안을 소개. 특히 국제 동물인플루엔자 전문가 네트워크(OFFLU) 집행위원장이 참석해 글로벌 감시와 통제 전략을 논의.
**패널 토의와 주요 논의 주제**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AI 발생 방지 및 유행 대비를 위한 방역정책과 질병 통제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토의에는 농식품부, 검역본부, 질병관리청 관계자뿐만 아니라 해외 전문가가 참여했습니다.
**향후 계획과 다짐**
농식품부 최정록 방역정책국장은 “AI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국제공조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검역본부 김정희 본부장은 이번 심포지엄이 “효과적인 질병 통제 및 국제적 공조를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국내외 전문가와 지속적으로 지식을 교류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의미와 전망**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이 AI 대응 및 국제적 협력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가축 전염병으로부터 인간과 동물 모두의 건강을 보호하려는 국제 보건 의지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 협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_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_
원문보기
안녕하세요. 아래는 제공된 정보와 관련하여 작성된 요약 내용입니다.
—
### 2025년 6월 고용 동향 요약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인력정책과에서 2025년 6월 고용 동향을 발표하였습니다. 내용에는 국내 고용 시장의 현황, 주요 지표, 변화 요인 및 정책적 대응 방향이 포함된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통계와 상세한 분석은 첨부 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문의 사항이 있으신 경우,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 이병준 담당자(044-215-8532)에게 연락하실 수 있습니다.
—
위 자료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 포털 사이트(www.korea.kr)에서 제공된 공식 자료에 기반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첨부된 원문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추가적인 요약이나 블로그 콘텐츠 작성을 원하시면 세부 내용 또는 특정 질문을 제공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