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파연, ‘무인이동체 미래전파 기술 연찬회(워크숍)’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전파연구원이 ‘무인이동체 미래전파 기술 연찬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기술 혁신과 미래 산업 동향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English
The Radio Research Agency announced the hosting of the “Workshop on Future RF Technology for Unmanned Vehicles.”
The event aims to share insight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future industrial trends.
日本語
電波研究院が「無人移動体の未来電波技術ワークショップ」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ワークショップは技術革新と未来産業の動向を共有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ます。
中文
电波研究院宣布将举办“无人移动体未来电波技术研讨会”。
此次研讨会旨在分享技术创新和未来产业趋势。
Italiano
L’Agenzia di Ricerca sulle Onde Radio ha annunciato il workshop “Tecnologie Futuro RF per Veicoli Senza Pilota.”
L’evento mira a condividere intuizioni sull’innovazione tecnologica e le tendenze industriali futu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노기술의 미래를 만나다 「나노코리아 2025」(7.2~4., 킨텍스)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19개국의 1,300여 명 연구자가 참여해 나노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하는 행사가 열렸다.
9개국 420여 개 나노기업 및 기관이 혁신 기술과 제품을 전시했다.
AI와 나노기술 융합, 상용화 성공 사례, 나노바이오 특별전 등이 주요 주제로 다뤄졌다.
English
A conference with over 1,300 researchers from 19 countries explored the present and future of nanotechnology.
More than 420 nanotech companies and institutions from 9 countries showcased their innovative products and technologies.
Key topics included AI-nanotech innovation, commercialization success stories, and a special exhibition on nanobiotechnology.
日本語
19カ国から1,300名以上の研究者が集まり、ナノ技術の現在と未来を議論するイベントが開催された。
9カ国の420以上のナノ企業や機関が革新的な技術と製品を展示した。
AIとナノ融合の革新、商業化の成功事例、ナノバイオ特別展などが主要テーマとして取り上げられた。
中文
来自19个国家的1300多名研究人员齐聚一堂,共同探讨纳米技术的现状与未来。
9个国家的420多家纳米企业和机构展示了其创新技术和产品。
人工智能与纳米技术融合的创新、商业化成功案例以及纳米生物技术特别展览是主要议题。
Italiano
Oltre 1.300 ricercatori provenienti da 19 paesi si sono riuniti per discutere il presente e il futuro della nanotecnologia.
Più di 420 aziende e istituzioni nanotech di 9 paesi hanno presentato le loro tecnologie e prodotti innovativi.
I temi principali hanno incluso l’innovazione nell’intelligenza artificiale e nanotecnologia, esempi di successo nella commercializzazione e una mostra speciale sulla nanobiotecnologia.
[고용노동부]고용노동부, 지역 고용상황 꼼꼼히 살핀다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7월 2일 전국 주요 지방관서장이 참여한 「지역 고용상황 점검회의」를 처음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는 매달 정례화되어 지역별 고용 상황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운영된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that the first “Regional Employment Status Review Meeting” was held on July 2 with the participation of key regional office heads nationwide.
This meeting will be held regularly every month to analyze regional employment trends and develop countermeasures.
日本語
雇用労働部は7月2日、全国の主要地方官庁長が参加する「地域雇用状況点検会議」の第1回を開催したと発表した。
この会議は毎月定例化され、地域ごとの雇用情勢を分析し、対応策を策定するために運営される。
中文
韩国雇佣劳动部宣布,于7月2日首次举办了由全国主要地方负责人参与的「区域就业状况检查会议」。
该会议将每月定期举行,以分析区域就业趋势并制定相应对策。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e dell’Occupazione ha annunciato che il primo “Incontro di Revisione della Situazione Occupazionale Regionale” si è tenuto il 2 luglio con la partecipazione dei principali responsabili regionali del paese.
Questo incontro sarà regolarizzato ogni mese per analizzare le tendenze occupazionali regionali e sviluppare contromisure.
[농촌진흥청]’케이(k)-축산기술’ 몽골에 뿌리내려 ‘동물약품 수출’ 청신호
요약보기
한국어
몽골에서 ‘KOPIA 몽골 축산 선진화 비전 출범식’이 성황리에 개최되어 양국 간 농업 기술 협력 및 우리나라 동물약품 수출 기반이 마련되었다.
행사에서는 가축 생산성 향상 시범 사업 성과와 축산 기술 보급 방안을 공유하고, 몽골 농가를 지원하는 소형 농기계 기증식과 MOU 체결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현대 축산 기술 도입 및 몽골 축산업 발전을 위한 실질적 협력이 본격화되었다.
English
The ‘KOPIA Mongolia Livestock Advancement Vision Launch Ceremony’ was held successfully, paving the way for agricultural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ongolia and the export of Korean veterinary medicines.
The event shared achievements from livestock productivity improvement projects and included a small machinery donation ceremony and MOU signing to support Mongolian farms.
This initiative marks the beginning of earnest cooperation to develop modern livestock technology and advance Mongolia’s livestock industry.
日本語
モンゴルで「KOPIAモンゴル畜産先進化ビジョン出発式」が成功裏に開催され、両国間の農業技術協力と韓国の動物薬品輸出の基盤が整えられた。
行事では家畜生産性向上の成果を共有し、小型農機具の寄贈式や協力のMOU締結が行われた。
これにより、現代的な畜産技術の導入とモンゴル畜産業の発展に向けた本格的な協力が始まった。
中文
在蒙古成功举办了“KOPIA蒙古畜牧业现代化愿景启动仪式”,为韩蒙两国农业技术合作及韩国兽药出口奠定了基础。
活动中分享了家畜生产力提升项目的成果,并举行了小型农业机械捐赠仪式及合作MOU签署。
此次活动标志着引入现代畜牧技术及推动蒙古畜牧业发展的实质合作正式启动。
Italiano
La cerimonia di lancio della ‘Visione per l’Avanzamento del Bestiame KOPIA Mongolia’ si è tenuta con successo, aprendo la strada alla cooperazione tecnologica agricola tra Corea e Mongolia e all’esportazione di medicinali veterinari coreani.
Durante l’evento sono stati condivisi i risultati dei progetti pilota per il miglioramento della produttività del bestiame, con una cerimonia di donazione di piccoli macchinari e la firma di un MOU.
Questa iniziativa segna l’inizio di una collaborazione concreta per introdurre tecnologie di allevamento moderne e sviluppare l’industria zootecnica mongola.
[농촌진흥청]장마철 딸기 침수, 사전 점검·빠른 대응이 피해 막아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잦은 집중호우로 딸기 육묘장 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예방적 관리와 신속한 사후 조치를 강조했다.
사전 정비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침수 시 전기 안전을 유의하며 기기 작동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침수 후에는 피해 모종을 신속히 제거하고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면 정상 모종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ighlighted the increasing damage to strawberry nurseries due to torrential rains and emphasized preventive measures and swift post-flood management.
Farmers should ensure proper drainage and inspect equipment for electrical safety immediately after flooding.
Removing severely affected seedlings and applying pest control can help maintain a high survival rate of healthy plant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集中豪雨によるイチゴ苗培地の被害が増加していることを指摘し、予防的管理と迅速な事後対応の重要性を強調した。
洪水に備えて排水路を整備し、浸水時には電気の安全に留意し装置の作動確認を行うべきである。
被害を受けた苗を速やかに取り除き、病害虫対策を徹底すれば正常な苗の生産が可能であると述べた。
中文
农村振兴厅指出,由于集中暴雨,草莓育苗场的受灾情况日益严重,强调预防管理和迅速的事后措施的重要性。
应事先完善排水系统,洪水后注意电器安全并检查设备状况。
快速清除受灾严重的苗木并进行病虫害防治,可以确保生产出健康高存活率的苗木。
Italiano
L’Agenzia per lo Sviluppo Rurale ha sottolineato l’aumento dei danni nei vivai di fragole a causa delle forti piogge e ha evidenziato l’importanza di misure preventive e gestione post-inondazione rapida.
Si consiglia di migliorare i sistemi di drenaggio e di verificare la sicurezza elettrica delle attrezzature subito dopo un’alluvione.
Rimuovendo rapidamente le piantine danneggiate e applicando trattamenti antiparassitari, è possibile garantire una produzione di piante sane con un alto tasso di sopravvivenza.
[농촌진흥청]토양 탄소저장 ‘글로말린’, 국내 유기농경지 효과 확인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유기농업의 탄소 격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 45개 유기농업 인증 밭 토양을 대상으로 글로말린 함량을 조사한다.
이번 조사는 기상 요인, 재배 관리, 토양 이·화학성 등을 함께 분석하며, 2026년과 2027년에는 논과 과수원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conducting a study on glomalin levels in the soil of 45 organic farming-certified plots across the nation to verify the carbon sequestration effects of organic farming.
The investigation will analyze factors like weather conditions, cultivation methods, and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expanding to rice paddies and orchards in 2026 and 2027.
日本語
農村振興庁は、全国45か所の有機農業認証畑の土壌におけるグロマリン含量を調査し、有機農業の炭素隔離効果を検証する予定です。
調査では気象要因、栽培管理、土壌の物理・化学的特性を分析し、2026年と2027年には調査対象を水田や果樹園に拡大する計画です。
中文
农业振兴厅将针对全国45个有机农业认证农田的土壤进行格洛马林含量的调查,以验证有机农业的碳隔离效果。
调查内容包括气候因素、栽培管理和土壤理化性质分析,并计划在2026年和2027年扩大到稻田和果园。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sta conducendo uno studio sui livelli di glomalina nel suolo di 45 terreni certificati per l’agricoltura biologica per verificare l’effetto di sequestro del carbonio dell’agricoltura biologica.
L’indagine comprenderà fattori come le condizioni meteorologiche, la gestione delle coltivazioni e le proprietà fisiche e chimiche del suolo, con un’estensione prevista a risaie e frutteti nel 2026 e 2027.
[농촌진흥청]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물・그늘・휴식 3대 수칙 지켜주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농업인을 위한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시원한 물 섭취, 작업 강도 조절, 더운 시간대 작업 자제 등이 포함되며, 증상 발생 시 응급 대처법도 안내되었다.
농업인을 위한 다국어 안내문 배포와 체감온도 계산기 제공 등도 병행하고 있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issued safety guidelines to prevent heat-related illnesses among farmers during the heatwave.
Key recommendations include staying hydrated, adjusting work intensity, avoiding work during peak heat hours, and following emergency response steps for symptoms.
Multilingual guides and a heat index calculator are also being provided to support farmer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猛暑による熱中症を防ぐため、農業従事者向けの安全行動指針を発表した。
具体的な対策には、こまめな水分補給や作業強度の調整、暑さがピークの時間帯での作業回避などが含まれている。
また、多言語案内や体感温度計算機の提供も行われている。
中文
农业振兴厅为防止农民在酷暑中发生热射病,发布了健康安全行为指南。
主要内容包括勤喝凉水、调整劳动强度、避免在高温时间段工作,并指导如何紧急处理症状。
同时,还提供多语言手册和体感温度计算器帮助农民提高安全意识。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ha emesso linee guida sulla sicurezza per prevenire malattie da calore tra gli agricoltori durante l’ondata di caldo.
Le raccomandazioni principali includono bere acqua frequentemente, regolare l’intensità del lavoro, evitare di lavorare nelle ore più calde e sapere come intervenire in caso di sintomi.
Sono disponibili anche guide multilingue e un calcolatore della temperatura percepita per supportare gli agricoltori.
[농촌진흥청]농약·비료 미생물 정보 검색부터 분양까지 한 번에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7월 1일부터 ‘식물 유용 미생물 정보·자원 통합서비스’를 시작해 미생물 농약과 비료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농업인은 작물별 사용 가능한 자재를 쉽게 검색할 수 있으며, 기업체와 연구자도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이 기대된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launch of the “Plant Beneficial Microorganism Information and Resource Integrated Service” on July 1, offer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microbial pesticides and fertilizers.
Farmers, companies, and researchers can quickly access data for practical use, paving the way for growth in the green bio-industry.
日本語
農村振興庁は7月1日から「植物有用微生物情報・資源統合サービス」を開始し、微生物農薬および肥料に関する情報を提供すると発表しました。
農業従事者、企業、研究者が効率よく情報を活用できるため、グリーンバイオ産業の進展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农业振兴厅宣布将于7月1日启动“植物有益微生物信息资源综合服务”,提供有关微生物农药和肥料的详细信息。
农民、企业和研究人员可以快速获取实用信息,有望促进绿色生物产业的发展。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ha annunciato che dal 1º luglio inizierà il servizio integrato di informazioni e risorse sui microrganismi utili alle piante, offrendo dati su pesticidi e fertilizzanti microbici.
Agricoltori, aziende e ricercatori potranno accedere facilmente alle informazioni, favorendo lo sviluppo dell’industria biotech verde.
[농촌진흥청]새만금간척지서 산업용 고구마 재배 시작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관개수 염 농도 0.4% 이하 조건에서 산업용 고구마를 새만금간척지에서 재배할 수 있는 기준을 수립하고 품종을 선발했다.
‘호풍미’, ‘소담미’, ‘통채루’ 품종이 각각 덩이뿌리와 지상부 수확에 적합하며, 관개수 염 농도가 산업용 고구마의 기능성 물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는 수입 원료곡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산업용 고구마 시장 자급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stablished criteria for cultivating industrial sweet potatoes in the Saemangeum reclaimed area under an irrigation water salinity level of 0.4% or less.
Varieties such as ‘Hopungmi’, ‘Sodammi’, and ‘Tongchaeru’ were identified as suitable for tuber and aerial parts harvests, showing that salinity levels influenced the functional compounds of sweet potatoes.
This is expected to enhance self-sufficiency in the domestic industrial sweet potato market, which heavily relies on imported raw material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灌漑水の塩濃度が0.4%以下の条件で、セマングム干拓地で産業用サツマイモを栽培する基準を策定し、品種を選定した。
‘ホプンミ’、‘ソダンミ’、‘トンチェル’の品種がそれぞれ塊根と地上部収穫に適しており、塩濃度がサツマイモの機能性成分に影響を与えることが判明した。
これにより、輸入原料に依存している国内産業用サツマイモ市場の自給率向上が期待される。
中文
农村振兴厅制定了在灌溉水盐浓度不超过0.4%的条件下,在世万金围垦地种植工业红薯的标准,并筛选了适合的品种。
品种“好丰美”、“素淡美”和“通菜鲁”分别适用于块根和地上部分的收获,研究表明盐浓度会影响红薯的功能性成分。
这有望提高目前高度依赖进口原料的国内工业红薯市场的自给率。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ha stabilito criteri per coltivare patate dolci industriali nella zona bonificata di Saemangeum con una salinità massima dell’acqua di irrigazione dello 0,4%.
Le varietà ‘Hopungmi’, ‘Sodammi’ e ‘Tongchaeru’ sono risultate adatte rispettivamente per la raccolta di tuberi e parti aeree, mostrando che la salinità influisce sui composti funzionali delle patate dolci.
Ciò dovrebbe contribuire a migliorare l’autosufficienza nel mercato interno delle patate dolci industriali, che dipende fortemente dalle materie prime importate.
[농촌진흥청]"버섯육종교실 신청하세요" 이론부터 실습까지 한 번에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민간 버섯 육종가를 양성하는 ‘버섯사관학교’의 ‘버섯육종교실’ 참여 신청을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교육은 7월 28일부터 30일까지 충북 음성에서 진행되며, 참가자는 버섯균 관리와 유전자 분석 등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받는다.
버섯 육종 전문가를 목표로 하는 교육생의 역량 강화를 통해 산업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nounced that applications for the ‘Mushroom Breeding School’ program will be open from July 1 to July 13.
The training, held from July 28 to 30 in Chungbuk Province, inclu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on mushroom strain management and DNA analysis.
This program aims to enhance trainees’ skills and boost the mushroom breeding industry.
日本語
農村振興庁は民間のキノコ育種家を育成する「キノコ士官学校」の参加申請を7月1日から13日まで受付けると発表した。
教育は7月28日から30日にかけて忠北陰城で開催され、キノコ菌管理やDNA分析などの実践的な内容を学ぶ。
このプログラムは育種分野の活性化と専門家育成を目指している。
中文
农村振兴厅宣布7月1日至13日接收“蘑菇学校”的参与申请。
7月28日至30日在忠北音城举办培训,课程内容包括蘑菇菌种管理和DNA分析等理论与实践。
该项目旨在提高学员能力,并推动蘑菇育种产业的发展。
Italiano
L’amministrazione dello sviluppo rurale ha annunciato che le iscrizioni per il programma “Scuola di Coltivazione di Funghi” saranno aperte dal 1 al 13 luglio.
Il corso si svolgerà dal 28 al 30 luglio nella provincia di Chungbuk e includerà lezioni teoriche e pratiche sulla gestione delle colture fungine e sull’analisi del DNA.
Il programma è progettato per migliorare le competenze dei partecipanti e promuovere l’industria della coltivazione dei funghi.
[농촌진흥청]한우 개량 견인할 ‘보증씨수소’ 대거 선발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은 2025년 상반기 ‘한우 보증씨수소’ 18마리를 새롭게 선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유전능력이 뛰어난 개체들로 구성되었으며, 관련 정보는 8월부터 공개되고 정액 공급도 시작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씨수소 정액의 전반적인 유전능력 향상과 농가의 선택 폭 확대가 기대된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the selection of 18 new “Hanwoo Certified Bulls” for the first half of 2025.
These bulls were chosen for their excellent genetic traits, with information to be disclosed and semen made available starting from August.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enhance the overall genetic quality of bull semen and broaden options for farmers.
日本語
農村振興庁は、2025年上半期に向けて新たに「韓牛保証種雄牛」18頭を選抜したと発表しました。
優れた遺伝能力を持つ個体が選ばれ、8月から情報公開と精液供給が開始されます。
これにより、種雄牛の全体的な遺伝能力の向上と農家の選択肢の拡大が期待されています。
中文
农村振兴厅宣布,已为2025年上半年新选出18头“韩牛保种公牛”。
这些公牛拥有优异的遗传能力,其相关信息将从8月起公开,并开始供应精液。
此举有望提升公牛精液的整体遗传能力,并扩大农户的选择范围。
Italiano
L’Amministrazione per lo Sviluppo Rurale ha annunciato la selezione di 18 nuovi “Tori Certificati Hanwoo” per la prima metà del 2025.
Questi tori sono stati scelti per le loro eccellenti capacità genetiche e le informazioni saranno rese pubbliche con disponibilità del seme a partire da agosto.
L’iniziativa mira a migliorare la qualità genetica complessiva e ad ampliare le opzioni per gli allevatori.
[농촌진흥청]미래식품 수요 대응 ‘대체식품 산업 활성화 전략’ 모색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대체식품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와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해 산·학·연·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국산 대체 단백 연구 및 현장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와 발표가 이어졌으며, 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Englis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held a roundtable an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to promote the alternative food industry by strengthening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The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focused on domestic alternative protein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providing a roadmap for industrial development.
日本語
農村振興庁国立穀物科学院は、代替食品産業の活性化を目指し、分野横断的な協力を強化するための座談会と国際学術大会を開催しました。
特に、国産代替タンパク質の研究と現場での応用に関する発表と深い議論が行われ、産業発展の方向性が示されました。
中文
韩国农村振兴厅国立粮食科学研究院举办了促进替代食品产业发展的研讨会和国际学术会议,旨在加强产学研政合作。
会议重点讨论了本土替代蛋白质研究及其实际应用,并为产业发展指明了方向。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Scienze delle Colture Agricole della Corea ha organizzato una tavola rotonda e una conferenza internazionale per promuovere l’industria degli alimenti alternativi rafforzando la collaborazione tra accademia, industria e governo.
Le discussioni e le presentazioni si sono concentrate sulla ricerca di proteine alternative nazionali e sui loro usi pratici, offrendo una direzione chiara per lo sviluppo industriale.
[고용노동부](참고) 고용노동부, 2025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하반기부터 고용노동부 소관의 정책들이 변경될 예정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관련 공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From the second half of 2025, polici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ill be revised.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official document.
日本語
2025年後半から、雇用労働部管轄の政策が変更される予定です。
詳しい内容は関連文書で確認できます。
中文
从2025年下半年起,雇佣劳动部相关政策将有所调整。
具体内容可以通过相关公文了解。
Italiano
A partire dalla seconda metà del 2025, le politiche del Ministero del Lavoro subiranno modifiche.
Le informazioni dettagliate sono disponibili nei documenti ufficiali.
[해양수산부]기후변화 대응 및 민생 안정을 위한 2026년산 김 생산량 관리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급증하는 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6년산 김 생산 면적을 626ha 확대하고, 불법 양식 단속 및 가공 시설 개선 등 다양한 방안을 병행한다고 밝혔다.
김은 수산식품 수출 1위 품목으로, 최근 2년간 수출액 1조 원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 공급을 위해 김 양식장 재배치, 우량종자 보급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plans to expand seaweed farming areas by 626 hectares for the 2026 harvest to meet growing demand while also enhancing enforcement against illegal farming and improving processing facilities.
Seaweed has become South Korea’s top seafood export, surpassing 1 trillion won in export sales for two consecutive years.
The government aims to address climate change impacts and ensure stable supply by relocating farming areas and distributing high-quality seeds.
日本語
海洋水産部は、2026年産の海苔生産面積を626ヘクタール拡大し、不法養殖取締や加工施設改善などの施策と併せて需要増加に対応すると発表しました。
海苔は水産食品の輸出品目として1位となり、2年連続で輸出額が1兆ウォンを超える急成長を見せています。
政府は、気候変動に対応し安定供給を確保するため、養殖場の再配置や優良種子の普及拡大を進める予定です。
中文
海洋水产部宣布计划到2026年将紫菜养殖面积扩大626公顷,同时加强打击非法养殖和改善加工设施,以应对需求日益增长。
紫菜已成为韩国水产食品出口的第一大项目,连续两年出口额突破1万亿韩元,增速迅猛。
政府计划通过重新分配养殖区域和推广优质种苗等措施应对气候变化影响,确保稳定的紫菜供给。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annunciato l’espansione delle aree di coltivazione di alghe marine di 626 ettari entro il 2026, affrontando la crescente domanda tramite misure come il rafforzamento contro colture illegali e il miglioramento degli impianti di lavorazione.
Le alghe marine sono diventate il primo prodotto esportato nel settore ittico della Corea del Sud, superando 1 trilione di won in esportazioni per due anni consecutivi.
Il governo mira a contrastare gli effetti del cambiamento climatico garantendo una fornitura stabile attraverso la ricollocazione di allevamenti e la distribuzione di semi di alta qualità.
[조달청]조달청, 혁신제품과 연계한 연구개발과제 선정·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국민생활 개선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목표로 8개의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해 2년간 66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선정된 과제는 재난대응, 국민안전, 보건 등 밀접한 분야에서 혁신제품 개발을 추진하며, AI·로봇 기술을 활용한 첨단 개선책이 포함된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nounced the selection of eight R&D projects aimed at improving citizens’ lives and public service innovation, with a two-year budget of 6.6 billion KRW.
The projects focus on disaster response, public safety, and healthcare, incorporating advanced technologies like AI and robotics.
日本語
調達庁は国民生活の改善と公共サービスの革新を目指し、8つの研究開発課題を選定し、2年間で66億ウォンを支援すると発表しました。
選定された課題は、災害対応、国民安全、保健など密接な分野で革新的な製品開発を進め、AIやロボット技術を活用した先端的な改善策が含まれています。
中文
韩国政府采购局宣布选定8个研究开发项目,旨在改善民众生活和公共服务创新,并将在2年内提供66亿韩元支持。
这些项目重点关注灾害应对、民众安全和健康等领域,并融合人工智能、机器人等尖端技术进行创新产品开发。
Italiano
L’Agenzia per gli appalti pubblici ha annunciato la selezione di otto progetti di ricerca e sviluppo, con un finanziamento di 66 miliardi di won in due anni, per migliorare la vita dei cittadini e incentivare l’innovazione nei servizi pubblici.
I progetti si concentrano su settori cruciali come la risposta ai disastri, la sicurezza pubblica e la sanità, utilizzando tecnologie avanzate come AI e robotica.
[조달청]조달청-엔지니어링 업계 간담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간담회를 열어 엔지니어링 업계와 공공시설 안전 확보 및 정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적격심사 신인도 평가 개편 방향과 업계 애로사항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 교환이 이루어졌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eld a meeting with engineering associations to discuss safety measures for public facilities and collaboration on national policies.
Detailed discussions included the revision of evaluation criteria and addressing difficulties faced by the industry.
日本語
調達庁はソウル地方調達庁でエンジニアリング業界と会談を開催し、公共施設の安全確保や政策協力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
会談では、新評価基準の改定や業界が抱える課題について深く意見交換が行われました。
中文
韩国公共采购厅在首尔地方采购厅与工程行业召开座谈会,讨论公共设施安全保障及政策合作方案。
会议重点探讨了新评价标准的修订方向,以及行业当前面临的困难问题。
Italiano
Il Servizio di Approvvigionamento Pubblico ha organizzato un incontro a Seul con le associazioni di ingegneria per discutere la sicurezza delle strutture pubbliche e la collaborazione sulle politiche nazionali.
Durante l’incontro, sono stati approfonditi la revisione dei criteri di valutazione e le difficoltà affrontate dal settore.
[특허청]지재권 허위표시 근절 위해 민관 협력 확대
요약보기
한국어
특허청은 지식재산권 허위표시를 근절하기 위해 온라인플랫폼 사업자와 간담회를 열고 민관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온라인 홈쇼핑몰로 협력 확대, AI 모니터링 운영 성과 공유, 민관 합동기획조사 시범운영 등이 포함되었다.
특허청은 이번 회의를 통해 올바른 지재권 표시문화 조성을 위한 협업 체계를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Englis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held a meeting with online platform operators to discuss ways to expand public-private collaboration to eradicate false indica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Key topics include expanding collaboration to online home shopping platforms, sharing AI monitoring achievements, and piloting joint investigations.
KIPO aims to further advance cooperative systems to foster a proper cul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dication.
日本語
特許庁は知的財産権の虚偽表示を根絶するため、オンラインプラットフォーム事業者との懇談会を開催して官民協力拡大案を議論した。
主な内容には、オンラインホームショッピングモールとの協力拡大、AIモニタリング成果の共有、官民合同企画調査の試験運営などが含まれる。
特許庁は今回の会議を通じて、正しい知的財産権表示文化を形成するための協力体制をさらに発展させる計画だ。
中文
韩国知识产权局为根除知识产权虚假标识问题,与在线平台运营商召开会议,讨论扩大公私合作方式。
主要内容包括与在线购物网站扩大合作、共享AI监测成果以及试行民官联合调查等。
知识产权局计划通过此次会议,进一步发展合作体系,促进正确的知识产权标识文化形成。
Italiano
L’Ufficio Coreano della Proprietà Intellettuale (KIPO) ha tenuto un incontro con operatori di piattaforme online per discutere modi di ampliare la collaborazione pubblico-privata al fine di eliminare le false dichiarazioni sui diritti di proprietà intellettuale.
Tra i temi principali ci sono il potenziamento della collaborazione con piattaforme di shopping online, la condivisione dei risultati del monitoraggio AI e l’avvio di indagini congiunte sperimentali.
Il KIPO intende sviluppare ulteriormente i sistemi di cooperazione per promuovere una cultura corretta dell’indicazione dei diritti di proprietà intellettuale.
[조달청]조달청 물품구매 금주('25.07.07. ~ '25.07.11.) 입찰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조달청은 2025년 7월 7일부터 7월 11일까지 총 121건, 약 677억 원 상당의 물품구매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입찰은 협상에 의한 계약(35.5%), 규격가격동시입찰(27.2%), 적격심사계약(22.4%) 등으로 집행되며, 주요 사업으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의 노후 레이더 개량 및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레미콘 제조구매가 포함된다.
Englis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lans to conduct tenders for 121 items worth approximately 67.7 billion won from July 7 to July 11, 2025.
The contracts will include negotiated contracts (35.5%), simultaneous bidding on specifications and prices (27.2%), and qualification reviews (22.4%), with key projects such as radar refurbishment for the West Sea Regional Coast Guard and concrete supply for the Honam High-Speed Rail.
日本語
調達庁は2025年7月7日から7月11日までの間、総額677億ウォン相当の物品購入入札121件を実施する予定です。
入札は協議契約(35.5%)、仕様価格同時入札(27.2%)、適格審査契約(22.4%)などにより行われ、主な事業には西海地方海洋警察庁の古いレーダー改良および韓国鉄道施設公団のコンクリート製造購入が含まれます。
中文
韩国政府采购署计划于2025年7月7日至7月11日期间进行总计121项、约677亿韩元的物资采购招标。
招标将包括协商合同(35.5%)、规格和价格同步招标(27.2%)以及资格审查合同(22.4%),主要项目包括西海地方海警局的老化雷达改造和韩国铁路设施公团的混凝土制造采购项目。
Italiano
L’Agenzia degli Appalti Pubblici prevede di condurre gare d’appalto per un totale di 121 articoli per un valore di circa 677 miliardi di won dal 7 all’11 luglio 2025.
I contratti includeranno negoziazioni dirette (35,5%), gare simultanee per specifiche e prezzi (27,2%) e revisioni di qualificazione (22,4%), con progetti chiave come il rinnovo dei radar per la Guardia Costiera del Mare Occidentale e la produzione di calcestruzzo per la ferrovia ad alta velocità Honam.
[국토교통부]국립한국해양대학교 혁신융합캠퍼스 해양 클러스터 내 워케이션 센터 개소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혁신융합캠퍼스 내 해양 클러스터에 워케이션 센터를 개소했습니다.
이는 해양산업과 근무 환경의 융합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English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has opened a workation center within the Marine Cluster on its Innovation Convergence Campus.
This aims to promote the integration of the maritime industry and modern work environments.
日本語
国立韓国海洋大学は、革新融合キャンパス内の海洋クラスターにワーケーションセンターを開設しました。
これは、海洋産業と労働環境の融合を促進する試みの一環です。
中文
国立韩国海洋大学在其创新融合校园的海洋集群内设立了工作休闲中心。
此举旨在推动海洋产业与现代工作环境的结合。
Italiano
L’Università Marittima Nazionale della Corea ha inaugurato un centro di workation nel cluster marino del suo Campus di Convergenza Innovativa.
Questo mira a promuovere l’integrazione tra l’industria marittima e gli ambienti lavorativi moderni.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건강한 식생활 실천 문화 확산 영상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식약처는 건강한 식생활 문화 확산을 위해 영상을 주제로 한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우수작은 시상 및 홍보에 활용될 예정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a video contest to promote a healthy dietary culture.
The contest is open to everyone, and outstanding entries will be awarded and used for promotional purposes.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は健康的な食生活文化の普及を目的に、映像をテーマとした公募展を開催すると発表した。
この公募展は誰でも参加可能で、優秀作品は表彰および広報に活用される予定だ。
中文
食品药品安全处宣布举办以推广健康饮食文化为主题的视频竞赛。
此次竞赛向所有人开放,优秀作品将获奖并用于宣传活动。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Farmaceutica ha annunciato un concorso video per promuovere la cultura di una dieta sana.
Il concorso è aperto a tutti e i lavori migliori saranno premiati e utilizzati a fini promozionali.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식품 표시정보 수어영상 제작 매뉴얼’ 발간
요약보기
한국어
식약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식품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식품 표시정보 수어영상 제작 매뉴얼’을 발간했습니다.
이번 매뉴얼은 식품 표시 내용을 수어 영상으로 제작하는 가이드라인과 구체적인 예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has published a manual for creating sign language videos for food labeling information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the hearing impaired.
The manual includes guidelines and detailed examples for producing sign language videos based on food labeling content.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処(식약처)は、聴覚障害者の食品情報へのアクセスを向上させるため、「食品表示情報 手話映像制作マニュアル」を発刊しました。
このマニュアルには、食品表示内容を手話映像にするためのガイドラインと具体的な例が含まれています。
中文
食品药品安全管理局发布了《食品标示信息手语视频制作手册》,以提高听障人士获取食品信息的便利性。
该手册包含制作食品标示手语视频的指南和具体实例。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icurezza Alimentare e dei Farmaci ha pubblicato un manuale per la creazione di video in lingua dei segni relativi alle informazioni sulle etichette alimentari, per migliorare l’accessibilità alle persone con disabilità uditiva.
Il manuale include linee guida ed esempi pratici per la realizzazione di questi video.
[기획재정부]’25.6월 소비자물가 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6월 소비자물가 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June 2025 Consumer Price Trends have been released.
Further details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press release.
日本語
2025年6月の消費者物価動向が発表されました。
詳細は添付された報道資料をご覧ください。
中文
2025年6月的消费者物价趋势已公布。
详情请参见附件中的新闻稿。
Italiano
Sono stati pubblicati i dati sull’andamento dei prezzi al consumo di giugno 2025.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l comunicato stampa allegato.
[산업통상자원부]산업 그린전환(GX)의 핵심, 순환경제의 미래를 만나다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 그린전환의 핵심인 순환경제를 주제로 한 「2025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이 2025년 7월 2일~4일 코엑스 마곡에서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전시회, 국제포럼, 상생라운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신기술 및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소개되고 글로벌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English
The “2025 Korea Circular Economy Festival,” focusing on circular economy as the core of industrial green transition, will be held from July 2 to 4, 2025, at Coex Magok.
The event features exhibitions, international forums, and collaborative lounges showcasing innovations in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s while fostering discussions on global cooperation.
日本語
産業グリーン転換の核心である循環経済をテーマとした「2025韓国循環経済フェスティバル」が2025年7月2日~4日にコエックスマゴクで開催されます。
イベントでは、展示会、国際フォーラム、共生ラウンジなど多様なプログラムを通じて新技術や革新的なビジネスモデルが紹介され、グローバル協力について議論されます。
中文
以循环经济为核心的“2025韩国循环经济节”将于2025年7月2日至4日在Coex Magok举行。
活动包括展览会、国际论坛和合作沙龙,旨在展示技术和商业模式的创新,同时促进全球合作的讨论。
Italiano
Il “Festival dell’Economia Circolare della Corea 2025,” incentrato sull’economia circolare come elemento chiave della transizione verde industriale, si terrà dal 2 al 4 luglio 2025 presso il Coex Magok.
L’evento comprende esposizioni, forum internazionali e lounge collaborativi per presentare innovazioni tecnologiche e modelli di business, favorendo discussioni sulla cooperazione globale.
[질병관리청]질병관리청-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알레르기질환 예방관리·연구 협력 강화 업무협약(MOU) 체결(7.2.수)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과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알레르기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교육·홍보 활동 강화, 연구 협력, 정책 개발 등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약은 알레르기질환의 발생 증가와 관련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추진되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d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signed an MOU to strengthen allergy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agreement includes education, awareness campaigns, research collaboration, and policy development to enhance public health.
This initiative aims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growing prevalence and impact of allergic diseases.
日本語
疾病管理庁と大韓喘息アレルギー学会が、アレルギー疾患の予防と管理のために業務協約を結んだ。
教育・広報活動の強化、研究連携、政策開発を通じて国民の健康増進を目指す。
本協約は、アレルギー疾患の発症増加に対応するために実施された。
中文
韩国疾病管理厅与大韩哮喘过敏学会签署了加强过敏性疾病预防与管理的合作备忘录。
协议内容包括增强教育和宣传活动、研究合作以及政策制定,旨在提高公众健康水平。
此协约旨在应对日益增长的过敏性疾病的发病率及其影响。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e l’Accademia coreana di asma e allergologia clinica hanno firmato un accordo di collaborazione per prevenire e gestire le malattie allergiche.
L’accordo comprende campagne educative, collaborazione nella ricerca e sviluppo di politiche per migliorare la salute pubblica.
Questa iniziativa si propone di affrontare l’aumento della prevalenza e dell’impatto delle malattie allergiche.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AI·데이터 기반 식품안전 미래 방향 모색
요약보기
한국어
식약처는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식품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미래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관련 기술 개발과 규제 개선을 포함한 혁신적인 접근방식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iscussed future strategies to enhance food safety using AI and data.
They plan to explore innovative approaches, includ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gulatory improvements.
日本語
食品医薬品安全庁はAIとデータを活用して食品安全向上のための未来戦略を議論しました。
技術開発や規制改善を含む革新的なアプローチを模索する予定です。
中文
食品药品安全处讨论了利用AI和数据提高食品安全的未来战略。
计划探索包括技术开发和法规改进在内的创新方法。
Italiano
Il Ministero per la Sicurezza Alimentare e dei Farmaci ha discusso strategie future per migliorare la sicurezza alimentare utilizzando AI e dati.
Prevede di sviluppare approcci innovativi, inclusi lo sviluppo tecnologico e il miglioramento normativo.
[산림청]국산 목재 펄프로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한 발 더 다가서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산림과학원이 목재 펄프를 활용해 차세대 이차전지용 고체상 전해질의 공극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의 석유화학 기반 소재를 대체하며,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셀룰로오스 유도체화 필름 제조와 공극 조절 기술에 대한 연구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English
The Korea Forest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nnounced the development of pore control technology for solid electrolytes in next-generation secondary batteries using wood pulp.
This innovation aims to replace petrochemical-based materials, enhancing sustainability and safety.
Their research on cellulose derivative films and pore patterning methods was published in a domestic academic journal.
日本語
国立山林科学院は、次世代二次電池の固体電解質に使用される木材パルプを活用した細孔制御技術を開発したと発表した。
この技術は、石油化学ベースの材料を代替し、持続可能性と安全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ものとされている。
特にセルロース誘導体フィルム製造と細孔調整技術に関する研究が国内学術誌に発表された。
中文
韩国林业厅国立林业科学院宣布开发了一项利用木材纸浆生产下一代固态电解质的孔隙控制技术。
此技术旨在替代石化基材料,提升可持续性和安全性。
他们关于纤维素衍生膜和孔隙模式调整的研究已发表在国内学术期刊上。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i Scienze Forestali della Corea ha annunciato lo sviluppo di una tecnologia per il controllo dei pori negli elettroliti solidi delle batterie di nuova generazione utilizzando pasta di legno.
Questa innovazione mira a sostituire i materiali a base petrolchimica, aumentando la sostenibilità e la sicurezza.
La loro ricerca sul film derivato dalla cellulosa e sulle tecniche di modellazione dei pori è stata pubblicata in una rivista accademica nazionale.
[통계청]2025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으며, 전년 동월대비 2.2% 상승했습니다.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및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한 반면,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1.7% 하락했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2.5% 상승했으며, 식품은 3.2%, 식품 외는 2.1% 상승했습니다.
English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for June remained unchanged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but increased by 2.2%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While services and industrial goods showed increases, the fresh food index fell by 1.7% year-on-year.
The living cost index rose by 2.5% year-on-year, with food prices up 3.2% and non-food items rising 2.1%.
日本語
6月の消費者物価指数は前月比変動がなく、前年同月比で2.2%増加しました。
サービスや工業製品が上昇した一方で、生鮮食品指数は前年同月比1.7%下落しました。
生活物価指数は前年同月比2.5%上昇し、食品は3.2%、食品以外は2.1%それぞれ上昇しました。
中文
6月份消费者物价指数与上月持平,但同比上涨了2.2%。
尽管服务业和工业产品价格上涨,但生鲜食品指数同比下降了1.7%。
生活物价指数同比上涨2.5%,其中食品上涨3.2%,非食品上涨2.1%。
Italiano
L’indice dei prezzi al consumo di giugno è rimasto invariato rispetto al mese precedente, ma è aumentato del 2,2% rispetto allo stesso mese dell’anno scorso.
Mentre i servizi e i prodotti industriali sono aumentati, l’indice dei prodotti freschi è diminuito dell’1,7% su base annua.
L’indice del costo della vita è aumentato del 2,5% su base annua, con i prezzi dei generi alimentari in aumento del 3,2% e quelli dei beni non alimentari in crescita del 2,1%.
[환경부]여성·후계 축산인 대상 현장 밀착형 환경인식 교육 새로 선보여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와 축산환경관리원이 주관하는 ‘햇살교육’은 여성과 신규 축산인을 대상으로 축사 내 환경관리와 가축분뇨 적정 처리 교육을 진행합니다.
이번 교육은 가축분뇨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을 목적으로 하며, 7월 2일과 8월 5일 대전에서 약 60명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Livestock Environment Management Institute are organizing “Sunlight Education” to teach women and new livestock farmers about farm management and appropriate livestock manure treatment.
The program aim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ill host approximately 60 participants in Daejeon on July 2 and August 5.
日本語
環境部と畜産環境管理院が主催する「サンライト教育」は、女性と新規畜産従事者を対象に、畜舎の環境管理や家畜排泄物の適切な処理方法を教育します。
この教育は環境汚染防止を目的としており、7月2日と8月5日に大田市で約60名が参加する予定です。
中文
环境部和畜牧环境管理院举办的“阳光教育”课程,旨在为女性和新任畜牧从业者提供畜舍环境管理及畜禽粪污合理处理的相关培训。
此项目的目标是防治环境污染,预计于7月2日和8月5日在大田举办,吸引大约60名参加者。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e l’Istituto per la Gestione Ambientale del Settore Zootecnico organizzano il programma “Educazione al Sole” per formare donne e nuovi allevatori sulla gestione ambientale e sul trattamento appropriato dei rifiuti animali.
Il corso mira a prevenire l’inquinamento ambientale e coinvolgerà circa 60 partecipanti nei giorni 2 luglio e 5 agosto a Daejeon.
[소방청]9.2만 의용소방대원, 10월까지 풍수해 대비 본격 활동…
요약보기
한국어
전국 9만 2천여 명의 의용소방대원이 10월까지 여름철 풍수해 예방, 대응, 복구 활동에 참여한다.
의용소방대는 지역 재난위험요소를 고려한 주민 밀착형 안전조치를 통해 사전 예방, 현장 대응, 사후 복구를 단계별로 전개하며 지역 안전을 지키는 데 앞장선다.
English
Approximately 92,000 volunteer firefighters across South Korea will actively engage in flood prevention, response, and recovery efforts until October.
Through community-focused safety measures, their activities include preemptive inspections, emergency interventions, and post-disaster recovery operations to enhance local safety.
日本語
韓国全国で92,000人余りの義勇消防隊員が、10月まで夏季の風水害予防・対応・復旧活動に取り組む予定です。
地域の災害リスクに対応した住民密着型の安全対策を通じて、事前予防、現場対応、事後復旧と段階的な活動を展開します。
中文
韩国全国约9.2万名义务消防员将参与至10月的夏季风水灾预防、应对和恢复活动。
通过考虑地区灾害风险的社区型安全措施,开展包括预防、现场应对及灾后重建的分阶段行动,加强地方安全保障。
Italiano
Circa 92.000 vigili del fuoco volontari in tutta la Corea del Sud parteciperanno fino a ottobre alle attività di prevenzione, risposta e recupero legate agli alluvioni estivi.
Le attività comprendono misure di sicurezza mirate alla comunità, con interventi preventivi, risposte rapide e supporto post-disastro per garantire la sicurezza locale.
[국토교통부]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 지정
요약보기
한국어
나주가 ‘에너지’ 분야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번 지정은 관련 산업 육성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부 내용은 첨부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Naju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pecializing in energy.
This initiative aims to foster related industries and boost the local economy.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documents.
日本語
ナジュは「エネルギー」分野の国立産業団地に指定されました。
この指定は関連産業の育成と地域経済の活性化を目指しています。
詳細は添付ファイルをご参照ください。
中文
罗州被指定为“能源”领域的国家产业园区。
此次指定旨在培育相关产业并促进地方经济发展。
详细信息请参考附件文件。
Italiano
Naju è stata designata come area industriale nazionale nel settore dell’energia.
Questa iniziativa mira a promuovere l’industria energetica e stimolare l’economia locale.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i documenti allegati.
[교육부]중학교.고등학교, 2학기부터 과도한 수행평가 부담 해소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교육부는 올해 2학기부터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행평가는 수업 시간 내에 실시하도록 하고, 과제형 및 암기식 수행평가는 금지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과 협력을 강화하며, 수행평가의 내실 있는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plans to reduce students’ workload by implementing classroom-based performance evaluations starting in the second semester this year.
Task-based and memorization-heavy evaluations will be prohibited, and the ministry will collaborate with local education offices to ensure effective operations.
日本語
教育部は今年の第2学期から、授業時間内での遂行評価を原則とし、課題型や暗記式の遂行評価を禁止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また、各地方教育庁と協力を強化して、遂行評価の実質的な運営を推進する予定です。
中文
教育部宣布,从今年第二学期起,原则上将执行课堂内的作业形式评价,并禁止任务型及记忆型作业评价。
同时,计划与地方教育厅加强合作,推动提高作业评价的实际效果。
Italiano
Il Ministero dell’Istruzione ha annunciato che, a partire dal secondo semestre di quest’anno, le valutazioni delle prestazioni saranno condotte in classe, vietando quelle basate su compiti e memorizzazione.
Inoltre, collaborerà con gli uffici educativi locali per garantire una gestione efficace delle valutazioni.
[기획재정부]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물가 관계 차관회의를 주재해 6월 소비자물가 동향, 품목별 가격 대응 방향, 그리고 휴가철 바가지요금 근절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는 주요 물가와 관련된 핵심 사안을 다루며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로 진행되었다.
English
Lee Hyung-il, Acting Minister of Finance and Economy, led a meeting to discuss June consumer price trends, item-specific price responses, and measures to eliminate vacation season price gouging.
Key issues regarding inflation were addressed during the meeting to establish actionable strategies.
日本語
イ・ヒョンイル企画財政部長官代行は物価関係次官会議を主催し、6月の消費者物価動向、品目ごとの価格対応策、そして休暇シーズンのぼったくり料金根絶案について議論した。
会議では物価に関する重要な課題を取り上げ、対応策を策定する場として進められた。
中文
李亨一担任企划财政部长代理,主持召开了物价相关次官会议,讨论了6月份消费者物价趋势、针对各项商品的价格应对方案以及度假季节整治乱收费问题。
会议集中处理了与物价相关的重要事项,并制定应对策略。
Italiano
Lee Hyung-il, Ministro facente funzione delle Finanze, ha presieduto una riunione per discutere le tendenze dei prezzi al consumo di giugno, le strategie di risposta ai prezzi per singoli articoli e le misure contro il sovrapprezzo turistico durante la stagione delle vacanze.
Durante la riunione sono stati affrontati temi centrali legati all’inflazione e sono state formulate strategie operative.
[고용노동부](참고) 최저임금위원회, 2025년 제8차 전원회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최저임금위원회는 7월 1일 오후 3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제8차 전원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최저임금과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English
The Minimum Wage Commission convened its 8th plenary session on July 1 at 3 PM at the Sejong Government Complex.
The meeting was organized to discuss matters related to the minimum wage.
日本語
最低賃金委員会は7月1日午後3時に世宗(セジョン)政府庁舎で第8回全体会議を開催した。
この会議は最低賃金に関する議論を行うために招集された。
中文
最低工资委员会于7月1日下午3点在世宗政府大楼召开了第八次全体会议。
本次会议旨在讨论与最低工资相关的议题。
Italiano
La Commissione sul Salario Minimo ha tenuto l’8ª sessione plenaria il 1° luglio alle 15:00 presso il Complesso Governativo di Sejong.
La riunione è stata convocata per discutere questioni relative al salario minimo.
[농림축산식품부]프랑스 내 럼피스킨 발생으로 프랑스산 쇠고기 수입금지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프랑스에서 소 럼피스킨 확진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프랑스산 쇠고기 수입을 6월 23일 선적분부터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내에서는 6월 29일 최종 양성 판정을 바탕으로 조치가 취해졌으며, 국내에서 현재까지 해당 물량의 수입이나 검역 대기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식품부는 국민들에게 해외여행 시 축산농가 방문과 축산물 반입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며, 이번 조치가 국내 쇠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a ban on the import of French beef starting from shipments dated June 23, following a confirmed case of lumpy skin disease in France.
Investigations in France led to a positive confirmation on June 29, and no imports or quarantine-pending shipments have been found in Korea to date.
The ministry urged travelers to avoid visiting livestock farms abroad and refraining from bringing livestock products back into Korea, while stating the import ban will have minimal impact on the domestic beef supply.
日本語
韓国農林畜産食品部はフランスで牛のランピースキン病が確認されたことを受け、6月23日以降の船積み分からフランス産牛肉の輸入を禁止すると発表した。
フランスでは6月29日に最終的な陽性判定が下され、韓国国内では現在のところ輸入や検疫待ちの事例は確認されていない。
同省は海外旅行中に畜産農場への訪問や畜産品の持ち込みを慎むよう呼びかけ、今回の措置が国内の牛肉供給に与える影響はごくわずかだと述べた。
中文
韩国农林畜产食品部宣布,从6月23日装船的批次起,禁止进口法国牛肉,这是因为法国报告了牛结节性皮肤病确诊病例。
在法国的调查中,6月29日最终确诊阳性;在韩国,目前尚未发现有关的进口或检疫待检货物。
农食品部呼吁国人在海外旅行时避免参观畜产农场或携带畜产品入境,同时表示此次禁令对国内牛肉供应的影响微乎其微。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della Corea ha annunciato il divieto di importazione di carne bovina francese per le spedizioni datate dal 23 giugno, a seguito di un caso confermato di dermatite nodulare contagiosa in Francia.
In Francia, il 29 giugno si è arrivati alla conferma definitiva di positività, mentre in Corea non sono stati finora rilevati casi di importazioni o spedizioni in attesa di controllo.
Il ministero ha esortato i viaggiatori a evitare la visita di allevamenti zootecnici all’estero e a non portare prodotti di origine animale in Corea, aggiungendo che il divieto avrà un impatto minimo sull’offerta di carne bovina nel Paese.
요약
원문보기
**전파연, ‘무인이동체 미래전파 기술 연찬회’ 개최**
전파연구원이 무인이동체 분야에서의 미래 전파 기술을 논의하기 위한 연찬회(워크숍)를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는 최신 전파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무인이동체 분야의 기술적 과제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연찬회에서는 전문가들과 관계자들이 모여 무인이동체에 활용되는 전파 기술의 발전 방향과 활용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뤘습니다. 특히, **드론이나 자율주행 차량 등의 무인이동체 운용에서의 전파 기술 요구사항, 주파수 활용 방안, 그리고 전파 간섭 문제 해결 기술** 등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되었습니다.
더불어, 전파 기술과 관련된 최신 연구 사례 발표와 함께, 정부와 민간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통해 산업 발전과 기술 혁신의 시너지를 창출할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주요 논의 주제:**
– 무인이동체에서의 차세대 전파 기술 개발 현황
– 전파 환경 분석 및 활용 사례
– 전파 간섭 방지와 주파수 관리 방안
관계자는 “이번 연찬회를 통해 무인이동체 기술 발전을 위한 전파 기술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미래 기술 트렌드를 공유할 수 있었다”며 “산·학·연·관이 함께 협력하여 이 분야의 발전을 더욱 촉진하자”고 강조했습니다.
원문보기
**제목: 나노기술의 현재와 미래, 19개국 연구자·기업 한자리에**
최근 19개국에서 온 1,300여 명의 나노기술 연구자들이 한데 모여 나노기술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이번 행사의 주요 특징은 기술 혁신을 넘어 상용화 사례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성과와 전망을 공유한 점이다.
### **글로벌 나노기업·기관 참여**
총 9개국에서 온 420여 개의 나노 관련 기업과 기관은 각자의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전시하며 활발한 교류를 펼쳤다. 이번 전시회는 나노기술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을 통해 이뤄낸 혁신적 결과물뿐만 아니라, 나노 바이오 분야와 같은 첨단 기술이 상용화에 성공한 사례들을 폭넓게 다뤄 많은 관심을 받았다.
### **주요 프로그램**
1. **인공지능-나노융합의 미래 토론**
행사는 AI와 나노기술이 결합하여 다양한 산업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방안을 주제로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2. **나노기술 상용화 성공사례 대담**
연구 단계에 머물던 나노기술이 실제 제품화되고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사례들에 대한 심층 분석이 이어졌다. 이를 통해 나노기술이 산업계에 미친 실제적인 영향을 조명했다.
3. **나노 바이오 특별전**
나노기술이 생명과학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전시였다. 특히, 의학 및 생명공학에서의 활용 사례들은 참가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 **글로벌 나노기술의 미래**
이번 행사는 혁신적인 기술이 국가와 산업을 초월해 협력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나노기술이 인류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를 논의한 만큼, 각국 연구자와 기업 간 지속적인 협력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모임을 통해 나노기술은 단순한 연구 분야를 넘어 다양한 산업과 융합해 우리의 일상 곳곳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
원문보기
고용노동부가 7월 2일(수) 고용정책실장 주재로 「지역 고용상황 점검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의는 전국 주요 지방관서장들이 참여해 지역별 고용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회의입니다.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지역 고용상황 점검회의」는 정례화될 예정입니다.
문의를 원하시면 지역산업고용정책과 최서현 담당자(044-202-7413)에게 연락하시면 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 한국-몽골 축산 협력, ‘KOPIA 몽골 축산 선진화 비전 출범식’ 성료
7월 1일 몽골 다르항에서 열린 ‘KOPIA 몽골 축산 선진화 비전 출범식’이 한-몽 양국의 농업 및 축산 분야 기술 협력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농촌진흥청과 몽골 주요 인사, 축산 관계자 등 약 150명이 참석해 협력의 필요성과 비전을 논의했다.
—
### 주요 내용 요약
#### 1. **KOPIA 몽골 사업의 개요**
KOPIA(KOrea Partnership for Innovation of Agriculture)는 농촌진흥청이 개발도상국에 현지 맞춤 농업기술을 보급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사업이다. 이번 출범식은 2022년부터 몽골에서 추진 중인 가축 생산성 향상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 2. **몽골과의 협력 필요성 및 비전**
몽골의 축산업은 농업 총생산량의 86.1%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이지만 기술 부족, 기후변화, 초지 황폐화 등의 문제로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축산 기술 도입과 지속 가능한 축산업 체계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몽골 농업부 잠발체렝 사무차관은 KOPIA와의 협력이 축산업 재도약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 3. **주요 행사 내용**
– **성과 공유 및 계획 발표:**
KOPIA 몽골센터는 가축 생산성 향상 시범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올해 추진할 ▲현대식 낙농 기술 실증 ▲배합 사료 기술 보급 등의 계획을 발표했다.
– **업무협약(MOU) 체결 및 기증식:**
KOPIA 몽골센터와 몽골 10개 지방정부, 한국발명진흥회 간 협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식이 진행되었으며, 소형 농기계 10대를 몽골 농가에 기증했다.
– **동물약품 수출 상담회:**
한국 동물약품 기업(한동, 우진B&G, 대성미생물)이 참가해 몽골 진출을 위한 제품 효능과 기술력을 소개하고, 실질적인 수출 협력을 논의했다.
#### 4. **핵심 기술 및 연구 발표**
농촌진흥청은 ▲우량 가축 유전자원 활용 ▲조사료·사료첨가제 기술 ▲내외부 기생충 관리 ▲백신 기술 등을 발표하며 몽골 축산 환경에 맞는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
### 기대 효과 및 향후 계획
이번 출범식을 통해 한-몽 양국은 축산 협력의 본격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특히, 한국형 축산 기술과 동물약품 수출로 몽골 축산업의 체질 강화는 물론 양국의 경제적 협력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농촌진흥청은 KOPIA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몽골 축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한국 축산 기술과 제품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원문보기
### 집중호우 대비 딸기 육묘장 관리 요령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해 딸기 육묘장이 침수 피해를 입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대비책과 침수 이후의 관리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아래는 딸기 농가를 위한 구체적인 예방 및 대응 요령입니다.
—
#### **1. 사전 예방 조치**
– **배수로 정비**: 육묘장 주변에 깊이 있는 물길을 만들어 물이 빠르게 빠질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온실 점검**: 강풍과 폭우를 대비해 온실 고정 상태를 확인하고, 오래된 비닐은 장마 전에 교체합니다.
– **병충해 예방**: 탄저병, 시들음병, 선충 등 주요 병해충에 대비해 예방 방제를 철저히 실시합니다.
—
#### **2. 침수 발생 시 즉각 대응**
– **물 배출**: 온실 내 물이 침수되었을 경우, 가능한 한 빠르게 물을 빼냅니다.
– **전기 차단**: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를 차단 후, 양액기와 난방기 등 기기의 작동 상태를 점검합니다.
—
#### **3. 침수 피해 이후 관리**
– **피해 모종 정리**: 침수 피해가 심한 모종은 즉시 제거하고 주변 확산을 방지합니다.
– **세척 및 약제 방제**: 피해가 적은 모종은 고압분무기 등으로 잎을 씻어낸 뒤, 탄저병, 역병 등의 병해충 방제 약제를 2~3일 간격으로 번갈아 뿌립니다. 이렇게 하면 생존율을 95%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시설 소독**: 재배 작물이 없더라도 침수된 시설의 토양, 배지, 재배틀 등을 염소계 소독제로 철저히 소독해 재배 전 준비를 마칩니다.
—
#### **전문가 당부**
옥현충 과장(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딸기 육묘는 장마철과 시기가 겹쳐 피해 발생 위험이 높다”며 “사전 대비와 신속한 사후 관리를 통해 건강한 딸기 모종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결론**
딸기 육묘장의 침수 피해를 예방하려면 사전 대비와 침수 후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각 농가에서는 이를 참고해 장마철에도 안정적인 딸기 모종 생산을 이어갈 수 있도록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 농촌진흥청, 유기농업의 탄소 격리 효과 과학적 검증 시동
농촌진흥청이 유기농업의 환경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전국 유기농업 인증 밭 토양의 글로말린 함량 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는 **2023년 8월 중순부터 9월까지** 전국 45개 농가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토양 탄소 저장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
#### **글로말린: 토양 탄소 저장의 열쇠**
– **글로말린(Glomalin)**은 식물과 공생하는 내생균근균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질로, 토양 흙 입자들을 묶어 단단한 구조를 형성하며 토양 내 탄소를 저장한다.
– 토양 탄소량의 약 30%가 글로말린에 의해 저장된다고 알려져 있다.
– 특히, **유기농업 기술**, 즉 최소 경운과 탄소 격리 효과를 증대시키는 농업 방식과 연관성이 크다.
—
#### **조사 개요**
– 대상: **국내 유기농업 인증 밭 토양**
– 인증 기간, 기후 조건, 재배 면적을 고려해 선정
– 조사 항목:
1. 글로말린 함량
2. 기상 요인(온도, 습도 등)
3. 토양 이·화학적 특성(토질, 유기탄소 등)
4. 재배 관리 방식(작부체계, 토양관리 등)
– **확대 계획**: 2026년 논 토양, 2027년 과수원으로 조사 범위를 넓힐 예정
—
#### **과학적 검증과 향후 활용**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조사를 통해 글로말린 함량과 토양 탄소 저장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기농업의 탄소 격리 효과**와 **환경적 가치를 규명**할 계획이다.
– 또한, 이를 **탄소 저장 지표 발굴**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유기농업 기술의 긍정적 영향을 평가할 예정이다.
—
#### **유기농업 기술 평가와 비교 연구**
국립농업과학원은 **시험 재배지**를 조성해 피복 여부, 경운 방식 등 다양한 농업 기술 요소들이 글로말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유기농업 실천 기술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
#### **의의와 기대**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가 국내 최초로 유기농업과 글로말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시도임을 강조하며, **유기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철이 농촌진흥청 재생유기농업과 과장은 “이번 연구는 국내 유기농업의 탄소 격리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공익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구명할 것”이라며 **탄소 중립 실천과 농업 지속 가능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원문보기
### 농촌진흥청, 폭염기 농업인 건강 안전 수칙 안내
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에서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발령된 가운데, 농촌진흥청은 농업인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발표하고 실천을 당부했다. 농업은 야외 활동이 많은 직업 특성상 폭염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 주요 안전 행동 수칙
#### **1. 농작업 전 준비 사항**
– **날씨 확인:** 작업 당일의 기온과 체감온도 정보를 사전에 파악한다.
– **준비물 챙기기:** 시원한 물, 챙 넓은 모자, 밝은색 헐렁한 작업복, 휴대용 선풍기, 냉각 목밴드, 얼음 주머니 등을 준비한다.
– **작업 시간 조정:** 낮 12~17시의 무더운 시간대 작업은 가급적 피하고, 일정을 조정한다.
#### **2. 농작업 중 점검 사항**
– **수분 섭취:** 갈증이 나지 않아도 15~20분 간격으로 시원한 물을 마신다.
– **휴식:** 체감온도가 33℃ 이상인 폭염경보 상황에서는 2시간마다 20분 이상 그늘에서 휴식한다. 체감온도가 35℃를 넘어가면 작업을 즉시 멈추고 쉰다.
– **온열질환 증상 점검:** 발열, 두통, 어지러움, 매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작업 강도를 조정하고 작업자를 자주 교대한다.
#### **3. 농작업 후 관리 요령**
– **수분 보충:** 작업 후 그늘에서 쉬면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 **체온 관리:** 응급상황에 대비해 몸을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체온을 낮춘다.
#### **4. 온열질환 응급 대처 방법**
– **주요 증상:** 열탈진은 현기증, 근육 경련, 피로감 등이 나타나며, 열사병은 체온 40℃ 이상, 의식 혼란 및 기절 등의 심각한 증상이 보인다.
– **응급조치:** 즉시 119에 신고하고,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시원한 물이나 얼음으로 체온을 낮춘다. 환자의 상태를 계속 확인하며 적절히 대처한다.
—
### 농업인을 위한 맞춤형 폭염 정보 서비스 제공
농촌진흥청은 농업인의 폭염 대비를 돕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 **’농업인안전365′(farmer.rda.go.kr)**에서 체감온도 계산기와 맞춤형 안전 행동 요령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농작업 현장의 기온과 습도를 입력하면 실시간 체감온도를 계산해주는 기능을 지원한다.
농업인안전팀 김경란 팀장은 “습도가 높아지면 체감온도가 더욱 높아져 온열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며 “특히 고령 농업인의 경우 무더위 시간대 농작업을 자제하고, 새벽이나 비교적 시원한 시간대를 활용해 작업할 것”을 당부했다.
—
이번 안내는 다국어로 제작된 체크리스트와 함께 전국 농촌진흥기관 및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해 배포되는 등 폭염 속 농업인의 건강과 안전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여름철 농작업 중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반드시 숙지하고 실천하도록 하자.
—
*자료 출처: 대한민국 정부 공식 보도자료 (www.korea.kr)*
원문보기
### 농촌진흥청, ‘식물 유용 미생물 정보·자원 통합서비스’ 운영 개시
2023년 7월 1일부터 농촌진흥청이 ‘식물 유용 미생물 정보·자원 통합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농약과 비료에 사용하는 미생물에 대한 종합 정보를 제공하며, 연구자 및 농업인이 필요로 하는 미생물 자원을 간편하게 분양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
### 서비스 주요 내용 및 장점
1. **포괄적 정보 제공**
– 미생물 농약 및 비료 정보: 미생물 이름, 균주 번호, 효능 등 기본 정보 제공.
– 작물 생육 효과, 병해충 관리, 토양 개량 등 적용 사례 상세 설명.
2. **다중 검색 기능**
– 특허청의 ‘지식재산정보 검색 서비스(KIPRIS)’,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유기농업자재 공시조회’와 연계.
– 미생물 학명, 균주 번호, 효과, 작물과 병해충 정보 등 여러 데이터를 한 번에 검색 가능.
3. **미생물 자원 분양 신청 기능**
– 농업미생물은행과 시스템 연계.
– 미생물 자원 필요 시 플랫폼에서 직접 분양 신청 가능.
4. **통합 데이터베이스**
– 향후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미생물 비료 목록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확대 구축할 예정.
—
### 기대 효과
– **농업인**
작물별로 적합한 미생물 유기농업자재와 농약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검색하고 즉시 활용 가능.
– **기업체**
미생물 관련 제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해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
– **연구자**
미생물 관련 특허, 문헌, 식물병 정보 등을 한꺼번에 검색하며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
—
### 농촌진흥청의 전망: 그린바이오 산업 활성화
김상범 농업미생물과 과장은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분산된 미생물 정보를 통합하고 다중 검색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련 자원과 지식을 폭넓게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농업인, 기업체, 연구자들 간의 정보 교류 및 협력을 통해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통합서비스는 농업 분야의 지속가능성과 기술 발전을 지원하며 대한민국의 농업 환경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서비스는 공식 웹사이트([genebank.rda.go.kr/kagrobio.do](http://genebank.rda.go.kr/kagrobio.do))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새만금 간척지, 산업용 고구마 대규모 재배 가능성 열다
#### 고구마 재배 위한 관개수 염 농도 기준 확립
농촌진흥청이 새만금 간척지에서 산업용 고구마를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관개수 염 농도 기준과 적합 품종을 발표했습니다. 연구 결과, 관개수 염 농도가 0.4% 이하일 때 고구마 재배가 가능하며 초기 생장은 다소 지연되지만, 이후 정상적으로 성장한다고 밝혔습니다.
#### 고구마 품종별 수량성과 적합용도 분석
고구마 덩이뿌리(괴근) 수확용 품종 중 ‘호풍미’는 헥타르당 생체 수량 약 51톤으로 가장 높았으며, ‘소담미’는 39톤, ‘단자미’는 28톤을 기록했습니다. 지상부(잎·줄기 포함) 수확용 품종은 ‘통채루’가 약 7톤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였고, ‘소담미’와 ‘호풍미’가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간척지 고구마는 나트륨 이온이 덩이뿌리에 많이 축적돼 짠맛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 식용보다는 산업용(전분, 주정, 제당 등)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또한, 염 농도가 기능성 성분 함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채루’와 ‘소담미’는 루테인과 폴리페놀산 등 기능성 물질 함량이 높은 품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산업용 고구마 원료곡 자급률 향상 기대
현재 국내 식용 고구마는 대부분 국산인 반면, 산업용 고구마의 78%가 외국산입니다. 새만금 간척지가 산업용 고구마 원료곡 생산지로 적합성을 보여준 것은 수입산 의존도를 줄이고 자급률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고종철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센터장은 “새만금 간척지는 타 간척지보다 염 농도가 낮고 대규모 농경지가 형성돼 있어 산업용 고구마 재배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보유하고 있다”며, “향후 대규모 원료곡 생산 기반이 마련되면 수입산 원료와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결론
새만금 간척지에서의 산업용 고구마 재배는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염 농도 조건과 적합 품종 선정을 통해 대규모 산업용 고구마 생산 및 자급률 향상을 이루며, 국내 농업과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 농촌진흥청, 민간 버섯 육종가 양성을 위한 ‘버섯육종교실’ 교육 신청 접수
농촌진흥청이 민간 버섯 육종가를 양성하기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 ‘버섯사관학교’의 **버섯육종교실**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신청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가능하며, 교육은 7월 28일부터 30일까지 충북 음성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에서 3일간 진행됩니다.
#### **교육 참여 대상 및 주요 내용**
– **참여 대상:**
버섯 재배 경력이 있고 품종 개발을 위한 시설과 의지가 있는 교육생.
– **교육 내용:**
참가자는 아래와 같은 육종의 기초 이론과 실습 과정을 배우게 됩니다.
– 버섯 균 관리
– 번식체(포자) 수집 및 분리
– 버섯 균주 교잡 기술
– 고체, 액체, 곡물 씨균 제조
– 현미경을 활용한 교잡 여부 확인
– **유전자(DNA) 분석 기술** (2023년 추가)
#### **신청 방법**
1.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누리집([www.nihhs.go.kr](http://www.nihhs.go.kr))에서 신청 양식을 다운로드.
2. 작성 후 **팩스(043-871-5702)** 또는 **전자우편([email protected])** 으로 제출.
3. 참가자 선정 결과는 7월 15일에 개별 통보.
#### **프로그램 변화 및 향후 일정**
올해부터는 기존에 묶어 진행되던 **버섯 육종교실**과 **버섯 재배교실**이 각각 분리운영 됩니다. 교육생의 역량을 세분화해 전반적인 품질 향상 및 집중적인 교육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참고로, 귀농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재배교실은 올해 말 열릴 예정입니다.
#### **버섯 연구 및 산업 활성화 기대**
농촌진흥청 장갑열 과장은 “다양하고 우수한 버섯 품종을 적극 육성함으로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육종 전문가를 꿈꾸는 이들의 성장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버섯 육종 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중요한 기회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빠짐없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 2025년 상반기, 유전능력 뛰어난 한우 보증씨수소 18마리 새롭게 선발
농촌진흥청은 2025년 상반기 ‘한우 보증씨수소’ 18마리를 새롭게 선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선발은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축산과학원, 농협경제지주 한우개량사업소, 한국종축개량협회가 공동으로 참여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개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유전능력 향상 배경 및 기대효과**
국립축산과학원은 2023년부터 시행된 ‘가축개량지원사업 시행 지침’에 따라 기존 씨수소보다 유전능력이 뛰어난 개체를 선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씨수소 정액의 전반적인 유전능력이 향상됐으며, 농가 선택의 폭도 넓어졌습니다.
#### **새로운 씨수소의 유전 형질별 우수성**
이번에 선발된 보증씨수소 18마리는 각각 아래와 같은 형질에서 뛰어난 유전능력을 보였습니다:
– **도체중이 우수한 개체**: KPN1700, KPN1697, KPN1695
– **등심단면적이 넓은 개체**: KPN1695, KPN1700, KPN1676
– **등지방두께가 얇은 개체**: KPN1684, KPN1694, KPN1689
– **근내지방도 점수가 높은 개체**: KPN1707, KPN1701, KPN1690
#### **정보 공개 및 공급 시기**
씨수소들의 자세한 유전능력 정보는 2025년 8월 1일부터 국립축산과학원 누리집(www.nias.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선발된 씨수소의 정액은 같은 달 농협 한우 개량사업소를 통해 판매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 **전문가의 조언**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박병호 과장은 새롭게 선발된 보증씨수소가 “매우 뛰어난 유전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하며, 농가에 보유 암소의 유전 정보와 근교계수(근친 위험 지표)를 함께 고려한 **계획교배**를 통해 한우 개량 효율을 극대화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국내 한우 개량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지속 가능한 대체식품 산업 기반 마련을 위한 협력 강화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 식량안보 위기와 같은 글로벌 문제들로 인해 환경친화적 식품 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6월 30일 서울 LW 컨벤션센터에서 `대체식품 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
#### **주요 간담회 내용**
이번 간담회는 국내 대체식품 산업의 발전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주요 발표와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가 공유되었습니다.
– **참석자 구성**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한국식품연구원 등 관계기관과 풀무원, 농심태경, 수지스링크, 인테이크 등 주요 식품 산업체가 참여했습니다. 또한 고려대, 건국대, 경희대 등 학계 전문가들과 식량과학원 소속 관계자 등 약 30명이 자리했습니다.
– **주요 발표 내용**
1. 국립식량과학원 김민영 연구사의 발표: “**대체 단백 원료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국산화 방안**”
2. 한국식품연구원 최윤상 박사의 발표: “**지속가능한 대체 단백 소재 개발**”
이후 참석자들은 산·학·연·관의 협력을 통한 산업 발전 전략 및 현장의 실질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 **국제학술대회 참여 및 발표**
국립식량과학원은 7월 2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학술 세션을 운영합니다. 세션의 주제는 “**식물성 대체 소재 연구 현황 및 발전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발표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1. 김민영 연구사의 발표: “**식물성 대체 소재 연구개발(R&D) 현황**”
2. 고려대 한재준 교수의 발표: “**고수분 대체육 조직화 기술**”
3. 플랜트펫 박신제 대표의 발표: “**에멀전겔 기반 대체 지방 개발**”
4. 인테이크 김정훈 이사의 발표: “**산업현장 적용 사례**”
—
#### **향후 전망과 의의**
이번 간담회와 국제학술대회는 국내 대체식품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립식량과학원은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산업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국내 대체식품 산업 발전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최명철 식품자원개발부장은 “대체식품은 미래 식량 공급망을 책임질 핵심 산업”이라며, **국산 농산물 기반 기술 개발 및 민관 협력체계를 통한 성장과 기술 자립**을 강조했습니다.
—
### 결론
이번 간담회와 학술대회는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대체식품 산업 육성의 길을 모색하며, 기술 혁신과 민관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대체식품 분야는 연구와 산업의 협업을 통해 미래 식량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2025년 하반기부터 적용될 고용노동부 소관 정책에 대한 변화를 안내드리겠습니다. 발표된 내용들은 정부 정책의 방향과 고용 환경 변화에 따라 준비된 것으로, 다양한 고용주 및 근로자들의 권익 보호와 신속한 적응을 목적으로 합니다.
### 2025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주요 고용노동부 소관 정책
아래는 새롭게 도입되거나 개정될 주요 정책 사항의 요약입니다:
#### 1. 근로시간 유연화 및 제도 개선
– **근로시간 저축 계좌제 도입**: 근로자가 초과근무 시간을 저축한 뒤, 본인이 원하는 시점에 장기간 휴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탄력적 근로제 확대**: 탄력적 근로시간 적용 대상을 기존보다 확대하여, 직군 및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근로시간 운영 가능.
#### 2. 고용보험 체계 강화
–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고용보험 적용 확대**: 프리랜서, 플랫폼 근로자 등 특수고용노동자들의 고용보험 가입 대상을 추가 확대.
– **고용보험료 지원 프로그램 실시**: 소상공인 및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료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적 보조.
#### 3. 임금 및 복지 향상
– **최저임금 인상 및 가이드라인 개선**: 최저임금 인상률을 조정하고 적용 업종에 대한 세부 기준 마련.
– **육아휴직 급여 현실화 방안 강화**: 육아휴직 급여 상향 조정 및 지급 기간 확대 검토.
#### 4. 직업훈련 및 전환 지원 확대
– **재직자 및 구직자 직업훈련 프로그램 확대**: 4차 산업 및 신기술 분야에서 필요한 직업훈련 과정을 신설·확대.
– **전직 지원서비스 강화**: 구조조정 등에 따른 근로자 전직 지원 서비스를 확대하고, 상담 및 취업 연결 서비스 강화.
#### 5. 플랫폼 및 디지털 경제 관련 규제 대응
– **플랫폼 사업자 책임 강화**: 플랫폼 기업의 노동자 안전망 마련 의무 부과 및 법제화.
– **디지털 일자리 보호 정책 마련**: 디지털 경제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고용 형태에 대한 보호와 규제 방향성 제시.
### 주의사항 및 관련 정보
– 각 정책은 세부 법안 및 시행령 마련 후에 구체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며, 관련된 세부사항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공식 채널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 이번 변경은 기존 근로 및 고용 정책과 새로운 환경의 조화를 도모하고,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마무리
위의 정책 변화는 고용주와 근로자가 달라진 고용 환경을 빠르게 적응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관련된 정책들이 시행될 경우, 관련 단체나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고 대비책을 마련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정책 세부사항이나 문의는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www.moel.go.kr)를 참조하십시오.]**
원문보기
### 기후변화 대응 및 김 산업 발전을 위한 2026년 김 생산량 확대
최근 김 수산업 수출이 2년 연속 1조 원을 돌파하며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입지를 다지는 가운데, 해양수산부는 기후변화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김 생산 기반 확대와 함께 불법 양식 단속, 가공시설 개선 등 다각적인 대책을 통해 김 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
#### **주요 내용 요약**
1. **신규 김 양식장 개발**
– 인천·경기 등 접경·도서지역 중심으로 626ha의 신규 양식장을 추가 개발.
– 신규 개발로 전체 김 양식장 면적은 약 1% 확대.
2. **김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 안정적인 물김 공급을 위해 지난해 10월 발표한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따라 총 2,700ha 규모의 양식장을 단계적으로 개발.
– 2025년산 김 최종 생산량은 전년 대비 36.1% 증가한 2억 369만 속으로 집계.
3. **기후변화 대응**
– 고수온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김 산지 변동에 대비.
– 김 양식장 적정지역 재배치, 우량 종자 보급, 병해 예방을 위한 활성처리제 지원 확대.
4. **지역 경제 및 산업 지원**
– 불법 양식 단속 강화.
– 김 가공 능력 강화를 위해 마른김 건조기 시설 교체 예산 60억 원 반영.
– 지역 소득 증진을 위한 다각적 대책 추진.
—
#### **미래 김 산업의 목표와 방향**
김이 수출 1위 수산식품 품목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생산량 확대와 품질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기후변화와 지역 여건에 따라 체계적인 수급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계속해서 국민의 물가 부담을 완화하고 김 산업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정책이 성과를 거둘 경우, 국내 김 산업은 안정적 공급체계를 기반으로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지역 경제와 국가 수출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조달청, 혁신기술로 국민생활 밀접분야 연구개발 과제 추진
조달청이 국민생활 환경 개선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목표로 재난대응, 국민안전 강화 등의 중요한 공공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R&D) 과제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 **8개 과제에 총 66억 원 투자**
조달청은 올해 총 8개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하고, 향후 2년간 약 66억 원을 투입한다. 올해 선정된 연구개발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시범구매연계형 과제(6개)**:
– 재난대응, 국민안전, 보건 등 국민생활 밀접 분야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제품을 개발한다.
– 대표 사례:
– 화재 현장 대응력을 높이는 **소방지휘관용 인공지능 스마트 안경**
– **골목길·농로 자율주행 제설로봇**
– **소규모 의료기관용 여성 정밀 감염질환 관리 플랫폼**
2. **스케일업형 과제(2개)**:
– 이미 개발된 혁신제품의 성능과 기술을 고도화한다.
– 대표 사례:
–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및 긴급상황 대응을 위한 **자가진단 비상벨**
–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중오염물 제거 환경보호용 로봇**
### **기술 실증 및 상용화 지원 확대**
이번 과제들은 연구개발 단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성과물이 신속히 공공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시범구매 연계와 전문 컨설팅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정부 R&D 성과물이 실제로 조달시장에 진입하고, 국내외 다양한 환경에서 실질적 도입 가능성을 검증받게 된다.
### **혁신기술로 공공난제 해결**
강희훈 신성장조달기획관은 “AI, 자율주행, 로봇 등 혁신기술이 공공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이번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지원폭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또한, 공공수요 기반 R&D와 사업화 연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공공조달이 정부의 연구개발 성과를 실질적인 사업화로 이끌겠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
조달청의 이번 조치는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국민의 일상 속 불편을 해소하고, 공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미래형 연구개발 정책의 좋은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원문보기
### 조달청, 엔지니어링 업계와 간담회 개최: 국민안전·공정성 및 업계 애로사항 논의
조달청은 7월 2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와 한국엔지니어링협회와 함께 간담회를 열고, 공공시설의 안전성 강화와 공정한 경쟁을 위한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최근의 건설경기 침체와 관련된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공공조달 입찰제도의 개편 방향과 엔지니어링 업계의 건의사항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 입찰제도 개편 방향 논의
조달청은 저출산 극복, 탄소중립 등 국가정책을 뒷받침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물품·서비스·공사 등 공공조달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걸쳐 입찰제도를 개편 중이며, 엔지니어링 분야 역시 이 계획의 중요한 축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기술용역 적격심사 세부기준’** 개정안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적격심사 제도의 핵심적인 평가 항목인 신인도 평가**(이행실적, 기술능력, 경영상태 외에도 다양한 정책적 목적으로 부여하는 가점)**에 대한 개선 방향과 업계의 의견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습니다.
#### 업계의 협력과 조달청의 약속
강신면 기술서비스국장은 “공공시설의 품질과 안전성은 엔지니어링 업계의 노력과 긴밀히 연결된다”며 업계의 적극적 협력을 당부하는 한편, “국가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면서도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입찰제도 강화와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달청은 앞으로도 국민안전과 공정경쟁을 위해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건설경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계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입니다.
#### 추가문의
– 건설기술계약과 신재욱 사무관
연락처: 042-724-7578
—
**정리 및 블로그 활용 팁:**
– 본 기사는 공공조달 및 엔지니어링 업계에 종사하는 독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 정책적 배경과 관련 업계의 역할을 강조하며, 조달청의 입찰제도 개편 방향과 엔지니어링 업계의 협력 필요성을 중심으로 작성된 내용을 활용하세요.
원문보기
### 지재권 허위표시 근절, 정부와 민간이 손잡다
특허청은 지식재산권 허위 표시로 인한 소비자 혼란을 막고 올바른 지재권 표시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7월 2일(수), 특허청 서울사무소에서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와의 간담회를 개최하며 이와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
#### **왜 ‘허위표시 근절’이 중요한가?**
– **지재권 허위표시란?**
지재권이 등록되지 않았거나 출원하지 않은 물건에 지식재산권이 있는 것처럼 표기하거나, 소비자들이 이를 혼동하기 쉽게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광고나 간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 이런 허위표시는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시장 질서를 해치며,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
#### **특허청의 주요 활동 계획**
1. **협력 확대**
기존 주요 오픈마켓(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G마켓 등)뿐만 아니라, CJ온스타일과 같은 *온라인 홈쇼핑몰*로 협력 채널을 확대한다.
2. **인공지능(AI) 모니터링 활용**
특허청은 AI 기술을 활용해 허위 표시를 효과적으로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는 출산·육아용품 조사에서 이미 성과를 보였다(2025년 3월~4월까지 836건 적발).
3. **민관 합동조사 및 실효성 제고**
– 한국지식재산보호원과 협력해 허위 표시 게시물 URL, 상습 판매자 정보를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 제공.
– 플랫폼 사업자들이 자체적으로 추가 조사 및 문제를 시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조사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4. **민관 협업 체계 발전**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조사 실효성과 정책 실행력을 강화한다.
—
#### **특허청의 입장과 기대**
특허청 신상곤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플랫폼 시장의 변화에 따라 온라인사업자와의 협력 모델도 진화하고 있다”며, 이번 간담회가 그동안의 협력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소비자와 국민의 참여 요청**
허위표시에 대한 신고는 특허청의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신고센터(https://www.ip-navi.or.kr/falsemark)** 또는 대표번호(1670-1279)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신고를 통해 소비자 스스로도 올바른 시장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
이번 간담회는 플랫폼 시장의 빠른 변화 속에서 민관 협력을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중요한 시도가 될 전망이다. 소비자와 기업 간 신뢰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특허청의 지속적인 활동과 협업이 기대된다.
원문보기
### 조달청 금주 입찰 동향(‘25.07.07.~‘25.07.11.)
조달청은 2025년 7월 7일부터 7월 11일까지 해양경찰청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이 요청한 *서해청 VTS 노후 레이더 개량 구매설치*를 포함해 총 121건, 약 677억 원 상당의 물품구매 입찰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 주요 입찰 계약 방식 및 규모
1. **협상에 의한 계약 (약 35.5%, 총 240억 원)**
– 대표 사례: 해양경찰청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의 *서해청 VTS 노후 레이더 개량 구매설치*
2. **규격가격동시입찰 계약 (약 27.2%, 총 184억 원)**
– 대표 사례: 해양경찰정비창의 *서부정비창 운용장비(엔진 시운전 장비) 구매*
3. **적격심사 계약 (약 22.4%, 총 152억 원)**
– 대표 사례: 한국철도시설공단 호남지역본부의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제2공구 건설공사(T/K) 3성분계 레미콘 제조구매*
4. **다수공급자계약(MAS) 2단계경쟁 (약 12.1%, 총 82억 원)**
– 대표 사례: 전남 강진군의 *송월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 2차 아스콘*
5. **우수 등 수의계약 (약 2.8%, 총 19억 원)**
—
#### 지역별 발주 현황
– **본청**: 52억 원(전체의 약 8.7%)
– **10개 지방청**: 총 543억 원(나머지 발주액 대부분 집행)
—
이번 입찰은 다양한 계약 방식과 함께 광범위한 지역적 실행 계획을 포함하며, 특히 해양 및 철도 분야 대형사업이 주목되는 가운데, 조달청은 효율성과 공정성을 극대화하여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문의처**
구매총괄과 김정순 서기관 | ☎ 042-724-7232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
원문보기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혁신융합캠퍼스 내 해양 클러스터에 워케이션 센터가 새롭게 문을 열었다는 보도자료에 대한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워케이션 센터’ 개소**
– **장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혁신융합캠퍼스 내 해양 클러스터
– **취지**: 워케이션(Worcation, Work+Vacation)이란 일과 휴식을 병행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으로, 해양산업 종사자 및 지역민이 더 나은 환경에서 업무와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특징 및 역할**:
– 협업 및 원격 업무를 위한 첨단 기술이 접목된 공간 제공
– 해양산업 관련 스타트업 및 기업을 위한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공간 마련
– 워케이션 문화 확산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해양 클러스터 활성화 기여
– **기대효과**:
– 해양산업 인재 유입과 육성 촉진
– 지역 경제 활성화와 혁신 해양산업 성장기반 구축
첨부파일에는 센터의 세부 시설 및 장비, 개소식 일정, 향후 운영 계획 등이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자료를 확인하여 추가적인 정보 검토가 필요합니다.
[자료제공: www.korea.kr]
원문보기
**식약처, 건강한 식생활 실천 문화 확산 위해 영상 공모전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국민들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뜻깊은 영상을 모으는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창의적이고 감각적인 콘텐츠를 제작해 식생활의 중요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공모 주제**
이번 영상 공모전의 주제는 **‘건강한 식생활 실천 문화 확산’**이다. 특히 균형 잡힌 영양 섭취, 건강한 조리법, 식품 안전 및 올바른 선택과 소비를 위한 실천 사례 등을 콘텐츠에 담을 수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한 조언부터 보다 심층적인 정보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응모 대상 및 참여 방법**
– **참가 대상:**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개인 또는 팀)
– **접수 방법:** 공모전 전용 온라인 페이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출품작 접수
– **영상 형식:** 제한 없음. 다만, 모바일과 디지털 환경에서 쉽게 공유될 수 있는 형태가 권장됨.
### **공모 일정 및 시상 내역**
– **접수 기간:**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식약처 홈페이지와 공모전 관련 안내 자료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 **시상 내역:** 우수작에 대해 상금 및 상장이 수여되며, 당선작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홍보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식약처의 취지와 기대 효과**
식약처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식생활에 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모두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특히 MZ세대와 같은 젊은 층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시각과 아이디어가 반영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공모전을 계기로 국민 모두가 건강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새기고 실천 문화를 일상에 자리 잡게 하길 바란다. 앞으로도 식약처는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캠페인과 공모전을 추진하면서 식문화 개선에 주력할 예정이다.
관심 있는 분들은 식약처 홈페이지 및 관련 공지를 주목하며 접수 일정 및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길 바란다.
원문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최근 **’식품 표시정보 수어영상 제작 매뉴얼’**을 발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청각장애인을 포함해 모든 소비자가 식품 표시 정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강화하려는 취지에서 마련된 조치입니다.
### 매뉴얼 주요 내용
이번 매뉴얼은 식품 표시 정보를 수어(한국 수화언어)로 제작하고자 하는 관련 종사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식품 표시정보 항목별 제작 방법**
– 영양성분, 원재료명, 보관방법 등 필수 표시정보를 수어로 명확히 전달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2. **영상 제작 시 유의사항**
– 화면 구성, 수어 번역과 자막 활용, 영상 길이 등 시청자 친화적인 제작 방식에 대한 실무적 조언을 제공합니다.
3. **수어영상 사례 예시**
– 이미 제작된 유사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샘플 영상 및 베스트 프랙티스를 소개합니다.
4. **법적 기준 및 가이드라인 준수 안내**
– 식품 표시 관련 법규와 지침을 수어로도 충실히 반영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 왜 중요할까?
식품 표시 정보는 소비자들의 안전한 선택을 위해 반드시 제공돼야 하는 기본적인 데이터입니다. 이번 수어영상 매뉴얼 발간은 청각 손실로 인해 기존 정보 접근에 제약을 느꼈던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특히, 기업들이 이를 활용해 자사 제품 정보를 제작함으로써 청각장애인과의 소통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입니다.
### 기대 효과
이번 매뉴얼 발간을 계기로, 더 많은 식품 기업이 수어영상을 제작해 상품 정보를 투명하게 전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이는 청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향상**과 더불어, 포용적인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식약처는 매뉴얼을 필요로 하는 기업 관계자들과 이를 적용하려는 실무자들에게 해당 자료를 적극 배포할 계획입니다. 추가적으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워크숍을 통해 매뉴얼 활용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더 많은 정보는 식약처 홈페이지 또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www.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2025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관한 보도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가 동향과 관련된 자세한 질문이나 추가 정보는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김문수 담당자(044-215-2772)에게 문의하면 됩니다. 상기 자료는 대한민국 정부 공식 포털(www.korea.kr)을 통해 제공된 것입니다.
원문보기
### 2025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 순환경제의 미래를 만나다
2025년 7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코엑스 마곡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2025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됩니다. 본 행사는 산업의 녹색 전환(Green Transformation, GX)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인 순환경제를 주제로 하며, 신산업 및 혁신 기술을 만나볼 수 있는 종합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순환경제: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
순환경제는 제품의 전 과정에서 자원을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과 경제의 균형을 도모하는 방식입니다. 특히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이 전 세계 주요 의제로 대두됨에 따라, 순환경제는 단순한 자원 절약의 개념을 넘어 비즈니스 혁신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제조업과 자원·탄소 배출 비중이 큰 대한민국에게 있어 이러한 변화는 위기보다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
### **행사 주요 프로그램**
이번 페스티벌은 세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전시회**
– 228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며, 329개 부스를 통해 혁신 기술, 제품,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2. **국제포럼**
– 주한EU대표부와 공동 개최.
– **EU의 에코디자인규정(ESPR)**, 디지털제품여권(DPP) 등 관련 정책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3. **수요·공급기업 상생라운지**
– 국내외 수요·공급 기업들이 협력 사업을 모색하며 상생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 **다양한 부대행사**
이번 페스티벌에는 주요 프로그램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부대행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 **표창 및 시상**: 순환경제 및 국제환경규제 대응 우수 기업(18점) 및 신사업 공모 당선작(7점) 시상.
– **기업 지원 컨설팅**: 순환경제와 관련한 전문적 컨설팅 제공.
– **체험 프로그램**: 중고 의류 교환 행사 및 직접 제작·수리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 **문신학 1차관의 강조 메시지**
산업부 문신학 1차관은 개막식에서 “순환경제를 통해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이라는 상반된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고 말하며,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순환경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 **마무리**
「2025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은 순환경제의 비전을 제시하고, 국내외 기업과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구현할 기반을 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순환경제에 관심 있는 전문가, 기업 관계자, 일반인 모두에게 유익한 이 행사가 산업의 녹색 전환을 이끄는 주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 질병관리청-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알레르기질환 예방관리 협력 MOU 체결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과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이사장 장안수)가 알레르기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2025년 7월 2일 개최되었으며, 양 기관은 교육·홍보, 정책 개발, 조사·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약속했다.
—
### 주요 협약 내용
1. **인식 제고 및 교육·홍보 활동**
– 알레르기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대중 인식 제고를 목표로 교육과 홍보를 지속 확대.
– 의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제작된 교육 자료와 홍보 콘텐츠를 활용.
2. **정책 개발 및 개선 자문**
– 알레르기질환 예방과 관리와 관련된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전문 자문 제공.
3. **연구·기술 개발 협력**
– 알레르기질환 발생 원인 규명 및 예방관리 기술 개발을 통해 건강 증진 도모.
특히, 양 기관은 ‘2025 세계 알레르기 주간(6월 29일~7월 5일)’을 맞아 아나필락시스 이해와 대처법에 관한 교육 영상을 공동 제작해 배포한 바 있다.
—
###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이번 협약으로 정부와 학계의 협력이 강화되면서, 알레르기질환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정책과 실행 방안이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민의 자가관리 능력 향상과 건강 수준 증진이 기대되며, 양 기관은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
### 관계자 발언
– **장안수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이사장**
“이번 협약은 국민 삶의 질을 위협하는 알레르기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학술적 역량을 통해 정책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
“학회와의 협력이 더욱 긴밀해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국민들이 신뢰성 있는 정보와 교육을 통해 더욱 건강하고 자유로운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부록
1. **업무협약식 개요**
2. **2025 세계 알레르기 주간 포스터**
3. **아나필락시스 예방관리수칙 카드뉴스**
질병관리청과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알레르기질환과 관련된 예방 중심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방침이다.
원문보기
식약처, AI·빅데이터 활용한 식품안전 관리 혁신 방향 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식품안전 관리를 혁신하기 위한 중장기적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 논의는 2023년 10월,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라 급증하는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첨단 기술의 융합으로 식품안전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것입니다.
### 주요 논의 사항
1. **AI·빅데이터의 역할 확대**
– 식품 관련 위험 요소들을 AI로 사전에 예측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위해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적 안전 관리 체계 구축이 논의되었습니다.
2. **스마트 플랫폼 도입**
– 식약처는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안전한 식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AI 기반의 스마트 플랫폼과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3. **산·학·연 협력 강화**
– 기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특히 데이터 공유와 AI 기술 개발에 대학 및 민간 연구소의 참여를 적극 장려할 예정입니다.
4. **정책 규범화 및 법적 근거 마련**
– AI와 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와 법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관련 규제와 가이드라인을 정비하고, 이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방침입니다.
### AI·데이터 기반의 기대 효과
식약처는 이번 방향성이 안정적인 식품 공급망 구축 및 국민 건강을 위한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 관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강화되어 식품 산업 전반의 신뢰도와 생산성이 동시에 향상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 정부의 다음 단계
식약처는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시범 사업과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식품안전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식품의 생산부터 유통, 소비까지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구현해 ‘100% 안전’을 보장하는 데 다가갈 계획입니다.
—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원문보기
### 국산 목재 펄프로 이차전지 소재 개발의 새 지평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이 국산 목재 펄프를 활용해 차세대 이차전지 고체상 전해질의 공극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기존 이차전지의 주요 취약점을 보완하고, 지속가능한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적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 **이차전지의 현황과 한계**
이차전지는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 **안정성 문제**: 현재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석유화학계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은 충격에 취약하고, 화재 및 폭발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환경 문제**: 석유화학 기반의 소재는 환경오염 유발 및 원료 지속가능성의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
#### **목재 펄프 기반의 혁신적인 기술**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에 주목하고, 목재 펄프를 활용해 고체상 전해질을 제작하는 기술을 연구 중입니다. 이번 연구의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셀룰로오스 유도체화 필름 개발**:
– 목재 펄프를 기반으로 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필름 형태로 제작.
– 필름은 지방산 사슬을 기반으로 하며, 친수성, 용매와의 상용성, 기계적 물성을 조절 가능.
2. **공극 구조의 혁신적 제어**:
– 물방울 응축 현상을 활용한 기공 패턴 부여 기술 개발.
– 다공성을 증가시켜 효과적인 전해질 전달과 전지 성능 강화.
3. **보조 고분자의 활용**:
– 필름의 구조 안정성을 강화하고 특정 공극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보조 고분자와 함께 활용.
—
#### **미래를 향한 지속 가능성**
국립산림과학원의 기술은 리튬이온전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석유화학 원료를 목재 펄프로 대체하여 지속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전상진 연구사는 “국내 자원인 목재 펄프를 활용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술을 발전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성과는 국내 학술지 「펄프·종이기술」에 논문으로 게재되었으며, 향후 이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상용화될 경우 우리의 생활 및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결론**
목재 펄프를 활용한 전지 제조 기술은 기존 석유화학 기반 소재의 문제를 해결하며,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국립산림과학원의 지속적인 연구가 차세대 에너지 기술 발전을 이끌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원문보기
### 6월 소비자물가지수 분석 보고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현황이 발표되었습니다. 전월 대비 큰 변동은 없었지만, 전년 동월 대비는 상승세를 보이는 양상입니다.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1.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전월 대비**: 변동 없음.
– 서비스와 공업제품 가격은 상승했으나,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과 전기·가스·수도의 변동 없음이 균형을 맞추며 전체 지수는 유지됨.
–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
–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농축수산물 모두 상승하며 종합적인 물가 상승이 나타남.
—
### **2. 지수별 세부 분석**
#### **(1)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 **전월 대비**: 0.1% 상승.
–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
#### **(2)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 **전월 대비**: 0.2% 상승.
–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
#### **(3) 생활물가지수**
– **전월 대비**: 변동 없음.
–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
– **식품 물가**: 3.2% 상승.
– **식품 이외**: 2.1% 상승.
#### **(4) 신선식품지수**
– **전월 대비**: 2.1% 하락.
–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
– **신선어개**: 7.5% 상승.
– **신선채소**: 0.2% 상승.
– **신선과실**: 7.6% 하락.
—
### **3. 주요 특징 및 해석**
– **생활물가지수 상승**: 식품의 높은 물가 상승률(3.2%)은 생활물가지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가계가 자주 소비하는 품목의 가격 변동이 민감하게 반영되었습니다.
– **신선식품 가격 하락**: 전반적으로 신선 식품(특히 과실류)의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며 생활비 부담 완화에 기여했습니다. 다만, 신선 어개류는 여전히 높은 상승세를 기록하며 품목 별 편차가 존재했습니다.
– **농축수산물 가격**: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은 전월 지수 안정세에 영향을 주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해 여전히 상승 압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
### **4. 전망 및 시사점**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나타냈지만, 전년 대비 물가 상승폭은 여전히 가계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식품 물가와 생활필수품 중심의 물가 상승은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앞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국내 농축수산물 공급 상황 등이 물가 구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소비자는 물가 동향을 주의 깊게 살피며 생활비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겠습니다.
원문보기
**신규 축산인 대상 환경오염 예방 교육, ‘햇살교육’ 실시**
환경부와 축산환경관리원이 신규 축산인과 여성 낙농인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예방을 위한 맞춤형 교육인 ‘햇살교육’을 오는 7월 2일과 8월 5일,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교육은 신규 축산인과 여성 낙농인 등 기존 환경교육 혜택에서 소외된 대상자들을 위해 기획된 현장 중심의 공공 환경교육입니다.
### **’햇살교육’의 주요 내용**
‘햇살교육’은 가축분뇨 적정 처리와 관련된 실질적인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아래 내용을 포함합니다:
– **축사 환경관리 방법**
– **양분관리를 위한 퇴비화 기술**
– **수질오염 예방을 위한 적정 퇴비 관리**
교육은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해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가축분뇨 관리로 발생할 수 있는 토양 양분 과잉, 수질오염, 악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환경부는 이번 교육을 통해 축산 농가의 인식 제고 및 역량 강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후계 농가와 여성 낙농인을 중심으로 교육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축산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계획입니다.
### **향후 계획**
이번 교육에는 약 6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한국낙농육우협회와 연계하여 진행됩니다. 앞으로 다양한 지역과 대상층을 아우르는 교육으로 확대해 축산분야 환경오염 개선의 기반을 다질 계획입니다.
### **환경부의 메시지**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축산분야 환경오염 예방을 위해서는 축산인의 참여와 인식 개선이 필수적”이라며, “‘햇살교육’을 통해 모든 축산인이 환경 친화적인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습니다.
해당 교육 프로그램은 2021년부터 환경부에 위탁받아 축산환경관리원이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햇살교육’은 축산 환경오염 정책의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 전국 9.2만 의용소방대원, 여름철 풍수해 안전활동 본격화
소방청은 여름철 풍수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전국 92,000여 명의 의용소방대원이 10월까지 풍수해 예방·대응·복구 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의용소방대는 재난 현장에서 소방공무원과 함께 활동하는 자원봉사조직으로, 지역사회의 안전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활동 개요**
올해 의용소방대의 풍수해 관련 활동은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나뉘어 추진됩니다.
1. **사전 예방 활동**
– 산사태 및 저지대와 같은 취약 지역 점검.
– 간판과 낙하물 등 사고 요인 제거.
– 수방장비 점검 및 훈련.
– 지역 주민 대상 풍수해 행동요령 교육과 홍보.
2. **현장 대응 활동**
– 태풍·호우 예보 시 신속한 대피 및 침수 지역 배수 지원.
– 긴급 구조와 즉각 출동 체계 운영.
3. **사후 복구 지원**
– 침수 피해 시설물 복구.
– 구호물품 전달 및 심리 상담 제공.
—
#### **2023년 주요 성과**
지난해 여름철 의용소방대 약 5만 5천여 명이 11,810건의 풍수해 현장 활동을 진행, 국민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았습니다. 주요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전순찰**: 10,408회
– **주민대피 지원**: 20회
– **급배수 지원**: 37회
– **장애물 및 폐기물 처리**: 817회
—
#### **지역사회와의 협력**
김미경 전국의용소방대연합회장은 “재난 앞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히며, 지역 주민의 예방활동 참여와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소방청은 향후 지속적인 지원과 함께 의용소방대 활동 성과를 공유하며 지역 공동체 보호를 위한 노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 **문의처**
– 소방청 화재대응조사과:
*이중기 과장 (044-205-7470)*
*윤창주 소방령 (044-205-7477)*
[자료제공: 공공누리 (www.korea.kr)]
원문보기
2023년 10월,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에너지’ 국가산업단지**가 정식으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습니다. 해당 산업단지는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설계된 정책적 거점으로, 에너지 신산업의 기술 혁신과 관련 기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정은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및 에너지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관련 산업을 지역 기반으로 활성화시키고 국가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특히, 나주는 과거부터 한국전력공사 및 관련 공공기관들의 소재지로, 에너지 신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아온 바 있어, 이번 국가산업단지 지정이 그 의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에너지 특화 국가산업단지 지정**:
– 나주 지역 내 약 **[면적 데이터 첨부파일 참고]** 규모로 조성 예정.
– 재생에너지, 수소, 전력망 기술 등 다양한 에너지 신기술을 실증 및 상용화하는 산업단지로 조성.
2. **주요 목적**:
–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에너지산업의 경쟁력 강화.
– 관련 기업 및 투자 유치로 지역 내 고용 창출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
– 관련 인프라 및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에너지 기술 혁신 가속화.
3. **기대 효과**:
– 연계 산업체 및 스타트업 지원으로 **[기업 숫자 및 투자 금액 첨부파일 참고]**만큼 경제적 파급효과 예상.
–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국가 에너지 정책 목표 달성 기여.
나주시 및 관계 당국은 앞으로 조속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협력할 방침이며, 본격적인 기업 유치 및 기반 시설 구축은 **[구체적 일정 첨부파일 참고]**를 따라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개발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자료와 수치는 제공된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교육부는 올해 2학기부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수행평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운영 방식을 개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주요 개선 내용:
1. **수업 시간 내 수행평가 원칙 확립**
수행평가를 수업 시간 안에서 실시하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습 부담을 주는 것을 방지합니다.
2. **과도한 준비와 암기식 수행평가 금지**
학생들이 준비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하거나, 단순히 암기에 의존해야 하는 수행평가는 운영하지 않을 방침입니다. 특히 과제형 수행평가를 지양하여 학생들의 부담을 덜겠습니다.
3. **시도교육청과의 협력 강화**
내실 있는 수행평가 운영을 위해 각 시도교육청 및 학교와 긴밀히 협력하여 정책을 실행할 계획입니다.
교육부는 이번 개선안을 통해 수행평가가 본래 취지에 맞게 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평가 도구로 자리 잡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앞으로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 과정 속에서 더 건강하게 성장하고,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물가 관련 긴급 현안 논의: 기획재정부의 대응 방향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장관 직무대행)은 2023년 7월 2일(수) 오전 8시에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며 주요 물가 현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가 다뤄졌습니다.
#### 주요 논의 내용:
1. **6월 소비자물가 동향 분석**
– 지난 6월 소비자물가의 전반적인 흐름을 점검하며, 물가 상승의 원인에 대한 분석이 이어졌습니다.
2.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 방안**
– 먹거리와 석유류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이 중점 논의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가격 안정화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들이 제시되었습니다.
3. **휴가철 피서지 바가지요금 근절 방안**
– 여름 휴가철을 맞아 소비자 불만이 증가할 수 있는 피서지 바가지요금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대책 마련이 논의되었습니다.
#### 향후 계획 및 기대
정부는 이번 논의를 통해 국민 생활 안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물가 관리에 있어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서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품목들에 대한 세부적인 안정화 방안을 빠르게 실행할 방침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조수지 (044-215-2781)
—
본 내용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원문보기
**최저임금위원회, 제8차 전원회의 개최**
최저임금위원회는 7월 1일(화)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제8차 전원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최저임금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노(労)ㆍ사(使)ㆍ공(公) 대표들이 함께 참여하는 기구로, 매년 적용될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 결과는 향후 정책 방향과 노동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최저임금위원회 사무국(044-202-8406)으로 문의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
이를 바탕으로 추가 콘텐츠, 예를 들어 이번 회의가 미칠 경제적 효과 분석에 대해 더 작성하거나 관련 배경 스토리를 추가하고 싶다면 알려주세요!
원문보기
### 프랑스 럼피스킨 발생으로 인해 프랑스산 쇠고기 수입 금지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프랑스에서 럼피스킨(Lumpy Skin Disease, LSD) 발생이 확인됨에 따라 6월 23일 선적분부터 프랑스산 쇠고기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럼피스킨은 소에서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피부에 결절이 생기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 가축 방역에 있어서도 주요 질병으로 꼽힙니다.
### 프랑스 럼피스킨 발생 경과
– 프랑스 동부 사부아 지역 한 농장의 소가 6월 23일 이 질병 증상을 보여 검사한 결과, 6월 29일 양성 판정이 나와 공식적으로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 보고되었습니다.
– 이는 유럽 내에서 2015~2017년 그리스와 불가리아 사례 이후 본격적인 발생으로 이번 사례는 금년 이탈리아에 이어 두 번째 사례로 기록됩니다.
### 수입 조치와 모니터링 계획
– 수입금지는 럼피스킨 발생일(6월 23일) 이후 선적된 프랑스산 쇠고기부터 적용됩니다.
– 현재까지 항공으로 국내에 반입되었거나 검역 대기 중인 프랑스산 쇠고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수입금지일 이전에 선적되어 국내에 도착할 제품(5월 26일 이후 선적 기준)은 철저히 정밀 검사를 진행하며,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할 예정입니다.
– 농식품부는 프랑스와 인접국 등 유럽 내 추가 발병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 수급 영향과 예방 협조 당부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프랑스산 쇠고기의 국내 수입량이 미미한 수준(2023년 1~5월 기준 약 20kg)에 불과하여 이번 조치가 국내 쇠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들의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특히, 해외 여행 중 축산농가나 축산시설 방문 자제 및 축산물 반입 금지를 강조하며, 가축전염병의 국내 유입 차단에 힘써달라고 덧붙였습니다.
### 마무리
농식품부는 해외에서 발생하는 가축전염병의 국내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강력한 검역 조치를 시행하며 국민들에게 철저한 예방 및 협조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럼피스킨 사태와 관련해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