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 정책정보 – 전체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한·UAE 정상,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강화에 협력키로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UAE 모하메드 대통령과 취임 후 첫 통화를 가지며 양국 관계 강화 필요성에 공감했다.

양 정상은 AI, 첨단기술,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APEC 정상회의 계기에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held his first call with UAE President Mohammed, discussing the need to strengthen bilateral relations.

The leaders agreed to expand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AI, advanced technology, and defense, and to discuss detailed plans at the APEC summit.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UAEのモハメド大統領と初の電話会談を行い、両国関係の強化の必要性を共有した。

両首脳はAI、先端技術、防衛などの分野で協力を拡大し、APEC首脳会議で具体的な協力案を議論することで一致した。

中文
韩国总统李在明与阿联酋总统穆罕默德举行了首次通话,双方就加强两国关系的必要性达成了共识。

两国领导人同意在人工智能、尖端技术、国防等领域扩大合作,并在APEC峰会上讨论具体合作方案。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avuto la sua prima telefonata con il Presidente degli Emirati Arabi Uniti Mohammed, discutendo la necessità di rafforzare le relazioni bilaterali.

I leader hanno concordato di ampliare la cooperazione nei settori come IA, tecnologia avanzata e difesa e di discutere piani dettagliati al summit APEC.

한·뉴질랜드 정상,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격상 필요성 공감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와 취임 후 첫 전화 통화를 갖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 정상은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며 경제, 국방,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had his first phone call with New Zealand’s Prime Minister Christopher Luxon to discuss ways to improve bilateral relations.

The two leaders agreed to upgrade relations to a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and bolster cooperation across sectors like economy, defense, and technology.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ニュージーランドのクリストファー・ラクソン首相と初の電話会談を行い、両国関係の発展策について議論した。

両首脳は関係を「包括的戦略的パートナーシップ」に格上げし、経済、防衛、科学技術の分野で協力を強化することで一致した。

中文
韩国总统李在明与新西兰总理克里斯托弗·勒克森进行了首次电话通话,讨论了双边关系的发展方案。

双方领导人同意将关系提升为“全面战略伙伴关系”,并在经济、国防和科技领域加强合作。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avuto la sua prima telefonata con il primo ministro neozelandese Christopher Luxon per discutere i modi per sviluppare le relazioni bilaterali.

I due leader hanno concordato di elevare le relazioni a un “partenariato strategico globale” e di rafforzare la cooperazione in settori come economia, difesa e tecnologia.

“청년 목소리를 정책으로”…청년정책 공모전

요약보기
한국어
국무조정실은 19~34세 청년이 직접 자신에게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는 ‘2025 청년정책 공모전’을 열고 있다.

우수 제안은 전문가 심사와 국민 투표로 선정되며, 정책화 가능성이 높은 제안은 추가 논의를 통해 반영될 예정이다.

English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has launched the “2025 Youth Policy Contest,” inviting 19-34-year-olds to propose policies that address their needs.

Outstanding proposals are selected through expert reviews and public voting, with potential policies undergoing further discussion for implementation.

日本語
国務調整室は19~34歳の若者が自分に必要な政策を提案できる「2025青年政策コンテスト」を開催している。

優秀な提案は専門家の審査と国民投票で選ばれ、政策化の可能性がある提案は追加議論を通じて実現が検討される予定。

中文
国务协调室启动了“2025青年政策征集活动”,邀请19至34岁的青年提出自己需要的政策建议。

优秀提案将通过专家评审和公众投票选出,有潜力转化为政策的建议将进行进一步讨论以促成落实。

Italiano
L’Ufficio per il Coordinamento delle Politiche del Governo ha avviato il “Concorso per le Politiche Giovanili 2025”, aperto ai giovani di età compresa tra 19 e 34 anni.

Le proposte eccellenti verranno selezionate attraverso una revisione da parte di esperti e un voto pubblico, con la possibilità di ulteriore sviluppo delle idee per l’attuazione politica.

국민 90% ‘우리 역사 자랑스러워’…광복 80주년 국민인식조사

요약보기
한국어
국민인식조사 결과, 응답자 81.2%가 광복 80년이 ‘의미 있다’고 답했으며, 90.6%가 우리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인식한 비율은 27.8%로 이전 조사보다 증가했으며, 국민 다수는 대한민국을 중상위권 이상의 국제적 지위를 가진 나라로 평가했다.
기념사업에서는 독립운동가 선양과 국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주요 관심사로 나타났으며, 국민 화합과 공감대 형성이 주요 목표로 선정됐다.

English
According to the survey, 81.2% of respondents found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meaningful, and 90.6% expressed pride in Korean history.
The proportion of those recognizing South Korea as an advanced country increased to 27.8%, with most respondents evaluating the country as holding a middle-high position globally.
Main interests in the celebration included honoring independence activists and participatory programs, with national unity and consensus identified as key goals.

日本語
国民意識調査によると、回答者の81.2%が「解放80周年は意義がある」と答え、90.6%が韓国の歴史に誇りを感じていると答えました。
韓国を先進国と認識する割合は27.8%に増加し、大多数の国民が韓国を中上位の国際的地位にある国として評価しています。
記念事業では、独立運動家の顕彰や国民参加型プログラムが主要関心項目であり、国民統合と共感の形成が重要な目標として選ばれました。

中文
根据国民意识调查,81.2%的受访者认为光复80周年具有重要意义,90.6%表达了对韩国历史的自豪感。
将韩国视为发达国家的比例增至27.8%,大部分国民认为韩国在国际上处于中上层地位。
纪念活动的主要关注点包括致敬独立运动者和全民参与型项目,并将国民团结与共识形成作为重点目标。

Italiano
Secondo il sondaggio, l’81,2% degli intervistati ritiene significativo l’80° anniversario della liberazione e il 90,6% esprime orgoglio per la storia della Corea.
La percentuale di coloro che considerano la Corea del Sud un paese avanzato è salita al 27,8%, con la maggior parte che valuta il paese come di livello medio-alto a livello globale.
Le principali priorità della celebrazione includono l’onore ai patrioti dell’indipendenza e programmi partecipativi, con l’obiettivo di promuovere l’unione nazionale e la formazione di consenso.

‘질병 군 면제’ 관리 대상자, 최대 3년까지 진료 기록 추적

요약보기
한국어
입영 후 군부대에서 실시하던 신체검사가 입영 전 병무청에서 시행되며, 직업계고 졸업자가 지원할 수 있는 취업맞춤특기병 특기가 확대된다.

또한 입영부대 배정 고정제가 폐지되며, 대체복무요원의 분할복무제가 도입되는 등 병역제도가 대폭 개편된다.

English
Pre-enlistment physical examinations will now be conducted by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instead of at military bases.

Specialty options for vocational school graduates enlisting as customized technical soldiers will expand, alongside other major reforms like the discontinuation of fixed enlistment units and the introduction of a split service system.

日本語
入隊後に軍部隊で行われていた身体検査が入隊前に兵務庁で実施されることとなり、職業高校卒業者が申請可能な特技兵の選択肢が拡大される。

また、入隊部隊固定制度の廃止や代替服務者の分割勤務制度の導入など、兵役制度の大幅な改正が行われる。

中文
入伍后的身体检查将改为由兵务厅在入伍前进行,并扩展职业高中毕业生可申请的特技兵选项。

同时还取消了部队固定制度,并引入替代服役人员的分段服役制度等兵役制度的重大变革。

Italiano
Gli esami fisici, precedentemente effettuati nelle unità militari dopo il reclutamento, saranno ora condotti dall’Amministrazione del Servizio Militare prima dell’arruolamento.

Inoltre, vengono ampliati i ruoli per i diplomati degli istituti tecnici e introdotte modifiche come l’abolizione dell’assegnazione fissa delle unità e il sistema di servizio diviso per il personale di leva alternativa.

올 연말까지 부동산 PF 규제완화 조치 연장…위험노출액 감소

요약보기
한국어
정부는 부동산 PF의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자 자기자본비율 기준을 반영해 대출 위험가중치를 차등화하고, 정리 및 재구조화를 추진 중입니다.
상반기에 부실이 우려된 사업장의 52.7%에 해당하는 12조 6000억 원이 정리·재구조화될 예정이며, 금융규제 완화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합니다.

English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real estate PF soundness by differentiating loan risk weights based on equity capital ratios and promoting restructuring.
By mid-year, it is projected that 52.7% of troubled projects will be reorganized, equivalent to 12.6 trillion won, and temporary policy relaxations are extended through December.

日本語
政府は不動産PFの健全性を強化するために、自己資本比率に基づく貸付リスク重量を差別化し、整理と再構築を進めています。
上半期中に問題が懸念される事業の52.7%にあたる12兆6000億ウォンが整備・再構築される予定であり、金融規制緩和措置を年末まで延長します。

中文
政府致力于通过采用自有资本比例的风险加权差别化来加强房地产PF稳定性,并推动重组和整顿。
截至上半年,预测有52.7%的问题项目会被重组,总计12.6万亿韩元,同时金融监管放宽政策延长至年底。

Italiano
Il governo sta rafforzando la stabilità del PF immobiliare, differenziando i pesi di rischio dei prestiti in base ai ratio di capitale proprio e promuovendo il riassetto.
Entro metà anno si prevede la riorganizzazione del 52.7% dei progetti problematici, pari a 12.6 miliardi di won, e l’estensione delle misure di allentamento delle regole finanziarie fino a dicembre.

섬·공원 등 ‘드론배송’ 166곳으로 확대…생필품·택배·먹거리 등 배달

요약보기
한국어
국토교통부는 올해 K-드론배송 시행 지역을 지난해 50개에서 166개로 확대하며 전국적으로 드론배송을 활성화하고 있다.

섬 지역 배송부터 의료품 운송까지 다양한 드론 공공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며 안전 관리와 모니터링도 강화될 방침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expanding the K-Drone delivery areas from 50 to 166 locations, operational nationwide this year.

Drone services will cover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island deliveries, medical supplies transport, and enhanced safety monitoring.

日本語
国土交通部は昨年の50ヶ所から今年は166ヶ所に拡大してKドローン配送を全国で活性化させています。

島の地域配送や医療品輸送など多様なドローン公共サービスが提供される予定で、安全管理も強化されます。

中文
国土交通部将今年的K-无人机配送地区扩展到了166个地区,比去年大幅增加。

无人机服务将涵盖岛屿配送、医疗用品运输以及安全监控等多种应用领域。

Italiano
Il Ministero delle Infrastrutture e dei Trasporti sta espandendo le aree di consegna K-Drone da 50 a 166 località, operative a livello nazionale quest’anno.

I servizi di droni includeranno consegne nelle isole, trasporto di forniture mediche e monitoraggio della sicurezza.

우리 동네 숨은 ‘문화 매력’ 추천…’제2기 로컬100′ 후보 접수

요약보기
한국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 문화를 국민과 함께 발굴하고 홍보하기 위해 ‘제2기 로컬100’ 후보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국민과 지자체의 추천을 접수 후 심사를 통해 후보를 선정하며, 참여자에게는 지역 문화 행사 관람권 등 혜택이 제공된다.

Englis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it will select candidates for the “2nd Local100” to discover and promote local cultural assets with the public’s participation.

Candidates will be chosen through recommendations from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s, and participants may receive rewards such as tickets to regional cultural events.

日本語
文化体育観光部は地域文化資源を発掘し広めるため、「第2期ローカル100」の候補を募ると発表しました。

国民や自治体からの推薦を受け付け、審査を通じて選定し、参加者には地域文化イベントの観覧券などが提供されます。

中文
文化体育观光部宣布将启动“第二期地方100”计划,旨在与公众合作挖掘和推广地方文化资源。

通过接收来自民众和地方政府的推荐并经过审查后选择候选名单,同时参与者可获得地方文化活动的观赏门票等福利。

Italiano
Il Ministero della Cultura, dello Sport e del Turismo ha annunciato che selezionerà i candidati per la “Seconda Local100” per scoprire e promuovere le risorse culturali locali con la partecipazione del pubblico.

I candidati saranno scelti attraverso raccomandazioni di cittadini e governi locali, e i partecipanti potranno ricevere premi come biglietti per eventi culturali regionali.

자발적 퇴사 시에도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지급

요약보기
한국어
고용노동부는 올해 하반기 35개 정부기관의 법·제도 변경 사항을 소개하며, 특히 오는 10월 시행되는 상습 임금체불 근절법과 육아휴직 지원금 관련 변경 내용을 발표했다.

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한 사업주는 출국 금지 및 보조금 신청 제한 등의 제재를 받게 되며, 육아휴직 종료 후 자발적 퇴사 시에도 사업주는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개편됐다.

Englis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changes to 35 government institutions’ policies for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ncluding the habitual wage arrears prevention law set to take effect in October and updates to childcare leave subsidies.

Habitual offenders of wage arrears will face restrictions such as travel bans and subsidy limitations, while employers will still receive subsidies even if employees voluntarily resign after using maternity leave.

日本語
雇用労働部は今年後半の35の政府機関の法制度変更について説明し、特に10月に施行される「常習給与未払い防止法」や育児休暇補助金に関する改定内容を発表しました。

常習的に給与未払いを行った事業主には出国禁止や補助金申請制限などの制裁が科され、育児休暇終了後の自主退職の場合でも事業主が補助金を受け取れるように制度が改編されました。

中文
韩国劳动部介绍了今年下半年35个政府机构的法令制度变更,尤其是将于10月实施的《习惯性拖欠工资防治法》和育儿休假补贴的相关调整。

习惯性拖欠工资的企业主将面临出国限制及补助申请限制,同时雇主即使在员工使用育儿休假后自愿辞职的情况下也可领取补贴。

Italiano
Il Ministero del Lavoro ha annunciato i cambiamenti nelle politiche di 35 istituzioni governative per la seconda metà dell’anno, tra cui la legge per la prevenzione del mancato pagamento degli stipendi abituali che entrerà in vigore a ottobre e aggiornamenti ai sussidi di congedo parentale.

Gli imprenditori abitualmente in ritardo nel pagamento degli stipendi saranno soggetti a restrizioni come divieti di espatrio e limitazioni sui sussidi, mentre i datori di lavoro riceveranno comunque i finanziamenti anche in caso di dimissioni volontarie dei dipendenti dopo l’uso del congedo parentale.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요약보기
한국어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해 오는 22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소상공인의 공공요금 지원 범위 및 정책자금 장기분할상환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고, 재난 상황에서 과세정보 활용 근거를 마련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the approval of revisions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mall Business Protection and Support Act, effective from the 22nd.

The revisions define the scope of public utility fee support for small businesses and criteria for long-term installment loans, while establishing grounds for tax information use during disaster situations.

日本語
中小ベンチャー企業部は、22日から施行される小規模事業者保護・支援法の施行令改正案を決定したと発表しました。

改正案では、小規模事業者への公共料金支援の範囲と政策資金長期分割返済基準を明示し、災害時の課税情報活用の根拠を整備しました。

中文
中小企业部宣布批准关于小企业保护与支持法执行令修订案,该修订案将于22日生效。

修订案明确了为小企业提供公共费用支持的范围及政策资金长期分期付款的标准,并在灾难情况下建立税务信息利用的依据。

Italiano
Il Ministero delle PMI e delle Startup ha annunciato l’approvazione delle modifiche al decreto attuativo della legge di protezione e supporto per le piccole imprese, che entrerà in vigore il 22.

Le modifiche definiscono l’ambito del sostegno alle tariffe pubbliche per le piccole imprese e i criteri per i prestiti a rate a lungo termine, stabilendo allo stesso tempo le basi per l’uso delle informazioni fiscali in situazioni di emergenza.

2학기도 학자금 대출 금리 ‘1.7%’ 동결…2일부터 접수

요약보기
한국어
교육부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2025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 금리를 1.7%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대출은 주말과 공휴일에도 신청 가능하며, 생활비 대출 최대 200만 원(학기당)과 이자 면제 혜택도 제공된다.

대출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이나 앱을 통해 가능하며, 꼭 신청 기간 내 신청을 권장한다.

Engl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the student loan interest rate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25 will remain frozen at 1.7% to support young people facing financial difficulties.

Loan applications, including a living expense loan of up to KRW 2 million per semester and interest exemptions for certain groups, can now also be made on weekends and holidays.

Students are encouraged to apply through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website or app during the designated application period.

日本語
教育部は、経済的に困難な若者を支援するため、2025年度第2学期の学資ローン金利を1.7%に据え置くと発表した。

週末や祝日でも申請が可能で、生活費ローンは1学期あたり最大200万ウォン、さらに一部には利子免除の支援も提供される。

申請は韓国奨学財団のウェブサイトまたはアプリを通じて期間内に行う必要がある。

中文
教育部宣布,为帮助经济困难的年轻人,将2025学年第二学期的学费贷款利率维持在1.7%。

贷款申请将包括每学期最高200万韩元的生活费贷款,并对某些群体提供免息优惠,且支持周末及节假日申请。

学生需通过韩国奖学财团官网或应用程序在指定申请期内完成申请。

Italiano
Il Ministero dell’Istruzione ha annunciato che il tasso d’interesse per i prestiti studenteschi del secondo semestre del 2025 rimarrà bloccato all’1,7% per sostenere i giovani in difficoltà economica.

Le domande di prestito, che includono un prestito per spese di vita fino a 2 milioni di won a semestre e l’esenzione dagli interessi per alcuni gruppi, possono essere presentate anche nei fine settimana e nei giorni festivi.

Gli studenti sono invitati a presentare domanda tramite il sito web o l’app della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entro il periodo designato.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요약보기
한국어
오는 9월 1일부터 예금보호한도가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되며, 소득공제 혜택이 수영장·헬스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에도 적용됩니다.
기획재정부는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정책을 정리한 책자를 배포하며 관련 정보를 웹페이지에서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대학생 장학금 지원 금액이 인상되고, 한부모가족을 위한 양육비 선지급 제도가 도입됩니다.

English
Starting September 1, the deposit insurance limit will increase from 50 million won to 100 million won, and income tax deductions will also apply to gym and swimming pool fee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nounced a booklet summarizing policy changes starting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which will also be available on a dedicated webpage.
Additionally, student grant amounts will be raised, and a new system to prepay child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will be introduced.

日本語
9月1日から、預金保護限度額が5000万ウォンから1億ウォンに引き上げられ、プールやジムなどの利用料にも所得控除が適用されます。
企画財政部は今年下半期から変更される政策を要約した冊子を公開し、ウェブページでも情報を提供すると述べました。
さらに、大学生の奨学金の支援額が増額され、一人親家庭向けに養育費の先渡し制度が導入されます。

中文
从9月1日起,存款保障额度将从5000万韩元提高到1亿韩元,包括游泳池和健身中心的费用也可享受所得税减免。
企划财政部宣布推出一本概括今年下半年政策变化的小册子,并通过专属网页提供相关信息。
此外,大学生的奖学金支持金额将增加,并将引入单亲家庭养育费预付制度。

Italiano
Dal 1° settembre il limite di protezione sui depositi aumenterà da 50 milioni di won a 100 milioni di won e le detrazioni fiscali sul reddito si applicheranno anche ai costi per piscine e palestre.
Il Ministero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ha annunciato la pubblicazione di un opuscolo che riassume i cambiamenti politici della seconda metà dell’anno, disponibile anche online.
Inoltre, gli importi delle borse di studio per studenti universitari saranno aumentati e sarà introdotto un sistema di pagamento anticipato dell’assistenza ai figli per famiglie monoparentali.

[정책 바로보기] 농식품부 “반려동물 진료 표준화 등 펫보험 활성화 기반 마련 중”

요약보기
한국어
농식품부는 반려동물 진료 표준화와 진료비 공개 등을 통해 펫보험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등록 의무화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 중입니다.

또한 국민신문고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답변 초안 작성과 다국어 번역 서비스를 도입하여 민원 서비스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s working on the standardization of pet medical services and mandatory cost disclosures to promote pet insurance while expanding mandatory pet registration.

Additionally, the National Petitions Portal has introduced generative AI technology for drafting replies and multilingual translation services to enhance civil service efficiency and accessibility.

日本語
農食品部は、ペット保険の活性化のために、動物医療の標準化や費用公開を進めており、ペット登録の義務拡大も計画しています。

さらに、国民申訴システムは生成型AI技術を活用し、回答案作成や多言語翻訳サービスを導入して、サービスの効率性と利便性を向上させています。

中文
农业食品部正通过推进宠物医疗标准化和费用公开化来促进宠物保险,并计划扩大宠物登记的义务化范围。

此外,国民申诉门户引入了生成式人工智能技术,用于回复草稿撰写和多语言翻译服务,从而提升民众服务的效率和便利性。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sta lavorando alla standardizzazione delle cure veterinarie e alla pubblicazione obbligatoria dei costi per promuovere le assicurazioni per animali domestici, ampliando anche l’obbligo di registrazione degli animali.

Inoltre, il Portale delle Petizioni Nazionali ha introdotto la tecnologia di AI generativa per creare risposte preliminari e servizi di traduzione multilingue, migliorando l’efficienza e l’accessibilità dei servizi civici.

이공계 대학원생 최소생활 보장…’연구생활장려금’ 지급 시작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새롭게 추진된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을 통해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최소생활을 지원하고 있으며, 석사에게는 월 80만 원, 박사에게는 월 110만 원을 지급한다.

상반기에는 29개 대학이 참여했으며, 하반기에는 신규 공모를 통해 참여 대학을 추가로 모집할 예정이며 접수는 이달 1일부터 시작됐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the ‘Support Project for Encouraging Research Life in STEM Fields,’ which provides financial aid to STEM graduate students, ensuring a minimal living standard with monthly payments of 800,000 KRW for master’s students and 1,100,000 KRW for doctoral students.

29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new universities will be recruited through public submissions starting from October 1 for the second half of the year.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は、新たに開始された「理工系研究生活奨励金支援事業」を通じて、理工系大学院生が経済的負担なく研究に集中できるよう、最低限の生活を支援しており、修士には月80万ウォン、博士には月110万ウォンが支給される。

今年上半期には29大学が参加しており、下半期には20日から開始された公募により新規参加大学を追加募集する予定である。

中文
科学技术信息通信部启动了“理工科研究生活补贴支持项目”,旨在为理工科研究生提供最低生活保障,帮助他们专注科研,硕士每月可获80万韩元,博士每月可获110万韩元。

上半年有29所大学参与,下半年将通过公募增加新的参与大学,报名于本月1日开始。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ICT ha avviato il nuovo “Progetto di Sostegno per la Vita di Ricerca nelle Discipline STEM” per garantire agli studenti laureati di concentrarsi sulla ricerca senza oneri economici, con un assegno mensile di 800.000 KRW per i master e di 1.100.000 KRW per i dottorati.

Nella prima metà dell’anno hanno partecipato 29 università, mentre nella seconda metà verranno reclutate nuove istituzioni tramite selezioni pubbliche, con candidature aperte dal 1° ottobre.

이 대통령 “선출 권력에 의해 국민 주권 발현…국회 존중하길”

요약보기
한국어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선출 권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회와 국무위원들 간의 관계에서 존중을 당부했다.
혹서기와 장마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주문했으며, 취약계층 보호와 부동산 외 대체 투자 수단 활성화에 대해 발언했다.
대통령실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여러 부처에 구체적 지시 사항을 전달했다.

English
President Lee Jae-my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elected authority during a cabinet meeting and urged mutual respect between parliament and ministers.
He instructed thorough preparations for the monsoon season and extreme heat, emphasizing care for vulnerable groups while promoting alternative investment avenues beyond real estate.
The presidential office communicated specific directives to various ministries, including Defense, Agriculture, and Maritime Affairs.

日本語
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閣議で、選挙で選出された権力の重要性を強調し、国会と閣僚間の関係において相互の尊重を求めた。
酷暑と梅雨への備えを徹底し、弱者への配慮や不動産以外の代替投資手段の活性化について言及した。
大統領府は防衛、農業、海洋担当各部門に具体的な指示事項を伝えた。

中文
李在明总统在内阁会议上强调选举权的重要性,并呼吁国会与部长间相互尊重。
他要求做好酷暑及梅雨季的充分准备,特别关注弱势群体,并推动房地产以外的替代投资手段。
总统府向多个部门,包括国防部、农业部和海洋水产部,下达了具体指示。

Italiano
Il presidente Lee Jae-myung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el rispetto per le autorità elette durante una riunione di gabinetto, invitando alla cooperazione tra parlamento e ministri.
Ha richiesto una preparazione accurata per la stagione delle piogge e le ondate di calore, evidenziando la necessità di proteggere le fasce vulnerabili e incentivare alternative agli investimenti immobiliari.
L’ufficio presidenziale ha trasmesso direttive specifiche a vari ministeri, tra cui Difesa, Agricoltura e Affari Marittimi.

해수부, 부산 연내 이전 총력…’추진기획단’ 출범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는 부산 이전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기존 TF를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으로 확대 개편했다고 밝혔다.

대통령 지시에 따른 이번 기획단은 4개 분과로 구성되며, 청사 확보와 직원 지원 대책 마련을 병행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nounced the expansion and restructuring of its task force into the “Busan Relocation Planning Team” for faster relocation.

Complying with a presidential directive, the team will consist of four divisions and prepare measures for building acquisition and staff support.

日本語
海洋水産部は、迅速な釜山移転を目指して既存のTFを「釜山移転推進企画団」に拡大・改編したと発表した。

大統領の指示に基づき、企画団は4つの分科で構成され、庁舎確保や職員支援策を並行して進める計画だ。

中文
海洋水产部宣布,为快速推进釜山迁移,将现有工作组扩展为“釜山迁移推进企划团”。

根据总统指示,企划团由四个小组组成,同时准备办公楼获取和员工支持措施。

Italiano
I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annunciato di aver espanso e ristrutturato il gruppo di lavoro esistente nel “Team di Pianificazione per il Trasferimento a Busan”.

In risposta alla direttiva presidenziale, il team sarà composto da quattro divisioni e lavorerà su misure per la sede e il supporto al personale.

요약

한·UAE 정상,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강화에 협력키로
발행일: 2025-07-01 09:50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 UAE 모하메드 대통령과 첫 전화 통화: 미래 협력 강화 논의**

이재명 대통령이 7월 1일 오후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과 취임 후 첫 전화 통화를 가졌습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를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발표하며, 이 두 정상의 대화가 양국 관계 증진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밝혔습니다.

**양국 관계 강화 기대**
이재명 대통령은 모하메드 대통령의 취임 축하에 감사를 표하며, 한국 신정부가 출범한 것을 계기로 양국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더 강화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협력 분야 확대 합의**
양 정상은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양국 관계를 더욱 전략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첨단기술, 국방·방산, 원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APEC 정상회의에서 구체 방안 논의 예정**
또한 두 정상은 향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을 통해 직접 만나, 양국 관계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통화는 한국과 UAE 간의 지속적인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관계 발전 의지를 확인하는 자리였으며, 첨단 기술과 국방 등 미래지향적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를 위한 발판이 마련되었습니다.

한·뉴질랜드 정상,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격상 필요성 공감
발행일: 2025-07-01 09:33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1일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와 취임 후 첫 통화를 진행하며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뉴질랜드가 1962년 수교 이전부터 한국전쟁에 참전해 준 한국의 중요한 우방임을 강조하며, 경제, 국방·방산, 과학기술·우주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럭슨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며 최근 뉴질랜드에서 한국 문화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을 언급, 문화 및 인적 교류 확대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양 정상은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할 필요성에 공감하며,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오는 2025년 10월 경주에서 열릴 예정인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양국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 외에도, 두 정상은 적절한 시점에 만나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통화는 양국 간 외교적 협력과 우호를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로 평가되고 있다.

“청년 목소리를 정책으로”…청년정책 공모전
발행일: 2025-07-01 09:17

원문보기
### 공모전을 통해 청년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한다: ‘2025 청년정책 공모전’

국무조정실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청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자 청년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2025 청년정책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청년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필요를 정책으로 제안함으로써 현장 작동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 **참여 방법 및 일정 안내**

– **공모전 대상**: 19~34세 대한민국 청년 누구나
– **접수 기간**: 202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 **참여 방법**:
– [온통청년 누리집](https://www.youthcenter.go.kr)
– 인스타그램(@weareyouth_kr)
– [청년정책사용설명서 블로그](https://blog.naver.com/we_are_youth)

### **심사 및 시상 방식**

접수된 제안은 소관 부처의 검토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되며, 주요 심사 기준은 **창의성, 실현 가능성, 정책의 효과성** 등입니다. 최종 심사를 통과한 우수 제안은 온라인 국민 투표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됩니다.

– **시상내역**
– **대상(1명)**: 국조실장상 및 상금 200만 원
– **최우수상(1명)**, **우수상(2명)**, **장려상(6명)**: 소정의 상금

### **특별 정책화 논의 계획**

국무조정실은 우수 제안 뿐만 아니라, 정책화 가능성이 높은 과제에 대해서는 별도로 관리하며 **관련 부처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정책화 과정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이는 단순히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단계를 넘어 정책으로 실질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라고 평가됩니다.

### **국조실의 청년 정책 방향**

김달원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이번 공모전이 새 정부의 국민주권 정신을 실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일반 청년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려는 시도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청년들이 정책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청년들이 직접 자신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생활 속 불편함 또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은 적극 참여해 국가 정책 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뜻깊은 장을 열어보시길 바랍니다.

**문의처**: 국무조정실 청년정책협력관실 (044-200-6338)

국민 90% ‘우리 역사 자랑스러워’…광복 80주년 국민인식조사
발행일: 2025-07-01 09:15

원문보기
**광복 80년 국민인식조사: 국민 자부심과 선진국 인식 증가**

올해 광복 80년을 맞아 실시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이 광복 80년이 “의미 있다”고 응답하며, 이 시점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무조정실 광복 80년 기념사업추진기획단이 주관한 이번 조사는 전국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광복 80년에 대한 인식 ▲대한민국에 대한 평가 ▲기념사업 추진 방향 등 세 가지 주요 분야를 다뤘습니다.

### **국가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역사적 자부심**
– **광복 80년에 대한 인식**: 국민의 43.7%가 올해가 광복 80년임을 인지했으며, 81.2%가 이 시점이 “의미 있다”고 답했습니다.
– **국제적 지위 평가**: 전체 응답자의 67.1%는 대한민국이 국제적 중상위권 이상의 지위에 있다고 평가했으며, 특히 선진국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27.8%로 이전 조사(광복 60년 1.9%, 광복 70년 8.2%)에 비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 **역사적 자부심**: 국민 90.6%가 우리 역사에 대해 “자랑스럽다”고 답했으며, 이는 광복 60년(69.1%)과 광복 70년(83.3%) 조사에 비해 상승한 결과로 역사에 대한 국민적 자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미래의 대한민국과 기념사업 방향**
– **국민이 바라는 미래상**: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24.8%)가 가장 높은 선호를 받았으며,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와 사회질서가 안정된 나라가 각각 19.1%로 뒤를 이었습니다.
– **국가적 과제**: 국민이 꼽은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변화 대응(32.4%)과 사회통합 및 세대·계층 간 갈등 해소(31.5%)가 지목되었습니다.

### **광복 80년 기념사업에 대한 기대**
– **기념사업 관심도**: 국민의 49.8%가 광복 80년 기념사업에 “관심 있다”고 응답했으며, 가장 상징적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은 독립운동가 선양사업(35.2%)과 국민 참여형 프로그램(22.2%)로 나타났습니다.
– **기념사업 목표**: 국민 화합과 공감대 형성(31.1%)이 가장 중요한 목표로 지목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미래세대를 위한 활력 제고(16.5%), 미래지향적 국가비전 제시(16.1%), 역사인식과 자긍심 고취(14.1%)가 뒤를 이었습니다.

국무조정실 박상철 기획단장은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국민과 함께 성공적인 기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광복 80년을 맞아 대한민국 국민이 가진 역사적 자부심과 국가적 발전상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지표로, 앞으로의 기념사업과 국가적 비전 설정에 실질적인 기초 자료가 될 전망입니다.

‘질병 군 면제’ 관리 대상자, 최대 3년까지 진료 기록 추적
발행일: 2025-07-01 08:58

원문보기
### 2023년 하반기 병역제도 변화: 입영판정검사 전면 시행 및 취업맞춤특기병 확대

병무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병역제도를 발표하며, 입영판정검사의 전면 시행과 취업맞춤특기병 확대 등을 포함한 다양한 변화가 예고되었습니다.

#### **1. 입영판정검사 전면 시행**
기존 군부대에서 입영 후 실시되던 신체검사를 입영 전 병무청에서 진행하는 **입영판정검사**가 이번 달부터 모든 입영부대를 대상으로 전면 시행됩니다. 이는 그동안 육군 일부 지역 입영자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던 제도를 확대 적용한 것입니다.

#### **2. 취업맞춤특기병 특기 대폭 확대**
직업계고 졸업(예정)자들이 지원할 수 있는 취업맞춤특기병 특별분야가 기존 38개에서 **83개 전체 특기**로 확대됩니다. 이는 더 많은 직업계고 졸업생들이 취업맞춤특기병 제도를 통해 군 복무를 하면서 자신의 진로를 설계할 기회를 제공하려는 취지입니다.

#### **3. 입영부대 고정제도 폐지**
과거 전방사단으로 입영부대가 정해진 사람들이 입영일 변경 시 전방사단으로 고정되던 규정을 폐지하여, 입영자는 이후 모든 입영부대로 입영할 수 있게 됩니다.

#### **4.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전시업무 교육 의무화**
병역법 개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병무담당 공무원은 **매년 3시간 이상 전시업무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이 제도는 전시 상황에서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5. 병역처분 대상자의 추적 관리 강화**
이달 9월부터 병적 별도 관리 대상자에 대한 추적 관리가 시행됩니다. 질병이나 심신장애로 병역이 면제되거나 전시근로역으로 편입된 경우, 치료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처분 이후 **최대 3년간 진료기록을 확인**합니다.

#### **6. 대체복무요원 분할복무제 도입**
9월부터 대체복무요원에게 **분할복무제**가 적용됩니다. 장기간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 최대 2년 범위에서 복무를 중단하고, 치료 종료 후 복무를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체복무요원의 안정적 질병 치료를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 **7. 군 모집병 선발 평가항목 개선**
10월부터 군 모집병 지원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발 평가항목이 대폭 개선됩니다. 군 임무수행과 관련이 적은 자격·면허 항목은 폐지되고, 가산점 평가 항목도 간소화됩니다.

#### **더 많은 정보는?**
하반기부터 새롭게 바뀌는 병역제도의 자세한 내용은 병무청 누리집([병무소식 → 달라지는 제도](https://www.mm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사항: 병무청 기획조정관 기획재정담당관실(042-481-2636)

이번 병역제도 변화는 병역 의무자의 부담을 줄이고, 공정하고 효율적인 병역 제도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새로운 제도를 통해 보다 나은 병역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올 연말까지 부동산 PF 규제완화 조치 연장…위험노출액 감소
발행일: 2025-07-01 08:45

원문보기
### 부동산 PF 리스크 완화 및 업계 정상화 노력: 주요 논의 정리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에서는 리스크 관리와 부실 정리·재구조화를 통해 안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이를 위한 다양한 조치와 제도 개선 방안을 계획하며 금융 및 건설업계의 위기 대응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1. **부동산 PF 연착륙 노력과 주요 결과**
– **위험노출액 감소**
올해 1분기 동안 부동산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져)이 11조 5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상반기까지 유의 및 부실 우려 사업장의 약 52.7%인 12조 6000억 원이 정리·재구조화될 예정입니다.

– **정상화 진행 상황**
지난 3월 말 기준, 유의(C)·부실(D) 등급 여신 가운데 9조 1000억 원(전체의 38.1%)이 이미 정리되었으며, 이를 통해 건전성 지표가 개선되었습니다. 주요 성과로는 PF 고정이하여신비율 -4.2%p, PF 연체율 -3.0%p 감소가 있습니다.

### 2. **부동산 PF 규제 완화 및 지원 정책**
– **한시적 규제 완화 연장**
올해 상반기 종료 예정이던 11건의 한시적 금융규제 완화 중 10건이 오는 12월까지 연장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정상화 시기는 하반기 중 시장 상황을 고려해 결정할 방침입니다.

– **PF 사업장에 대한 지원 강화**
정상적인 사업장에는 지속적으로 자금 공급을 지원하고 있으며, 정부가 확정한 제2차 추경안(5조 4000억 원)도 시장 리스크 완화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 3. **부동산 PF 건전성 제도 개선 방향**
– **PF 대출 건전성 규제 강화**
PF 사업의 자기자본비율을 반영해 대출 위험가중치를 130% 또는 150%로 차등화하고, 각 업권별로 적절한 건전성 규제를 정비합니다. 리스크 관리 체계가 미흡한 저축은행 등에도 자기자본비율 요건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 **새 사업성 평가기준 도입**
정부는 새로 마련된 평가기준에 따라 정상 사업장은 자금을 더욱 원활히 공급받도록 하고, 부실 사업장은 정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PF 위기 재발 방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4. **부동산 PF 시장 현황**
– **시장 변화와 자본 흐름**
올해 1분기 신규 PF 취급액은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감소(5조 9000억 원)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증가(2조 2000억 원)했습니다. 이는 사업성이 높은 프로젝트 중심으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을 시사합니다.

– **PF 연체율 상승**
1분기 PF 대출 연체율은 4.49%로 전분기 대비 1.07%p 상승했습니다. 이는 대출잔액 감소와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 5. **향후 계획**
– 위험관리를 위한 건전성 기준과 대손충당금 규제는 더욱 정비될 예정이며, 신규 PF 대출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됩니다.
– 금융 및 건설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유예기간과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마련, 올해 말까지 실행계획을 확정할 계획입니다.

### 결론
정부와 금융당국의 노력으로 부동산 PF 시장의 급격한 충격 우려는 일부 해소되고 있으며,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정상화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PF 부실 확대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상시적인 리스크 관리와 건전성 강화가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섬·공원 등 ‘드론배송’ 166곳으로 확대…생필품·택배·먹거리 등 배달
발행일: 2025-07-01 08:06

원문보기
### K-드론배송, 2023년 166개 지역으로 확대…공공서비스 및 안전관리도 강화

국토교통부가 국내 드론 배송 체계인 ‘K-드론배송’을 올해 전국적으로 확대합니다. 지난해 50개 지역에서 실시했던 것에서 대폭 늘려 올해는 총 166개 지역에서 생필품, 택배, 먹거리 등의 드론 배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안전순찰, 해양쓰레기 수거 및 의료품 운송과 같은 공공서비스도 적극 추진합니다.

#### **드론배송 확대: 섬과 공원 중심으로 전국적 확장**
올해 44개 섬과 122개 공원 등에서 K-드론배송이 진행되며, 23개 지자체가 참여합니다. 특히 섬 주민들이 생산한 수산물을 역배송하는 시스템도 계획되어 있어 물류 효율은 물론 섬 지역 경제활동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전 및 공공서비스 강화**
울주군에서는 하반기부터 진하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드론 안전순찰을 시작하며, 인천 덕적도 및 무의도 갯벌에서는 해양환경 관리와 해루질 사고 예방을 위한 드론 모니터링 서비스가 시행됩니다. 이와 같은 시범서비스는 섬 주민 안전과 환경 보호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의료 및 긴급지원 서비스**
대전광역시에서는 국군대전병원과 적십자 대전혈액원 간 장거리 드론 실증사업을 통해 혈액검체를 신속히 운송하는 계획도 포함되었습니다. 긴급한 의료 및 공공업무에 드론을 활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지역별 주요 시범사업 및 사례**
– **여수시**: 드론을 활용한 해안순찰 및 위험지역 모니터링.
– **보령시**: 폐의약품을 드론으로 수거해 보건소에 전달.
– **제주도 가파도**: 성게알, 새조개 등 수산물을 드론으로 배송하는 지역 특화 서비스.
– **울주군**: 고도 간월재에 음식물 배송 및 관광지 드론배송 서비스.

#### **드론배송 안전 강화 및 관리 체계 마련**
국토교통부는 드론 배송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비행 전 위험 평가, 기체 상태 점검 시스템을 의무화하고, 한국교통안전공단을 통해 업체에 대한 안전점검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갯벌 해루질 모니터링 등과 같은 드론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한편 안전 관리를 더욱 견고히 하겠다”며 기술과 점검을 통해 지속적 발전을 약속했습니다.

### **K-드론배송의 전망**
K-드론배송은 기존 물류 방식 대비 환경 친화적이며 소외된 지역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많습니다. 또한 지역 밀착형 서비스와 의료 긴급지원 시스템 등이 강화되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토교통부는 드론 배송을 단순한 물류 수단을 넘어 공공서비스와 안전활동의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

우리 동네 숨은 ‘문화 매력’ 추천…’제2기 로컬100′ 후보 접수
발행일: 2025-07-01 07:56

원문보기
### 문화체육관광부, 국민과 함께 ‘제2기 로컬100’ 후보 모집 시작

문화체육관광부는 2026년부터 2027년까지 실행될 ‘제2기 로컬100’ 사업의 후보군을 국민과 함께 발굴하기 위해 오는 31일까지 우리 동네의 숨은 문화 매력을 추천받는다고 1일 밝혔습니다. 이번 후보 추천은 [제2기 로컬100 공식 누리집](https://rcda.or.kr/local100)을 통해 접수가 가능합니다.

#### 로컬100 사업의 목표와 성격
‘로컬100’은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가치와 매력을 발굴하고 홍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지역의 문화명소와 콘텐츠를 선정하여 국내외에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에는 전국 226개 지자체와 문체부 2030자문단이 추천한 총 461개의 후보 중 100개를 최초로 선정해 홍보한 바 있습니다.

#### ‘제2기 로컬100’ 참여 방법 및 혜택
올해 새로 모집하는 제2기 로컬100은 국민 참여 기회를 크게 확대하여 **전 국민이 직접 추천 및 선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추천 대상은 △박물관, △문화서점, △전통시장, △문화거리 등 눈에 띄지 않는 일상 속 문화공간뿐만 아니라 △지역 축제, △공연 △체험형 콘텐츠, △지역 브랜드와 같은 특색 있는 문화콘텐츠도 포함됩니다.

추천 참여자는 추첨을 통해 ‘자라섬재즈페스티벌’, ‘청주공예비엔날레’ 관람권 등 지역문화를 즐길 수 있는 선물을 받을 기회가 주어집니다.

#### 후보 선정 과정 및 발표
모집된 후보군은 서면심사, 대국민 온라인 투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제2기 로컬100’을 결정하며, **올해 말 최종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6년과 2027년 동안 해당 자원들을 집중 홍보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지역 문화자원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입니다.

#### 기대 효과
송윤석 문체부 지역문화정책관은 “국민과 함께 선정하는 제2기 로컬100이 지역문화의 다양성을 널리 알리고, 주민들이 각 지역의 특색있는 자원에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는 지역사회 활성화와 문화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제2기 로컬100 후보 추천은 나이와 지역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도 후보 추천에 동참합니다. 해당 사업은 지역 고유의 역사와 가치, 문화적 유산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홍보함으로써 대한민국의 다양한 지역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발자취가 될 것입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지역문화정책과
전화: 044-203-2631

자발적 퇴사 시에도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지급
발행일: 2025-07-01 07:26

원문보기
### 올해 하반기, 고용부 소관 주요 법·제도 변경 내용 안내

고용노동부는 올해 하반기 새롭게 시행하거나 개편된 주요 법·제도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사업주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근로 환경 개선 및 안전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 확대**
– **변경 내용**: 올해 7월 1일부터 육아휴직이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사용한 근로자가 제도 종료 후 자발적으로 퇴사했더라도 사업주는 지원금 잔여분(50%)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퇴사 시 지원금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 **취지**: 사업주의 육아휴직 지원 동기를 높이고, 근로자의 퇴사로 인한 불이익을 최소화합니다.

### **2. 상습 임금체불 근절 강화**
– **시행일**: 2023년 10월 23일부터.
– **주요 내용**:
– 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한 사업주는 **국가 보조금** 및 **지원금 신청**이 제한됩니다.
– 임금체불 사업주는 **국가/공공기관 발주 공사 참여 제한** 및 **감점** 등의 불이익을 받습니다.
– 임금을 청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외로 도피하지 못하도록 **출국 금지**가 가능하며, **반의사불벌죄** 적용이 배제됩니다.
– 체불임금에 대한 **지연 이자(20%)**를 **재직 근로자**에게도 적용합니다.
– 임금 체불 피해 근로자는 **최대 3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기대 효과**: 임금체불을 중대한 경제 범죄로 인식하게 하여 근로자의 생계 보장을 강화합니다.

### **3.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지원 확대**
– **변경 내용**:
– 대학교 졸업예정자도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지원 대상에 포함.
–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에 취업한 청년이 6개월 이상 근속하면 **근속 인센티브** 지급.
– **취지**: 청년 실업 문제 해결 및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 **4. 산업 및 작업장 안전 강화**
#### **① 구내 운반차 안전 기준**
– 분쇄기·혼합기 등의 작업 중 사고 방지 조치 강화.
– 구내 운반차 후진 시 충돌 방지를 위해 **후진경보기** 및 **경광등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 **②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업 등록 요건 변경**
– 국가기술자격인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기능사 자격증**이 인력 요건으로 포함됩니다.
– 보유 인력 변경 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즉시 등록해야 합니다.

#### **③ 인화성 물질 저장·취급설비 안전 기준 강화**
– 화재·폭발 방지를 위해 **화염방지 밸브** 설치 의무화. 설치 마감 기한은 **10월 17일**까지로 설정되었습니다.

#### **④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신속화**
– 반도체 및 첨단 소재 사업장은 공정안전보고서 우선 심사 대상이며, 심사 절차를 간소화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합니다.

#### **⑤ 교육 강화: 화재·폭발 대피 관련 사항 포함**
– 근로자 및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교육에 **화재·폭발 시 대피 절차**를 필수 포함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 **5. 산업재해조사표 개편**
– **내용**:
– 조사표에 **업무 처리 흐름도** 추가되어 절차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
–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여 주민등록번호를 **앞 7자리만 표기**하도록 변경.

### **문의처 및 적용 기대효과**
– 고용노동부는 이번 개편을 통해 근로자의 권리 보호와 생계 지원, 안전한 근로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044-202-7529)** 및 **여성고용정책과(044-202-7477)**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이번 하반기 변경된 법·제도는 근로자의 권리를 강화하고, 사업주의 책임을 명확히 하며, 청년일자리 활성화 및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생계 안정성과 현장에서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고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발행일: 2025-07-01 07:20

원문보기
### 소상공인을 위한 새로운 지원 근거 마련: 공공요금 지원 및 정책자금 장기분할상환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11월 1일 국무회의에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하며 소상공인을 위한 공공요금 지원과 정책자금 장기분할상환 근거를 명확히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11월 22일부터 시행됩니다.

#### 주요 변경 사항

1. **공공요금 지원 범위 및 방식**
– 소상공인이 지원받을 수 있는 **공공요금은 물가안정법에 따른 전기·가스·수도요금 등을 포함**하며, 소상공인의 경영활동에 필수적 영역이 고려됩니다.
– 지원금액은 공공요금의 인상률과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결정됩니다.
– **지원 방식**은 직접 지급 또는 지원금액만큼 공공요금을 차감해 부과하는 간접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2. **재난 시 과세정보 및 기타 데이터 접근 확대**
– 중기부 장관은 코로나19 등 재난 상황에서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국세청장, 지방자치단체장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및 여신금융업협회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집계 정보로는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수, 가맹사업자 정보, 신용카드 결제 내역 등이 포함됩니다.

3. **소상공인 정책자금 장기분할상환 명문화**
– 정책자금을 대출받은 소상공인은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장기분할상환을 신청하고 심사받을 수 있는 명확한 규정**이 신설되었습니다.
– 이는 대출금 상환 부담 완화를 목표로, 소상공인의 재정 안정성과 상환 능력을 고려한 정책입니다.

#### 기대 효과 및 중기부의 계획

중기부는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소상공인이 공공요금 부담을 줄이고, 재난 상황에서도 실효성 높은 정책을 집행할 수 있는 밑바탕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황영호 소상공인경영안정지원단장은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집행하며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관련 문의처
– **소상공인경영안정과**: 044-204-7844, 7294
– **소상공인재도약과**: 044-204-7856

이번 개정안은 코로나19 등 과거 사례에서 드러난 지원의 맹점을 보완하고, 소상공인의 경영 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주요 법적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학기도 학자금 대출 금리 ‘1.7%’ 동결…2일부터 접수
발행일: 2025-07-01 07:04

원문보기
### 2025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 금리 동결 및 신청 안내

교육부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5학년도 2학기에도 학자금 대출 금리를 1.7%로 동결한다고 11월 1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개정으로 인한 대출금리 상한 조정 및 현재 청년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 주요 내용

– **대출 금리 동결**: 2025학년도 학자금 대출 금리는 1.7%로 유지됩니다.
– **대출 신청 기간**:
– 등록금 대출: 10월 23일까지
– 생활비 대출(학기당 200만 원, 연간 400만 원): 11월 18일까지
– **신청 가능 시간**: 신청 기간 중 평일 및 주말(공휴일 포함) 모두 9시부터 24시까지, 마감일은 저녁 6시까지 접수 가능
– **대출 내용**:
– 등록금: 소요액 전액(단,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은 개인 총 한도 내)
– 생활비 대출: 학기당 최대 200만 원까지
– **추가 혜택**: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자는 기초·차상위·다자녀 및 학자금 지원 5구간 이하의 경우 이자 면제 혜택 적용

###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http://www.kosaf.go.kr)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하며, 심사에는 약 8주가 소요됩니다. 따라서 등록금 납부 기간을 고려하여 미리 신청할 필요가 있습니다.
– 관련 문의는 아래로 연락 가능합니다:
– 교육부 청년장학지원과: ☎ 044-203-6268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부: ☎ 053-238-2310

### 정책 기대 효과

최은희 인재정책실장은 이번 대출금리 유지를 통해 고금리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학업 수행과 자립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교육부는 앞으로도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학자금 지원 제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청년들은 이번 학자금 대출 정책을 통해 등록금 및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며 안정적인 학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꼭 신청기간을 확인하고, 적시에 접수하여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발행일: 2025-07-01 06:43

원문보기
### 2025년 하반기 주요 정책 변화 요약

기획재정부는 다양한 제도와 법규가 바뀌는 2025년 하반기 변화사항을 요약한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를 발간하며, 주요 정책 변경 사항을 알렸다. 아래는 주요 내용을 담은 요약이다.

### 금융·재정·세제
– **예금보호 한도 상향**: 9월 1일부터 모든 금융권 예금보호 한도가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 모든 가계대출에 스트레스 금리(1.5%) 적용, 대출한도 산출 기준 강화.
– **체육시설 소득공제**: 7월 1일부터 헬스장 및 수영장 이용료도 신용카드 소득공제 대상(30%)에 포함.

### 교육·보육·가족
– **장학금 확대**: 대학생 소득연계형 및 다자녀 국가장학금 연 최대 40만 원 인상.
– **한부모 양육비 선지급**: 양육비를 받지 못한 한부모가 양육비 월 20만 원을 국가에서 우선 지급.

### 보건·복지·고용
– **입양 절차 공적 체계 전환**: 7월 19일부터 입양 절차를 국가와 지자체가 담당.
– **자활성공지원금 신설**: 장기적 자립을 위해 자활사업 참여자에게 최대 150만 원 지원(1년간).
– **육아휴직 퇴사자 지원 강화**: 육아휴직 후 자발적 퇴사한 근로자에 한해 사업주에게 남은 지원금 50% 제공.

### 문화·체육·관광
– **통합문화이용권 지원금 인상**: 저소득층 지원금 1인당 연간 14만 원으로 확대.
– **체육시설 소득공제 시행**: 체육시설 이용비(헬스장 등)에 대한 소득 공제 혜택 도입(공제율 30%).

### 환경·기상
– **홍수정보 서비스 확대**: 전국 하천 수위관측소 933곳의 홍수 정보를 내비게이션에 추가 연계.
– **플라스틱 재생원료 목표 증가**: 2024년까지 사용 목표율 10% 상향,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30% 확대.

### 산업·중소기업·에너지
– **성장사다리 폭 확대**: 중소기업 기준을 매출 1,500억 원 → 1,800억 원, 소기업 120억 원 → 140억 원으로 조정.
– **전력망 확충 특별법 시행**: 9월 26일부터 전력망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 국토·교통
– **임대주택 등록요건 완화**: 연립·다세대 주택 및 오피스텔의 단기 등록임대주택 도입.
– **교통약자 배려**: 신형 광역전철 승차권 자동발매기 도입.

### 농림·수산·식품
– **농지이용증진사업 요건 완화**: 농지 임대·위탁경영 요건 완화.
– **동물보호 강화**: 동물병원 진료비를 병원 내부와 인터넷에 동시 게시 의무화.

### 국방·병무
– **특기병 지원 확대**: 직업계고 졸업생 대상 취업맞춤특기병 지원 특기 수를 기존 38개 → 83개로 확대.

### 행정·안전
– **아동학대 처벌 강화**: 피해 아동 보호와 아동학대 치료프로그램 이수명령 의무화.
– **모바일 신분증 확산**: 네이버, 토스, 카카오뱅크 등 민간 플랫폼에서 모바일 신분증 이용 가능.

### 자료 배포
해당 정책 내용은 전국 지자체, 공공 도서관 등에 배포되며 기획재정부 누리집 및 인터넷 서점, “이렇게 달라집니다” 전용 웹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전용 웹페이지](http://whatsnew.moef.go.kr)).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교육정책팀 (044-215-2550)

[정책 바로보기] 농식품부 “반려동물 진료 표준화 등 펫보험 활성화 기반 마련 중”
발행일: 2025-07-01 06:36

원문보기
### [정책 바로보기 요약 및 분석]

#### 1. 농식품부, 펫보험 활성화 위한 개선 노력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펫보험 가입률은 1.8%로 나타나 저조한 상태입니다. 여전히 반려동물 진료 정보 및 진료비에 대한 표준화 부족이 문제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통해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진료 표준화 확대**:
– 진료 항목 공개 의무를 올해부터 11종에서 20종으로 확대.
– 지난 4월, 자주 진료되는 항목 100종에 대한 진료 절차 표준화 및 8,441종의 진료 정보 표준화 완료.

– **동물 등록 활성화**:
– 생체정보(안면, 코주름 등)를 활용한 실증 특례 진행.
– 전 개체 등록 의무화와 취약지역 등록 지원 추진.

– **데이터 기반 인프라 구축**:
– 주요 질병·수술 등 동물 진료 정보에 대한 통계 수립 작업 중.
– 이를 통해 다양한 펫보험 상품 개발 지원.

이 같은 정책은 반려동물 인구 증가와 함께 펫보험 시장 확대를 위한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2. 국민권익위, 생성형 AI 도입으로 민원 서비스 고도화
국민신문고 민원이 연간 1,000만 건을 초과하는 가운데, 국민권익위원회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민원서비스 개선을 추진 중입니다.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민원 답변문 작성 지원 서비스**:
– AI를 통해 민원 요지를 추출하고 답변문의 초안을 자동 생성.
– 민원처리자의 주요 정보(성명, 소속 등)도 함께 제공.

– **다국어 민원 번역 서비스**:
– 민원을 언어별 자동 감지 및 한국어로 번역해 처리자에게 전달.
– 현재 16종 언어 지원.

이 외에도 권익위는 **보안 강화**와 **공공 행정에 적합한 문체 적용**을 통해 안정성과 품질을 모두 고려한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민원 과정에서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분석 및 기대효과]

#### 펫보험 정책:
반려동물 인구 증가 속에서 보험 가입률이 1.8%에 머물고 있다는 점은 시장 활성화 저하의 주요 원인입니다. 농식품부의 표준화 정책 및 데이터 기반 접근 전략은 가입률 증대 및 제공 서비스 다양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이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실현될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한 단계입니다.

#### 국민신문고 AI 서비스:
생성형 AI 기술 도입은 민원 처리 과정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진보로 평가됩니다. 특히 다국어 지원은 외국인 사용자 증가에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다만, 보안 문제와 AI 기술의 공정한 활용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정부의 정책 개선 노력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으며, 펫보험 활성화와 지능형 민원 서비스는 국민 생활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공계 대학원생 최소생활 보장…’연구생활장려금’ 지급 시작
발행일: 2025-07-01 05:57

원문보기
###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 대학원생 경제적 부담 완화와 연구 몰입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추진 중인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며 참여 대학들이 장려금 지급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장받아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으며, 2023년부터 2033년까지 **총 9790억 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석사 과정 학생은 **월 80만 원**, 박사 과정 학생은 **월 110만 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 사업 주요 내용 및 개요
1. **상반기 진행 현황**
– 약 2개월간의 공모·평가를 통해 **29개 참여 대학**이 선정됐으며, 연세대와 부산대 등 일부 대학은 지난달 말부터 장려금을 지급 시작.
– 올해 약 **5만 명의 이공계 대학원생**이 최소생활비 혜택을 받을 전망.

2. **하반기 계획**
– 신규 참여 대학 공모가 현재 진행 중(9월 20일~10월 21일).
– 공모 접수는 **10월 1일**부터 가능하며, 신청 절차는 한국연구재단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 장려금 지급 체계와 운영 개선
사업의 핵심은 기존 대학원생 지원 방식의 분산적 구조를 **대학 단위에서 통합 관리**로 전환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 체계 마련이 진행 중입니다.

1. **운영 규정 컨설팅 완료**
– 현재 14개 대학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참여 대학도 조속히 지원 체계 정비 예정.

2. **표준 모델 구축**
– 대학별로 상이한 학생 인건비 지급 방식과 절차를 개선하기 위해 표준화된 지급·관리 모델을 모색.

3. **현장 중심 제도 개선**
– 학생 연구자, 교수, 대학 실무자 모두에게 효율적이고 편리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

### 기대 효과와 정부의 지원
홍순정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이 대학 내 연구자 지원 구조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도전적인 연구문화 확산**과 **위기 상황 공동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새로운 연구지원 체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 및 제도 개선**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 참고 및 문의
– **공식 자료:** [한국연구재단 누리집](https://www.nrf.re.kr)
–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양성과(044-202-4839)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연구몰입 환경 개선과 지속적인 경제적 지원이 향후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대통령 “선출 권력에 의해 국민 주권 발현…국회 존중하길”
발행일: 2025-07-01 05:39

원문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국회 존중과 국민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장마철 대비 및 국가책무에 대한 철저한 수행을 당부했다. 대통령은 선출된 권력과 임명된 권력 간의 역할 차이에 대해 설명하며, 국회와의 관계에서 “선출 권력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혹서기 및 장마 대비, 취약계층 보호, 주거 불안정 해소, 투자 구조 변화와 같은 사회적 현안에 대한 대응을 주문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대통령 지시에 따라 비공개 회의 주요 내용을 언급하며, 부처별로 중요한 분야에 대한 정책 이행과 개선 사항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경기 북부 미군 반환 공여지 처리 문제, 배수구 및 앰뷸런스 관리, 산불 예방 시스템, 낚시 인구 증가에 대한 정책 등 다양한 사안이 포함되었다.

또한, 대통령은 해양 쓰레기 제거 사업에 대한 국가적 기여 방안을 모색하며 지자체와 협력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는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글로벌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여 의지를 반영한 조치로 이해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위원들과 함께 국가 공동체를 위한 책임감을 강조하며, 국민의 삶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해수부, 부산 연내 이전 총력…’추진기획단’ 출범
발행일: 2025-07-01 04:41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 신설… 연내 이전 목표**

해양수산부가 부산 이전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존의 ‘해수부 부산 이전 준비 TF’를 확대·개편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을 10월 1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후속 조치로, 연내 부산 이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진행됩니다.

추진기획단은 김성범 차관을 단장으로 하며, 이전총괄반, 제도지원반, 예산지원반, 정보화지원반 등 4개의 분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이전의 핵심 과제인 청사 확보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주거, 교육, 교통 등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해양수산부는 또한 ‘해수부 이전지원팀’을 신설하여 부산시와 긴밀히 협력하며 이전 계획을 구체화하고, 연내 이전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의가 필요한 경우, 해양수산부 운영지원과(044-200-5066)로 연락하면 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