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보건복지부]정은경(鄭銀敬)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 소감
요약보기
한국어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자신이 새 정부의 첫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것에 대해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습니다.
그녀는 국민 복지와 의료개혁을 위해 사회안전망 강화, 돌봄체계 구축, 보건의료체계 개선, 저출생 대책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인사청문회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English
Jung Eun-kyeong, the nominee for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expressed a deep sense of responsibility upon being appointed as the first ministerial candidate of the new government.
She aims to bolster the social safety net, establish comprehensive care systems, improve healthcare structures, address low birth rates, and promote the biohealth industry.
She pledged to present specific plans during the upcoming confirmation hearing.
日本語
鄭銀敬(チョン・ウンギョン)保健福祉部長官候補は、新政権の初の長官候補に指名されたことについて、大きな責任感を感じると述べました。
社会的安全網の強化、ケア体系の構築、医療体制の改善、低出生問題への対応、バイオヘルス産業の育成を目指しています。
今後の人事聴聞会で具体的な計画を提示すると強調しました。
中文
郑银敬卫生福利部长候选人表示,被提名为新政府首位部长候选人,她深感责任重大。
她计划加强社会安全网,建立完善的照护体系,改善医疗体系,应对低出生率问题,并促进生物健康产业的发展。
她强调将在即将举行的听证会上提出具体计划。
Italiano
Jung Eun-kyeong, candidata a Ministro della Salute e del Welfare, ha espresso un forte senso di responsabilità per essere stata nominata la prima candidata ministeriale del nuovo governo.
Si propone di rafforzare la rete di sicurezza sociale, sviluppare sistemi di cura completi, migliorare le strutture sanitarie, affrontare il problema delle nascite basse e promuovere l’industria della bio-salute.
Ha promesso di presentare piani dettagliati durante la prossima audizione di conferma.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장관, 논콩 재배현장 방문하여 농업인 의견 경청
요약보기
한국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전북 부안군 논콩 전문생산단지를 방문해 논 타작물 재배 확대를 통한 쌀 수급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인들은 논콩 재배를 위한 지원 확대와 안정적 수매대금 지급 등을 요구했으며, 송 장관은 정부 예산 확대 및 양곡관리법 개정을 통해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English
Minister Song Mi-ryeong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visited the rice paddy soybean production complex in Buan, discussing strategies for stabilizing rice supply through expanding alternative crop cultivation.
Farmers requested enhanced support for soybean cultivation, and the minister pledged to increase government funding and revise the Grain Management Act for effective support.
日本語
宋美玲農林畜産食品部長官は、全北扶安郡の田の大豆専門生産団地を訪れ、田での他作物栽培拡大による米の供給安定について議論した。
農業者たちは大豆栽培のための支援拡大を要求し、長官は政府予算の増加と穀物管理法改正で積極的な支援を約束した。
中文
农林畜产食品部部长宋美玲访问了全北扶安郡的稻田大豆生产园区,讨论通过扩大替代作物种植来稳定稻米供给的方案。
农民们要求加强对大豆种植的支持,宋部长承诺将扩大政府预算并修订粮食管理法以提供有效支持。
Italiano
Il ministro Song Mi-ryeong del Ministero dell’Agricoltura ha visitato il complesso produttivo di soia nella provincia di Buan, discutendo strategie per stabilizzare l’offerta di riso attraverso la coltivazione di colture alternative.
Gli agricoltori hanno richiesto un maggiore supporto per la coltivazione della soia, e il ministro ha promesso di aumentare i finanziamenti governativi e di rivedere la Legge sulla Gestione dei Cereali per un sostegno efficace.
[질병관리청][6.30.월.조간] 인공지능(AI)이 어르신 결핵약 복용 챙긴다! ‘결핵약 복약 확인 인공지능 전화서비스’ 시범사업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은 65세 이상 결핵환자의 치료성공률 향상 및 복약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 7월부터 1년간 대구·경북 지역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AI 복약 확인 전화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AI 서비스는 복약 확인뿐만 아니라 건강 상태를 점검하며 이상 상황 발생 시 관련 기관에 즉시 알리는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will conduct a pilot project for AI medication confirmation telephone service for tuberculosis patients aged 65 and older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from July 2025 for one year.
The AI service not only verifies medication intake but also monitors health conditions and alerts relevant authorities immediately in case of unusual circumstances.
日本語
疾病管理庁は、65歳以上の結核患者を対象に、2025年7月から1年間、大邱・慶北地域でAIによる服薬確認電話サービスの試験事業を実施します。
このAIサービスは服薬確認だけでなく、健康状態をチェックし、異常を感知した場合は即座に関係機関へ通知するシステムを提供します。
中文
韩国疾病管理厅将于2025年7月起,为大邱和庆北地区65岁以上的结核患者开展为期一年的人工智能服药确认电话服务试点项目。
该服务不仅确认患者是否按时服药,还监测健康状况,并在发生异常情况时立即通知相关机构,以提供系统化的管理。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avvierà un progetto pilota per un servizio telefonico di conferma dell’assunzione di farmaci tramite intelligenza artificiale, rivolto ai pazienti di tubercolosi con più di 65 anni nelle regioni di Daegu e Gyeongbuk, a partire da luglio 2025 per un anno.
Questo servizio AI non solo verifica l’assunzione dei farmaci, ma monitora anche le condizioni di salute e avvisa immediatamente le autorità competenti in caso di circostanze insolit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생활 속 전자파 바로알기’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생활 속 전자파 바로알기’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s hosting the ‘Understanding Electromagnetic Waves in Daily Life’ competition.
Additional details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files.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が「日常生活における電磁波正しく知る」コンテストを開催します。
詳細は添付ファイルで確認できます。
中文
韩国科学技术信息通信部将举办“生活中的电磁波正确认识”竞赛。
具体内容可参考附件文件。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delle TIC organizza il concorso “Conoscere le onde elettromagnetiche nella vita quotidiana”.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i file allegati.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2024년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파일명을 클릭하여 볼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as released the results of the 2024 value-added telecom business survey.
Detailed information can be accessed via the attached file by clicking on the filename.
日本語
科学技術情報通信部は2024年付加通信事業の実態調査結果を発表しました。
詳細は添付ファイルをクリックしてご確認ください。
中文
科学技术信息通信部发布了2024年增值通信业务调查结果。
详情可通过点击附件文件名进行查看。
Italiano
Il Ministero della Scienza e delle TIC ha pubblicato i risultati dell’indagine sulla comunicazione integrativa per il 2024.
Le informazioni dettagliate possono essere visualizzate cliccando sul nome del file allegato.
[환경부]광주광역시 우치동물원, 호남권 거점동물원으로 지정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우치동물원을 호남권 거점동물원으로 지정하며 동물 복지와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설 계획이다.
거점동물원은 국가 지원을 받아 교육, 연구, 보유 동물 서식환경 개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signated Uchi Zoo as the regional hub zoo for Honam, aiming to lead in animal welfare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Regional hub zoos receive government support to carry out education, research, and improvement of animal habitat environments.
日本語
環境部はウチ動物園を湖南圏拠点動物園に指定し、動物福祉と生物多様性保全に注力する予定だ。
拠点動物園は政府の支援を受け、教育・研究・動物生息環境改善など様々な役割を果たします。
中文
环境部将乌址动物园指定为湖南地区旗舰动物园,并计划在动物福利和生物多样性保护方面发挥领导作用。
旗舰动物园获得政府资助,用于开展教育、研究及改善动物栖息环境等多项工作。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designato lo zoo di Uchi come centro regionale per Honam, concentrandosi sul benessere degli animali e sulla conservazione della biodiversità.
Gli zoo centrali ricevono supporto governativo per svolgere educazione, ricerca e miglioramento dell’habitat degli animali.
[환경부]여름방학, 땅속 비밀 세계로 탐험 떠나요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2025 토양·지하수 어린이 온라인 여름캠프 참가자를 6월 30일부터 모집합니다.
10~12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 캠프는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여름방학 동안 온라인으로 실시간 교육과 실습 활동을 제공합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will recruit participants for the 2025 Soil and Groundwater Children’s Online Summer Camp starting June 30.
Targeting children aged 10-12, the camp offers interactive online classes and activities during summer vacation to promote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日本語
環境部と韓国環境産業技術院は、2025年土壌・地下水子どもオンライン夏キャンプの参加者募集を6月30日から開始します。
10~12歳の子どもを対象に、夏休み期間中にオンラインで環境保全の重要性を学ぶ実践的な授業と活動が行われます。
中文
韩国环境部和韩国环境产业技术院将从6月30日开始招募2025土壤与地下水儿童在线夏令营的参与者。
该夏令营面向10至12岁的儿童,通过暑假期间的在线实时课程和实践活动,宣传环境保护的重要性。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e l’Istituto Coreano per l’Industria e la Tecnologia Ambientale recluteranno partecipanti per il Camp estivo online per bambini sui suoli e le acque sotterranee del 2025 a partire dal 30 giugno.
Rivolto a bambini dai 10 ai 12 anni, il camp offre lezioni e attività interattive online durante le vacanze estive per sensibilizzare sulla conservazione ambientale.
[환경부]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특화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 도입
요약보기
한국어
화학물질안전원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를 올해 하반기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평가 방식은 업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피해영향범위가 과도하게 산정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 공청회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체계를 마련했다.
박봉균 원장은 이를 통해 기업의 현실적인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English
The Korea Chemicals Management Association announced plans to implement a “Korean-style risk assessment system” for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 industries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ddressing issues with the previous method that exaggerated impact area estimates, the new system reflects industry-specific features through consultations and research efforts.
Director Park Bong-gyu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businesses in building practical safety management frameworks.
日本語
化学物質安全院は、半導体・ディスプレイ産業の特性を反映した「韓国型リスク評価体系」を今年後半に導入する予定だと発表した。
従来の評価方式は業界の特性を十分に反映できず過剰な影響範囲を予測する問題を改善するため、公聴会や研究結果を基に新しい体系を整備した。
朴奉均院長は企業の現実的な安全管理体制構築を支援することを強調した。
中文
化学物质安全院宣布计划于今年下半年实施针对半导体和显示行业的“韩国型风险评估体系”。
新体系基于公开听证会和研究成果,解决过去评估方式无法充分反映行业特性并过度预测影响范围的问题。
院长朴奉均表示,此举将帮助企业建立切合实际的安全管理体系。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la sicurezza delle sostanze chimiche ha annunciato l’introduzione nel secondo semestre di un “sistema di valutazione del rischio in stile coreano” per il settore dei semiconduttori e dei display.
Il nuovo sistema, basato su consultazioni pubbliche e risultati di ricerca, affronta i problemi legati al precedente metodo che sovrastimava le aree di impatto.
Il direttore Park Bong-gyun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sostenere le aziende nella costruzione di quadri di gestione della sicurezza pratici.
[질병관리청][6.30.월.조간] 아나필락시스, 알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질병관리청은 2025 세계 알레르기 주간을 맞아 아나필락시스 예방과 대처 방법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아나필락시스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즉각적인 대처가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며, 교육과 홍보를 통해 대처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질병관리청은 다양한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홍보 자료 배포와 교육 영상 제작을 통해 국민의 알레르기 질환 대처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English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is launching a campaign during the 2025 World Allergy Week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naphylaxis prevention and response.
Anaphylaxis is a severe allergic reaction that requires immediate action to save lives, and the agency aim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through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KDCA collaborates with various organizations to distribute promotional materials and produce educational videos to enhance the public’s ability to manage allergic diseases.
日本語
疾病管理庁は2025年世界アレルギー週間に合わせてアナフィラキシーの予防と対処方法の重要性を知らせるキャンペーンを開始します。
アナフィラキシーは生命を脅かす深刻なアレルギー反応で、迅速な対応が必要であり、教育と広報を通じて対応能力を強化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疾病管理庁は関連機関と連携して広報資料を配布し、教育用動画を制作して国民のアレルギー疾患対応力を向上させることを計画しています。
中文
疾病管理厅将在2025年世界过敏周期间开展活动,以提高公众对过敏性休克预防和应对方法重要性的认识。
过敏性休克是一种严重的过敏反应,需要立即采取措施以挽救生命,该机构计划通过教育和宣传来加强应对能力。
疾病管理厅将与各相关机构合作,分发宣传材料并制作教育视频,以增强公众对过敏疾病的处理能力。
Italiano
L’Agenzia Coreana per il Controllo e la Prevenzione delle Malattie (KDCA) avvierà una campagna durante la Settimana Mondiale dell’Allergia 2025 per sensibilizzare sull’importanza della prevenzione e gestione dell’anafilassi.
L’anafilassi è una grave reazione allergica che richiede interventi immediati per salvare vite, e l’agenzia punta a rafforzare le capacità di risposta tramite educazione e sensibilizzazione pubblica.
La KDCA collaborerà con vari enti per distribuire materiali informativi e produrre video educativi al fine di migliorare la capacità della popolazione di rispondere alle malattie allergiche.
[농림축산식품부]AI 기반 농업 로봇, 농촌 일손을 덜어드립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농업 로봇 전문 스타트업 ‘에스엔솔루션즈’를 이달의 A-벤처스로 선정했다.
해당 기업은 자율주행 예초로봇과 AI 수확로봇 개발로 주목받으며, 국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2024년부터 정부 지원을 통해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사업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named SN Solutions, a smart agriculture robot startup, as this month’s A-Ventures.
The company is gaining attention with its autonomous mowing robots and AI harvesting robots, actively expanding into domestic and global markets.
From 2024, it plans to enhance R&D and accelerate commercialization with government support.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スマート農業ロボット専門スタートアップ「エスエンソリューションズ」を今月のA-ベンチャーズに選定しました。
この企業は自律走行式芝刈りロボットやAI収穫ロボットの開発で注目され、国内外市場への進出を強化しています。
2024年から政府の支援を受けて研究開発能力を強化し、事業化を加速する予定です。
中文
韩国农林畜产食品部将智能农业机器人初创公司“SN Solutions”选为本月的A-Ventures企业。
该公司通过开发自主驾驶除草机器人和AI收割机器人备受关注,并积极开拓国内外市场。
计划从2024年起在政府支持下强化研发能力,加速商业化进程。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delle Foreste ha nominato SN Solutions, startup di robotica agricola smart, come A-Ventures di questo mese.
L’azienda è al centro dell’attenzione grazie ai suoi robot per la mietitura e il taglio autonomo e sta espandendo attivamente nei mercati nazionali e internazionali.
Dal 2024 intende migliorare la ricerca e sviluppo e accelerare la commercializzazione con il supporto governativo.
[국토교통부]기술력·국산화·수출 실적 중심 K-드론 우수기업 뽑는다.
요약보기
한국어
국내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해 기술력, 국산화, 수출 실적을 기준으로 우수기업을 선정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op companies in Korea’s drone industry will be selected based on technology, localization, and export achievements.
Further details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press release.
日本語
韓国のドローン産業の発展を目指し、技術力、国産化、輸出実績を基準に優良企業が選定されます。
詳細は添付されたプレスリリースをご覧ください。
中文
韩国将依据技术能力、本土化及出口实绩来评选优秀的无人机企业。
具体内容可参考附件中的新闻稿。
Italiano
Le aziende di eccellenza nel settore dei droni in Corea saranno scelte basandosi su tecnologia, localizzazione e risultati di esportazione.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l comunicato stampa allegato.
[국토교통부]화재로부터 안전한 건축물, "화재확산 방지, 피난·소화 기술"로 실현한다
요약보기
한국어
화재 걱정 없는 안전 건축물은 화재확산을 방지하고 피난 및 소화 기술을 활용해 실현됩니다.
해당 내용은 관련 보도자료와 첨부파일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Fire-safe buildings are realized through preventing fire spread and utilizing evacuation and firefighting technologies.
Further details can be found in the related press release and attached files.
日本語
火災に安全な建築物は、火災の拡散防止と避難・消火技術を活用して実現されます。
詳細については、関連する報道資料と添付ファイルをご確認ください。
中文
防火安全建筑通过阻止火灾蔓延和利用疏散及灭火技术得以实现。
具体内容可参阅相关报道资料和附件文件。
Italiano
Gli edifici sicuri contro gli incendi sono realizzati prevenendo la diffusione del fuoco e utilizzando tecnologie di evacuazione e spegnimento.
Ulteriori dettagli possono essere trovati nel comunicato stampa correlato e nei file allegati.
[농림축산식품부]농어촌상생협력기금, 농촌의 위기를 기회로!
요약보기
한국어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2015년 한중 FTA 비준 당시 농어업 발전 및 기업과 지역 주민 간 상생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져 2017년부터 민간 참여로 조성되고 있다.
호반그룹은 농어촌 빈집 활용 창업 지원, 재난 복구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통해 농어촌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354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농어촌 주민 복지 증진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지원하고 있다.
English
The Rural Community Cooperation Fund was established in 2015 to support sustainable development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nd collabor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local residents, with private participation starting in 2017.
Hoban Group has contributed to rural development through various initiatives such as repurposing vacant houses for youth entrepreneurship, disaster recovery, and economic revitalization.
Currently, 354 institutions and companies are participating, supporting projects to enhance rural welfare and develop local communities.
日本語
農漁村共生協力基金は2015年に韓中FTA批准時に設立され、農漁業発展と企業および地域住民との協力を支えるため、2017年より民間の参加で形成されている。
ホバングループは、空き家利用による起業支援、災害復旧、地域経済活性化など、多様な活動を通じ農漁村改善に貢献している。
現在、354の機関と企業が参加し、農漁村住民の福祉向上や地域活性化のための支援が行われている。
中文
农村共生合作基金于2015年中韩FTA批准时成立,旨在支持农村可持续发展以及企业与当地居民之间的合作,从2017年开始由民间参与筹集资金。
湖畔集团通过利用农村空房支持创业、灾害恢复以及经济振兴等各项活动,为农村发展做出了贡献。
目前有354个机构和企业参与,支持改善农村居民福利以及促进地区发展的相关项目。
Italiano
Il Fondo di Cooperazione per le Aree Rurali è stato istituito nel 2015 durante la ratifica del FTA tra Corea e Cina per sostenere lo sviluppo sostenibile delle comunità rurali e la collaborazione tra aziende e residenti locali, con partecipazione privata dal 2017.
Il gruppo Hoban ha contribuito al miglioramento delle aree rurali con iniziative come il riciclo di case abbandonate per startup, la riabilitazione post-disastri e la rivitalizzazione economica.
Attualmente partecipano 354 enti e aziende, con progetti che sostengono il benessere dei residenti rurali e lo sviluppo delle comunità locali.
[농림축산식품부]농촌의 혁신을 이끄는 창업자를 찾습니다!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의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2025년 6월 30일부터 8월 8일까지 ‘임팩트업 농촌혁신 창업 경진대회’ 참가자를 모집한다.
대회는 서류평가와 발표평가를 거쳐 11월 18일 최종 결선에서 총 11팀을 선정하며, 대상 1팀에게 농식품부 장관상과 상금 5천만 원을 포함한 다양한 시상이 이루어진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will recruit participants for the “2025 Impact-Up Rural Innovation Startup Competition” from June 30 to August 8, 2025, aiming to discove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models for rural areas.
The competition involves document reviews, presentation evaluations, and a final on November 18, with awards including ₩50 million for the top winner among a total of 11 selected team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農村の持続可能な経済成長源を発掘するため、2025年6月30日から8月8日まで「インパクトアップ農村革新創業コンペ」の参加者を募集します。
コンペは書類審査と発表評価を経て11月18日に最終審査を行い、合計11チームを選出し、1位には農林畜産食品部長官賞と賞金5000万ウォンが授与されます。
中文
韩国农业食品部计划从2025年6月30日至8月8日招募“2025年影响力农村创新创业竞赛”参赛者,以发掘农村可持续经济增长模式。
比赛包括书面评审和演示评审,最终于11月18日进行决赛,共选出11支队伍,并向冠军颁发农业食品部长奖及5000万韩元奖金。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recluterà partecipanti per la “Competizione Startup Innovazione Rurale Impact-Up 2025” dal 30 giugno all’8 agosto 2025, mirando a scoprire modelli di crescita economica sostenibili per le aree rurali.
La competizione prevede una valutazione documentale, valutazioni di presentazione e una finale il 18 novembre, con premi che includono 50 milioni di won coreani per il vincitore principale tra un totale di 11 squadre selezionate.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특허청, 케이(K)-푸드 브랜드 보호 정책 강화 시동
요약보기
한국어
농식품부와 특허청은 6월 30일 서울에서 해외 케이(K)-푸드 위조상품 대응 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회의에서는 케이푸드 위조상품 모니터링 결과, 기업 지원 방안, 수출업계 애로사항 해결책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양 기관은 해외 위조상품 피해 방지를 위해 적극행정을 지속하며 브랜드 가치를 보호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nounced the ‘K-Food Counterfeit Goods Response Coalition Meeting’ to be held on June 30 in Seoul.
Discussions will include counterfeit product monitoring results, support plans for exporters, and addressing industry challenges.
Both agencies aim to protect K-Food’s brand value through proactive measure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と特許庁は6月30日にソウルで「K-フード偽造商品対応協議体会議」を開催すると発表した。
会議では偽造品の監視結果、輸出企業支援策、業界の懸念事項への対策が議論される予定。
両機関はK-フードブランドの価値を保護するため、積極的な行動を継続する。
中文
农林畜产食品部和专利厅宣布将于6月30日在首尔召开“K食品假冒商品应对协商会议”。
会议将讨论假冒商品监控结果、出口企业支持计划以及解决行业困难的方法。
两部门将继续采取积极行动以保护K食品的品牌价值,并防止假冒商品的扩散。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e degli Alimenti e l’Ufficio Brevetti hanno annunciato la riunione della coalizione per affrontare i prodotti contraffatti del K-Food il 30 giugno a Seoul.
Nella riunione si discuteranno i risultati del monitoraggio dei prodotti contraffatti, i piani di supporto per le imprese esportatrici e la risoluzione delle difficoltà del settore.
Entrambe le agenzie continueranno ad adottare misure proattive per proteggere il valore del marchio K-Food.
[교육부]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에 따르면, 4년제 대학의 사회통합전형 기회균형선발 비중이 9.2%에서 9.3%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또한, 산업체 경력을 가진 전임교원의 수가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모두에서 증가했습니다.
English
The analysis of the 2025 Jun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results shows a sligh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alanced opportunity selection in social integration admissions for four-year universities, from 9.2% to 9.3%.
Additionally, the number of full-time faculty members with industry experience has risen in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universities.
日本語
2025年6月の大学情報公開分析結果によれば、4年制大学の社会統合選抜における機会均衡選抜の割合が9.2%から9.3%にわずかに増加しました。
また、産業経験を持つ専任教員の数が普通大学と専門大学で増加しました。
中文
根据2025年6月大学信息公开分析结果,四年制大学社会融合招生中的机会平衡选拔比例从9.2%小幅增加到9.3%。
此外,具有产业经验的专任教师人数在普通大学和专科大学都有所增加。
Italiano
L’analisi dei dati sulla divulgazione delle informazioni universitarie di giugno 2025 mostra un leggero aumento della proporzione di selezione per pari opportunità nelle ammissioni per l’integrazione sociale nelle università quadriennali, dal 9,2% al 9,3%.
Inoltre, il numero di docenti a tempo pieno con esperienza nel settore industriale è aumentato sia nelle università generali che in quelle specializzate.
요약
원문보기
정은경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는 새 정부의 첫 후보자로 지명된 데 대해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국민 복지와 건강을 위한 혁신적인 정책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그녀는 저출생-고령화 위기, 양극화 심화, 의료개혁 등 사회적 난제가 있는 상황에서 국민 행복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과 삶의 질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 후보자는 **생애주기별 소득보장체계**를 확립하고, 영·유아부터 어르신까지 대상별 맞춤형 돌봄 체계를 강화하면서, 돌봄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조하는 복지 정책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동시에, 국민 중심의 보건의료체계를 구축하여 의료접근성을 높이고, 의정갈등을 해결하며 국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의료 개혁을 신속히 진행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또한, **저출생 추세 반전과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사회경제적 적응력 강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통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질병관리청장으로서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정 후보자는 국회, 전문가, 현장, 국민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정책 개발과 검토를 통해 국민 행복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끝으로, 인사청문회를 성실히 준비하고 상세한 정책 비전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을 약속하며, 책임감과 전문성 있는 행보를 강조했습니다.
정은경 후보자의 이러한 발언은 국민 건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한 정책 비전을 제시하며 새 정부의 기대와 국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논콩 재배 확대를 통한 쌀 수급안정 방안 논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6월 29일(일), 전북 부안군 행안면의 논콩 전문생산단지를 방문하여 논 타작물 재배 확대 정책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논콩은 대통령 공약이자 양곡관리법 개정의 중심 품목으로, 쌀 수급안정과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한 핵심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새 정부 농정 방향 반영한 현장 행보
농림축산식품부는 논콩 생산단지를 새 정부의 첫 현장 방문지로 선정한 이유로 새 정부 국정철학과 농업정책 방향을 직접 확인하며, 현장에서 생생한 의견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는 특히 쌀 수급안정 및 논 타작물 재배를 통한 식량 자급률 향상 의지를 반영한 결정이다.
### 현장 의견과 주요 건의 사항
현재 농업인들은 논콩 재배와 관련해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배수개선 시설 부족, 안정적인 판로 확보, 재해 인정 기준 및 보험 가입 기간 연장, 수매 대금의 안정적 지급 등이 주요 건의 사항으로 제시됐다. 이는 벼 농사에 비해 논콩 재배의 참여율이 낮은 이유로 꼽힌다.
### 장관의 정책 방향 및 약속
송미령 장관은 현장 방문 중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농업인들과 대화를 나누며 고충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장관은 논콩 재배가 확대되면 쌀 수급 안정과 식량안보 강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 예산 확대, 과잉 생산 상황 시 매입 책임 강화, 그리고 양곡관리법 개정을 국회와 논의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논콩 재배의 중요성과 향후 방향
정부는 논콩과 같은 타작물 재배를 촉진하기 위해 직불제 지원을 하고 있지만, 농업인의 관심과 참여는 저조한 상태다. 이에 따라 송미령 장관은 농업인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정책적 변화를 예고했다.
—
이번 방문은 농업분야의 현실을 직접 살피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논 타작물 재배 확대와 관련된 지속적인 논의와 실질적 지원 정책이 향후 농업 발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원문보기
###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결핵 복약 관리: 고령층 대상 AI 전화서비스 시범사업 시행
질병관리청은 결핵 치료 성공률 향상과 65세 이상 결핵환자의 복약 관리 효율화를 목표로 **‘결핵약 복약 확인 인공지능 전화서비스(이하 약속이)’** 시범사업을 오는 **2025년 7월 1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대구·경북 지역에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고령층 환자의 복약 관리를 강화해 치료 성공률을 높이고, 결핵관리전담인력의 업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 주요 내용
#### 1. **시범사업 대상 및 기간**
– **대상**: 대구·경북 지역에서 신고된 65세 이상 결핵환자 중 참여 동의자(약 300명)
– 결핵핵심치료약에 내성을 가진 환자와 재치료자는 제외
– **기간**: 2025년 7월부터 2026년 6월까지 1년간 운영
#### 2. **운영 방식**
– 최초 **전염성 기간(약 2주)** 동안 결핵관리전담인력이 매일 복약을 확인한 뒤, **취약성 평가**(임상·결핵·사회경제적 요인 20문항 기반)를 통해 고위험군, 중위험군, 저위험군으로 분류하여 관리 단계 조정:
– **고위험군**: 주 5회 복약 확인 (전담인력+AI 전화)
– **중위험군**: 주 2회 복약 확인 (전담인력+AI 전화)
– **저위험군**: 월 4회 복약 확인 (AI 전화)
#### 3. **AI 전화서비스 기능**
– **복약 확인**뿐만 아니라 식사와 수면 상태 등 건강 상태를 관리하며, 통화 내용을 **AI 관제센터**가 모니터링.
– 특이사항 발생 시 보건소나 의료기관에 즉시 전달, 긴급 상황 시 119에 신고해 **체계적 안전망** 제공.
#### 4. **목표 및 기대 효과**
– 고령층 결핵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고 치료 성공률 향상을 도모.
– 전담인력에게 발생 여부가 확인된 환자에 집중할 여건을 제공, **업무 효율화** 기대.
– 향후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전국 확대 가능성 검토.
—
### 결핵 관리 배경
65세 이상 결핵환자의 비율은 2019년에 42.8%였으나, **2024년에는 58.7%**로 증가했습니다. 이들 중 다수는 기저질환으로 인해 복약관리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 이 연령대의 결핵 치료 성공률은 **71.5%**로, 65세 미만 환자(90.5%)에 비해 크게 낮은 상태입니다.
질병관리청은 **2023~2027년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에 따라 복약 관리 대상을 기존 전염성 결핵환자에서 전체 결핵환자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시범사업이 그 연장선에 있습니다.
—
### 민·관 협력 모델
이번 사업은 질병관리청과 결핵관리기관뿐만 아니라 네이버, 행복이룸 등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 모델**로 운영됩니다.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 결핵 관리 방안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미래 전망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결핵관리전담인력의 부담 경감과 복약관리 강화는 물론, 국가 결핵관리 정책에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AI 복약 확인 서비스는 고령층의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기존 의료 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하는 기술적 접근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과기정통부, ‘생활 속 전자파 바로알기’ 공모전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생활 속 전자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생활 속 전자파 바로알기’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 **공모전 개요**
공모전은 전자파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고, 국민들이 전자파의 특성과 안전성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전자파와 관련한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정보 전달을 활성화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 **참여 대상 및 방식**
이번 공모전은 일반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개인 또는 팀 단위로 신청 가능합니다. 전자파 관련 주제를 바탕으로 영상, 포스터, 카드뉴스 등의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주제 예시**
1.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스마트폰, Wi-Fi 등)의 전자파에 대한 진실
2. 전자파 안전관리와 관련된 과학적 사실 및 정보
3. 전자파에 대한 기존 오해와 이를 바로잡는 사례
### **공모 기간**
– **접수 기간**: 2023년 XX월 XX일부터 XX일까지
– 일정은 공식 웹사이트 또는 관련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시상 및 혜택**
공모전에 출품된 작품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우수작품을 선정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상장이 수여됩니다. 또한, 선정된 작품은 대국민 홍보와 교육자료 등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 **참가 방법**
참가 신청은 공식 공모전 홈페이지(공식 링크)를 통해 가능하며, 구체적인 제출 형식 및 유의사항은 홈페이지에서 안내될 예정입니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과기정통부는 국민들이 전자파에 대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전자파에 대한 관심을 가진 국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파일 또는 과기정통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
[자료제공 : www.korea.kr]
원문보기
2024년 부가통신사업 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의 실태조사 결과 발표와 관련된 보도자료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으로 보입니다. 첨부파일 내용은 해당 링크나 파일명을 클릭하여 자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는 국내 부가통신사업 시장 규모, 사업자 현황, 이용자 추이 등을 분석하여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해당 조사의 결과는 부가통신사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요소를 제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첨부자료를 통해 실태조사의 주요 통계, 변화 동향, 과기정통부의 향후 계획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자료를 직접 확인한 후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거나 다룰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 호남권 우치동물원, 국가 지정 제2호 거점동물원 선정
환경부는 6월 30일 우치동물원(광주광역시 북구)을 호남권 거점동물원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중부권 청주동물원에 이어 국가 지정 제2호 거점동물원에 해당합니다.
#### 거점동물원: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과 동물복지 중심
거점동물원은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되며, 지역 단위에서 △동물원 역량강화 교육과 홍보, △동물질병 및 안전관리, △종 보전·증식 활동, △보유 동물 서식환경 개선 자문 등을 수행합니다. 거점동물원으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필요한 예산과 지원을 받게 됩니다.
#### 우치동물원의 역량과 성과
우치동물원은 6월 16일 환경부와 야생동물 전문가가 진행한 시설 및 인력 조사에서 거점동물원의 요건을 충족했습니다. 주요 요건은 1만㎡ 이상의 시설, 동물병원, 교육 및 연구시설, 검역시설 등이고, 인력 요건으로 적정 수준의 운영, 관리, 사육, 복지, 시설·조경, 수의 인력을 요구합니다.
특히 우치동물원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알락꼬리여우원숭이의 분쇄골절 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우수한 수술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야생동물 관리 경험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동물원의 새로운 역할과 전국 확산 기대
환경부는 동물복지와 야생동물 공존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우치동물원이 지역 중심 동물원으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물원 업계가 자율적으로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공존 방안을 모색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환경부는 이번 호남권 거점동물원 지정에 이어 수도권 및 영남권에서도 거점동물원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입니다.
#### 김태오 자연보전국장의 발언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동물원은 단순히 동물을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 야생동물 보호와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공간”이라며, “우치동물원의 성공 사례가 다른 동물원 업계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거점동물원 지정은 국가적 차원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역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원문보기
### 2025 토양·지하수 어린이 온라인 여름캠프 참가자 모집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최하는 ‘2025 토양·지하수 어린이 온라인 여름캠프’가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본 캠프는 **6월 30일부터 7월 11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여름방학을 맞은 어린이들에게 **토양과 지하수의 중요성을 재미있고 쉽게 배울 수 있는 환경교육**을 제공합니다.
—
### 캠프 개요
– **모집 대상:**
– **개인 참가:** 10~12세 초등학생 (4~6학년)
– **단체 참가:** 학급 단체(도서·산간 및 농어촌 초등학교 대상 학급 시범 운영 포함)
– **교육 일정:**
– **7월 30일:** 4학년
– **7월 31일:** 5학년
– **8월 1일:** 6학년
– **교육 방법:** 온라인(ZOOM 실시간 수업)
– **주요 내용:**
1. 토양과 지하수의 특성, 기능, 생성 과정 등의 이론 강의
2. 실습 활동(토양단면 구조 모형 만들기)
3. 온라인 지하수 탐험
4. 학습 후 개인 탐구 과제 수행
—
### 참가 및 혜택
– **신청 방법:**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누리집](https://sites.google.com/view/soilcamp)에서 신청.
– **참가 인원:** 총 600명(학년별 200명, 추첨을 통해 선발). 추첨 결과는 **7월 14일 발표**.
– **혜택:** 아래 항목 모두 무료 제공
– 교재 및 실험 도구(사전 배송)
– 탐구 과제 포상(우수작 제출자에게 환경부 장관상 수여)
—
### 지역별 학급 단체 참가 시범 운영
올해는 지역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도서·산간 및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 학급 단체 참가**를 시범 운영합니다. 학교 지도교사가 대표로 신청 가능하며, 참여 방식은 개인과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
### 문의 사항
– **운영사무국:** 02-6405-7939
– **카카오톡 채널:** 2025토양지하수어린이여름캠프
—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이번 캠프가 어린이들이 환경의 중요성을 느끼고 지속가능한 생활방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도서·산간 및 농어촌 지역 학급을 대상으로 한 특별 운영으로 환경교육 격차를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환경 보호에 관심이 많은 어린이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
원문보기
### 화학물질안전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맞춤형 화학사고 위험평가 체계 도입 추진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화학사고 위험평가 체계를 올해 하반기부터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는 기존 미국화학공학회 지침을 적용하던 방식이 업계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새로운 평가 체계의 중요성
화학물질안전원은 6월 30일 업계 공청회를 개최한 뒤, 7월 10일부터 10일간 행정예고를 실시하여 이를 최종 확정할 계획입니다. 이번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는 특히 배출시설 형태를 고려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캐비닛형 가스공급설비의 운영 방식을 반영한 것이 특징입니다.
캐비닛형 가스공급설비는 가스 누출 시 포집 후 중화처리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반면 기존 지침은 실내에서 가스가 누출되면 점진적으로 외부로 확산되는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했습니다. 이런 차이로 인해 기존 방식은 관련 업계에서 과도한 피해영향범위를 산정하고 있었습니다.
#### 주요 개선 내용
– **안전장치 설치에 따른 피해영향범위 감소**: 적정한 안전장치를 설치한 사업장의 경우, 피해영향범위가 약 36% 축소된 결과가 산출됩니다.
– **안전장치 미흡시 피해영향범위 확대**: 안전장치가 부족한 사업장에서는 피해영향범위가 약 99.2%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선은 업계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사고예방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 도입 배경
기존 시스템이 첨단장비를 사용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안전원은 연구용역을 통해 맞춤형 체계를 마련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산업 특성에 맞는 현실적인 평가 기법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 앞으로의 기대 효과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국내 평가기법이 산업별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국가첨단전략산업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뜻을 밝혔습니다.
—
이번 도입 예정인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는 첨단산업에서 요구되는 현실적인 사고 예방 및 관리 방안 마련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관련 기업들에게 더욱 적합한 안전 기반을 제공하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환경안전성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문보기
### 아나필락시스, 알아두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2025년 세계 알레르기 주간(World Allergy Week)을 맞아 아나필락시스와 관련된 교육 및 홍보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아나필락시스는 특정 음식, 약물, 곤충독 등 알레르기 물질 노출로 인해 급격히 발생하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질환입니다. 이를 예방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방법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여러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계몽 활동을 전개합니다.
—
### 아나필락시스 주요 증상과 원인
아나필락시스는 다음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 증상 분류:
– **피부계**: 입술·구강 부종, 가려움, 홍반, 두드러기
– **호흡기계**: 호흡곤란, 삼키거나 말하기 어려움, 거친 숨소리
– **심혈관계**: 혈압 저하, 실신, 요실금
– **소화기계**: 속 메슥거림, 복통, 설사, 구토
#### 주요 원인 물질:
– **식품**: 땅콩, 계란, 갑각류, 밀, 메밀 등
– **약품**: 해열진통제, 항생제, 조영제
– **곤충독**: 벌 독, 개미 독
– **기타**: 천연고무(라텍스), 운동, 온도 변화
—
### 응급 대처와 예방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응급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1. **원인 제거**: 알레르기 물질 노출 차단.
2. **환자 안정**: 평평한 곳에 눕히고 119 신고.
3. **에피네프린 주사**: 즉각적인 약물 투여로 혈압 회복 및 호흡 개선.
4. **의료기관 방문**: 응급실로 신속히 이동.
이전 발생 경험이 있다면 알레르기 전문의 상담을 통해 원인 물질을 규명하고 일상에서 노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대국민 캠페인과 교육 활동
질병관리청은 “알자내몸(알레르기로부터 자유로운 내 몸)”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음과 같은 홍보 및 교육 활동을 전개합니다:
#### 협력 기관 및 활동:
– **지자체 및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지역별 홍보부스 운영, 알레르기 피부 반응 검사.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의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전문교육 영상 제작.
– **온·오프라인 홍보**: 가정통신문, 카드뉴스, 퀴즈 이벤트.
#### 자료 접근:
– 교육 영상과 홍보 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과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kdca.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또한, 지역별 센터와 알레르기학회의 누리집 및 SNS에서도 제공됩니다.
—
### 마무리
질병관리청장 지영미는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응급 대처법을 통해 국민 누구나 이 질환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알레르기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높임으로써 공동체 전체의 건강 보호가 가능할 것입니다.
이번 알레르기 주간을 맞아, 적절한 정보와 활동을 통해 생명을 지키는 힘을 함께 키워가길 바랍니다.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10월의 에이(A)-벤처스로 ‘에스엔솔루션즈’ 선정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 분야의 혁신적 벤처·창업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선정하는 ‘이달의 에이(A)-벤처스’ 74호 기업으로 **주식회사 에스엔솔루션즈**를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19년 설립된 에스엔솔루션즈는 인공지능(AI)을 접목한 농업용 로봇 전문 스타트업으로, 자율주행 예초로봇 ‘다베어’와 AI 수확로봇 ‘고고팜’을 개발해 스마트농업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및 기술력
– **자율주행 예초로봇 ‘다베어’**
첨단 센서와 **RTK-GPS(실시간 이동측위)** 기술을 활용해 험지에서도 장애물을 인식하며 정밀 자율주행을 실행할 수 있는 로봇입니다. 산림과 같은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 **AI 수확로봇 ‘고고팜’**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기술을 탑재하여 과실의 숙성도를 판별한 후 로봇팔을 이용해 자동으로 수확하는 과수원용 로봇입니다.
#### 기술력 및 성과
에스엔솔루션즈는 창업 이후 국가 연구개발 과제 수행, 기술이전 1건, 특허 출원 및 등록 7건을 확보하는 등 스마트 농기계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기업입니다. 특히, 2023년에는 ‘농업인의 날’ 행사에 참여하여 인공지능 농업 로봇 시연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더불어, 국내 시장에 기반을 두고 일본 등 해외시장 공략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2024년부터 농식품부의 **’농식품 벤처육성지원’** 및 **’농식품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등의 지원을 발판으로 연구개발 및 사업화 역량을 강화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예정입니다. 에스엔솔루션즈의 고원석 대표는 “AI 농업 로봇 기술을 통해 노동력 부족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인의 안전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달의 A-벤처스 선정은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에스엔솔루션즈의 혁신적 행보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내외 농업 현장의 변화를 기대하게 합니다.
—
### 관련 자료
– **주요 제품 사진 및 대표 프로필**: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최근 국내 드론 산업의 기술력을 강화하고, 국산화 및 수출 성과를 기반으로 한 우수 기업을 선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발표되었습니다. ‘K-드론 우수기업’ 선정 계획은 드론 산업 내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들을 지원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 주요 내용
1. **선정 기준**
– **기술력**: 드론 관련 혁신 기술과 개발 성과를 평가.
– **국산화 기여도**: 핵심 기술 및 부품의 국산화를 얼마나 이뤄냈는지 판단.
– **수출 실적**: 해외 시장에서의 드론 제품 및 서비스 확장 노력.
2. **지원 혜택**
선정된 기업은 정부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과 해외 판로 개척 기회를 제공받게 됩니다.
3. **추진 목적**
– 국내 드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 국산 드론 생태계를 강화함으로써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립 기반 마련.
### 신청 접수 및 평가 과정
– 신청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접수하며, 기업 규모와 과거 성과를 주요 평가 요소로 삼습니다.
– 전문가 심사를 통해 최종 선정 기업이 결정되며, 선정 기업은 산업 전시회와 국제 박람회에 우선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이번 K-드론 우수기업 선정은 정부가 주도하는 드론 산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국내 기업들의 성장을 도모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K-드론의 브랜드를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 파일과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아래는 “화재로부터 안전한 건축물”에 대한 보도자료 요약입니다. 원문 세부사항은 해당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화재로부터 안전한 건축물: ‘화재확산 방지, 피난·소화 기술’로 실현**
대한민국 정부는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한 건축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피난 및 소화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화재 확산 방지 기술**
– **불연재료 및 내화성 건축 소재 개선**
건축물의 주요 구조재에 불연성·내화성을 강화하여 화재 확산 가능성을 최소화합니다.
– **공간 분리 및 차단 설계**
실내 공간의 구조를 화재 시 연기와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해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합니다.
### **2. 피난 체계 개선**
– **피난 경로 시각화 및 자동 안내 시스템**
화재 상황 시 음성 및 시각 유도 시스템을 통해 피난 방향을 명확히 안내하고, 신속한 대피를 지원합니다.
– **장애인·노약자 맞춤형 피난 설비**
이동의 제약이 있는 사람들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합니다.
### **3. 소화 기술 혁신**
– **AI 기반 스마트 소화 시스템 도입**
화재 초기 단계에서 센서를 통해 화재 위치를 정확히 탐지하고 자동으로 소화제를 분사합니다.
– **친환경 소화 기술 개발**
유해물질 배출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 소화 장비를 채택합니다.
### **4. 국민 참여와 인식제고**
– 화재 예방 및 대처 교육 프로그램을 전 국민에게 제공하며, 건축 과정에서 안전 기준 준수를 강화하도록 독려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기술 혁신과 정책 강화를 통해 화재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만들고 궁극적으로 국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주력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제공된 첨부파일([자료제공 : www.korea.kr](http://www.korea.kr))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농어촌 발전을 위한 민간과 공공의 협력 사례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당시 만들어진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농어업 및 농어촌 주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민간기업과 농어업인 간의 상생협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로 조성된 이 기금은 교육, 복지, 주거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농어촌 지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
### 대표 출연 기업: 호반그룹의 기여
호반그룹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며 지역경제 활성화, 재난복구, 문화복지 지원, 농산물 소비 촉진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1. 지역경제 활성화
호반그룹은 경남 창녕군과 협력하여 **‘농촌지역 경제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농촌 빈집을 활용한 청년 외식창업공간 조성을 통해 지역 특산물(양파, 마늘)을 재료로 활용한 요리를 선보이며,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였습니다.
– 2023년 4월부터 외식창업공간 운영
– 관광객 약 4만 4천 명 방문 기록
– 2024년에는 약 15만 명 방문 예상
#### 2. 재난복구 지원
– 2023년 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 긴급구호물품 및 임시 조립주택 제공
– 2024년 폭우로 피해를 입은 배추농가 지원
#### 3. 문화복지 증진
호반그룹은 **‘대한민국 상생 영수증 콘서트’**를 통해 지역 소상공인과 연계된 소비 활성화를 유도했습니다. 제천에서 개최된 이 콘서트는 1만여 명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12억 원 상당의 경제적 소비 효과를 기록했습니다.
#### 4.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
강원도와 제주 농산물 꾸러미 나눔 및 시식 행사를 통해 3천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여했고, 관련 콘텐츠의 유튜브 조회수는 100만 회를 돌파하며 농산물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였습니다.
—
###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의 확산
현재까지 354개의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이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조성에 참여했습니다. 이 기금은 농어업인 자녀를 위한 교육 및 장학사업, 농어촌 주민 복지 증진, 지역개발 등을 지원하며 농어촌 주민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은 단순한 기부가 아닌 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이라며 더 많은 기업과 기관의 참여를 독려하고, 이를 통해 농촌지역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습니다.
—
### 결론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농어촌과 도시 간 상호 발전의 모범적 사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민간과 공공의 협력이 긴밀히 이루어짐에 따라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활성화, 농업 발전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보기
### 2025년 ‘농촌혁신 창업 경진대회’ 참가자 모집!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5년 6월 30일부터 8월 8일까지 혁신적 농촌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창업자를 대상으로 **‘임팩트업 농촌혁신 창업 경진대회’**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이 대회는 농촌의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창업자들에게 농촌과 연계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
### **참가 대상 및 일정**
– **대상**: 7년 미만 기창업자로서 농촌 관련 사업모델을 보유한 개인 또는 팀
– **접수 기간**: 2025년 6월 30일(월) 09:00 ~ 8월 8일(금) 15:00
– **접수 방법**: 농촌혁신 창업경진대회 공식 홈페이지 ([www.농촌임팩트업.com](http://www.xn--hh0b654b46h2pax6hf2hu0mda.com))
– **대회 진행**:
– 예선: 서류평가 (9~10월)
– 본선: 발표평가
– 결선: 2025년 11월 18일
—
### **수상 혜택**
최종 선정된 11팀은 농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가 수여하는 표창 및 상금, 전문가 컨설팅, 사업화 자금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 수상팀: 1팀
– 상: 농식품부 장관상 및 상금 5천만 원
– **최우수상**
– 수상팀: 2팀
– 상: 농식품부 장관상 및 상금 2천만 원
– **우수상**
– 수상팀: 3팀
– 상: 농식품부 장관상 및 상금 1천만 원
– **입선**
– 수상팀: 5팀
– 상: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상 및 상금 3백만 원
또한 본선에 진출한 15팀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사업모델의 개선 및 성장을 지원받게 되며, 결선 우수팀에게는 **사업화 자금 최대 1억 원**이 추가 제공됩니다.
—
### **농식품부의 기대와 비전**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이번 대회에 대해 “농촌과 연계된 창업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농식품부가 창업가 육성을 위해 관련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
**참가를 원하는 농촌 창업가 여러분, 새로운 기회를 잡아보세요!**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문보기
### 농식품부·특허청, 케이(K)-푸드 위조상품 대응 협의체 회의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와 특허청은 오는 6월 30일 서울 양재동 에이티(aT)센터에서 ‘2025년 상반기 케이(K)-푸드 위조상품 대응 협의체 회의’를 열고, 해외 시장에서 증가하는 케이(K)-푸드 위조상품 문제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다.
#### 주요 회의 내용
1. **상반기 모니터링 결과 공유**
– 위조상품 및 상표 무단 선점 사례에 대한 실적과 수출기업 대상 상담 및 교육 성과 발표.
2. **하반기 대응 방안**
– 해외 현지 기관과 합동 점검.
– 소비자 참여 캠페인 및 위조상품 실태조사 진행.
– 지식재산권 관련 교육 및 전문 자문 제공.
3. **기업 애로사항 청취**
– 주요 수출기업(CJ제일제당, 대상, 삼양식품, 인삼공사, 빙그레 등)의 현지 어려움을 듣고 지원 방안을 모색.
#### 관계자 발언
– **신상곤 특허청 국장**는 “케이(K)-브랜드 위조상품의 급증으로 인한 수출기업 피해와 브랜드 신뢰도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주원철 농식품부 정책관**은 “케이(K)-푸드 수출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상승세를 기록 중인 만큼, 해외 진출에 장애물이 없도록 적극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기대 효과
이번 협의체 회의를 통해 국내 수출기업의 권리가 보호되고 글로벌 케이(K)-푸드 브랜드의 가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와 특허청은 지속적으로 해외 위조상품 방지와 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문보기
**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 주요 내용 정리**
2025년 6월 30일(월),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총 408개 대학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 **1. 사회통합전형 기회균형선발 비중 상승**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에서 사회통합전형을 통한 **기회균형선발 비중**이 소폭 증가했습니다.
– **2024년**: 9.2%
– **2025년**: 9.3%
이는 대학들이 사회적 다양성 확대 및 교육 기회 균등성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
### **2. 산업체 경력을 가진 전임교원의 증가**
산업체 경력을 가진 전임교원의 수가 전년 대비 늘어났습니다.
– **4년제 일반대학**: 10,222명 → 10,736명
– **전문대학**: 2,472명 → 2,574명
이는 산업 현장 경험이 풍부한 교원 채용을 통해 실무 중심 교육을 강화하려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
### **3. 대학정보공시 개요**
대학정보공시는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이루어지며, 대학별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6월 공시는 신입생 선발 결과를 포함해 총 **4개 분야**와 **26개 세부 항목**에 대해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데이터는 대학알리미 누리집(https://www.academyinfo.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향후 전망 및 의미**
이번 공시 데이터는 대학 입학, 교직원 채용, 교육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전망입니다. 기회균형 선발과 산업체 경력이 풍부한 교수진 증가는 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실질적 학습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잘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대학들이 투명성과 책임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변화를 이어가길 기대합니다.
—
**출처:** 교육부 제공 자료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