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요약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 – Italiano.
Read the 3-line summary. If you want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ranslate the Korean summary below.)
[해양수산부](동정) 해양수산부 차관 중동사태 관련 긴급 상황점검회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은 중동사태와 관련하여 우리 선박의 안전관리 및 물류 상황을 점검하는 긴급회의를 열었다.
그는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선박의 안전을 보장하고 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할 것을 강조하였다.
English
Vice-Minister Kim Sung-beom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eld an emergency meeting to review the safety management and logistics concerning Korean ships amid the Middle East crisis.
He stressed ensuring the safety of ships passing through the Strait of Hormuz and strengthening emergency response mechanisms.
日本語
海洋水産部のキム・ソンボム次官は中東情勢に関連して、韓国船舶の安全管理と物流状況を点検する緊急会議を開催した。
彼はホルムズ海峡を通過する船舶の安全確保と緊急対応体制の強化を強調した。
中文
韩国海洋水产部次官金成范召开紧急会议,检查与中东局势相关的韩国船只安全管理和物流情况。
他强调了确保通过霍尔木兹海峡船舶的安全以及加强紧急应对机制的重要性。
Italiano
Il vice-ministro Kim Sung-beom del Ministero degli Oceani e della Pesca ha tenuto un incontro urgente per verificare la gestione della sicurezza e la logistica delle navi coreane riguardo alla crisi in Medio Oriente.
Ha evidenziato l’importanza di garantire la sicurezza delle navi che attraversano lo Stretto di Hormuz e rafforzare i meccanismi di risposta alle emergenze.
[외교부]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이후 이란 내 우리 국민 안전대책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외교부는 이란의 악화된 정세와 국민 안전을 점검하기 위해 6월 22일 합동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와 공관원의 대책 시행을 강조하며, 현재까지 56명을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중동 정세를 계속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조치를 이어갈 예정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ld a joint situational review meeting on June 22 to address worsening conditions in Iran and ensure citizen safety.
Vice Minister Kim Jin-a emphasized securing safety for Korean nationals and implementing measures for embassy staff, noting 56 people have been evacuated to Turkmenistan.
The ministry will continue monitoring the Middle East region and take necessary actions.
日本語
外務省はイランの情勢悪化と邦人の安全対策を確認するため、6月22日に合同状況点検会議を開催した。
金ジナ外務次官は邦人の安全確保と在留公館員の対策実施を強調し、これまで56人をトルクメニスタンに避難させたと述べた。
外務省は中東地域の情勢を引き続き監視しながら必要な措置を取る予定である。
中文
外交部于6月22日召开联合情况检查会议,以应对伊朗局势恶化并确保本国公民安全。
金真雅外交部次官强调了确保韩国公民安全及采取使馆人员措施的重要性,并表示已安全撤离56人至土库曼斯坦。
外交部将继续监控中东局势并采取必要措施。
Italiano
Il Ministero degli Esteri ha tenuto una riunione congiunta il 22 giugno per affrontare il peggioramento della situazione in Iran e garantire la sicurezza dei cittadini.
La vice ministra Kim Jin-a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proteggere i cittadini coreani e di adottare misure per il personale dell’ambasciata, dichiarando che 56 persone sono state evacuate in sicurezza verso il Turkmenistan.
Il ministero continuerà a monitorare la situazione in Medio Oriente e a intraprendere le azioni necessarie.
[산업통상자원부](참고자료)산업부 2차관, 에너지·수출·물류 ·공급망·진출기업 영향 긴급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중동 정세 악화에 따른 에너지·수출·물류·공급망 영향을 긴급 점검하고, 현재까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비상대응반을 가동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각종 비상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Englis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conducted an emergency review of impacts on energy, exports, logistics, and supply chains due to worsening Middle East tensions, stating limited effects on domestic industries so far.
A response team was activated, along with a 24-hour monitoring system to ensure immediate action in emergency situations.
日本語
産業通商資源部は中東の情勢悪化によるエネルギー・輸出・物流・供給網への影響を緊急点検し、現時点では国内産業への影響が限定的であるとしました。
非常対応班を稼働し、24時間のモニタリング体制を構築し、緊急事態に迅速に対応できる体制を維持することを決定しました。
中文
韩国产业通商资源部紧急检查中东局势恶化对能源、出口、物流及供应链的影响,并表示目前对国内产业的影响有限。
成立紧急响应团队,建立24小时监控体系,以确保能够迅速应对各类紧急情况。
Italiano
Il Ministero del Commercio, dell’Industria e dell’Energia ha condotto una revisione d’emergenza sugli impatti su energia, esportazioni, logistica e catene di fornitura a causa delle tensioni in Medio Oriente, affermando effetti limitati sull’industria interna finora.
È stato attivato un team di risposta con un sistema di monitoraggio 24 ore su 24 per garantire azioni immediate in situazioni di emergenza.
[기획재정부]중동 사태 관련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중동 사태 대응을 위해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회의는 6월 22일 오후 3시 30분에 열렸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Acting Minister of Economy and Finance Lee Hyung-il presided over an emergency response meeting with related agencies to address the Middle East crisis.
The meeting took place at 3:30 PM on June 22, and specific details are available in the attached file.
日本語
李炯一経済企画部長官職務代理の第1次官は、中東事態への対応を目的に関係機関合同の緊急対応会議を主宰しました。
会議は6月22日午後3時30分に開催され、詳細は添付ファイルで確認できます。
中文
李炯一经济企划部部长代理一官主持了针对中东局势的相关机构联合紧急应对会议。
会议于6月22日下午3点30分召开,具体内容可通过附件查看。
Italiano
Il viceministro Lee Hyung-il, in qualità di ministro ad interim dell’Economia e delle Finanze, ha presieduto una riunione d’emergenza con le agenzie competenti per affrontare la crisi in Medio Oriente.
La riunione si è tenuta alle 15:30 del 22 giugno; 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l file allegato.
[산업통상자원부](참고자료)통상교섭본부장, 미 관세조치 관련 취임 후 첫 장관급 면담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취임 후 첫 방미 일정으로 미국 관세조치와 관련된 장관급 면담 및 의회 주요인사와의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미 IRA 세액공제 개편 등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목표로 미측과 기술협의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번 방문은 국익 중심의 실용적인 결과 도출과 한국 기업의 안정적 활동을 돕기 위한 지원 확보가 주요 목적이다.
English
Yeo Han-koo, Head of Trade Negotiation Headquarters, is set to hold high-level talks in the U.S., discussing tariff exemptions and supportive measures for Korean businesses investing in the U.S.
Parallel to these meetings, technical negotiations concerning revisions to the IRA tax credits and improved business conditions for Korean enterprises will also take place.
The goal of this visit is to secure practical solutions and allies to support Korean businesses’ smooth operations in the U.S.
日本語
通商交渉本部長のヨ・ハング氏は、就任後初めての訪米を行い、米国の関税措置に関する閣僚級の会談と議会関係者との協議を予定している。
また、韓国企業のビジネス環境を改善するため、IRA税額控除の改正を含む技術協議も並行して実施される予定である。
今回の訪問の目的は、韓国企業の円滑な活動を支援し、国益を重視した実用的な結果を引き出すことである。
中文
韩国通商交涉本部长吕汉求将首次访美,计划与美方进行关税措施相关的部长级会谈及国会重要人士的磋商。
同时计划与美方开展技术磋商,涉及IRA税收抵免调整等,以改善韩国企业的商业环境。
此次访美旨在为韩国企业的稳定活动寻求支持并优先保障国家利益相关的实用成果。
Italiano
Yeo Han-koo, capo dell’Ufficio per le trattative commerciali, intraprenderà la sua prima visita negli Stati Uniti per incontri di alto livello in merito alle misure tariffarie e per discutere il sostegno alle imprese coreane che investono negli USA.
Parallelamente, si svolgeranno negoziati tecnici riguardanti le modifiche ai crediti d’imposta IRA e il miglioramento delle condizioni di attività per le aziende coreane.
L’obiettivo della visita è garantire soluzioni pratiche e sostenere le attività fluide delle imprese coreane negli Stati Uniti.
[환경부]배터리 순환이용 산업 지원 방안 모색한다… 전문가 토론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6월 23일 서울에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배터리 재활용 정책, 리튬인산철 배터리 관리체계 마련, 재생원료 인증제도 등의 주요 연구와 정책 성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토론회는 정부, 학계,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국내 배터리 순환이용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nounced a forum on battery recycling to be held on June 23 in Seoul.
The event will showcase key research findings on battery recycling policies,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management systems, and renewable material certification systems.
Experts from the government, academia, and industries will discuss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battery recycling ecosystem.
日本語
環境部と国立環境科学院は、6月23日にソウルでバッテリー循環利用促進のための専門家討論会を開催すると発表しました。
このイベントでは、バッテリーリサイクル政策やリチウムリン酸鉄バッテリー管理体系、再生原料認証制度などに関する研究成果が発表されます。
討論会では政府、学術界、業界の専門家が国内のバッテリー循環利用エコシステムを強化するための方策について議論します。
中文
环境部与国立环境科学研究院宣布将于6月23日在首尔举办电池循环利用专家论坛。
活动将展示关于电池回收政策、磷酸铁锂电池管理体系以及再生原料认证制度的主要研究成果。
政府、学界与业界专家将在论坛中探讨加强国内电池循环利用生态系统竞争力的战略。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e l’Istituto Nazionale di Ricerca Ambientale hanno annunciato un forum per il riciclo delle batterie, che si terrà il 23 giugno a Seul.
L’evento presenterà i principali risultati della ricerca su politiche di riciclo delle batterie, sistemi di gestione delle batterie al litio ferro fosfato e certificazioni per materiali riciclati.
Esperti di governo, accademia e industria discuteranno strategie per rafforzare la competitività del sistema di riciclo delle batterie a livello nazionale.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 국민의 개인정보 주권 보장 위해 마이데이터 확대 논의 지속
요약보기
한국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국민의 개인정보 주권 강화를 위해 고용 및 문화·여가 부문의 마이데이터 확대 논의를 진행한다.
6월 23일과 26일 각각 관련 간담회를 열어 정보전송자 및 전송정보 기준안을 공유하고, 하반기 중 제도 적용을 위한 법령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Englis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is advancing discussions to expand MyData services in employment and culture sectors to strengthen citizens’ data sovereignty.
Related meetings will be held on June 23 and 26 to refine transmission standards and update legal frameworks later this year.
日本語
個人情報保護委員会は、国民の個人情報主権を強化するために、雇用および文化・レジャー分野でのマイデータ拡大に関する議論を進めています。
6月23日と26日にそれぞれ関連会合を開催し、情報送信基準案を共有し、制度適用のために法令改正を進める予定です。
中文
个人信息保护委员正在推动就业及文娱领域的“我的数据”扩展计划,以加强公民的个人信息自主权。
将于6月23日和26日召开相关会议,并计划通过修订法规为下半年实施提供支持。
Italiano
La Commissione per la Protezione dei Dati Personali sta discutendo l’espansione dei servizi MyData nei settori dell’occupazione e del tempo libero per rafforzare la sovranità dei cittadini sui propri dati.
Gli incontri previsti per il 23 e 26 giugno delineeranno gli standard di trasmissione e faciliteranno le modifiche legislative nella seconda metà dell’anno.
[소방청]아리셀 화재 참사 1주기 소방청, 전지공장 화재 재발 방지대책 추진상황 종합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화성 아리셀 전지공장 화재 참사 1주기를 맞아 소방청은 화재 재발 방지 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전국 유사 전지공장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리튬전지 등 특수가연물을 지정·관리하기 위한 제도 마련과 법률 개정을 속도감 있게 추진 중이다.
소방청은 국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예방 중심의 화재 안전관리 강화를 강조했다.
English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Hwaseong Aricell battery factory fire tragedy, the Fire Agency reviewed the progress of fire prevention measures and conducted inspections of similar facilities nationwide.
Efforts are underway to designate and manage special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lithium batteries, alongside swift legal amendments.
The agency emphasized enhancing preventive fire safety management to protect citizens’ lives and property.
日本語
火星アリセル電池工場の火災から1年を迎え、消防庁は再発防止策の進捗状況を点検し、全国の類似工場に対する現地点検を実施しました。
リチウム電池などの特殊可燃物の指定と管理を実現するための制度と法律改正が迅速に進められています。
消防庁は国民の生命と財産を守るため、予防重視の火災安全管理強化を強調しました。
中文
在华城Aricell电池工厂火灾惨剧一周年之际,消防厅检查了防止火灾复发的措施进展情况,并对全国类似电池工厂进行了实地检查。
正在迅速推进指定和管理锂电池等特殊可燃物的制度和法律修改工作。
消防厅强调要加强以预防为中心的消防安全管理,以保护国民的生命和财产。
Italiano
Nel primo anniversario della tragedia dell’incendio nella fabbrica di batterie Aricell di Hwaseong, l’Agenzia dei Vigili del Fuoco ha esaminato i progressi delle misure di prevenzione degli incendi e ha effettuato ispezioni in strutture simili a livello nazionale.
Si stanno accelerando i lavori per designare e gestire materiali combustibili speciali, come le batterie al litio, e per modificare le leggi pertinenti.
L’agenzia ha sottolineato l’importanza di rafforzare la gestione della sicurezza antincendio preventiva per proteggere vite e proprietà dei cittadini.
[과학기술정보통신부]신약을 만드는 데이터,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가 개최되며, 데이터 기반의 신약 개발이 주요 주제로 다뤄질 예정입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관련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glish
The 2025 AI Drug Development Competition will be held, focusing on data-driven drug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ress release,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files.
日本語
2025年新薬開発AIコンペティションが開催され、データに基づく新薬開発が主要なテーマとなります。
詳細は添付ファイルで確認できると報道資料は述べています。
中文
2025年新药开发人工智能竞赛即将举办,主题为基于数据的新药研发。
根据新闻稿,详细信息可以在附加文件中查看。
Italiano
Il Concorso per lo Sviluppo di Farmaci con Intelligenza Artificiale 2025 si terrà, con il tema principale dello sviluppo di farmaci basato sui dati.
Secondo il comunicato stampa, ulteriori dettagli sono disponibili nei file allegati.
[환경부]섬과 연안의 생명을 사진으로 담아주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과 연안 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알리기 위해 ‘2025 섬과 연안 생태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은 국민이 직접 촬영한 생태 사진을 바탕으로 환경교육 및 홍보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작품을 선정하며, 총상금 1,000만 원과 39점의 수상작이 발표될 예정이다.
English
The National Honam Biological Resources Institute announced the ‘2025 Island and Coastal Ecology Photo Contest’ to promote awareness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contest invites people to submit ecological photos of islands and coastal areas, with cash prizes totaling 10 million KRW and 39 winning entries to be utilized for educational and promotional purposes.
日本語
国立ホナム圏生物資源館は、生物多様性保全への意識を広めるため「2025 島と沿岸の生態写真コンテスト」を開催すると発表した。
コンテストでは応募された写真を環境教育や広報資料として活用し、賞金総額1,000万ウォン、39作品を受賞作として選定する予定である。
中文
国立湖南区生物资源馆宣布举办“2025岛屿与沿岸生态摄影比赛”,以促进生物多样性保护意识的传播。
活动征集拍摄于岛屿和沿岸地区的生态照片,总奖金1000万韩元,39幅获奖作品将用于教育和宣传材料。
Italiano
L’Istituto Nazionale delle Risorse Biologiche Honam organizza il concorso fotografico “2025 Isole e Coste Ecologiche” per sensibilizzare sulla conservazione della biodiversità.
I partecipanti possono inviare foto ecologiche di isole e coste; in palio un montepremi di 10 milioni di won e 39 opere selezionate saranno utilizzate per materiali educativi e promozionali.
[환경부]중남미 고위급 인사, 우리나라 물·자원순환 정책·기술 배운다
요약보기
한국어
환경부는 중남미 4개국 고위공무원을 초청해 물·자원순환 정책과 기술을 공유하며 국내 환경기업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초청연수는 중남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세미나와 주요 정책 현장 방문, 1대1 간담회를 통해 협력을 증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Englis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n initiative to invite high-ranking officials from four Latin American countries to share policies and technologies for water and resource circulation.
The program focuses on enhancing cooperation through seminars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and tailored 1-on-1 business discussions.
日本語
環境部は中南米の4カ国から上級官僚を招き、水資源と循環政策に関する技術を共有し、国内環境企業の海外進出を支援すると発表しました。
研修ではセミナーや現地訪問、1対1の面談を通じて協力関係を深めることを目指します。
中文
韩国环境部宣布邀请拉美四国高级官员,共享水资源和循环政策技术,支持国内环保企业进军海外。
此次培训重点通过研讨会和一对一交流推动环境问题解决及深化合作。
Italiano
Il Ministero dell’Ambiente ha annunciato l’invito di funzionari di alto rango da quattro paesi dell’America Latina per condividere politiche e tecnologie legate alla gestione dell’acqua e delle risorse.
Il programma mira a rafforzare la cooperazione attraverso seminari e incontri individuali su misura.
[농림축산식품부]자유무역협정(FTA) 피해보전직접지불금 2025년 지원대상은 녹두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자유무역협정 피해보전직접지불금 지원 품목으로 녹두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FTA 직불금은 가격 하락 피해를 보전하기 위해 지급되며, 신청은 6월 23일부터 8월 1일까지 가능하다.
지급 대상자는 현장 조사 후 12월까지 직불금을 받을 예정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mung beans as the final item for 2025 FTA compensation direct payments.
These payments aim to compensate for price drops, with applications accepted from June 23 to August 1.
Eligible recipients are confirmed through inspections, and payments will be issued by December.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2025年のFTA被害補償直接支払い対象品目として緑豆を最終的に選定したと発表しました。
FTA直接支払い金は価格下落による被害を補償するもので、申請は6月23日から8月1日まで受付可能です。
支給対象者の確認後、12月までに支払いが行われる予定です。
中文
农业食品部宣布将绿豆选定为2025年FTA赔偿直接支付的最终支持品种。
FTA支付旨在补偿价格下降的损失,申请时间为6月23日至8月1日。
符合条件者经审核后将于12月收到支付款项。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ha annunciato che i fagioli mung sono stati scelti come articolo finale per i pagamenti diretti di compensazione FTA del 2025.
I pagamenti mirano a compensare il calo dei prezzi, con domande accettate dal 23 giugno al 1° agosto.
I destinatari idonei saranno confermati tramite ispezioni e i pagamenti saranno effettuati entro dicembre.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올해 첫 지정 추진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 주도로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지정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첫 지구 지정을 목표로 지자체별 조성계획을 접수하고, 이를 종합 평가하여 지정하며 다양한 정책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plans to actively pursue the designation of ‘Green Bio Industry Promotion Zones’ to establish a local-driven ecosystem for the green bio industry.
The first zones are set to be designated this year, with local governments submitting plans for evaluation, offering various policy incentives in the process.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地域主導でグリーンバイオ産業の生態系を構築するため、グリーンバイオ産業育成地域の指定を本格的に推進すると発表しました。
今年中に最初の指定を目指し、自治体ごとの計画を総合評価し、豊富な政策インセンティブを提供する予定です。
中文
韩国农林畜产食品部宣布,将通过指定“绿色生物产业促进区”推动建立区域主导的绿色生物产业生态系统。
今年内计划完成首批促进区指定,综合评估地方政府提交的方案,并提供多项政策激励措施。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Alimentazione e Affari Rurali ha annunciato l’avvio della designazione delle “Zone di Promozione dell’Industria Bio Verde” per costruire un ecosistema guidato a livello locale per l’industria bio verde.
La prima designazione è prevista entro quest’anno, valutando i piani delle autorità locali e offrendo vari incentivi politici.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케이(K)-농기자재 동남아 수출 확대를 위해 태국 시장개척단 파견
요약보기
한국어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농기자재 수출기업 15개사로 구성된 시장개척단을 태국에 파견해 한국 농기자재 홍보 및 수출 확대를 지원한다.
태국 정부의 친환경농자재 도입 정책과 스마트농업 기술 수요에 맞춰 수출상담회를 개최하고, 태국 및 동남아 바이어와의 매칭을 진행한다.
하반기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박람회와 상담회를 열어 판로개척을 지속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is sending a delegation of 15 Korean agricultural equipment exporters to Thailand to promote their products and expand export opportunities.
Aligned with Thailand’s policy on eco-friendly agricultural supplies and smart farming, MAFRA will hold export consultation events matching Korean exporters with buyers from Thailand and Southeast Asia.
Further support for market expansion will continue through exhibitions and export consultation in various countries later this year.
日本語
農林畜産食品部は韓国農業資材輸出企業15社で構成された市場開拓団をタイへ派遣し、韓国の農業資材製品の宣伝と輸出拡大を支援します。
タイ政府の環境配慮型農業資材の導入政策及びスマート農業技術需要に応じて、輸出相談会を開催し、タイ及び東南アジアのバイヤーとのマッチングを行います。
今年後半も、様々な国で博覧会や相談会を開催し、市場開拓支援を継続する予定です。
中文
韩国农林畜产业食品部门组织由15家公司组成的市场开拓团,将前往泰国推广韩国的优质农业设备并助力出口拓展。
针对泰国政府推进环保农业投入及智能农业技术需求,将举办出口咨询会并安排与来自泰国及东南亚的采购商对接。
下半年还将通过展览会及咨询会在多个国家持续推动市场开拓工作。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dei Prodotti Alimentari e delle Risorse Rurali invia una delegazione di 15 aziende coreane di attrezzature agricole in Thailandia per promuovere i prodotti e aumentare le esportazioni.
In linea con le politiche thailandesi su forniture agricole ecocompatibili e agricoltura intelligente, si terranno incontri di consulenza sull’export con acquirenti dalla Thailandia e dal Sud-est asiatico.
Il supporto all’espansione del mercato continuerà attraverso fiere ed eventi di consulenza per l’esportazione in vari paesi nel corso dell’anno.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공익직불제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농식품부는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해 공익직불제 우수사례 공모전을 최초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모전은 농업인의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제도의 성과를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춘다.
공모전 종료 후, 총 10개의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장관상 및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
English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ounced the inaugural Outstanding Cases Contest for the Direct Payment System for Public Interest functions.
The contest aims to discover impactful stories from farmers and promote the system’s benefits to the public.
After the contest, a total of 10 outstanding cases will be awarded with prizes, including the Minister’s Award.
日本語
農食部は農業・農村の公益機能向上のため、初めて「公益直払制度優秀事例コンテスト」を開催すると発表した。
コンテストは農業者の成功事例を発掘し、制度の成果を国民に広め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
終了後、優秀事例10点が選ばれ、大臣賞や賞金が授与される予定だ。
中文
农业食品部宣布将首次举办公共功能直补制度优秀案例征集比赛。
比赛旨在发现农民的成功案例,并向公众推广该制度的效果。
比赛结束后,将评选出10个优秀案例,并颁发奖项和奖金。
Italiano
Il Ministero dell’Agricoltura e delle Politiche Alimentari ha annunciato il primo concorso per valorizzare casi di successo legati al Sistema di Pagamento Diretto per le Funzioni Pubbliche.
Il concorso mira a scoprire storie di successo degli agricoltori e promuovere i benefici del sistema al pubblico.
Alla fine del concorso saranno premiati 10 casi eccellenti con riconoscimenti e premi in denaro.
요약
원문보기
**중동 긴장 고조, 해양수산부 차관 긴급 점검회의 개최**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6월 22일(일) 해양수산부 종합상황실에서 최근 발생한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사태와 관련해 우리 선박들의 안전관리 현황 및 해운·물류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긴급회의를 주재했다.
### **주요 논의 사항**
이번 회의에서는 중동 인근 해역, 특히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우리 선박들에 대한 운항 현황 및 안전관리 점검이 이루어졌다. 또한 수출입 물류에 미칠 가능성이 있는 영향을 분석하며 유사 시 신속한 지원이 가능한 비상대응체계를 점검했다.
김 차관은 관련 부처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중동 정세에 따른 즉각적인 대처와 긴급한 조치가 필요함을 언급했다. 그는 “우리 선원과 선박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해야 한다”며 철저한 관리와 대응을 당부했다. 아울러 해운·물류업계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긴밀한 소통과 지원도 요청했다.
### **중동 긴장 속 해운·물류 분야 영향**
중동지역은 국제 해운의 요충지로, 특히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원유 운송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해역이다. 최근 정치적 긴장으로 인해 해운·물류 업계는 불확실성이 증가하며, 선박 운항과 물류 수출입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사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전반적인 해운·물류 환경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며 신속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결론:**
이번 긴장 사태는 우리 선박 운항과 수출입 물류에 잠재적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정부 차원의 감시와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향후 정세 변화에 따라 업계와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물류 공급망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문보기
### 이란 내 긴장 고조: 외교부, 국민 안전 점검회의 개최
최근 이스라엘의 공격과 더불어 미국의 이란 핵시설 3곳 타격으로 이란 내 상황이 급격히 악화된 가운데, 외교부는 우리 국민의 안전대책을 점검하기 위해 6월 22일 합동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 주요 참석자 및 회의 주요 내용
이번 회의에는 재외국민보호·영사담당 정부대표, 영사안전국장, 아중동국 심의관, 재외공관담당관 등 외교부 관계자들과 주이란대사가 참석했으며,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주재했습니다. 김 차관은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이후 현지 상황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을 고려해 체류 중인 국민들의 안전 확보와 공관원 보호를 강조하며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지시했습니다.
#### 국민 대피 및 지원 상황
현재 이란 내 우리 국민과 가족 56명(이란 국적자 5명 포함)이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대피 완료된 상태입니다. 외교부는 이를 위해 신속대응팀을 파견해 대피 과정에서 임차버스 제공, 출입국 수속 지원, 숙박 및 항공편 안내 등 다방면에 걸친 영사조력을 제공하였습니다.
#### 향후 계획
외교부는 중동 지역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응 조치를 지속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비상 상황 발생 시 현지 대피 및 구호 작업을 빈틈없이 수행하도록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는 해외 체류 국민 보호와 긴박한 외교적 상황 대처를 위한 외교부의 입장을 분명히 보여주는 계기로서, 정부가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원문보기
### 산업부, 긴급 비상상황점검회의 개최… 중동 정세 영향 면밀히 모니터링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6월 22일 긴급 비상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며 중동 정세가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검토했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비상대응반을 가동하고, 미국과 이스라엘 현지 무역관과 화상으로 연결하여 에너지, 수출, 물류, 공급망 및 현지 진출 기업 상황을 긴급 점검했다.
### 중동 정세 영향 제한적… 긴밀한 모니터링 지속
현재까지 중동 정세가 국내 에너지 수급 및 수출입, 물류, 공급망, 진출기업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국내 석유·가스 도입 선박은 정상 운항 중이며, 국내 석유·가스 수급에는 이상이 없는 상태다. 다만, 미국의 중동 개입 여파로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 비상대응반 가동 및 24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산업부는 지난해 중동사태 발발 이후 설치한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에너지, 무역, 공급망 분야별 비상대응반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대한석유협회 등 에너지 분야 기관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무역협회 등이 합동으로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며, 유사시 긴급 대응 체계를 신속히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
### 對중동 수출 및 공급망 상태 안정적
우리나라 對중동 수출은 전체 수출 비중의 3%(2025년 1~5월 기준)로 제한적이며, 현재까지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 일부 소재·부품·장비의 경우 대체 수입이 가능한 상태이며, 재고도 충분하여 국내 공급망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현지 진출 기업 및 공급망 안정
이스라엘 내 현지 진출 기업들은 안전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장비 등 주요 공급망 역시 차질이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텔아비브 무역관의 김동준 관장은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위기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준비를 갖추겠다”고 밝혔다.
### 최남호 2차관의 당부
최남호 2차관은 “중동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생할 수 있는 위기를 철저히 대비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긴장감을 가지고 업무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번 회의는 산업부가 중동 정세 변화가 산업 및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사전에 대비하고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관련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대응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원문보기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중동 사태 관련 비상대응반 회의 주재**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1차관)은 6월 22일 오후 3시 30분, 중동 사태와 관련해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본 회의는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상황이 대한민국 경제와 정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에서 열렸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사태의 전개를 모니터링하고, 경제 전반에 미칠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요 논의내용과 결정된 사항은 첨부된 공식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회의와 관련된 추가적인 문의는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최봉석 담당자(044-215-2731)에게 연락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제공: 대한민국 정책포털(www.korea.kr)]
원문보기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미 관세조치 관련 협의 위해 첫 방미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6월 22일부터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취임 후 첫 장관급 협의를 진행한다. 이번 방미는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한 우리 입장을 전달하고 상호호혜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 주요 협의 내용
1. **미 행정부 및 의회와 면담**
여 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행정부 주요 인사들과 장관급 면담을 통해 한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관세조치의 예외 및 면제를 요청할 예정이다. 또한, 미국 내 한국 투자기업에 대한 우호적 지원을 부탁하며, 양국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2. **의회 주요 인사와 만나 지지 요청**
여 본부장은 미 의회 주요 인사들 역시 면담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IRA 세액공제 개편 등 예산조정법안과 관련하여 한국 투자기업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한다.
3. **3차 기술협의 병행 추진**
박정성 무역투자실장은 동행하여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USTR과의 기술협의를 진행한다. 「대미 협상 TF」 발족 이후 첫 기술협의인 만큼, 양측의 주요 관심사항을 중심으로 한국 국익을 고려한 현실적인 대안 마련에 집중할 예정이다.
### 여한구 본부장의 입장
여 본부장은 “미 측과 심도 있는 협의를 통해 한미 간 윈윈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히며, “금번 방미가 양국 산업 및 경제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한국 기업 활동을 지지하는 미국 내 우군 확보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배경 및 의의
이번 방미는 한국이 미국의 관세조치 및 경제 관련 법안 개편에 적극 대응하며 양국 간 협력 강화를 추진하려는 조치다. 이와 함께, 대미 협상 TF 발족 및 실무진 강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국익 중심의 실용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정성 실장은 “대미 협상 TF 발족 후 첫 기술협의인 만큼 실질적이고 국익 중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결론
이번 방미는 한국과 미국의 경제적 연계를 강화하고, 한국 기업들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양국 간 협력 관계를 한층 심화하며 글로벌 관세 및 투자 환경에서 유익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보기
### 배터리 순환이용 전문가 토론회 개최: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경제를 위한 한 걸음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이 6월 23일 서울에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는 배터리 재활용 및 순환이용 관련 정책, 기술 및 제도적 접근을 논의하며, 최신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가 공유될 예정이다.
#### 주요 발표 내용
1.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환경부는 올해 발표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의 세부 목표와 실행 로드맵을 제시한다. 주요 축은 △시장 조성 △재활용 자원 확보 △기술 혁신 △전주기 관리기반 구축이다.
2. **리튬인산철 배터리 경제성 평가 연구**
국립환경과학원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재활용 가능성과 경제성을 평가한 연구를 공유한다. 이 배터리는 가격이 저렴하지만 회수 가능한 금속 가치가 낮아 관리체계 개선이 요구된다.
3. **배터리 재생원료 생산인증 방법론**
한국환경연구원은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금속 재생원료를 인증하는 방안을 소개하며, 국제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품질 관리 연구 방향을 발표한다.
#### 향후 계획
환경부는 리튬인산철 배터리 관리 방안과 재생원료 생산인증제도를 기반으로 내년 시범사업을 진행, 2027년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 패널 토론
정부, 산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에서는 국내 배터리 순환이용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순환이용 제품 수요 창출, 원료 확보 지원 등 다양한 정책 대안이 제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부의 입장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배터리 순환이용은 폐기물 관리 차원을 넘어 미래 자원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이번 포럼이 순환경제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배터리를 ‘폐기물’로 바라보는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 자원 확보 및 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핵심 요소로 인식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며, 산학연 간 협력을 강화할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원문보기
**개인정보위, 국민의 개인정보 주권 보장 위한 마이데이터 확대 논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국민의 개인정보 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마이데이터 제도의 확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용 및 문화·여가 부문에서 다양한 관계기관이 참여한 간담회가 각각 6월 23일과 6월 26일에 개최될 예정입니다.
### **마이데이터 제도의 개요**
마이데이터는 정보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직접 관리하고, 원하는 기관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본인 직접 전송 요구와 제3자 전송 요구를 모두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국민 생활과 밀접히 연관된 의료, 통신, 에너지, 교통, 교육, 고용, 부동산, 복지, 유통, 여가 등 10대 중점 분야를 우선 도입 대상으로 선정하고, 단계적으로 제도를 확대해 왔습니다. 올해 3월부터 의료와 통신 부문이 시행되었으며, 현재는 교육, 고용, 문화·여가 부문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 **고용 및 문화·여가 간담회의 주요 논의**
1. **고용 부문 간담회 (6월 23일)**
– 참석: 고용노동부, 고용알선기관, 인력공급기관, 자격·검증기관 등
– 주요 내용: 고용 마이데이터 정보전송자 및 전송정보 기준안 논의
2. **문화·여가 부문 간담회 (6월 26일)**
– 참석: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스포츠, 공연, 전시, 테마파크, 영화, 여행 등 관련 기관 및 중개 플랫폼 업체
– 주요 내용: 문화·여가 마이데이터 정보전송자 및 전송정보 기준안 논의
### **향후 계획**
개인정보위는 간담회를 통해 얻은 의견과 현장의 애로사항을 수집하고, 각 부문 관계기관과 추가적인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하반기 중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각 부문별 정보전송 기준과 전송대상 정보를 확정할 계획입니다.
### **의미와 기대 효과**
하승철 개인정보위 추진단장은 마이데이터 제도를 통해 국민이 자신의 데이터 활용에 대한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데이터 융합 및 안전한 활용을 기반으로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고 혁신적인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의 이러한 노력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와 국민의 정보 보호 수준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원문보기
### 화성 아리셀 화재 참사 1주기: 소방청, 전지공장 화재 재발 방지 대책 총력
화성 아리셀 전지공장 화재가 발생한 지 1년이 되는 오늘, 소방청은 대형 화재 재발 방지 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며, 전국 유사 전지공장에 대한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이번 점검은 국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전지공장 안전관리 제도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 주요 추진 상황
소방청은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지난 화재 참사 이후 **4개 분야, 37개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이중 소방청이 맡은 **13개 세부 과제** 중 현재까지 8개 과제가 완료되었으며, 나머지 5개 과제도 법령 개정을 통해 신속히 추진 중이다.
**완료된 주요 과제**:
– 전지공장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
– 리튬전지 소화성능 인정기준 개선
– 소방대원 교육 훈련 강화
– 유해화학물질 사고 SOP(표준운영절차) 개선
**추진 중인 주요 과제**:
– 리튬전지 특수가연물 지정 및 관리
– 금속화재 소화기 기술 기준 마련
– 위험물시설 전문점검업 제도 도입
#### 리튬전지 안전관리 강화
화재 위험성이 높은 리튬전지와 관련된 제도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위해 소방청은 **특수가연물 지정 및 세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며, 해당 결과는 11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금수성 물질의 취급 기준도 전국 시·도 조례에 반영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 현장 점검 및 외국인 근로자 교육
지난 6월 실시된 전국 전지공장 현장 점검에서는 관할 소방관서장이 직접 사업장을 방문하여 화재 예방 실태와 안전의식 수준을 확인했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 대상 소방안전교육**과 대피 매뉴얼 숙지 여부를 점검하며, 화재 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태세를 구축했다.
#### 향후 대책
홍영근 화재예방국장은 “재발 방지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제도 개선과 기준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예방 중심의 화재안전 관리 강화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 담당자 정보
– 책임자: 홍장표 과장 (044-205-7440)
– 담당자: 김우석 소방령 (044-205-7441)
원문보기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관련 보도자료 요약**
정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고 관련 기술을 혁신하기 위해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신약 개발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창의적 접근법을 발굴하여 미래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취지입니다.
### 주요 내용:
1. **대회 목표**
– 인공지능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산업에 적용할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알고리즘을 발굴.
– 국내 연구진 및 스타트업들이 보유한 AI 역량을 신약 개발 분야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회 마련.
2. **참여 대상**
–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 스타트업, 기업 등 다양한 계층에서 참여 가능.
– AI 및 생물정보(Bioinformatics) 응용 기술 연구자와 신약 개발 전문가들도 참여 장려.
3. **대회 일정**
– 예선 및 본선: 2025년 상반기 개최 예정.
– 세부 일정 및 심사 방식은 추후 공지.
4. **지원 내용**
– 우수 팀에 대해 상금, 연구비 지원 및 신약개발 관련 국가 프로젝트 참여 기회 부여.
– 데이터 접근성 강화를 위해 국가 연구기관 및 산업체에서 제공하는 신약 개발 관련 데이터셋도 활용 가능.
5. **경진대회 기대 효과**
– 신약 개발의 기간 및 비용 절감을 도울 수 있는 AI 솔루션 발굴.
– 신약 후보 물질 탐색 단계에서 AI의 정확도 및 효율성을 극대화해,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에서 선도적 역할 수행.
자세한 내용 및 대회 참가 방법은 [자료 제공: www.korea.kr]에서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문보기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2025 섬과 연안 생태사진 공모전’ 개최**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섬과 연안 지역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환경보전 의식을 확산하기 위해 ‘2025 섬과 연안 생태사진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 **공모전 개요**
– **표어**: ‘섬과 연안의 생명을 기록하다’
– **대상**: 국내 섬과 연안에서 촬영한 생태 사진(야생생물, 생태계 풍경, 생물의 행동 등)이라면 누구나 응모 가능
– **분야**:
1. 야생생물
2. 서식지·생태계 풍경
3. 행동·생태 순간 포착
4. 스마트폰 촬영 사진
### **공모전 일정 및 제출 방법**
– **응모 기간**: 2025년 6월 23일 ~ 7월 31일
– **출품 개수**: 분야별로 1인당 최대 2점까지
– **심사 및 수상**: 총 39점의 우수작에 대해 1,000만 원 상당의 상금 수여
### **활용 계획**
수상작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누리집(hnibr.go.kr)과 SNS를 통해 홍보 자료로 활용됩니다. 또한, 생태사진 순회전시, 환경교육 자료, 전시물 제작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될 예정입니다.
### **참여의 의미**
박진영 관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섬과 연안 지역의 생명 다양성을 국민과 함께 새롭게 발견하고,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전파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아름다운 생태계의 순간을 기록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 많은 참여 바랍니다!
원문보기
### 국내 환경 기술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초석: 중남미 국가 초청연수 개최
환경부가 중남미 4개국 고위급 공무원을 초청해 물·자원순환 정책과 기술을 전수하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연수는 6월 23일부터 27일까지 국내에서 진행되며, 한국의 혁신적인 환경 기술과 정책을 공유함으로써 중남미 국가들의 환경 문제 해결은 물론 국내 환경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
#### **중남미 국가의 환경 문제와 한국의 대응**
중남미 국가들은 기후변화, 도시화, 물 수요 증가, 자원순환 체계 미비와 같은 복합적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안전한 먹는물 공급 기반시설, 누수 방지를 통한 유수율 제고, 하·폐수 관리, 폐기물 적정 처리, 고형폐기물 매립지 확충 등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은 스마트 관망 관리 기술, 하수도 분야의 선진 기술, 폐기물 관리 디지털화 등 강점을 가진 기술을 통해 이러한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 **연수의 주요 프로그램**
1. **정책·기술 세미나(6월 23일)**
– 중남미 4개국 대표들이 국가별 도전과제와 정책 방향을 공유하며, 한국의 물·자원순환 정책과 주요 기술을 소개합니다.
– 현안 해결을 위한 양국 간 협력의 이해를 높이는 자리가 됩니다.
2. **1대1 맞춤형 간담회(G2B)**
– 중남미 정부 부처와 국내 환경기업·기관(18곳)이 만나는 간담회를 통해, 각국의 실제 기술적 요구를 파악하고 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합니다.
– 이를 통해 중남미 시장에서 계약 체결 및 사업 기회 확장의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3. **현장 견학 프로그램**
– △신월 대심도 빗물터널 및 빗물펌프장
– △중랑물재생센터(생활하수 재이용 시설)
– △하늘공원(폐기물 매립지 복원 사례) 등 한국의 뛰어난 환경관리 사례를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 **중남미 시장 진출의 기대 효과**
이번 연수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 환경 기술과 정책 능력을 중남미 정책결정자들에게 홍보하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업과 기술이 세계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이번 협력을 통해 중남미 시장의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맞춤형 사업을 발굴하고 이를 추진하여 우리 기업의 실질적 진출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이번 초청연수는 단순한 기술 전수에 그치지 않고, 중남미 국가들과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한국 환경산업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번 사례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협력의 모범 사례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원문보기
**2025년 FTA 피해보전직불금 지원 품목, ‘녹두’로 최종 선정**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2025년 자유무역협정(FTA) 피해보전직불금(FTA 직불금) 지원 품목으로 ‘녹두’를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원은 FTA 이행으로 인해 수입량 증가와 가격 하락 피해를 입은 품목을 대상으로 농업인의 손실을 보전하는 제도이다.
### **FTA 직불금 개요**
FTA 직불금은 FTA 이행으로 가격이 하락한 품목에 대해 피해를 보전하기 위해 지급된다. 지급 기준은 피해 품목의 기준가격 대비 국내 가격 하락분의 95% 범위에서 결정되며, 기준가격은 직전 5개년도 평균가격의 90%를 적용한다. 또한, 자유무역협정 이행에 따른 수입 증가가 가격 하락에 미친 영향인 ‘수입기여도’가 평가 요소로 고려된다.
### **녹두 선정 과정**
녹두가 최종 선정된 배경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FTA 이행지원센터’를 통해 진행된 분석 결과와 대외 의견 수렴 및 전문가 심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총 110개 품목(주요 관세 감축 품목 42개, 농업인 신청 품목 68개)을 대상으로 피해 여부를 조사했으며 농업인 단체 및 학계 전문가가 참여한 심의를 통해 녹두가 최종 선정됐다.
### **직불금 지급 대상 및 신청**
녹두 직불금 지급 대상자는 한·페루 FTA 발효일(‘11.8.1.) 이전부터 녹두를 생산해 온 농업인이다. 신청 기간은 **2025년 6월 23일부터 8월 1일까지**로, 농업인은 지급 희망 시 관할 읍·면·동 사무소를 통해 생산 및 판매 입증 서류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 **향후 일정**
농식품부는 신청 기간 종료 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서면과 현장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최종 지급 대상자와 직불금 지급 단가는 **10월 중 확정**되며, 농업인들은 **12월 내 직불금을 수령**할 수 있다.
### **농식품부 당부**
농식품부 관계자는 직불금 지급 요건을 충족하는 농업인들이 신청을 놓치지 않도록 적극적인 안내를 요청하며, 농업인들에게는 지정된 기간 내에 신청 절차를 완료해 줄 것을 당부했다.
—
**붙임:**
1. FTA 피해보전직접지불제도 개요
2. 2025년도 피해보전직접지불금 신청 안내문
**문의:** 농림축산식품부(www.korea.kr)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본격 추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지정 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육성지구는 지역 단위의 산업 기반을 조성하며, 연구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 과정에 걸쳐 통합적 지원 및 생태계를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 주요 내용 및 추진 계획
1. **육성지구의 특징**:
– **전 주기 지원**: 기획부터 실증, 사업화 및 인력양성을 통합적으로 지원합니다.
– **산·학·연 협력 체계 조성**: 기업, 대학, 연구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며, 기업 입주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킵니다.
2. **올해 첫 지정 추진**:
– 8월까지 지자체 조성계획 접수 후, 산업성, 추진역량, 정책 적합성,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지구를 최종적으로 지정할 예정입니다.
– 신청은 광역자치단체 단위로 진행되며, 복수의 시·군·구 또는 광역 간 연계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필요 조건 및 평가 기준**:
– 계획에는 **산·학·연 협력구조, 재정투입, 운영방안 등 실현 가능한 실행 내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지역 산업과의 연계성, 성장 전략**, 지자체의 정책 연계 의지 등이 중요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 혜택 및 지원
지정된 지구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
– **인프라 사업 공모 참여 자격 부여**: 관련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 가능.
– **기업지원 사업 가점 제공 및 부지 특례**: 우대 정책을 통해 기업 활성화 유도.
– **전략시설 우선 고려**: 벤처캠퍼스, 바이오파운드리 등을 유치할 경우 육성지구가 우선적으로 선정됩니다.
### 농식품부의 향후 계획
농식품부는 “지역 기반의 그린바이오산업 혁신 모델 구축”을 목표로, 지자체와 기업, 대학 등 각계각층과 긴밀히 소통하며 현장 수요와 지역 여건이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기존 단위 사업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 자율성을 강조하며, 지방 기반 산업 전략 설계 방식으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할 것입니다.
—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바이오산업 발전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농식품부의 정책 추진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주목해봐야 할 시점입니다.
원문보기
### 한국 농기자재, 태국 시장 진출 박차…농림축산식품부 시장개척단 파견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국내 농기자재 수출기업 15개사를 태국에 파견하여 6월 23일부터 27일까지 한국 농기자재 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시장개척 활동을 펼친다고 밝혔습니다.
#### 주요 참여 기업
시장개척단에는 비료, 농기계, 시설자재, 사료, 농약, 종자 분야에서 대표적인 국내 기업들이 참가합니다.
– **비료**: 봉강친환경영농조합법인, ㈜엠알이노베이션, 효성오앤비㈜ 등
– **농기계**: 성부산업, ㈜아성정공, ㈜기반테크 등
– **기타**: ㈜우리가제약(사료), ㈜한얼싸이언스(농약), ㈜농우바이오(종자) 등
#### 태국 시장 개척의 중요성
태국은 지난해 한국 농기자재 수출액이 1.5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0% 증가한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했습니다. 최근 태국 정부는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과 생산성 제고를 목표로 농업 기계화, 친환경 농자재 보급, 스마트농업 기술 도입을 추진 중이며, 이는 한국 농기자재 기업들에게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주요 활동 및 일정
1. **수출상담회 개최 (6월 24~25일)**
– 국내 15개 기업과 동남아 구매업체(바이어) 47개사가 일대일 매칭 상담회를 진행합니다.
– 바이어 대상 사전 인터뷰를 통해 관심사 및 구매 의향을 분석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참가 기업들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2. **태국 정부·유통업체 방문 (6월 26~27일)**
– 태국 농업 정책과 수출입 규제를 파악하고, 주요 유통구조 및 수입 경로를 조사해 국내 기업의 전략적 접근 방안을 모색합니다.
#### 수출 판로 확대 계획
농식품부는 올해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해외 판로개척 활동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1. **수출상담회**
– 서울(7월, 10월) 및 해외 상담회 개최
2. **해외 박람회 한국기업관 운영**
– 인도네시아(7월), 말레이시아(8월), 필리핀·사우디·중국(10월), 튀르키예(11월) 등에서 한국 기업을 알릴 예정
3. **해외 시장개척단 파견**
– 두바이(9월) 등 주요 해외 시장에 맞춘 활동
#### 기대 효과
농식품부 김정욱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기자재 기업들이 전 세계 다양한 시장에서 수출 기반을 다지고, 특히 태국과 동남아 시장 진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바란다”며, 하반기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응하여 수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태국 시장개척단 활동은 한국 기업들이 동남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수출 확대를 향해 한 발 더 내딛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공익직불제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가 **공익직불제 우수사례 공모전**을 처음으로 개최하며, 농업·농촌의 공익 기능 증진 효과를 국민들에게 알리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농업 현장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공익직불제를 활성화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
### **공익직불제란?**
공익직불제는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강화하고 농업인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직불제
– **대상**: 모든 농업인 및 농지 요건 충족 시 지급
– **내용**: 농지 유지, 영농폐기물 수거 등 16가지 의무 이행 조건 준수
– **면적직불제**: 경작 면적에 따라 지급
– **소농직불제**: 소농(0.5ha 미만) 농가에 정액 지원
#### 선택직불제
– **전략작물 직불제**: 식량 자급률 제고를 위해 콩, 밀, 조사료 등 재배 농가 지원
– **친환경 직불제**: 유기농·무농약 등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가 지원
– **경관직불제**: 유채, 코스모스 등 경관 작물 재배 농가 지원
– **저탄소 직불제(시범 사업)**: 온실가스 저감 활동(논물 조절, 저메탄 사료 급여 등) 농가 지원
—
### **공모전 상세 안내**
#### **공모 주제**
– 공익직불제가 농업 및 생활 안정에 기여했던 경험
– 직불제 준수사항과 선택직불 참여로 인한 공익 기능 증진 사례
– 직불제 효과에 대한 일반 의견 및 발전 방향 제안을 포함한 내용
#### **참여 대상**
공익직불금을 수령한 적 있는 **모든 농업인**.
####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3년 6월 23일(금) ~ 9월 12일(화) 23시**
– 제출 방식:
– **QR코드** 사용해 네이버폼 제출
– 농식품부 공익직불제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내려받아 이메일 접수
(**이메일**: [email protected])
#### **시상 내역**
총 10점의 우수사례를 선정해 시상하며, 10월 31일경 결과 발표:
– **대상(1점)**: 농식품부 장관상 + **상금 200만 원**
– **최우수상(3점)**: 상금 **150만 원**
– **우수상(6점)**: 상금 **50만 원**
—
### **농식품부의 기대와 향후 계획**
윤원습 농업정책관은 “이번 공모전은 공익직불제 도입 이후 시행된 첫 사례 수집 노력으로, 농업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와 공익기능 증진 효과를 담아내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농식품부는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우수사례를 활용하여 **공익직불제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알리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제도 확대와 발전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번 공모전은 농업의 지속 가능성과 식량안보 강화라는 측면에서, 농업이 가진 공익적 역할을 재조명할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