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1 – 보도자료 요약

⚠️ GPT로 정제한 콘텐츠이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세줄요약

[보건복지부]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보건복지부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을 위한 ‘돌봄통합지원법’의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이 법은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이 지역사회에서 의료와 요양을 연계해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26년 3월 27일 시행 예정이다.

입법예고 기간 동안 국민 의견을 수렴하며 주요 내용은 대상자 선정, 지원계획 수립, 전문기관 지정 및 통합지원 시스템 구축 등을 포함한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a legislative notice for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rules of the “Integrated Support for Community Care Act,” which focuses on medical and care services.

This act aims to provide integrated community-based care for individuals in need, allowing them to live healthily in their communities, and is set to be implemented on March 27, 2026.

During the public comment period, feedback will be collected, with key details covering beneficiary criteria, support planning, designation of expert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support system.

[보건복지부]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시행 첫해 만족도 93.8점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보건복지부는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시행 1주년을 맞아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으며, 보호자와 이용자 모두 높은 만족도(93.8점, 96.3점)를 보였다.

서비스는 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 정서적 안정 및 가족관계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서비스 개선 방향으로는 프로그램 다양화, 이용 시간 연장, 환경 개선 등이 제안되었으며, 내실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점검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rked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grated Care Service by announcing a satisfaction survey, which showed high scores from both caregivers and users (93.8 and 96.3, respectively).

The service positively impacted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reducing caregiving burdens,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Future improvements include diversifying programs, extending service hours, and enhancing facilities, with continued efforts planned to strengthen the service’s quality.

[산업통상자원부]무역기술장벽 확산 지속, 부처 협력으로 수출기업 보호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제2차 무역기술장벽 대응 협의회를 개최하여 주요 기술규제와 지역 무역기술장벽 현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규제 대응을 위해 중앙-지방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수출기업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지원을 강조했다.

영문 요약:
The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held the 2nd Trade Technical Barrier Response Council to discuss key regulations and local trade technical barrier issues.

The government emphasized support for exporters by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regional authorities to reduce uncertainties.

[산업통상자원부]비수도권 외국인투자는 기회발전특구 면적상한에서 제외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산업통상자원부는 비수도권 기회발전특구에 외국인투자가 유치된 경우 면적상한을 초과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 개정을 발표했다.

이 조치는 2025년 6월 12일부터 시행되며, 외국인투자 유치에 따른 지방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기존 면적 조건을 완화하여 시·도의 외국인투자 유치 노력을 장려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a revision to allow non-metropolitan Opportunity Development Zones to exceed area limits if foreign investments are attracted.

This measure will take effect starting June 12, 2025, aiming to boost regional economies through foreign investment.

The adjustment is expected to encourage cities and provinces to intensify efforts in attracting foreign investors.

[농촌진흥청]더위에 강한 배추 개발, 현장과 함께 해법 논의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농촌진흥청은 배추 생산 안정화를 위해 6월 11일 배추 환경 스트레스 대응 토론회와 현장 평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고온과 가뭄에 강한 품종 개발을 목표로 학계와 종자회사, 연구기관 등이 협력하며 다양한 배추 자원을 평가할 예정이다.

연구자는 배추 수급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농업과 연구 현장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영문 요약: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ill hold a seminar and on-site evaluation on June 11 to address environmental stress issues in cabbage production.

This event aims to develop heat- and drought-tolerant cabbage varietie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seed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Resear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agriculture and research to stabilize cabbage supply.

[해양수산부]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계획 공청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해양수산부는 6월 12일 인천항 내항 재개발사업 공청회를 개최해 사업계획안을 시민과 전문가에게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 재개발사업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약 5,906억 원을 투입해 해양문화 도심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ill hold a public hearing on June 12 to present its redevelopment plan for Incheon Port and gather opinions from citizens and experts.

The redevelopment project aims to invest approximately 590.6 billion KRW from 2024 to 2028 to create a marine cultural urban space, boosting the local economy.

[농촌진흥청]’우수 국산 나리 한자리에’ 현장서 아름다움, 활용도 평가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농촌진흥청은 6월 11일부터 17일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국내 육성 나리 품종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현장 평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절화용, 조경용 등 20개 품종과 우수 계통을 선보이며 소비자와 농가, 전문가들이 품종 평가에 참여한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품종 보급 확대와 나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영문 요약: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ill hold a field evaluation from June 11 to 17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to showcase the excellence of locally developed lily varieties.

The event features 20 varieties and superior lines for floral and landscaping uses, allowing consumers, farmers, and experts to participate in evaluations.

The agency plans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domestic lily varietie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lily industry through collaboration.

[해양수산부]바다에서 시작하는 창업 도전, 해양수산 창업설명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해양수산부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025년 해양수산 창업설명회’를 6월 12일 서울에서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전문가 강연, 성공 사례 특강, 1:1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며 해양 신산업 창업자를 위한 실전형 플랫폼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추가로 창업 지원 프로그램과 투자유치 역량 강화 방안도 소개되며 사전 등록은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re hosting the “2025 Oceans and Fisheries Startup Forum” on June 12 in Seoul.

The event will feature expert lectures, success story sessions, and personalized consultations, aiming to enhance its role as a practical startup platform for the ocean-based industries.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resources for investment capacity building will also be introduced, with pre-registration available via QR code.

[해양수산부]美 관세·비관세 대응, 민·관협력으로 새로운 기회 만든다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해양수산부는 미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간담회를 개최하고 주요 수산식품 수출업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시간 관세 정책 정보 제공, 물류 지원 확대 등의 지원책을 마련해 대미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김, 굴, 참치 등 한국산 수산식품의 대미 수출은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eld a meeting to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eafood exporters caused by U.S.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Based on discussions, they plan to enhance support measures such as real-time tariff policy updates and expanded logistics assistance to boost export competitiveness.

Despite economic challenges, the export of Korean seafood products like seaweed, oysters, and tuna to the U.S. continues to grow.

[국방부]국방홍보원 유튜브 KFN ‘골드버튼’ 영예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국방홍보원의 유튜브 채널 KFN이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골드버튼’을 받을 자격을 얻었다.

KFN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콘텐츠로 안보 이슈를 다루며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해 왔다.

오는 7월에는 신규 채널 ‘KFN Plus’를 개설해 디지털 플랫폼으로서의 완성도와 소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영문 요약:
The Korea Defense Media Agency’s YouTube channel KFN surpassed 1 million subscribers, earning eligibility for the ‘Gold Button.’

KFN has strengthened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rough diverse programs featuring security issues and military life.

In July, a new channel named ‘KFN Plus’ will be launched to enhance the agency’s digital platform and public engagement.

[원자력안전위원회][보도참고자료](공동)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289일차)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IAEA의 첫 확충모니터링 결과, 후쿠시마 원전 인근의 해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우리 정부는 국민 건강을 위해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검증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6월 기준 국내외 수산물과 해역, 선박평형수, 해수욕장에서 방사능 검출 사례가 없었고 모든 검사 결과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인근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역시 검출 하한치 미만으로 기록되어 WHO 기준 대비 안전한 상태로 평가되었습니다.

영문 요약:
The first IAEA monitoring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water near the Fukushima power plant, and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continue verifying safety actively.

As of June, domestic and imported seafood, coastal waters, ballast water, and beaches showed no radiation contamination, confirming safety levels across all tests.

Tritium concentrations near the Fukushima plant were also below detection limits and assessed as safe compared to WHO standards.

[국토교통부]배달 공제보험 이용자 10만명 돌파, 12일 대여 이륜차용 공제 상품 2종 추가 출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배달 공제보험 이용자가 10만 명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2일에는 대여 이륜차를 위한 공제 상품 2종이 추가 출시될 예정입니다.

영문 요약:
The number of users for delivery mutual insurance has surpassed 100,000, indicating growth.

Two new mutual insurance products for rental motorcycles will be launched on the 12th.

[국민권익위원회]"2024년 부정수급, 1천억 원 규모"… 환수 등 제재처분 점검 결과 발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국민권익위는 30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부정수급 점검 결과 총 1,042억 원 환수와 288억 원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했다고 발표했다.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등에서 환수액이 높았으며, 청년일자리창출지원금과 연구개발비 관련 제재부가금도 두드러졌다.

정부와 지자체는 공공재정환수법을 통해 엄정한 환수 및 제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영문 요약: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announced that 309 public institutions recouped 1,042 billion KRW and imposed 288 billion KRW in penalty charges for fraudulent subsidies.

Key findings included substantial recoupment from livelihood and housing benefits, while penalty charges were most significant for youth job creation subsidies and R&D funds.

The commission highlighted ongoing efforts to strengthen penalty measures under the Public Finance Recovery Act.

[질병관리청]기후위기 대응 본격화 매개체 감시·방제 5개년 로드맵 수립(6.11.수)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질병관리청은 기후변화와 국제교류로 인해 증가하는 감염병 매개체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매개체 감시·방제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며, 스마트 감시체계와 친환경 방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AI 기술을 활용한 모기 감시장비와 국제 협력을 통해 매개체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의 방제 체계도 마련한다.

예방수칙으로는 모기와 진드기 서식지 차단, 보호 복장 착용, 예방접종 등이 권고되며 해외 유입 매개 감염병 관리에도 힘쓸 계획이다.

영문 요약: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has announced a mid- to long-term plan for vector surveillance and management from 2025 to 2029, aiming to address the increasing threat of disease vector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interactions.

The initiative includes enhanced real-time vector monitoring through AI technology,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measures, and community-based systems to safeguard public health.

Recommendations emphasize removing mosquito and tick habitats, wearing protective clothing, and vaccines, while also strengthening efforts to manage imported infectious diseases.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K-FAST 글로벌 확산을 위한 민·관 협력 논의 본격화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과기정통부가 K-FAST 글로벌 확산을 위한 민·관 협력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s actively discuss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the global expansion of K-FAST.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file.

[개인정보보호위원회](보도참고) 개인정보위, 고객관리 솔루션 업체 ‘세일즈포스’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 관련 사실관계 확인중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세일즈포스의 CRM 솔루션을 이용하는 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 시도가 발생한 정황을 조사 중이며, 관련 기업들에게 보안 점검과 계정 관리를 강화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일부 사례에서 해커가 세일즈포스 IT팀 직원을 사칭해 피싱 공격으로 개인정보를 탈취한 정황이 보고되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세일즈포스사의 보안 취약점 여부를 확인하고 기업들에게 다중 인증과 피싱 예방 교육 등 보호 조치를 요청했습니다.

영문 요약: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is investigating potential data breaches involving Salesforce’s CRM solution and has urged related companies to strengthen security checks and account management.

Some cases reported hackers impersonating Salesforce IT staff to conduct phishing attacks, leading to data theft incidents.

In response, the commission is verifying Salesforce’s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advising companies to implement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phishing prevention measures.

[소방청]국민의 여름을 안전하게! 소방청, 풍수해 대비 전국 소방장비 일제점검 실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소방청은 여름철 풍수해 대비를 위해 6월 11일부터 25일까지 전국 소방서에서 소방장비 일제점검을 진행한다.

이번 점검은 폭우, 태풍 등 재난 상황에서 소방장비의 신속한 가동과 대응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점검 후 이상이 있는 장비는 즉시 수리 조치되며, 국민 안전을 위해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영문 요약:
The National Fire Agency will conduct a nationwide equipment inspection at fire stations from June 11 to June 25 to prepare for summer disasters.

This inspection aims to ensure swift operation and response of fire equipment during emergencies like heavy rain and typhoons.

Any defective equipment will be immediately repaired to maintain readiness and ensure public safety.

[고용노동부](참고) 제조·건설 감소세 완화되며 13개월 만에 20만명대 증가고용률·경활률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5월 15세 이상 고용률은 63.8%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실업률은 2.8%로 감소세를 보였다.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및 취약계층 고용 촉진을 위한 노력은 계속 강화되고 있다.

영문 요약:
In May, the employment rate for individuals aged 15 and older increased slightly to 63.8%, with the unemployment rate dropping to 2.8%.

Efforts to boost job crea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support vulnerable groups remain ongoing and intensified.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도시 장마철 안전 ‘미리미리, 빈틈없이’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기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추가 정보를 통해 더 구체적인 요약이 가능할 것입니다.

영문 요약:
No specific details about the article were provided.

Further information would enable a more detailed summary.

[조달청]조달청, 디지털서비스 업계와 현장 소통 간담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조달청은 디지털서비스 카탈로그 계약제도 개선을 위해 11일 서울에서 간담회를 개최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참석 기업들은 계약 절차 간소화, 품질 점검 부담 경감 등 다양한 개선 요청을 제시했으며, 조달청은 이를 반영해 디지털서비스업계의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영문 요약: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eld a meeting in Seoul on the 11th to gather opinions on improving the digital service catalog contract system.

Participating companies proposed simplifying contract procedures and reducing quality inspection burdens, with PPS committing to reflect these changes to enhance industry support.

[조달청]조달청 물품구매 금주('25.06.16. ~ '25.06.20.) 입찰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조달청은 2025년 6월 16일부터 20일까지 총 171건, 약 3,344억 원 상당의 물품 구매 입찰을 집행할 예정이다.

주요 입찰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의 차세대 쇄빙연구선 제조구매가 있으며, 협상 계약으로 전체 금액의 81.7%를 차지한다.

지역별로 본청이 대부분의 예산을 집행하며, 서울청 등 지방청이 나머지를 담당한다.

영문 요약: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lans to conduct bids for 171 items worth approximately 334.4 billion KRW from June 16 to June 20, 2025.

Key bids include the manufacturing and purchase of next-generation icebreaking research vessels, with negotiated contracts making up 81.7% of the total amount.

Regionally, the main office will handle the majority of the funding, while regional offices like Seoul will manage the remainder.

[국가유산청]기후위기 시대, 야외 문화유산 첨단 보존기술의 방향을 논하다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6월 12일 경주에서 “야외 문화유산의 기후변화 대응 보존기술”을 주제로 학술 발표회를 개최한다.

이 발표회는 야외 문화유산의 재질 특성과 손상취약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존 기술과 최신 연구 사례를 공유하며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발표회는 총 6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으로 구성되며, 누구나 현장 등록을 통해 참석할 수 있다.

영문 요약: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host a symposium on June 12 in Gyeongju titled “Preservation Technologies for Outdoor Cultural Heritag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event aims to share tailored preservation techniques and recent research for outdoor heritage materials while exploring strategies to address climate-change-related damage.

It includes six presentations and a comprehensive discussion session, and attendees can register on-site without prior registration.

[고용노동부]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현장 점검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폭염 고위험사업장을 대상으로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준수 여부를 점검합니다.

33도 이상의 폭염 작업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부여하는 지침이 강조되었습니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ill inspect high-risk workplaces for heatwaves.

The guidelines emphasize providing at least 20 minutes of rest every two hours during work in temperatures above 33 degrees Celsius.

[국가유산청]남한 최대의 청동기시대 유적, ‘부여 송국리’를 다시 보다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부여 송국리 유적 발굴 50주년을 기념하여 국제학술대회와 사진전을 개최한다.

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송국리 유적의 조사 성과를 공유하고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논의하며, 사진전에서는 발굴 현장을 담은 자료가 전시된다.

이번 행사는 송국리 유적의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환기하고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문 요약: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is hosting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and photo exhibition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xcavation of the Buyeo Songguk-ri site.

The conference will feature discussions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on research findings and preservation strategies, while the photo exhibition showcases the excavation’s historical imagery.

This event aims to highligh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ongguk-ri site and foster academic exchanges.

[특허청]찾아가는 IP상담, ENVEX2025 현장에서 만나다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특허청은 ENVEX2025에서 지식재산 상담부스를 운영하며 찾아가는 맞춤형 특허 상담서비스를 진행한다.

이번 상담서비스는 기업의 기술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특허 심사 절차를 안내하여 경제적 가치가 높은 특허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청은 환경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속가능한 기술 혁신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영문 요약: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will provide tailored patent counseling services at ENVEX2025, alongside an intellectual property consultation booth.

This initiative aims to deeply assess firms’ technologies and guide them in the patent examination proces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valuable patents.

KIPO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committed to supporting sustainable technological innovation.

[관세청]’25년 6월 1일 ~ 6월 10일 수출입 현황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관세청은 6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으며, 수출은 155억 달러로 5.4% 증가했고 수입은 172억 달러로 11.5%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해당 기간의 무역수지는 1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영문 요약:
The Korea Customs Service announced the export-import performance from June 1 to 10, noting that exports increased by 5.4% to $15.5 billion while imports rose by 11.5% to $17.2 billion.

As a result, the trade balance for the period recorded a deficit of $1.7 billion.

[산업통상자원부]"AI・디지털 전환이 경쟁력!" 신(新)기술로 미래 유통 이끈다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제13회 유통산업주간이 ‘AI・디지털 전환시대의 유통혁신’을 주제로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며, 다양한 행사와 혁신 기술이 소개된다.

AI 활용 사례와 디지털 기술 전환 전략을 논의하며, 유통 데이터 플랫폼, AI 물류 관제 시스템 등 306개 부스 규모로 신기술도 전시된다.

정부는 유통 AI 활용률 제고와 생태계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을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영문 요약:
The 13th Retail Industry Week, held from June 11 to 13, focuses on ‘Innovation in Retail Through AI and Digital Transformation,’ showcasing diverse events and technologies.

Discussions center around AI applications and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with 306 booths featuring innovations like retail data platforms and AI logistics control systems.

The government plans to actively support AI utilization and ecosystem development in retail, unveiling a basic retail industry development plan later this year.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수입식품 안전관리 정책설명회 개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수입식품 안전관리 정책 설명회를 개최하며, 주요 안전관리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이 설명회는 수입식품의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관련 업계와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eld a policy briefing on import food safety management, discussing key strategies.

This event aimed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the industry to ensure the quality and safety of imported food.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받지 않은 ‘점, 쥐젖 제거기’ 수입·판매업체 적발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식약처는 허가받지 않은 점과 쥐젖 제거기를 수입·판매하던 업체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의료기기로 분류되나 안전성과 효과가 검증되지 않아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it had uncovered a company importing and selling unauthorized mole and skin tag removers.

These products are classified as medical devices but lack verified safety and efficacy, prompting consumer caution.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25년 5월 의료제품 허가 현황 안내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식약처는 2025년 5월 기준 의료제품 허가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국내 의료제품 시장과 관련된 최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nounced the status of medical product approvals as of May 2025.

This release aims to provide updated information on the domestic medical product market.

[산림청]무궁화 해충 피해 70% 감소, ‘큰붉은잎밤나방’ 친환경 방제 기술 상용화 성공!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국립산림과학원이 무궁화 해충인 큰붉은잎밤나방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 교미교란제를 개발하여 상용화에 성공했다.

교미교란제는 성페르몬을 활용해 농약 없이 해충 번식을 억제하며, 해충 피해를 약 70%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 기술은 유기농업 자재로 등록된 후 기술이전과 제품 제작을 통해 도시 공원 및 가로수 등 농약 사용이 제한된 지역에서 활용 가능성을 열었다.

영문 요약: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ccessfully commercialized an eco-friendly mating disruptor for controlling the Hibiscus pest, Rusicada privata.

Utilizing synthesized sex pheromones, the disruptor effectively reduced pest damage by approximately 70% without the use of pesticides.

This innovation, registered as an organic farming material, opens new possibilities for urban areas where pesticide use is limited, such as parks and roadside trees.

[통계청]2025년 5월 고용동향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2025년 5월 고용률은 70.5%로 전년 대비 0.5%p 상승했으며, 실업률은 2.8%로 0.2%p 하락했습니다.

실업자는 85만 3천 명으로 전년 대비 3만 2천 명 감소했고,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24만 5천 명 증가한 2,816만 명입니다.

영문 요약:
In May 2025, the employment rate reached 70.5%, a 0.5%p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the unemployment rate decreased to 2.8%, down by 0.2%p.

The number of unemployed fell by 32 thousand, totaling 853 thousand, while the number of employed increased by 245 thousand, reaching 28.16 million.

[환경부]2025년 우수환경도서 30종 선정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환경부는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출간된 환경 관련 도서 중 30종을 ‘2025년 우수환경도서’로 선정하고 6월 11일부터 국가환경교육통합플랫폼에 공개한다.

선정된 도서는 전 연령대에 맞춰 기후변화, 탄소중립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다루었으며, 전국 학교와 도서관에 배포 및 대여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환경교육 주간 및 독서의 달을 연계한 독서 행사와 함께 공모전을 매년 개최해 환경 인식 확산에 기여할 계획이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selected 30 environmental books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three years as the “2025 Outstanding Environmental Books” and will disclose them on the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Integration Platform starting June 11.

These selected books address various environmental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carbon neutrality, tailored for all age groups, and will be distributed and lent to schools and libraries across the country.

The ministry plans to hold reading events link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Week and the Reading Month while aiming to organize the annual contest to further promote environmental awareness.

[국토교통부]연료비 아끼고 온실가스 줄이는 화물차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에 참여하세요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화물차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은 연료비 절감과 온실가스 저감을 목표로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보도자료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문 요약:
The Eco Driving Campaign for cargo trucks aims to reduce fuel cos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attached press release file.

[기획재정부][보도참고] ‘25.5월 고용동향 및 평가

요약보기
한국어 요약:
기획재정부가 5월 고용동향 자료를 발표하며 관련 정보와 통계를 공개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문 요약: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released employment trend data for May,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and statistics.

Detailed content can be reviewed in the attached document.

요약

[보건복지부]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발행일: 2025-06-11 02:21

원문보기
보건복지부는 오는 2026년 3월 27일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법은 노쇠, 장애, 질병, 사고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건강한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의료·요양 및 돌봄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은 돌봄통합지원법의 구체적인 집행 방안을 규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65세 이상의 노령층 및 심한 장애인을 주요 지원 대상으로 지정하고 지방자치단체와 보건복지부 간 협의를 통해 추가적으로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했다.

제정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계획 수립 시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관련 법과 연계하고 통합지원대상자의 긴급한 상황에서는 직권으로 신청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한국장애인개발원 등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필요한 조사 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통합지원회의와 협의체를 통해 개인별 지원계획을 수립·심의한다. 이어, 관련 정보를 통합지원정보시스템을 통해 공유하고 전문인력 양성과 전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관 지정도 병행된다. 입법예고 기간 동안 국민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할 계획이며, 의견은 국민참여입법센터나 관련 부처를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이 법안은 지역사회의 통합 돌봄 체계를 구축하여 보다 실질적인 복지 향상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시행 첫해 만족도 93.8점
발행일: 2025-06-11 02:18

원문보기
보건복지부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1:1 돌봄을 제공하는 통합돌봄서비스 시행 1주년을 맞아 만족도 조사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호자 평균 만족도는 93.8점, 이용자 평균 만족도는 96.3점으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비스의 가장 큰 긍정적 효과로는 보호자 스트레스 완화와 정서적 안정, 가족관계 개선 등이 꼽혔으며, 발달장애인의 경우 도전행동 완화 및 정서적 안정이 주요 성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제공 인원의 친절함과 전문성, 이용 환경 등에서도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됐다.

이용자와 보호자들은 특히 서비스가 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응답했으며, 앞으로 서비스 지속 및 주변 추천 의향도 90점을 훌쩍 넘었다. 이번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는 프로그램 다양화, 이용 시간 확대, 공간 확충 등의 개선 요청 사항을 반영할 계획이다. 향후 이러한 데이터는 지자체와 관련 기관에 공유되어 통합돌봄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높이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서비스는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관련 기관을 통해 간편한 상담도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꾸준한 점검과 개선을 통해 서비스 내실을 다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무역기술장벽 확산 지속, 부처 협력으로 수출기업 보호
발행일: 2025-06-11 02:13

원문보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6월 11일 개최한 「무역기술장벽 대응 협의회」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기술규제 문제와 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화학물질, 식의약품 등의 주요 규제뿐만 아니라, 지역적인 무역기술장벽 현안을 공유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며 중앙·지방 간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국표원은 올해 5월까지의 무역기술장벽 통보문 현황을 공유하고, 국가별 대응 실적과 주요 안건을 논의했으며, 「무역기술장벽 대응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과 호주의 신규 규제를 포함한 현재 이슈들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협의를 진행했다.

특히 국표원은 2월에 열린 첫 번째 회의에서 수출기업의 부담을 완화해주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뉴질랜드의 급박한 잔류성 오염물질 제한 시행을 5년간 유예시키는 조치를 통해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줄인 사례가 그러하다. 서영진 기술규제대응국장은 “수출기업이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역기술장벽 통보문의 증가와 맞물려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정부가 협력을 강화하는 만큼 기업들도 도움을 적극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국제 시장에서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비수도권 외국인투자는 기회발전특구 면적상한에서 제외
발행일: 2025-06-11 02:12

원문보기
산업통상자원부는 비수도권의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회발전특구의 지정·운영 등에 관한 지침」을 개정하고, 2025년 6월 12일부터 이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제·재정지원 및 정주 여건 개선을 포함한 패키지 지원이 제공되는 구역으로, 기존에는 시·도별로 면적상한이 정해져 있었다. 하지만 이번 개정을 통해 해당 구역의 외국인 투자 유치 면적만큼 면적상한을 초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지역별 투자 유치 여건을 개선하고자 했다. 예를 들면, 광역시가 외국인 투자로 10만 평을 추가 유치할 경우 기존 상한인 150만 평을 초과하여 최대 160만 평까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기존에 지정된 48개 기회발전특구 사례를 바탕으로 지정 기준을 더욱 구체화하고, 조건부로 지정된 특구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마련하는 등 제도적인 정비도 진행했다. 이번 조치는 그동안 기회발전특구 면적 확대에 대한 지역의 요구를 일부 해소하고, 외국인 투자 유치에 따른 추가 인센티브를 통해 각 지역의 투자 활성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비수도권 지역 발전을 지원하고, 지방 투자 확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농촌진흥청]더위에 강한 배추 개발, 현장과 함께 해법 논의
발행일: 2025-06-11 02:11

원문보기
농촌진흥청은 기후 변화로 인해 여름철 배추 생산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6월 11일 전북 완주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배추 환경 스트레스 대응 연구 토론회와 현장 평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연구계와 농업계가 협력하여 배추 수급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개방형 연구 기반을 강화하려는 취지로 기획되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고온과 가뭄에 강한 배추 품종 개발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포함된다. 민간 종자회사, 대학, 연구 기관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에서는 배추와 고추 등 주요 채소류의 환경 스트레스 대응 전략과 내서·내건성 배추 계통 육종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오후에는 시험 재배지에서 실제로 배추 자원을 평가하는 현장 평가회도 진행된다. 참석자들은 110여 점의 배추 자원을 직접 확인하며 여름철 버팀성, 결구력, 균일도 등 여러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국내외 품종을 비교하며 기후 스트레스에 강한 계통의 현장 도입 가능성을 탐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고랭지 배추 수확량 감소로 인해 발생한 수급 불안과 가격 급등 문제가 올해에도 반복되지 않도록 배추 품종 개선 및 안정적 생산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방침이다. 옥현충 과장은 김치 산업의 근본이 되는 배추 수급 안정화를 위해 연구자와 농업 현장이 협력하는 개방형 연구 플랫폼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계획 공청회 개최
발행일: 2025-06-11 02:11

원문보기
해양수산부는 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계획 수립을 위해 공청회를 개최했다. 인천관광공사 대강당에서 열린 이번 공청회는 인천시컨소시엄, 즉 인천시·인천항만공사·인천도시공사가 제안한 사업계획안을 시민과 전문가들에게 공유하고, 질의응답 및 토론을 통해 지역사회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나온 의견들은 향후 재개발 사업에 반영해, 시민과 함께하는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 재개발 프로젝트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약 5,90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인천 중구 북성동 및 항동 일원에 42만 9천㎡ 규모의 해양문화 도심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경제와 경쟁력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사업이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천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우수 국산 나리 한자리에’ 현장서 아름다움, 활용도 평가
발행일: 2025-06-11 02:10

원문보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6월 11일부터 17일까지 국내에서 육성한 나리 품종과 계통을 선보이는 현장 평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나리 육종 온실에서 열리며, 꽃꽂이용, 조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20개 품종과 우수 계통이 소개된다. 특히 소비자와 알뿌리(구근) 생산 농가, 꽃 재배 농가, 유통업 관계자 및 관련 연구자들이 평가단으로 참여해 국산 나리의 품질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또한, 나리 화단을 팬지, 백묘국 등과 함께 조성해 조경 및 관상용으로의 잠재력도 선보인다.

이번 평가회에서는 우수한 품종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스파클링라이트’와 ‘핑크힐’은 각각 나팔나리와 아시아틱나리의 종간 교잡 품종으로 개발되었으며, 절화용과 정원용으로 뛰어난 환경 적응성과 아름다운 색상을 자랑한다. 또한 ‘원교 C1-146’과 ‘원교 C1-147’과 같은 계통도 독특한 색상과 아름다운 꽃 배열로 소비자 선호가 높다. 농촌진흥청은 수입 알뿌리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한국백합생산자중앙연합회 및 국내 생산업체와 협력해 국산 나리 품종 보급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나리 산업의 발전과 소비 확대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해양수산부]바다에서 시작하는 창업 도전, 해양수산 창업설명회 개최
발행일: 2025-06-11 02:10

원문보기
해양수산부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해양신산업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025 해양수산 창업설명회’를 오는 6월 12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BLUE CHALLENGE – 바다에서 시작하는 창업 도전’을 주제로 진행되며, 해양수산 분야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 강연, 선배 창업기업 성공사례 특강, 투자기관과의 1:1 맞춤형 상담 서비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해양 미세조류를 활용한 건강 기능성 원료 개발 기업과 수상로봇을 이용한 수질정화 솔루션 개발 기업 사례를 통해 분야별 창업의 비전을 제시한다.

행사 참석자들은 창업, 법률, 특허 전문가와 직접 상담할 수 있는 맞춤형 창업상담회를 통해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해양수산 전문 창업기획자와 블루스타트업 프로그램을 활용한 초기 사업화 지원도 소개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설명회를 통해 해양수산에 특화된 창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창업자, 기업, 투자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유망한 창업기업 발굴과 성장을 이루는 기회로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사전 등록은 행사 포스터의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해양수산부]美 관세·비관세 대응, 민·관협력으로 새로운 기회 만든다
발행일: 2025-06-11 02:10

원문보기
해양수산부는 미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강화가 한국산 수산식품의 대미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6월 12일 관련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대미 수출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수출 영향 및 전망, 업계의 주요 대책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간담회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수산부는 실시간 미국 관세정책 동향 정보 제공, 통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출지원기관 간 협업 강화, 물류 지원 확대 등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미 지난 5월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함께 「대미 수산식품 관세 및 통상 현안 범부처TF」를 출범시켜 미국의 대외 통상 조치에 신속 대응하고 있다. 미국의 기본 관세 부과와 높은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 등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한국산 수산식품의 대미 수출은 김, 굴, 참치 등 농산품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김의 경우 수출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0%가량 증가했다. 해양수산부는 앞으로도 업계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하여 수출 장벽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맞춤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국방부]국방홍보원 유튜브 KFN ‘골드버튼’ 영예
발행일: 2025-06-11 02:05

원문보기
국방홍보원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KFN이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국방 및 안보 분야에서 대국민 소통의 중심 채널로 자리매김했다. 2011년 개설된 KFN은 군 장병들의 생생한 일상과 각종 안보 이슈를 다루며 국민과의 거리를 좁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해 왔다. 대표적으로 무기와 전략을 흥미롭게 분석하는 ‘본게임2’, 전쟁사를 다룬 ‘역전다방’, 군인의 일상을 소개하는 ‘안승회기자의군금해’, 그리고 공식 문서를 통해 전투를 조명하는 ‘극비문서전쟁의실마리’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트렌드를 반영해 숏폼 콘텐츠도 강화하고 있다. KFN의 이 같은 성과는 유튜브로부터 구독자 100만 명 이상 채널에 수여되는 ‘골드크리에이터어워드’ 수상 자격을 얻는 데까지 이어졌다.

한편, 국방홍보원은 KFN 외에도 KFN뉴스와 국방일보 등 다양한 채널을 보유하며 국민과의 디지털 소통을 확대하고 있다. 더불어 오는 7월 신규 채널 ‘KFN Plus’를 개설해 콘텐츠 다양성과 소통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채일 국방홍보원장은 이번 성과를 국민과 국군이 함께 이룬 것으로 평가하며, 신뢰받는 국방 플랫폼으로서 살아있는 안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또한 지난해 IPTV 채널 배정 및 시청률 상승 등으로 국민 접근성을 개선하며 대중과의 접점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보도참고자료](공동)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289일차)
발행일: 2025-06-11 02:03

원문보기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하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IAEA는 각국 분석 기관이 참여한 첫 번째 확충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며, 해수 시료 분석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전문가를 일본 현지에 파견하여 방류 설비와 삼중수소 농도 등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방류 준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 도쿄전력의 오염수 샘플에 대한 독립적 분석과 방류 준비 과정도 계속해서 점검되고 있으며, 정부는 방류가 국민 건강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검증할 방침입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국내 수산물과 수입 수산물을 대상으로 방사능 검사와 삼중수소 모니터링을 실행하여 안전성을 확인했습니다. 6월 11일 기준 도출된 검사 결과에 따르면 모든 국내 및 수입 수산물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고, 해양 방사능 긴급 조사에서도 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수준의 삼중수소와 세슘 농도가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주요 해수욕장과 선박평형수 조사에서도 안전한 방사능 수치를 기록했으며, WHO 기준에 비해 우리 해역의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임을 강조했습니다.

[국토교통부]배달 공제보험 이용자 10만명 돌파, 12일 대여 이륜차용 공제 상품 2종 추가 출시
발행일: 2025-06-11 02:00

원문보기
배달 공제보험을 이용하는 배달 라이더 수가 1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급증하는 배달 수요와 함께 라이더들의 안전을 보장하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기존의 배달 공제보험은 배달 업무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상품으로, 라이더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근로 환경을 제공하는 데 크게 기여해 왔습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이러한 보험 가입 증가가 배달업계의 발전과 안전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오는 12일부터는 대여 이륜차를 사용하는 배달 라이더를 위한 공제보험 상품 2종이 추가로 출시됩니다. 이는 개인 이륜차가 아닌 대여 차량을 사용하는 라이더들이 더욱 적합한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가입 대상과 보장 범위를 확대하며 보다 다양한 근로 형태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번 상품 출시는 더욱 많은 라이더들에게 보험 혜택을 제공하고, 배달 산업의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반영한 조치로 보입니다.

[국민권익위원회]"2024년 부정수급, 1천억 원 규모"… 환수 등 제재처분 점검 결과 발표
발행일: 2025-06-11 01:37

원문보기
국민권익위원회는 2024년도 공공재정을 대상으로 한 부정수급 점검 결과를 발표하며 총 1,042억 원의 환수 결정과 288억 원의 제재부가금 부과를 명시했다. 이번 점검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 30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부정수급 사례로는 위장이혼이나 허위 신고를 통한 생계·주거급여 편취, 허위 근무 등록을 통한 청년일자리창출지원금 착복, 장비 구매 비용 중복제출로 연구개발비 편취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격리치료비 및 생활지원비에서 27억 원이 환수되었고 이는 전년 대비 415% 증가하여 두드러진 결과를 보였다.

부정수급 환수율은 기초자치단체가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하였으며, 제재부가금 부과는 중앙행정기관이 85%를 차지했다. 이는 연구개발 및 고용촉진 관련 법령의 제재 조치 근거 마련과 점검이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국민권익위는 공공재정환수법 시행 이후 정부와 지자체의 부정수급 단속 체계가 강화되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공공재정 누수 방지와 제재조치 이행 관리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해당 발표는 공공재정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질병관리청]기후위기 대응 본격화 매개체 감시·방제 5개년 로드맵 수립(6.11.수)
발행일: 2025-06-11 01:30

원문보기
질병관리청은 기후위기에 따른 감염병 매개체의 증가와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감염병 매개체 감시·방제 중장기 계획(2025~2029)’을 발표했다. 최근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 등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모기와 진드기 같은 매개체의 활동기간과 서식지가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본뇌염, 말라리아, 쯔쯔가무시증 등 다양한 감염병 위험이 증가했으며, 해외 유입 매개체와 신·변종 병원체의 국내 유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어 선제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주요 전략으로는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감시체계 구축, 집중감시센터 설치, 매개체 감시와 방제를 연계하는 과학적 방제 시스템 도입 등이 포함된다.

중장기 계획의 핵심은 국가 매개체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친환경적이고 과학적인 방제로 전환하는 데 있다. AI 기반 모기 감시장비를 통해 매개체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기존 감시시간을 단축시키며, 기후변화 영향을 큰 지역과 공항·항만 등 해외 매개체 출입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집중 감시를 강화한다. 또한,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공동 감시체제를 운영하고 지역별 맞춤형 예보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간단한 예방수칙을 실천함으로써 일본뇌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매개체 전파 감염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기후위기 시대에 매개체 전파 감염병의 위험을 줄이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K-FAST 글로벌 확산을 위한 민·관 협력 논의 본격화
발행일: 2025-06-11 01:00

원문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추진 중인 K-FAST의 글로벌 확산을 본격화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K-FAST는 한국형 디지털 혁신 모델로, 디지털 기술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각종 분야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논의는 K-FAST를 국제 사회에 성공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기업 간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과기정통부는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기술 공유를 통해 우리나라의 디지털 혁신 역량을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업, 연구기관, 학계와의 협업을 강화하며, K-FAST를 통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한다. 정부 관계자는 “한국형 디지털 모델의 성공적인 확산이 국가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동체의 디지털 전환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민관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보도참고) 개인정보위, 고객관리 솔루션 업체 ‘세일즈포스’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 관련 사실관계 확인중
발행일: 2025-06-11 01:00

원문보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최근 글로벌 CRM 서비스 업체인 세일즈포스(Salesforce)의 고객관리 솔루션을 사용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개인정보 유출 시도가 발생하고 있는 정황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이용 기업들에게 보안 점검과 계정 관리 강화를 요청했다. 세일즈포스는 전 세계 약 15만 개 이상의 기업에서 사용 중인 클라우드 기반 고객관리 솔루션으로, 일부 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신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구글의 보안 관련 공지에 따르면 해커가 세일즈포스의 IT팀 직원을 사칭하여 보이스피싱을 이용한 악성 코드 설치를 통해 데이터를 탈취한 사례가 드러난 바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세일즈포스에 대해 관련 시스템의 개인정보 보호 취약점 여부를 조사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에게 보안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권고하고 있다. 주요 조치로는 임직원 대상 피싱 방지 교육, 관리자 계정에 대한 다중 인증 추가, 접근 가능한 IP 주소 제한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피해를 예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보안 활동을 강화해줄 것을 재차 촉구하며, 이용자 안전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소방청]국민의 여름을 안전하게! 소방청, 풍수해 대비 전국 소방장비 일제점검 실시
발행일: 2025-06-11 01:00

원문보기
소방청은 여름철 장마와 기후변화로 인한 풍수해에 대비해 6월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전국 소방서를 대상으로 소방장비의 일제 점검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점검은 폭우, 태풍 등 재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로, 소방차량, 드론, 펌프, 구명조끼, 무전기 등 다양한 소방 장비의 작동 상태와 성능을 사전에 점검하여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침수 사고를 대비해 배수지원차와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등 주요 장비를 상시 가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장비 결함으로 인한 공백을 사전에 방지할 계획이다.

점검 항목으로는 소방차량의 소모품과 연료 상태, 선박의 외형 손상 여부, 수중펌프와 동력펌프 작동 상태, 드론과 산악 구조 장비, 통신 장비의 정상 작동 여부 등이 포함된다.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즉시 수리하거나 보완 조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이번 점검이 단순한 관리가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선제대응임을 강조하며, 재난 현장에서 대응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빈틈없는 준비를 하겠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참고) 제조·건설 감소세 완화되며 13개월 만에 20만명대 증가고용률·경활률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
발행일: 2025-06-11 00:44

원문보기
5월 기준 국내 고용 시장에서는 청년층을 포함한 취업률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8%로 전년 동기 대비 0.3%포인트 상승했으며, 주요 경제활동 연령층인 15~64세 고용률도 70.5%로 같은 기간 대비 0.5%포인트 증가했다.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전년 대비 0.2%포인트 상승해 65.6%를 기록했다. 이러한 고용지표는 개선 국면을 보이고 있지만, 청년층 고용 어려움과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는 일자리 창출과 취약계층 고용 촉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실업률은 2.8%로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 하락하였으며, 고용 시장 안정을 위한 구조적 개선 작업도 계속되는 추세다. 청년층을 포함한 모든 세대가 안정적인 일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고용 시장의 지속적 개선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도시 장마철 안전 ‘미리미리, 빈틈없이’
발행일: 2025-06-11 00:43

원문보기
입력하신 내용만으로는 뉴스 기사의 주제나 핵심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관련 보도자료 전체를 입력해 주시면 해당 내용을 기준으로 적합한 요약을 만들어드릴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를 제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조달청]조달청, 디지털서비스 업계와 현장 소통 간담회 개최
발행일: 2025-06-11 00:36

원문보기
조달청은 서울지방조달청에서 디지털서비스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서비스 카탈로그 계약제도 개선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는 ‘규제리셋’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업계로부터 실질적인 의견을 듣고 현장에 맞지 않는 규제를 발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됐다. 카탈로그 계약은 공공기관이 업체에서 제안받은 카탈로그를 기반으로 평가와 협상을 통해 납품받는 방식으로, 단가나 규격을 확정하지 않는 유연한 계약 방식이다.

이번 논의에서 기업들은 계약제도의 홍보 강화, 납품 및 대금 지급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는 매뉴얼 제작, 계약기간 유연화, 그리고 디지털서비스 품질 점검 부담 완화 등을 요청했다. 조달청은 이러한 개선 요청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디지털서비스몰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디지털서비스 공급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신면 조달청 기술서비스국장은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공공부문 지원과 업계 편의 개선을 강조하며, 디지털서비스의 신속한 공급을 위해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달청]조달청 물품구매 금주('25.06.16. ~ '25.06.20.) 입찰동향
발행일: 2025-06-11 00:34

원문보기
조달청은 2025년 6월 16일부터 6월 20일까지 한 주 동안 약 3,344억 원 규모의 물품구매 입찰을 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사업 중 하나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가 요청한 ‘(선박) 차세대 쇄빙연구선 제조구매’가 포함되며, 이 입찰은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진행되어 전체 집행 금액의 81.7%에 해당하는 2,734억 원 규모로 이루어진다. 이 외에도 육군군수사령부의 ‘2025년 육군 세탁기, 건조기 조달(2차)’ 사업은 규격가격동시입찰 방식을 통해 7.8%에 해당하는 260억 원 예산으로 진행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에서 진행하는 ‘무정전전원장치용 배터리 구매 설치’ 사업은 적격심사를 거쳐 2.8%인 95억 원의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다.

전체 발주 금액 중 85.8%에 해당하는 2,693억 원은 본청에서 집행하며, 서울청을 포함한 10개 지방청이 나머지 445억 원을 각각 담당할 예정이다. 이번 입찰은 협상에 의한 계약, 적격심사, 다수공급자계약(MAS) 2단계 경쟁 등 다양한 계약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지역별로 배분해 효율성을 높이고 투명성을 보장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조달청은 고유의 공공 역할을 수행하며 주요 국가 기관과 부서의 요구를 충족시킬 예정이다.

[국가유산청]기후위기 시대, 야외 문화유산 첨단 보존기술의 방향을 논하다
발행일: 2025-06-11 00:32

원문보기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오는 6월 12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야외 문화유산의 기후변화 대응 보존기술’을 주제로 학술 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2025 세계국가유산산업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후변화가 야외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장기적이고 과학적인 보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석재, 목재,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의 문화유산이 기후변화로 인해 취약해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보존 기술과 연구 사례를 공유할 예정으로, 총 2부로 나뉘어 6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이 진행된다.

1부에서는 기후변화 현황과 전망, 야외 조각 작품 및 금속문화유산의 보존사례를 중심으로 한 발표들이 진행되며, 2부에서는 목조건축물, 흰개미 피해 연구, 석조문화유산의 풍화 영향과 평가 방법 등이 논의될 계획이다. 발표 후에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종합 토론을 통해 학제 간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한다. 이번 행사는 별도의 사전 등록 없이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문화유산 보존에 대한 연구와 협력을 지속하여 기후변화에 맞춘 지속가능한 대응 방안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현장 점검
발행일: 2025-06-11 00:28

원문보기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폭염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6월 11일 제11차 현장점검의 날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건설, 조선, 물류 등 폭염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기온이 33도 이상일 경우 작업자는 매 2시간마다 최소 20분 이상의 휴식을 취해야 한다는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 준수 여부를 중점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이 규정은 근로자들이 고온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번 현장점검에서는 끼임 사고로 인한 사망사고가 잦게 발생하는 특정 업종에 대한 감독도 병행 추진된다. 고용노동부는 폭염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 문제와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산업재해율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담당자는 근로자와 사업장의 협력을 통해 안전 수칙 준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과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가유산청]남한 최대의 청동기시대 유적, ‘부여 송국리’를 다시 보다
발행일: 2025-06-11 00:28

원문보기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부여 송국리 유적 발굴 50주년을 맞아 국제학술대회와 사진전을 개최한다. 송국리 유적은 1964년 처음 발견된 이후 1975년부터 본격적으로 발굴되어 28차례의 조사를 거친 결과, 남한 최대의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 고대사와 동아시아 청동기 문화 연구에 있어 중요한 좌표로 자리 잡았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유적의 조사 성과와 국제적 위상을 조명하며, 장기적인 보존과 활용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할 예정이다. 주요 발표로는 송국리 유적의 발굴 성과, 생업경제 연구, 출토 유물 전시 현황 및 향후 방향성, 일본 및 대만의 고고 유적 보존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향후 보존과 활용에 관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들이 논의될 예정이다.

학술대회와 함께 열리는 사진전은 송국리 유적의 발굴 역사와 현장을 담은 기록 사진들을 전시한다. 관람객들은 유적과 유구의 생생한 모습을 통해 송국리 유적의 역사적 가치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전은 평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되며, 토·일요일과 공휴일은 휴관한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행사를 통해 송국리 유적의 문화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국제 학술교류를 활성화하며, 앞으로도 발굴과 보존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유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특허청]찾아가는 IP상담, ENVEX2025 현장에서 만나다
발행일: 2025-06-11 00:26

원문보기
특허청은 오는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환경 산업 전시회인 ‘국제환경산업기술 & 그린에너지전(ENVEX2025)’에서 찾아가는 맞춤형 특허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허청은 전시회 현장에서 상담 부스를 운영하면서 참가 기업들이 출원 중인 특허와 관련된 다양한 문의사항을 해결하고, 필요한 조언을 직접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사전 신청을 통해 심사관이 기업 부스를 방문하여 기술 심층 면담을 진행하며, 기업의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는 출원인 이익제도를 안내하는 방식으로 맞춤형 상담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ENVEX는 매년 국내외 280여 개의 환경기술 기업이 참가하고, 4만 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하는 행사로, 올해 46회를 맞이하며 환경산업에서 중요한 교류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허청은 2020년부터 이 전시회에 활발히 참여하며 환경기술 관련 기업들의 지식재산 창출을 지원해 왔으며, 올해도 기업들의 핵심 기술 파악을 통해 경제적 가치와 권리 안정성이 높은 특허 창출을 돕는 데 중심을 두고 있다. 임영희 화학생명심사국장은 환경산업이 탄소중립과 신성장 동력 확보의 핵심으로 성장해가는 가운데, 특허청이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기술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현장 소통을 강화하며 명품특허 창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관세청]’25년 6월 1일 ~ 6월 10일 수출입 현황
발행일: 2025-06-11 00:15

원문보기
관세청이 발표한 6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 금액은 155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4% 증가했으며 수입은 172억 달러로 11.5% 증가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무역수지는 17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수입 증가율이 수출 증가율을 상회해 무역 적자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8.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0% 증가하여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지만, 여전히 수출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수입이 무역수지 부담을 가중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표에서 밝힌 월별 및 연간 누계 수치는 전반적인 추세를 보여준다. 2025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은 전월 대비 20.6% 증가했으며, 연간 누계로는 전년 대비 0.6% 감소한 2903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은 같은 기간 전월 대비 18% 가까이 증가했고, 연간 누계로 보면 1.7% 줄었으나 수출 감소폭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와 국내외 수요 공급 상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AI・디지털 전환이 경쟁력!" 신(新)기술로 미래 유통 이끈다
발행일: 2025-06-11 00:07

원문보기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제13회 유통산업주간 행사가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AI・디지털 전환 시대의 유통 혁신’을 주제로 진행되며 유통산업 컨퍼런스, 디지털 유통・물류대전, 이커머스 피칭페스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유통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특히 유통산업 컨퍼런스에서는 AI 기술 트렌드와 이를 활용한 혁신 전략을 심도 깊게 논의하며, 글로벌 유통기업의 AI 활용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이 신규 성장 모델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유통・물류대전’에서는 84개 기업이 참여해 AI 기반 물류 관제 시스템, 마케팅・상품 추천 서비스 등 최첨단 기술들을 선보이며, 마지막 날에는 스타트업들이 다음 세대의 유통・물류 기술과 서비스를 발표하는 ‘이커머스 피칭페스타’가 진행된다. 산업부는 이러한 행사를 통해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강조하며,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을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유통 AI 생태계 활성화 및 유통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수입식품 안전관리 정책설명회 개최
발행일: 2025-06-11 00:06

원문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제도를 국민들에게 알리고, 관련 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식약처는 수입식품에 대한 규제와 관리 기준을 명확히 하고, 주요 정책과 제도 변화 사항을 설명하며 안전한 식품 유통을 위한 협력을 당부했다.

특히, 최근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수입식품의 공급망 관리와 검사 강화 방안이 이번 설명회의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식약처는 수입식품의 원산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철저히 점검하고, 위해 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검사와 인증 절차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업계와 협력해 식품 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유할 계획을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받지 않은 ‘점, 쥐젖 제거기’ 수입·판매업체 적발
발행일: 2025-06-11 00:06

원문보기
식약처는 의학적 허가를 받지 않은 점 및 쥐젖 제거기를 수입·판매한 업체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문제의 제품은 의료기기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상태로 유통되었으며, 피부 조직을 태우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약처는 소비자들이 이러한 제품을 사용할 경우 부작용 및 피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검증되지 않은 의료기기 사용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이번 단속은 의료기기의 안전한 관리와 소비자 보호를 위해 진행됐으며, 적발된 업체들은 관련 법률에 따라 엄격히 처벌될 예정이다. 식약처는 유사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의료기기 판매 및 유통 과정을 철저히 점검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허가받지 않은 제품의 구매를 피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구매 전 반드시 의료기기 허가 여부를 확인할 것을 권장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보도참고] 식약처, ’25년 5월 의료제품 허가 현황 안내
발행일: 2025-06-11 00:06

원문보기
식약처는 2025년 5월 동안의 의료제품 허가 현황을 발표하며 국내 의료 산업 동향을 공개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다양한 의약품과 의료기기 허가 과정에서 중요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의료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이 강조되었다. 식약처는 신규 허가를 받은 제품 외에도 안전성 평가와 품질 관리를 바탕으로 국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허가된 제품들은 암, 심혈관 질환 등 특히 치료가 까다로운 질병을 대상으로 한 의약품과 혁신적인 의료기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국내 연구개발 성과를 반영한 사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식약처는 이러한 의료제품들이 환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철저한 점검 과정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의료제품 승인과 함께 관련 법규 준수와 교육 지원 등을 통해 의료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 나갈 계획을 덧붙였다.

[산림청]무궁화 해충 피해 70% 감소, ‘큰붉은잎밤나방’ 친환경 방제 기술 상용화 성공!
발행일: 2025-06-10 23:56

원문보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무궁화의 주요 해충인 큰붉은잎밤나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교미교란제를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교미교란제는 해충의 성페로몬과 동일한 물질을 인공적으로 대량 방출하여 수컷을 혼란에 빠뜨리고 암컷과의 짝짓기를 방해함으로써 번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기술은 농약 없이도 해충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환경에 부담을 줄이며, 실증 시험 결과 피해가 약 70%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당 교미교란제는 유기농업 자재로 등록되었고, 친환경 제품으로 제작되어 생활권 수목 해충 방제에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됐다.

이번 기술은 국내 최초로 생활권 수목 해충의 친환경 방제제를 상용화함으로써 도심 공원이나 가로수처럼 농약 사용이 어려운 지역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를 기반으로 복숭아유리나방, 차독나방 등 기타 수목 해충에 대한 교미교란제 개발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공원이나 가로수 환경에서 농약을 대신할 친환경적 방제 수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목재 및 생태 보존뿐만 아니라 건강까지 고려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진은 무궁화 해충 방제의 실용화가 광복절 80주년을 기념하여 많은 이들이 무궁화를 안전하고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통계청]2025년 5월 고용동향
발행일: 2025-06-10 23:00

원문보기
2025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64세 고용률은 70.5%로 전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하며 안정적인 고용 증가세를 보였다. 실업률은 2.8%로 0.2%포인트 하락하였으며, 이는 실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6% 감소한 85만 3천 명으로 줄어든 결과다. 특히 청년층 실업률은 6.6%로 0.1%포인트 하락하며 청년 고용 환경도 개선되는 모습이다. 계절조정 실업률은 전달과 동일한 2.7%를 유지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만 5천 명 증가하여 총 2,816만 명을 기록, 0.8%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고용 상황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고용률 상승과 실업률 하락은 경제활동 인구 증가와 함께 노동시장의 긍정적인 방향성을 반영하며, 안정적인 경제 회복의 신호로 해석된다. 전체적인 고용 개선 흐름 속에서 청년층과 사회 전반의 고용률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2025년 우수환경도서 30종 선정
발행일: 2025-06-10 21:00

원문보기
환경부는 ‘2025년 우수환경도서’로 선정된 30종의 도서를 6월 11일부터 국가환경교육통합플랫폼(www.keep.go.kr)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해당 도서는 2022년부터 지난 3년간 국내 출판된 환경 주제 책들 중 공모전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공모전에는 총 470종의 도서가 출품되어 전문가들의 심사를 통해 선정 과정을 거쳤다. 연령대별로 구분된 선정 도서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폭넓게 환경 소양을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기후변화, 탄소중립, 폐플라스틱 문제 등 주요 환경 이슈와 일상 생활에서의 환경문제 해결 방안을 다룬다.

환경부는 선정된 도서를 전국 국공립 도서관 및 학교에 배포하고, 일부 지역사회와 격오지 학교에는 무료 대여 및 증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독서의 달 및 환경교육 주간과 연계하여 북콘서트를 비롯한 다양한 행사를 통해 환경 도서의 활용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 같은 사업을 통해 국민들의 환경 보전 의식과 실천력을 강화하고, 앞으로는 기존 2~3년 단위에서 매년 공모전 개최로 우수환경도서 선정과 보급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연료비 아끼고 온실가스 줄이는 화물차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에 참여하세요
발행일: 2025-06-10 21:00

원문보기
정부는 화물차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연료비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목표로 한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에코 드라이빙 기술과 습관을 보급해 화물차 운전자들이 연비를 개선하고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유도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국내 물류 운송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탄소 중립 실현에 기여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캠페인 참가자는 연료 절약 운전법과 차량 관리 요령 등 다양한 실천 방안을 학습하게 되며, 실제 운전 시 이를 적용해 연료 소비를 줄이고 차량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에너지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물류 산업의 친환경적 전환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보도참고] ‘25.5월 고용동향 및 평가
발행일: 2025-06-10 15:00

원문보기
지난 5월 한국의 고용 동향에 대한 보도 자료에 따르면, 노동시장 전반에 걸쳐 고용 상황이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경제 구조적인 변화와 코로나19 회복세에 따른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고용 증가세는 일부 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특정 연령층과 직종에서는 여전히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은 인구구조 변화, 기술 발전,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과 연관된다.

한편, 정부는 고용 회복세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청년층 고용 지원, 직업 훈련 확대, 중소기업 지원 등 실질적인 대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관계자는 해당 자료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며, 더 많은 내용은 첨부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고용 시장의 현황을 이해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